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40000189B1 - 합성물질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합성물질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40000189B1
KR840000189B1 KR1019830003590A KR830003590A KR840000189B1 KR 840000189 B1 KR840000189 B1 KR 840000189B1 KR 1019830003590 A KR1019830003590 A KR 1019830003590A KR 830003590 A KR830003590 A KR 830003590A KR 840000189 B1 KR840000189 B1 KR 840000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trip
welding
main cavity
containers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5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띠에 롤
Original Assignee
쏘씨에떼 제네랄 데오 미네랄드 비뗄
모뜨 부루미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쏘씨에떼 제네랄 데오 미네랄드 비뗄, 모뜨 부루미에 filed Critical 쏘씨에떼 제네랄 데오 미네랄드 비뗄
Priority to KR10198300035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840000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40000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0189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50/00Making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e.g. boxes or cart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4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 B65D75/20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single sheets or wrapper blanks in sheets or blanks doubled around contents and having their opposed free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합성물질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제1도, 제4도, 제7도, 제8도, 제9도, 제11도 및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의 바람직한 각종 형태의 용기의 개략적인 정면도.
제2도, 제5도, 제10도, 제12도 및 제14도는 각각 제1도의 선 Ⅱ-Ⅱ, 제4도의 선 Ⅴ-Ⅴ, 제9도의 선 Ⅹ-Ⅹ, 제11도의 선
Figure kpo00001
-
Figure kpo00002
및 제13도의 선
Figure kpo00003
-
Figure kpo00004
에 따른 단면도.
제3도 및 제6도는 각각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용기의 연속제조에 있어서 두개의 나란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종축을 따라 겹쳐진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의 스트립을 낭비없이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의 제1형태에 따라 용기를 제조하는 공정을 수행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라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제조된 광천수를 함유하고 있는 용기의 제2의 바람직한 형태의 제1실시예의 개략적 투시도.
제17도는 제16도에 도시한 용기의 열(row)을 연속 및 자동적으로 제조하는 공정의 개략적 투시도.
제18도-제22도는 단면으로 제17도의 공정을 나타낸 각종 상세도.
제22a-23b도는 제17도 장치의 변형 형태의 두 연속부분의 개략적 투시도.
제24도는 본 발명에 따라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제조된 광천수를 함유하고 있는 용기의 제2의 바람직한 형태의 제2실시예의 개략적 투시도.
제2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하나의 실시예의 개략적 정면도.
제26도, 제27도, 제28도, 제29도 및 제30도는 제25도의 A-A선에 따른 단면에 의하여 손잡이를 단단히 하기 위한 중실부재의 여러가지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31a도-제31b도는 제30도에 따른 손잡이를 얻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된 용기(특히 액체를 넣기 위한)는 이미 제작되어 왔으며, 일정량의 액체(샴푸액 및 자벨수등)를 함유하며 "향낭(Sachet)"으로 보통 알려진 가늘고 긴 형태의 봉함용기는 공지되어 있다.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제작된 이들 봉함용기는 일반적으로 단지 한번만 사용하도록된 액체 생성물을 일정량 함유하도록 사용된다. 따라서, 그 용량은 수십 ㎤를 초과하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종류의 향낭은 그의 벽에 있는 개구, 예컨대 천공에 의하여 형성된 개구에 의하여 단한번의 스트로크로 신속히 비워질 수 있어 취급에 있어서 어려움이 생기지 않는다.
그러나, 1/2ℓ 이상의 용량을 갖는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의 용기를 제공해야 하는 경우 및 그 내용물(예컨대 광천수)을 연속적으로 수회 사용해야하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이 경우, 한번 부분적으로 개방된 유연성 물질의 용기는 예컨대 다음회에 사용할 때까지 그 저부로 지탱할 수 있도록 더이상 충분히 견고하지 않다. 유연성이 높은 이러한 형태의 용기는 비울 때 변형되기 때문에 한번에 비우기가 매우 곤 란하게 되며, 심지어 비울때 양손으로 지지하는 경우 견고한 벽을 가진 다른 용기에, 예컨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글라스에 정확하게 비우기가 매우 곤란하다.
본 발명은 비교적 큰용량(예컨대 1/2ℓ 이상)을 가지며 비울 때 충분한 잔류강성을 갖는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된 용기를 제조함으로서 상술한 결점을 제거하여 준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형태의 용기의 제조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유연성 합성물질로 구성되며 사실상 제작하고자 하는 용기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개방된 자루(bag)를 용접에 의하여 만들고, 이 자루를 예정량의 액체로 충전한 다음 용접에 의하여 용기의 주공동과 밀폐 포켓사이의 분리선을 형성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제조되고 또 주 공동과 포켓(이들 둘다 밀폐되어 있다)에 유사한 액체를 함유하고 있는 용기는 연속방법에 의하여 특히 종축을 따라 겹쳐진 유연성 합성물질의 얇은 스트립(strip)의 단부에서 개방된 자루를 두개의 나란한 부분으로 형성한 다음 자루를 충전하고 밀폐하여 스트립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충전 및 밀폐된 자루를 나누어 선을 분리함으로서 완전 자동으로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다른 제조방법의 산출량은 아주 동일한 용접구를 사용하여 자루의 밀폐선과 분리선을 동시에 형성함으로서 더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용접구는 서로를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고 보충적인 임프린트 부분을 가지며 또 서로를 향하여 이동할 때 액체로 충전하는 경우 제작하고자 하는 용기의 용량과 사실상 동일한 용량으로 한계를 정하는 두개의 전극으로 구성된 것이 특히 잇점이 있으며, 상술한 전극의 각각은 최소한 두개의 용접돌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하나는 자루의 밀폐선에 일치하고 다른 것은 제작하고자 하는 용기의 주 공동과 밀폐 포켓사이의 분리선에 일치한다.
제2형태의 용기는 상이한 두 방법에 의하여 제공될 수 있는데, 이들 방법은 다수의 동일한 용기를 여러줄로 신속하고 완전하게 자동 생산할 수 있는 점에 있어서 특히 잇점이 있다. 제1의 제조방법에서, 용기의 저부 모서리에 해당하는 저부에서 두개의 Ⅴ-형 층의 단부는 절단되어 두 층이 그들의 전체 길이에 걸쳐 분리되는 방식으로 경사진 모서리를 형성하도록 용접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기의 주 공동이 액체로 채워지는 경우, 액체의 중량은 최소한 저부의 중간부분에서 두 Ⅴ-형층을 사실상 평평하게 하는 효과를 가진다. 이결과 충전된 용기의 표면이 평탄하게 된다. 제2의 제조방법에서, 저부에서 두 Ⅴ-형층은 그들의 해당하는 용접된 단부에서만 접착 결합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 충전된 용기는 그의 저부에서 Ⅴ-형충의 저부에 의하여 그리고 그들의 용접 및 결합된 단부에 의하여 지탱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상술한 제2의 제조방법의 경우, 용기는 두 Ⅴ-형층의 각각의 저부가 해당하는 층의 전체 길이를 따라 뻗어있는 용접에 의하여 단단해지는 경우 더욱 안정한 방법으로 지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상술한 형태의 용기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되는데, 이 방법은 W자 형상으로 종방향으로 겹쳐진 혼합 합성물질의 스트립을 수평으로 단계적으로 전진시키되, 각각의 공급 단계는 각각의 용기의 폭보다 약간 크게 하거나 또는 그 폭의 배수보다 크게 하고, 동시에 스트립의 두께의 Ⅴ-형 주름의 저부를 용접하여 각각의 용기의 소정폭에 해당하는 거리로 분리된 스트립의 제1 및 제2용접을 만들고, 겹쳐진 스트립의 저면과 그의 두Ⅴ-형 주름의 저면을 상호 연결하여 제3용접을 만들어 제1용접과 함께 용기의 주 공동의 한계를 정하고 또 제2용접과 함께 용기의 포켓의 한계를 정하고, 상술한 공동 및 포켓은 겹쳐진 스트립의 상부 모서리에서 개방되게 하고, 최소한 주 공동에서 스트립의 상부 모서리를 분리하여 액체를 주공동에 주입하고 또 가압하여 포켓에 가스를 주사하기 위한 소형 파이프를 주입하고, 서로에 대하여 그리고 가압하에 가스를 분사하는 동안 소형 파이프의 둘레에 대하여 겹쳐진 스트립의 상부 모서리를 압축시킨 다음, 소형 파이프를 제거한 후 겹쳐진 상부 모서리를 서로 용접하여 주 공동과 포켓을 밀폐시키는 단계를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손잡이를 형성하는 제2공동에 팽창성 물질을 분사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 제4도 및 제5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용기는 각각 두개의 겹쳐져 나란한 모서리(3a 및 3b)를 따라 용접해 있는 유연성 합성물질의 동일한 얇은 쉬이트로 형성된 저부(1) 및 두개의 측벽(2a 및 2b)을 가지고 있다.
용기측벽(2a 및 2b)의 두개의 나란한 영역은 용기의 내부를 서로 연통하지 않는 주 공동(A)과 밀폐 포켓(B)으로 분할하도록 위치한 연속 용접선(4)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겹쳐진 쉬이트의 상부의 나란히한 모서리는 액체를 함유하는 포켓(B)을 완전히 밀폐하도록 영역(5B)(제1도 및 제4도)에서 반드시 서로 용접되어 있다.
제1예에서, 겹쳐진 쉬이트의 상부의 나란한 모서리는 영역(5A)에서 용접되지 않기 때문에 용기의 주 공동(A)이 액체나 기타 물질로 채워지도록 개방되어 있다. 즉 액체가 주 공동(A)의 저부에서 높은 수준에 도달하게 되면, 밀폐 포켓(B)에 함유되어 있는 액체와 함께 용기의 저부가 크게 변형됨이 없이 지탱할 수 있도록 용기에 충분한 강성을 부여한다. 주 공동(A)이 액체로 완전히 채워진 경우 액체는 연속부분으로 분배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조작중에 용기의 강성 및 안정성은 주로 밀폐 포켓(B)(특히 제4도에 도시한 구조의 형태에서)에 함유된 액체에 의하여 부여된 강성에 의하여 확실하게 된다. 상기에 설명된 실시예에서 언제나 액체로 채워지는 밀폐 포켓은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구조에서는 용기를 운반하거나 용기로부터 액체를 부울 때 손잡이의 일종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용기에 의하여 나타낸 제2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겹쳐진 쉬이트의 상부의 나란한 모서리는 영역(5A)에서 또한 용접되기 때문에 밀폐 포켓(B)에서와 유사한 액체로 밀폐 및 충전된다. 예컨대 용기의 상부 좌측 모서리가 점선(C)을 따라 절단된 후 부분(B)에 의하여 용기를 잡음으로서 주 공동(A)에 함유되어 있는 액체를 부울 수 있으며, 액체는 용기의 지나친 변형없이 수회 연속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액체(B)의 포켓의 존재로 인하여 용기에 강성이 부여되기 때문이다.
제1도 및 제4도에서 점선(Da 및 Db)은 또한 용기 저부의 두 모서리를 잘라낼 수 있음을 나타낸 것이며, 그의 방수는 해당하는 용접선에 의하여 유지된다.
제3도 및 제6도는 두개의 나란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종축(9)을 따라 겹쳐진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의 스트립(8)을 낭비함이 없이 절단하여 제1도 및 제4도에 각각 도시한 바와같은 용기를 제조할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제7도 및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용기의 구조 형태는 밀폐 포켓(B)의 형상과 크기 및 용기의 주 공동(A)으로부터 포켓을 분리하는 용접선(4)에 있어서만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것과 상이하다. 수평단면에 있어서 그 형상은 제5도에 도시한 것에 상응하다.
제9도 및 제10도에 도시한 구조의 형태에서, Ⅴ형태인 분리선(4)은 3각형 형상의 밀폐 포켓(B)을 분리하여 용기가 특히 용이한 방식으로 파지게하는 손잡이를 형성한다. 다른 형태의 구조(도시 안됨)에서, 가늘고 긴 형상의 밀폐 포켓의 중간부분은 용기로부터 부분적으로 나누어진 손잡이가 형성되어 손이 통과하기에 충분한 크기로 된 개구에 의하여 주 공동을 함유하는 용기의 중간부분으로부터 분리된다.
제11도 및 제12도에 개략적으로 도시한 용기는 제12도에서 도시한 원통형 윤곽으로 겹쳐진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의 제1 쉬이트에 의하여 주로 형성되며, 용접선(4a, 4b 및 5)은 상술한 원통형 윤곽내의 주 공동(A), 및 주 공동(A)과 연통하지 않는 2개의 측부 포켓(Ba 및 Bb)의 한계를 정한다. 원통형 용기의 2단부는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1a 및 1b)의 2개의 다른 쉬이트에 의하여 밀폐되어 있고, 그 각각의 단부는 쉬이트(2a-2b-2c)의 해당하는 모서리에 용접되어 있다. 주 공동(A)은 밀폐된 2 포켓(Ba 및 Bb)과 동일한 종류의 액체로 충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용기는 그 형상으로 인하여 우수한 안정성을 가진다.
제13도 및 제14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용기는 그 상부 모서리(5A-5B)가 그 저부(1)에 대하여 경사진 평면으로 배치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만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것과 상이하다.
제15도는 주 공동과 포켓에 유사한 액체를 수용하는 본 발명에 따른 용기의 연속 제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으로서, 용기는 두개의 나란한 부분을 형성하기 위하여 그의 종축에 대하여 겹쳐져 있는 유연성 합성물질의 얇은 스트립으로부터 얻어지며, 스트립은 수직으로 풀린다. 제15도에서, 부호(6a 및 6b)는 평행 샤프트에 대하여 자유로히 회동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2부분을 형성하도록 그의 종방향축을 따라 유연성 합성물질의 스트립(7)을 접어 상기 스트립의 접혀진 2부분이 나란한 관계가 되도록 배열되어 있는 2개의 로울러를 표시한다. 부호(8)는 유연한 액체-분사 파이프를 나타내며, 그 단부는 로울러(6a, 6b) 아래에서 스트립(7)의 2개의 나란한 부분(7a 및 7b) 사이에서 종단된다. 그의 상단부에서 개방되어 있는 자루는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적당한 형상 및 크기를 가진 2개의 전극(10a, 10b)으로 구성된 용접구에 의하여 적당한 길이 이상으로 나란한 모서리(9)를 함께 용접하므로서 스트립(7)의 단부(7a-7b)에서 형성된다. 제1의 용기를 제조할 목적으로, 포개진 스트립의 저부의 나란한 모서리를 함께 용접하므로서 자루의 저부를 밀폐시킬 필요가 있는데, 이것은 용접구(10a-10b)와 유사한 특수 용접구를 이용하여 성취할 수 있다. 이 특수 용접구는 그 용도에 있어서 제1의 용기의 제조에만 필요하기 때문에 도시하지 않았다.
파이프(8)의 저부 단부를 미리 형성된 개방 자루내에 설치하고, 제어 및 측정, 장치(도시되지 않았으나 공지되어 있음)를 사용하여 제조하고자 하는 용기의 최종 내부용량에 해당하는 소정량의 액체를 상술한 자루에 주입할 수 있다.
자루를 밀폐하기 위한 선 및 완성된 용기에서 주 공동이 되고 또 밀폐 포켓이 되게하는 분리선이 동일한 용접구에 의하여 동시에 형성되는데, 그의 바람직한 형태가 제15도에 도시되어 있다. 바람직한 형태의 용접구는 서로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으며 2개의 보충적인 임프린트(imprint) 부분을 가진 두 개의 전극(11a 및 11b)으로 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용접구가 합쳐지는 경우, 액체로 충전될 때 생성되는 용기의 부피와 사실상 동일한 부피를 한정한다. 제15도로부터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용접구의 전극(11b)은 특히, 다른 전극(11a)에 나타난 면에, 2개의 오목부분(12A 및 12B)으로 구성된 임프린트 부분을 가지고 있으며, 그 형상 및 부피는 각각 제조될 용기의 주 공동(A)의 1/2 및 밀폐 포켓(B)의 1/2에 해당한다(예컨대 제4도 및 제5도에 도시한 형태의 용기의 제조에 사실상 해당한다). 전극(11b) 같은 두 전극의 각각의 임프린트 부분을 형성하는 2개의 오목부분(12A 및 12B)은 제1용접 리지(ridge)(4b)에 의하여 분할되어 있으며, 리지(4b)는 사실상 직선이며 또 2전극(11a, 11b) 사이의 접합면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것은 위치 및 길이에 있어서 제조될 용기의 주 공동과 밀폐 포켓(B)이 될 분리선(4)에 해당한다. 또한 전극(11b) 같은 전극 각각의 상부 모서리는 충전된 자루를 밀폐하기 위한 용접선을 가능하게 하여 주는 제2용접 리지(3bb)를 가지고 있으며, 상술한 용접선은 겹쳐진 스트립(7a-7b)을 횡으로 뻗어있다. 이 용접선은 제조하고자하는 용기의 제2의 용접된 측부 모서리(3b)에 해당하며, 동시에 자루의 저부 밀폐선에 해당한다. 이것은 다음 용기를 구성하며, 그의 밀폐선은 제1의 용접된 측부 모서리(3a)를 형성한다.
용접구(11a, 11b) 아래에는 두개의 수평 브레이드(13a, 13b)를 가진 절단구가 배열되어 있으며, 이것은 함께 합칠 수 있으며 브레이드의 위치 및 직경은, 겹쳐진 스트립(7a-7b)의 저단부에 형성된, 충전 및 형상을 가진 용기가 이미 형성된 용접선(3b)에서 스트립의 단부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선택된다.
제15도의 저부는 이미 제조되어 겹쳐진 스트접(7a-7b)으로부터 분리된 충전 및 밀폐된 용기를 형성하기 위한 임의의 2개의 부수적인 조작을 나타낸 것이다. 동시에 수행할 수 있는 이들 조작은 각각 절단 및 용접구(14a 및 14b)에 의하여 특히 제4도에 도시한 점선(Da 및 Db)을 따라 용기의 2저부 모서리를 절단하는 것으로 구성된다. 이와같은 절단 및 용접의 이중 조작중에, 용기는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으며, 도시한 형태에서는 분리선(4)에서 용기를 좌일 수 있도록 된 2개의 지지구(15a 및 15b) 사이에 유지된다. 반면에 용기의 저부(1)는 수직 저지구(16)에 기대여 있다. 지지구(15a 및 15b)가 분리되면, 용기와 2개의 부스러기 조각(17a 및 17b)은 콘베어 벨트(18)에 떨어진다.
상술한 제조방법은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가지 방법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들면, 유연성 합성물질의 스트립은 수직으로 푸는 대신 수평으로 풀 수 있다. 이경우, 개방된 자루는 상술한 겹쳐진 스트립을 횡단하는 용접선을 최소한 하나 제공함으로서 겹쳐진 스트립의 단부에 형성된다. 이경우 이와같이 형성된 자루의 개구는 겹쳐진 스트립의 나란한 종방향 모서리에 위치하며, 이 모서리는 적당한 방법으로 약간 간격을 두어 유지시켜 자루가 상술한 것과 유사한 장입방법에 의하여 기정량의 액체로 충전되게 할 수 있다. 그다음 충전된 자루는 겹쳐진 스트립의 나란한 모서리까지 용접시키므로서 밀폐되며, 또한 주 공동과 밀폐 포켓 사이의 분리선은 제15도에 도시한 공구(11a-11b)와 유사한 용접구를 사용하여 용접에 의하여 형성된다.
또한 자루의 밀폐선 및 주 공동과 밀폐 포켓사이의 분리선은 분리 용접구에 의하여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물론 제작하고자 하는 용기와 동일한 크기의 개발된 자루를 형성하고, 유연성 합성물질의 엷은 두께의 하나 이상의 나란한 모서리를 함께 용접한 다음, 상술한 자루에 기정량의 액체를 충전한후, 자루의 밀폐선 및 용기의 주 공동과 밀폐 포켓 사이의 분리선을 용접에 의하여 형성시키므로서 본 발명에 따라 연속 조작으로 용기를 제조할 수 있다.
지금까지, 밀폐 포켓(B)은 주 공동(A)과 동일한 형태의 액체로 충전한 것으로 가정하였으며, 제15도를 참고로 기술한 방법은 이와같은 형태의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것이다. 그러나, 상술한 형태의 용기의 포켓(B)은 예컨대 공기 같은 가압가스로 충전할 수 있다. 그러나 밀폐 포켓(B)이 가압가스로 충전되는 경우, 예컨대 제16도에 도시한 상이한 형태의 용기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6도에서, 용기는 주 공동(A) 및 액체로 충전되며 주 공동과 연통하지 않는 밀폐 포켓(B)으로 구성되어 있다. 포켓(B) 및 이것에 함유된 액체는 특히 주 공동(A)이 비어 있을 때 용기에 일정한 강도를 부여하도록 선택되는데, 이것은 예컨대 점선(C)을 따라 주입관을 통하여 절편을 만든 후에 이루어진다. 주 공동(A)이 광천수로 충전되고, 한편 밀폐 포켓(B)은 예컨대 약간 압축시킨 공기 같은 가압가스가 충전된다.
용기는 저부(1) 및 두개의 측벽(2a 및 2b)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은 나란한 모서리(3a 및 3b)를 따라 용접된 유연성 합성물질의 얇은 단일 쉬이트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밀폐 포켓(B)은 측벽(2a 및 2b)의 나란한 두 영역을 상호 연결하는 연속 용접선(4)에 의하여 주공동(A)으로부터 분리된다. 저부(1) 및 2측벽(2a 및 2b)은 용기의 내부에 나타난 면에만 열-용접할 수 있는 공지 형태의 혼성 합성물질로 형성되며, 저부(1)는 전체길이에 걸쳐 2개의 측벽(2a 및 2b)에 평행하게 뻗어있는 2개의 Ⅴ-형 주름(1a 및 1b)을 가지고 있으며, 이들 2개의 Ⅴ-형 주름의 각각의 단부는 하나는 용접부(19)에 의하여, 다른 하나는 용접부(20)에 의하여 밀폐된다. 그러나, 저부(1)에서 2개의 V-형 용접부(1a 및 1b)는 서로 분리되고 그들의 단부는 절단되어 제16도의 부호(19)로 명백한 바와같이 경사져서 용접되어 있다. 마직막으로, 저부(1)의 2개의 Ⅴ-형 주름(1a 및 1b)의 각각의 저단부는 주름(1a 및 1b)의 전체길이를 걸쳐 뻗어있는 용접부(21)에 의하여 강인해진다.
주 공동(A)에 함유된 액체의 중량은 주름의 용접된 단부 근처를 제외하고 저부 (1)의 2개의 Ⅴ-형 주름(1a 및 1b)의 내면을 평탄하게하는 효과를 가지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용기의 안정성을 양호하게 하기에 충분히 큰 고정면이 되게 한다. 그의 저부(1)는 수평면으로 놓여진다. 밀폐 포켓(B)은 용기를 용이하게 지지할 수 있는 손잡이를 형성하며, 또한 상술한 여러 가지 다른 형태중의 어느 하나를 취할 수 있으며, 또는 활모양의 손잡이를 형성하도록 절단될 수도 있다.
제17도는 제16도의 것과 동일한 용기의 열을 연속적으로 자동식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의 개략적 투시도이다. 특히 제17도는 각각 밀폐되어 광천수로 충전된 8개의 인접한 용기(R1-R8)의 열을 제조함에 있어서 각종 연속단계를 도시한 것으로서, 이들 용기는 부서지기 쉽고 절단 가능한 합성물질로 구성된 좁은 접합부에 의하여 그들 측벽의 용접된 모서리를 따라 연결되어 있으며, 그중 2개의 말단 용기 (R1및 R8)는 동일한 방식으로 단단한 말단 손잡이 (P1및 P2)가 제공되어 있다. 상기의 배열에서, 말단 손잡이(P1및 P2) 각각은 열의 종방향으로 용기 각각의 길이(L)의 절반의 길이를 가지고 있다(제16도 및 제17도 참조).
제17도-제22도에 도시한 방법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수행된다.
상세히 기술할 필요는 없으나 공지장치는 수평으로 그리고 점진적으로 화살표(F)(제16도)의 방향으로 그의 상부면에만 열용접 가능한 혼성 합성물질의 스트립(29)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으며, 이 스트립은 그의 축에 수평으로 하여 설치된 공급 로울러(b)로부터 분배된다. 이와같은 종류의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은 공지되어 있으며, 물질, 특히 광천수와 같은 음료수의 저장에 사용하기에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이들 합성물질은 음식물과 반응하지 않은 열-용접 가능한 층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들 물질은 열-용접할 수 없으며 대기가스의 침투를 견디어내는 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호(30 및 31)로 도시된 것과 같은 정당히 지지된 안내판 및 2개의 안내 로울러(32A 및 32B)(축에 수직으로 배치되어 있음)로 구성된 공지 장치는 W자 형태로 스트립(29)을 포개기 위하여 제공되어 있다. 제 18도의 횡단면으로 스트립(29)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스트립(29)은 열음 형성하는 용기(R1-R8) 각각의 측벽(2a 및 2b)을 형성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18도는 그의 저부(제16도 창조)에 2개의 Ⅴ-형 주름(1a 및 1b)을 보여주고 있다.
용기(R1-R8) 각각의 길이(L)보다 약간 큰 길이로 증가된 각각의 공급과정을 통하여 스트립(29)에 형성된 2개의 Ⅴ-형 주름(1a 및 1b)의 저부는 두 연속 공급단계 사이의 매시간 간격으로 2개의 Ⅴ-형 주름(1a 및 1b)의 저부를 용접하도록 횡단방향(D)으로 서로를 향하여 이동하는 2개의 전국(33A 및 33B)(제18도 창조) 사이로 지나간다. 그러나 이들 두 주름은 용접용 전국(33A 및 33B)의 전진으로 인하여 용접된 저부가 스트립(29)의 열-용접이 불가능한 면(즉 제18도에서 그의 내면)에 의하여 서로에 대하여 적용되기 때문에 용접된 저부에서 서로 분리된다.
예컨대 판지로 만든 예비-절단한 갑판(P1및 P2)을, 2개의 연속적인 용기의 단수 손잡이(P1및 P2)용의 단단한 요소를 형성하기 위하여 W자 형상으로 겹쳐진 스트립(29)의 두 부분(2a 및 2b) 사이로 병렬로 동시에 주입한다. 이 조작은, 2개의 인접 손잡이(P1및 P2)가 용기 (R1-R8)의 각각과 동일한 스트립(29)의 길이(L)를 점유하기 때문에, 스트립의 두 연속 공급단계 사이의 시간 간격중에 손잡이(P1및 P2)의 주위의 용접과 동시에 행할 수 있다. 두개의 인접 단부 손잡이(P1및 P2)의 주위에 대한 동시 용접조작은 서로 적당한 형상을 가진 2개의 용접 및 절단구(34A 및 34B)를 횡단방(D)으로 전전시키므로서 수행된다.
스트립(29)을 정시시키면, 적당한 형상을 가진 2개의 용접용 전극(35A 및 35B)의 횡단방향(D) 이동은 용기(R1-R8) 각각의 폭(L)에 해당하는 거리로 분할된 스트립(29)의 제1 및 제2용접을 동시에 형성가능하게 하며, 이 용접은 포개진 스트립과 이것의 2개의 Ⅴ-형 주름(1a 및 1d) 및 제4용접의 측벽(2a 및 2b)(제19도) 내면을 상호 연결하며, 제3용접(4)은 제1용접과 함께 용기의 주공동(A)의 한개를 정하고 제2용접과 함께 용기의 포켓(B)의 한개를 정한다. 따라서 이 조작은 제16도에 도시한 용기의 용접 접합부(3a, 3b 및 4)가 동시에 형성되게 한다. 물론 주 공동(A) 및 포켓(B)은 스트립의 상부 인접 모서리에서 여전히 개방된다. 더우기, 제1의 용접된 접합부(3a) 및 제2의 용접된 접합부(3b)는 스트립(29)의 두 개의 Ⅴ-형 주름(1a 및 1b)의 내면사이에서 경사된 연결을 제공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에서 사디리를 영역(Z)이 두 연속 용기 사이에 형성되며, 이 대역은 차례를 형성된 두개의 용기(예컨대 R6및 R7)에 해당하는 인접하게 경사-용접된 부분(3a 및 3b)에 의하여 상부에서 스트립(29)의 2개의 Ⅴ-형 주름(1a 및 1b)에서 경계를 이룬다. 스트립을 정지시키면, 사다리꼴 대역(Z)은 횡단방향(D)으로 서로에 대하여 이동하다 펀치(36A) 및 다이(36B)에 의하여 절단된다(제20도 참조).
W형상으로 겹쳐진 스트립(29)으로 형성되는 용기, 예컨대 형성되는 열의 용기(R6)는 용기의 주 공동(A)에 장입하기 위한 음료수, 예컨데 광천수 공급용 관(37) 아래에서 멈춘다. 상기의 용기, 예컨대 용기(R6)의 상부 모서리는 적당한 장치, 예컨대 2개의 흡입 패드(38A 및 38B)(제21도)에 의하여 주공동(A)에서 분리되며, 상술한 패드는 횡단방향(D)으로 서로 떨어져 이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이렇게 하므로서 관(37)을 통하여 공급되는 음료수가 용기(R6)의 주 공동(A)으로 흘러들어간다. 주 공동(A)이 필요량의 광천수로 충전되면, 관(37)을 통과하는 액체의 유동은 중단되고, 또 흡입 패드(38A 및 38B)의 작용은 중단된다.
스트립(29)은 다음 단계로 이동되어 흡입 패드로부터 풀려나서, 고무와 같은 탄성 물질로 형성되었으며 각각의 용기의 길이(L)에 해당하는 폭을 가진 두개의 조오(Jaw)(39A 및 39B) 사이로 그의 상부 모서리를 가져온다. 그다음 압축공기 분사용 소형 파이프(40)를 용기의 포켓(B)에 이동시키고, 그다음 조오(39A 및 39B)를 횡단방향(D)(제22도)므로 서로를 향해 오게하여 예정된 압력하에 서로 가까이 붙어 용기의 공동(A 및 B)를 일시적으로 밀폐시킨다. 파이프(40)는 압축공기를 포켓(B)에 주입하고, 그후 화살표(B) 방향으로 사향 수직이동에 의하여 상술한 포켓(B)으로부터 제거된다. 조오(39A 및 39B)의 모서리의 탄성으로 인하여 포켓(B)에 이미 주입된 압축공기는 그대로 남게된다. 용기의 벽(2a 및 2b)의 상부 모서리를 조오(39A 및 39B) 바로 아래에서 즉시 용접하고, 용기의 상부 용접부(5A-5B)가 형성되도록 L에 해당하는 길이를 가진 두개의 전국(41A 및 41B)을 횡단방향(D)으로 이동시키므로서 파지된 위치로 지지된다(제16도).
스트립(29)을 정지시키면, 좁은 노치(notch)(f)는 용기(R3) 같은 안정된 용기의 관(C) 및 용기(R4) 같은 인접용기 또는 인접 손잡이 사이에서 형성된다[제17도의 용기(R8) 및 손잡이(P2) 사이에 형성된 노치(f) 참조]. 노치(f)는 횡단방향(D)으로 서로를 향하여 브레이드(42A) 및 다이(42B)를 이동시키므로서 형성된다.
끝으로, 제1열[그 마지링 용기(R8)는 제17도의 맨 우측에 도시된다] 및 제1열의 바로 다음의 제2열의 인접단부 손잡이(P1 및 P2)를 전단가가 분리하는 마지막 영역(도시안됨)이 제공되어 있다. 따라서 각각 1ℓ의 광천수로 충전된 8개의 밀폐용기의 열은 자동 및 매우 신속한 방식으로 얻어진다.
용기는 예컨대 용기(R1)를 각각 손잡이(P1) 및 용기(R2)에 연결하는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된 좁은 접합부를 한쌍의 가위에 의하여 절단함으로서 서로 분리할 수 있다. 일련의 용기의 나머지로부터 분리시킨후, 용기(R1)를 예컨대 테이블의 평탄한 저부에 놓을 수 있다. 용기의 기구는 선(C)을 따라 주입구를 통하여 절단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용기의 내용물을 붓기 위한 용기의 파지는 용기가 비워졌을 때 용기의 잔류 갑성을 부여하여 주는 팽창된 손잡이(B)의 존재에 의하여 용이해진다. 팽창된 손잡이(B)에 의하여 얻어지는 상술한 잔류갑성으로 인하여, 특히 용기의 공동(A)의 내용물의 일부를 쏟아낼 수 있음과 동시에 용기가 넘어질 염려없이 평탄면에 부분적으로 빈 용기를 놓을 수 있다.
상술한 제조방법은 여러가지 방법으로 변형시킬 수 있다. 용기가 함유하는 액체의 성질은 물론 용기의 수효 및 용량은 선텐적인 문제이다. 소용량의 용기 또는 2또는 3개의 용기만으로 구성된 일련의 용기의 경우, 단일 단부 손잡이가 제공될 수 있다. 최소한 하나의 단부 손잡이가 제공된 동일한 용기의 제작은 물론 상술한 전단기에 의하여 출구부분에서 서로 분리되는 동일한 용기를 연속 및 자동으로 제조하기 위하여 동일한 장치 및 유사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동일한 장치는 용접되지 않은 주 공동(A)에 상부 모서리를 값는 일련의 빈용기 또는 단일의 빈용기를 제조가능하지만. 밀폐 포켓(B)은 팽창되어 있다. 이와 같은 용기 또는 향낭은 각종 상이한 용도로 제조하여 특히 각종 물질을 보존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갑판으로 보갑하는 대신에, 용기의 각종 열의 단부 손잡이(P1 및 P2)의 각각은 압축가스, 예컨대 약간 압축한 공기로 충전할 수 있다. 제17도에 도시한 기게의 경우, 이것은 예컨대 W자 형상으로 겹쳐진 스트립(29)의 해당하는 부분이 압축공기 주사용 파이프(40) 아래에서 중지할 때 성취될 수 있다. 이경우 전극(34A 및 34B)은 스트립(29)의 상부 모서리에서 개방된 두개의 연통하는 포켓을 스트립(29)에 형성하도록 형상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압축공기 주입중에 탄성 조오(39A 및 39B)에 의하여 파이프와 함께 또는 파이프 주위에 포개진 스트립(29)을 가져오도록, 그다음 주사 파이프(40)을 제거한 후에 횡단방향(D)으로 서로를 향하여 이동할 수 있는 두개의 추가 전극에 의하여 서로 밀폐시킴은 물론 2개의 전극(41A 및 41B)으로 용접함에 의하여 두 포켓의 상부 모서리를 밀폐시키기 위하여 상술한 연통하는 포켓의 계구에 공기-분사 파이프(40)을 주입하면 족하다. 전극(33A 및 33B)으로 겹쳐진 스트립(29)의 두개의 Ⅴ-형 주름의 저부의 용접은 임의이지만, 이렇게 하여 형성된 용접부(제1도)는 평탄한 표면에 놓았을 때 충전된 용기에 안전성을 부여하여 준다.
제23a도 및 제23b도는 상술한 제17도에 도시한 방법의 변형형태의 두 연속부분을 도시한 것이다. 동일한 창조부호 및 문자는 제23a도 및 제23b도에서 제17도에 도시한 요소에 해당하는 요소에 대하여 사용하였다. 이 변형 형태에서, 상술한 장치에 의하여 W자의 형상으로 겹쳐진 스트립(29)은 수평방향(F)으로 단계적으로 전전하며, 각각의 공급 단계는 각각 N/2의 길이를 가진 두개의 단부 손잡이가 장작된 N개의 동일 용기의 열의 총길이인(N+1) L보다 약간 크다. 각각의 전극(33A 및 33B, 44A, 44B, 41A, 41B)과 각각의 절단구(45A 및 45B) 및 각각의 탄성 조오(39A, 39B)는 스트립(29)의 공급과정에 해당하는 길이, 즉 (N+1) L보다 약간 큰 길이를 가지고 있다.
전극(33A 및 33B)은 단부 손잡이가 설치된 용기의 열의 총길이에 최소한 해당하는 길이에 걸쳐 스트립(29)에 Ⅴ-형 주름(제18도의 1a 및 1b)의 저부를 동시에 용접하는 역할을 한다. 전극(44A 및 44B)은 전혀 동일한 열의 N개의 용기의 각각의 3개의 횡방향 용접(제16도에서 3a, 3b, 및 8)은 물론 두개의 손잡이(P1 및 P2)의 가장자리 용접을 동시에 형성하는 형상을 가지고 있다. 공구(45A 및 45B)는 부호(42A)로 도시한 바와같은 펀치 또는 브레이드 및 부호(36B 및 42B)로 도시한 바와 같은 다이를 가지고 있다. 인접 용기의 손잡이의 상부 부분으로부터 그들의 주입구를 분리하는 노치(F)(제23b도)를 형성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상기의 용기의 열의 단부 손잡이(P1 및 P2)의 중앙부분을 결단하기 위하여, 전혀 동일한 열(제23a도)로 인접 용기(R1-R8)의 저부를 분리하는 사다리꼴 영역(Z)을 동시에 절단한다.
형성된 용기의 열로 구성된 일단은 음료수 주입용 관(37)(제23b도)의 아래에서 멈추며, 상술한 열의 모든 용기의 상부 모서리는 적당한 수호로 제공된 흡입 패드의 동시작용에 의하여 떨어져 저지되어 있으며, 그것중의 하나만이(흡입 패드 38A) 도시되어 있다. 스트립(29)이 다른 단계로 전진했을 경우, 열의 일단은 두쌍의 탄성조오(39A 및 39B) 및 두쌍의 전극(41A 및 41B) 사이에, 그리고 압축공기 분사용의 10개의 파이프(40)아래에서 멈춘다. 이들은 공통 도관(46)에 의하여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파이프(40)는 당해 열의 각종 용기의 포켓(B)에 파이프를 주입하기 위하여 이중-헤드 화살표(V)표시한 방향으로 수직으로 변위시킬 수 있다. 2개의 말단 파이프(40a 및 40b)는 각각 단부 포켓(P1 및 P2)에 대응하는 공동에 주입된다. 물론 이들 파이프를 통하여 압축공기의 분사는 횡단방향(D)으로 서로를 향하여 이동되는 드 개의 탄성조오(39A 및 39B)에 의하여 함께 압축하는 동안, 일련의 용기의 공동은 횡단방향으로 서로를 향하여 용접용 전극(41A 및 41B)을 이동시키므로서 밀폐된다.
제24도에 도시한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제조된 용기의 구조는, 저부(1)의 두 개의 Ⅴ-형 주름(1a 및 1b)이 그들의 대응하는 응접단부(3c 및 3d)에서 접착제로 서로 연결되어 있는 점에 있어서 제16도에 도시한 구조 및 주조 상술한 구조의 상이하다. 제24도에 도시한 것과 같은 용기, 또는 일련의 용기는 제17도에 도시한 방법에 의하여 여기에 다음과 같은 변형을 가하므로서 연속, 자동 및 신속한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즉 공급 로울러(b)의 아래에서 회전드럼(47)을 W형상으로 포개져 있지 않은 스트립(29)의 부분 아래에 설치한다. 제17도에서 개략적으로 도시한 배열 및 점선에서, 상술한 드럼(47)은 그 원둘레에 측평면으로 위치된 하나의 돌기부(47a)를 지니며 그의 길이(ℓ)는 2h에 해당하며, h는 두개의 Ⅴ형 주름(1a 및 1b)(제18도 창조)의 각각의 깊이에 해당한다. 제24도에서, 주름(1a 및 1b)은 그들의 용접단부(제24도에서 3c 및 3d)에서 접착제에 의하여 서로 연결되어야만 한다.
공급로울러(b)의 축과 마찬가지로, 드럼(47)의 축은 스트립(29)의 공급(F) 방향에 대하여 횡방향(D)에 평행이며, 드럼(47)이 스트립(29)의 각각의 공급단계로 일회전하게 하는 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상술한 공급단계는 제17도에서의 L보다 약간 크다. 이 공급 단계중에, 돌출부(47a)의 가장 먼 면은 적당한 액체 또는 풀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의 상부 개방부분으로 관통한다. 상술한 돌출부(47a)의 가장 먼 면은 적당한 액체 또는 풀 접착제를 수용하기 위한 용기의 상부 개방부분으로 관통한다. 상술한 돌출부 면은 약간이 접착제를 w자 형상으로 겹쳐지지 않은 스트립(29)의 내면의 좁은 횡단영역에 가하며, 이 횡단면은 스트립(29)의 종방향 대칭축을 따라 정확히 중앙에 있다. 접착제는 즉시 건조성일 수 있기 때문에 스트립(29)의 중앙에 형성된 두개의 Ⅴ-형 주름은 W자 형상으로 포개진후(제18도의 주름 1a 및 1b)의 내측의 인접면의 접착은 각각 제1및 제2횡방향 용접부(3a 및 3b)를 형성하는데 사용되는 제17도의 부호(35A 및 35B)로 도시한 바와같은 용접용 전국의 수직부분의 발열작용으로부터 일어난다. 제24도에 도시한 용기의 제조에 있어서, 가장 마지막에 언급한 전극(35A 및 35B)은 제1 및 제2용접부(3a 및 3b)가 그의 저부에서 경사지지 않고 전극(35B)(제17도)의 경우에 점선으로 표시한 바와같이 용접부(3a 및 3b)의 중간부분의 연장부에 수직으로 뻗도록 형성되어야만 한다.
이와같은 방식으로 얻어진 용기(제24도)는 마찬가지로 주공동(A)에 함유된 고아천수의 중량에 의하여 그의 저부를 가로질러 평탄해지는데, 이것은 그 저주(1)의 평탄한 부분이 용접 비이드(21)에 의하여 모든 축구박 둘러쌓여 있기 때문에 평탄한 표면에서 그의 안정성을 증가시킨다. 이 비이드는 평탄한 표면에서 용기를 지지하는 일종의 단단한 프레임을 형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제작한 용기는 상술한 것과 상이한 형태일 수 있으며, 상이한 형태는 용접조작, 및 임의의 경우 상술한 절단 조작 이외에, 예컨대 팽창 및 제조방법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다. 또한 용접 조작은 적당한 접착제를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것으로 대치할 수 있다. 더우기 제25도에 계략적으로 도시한 용기는 주공동(101) 및 제2공동(102)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두 공동은 용접선(103)에 의하여 분리되어 있으며, 중공 또는 중실 원통형 단면을 가지며 목재나 판지 또는 합성물질로 제조된 중실요소(107)는 공동에 삽입되어 있다. 이것은 손잡이의 축부를 통하여 삽입될 수 있으며, 용접은 이 경우에 나중에 이루어진다(예컨대 105).
제27도에서, 중실 요소(107a)는 제26도에 도시한 것과 동일한 형태이지만 평탄하다.
제28도는 중실 U-형상의 단단한 요소(108)가 제거되며 단일 필름(109)에 의해 대치될 수 있는 공동(102)를 둘러싸고 있는 변형실시에를 도시한 것이다.
제29도의 에에서, 공동은 충전용 오리피스(도시안됨)를 통하여 합성물질(110)에 입자로 충전되어 있다.
그러나, 가장 흥미있는 실시에는 제30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제31a도 및 제31b도에 이것을 얻는 방법이 도시되어 있다. 이 경우, 공동은 팽창에 의하여 응고되는 물질(111)로 충전되어 있다. 이 충전 조작은 예컨대 다음과 같이 수행된다.
a) 팽창성 액체 합성물질을 공급하기 위한 니들(needle)(112)을 제2공동(102)에 주입한다.
b) 액체 물질을 주입한다.
c) 니들을 제거하고, 변화의 정도 따라, 니들의 통로용 오리피스를 향낭을 형성하는 필름을 용접에 의하여 즉시 차단하거나 또는 분사된 물질을 경화시켜 오리피스 자체를 차단시키다. 제안된 모든 실시에의 기초가 되는 본 발명 사상의 특징은 단단하게 하는 수단을 가진 손잡이를 제공함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예컨대 이 수준에서 이중 필름 두께로 인한 어떤 감도를 값는 손잡이를 형성하기 위하여 독벽을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용접하거나 접착하는 것으로부터 벗어나지 않을 것이다.
이경우, 가게 전시용 고리구멍은 물론 용기를 매달기 위한 구멍을 또한 제공할 수 있다.
끝으로, 손잡이 수준에서 상술한 이중 두께는 체인을 제조할 때 절단에 의하여 얻어지는 스크랩을 사용함으로서 달성될 수 있다.

Claims (1)

  1. 용접에 의해서 생산될 용기와 같은 크기의 개방된 자류를 형성하고 예제된 양의 액체를 이러한 자루 속에 담아서 그흐에 용기의 주공동(A)와 밀폐된 포켓(B) 사이의 분리선(4)과 자루의 밀폐선을 용접에 의해서 형성시키는 모두 밀폐된 주공동 및 그 포켓에 유사한 액체를 담고 있는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KR1019830003590A 1980-10-15 1983-07-31 합성물질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Expired KR840000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30003590A KR840000189B1 (ko) 1980-10-15 1983-07-31 합성물질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3963A KR840001322B1 (ko) 1980-10-15 1980-10-15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제조된 용기
KR1019830003590A KR840000189B1 (ko) 1980-10-15 1983-07-31 합성물질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0189B1 true KR840000189B1 (ko) 1984-02-28

Family

ID=1921796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963A Expired KR840001322B1 (ko) 1980-10-15 1980-10-15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제조된 용기
KR1019830003590A Expired KR840000189B1 (ko) 1980-10-15 1983-07-31 합성물질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3963A Expired KR840001322B1 (ko) 1980-10-15 1980-10-15 얇고 유연한 합성물질로 제조된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84000132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1322B1 (ko) 1984-09-17
KR830004117A (ko) 198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16639A (en) Process of making containers made of thin pliable synthetic material
EP0064321B1 (en) A web of a plurality of interconnected bags, a bag obtained from this web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said web and apparatus for executing said method
EP2463213B1 (en) Method and machine for the continuous manufacture of packages made from flexible material
US3807118A (en) Method of forming a package
US5097651A (en) Process and device for improving the rigidity of a container made of synthetic material
CN100352738C (zh) 自立性包装袋、包装体和材料卷及其制造方法
US3172796A (en) Method of forming conical-shaped containers of thermoplastic material
US2718105A (en) Bag-like containers of flexible strip material, process of making same, process of filling same, and apparatus for accomplishing these purposes
US407718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packages
US3337117A (en) Beverage package
US3659777A (en) Reinforced package
US3797726A (en) Container for liquids with an openable pouring spout
JPS62253414A (ja) 梱包用気泡緩衝材形成方法及びその装置
US20020015541A1 (en) Sealed enclosure, method for the manufacture thereof, and method of packaging a beverage in said enclosure
DE2801851A1 (de) Beutel mit griff
US4790437A (en) Thermoplastic bag, bag pack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EP0406409A1 (en) Packaging system and method
NZ213012A (en) Forming flat rectangular bottomed gusseted plastics bags
CN101970304A (zh) 流体材料的稳定包装及制造该包装的方法
US6662530B1 (en) Method of making dual chamber sachet
US4856261A (en) Forming small flexible containers
US4470152A (en) Valve bag with alignment means
KR840000189B1 (ko) 합성물질로 용기를 제조하는 방법
US2987857A (en) Method of producing infusion bags
US3048951A (en) Procedure for continuous manufacture and filling of contain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7 Divisional application

Comment text: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19830730

Patent event code: PA01071R01D

Filing date: 19801015

Application number text: 1019800003963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40131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405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