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1760B1 - 젯트직기의 보조노즐 - Google Patents
젯트직기의 보조노즐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830001760B1 KR830001760B1 KR1019800001018A KR800001018A KR830001760B1 KR 830001760 B1 KR830001760 B1 KR 830001760B1 KR 1019800001018 A KR1019800001018 A KR 1019800001018A KR 800001018 A KR800001018 A KR 800001018A KR 830001760 B1 KR830001760 B1 KR 83000176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ir
- nozzle
- guide member
- annular portion
- auxiliar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Links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1
- 230000006698 induc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009 be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95 investment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1도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재(部材)를 배열한 상태를 예시한 환상부(環狀部)의 단면도이며,
제2도는 보조노즐을 가지지 아니한 가이드부재의 정면도이며,
제3도는 보조노즐을 가진 가이드부재의 정면도이며,
제4(a)도, 제4(b)도는 유도부를 태이퍼상으로 한 실시예를 표시한 일부 단면도이며,
제5도는 본 발명의 가이드부재를 배열한 상태를 제1도와는 다르게 예시한 환상부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은 젯트직기의 보조노즐에 관한 것으로 그 첫번째 목적은 보조공기류(空氣流)의 지향성(指向性)을 좋게하여 이 보조공기류에 의하여 주공기류에 실린 위사가 실통로로부터 벗어남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는 보조노즐을 제공하는데 있으며, 두번째 목적은 전기한 첫번째 목적에 추가하여 보조공기류를 위사에 직접 취부(吹付)하여 위사를 효율적으로 잘 송출시킬 수 있는 보조노즐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구체화한 한가지 실시예를 제1도∼제3도에 의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은 젯트직기에 설치한 다수의 위사가이드부재로서 어느 것이나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위쪽으로 곧바로 뻗쳐있는 아암 2과 그 상단에 형성한 환상부 3으로 되어있으며, 이 환상부 3내가 가이드공(孔) 3a를 이루고 있다. 각 가이드공 3a의 내벽을 위사의 비주측(飛走側)만큼 수속(收束)된 테이퍼상을 하고있다.
가이드부재 1은 환상부 3의 상부에 개구부 4를 설치한 터널형(tunnel型 : closed type)이 되어 있다. 개구부 4는 비이팅시에 있어서 위사를 가이드부재 1의 환상부 3으로부터 달아나게 하기 위한 것이다.
1a는 전기한 다수의 위사가이드부재 1중 한축면에 후기하는 공기분사구 5를 형성한 복수개의 가이드부재로서 일정간격을 두고 보통의 가이드부재 1과 함께 일직선상으로 배열되어 있다.
공기분사구 5를 가진 가이드부재 1a의 환상부 3 내주연과 아암부 2내에는 제3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공기통로 6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기통로 6에는 환상부 3 내주연에서 유도부 9를 사이에 두고 위사의 진행측 측면으로 개구되어 있다.
그리하여 이 개구부가 복수개의 스릿트상을 이루는 공기분사구 5를 이루고 있으며 각 분사구 5는 어느 것이나 원호상을 하고 있으며 전체적으로 환상으로 하고 있다.
유도부 9의 길이는 공기분사구 5의 너비 b의 2배이상이 되고 있다.
또한 공기분사구 5를 가진 가이드부재 1a는 정밀주조(鑄造)에 의하여 전체를 일체적으로 성형하거나 관의 두께방향에서 둘로 갈라지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7은 가이드부재 1, 1a를 아암부 2하단에서 지지하는 지지대로서 아암부 2를 식설(植設)하고 양자간에 합성수지 8을 충전고정하고 있다.
전기 실시예에 있어서 스릿트형상의 공기분사구 5는 이것을 둥근구멍 현상으로 해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보조노즐에서는 공기분사구 5로부터 토출되는 보조공기류 X는 주노즐로부터의 주공기류 Y의 외주전체에 이것을 감는 것처럼 흐른다.
따라서 주공기류 Y를 탄(乘) 위사는 보조공기류 X에 의하여 정규의 실통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규제받게 되어있다. 그리고 특히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달성을 위하여서는 공기통로 6으로부터 공기분사구 5로 통하는 유도부 9를 길게 잡았으므로 보조공기류 X의 지향성을 좋게할 수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주 공기류 Y의 외주에 만들어지는 "에어·커어텐"의 흐트러짐을 없애고 보조공기류 X를 멀리까지 도달시킬수가 있다.
이로 인하여 위사의 가이드를 보다 확실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 경우 제4(a)도, 제4(b)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유도부 9를 그 내의 양단부에 있어서 너비(?)가 상이하게 되도록 태이퍼상으로 형성시키면 보조공기류 X의 유속(流速)을 빠르게 하여 보다 한층 더 지향성을 향상시켜 위사를 멀리까지 가이드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달성을 제5도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보조노즐에 있어서는 유도부 9의 길이를 길게 함과 동시에 이유도부 9의 경사각 α를 공기분출구 5측에 인접한 가이드부재 1의 가이드공 3a내의 경사각 β보다 크게하고 이 각도 α로 공기분사구 5를 실통로의 중심부를 향하여 개구시킨다.
이와 같이 하면 유도부 9를 길게함으로써 전기한 본 발명 첫번째 목적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가 있음과 동시에 유도부 9를 가이드공 3a 내벽보다 큰 각도로 실통로측으로 향하게 함으로써 보조공기류 X가 인접한 가이드부재 1의 가이드공 3a 내벽에 부닥치는 것을 방지하여 그 공기류 X를 위사에 직접 취부시켜서 보조공기류 X를 위사에 빠리 작용시킬 수가 있으며 위사를 강제적으로 효율좋게 보낼 수가 있다. 또 이와 같이 위사에 직접 보조공기류 X를 취부시키도록하면 이 보조공기류 X의 유량(流量)을 감소시키고 또한 그 분사압을 내리게 할 수 있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첫번째로 젯트직기의 터널타입의 위사가이드부재에서 그 환상부내의 공기통로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환상부의 일측면에 공기분사구를 환상으로 개구시켜서 그 공기분사구와 전기와 공기통로를 연통시키도록 환상부내에 유도부를 길게 형성시킴으로써 보조공기류의 지향성을 좋게하고, 이 보조공기류에 의하여 주공기류를 탄위사가 실통로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낼 수가 있으며, 본 발명은 두번째로 젯트직기의 터널타입의 위사가이드부재에 있어서 그 환상부내에 공기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환상부의 일측면에 공기분사구를 환상으로 개구시켜 그 공기분사구와 전기한 공기통로가 연통되도록 환상부내에 유도부를 길게 형성시킴과 동시에 이 유도부를 가이드부재의 가이드공 내벽의 경사각도보다도 큰 경사각도록 실통로의 중심부를 향하여 개구시킴으로써 전기한 첫번째 효과에 더하여 보조공기류를 위사에 직접 취부시켜서 위사를 효율좋게 보낼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나게 할 수가 있으므로 젯트직기의 보조노즐로서 산업 이용상 뛰어난 발명인 것이다.
Claims (1)
- 젯트직기의 터널타입 위사가이드부재에 있어서 그 환상부내에 공기통로를 형성함과 동시에 환상부의 일측면에 공기분사구를 환상으로 개구시켜서 이 공기분사구와 전기한 공기통로가 연통되도록 환상부내에 유도부를 길게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보조노즐.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00001018A KR830001760B1 (ko) | 1980-03-12 | 1980-03-12 | 젯트직기의 보조노즐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800001018A KR830001760B1 (ko) | 1980-03-12 | 1980-03-12 | 젯트직기의 보조노즐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2080A KR830002080A (ko) | 1983-05-21 |
KR830001760B1 true KR830001760B1 (ko) | 1983-09-03 |
Family
ID=19215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00001018A Expired KR830001760B1 (ko) | 1980-03-12 | 1980-03-12 | 젯트직기의 보조노즐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830001760B1 (ko) |
-
1980
- 1980-03-12 KR KR1019800001018A patent/KR830001760B1/ko not_active Expir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30002080A (ko) | 1983-05-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930002368B1 (ko) | 유체분사 셔틀레스 직기의 다색위사 삽입장치 | |
KR840001520B1 (ko) | 공기분사식 직기의 위사넣기 노즐 | |
KR830001760B1 (ko) | 젯트직기의 보조노즐 | |
US4304269A (en) | Weft guiding comb for a jet loom | |
CS225821B2 (en) | The weft picking device of the jet loom | |
JPS5927411B2 (ja) |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 |
JPS5852305Y2 (ja) |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ガイド | |
CS195638B1 (en) | Active confuser lamella for pneumatic weaving looms | |
KR940007104B1 (ko) | 공기 분사식 직기용 보조 노-즐 | |
KR890005318A (ko) | 공사분사직기용 보조노즐 | |
JP2000336549A (ja) | ウオータ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入れノズル | |
JP4461650B2 (ja) | エア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搬送ノズル | |
CS230569B2 (en) | Weft guading device in jet looms | |
JPH0621399B2 (ja) | 空気織機用補助吹出しノズル | |
US4354533A (en) | Auxiliary nozzle for jet looms | |
JP3993090B2 (ja) | 水噴射式織機の緯入れノズル | |
US4538649A (en) | Weft picking device of air jet type weaving loom | |
JPH0860492A (ja) | 空気噴射式織機の補助ノズル | |
JPH0684576B2 (ja) |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補助ノズル装置 | |
CN100500964C (zh) | 空气喷射式织布机用筘 | |
JPH08246295A (ja) | 流体噴射式織機の緯入れノズル | |
KR870009062A (ko) | 유체분사 무저(無저) 직기의 다색(多色) 위사 삽입장치 | |
KR840000451Y1 (ko) | 유체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위사가이드 집합체 | |
GB2028387A (en) | Blowing nozzle for transporting a flexible thread | |
JPS5940463Y2 (ja) | ジエツトル−ムの緯糸ガイド装置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