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50001395Y1 - 전기 용접용 자동식 차광 보안경 - Google Patents

전기 용접용 자동식 차광 보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50001395Y1
KR850001395Y1 KR2019830005278U KR830005278U KR850001395Y1 KR 850001395 Y1 KR850001395 Y1 KR 850001395Y1 KR 2019830005278 U KR2019830005278 U KR 2019830005278U KR 830005278 U KR830005278 U KR 830005278U KR 850001395 Y1 KR850001395 Y1 KR 8500013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welding
electric welding
square wave
wave curr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201983000527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50000221U (ko
Inventor
박현빈
Original Assignee
박현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현빈 filed Critical 박현빈
Priority to KR2019830005278U priority Critical patent/KR850001395Y1/ko
Publication of KR85000022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022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500013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50001395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4Eye-masks ; Devices to be worn on the face, not intended for looking through; Eye-pads for sunbathing
    • A61F9/06Masks, shields or hoods for weld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PSAFETY DEVICES IN GENERAL; SAFETY DEVICES FOR PRESSES
    • F16P1/00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 F16P1/06Safety devices independent of the control and operation of any machine specially designed for weld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yeglasse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전기 용접용 자동식 차광 보안경
제1도는 액정부(液晶部, Liquid crystal)의 차광여부를 결정하는 전기회로의 구성도.
제2a도는 본 고안 렌즈의 정면도.
제2b도는 본 고안 렌즈의 평면도.
제2c도는 상기 제2b도 중 일부분을 확대한 상세도.
제3a도는 구형파 전류가 액정부 전극에 흐를때의 액정부의 상태도.
제3b도는 구형파 전류가 차단됐을 때의 액정부의 상태도.
제4a도는 작업을 실시하지 않은때의 본 고안상의 차광보안경을 나타낸 그림.
제4b도는 상기 제4a도와 같은 상태에서 렌즈의 일부 확대 상세도.
제4c도는 작업개시전 용접부위를 관찰할때의 상태를 나타낸 그림.
제4d도는 상기 제4c도와 같은 상태에서의 렌즈 일부 확대 상세도.
제4e도는 전기용접 섬광이 발생시의 상태를 나타낸 그림.
제4f도는 상기 제4e도와 같은 상태에서 렌즈의 일부확대 상세도.
제4g도는 작업중이나 작업완료 후 용접부위를 관찰할때의 상태를 나타낸 그림,
제4h도는 상기 제4g도와 같은 상태에서의 렌즈 일부확대 상세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액정부(液晶部, Liquid crystal) la : 투명하게 된 액정부
lb : 불투명하게 된 액정부 3 : 포토·셀(Photo cell)
3a : 섬광 미발생시의 포토·셀 3b : 섬광 발생시의 포토·셀
4 : 변환기(Inverter) 5 : 앤드로직(AND LOGIC)회로
6 : 투명전극 7 : 발진회로
본 고안은 전기용접용 헬멧의 자동식 차광 보안경에 관한 것이다.
통상 전기용접시 발생하는 섬광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저 헬멧에 부착해서 사용하고 있는 종래의 보안경으로서는 헬멧의 글래스 또는 렌즈를 통해 용접대상 부위를 보고자 하더라도 잘 보이지 않고 용접봉을 작업부위에 근접시 발생하는 강한 섬광에 의해서만 작업부의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작업개시나 작업도중 용접부위를 보기 위해서는 헬멧을 벗어야 했으므로 작업도중 순간적으로 섬광을 보게되는 경우가 많이 생기게 되어 작접자의 눈이 금속히 나빠지고 따라서 산재의 원인의 하나가 되었다.
또한 용접부위가 안보이는 상태에서 용접봉을 용접할 부위에 접촉 또는 근접시켜 용접하게 되므로 용접부위의 정확성 정밀성의 결여로 용접불량의 빈도나 정도가 많아지고 또한 헬멧을 썼다 벗었다 하는 번거러움 때문에 작업능률의 저하를 가져왔다.
그러므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고안은 종래에 사용하던 반투명부와 전압이 가해짐에 따라 투명체와 불투명체로 변하는 액정부(液晶部, Liquid crystal)를 좁은 간격으로 교호로 배열하여 (헬멧의 착용시 눈과 보안경의 거리, 눈과 물체와의 거리에 의한 눈의 촛점때문에 본 고안과 같이 작은 간격으로 교호로 배열되어 있어도 상기 액정부를 통하거나 반투명체를 통하여 물체를 볼 때 불편을 주지 않는다)섬광이 발생하지 않을 때는 액정부를 통하여 용접부위를 보다가 전기 용접에 의하여 섬광이 발생하면 강한 빛을 감지하는 포토·셀(Photo cell)장치에 의하여 순간적으로 발생되는 전기 신호로 액정부의 전원을 차단하므로 전기 용접스파크, 즉 섬광이 발생하더라도 종래의 반투명면으로 용접부위 볼 수 있게 하였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섬광이 발생하면 강한 빛을 자동으로 차단할 수 있는 특성을 이용하여 헬멧을 썼다 벗었다 할 필요없이 헬멧을 쓴채로 용접할 수 있도록 하므로써 작업의 능률성은 물론이고 강한 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고 자외선으로 부터 안면 피부를 완전히 보호 할 수 있음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섬광의 유뮤에 관계없이 본 고안의 렌즈를 통해 용접하는 물체와 용접진행 상태를 볼 수 있으므로 박판 용접등 정밀용접을 할때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구조를 첨부도면에 의해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는 투명상태,는 반투명상태는 불투명 상태이다.)
본 고안의 구조는 대별하여 액정부(1)와 반투명부(2)가 교호로 배열된 렌즈부와(제2도와 같은 배열은 일종의 예시도로서 본 고안의 배열방법을 액정부(1)가 반투명부(2)를 교호로 가로로 배열 또는 세로로 배열할 수도 있고 또는 사선방향으로 배열할 수도 있다.
상기 액정부(1)의 차광여부를 결정하는 전기 회로부로 구성된다. 즉, 본원 고안의 구조는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섬광을 감지하는 포토·셀(3)과 변환기(4)를 통하여 상기 포토·셀(3)의 신호를 받는 앤드 로직 회로(AND LOGIC)(5)와 구형파전류를 발생시키는 발진회로(7)와 투명전극(6)으로 구성된다.
상기 액정(液晶)은 유기화합물의 일종으로 액체가 가진 유동성과 결정(結晶)이 가진 규칙성을 함께 갖고 있다. 이 액정에 전압을 가하면 결정이 정렬된 방향으로 변화가 생겨, 빛을 투과하기 쉽게 한다.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액정의 전후(前後)에 편광판(遍洸板), 즉 투명전극(6)을 취부한다.
도면 제3a도는 구형파 전류가 흐를때의 액정부의 상태도이고 도면 제3B도는 구형파 전류가 차단됐을 때의 액정부의 상태도이다.
상기 제3a도,제3b도에서와 같이 액정부(1)은 여기에 구형파 전류가 흐르면 투명체(la)가 되고 구형파 전류가 차단되면 불투명체(lb)가 된다.
상기 발진회로(7)은 C.MOS.IC를 사용하여 60Hz의 구형파 전류를 발생시킨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원리와 더불어 작용효과를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액정부(1)에 전압이 가해지지 않을 때 즉 작업을 하지 않을 때에는 본원에 의한 차광 보안경 렌즈의 액정부(1)은 도면 제4a도, 제4b도 와 같이 불투명체가 된다(제4도의 3a).
스윗치를 ON하면 발진회로(7)이 동작되고 상기 발진회로(7)로부터 발생된 60Hz의 구형파 전류가 투명전극(6)에 흐르게 되어 액정부(la)가 도면 제4c도, 제4d도와 같이 투명상태가 되므로 상기 액정부(la)를 통해 헬멧을 벗지 않고 착용한 상태 그대로도 용접부위를 볼 수 있다.
용접봉이 작업부분에 접착 또는 근접되어 용접봉 하단과 피 용접체와의 사이에서 섬광이 발생하면 이와 동시에 보안경 위쪽에 부착된 포토·셀(3)에서 순간적으로 0.1초 이내에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즉, 감지신호가 발생되었을 때 포토·셀(3)에서 온 신호는 높은 전압상태가 되며 상기 전압상태는 인버터(4)를 거치면서 낮은 전압상태가 되어 상술한 앤드로직(AND LOGIC)회로(5)를 오프(OFF)상태로 만든다.
그러므로 도면 제1도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발진회로(7)에서 나온 60Hz구형파 전류가 상기 앤드로직회로(5)에서 차단되어 도면 제4e도, 제4f도 와 같이 액정부(lb)는 불투명체가 되며 따라 액정부(lb)를 통해서는 용접부위를 볼 수 없고, 반투명부(2)를 통해 안전하게 작업부분을 볼 수 있으므로 눈을 보호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상기 섬광이 없어지면 다시 상기 앤드로직회로(5)는 온(ON)상태로 되어 발진회로(7)에서 나온 60Hz구형파 전류가 상기 앤드로직회로(5)를 통하여 투명전극(6)에 흐르게 되므로 도면 제4g도, 제4h도 와 같이 액정부(1)은 투명하게 되며 따라서 투명상태가 된 액정부(la)을 통하여 용접부위를 볼 수 있게 된다.
한편 포토·셀(3)에 소요되는 전류는 1.5버튼전지(Botton battery)2개를 사용하면 통상 약 3000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상의 차광 보안경은 전기용접에 의한 섬광이 발생되면 순간적으로 강한 빛을 자동으로 차단하므로 작업개시시부터 완료시까지 헬멧을 쓰고도 정밀작업이 가능하여 눈과 안면피부를 보호할 뿐 아니라 헬멧을 썼다 벗었다 하는 불필요한 행동과 시간낭비가 필요없으므로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며 항상 물체를 볼 수 있고 정밀 용접이 가능하므로 품질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어 산업상 또는 인체보호상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액정부(液晶部, Liquid crystal)(1)과 포토·셀(Photo cell)(3)과 변환기(Inverter)(4)와 앤드로직(AND LOGIC)회로(5)와 투명전극(6)과 이 투명전극(6)을 연결하고 이 투명전극(6)에 구형파 전류를 공급하기 위한 발진회로(7)과로 구성되어 상기 발진회로(7)에서 발생되는 구형파 전류에 의하여 전기용접 섬광발생 순간으로부터 0.1초 이내에 섬광을 차광되도록 하고 상기 액정부(1)과 반투명부(2)를 가로, 세로 또는 사선으로 교호배열하여 전기용접 작업중에도 피용접체를 볼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용접용 자동식 차광 보안경.
KR2019830005278U 1983-06-16 1983-06-16 전기 용접용 자동식 차광 보안경 Expired KR8500013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5278U KR850001395Y1 (ko) 1983-06-16 1983-06-16 전기 용접용 자동식 차광 보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30005278U KR850001395Y1 (ko) 1983-06-16 1983-06-16 전기 용접용 자동식 차광 보안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221U KR850000221U (ko) 1985-02-27
KR850001395Y1 true KR850001395Y1 (ko) 1985-07-08

Family

ID=1923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30005278U Expired KR850001395Y1 (ko) 1983-06-16 1983-06-16 전기 용접용 자동식 차광 보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50001395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50000221U (ko) 1985-0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271116A1 (en) Electronic eyewear and display
FI81688B (fi) Optiskt filter foer svetsskyddsglas.
US4237557A (en) Control system for welding helmet liquid crystal light shutter
JPS6194654A (ja) 溶接におけるア−ク光の遮光方法および装置
KR20080021036A (ko) 자동 전원 관리를 구비한 자동 감광 필터
SE8107455L (sv) Ogonlins
US20210145644A1 (en) Vision-Protective Headgear with Automatic Darkening Filter Comprising an Array of Switchable Shutters
NO157243B (no) Sveisebeskyttelse.
KR20100041287A (ko) 기능성 디스플레이 눈부심 방지 장치
DE60101690D1 (de) Auswechselbare, autonome Lichtblendekassette für Schweisserschutzhelm für expandierte Betrachtung
KR850001395Y1 (ko) 전기 용접용 자동식 차광 보안경
EP2332502B1 (en) Automatic shading electric welding lens
SE8404366D0 (sv) Sett och anordning for overvakning av emnens redox-tillstand i glas
JPH11160659A (ja) 暗色化機能を有する透明レンズユニットを具備した眼用保護装具
US2395053A (en) Welder's shield
CN201119949Y (zh) 一种单片机系统控制的自动变光液晶焊接护目镜
KR790002151Y1 (ko) 용접용 보안경
GB1589972A (en) Spectacles or the like
CN211326107U (zh) 一种自动变光电焊防护眼镜
KR0134971Y1 (ko) 용접용 lcd 차폐경장치
CN211326110U (zh) 一种电焊滤光眼镜
GB2138590A (en) Welder's eyeshield having optoelectric element e.g. liquid crystal element
JP2001113386A (ja) Yagレーザ加工用の安全可視窓構造
KR900006884B1 (ko) 전자-광학 용접 렌즈 조립체
JP2018130220A (ja) レーザ光線作業者用めがね又はゴーグル型保護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830616

U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19830616

Patent event code: UA0201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U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UE09021S01D

Patent event date: 19850218

U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5061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50916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