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40003439A - 폭이다른 시이트바아(SheetBar)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Google Patents
폭이다른 시이트바아(SheetBar)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40003439A KR840003439A KR1019830000760A KR830000760A KR840003439A KR 840003439 A KR840003439 A KR 840003439A KR 1019830000760 A KR1019830000760 A KR 1019830000760A KR 830000760 A KR830000760 A KR 830000760A KR 840003439 A KR840003439 A KR 84000343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ing
- roll
- different widths
- tool
- carrying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1/00—Rolling stand structures; Mounting, adjusting, or interchanging rolls, roll mountings, or stand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13/00—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 B21B13/14—Metal-rolling stands, i.e. an assembly composed of a stand frame, rolls, and accessories having counter-pressure devices acting on rolls to inhibit deflection of same under load; Back-up rol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28/00—Maintaining rolls or rolling equipment in effective condition
- B21B28/02—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 B21B28/04—Maintaining rolls in effective condition, e.g. reconditioning while in use, e.g. polishing or grinding while the rolls are in their stand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1—Plural diverse manufacturing apparatus including means for metal shaping or assembling
- Y10T29/5102—Binding or covering and cut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 Reduction Rolling/Reduction Stand/Operation Of Reduction Machine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본 내용은 요부공개 건이므로 전문내용을 수록하지 않았음
제3도는 4중(重)로울스탠드의 로올조를 압연방향에서 본 도면이지만 이 경우 동주면(胴周面)을 무작용 위치를 성형하기 위하여 로울동의 양 종단부분에 있어서 압연작업중에 행해지는 절삭을 워어크로울에 있어서 표시한 도.
제4도는 워어크로울의 종단부분의 도면이지만 이경우 로울동의 무작용위치를 성형되는 길이방향 영역이 절두원추 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도.
제5도는 무작용위치를 성형된 로울동의 길이방향영역이 시이드바아의 에지 예리화, 소위 "에지드롭"으로 길항(拮抗)작용하는 프로우필을 가진 워어크로울의 종단영역을 표시한 도.
제6도는 그때마다 압연력의 부하를 받지않는 동종단부에 있어서의 동지면의 무작용위치를 성형가공하기 위한 워어크로울에 소속하는 절삭장치를 구비한 4중 로울스탠드 로울조건의 간략화한 개략측면도.
Claims (40)
- 압연작용을 최대의 판폭(板幅)으로 시작하여 최소의 판폭으로 끝내고 또한 워어크로올 동(胴)을 위한 지지길이를 적어도 거의 그때마다 피압연재의 폭으로 조절하는 양식의 판폭이 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워어크로울(2',2")의 동(5',5")에 그때마다의 단면폭(1.1…1.5)을 초과해서 돌출하고 있는 길이방향영역(6.2…6.5)에 있어서 동주면(胴周面)을 절삭하므로써 무작용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로울동(5',5")의 시이트바아단면(1)의 그때마다 시이트바아폭(1.1…1.5)을 초과하여 돌출하고 하는 길이방향영역((6.2…6.5)에 압연중심선에 대하여 대칭적으로 무작용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로울동주면에 있어서 양측에서 무작용위치를 형성한 워어크로울(2',2")을 부가적으로 벤딩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로울동(5',5")의 시이트바아단면(1)의 그때마다의 단면폭(1.1…1.5)을 초과해서 돌출하고 하는 길이방향영역(6,2…6.5)에 적어도 그때마다의 로울윤곽에 상응해서 무작용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제2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로울동(5',5")의 시이트바아단면(1)의 그때마다의 단면폭(1.1…1.5)을 초과해서 돌출하고 있는 길이방향영역(6.2…6.5)을 로울스탠드내에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제2항,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로울동(5',5")의 시이트바단면(1)의 그때마다의 단면폭(1.1…1.5)을 초과해서 돌출하고 있는 길이방향영역(6.2…6.5)에 선반가공, 밀링가공, 연삭가공 또는 다른 적당한 방법에 의해 무작용위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제2항, 제4항,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로울동(5',5")의 시이트바아단면(1)의 그때마다의 단면폭(1.1…1.5)을 초과해서 돌출하고 있는 길이방향영역(6.2…6.5)을 그의 직경에 있어서 0.1 내지 1.8mm, 특히 0.2 내지 1.0mm로 축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제2항, 제4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로울동(5',5")의 시이트바아단면(1)의 그때마다의 단면폭(1.1-1.5)을 초과해서 돌출하고 있는 길이방향 영역(6.2-6.5)을 압연공정하는 동안에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무작용위치를 형성한 워어크로울(2',2")에 부가적으로 극소적인 냉각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워어크로울의 등에 그때마다의 단면폭을 초과해서 돌출하고 있는 길이방향영역에서 동주면을 절삭하므로써 무작용 위치를 형성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는 방법에 있어서 로울동(25',25")의 시이트바아단면(21)의 상이한 단면폭(26)을 초과해서 돌출하고 있는 길이방향영역(28)을 순차적으로 행해지는 절삭길이 방향영역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공구(40)로 가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0항에 있어서 상이하는 공구(40)를 공구담지체(36',36")와 함께 순차적으로 로울동(25',25")에 상대하는 작업위치로 이동시키고 이어서 이 로울동에 따라서 그때마다의 잘삭길이 방향영역에 걸쳐서 운동길이(38',38")만큼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각각 2개의 절삭공정을 동시에 서로 이간하는 방향으로 지향하고 있는 동종단부로 부터 서로 접근하는 운동으로써 동주면에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0항 내지 제12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잘삭길이 방향영역을 위한 운동길이(38',38")를 2개의 인접하는 공구(40)간의 간격(41)로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워어크로울의 동에 그때마다의 단면폭을 초과해서 돌출하고 있는 길이 방향영역에 있어서 동주면을 절삭하므로써 무작용위치를 형성하는 압연작업을 최대의 판폭으로 시작하여 최소의 판폭으로 끝내고 또한 워어크로울동을 위한 지지길이를 적어도 거의 그때마다의 피압연재의 폭으로 조절하는 양식의 판폭이 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워어크로울(52)의 동(55)의 무작용위치를 형성할 길이방향영역(58)에 레이저광선(60',60")을 지향시키고 이때 이 레이저광선(60',60")과 동(55)과의 사이에서 주방향(62) 및 길이방향(61',61")에서의 상대운동을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4항에 있어서 레이저광선(60',60")을 동(55)의 외피에 수직으로 지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판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4항 또는 15항에 있어서 동(55)의 주면에서의 절삭깊이를 로울회전수 및/또는로울윤곽에 의존하여 행해지는 레이저광선(60',60")의 에너지를 조정하므로써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무작용위치를 형성할 길이방향영역(58)에 있어서 레이져광선(60', 60")에 의해 서로 전후해서 다중(多重)과 같은 트레이스 선을 찰과(擦過)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트레이스선 찰과의 수를 그때마다의 로울윤곽에 의해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직어도 워어크로울(2',2")에 로울축선에 대하여 한쪽에서는 평행으로 또한 다른쪽에서는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절삭장치, 예컨대 선반장치, 밀링장치, 연삭장치 및/또는 다른 적당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 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19항에 있어서 1쌍의 절삭장치(9,9',9")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장치가 동시에 양워어크로울(2',2")의 로울동(5',5")의 종단영역(6.2…6.5)방향으로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잘삭장치(9,9',9")가 시이트바아 입측(入側) 안내부(7,7',7")에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시이트바아입측안내부와 함께 시이트바아 단면(1)의 단면폭(1.1…1.5)으로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19항 내지 제21항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2쌍의 절삭장치(10)가 설치되어 있으며 이들의 절삭장치의 각각이 워어크로울(2',2")의 각각에 작용하도록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2항에 있어서 절삭장치, 예컨대 쌍으로 되어서 형동하는 연삭유닛(10)이 각각 백업로울(3',3")의 길이방향축선을 중심으로 하여 선회가능하며 또한 워어크로울(2',2")의 로울동(5',5")의 주면에 대하여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19항에 있어서 워어크로울-벤딩장치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19항에 있어서 로워크로울(2',2")및 또는 백업로울(3',3")에 역작용에 의한 로울간극조정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 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적어도 워어크로울(2',2")에 로울축선에 대하여 한쪽에서는 평행으로 또한 다른쪽에서는 횡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절삭장치, 예컨대 선반장치, 밀링장치, 연삭장치 및/또는 다른 적당한 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로울스탠드에 있어서 로울동(25',25")의 절삭길이방향영역의 각각을 위하여 공구군(群)의 특별한 공구(40)가 공구담지체(36' 또는 36")내에 자리잡고 있으며, 이 공구담치체가 최대 절삭길이방향 영역의 치수만큼 로울축선에 대하여 평행으로 이동가능한 것 및 공구군이 상기한 공구(40)가 각각 서로 전후해서 공구담지체(36', 36")와 함께 로울동(25', 25")에 대하여 상대하는 작업위치로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에 있어서 공구군의 모든공구(40)가 공통의 터릿헤드(turret heed)로서 형성된 공구담지체(36', 36")내에 자리잡고 있으며, 이 공구담제가 압연축선에 대하여 평행한 축선(37-37)을 중심으로 하여 걱거리(42)가 조정가능하도록 로울스탠드(30, 31")에 의해서 담지되어 있는 조절장치(30, 31": 32 : 33 : 34 : 35)내에서 베어링대(35', 35",35'": 39)에 의해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 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 또는 제27항에 있어서 공구(40)가 터릿헤드로서 형성된 공구담지제(36′또는 36″)내에 장착되는 날붙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 내지 제28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터릿헤드로서 형성된 공구담지체(36′또는 36″)의 구조길이가 로울동(25′또는 25″)의 최대의 가공길이(28)로 알맞게 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 내지 제29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구(40)의 절삭치수가 한쪽에서는 터릿헤드로서 형성된 공구담지체(36′또는 36″)내에서의 그 반경방향의 위치에 의해서, 다른쪽에서는 공구담지체(39′또는 36″)에 대하여 등축으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 공구담지체와 함께 워어크로울(22′또는 22″)의 지지칼라(44′또는 44″)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주사(走査) 로울(43′또는 43″)에 의해서 결정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 내지 30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구(40)의 반경방향의 위치가 터릿헤드로서 형성된 공구담지체(36′또는 36″)내에서 조절장치에 의해 변경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 내지 제31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터릿헤드로서 형성된 공구담지체(36′또는 36″)가 압하(壓下)장치 내에서 주사로울러(43′또는 4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액압에 의한 또는 기계적인 구동기구에 의해 2개의 정해진 종단 위치사이에서 운동길이(38′또는 38″)만큼 축방향으로 접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 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 내지 제32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터릿헤드로서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일치한 공구군-장비 및 각각 하나의 주사로울러(43′또는 43″)를 구비한 공구담지체가 상호 경(鏡) 대칭적으로 공통의 입하장치(31, 31″: 32 : 33 : 34″ : 35)내에 설치되어 있고 이경우 축(39)위에서 각거리(42)로써 같은 방향으로 선회가능하며 더우기 서로 반대방향에서 축방향으로 운동길이(38′또는 38″)만큼 이동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 내지 제33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공구군의 공구(40)의 각각이 같은 각거리(42)에서 터릿헤드로써 형성된 공구담지체(36′또는 36″)의 주방향으로 배분하여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 내지 제34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다수의 공구군이 터릿헤드로서 형성된 공구담지체(36′또는 36″)의 주방향으로 서로 전후해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의 공구군의 각각이 주사로울러(43′또는 43″)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다른 절삭치수로 미리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 내지 제35항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각각의 공구(40)의 작업영역을 위하여 터릿헤드로서 형성된 공구담지체(36′또는 36″)의 하나에 또는 각각에 냉각제 및/또는 윤활제 분무장치(46)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 내지 제36항중 어느하나에 있어서 압하장치(31, 31″: 32 : 33 : 34' : 34" : 35)가 로울스탠드(30', 30")사이에 있어서 그의 작업면이 압연면에 대하여 경사되어 있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26항 내지 제37항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그때마다의 등(55)의 외피에 대하여 수직으로 지향 가능한 레이저광선(60', 60")을 구비한 레이저장치(59', 59")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38항에 있어서 레이저장치(59', 59")의 각각이 로울축선에 대하여 평행으로 화살표(61', 61")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레이저장치(59', 59")가 에너지조절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이다른 시이트바아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참고사항 : 최초출원 내용에 의하여 공개하는 것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DE19823206556 DE3206556A1 (de) | 1982-02-24 | 1982-02-24 | Verfahren und walzgeruest zum auswalzen von bandmaterial unterschiedlicher breite |
DEP.320,555.6 | 1982-02-24 | ||
DEP.322,3099.0 | 1982-06-21 | ||
DE19823223099 DE3223099A1 (de) | 1982-06-21 | 1982-06-21 | Verfahren und walzgeruest zum auswalzen von bandmaterial unterschiedlicher breit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40003439A true KR840003439A (ko) | 1984-09-08 |
Family
ID=25799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30000760A KR840003439A (ko) | 1982-02-24 | 1983-02-24 | 폭이다른 시이트바아(SheetBar)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4479374A (ko) |
EP (1) | EP0086934B1 (ko) |
KR (1) | KR840003439A (ko) |
DE (1) | DE3362971D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8309021D0 (en) * | 1983-03-31 | 1983-05-11 | Davy Mckee Sheffield | Rolling mill |
JPS61144202A (ja) * | 1984-12-19 | 1986-07-01 | Kawasaki Steel Corp | 板材の形状制御圧延方法および圧延機 |
US4599883A (en) * | 1985-07-05 | 1986-07-15 | Wean United, Inc. | Tandem rolling mill |
DE3631146A1 (de) * | 1986-09-12 | 1988-03-24 | Kocks Technik | Vorrichtung zur spanabhebenden arbeitsflaechenbearbeitung von walzen |
US5093974A (en) * | 1990-04-12 | 1992-03-10 | United Engineering Inc. | Bendable sleeved roll |
Family Cites Families (9)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861981A (en) * | 1906-10-17 | 1907-07-30 | Walter I Hill | Roll-scraper. |
US1086806A (en) * | 1913-02-10 | 1914-02-10 | Harry K Collins Sr | Polishing and grinding device for rolls. |
US2566679A (en) * | 1943-02-25 | 1951-09-04 | Armzen Company | Rolling mill and lubrication method and means therefor |
DE1037804B (de) * | 1954-10-01 | 1958-08-28 | E H Oskar Waldrich Dr Ing | Einrichtung an Walzenstuehlen zum Nacharbeiten der Walzen im eingebauten Zustand |
US3322037A (en) * | 1964-05-25 | 1967-05-30 | Torrington Mfg Co | Chip exhaust system |
GB1351074A (en) * | 1971-02-15 | 1974-04-24 | Hitachi Ltd | Rolling mills |
DE2835514C2 (de) * | 1978-08-12 | 1982-12-02 | Sundwiger Eisenhütte Maschinenfabrik Grah & Co, 5870 Hemer | Vorrichtung zum axialen Verschieben von konischen Zwischenwalzen in einem Mehrrollen-Walzgerüst |
JPS5682150A (en) * | 1979-12-07 | 1981-07-04 | Fujitsu Ltd | Method for machining groove |
EP0044715A1 (en) * | 1980-07-17 | 1982-01-27 | DAVY McKEE (SHEFFIELD) LIMITED | Rolling mill |
-
1983
- 1983-01-10 EP EP83100136A patent/EP0086934B1/de not_active Expired
- 1983-01-10 DE DE8383100136T patent/DE3362971D1/de not_active Expired
- 1983-02-23 US US06/469,137 patent/US4479374A/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 1983-02-24 KR KR1019830000760A patent/KR84000343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3362971D1 (en) | 1986-05-22 |
EP0086934A1 (de) | 1983-08-31 |
EP0086934B1 (de) | 1986-04-16 |
US4479374A (en) | 1984-10-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515029A (en) | Device for removing the burr from the ends of cylindrical parts | |
CA2414099A1 (en) | Method and apparatus for flexible manufacturing a discrete curved product from feed stock | |
US4180359A (en) | Machine tool for machining of shafts, especially crankshafts | |
JP3869115B2 (ja) | 加工機械 | |
KR840003439A (ko) | 폭이다른 시이트바아(SheetBar)를 압연하기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로울스탠드 | |
US3254568A (en) | Strip edge finishing machine | |
JPH1076326A (ja) | ころ保持器のポケットの打抜き加工装置及びこの装置によって作られたころ保持器 | |
US5927166A (en) | Roller cutting method for a plural-roll rolling mill | |
SE7710586L (sv) | Forfarande och valsverk for valsning av metallband | |
RU2463129C1 (ru) |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профильного вала со сторонами равной ширины | |
JPS5577904A (en) | Rolling method for shape control | |
KR20040012081A (ko) | 압연소재 센터링용 사이드 가이드 장치 | |
JPH07112203A (ja) | 常温単一多重形材要素から常温で単一完成形材を得る方法と機械 | |
GB2207072A (en) | Device for the cutting and shaping of cylindrical surfaces | |
SU1430180A2 (ru) | Станок дл обработки бандажей и роликов | |
JP2004202533A (ja) | 複合加工機 | |
SU698712A1 (ru) | Манипул тор ковочных вальцов | |
SU1180241A1 (ru) |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винтовых поверхностей | |
DE2511004C2 (de) |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thermischen abtragen von oberflaechenverunreinigungen an insbesondere warmgewalztem stranggut mit kreisfoermigem oder annaehernd kreisfoermigem querschnitt | |
SU730553A1 (ru) | Раскатник | |
SU577118A2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суперфинишировани поверхности качени бочкообразных роликов | |
SU1016088A1 (ru) |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ручьев прокатных валков | |
SU647073A1 (ru) |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резки элементов оболочек из сферических заготовок | |
US4036105A (en) | Machine for edge forming of sheets for welding | |
SU422576A1 (ru) | Обкатное устройство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30224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PC1203 | Withdrawal of no request for examina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