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20000320B1 - 원통형 필름 공급 및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원통형 필름 공급 및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20000320B1
KR820000320B1 KR1019800001801A KR800001801A KR820000320B1 KR 820000320 B1 KR820000320 B1 KR 820000320B1 KR 1019800001801 A KR1019800001801 A KR 1019800001801A KR 800001801 A KR800001801 A KR 800001801A KR 820000320 B1 KR820000320 B1 KR 8200003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rod
cylindrical film
tongs
blade mount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18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성구
Original Assignee
장성구
박희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성구, 박희복 filed Critical 장성구
Priority to KR10198000018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200003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200003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20000320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Landscapes

  • Closing Of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원통형 필름 공급 및 절단장치
제 1 도는 본 발명의 장치를 실시할 탁주병마개의 제조공정도로서 (a)에 도시된 바와 같은 수납봉에 (b)와 같이 잘려진 원통형필름을 끼우고 (c)와 같이 원판형 철판을 삽설한다음 필름의 상부를 가열하면 필름이 수축하여 (d)와 같은 탁주병 마개가 성형되는 것으로 (e)와 같은 탁주병의 마개로 사용되는 것임.
제 2 도는 본 발명을 실시한 탁주병마개제조기의 요부를 발췌한 정면도.
제 3 도는 본 발명의 종단면도.
제 4a 도는 윗집계의 사시도.
(b)는 윗집게의 작용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 5 도는 아랫집게의 작용상태도.
제 6 도는 (a)는 필름 절단장치의 분해사시도.
(b)는 가동풀리(13)가 회전함에 따라 가동 풀리(13)가 칼날취부판체(14)를 스프링(15)으로 끌고 동반회전하는 상태도.
(c)는 브레이크판(23)이 칼날취부 판체(14)를 약간 제동한 상태에서 회전하는 상태도.
제 7a, b 도는 원통형필름의 공급 및 절단 상태도.
본 발명은 원통형 필름을 일정한 크기로 절단하여 절단된 필름상부에 천판을 삽설한후 필름 상부를 열수축시켜 제조되는 탁주병마개를 제조하는 탁주병마개 제조기에 있어서 병마개의 원자재인 원통형필름을 공급 절단하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종래의 탁주병마개 제조기는 탁주병마개의 원자재인 원통형필름을 절단한후 천판을 삽설하는등의 일련의 공정이 수동으로 이루어지므로 노동임금상승에 따른 제조원가의 상승을 초래하였으며 다량생산이 곤란한 결점이 있었던 것이다.
즉 종래에는 두루말이에 감겨서 겹쳐진 원통형필름을 원통형으로 펼쳐진 상태로 공급함이 곤란하고 또 원통형으로 펼쳐져 공급된 필름을 절단하는 기계가 개발되지 못하였기 때문에 겹쳐진 필름은 반드시 손으로 펼쳐야 했으며 따라서 전공정의 자동화가 불가능하였던 것이다.
본 고안은 종래의 탁주병마개에 있어서의 위와 같은 결점을 제거하고 일련의 작업공정이 자동화로 이루어질수 있도록 겹쳐진 원통형필름을 원통형으로 펼쳐서 공급하고 절단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필름공급장치를 실시한 자동식 탁주병마개제조기는 제 2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름공급장치(a)와 필름절단장치(b) 그리고 절단된 필름을 수납 이송하는 체인형 콘베어(c) 천판공급장치(d) 및 열수축장치(e)로 구성된다. 즉 겹쳐진 원통형필름에 감입봉(2)을 감입하여 필름이 펼쳐져 원통형을 유지하면서 일정한 길이만큼 하강케하는 필름공급장치(a)와 감입봉(2)에 감입되어 일정한 길이만큼 하강된 필름을 절단하여주는 필름절단장치(b) 그리고 절단장치(b)에 의하여 절단된 필름을 스프링으로 탄설된 수납봉으로 수납하여 이송시키는 체인형 콘베어(c) 및 수납봉에 수납되어 이송된 필름에 천판을 삽입 공급하여주는 천판공급장치(d) 및 전열선이 내장된 가열통 내부로 천판이 삽입된 필름을 수납시킨 수납봉이 통과하게하여 필름의 상단이 수축하여 천판과 원통형 필름을 고착하므로서 병마개를 성형시켜주는 열수축장치(e)로 구성된다.
먼저 본 발명의 요지이며 자동식 탁주병마개 제조기의 핵심인 필름공급장치(a) 및 이와 불가분의 장치인 필름절단장치(b)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부기틀(1)에 통공을 형성시키고 통공의 직상부에 상부 집계기대(2)를 장설하되 상부 집계기대(2)는 별도의 캠에 의하여 일정한 길이(하나의 병마개로 사용될 원통형필름의 길이 : 이하 "단위길이"라 칭함)만큼 상하로 승강작동되게 한다.
상부집게 기대(2)의 중앙에는 통공을 삭설하며 제 4 도에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집게 기대(2)의 상면에는 집게(3)(3')의 일단을 공동축설하고 집계(3)(3')의 타단에는 각각 작동봉(4)(4')을 고착하며 두 개의 작동봉(4)(4')을 스프링(5)으로 탄설하여 스프링(5)이 집게(3)(3')를 오무리게 한다.
그리고 작동봉(4)(4') 사이에는 집게(3)(3')를 벌려줄수 있는 회동구(6)를 축설하되 회동구(6)의 일단에 밀대(7)를 고착시켜 밀대(7)에 힘을 가하면 회동구(6)가 회동되고 따라서 회동구(6)의 양단이 집게(3)(3')를 벌려줄수 있게 한다.
중간기틀(8)의 중앙부에 축관부(8')를 일체로 형성시킨다. 이 축관부(8')에는 상단에 플랜지(10)가 형성되고 하단에 경사턱(11)과 종방향으로 찢어진 다수개의 종홈(12)을 삭설한 하부집게통(9)을 삽설한다.
하부집게통(9)의 플랜지(10)와 중간기틀(8) 사이에 캠(25)에 의해 작동되는 지렛대(24)를 장설한다.
중간기틀(8)의 축관부(8') 외주에는 축관부(8')를 회전축으로하는 가동풀리(13)와 칼날취부판체(14)를 각각 상하로 축설하고, 가동풀리(13)와 칼날취부판체(14)를 스프링(15)으로 연설하여 가동풀리(13)가 회전하면 스프링(15)의 견인력으로 칼날취부판체(14)가 따라서 회전되게 한다. 그리고 제 6 도에 상세하게 도시된 바와같이 칼날취부판체(14)에 대략 ㄴ자형의 칼날취부체(16)를 축설하고 칼날취부체(16)의 하단부에 칼날(17)을 착설하되 칼날(17)이 칼날취부판체(14)의 중심방향에 향하도록 한다. 칼날취부체(16)의 상단에는 절곡된 작동봉(18)을 고착하고 작동봉(18)의 선단을 칼날취부판체(14)의 중심부축 돌봉(19)에 스프링(20)으로 탄설하여 스프링(20)이 작동봉(18)의 선단을 칼날취부판체(14)의 중심부쪽으로 당기게 하므로써 칼날(17)이 칼날취부판체(14)의 외방으로 벌어지게 한다.
가동풀리(13) 돌턱(21)을 고착하되 돌턱(21)이 작동봉(18)의 내측에 접하여지도록하며 또 돌턱(21)이 돌봉(19)에도 저지될 수 있게하여 스프링(15)이 가동풀리(13)와 칼날취부판체(14)를 당기는 정도를 제어할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작동봉(18)의 외방측 칼날취부판체(14)상에 저지봉(22)을 고착시켜서 가동풀리(13)의 돌봉(21)이 작동봉(18)을 제키는 정도를 제어함과 동시에 작동봉(18)을 한껏 제킨후에는 돌봉(21)이 작동봉(18)을 매개로하여 저지봉(22)을 밀어 가동풀리(13)와 칼날취부판체(14)가 같이 회전되게 한다.
칼날취부판체(14)의 외주면에는 브레이크판(23)이 장설하여 필요시에 브레이크판(23)으로 칼날취부판체(14)의 회전에 액간의 장애를 줄수 있게 한다.
상부 기틀(1)의 통공과 하부집게통(9)의 통공을 관통하여 원통형필름(26)을 포삽한 캐리어(27)를 감입하되 캐리어(27)의 상세한 구조는 제 7 도에 도시되어 있으며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다.
즉 캐리어(27)의 상단은 탄환형으로 형성시켜 원통형 필름(26)의 계속적인 감입이 용이하게하며 캐리어(27)의 하단에 캐리어(27)의 외경과 동일한 외경을 갖는 승강관체(28)를 장착한다. 승강관체(28)의 내상부에는 저지턱(29)이 형성되어 있다.
저지턱(29)의 중앙부에 통공(30)을 천설하고 통공(30)을 통하여 밀대(31)를 삽입하되 승강관체(28)의 지지턱(29)과 밀대(31)의 하단을 스프링(32)으로 탄설시키며 밀대(31)의 상단을 핀(33)으로 캐리어(27)의 하단에 고착시킨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을 탁주병마개 제조장치에 실시할 경우에는 필름 공급 및 절단장치(a)(b)의 직하부 즉 밀대(31)의 직하부에 체인형콘베어(c)가 장착된다. 체인형콘베어(c)는 별도의 캠에 의하여 한칸씩 한칸씩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필름공급장치(a)에 의하여 공급되고 필름절단장치(b)에 의하여 절단된 원통형 필름을 수납하는 수납봉(34)이 스프링(35)에 의하여 탄설되어 있고 밀대(31)의 직하방에 위치한 수납봉(34')의 직하부에는 캠에 의하여 승강 작동되는 승강봉(36)이 장착되어 있어 승강봉(36)이 캠의 작동에 따라 수납봉(34')을 밀어올리면 주납봉(34')이 밀대(31)의 하단을 밀어 올리면서 원통형 필름(26) 내부로 들어가 원통형필름(26) 하단이 수납봉(34')에 끼워지게 한다.
필름공급 및 절단장치(a)(b)의 후측에는 원형철판을 절단된 원통형 필름에 삽입하여주는 천판공급장치(d)가 장설되어 있고 또 그 후측에는 전열선이 내장된 공지의 열수축장치(e)가 장설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 및 본 발명을 실시한 탁주병마개 제조기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밀대(7)에 힘을 가하여 회동구(6)를 회동시키므로서 회동구(6)의 양단이 집게(3)(3')를 벌리게 한다음 상부기틀(1)의 통공 및 하부집게통(9)의 통공을 통하여 원통형필름(26)을 씌운 캐리어(27)를 감삽하되 캐리어 (27)의 승강관체(28) 하단이 칼날(17)의 위치보다 약간 높은 위치에 오도록 갑삽시킨다. 이와같은 상태에서 모우터(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전원을 공급하면 중간기틀(8)의 상면에 장착한 지렛대(24)가 캠(25)에 의하여 하부집게통(9)을 들어올리게 되고 따라서 경사턱(11)이 형성된 하부집게통(9)의 하단은 중간기틀(8)의 축관부(8') 하단에 의하여 중심방향으로 오무라들게 되므로 하부집게통(9)의 하단이 원통형필름(26)과 캐리어(27)의 승강관체(28)를 꼭 붙잡게 된다.
이와 같이 하부집게통(9)의 하단이 원통형필름(26)과 캐리어(27)의 승강 관체(28)을 붙잡은 상태에 있을 때 체인형 콘베어(c)의 승강봉(36)이 별도의캠(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하여 상승하면서 수납봉(34)(34')을 위로 올려주며 위로 올라가는 수납봉(34)(34')은 밀대(31)를 승강관체(28) 내부로 밀어 넣으면서 원통형필름(26)속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캐리어(27)는 원통형필름(26) 속으로 단위길이만큼 더 밀려올라가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밀대(31)가 승강관체(28) 내부로 밀려올라가고 수납봉(34')이 원통형필름(26)속으로 들어감과 때를 같이하여 상부집게기대(2)는 별도의 캠에 의하여 단위길이만큼 상승하여 자리를 잡게 된다.
상부 집게 기대(2)가 상승을 완료하고 또 수납봉(34')이 원통형필름(26)속으로의 감입이 끝나면, 별도의 모우터에 의하여 계속하여 회전하고 있는 가동풀리(13)에 스프링(15)에 의하여 연결되어 동방회전하고 있던 칼날취부판체(14)의 외주면에 브레이크판(23)(브레이크판(23)의 작동구조의 도시와 설명은 생략함)이 접찰되며 따라서 브레이크판(23)의 회전이 약간정도 저지된다.
그리하면 저지당함 없이 회전하는 가동풀리(13)는 칼날취부판체(14)보다 회전속도가 빠르게 되고 따라서 가동풀리(13)의 돌털(21)이 작동봉(18)을 외방으로 밀어주며 작동봉(18)이 외방으로 밀리면 칼날(17)은 내향으로 자전하게 되며 내향으로 자전된 칼날(17)은 원통형필름(26)을 뺑돌려 잘라낸다.
이와 같이 원통형필름(26)이 잘겨지면 브레이크판(23)은 다시 제위치로 돌아오며 즉 칼날취부판체(14)의 외주면으로부터 떨어지며 가동풀리(13)와 칼날취부판체(14)를 이어주는 스르링(15)에 의하여 가동풀리(13)의 돌턱(21)은 후퇴하고 또 작동봉(18)은 스프링(20)에 의하여 끌어당겨져 칼날취부체(16)가 반전하게 되고 따라서 칼날(17)은 외방으로 이탈된다. 이와 동시에 상부집게 기대(2)에 장착된 회동구(6)를 벌려주던 밀대(7)에 가하여진 힘이 풀리게 되며 따라서 스프링(5)에 의하여 집게(3)(3')가 오무라져 원통형필름(26)과 캐리어(27)를 함께 꼭 붙잡게 되며 이와 같이 집게(3)(3')가 원통형필름(26)과 캐리어(27)를 잡은 상태에서 체인형콘베어(C)의 승강봉(36)이 내려가면 수납봉(34')은 잘려진 원통형필름이 끼워진채 스프링(35)에 의하여 하강되고 이와 같이 수납봉(34')이 하강함과 동시에 지렛대(24)가 하부집게통(9)을 하강시켜 하부집게통(9)의 하단이 벌어지게 되면 승강관체(28)가 스프링(32)의 함으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되면 체인형콘베어(C)는 한칸 이동되어 다음의 수납봉(34)이 밀대(31)의 직하방에 위치하게 되고 동시에 원통형필름(26)과 캐리어(27)를 함께 잡은 상부집게기대(2)가 단위길이만큼 하강하며 상부집계기대(2)가 하강을 완료하면 중간기틀(8)의 지렛대(24)가 하부집게통(9)을 올려 하부집게통(9)의 하단이 원통형필름(26)과 승강관체(28)를 잡고 동시에 밀대(7)에 힘이 가해져 회동구(6)를 회등시키며 회동되는 회동구(6)가 집게(3)(3')를 벌려 캐리어(27)가 상승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여 수납봉(34)에 수납되어 한칸씩 한칸씩 이송되어온 잘려진 원통형필름 내부에 편치에 의해 절단성형된 원형천판이 제 1c 도와 같이 천판공급장치(d)에 의해 공급되고 다시 전열선이 내장된 공지의 열수축장치(e)를 통과하므로서 원통형필름의 상단이 수축되어 제 1d 도와 같은 완성된 병마개를 얻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납작하게 접어져 권취되어 있는 원통형필름을 원통형으로 펼쳐서 단위길이만큼씩 공급하고 절단할 수 있게 하므로서 병마개의 성형을 전자동화시킬수 있게 하였으며 그리하여 인건비의 절감을 가하고 양산을 가능케하여 생산원가를 절감시킬수 있게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단위길이만큼 승강작동되는 집게(3)(3')와 하부집게통(9)의 중공부에 캐리어(27)를 끼우고, 캐리어(27)의 하단에는 승강관체(28)를 스프링(32)으로 탄설하며, 돌턱(21)을 가진 가동풀리(13)와 외주면에 브레이크판(23)을 장착시킨 칼날취부판체(14)를 스프링(15)으로 연설하고, 칼날취부판체(14)에 칼날취부체(16)를 축설하며, 승강관체(28)의 직하부에는 승강작동되는 수납봉(34)을 장착하여서 된 원통형필름의 공급절단장치.
KR1019800001801A 1980-05-07 1980-05-07 원통형 필름 공급 및 절단장치 Expired KR8200003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801A KR820000320B1 (ko) 1980-05-07 1980-05-07 원통형 필름 공급 및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1801A KR820000320B1 (ko) 1980-05-07 1980-05-07 원통형 필름 공급 및 절단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20000320B1 true KR820000320B1 (ko) 1982-03-22

Family

ID=192164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1801A Expired KR820000320B1 (ko) 1980-05-07 1980-05-07 원통형 필름 공급 및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20000320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53070A (en) System for manufacturing coreless roll paper products
US5352319A (en) Process and apparatus for production of toilet paper rolls having no core
FI82656C (fi) Foerfarande foer framstaellning av baerbara foerformiga paket av tryckalster, saosom tidningar, tidskrifter och liknande.
EP0142486B1 (fr) Appareillage pour le contrôle et le réamorçage du fil coupé lors du remplacement des bobines pleines se trouvant sur les broches d'un métier continu à filer par des tubes vides
JP4744730B2 (ja) 容器へのラベル・スリーブの装着装置
US4692196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wrapping an external tape support about a filter element assembly
DE454566C (de) Schrittweise umlaufende Sockelkittmaschine fuer elektrische Gluehlampen und aehnliche Vakuumgefaesse
KR820000320B1 (ko) 원통형 필름 공급 및 절단장치
FI60541C (fi) Anordning foer foerpackning av straengar
CN210260472U (zh) 一种自动上料的收卷机
US3585779A (en) Apparatus for winding ribbon material applying wrapping tape thereto
US20020017083A1 (en) Device for fitting a sleeve on a container and method of applying the device
US4726533A (en) Method of and apparatus for the automatic positioning of a web-winding core in a double-roll coiling machine
US247820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king dipped candles
US568512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vering an article with wrapping material
US2237654A (en) Fabric winding apparatus
KR0123457Y1 (ko) 슬리트코일 포장장치
JPS6116281Y2 (ko)
US2503178A (en) Apparatus for automatically making beads
CN109733959B (zh) 加棉芯机
EP0233351A2 (fr) Machine pour la soudure d'une chaîne ornementale à anneaux croisés du type en forme de corde à deux brins
US2275571A (en) Container manufacture
JP3723363B2 (ja) 結束式包装装置
AU2002364276A1 (en) Supplying device for film cores and method for supplying film cores
FR2497781A1 (fr) Procede pour changer les bobines et les mandrins des machines d'enroulement sans ax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00507

PG1605 Publication of application before grant of patent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G16051S01I

Patent event date: 19820216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20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