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40004395A - 엘리베이터용 다상 전동기 제어기 - Google Patents

엘리베이터용 다상 전동기 제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4395A
KR840004395A KR1019830001808A KR830001808A KR840004395A KR 840004395 A KR840004395 A KR 840004395A KR 1019830001808 A KR1019830001808 A KR 1019830001808A KR 830001808 A KR830001808 A KR 830001808A KR 840004395 A KR840004395 A KR 840004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providing
motor
response
signal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Withdrawn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1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이 셀리히 자랄 (외 1)
Original Assignee
밸빈 피이 윌리암즈
오티스 엘레베이터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밸빈 피이 윌리암즈, 오티스 엘레베이터 캄파니 filed Critical 밸빈 피이 윌리암즈
Publication of KR840004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395A/ko
Withdrawn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08Controlling based on slip frequency, e.g. adding slip frequency and speed proportional frequency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06Controlling the motor in four quadrants
    • H02P23/07Polyphase or monophase asynchronous induction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Control Of Motors That Do Not Use Commutators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엘리베이터용 다상 전동기 제어기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1도는 축전지에서 전력을 공급받고 본 발명에 따라 제어되는 3상 전동기를 구동하기 위한 인버어터(inverter)를 사용하는 엘리베이터(elevator)시스템의 블럭다이아그램.
제2도는 슬립(slip), 토오크 및 속력 제어를 얻기 위해 제1도의 시스템에서 인버어터를 구동하는데 쓰이는 진폭 및 주파수 제어기(AFCL)의 블럭다이아그램.
제3도는 시간축 상에 도시한 각부의 파형도.

Claims (15)

  1.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2 이상의 N상과 이에 대용되는 권설을 가진 다상 전동기; 축전지; 축전지 충전기; 전동기의 고정자 권선에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축전지로부터 전력을 받고 각 권선에 대응되는 입력과 또 이에 대응되는 출력을 갖는 인버어터; 전동기 회전축 위치를 구별하는 신호(속력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엔코우더;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 통(car); 전동기 속력(r.p.m.), 슬립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고정자 권선에 교류 N상 전류 또는 전압을 출력시키는 인버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전동기 속력(r.p.m.)을 제어하기 위해 속력신호에 응답하여 하나의 신호(진폭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전동기 속력과 인버어터에 의해 전동기에 공급된 교류 전류 또는 전압의 주파수(F SYNCH)사이의 차이를 제어하기 위해 속력신호에 응답하여 하나의 신호(슬립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상기 슬립신호 및 속력신호에 응답하여 정현파 상의 각 위치(angular position)을 구별하는 F CYNCH의 주파수 신호와 360°/N의 등 간격의 서로 다른 각 위치에서의 상기 정면파의 Y좌표를 나타내는 N개의 제2의 신호가 전동기의 매회전 동안 순차적인 열로써, 반대회전 방향에서는 역순으로 주어지도록 제공하는 수단; 상기 각 제2의 신호의 진폭을 진폭신호의 함수로 변화시키는 수단; 상기 각 제2의 신호를 상기 순차적인 열에 따라 인버어터 입력에 인가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제2의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슬립신호 및 속력신호에 응답하여 주파수가 F SYNCH인 정현파의 4개의 상한중 한 상한내의 전동기 회전축 위치를 나타내고 주파수 F SYNCH로 매회전동안 여러번 [N] 반복하는 제3의 신호를 발생하며 또 상기 제3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여러번의 횟수[N]가 상기 슬립신호의 크기의 함수이며 또 상기 슬립신호는 이 슬립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전동기 슬립에 비례할 때[N은 4P와 같은데 P는 전동기의 극수를 나타냄] 상기 정현파에서 0°-180°범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4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은 상기 제4의 신호에 응답하여 0°-180°범위에서의 정면파에서의 제4의 신호 각각에 대하여 180°/N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5의 신호와 이 제5의 신호에 대응되는 양 또는 음의 적절한 부호를 나타내는 제6의 신호의 쌍을 발생시키는 수단; 제5의 신호 각각에 대하여 제5의 신호에 의해 지적된 0°-180°사이의 각 위치를 X로 나타낼 때 Sin X를 나타내는 제7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은 상기 제6, 제7의 신호쌍의 각각에 응답하여 제5의 신호와 이에 대응되는 제6의 신호를 특별히 조합하여 결정되며 0°-360°사이의 값인 X에 대해 Sin X로 그 크기가 정해지는 제8의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7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이 ROM이며; 상기 제8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은 제6의 신호의 함수로써 양 또는 음인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제7의 신호로부터 발생시키기 위한 D/A 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제2의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은 전동기 회전축이 하나의 상한에서 움직이는 동안 점차로 증가하고 다음의 연속된 상한에서는 감소하는 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제2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은 속력신호에 응답하여 4개의 상한중 한개의 상한에 있는 전동기 축의 순시위치를 나타내며 시간출에서의 그 변화특성은 전동기가 회전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 슬립신호에 응답하여 슬립 주파수를 나타내며 시간출에서의 그 변화특성은 슬립의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 상기 슬립 주파수를 나타내는 신호와 상기 회전출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의 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의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수단은 그 이득이 진폭신호의 함수로써 조정되는 아날로그 입력을 받아들이는 증폭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2의 신호를 N개의 권선중의 하나에 인가시키는 상기 수단은 동시에 인가된 각각의 제2의 신호에 대하여 주어지는 신호로 이루어진 N개의 제어 신호중에 특정된 하나의 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op amp의 출력에 연결된 N개의 제어 가능한 스위치를 가진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9. 엘리베이터 장치에 있어서 2 이상의 N상과 이에 대응되는 권선을 가진 다상 전동기; 직류전원; 전동기의 고정자 권선에 전류 또는 전압을 공급하기 위해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받고 각 권선에 대응되는 입력과 또 이에 대응되는 출력을 갖는 인버어터; 전동기 회전출 위치를 구별하는 신호(속력신호)를 제공하기 위한 위치 엔코우더; 전동기에 의해 구동되는 엘리베이터 통(car); 전동기 속력(r.p.m), 슬립 및 방향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고정자 권선에 교류 N상 전류 또는 전압을 출력시키는 인버어터의 동작을 제어하는 엘리베이터 제어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전동기 속력(r.p.m.)을 제어하기 위해 속력신호에 응답하여 하나의 신호(진폭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전동기 속력과 인버어터에 의해 전동기에 공급된 교류 전류 또는 전압의 주파수(F SYNCH) 사이의 차이를 제어하기 위해 속력신호에 응답하여 하나의 신호(슬립신호)를 발생하는 수단; 상기 슬립신호 및 속력신호에 응답하여 정현파상의 각 위치(angular position)를 구별하는 F SYNCH의 주파수 신호와 360°/N의 등 간격의 서로 다른 각 위치에서의 상기 정현파의 Y좌표를 나타내는 N개의 제2의 신호가 전동기의 매회전동안 순차적인 열로써, 반대회전 방향에서는 역순으로 주어지도록 제공하는 수단; 상기 각 제2의 신호를 상기 순차적인 열에 따라 인버어터 입력에 인가시키는 수단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제2의 신호를 제공하는 상기 수단은 상기 슬립신호 및 속력신호에 응답하여 주파수가 F SYNCH인 정현파의 4개의 상한중 한 상한 내의 전동기 회전출 위치를 나타내고 [주파수 F SYNCH로] 매회전동안 여러번 [N] 반복하는 제3의 신호를 발생하며, 또 상기 제3의 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여러번의 횟수[N]가 상기 슬립신호의 크기의 함수하며 또 상기 슬립신호는 이 슬립신호에 의해 표시되는 전동기 슬립에 비례할 때 [N은 4P와 같은데 P는 전동기의 극수를 나타냄] 상기 정현파에서 0°-180°범위의 위치를 나타내는 제4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은 상기 제4의 신호에 응답하여 0°-180°범위에서의 정현파에서의 제4의 신호 각각에 대하여 180°/N만큼 떨어져 있는 위치를 나타내는 제5의 신호와 이 제5의 신호에 대응되는 양 또는 음의 적절한 부호를 나타내는 제6의 신호의 상을 발생시키는 수단; 제5의 신호 각각에 대하여 제5의 신호에 의해 지적된 0°-180°사이의 각 위치를 X로 나타낼 때 Sin X를 나타내는 제7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은 상기 제6, 제7의 신호쌍의 각각에 응답하여 제5의 신호와 이에 대응되는 제6의 신호를 특별히 조합하여 결정되며 0°-360°사이의 값인 X에 대해 Sin X로 그 크기가 정해지는 제8의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7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이 ROM이며; 상기 제8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은 제6의 신호의 함수로써 양 또는 음인 아날로그 신호를 상기 제7의 신호로부터 발생시키기 위한 D/A변환기와 상기 아날로그 신호로부터 아날로그 출력을 제공하기 위한 스위치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N개의 제2의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은 속력신호에 응답하여 4개의 상한중 한개의 상한에 있는 전동기 축의 순시위치를 나타내며 시간축에서의 그 변화특성은 전동기가 회전하는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 슬립신호에 응답하여 슬립주파수를 나타내며 시간축에서의 그 변화 특성은 슬립의 방향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 상기 슬립 주파수를 나타내는 신호와 상기 회전축 위치를 나타내는 신호의 합을 나타내는 신호를 제공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의 신호의 진폭을 변화시키는 수단은 그 이득이 진폭신호의 함수로써 조정되는 아날로그 입력을 받아들이는 증폭기를 포함하며; 각각의 제2의 신호를 N개의 권선중의 하나에 인가시키는 상기 수단은 동시에 인가된 각각의 제2의 신호에 대하여 주어지는 신호로 이루어진 N개의 제어 신호중에 특정된 하나의 신호에 응답하는 상기 op amp의 출력에 연결된 N개의 제어가능한 스위치를 가진 스위칭 회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엘리베이터 장치.
    ※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KR1019830001808A 1982-04-29 1983-04-28 엘리베이터용 다상 전동기 제어기 Withdrawn KR8400043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7306382A 1982-04-29 1982-04-29
US373063 1982-04-29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395A true KR840004395A (ko) 1984-10-15

Family

ID=234707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1808A Withdrawn KR840004395A (ko) 1982-04-29 1983-04-28 엘리베이터용 다상 전동기 제어기

Country Status (17)

Country Link
JP (1) JPS58198184A (ko)
KR (1) KR840004395A (ko)
AU (1) AU553456B2 (ko)
CA (1) CA1214291A (ko)
CH (1) CH660473A5 (ko)
DE (1) DE3310555A1 (ko)
DK (1) DK192483A (ko)
FI (1) FI831304A7 (ko)
FR (1) FR2526242B1 (ko)
GB (1) GB2119186B (ko)
HK (1) HK45888A (ko)
IN (1) IN159024B (ko)
MY (1) MY8700663A (ko)
NZ (1) NZ203557A (ko)
PH (1) PH20318A (ko)
SE (1) SE460723B (ko)
SG (1) SG50587G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84127A (en) * 1982-05-28 1984-11-20 Otis Elevator Company Inverter power transistor protection
FI79209C (fi) * 1986-03-19 1989-11-10 Kone Oy Anordning foer styrning av en trefasig inverter som matar vaexelstroemmotorn vid en hiss.
JPS642594U (ko) * 1987-06-19 1989-01-09
DE19616289C2 (de) * 1996-04-24 1999-06-24 Pal Stalleinrichtungs Gmbh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Begasen von Tierställen
RU2336624C2 (ru) * 2006-03-02 2008-10-20 Общество с ограниченной ответственностью "КардиоМикро" Устройство прямого управления скоростью двигателя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477124A (de) * 1967-12-20 1969-08-15 Bosch Gmbh Robert Anordnung zur Steuerung der Schlupffrequenz einer Asynchronmaschine
JPS5923197B2 (ja) * 1978-01-18 1984-05-31 東芝機械株式会社 誘導電動機のトルク制御装置
US4227137A (en) * 1978-05-30 1980-10-07 Hartman Metal Fabricators, Inc. Digital tach and slip signal motor control
US4266176A (en) * 1979-08-29 1981-05-05 The Charles Stark Draper Laboratory, Inc. Induction motor slip frequency con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50587G (en) 1987-08-28
CH660473A5 (de) 1987-04-30
DK192483A (da) 1983-10-30
GB2119186A (en) 1983-11-09
PH20318A (en) 1986-11-25
FR2526242A1 (fr) 1983-11-04
MY8700663A (en) 1987-12-31
DE3310555A1 (de) 1983-11-10
CA1214291A (en) 1986-11-18
HK45888A (en) 1988-06-24
GB2119186B (en) 1986-03-19
FI831304L (fi) 1983-10-30
SE8302392D0 (sv) 1983-04-28
SE460723B (sv) 1989-11-13
GB8311555D0 (en) 1983-06-02
FI831304A0 (fi) 1983-04-18
IN159024B (ko) 1987-03-07
DK192483D0 (da) 1983-04-28
SE8302392L (sv) 1983-10-30
JPS58198184A (ja) 1983-11-18
FI831304A7 (fi) 1983-10-30
AU553456B2 (en) 1986-07-17
NZ203557A (en) 1986-04-11
FR2526242B1 (fr) 1988-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90661A (en) Control system for synchronous brushless motors utilizing torque angle control
US5872435A (en) Electrical drive arrangement
EP0397514B1 (en) Bridge inverters and the control thereof
US4322671A (en) Induction motor drive apparatus
KR930022699A (ko) 무정류자직류모터
EP0279415A1 (en) Induction motor control apparatus
KR920017340A (ko) 교류 모터 구동 시스템
US4001660A (en) Regulating the torque of an induction motor
KR840004395A (ko) 엘리베이터용 다상 전동기 제어기
CA1037557A (en) Control of rotary-field electric machines
JPH06507060A (ja) 恒久的に励起される単相交流機械を駆動する方法
EP0073839B1 (en) Control device for synchronous motor
KR850003351A (ko) 엘레베이터 구동 및 재생시의 동적이득 보상장치
KR830001315B1 (ko) 유도 전동기 구동장치
SU1198728A1 (ru) Многодвигательн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SU844401A1 (ru) Т гов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CA1058695A (en) Regulating the torque of an induction motor
SU1677837A1 (ru) Вентильный электропривод
SU1272460A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SU1378001A1 (ru) Электропривод переменного тока
JPH0691758B2 (ja) モ−タ制御装置
SU636764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питани асинхронного двигател с фазным ротором
SU1035767A1 (ru)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 асинхронным электроприводом
RU1424679C (ru) Способ автоматического распределени реактивной и активной мощностей между генераторами
SU127566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улучшени коммутации реверсивной электрической машины посто нного ток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0428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88042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198304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C1202 Submission of document of withdrawal before decision of registration

Comment text: [Withdrawal of Procedure relating to Patent, etc.] Withdrawal (Abandonment)

Patent event code: PC12021R01D

Patent event date: 19900521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