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800000289B1 - 스퀠치 회로 - Google Patents

스퀠치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00000289B1
KR800000289B1 KR7502511A KR750002511A KR800000289B1 KR 800000289 B1 KR800000289 B1 KR 800000289B1 KR 7502511 A KR7502511 A KR 7502511A KR 750002511 A KR750002511 A KR 750002511A KR 800000289 B1 KR800000289 B1 KR 800000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signal
transistor
player
circui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502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린 베이커 알프레드
Original Assignee
죤. 브이. 리간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브이. 리간, 알. 씨. 에이. 코포레이숀 filed Critical 죤. 브이. 리간
Priority to KR7502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8000002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00000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00000289B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00Recording by mechanical cutting, deforming or pressing, e.g. of grooves or pits; Reproducing by mechanical sensing;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3/60Turntables for record carriers

Landscapes

  • 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And Reproduc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스켈치 회로
제1도는 본 발명 실시예인 비데오 터스크 플레이어구조의 일부 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 실시예에 따른 스켈치회로와 결합되는 제1도의 비데오 디스크플레이어의 회로블록 다이어그램.
제3도는 제2도의 플레이어장치에서 플레이어회로를 구동하는데 사용되는 장치의 일부의 블록 다이어그램과 도식적 회로도.
본 발명은 디스크 플레이어와 플레이어용의 스켈치회로에 관한것으로, 특히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에서 사용하기에 매우 적당한 형태의 스켈치회로에 관한 것이다.
1974년 10월 15일자로 죤. 케이. 클레벤스씨에게 허여된 미합중극 특허 제3,842,194호에서 설명된 비데오 디스크기록 및 재생장치에 있어서 기록된 정보는 도전성 코팅을 덮는 유전층과 함께 도전성코팅에 의해 덮힌 디스크 기판표면내에 나선형홈의 바닥에서 기하학적변동에 형태로 나타난다. 절연지지체에 고정된 도전성전극을 포함하는 재생바늘은 기록홈내에 투입된다. 바늘은 일정바늘형태로 기록홈의 연속회선의 트랙킹을 용이하게 하도록 방사형으로 구동되는 덮개내에(레코드에 들어있는 회전 턴테이블에 대해) 장착된 픽엎암에 의하여 지지되어진다. 디스크가 회전하므로서 바늘전극아래를 통과하는 홈바닥의 기하학적변동에 따라 변화하는 용량을 형성하도록 바늘은 디스크 코팅과 상호작동한다. 바늘전극에 결합된 적당한 회로는 용량변화를 기록된 정보를 나타내는 전기적신호 변화로 변환시킨다.
상술한 용량성 비데오 디스크 시스템의 적당한 형태에서, 기록된 화면정보는 복합 비데오 신호에 따라 변조된 제1반송 주파수를 포함하며 최대 최소 깊이간의 연속홈 바닥깊이변화의 형태내에서 나타난다. 유진. 오. 카이저씨에게 1975년 10월 7일자로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911,476호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화면정보는 깊이변화의 변조 "듀티싸이클"의 형태로 나타나 고 음성신호에 따라 변조된 제2 반송파(상기제1 반송파보다 낮은 주파수)주파수를 포함하는 음성정보에 의하여 바람직스럽게 달성되어진다.
상술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용의 플레이어에서, 적당한 입력여파함을 갖는 제각기의 FM 복조기는 디스크 재생에 의해 얻어진 FM 신호로부터 가청 및 비데오신호를 제각기 재생하도록 제공되어진다.
영상표시목적으로 기록된 비데오신호를 재생하기 위한 상술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작동에 있어서, 표시화면에서 발생되는 (보상되지 않는 한) 문제점은 적당한 화면정보 대신에 줄이나 흑백점의 형태로 화면 요란이 무질서한 위치에서 간헐적으로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화면결함은 길이, 두께, 출현의 영속성등으로 변화된다. 반면에 전체로서 화면정보가 파괴적이 아닌 이러한 화면결함의 간헐현상은 시청자에게 상당히 신경쓰이는 일이다.
이러한 문제의 분석은 여러가치 차이가 불안정한 화면점과 선을 만드는 것으로 밝혀냈다. 몇개의 원인은 레코드 자체의 결함으로 된 것이다. 또 다른 원인은 디스크(디스크 홈의 변화 범위내에서 여러 형태의 파편과 바늘이 닿는 등)의 특정동작에 따른 것이다. 또 다른 원인(예를들어 홈, 움푹패는 것등)으로 표시될 디스크의 오용 또는 오래 사용의 흔적으로 생긴다. 화면불량의 원인에 대한 좀더 세밀한 설명을 한다해도, 전혀 예상할 수 없고, 디스크에서 디스크로, 플레이에서 플레이로, 홈영역에서 홈영역으로 변화하는 문제에서 야기되는 차이형태의 여러 원인이 있는 것이 명백하다.
1974년 6월 6일 출원된 "오동작 검출과 보상방법 및 장치"라는 죤. 케이. 클레멘스씨의 미합증국특허출원 제477,102호에는 비데오 디스크 재생중 신호결함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막는데 대한 장치가 설명되어있다. 클레멘스씨의 장치에서, 결함검출은 플레이어화면 FM 검출기로의 순간입력주파수가 요구되는 화면 FM 신호편차범위한계 밖으로 나가는 순간을 표시를 나타낸다. 결함검출기출력은 전류정보에 대한 선행영상선으로부터의 정보의 스위치 교환을 제어하도록 구동한다. 연속영상선들에서 정보의 일반적인 과잉 때문에, 선행 선정보의 대치는 시청자에게 잘 감지되지 않는 결함발생을 막는데 유효하다.
상술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픽업회로출력의 특성 때문에 플레이어출력에 신호인가를 방지할 필요가 있는 여러가지 경우가 있다. 이러한 몇개의 예는, 전송이거나 혹은 다른 결함 픽업상태에 관련된다. 다른 예는 정지, 개시 조사, 운전중지등과 같은 필요한 효과에 대해 플레이어에 제공되지만 픽업회로에 의해 가능신호의 표시를 포함하지 않는 동작의 여러가지 형태와 관련된다. 대체로 출력방지를 위해 종래에는 플레이어출력을 스켈칭하는데 적당한 상태의 존재를 결정하도록 플레이어의 비데오 신호처리회로내에서 편향동 기성분 분리회로의 출력을 사용하는 것을 실제 했었다. 즉 동기분리기출력을 모니터하고 일정기간동안 동기펄스가 없을 때 스켈치작동모드를 개시하고 또한 동거펄스가 바뀔 때 스켈치 모드가 끝나도록 설계하였다.
동기분리기출력의 모니터에 의한 스켈칭장치에서의 문제들중 하나는, 스켈칭상태의 유지가 필요한 상태하에서 동기분리기로의 입력은 등기펄스로써 그리고 스켈치상태의 선단을 이끄는 동기분리기에 의해 의사 변화되는 잡음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필요한 스켈치상태를 유지시켜 잡음에 의한 의사종료를 막는 스켈칭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하면 스켈칭신호의 전개는 선정된 일정 반송과 편향범위로부터 플레이어의 FM 검출기로의 입력의 순시주파수의 이탈을 표시하는 장치에 응답한다.
상술한 클레멘스씨등에서 설명된 일반형태 결함 보상장치를 사용하는 플레이어에 있어서, 결함을 표시하는 장치는 결함보상장치용의 결함검출기로서 존재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스켈치발생기는 편리하게도 결함검출기출력에 응답한다. 스켈치신호발생기에 따른 결함검출기출력은 상술한 클레멘스등 출원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스트레칭(stretching)" 기술에 따르고 따라서 결과적인 결함표시펄스는 일단 시작되면 일정 이탈 범위로부터 입력주파수 벗어남이 없이 일정시간이 지날때까지 계속된다. 가용신호가 없는 상태하에서 플레이어픽업회로의 잡음출력특성은 대체로 "스트레칭" 파라메터의 선택이 사용신호가 없는 기간에 걸쳐 연장된 결함표시펄스의 유지를 확인한다는 것이다.
물론 예를들어 상술한 바와같은 결함보상장치가 유효한 결함방지를 제공할 수 있는 결함지속기간동안 극단적인 출력스켈칭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결함표시가 일정기간동안 계속되지 않는한 이때까지 스켈치신호개시가 결함표시 입력에 따라 발생되지 않는다. 이 일정시간은 50밀리초로 선택한 경우 선 지속구간에 비해 긴 것이 좋다.
스켈치작동의 상술한 지연이 레코드재생의 과정중 레코드 픽업 결함출현에서 파중하거나 빠른 스켈칭을 회피하는 것이 필요한 반만에, 본시 정지, 탐색 혹은 분로와 같은 필요한 플레이어동작에 대해 바늘이 레코드에서 잠시 들어질 때, 잡음이 스켈칭개시전에의 지연기간동안 플레이어출력에 인가되는 문제가 있다. 예를들어 지연기간은 대체로 재생될 가청잡음의 버스트를 허용할 정도로 충분히 길다. 본 발명의 또다른 특징에 따라, 이러한 불안정한 영향은 동작지연에 따르지 않은 추가적인 응답으로 스켈치신호 발생기가 그 플레이위치에서 바늘을 취출시키는데 따르게 하므로서 방지된다. 본 발명의 특수 실시예에 따라, 여기서 플레이위치에서 바늘의 취출은 솔레노이드동작바늘암 상승 강하운동장치에 의해 제어되고, 스켈치신호 발생기에로의 추가적인 입력은 바늘 솔레노이드 여기 제어회로로부터 유도된다.
여기 설명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비데오 신호처리장치는 플레이어 출력신호의 표시확인전에 해당입력신호의 픽업개시에 따라 안정화기간이 필요한 회로와 결합된다. 이러한 회로의 예는 자려안정 목적으로 사용된 위상록크된 루프장치이여 또한 제이. 지. 아메이씨 등에게 1975년 3윌 18일자로 허여된 미합중국 특허 제3,872,497호에서 설명된 것과같이, 위상검출기에서 처리되는 크로미넌스 신호의 칼라동기 버스트성분을 통과하게 하는 게이트회로를 사용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특징에는 (가) 플레이어의 비데오신호 처리회로에서 스켈치 적응점은 상술한 형태의 PLL 장치에 대한 버스트 출발점 다음에 오는 것은 물론 버스트 게이팅펄스발생을 제어하는 시간조절정보의 출발점 다음에 오는 것이다. 따라서 PLL장치작등은 스켈칭 동작에 의해 브록되지 않는다. (나) 언스켈칭모드(unsquelch mode)로의 플레이어복귀는 PLL 장치의 안정화를 허용하도록 충분한 길이(즉 1초)동안 스켈치동작입력의 종단에 대해 지연된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겠다.
제1도의 도면에서, 상술한 클레멘스씨 특허에 설명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인 디스크 4는 축 주위에 중심을 갖는 디스크 중심구멍으로 모터판 7위에서 회전되는 턴테이블 5에 의해 재생하는 동안 지지된다.
바늘끝이 레코드 흠에 들어가는 바늘 11은 픽업암구조 12의 일단에서 지지된다.1974년 11월 12일 비.케이. 테일러씨가 출원한 미합중국특허출원 제522,814호에 설명된 것과 같은, 픽업암 구조체 12는 덮개상자 9내에서 그 타단(도시되지 않음)이 지지된다.
덮개상자 9는 모터판 7내에서 홈 8을 거쳐 신장되는 블라케트 10에 고착된다. 모터판 7아래에는 블라케트 10을 거쳐 덮개상자 9로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장치(도시되지 않음)가 있다. 이 구동장치는 1975년 3월 11일에 엘. 토링톤씨에게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3,870,320호에서 나타난 형태로서 다음과 같은 선택을 할 수 있다.
(가) 일정바늘 위치에서 레코드홈의 연속회선의 바늘트랙킹을 용이하게 하도록 턴테이블회전속도에 대해 제1 "플레이" 속도에서 전진방향(도면에서 "f")으로의 방사방향구동.
(나) 상기 "플레이"속도보다 높은 제2 "전방탐색"속도로 "f"방향으로 방사방향구동.
(다) 상기 전방 탐색 속도에 대해 "역방향탐색"속도로 반대방향(도면에서 "r")으로 방사방향구동.
부가하여 덮개상자 9에 탑재된 회전자 15가 있는데 이것은 그 중간지점에 픽업할 구조체 12 아래에 신장되는 부분을 갖는 벨크랭크레버 14에 지지된다. 지지된 회전자 15가 회전하면 케이블 16에 의하여 벨크랭크레버 14는 다음의 운등을 한다.
(1) 디스크 4의 홈에 따라 바늘 11의 끝이 결합을 허용하는 정도로 덮개상자 9 바단의 구멍 13을 거쳐 암구조체의 바늘끝이 돌출되는 플레이위치로 픽업암 구조체 12를 낮추는 강하위치.
(2) 바늘이 홈 결합에서 제거되는 상승위치.
제2도에서는, 플레이어회로가 도시되있는데 제1도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장치내에 사용된다. 제2도 장치에 있어서 기록된 신호는 비데오 디스크 픽업회로 1에 의하여 비데오 디스크의 재생동안 재생된다. 이 비데오 디스크 픽업회로는 1975년 3월 18일 디. 제이. 카슨씨에게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3,872,240호에 설명되어 있다. 디스크에 대한 기록방식은 기록된 신호가 다음을 포함하도록 한다.
(가) 표시될 연속칼라영상을 표시하고 편차범위 이하로 주파수(0-3MHz)의 대역을 점유하는 복합칼라비데오 신호의 진폭에 따라 고정이탈 범위내에서 순간 반송파주파수가 제한되는(3.9 내지 6.9MHz) 주파수 변조된 화면반송파.
(나) 칼라영상에 필요한 음성합성파를 표시하는 음성신호 진폭에 따라 저주파, 반송파갔(7MHz) 주위의 협대역내에서 순간적인 반송파주파수가 이탈하지 않는 주파수 변조된 음성반송파.
음성반송파 편차영역과 포함하는 통과대역을 갖는 대역통과필터 23은 제한기 25에 주파수 변조된 음성반송파 신호를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제한기출력은 기록된 음성정보를 재생하도록 FM 검출기 27에 인가된다. 검출기 27의 출력은 증폭기 29로 증폭되어 플레에어출력 음성신호를 형성한다. 플레이어신호는 텔레비죤수상기의 안테나단에 인가되는 곳에서 증폭기 29의 출력은 1973년 11월 27일에 디. 제이. 칼슨씨에게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3,775,555호에 전송기장치에 음성정보입력으로서 작동한다.
화면파송파 편차영역과 측대역을 포함하는 통과대역을 갖는 대역통과필터 31은 픽업회로 21의 출력단에서 주파수 변조된 화면반송파성분을 제한기 33에 통과시킨다. 제한기출력은 0교차검출기 35에 인가된다. 0교차 검출기는 제한된 입력 FM 신호의 제각기 0교차에 응답하는 고정된 진폭, 대역폭과 극성의 출력펄스를 유출하기 위해 공지된 형태의 회로를 포함한다.
0교차 검출기 35의 저역통과필터 35는 소위 필스 카운터형태의 FM 검출기를 형성하여 입력 FM신호의 변조에 따라 합성 비데오신호의 형태로 출력을 제공한다. 디스크에서 재생된 비데오신호정보는 1975년 3월 18일자로 디. 에취. 프라차드씨에게 허여된 미합중국특허 제3,872,498호에 설명된 것과 같이 "매입(埋入)부반송파"형태로 부호화된 합성칼라 비데오신호를 포함한다. 설명을 위하여 다음 파라메터는 기록된 합성칼라 비데오신호의 매입된 부반송파 형태가 되도록 가정된다.
(1) 선주파수(fH)가 칼라 텔레비죤방송에 대한 미국표준에 대응할 때, 칼라 부반송파주파수
Figure kpo00002
Figure kpo00003
또는 약 1.53MHz
(2) 크로미넌스신호 : 상하측대역(억압된 반송파)로서 동등한 대역폭(500KH)로서 그리고 0 내지 500KHz 역대폭의 청. 적 칼라차 신호(R-Y, B-Y)로 제각기 진폭변조된 제각기 부반송파위상에 대하여 직각위상의 합계
(3) 루미넌스신호(Y) 대역폭 : 0내지 3MHz
(4) 칼라동기성분 : 수평브랭킹 "후단"동안(주파수 이외의 모든 표준 NTSC 칼라동기성분에 따라)기준위상과 진폭의 매입 부반송파 주파수(tb)에서 버스트발진.
결합검출기 61은 0교차 검출기 35의 출력에 응답하는데, 이 결함검출기 61은 제이. 케이. 클레멘스씨등의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477,102호에서 설명되어 있다. 결합검출기 61에 의해 유출된 결함표시펄스는 펄스신장기 62를 통하여 스위치 제어파형 발생기 67에 인가된다.
이 발생기 67은 전자스위칭장치 39의 스위칭상태를 제어하는 신호를 발생한다. 스위칭회로 39와 발진기 67의 기능을 수행하는데 적합한 장치와 펄스연장기의 기능은 1975년 9월 30일에 엔. 베이커씨가 발표한 미합중국특허 제3,909,518호에서 상세히 설명되어 있다.
전자스위칭장치 39는 다음 양자의 하나에 대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1) "정상"신호입력단자 N와 스위칭장치 입력단 0사이의 신호통로를 형성(2) "교체" 신호 입력단 S와 출력단 0 사이의 신호통로로 형성함. 제각기의 "정상" 및 "교체"상태간의 스위칭은 스위치 제어파형 발진기 67의 출력에 의해 제어된다. 이 출력은 스위칭장치 39의 제어신호 입력단자 P에 인가된다.
스위칭장치 39의 출력단자 0은 진폭변조기 41의 변조신호 입력단자에 결합된다. 스위칭장치 39에 인가되는 "정상" 입력신호는 (즉 단자 N에 인가되고 그리고,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정상동작동안 변조기 41의 변조신호 입력단에서 운반된 신호)저역통과 필터 37의 합성비데오신호출력이다. "교체"입력신호(즉 결합방지 혹은 "교체"인 플레이어의 동작중 변조기 41의 변조신호 입력단자에 인가되고 단자 S에 인가된 신호)는 아래에 설명하는 방식으로 유출된 지연합성비데오 신호이다.
진폭변조기 41은 스위칭장치 출력단자 0에서 인가된 신호에 따라 전압제어 발진기 43에 의해 인가된 반송파진폭을 변조하는 작용을 한다. 진폭변조기 41은 단일평형형태(변조신호에 대해 평형된)이다. 발진기43에서 공급된 반송파의 공칭주파수(fc)은 매입 부반송파 주파수(fb)와 필요한 출력 부반송파주파수(f0)의 합계로써 325fH에 일치하며 약 5.11MHz(예를들어 여기서 필요한 출력 부반송파 주파수는 NTSC 부반송파 주파수
Figure kpo00004
혹은 3.58MHz이다)이다. 발진기 43은 1974년 11월 12일 비. 버러스씨의 미합중국특허출원 제522,816호에서 설명된 전압제어 크리스탈 발진기이다.
발진기 43에 의해 유출된 반송파형의 주파수는 레코드재생중 재생된 합성비데오신호의 "지터" 주파수와 공명하는 상술한 공칭주파수주위에서 변화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상술한 아메이씨특허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위상록크 루프장치를 형성하는 장치에서 전압제어발진기 43은 제어회로에 결합된다.
여기 설명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장치의 제어 장치에서, 발진기 43의 출력주파수는 위상검출기 49의 출력으로 제어되고 이 위상검출기는 레코드에서 재생된 칼라동기성분과 위상비교되고 기준발진기 48의 출력과 위상이 비교된다. 기준발진기 48은 필요한 출력 부반송파 주파수(f0)에서 동작하고 크리스탈 제어된다.
칼라동기성분은 노치필터 45를 거쳐 공급되는 진폭변조기 41의 출력에 응답하는 버스트 게이트 47에 의해 인가된다. 노치필터 45는 변조기 출력에서 비교적 큰 진폭반송파 성분의 통과를 저지한다.
버스트 게이트 47은 출력부반송파주 파수(f0)주위의 출력 크로미넌스 대역내에서 주파수응답을 결정하는 대역통과회로에 결합된다. 적절하게 시간조절된 신주파수게이팅펄스에 의해 제어되므로서, 버스트 게이트 47은 칼라동기성분에 의해 점유된 "후단" 구간중 나타나는 변조기 41의 여과된 출력을 선택적으로 통과시킨다. 버스트 게이트 47의 출력은 출력부반송파 주파수에 있는 주기적인 버스트 발진을 포함하고, 동기버스트는 변조기 41의 출력의 저축대역으로부터 이 주파수로 떨어진다.
상술한 방식으로 형성된 폐쇠루프 장치는 기준 발진기 48의 고안정출력과 주파수(및 위상) 동기장치에서 변조기 41의 출력의 낮은 측대역에서 동기화 버스트성분을 억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동기장치로부터 출발을 야기시키는 경향으로 재생된 합성비데오신호의 지터가 발생하므로서, 위상검출기 49의 제어전압출력은 이러한 출발에 반하도록 발진기 43의 출력주파수의 보상조정을 만든다.
변조기 41의 진폭변조 반송파출력은 1975년 4월 21일 제이. 지. 아메리가 출원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570,325호에서 설명된 형태인 빗살형 필터회로의 입력단에 인가된다. 적당한 복조장치를 포함하는 빗살형 필터회로 51은 다음의 구성을 갖는다.(가) 출력단자 C에서, 출력합성신호 형성회로(가산기 57로 구성된)에 적당한 인가를 하도록 출력사용에 필요한 높은 대역위치에서 분리된 크로미넌스 신호성분. (나) 출력단자 L에서, 분리된 루미넌스 신호성분. (다) 스위칭장치 39의 S단자에 "교체"신호 입력으로써 작용하는 지연된 합성비데오신호.
단자 L에서 전개되는 루미넌스신호는 디엠파시스회로 53이 인가되는데, 디엠파시스회로 53은 디스크레코딩 동작에서 사용된 프리엠파시스를 보상하는 방식으로 루미넌스 성분 고주파의 디엠파시스를 제공한다. 디엠파시스회로 53의 출력단은 루미넌스신호의 DC 정분을 축적하는데 사용되는 크램프회로 55에 인가된다. 크램프회로 55는 키 크램프형태이고 주기적인 선속도에 의해 키작용이 되며 루미넌스신호의 주기적인 기준진폭구간(예를들어 수평동기 및 출현)에 따라 시간조절된 키(key) 펄스화된다.
회로 55의 크램프된 출력은 가산기 57에 루미넌스 성분입력을 형성하는데, 가산기 57은 칼라 텔레비죤수상기에 적용할 수 있는 형태의 출력합성 칼라 비데오신호를 표시하도록 단자 C에 고대역 크로미넌스성분출력이 이러한 입력을 가산시키는 작용을 한다. 이러한 적용이 되는 수상기의 안테나 단자에 가산기 57의 출력은 디. 제이. 칼슨씨의 미합중국특허 제3,775,555호에 설명된 바와같이 전이 장치에 합성비데오신호입력으로 작동된다.
제2도의 플레이어장치는 동기분리기 58을 포함하며 동기분리기 58은 디엠파시스회로 53의 출력에 응답하도륵 장치되고 루미넌스 콤필터출력의 화면표시신호 성분에서 편향동기성분을 분리시키는 직용을 한다. 동기분리기 58의 출력은 상술한 키 크램프회로 55에 적용을 위해 키잉필스의 정확한 발생을 시간조절하도록 크램프 키잉펄스발진기 59에 인가된다. 버스트 게이트 펄스발진기 60은 동기분리기 58의 입력에 응답하는데 버스트게이팅펄스발진기는 변조기 41의 출력에서 칼라동기 버스트 송분의 주기적출현에 따라 시간조절된 게이팅펄스를 표시한다. 발진기 60의 게이팅펄스출력은 VCO 43을 제어하는 PLL 장치에서 버스트게이트 47에 대한 신호통과 구간을 설정한다. 기준은 A로 만들어진다. 분리기 58과 발진기들 59,60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해당장치의 설명을 위해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용 동기응답장치"라는 l975년 6윌 26일 에이 베이커씨가 출원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590,485호를 참조하면 좋다.
제2도의 플레이어는,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펄스신장기 62의 출력에 응답하는 스켈치 제어신호발진기 70을 포함한다. 발진기 70과 필스신장기 62에 대한 회로 장치는 제2도에 표시된다. 도시한 바와같이, 필스신장기 62는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데 그 콜렉터는 정극성 전압공급원에 접속되고, 그 베이스에는 결함검출기 61의 출력에서 63의 에미터와 접지전위점 사이에 용량기 64가 결합된다. 용량기 64는 발진기 70의 입력 NPN트랜지스터 72의 베이스 에미터로와 저항기 71의 직렬결합으로 형성된 단일통로에 의해 분로된다. 용량기 64 양단의 추가적인 분로는 스위치 제어파형 발진기 67의 입력회로(도시되지 않음)과 저항기 65를 포함한다.
결함표시펄스 "d"가 트랜지스터 63의 베이스에 나타날 때, 트랜지스터 63은 도전상태가 되고 용량기 64에 정극성전위로 충전되어 트랜지스터 72를 도전상태가 되게 한다. 트랜지스터 63의 베이스에서 결함표시펄스 "d"가 종단될 때, 트랜지스터 63은 차단상태가 되지만 트랜지스터 72는 용량기 64의 전하에 따라 도전상태를 유지한다. 용량기 64의 방전은 저항기 71과 트랜지스터 72의 베이스 에미터통로(저항기 65와 발진기 67의 입력회로를 포함하는 추가적인 분로)로 형성된 통로를 거쳐 유효하게 된다. 약 3μs 정도의 시간 구간이 트랜지스터 72가 차단되기전에 (새로운 결함표시펄스출현 없이) 결함표시펄스종단에 따르게 되도록 방전시정수를 선택한다.
NPN 트랜지스터 74는 베이스가 트랜지스터 72의 콜렉터에 접속되고, 에미터가 접지전위점에 접속되며 콜렉터는 저항기 75와 76의 직렬결합을 거쳐 정극성전왼이 접속된다. 저항기 73은 정극성전원과 트랜지스터 74의 베이스 사이에 접속되고 따라서 트랜지스터 74는 도전상태로 정상 바이어스 된다. 그러나 제각기신장된 결합 펄스중, 트랜지스터 72의 도전상태는 트랜지스터 74를 오프상태로 한다.
용량기 77은 접지전위점과 저항기 75와 76의 접합사이에 접속된다. 용량기 77은 트랜지스터 80의 베이스가 다이오드 78의 캐소드에 접속되도록 저항기 79 양단에 결합된 NPN 트랜지스터 80의 베이스-에미터통로로써 다이오드 78과 저항기 79의 직렬결합에 의해 분로된다. 트랜지스터 74가 차단상태일 때, 용량기 77은 저항기 76을 거쳐 흐르는 충전전류에 따라 정극성전원의 전위로 충전 된다. 만일 트랜지스터 74의 차단이 선구간(50ms)의 일정수 동안 유지된다면, 용량기 77 양단의 전위는 다이오드 77을 충분히 전방향 바이어스되게 하고 트랜지스터 80인 도전상태가 되도록 선택된다.
트랜지스터 80의 콜렉터는 저항기 81과 82의 직렬결합을 거쳐 정극성 전압원에 접속된다. 용량기 83은 접지전원점과 저항기 81과 82 접합 사이에 접속되고 저항기 84와 85의 직렬결합은 저항기 82의 양단에 접속된다.
PNP 트랜지스터 86은 에미터가 정극성전원에 접속되고, 베이스가 저항기 84와 85의 접합에 접속되고, 콜렉터가 저항기 87을 거쳐 부극성전원(용량기 88에 의해 분로된)에 접속된다. NPN 트랜지스터 90은 베이스가 저항기 89를 통하여 트랜지스터 86의 콜렉터에 접속되고, 에미터가 부극성전원에 접속되고, 콜렉터는 저항기 91을 통하여 정극성전원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80에 의해 도전상태가 되지 않으면, 용량기 83(저항기 82를 거치고 저항기 84와 85를 거쳐)의 충전은 트랜지스터 86과 90에 의한 도전을 저지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트랜지스터 90의 콜렉터는 정극성전위에 있다. 제각기 저항기 93과 95는 동작가능전위로씨 이러한 전워를 (가) 출력합성 비데오신호 가산기 57의 스켈치 입력단 SQ에, (나) 음성 체널제한기 25의 스켈치 입력단 SQ'에 전달한다. 이러한 가능성이 있으므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의 음성 및 비데오 채널들은 디스크 재생에 의해 유출된 플레이어출력, 정보와 같은 것을 공급하는데에 무관하게 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80이 도전상태가 될 때마다. 용량기 83은 신속하제 방전되어, 트랜지스터 86이 온상태로 되게 하고; 구동트랜지스터 90이 도전상태가 되도록한다. 트랜지스터의 콜렉터에서 전위가 부극성 전위전압으로 강하되고 이러한 전압의단자 SQ와 SQ'에 전달되어 출력합성비데오신호 가산기 57과 음성채널제한기 25를 스켈치시키는 작용을 하고, 플레이어음성과 화면신호출력으로써 비데오 디스크 픽업회로로부터 정보의 통과를 방해한다.
트랜지스터 72의 차단이 연장된 결함펄스의 종단에서 발생될 때 트랜지스터 74는 도전상태가 되고 용량기 77은 다이오드 78과 트랜지스터 80이 도전상태에서 벗어나도록 방전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86과 90은 트랜지스터 80의 오프상태 이후 용량기 83의 제방전이 도전임계전위 이상으로 트랜지스터 86의 베이스에서 일어날 때까지 도전상태가 유지된다. 이때 트랜지스터 86과 90의 차단이 발생되고 구동전위가 단자 SQ와 SQ'에 다시 발생된다. 용량기 83에 대한 충전시정수는 트랜지스터 80의 차단에 비하여 트랜지스터 90의 차단자연이 충분히 길어서(약 1초간) 플레이어출력에로 재생정보의 통과 이전에 발생될 VCO 43과 결합된 PLL 장치에 따라 이러한 플레이어회로의 안정화를 허용하도록 선택된다. 비데오 스켈치신호(합성 비데오신호가산기 57에서)의 적용점은 이 PLL장치의 버스트게이트에 입력조절을 위해 비데오신호처리회로에서 출발점에 부수한다. 따라서 필요한 장치안정화는 지연스켈치상태하에서 바뀔 수 있다.
가산기 57(및 제한기 25)의 언스켈칭은 상기 장치에서 저지되고, 사용신호가 없는 비데오 디스크 픽업회로 21의 출력에 잡음은 연장된 결함펄스출력을 유지하는 경향이 있고, 발진기 70은 플레이어음성 및 비데오출력에 대한 스켈치된 상태를 유지하므로서 이 출력에 응답한다.
플레이어 스켈칭이 검출기 61에 의해 결함의 시작이 검출될 때마다 개시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길이로 여러 선구간에 따라 디스크재생에서 발생되는 결함에 대하여, 플레이어의 결함보상장치(발진기 67, 스위칭장치 39 등을 사용하는)는 결함저지효과가 매우 만족할 만하다. 보다 긴 결함에 대해서도, 스켈치제어신호발진기 70에 결합된 상술한 비교적 긴(약 1초) 재생시간의 면에서 아주 짧은 동안만 유효한 것도 스켈칭 개시하기 보다는 결함교체노력을 계속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술한 50ms 지속기간의 지연은 트랜지스터 80의 트랜지스터 74의 차단에 따른 응답에 결합된다. 이와같이, 연장된 결합펄스는 스켈치신호의 개시가 후에 일어나기전에 선구간의 큰 숫자(800) 동안 계속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74의 차단에 대한 트랜지스터 80의 응답지연의 순서는 레코드홈에서 바늘을 제거함에 따라 정지, 탐색, 운전중지와 같은 플레이어동작모우드가 개시될 때 스켈칭의 지연이 된다. 지연길이는 스켈칭이 발생되기전에 처리될 잡음의 불안정버스트를 허용하는데에 충분한 길이로 된다. 이러한 효과를 회피하도록 특히 음성재생에 대한 불안정 등을 회피하기 위해, 발진기 70은 바늘 배치와 결합된 장치에서 나오는 추가적인 입력에 응답하게 된다.
제2도의 플레이어장치는 솔레노이드작동플레이 구동장치 115와 솔레노이드작동바늘 하강장치 119를 포함 하는 것으로 표시한다. 플레이구동장치 115의 제어작동에 사용되는 플레이구동 솔레노이드는 솔레노이드권선 113으로 표시된다. 바늘강하장치 119의 제어동작을 하는 바늘 솔레노이드는 솔레노이드권선 117에 의해 표시된다. 권선 113과 117의 각각은 정극성전원과 NPN 트랜지스터 112의 콜렉터 사이에 접속된다.트랜지스터 112의 에미터는 부극성 전원으로 돌아가고 그 베이스는 플레이어 제어회로 111의 출력단 PC에 접속된다.
플레이어 제어회로 111이 트랜지스터 112의 베이스 에미터를 순방향 바이어스시키는 전압을 PC 출력단에 인가할 때, 트랜지스터 112에서 고정상태가 발생되고 그 콜렉터전위를 부극성전원전압으로 저하시킨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플레이구동장치 115와 바늘하강장치 119를 작동시키는데 충분한 크기로 솔레노이드권선 113,117을 거쳐 전류가 흐른다. 제1도의 구조를 보면 그 결과는 (가) 바늘 11의 끝을 레코드 홈인가를 허용하는 위치로 바늘암 12의 하부 축회전을 허용하는 회전자 15와 벨크랭크 레버 14의 회전.
(나) 일정바늘 위치로 홈트랙킹에 합당한 속도로 전방방향 "f"로 밀폐상자 9에 대한 회전운동을 설정하는 블라케트를 거친 구동결합.
상술한 플레이어의 정상 "플레이"모드 중, 바늘위치와 밀폐상자구동이 레코드홈의 연속영역내에 기록된 정보의 픽업회로 21에 회수하는데 알맞을 때, 트랜지스터 112의 콜렉터에서의 전압은 부극성전원의 전위가 된다.
그러나, 제2도의 플레이어배치의 따른 동작모드(예를들어, 정지, 탐색등)에 대하여 플레이어 제어회로 111은 트랜지스터 112에 의해 전도상태가 종료되는 단자에서 차단전위를 공급하도록 배열된다. 비도전상태인 트랜지스터 112에 따라, 솔레노이드 113과 117은 이미 플레이어 구동장치 115와 바늘강하장치 119의 작동에 알맞는 전류 통로는 반전되지 않는다. 솔레노이드가 여기하지 않으므로 다음의 결과가 야기된다.
(가) 레코드 홈 결함에서 바늘 11을 제거하는 레바 14에 의해 바늘암 12의 상승을 일으키는 회전자 15(제1도)의 반대방향회전.
(나) 정상 플레이속도로 장치를 전방회전 구동시키는 장치로부터 덮개장치 9와 블라케트 10의 분리.
이러한 상태하에서, 바늘위치와 덮개장치구동이 기록된 정보의 픽업회로 21에 의해 회수에 적당하지 않을 때, 트랜지스터 112의 콜렉터에서 전위는 정극성전원의 전압에 근접한다.
스켈치 제어신호발진기 70은 트랜지스터 80의 베이스와 트랜지스터 112의 콜렉터 사이의 저항기 120과 다이오드 121의 직렬결합에 의해 트랜지스터 112의 콜렉터에서 모든 표시전압에 응답하게 된다. 트랜지스터 112가 도전상태일 때 "플레이" 모드중 비도전상태로 되도록 다이오드가 극성을 갖는다. (캐소드가 트랜지스터 80의 베이스에 접속된) 이와같이, "플레이" 모드중, 트랜지스터 80의 베이스가 트랜지스터 112에서 격리되고, 트랜지스터 80의 제어는 용량기 77의 충전과 결합된 상술한 상태에 의존한다. 그러나, 플레이어가 단자 PC에서 차단전위표시에 의해 "플레이" 모드에서 벗어날 때 트랜지스터 112의 콜렉터에서 전위상승은 다이오드 121을 순방향 바이어스시키고 단자 SQ와 SQ'에 스켈칭신호를 신속하게 인가하기 시작하므로 트랜지스터 80의 순간적인 온상태(만일 비도전상태였다면 이 시간전에)로 가능하게 한다.
플레이어 제어회로 77의 층전에 따른 지연구간을 계속 시키기 위한 결함표시를 기다릴 필요없이 즉각적인 스켈칭 동작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제3도는 제2도의 플레이어제어회로들 111에 의해 수행되는 일부 기능을 대신하는 회로장치에 관한 것이다. 제3도에서, 한쌍의 교류전류입력단 i, i'는 전력공급원 133의 입력에 결합된 것으로 나타나고 단자 i는 온 오프 스위치와 결합된다. 온 오프 스위치가 페쇄될 때 전력공급원 133은 전류입력을 인가받고 여기서 정극성직류전위(+20의 출력단자)과 부극성 직류전워(-20의 출력단자)를 나타낸다.
전력공급원 133의 +20단자는 덮개연동스위치 135가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 덮개의 폐쇄에 의해 폐쇄될때, 덮개연동 스위치에 의해 저항기 136의 한쪽단자에 접속된다. 플레이 스위치 137이 레코드재생작동을 자작하도록 플레이어작동자에 의하여 폐쇄되는 경우에, 플레이스위치 137에 의하여 정착위치스위치 138의 입력단자에 저항기 136의 나머지 단자가 접속된다.
정착위치스위치 138은 단일극성, 이중 유통형태이며, 그 유통위치는 구동덮개상자 9(제1도)의 위치에 따른다. 덮개상자 9가 턴테이블 5의 명백한 정지 위치에 있을 때, 스위치 138의 유통위치는 플레이 개시장치 139의 입력으로 스위치 138의 입력단을 연결시키는 것으로 된다. (제3도에서 실선으로 표시된 것)이와같이 스위치 131,135,137이 그 정지위치에서 덮개상자 9로 모두 닫힐 때 정극성 직류전원은 전력공급원 133에서 스위치 135, 저항기 136, 스위치 137 및 스위치 138을 통하여 둘레에 개시장치 139의 입력에 인가된다.
플레이어 개시장치 139는 이는 턴테이블(제1도)의 회전을 유효하게 하는 모터구동을 구동하므로써 또한 상술한 플레이구동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전방 "f"로 회전운동을 제공하는 덮개상자 9에 구동장치를 결합하므로서 정극성 직류전위 입력의 출력에 응답한다. 구동덮개상자 9가 디스크의 기록된 정보의 시작을 포함하는 레코드홈의 외부회선에 걸쳐 바늘 11을 위치시키는 위치에 도달할 때, 정착 위치스위치 138은 제2유동위치(제3도에서 점선표시)로 트립된다.
스위치 138의 제2 유통위치에서, 스위치 입력단자는 저항기 141과 143의 직류결합을 거쳐 NPN 트랜지스터 145의 베이스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145의 에미터는 저항기 147을 거쳐 전력공급원 133의-20단에 접속된다. 트랜지스터 145의 베이스는저항기 144를 거쳐-20단에 접속된다. 저항기 146은 트랜지스터 145의 콜렉터와 접지점 사이에 접속된다.
스위치 138이 그 제1 유통위치에 있을 때, 트랜지스터 145는 비도전상태이다. 이러한 상태하에서, 트렌지스터 145의 에미터와 여기에 접속된 제어회로 출력단 PC는 부극성전원의 전위이다. 그러나, 스위치 138이 디스크상의 덮개상자 운동에 의해 제2 위치로 트립될 때, 작동전위는 스위치 2,135, 저항기 136, 스위치 137, 스위치 138, 저항기 141,143을 거쳐 +20단에서 트랜지스터 145의 베이스에 인가된다. 트랜지스터 145에 의한 도전상에는 결과적으로 출력단 PC의 접지전위를 상승시킨다. 제2도 회로상 이러한 상승효과는 플레이 구동과 바늘 솔레노이드의 여기에 따라 트랜지스터 112에 의해 도전상태로 만든다.
예를들어, 제3도의 간단한 도시에서 빠진 것은 그 제2유통위치에 스위치 138이 있을 때 턴테이블 모터의 여기를 유지하는 플레이어 제어회로에 제공되는 장치이다. 또한 정지 혹은 탐색과 같은 플레이어동작모드를 취하는 제어회로는 생략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추가적인 회로가 그 도전을 허용하는 트랜지스터 145의 베이스, 에미터통로 양단에 충분한 순방향 바이어스의 인가를 선택적으로 방지하기 위해 단자 D(자항기 141과 143의 접합에서)에 결합된 대응장치일 수도 있다. 이러한 추가회로가 선택적으로 동작할때 트랜지스터 145의 차단은 제2도 장치의 트랜지스터 112를 차단시키는 작용을 하고 따라서 다이오드 121을 순방향 바이어스시키고 필요에 따라 스켈치동작이 개시된다.
제2도의 회로 파라메터에 대한 값은 다음과 같다.
Figure kpo00005

Claims (1)

  1. 본문에 상술하고 도면에 도시한 바와같이, 픽업장치가 재생위치에 있을 때, 레코드로부터 주어진 주파수대역을 점유하는 합성비데오신호에 따라 주파수 변조에 따른 반송파를 재생하기 위한 픽업장치를 포함하는 레코드 플레이어장치에 있어서,
    상기 주어진 주파수 대역으로 확실하게 제한되는 복조신호출력을 유출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장치의 반송파 출력에 응답하는 주파수 복조장치와,
    출력합성비데오신호를 유출하도록 상기 주파수 복조장치의 상기 복조신호출력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재생위치로부터 상기 픽업장치를 선택적으로 취출하기 위한 플레이어 제어장치와,
    상기 플레이어 제어장치에 의하여 상기 재생위치로부터 상기 픽업장치의 선택적취출의 시초에 응답하여 스켈치 신호의 유출을 시작하기 위하여 상기 플레이어 제어장치에 연결된 장치와,
    선택된 시간주기동안 상기 재생위치로부터 상기 픽업장치의 취출의 종단에 관한 스켈치신호유출의 종단을 지연하기 위한 장치와,
    상기 신호처리장치에 의하여 상기 출력합성비데오 신호의 취출을 시작하도록 상기 스켈치신호를 활용하기 위한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스켈치회로.
KR7502511A 1975-11-18 1975-11-18 스퀠치 회로 Expired KR800000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511A KR800000289B1 (ko) 1975-11-18 1975-11-18 스퀠치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502511A KR800000289B1 (ko) 1975-11-18 1975-11-18 스퀠치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00000289B1 true KR800000289B1 (ko) 1980-04-10

Family

ID=19201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502511A Expired KR800000289B1 (ko) 1975-11-18 1975-11-18 스퀠치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00000289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252880A (en) Multi-system television receiver
US3999218A (en) Video signal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for stop motion picture
US3969759A (en) Defect compensation systems
FI63509B (fi) Strypkrets
US4148077A (en) Method of playing back video records through television receiver operating at a different line standard
US4203138A (en) Video signal recording system with delayed vertical sync
US4012774A (en) Drop-out responsive color video reproducing apparatus
CA1143830A (en) Television horizontal afpc with phase detector driven at twice the horizontal frequency
KR930006540B1 (ko) 콤필터 억제 회로를 갖는 광대역 vcr
CA1062806A (en) Pilot signal luminance correction means for video recording apparatus
KR800000289B1 (ko) 스퀠치 회로
KR830000226B1 (ko) 코움필터를 내장한 비데오 처리 시스템
US4057826A (en) Sync responsive systems for video disc players
US4077047A (en) Color killer enhancement in a video signal recording/playback system
JPS6154310B2 (ko)
US3018324A (en) Stabilization in tape recording and reproduction
US4193085A (en) Apparatus for removing jitter in color television signal
US4357628A (en) Video disc player with burst remover
FI67984B (fi) Slaeckningskrets
KR800000658B1 (ko) 동기 분리기
Anderson et al. A color videotape recorder
JPS61265994A (ja) 磁気記録再生回路
JPS5914952B2 (ja) カラ−テレビジヨン装置
KR800001018B1 (ko) 비데오 결함검파장치
KR830000225B1 (ko) 절환 제어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