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30000887B1 - 선상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착색하기 위한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선상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착색하기 위한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887B1
KR830000887B1 KR1019790002420A KR790002420A KR830000887B1 KR 830000887 B1 KR830000887 B1 KR 830000887B1 KR 1019790002420 A KR1019790002420 A KR 1019790002420A KR 790002420 A KR790002420 A KR 790002420A KR 830000887 B1 KR830000887 B1 KR 8300008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rts
particles
pigment
polyester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7900024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라엘리 안드레스
좌렌 퀸테르
북바움 로타르
Original Assignee
아놀드 세일러
시바 가이기 에이지
에론스트 알테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놀드 세일러, 시바 가이기 에이지, 에론스트 알테르 filed Critical 아놀드 세일러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8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88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20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 C08J3/22Compounding polymers with additives, e.g. colouring using masterbatch techniqu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 Artificial Filament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선상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착색하기 위한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이조성물을 함유하는 착색 선상폴리에스테르에 관한 것이다.
선상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상태에서 안료조성물로 착색하는 방법은 마스터배치로 널리 알려져 있다.
이 방법에서는 입자나 분말 또는 칩(chip)상의 안료와 함께 혼합한 열가소성수지를 섬유형성 폴리에스테르 물질과 혼합한다.
영국 특허 제1,044,378호에서는 안료 혼합물과 저융점의 폴리에스테르를 가열하여 플라스틱 물질을 만들고 이 물질을 정제(pellet)로 가공한 다음 고융점의 폴리에스테르와 함께 처리하여 농축안료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위 방법의 결점은 농축물의 안료입자가 용용착색에 적합한 만큼 균질의 미분상태로 처리되지 못하는 점이다. 특히 유기안료로 착색할때에 적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용융방사기의 유지에 장해를 주며 필라멘트 파열을 증가시키고 신장성을 저하시키며 섬유의 특성을 감소시키고 착색효과를 약화시킴이 알려졌다.
미합중국 특허 제4,012,358호는 50내지 75부의 폴리에틸렌을 이의 1 내지 4배 되는 폴리에스테르와 결합시키고 이 혼합물을 용융하여 입자로 가공처리하므로서 상기 영국 특허 방법의 결점을 보완하여 시도하였다. 그러나 역시 결점이 있는 것은 폴리에틸렌과 폴리에스테르는 친화성이 없어 이상(二相)형태의 이 질체를 형성하면서 불균등 혼합물이 되고 따라서 섬유의 특성과 함께 방사 및 신장성을 저하시킨다.
본 발명은 상기 언급한 공지된 방법의 모든 결점을 제거하고 및 섬유형성 폴리에스테르와 친화성이 있는 수지로 안료의 균질한 미분형태를 갖는 생성물을 생성하는 용융 상태에서 선상 폴리에스테르를 착색하는 안료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방법은 20내지 80중량부의 안료와 80내지 20중량부의 폴리에스테르(융점 : 60내지 160℃)를 염 및 용매의 존재하에 혼합 날화(捏和 : kneading)하거나 또는 안료를 폴리에스테르의 용융물 내에 플러쉬(flush)방법으로 처리하여 농축물을 형성한 다음 이를 섬유형성폴리에스테르와 혼합하고 용융하여 입자로 가공처리함을 특징으로 한다. 농축물을 형성하는데 40내지 60부의 안료와 60내지 40부의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좋기로는 안료와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농축물을 안료의 3내지 30중량%(바람직하기로는 5 내지 25중량%)을 함유하는 입자와 같은 양으로 섬유형성 선상폴리에스테르와 혼합, 용융하고 입자상태로 하는 것이 좋다. 적합한 안료로는 폴리에스테르용융에 저항성이 있는 유기 및 무기안료 모두이다.
무기안료의 실예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 즉 산화금속류 및 설파이드류, 울트라마린, 티타늄디옥사이드 등과 같은 백색안료가 있다. 카본블랙을 첨가하는데 있어서, 폴리에스테르의 용융착색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바람직한 유기안료로는 아조, 아조메틴, 안트라퀴논, 퀴노프탈론, 프탈오시아닌, 페리논, 페틸렌테트라카복실린 디이미드, 페릴렌테트라카복실산 디안하이드라이드, 디옥사진, 티오인디고, 이미노이소인돌린논류의 안료 또는 퀸아크리돈 안료등이다.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또는 지방족 디카복실산류 또는 방향족/지방족 디카복실산류와 지방족디올류의 혼합물을 염기로한 선상의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가 될 수 있다. 방향족 디카복실산류는 즉 테레프탈릴산 또는 이소프탈산이다. 가능한 지방족 디카복실산류는 탄소원자 20개이하, 바람직하기로는 탄소원자 4 내지 12개를 함유하는 선상 또는 분지의 디카복실산류(예, 아젤라인산, 세바신산 및 아디핀산)이다. 가능한 디올류의 실례로는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1,4-(디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 또는 네오펜틸글리콜 등이 있는데, 이들은 디카복실린산으로 농축시켜서 바람직하게 분자량이 18,000내지 30,000 및 융점이 60°내지 160℃(바람직하기로는 100°내지 160℃)인 공중합물을 생성한다.
본 발명의 공정에 특히 적합한 폴리에스테르는 a) 25내지 30몰%의 테레프탈산기와 20내지 25몰%의 아젤라인산 또는 탄소원자 4내지 12개를 함유하는 동량의 지방족 디카복실산으로 구성되어 있거나, b) 50몰%의 부탄디올과 디에틸렌글리콜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이 15 : 1내지 5 : 1의 비율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플리에스테르에 있어서 약 7몰%의 테레프탈산기를 이소프탈산기로 대치할 수 있다. 또한 디에틸렌글리콜은 에틸렌글리콜의 20%중량 이하를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폴리에스테르는 디아세톤 알콜 및 또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서 또는 디아세톤 알콜 및 디메틸포름아마이드에서 80°내지 90℃로 바람직하게 최소한 부분적으로 용해한다.
폴리에스테르에 안료의 균질한 입자미분도를 가능한한 크게 하기 위해서 염과 용매로 날화하여 안료와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농축물을 좋게 형성한다. 이 방법은 무기염(특히 염화나트륨)이 존재하는 데에서 뿐만아니라 염화칼륨, 염화나트륨 또는 염화바륨이 존재하는데에서 승압온도(예, 80내지 95℃)로 바람직하게 수행할 수 있다. 간단한 방법으로 이염을 물로 다시 세정할 수 있다. 날화하는 동안 용매를 가하는 것이 좋으며, 특히 폴리에스테르가 최소한 부분적으로 용해하는 데에서 물에 용해할 수 있는 유기용매(예, 디아세톤알콜 또는 디메틸포름아마이드)를 가하는 것이 좋다. 날화한 후 농축물을 물로 처리하여 염과 용매를 편의상 유리하고 탈수한다.
특히 안료입자가 이미 매우 우수한 상태로 있다면, 안류를 용융상태로 또는 폴리에스테르의 농축된 용액 상태로 풀래쉬하는 풀래쉬방법으로 매우 탁월한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농축물을 용융하고 매스터뱃취로 처리한 층은 섬유 형성의 선상폴리에스테르는 특히 테레프탈산 또는 일반식 HO-(CH2)n-OH(일반식에서 n은 2내지 10의 정수이다)의 글리콜 또는 1,4-디(하이드록시메틸)사이클로헥산과 이들의 에스테르를 공축합 시켜서, 또는 하이드록시 벤조인산(예, p-(β-하이드록시에톡시)벤조인산)의 글리콜에테르를 공축합시켜서 수득된 것들이다. "선상 폴리에스테르"란 말은 또 다른 디카복실산 테레프탈산을 부분적으로 대치시켜서 및 또는 다른 디올로글리콜을 부분적으로 대치시켜서 수득된 코폴리에스테르를 말한다.
그러나 특히 바람직한 선상폴리에스테르는 색상이 바람직한 선상 폴레에스테르와 서로 같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이다. 안료제제를 제조하기 위하여,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를 적당한 방법으로 폴리에스테르 및 안료로 이루워진 농축물을 함유하는 균일한 혼합물과 혼합하고 그 혼합물은 압출기(단일 스크류 또는 이중 스크류압출기) 또는 연속 날화기에서 용융하고 입자로 전횐시킨다. 입자로 만들기 위한 압축은 바람직한 비율로서, 한편으로는 정교한 알맹이 농축물 및 다른 한편으로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과립을 연속 첨가하여 압출기내에서 사전 혼합하지 않고 진행할 수 있다.
그 농축물에 섬유상 선상 폴리에스테르상응량을 첨가시켜 5 내지 25%의 입자 내에서 바람직한 안료함량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일반적으로, 농축물과 선상폴리에스테르 동량을 함께 용융하고 원통 모양 또는 직사각형 모양의 입자를 제조한다. 서로 다른 안료의 혼합물은 안료 농축물을 얻기 위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서로 다른 폴리에스테르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2단계 방법을 이용하여 입지에서 섬유상 폴리에스테르를 제조하는 동안 서로 다른 모양의 안료농축물을 동시에 사용하여 독특한 모양을 만들 수 있고 균질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들은 폴리에스테르-용융 색소와 혼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수득된 안료 조성물은 용해시킨 폴리에스테르 섬유의 착색에서 폴리에스테르내에 안료를 탁월하게 분배시킬 수 있다. 이것은 방사 및 신장과정에 또는 섬유질에 손상끼치지 않는다.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폴리에스테르를 농축물에 사용하며 최종 생산물에 상응량이 존재함에도 불구하고 입자가 된 안료 조성물은 점착성이 없으며 160℃의 온도에서 건조시켜 섬유제조 산업에 통상적으로 사용한다.
본 발명에 따라 얻은 색소 제제로 폴리에스테르의 채색은 기지의 방법으로 달성하였으며, 여기서 채색된 폴리에스테르는 분말, 칩상태 또는 안료조성물과 입자를 혼합하고, 압출기내에서 용해하고 지(紙) 또는 필라멘트로 압축하거나 판지로 만든다. 채색된 선상폴리에스테르는 여기서 명백히 볼수 있으므로 본 발명에서섬유로 압출은 특히 관심이 있다.
본 발명은 아래 실시예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한 퍼센트 및 부분 중량으로 표시하였다.
[실시예 1]
7.5kg의 선상 열가소성 코폴리에스테르[등록상표가 디나폴 L 206인 디나미 노벨 AG의 상품으로 방향족 디카복실산 및 지방족 디올로 구성되며 융점이 90내지 115℃이고 분자량이 18,000g], 5kg의 C.I 적색안료 166, 30kg의 미세분말 염화나트륨 및 4.5kg의 디아세톤 알코올을 가열 및 냉각조작이 가능한 50l용량의 반죽기에 넣어 85내지 90℃에서 5시간 반죽한다. 물을 가하여 농축물을 미세한 입자로 만들고 250l의 물에 현탁시킨 다음 습식 마쇄한다. 생성된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케익을 세척하여 유리염 및 용매를 제거한 후 진공 캐비넷에서 75℃의 온도로 48시간 건조시킨다. 수득된 5kg의 미세입자를 5k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분말(입자를 이산화탄소와 함께 햄머밀(hammer mill)로 마쇄하거나 γ-부티톨 아세톤내에서 물을 가하여 침전시키고 침전물을 모은 후 건조시켜 수득함)와 롤러 기어배드(roller gear bed)내에서 3시간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진공하에 60내지 70℃에서 72시간 건조시키고 실험실용 날화기 LIST∼시스템(PR/ASV 46형, Buss)에 넣어 175°내지 242℃에서 줄로 뽑아낸 다음 절단기(Fouren, WILCO)를 사용하여 직경이 3mm이고 길이가 2내지 3mm인 원통형 입자로 자른다.
CC-날화기, LIST시스템대신에 Werner & Pfleiderer Co-날화가, ZDS-K 28형 또는 Leistritz twin-screw 압출기, LSM 30.34형을 사용할 수도 있다.
입자는 다음 조성물로 이루어진다 : 20%안료 20% 코폴리에스테르 디나폴 L 206 30%, 폴리에틸 렌 테레프탈레이트 50% 이것들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웅용 착색시키는데 적합하다.
[실시예 2]
9kg의 디나폴 L 206(참조 : 실시예 1), 6kg의 인단트론, 24kg의 미세분말 염화나트륨 및 4.8kg의 디아세톤알코올을 50l용량의 날화기에 넣어 85내지 90℃에서 4시간 반죽한다. 얼음을 가하여 농축물을 입자로 만들고 과립화시킨다. 생성된 입자를 250l의 물에 현탁시키고 습식마쇄한다. 현탄액을 여과하고 여과케익을 세척하여 염 및 용매를 제거한 후 건조 캐비넷에서 75℃의 온도로 48시간 건조시킨다. 실시예 1에서와 같이, 수득된 5kg의 미세입자를 5kg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분말과 혼합하여 청색의 원통형(또는 리본)의 입자를 얻는데 이것은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용융착색하는데 적합하다.
[실시예 3]
실시예 1을 되풀이하되 디나플 L 206대신에 베스투리트 BL 952(Chemische Werke Huls의 선상포화코 폴리에스테르, 융점 : 90내지 130℃)를 사용하여 적색의 입자를 얻는데 이것을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용융착색하는데 적합하다.
[실시예 4]
다음 성분으로 구성된 농축물을 50l 용량의 반죽기내에서 제조한다 : 7.5kg의 베스투리드 BL 952(참조 실시예 3), 5kg의 조(租) β-포커프탈로시아닌, 30kg의 미세분말 염화나트륨, 4.5kg의 디아세톤이 혼합물을 80내지 80℃에서 6시간 반죽한 후 물을 가하여 농축물을 미세한 입자로 만든다. 이입자를 50l의 물에 현탁시키고 습식마쇄시킨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케익을 세척하여 염 및 용매를 제거한 후 진공캐비넷 내에서 60내지 70℃의 온도로 48시간 건조시킨다. 수득된 유동가능한 40%입자를, 실시예 1에서와 같이 동량의 폴리에틸렌프탈레이트분말과 혼합하여 β-코퍼프탈로시아닌 20%를 함유한 청색입자를 얻는데 이 입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용융착색하는데 가장 적합하다(Co-날화기의 온도 : 185내지 245℃).
[실시예 5]
48부의 비텔, VPE-3862 A(Goodyear Co의 선상 포화코폴리에스테르 : 분자량, 20,000내지 30,000 : 융점 100내지 125℃), 32부의 실시예 2의 청색안료, 160부의 미세분말 염화나트륨 및 43부의 디아세톤 알코올을 실험실용 반죽기에 넣어 90℃에서 5시간 날화한다. 물을 가하여 농축물을 입자로 만들고 과립화 시킨다. 조(租)입자를 4,000부의 물에 현탁시키고 톱니콜로이드 밀을 사용하여 미세한 입자로 마쇄한다. 여과한 후 여과케익을 세척하여 염 및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캐비넷 내에서, 60내지 70℃에서 건조시켜 조분말을 수득한다. 이 분말 150부를 롤러 기어배드에서 150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혼합하고 혼합물을 진공하에 60°내지 70℃에서 건조시킨다음 압출기에서 용융시켜 직경이 3mm인 원통형줄을 수득하고 절단기를 사용하여 길이가 2 내지 3인 청색의 원통형입자를 수득한다. 이 입자는 착색제 20%, 코폴리에스테르(비텔 VPE-3,862 A) 30%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50%로 이루어지며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용융착색하는데 가장 적합하다.
[실시예 6]
다음 성분으로 구성된 농축물을 실험실용 날화기 내에서 제조한다 : 테레프탈산 /아젤라산-1,4-부탄디올/디에틸렌글리콜(융점 125내지 155℃)을 기준으로 하여 48부의 코폴리에스테르, 32부의 카본블랙 "프린텍스(printex) 400''(Degussa), 128부의 미세하게 마쇄한 염화나트륨 및 38부의 디메틸 포름아미드 이혼합물을 약 95℃에서 5시간 동안 반죽하고 50℃까지 식힌다. 이 농축물은 약 40부의 얼음을 첨가함으로써 미세한 입자상으로 전환시킨다. 이 입자들을 4,000부의 물에 현탁시키고 수시간 동안 교반한 후 여과한다. 여과케익은 세척하여 염 및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하, 60내지 70℃에서 탈수한다. 생성된 제제 200부를 200부의 폴리에 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분말과 혼합한다. 실시예 5에서와 같은 과정을 수행하면 폴리에스테르 섬유에 대한 용융착색에 매우 적합한 흑색 입자가 수득된다.
[실시예 7]
a)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540부를 60부의 상기 실시예들에서 수득된 것중에서 선택한 착색된 입자 60부와 밀폐용기 또는 롤러기어테이블(roller gear table)내에서 혼합한다. 무색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임자와 착색된 제제의 혼합물을 100℃, 0.5토르에서 약 48시간동안 건조시킨 후 압출용융방사기(인벤타형)에서 방사온도 290℃, 압출기내 체류시간 10분, 300m/min의 속도로, 24-구공 방사노즐(직경 0.35mm)을 통해 방사하여 폴리에스테르 영구 1차 필리멘트로 만든다. 이 필라멘트는 100℃의 연신가 연기상에서 1 : 4.022의 비율로 신장시킨다. 이 섬유의 성질은 착색되지 않은 섬유의 성질과 같다.
b) 착색되지 않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마스터 배취 입자의 혼합물을 160℃에서 24내지 48시간동안 건조시키면 상기와 동일한 우수한 결과를 얻는다.
[실시예 8]
48부의 디나폴 L 206(실시예 1 참조), 82부의 C.I안료 적색 88, 미세하게 마쇄된 염화나트륨 160부 및 25.6부의 디아세론 알코올을 가열 및 냉각이 가능한 용량 0.5리터의 실험실용 날화기 내에서 5시간동안 반죽한다. 농축물의 온도는 78내지 82℃이다. 농축물은 55부의 얼음을 사용하여 입자화한다. 수득된 약간 불균일한 입자는 3,000부의 물에 넣고 교반하고 톱니콜로이드 밀 내에서 마쇄하여 균일한 미세입자를 만든다. 여과한 후 여과케익을 세척하여 염화용매를 제거하고 진공 캐비넷내, 60내지 70℃에서 탈수시킨다. 이 탈수된 제제 100부를 100부의 마쇄된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프와 튜브상의 혼합기내에서 혼합한다. 이혼합물은 진공하, 60내지 70℃에서 건조시키고 190내지 230℃에서 직경 3mm의 줄로 압출시킨다. 이줄을 절단기에서 길이 2내지 3mm의 원통형 입자로 절단한다. 20%의 안료, 30%의 코폴리에스테르디나폴 L 206 및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는 내마모성 입자는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용융착색에 가장 적합하다.
[실시예 9]
다음의 혼합물을 85내지 90℃의 용량 0.5리터인 실험실용 날화기 내에서 날화한다.
테레프탈산/이소테레프탈산/아젤라산-1,4-부탄디올/디에틸렌글리콜(융점135내지150℃)를 기준으로하여 48부의 코폴리에스텔, 32부의 C.I안료 자색 23, 160부의 미세하게 마쇄된 염화나트륨 및 43부의 디아세톤알코올이 농축물을 50℃까지 식히고 30부의 얼음을 첨가하여 미세입자화 한다. 이 입자는 60내지 65℃의 물 3,000부에 현탁시키고 그 수시간동안 교반한 다음 여과한다. 여과 케익은 세척하여 염 및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하 60내지 70℃에서 탈수한다. 건조된 제제 200부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분말 200부와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진공캐비넷내, 60내지 7ㅔ℃에서 건조시키고 압출기(온도범위 180내지 260℃)내에서 용융시킨후 압출하하여 직경 3mm의 줄로 만든다. 이 줄을 절단하여 길이 2내지 3의 자색원통형 입자로 만든다. 이 입자는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갖는다 : 20%의 착색제, 30%의 코폴에틸렌테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것은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용융 착색시키는데 매우 적합하다.
[실시예 10]
다음과 같은 조성을 가지는 농축물을 실험실용 날화기내에서 제조한다. 32부의 C.I. 안료황색 129, 48부의 베스투리트 BL 950(Chemische Werke Huls사의 시판품인 선상 포화코폴리에스테르 : 융점 100내지 150℃), 160부의 미세하게 마쇄된 염화나트륨 및 29부의 디아세톤 알코올 이 혼합물을 4시간동안 날화하고(농축물 온도 85내지 88℃) 50℃가지 식힌후 40부의 얼음을 첨가하여 미세입자로 만든다. 이입자를 약70℃의 물 4,000부에 현탁시키고 톱니콜로이드 밑 내에서 마쇄하여 균일하고 미세한 입자로 만든후 여과한다. 여과케익을 세척하여 염 및 용매를 제거하고 60내지 70℃에서 건조시킨다. 생성된 미세입자 200부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분말 200부와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실시에 9에서와 동일한 조건하에서 건조시키고 뒤이어 180내지 260℃에서 압출하여 줄로 만든다. 이줄을 절단하여 길지 2내지 3mm의 황색원통형입자로 만드는데 이는 폴리에스테르섬유의 착색에 가작 적합하다. 이 입자의 조성은 다음과 같다 : 20%의 안료 30%의 코폴리에스테르 "베스투리트(Vesturit) 950 및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실시예 11]
32부의 C.I 안료 Yellow 110과 48부의 Vesturit BL 951(Chemische Werke Huls의 코폴리에스테르 : 융점은 90내지 140℃)와 128부의 미분쇄한 염화나토리움과 25.6부의 디아세톤 알콜을 실험실용 날화혼합기로 85내지 90℃에서 4시간 날화 혼합한다. 위의 응집물을 냉각한 다음 30부의 얼음과 함께 약 50℃에서 처리하여 고운입자로 만든다. 이 입자를 60℃의 4,000부의 물에 현탁시키고 클로이드 밀로 균질의 미입자로 분쇄한 다음 여과한다. 케이크상 여과물을 세척하여 염가 용매를 제거하고 60내지 70℃에서 진공 건조한다. 이와 같이하여 얼은 150부의 입자를 150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60내지 70℃의 진공 캐비넷에서 건조한 후 180내지 260℃의 온도범위에서 압출하여 직경 3mm의 봉상으로 뽑는다. 위 봉상물을 절단하여 길이 2내지 3mm 원중형 황색입자로 만든다. 이들 입자는 실시예 7의 방법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착색하는데 유효하게 쓰일 수 있다. 입자의 구성은 20%의 색소와 30%의 코폴리에스테르 "Vesturit BL 951" 및 50%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되어있다.
[실시예 12]
다음의 혼합물을 0.5l용전이 실험용 혼합기 내에서 85°로 약 5시간 동안 혼합한다(이때 가열 및 냉각할 수 있다) : 32부의 다음 일반식의 퀴노프탈론골든 오렌지 색소.
Figure kpo00001
48부의 디나폴 L 205(방향성 디카복실산 및 지방성 디올에서 유래한 연쇄코폴리에스테르, 디나밀 노벨 AG에서 시판 ; 평균 분자량 15,000 ; 융점 범위 85내지 135℃), 160부의 염화나트륨 고운가루 및 25.6부디아세톤알콜이 농축물을 냉각시키고 55℃의 온도에서 30부의 얼음을 사용하여 고운 입자로 만든다. 이 입자를 4,000부의 60℃의 물에 분산시키고 현탁액을 톱니 콜로이드 밀에 넣은 다음 여과시킨다. 여과 케익을 세척하여 염과 용매를 제거하고 60내지 70℃의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이어서 수득된 100부의 입자를 300부의 폴리에 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혼합한후 60내지 70℃의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실험실용 압출기 내에서 3mm 직경의 섬유를 압출해낸다(온도범위 : 180내지 260℃).
이 섬유를 2 내지 3mm길이의 실린더형 입자로 자르고 이를 실시예 7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착색하는데 사용한다. 제제의 조성 : 10%색소, 15% 디나폴 L 205 및 75%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실시예 13]
지방산/헥산디올로부터 유래된 48부의 지방성 폴리에스테르(평균 분자량 1,550, 융점범위 70내지 82℃)를 실험실용 혼합기 내에서 용융시킨다. 이 용융물에 125.5부의 C.I. 색소 오렌지 43의 수성여과케익과 25.5%함량의 고체를 함께 가하고, 분리된 물이 투명해지고 무색이 될때까지 87℃에서 혼합한다. 이어서 40부의 얼음을 가하고, 물을 전부 가하여 냉각하면서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미세한 입자로 하여 50℃의 진공에서 건조시킨다. 이어서 100부의 입자를 1,233부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분말과 혼합한다. 50℃진공에서 건조시킨 후 실험실용 단일 스쿠루의 압출기내에서(온도범위 : 180내지 260°C)3mm 직경의 섬유를 압출해낸다. 이 섬유를 재단기내에서 길이 3mm의 실린더형 정제로 자른다. 3%라는 낮은 색소함량을 생각할때, 이들 펠렛은 실시예 7에 따라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용융 착색시키는데 좋은 결과를 기대하며 사용할 수 있다. 이 입자는 다음의 조성을 지닌다 : 3%착색제, 4.5%지압성 폴리에스테르, 92.5%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드.
[실시예 14]
48부의 베스튜릿 BL 952(실시예 3 참조). 192부의 사이클로헥산올을 가열 및 냉각시킬 수 있는 실험실용 혼합기에 넣는다. 폴리에스테르가 완전히 용해되면 실시예 13에 사용된 C.I. 색소 오렌지 43의 수용성 여과 케익 125.5부를 88℃에서 가하고 분리된 물이 투명하고 무색이 될때까지 배취를 혼합한다. 물은 경사 시키고 이 혼합물을 냉각시킨 후 60내지 70℃진공에서 용매와 물을 제거한다. 이 딱딱한 덩어리를 분쇄하여 빻는다. 이어서 100부의 본 제제를 100부의 빻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60내지 70℃진공에서 건조시키고 압출시켜(온도범위 : 180내지 260℃)섬유를 뽑아낸 후 직경 3mm 길이 2 내지 3mm의 펠렛으로 절단한다. 이 입자는 폴리에스테르 섬유를 용융 염색시키는데 가장 적합하다. 입자의 조성 : 20%착색제, 30%착색체, 30% 베스튜릿(Vesturit) 952, 및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실시예 15]
다음 혼합물을 실험실용 혼합기내에서 90℃로 4시간 동안 혼합한다.
C.I. 보라색 안료 19번 32부, 디나폴 L 206(실시예참조) 48부, 곱게 연마시킨 염화나트륨 128부 및 디아세톤알콜 25.6부 동시에 냉각시키면서 30부의 얼음을 농축액에 가하고 생성된 과립들은 물에 현탁시켜서 톱니콜로이드 밀로 고운 과립을 만든다. 이 과립들을 60℃의 물 3,000부에 현탁시킨다. 온도를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현탁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여과한다. 여과케이크는 세척하여 염과 용매를 제거하고 60내지 70℃의 진공조에서 건조시킨다. 다음에 50부의 건조된 미립들을 150부의 마쇄시킨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60내지 70℃의 진공에서 건조시켜서 압출(온도 : 180내지 260℃)시켜서 부드러운 줄로 만드는데 이 줄은 직경 3mm이고 길이 2 내지 3mm인 입자로 절단한다. 이 과립의 조성 : 색소 10%, 디나폴 L 206 15%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5%.
디아세톤알콜 25.6부 동시에 냉각시키면서 30부의 얼음을 농축액에 가하고 생성된 과립들은 물에 현탁시켜서 톱니콜로이드 밀로 고운 과립을 만든다. 이 과립들을 60℃의 물 3,000부에 현탁시킨다. 온도를 그대로 유지시키면서 현탁액을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여과한다. 여과케이크는 세척하여 염과 용매를 제거하고 60내지 70℃의 진공조에서 건조시킨다. 다음에 50부의 건조된 미립들을 150부의 마쇄시킨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와 혼합한다. 이혼합물을 60내지 70℃의 진공에서 건조시켜서 압출(온도 : 180내지 260℃)시켜서 부드러운 줄로 만드는데 이 줄은 직경 3mm이고 길이 2내지 3mm인 입자로 절단한다. 이 과립의 조성 : 색소 10%, 디나폴 L 20615%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75%
[실시예 16]
C.I. 안료 레드 16615부, 조(租) β-동프탈로시아닌 17부, 지방족 폴리에스테르(지방상/에틸렌글리콜로 구성되며, 분자량 약 4,000내지 5,000, 융점 약 72내지 81℃) 48부, 미세분말성 염화나트륨 190부 및 디아세톤알콜 55.6부를 실험실용 날화기속에서 60℃로 4시간동안 혼합 날화한다. 다음 농축물을 냉각시키고 얼음 40부를 가해서 미세한 입자로 만든다. 이들 입자들을 물 4,000부 속에 현탁시키고 현탁액을 톱니형 클로이드 밀중에서 미세입자로 분쇄시킨뒤 여과한다. 여과 케익을 세척해서 염분과 용매를 제거하고 진공중에서 건조시킨다. 다음 입자 50부를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분말 350부와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건조하고 스트랜드로 압출(온도범위 : 180내지 260℃)한다음 입자로 자른다. 입자조성물 : 착색제 5%, 지방족 폴리에스테르 7.5% 섬유는 이들 입자로 용융상테에서 남청색으로 착색될 수 있다.
[실시예 17]
C.I. 안료 레드 224 32부, 베스투리트 BL 952 48부(실시예 3참조)미세분말성 염화나트륨 160부 및 디아세론 알콜 25.6부를 가열 냉각시킬 수 있는 0.5리터 용량 실험용 날화기중에서 88℃로 4시간동안 혼합한다. 농축물을 냉각시키고 얼음 30부를 가해서 미세 입자들을 얻는다. 이들 입자들을 물속에서 교반하고 톱니형 클로이드밀 중에서 분쇄해서 균질한 미세입자를 얼는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여과케익을 세척해서 염분 및 용매를 제거하고 60내지 70℃로 진공중에서 건조한 뒤 스트랜드로 압출(온도범위 180°와 260℃사이)한 다음 절단기중에서 입자로 자른다. 이들 입자들은 대부분 폴리에스테르섬유를 용융 상태에서 착색하는데 적합하다. 입자의 조성물 : 착색제 20%, 30%의 베스투리트 BL 952 및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50%.
[실시예 18]
다음 혼합물을 85℃로 4시간동안 혼합한다 : 안료 브라운 2632부, 디나폴 L 206 48부(실시예 1참조), 미세분말성 염화나트륨 160부 및 디아세론알콜 25.6부. 냉각하는 동안, 얼음 300부를 농축물에 가하면 즉시 미세한입자가 얻어진다. 이들 입자의 수용성 현탁액을 톱니형클로 이드밑에서 분쇄한다. 여과케익을 세척해서 염분 및 용매를 제거시킨뒤 진공중에서 60내지 700C로 건조시킨다. 얻어진 입자 100부를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산-에틸렌글리콜의 코폴리에스테르 100부(융점 185와 200℃사이)와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진공중 60내지 70℃에서 건조시키고 온도범위 150내지 230℃에서 시트랜드로 압출한 다음 절단기로 자른다. 결과의 입자는 다음 조성물을 가진다 : 착색제 20%, 디나폴 L 20630% 및 고용융코폴리에 스테르 50% 이들은 폴리에스테르 섬유을 용융상태에서 착색하는데 아주 적합하다.

Claims (1)

  1. 안료 20내지 80중량부와 60°내지 160℃에서 용융하는 폴리에스테르 80내지 20중량부를 염과 용매존재하에 혼합날화하거나 또는 안료를 폴리에스테르의 용융물 내에 플러쉬 방법으로 처리하여 농축물을 만든 다음 이 농축물을 섬유 형성 선상 폴리에스테르와 혼합하고 이 혼합물을 용융하여 입상물로 가공처리함을 특징으로 하는 선상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착색하기 위한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19790002420A 1978-08-01 1979-07-20 선상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착색하기 위한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KR83000088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8218/78-5 1978-08-01
CH821878 1978-08-01
CH580379 1979-06-21
CH5803/79-8 1979-06-2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887B1 true KR830000887B1 (ko) 1983-04-26

Family

ID=256983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790002420A KR830000887B1 (ko) 1978-08-01 1979-07-20 선상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착색하기 위한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4279802A (ko)
EP (1) EP0008373B1 (ko)
KR (1) KR830000887B1 (ko)
CA (1) CA1142286A (ko)
DE (1) DE2964809D1 (ko)
DK (1) DK323779A (ko)
PL (1) PL116770B1 (ko)
RO (1) RO79318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573055B2 (en) * 1984-12-20 1988-05-26 Bip Chemicals Ltd. Pigmented polyester composition
JPS61162554A (ja) * 1985-01-09 1986-07-23 Mitsubishi Petrochem Co Ltd ポリエステル系着色樹脂組成物
US4804719A (en) * 1988-02-05 1989-02-14 Eastman Kodak Company Water-dissipatable polyester and polyester-amides containing copolymerized colorants
GB2275930B (en) * 1993-03-10 1995-10-25 Coates Brothers Plc Dispersion
US6232371B1 (en) 1996-03-04 2001-05-15 Basf Corporation Dispersible additive systems for polymeric materials, and methods of making and incorporating the same in such polymeric materials
EP0794222B1 (en) * 1996-03-04 2006-05-1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ethods for making additives for synthetic filaments and incorporating such additives in thermoplastic filament-forming polymeric materials
US5658704A (en) * 1996-06-17 1997-08-19 Xerox Corporation Toner processes
US6096822A (en) * 1998-04-21 2000-08-01 Alliedsignal Inc. Low molecular weight polyester or polyamide pigment dispersing composition and color concentrate for the manufacture of colored polymers
US6060007A (en) * 1998-10-20 2000-05-09 Tyco Group S.A.R.L. Process for forming dyed braided suture
EP1026212A1 (en) 1999-01-29 2000-08-09 Sigma Coatings B.V. Pigment concentrate
DE102004045639A1 (de) * 2004-09-21 2006-04-06 Clariant Masterbatch Gmbh & Co. Ohg Polyester-Farbmittelkonzentrat
CN102675833A (zh) * 2012-05-28 2012-09-19 东莞市德诚塑化科技有限公司 用于制造着色聚合物的浓色母料及其制备方法
IT201600109323A1 (it) 2016-10-28 2018-04-28 Giovanni Broggi Preparazioni pigmentarie universali per colorare e rinforzare materie plastiche
JP2022045895A (ja) * 2020-09-09 2022-03-22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黄色系化合物、該化合物を含有する着色組成物、カラーフィルター用着色剤およびカラーフィルター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68663A (en) * 1956-08-29 1959-01-13 Nat Lead Co Pigmented synthetic material and a method for making the same
NL109345C (ko) * 1957-05-29
GB1044378A (en) * 1962-05-19 1966-09-28 Eastman Kodak Co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polymers
DE2312260A1 (de) * 1972-03-14 1973-09-27 Ciba Geigy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mit farbstoffen oder additiven impraegnierten granulaten aus linearen polyamiden oder polyestern
US4012358A (en) * 1975-04-11 1977-03-15 Inmont Corporation Pigmenting fiber grade polyest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2964809D1 (en) 1983-03-24
US4279802A (en) 1981-07-21
CA1142286A (en) 1983-03-01
EP0008373A1 (de) 1980-03-05
EP0008373B1 (de) 1983-02-16
RO79318A (fr) 1982-08-17
DK323779A (da) 1980-02-02
PL217489A1 (ko) 1980-05-05
PL116770B1 (en) 1981-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30000887B1 (ko) 선상 폴리에스테르를 용융착색하기 위한 안료조성물의 제조방법
DE69007385T2 (de) Anthrachinon-Copolyester Farbstoffkonzentrate.
US4116924A (en) Pigment concentrations
DE69106724T2 (de) Pulverförmige farbpräparate sowie verfahren für deren herstellung.
DE2452870A1 (de) Fluoreszenzfarb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KR101164704B1 (ko) 폴리에스터 착색제 농축물
CN107286466A (zh) 一种含纳米色粉的聚丙烯色母粒及其制备方法
US4076667A (en) Granules and pellets for the modification of polycondensates which can be shaped, as well as the process for obtaining these granules and pellets and shaped articles thus obtained
US3867332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shaped articles of a linear polyester
US3668172A (en) Pigmented polyester compositions
US2945840A (en) Process for manufacture of a polyethylene terephthalate in finely divided form
DE2619878C2 (de) Pelletisierbares Pigmentkonzentrat
DE1669569B2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igmentierten hochpolymeren formmassen
US4004940A (en) Pigmentation of polymers
DE1183195B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pinngefaerbten Gebilden aus hochschmelzenden aromatischen Polyestern
US4093584A (en) Process for the mass coloration or whitening of linear polyesters
DE3248492A1 (de) Farbmittelpraeparation
JP2807516B2 (ja) 染料及び/又は顔料を含む粉末組成物の製造方法並びにこのような組成物を使用して得られる生成物
CA1138144A (en) Process for the colouration of linear polyesters in the melt with perylenetetracarboxylic acid bis-methylimide
DE2228661A1 (de) Eine pulverige Polyamidlosung oder dispersion, ein Polyamidpulver, ein Her stellungsverfahren derselben und ein Pul verbeschichtungsverfahren
DE2746164C2 (de) Verfahren zur Überführung von schwerlöslichen Chinolinderivaten in eine Pigmentform
DE2312260A1 (de) Verfahren zur herstellung mit farbstoffen oder additiven impraegnierten granulaten aus linearen polyamiden oder polyestern
DE69130325T2 (de) Gefärbte polyesterzusammensetzungen
CS208673B2 (cs) Způsob výroby pigmentových přípravků s obsahem 3 až 30 % hmotnostních pigmentů pro barvení lineárních polyesterů ve hmotě
EP0023886A1 (de) Pigmentpräpar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90720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2121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30325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3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