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2376B1 -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2376B1
KR830002376B1 KR1019800000778A KR800000778A KR830002376B1 KR 830002376 B1 KR830002376 B1 KR 830002376B1 KR 1019800000778 A KR1019800000778 A KR 1019800000778A KR 800000778 A KR800000778 A KR 800000778A KR 830002376 B1 KR830002376 B1 KR 8300023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carboxylic acid
compound
present
toxicit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7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30001876A (ko
Inventor
마사찌까 히라노
다다시 오오스미
기요시 가사마쓰
다까시 가또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니시끼다 노리스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니시끼다 노리스미 filed Critical 스미또모가가꾸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07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2376B1/ko
Publication of KR8300018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18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2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2376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53/00Preparation of carboxylic acid nitri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하기 일반식(I)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및 활성성분으로 이를 함유하는 살충제 및 (또는) 살비제에 관한 것이다.
Figure kpo00001
상기 식에서,
X는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이다.
살충제 및 (또는) 살비제는 농작물에 해를 끼치는 여러가지 해충류를 제거하여 고수율의 농작물 생산을 유지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여러가지 해충질병이 해충에 의해 전염되므로 해충을 제거하는 것은 질병이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는데 매우 효과적이며, 이러한 목적으로 살충제의 사용은 매우 효과적인 수단이다. 따라서, 앞으로 인간의 생존기준을 유지하는데 살충제의 역할은 매우 중대하다. 각종 우수한 살충제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발명되었으며, 여러 분야에서 양호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러나 BHC나 DDT와 같은 유기-염소 살충제는 살충제가 이에 대해 내성을 나타내며 또한 환경오염 및 목적물 이외의 유기체에 대한 독성때문에 그의 사용이 극히 제한되었다. 또한 이러한 내살충성(耐殺
Figure kpo00002
性)의 문제는 이 분야에서 심각하게 되어 유기-인산염 또는 카르바메이트 살충제가 유기-염소 살충제 대신에 사용되었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새롭고 보다 우수한 살충제의 개발이 요구되었다. 살충제가 우수한 것이기 위해서는 이 살충제가 강한 살충효과를 가져야 하고 이와 더불어 포유동물과 같은 목적물 이외의 유기체에 대해 독성이 낮아야 하며 환경을 오염시키지 않아야만 한다. 천연 피레트린(pyrerthrin)은 포유동물에 대해 독성이 낮으며 외부조건에서 쉽게 분해되어 살충제를 위해 요구되는 전술한 특성의 일부를 함유한다. 그러나 이러한 살충 작용은 유기인산염 및 카르바메이트의 효과에 비하여 상당히 낮으며, 그 외에 극히 빠른 분해 때문에 잔유효과에 나르며 또한 값이 비싸다. 따라서 천연 피레트린 사용은 가정용 살충제 등의 분야에 사용이 한정된다. 이러한 천연 피레트린의 결점을 보충하기 위해 많은 연구를 한 결과, 우수한 합성 피레트로이드(pyrethroid)계 살충제가 개발 되었다.
이 중에서 특히
문헌 (1) M. Elliott 등 Nature 248; 710(1974)
문헌 (2) 영국특허 제 413491호
문헌 (3) 미국특허 제 3996244호
에 기재된 합성 피레트로이드계 합성물은
1. 살충력이 현저히 놓고, 또한 료과가 빠르다.
2. 잔유성이 풍부하며 한편 유기염소계 살충제와 같은 환경 잔류성이 없다.
3. 포유동물에 비교적 독성이 적다.
4. 유기인제 또는 카르바메이트제 저항성 해충에 대해서도 탁월한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이러한 합성 피레트로이드를 실제 사용화하기 위해 전세계적 규모의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내성이 강한 해충의 번식이 점점 심각하게 되는 지역에서 이미 이들의 실제사용이 시작되었다. 그러나 문헌(4)에서 〔J. Miyamoto. Environmental Health Perspectives. 14권 15(1976)〕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천연피레트린을 함유하는 피레트로이드 살충제는 물고기에 대해 강한 독성을 나타낸다. 살충제의 적용중, 밭에서 존재하는 해충 및 강, 못, 호수에 존재하는 수충(예, 모기, 유충, 각다귀 유충)에 공중 분무를 적은 비율로 투여과에 방제된다. 이와같이 적용에서, 상기의 우수한 합성피레트로이드 살충제 물고기에 대한 독성 때문에 사용이 한정되었다. 이러한 점에서, 피레트로이드의 물고기에 대한 독성은 개선되어야 할 심각한 문제로 사료 된다.
본 발명자 등은 피레트로이드계 살충제의 상술한 여러 장점을 가지며 또한 물고기에 대해 낮은 독성을 갖는 물질을 발명하면 소위 이상적 살충제를 향해 진일보(進一步)한 것이라는 생각에 기초로 하여 연구를 한결과 본 발명에 따른 일반식(I)의 화합물이 상술한 목적에 합치하는 특성을 갖는 것임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또는 발명 화합물은 광의로 다음 문헌에 포함되어 있는 것이다. 스위스 특허 제 9347-77.
그러나 이 문헌에는 본 발명 화합물의 구체적 기재는 없고, 또한 물성, 살충성, 어독성(魚毒性) 및 인축(人畜) 독성에 대해서는 전혀 기재가 되어 있지 않다.
본 발명은 상기 식(I) 화합물이 메뚜기 내포테틱스 신크티셉스(Nephotettix cincticeps)를 포함하는 각종 해충에 대해 높은 살충력을 가지며 온혈동물 및 특히 어류에 대해 독성이 극히 낮은 것을 발견하였으며 이 화합물을 선택적으로 실제 사용에 제공할 수 있다. 본 출원전 공지 사실로부터 완전히 예상하지 않은 획기적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구조식(I) 화합물은 후술하는 해충에 대해 높은 살충효력과 잔유성을 나타내며 또한 물고기(예, 잉어, Killifishes)와 마우스나 랫트에 포함하는 온혈 동물에 대해서도 현저히 독성이 낮으므로, 논, 못, 호스, 강, 삼림(森林)등의 수중에 존재하는 장소에 서식하는 해충의 구충에 특히 유용하다.
다음에 본 발명 화합물이 특히 유효한 구체적 해충 명을 둔다.
1. 헤미 프테라(반시록)
(1) 멜파시다에(메뚜기류) : 예, 흰등멸구, 벼멸구, 애멸구.
(2) 델로세팔리다에(발메뚜기) : 예, 끝동 매미충, 푸른잎 메뚜기(Tettigella viridis), 지그자그 준무늬메뚜기(Inazuma dorsalis).
(3) 아피디다에(aphididae) : 예, 기장 테두리 진딧물
(4) 노린재과 : 예, 풀 노린재, 흰점 반시류(Eysarcaris ventralis).
2. 인시류(鱗翅類) : 예, 아르칩스 푸미페라나(Archips fumiferana). 이화명총, 혹명나방, 가렐리아 메론넬라(Gelleria mellonella), 솔나방, 텐트나방
3. 딱정벌레목 : 예, 오우레마 오리자에(Oulema oryzae) 허여스름 바구미.
4. 쌍시류(雙
Figure kpo00003
類) : 예, 아에데스 아에집리(Aedes aegypti), 말라리아모기(Anopheles sp.).) 북방집모기(Culex pipiens pallens), 쌀굴파리(Agromyza oryzae).
5. 직시류(直翅類) : 예, 단상 벼메뚜기(Oxya yezoensis).
6. 아카리나(Acarina) : 예, 양홍색 진딧물(Tetranychus cinnabarinus). 2점 거미 진딧물(tetranychus urticae), 수지거미 진딧물(Oligonychus hondoensis), 주횡진딧물(Panonychus citri).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하기 일반식(II)의 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와 일반식(III)의 알코올 또는 그의 반응성 유도체를 반응시키든가
또는 하기 일반식 (IV)의 알데히드를 하기 일반식(V)의 카르복실산 할라이드 및 시안화 나트륨 또는 시안화 칼륨과 반응시키든가 또는
하기 일반식(VI)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브롬화하는 방법에 의해 양호한 수율로 얻을 수 있다.
Figure kpo00004
Figure kpo00005
상기 식에서,
X는 염소원자 또는 브롬원자를 나타내며,
A는 히드록시기 또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내며,
Y는 할로겐원자를 나타낸다.
여기서 말하는 일반식(III)의 카르복실산의 반응성 유도체로서는 카르복실산 할라이드, 카르복실산 무수물, 카르복실산의 제 3 급 유기염기의 염 또는 알카리(나트륨, 칼륨)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둘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에는 알코올 성분 및 산성분의 부제 탄소원자에 기초로한 광학 이성체가 존제하며 이들 모두 이성체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이하 본 발명에 있어서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법의 계략을 예시한다.
(합성법 A) 알코올과 카르복실산 할라이드와의 반응에 의한 방법.
일반식
Figure kpo00006
으로 나타내는 알코올과 일반식
Figure kpo00007
(식중, X 및 Y는 전술한 바와 같다)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할라이드, 바람직하기로는 산 클로라이드를 불활성 용매(예를들면 벤젠, 톨루엔, 에테르, 헥산 등) 중산결합제(예를들면 피리딘, 트리에틸아민 등)의 존재하 내부 온도 -30℃~100℃에서 30분~10시간 반응시켜 목적하는 에스테르를 얻는다.
(합성법 B) 알코올과 카르복실산 무수물과의 반응에 의한 방법
일반식
Figure kpo00008
으로 나타내는 알코올과 일반식
Figure kpo00009
(식중, X는 전술한 바와 같음)으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 무수물을 불활성 용매(예를들면, 벤젠, 톨루엔, 헥산, 아세톤 등)중, 내부온도 -20℃~100℃에서 1시간~10시간 반응시켜 목적 에스테를 얻는다.
(합성법 C) 알코올과 카르복실산의 반응에 의한 방법
일반식
Figure kpo00010
으로 나타내는 알코올과 일반식
Figure kpo00011
(식중, X는 전술한 바와 같음)으로 나타내는 카르복실산을 탈수축합제(예를 들면 디시클로헥실 카르보디이드 등)의 존재하 불활성 용매(예를들면 벤젠, 톨루엔 크실렌 등)중 내부 온도 0℃~150℃에서 30분~10시간 반응시켜 목적 에스테를 얻는다.
(합성법 D) 할라이드와 카르복실산의 제 3 급 유기염기의 염과의 반응에 의한 방법
일반식 (식중, Z)는 염소, 브롬 원자를 나타냄)의 할라이드와 일반식
Figure kpo00012
(식중, X는 전술한 바와 같음)의 카르복실산을 불활성 용매(예를 들면, 아세톤, 벤젠, 디옥산 등)중 제 3 급 유기염기(예를들면, 트리에틸아민, 트리메틸아민 등) 존재하 내부온도 0℃~150℃에서 30분~10시간 반응시켜 목적 에스테르를 얻엇다.
(합성법 E) 할라이드와 카르복실산의 알칼리금속염의 반응에 의한 방법]
일반식 (식중, Z는 전술한 바와 같음)의 할라이드와 일반식
Figure kpo00013
(식중, X는 전술한 바와 같으며, M은 나트륨, 칼륨 금속을 나타낸다)의 카르복실산의 알칼리 금속염을 불활성 용매(예를들면, 톨루엔, 헵탄, 벤젠 등)의 2상계(二相系)에서 상간이동 촉매(예를 들면, 테트라-n-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 벤질트리에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등) 존재하, 내부온도 0℃~150℃에서 30분~10시간 반응시켜 목적 에스테를 얻었다.
(합성법 F) 알데히드, 알칼리 금속의 시안산업 및 산 할라이드의 반응에 의한 방법.
F-1 :일반식 의 알데히드와 다음 일반부의 알칼리 금속의 시안산업 및
Figure kpo00014
식중, X 및 Y는 전술한 바와 같음)의 카르복실산 할라이드를 불활성 용매(예를들면, 벤젠, 톨루엔 등) 중, 상간이 동촉매(예를들면, 디벤조-18-크라운-6, 디시클로헥실-18-크라운-6등) 존재하 내부온도 0℃~150℃에서 30분~20시간 반응시켜 목적 에스테르를 얻었다.
F-2 :일반식
Figure kpo00015
의 알데히드와 다음 일반식의 알칼리 금속의 시안염 및
Figure kpo00016
(식중, X 및 Y는 전술한 바와 같다)의 카르복실산 할라이드와 물-불활성용매(예를들면, 벤젠, 헥산, 톨루엔 등)의 2상계에서 상간이동촉매(예를들면, 테트라-n-부틸암모늄 브로마이드, 벤질트리에틸 암모늄 클로라이드)존재하 내부온도 0℃~100℃에서 30분~10시간 반응시켜 목적 에스테르를 얻었다.
(합성법 G) 에스테르를 브롬화하는 반응에 의한 방법 일반식
Figure kpo00017
(식중, X는 전술한 바와 같다)의 카르복실산 에스테르와 브롬을 불활성 용매(예를들면, 사염화탄소, 염화메틸렌, 클로벤젠 등)중 내부온도 -30℃~100℃에서 30분~20시간 반응시켜 목적 에스테르를 얻었다.
전술한 합성법에 따라 합성된 카르복실산에스테르를 다음에 나타낸다.
Figure kpo00018
Figure kpo00019
Figure kpo00020
이상의 방법에 의해 얻어진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를 필요에 따라 크로마토그라피에 정제할 수 있다.
원료로서 사용된 α-시아노벤질 알코올은 알데히드로 부터 "preparative Organic Chemistry(C. Hilgetag등) 875페이지"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용이하게 얻어질 수 있다. 또 할라이드는 알코올과 할로겐화제(예, 할로겐화인, 염화티오닐)을 사용하여 Organic Synthesis Col. 제 III권 793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있다.
원료로 사용된 카르복실산 및 카르복실산클로라이드는 프랑스 특허 제 2398457호 및 스위스 특허 제 934777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더우기, 산무수물은 이 화합물로부터"Synthetic Organic Chemistry(R. B. Wagner 등) 558 페이지"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양호한 수율로 얻을 수 있다.
또한, 원료로서 사용된 카르복실산에스테르는 예를 들면, Nature. 246, 169-170(1973). 248 710(1974)(Elliott 등 :
일본 특허 공개공보 제 95045/1976호, 45039/1974, 75550/1973; pestic Sci., 5, 791-799(1974) (Elliott 등), Helv. Chem. Acta. 7, 390(1924)(Staudinger 등)
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얻어질 수 있다.
다읍에 본 발명 화합물의 합성법에 대해 이하의 실시예로서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화합물(6)의 합성
m-(p-브로모페녹시)-α-시아노벤질 d-시스-2, 2-디메틸-3-(2, 2-디브로모비닐) 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 3.50g(6.0 밀리몰)을 사염화탄소 20㎖에 용해하고, 교반하면서 내부온도 20℃에서 브롬 1.06g(6.6 밀리몰)을 사염화탄소 5㎖에 녹인 용액을 적가한다.
적하완료 후 밤새 교반한다. 생성된 반응액을 10% 아황산나트륨 수용액, 이어서 포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한 후 무수 황산나트륨 상에서 탈수하고 농축한다. 잔류물을 실리카겔상 크로마토 그래피로 정제하여 4.30g의 m-(p-브로모페녹시)-α-시아노벤질-d-시스-2, 2-디메틸-3-(1, 2, 2, 2-테트라브로모에틸)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를 담황색 액체로 수득한다. (수율 96%)
상술의 실시예에 따라 얻어진 화합물을 실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다른 성분을 가하지 않고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으나 방제약제로서 사용하기 용이하도록 담체를 배합하여 제제로 하고, 이것을 필요에 따라 희석하여 사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제제화에 있어서 일반농약의 제제와 같이, 어떤 특별한 조건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당업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유제, 수화제, 분제, 입제, 미립제, 유제, 에어로졸, 가열훈증제(모기향, 전기모기킬러), 포깅(fogging) 등의 연무제(煙霧削), 비가열 훈증제, 미끼 등의 임의의 제형으로 만들 수 있으며 이들을 각각의 목적에 따른 각종의 용도에 제공된다.
더우기 이들의 화합물은 2종 이상의 배합사용에 의해, 보다 우수한 살충력을 발휘할 수 있으며 더우기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살충작용은 피레트로이드와 상승제 또는 알레트린과 피레트린용 공지의 상승제에 의해 증진될 수 있다. 피레트로이드용 상승제로 α-〔2-(2-부템시에톡시)에톡시〕-4, 5-메틸렌디옥시-2-프로필톨루엔(이후 피피에로닐부톡시드라 칭함), 1, 2-메틸렌디옥시-4-〔2-(옥틸술피닐)프로필〕벤젠, 4-(3, 4-메틸렌디옥시페닐)-5-메틸-1, 3-디옥산, N-(2-에틸헥실)비시클로〔2, 2, 1〕헵타-5-엔-2, 3-디카르복스이미드, 옥타클로로디프로필에테르 및 이소보르닐티오시아노 아세테이트를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은 광, 열, 산화 등에 대해 비교적 안정성이 높으나, 현저한 산화적 조건하에서 특별히 필요한 경우에는 산화 방지제 또는 자외선 흡수제, 예를들면 페놀 유도체(예, BHT, BHA), 비스페놀 유도체 아릴아민(예, 페닐-α-나프틸아민, 페닐-β-나프틸아민, 페네티딘과 아세톤의 축합물등)과 벤조페논 화합물류를 안정제로서 적량 가하여 보다 효과가 안정한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또, 다른 활성물질, 예를들면 알레트린, N-(크리산데목시에틸)-3, 4, 5, 6-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드(이후 테트라메트린이라 칭함), 5-벤질-3-푸릴메틸크리산테메이트(이후 레스 메트린이라 칭함), 3-페녹시벤질크리, 5-산테메이트프로파길푸릴크리산테메이트, 2-메틸-5-프로파길-3푸릴메틸크리산테메이트, 상기 크리산테메이트의 d-트랜스 또는 d-시스. 트랜스 이성체, 피레트럼 추출물, d-알레트롤론의 d-시스. 트랜스 크리산테믹에 스테르 및 기타공지 시클로판 카르복에실스테르 : 0, 0-디메틸 0-(3-메틸-4-니트로페닐)포스포로리오에이트(이후 페니트로티온) 및 0, 0-디메틸 0-(2, 2-디클로로비닐)-포스페이트(이후 디클로르보스)와 같은 유기인 살충제 : 1-나프틸 N-메틸카르바메이트, 3, 4-디메틸페닐 N-메틸카르바메이트, 0-sec-부틸페닐 N-메틸카르바메이트, 0-이소-프로폭시페닐 N-메틸카르바메이트, 3-메틸-4-디에틸아미노페닐 N-메틸카르바메이트 및 4-디메틸아미노-3, 5-크실릴메틸카르바메이트와 같은 카르바메이트계 살충제 : 기타 살충제 : 기타 살충제 또는 살균제, 살선충제, 살비제, 제초제, 식물생장조절제, 비료 미생물농약〔A. M. Helmpel의 J. Insect Pathol. 1. 152(1959)〕곤충 호르몬제 기타의 농약 등의혼합하여 더욱 효력이 우수한 다목적 조성물을 만들 수 있으며 이들의 배합에 의한 효력의 상승효과도 기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충 및 (또는)살비 조성물은 활성 성분으로 0.01내지 80.0중량%를 함유한다.
본 발명에 따른 살충 또는 살비 조성물의 실제 구체예를 다음 실시예로 나타내며, 여기서 모든 부와 페센트는 중량 표시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살충 및 살비의 제제예를 나타낸다.
[제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6)의 각각 10부에 소르폴(Sorpol) 3005X(유화제, 비이온계 및 특수음이온계 면활성제의 혼합물) 15부, 크실렌 75부를 가하고 이것을 충분히 교반 혼합 용해하면 각각의 유제를 얻는다.
[제제예 2]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6)의 각각 0.5부에, 각각 PAP(이소프로필산포스페이트)0.3부를 가하고 아세톤 20부에 용해하고, 300메쉬 클레이 99.2부를 가하고 충분히 교반한 후 아세톤을 증발 제거하면 각각의 분제를 얻는다.
[제제예 3]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 및 (4)의 각각 0.2부에 각각 m-톨릴 N-메틸카르바메이트 2부와 PAP 0.3부를 가하고, 아세톤 20부에 녹인 후 300메쉬 클레이를 가하였다. 충분히 교반 후 아세톤을 증발 제거하면 각각의 분제를 얻는제.
[제제예 4]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6)의 각각 10부에 소르폴 3005x5부를 충분히 혼합하고 300멧쉬의 규조토 85부를 가하고 모르타르(mortar)중에서 충분히 교반 혼합하면 각각의 수화제를 얻는다.
[제제예 5]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 (4)의 각각 10부를 1-나프틸 N-메틸카르바메이트 5부 소르폴 3005x5부 및 300 멧쉬 규조토 80부를 가하고 모르타르 중 교반하며 충분히 혼합하여 각각의 수화제를 얻었다.
[제제예 6]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6)의 각각 2부에 리그닌술폰산나트륨(결합제) 2부를 가한 후 클레이(중량제)96%부를 가하고 모르타르 중 교반하면서 충분히 혼합한다.
이어서 물로 이 혼합물의 10%량을 가하고 다시 교반 혼합하여 조립기(造粒機)로 제립(製粒)한 후 통풍 건조시켜 입제를 얻는다.
[제제예 7]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6)의 각각 0.5부를 케로센에 녹인 후 케로센으로 100부를 만들면 각 화합물의 유제를 얻는다.
[제제예 8]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0.5부 및 피페로닐 부톡시드 2.5부의 혼합물을 케로센에 녹인 후 전량을 100부로 하면 유제를 얻는다.
[제제예 9]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 0.1부와 디클로로보스(Dichlorvos)0.2부의 혼합물을 케로센에 녹이고 전량을 100부로 하면 유제를 얻는다.
[제제예 10]
본 발면에 따른 화합물(1)0.4부, 테트라메트린 0.2부, 크실렌 7부 및 탈취 케로센 7.4부를 혼합용액 하고 에어로졸 용기에 충전하고 발브 부분을 부착한 후, 분사제(액화 석유가스) 8부를 가압 충전하면 에어로졸을 얻는다.
다음에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특히 물이 존재하는 장소에서 어떻게 해충방제에 적합한가를 이하 시험예에 의해 설명한다.
[시험예 1]
시험방법 :
1. 어독성(漁毒性) 시험
킬리 피쉬(오리지아스 라티페스)에 대한 독성을 고시농정 B제 2735호(1965. 11. 25) 어류에 대한 독성 시험법에 따라 시험하였다. 즉 화합물(1), (4), (5) 및 (6)의 각각을 "트원(Tween) 80"에 용해 또는 현탁한 후 탈염소 수도물로 연속적으로 희석했다. 10마리의 킬리피쉬(마리당 0.2~0.3g)을 각 제제 5ℓ를 함유하는 10ℓ유리관에 풀어 놓았다. 48시간 후 죽은 것과 산 것을 관찰하여 중앙 내약성 한계(48 시간) TLm 48(ppm)을 결정하였다.
2. 살충시험
제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 화합물 및 대조 화합물의 유제를 각 유효성분 농도 500~0.5ppm 사이에서 각각 4단계의 농도의 용액을 180㎖ 플라스틱 컵에 심고 파종 1개월의 후에 턴테이블 상에서 각각 15cc/2컵의 비로 산포한다. 풍건 후 금속망 케이지에서 각 식물을 덮고 끝동매미충(카르바메이트 및 유기인산염에 저항성 계통, 이하 R계라 칭함) 자성충(雌成忠 15마리를 방사(放飼)하였다. 케이지는 26℃인 공기상실버에서 보관한다. 24시간 후 생사(生死)를 조사하고 각각 3반복의 사충율(死忠率)에 의해 중앙 치사 농도 LC50(pㅔm)을 구하였다.
결과 :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어독성 및 살충효력은 제 1 표에 나타냈다. 이 표에서 본 화합물이 저어독성 및 대상해충에 높은 효력을 보유하는 특성을 더욱 명확히 하기 위해서, 어독(魚毒) 및 살충시험의 결과로 부터 다음 어독 안전계수를 구하였다.
Figure kpo00021
동계수의 산출방법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끝동매미충은 산포 LC50(ppm) 치 상당의 농도액을 수심 5cm에서 침수된 녹에 10 아르당 100 산포하고, 이것이 모두 수중에 혼입한 것을 가정하여 구한 수중 농도를 기초로 하였다.
예를 들면 본 발명 화합물(1)에서는 수심 5cm/10 아르당 100ℓLC50(prm) 치의 유효성분량을 산포하면, 수중의 약량 농도는 0.012ppm이 된다. 한편 어독성 TLm48(prm)은 4.0ppm인 것으로 부터 어독성 TLm48(ppm)을 수중의 약량농도로 나누며 어독 안전계수가 산출된다. 이 경우, 값은 333으로 된다. 즉 333배 안전을 의미한다.
Figure kpo00022
Figure kpo00023
일본국 특허 공개공보 제 101341/1978에 기재된 화합물
*** : 화합물의 산포 LC50(prm) 값 상당의 농도액을 수심 5cm에서 침수된 논에 10 아르당 100 산포하고 이것이 모두 수중에 혼입된 것을 가정하여 구한 것이다.
[시험예 2]
제제에 1에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 (1)~(6)의 유제를 물에서 각 유효성분 500ppm 액에 희석한다. 여기에 파종 10일 후이 벼묘 5분을 1분간 침적하고 풍건한다. 직경 5.5cm, 높이 3.5cm, 플라스틱컵에 처리벼 및 이화명충 3냉유층 10마리를 넣고, 26℃의 인공 기상실 내에서 보관한다. 10일 후 유충의 생사(生死)를 조사한 결과 어느 경우도 유출을 100% 살충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증류수 100cc가 넣어져 있는 100cc 비커에 제제예 6에 넣어져 있는 본 발명 화합물(1)의 입제를 50mg넣고 황열병 모기(Aedes aegypti)의 종냉유충 30마리를 방사한다. 24시간 후에는 유충을 100% 살충될 수 있었다.
[시험예 4]
제제예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1) 및 (6)의 각각의 유화 농축액을 물에 희석하여 활성성분의 농도를 500ppm이었다. 이 희석액을 카르민 용애(tetranychus cinnabarinus)의 모든 스테이지가 기생하고 있는 벼(
Figure kpo00024
아르 와그너 포트에서 생장)에 충분히 분무했다. 10일후 카르민 응애에 의한 피해를 조사한 결과 어느 경우도 피해의 번짐을 저지하였음을 나타냈다.
[시험예 5]
잔효성(殘效性)시험 :
Figure kpo00025
아르의 와그너 포트에 생장한 벼에 제제에 1에서 제조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의 유체를 물로 400ppm으로 희석한 20cc를 산포하였다. 풍건후 철망 케이지 내에 끝동 매미중 자성충 15마리를 방사하고 24시간 후 생사를 조사하고 사망율을 구한다. 잔효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상에 포트를 7일간 방치한 후 상술한 방법에 의해 시험해충을 방사하고, 24시간 후 사망율을 구하였다. 또 실험은 온실내에서 수행하였다. 반복은 3회 행하였다.
Figure kpo00026
* 3, 4-크실린 N-메틸카르 바메이트
[시험예 6]
제제예 4에서 조제한 화합물(1), (2), (4) 및 (5)의 수화제를 각각 물로 100ppm으로 희석한다. 5m×5m×2m의 플라스틱 박스에 흙을 넣어 바닥으로 부터 50cm되도록하고 약 50cm의 벼를 상자에 넣어 수심이 5cm이 되게 한 후, 여기에 20킬리피쉬(Oryzias latipes)를 방사 하였다. 그런 후 상기 희석용액을 10 아르당 100ℓ의 비율로 상자상에 분무하였다. 이 용액은 벼 및수면 상에 떨어졌다.
처리 1시간 후 끝동매미충을 상자에 방사한 후 즉시 네트를 덮었다. 48시간 후 생존 끝동매미충은 발견되지 않았으나, 모든 킬리 피쉬는 살아 있었다.
[시험예 7]
이독성 시험 :
고시 농정 제 2735호( 1965. 11. 25)어류에 대한 독성 시험법에 따라 잉어 새끼(Cyprinus carpio)에 대한 독성을 시험하였다. 비교시험을 시험예 1의 예와 유사한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Figure kpo00027
주 :
(A)* 및 (B)* : 이들 화합물은 시험예 1에 기재된 것과 동일.

Claims (1)

  1. 하기 일반식(VI)의 화합물을 불활성 용매중에서 브롬화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하기 일반식(I)의 화합물의 제조방법.
    Figure kpo00028
    상기식에서 X는 염소 또는 브롬원자를 나타낸다.
KR1019800000778A 1980-02-28 1980-02-28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Expired KR830002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778A KR830002376B1 (ko) 1980-02-28 1980-02-28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778A KR830002376B1 (ko) 1980-02-28 1980-02-28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76A KR830001876A (ko) 1983-05-19
KR830002376B1 true KR830002376B1 (ko) 1983-10-25

Family

ID=192156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778A Expired KR830002376B1 (ko) 1980-02-28 1980-02-28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23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1876A (ko) 1983-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03071A (en) Insecticidal composition containing optically active α-cyano-3-phenoxybenzyl 2-(4-chlorophenyl)isovalerate
IL28536A (en) Cyclopropanecarboxylic acid esters
JPS5813522B2 (ja) 新しい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エステルを含有する殺虫、殺ダニ剤
KR840000249B1 (ko) 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KR880000762B1 (ko) 시클로프로판 카르복실레이트의 제조방법
NO129203B (ko)
FR2462419A1 (fr) Nouveaux cyclopropanecarboxylates de cyclopentenone, leur production et leur utilisation comme insecticides
US3932459A (en) Novel cyclopropanecarboxylic acid esters
KR830002376B1 (ko) 카르복실산 에스테르류의 제조방법
HU176331B (en) Process for producing esters of cyclopropane carboxylic acids and insecticide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as active agents
US4303672A (en) Cyclopropanecarboxylate insecticides and/or acaricides exhibiting low toxicity to mammals and fish
JPH0240642B2 (ko)
US4265906A (en) Low mammalian toxic and/or low fish toxic insecticides and/or acaricides
EP0061713B1 (en) Cyclopropanecarboxylic acid esters, their production and insecticidal and acaricid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GB2037282A (en) Low mammalian toxic and/or low fish toxic insecticides and/or acaricides
JPS6310944B2 (ko)
JPS5932459B2 (ja) シクロプロパンカルボン酸エステル,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する低魚毒性殺虫剤
JPS6310945B2 (ko)
JPS58116404A (ja) 新規カルボン酸エステル誘導体を含有する殺虫、殺ダニ剤
KR800000978B1 (ko) 싸이클로프로판 카복실산 에스테르의 제법
JPH021828B2 (ko)
JPS6141903B2 (ko)
JPH06316569A (ja) 新規カルボン酸エステル誘導体、およびこれを含有する 殺虫、殺ダニ剤
JPS6253497B2 (ko)
JPS614150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0-1-A10-A12-nap-PA0109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1-Q10-Q12-nap-PG1501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1-exm-PE0902

P11-X000 Amendment of application request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1-nap-X000

P13-X000 Application amended

St.27 status event code: A-2-2-P10-P13-nap-X000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St.27 status event code: A-2-2-Q10-Q13-nap-PG160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St.27 status event code: A-1-2-D10-D22-exm-PE0701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St.27 status event code: A-2-4-F10-F11-exm-PR0701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St.27 status event code: A-2-2-U10-U11-oth-PR1002

Fee payment year number: 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1-oth-PR1001

Fee payment year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A-4-4-U10-U13-oth-PC1903

Not in force date: 19871225

Payment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PC1903 Unpaid annual fee

St.27 status event code: N-4-6-H10-H13-oth-PC1903

Ip right cessation event data comment text: Termination Category : DEFAULT_OF_REGISTRATION_FEE

Not in force date: 19871225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

P22-X000 Classification modified

St.27 status event code: A-4-4-P10-P22-nap-X000

R18-X000 Changes to party contact information recorded

St.27 status event code: A-5-5-R10-R18-oth-X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