[go: up one dir, main page]

KR860001455B1 - 페이저 수신기 - Google Patents

페이저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455B1
KR860001455B1 KR1019830000210A KR830000210A KR860001455B1 KR 860001455 B1 KR860001455 B1 KR 860001455B1 KR 1019830000210 A KR1019830000210 A KR 1019830000210A KR 830000210 A KR830000210 A KR 830000210A KR 860001455 B1 KR860001455 B1 KR 860001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message
code
time slot
receiv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0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3560A (ko
Inventor
마시아끼 아까호리
히로시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닛본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세끼모도 다다히로
닛본 덴신덴와 가부시끼가이샤
신또오히사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세끼모도 다다히로, 닛본 덴신덴와 가부시끼가이샤, 신또오히사시 filed Critical 닛본 덴기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35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35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455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ransmission Power Control [TPC]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페이저 수신기
제 1도는 본 발명의 양호한 실시예에 따른 페이저수신기를 송신국과 함께 도시한 계통도.
제 2도는 제 1도에 도시한 페이저 수신기에 의해 수신될 무선호출신호의 포오맷을 도시한 도면.
제 3(a)도 내지 제 3(f)도는 제 1도에 도시한 구조로 되어 있고 본발명의 더욱 양호한 형태에 따라 동작할수 있는 페이저 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개략적인 타이밍도.
제 4도(a)도 및 제 4(b)도는 제 3도에 관련하여 기술한 페이저수신기의 동작을 설명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플로우 챠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송신국 12 : 페이저수신기
15 : 안테나 16 : 수신회로
17 : 파형 정형기 18 : 구동회로
19 : 스피커 21 : 수신 제어기
22 : 스위치 26 : 표시장치
28 : 표시 제어기 31 : 제 1스위칭 트랜지스터
32 : 제 2스위칭 트랜지스터
본 발명은 페이징 시스템에 사용하기 위한 페이저(pager) 또는 페이징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 말하자면, 페이저 수신기는 사용자에게 호출을 알려줄 뿐만 아니라, 메시지(message) 등을 표실할 수 있는 형태로 되어 있다.
페이저 수신기는 페이징시스템의 서비스 구역(service area)내에서 이동가능한 사용자에 의해 이동되고 활성화 또는 동작되어야 하므로, 소정시간에 시스템의 송신국(transmitting station)으로부터 무선 호출 신호로 이 페이저 수신기에 도달할 수 있는 호출을 검출하기 위한 준비를 항상 갖추고 있어야 한다. 무선호출 신호를 수신하고 이 호출을 표시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전력은 수신기에 내장된 밧데리로부터 공급된다.
수신기의 전력소모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본 분야에 공지된 밧데리 절약구조를 사용하여 왔다.
이 구조에 따르면, 동작 또는 비동작 상태로 유지되는 페이징시스템의 페이저 수신기는 선정된 수의 그룹(group)들로 분할된다. 무선 호출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은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나중에 기술하는 바와같이 각각의 그룹들에 할당되는 다수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분활된다. 이러한 페이징 시스템 내에 사용하기 위한 종래의 페이저 수신기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고, 숙고하여 수신기에 미리 지정된호출 코드를 검출하기 위한 수신기회로 및 해당수신기를 포함하는 그룹에 할당된 서브프레임 동안에만 수신회로를 자동적으로 활성화시키기 위한 온-오프(on-off)제어회로로 구성된다.
한편, 최근의 경향은 무선 호출신호가 페이저 수신기용호출코드를 동반하고 이 페이저 수신기에 전송될메시지를 나타내는 메시지 코드를 포함하는 것이다. 이러한 페이저 수신기의 일예는 알프레드 비 레빈(Alfred B. Levine)의 미합중국 특허 제4,336,524호에 기술되어 있다. 서브프레임은 이에 따라 길게 된다. 설명과정에서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이러한 페이저 수신기 내에서 의외로 밧데리가 절약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고 전력소모가 최소치로 감소되는 페이저 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수한 목적은 통화중이 아닐때 전력 소모가 더욱 감소되는 기술한 형태의 페이지수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제 1 내지 제 4장치로 구성되는 페이저 수신기가 제공된다.
제 1장치는 호출코도부와 메시지 코드부로 구성되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것이다. 호출코드부는 선정된 수의 호출시간 슬롯트(time slot)를 갖는다. 메시지코드부는 호출시간 슬롯트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메시지 시간 슬롯트를 갖는다. 호출시간 슬롯트 및 메시지 시간 슬롯트는 시간순으로(time sequentially)배열된다.
제 2장치는 페이저수신기에 미리 지정된 호출코드를 검출하고, 호출코드가 검출되는 호출시간 슬롯트를 중한 호출시간 슬롯트를 결정하기 위해 제 1장치에 결합된다.
제 3장치는 상술한 한 호출시간 슬롯트에 대응하는 메시지 시간 슬롯트들 중 한 메시지 시간 슬롯트내의 블랭크(blank)메시지 패턴(pattern) 또는 메시지 코드를 검출하기 위해 제 2장치를 통해 제 1장치에 결합된다.
제 4장치는 상술한 한 메시지 시간 슬롯트의 선행연부에서 제 1장치 및 제 3장치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술한 호출시간 슬롯트에 응답한다.
이제부터,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서 상세하게 기술하겠다.
제 1도를 참조하면, 페이징 시스템은 소정의 서비스구역을 갖고 있는 송신국(11)을 포함한다. 이 시스템은 다수의 페이저 수신기를 포함한다. 다수의 페이저 수신기들은 통화시간 중에 서비스구역에서 동작상태로 유지된다. 통상적으로, 단지 몇 개의 수진기들은 자정시간에 동작상태를 유지한다. 하여튼, 페이징 시스템의 페이저 수신기기는 상술한 바와 같이 선정된 수위 그룹들로 분할된다. 한 예로서, 이 그룹들을 제 1그룹 내지 제 10그룹이라고 하겠다. 제 1그룹의 페이저 수신기들 중 한 페이저 수신기는 페이징 시스템의 대표적인 페이저 수신기로서 참조번호(12,제 1도)로 도시되어 있다.
다수의 가입자 분국(substation, 도시하지 않음)은 송신국(11)에 접속된다. 가입자 분국들 중 한 분국에서 시스템의 활성페이저수신기들 중 필요한 페이저 수신기로 호출을 시작할 때, 이 호출은 송신국(11)에 의해 무선호출신호로 서비스구역을 거쳐 송신된다. 이 호출 신호는(주파수 별조)신호라고 가정된다.
제 2도를 참조하면, 무선호출 신호의 각각의 프레임은 제 1그룹 내지 제 10그룹에 각각 할당된 제 1내지 제 10서브프레임(sf1 내지 sf10)으로 분할된다. 제 1서브프레임(sf1)에 대해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동기코드 또는 동기워드(S), 동가코드 다음의 호출코드부 및 호출코드부 다음의 메시지코드부로 구성된다.
동기코드는 각각의 서브프레임에 유일한 2진 1및 0비트의 패턴을 갖는다. 각각의 그룹의 페이저 수신기(12, 제 1도)는 이 그룹에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의 동기코드에 응답한다.
호출 코드부는 선정된 수의 시간순으로 배열된 호출시간 슬롯트 또는 간격을 갖는다. 도시한 예에서, 제 1서브프레임(sf1)의 호출코드부는 바로 뒤에 동기코드(S)가 뒤따르고, 제 1 내지 제 8호출시간 슬롯트(A1 내지 A8)로 구성된다. 메시지코드부는 바로뒤에 호출코드부가 뒤따르고, 제 1내지 제 8호출시간 슬롯트(A1 내지 A8)로 구성된다. 메시지코드부는 바로뒤에 호출코드부가 뒤따르고, 제 1 내지 제 8호출시간 슬롯트(A1 내지 A8)에 1대 1 대응하는 제 1 내지 제 8메시지시간 슬롯트 또는 기간(D1 내지 D8)로 구성된다.
본 분야에 공지된 방식으로, 송신국(11, 제 1도)은 서비스구역내에서 이동할 수 있는 시스템의 활성페이저수신기들 중 요구된 페이저 수신기용 가입자 분국에서 시작하는 호출에 응답하여 서브페레임(sf1 내지 sf 10)들 중 한 서브프레임의 호출시간 슬롯트들 중 한 호출시간 슬롯트 내에 호출코드 또는 워드를 보낸다. 이러한 호출 코드들은 각각의 그룹의 활성 또는 비활성상태의 각각의 페이저 수신기에 미리 지정된다. 이렇게 미리 지정하기 위해서, 각각의 호출코드는 규정된 수의 2진 1및 0비트로 구성된다.
호출은 요구된 페이저 수신기에 이송될 메시지에 의해 동반될 수 있거나 동반될 수 없다. 메시지 존재시에, 송신국(11)은 요구된 페이저 수신기용 호출코드가 배치되는 호출시간 슬롯트에 대응하는 서브프레임의 메시지시간 슬롯트들 중 하 메시지시간 슬롯트 내에 메시지코드 또는 위드를 보낸다. 메시지 코드는 메시지를 나타내도록 배열되는 소정수의 2진 1 및 0비트로 구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메시지는 가장 광범위한 의미의 단어로 이해되어야 하고, 요구된 페이저 수신기의 제어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서브프레임내에 실제로 보내진 호출코드들의 수가 이 서브프레임의 호출시간 슬롯트수 이하일 때, 호출코드는 선입선출(first-in first-out)방식으로 동기코드, 즉 호출코드부의 선행연부에서 더 가까운 각각의 호출시간슬롯트내에 배치되고, 블랭크호출 패턴은 호출코드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각각의 호출 시간 슬롯트내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양호하다. 예를 들어, 수신기(12)용 호출코드는 제 1그룹의 페이저수신기용 호출들 중 제4, 제 84(각각의 서브프레임 내에 8개의 호출시간 슬롯트가 있다고 가장)등의 호출로서 1개의 프레임의 개시후에 시작하는 호출에 응답하여 송신국(11)에 의해 보내진 경우에 제 4호출시간 슬롯트(A4)내에 있게 된다. 블랭크호출 패턴은 해당그룹의 페이저 수신기용 호출코드로서 사용되지 않는 패턴으로 배열된 2진 1 및 0비트로 구성해야 한다. 가장 양호하게는 블랭크 호출 패턴은 가능한 불규칙하게 배열되는 2진 1및 0비트로 구성해야 한다. 이와 마찬가지로, 블랭크메시지 패턴은 메시지 코드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메시지시간 슬롯트에 배치된다.
제 1도를 다시 참조하면 페이저 수신기(12)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안테나(15)를 포함한다. 통상적인 FM수신회로 (16)은 수신된 호출신호를 주파수변환, 증폭 및 복조시키기 위한 것이다. 이 수신회로(16)은 복조된 호출신호를 발생시키는 변별기 (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파형정형기(17)은 무선호출신호로서 전송되도록 송신국(11)내에서 발생되는 디지탈 신호를 재생하기 위해 복조 호출 신호의 파형을 정형하기 위한 것이다. 지금부터 기술될 경보음신호에 응답하여, 구동회로 (18)은 스피커(19)가 경보음을 발생시키게 한다. 수신 회로(16), 파형정형기(17), 및 구동 회로(18)은 본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수신회로(16)은 마사루 마사끼(Masaru Masaki) 등에게 허여되고 본 발명의 양수인들 중 하나인 NEC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4,194,153호에 기술한 형태로 될 수 있다. 파형정형기(17)은 저역통과 휠터 및 비교기로 구성되는 구조로 될 수 있다.
수신제어기(21)은 클럭펄스열을 발생시키고 클럭펄스들의 비트동기를 설정하기 위한 것이다. 이 수신 제어기(21)은 우선 제 1 내지 제 8호출시간슬롯트(Al 내지 A8)과 제 1 내지 제 8메시지시간슬롯트(D1 내지 D8)을 통해 타이밍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한 기준을 제공하기 위해 제 1서브프레임(sf1, 제 2도)의 동기 코드(S)를 검출하도록 파형정형기(17)에 결합된다. 수신제어기(21)은 또한 호출코드부를 타이밍시키고, 제 1서브프레임(sf1)내에 수신기(12)에 미리 지정된 호출코드를 검출하며, 호출코드가 검출되는 특정한 호출시간슬롯트로서 호출시간슬롯트(A1 내지 A8)들 중 한 호출시간 슬롯트를 결정하고, 나중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경보음신호를 발생시키며, 간단하게 설명할 제 1 및 제 2 제어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한 것이다. 수신제어기(21)은 호출코드의 검출을 표시하는 호출표시 및 특정한 호출시간 슬롯트가 격납되는 호출메모리(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대규모 집적 반도체회로(LSI)에 의해 대부분의 수신제어기(21)을 구성할 수 있다.
스위치(22)가 수신기(12)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폐쇄되면, 수신제어기(21)에는 수신기(12)에 내장된 밧데리(23)으로부터의 전력이 공급된다. 이 전력은 구동회로(18)에도 공급된다. 그러나, 구동회로(18)은 경보음 신호가 수신제어기(21)로부터 전달되지 않는 한 전력을 소모하지 않는다.
표시장치(26)은 특정한 호출시간 슬롯트에 대응하는 메시지 시간슬롯트(D1 내지 D8)들 중 한 메시지 시간슬롯트에서의 메시지코드로서 수신기(12)에 전송된 메시지를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메시지가 숫자로만, 표시되면, 표시장치 (26)은 12-디지트(digit) 7-세그먼트(segment) 액정표시기로 될수 있다. 메시지가 알파뱉 문자이면, 표시장치 (26)은 5×7-도트매트릭스(dot matrix)액정표시기로 구성될 수 있다.
프로그램 가능한 해독전용메모리(P-ROM, 27)은 수신기(12)에 미리 지정된 호출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수신기(12)는 메시지코드를 수신할 수 있고 본 분야에서 불리워지는 바와 같은 키(key) 코드방식에 따라 메시지로서 메시지 코드의 번역을 표시할 수 있다고 기술될 수 있다. 이경우, 번역용 테이블(table)은 해독전용 메모리(27)내에 저장된다. 또한, 해독전용메모리 (27)은 수신기(12)의 다수의 동작모우드(mode)를 저장하기 위한 것이다. 예를 들어, 수신기(12)에는 경보음 및 표시된 메시지를 자동적으로 티셋팅시키는 기능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수신기(12)가 수신된 호출신호의 제 1서브프레임(sf1)의 메시지코드부에 응답하지 않게 할 수도 있다. 이 상황하에서, 동작모우드들은 해독 전용메모리 (27)내에 기억된다.
표시제어기(28)은 수신제어기(21), 표시장치(26) 및 해독전용메모리 (27)에 결합된 1-칩 중앙처리 유니트이다. 수신기(12)를 동작시키기 위한 프로그램은 표시제어기(28)내에 저장된다. 이 프로그램의 서브루틴(subroutine)은 해독전용 메모리 (27)내에 저장될 수 있다. 나중에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표시제어기 (28)은 판독호출코드를 수신제어기 (21)에 공급하기 위해 해독전용메모리(27)로부터 호출 코드를 해독한다. 호출코드부를 타이밍시킨 후, 수신제어기 (21)은 메시지코드부를 타이밍시킨다. 특정한 호출시간 슬롯트에 대응하는 메시지시간 슬롯트에서, 표시 제어기 (28)은 메시지 코드를 검출하고 오차보정을 하기위해 수신회로 (16) 및 파형정형기 (17)과 함께 활성화된다. 표시제어기 (28)은 오차보정 메시지코드에 의해 표시되거나, 경우에 따라서 오차보정메시지 코드의 번역에 의해 제공되는 메시지를 저장하기 위한 표시메모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표시제어기 (28)은 나중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시각적으로 표시하기 위해 메시지를 표시장치 (26)으로 전달한다.
전력은 제 1제어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제 1스위칭 트랜지스터(31)을 통해 수신회로 (16) 및 파행정형기(17)에 공급된다. 전력은 제 2제어신호에 의해 제어된 제 2스위칭 트랜지스터 (32)를 통해 표시장치(26), 해독전용메모리 (27) 및 표시제어기 (28)에 공급된다.
제 3도를 참조하면, 제 1그룹의 8개의 페이저수신기에 미리 지정된 호출코드는 가장 빈번하게 통화중일때 제 1서브프레임(sf1)의 제 1 내지 제 8 호출 시간 슬롯트(A1 내지 A8)내에 존재한다. 어떠한 호출 코드도 제 3(a)도에 "X"표시한 바와 같이, 도시한 페이저 수신기 (12)용이 아니다. 선택적으로, 제 1서브프레임(sf1)내에서 수신기 (12)에 미리 지정된 호출코드는 메시지코드부내의 메시지코드와 함께 호출시간슬롯트(A1 내지 A8)들 중 호출시간 슬롯트내에 존재할 수 있다. 한 예로서, 수신기 (12)용 호출코드가 제 3(b)도에 "O"(35)로 표시한 바와 같은 제 4호출시간 슬롯트 (A4)내에 존재한다고 가정하겠다. 메시지 코드는 다른 "O"(36)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제 4메시지 시간슬롯트 (D4)내에 배치된다. 수신제어기 (21)이 제 3(a)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수신기 (12)용 호출코드를 검출하지 못하면, 수신제어기 (21)은 제 1제어신호가 제 1 스위칭 트랜지스터(31)을 턴오프시키거나, 이제부터 더욱 상세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호출 코드부의 단부에서 비도통상태로 되게 한다.
제 3(c)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제어기 (21)은 제 1제어신호가 제 1스위칭 트랜지스터(31)을 턴온시키거나, 클럭펄스 열의 동기가 스위치 (22)의 폐쇄후에 설정될 때 도통상태로 되게 한다. 수신제어기 (21)이 제 1서브프레임 (sf1)의 동기코드 (S)를 검출하면, 수신제거기 (21)은 제 1제어신호가 제 1스위칭트랜지스터 (31)을 온 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제 4호출 시간 슬롯트(A4)에서, 수신제어기(21)은 수신기 (12)에 미리 지정되고 사선 영역 (37)로 도시된 호출코드를 검출한다. 수신제어기 (21)은 호출코드부를 계속타이밍시키고 제 1제어신호가 제 1스위칭 트랜지스터 (31)을 호출코드부의 단부에서 턴오프시키게 한다. 또한, 수신제어기(21)은 메시지코드부를 타이밍시키고, 제 1 제어신호가 제 1 스위칭트랜지스터(31)을 제 4메시지시간 슬롯트 (D4)동안 다시 도통상태로 되게 한다.
제 3(d)도 및 제 3(e)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신 제어기 (21)은 제 2제어 신호가 제 2스위칭 트랜지스터 (32)를 먼저 오프상태로 되게 한다. 수신제어기 (21)은 제 2제어신호가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 (32)를 제 4메시지시간 슬롯트 (D4)의 선행연부에서 도통상태로 되게 한다. 표시제어기 (28)이 제 4메시지시간 슬롯트(D4)에서 다른 사선 영역 (38)로 도시한 메시지코드를 검출하면, 수신제어기 (21)은 이 검출에 응답하고, 제 2 제어신호가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 (32)를 계속 온상태로 유지하게 한다. 표시제어기 (28)이 제 4메시지 시간슬롯트 (D4)에서 또다른 사선영역 (39)로 도시한 블랭크 메시지패턴을 검출하면, 수신 제어기(21)은 이 검출에 응답하고 제 2 제어신호가 제 2스위칭 트랜지스터 (32)를 제 4메시지시간 슬롯트(D4)의 종연부(trailing edge)에서 턴오프시키게 한다.
페이저 수신기(12)는 무선 호출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부(15,16, 및 17), 수신기(12)에 미리 지정된 호출코드를 검출하고 호출코드가 검출되는 호출시간 슬롯트들중 한 호출시간 슬롯트를 결정하기 위해 수신부에 결합된 수신제어기 (21), 상술한 한 호출시간 슬롯트에 대응하는 메시지 시간 슬롯트들 중 한 메시지시간 슬롯트내의 메시지 코드 또는 블랭크메시지패턴을 검출하기 위해 수신제어기 (21)을 통해 수신부에 결합된 표시부 및 상술한 메시지 시간슬롯트의 선행연부에서 수신부 및 표시부를 활성화시키기 위해 상술한 한 호출시간 슬롯트에 응답하는 스위칭트랜지스터 (31 및 32)로 구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호출코드가 적은 번호의 호출 시간슬롯트내에 배치되고 블랭크 호출패턴이 호출코드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각각의 호출시간 슬롯트내에 배치되는 것이 더욱 양호하다. 이 경우에, 블랭크호출패턴은 수신제어기 (21)내에 기억될 수 있다. 통화중이 아닐 때에는, 적당한 수의 블랭크호출패턴들이 서브프레임의 호출코드부내에 존재할 수 있다. 상황에 따라, 블랭크호출패턴은 제 3(f)도에 "Δ"로 표시한 바와 같은 제 1호출 시간 슬롯트 (A1)내에 배치된다.
수신제어기 (21)이 호출시간 슬롯트(A1 내지 A8)들 중 소정의 호출시간 슬롯트내의 블랭크 호출패턴을 검출하자마자, 수신제어기 (21)은 제 3(f)도에 예시한 바와 같이 제 1제어신호가 제 1스위칭 트랜지스터 (31)을 턴오프시키게 한다. 다음에, 수신제어기 (21)은 제 1제어신호가 제 3(c)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은 제 1서브프레임(sf1)을 뛰따르는 다음 서브프레임 (sf1')의 선행연부에서 제 1스위칭 트랜지스터 (31)을 도통상태로 되게 하지만, 제 2제어 신호가 제 2 스위칭트랜지스터 (32)를 계속 오프상태로 되게 한다.
제 4도를 참조하면, 페이저수신기(12)가 본 발명의 더욱 양호한 형태에 따라 무선호출신호에 응답하여 동작할 수 있고, 스위치 (22)가 수신기 (12)를 동작시키기 위해 제 1단 (41)에서 폐쇄된다고 가정하겠다. 수신제어기 (21)은 클럭펄스열을 발생시키기 시작하는 동안 제 2단 (4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스위칭 트랜지스터(31)을 순간적으로 턴온시키도록 활성화된다. 수신 제어기 (21)은 표시제어기 (28)이 수신기 (12)용 호출코드를 전송시키고 블랭크호출패턴을 해독전용 메모리 (27)로부터 수신제어기 (21)내의 메모리로 전송시키도록 제 2스위칭 트랜지스터 (32)를 순간적으로 턴온시키는 것이 양호하다. 제 2스위칭 트랜지스터(32)는 나중에 기술하는 순간까지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제 3단 (43)에 기술한 바와 같이, 클럭펄스열의 동기화가 실행된다. 동기설정은 제 4단에서 검사된다. 동기가 설정되지 않으면, 단 (44)는 제 2단 (42)로 복귀한다. 동기가 설정되면, 수신제어기 (21)은 제 5단에선 (45) 제 1스위칭트랜지스터 (31)을 다시 턴온시킨다. 지금부터 기술할 제 1스위칭 트랜지스터 (31)의 온오프 제어 및 제 2스위칭 트랜지스터 (32)의 동작을 제외하고는, 단 (41) 내지 단 (45)는 본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수신제어기 (21)은 제 6단 (46)에서 제 1 서브프레임(sf1)의 동기코드 (S)를 탐색한다. 동기코드 (S)가 수신되면, 수신제어기 (21)은 간단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1대 1로 호출시간슬롯트(A1 내지 A8)을 검사하기 위한 상태로 된다. 동기코드(S)가 검출되지 않도라도, 수신제어기 (21)은 제 7단 (4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가 유지되는 한 이 상태를 유지한다. 소정의 기간이 경과한 후, 동기는 이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단 (47)은 제 2단 (42)로 복귀한다.
각각의 호출시간 슬롯트를 검사하는 동안, 수신제어기 (21)은 제 8단 (48)에서 수신기 (12)용 호출코드를 발견하거나 제 9단(49)에서 블랭크 호출패턴을 발견할 수 있다. 호출코드가 수신되면, 수신제어기 (21)은 제 10단 (5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호출메모리가 수신을 표시하는 호출표시 및 호출코드가 수신되는 특정한 호출시간 슬롯트를 기억하게 한다.
수신된 호출코드가 통화가 가장 빈번할 때와 같이 블랭크호출패턴을 수반하지 않으면, 수신제어기 (21)은 제 11단 (51)에서 전체호출코드부가 이미 처리되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전체호출코드부가 처리되지 않았으면, 호출코드 및 블랭크 호출 패턴의 탐색이 반복된다. 블랭크호출패턴의 수신시 (또는 전체 호출코드부처리완료시에, 단 (49 또는 51)은 간단하게 기술하는 바와 같이 메시지코드용 메시지코드부 및 블랭크 메시지 패턴이 검사필요성 및 불필요성에 관련하여 결정이 실행되는 제 12단 (52)로 진행한다.
블랭크 호출 패턴이 제 3(f)도에 관련하여 예시한 바와 같이 수신기 (12)용 호출코드를 수신하기 전에 제 9단 (49)에서 수신되면, 메시지코드부를 검사할 필요가 없다. 그러므로, 단 (52)는 제 1스위칭 트랜지스터(31)이 상술한 온-오프제어 가능 상태에 있는 제 5단 (45)로 다시 점프(jump)한다. 먼저, 수신제어기(21)은 트랜지스터 (31)을 스위치오프시킨다. 다음에, 수신제어기 (21)은 제 3도(c)도에 점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다음게 뒤따르는 프레임 (sf1)내에서 제 1서브프레임 (sf)을 개시하기 조금전에 트랜지스터 (31)을 도통상태로 스위치시킨다.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 (32)는 그동안 내내 오프상태로 유지된다.
제 11단 (51)에서 전체 호출코드부가 수신기 (12)용 호출코드나 제 1 내지 제 8호출시간 슬롯트(A1 내지 A8) 내에 수신된 블랭크 호출 패턴으로도 처리되지 않는다는 것이 발견되면, 검사를 실행할 필요도 없다.
제 12단 (52)는 제 5단 (45)로 복귀한다.
수신기 (12)용 호출코드가 제 8단 (48)에서 수진되면, 검출된 호출코드다음에 블랭크호출 패턴이 뒤따르는지의 여부에 관계없이 검사를 실행할 필요가 없다. 수신제어기 (21)은 제 13단 (53)에서 제 1 및 제 2스위칭트랜지스터 (31 및 32)를 온-오프 제어 가능 상태로 되게 한다. 한편, 수신제어기 (21)은 특정한 호출시간 슬롯트를 참조하여 메시지코드부를 타이밍시키고 제 14단 (54)에서 각각의 메시지 시간슬롯트가 특정한 호출시간 슬롯트에 대응하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대응메시지시간 슬롯트의 선행연부 조금전에, 수신 제어기 (21)은 제 3(d)도 및 제 3(e)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스위칭 트랜지스터(31 및 32)가 도통상태로 되게 한다.
제 15 및 16단(55 및 56)에서, 표시제어기 (28)은 메시지코드 또는 블랭크 메시지 패턴이 대응메시지 시간슬롯트 내에 존재하는지를 검사한다. 메시지코드가 제 15단 (55)에서 수신되면, 메시지는 제 17단 (57)에서 표시메모리내에 저장된다. 메시지 코드나 블랭크메시지 패턴이 수신되지 않으면, 호출표시 및 호출메모리내에 저장된 특정한 호출시간슬롯트는 제 18단 (58)에서 클리어(clear)된다.
제 17단 (57)에서 표시메모리 내에 메시지를 저장한 후에 표시제어기 (28)은 제 19단 (59)에 도시한 바와같이 제 2스위칭 트랜지스터 (32)를 온 상태로 유지시키는 동안 수신제어기(21)이 제 1스위칭트랜지스터 (31)을 턴오프시키게 한다.
블랭크 메시지 패턴이 제 16단 (56)에서 수신되면, 표시제어기 (28)은 제 19단 (59)에서 수신제어기 (21)이 제 1 및 제 2 스위칭트랜지스터 (31 및 32)를 턴오프시키게 한다. 또한, 제 18단 (58)에서 호출메모리를 클리어한 후, 표시제어기 (28)은 제 19단 (59)에서 수신제어기 (21)이 스위칭트랜지스터 (31 및 32)를 턴오프 시키게 한다.
제 20단 (60)에서, 수신제어기 (21)은 메시지 코드부가 제 1 내지 제 8 호출시간 슬롯트 (A1 내지 A8)을 참조하여 이미 타이밍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이미 타이밍되었으면, 수신제어기 (21)은 제 21단(61)에서 제 1서브프레임이 경과했는지의 여부를 확인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재생 디지탈 신호를 파형정형기 (17)로부터 제어기 (21)에 공급하도록 메시지코드부 및 서브프레임을 이렇게 타이밍 시킬 필요가 없다는 것이 지적될수 있다.
표시제어기 (28)은 제 22단 (62)에서 메시지가 표시메모리내에 지장되어 있는지의 여부를 검사한다. 존재하는 경우에, 표시제어기 (28)은 스피커 (19)가 호출음을 발생시키도록 제 23단 (63)에서 수신제어기 (21)이 경보음신호를 구동회로 (18)에 전달하게 한다. 동시에, 표시제어기 (28)은 표시장치 (26)이 메시지를 시작적으로 표시하게 한다. 표시메모리가 공백상태이면, 호출메모리가 호출표시를 위해 제 24단 (64)에서 검사되고, 존재하면, 제 25단 (65)에서 경보음이 발생된다.
수신기 (12)가 자동 리셋팅 기능을 갖고 있으면, 표시제어기 (28)은 호출메모리 및 표시메모리 [단 (63)]또는 호출 메모리 [단 (65)]의 내용을 자동적으로 클리어시키고, 경보음 및 시각적 표시 또는 호출음을 중지시킨다. 동시에, 표시제어기 (28)은 수신 제어기 (21)이 제 1 및 제 2 스위칭트랜지스터 (31 및 32)를 턴오프시키게 한다. 단 (63 또는 65)는 제 1스위칭 트랜지스터 (31)이 다시 온-오프 제어가능 상태로 되게하는 제 5단(45)로 점프한다.
이제부터, 제 1도 및 제 2를 참조하여 기술한 형태의 페이저 수신기내에서 가정된 평균전류에 대해서 설명하겠다. 수신제어기 (21)내에 사용된 전류는 약 0.01mA이다. 수신회로 (16) 및 파형정형기 (17) 내에 사용된 전체전류는 약 4mA이다. 페이저 수신기는 하루에 수회정도만 호출되기 때문에, 평균 전류계산기에 수신회로(16), 파형 정형기 (17), 구동 회로(18), 표시장치 (26), 프로그램 가능한 해독전용메모리 (27), 및 표시제어기 (28)내의 호출의 검출시에 사용된 전류를 무시할 수 있다. 페이징 시스템의 페이저 수신기들은 상술한 바와 같이 10개의 그룹으로 분할된다고 가정하였다.
앞에서 참조한 종래의 페이저 수신기의 경우에, 절약비는 10대 1이다. 그러므로, 평균전력은 다음과 같이 된다.
(4mA×1+0.01mA×9)/10=0.409mA.
페이저수신기 (12)의 경우에, 절약비는 약 30 : 1로 된다. 그러므로, 평균전류는 다음과 같이 된다.
(4mA×1+0.01mA×29)/30=0.143mA.
전력소모가 약 1/3로 감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페이저수신 (12)가 제 1도 내지 제 4도를 참조하여 상술한 형태로 되어 있는 경우에, 1/3의 감소는 통화가 가장 빈번하여 평균 전류가 최대치로 되는 최악조건의 경우이다. 호출이 시스템이 활성 페이저 수신기의 경우에 가입자 분국에서 드물게 시작하는 가장 양호한 조건내에서, 절약비는 약 120 : 1로 된다. 그러므로, 평균전력은 다음과 같이 된다.
(mA×1+0.01mA×119)/120=0.0433mA.
이것은 전력소모가 약 1/9로 감소된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력소모가 매우 감소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의 몇가지 양호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분야에 숙련된 기술자들은 본 발명을 여러가지 방식으로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2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무선호출신호의 포오맷과 다른 포오맷을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제 4도를 참조하여 기술한 플로우챠트는 이에 따라 변형되어야 한다. 특히, 동기코드, 호출코드, 메시지 코드, 블랭크호출 패턴 및 블랭크 메시지 패턴과 상이한 코드 및 패턴들이 동기코드와 호출코드부 사이, 호출코드부와 메시지코드부 사이, 및 메시지코드부 다음에 배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호출시간 슬롯트 및 메시지시간 슬롯트들은 무선호출신호내에 단속적으로 시간순으로 배열되는 제 1서브프레임 (sf1)과 같은 각각의 신호부내에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시간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그룹의 페이저수신기들은 소정수의 서브 그룹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이 후자의 경우에, 무선호출신호의 각각의 서브프레임은 각각의 서브그룹에 지정되는 다수의 작은 서브그룹들로 분할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은 서브프레임들은 무선호출신호의 호출신호부로 될 수도 있다.

Claims (3)

  1. 시간순으로 배열되는 선정된 수의 호출시간 슬롯트 (A1~A8)을 갖고 있는 호출코드부 및 시간순으로 배열되고 이 호출시간 슬롯트(A1~A8)에 대응하는 다수의 메시지 시간슬롯트 (D1~D8)을 갖고 있는 메시지코드부로 구성되는 무선호출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1장치 (16,17), 페이저수신기에 미리 지정된 호출코드를 검출하고 호출코드가 검출되는 호출시간 슬로트들 중 한 호출시간 슬롯트를 결정하기 위한 제 1장치(16,17)에 결합된 제 2장치 (21), 한 호출 시간 슬롯트에 대응하는 메시지시간 슬롯트들 중 한 메시지시간 슬롯트내의 메시지코드 또는 블랭크 메시지 패턴을 검출하기 위해 제 2장치 (21)을 통해 제 1장치 (16,17)에 결합된 제 3장치 (28), 및 한 메시지시간 슬롯트의 선행연부에서 제 1 및 제 3장치 (16,17 ; 28)을 활성화시키기 위해 한 호출시간 슬롯트에 응답하는 제 4장치 (31,32)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 수신기.
  2. 제 1항에 있어서, 제 4장치 (31,32)가 메시지코드가 한 메시지시간 슬롯트내에서 검출될때 메시지코드부를 경과할 때까지 제 1및 제 3장치 (16,27 ; 28)을 계속 활성화시키고, 블랭크메시지 패턴이 한 메시지시간 슬롯트내에서 검출될 때 한 메시지 시간슬롯트의 종연부에서 제 1및 제 3장치 (16,17 ; 28)을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 수신기.
  3. 제 1항 또는 제 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선호출신호가 일련의 신호부로 되고, 각각의 신호부가 호출코드부 및 메시지코드부로 구성되며, 호출코드가 각각의 신호부의 선행연부에 더 가까운 각각의 호출시간 슬롯트내에 배치되고, 블랭크 호출 패턴이 호출코드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각각의 호출 시간 슬롯트내에 배치되며, 제 2장치(21)이 블랭크호출패턴을 검출하기 위한 것이고, 제 4장치 (31,32)가 제 1장치 (16,17)을 활성화 및 비활성화시키기 위해 제 2장치 (21)에 의해 검출된 블랭크호출 패턴에 응답하며, 블랭크 호출패턴이 검출되는 호출시간 슬롯트의 종연부에서 제 1장치 (16,17)을 비활성화시키고, 블랭크호출 패턴이 검출되는 신호부가 뒤따르는 신호부의 선행연부에서 제 1장치 (16,17)을 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이저 수신기.
KR1019830000210A 1982-01-20 1983-01-20 페이저 수신기 Expired KR860001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809 1982-01-20
JP57007809A JPS58124338A (ja) 1982-01-20 1982-01-20 選択呼出通信方式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3560A KR840003560A (ko) 1984-09-08
KR860001455B1 true KR860001455B1 (ko) 1986-09-25

Family

ID=11675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0210A Expired KR860001455B1 (ko) 1982-01-20 1983-01-20 페이저 수신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68949A (ko)
JP (1) JPS58124338A (ko)
KR (1) KR860001455B1 (ko)
AU (1) AU555154B2 (ko)
CA (1) CA1196964A (ko)
GB (1) GB2114343B (ko)
HK (1) HK52488A (ko)
SG (1) SG20388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444870B (sv) * 1984-09-17 1986-05-12 Tateco Ab Forfarande vid sendning i ett personsokarsystem
US5150954A (en) * 1984-12-05 1992-09-29 Seiko Corporation Pager watch system utilizing time slot communication
DE3588151T2 (de) 1984-12-05 1997-10-09 Seiko Corp Tragbare Personenrufvorrichtung
JPH06101700B2 (ja) * 1986-05-15 1994-12-12 株式会社東芝 バツテリセ−ビング方式
US4853674A (en) * 1986-07-21 1989-08-01 Kiss Michael Z Signalling apparatus for hearing impaired persons
US5189409A (en) * 1987-04-25 1993-02-23 Sharp Kabushiki Kaisha System for controlling terminal equipment
IL85558A (en) * 1987-04-30 1992-01-15 Motorola Inc Personal message receiving device with separate information presentation means
US5274843A (en) * 1987-11-28 1993-12-28 Kabushiki Kaisha Toshiba Paging apparatus having a battery saving function
JPH01141423A (ja) * 1987-11-28 1989-06-02 Toshiba Corp 選択呼出方式
JP2581719B2 (ja) * 1987-12-25 1997-02-1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選択呼出通信方式
US4928274A (en) * 1988-01-19 1990-05-22 Qualcomm, Inc. Multiplexed address control in a TDM communication system
WO1989008369A1 (en) * 1988-02-29 1989-09-08 Motorola, Inc. Acknowledge back paging system having the capability of matching data messages to pager addresses
US4860003A (en) * 1988-05-27 1989-08-22 Motorola, Inc. Communication system having a packet structure field
US5187471A (en) * 1988-06-24 1993-02-16 Kabushiki Kaisha Toshiba Radio telecommunication apparatus
JPH0226137A (ja) * 1988-07-15 1990-01-29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無線呼出受信機
JPH0616601B2 (ja) * 1988-09-07 1994-03-02 三洋電機株式会社 受信電波処理回路のパワーセイブ回路及びそのパワーセイブ方法
US5150361A (en) * 1989-01-23 1992-09-22 Motorola, Inc. Energy saving protocol for a TDM radio
US5086501A (en) * 1989-04-17 1992-02-04 Motorola, Inc. Computing system with selective operating voltage and bus speed
US5032835A (en) * 1989-04-24 1991-07-16 Motorola, Inc. Out of range indication for radio receivers
US5089813A (en) * 1989-07-19 1992-02-18 Motorola, Inc. Method of super battery saving in a selective call receiver
ES2111539T3 (es) * 1989-08-21 1998-03-16 Motorola Inc Sistema de señalizacion de llamada selectiva.
US5450071A (en) * 1989-08-21 1995-09-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dressing a single message to multiple addresses
US5155479A (en) * 1989-10-17 1992-10-13 Seiko Corp. Radio receiver with adaptive on-off control
AU6605590A (en) * 1989-10-17 1991-05-16 At & E Corporation. Radio receiver with adaptive on-off control
US5257019A (en) * 1989-11-03 1993-10-26 Motorola, Inc. Satellite selective call signalling system
JP3190030B2 (ja) * 1990-03-19 2001-07-16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移動通信における間欠受信方法
SG43201A1 (en) * 1991-02-14 1997-10-17 Nec Corp Radio pager with power-backup memory for storing uncompleted messages
JP2712868B2 (ja) * 1991-03-30 1998-02-16 日本電気株式会社 選択呼出受信機
US5555183A (en) * 1991-12-02 1996-09-10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ynchronizing to a synchronous selective call signal
US5325088A (en) * 1991-12-02 1994-06-28 Motorola, Inc. Synchronous selective signalling system
US5384564A (en) * 1992-01-23 1995-01-24 Keith H. Wycoff Battery saving arrangement for selectively addressable, portable receivers
FR2690029B1 (fr) * 1992-04-08 1995-03-31 France Telecom Procédé de transmission de données numériques de radiomessagerie, et récepteur de radiomessagerie correspondant.
US5493282A (en) * 1992-05-29 1996-02-20 Motorola, Inc. Addressing method for conserving power in distributed information receivers
WO1993024909A1 (en) * 1992-05-29 1993-12-09 Motorola, Inc. Data communication receiver having variable length message carry-on
US5311516A (en) * 1992-05-29 1994-05-10 Motorola, Inc. Paging system using message fragmentation to redistribute traffic
US5635914A (en) * 1992-05-29 1997-06-03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ynamic group calling in a selective call system
WO1994017607A1 (en) * 1993-01-28 1994-08-04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Wireless call system
US5835023A (en) * 1993-02-25 1998-11-10 Ntt Mobile Communications Network Inc. Selective radio paging system and pager
US5423057A (en) * 1993-10-01 1995-06-06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sharing signaling formats in a communication channel
US5440299A (en) * 1993-10-01 1995-08-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qualizing battery life in a selective call communication system
JP2643802B2 (ja) * 1993-10-15 1997-08-20 日本電気株式会社 選択呼出受信機
FR2711865B1 (fr) * 1993-10-26 1995-12-01 Alcatel Mobile Comm France Procédés de signalisation et de commande utilisés dans un système de radiocommunications, station de base et station mobile pour la mise en Óoeuvre de ces procédés.
US5481254A (en) * 1993-11-02 1996-01-02 Seiko Communications Holding N.V. Group message delivery in a time-division multiplexed paging system
US5475374A (en) * 1994-01-31 1995-12-12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energy conservation in a communication system
JP2658891B2 (ja) 1994-07-15 1997-09-30 日本電気株式会社 選択呼出システム及びその受信方法
US5649315A (en) * 1995-09-21 1997-07-15 Motorola, Inc. Method for selecting between first, second and third battery saving periods in a selective call
US5550829A (en) * 1995-10-24 1996-08-27 Motorola, Inc. Method for reallocation frame assignments of receives in a communication system
US5930706A (en) * 1995-11-29 1999-07-27 Ericsson Inc. Detecting messages transmitted over a communications channel such as a paging channel
US7590083B2 (en) 1995-12-07 2009-09-15 Transcore Link Logistics Corp. Wireless packet data distributed communications system
JP2982948B2 (ja) * 1995-12-27 1999-11-29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無線受信装置
JP2885722B2 (ja) * 1996-09-17 1999-04-26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KR19980068328A (ko) * 1997-02-18 1998-10-15 김광호 페이저에서 진동 방법
JPH10304031A (ja) * 1997-04-25 1998-11-13 Nec Corp 携帯型無線通信装置
US6950684B2 (en) 2002-05-01 2005-09-27 Interdigital Technolog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optimizing power resources in wireless devices
KR100966867B1 (ko) 2002-05-06 2010-06-29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배터리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한 동기화 방법
US20060141961A1 (en) * 2004-12-23 2006-06-29 Schentrup Philip A Method and system for selective receiver shutdown
JP4726122B2 (ja) * 2005-09-20 2011-07-20 能美防災株式会社 伝送システムにおける端末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7246A (en) * 1979-11-19 1983-11-22 General Electric Company Paging receiver having a serial code plug
JPS56136050A (en) * 1980-03-28 1981-10-23 Nec Corp Individual selective call reception system
JPS5792932A (en) * 1980-12-01 1982-06-09 Nec Corp Selective calling receiver with disp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1196964A (en) 1985-11-19
JPH0412052B2 (ko) 1992-03-03
SG20388G (en) 1988-07-08
AU555154B2 (en) 1986-09-11
HK52488A (en) 1988-07-22
JPS58124338A (ja) 1983-07-23
KR840003560A (ko) 1984-09-08
GB2114343A (en) 1983-08-17
AU1060583A (en) 1983-07-28
GB8301533D0 (en) 1983-02-23
US4668949A (en) 1987-05-26
GB2114343B (en) 1985-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455B1 (ko) 페이저 수신기
EP0124788B1 (en) Radio paging system and receiver therefor
EP0095750B1 (en) Battery saving circuit for a portable radio receiver
EP0511008B1 (e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5230084A (en) Selective call receiver having extended battery saving capability
CA2083946C (en) Battery sav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selective receiver power switching
US4403212A (en) Digital radio paging communication system
JPS6013588B2 (ja) 無線個別呼出受信機
KR870011764A (ko) 호출 처리전에 전력 절약 기능을 디스에이블시키는 무선통신 시스템
JPS56136050A (en) Individual selective call reception system
KR900701133A (ko) 가변 전송기 출력 전력을 조정하는 인식 백 페이저
JPH01302935A (ja) 通信用受信機に送信された情報をデコードする装置及び該装置の同期方法
US4720710A (en) Paging receiver having a plurality of test modes
JPH0766766A (ja) 移動無線方式および移動受信機
EP0090042B1 (en) Decoder for transmitted message deactivation code
US6216385B1 (en) Radio calling receiver with means to control reception based on service area, time zone, and/or electric field strength
BG100400A (bg) Метод за увеличаване автономността на приемник на радиоповикване и съответен приемник
EP0413963B1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for rapidly knowing whether the apparatus is within or out of a service area
CA2000683C (en) Power conserv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 portion of a predetermined signal
KR950013063A (ko) 수신기용 전원 제어부
JPS593049B2 (ja) センタクヨビダシツウシンホウシキ
JP2581719B2 (ja) 選択呼出通信方式
JPH0773380B2 (ja) 選択呼出通信方式
JPH0420292B2 (ko)
JP2538961B2 (ja) 選択呼出通信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R17-X000 Change to representative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7-oth-X000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3-3-R10-R11-asn-PN2301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T11-X000 Administrative time limit extens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U-3-3-T10-T11-oth-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3

PN2301 Change of applicant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3-asn-PN2301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1-asn-PN230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4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0624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20010926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20010926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