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10001095Y1 -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 - Google Patents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10001095Y1
KR810001095Y1 KR7706983U KR770006983U KR810001095Y1 KR 810001095 Y1 KR810001095 Y1 KR 810001095Y1 KR 7706983 U KR7706983 U KR 7706983U KR 770006983 U KR770006983 U KR 770006983U KR 810001095 Y1 KR810001095 Y1 KR 810001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ip
circuit breaker
alarm switch
prebar
switch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70698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 노부 미하라
Original Assignee
진도 사다가쓰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진도 사다가쓰, 미쓰비시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진도 사다가쓰
Priority to KR7706983U priority Critical patent/KR810001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10001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10001095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50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 H01H71/52Manual reset mechanisms which may be also used for manual release actuated by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71/00Details of the protective switches or relays covered by groups H01H73/00 - H01H83/00
    • H01H71/10Operating or release mechanisms
    • H01H71/12Automatic release mechanisms with or without manual release
    • H01H71/14Electrothermal mechanisms
    • H01H71/16Electrothermal mechanisms with bimetal element

Landscapes

  • Break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
제1도는 종래의 차단기 조작기구와 경보스위치장치의 관계를 표시한 부분정면도.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차단기 측단면도.
제3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조작기구와 경보스위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부분정면도.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OFF)상태의 조작기구와 경보스위치의 관계를 표시한 측면도.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온(ON) 상태의 관계를 표시한 부분측면도.
제6도는 동상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 정면도.
본 고안은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예컨대 경보스위치등의 부속회로를 부설하는데 용이한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회로차단기의 시장이 확대되어 이와 관련하여 부속장치가 붙은 회로차단기의 수요도 증가하여 취부개수도 될 수 있는한 많은 것을 요망하게 되었다.
또한, 공사의 공사기간 단축화를 위해서, 메이카가 가지고 있는 각 지방의 개조센터나 업자가 간단히 표준본체와 부속장치의 조립공사를 하고 싶어하는 경향이 있다.
제1도는 종래의 회로차단기의 조작기구와 경보스위치 장치와의 관계를 표시한 부분정면도이다.
이 도면에 있어서, 취부판(1)에 붙어있는 마이크로스위치(42)는 액튜에이터(Actuater,50), 연등봉(47)를 거쳐서 트립프레바(Triplever,23)에서의 움직임에 의해 접점절환동작을 하고 있다.
이러한 구조라고 하면, 경보스위치가 붙은 공사를 할 때, 연등봉(47)을 트립프레바(23)에 취부하여 넛트(49)로서 고정하게 되지만, 소형화시킨 회로차단기의 구조내에서는 매우 곤란하다.
또한 잘못해서, 넛트(49),스프링(48), 와서(도면에 없음)등을 떨어뜨리면 좁은 공간에서 그것을 줍는데 곤란하고, 이것을 줍지 않으면, 앞으로 큰 문제가 되는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다시, 상술한 바와 같이, 경보스위치를 회로차단기에 취부하는 작업이 곤란하기 때문에 업자들에게 부속장치의 부품을 판매하는데 무리가 있게되고, 더구나 1대의 회로차단기에 좌, 우극 2개의 경보스위치를 취부할 수도 없는등 대단히 사용상 각종 제약이 있었다.
그렇기 때문에, 본 고안의 주가되는 목적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소하여 간단하고 안전하게 좌우극 2개의 경보스위치를 취부할 수 있고, 다시 신뢰성이 향상된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을 요약하면, 가동접촉자 장치와, 토글링크(Toggle link)를 포함해서 가동접촉장치를 개폐 조작하는 조작기구와, 이 가동접촉장치를 자동 개방시키는 트립프레바를 구비하고, 통상 개로일 때 전기트립프레바는 동작하지 않고, 자동 개방일때는 트립프레바가 회동하여, 위 토글링크를 거쳐 가동접촉장치를 개리시키게끔 구성된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전기트립프레바의 타단에 파이프를 압입해서 고정 또는 삽입해서 링으로 고착하고 마이크로스위치와 코일형 스프링에 의해 구성된 경보스위치의 코일형 스프링의 일단을 절연 캡을 통해 파이프에 삽입하면 자동개방시에 트립프레바와 동일궤적으로 움직이게 하고, 마이크로스위치를 동작절환시켜, 전기경보스위치가 회로차단기의 좌우극에 동시에 원타치(one touch)로서 취부되도록 한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에 관한 것이다.
제2도는 본 고안의 회로차단기의 측단면도인데, 도면에 있어서, 몰드베이스(1)와 몰드커어버(2)의 양단에는 외부 접속단자(3)(3,)가 배치되어 있다.
전원측 도전단자(4)의 일측단은 외부 접속단자(3)에 접속되고, 타측단에는 고정접촉자(5)가 고착되어 있다.
가동접촉자간(7)은 고정측접촉자(5)의 대향위치에 가동접촉자(6)을 구비하고, 축(8)에 의해 콘택트홀더(9)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고, 일단은 가소도체(10)에 의해 중간접속자(11)에 연결되어 있다.
바이메탈(12)의 하단은 중간접속자(11)의 절곡부분에 접속지지되고, 상단은 가소도체(13)를 거쳐 부하측도전단자(14)의 일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또 조정나사(15)는 바이메탈(12)의 위치조정을 하기 위한 것으로, 바이메탈(12)의 상단에 장착되었다.
바이메탈(12)의 중앙부에는 전자석의 고정철심(16)이 배치되어, 지지편(17)에 의해 몰드베이스(1)에 지지되었다.
가동철편(18)은 중앙위치를 회동자재하게 회동축(19)에 지지되어 하단은 자상 고정철심(16)의 양각에 대향되게 설치한다.
조작핸들(20)은 가동접촉자(6)를 개폐하는 개폐기구 및 석방자재장치로서 폐쇄외피에서 밖으로 돌출한 절연물로 되었고, 조작핸들(20)에 장착된 개폐레바(21)의 하단은 프레임의 돌기편(22a)를 자전자재하게 지지한다.
이 돌기편(22a)를 지점으로 하여 조작핸들(20)을 움직임에 따라 개폐기구가 조작된다.
트립프레바(23)의 일측단은 프레임(22)에 가설된 트립프레바축(24)에 회동자재하게 축지되어, 타측단(23a)은 트립프축(Triphook, 25)와 계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다시, 트립프레바(23)의 중앙부 상단에는 토글링크 취부축(23a)의 근처에 관통공이 천설되어, 파이프(23b)가 압입 고착되어 있다.
트립프레바축(24)을 자동 개방하였을 경우, 가동접촉자간(7)의 개로방향에의 움직임을 한정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한쌍의 토글링크(28),(28)은 토글링크 연결측(29)에 의해 각각의 일단을 회동 자재하게 연결하고, 토글링크(29)의 타단은 콘택트홀더(9) 및 가동접촉자간(7)과 일체로 축(8)에 의해 연결된다.
또, 토글링크(29)의 타단은 전기트립프레바(23)과 토글링크 취부축(26)에 의해 취부되어 있다.
콘택트홀더(9)의 단부는 다른극을 연동하는 콘택트홀더 절연축(31)에 정착되고 전기 가동접촉자간(7)은 콘택트홀더 절연축의 축심(32)을 지점으로 해서 조작기구에 의해 개토위치에 회동한다.
콘택트스프링(33)은 가동접촉자간(7)을 항상 폐로상태로 편이시키는 작용을 하고 있고, 조작스프링(34)은 한쌍의 토글링크 연결축(29)와 개폐레바(21)의 상단과의 사이에 가설시킨다.
트립프훅(25)은 프레임(22)에 지지되어 훅크핀(hook pin, 35)에 회동 자재하게 축지되고, 일단이 트립프레바(23)의 일단에 괘합(掛合)되어, 타단이 트립프샤프트 돌기편(36)과 계합된다.
3극 연동트립프 샤프트(37)은 각극마다 트립프피이스(Trippiece 38)가 일체로 성형되고, 트립프피이스(38)의 상단은 바이메탈(12)의 자유단에 설치된 트립프 조정나사(15)와 대향하여 있고 동시에 전자석 트립프장치의 가동편(18)의 상단과 대향하고 있다.
제3도는 본 고안의 한 실시예의 조작기구와 경보스위치의 관계를 표시한 정면도이고, 제4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오프상태일때의 조작기구와 경보스위치의 관계를 표시한 부분측면도이다.
제5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온상태일때의 조작기구와 경보스위치의 관계를 표시한 부분측면도이다.
제1도 내지 제5도를 참조해서, 스위치장치(40)는 몰드베이스(1)와 일부 凹상구(도시하지 않음)에 취부판(41)을 삽입후, 몰드커어드(2)에 위해 각극의 절연실내에 적당히 장착되어 있다.
이 실시예에서는 중앙극에 조작기구와 수용되어 여분의 공간이 없으므로 타극의 절연 격실내에 경보스위치 장치가 수용되어 있다.
마이크로 스위치(42)의 레바(42a)는 취부나사(43)에 의해 전기취부판(41)에 나사로 고착하였다.
코일형 스프링(44)의 일단은 절연캡(45)에 고착되어 타단의 훅크부(44)는 트립프레바(23)의 트립프레바축(24)과 동일선상에 있는 나사(46)에 의해서 취부판(41)에 나사(46)을 축으로 회동 자재하게 취부되어 있다.
이와같은 경보스위치장치(40)의 회로차단기의 취부는 몰부베이스(1)의 일부 凹상구(도면에 없음)에 취부판(41)의 다리부(41a)를 삽입후, 몰드카아버(2)를 베이스(1)에 조작시키므로 인해 고정된다.
한편, 절연캡(45)의 선단(45a)를 트립프레바(23)에 리베팅된 파이프(23b)에 삽입후 코일형 스프링(44)는 제3도 점선과 같은 방향으로 스프링이 탄지되어 있어 파이프(23b)로의 계합은 항상 안전되어 있다.
이런 상태에서 구성된 이 실시예에 관하여, 회로차단기의 개폐상태와 경보스위치의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회로차단기가 오프상태를 표시하는 제5도에서는 과부하 또는 단락상태가 아니므로, 바이메탈(12), 혹은 전자석의 가동편(18)은 동작하지 않는다.
즉 3극연동 트립프샤프트(37), 트립프훅(25), 트립프레바(23)등도 동작하지 않는다.
이것 때문에 트립프레바(23)에 리베팅된 파이프(23b)에 삽입 계합된 코일형 스프링(44)도 동작하지 않는다.
이러한 상태에서는 코일형 스프링의자형부(44b)는 마이크로스위치(42)의 레바(42a)에 압압력을 가하고 있기 때문에 마이크로스위치(42)의 접점 절환동작은 하지 않는다.
다음에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트립프 상태에서는, 트립프레바(23)가 트립프훅(25)에 의해 석방되어, 트립프레바(23)의 타단부(23a)는 트립프레바축(24)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어떤 각도만큼만 회전한다.
이때 트립프레바(23)에 리베팅되어 있는 파이프(23b)가 동시에 코일형 스프링(44)도 나사(46)을 중심으로 해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코일형 스프링(44)의자향부(44b)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마이크로스위치의 레바(42a)에 가해져있던 압압력을 제거한다.
이 때문에, 마이크로 스위치(42)의 접점이 절환되어 제어회로(도시하지 않음)의 경보신호로 출력되어 그 역할을 하게 된다.
제6도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의 부분정면도인데 이 도면에 있어서, 이 실시예는 전술한 제3도에 표시한 경보스위치(40)를 조작기구를 중심으로 해서, 좌우 대칭으로 2개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경보스위치(40)을 구성하고 있는 각 부품이 좌우대칭으로 되어 있는 점이 다른 것 뿐이고, 그 타의 구성 및 동작은 제3도 내지 제5도에서 설명한 것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에 의하면, 회로차단기에 경보스위치를 취부한 후 코일형 스프링의 회전둥심과 트립레바축이 동일선상에 있기 때문에, 트립프레바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때, 파이프와 절연캡의 사이에 무리한 꾸부림모우멘트가 걸리지 않고, 내구성이 매우 안전된 기구를 얻는다.
다시, 본체에 경보스위치의 삽입은 전술한 바와 같이, 특별기구류, 예컨대, 레이디오펜치, 드라이바, 박스스파나등의 사용은 불요하고, 여하한 장소에서도 작업할 수 있다.
또 삽입시에, 넛트나 와서등을 회로차단기의 조작기구내의 떨어뜨리거나, 부지간에 사용한다든지, 잘못하여 대사고를 일으킴도 없이 누구나 간단히 조작할 수 있다.
그리고 트립프레바의 충격력이 코일형 스프링을 통해 부드럽게 가해지는 구조이기 때문에, 내구성에 있어서도 신뢰성이 중가되고, 경보스위치의 삽입위치에 다소 차이가 있더라도 코일형 스프링의 탄력작용에 의해 파이프로의 계합은 비교적 안전하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은 간단하고 저렴하게 좌우 2개의 경보스위치를 취부할 수 있고, 또한 신뢰성이 향상된 경보스위치가 붙은 차단기를 얻을 수 있다.

Claims (1)

  1. 고정접촉자와 대향하고 있는 가동접촉자에 이상전류가 흘렀을 때 이 가동접촉자를 고정접촉자에서 자동개폐시키는 트립프레바(23)를 포함하는 회로차단기에 있어서, 전기트립프레바(23)의 일단에 장착된 파이프(23b)경보를 발성하기 위한 마이크로 스위치(42), 일단이 마이크로 스위치(42)의 접점을 압압하도록 배치된 코일형 스프링(44) 및 전기파이프(23b)와 코일형 스프링(44)의 타단과를 절연상태로 연결하는 절연캡(45)을 구비하고, 전기코일형 스프링(44)의 일단을 절연캡(45)을 거쳐 파이프(23b)에 삽입하며, 자동개방시에 이 코일형 스프링(44)이 트립프레바(23)와 동일궤적에서 움직여 마이크로 스위치(42)의 절환동작을 하게끔 된것과 전기마이크로 스위치(42)는 회로차단기를 사이에 두고 좌우 대칭으로 2개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
KR7706983U 1977-12-03 1977-12-03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 Expired KR810001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6983U KR810001095Y1 (ko) 1977-12-03 1977-12-03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706983U KR810001095Y1 (ko) 1977-12-03 1977-12-03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10001095Y1 true KR810001095Y1 (ko) 1981-09-14

Family

ID=19206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706983U Expired KR810001095Y1 (ko) 1977-12-03 1977-12-03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1000109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0477A (zh) * 2021-12-31 2022-04-29 深圳市泰永电气科技有限公司 旋转机构、切换开关装置及自动转换开关电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20477A (zh) * 2021-12-31 2022-04-29 深圳市泰永电气科技有限公司 旋转机构、切换开关装置及自动转换开关电器
CN114420477B (zh) * 2021-12-31 2024-04-05 深圳市泰永电气科技有限公司 旋转机构、切换开关装置及自动转换开关电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112270A (en) Means connecting circuit breaker and auxiliary feature modules
US3632939A (en) Circuit interrupter with improved molded insulating housing
KR930001954B1 (ko) 회로차단기 경보스위치 조작장치
US3492614A (en) Circuit breaker with thrust transmitting operating mechanism
US3949331A (en) Circuit breaker with adjustable thermal trip unit
EP0255955B1 (en) Circuit interrupter
US6229414B1 (en) Make-and-break mechanism for circuit breaker
JPH0336264B2 (ko)
US4149216A (en) Fused unitized combination starter
JPH0824020B2 (ja) 回路遮断器
US4931602A (en) Multipole circuit breaker
KR920003465B1 (ko) 회로차단기
KR810001095Y1 (ko) 경보스위치가 붙은 회로차단기
US7064635B2 (en) Circuit breaker including alarm interface lever
KR920008728B1 (ko) 회로차단기의 개폐기구
US3284731A (en) Auxiliary switch responsive to the movement of the circuit breaker linkage
US4754245A (en) Multi-pole circuit interrupter
US3103565A (en) walker etal
US4163881A (en) Circuit breaker with thrust transmitting spring
JP3932010B2 (ja) 回路遮断器の付属ユニット
US4302740A (en) Circuit breaker mechanism
JPH10223115A (ja) 回路遮断器
CN218069759U (zh) 一种漏电保护断路器
JPH0350597Y2 (ko)
KR100379691B1 (ko) 회로차단기의 접점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A0108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Comment text: Application for Utility Model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A01011R08D

Patent event date: 19771203

UG1604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UG16041S01I

Comment text: Decision on Public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810803

U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811130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UE0701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