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20001013B1 - 디아테르미(diathermy) 치료 헤드(head)용 정전차폐기 - Google Patents

디아테르미(diathermy) 치료 헤드(head)용 정전차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1013B1
KR820001013B1 KR7703004A KR770003004A KR820001013B1 KR 820001013 B1 KR820001013 B1 KR 820001013B1 KR 7703004 A KR7703004 A KR 7703004A KR 770003004 A KR770003004 A KR 770003004A KR 820001013 B1 KR820001013 B1 KR 820001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atermi
electrostatic
head
ceramic head
energ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7703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엠. 배리 후래드
엔. 쉬래이 재임스
Original Assignee
우겐 씨. 맆스키
인터내쇼날 메디칼 엘렉트론닉스,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겐 씨. 맆스키, 인터내쇼날 메디칼 엘렉트론닉스,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우겐 씨. 맆스키
Priority to KR7703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101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1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1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0Applying static electricity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agnetic Treatment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디아테르미(diathermy) 치료 헤드(head)용 정전차폐기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해 만들어진 디아테르미 도자 헤드의 정전차폐의 평면도.
제2도는 정전차폐가 붙여진 디아테르미도자 헤드의 분해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라 만들어진 디아테르미 도자 헤드의 조정 가능한 정전차폐의 평면도.
제4도는 제3도의 선 4-4를 따라 취한 차폐의 단면도.
본 발명은 신체내부의 조직의 열적치료에 있어서 종래의 디아테르미(diathermy) 장치에 의해 방사되는 정전계(靜電界)를 크게한 피부면 가열효과를 얻도록 감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재래의 단파 디아테르미 치료에 따라 유해한 피부가열효과를 될수 있는 한 작게하던가 또는 방지하는 방법과 장치가 있다. 여기에서 예시하는 방법은 도자의 헤드(head)에서 보내진 정전계의 감쇄와 치료를 하는 심부늬 신체조직에 방사전자(電磁)에 너지를 피부를 통해 사실상 방해되는일 없이 전달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다.
정전계의 감쇄는 정전차폐에 의해 이루어지고 그 차폐는 방사전극과피 치료환자 상사의 디아테르미의 도자헤드위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방사된 전자파는 주로 비교적 심부(深部)의 신체조직속에 열을 발생시켜서 치료하는 역할을 하고 사실상 방해받음 없이 차폐를 통과한다. 차폐는 여러개의 가느다란 간격을 뚫은 금속으로되는 스트립과 그 스트립을 감고, 그와 동일면에 있는 전기 전도성의 루우프로 되어 있다. 스트립은 각기도자헤드(그 위에 실드가 붙여 있다) 내의 전류를 흐르는 코일과 루우프의 양쪽에 직각으로 되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스트립은 보통 루우프의 중심부에서 각스트립이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는 루우프를 향해 방사상으로 외측에 뻗어 있다. 이와 같이 배치하면 스트립은 정전계 방사선을 가로막지만 전자계를 용이하게 통과시킨다. 또 루우프는 프린징효과(frimging effects)를 약하게 하여 정전계 방사선을 적게 하지만 그 반경은 반사 자장과의 간섭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크기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은 신체내부조직의 열적치료에 있어서 종래의 디아테르미장치에 의해 방사되는 정전계를 크게한 피부표면 가열효과 없이 감쇄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의료 디아테르미는 신체조직의 치료적 열처리에 쓰이는 고주파전류를 포함하고 있다. 사용되는 무선 주파수는 충분히 높여서 신경이나 근육이 기분나쁘게 자극되지 않는다. 걸리는 세기는 충분히 낮기때문에 조직내에서 일어나는 온도는 조직을 파괴하거나 또는 그 활력을 상하게 하는데 필요한 것보다 낮다.
디아테르미 장치에 의해 발생되는 무선 주파수 전류는 고주파 에너지를 심부에 있는 환부(患部) 조직부분에 피부를 통해 전달되도록 설계되어 있는 디아테르미도자헤드에 의해 제어하면서 환자에 가해진다. 그러나 방사에너지는 목표의 근육조직에 이르기까지는 피부와 지방층을 통하지 않으면 안 된다. 지방층은 협관과 냉각능력이 거의 없는데다 아래쪽의 조직보다 비열이 작기 때문에 단위열 입력당의 온도 상승이 크게된다. 따라서 대표적인 도자헤드의 경우 피하 지방층이 가열되어 아픔을 전혀 이겨낼수가 없다. 염증과 피부가 타는 것도 종래의 디아테르미 치료에 흔히 일어나는 것이다. 피부의 초기가열에 따라 발한(發汗)작용이 일어난다. 땀(汗)은 비교적 대량의 염화나트륨 용액을 함유하고 따라서 땀은 대단히 전기를 통하기 쉽다. 식염수중의 순환전류가 온도를 증발점까지 올려주면 증기에 의한 회상이 일어난다.
상술한 유해한 표면 가열효과는 주로 종래의 디아테르미 도자에 의해 방사된 정전계에 의해 일어난다는 것을 알았다. 그 문제는 예를 들어 1974년 1월 발행의 "프로세딩오브 더 아이. 이이. 이"(Proceedings of the I.E.E.E) 제62권 제1호의 55페이지에 있는 전자기전력의 치료적 응용(電磁氣電力의 治療的應用) 이라는 제목의 논문에서 논하고 있다.
그러나 방사된 전자계는 표면조직의 유해안 화상을 일으키지 않는다. 그 대신 그것은 대단히 깊게 침투하여 근육조직을 똑같게 가열한다. 그 심부 가열효과는 전가계선이 조직계면에 수직보다는 접선의 방향에 있으므로 경계조건은 그만큼 표면가열효과를 일으키지 않는다. 따라서 디아테르미 치료의 심부가열의 치료적 효능은 주로 전자 에너지에 의해 일어난다. 그 결론은 예를들어 1965년에 메릴랜드주 발티모어의 "웨바리 프레스"사에서 발행된 시드네-리히트편집의 가열냉각 치료법의 제2판 285페이지에 논하고 있는 바와같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의 학식을 논박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방사 정전계를 크게 감쇄시키고 게다가 전지 에너지를 전송을 가능하게 하는 디아테르미 헤드의 차폐와 디아테르미 장치를 사용한 내부조직의 가열치료의 방법으로 되어 있다. 차폐는 동일 평면에서 일반적으로 원형의 루우프(loop)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수개의 비자성금속(동이 바람직하다) 스트립으로 되어 있다. 각 스트립은 차폐가 붙여져 있는 디아테르미 도자 헤드내의 전류를 흐르는 코일에 관해 일반으로 수직으로 향하고 있다. 스트립의 폭은 디아테르미 도자 헤드에 의해 방사되는 에너지의 파장에 대해 극히 좁다. 루우프의 중심 가까이로부터 일반으로 방사상 외향으로 뻗어있는 각 스트립은 루우프의 곳에서 끝나 전기적으로 루우프에 접속되어 있다. 방사된 전자계와의 간섭을 방지하는데 충분한 크기의 루우프가 다시 정전계의 프린징(fringing)을 방지하는데 따라 정전차폐효과를 주고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만들어진 2개의 원형일것이 좋은 차폐가 겹쳐쌓여 있다. 원형차폐의 하나가 다른쪽에 있어 상대적으로 회전하도록 붙여져 있으므로 환자쪽으로 가는 정전에너지의 양을 제어하기 위해 바라는바 대로 회전된다. 제1의 위치에 있어서 각 원형차폐의 속에 있는 스트리ㅍ은 일직선으로 나란히 하고 있는 양의 정전에너지들 환자에 전해 주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막혀진 위치에 있어서는 제1의 원형차폐의 스트립이 제2의 스트립 사이에 나란히 하므로 정전계에너지의 전달(환자로의)의 사실상 감소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시되는 방법은 무선주파수 전류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되어 있고, 이에 따라 디아테르미 도자헤드를 통해 치료할 신체조직에 유도할 수 있는 정전 및 전자에너지를 만든다. 또 이 방법은 방사 정전에너지의 적어도 일부를 디아테르미 치료법에 따른 피부가열효과를 최소로 하기위해 에너지가 피부의 외면에도 달하기 전에 감쇄시키는 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최후로 이 방법은 치료할 신체조직에 사실상 방해를 받음이 없이 피부를 통해 방사전자에너지를 전달할 것을 요구하고 있다. 정전에너지의 감쇄는 디아테르미도자헤드를 붙인 정전차폐를 사용함으로서 가장 좋게 달성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과 장치의 기본적 목적은 종래의 단파 디아테르미 도자헤드를 따라 표면가열효과(예를들면 피부 화상)을 감소시키는 한편 동시에 근육의 치료처치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에게 유해한 정전에너지의 전달을 감쇄시키고 한편 보다 바람직한 전자에너지를 사실상 방해를 받음없이 통과시킬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자에너지의 손실을 최소로하는 상기한 특성의 차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도전성 스트립의 폭이 방사된 에너지의 파장에 비해 극히 좁은것이 본 발명의 특징이다. 단락턴(turm)효과는 스트립이 속에 뻗어있지 안는 루우프의 중심부에 공간을 남김으로서 감소된다. 최후로 루우프는 정전 프랜징을 방지 하도록 스트립을 감고 있다. 이와 같은 특징이 함께되어 차폐의 전체효율을 끌어 올려서 전자 에너지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고 정전에너지의 통과를 막는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디아테르미 도자헤드를 폭넓게 변화시켜서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상기한 성질의 정전차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스트립과 루우프를 풀 또는 접착제에 의해 현존하는 도자헤드에 붙일 수 있는 것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또 스트립과 루우프를 적당한 금속도금기술에 의해 만들어도 좋다. 예를들면 종래의 도자헤드의 프라스틱카버위에 금속으로 모양을 붙일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헤드가 소망의 「부하」(환자의 신체를 포함)를 걸때 디아테르미 도자헤드에 의해 경험되는 이조효과(離調效果)를 감쇄하기 위한 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환자의 신체와 도자헤드사이의 바람직하지 않은 정전(용량성)결합이 차폐를 붙이면 상당히 감소되는 것이 본 발명의 또 하나의 특징이다. 따라서 본 발명을 사용하고 있는 도지 헤드를 환자의 신체 가까이 두더라도 공진으로부터 매우 이조는 하지 않을 것이다. 후자의 특징은 본 발명에 의해 보여주는 중요한 상승 효과이다. 따라서 차폐가 종래의 디아테르미 헤드로 붙이면 조작의 용이성과 효율이 증가하고 바람직하지 않은 부효과가 감소된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통과하는 정전 에너지의 양(量)을 미리 정해진 양으로 제어하기 위해 환자(혹은 디아테르미장치의 조작자)가 조절할 수 있는 디아테르미도자헤드에 대한 독특하게 만들어진 가변차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타의 목적은 아래의 설명속에 밝혀질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에 있어서 설명하면 참조번호 10에 의해 일반적으로 도시되는 정전차폐는 주변 루우프(11)와 여러개의 전기도전성 스트립(12)으로 되어 있다. 루우프(11)와 스트립(12)은 비금속 붙이는 면의 위에 배치되어 접착제등으로 내면에 펼쳐 붙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대신 루우프와 스트립은 면(13)에 종래의 엣칭기술에 의해 금속화 되어도 좋다. 수개의 붙이는 구멍(13)이 루우프(14) 내부의 차폐(11)의 대각되는 귀퉁이에 배치되어 있다. 차폐(10)가 구멍(10)을 통해 뻗혀지는 붙이는 나사(14)에 의해 도자헤드(16)에 걸리고 헤드(15)의 속에 형태를 결정한 적당한 개구부속에 나사를 받아드리도록 되어 있다. 나사(15)는 도자헤드의 금속틀 즉 샤시헬프(16)(따라서 차폐(11)의 적당한 접지를 이루고 있다.
루우프(10)는 디아테르미 도자헤드에 의해 방사된 전자계 와의 간섭을 피하기 위해 충분하게 크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이러한 루우프는 방지 정전계의 프린징을 방지하기 위해 도자헤드의 끝에 충분히 가깝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루우프(11)는 도자헤드의 크기와 거의 같고 즉 헤드 내부의 밑에 놓아둔 전류를 흘리는 코일(18)을 감싼덮개만한 크기여야한다. (제2도) 루우프가나사 (16)에 의해 적절히 접지되어 있을 때는 종래의 디아테르미 도자헤드에 의해 방사된 정전계의 프린징을 방지하여 표면조직의 가열을 방지하는 보조가된다.
스트립(12)(역시 구리로 만들어져 있는 것이 좋다)의 각각은 루우프(11)에 의해 덮인 영역(17)의 중심으로 부터 일반적으로 방사상으로 밖을 향해 뻗어있다. 스트립(12)은 루우프의 동일한 평면이며 납땜등에 의해 여기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스트립(12)의 넓이가 관련 디아테르미 장치에 의해 방사된 에너지의 파장(보통 약 11미터)에 비해 대단히 작고 여기에 따라 순환전류가 전자 에너지의 손실을 최소로하고 있음은 중요하다.
각 스트립(12)은 루우프(12)와 도자헤드속의 밑에 있는 코일(18)(제2도)에 사실상 수직방향으로 되어있다. 스트립은 상대적으로 회라데 즉 정전차폐로서의 기능을 하고 디아테르미 헤드에 의해 방사된 정전계 에너지를 환자로 부터 유효하게 떨어져 있다. 정전계에너지는 스트립(12)각각의 속에 의(의) 전류의 형태로 사실상 소산되는 것이다.
스트립(12)은 「단락턴」 효과를 피하기위해 영역(17)을 만드는 크기에 따루고 있다. 예를 들면 스트립이 이 영역을 가로질러 뻗혀 있는 경우 전자계로 부터 스트립 속에 유기된 전류가 발생하여 가열효과가 그만큼 떨어진다. 차폐(루우프 11)의 외측 엣칭둘레의 「단락턴」은 자계의 외측에 있으므로 여기서 일어나는 전자 에너지 손실은 최소로 되어 있다.
제2도에 있어서 디아테르미 도자헤드(2C)는 좋기로는 금속으로 상자 모양의 일반적으로 테이퍼된 덮개(22)속에 이웃하고 있는 유도적인 나선상으로 감긴 코일(18)로 되어 있다. 코일(18)은 덮개(22)의 하측 금속표면으로 부터 일정거리를 두고 있는 평탄한 붙이기면(19)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간격은 방사자계에 미치는 금속 덮개의 효과를 최소로한다. 도자헤드는 디아테르미 발전기장치(도시하지 않음)에 기계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암(27)에 의해 지지되어 있다. 암(7)은 종래의 볼과 소켓의 조합(28)을 통해 덮개(22)에 조정 가능하도록 붙여져 있다. 발전기장치로 부터 뻗어 있는 케이블(23)은 도자헤드에 들어가 끝 부분(24)과 (25)를 통해 RF 에너지를 코일(18)로 보낸다. 헤드(15)는 예를 들어 동일 양수인에 의해 소유되어 「단파 디아테르미의 유도도자헤드」라는 명칭의 1974년 3월 3일에 출원된 양도 출원번호 제449,372호의 특허중의 원서에서 지금은 포기되어 있는 것으로 부터 시사된 것을 따라 만들어도 좋다. 면 13은 덮개(22)에 마추어 만들어져 도자헤드의 상면을 포함하고 있다. 설명을 위해 차폐(10)는 붙이기면(13)의 상부의 기능적 조작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스트립(12)의 각각을 루우프(11)에 의해 사실상 감싸지고 있는 코일(18)밑에 있는 루우프에 사실상 수직으로 향해지고 있다. 루우프(11)를 여러 방법으로 접지해도 좋으나 특정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면(13)이 디아테르미 도자헤드의 샤시에 루우프(11)를 전기적으로 접속하고 있는 덮개(22)에 다시 붙여지는 것으로 붙임나사(16)에 의해 접지되어 있다.
RF 에너지가 코일(18)에 (선 23를 통해) 걸리면 통상도자헤드에 의해 방사된 정전계는 환자가 받는 바람직하지 않은 표면조직가열을 최소로하는 차폐(12)로 사실상 감소된다. 그러나 동시에 전자 에너지가 차폐(10)를 통과하여 환자에 들어가 바람직한 치료적 가열효과를 지지한다.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원형의 조절되는 차폐(30)는 한쌍의 겹쳐진 차폐면(31)과 (32)로 되어 있다. 앞서와 같이 실드(30)는 환자와 디아테르미 도자헤드 속에서 전류가 흐르는 코일과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실드면은 원형으로 전기도전성의 루우프(34)와 중앙영역(37)으로 부터 루우프(34)를 향해 방사상으로 밖을 향해 뻗어있는 여러개와 똑 같은 간격으로 떨어진 전기 전도성의 스트립(36)(또는 36a)으로 되어 있다. 영역(30)은 제1및 제2도의 영역(17)에 상당되어 있고, 전기적으로 비도전성으로 이에 따라 「단락턴」효과를 피하고 있다.
스트립(36)은 전기적으로 루우프(34)에 접속되어 있다. 루우프(34)는 적절한 디아테르미도자헤드의 틀에 접지하여 붙여지기 때문에 그 속에 설치된 여러개의 붙이기 구멍(38)을 가지고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루우프는 이와 같이 하여 정전 프린징을 방지하며 한편 스트립은 차폐를 통해 벗어나는 정전에너지를 감쇄시킨다.
제3도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스트립(36) 각각의 폭은 중심영역(37)과 루우프(34)사이에서 똑 같이 붙어나 있다. 주목할 것은 인접 스트립사이의 각 간격(40)의 크기가 스트립(36)의 크기에 사실상 같아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면(30)이 면(32) 상면의 위에 일직선으로 나란히 할 수 있도록 두어져서 티벳드(40b)에 의해 마찰적으로 게다가 회전될 수 있도록 고정되는 경우 면(31)속의 스트립(36)이 면 (32)속의 밑에 있는 간격(40a)를 막으면 (32)속의 스트립(36a)이 면(31)속의 간격(40)를 막은 것 같은 「폐쇠」위치에 회전해도 좋다. 한편, 표면(31)을 스트립(36)이 직접 스트립(36a) 위에 있는 것 같은 「열러진」 위치에 회전해도 좋다.
확실히 여러가지 중간 위치를 선선택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하여 차폐(30)는 빠져나가는 RF 에너지의 양을 변화시키기 위해 환자(또는 기계조작자)에 의해 조정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한 목적의 모든 것을 밝힌 다른 잇점과 여기에 고유의 잇점과 함께 달성하는데 잘 적용한 것임이 분명하다.
제2, 3도의 특징과 부조합이 유용하며 다른 특징과 부조합에 관계 없이 사용하더라도 좋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것은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 의도되고 그속에 있다.
많은 가능한 실시예가 그 범위에서 벗어나는 일 없이 본 발명에서 만들고 얻어지므로 여기서 설명한 또는 첨부 도면에 도시한 모든 것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해석할 것이며 제약적인 의미로 해석할 것이 아니란 것은 명백하다.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한바와 같이 디아테르미 도자헤드를 가진 단파치료기의 정전기(靜電氣) 차폐기에 있어서, 전류 코일을 가진 디아테르미 도자헤드를 환자의 환부에 놓을수 있게 형성하며 도자헤드에서 방사하여 환자에게 투사되는 정전 에너지를 감쇄시키는 루우프를 도자헤드의 같은 크기로 형성하며 도자헤드코일의 평면과 평행한 평면으로 형성하되 도자헤드의 코일과 수직하게 전기 전도성 스트립을 형성하며 감쇄기구를 접지하는 기구를 결합구성하여서 정전에너지와 전자 에너지를 디아테르미를 통하여 환자의 신체조직에 유도하고 피부에 도달하는 정전에너지 일부를 감쇄하여 환부를 온열치료할 수 있게함을 특징으로 하는 디아테르미치료헤드용 정전차폐기.
KR7703004A 1977-12-22 1977-12-22 디아테르미(diathermy) 치료 헤드(head)용 정전차폐기 KR820001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3004A KR820001013B1 (ko) 1977-12-22 1977-12-22 디아테르미(diathermy) 치료 헤드(head)용 정전차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3004A KR820001013B1 (ko) 1977-12-22 1977-12-22 디아테르미(diathermy) 치료 헤드(head)용 정전차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1013B1 true KR820001013B1 (ko) 1982-06-07

Family

ID=192054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3004A KR820001013B1 (ko) 1977-12-22 1977-12-22 디아테르미(diathermy) 치료 헤드(head)용 정전차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1013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068292A (en) Electrostatic shield for diathermy treatment head
US4632128A (en) Antenna apparatus for scanning hyperthermia
US4237898A (en) Apparatus for heating tissue and employing protection against transients
EP0208058B1 (en) Annular electromagnetic radiation applicator for biological tissue
US4121592A (en) Apparatus for heating tissue
US4702262A (en) Electromagnetic applicator for localizing hyperthermia heating in a system
US4429698A (en)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therapy apparatus
GB2027594A (en) Inductors for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therapy apparatus
KR820001013B1 (ko) 디아테르미(diathermy) 치료 헤드(head)용 정전차폐기
JP2004313582A (ja) マイクロ波治療器用照射器
Cheung Microwave and radiofrequency techniques for clinical hyperthermia
US4823813A (en) Electrostatic deep heating applicators
CA1161501A (en) Electrostatic shield for diathermy treatment head
US4817635A (en) Interstitial applicator with cancellation/enhancement gap
US4823811A (en) Electrostatic deep heating applicator
FI60972B (fi) Elstatiskt skydd foer diatermi anvaent behandlingshuvud
EP0756879A2 (en) Electromagnetic shields for thermotherapy
Schwan Electromagnetic and ultrasonic induction of hyperthermia in tissue-like substances
CA1108237A (en) Electrostatic shield for diathermy treatment head
JPH0614760Y2 (ja) 加温療法用マイクロ波放射器
JPH0311012Y2 (ko)
JPH0151270B2 (ko)
CN110548227A (zh) 一种微波针灸辐射器
JP3520603B2 (ja) 温熱治療器
CA1159904A (en) Inductors for high frequency electromagnetic therapy apparatu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771222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1052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1982012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20507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208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