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50001726B1 - 런너(runner) 조쇄기(粗碎機) - Google Patents

런너(runner) 조쇄기(粗碎機)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726B1
KR850001726B1 KR1019810003517A KR810003517A KR850001726B1 KR 850001726 B1 KR850001726 B1 KR 850001726B1 KR 1019810003517 A KR1019810003517 A KR 1019810003517A KR 810003517 A KR810003517 A KR 810003517A KR 850001726 B1 KR850001726 B1 KR 850001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crusher
rotational
spindle
rotational spe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1000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7255A (ko
Inventor
히데야스 마도바
마텍구스 가부시끼 가이샤
Original Assignee
마텍구스 가부시끼 가이샤
히데야스 마도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텍구스 가부시끼 가이샤, 히데야스 마도바 filed Critical 마텍구스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300072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72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726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182Disc-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4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 B02C18/148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within horizontal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disintegrating plastics, e.g. cinematographic fil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18Knives; Mountings thereof
    • B02C18/20Sickle-shaped kn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B02C18/16Details
    • B02C18/24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68Crushing, i.e. disintegrating into small part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rushing And Pulverization Process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런너(runner) 조쇄기(組碎機)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런너 조쇄기에서 안내커버를 제거한 평면도.
제2도는 동 정면도.
제3도는 동 좌측면도.
제4도는 회전도의 확대 측면도.
제5도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의 확대 측면도.
제6도는 제3도의 실시예에 따른 회전도의 확대 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회전주축 2 : 회전도(回轉刀)
3 : 고정도(固定刀) 4 : 기대(基臺)
6 : 모우터 8 : 감속기(減速機)
16,17 : 피로블록(pyroblock) 20 : 스페이서(spacer)
32 : 인입경사도면(傾斜刀面) 35 : 절단요부(切斷凹部)
38 : 압입경사도면
본 발명은 런너 조쇄기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사출성형기 등에서 플라스틱 제품을 제조할 때 반드시 런너가 형성된다.
이 런너를 회수하여 다시 분쇄하여서 재사용할 수가 있는 것이다.
종래에는 런너를 직접 파쇄기에 투입하여 일단계의 분쇄로서 입상(粒狀)의 재생원료를 성형하였던 것이다. 그러나 런너는 제품의 금형(金型)내에서의 배치에 따라 여러가지 형상으로 되어 있으며 어느 것이나 아주 긴 형상으로서 숭고(崇高)한 것이다.
파쇄기에는 런너를 직접 투입하여야 하므로 투입구는 폭이 넓어야 되며, 회전 주축은 횡으로 길게된 것을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파쇄기는 런너를 미세하게 분쇄하여야 하므로 회전축은 고속회전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회전 주축에는 회전도가 부착되어 있으며 이 회전 주축이 원통형상의 케이싱(casing) 안에서 회전한다. 회전도가 간격없이 주축상에 부착되었으므로 케이싱과의 간격이 협소하다. 런너는 회전도의 외주면과 케이싱내면 사이에서 전단력(剪斷力)에 의하여 분쇄되고 다음에 협소한 간격내를 전동(轉動)하는 동안 미소한 직경의 입자가 된다. 결국 회전도의 외주면에 의하여 런너가 눌러져서 찌그러지고 찢어지게 되는 것이다. 미소한 직경의 입자로 하기 위하여 회전도를 고속회전하여야 하므로 더욱 큰 마력(馬力)이 필요하다. 종래의 런너 파쇄기는 회전수가 매분 1000회 이상이므로, 구동력은 5~10마력의 것이 많았다.
이와 같은 런너 파쇄기는 큰 구동력이 필요하며, 회전수도 많으므로 다대(多大)한 소음을 발생하였다. 소음은 공장내의 노동환경을 약화하는 것이므로 바람직한 것이 못된다.
더구나 야간에 플라스틱 성형기를 자동 운전하고 있을 경우 런너는 파쇄기에 순서적으로 공급되게 되지만 이때 큰 소음을 발생하게 되므로 작업에 지장을 준다. 따라서 야간의 소음은 엄격히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결점을 시정하려는 것으로서 런너를 파쇄기에 투입하기전에 미리 이것을 거칠게 절단하는 런너 조쇄기를 처음으로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조쇄기는 회전함과 동시에 접촉물체가 내측으로 이동되게 인입(引入)과 압입(押入)의 경사도면을 가진 회전도와 고정도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하였으며 이 회전도를 저속 회전하여도 런너를 다수 절단될 수 있게 구성 되었다.
이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구성, 작용 및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런너 조쇄기는 수평으로 축설한 회전주축(1)과 이 회전주축(1)의 상호 간격을 두고 고착한 적당한 수의 회전도(2), 회전도(2)의 측면에 근접해서 고정된 같은 수의 고정도(3) 및 회전주축(1)을 저속회전시키는 구동기구로 구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 구동기구는 모우터, 감속기 및 체인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수평의 기대 (基臺) (4)에는 보울트(5)에 의하여 모우터(6)가 부착되어 있다. 모우터(6)의 전면에는 나사(7)에 의하여 감속기(8)가 고착되어 있다.
나사(9)에 의하여 기대(4)에 부착되어 있는 고정금구(固定金具) (10)는“ㄴ”자형의 수직편에서 나사(11)에 의하여 감속기(8)의 전면을 지지한다. 감속기의 축력축(12)에는 제1스프로킷(sprocket) (13)이 고착되어있다.
체인(14)은 제1스프로킷(13)과 회전주축(1)의 일단에 고착된 제2스프로킷(15)을 연결한다. 회전주축(1)은 좌우를 피로블록(16) (17)에 따라 회전 자재되게 지지되어 있다. 피로블록(16) (17)은 보울트(18) (19)에 의하여 기대(4)에 고착되어 있다.
회전도(2)의 상호간에는 회전주축을 통해서 원통형의 스페이서(20)가 개재(介在) 되어있다. 회전도(2)는 키이(key)에 의하여 회전주축(1)과 동시에 회전이 정지되는 것이다. 회전주축(1)을 통해서 회전도(2), …, 스페이서(20),…은 양단을 체결너트(22) (23)에 의해서 압입되어 있다.
정지나사(24)에 따라 기대(4)에 부착된 고정금구(25)는 정지나사(26)에 의하여 고정도(3)를 기대(4)에 고정한다. 본 예에서는 고정도(3)는 단순한 직선도(直線刀)로 되어 있다. 회전도(2)와 고정도(3)는 측면에서 서로 접할 수 있게 설치되어 있으며 런너는 그 접촉부에서 절단된다. 어느 칼(刀)에는 예리한 도면(刀面)을 부쳐 둘 필요가 있다.
본 예에서는 회전도(2)에 예각의 경사도면(27)이 설치되어 있다. 고정도(3)쪽에 도면(刀面)을 부착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회전주축(1)은 전후 좌우에서 포위되게 상방에는 안내커버(28) (29)를 설치한다.
제4도의 회전도(2)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본 예에서 회전도(2)는 3회 대칭성이 있으며, 절단부를 3개 가지고 있다. 중심부에는 주축을 통하여 구멍(30)과 키이홈(31)이 천공되어 있다. 절단부의 형상은 인입 경사도면(32)과 이것에 대하여 예각이 없는 외향 경사면(33)을 일체로 원판에서 동시에 절단성형 되었다.
인입 경사도면(32)은 선단의 괘지돌부(34)로부터 내오(內奧)의 절단요부(35)까지는 이 면에서 대상물체(對象物體)를 회전함과 동시에 내측으로 인입할 수 있게 경사지게 구성 하였다. 결국 반경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회전방향각 θ가 형성되어 있어 원심력내에서 견디어내며, 대상물을 인입하는 경사도면으로 되어 있다.
평균적으로 인입각 θ는 본 예에서 45°이다. 횡으로 긴 런너는 인입 경사도면(32)에 따라 내측으로 인입되어 절단요부(35)와 고정도(3)사이에 협지되어 절단된다. 절단요부(35)에 이어진 외향 경사면(33), 돌부(36) 및 외주면(37)은 런너의 절단에는 기여하지 않는다.
회전도는 각각 위상(位相)이 다르게 회전축(1)에 부착되어 있다. 예컨대 본 예에서와 같이 5장의 회전도를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24°씩 위상을 엇갈리게 하는 것이 좋다. 일반적으로 회전도가 m회 대칭성이 있고, n장 사용되고 있을 경우에 위상의 엇갈림 φ는
Figure kpo00001
로 하는 것이 좋다.
다음에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런너 조쇄기는 플라스틱 사출성형기의 근방에 장치한다.
사출성형기로부터 이것을 매 사이클(cycle)마다 런너가 배출되므로 이것을 컨베이어등에 운반되어 런너 조쇄기의 안내커버내(28) (29)에 투입할 수 있게 배치한다. 런너 조쇄기의 회전주축(1)은 저속 회전된다. 매분 회전수는 1~30회전이 적당하다.
본 예에서는 매분 30회전으로 되어 있다. 감속기구와 원동기구를 포함해서 구동 기구의 구성을 임의로 하지만, 본 예에서는 감속기(8)가 약 500분의 1로 감속하며, 스프로킷(13), (15)도 약간 감속하고 있다.
회전도(2)는 이예에서 30mm~40mm의 간격을 두고 회전주축(1)에 부착되어 있고 또 그 위상은 24°씩 엇갈리어 있다.
런너는 금형내에서의 제조할 물품의 배치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하고 있지만, 대략 횡장(橫長)의 주요부와 지부분(枝部分)으로 형성되어 있다. 안내커버(28) (29)를 미끄러 떨어진 런너는 횡장 주요부가 회전주축(1)과 대체로 평행될 수 있게 회전도(2)상에 놓인다. 회전도(2)가 천천히 회전하면 런너(R)는 고정도(3)와 회전도(2)의 인입 경사면(32)에 협지되어 내측으로 인입되어 진다.
절단요부(35)와 고정도(3)로 협지되어서 런너(R)는 절단된다. 조금씩 엇갈리어서 각 회전도(2)는 런너(R)를 절단하여 가며, 동시에 절단편은 하방으로 낙하한다. 회전주축(1)의 밑에는 미리 절단편을 회수하는 용기를 두어서 일정양 저장하면 공지의 파쇄기(도면에 표시 없음)에 투입한다. 다시 컨베이어 등을 사용해서 점차 파쇄기에 도입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종래의 런너는 직접 파쇄기에 투입되어서 절단, 분쇄되어 진다. 런너는 진동하는 것이므로 투입구가 넓고, 회전주축도 길고, 구동력도 큰 파쇄기를 사용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의 런너조쇄기를 파쇄기 앞에 두면 런너는 수개의 절단편으로 되어서 파쇄기에 투입하게되는 것이다. 적은 절단편을 파쇄하게되므로 보다 적은 마력의 파쇄기로도 족하다.
예를들면 지금까지는 5마력의 파쇄기를 사용하였으나, 파쇄기 앞에 런너 조쇄기를 설치하므로서 그 마력의 파쇄기로도 충분하다, 따라서 전력을 대폭 줄일 수 있으므로 에너지의 절약 효과가 크다. 또 파쇄기의 소음 효과와 작업환경의 향상 및 공해의 방지등에 유익하다.
(2) 런너 조쇄기 자체의 소비전력은 극히 적다. 예를들면 40~100W 정도이다. 회전속도가 극히 늦어지므로 회전도가 런너로부터 받는 전단 저항력이 적다. 더구나 가벼운 부하가 걸리므로 2개 이상의 런너를 동시에 절단하지 않는다.
또 회전도의 위상을 엇갈리게 하였으므로 2곳 이상을 동시에 절단치 않는다. 한편 부하 변동이 적고, 감속비가 극히 크므로 모우터는 적은 출력의 것으로도 좋다.
(3) 회전이 늦어지고 완속(緩速)으로 런너를 절단하므로 소음을 발생치 않는다.
(4) 회전도의 외주에서 절단하는 것이 아니고 내측의 절단요부(35)에서 절단하므로 잔사(殘渣)없이 확실히 런너가 절단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극히 유용하다.또 런너는 회전도의 내측 부분에서 고정도와 협동(協動)해서 절단되므로 고정도(3)쪽에 압입 경사도면을 형성하여도 좋다.
제5도에는 회전도(2)와 고정도(3)의 약도(略圖)를 표시한 것으로서 고정도(2)에는 압입 경사도면(38)이 설치되어 있으며, 회전도(2)는 단지 평탄도면(平坦刀面)(39)으로 되어 있다.
제5도의 예에서는 회전도(2)에 인입 경사면(32)을, 고정도(3)에 압입 경사면(38)을 각각 설치하였다.
말하자면 대상물을 회전도(2)와 고정도(3)의 사이에 협지될 때 회전도의 회전과 동시에 대상물이 회전도의 내측 부위에 이동될 수 있게된 경사도면을 회전도(2)와 고정도(3)의 일측 혹은 양측에 설치하면 좋다. 회전 주축의 회전속도는 사출성형기의 사이클에 맞게 적당히 정하면 좋다.
그러나 매분 1회전 보다 적으면 2개 이상의 런너가 동시에 조쇄기에서 절단될 염려가 있다. 반대로 매분 30회전 보다 많은 것은 필요없다. 따라서 매분 1∼30회전이 적당하다.

Claims (4)

  1. 구동기구에 따라 매분 1회전~30회전 하는 회전주축(1)과 회전주축(1)에 간격을 두고 부착된 적당한 수의 회전도(2) 및 각 회전도(2)의 측면에 근접해서 고정된 고정도(3)에 의하여 형성되었고, 회전도(2)와 고정도(3)에 협지된 대상물을 내측부위에 이동하기 위한 경사도면을 회전도(2)와 고정도(3)의 일측 혹은 양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런너 조쇄기.
  2. 회전도(2)에 인입 경사도면(32)을 설치한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런너 조쇄기.
  3. 고정도(3)에 압입 경사도면(38)을 설치한 특허청구 범위 제(1)항 혹은 제(2)항에 기재한 런너 조쇄기.
  4. 회전도(2) m회 대칭성을 가지고, n장 사용될 경우, 회전도(2)의 상호 위상을 260°/mn씩 엇갈리게 회전주축(1)에 부착된 특허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한 런너 조쇄기.
KR1019810003517A 1981-06-30 1981-09-18 런너(runner) 조쇄기(粗碎機) Expired KR850001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101725 1981-06-30
JP56101725A JPS6031543B2 (ja) 1981-06-30 1981-06-30 ランナ−粗砕機
JP101725 1988-04-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7255A KR830007255A (ko) 1983-10-19
KR850001726B1 true KR850001726B1 (ko) 1985-12-07

Family

ID=143082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10003517A Expired KR850001726B1 (ko) 1981-06-30 1981-09-18 런너(runner) 조쇄기(粗碎機)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600158A (ko)
JP (1) JPS6031543B2 (ko)
KR (1) KR850001726B1 (ko)
CA (1) CA1178937A (ko)
DE (1) DE3221431A1 (ko)
FR (1) FR2508345B1 (ko)
GB (1) GB2101008B (ko)
IT (1) IT121068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60547A (ja) * 1983-02-28 1984-09-11 マテツクス株式会社 ランナ−粗砕機
JPS6450927A (en) * 1987-08-21 1989-02-27 Berun Kk Hand unit of distribution device
US4871118A (en) * 1988-11-02 1989-10-03 Simplicity Engineering, Inc. Machine for densifying plastic containers and the like
US5052630A (en) * 1990-02-27 1991-10-01 Ma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reduce material
JPH04176345A (ja) * 1990-11-09 1992-06-24 Matetsukusu Kk 大型プラスチック製品破砕機
AT401893B (de) * 1991-01-14 1996-12-27 Bacher Helmut Zerkleinerungseinrichtung
WO1997010057A1 (en) * 1995-09-12 1997-03-20 Niro Separation A/S A comminution machine
RU2162410C1 (ru) * 2000-07-13 2001-01-27 Харина Рита Адамовна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работки и переработки материалов
US6520435B1 (en) 2001-01-22 2003-02-18 Harry F. Robinson Plastic bottle shredding assembly
DE10204772A1 (de) * 2002-02-05 2003-08-21 Tbe Habermehl Anlagenbau Gmbh Schneidwerk, insbesondere zur Zerkleinerung von Spänen
US20060049291A1 (en) * 2004-09-08 2006-03-09 Rajewski David E Blade system for a shredding apparatus
WO2007053049A1 (fr) * 2005-11-01 2007-05-10 David Adamovich Terteryan Procede et dispositif de traitement de materiaux
IS2409B (is) * 2005-11-11 2008-10-15 Örn Jensson Guðmundur Búnaður til þess að skera niður
US7832666B2 (en) * 2007-04-26 2010-11-16 Chudy Group, LLC Article-destruction apparatus and method of article destruction
US8128015B2 (en) * 2007-07-11 2012-03-06 Ssi Shredding Systems, Inc. Tool mounting
CN104209171A (zh) * 2014-09-16 2014-12-17 杭州杭重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垃圾破碎机的刀轴
DE202022106494U1 (de) * 2022-11-21 2024-02-28 Vogelsang Gmbh & Co. Kg Zerkleinerungsvorrichtung für größere Feststoff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1075A (en) * 1932-11-21 1935-05-14 Carl A Sundstrand Nut chopper
US2995775A (en) * 1957-12-26 1961-08-15 Richardson Co Injection molding
US3170642A (en) * 1961-09-26 1965-02-23 Economy Baler Co Box crusher and paper shredder
US3229921A (en) * 1962-10-17 1966-01-18 Mitts & Merrill Shredding apparatus
JPS51350B2 (ko) * 1971-11-17 1976-01-07
SE368657B (ko) * 1972-11-16 1974-07-15 Groenbergs Giuteri & Kvarnfab
FR2230320B3 (ko) * 1973-05-23 1976-05-14 Moulinex Sa
CH587082A5 (ko) * 1974-07-05 1977-04-29 Baikoff Eugene M A
JPS50104466A (ko) * 1974-01-24 1975-08-18
GB1506177A (en) * 1974-08-23 1978-04-05 Balfour & Co Ltd Henry Filler collar for breaking device
US4009838A (en) * 1975-08-28 1977-03-01 Philip Tashman Portable solid waste shredder
US4000860A (en) * 1975-11-13 1977-01-04 Leesona Corporation Size reduction apparatus
US4059236A (en) * 1976-12-06 1977-11-22 Garbalizer Corporation Of America Shearing structure in materials reduction machinery
US4099678A (en) * 1977-05-31 1978-07-11 Garbalizer Machinery Corporation Shredder structure and improvements therein
DE2730188A1 (de) * 1977-07-04 1979-01-25 Moco Masch & Apparatebau Zerkleinerungsmaschine
CH640752A5 (de) * 1979-08-27 1984-01-31 Meyer Josef Ag Emmen Walzenbrecher, insbesondere fuer tongestein, und verfahren zu seinem betrieb.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IT1210688B (it) 1989-09-20
GB2101008B (en) 1985-02-27
JPS583654A (ja) 1983-01-10
IT8248558A0 (it) 1982-05-31
US4600158A (en) 1986-07-15
FR2508345A1 (ko) 1982-12-31
JPS6031543B2 (ja) 1985-07-23
FR2508345B1 (ko) 1986-04-18
KR830007255A (ko) 1983-10-19
DE3221431A1 (de) 1983-01-13
CA1178937A (en) 1984-12-04
DE3221431C2 (ko) 1987-10-22
GB2101008A (en) 198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726B1 (ko) 런너(runner) 조쇄기(粗碎機)
US4607800A (en) Solid waste comminution machine
US3960335A (en) Comminution device for scrap plastics
US5680999A (en) Shredder
JP3188909B2 (ja) 2軸破砕機
US5275342A (en) Solid waste crusher and sizing apparatus
US4678126A (en) Shredder
US3527416A (en) Shredding device
KR20040100323A (ko) 폐플라스틱 파쇄기
US3797350A (en) Envelope opening apparatus
JPH07155630A (ja) 二軸破砕機
KR960013467A (ko) 2축 파쇄기
US4690186A (en) Log feed apparatus
CN212352577U (zh) 一种轮胎切块机
FI81279C (fi) Kross.
JP2003135989A (ja) 車両用樹脂製バンパー破砕機
JPH0713441U (ja) 樹脂成形不要品の破砕装置
RU2328372C1 (ru) Измельчитель отходов древесины
ATE35228T1 (de) Zerkleinerungsmaschine, insbesondere zur emulgierung oder feinzerkleinerung von fleischprodukten.
RU2084337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езания древесины
KR960010137Y1 (ko) 생선회 절단기
GB2198681A (en) Paper shredding apparatus
ATE318653T1 (de) Vorrichtung zum zerkleinern von kunststoffgebilden mit geringer materialstärke
CN213054985U (zh) 一种产品切割分离器
KR200409548Y1 (ko) 폐플라스틱 파쇄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11-exm-PA0201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961208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961208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