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50001423B1 - 래디얼타이어 제조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래디얼타이어 제조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423B1
KR850001423B1 KR8202628A KR820002628A KR850001423B1 KR 850001423 B1 KR850001423 B1 KR 850001423B1 KR 8202628 A KR8202628 A KR 8202628A KR 820002628 A KR820002628 A KR 820002628A KR 850001423 B1 KR850001423 B1 KR 8500014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d
carcass
fryer
bead core
dr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82026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0369A (ko
Inventor
노부히꼬 이리에
Original Assignee
야노 다까시
미쯔비시주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노 다까시, 미쯔비시주우 고오교오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야노 다까시
Publication of KR8400003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3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4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42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19Acanthaceae (Acanthus fami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29D30/246Drums for the multiple stage building process, i.e. the building-up of the cylindrical carcass is realised on one drum and the toroidal expansion is realised after transferring on another dru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44Drums for manufacturing substantially cylindrical tyre components with cores or beads, e.g. carcasses
    • B29D30/246Drums for the multiple stage building process, i.e. the building-up of the cylindrical carcass is realised on one drum and the toroidal expansion is realised after transferring on another drum
    • B29D30/247Arrangements for the first stage only, e.g. means for radially expanding the drum to lock the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24Drums
    • B29D30/26Accessories or details, e.g. membranes, transfer rings
    • B29D2030/2671Holding the layers, e.g. the webs or the plies, in position onto the drum
    • B29D2030/2678Holding the layers, e.g. the webs or the plies, in position onto the drum by using magn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07Positioning the b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14Locking the beads on the drum; details of the drum in the bead locking areas, e.g. drum shoul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0/00Producing pneumatic or solid tyres or parts thereof
    • B29D30/06Pneumatic tyres or parts thereof (e.g. produced by casting, moulding, compression moulding, injection moulding, centrifugal casting)
    • B29D30/08Building tyres
    • B29D30/20Building tyres by the flat-tyre method, i.e. building on cylindrical drums
    • B29D30/32Fitting the bead-rings or bead-cores; Folding the textile layers around the rings or cores
    • B29D2030/3221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 B29D2030/3228Folding over means, e.g. bladders or rigid arms using one bladder acting on each side of the dr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Botan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래디얼타이어 제조방법 및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나타낸 시스템 전체의 평면배치도.
제2도는 제1도의 정면도.
제3도는 카아커스밴드 조립성형구(A)의 실시예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카아커스밴드 조립성형구(A)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요부만의 단면도.
제5도는 원통형상 카아커스프라이의 변형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제6도는 이송장치(C)의 실시예를 나타낸 부분단면도.
제7(a)도 내지 제7(d)도는 카아커스성형드럼(D)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각각 상이하는 작동상태 단면도.
제8(a)도 내지 제8(f)도는 카아커스밴드·비이드코어구체의 조립작용의 설명도.
제9(a)도 내지 제9(i)도는 그리인타이어의 조립작용의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카아커스밴드 조립성형구 (B), (E), (I) : 재료공급장치
(C), (J) : 이송장치 (D) : 카아커스 성형드럼
(F), (G) : 푸싱장치 (H) : 브레이커·트레드구체 조립드럼
(D1), (D2) : 비이드로크·터언업장치 (D3), (D4) : 어깨부 성형구
(70) : 비이드코어 (80) : 카아커스프라이
(103) : 비이드로크시일 (104) : 터언업브라더
(113) : 어깨부 세그먼트
본 발명은, 래디얼타이어 제조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래디얼타이어의 제조에 있어서, 종래 공지의 방법으로서는 1단계형성형방법과 2단계형 성형방법이 알려져있다. 1단계형 성형방법은 카아커스층의 구성재료를, 확장 축소 자재한 드럼장치위에서 먼저 원통형상으로 감아서 소정위치에 비이드코어를 설치하고, 이어서 동 드럼장치를 팽창하여 환형상으로 하고 브레이커 프라이 및 트레드를 감든가, 혹은 미리 준비된 브레이커·트레드구체의 안쪽에 카아커스층을 팽창시켜서 타이어를 완성하는 방법이다.
2단계형 성형방법은 확장축소 자재한 제1단의 드럼장치위에서 원통형상의 카아커스층을 조립하고, 동 드럼장치에서 제거해서 이송하고, 제2단의 팽창자재한 드럼장치에 설치해서 환형상으로 하고, 브레이커프라이 및 트레드를 감든가, 혹은 미리 준비된 브레이커·트레드구체의 안쪽에 카아커스층을 팽창시켜서, 타이어를 완성하는 방법이다.
1단계형 성형방법은 2단계형 성형방법과 같이,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을 제1단의 드럼장치에서 제2단의 드럼장치로 바꾸어 옮긴다는 번거로움은 없으나, 조립해야 할 부재를 정확하게 배치하고, 견고하게 압착해서 조립한다는 점에서 많은 문제를 안고있다. 또, 원통상 카아커스프라이에 비이드코어를 설치 할 때에는, 비이드코어 하부의 카아커스프라이를 확장해서 접착하기 때문에, 확장시에 카아커스프라이의 코오드 간격이 둘레 방향에서 불균일하게 되는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
또한, 미리 카아커스프라이를 원통형상으로 조립해서 이송장치로 이송해서 제2단의 팽창자재한 드럼장치에 인도한 후, 그바깥쪽으로 비이드코어를 배치해서 상기 카아커스프라이의 안쪽에서 비이드코어 하부영역을 확장해서 비이드코어에 압착시키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나, 원통형상의 카아커스를 압착시에 신장되게 되어 재료내의 섬유밀도를 불균일하게 한다는 결점이 있다.
또, 미리 카아커스프라이를 원통형상으로 조립한 후, 비이드코어를 바깥쪽으로 배치해서 비이드코어의 하부영역을 확장해서 비이드코어에 압착하거나, 카아커스프라이의 전역을 확장해서 비이드코어에 압착한후, 카아커스프라이와 비이드코어 조립체를 이송해서 제2단의 팽창자재한 드럼장치에 인도해서 생타이어를 형성하는 방법도 있으나, 상기와 같이 카아커스프라이 내부의 섬유밀도를 불균일하게 한다는 결점이 있다.
한편, 2단계형 성형방법에서는, 제2단계에서 환형상으로 할 때, 및 가황(加硫) 금형내에서의 최종성형을 할 때에, 비이드코어 근처에서의 부재의 변형과 기울어짐을 적게한다는 목적에서 소위 하이크라운형의 확장축소 자재드럼의 채용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 하이크라운형 드럼은 비이드코어 내경보다 상당히 큰 외형을 갖기 때문에, 카아커스프라이 감기단계에서 불편이 생긴다. 즉, 커다란 직경으로 감겨진 카아커스를 비이드코어를 감싸기 위해서, 반경 안쪽으로 변형(축경) 할 때에 비이드코어 근처에서 주름이 생긴다는 불편이 있으며, 이 비이드코어 근처의 프라이코오드의 부정렬(不整列)이 제2단의 드럼장치로 환형상으로 할 때의 프라이코오드의 부정렬을 지배한다는 결점이 있다.
상기 결점을 다소라도 회피할 목적으로 비이드코어 근처의 직경으로 카아커스프라이를 원통형상으로 해서 이송하고, 그 후, 제1단의 드럼을 확장한 다음 비이드코어를 설치하고, 비이드코어를 감쌀 사전준비를 한다는 방법이 취해지거나 한다. 이 방법은 주름이 생기지 않는다는 장점은 있으나, 드럼확장시에 드럼표면을 구성하는 부채꼴조각의 움직임으로 드럼어깨부분에서의 프라이코오드의 부정렬은 회피할 수 없다.
비이드부분의 프라이코오드는 정렬상태에 가깝다고는 하나 완전하지는 않고 또 상기 부정렬은 환형상으로 하는 과정에서 교정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점에 비추어 제안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보다 엄밀하고 정확한 래디얼타이어의 그리인타이어를 제조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래디얼타이어 제조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카아커스프라이 등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후, 비이드코어를 설치해서 카아커스프라이와 비이드코어의 구체를 조립하는 제1공정과, 동 제1공정에서 이송되는 상기 구체를 받아들여서 제1단계의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을 조립함과 동시에 동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을 환형상으로 변형시켜서 그리인타이어를 완성하는 제2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공정 또는 제2공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구체의 양 비이드코어 사이의 카아커스프라이를 확대시켜서 동 구체를 제2공정에 있어서의 드럼장치에 설치하고, 연후에, 카아커스프라이단부에 의한 비이드코어의 감싸기 및 측벽부재 등의 결합을 행해서 래디얼타이어의 그리인타이어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디얼타이어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와 같이 제1공정에서 카아커스프라이와 비이드코어의 구체를 정확하게 조립하고, 이것을 제2공정의 드럼장치에 설치할 때에, 양 비이드코어 사이의 카아커스프라이를 미리 확대시키고 있으므로, 드럼어깨부분에서의 프라이코오드 간격의 부정렬을 방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을 옮겨 바꾸는 일없이, 환형상으로 변형시켜서 그리인타이어를 조립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의 제거, 이송, 설치라는 번거로움은 없고, 더우기, 카아커스프라이와 비이드코어의 구체의 조립과 그리인타이어의 완성을 별도공정으로 행하므로, 능률적인 생산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보다 엄밀하고 정확한 그리인타이어의 제조가 가능해짐과 동시에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은, 반경방향으로 확장축소 가능한 부수의 부채꼴조각으로 이루어진 좌우 한쌍의 어깨부 성형체와, 동 어깨부 성형체의 외부측에 배치된, 반경방향으로 확장축소 가능한 좌우 한쌍의 비이드 로크시일과, 동 비이드 로크시일의 외부측에 배치된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좌우 한쌍의 터언업브라더를 갖추고 상기 좌우 한쌍의 어깨부 성형구, 비이드로크시일 및 터언업브라더를 동기적 또한 대칭적으로 이합 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디얼타이어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을 조립할 때에 카아커스프라이 단부에 의한 비이드코어의 감싸기 및 측벽부재 등의 결합을 어깨부 성형구에 의해서 형성되는 실질적인 강성 원통체상에서 행할 수가 있으므로 엄밀하고 정확한 조립이 가능함과 동시에, 어깨부 성형구, 비이드 로크시일 및 터언업브라더가 동기적 또한 대칭적으로 이합 가능하게 되어 있으므로, 동 장치상에서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의 조립을 행함과 동시에 양 비이드 코어간격을 좁히면서, 양 비이드코어 사이를 팽창시켜서 환상으로 변형시킬 수가 있고, 상기 래디얼타이어 제조방법에 사용해서 적합한 래디얼타이어 제조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는 시스템 전체의 평면배치도, 제2도는 그 정면도로서, (A)는 카아커스밴드의 조립 및 조립된 밴드에 비이드코어를 결합시키는 카아커스밴드 조립성형구, (B)는 카아커스밴드를 구성하는 재료의 공급장치, (C)는 카아커스밴드와 비이드 코어구체의 이송장치, (D)는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의 조립 및 동 카아커스층을 원통형상으로 부터 환상으로 하는 카아커스 성형드럼, (E)는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공급장치, (F)는 드럼(D)의 좌측 비이드코어부분의 감싸기작업의 푸싱장치이다. 단, 후술하는 드럼장치(D)가 2중브라더를 장비할 경우는 생략해도 된다. (G)는 드럼(D)의 우측 비이드코어부분의 감싸기작업을 하는 푸싱장치, (H)는 브레이커·트레드구체의 조립드럼, (I)는 브레이커·트레드구체를 구성하는 재료의 공급장치, (J)는 브레이커·트레드구체의 이송장치이다.
상기 카아커스밴드 조립성형구(A)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회전자재한 축(20) 위에 동 축(20)과 함께 회전하도록 배치된 프라이성형구(21)와 비이드호울더(22)로 이루어진다. 프라이성형구(21)는, 슬리이브(23)와 동 슬리이브(23)의 양단부에 착설된 반경방향 외부측에 돌출하는 원판(24), 동 원판에 형성된 홈(25), 외부표면에 마그네트(26a)를 매설한 복수의 부채꼴세그먼트(26), 동 세그먼트(26)에서 돌출되어, 상기 홈(25)에 감합해서 안내되는 안내(27), 동 안내(27)의 반경방향에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토퍼(28), 상기 세그먼트(26)와 슬리이브(23) 사이에 장착된 유체압실린더(29)로 구성되고, 복수의 세그먼트(26)는, 스토퍼(28)로 규제된 반경방향 외부측위치, 즉 확장위치에서는, 비이드코어의 내경보다 감겨지는 재료(카아커스프라이)의 두께분만큼 작은 직경을 갖는 폐쇄원통면을 형성하도록 되어있음과 동시에 반경방향 내측위치 즉 수축위치에서는 비이드코어의 내경보다 충분히 작고, 또한 교호로 반경방향 안쪽에의 수축한계 위치에 상이하도록, 홈(25), 안내(27), 스토퍼(28)가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반경방향 안쪽에의 이동량이 큰 세그먼트(26)를 먼저 안쪽으로 이동하고, 계속해서 인접한 세그먼트(26)를 안쪽으로 이동시키면, 수축한계위치에서는, 인접하는 세그먼트끼리는 겹쳐지게 되고, 이 이동의 시간차는, 유체압실린더(29)에의 유체공급시간의 제어에 의해 달성할 수 있다.
또한, 프라이성형구(21)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세그먼트(26)의 양단부의 비이드코어 설치위치 근처에 비이드코어의 두께보다 충분히 큰 폭을 가지고, 세그먼트(26)에서 외부측에서 돌출 가능하게된 비이드 로크장치(30)를 설치할 수가 있고, 이 비이드 로크장치(30)는, 세그먼트(26)의 요부에 격납되는 탄성체(31)를 가진 세그먼트(32), 세그먼트(32)에서 돌출하고, 세그먼트(26)에 천설된 구멍을 안내로해서 접동하는 핀(33) 및 세그먼트(26)(32) 사이에 장치된 액체압실린더(34)로 구성됨과 동시에 탄성체(31)의 외부표면의 곡율은, 세그먼트(26)의 곡율과 같게 되며, 또한 세그먼트(26)의 요부에 격납되어 있을 때는 세그먼트(26)의 외부표면과 같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비이드호울더(22)는, 프라이성형구(21)의 지지된 반대측의 축단부에 배치되고, 좌측 비이드코어용의 호울더(35)와 우측 비이드코어용의 호울더(36)로 구성되고, 각각의 호울더(35)(36)는 복수의 부채꼴조각으로 이루어지고, 축(20)에 고설된 허브(37)의 반경방향 외부측 위치에 개별적으로 팽창수축되는 공기주머니(38)(39)와 함께 장착되어, 허브(37)의 외주부분에서 안내되도록 되어 있으며, 비이드코어의 설치좌면은, 확장한계에서 비이드코어 내경보다 약간 크게 되어, 수축한계에서는, 비이드코어 내경 및 프라이성형구(21) 위에 감겨진 카아커스프라이보다 충분히 작게되도록 되어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성형구는, 카아커스프라이, 내부라이너 등이 감겨진 후에, 반경방향 안쪽으로 접으므로서, 카아커스프라이를 전역에 걸쳐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정상파형의 표면을 가진 원통체에 탄성변형되고, 그 외경을 비이드코어 의내경보다 작게할 수가 있다.
비이드코어를 정위치에 배치후, 세그먼트(26)를 확장하고, 또 제4도에 표시한 것에서는 다시 세그먼트(32)를 확장하면 카아커스프라이는 비이드코어 내주면에 압착된다. 조립된 카아커스프라이와 비이드코어의 구채를 성형구 밝으로 꺼낼때는 상기 세그먼트(26)(32) 및 비이드호울더(21)의 각 호울더(35)(36)를 안쪽으로 수축시켜서 그 외경을 작게 한 다음, 이송장칭(C)로 꺼낼 수가 있다. 또, 재료공급장치(B)는 많은 공지예가 있어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송장치(C)는, 상기 성형구(A)에 준비된 비이드코어를 정위치에 파지하는 비이드파지장치(C1)(C2), 설치된 비이드코어 중간부의 카아커스프라이를 반경방향 외부축으로 팽창시킬때의 외부축 팽창규제장치(C3), 및 성형구(A) 위치와 카아커스 성형드럼(D) 위치의 사이를 왕복 가능하게 하는 대차부(C4)로 구성된다. 대차부(C4)는 궤도(40)를 주행하는 차륜(41)을 구비하고, 가대(42)는 축(20)에 동축적으로 환체(43)를 장비한다.
환체(43)는 그 양단부분에 축(20) 및 성형구(A)와 동축적으로 배비되는 원통안내면을 제공하고, 비이드파지장치(C1)(C2)의 슬리이브(44)를 접동자재로 걸침과 동시에 반경방향 외부축 복수개소에 돌기부를 가지고, 그 돌기부분에 비이드파지장치(C1)(C2)를 축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하는 복수조 유체압실린더(45)를 걸친다. 또, 외부축 팽창규제장치(C3)의 부채꼴조각(46)을 방사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게 안내함과 동시에 그 구동장치(47)를 걸친다. 도시 및 설명은 생략하나, 상기 대차부(C4)는, 성형구(A) 위치 및 카아카스 성형드럼(D) 위치에서 정확하게 정지되는 공지의 기구 및 제어장치가 채용된다.
상기, 비이드파지장치(C1)는, 상기 환체(43)의 원통면상을 접동하는 슬리이브(44), 상기 슬리이브에 요동 가능하게 장착된 복수조의 아암(48), 각 아암선단에 구비된 마그네트(49), 일단을 상기 아암(48)에, 타단을 상기 슬리이브(44)에 연결된 유체압실린더(50), 일단을 상기 슬리이브(44)의 적소에 돌출된 돌출부(51)에, 타단을 상기 환체(43)에서 돌출된 돌출부에 연결된 유체압실린더(45)로 구성된다. 실린더(50)의 신장에 의해서 아암(48)이 반경방향 안쪽으로 요동했을 때, 마그네트(49)의 반경방향 안쪽위치는 비이드코어의 금속와이어 부분에 결합되고, 또한 성형구(A) 위에 감겨진 재료에는 접촉하지 않도록 되어있다.
비이드파지장치(C2)는, (C1)과 동일구성이며, 이렇게해서, 비이드 파지장치(C1)(C2)는 환체(43) 상에서 축방향위치가 임의로 되며, 또한 임의의 위치에서 아암(48)을 요동할 수가 있다.
또, 외부축 팽창규제장치(C3)는 환체(43)에 방사적으로 움직일 수 있게 걸쳐진 복수조의 부채꼴조각(46), 각 부채꼴조각을 반경방향으로 구동하는 복수조의 유체압실린더(47), 및 각 부채꼴조각의 내부축 원통면에 매설한 마그네트(52)로 구성된다. 상기 바깥쪽 팽창규제장치(C3)의 복수조의 부채꼴조각(46)중 하나 걸러서의 복수조의 부채꼴조각의 반경방향 안쪽 이동량을 다른 부채꼴 조각의 이동량보다 크게 하고, 그 이동한계에서 성형구(A) 위의 카아커스프라이에 접촉하도록 한다.
그리고 확장의 도중위치에서는 모든 부채꼴조각으로 폐쇄원통면을 형성하고, 확장한계에서 상기 원통면보다 약간 크게되도록 한다. 이상의 장치는, 특히 스티일코오드가 들어있는 카아커스프라이를 사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 것이나, 스티일코오드가 들어있는 것에 한하지 않고 직물코오오드를 가진 카아커스프라이로사용하는 래디얼타이어도 알려져있다. 성형구(A)에 있어서의 마그네트(26a)는 원통형상 카아커스프라이를 안쪽으로 정상적 파형변형(제5도 참조)으로 하기 위한 것이며, 이송장치(C)에 있어서의 마그네트(52)는 이송시의 파지수단으로서 사용되고 있으므로, 상기와 같은 직물의 카아커스프라이를 사용할 경우, 마그네트(26a)(52)는 아무런 작용도 하지 않는다.
따라서, 직물의 것에 대해서는, 부채꼴조각(46)에는 공지의 진공흡착수단이 마그네트(52) 대신에 사용되고, 또, 성형구(A) 위에서의 정상적 파형변형은 공지의 제1단계의 제조장치에서 채용되고 있는 소위 핑거프라이타운장치에 유사한 장치를 성형구(A)의 양축에 배비하면 종다는 것은 당사자가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 카아커스 성형드럼(D)은, 제7(a)도 내지 제7(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좌우 1쌍의 비이드로크·터언 업 장치(D1)(D2)와, 등 장치(D1)(D2)의 내부축에 배치되는 좌우 1쌍의 어깨부 성형구(D3)(D4)으로 구성된다.
또한, 제7(a)도는 어깨부 성형구(D3)(D4)가 안쪽으로 접혀지고, 또한 비이드로크·터언 업 장치(D1)(D2)가 최대한으로 격리되어 있는 상태를, 제7(b)도는 어깨부 성형구(D3)(D4)가 확장되고 또한 비이드로크·터언 업 장치(D1)(D2)가 제7(a)도 보다 약간 접근되어 있는 상태를, 제7(c)도는 어깨부 성형구(D3)(D4)가 확장되고, 또한 비이드로크·터언 업 장치(D1)(D2)가 최대한으로 접근되어 있는 상태를, 제7(d)도는 비이드로크·터언 업 장치(D1)(D2)가 최대한으로 접근하고 있고, 또한 어깨부 성형구(D3)(D4)가 안쪽으로 접혀져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비이드로크·터언 업 장치(D1)(D2)는, 도시를 생략한 가대에 회전자재로 걸쳐진 축(100) 위를 접동 가능하게 된 슬리이브(101), 동 슬리이브의 적소에서 돌출된 원판(102)의 외주부분의 홈에 결합된 팽축자재한 비이드로크시일(103), 상기 원판(102)의 원통부에 설치된 팽축자재한 브라더(104)로 구성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이드로크시일(103)과 브라더(104)는 일체형으로 되거나, 독립적으로 배비되어도 좋다(도시예에서는 일체화 되어있다).
상기 비이드로크·시일(103) 및 상기 브라더(104)에는 각각 외부로부터 압력공기가 공급되게 되어있다. 상기 브라더(104)는, 도시예에서는 싱글브라더로 불리우는 것이 채용되고 있으며, 이 경우 제1도 및 제2도에 표시된 바와 같이 푸싱장치(F)(G)를 필요로 하나, 브라더가 한쪽에 2중으로 배열된 2중브라더의 경우는 상기 푸싱장치(F)(G)는 생략할 수가 있다. 또, 상기 슬리이브(101)는, 축(100)의 내부에 회전자재로 걸쳐진 나사봉(105)에 고합된 너트(106)과 핀(107)으로 연결되고, 이 핀(107)은 축(100)의 절결된 길다란 구멍부(100a)에 통해져있다. 비이드로크·터언 업 장치(D1)(D2)의 다른 점은, 너트(106) 및 대응하는 나사봉(105)이 (D1)(D2) 측에서 반대나사로 되어 있는 곳 뿐이고 기타는 같다.
따라서 나사봉(105)을 회전하면, 양 비이드로크·터언 업 장치(D1)(D2)는, 드럼중심(Y-Y)을 경계로 동기적으로 접근하고, 역회전하면 동기적으로 격리된다. 또한, 상기 비이드로크시일(103)은 압력공기로 직경이 팽대되어 카아커스밴드에 결합된 비이드코어 하부를 안쪽에서 압착지지함과 동시에 접촉부는 양비이드코어 사이에 기밀실을 만들도록 작용한다. 또한, 도시는 생략하나 슬리이브(101)는 축(100) 위에서의 접동하는 임의의 위치에 에어시일부재를 구비한다.
또, 어깨부 성형구(D3)(D4)는 상기 장치(D1)(D2)의 슬리이브(101) 위를 접동 가능하게 된 원판(114), 일단을 상기 원판(114)에 타단을 원판(102)에 고설된 복수조의 유체압실린더(108), 상기 원판(114)에 고설되어 상기 원판(102)을 광통하는 복수조의 로드(109), 로드(109)의 선단에 일단을, 타단을 상기 슬리이브(101)의 적소에 요동자재케 된 링크(110)에 연결된 링크(111), 상기 링크(110)와 같이 일단을 슬리이브(101)의 적소에 요동자재케 된 링크(112), 상기 링크(110)(112)에 연결된 복수조의 어깨부 세그먼트(113)로 구성되고, 상기 로드(109)는 접동하는 임의 위치에서 원판(102) 내축의 공기실을 기밀하게 하는 도시를 생략한 에어시일부재를 갖는다.
또한, 상기 링크(110)(112)의 각각의 양단 요동중심점은 평행 4변형을 형성하도록 배비된다. 따라서 실린더(108)로 원판(114)이 원판(102)보다 멀어지도록 움직여지면 어깨부 세그먼트(113)는 확장되고, 확장한계에 있어서, 세그먼트(113)는 그리인케이스의 비이드근처 및 축벽부재를 붙이는데 알맞은 원통형을 형성한다. 또, 재료공급장치(E), 푸싱장치(F), 및 푸싱장치(G)에 대해서는, 많은 공지예가 있으며, 당업자에게는 용이하게 이해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브레이커·트레드구채 조립드럼(H)은, 확장축소 자재로 확장시에 조립되어야 할 벨트의 내주의 길이와 같거나 대체로 같은 외주길이를 가진 실용적으로 원통형성의 강체드럼이며, 또한 그 축경시에 있어서는 조립된 벨트·트레드구체 내주길이보다 외주길이가 작게되는 것이면 되고 공지된,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개 소55-135647호 공보, 일본국 특허 공개 소 55-135648호 공보 등에 기재된 드럼이 채용된다. 그리고, 이들 구조의 드럼장치는 상기 드럼(D)과 동축적으로 배설되고 또한 드럼(D)의 축(100) 위에서 드럼(D)과는 독립해서 회전, 정지가 가능해진다.
이 동립적으로 회전, 정지하는 구조는 공지이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 재료공급장치(I)는 많은 공지예가 있으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브레이커·트레드구체의 이송장치(J)는, 상기 드럼(H) 위에서 조립된 브레이커·트레드구체를 바깥쪽에서 포위하고, 그 외부표면을 부분적 혹은 전역에 걸쳐서 외부축에서 파지하는 확장축소 자재한 세그먼트를 가진 것으로, 이 확장축소기구는 이동가능한 대차위에 장비되고, 동 대차는 궤도위를 주행하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 들면 일본국 특허공고 소 52-1951호 공보, 동 50-2625호 공보 등에 기재된 것이 채용된다.
다음에 작용을 설명한다. 먼저, 제8(a)도 내지 제8(f)도에 따라서 카아커스밴드·비이드코어구체의 조립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8(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프라이성형구(21)를 확장해서 원통체를 형성하고, 재료공급장치(B)에서 재료를 끌어내서 성형구(A) 위에 소요재료를 소정순서로 감는다. 이때 카아커스프라이(80)는 마그네트로 흡착된다. 또, 적당한 시기에 양 비이드호울더(22)를 수축하고, 먼저 좌측용비이드코어를 좌측 비이드호울더에 설치해서 좌측 비이드호울더를 확장하고, 좌 비이드코어(70)를 지지시킨다.
다음에 우측 비이드코어(70)를 우측 비이드호울더에 같은 순서로 지지시킨다. 이어서 제8(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성형구(A)가 반경방향 안쪽에 접혀지고, 감겨진 카아커스프라이(80)를, 제5도와 같이 변형시킨다. 이송장치(C)가 대기위치로부터 이동하고, 좌측 비이드파지장치(C2)로 좌측 비이드코어(70)를 파지하는데 적합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파지장치의 아암이 반경방향 안쪽으로 요동해서 비이드코어(70)의 심봉(core bar) 부분을 흡착한다.
다음에 비이드코어(70)를 지지하고 있던 좌측 비이드호울더의 부채꼴조각을 수축하면, 비이드코어(70)는 비이드파지장치(C2)에 바꾸어 옮겨진다. 이송장치(C)는 제8(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이동해서 우측 비이드파지장치(C1)가 우측 비이드코어(70)를 파지하는데 적합한 위치에서 정지하고, 같은 순서로 우측 비이드코어(70)를 받아낸다. 좌우 양 비이드코어(70)를 받아낸 이송장치(C)는 이동하고, 제8(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비이드코어를 설치해야 될 정위치에서 정지 한다.
이어서, 성형구(A)가 확장하여, 제5도에 나타낸 상태가 되어있던 카아커스프라이를 초기의 원통형상으로 복귀시키고, 제8(e)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비이드코어 하면부에 카아커스프라이를 접착한다. 또한 제4도에 나타낸 비이드 로크장치의 부채꼴조각을 확장하므로서, 비이드코어 하면부 근처의 카아커스프라이는 강력하게 비이드코어 하면에 압착된다. 이어서, 이송장치(C)의 카아커스파지장치(C3)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이동하고, 제8(f)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카아커스프라이의 외부표면을 마그네트로 흡착한다. 연후에, 성형구(A)가 반경방향 안쪽으로 접혀져서, 이때 성형구(A)가 부채꼴조각에 구비된 마그네트는 흡착력이 해제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원통형상 카아커스프라이와 비이드코어의 조립체는 이송장치(C)에 비이드코어부분과 양 비이드코어 중간부의 카아커스프라이가 흡착되어 파지된다.
이 상태로 이송장치(C)가 대기위치를 경유해서 이동되고, 드럼(D) 위치에서 정지된다. 다음에, 드럼(D) 위에서의 그리인타이어의 조립을 제9(a)도 내지 제9(i)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상기 카아커스밴드·비이드코어 조립체를 받아들일때의 드럼(D)의 상태는 제7(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되어있다. 즉, 양 비이드로크·터언 업 장치(D1)(D2) 및 어깨부 성형구(D3)(D4)는 축경되어서 이송되어 온 상기 조립체의 내경보다 충분하게 작게 되어있다. 또, 양측의 비이드로크시일(103)의 간격은 상기 조립체의 양 비이드코어 간격에 일치되어 있다. 이송장치(C)에 의해서 이송되어 온 카아커스밴드·비이드코어 조립체는 정9(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축경된 드럼(D)의 바깥쪽에 정위치가 된다.
이 상태로 제9(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이드로크시일(103)이 확장되고, 상기 조립체의 비이드코어 하부를 기밀적으로 파지한다. 비이드코어 하부가 파지되면, 제9(c)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장치(C)의 비이드코어 파지장치가 바깥쪽으로 요동하고, 비이드코어의 파지를 해제함과 동시에, 양 비이드코어간의 카아커스프라이를 파지하고 있던 부채꼴조각이 확장된다. 이 부채꼴조각은 다음의 공정으로 팽창되는 카아커스프라이 외경을 규제하는 위치에서 그 확장을 정지한다.
이어서 양 비이드로크시일(103)에서 기밀하게 지지된 카아커스프라이 안쪽으로 압력공기를 공급하면서, 양 비이드로크는 동기적으로 또한 대칭적으로 접근시켜지며, 이것에 의해서, 제9(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이드코어 사이의 카아커스프라이는 압력공기로 팽대되고 또한, 바깥쪽으로의 팽창이 규제되어 원통 형상이 된다. 그후, 어깨부 성형구의 세그먼트(113)가 확장되어, 내압이 제거된다. 이때의 드럼장치(D)의 상태는 제7(b)도에 나타낸다. 이어서, 바깥쪽으로의 팽창규제된 부채꼴조각은 제9(e)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확장하고, 드럼(D) 위의 카아커스밴드·비이드코어 조립체의 외경보다 크게 된다. 이 상태로, 이송장치(C)는 대기위치로 되돌려지고, 푸싱장치(F)가 드럼(D)과 동축적으로 준비된다. 이어서, 제9(f)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비이드로크·터언업장치의 양 브라더(104)가 팽대되고 또한, 푸싱장치(F)와 푸싱장치(G)로 드럼(D)의 중앙부측에 밀린다. 이 작용에 의해서 카아커스밴드의 양 비이드코어 외단부는 비이드코어를 감싸서 압착된다. 이때 양 어깨부 성형구(D3)(D4)는 압착의 기본체로서의 역할을 다한다.
드럼(D) 위에서 상기 작용을 행하고 있는 동안에 드럼(H) 위에서 조립된 브레이커·트레드구체는 제9(g)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이송장치(J)에 의해서 바깥쪽으로 파지되어서 대기하고 있다.
한편, 상기 제9(f)도에 나타낸 공정작업이 종료후, 측벽 등 소요부재가 결합되어 원통형상의 카아커스층이 완성된다. 다음에 제9(h)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 어깨부 성형구(D3)(D4) 및 양 비이드로크·터언업장치(D1)(D2)를 동기적 또한 대상적으로 접근시키면서 내부에 압력공기를 공급하면,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은 환상이 된다. 이동안의 적당한 시기에 미리 준비된, 브레이커·트레드구체를 환상카아커스의 중심위치로 정지하고, 상기 구체 안쪽에 카아커스층을 압착하고, 압착후, 상기 구체의 이송장치(J)는 대기위치에 되돌려지고, 드럼(D) 위에서는 소요의 순서로 그리인케이스의 압착성형이 계속된다. 이때의 드럼(D)의 상태는 제7(c)도에서 설명된다.
드럼(D) 위에서의 작업을 종료하고 그리인타이어가 완성하면 제9(i)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이송장치(J)가 그리인타이어를 바깥쪽에서 파지한다. 바깥쪽에서 파지한 후, 드럼(D)의 어깨부 성형구, 비이드로크시일이 축경된다. 이때의 드럼(D)의 상태는 제7(d)도로 나타낸, 완성된 그리인타이어는 이송장치(J)에서 드럼(D) 밖으로 꺼내어져서 일련의 작업을 종료 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성형구(A) 위에서 완성된 카아커스밴드·비이드코어 조립체는, 드럼위치에서 먼저 양 비이드코어 사이를 원통형상으로 팽창되고, 그 원통형상 내부공간에 어깨부 성형구를 확장한 후, 원통형상그리인타이어케이스를 조립하고, 이어서 환상으로 하여 그리인타이어를 완성하는 순서가 이해되었을 것이다. 또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나 다음의 순서도 가능하다.
성형구(A) 위에서 완성된 카아커스밴드·비이드코어 조립체를 성형구(A)위에서 양 비이드코어 사이를 위통형상으로 팽창하고, 그 상태로 드럼(D) 위치에 이송하고, 원통형상 공간내부에 어깨부 성형구를 확장해서 원통형상 그리인케이스를 조립하고, 이어서 환상으로 해서 그리인 타이어를 완성하는 순서이다,
물론, 이 방법을 채용함에 있어서는, 성형구(A) 및 이송장치(C)를 상기와는 상이하는 구성으로 할 필요가 있으며, 예를 들면, 본 출원인의 출원인 일본국 특허출원 소56-65725호에서 제안한 것이 채용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에 의하면 보다 엄밀하고 정확한 카아커스층을 조립할 수가 있다.
특히 비이드코어 내면에 카아커스프라이코오드를 엄밀하게 정렬시킬것, 즉. 앞공정(칼렌더공정)에서 엄밀하게 관리제조된 프라이코오드의 코오드간격을 비이드코어 내면에 파괴하는 일없이 결합시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프라이의 양 비이드코어간의 부분을 비이드코어부분보다 직경이 큰 실질적 강성원 통체상에 설치할때에 드럼어깨부분에서의 프라이코오드 간격의 부정렬을 방지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상기 실질적인 강성 원통체상에서 엄밀하게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을 조립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을 옮겨 바꾸는 일없이 환상으로 해서 브레이커 및 트레드를 결합해서, 그리인타이어를 엄밀하게 조립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생산성이 높은 래디얼타이어의 제조방법과 장치를 제공할 수가 있다. 특히, 드럼(D) 위에서 N 본째의 타이어가 조립되어 있는 사이에 드럼(D) 위에서 (N+1) 본째의 카아커스밴드가 준비되므로서 능률적인 생산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카아커스프라이 등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후, 비이드코어를 설치해서 카아커스프라이와 비이드코어의 구체를 조립하는 제1공정과, 동 제1공정으로부터 이송되는 상기 구체를 받아들여서 제1단계의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을 조립함과 동시에 동 원통형상 카아커스층을 환상으로 변형시켜서 그리인타이어를 완성하는 제2공정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공정 또는 제2공정위치에 있어서 상기 구체의 양 비이드코어 간의 카아커스프라이를 확대시켜서 동 구체를 제2공정에 있어서의 드럼장치에 설치하고, 연후에, 카아커스프라이 단부에 의한 비이드코어의 감싸기, 및 측벽부재 등의 결합을 행해서 래디얼타이어의 그리인타이어를 조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디얼타이어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공정에서의 카이커스프라이와 비이드코어의 구체조립시 카이커스프라이 등을 원통형상으로 형성한 후. 파형으로 변형시켜서 축경하고, 비이드코어를 소정위치에 설치후, 카이커스 프라이를 원통형상으로 복귀시켜서 양자를 결합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디얼타이어의 제조방법.
  3. 회전축상에 설치된 반경방향으로 확장축소 가능한 복수의 부채꼴세그먼트로 이루어진 프라이성형구와. 동 프라이성형구의 받쳐진 축의 반대측의 축단부에 설치된 반경방향으로 확장축소 가능한 비이드호울더를 갖추고, 카이커스밴드의 조립과, 동 밴드와 비이드코어의 결합을 행하는 카이커스밴드 조립성형구 및 반경방향으로 확장축소 가능한 복수의 부채꼴조각으로 이루어진 좌우 1쌍의 어깨부 성형구와 동 어깨부 성형구의 외부측에 배치된 반경방향으로 확장축소 가능한 좌우 1쌍의 비이드로크시일과, 동 비이드로크시일의 외부측에 배치된 반경방향으로 팽창가능한 좌우 1쌍의 터언업브라더를 갖추고 상기 좌우 1쌍의 어깨부 성형구, 비이드로크시일 및 터언업브라더를 동기적으로 또한 대칭적으로 이합 가능하게 한 카이커스 성형드럼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래디얼타이어의 제조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카이커스밴드 조립성형구에서 카이커스 성형드럼의 카이커스밴드와 비이드코어의 구체를 이송하는 장치를 갖춘 래디얼타이어의 제조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카이커스밴드와 비이드코어의 구체 이송장치가 비이드코어 간의 카이커스프라이를 확대시키는 수단을 갖추고 있는 래디얼타이어의 제조장치.
KR8202628A 1981-06-18 1982-06-12 래디얼타이어 제조방법 및 장치 KR8500014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6094381A JPS57208233A (en) 1981-06-18 1981-06-18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adial tire
JP9438 1981-06-18
JP81-94381 1981-06-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369A KR840000369A (ko) 1984-02-22
KR850001423B1 true KR850001423B1 (ko) 1985-10-02

Family

ID=141087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8202628A KR850001423B1 (ko) 1981-06-18 1982-06-12 래디얼타이어 제조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468267A (ko)
EP (2) EP0238788B1 (ko)
JP (1) JPS57208233A (ko)
KR (1) KR850001423B1 (ko)
DE (2) DE3280403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85992A (en) * 1981-06-18 1987-08-11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adial tire
US4634489A (en) * 1984-07-18 1987-01-06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Device for transferring a tire carcass band
GB8519579D0 (en) * 1985-08-03 1985-09-11 Apsley Metals Ltd Pneumatic tyres
JPS6260637A (ja) * 1985-09-11 1987-03-17 Mitsubishi Heavy Ind Ltd ラジアルタイヤの成形装置
US4859272A (en) * 1988-06-22 1989-08-22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adial tire belt folding drum
US5141587A (en) * 1988-07-14 1992-08-25 Bridgestone Corporation Two stage tire building apparatus
JPH07110521B2 (ja) * 1988-10-17 1995-11-29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タイヤ成形システム
US5073225A (en) * 1989-03-02 1991-12-17 The Uniroyal Goodrich Tire Company First stage tire building machine including selectively coupled bead setters and bladder cages
DE3907122C2 (de) * 1989-03-06 1997-02-06 Krupp Ag Hoesch Krupp Reifenaufbaumaschine
US4976804A (en) * 1989-05-05 1990-12-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Expandable tire building drum
EP0432993B1 (en) * 1989-12-14 1994-09-28 Sumitomo Rubber Industries Limited Tyre building apparatus
US5268057A (en) * 1989-12-14 1993-12-07 Sumitomo Rubber Industries Ltd. Tire building apparatus
JPH0757537B2 (ja) * 1991-03-20 1995-06-21 株式会社森鐵工所 タイヤ成型ドラム装置における可動部を駆動す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タイヤ成型ドラム装置
US5350470A (en) * 1993-11-30 1994-09-27 Bridgestone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tire bead assembly
US5582666A (en) * 1994-04-11 1996-12-10 Mitsubishi Jukogyo Kabushiki Kaisha Method of forming a radial tire
JP3737602B2 (ja) * 1997-03-04 2006-01-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同装置
JP4242957B2 (ja) * 1998-10-30 2009-03-25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
JP4259704B2 (ja) * 1999-12-07 2009-04-30 横浜ゴム株式会社 タイヤ成形システム及び成形方法
BR0205807B1 (pt) * 2001-07-30 2011-05-17 método para construir um pneu para rodas de veìculo, tambor de conformação para fazer um pneu para rodas de veìculo, e, planta para construir um pneu para rodas de veìculo.
ATE407792T1 (de) * 2001-07-30 2008-09-15 Pirelli Trommel zur reifenformgebung
JP4603736B2 (ja) * 2001-09-06 2010-12-22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タイヤの製造方法
AU2003254816A1 (en) * 2002-08-05 2004-02-23 Bridgestone Corporation Tire molding drum and tire molding method
CN100457435C (zh) * 2002-11-05 2009-02-04 倍耐力轮胎公司 组装车轮轮胎的方法和设备
JP3799363B2 (ja) * 2003-07-16 2006-07-19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の製造方法及びそれに使用されるタイヤ成形ドラム装置
WO2007135720A1 (ja) * 2006-05-19 2007-11-29 Toyo Tire & Rubber Co., Ltd. バンド成型ドラムにおけるバンド離脱方法及びバンド成型ドラム
JP4956495B2 (ja) * 2008-07-02 2012-06-20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生タイヤ形成方法、及び生タイヤ形成装置
FR3043936B1 (fr) * 2015-11-25 2017-11-24 Michelin & Cie Tambour et procede d’assemblage d’un adaptateur de pneumatique sur une jante
CN106863870A (zh) * 2017-03-13 2017-06-20 遵义师范学院 一种汽车橡胶轮胎的生产工艺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236302A (ko) * 1958-02-19
NL272625A (ko) * 1960-12-19
BE635913A (ko) * 1962-08-10
FR1510912A (fr) * 1966-11-15 1968-01-26 Tambour de galbage pour la confection d'enveloppes de pneumatiques
US3645818A (en) * 1968-12-02 1972-02-29 Nat Standard Co Tire building method
US4053342A (en) * 1972-06-28 1977-10-11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system
JPS502625A (ko) * 1973-05-12 1975-01-11
US4007081A (en) * 1974-11-11 1977-02-08 National-Standard Company Tire building apparatus
JPS521951A (en) * 1975-06-24 1977-01-08 Toshiyuki Murakami Damper for air conditioner
DE2545381C3 (de) * 1975-10-10 1982-03-11 Continental Gummi-Werke Ag, 3000 Hannover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ufbauen von Reifenrohlingen im Flachbandverfahren
CA1042330A (en) * 1976-01-13 1978-11-14 Yung-Kang Wei Radial ply pneumatic tires and process for their manufacture
JPS53140388A (en) * 1977-05-13 1978-12-07 Bridgestone Tire Co Ltd Tire forming apparatus
US4143783A (en) * 1977-12-14 1979-03-13 J. I. Case Company Reverse linkage loader bucket arm with enclosed cylinder
US4149927A (en) * 1978-03-24 1979-04-17 The General Tire & Rubber Company Tire building apparatus with improved drum shoulder
US4226656A (en) * 1979-04-02 1980-10-07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Tire carcass assembly
JPS55135647A (en) * 1979-04-11 1980-10-22 Nrm Corp Tire assembling drum which shoe mechanism is glued in order to form tire assembling surface and can expand in fluid shape
JPS55135648A (en) * 1979-04-11 1980-10-22 Nrm Corp Tire assembling drum which can expand in fluid shape
JPS57178839A (en) * 1981-04-30 1982-11-04 Mitsubishi Heavy Ind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radial t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069047A2 (en) 1983-01-05
DE3280403D1 (de) 1992-07-02
DE3279564D1 (en) 1989-04-27
EP0238788A2 (en) 1987-09-30
EP0069047B1 (en) 1989-03-22
JPS57208233A (en) 1982-12-21
US4468267A (en) 1984-08-28
EP0069047A3 (en) 1984-06-13
KR840000369A (ko) 1984-02-22
EP0238788A3 (en) 1988-03-23
EP0238788B1 (en) 1992-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50001423B1 (ko) 래디얼타이어 제조방법 및 장치
JP5335067B2 (ja) タイヤを組み立てる方法および装置
US7101451B2 (en) Tire building drum with a turn-up device and method for production of green tires
EP0613767B1 (en) Method of forming a green tyre
EP0468580B1 (en) Mechanism for supporting and retaining the beads when building pneumatic tyres
US6880603B2 (en) Tire building drum
US4685992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radial tire
JPS631177B2 (ko)
US4470867A (en) Apparatus for manufacturing pneumatic tires
CN108698347A (zh) 用于构建轮胎的工艺和成套装备
CN101541519B (zh) 制造轮胎的方法和设备
KR102263087B1 (ko) 성형드럼, 타이어 성형기 및 타이어 성형기의 타이어 성형방법
JP3364280B2 (ja) タイヤ成形ドラム及び生タイヤ製造方法
US2998049A (en) Apparatus for building air spring
US6983782B2 (en) Assembly drum for the manufacture of tires
WO2004060644A1 (en) Tire building apparatus and assembly process
US11548250B2 (en) Method and device for forming pneumatic tire
EP1412169B1 (en) Carcass shaping method and drum for manufacturing a tyre for vehicle wheels
EP0432993B1 (en) Tyre building apparatus
JPS6331380B2 (ko)
JPS6330855B2 (ko)
US2979104A (en) Apparatus for making pneumatic air springs
US2971560A (en) Apparatus for making pneumatic air springs
JP2008296553A (ja) タイヤ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られるタイヤ成型ドラム
JPS60149446A (ja) タイヤ成形ド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20612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509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51217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851224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851224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80706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890905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009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11002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21001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30923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409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51002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60917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708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809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19990916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PC1903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