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50006675A - 독립차륜 현가장치 - Google Patents

독립차륜 현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6675A
KR850006675A KR1019840007759A KR840007759A KR850006675A KR 850006675 A KR850006675 A KR 850006675A KR 1019840007759 A KR1019840007759 A KR 1019840007759A KR 840007759 A KR840007759 A KR 840007759A KR 850006675 A KR850006675 A KR 8500066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power transmission
swing
vehicle
support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400077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2077B1 (ko
Inventor
크루더 베르너
Original Assignee
프랭크에이 모어델
쥐케이엔 오토모티브 콤코넌쯔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프랭크에이 모어델, 쥐케이엔 오토모티브 콤코넌쯔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프랭크에이 모어델
Publication of KR8500066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66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90002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20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 B60G3/2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ll arms being rigid a rigid arm being formed by the liv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17/00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 B60K17/04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 B60K17/16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 B60K17/165Arrangement or mounting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gearing of differential gearing provided between independent half ax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Motor Power Transmission Devices (AREA)
  • Arrangement And Driving Of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독립차륜 현가장치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제1부품이 구동차륜에 동력전달기구를 연결하는 구동샤프트의 내부 및 외부단부에서 정속도 유니버설 조인트를 구비하며, 제2부품이 차량 프레임에 각각의 차륜을 연결하는 차량운동 저지수단을 구비하는 적어도 2개의 현가 부품을 구비하는 독립차륜현가장치의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마련된 독립차륜 현가장치의 평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선 5-5를 취한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보디 10 : 샤시
12 : 차량프레임 24 : 차동장치
44 : 드롭샤프트 50 : 차륜조립체
62 : 구동샤프트 72 : 비틀림봉

Claims (19)

  1. 차륜 및 차량샤시(10)를 지지하기 위한 차량 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의 차륜조립체(50)에 대한 독립차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독립차륜현가장치가 횡방향 지지축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차량 지지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수단; 상기 회전을 상기 횡방향 지지축에 관하여 함께 회전할 수 있도록 허용하는 동시에 구동축 오프세트에 의하여 상기 횡방향 지지축에 대체로 평행이며 후방향으로 간격을 이루면서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구동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에 설치되며 상기 횡방향 지지축에 대체로 평행인 동력전달 축을 형성하는 동력전달수단; 상기 동력 전달축으로부터 측방향 오프세트에서 그에 평행인 스윙축(53)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축을 따라 상기 동력전달수단의 측면에 설치된 내부 정속도 조인트(60); 상기 차륜 조륜 조립체(58)에 설치된 외부 유니버설 조인트(64); 상기 차륜(50)을 상기 스윙축(53)에 관하여 스윙길이로 스윙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그 사이에 구동토오크 및 축방향 트러스트 부하를 모두 지지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상기 스윙길이를 형성하도록 상기 내부 및 외부조인트(60,64)를 연결하는 구동샤프트 수단(62); 설치단부, 회전가능 단부 및 상기 스윙축(53)에 대체로 동축인 그 사이의 비틀림 길이를 갖는 회전가능 비틀림 지지수단 및 상기 비틀림 저지 수단의 상기 회전 가능단부에 연결된 비틀림단부와 상기 아암수단이 상기 스윙축(53)에 관한 상기 차륜(50)의 상기 스윙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비틀림저지수단과 함께 통합하도록 상기 차륜(50)에 연결된 차륜 단부를 가지면서 상기 횡방향 지지 축과 상기 구동축 사이에 개삽된 아암수단을 구비하며; 상기 설치단부가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의 전방향의 상기 차량지지 수단에 고착되며, 상기 비틀림 저지수단이 상기 회전가능하단부에서 상기 스윙축(53)에 관한 비틀림 부하에 응답하여 상기 스윙축(53)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횡방향 저지수단에 의하여 상기 회전가능단부에 근접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그로인해 상기 아암수단과 상기 회전가능 비틀림 저지수단 사이의 통합에 의하여 저지됨에 따라서 상기 스윙축(53)에 관한 상기 차륜(50)의 상기 스윙을 부합시키면서 상기 횡방향 지지축에 관한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의 상기 회전을 부합시키기 위하여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수단이 프롭샤프트(44)에 유니버설 조인트에 의하여 연결되는 차동장치 기어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니 버설 조인트가 상기 횡방향지지축에 근접한 상기 동력 전달축을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접속평판 수단이 상기 차동장치 기어수단을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에 접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이 상기 비틀림저지 수단의 외부로 횡방향으로 배치되는 동시에 상기 차량 지지수단내의 베어링 수단에 의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제1 및 제2외부단부를 갖는 관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진동 완충 수단이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에 관한 상기 비틀림 지지수단의 상기 회전 가능한 단부를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탄성 접속평판 수단이 상기 동력전달 수단을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에 탄성적으로 접속하며 탄성지지 수단이 상기 비틀림 저지수단을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에 탄성적으로 접속하여, 상기 탄성접속수단, 상기 탄성 지지수단 및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이 상기 동력 전달 수단에 관련된 진동 및 소음을 억제하기 위하여 통합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축으로부터의 상기 내부정속도 조인트(60)의 상기 측면 오프세트를 최소화하여 그로인해 상기 차륜(50)이 상기 스윙축(53)에 관하여 스윙할때 상기 차륜 캠버내의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스윙길이가 극대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에 대한 상기 동력전달 수단의 상기 설치가 상기 차량 지지수단과 상기 주행표면(56) 사이의 샤시 유격의 변화와 함께 상기 동력 전달수단과 주행표면(56) 사이의 노면유격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축(53)에 관한 상기 차륜(50)의 상기 스윙을 저지하는 동시에 상기 횡방향축에 관한 상기 동력전달 수단의 상기 회전에 대립하도록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과 통합하기 위하여 상기 비틀림 저지수단의 상기 비틀림 길이의 충분한 부분과 계합하여, 그로인해 상기 동력전력전달 수단과 상기 주행표면(56) 사이의 노면유격이 상기 스윙축(53)에 관한 상기 차륜(50) 또는 상기 주행표면(56)에 관한 상기 차량 지지수단의 부분의 스윙에도 불구하고 대체로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11. 차량샤시(10)를 지지하기 위한 차량지지수단을 구비하는 차량의 차륜조립체에 대한 독립차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독립차륜 현가장치가 횡방향 지지축에 관한 회전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 지지수단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횡방향 지지수단, 상기 횡방향 지지방향 지지축에 대체로 횡단하여 동력전달축을 형성하는 동력전달 수단, 상기 동력전달축으로 부터의 측면오프세트에 그에 대체로 평행인 스윙축(53)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구동축을 따라 상기 동력전달 수단의 측면에 설치되는 내부유니버설 조인트(60), 상기 차륜 조립체에 설치되는 외부 유니 버설 조인트(64), 상기 차륜 조립체가 상기 스윙축(53)에 관하여 상기 스윙길이에서 스윙 할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구동토오크와 축방향 트러스트 부하를 모두 지지하기 위하여 그 사이에 스윙길이를 결정하도록 상기 내부 및 외부 유니버설 조인트(60,64)를 연결하는 구동샤프트 수단(62) 및 상기 스윙축(53)과 상기 횡방향지지축 모두에 대하여 상기 차량지지 수단에 관한 상기 차륜 조립체의 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차륜조립체와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에 연결되는 차륜 운동저지수단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동력 전달 수단이 상기 구동축 오프세트에 의한 상기 횡방향 지지축에 대체로 평행이며 후방향으로 격리되어 횡방향으로 신장하는 구동축을 형성하는 동시에 상기 회전이 상기 횡방향축(19)에 관하여 그와 함께 가능하도록 상기 횡방향지지수단에 설치되며, 그로인해 상기 내부 및 외부 유니버설 조인트(60,64)가 상기 차륜운동 저지수단이 상기 스윙축(53) 및 상기 횡방향 저지축의 하나에 관하여 이동함에 따라서 상기 구동축에 대해 상기 구동전달 수단의 구동축 회전을 가능케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및 외부유니버설 조인트(60,64) 중의 한 조인트가 정속도 유니버설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조인트가 고정 정속도 조인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운동 저지수단이 상기 스윙축(53)에 관한 상기 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상기 횡방향지지 수단과 상기 차량 지지수단에 고착된 비틀림 저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륜 운동 저지수단이 상기 스윙축(53)과 상기 횡방향 지지축의 한축에 관한 운동을 저지하기 위하여 한아암 수단 및 비틀림 저지수단중의 한 저지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16. 차량 샤시는(10)를 저지하기 위한 차량지지수단을 갖는 차량의 차륜조립체에 대한 독립차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독립차륜현가장치가 횡방향축(19)에 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차량지지 수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횡방향 지지수단, 상기 출력축을 따르는 측면 트러스트 부하를 지지하기 위하여 채택된 내부 정속도 유니버설 조인트(60) 및 출력축을 갖는 동시에 장기 횡방향 지지수단에 연결되는 동력전달 수단, 상기 횡방향축(19) 및 상기 출력축에 대체로 수직인 상기 내부 정속도 유니버설 조인트(60)를 통하여 스윙축(53)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에 의하여 지지되는 피벗수단 및 상기 동력전달 수단이 상기 출력축, 상기 횡방향축(19) 및 상기 스윙축(53) 중의 적어도 두축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차륜 조립체와 상기 피벗 수단을 연결하는 아암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 수단에 상기 출력축, 상기 횡방향축 및 상기 스윙축(53)의 나머지에 관하여 회전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이 통상 위치와 완전히 부하된 위치사이에서 변위를 갖도록 채택되며 상기 동력 전달수단이 상기 변위의 소정 부분을 이동하도록 채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19. 엔진으로부터의 토오크를 차동장치를 통하여 주행표면(56)과 접촉하는 차량 구동차륜(50)으로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 기구를 갖는 차량에 대한 독립차륜 현가장치에 있어서, 상기 독립차륜현가장치가 상기 차량에 관한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의 이동을 허용하기 위하여 상기 차량에 설치되는 동시에 제1회전축을 갖는 횡방향 지지수단, 통합을 위하여 상기 제1회전축에 관한 소정의 위치에 배치된 제2회전축 및 상기차량이 상기 주행표면 (56)에 관하여 변위될때 상기 차동장치(24)가 상기 제1회전축 및 상기 제2회전축에 대하여 회전하도록 상기 차동장치(24)를 상기 제2회전축에 관하여 상기 횡방향 지지수단에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독립차륜 현가장치.
    ※ 참고사항: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40007759A 1984-03-05 1984-12-07 독립차륜 현가장치 KR890002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586,012 1984-03-05
US06/586,012 US4671370A (en) 1984-03-05 1984-03-05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system using thrust bearing constant velocity universal drive joints, bending and torsional motion resistance suspension members and a transversely pivotable differential
US586012 1984-03-0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6675A true KR850006675A (ko) 1985-10-16
KR890002077B1 KR890002077B1 (ko) 1989-06-16

Family

ID=243439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40007759A KR890002077B1 (ko) 1984-03-05 1984-12-07 독립차륜 현가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4671370A (ko)
JP (1) JPS60189615A (ko)
KR (1) KR890002077B1 (ko)
AU (1) AU569557B2 (ko)
BR (1) BR8406301A (ko)
CA (1) CA1244491A (ko)
DE (1) DE3507427A1 (ko)
ES (1) ES8609051A1 (ko)
FR (1) FR2560558B1 (ko)
GB (1) GB2155418B (ko)
IT (1) IT118377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763925B2 (ja) * 2001-06-29 2011-08-31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り型車両
US7055895B1 (en) * 2004-06-04 2006-06-06 John King Protective plate assembly for land vehicle drive line and wheel differential
US8240421B2 (en) * 2010-09-20 2012-08-14 Chassis Concept, Inc. Adapter for a corvette rear differential
US9469342B2 (en) * 2014-08-29 2016-10-18 Deere & Company Axle and transmission arrangement for an agricultural vehicle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14878C (de) * 1933-02-19 1935-06-20 H C F Porsche G M B H Dr Ing Abfederung der auf schwingbaren Halbachsen gelagerten Raed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DE602797C (de) * 1933-02-28 1934-09-17 H C F Porsche G M B H Dr Ing Abfederung der auf schwingbaren Halbachsen gelagerten Raed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US2140876A (en) * 1936-03-26 1938-12-20 Klavik Milos Arrangement and mounting of the axle gear in motor vehicles
US2199517A (en) * 1938-03-07 1940-05-07 Packard Motor Car Co Motor vehicle
GB563128A (en) * 1942-10-23 1944-08-01 Leslie Mark Ballamy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suspension systems for road vehicles and the like
US2911052A (en) * 1956-05-18 1959-11-03 Gen Motors Corp Independent rear suspension for vehicles
US2968357A (en) * 1957-11-29 1961-01-17 Gen Motors Corp Anti-squat swing axle suspension
DE1195179B (de) * 1962-09-27 1965-06-16 Daimler Benz Ag Aufhaengung von Fahrzeugraedern mittels Pendelhalbachsen
GB987630A (en) * 1963-04-11 1965-03-31 Ford Motor Co Motor vehicle independent rear suspension
DE1430938C3 (de) * 1964-10-27 1972-11-16 Daimler Benz Ag Radaufhaengung von Kraftfahrzeugen
DE1780255A1 (de) * 1968-08-21 1971-12-30 Daimler Benz Ag Aufhaengung eines Achsaggregates in Kraftfahrzeugen mittels Tragstueckes
DE1920705C3 (de) * 1969-04-23 1979-03-22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Einzelradaufhängung für die Hinterräder von Kraftfahrzeugen
US4081049A (en) * 1976-05-04 1978-03-28 Fmc Corporation Steerable front wheel drive unit
DE2903231A1 (de) * 1979-01-29 1980-07-31 Uni Cardan Ag Lagerungsanordnung einer ueber ein gleichlaufdrehgelenk antreibbaren radnabe
US4415178A (en) * 1980-12-26 1983-11-15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DE8111663U1 (de) * 1981-04-16 1983-01-05 "Roland" Fahrzeugplanung und -Vertrieb GmbH, 8035 Gauting Radaufhängung für ein Kraftfahrzeug
DE3127299A1 (de) * 1981-07-10 1983-02-03 Blaupunkt-Werke Gmbh, 3200 Hildesheim Farbfernsehmoni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8609051A1 (es) 1986-07-16
ES540955A0 (es) 1986-07-16
IT8567226A1 (it) 1986-09-05
JPH032093B2 (ko) 1991-01-14
IT8567226A0 (it) 1985-03-05
IT1183774B (it) 1987-10-22
CA1244491A (en) 1988-11-08
JPS60189615A (ja) 1985-09-27
GB2155418A (en) 1985-09-25
KR890002077B1 (ko) 1989-06-16
FR2560558B1 (fr) 1988-06-24
FR2560558A1 (fr) 1985-09-06
BR8406301A (pt) 1985-10-08
AU569557B2 (en) 1988-02-04
US4671370A (en) 1987-06-09
AU3545084A (en) 1985-09-12
GB8505302D0 (en) 1985-04-03
GB2155418B (en) 1987-12-02
DE3507427A1 (de) 1985-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6676A (ko) 독립차륜 현가장치
KR890004514B1 (ko) 독립차륜 현가장치
US6257604B1 (en) Assembly containing a wheel and a suspension integrated with the wheel
US4705128A (e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system having a differential pivotable about two axes
US4703824A (en) Three-wheeled vehicle
US2755875A (en) Independent wheel suspension for motor vehicles
US3630303A (en) Front suspension for a front drive vehicle
KR900002128B1 (ko) 독립차륜현가장치
JPS6357307A (ja) ダブルリンク式サスペンシヨン装置
KR850006530A (ko) 차량의 바퀴 서스펜숀 장치
KR970015072A (ko) 전륜 현가 장치
KR870000204A (ko) 독립차륜 현가(suspension)장치에 있어서 이상조향(bump streering)제거를 위한 조향장치(steering)
JPH09249013A (ja) フロントサスペンション装置
US2968358A (en) Swing axle suspension for vehicle driving wheels
KR850006675A (ko) 독립차륜 현가장치
US3922024A (en) Bogie suspension system
EP0979190B1 (fr) Bogie moteur de vehicule de traction
US3451497A (en) Independent rear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with antisquat charcteristics
JPS6244879Y2 (ko)
JPH07100448B2 (ja) 空気圧タイヤを有する舵取り車輪を備えた速い乗り物のための自己案内装置
JPH0924879A (ja) 自動二輪車における車高調整装置
JPS5930594B2 (ja) 自動二輪車の駆動ユニツト懸架装置
KR100326377B1 (ko) 자동차용 세미 트레일링 아암형 현가 장치
KR910006495Y1 (ko) 자동차의 후륜현가장치
KR20240063433A (ko) 서스펜션 액슬시스템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41207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612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41207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81214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90516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90907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90929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909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