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790001853Y1 - 펄스 발생 회로 - Google Patents

펄스 발생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790001853Y1
KR790001853Y1 KR740003995U KR740003995U KR790001853Y1 KR 790001853 Y1 KR790001853 Y1 KR 790001853Y1 KR 740003995 U KR740003995 U KR 740003995U KR 740003995 U KR740003995 U KR 740003995U KR 790001853 Y1 KR790001853 Y1 KR 79000185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istor
power supply
pulse
pulse width
resisto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Application number
KR7400039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오지 모리다
Original Assignee
모리다 아끼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리다 아끼오,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모리다 아끼오
Priority to KR7400039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79000185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79000185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790001853Y1/ko
Expir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Landscapes

  • Pulse Circuit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펄스 발생 회로
제1도 및 제2도는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3도-제5도는 각각 본 고안의 설명을 위한 펄스발생회로를 표시한 접속도.
제6도는 본 고안에 의한 펄스 발생 회로의 일예의 접속도.
본 고안은 텔레비죤 수상기등의 원격제어장치등에 사용하는 펄스발생회로에 관한 것이다.
텔레비죤 수상기에서 음량조절이나 선국이나 전원의 온, 오프를 원격제어하려는 경우, 원격제어장치로서 무안정 멀리 바이브래이터로 된 펄스발생회로를 설치하고, 이것으로 음량을 내릴 때에는 제1도 A에 표시한 것과 같이 τA인 펄스폭의 펄스 PA를 발생시키고, 음량을 올릴 때는 동도 B와 같이 τB인 펄스폭의 펄스 PB를 발생시켜서, 채널전환을 할 때는 동도 C와 같이 τC인 펄스폭의 펄스 PC를 발생시켜서, 전원의 온, 오프를 하는 경우에는 동도 D와 같이 τD인 펄스폭의 펄스 PD를 발생시킴과 같이, 제어대상에 따라 펄스폭이 다른 펄스를 발생시키도록 하는 방법이 있다. 그리하여 제2도와 같이, 이 펄스 PA-PD를 발진기에 공급하여 그 펄스폭의 구간에서 고주파신호 SA-SD를 얻고, 가령 이것을 초음파로 변환하고, 수상기에서는 이 초음파를 받아 고주파신호로 하여, 이것을 검파하므로서 원래의 펄스 PA-PD를 얻으며, 이 펄스폭을 검출하여 목적하는 제어를 자동적으로 행하도록 하고 있다.
제3도는 이러한 목적으로 된 종래의 펄스발생회로의 일예로서, 트랜지스터(1) 및 (2)에 의해 무안정 멀리바이브레이터를 구성하고 있어, 저항기(3) 및 콘덴서(4)에 의한 시정수도 트랜지스터(2)의 오프시간이 결정되고, 스위치(5A)-(5D)중 어느것을 온시키므로서 선택된 저항기(6A)-(6D)와 콘덴서(7)에 의한 시정수로 트랜즈스터(1)의 오프시간이 결정되며 따라서 트랜지스터(1)의 콜렉터로부터 도출된 출력단(8)에서 얻어지는 펄스의 펄스폭은 스위치(5A)-(6D)의 어느것인가를 온시키므로서 결정된다.
그러나, 저항기의 저항값을 설계값과 같게하는 것은 곤란하다. 가령 저항체로서 카본피박을 사용하는 것에서는 그 저항값은 설계값에 대하여 ±5% 정도 오차가 생긴다.
이때문에 상술한 회로에서는, 도면에 표시한 바와 같이, 각 저항기(6A)-(6D)로서는 어느 것이던 가변 저항기를 사용하고, 각각의 저항값이 소정의 값이 되도록 이들을 조정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이 회로에서는 제어대상에 따라 조정개소가 많아져서, 제조상 번잡해지는 결점이 있다.
이에 대해, 조정개소가 1개소로 충분하게 제4도와 같이 구성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즉, 이것은 상술한 저항기(6A)-(6D)를 모두 고정저항기로 하고, 이에 대해 가변저항기(9)를 병렬로 접속한 것이다.
그렇지만, 이 경우 트랜지스터(1)의 오프시간, 즉 출력펄스의 펄스폭은, 가변저항기(9)와, 스위치(5A)-(5D)에 의해 선택되는 저항기(6A)-(6D)의 어느 것과의 병렬저항값으로 결정되므로, 가령 가변저항기(9)의 저항값을 어떤값으로 조정한 경우에 스위치(5A)-(5D)중 어느 하나를 온으로 했을 때의 펄스폭이 소정치가 되었다 하여도 스위치(5A)-(5D)외의 것을 온으로 했을 때에 있어서 펄스폭도 소정치가 되도록 함은 어렵고, 각 스위치(5A)-(5D)를 온으로 한 경우의 출력펄스의 펄스폭을 모두 소정치로 하는 것이 곤란하다.
이에 대해, 시정수회로에 공급하는 전압의 값을 변화시키므로서 펄스폭을 조정하는 방법도 있다. 제5도는 이 경우의 예로서, 전원의 양단간에 고정저항기(10)과 가변저항기(11)의 직렬회로를 접속하고, 가변저항기(11)에는 콘덴서(12)를 병렬로 접속하고, 저항기(10) 및 (11)의 접속점와 트랜지스터(1)의 베이스 사이에는 스위치(5A)-(5D)의 어느것이든 하나가 선택적으로 온(ON)되므로서, 가령 저항기(13A), 저항기(13A) 및 (13B)의 직렬회로, 저항기(13A)-(13C)의 직렬회로 또는, 저항기(13A)-(13D)의 직렬 회로가 접속되도록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콘덴서(12)의 충전전압 VQ는 가변저항기(11)의 저항값을 변화시키므로서 바꿀 수 있고, 충전전압 VQ를 낮게 할 수록 출력단(8)에서 얻어지는 펄스의 펄스폭은 점점 커지고, 전원전압을 VCC, 트랜지스터(1)의 베이스, 에미터간 순방향 강하 전압을 VBE, 콜렉터, 에미터간 포화진압을 VCES, 접합점와 트랜지스터(1)의 베이스간에 접속된 저항기의 저항값을 R, 콘덴서(7)의 용량을 C로 하면, 출력펄스의 펄스폭 τ는
로 표시된다.
그렇지만, 상술과 같이 제어대상에 따라 펄스폭을 변화시키는 경우, 전원전압의 변동이나 온도변화에 의한 펄스폭의 변화가 소정의 허용범위내에서 얻어지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만일, 이 범위를 넘어서펄스폭이 변화할 때는, 가령 채널절환을 하는 경우에 음량이 상승하여 버리는 오동작이 발생한다. 그래서, 예를 들면 제1도에서, 펄스 PA,PB,PC,PD의 펄스폭 τABCD의 설계값을 각각 15mS,30mS,45mS,65mS로 하면, 변화의 허용범위는 각각 ±5mS,±5mS,±5mS,±10mS정도이며, 따라서 펄스 PC의 펄스폭 τC의 변화율의 허용범위는 가장 엄격하게 11%정도가 된다. 더욱, 실제적으로는, 가가 회로 부품의 경시변화나, 조정오차등도 고려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전원전압의 변동이나 온도변화에 의한 펄스폭의 변화율의 허용범위는 기껏해야 수 %정도이다.
그렇지만, 제5도의 회로에서는 전원전압이 변화했을 때 펄스폭의 변화율이 수 % 범위를 크게 벗어나서 오동작이 일어나기 쉬운 결점이 있다. 제5도의 회로에서 VBE=0.6V, VCES=0.1V로 하고, 전원전압 즉, 전지전압 VCC와 콘덴서(12)의 충전전압 VQ의 비를 여러가지로 변화시켜 본 경우에 있어서, 전지전압 VCC가 3V일 때와 2V로 내려갔을 때에서 펄스폭을 결정하는
의 값이 어느정도 변화하는가를 계산하는 표 1과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이 표에서 K3V는 VCC가 3V일 때의 K값이고, K2V는 VCC가 2V일대의 K값이다.인 것은 저항기(10)을 접속시키지 않고, 전원전압 VCC를 그대로 콘덴서(12)의 충전전압 VQ로 한 경우이다.
[표 1]
이 표에서 알 수 있듯이, 제5도의 회로에서는, 콘덴서(12)의 충전전압 VQ를 전원전압 VCC에 대해 어느 정도의 비로 선택하여도, 전원전압 VCC가 2V일때의 K값에 따라서 펄스폭은 전원전압 VCC가 3V일 때의 그것에 대해 8% 전후에서 20% 이상으로 변화해버리기 때문에 전원전압 VCC가 변화했을 때 오동작할 우려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점에 비추어, 조정개소가 1개소로서도 회로ㅂ품의 정수의 불균일을 쉽게 흡수할 수 있고, 더구나 전원전압의 변동이나 온도변화가 있어도 펄스폭의 변화율이 허용범위내에 들어갈 수 있는 펄스발생회로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하 본 고안 회로의 일예를 제6도에 의해서 설명한다.
제6도에서, (20)은 무안정 멀티 바이브레이터이고, 2개의 트랜지스터(21) 및 (22)로 구성되며, 그 콜렉터는 저항(23) 및 (24)를 각각 통해서 전원 즉 전지(25)의 일단 즉 양극에 접속되고, 트랜지스터(21)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는 콘덴서(26)를 통해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와 트랜지스터(210의 베이스는 콘덴서(27)을 통해서 접속되고, 트랜지스터(21)의 에미터를 저항(31) 및 콘덴서(32)의 병렬회로를 통해서 또 트랜지스터(22)의 에미터를 직접전원(25)의 타단 즉 부극에 접속한다. 또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와 전원(25)의 정극 사이에는 저항(28)을 접속하고, 한편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와 전원(25)의 정극간에는, 스위치(29A)-(29D)의 어느것이든 한개가 선택적으로 온으로 되므로써, 예를 들면 저항기(30A), 저항기(30A) 및 (30B)의 직렬회로, 저항기(30A)-(30C)의 직렬회로, 또는 저항기(30A)-(30D)의 직렬회로가 접속되도록 한다.
그리고 더욱 전원(25)의 양극간에는 가변분압수단으로서 가령 가변저항기(34)를 접속하고 이분압점 즉 가동자(34a)를 저항(35)를 통해서 별도의 트랜지스터(36)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이 트랜지스터(36)의 콜렉터를 전원(25)의 일단에 접속하고,에미터를 트랜지스터(21)의 에미터에 접속한다. 더욱이, 트랜지스터(22)의 콜렉터는 다이오드(37)를 통해서 발진기(38)에 접속하고, 출력펄스의 펄스폭의 구간, 즉 트랜지스터(21)이 오프로 트랜지스터(22)가 온의 구간에서 이 발진기(38)을 발진동작시킨다.
이 회로에서, 전지(25)의 전압을 VB, 트랜지스터(36)의 베이스전압을 VC, 트랜지스터(36) 및 (21)의 에미터전압을 VB, 트랜지스터(36) 및 (21)의 베이스, 에미터간 순방향 강하전압을 각각 VBE, 트랜지스터(21)의 콜렉터. 에미터간 포화전압을 VCES, 트랜지스터(21)의 베이스와 전지(25)의 정극간에 접속된 저항기의 저항값을 R, 콘덴서(27)의 용량을 C로 하면, 출력펄스의 펄스폭, 따라서 트랜지스터(21)의 오프이고 트랜지스터(22)가 온인기간 τ는,
로 된다. 그리하여, VC=VC-VBC
그리고, 이 회로에서, VCES=0.1V로 하고, 가변저항기(34)의 가동자(34a)의 위치를 여러가지로 변화시켜 전지(25)의 전압 VB와 트랜지스터(36)의 베이스전압 VC와의 비를 여러가지 변화시켜 본 경우에 있어서, 전지(25)의 전압 VB가 3V일 때와 2V로 내려갔을 때에 펄스폭을 결정하는
의 값이 어느정도 변화하는가를 계산하여 본 바 표 2와 같은 결과가 얻어졌다. 이 표에서 K3V는 VB가 3V일때의 K값이고, K2V는 VB가 2V일때의 K값이다.
[표 2]
이 표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 회로에 의하면, 전원전압 VB에 대한 트랜지스터(36)의 베이스전압 VC의 비가 0.4-2.6/3인 범위에서 가변저항기(34)의 가동자(34a)의 위치를 선택하면, 전원전압 VB가 2V로 내려갔을 때의 K값에 따라서 펄스폭은 전원전압 VB가 3V일때의 그것에 대해 겨우 1-2%정도밖에 변화하지 않는다. 따라서 발진기(38)가 상술한 바와 같이 트랜지스터(22)가 온되는 기간에발진동작을 하는 것이므로, 발진파형이 계속되는 구간은 전원전압 VB가 변화하여도 거의 변화하지 않는다.
더욱이, 이와 같이 전원전압 VB가 변화했을 때와 출력펄스의 펄스폭의 변화는 극히 작으므로 온도변화에 의해 출력펄스의 펄스폭이 약간 변화하여도, 전원전압의 변동과 온도 변화의 양자에 의해 출력펄스의 펄스폭이 변화하는 비율은 상술한 수%정도의 허용범위에 들어간다.
그리고, 가변저항기(34)의 가동자(34a)의 위치를 상술한 넓은 범위내로 조정 선경하므로서, 저항기(30A)-(30D)의 저항값에 불균일이 있어도 이를 흡수하여, 스위치(29A)-(29D)를 온으로 하는 각 경우에 의한 출력펄스의 펄스폭을 설계치와 같게 선택할 수가 있으며, 전원전압의변동이나 온도변화가 있어도 펄스폭의 변화는 허용범위내에 들어가므로, 오동작이 생길 우려가 있다.
상술의 설명은 트랜지스터(22)가 온(ON)인 시간 즉 출력펄스의 펄스폭에 관한 고찰이나 다음에 트랜지스터(21)가 온이며 트랜지스터(22)가 오프(off)인 시간에 관하여 관찰하면, 트랜지스터(21)가 온이 될대까지 트랜지스터(22)가 온이 되어 있어 그때, 트랜지스터(22)의 베이스 전위는 VBE이므로, 콘덴서(26)에는 저항(23)측이 정(+)이며 저항(28)측이 부(-)의 극성인 (VB-VBE)의 전압이 축적되어 있다. 그래서, 트랜지스터(21),(22)의 도통상태가 반전하여 트랜지스터(21)가 온이되는 순간, 트랜지스터(210의 콜렉터전위는 VB+VCES가 되며, 따라서 콘덴서(26)과 저항(28)의 접속점의 전위는, 상술한 콘덴서(26)의 충전전압에 의해서, 트랜지스터(21)의 콜렉터전위보다도(VB-VBE)의 전압만큼 즉
인 부(-)의 전위가 된다. 그리고, 이 전위가 VBE까지 상승하여 트랜지스터(22)를 온시킬때까지의 사이가 트랜지스터(21)의 온 시간이다. 콘덴서(26)와 저항(28)의 접속점의 전위의 상승은 전원 VB에서 저항(28)을 통해서 콘덴서를 상술한 극성과는 반대극성으로 충전해감으로서 달성된다. 그리고 이 시간은
으로 나타낼 수 있다. (7)식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시간은 스위치(29A)-(29D)의 어느것을 선택하던지 저항(28), 콘덴서(26)의 값, 및 VC의 전압값에 의해서 정해지는 정수이다.
그리고, 전압 VC가 VB에 가깝게 될 수록 이 시간은 짧게됨을 알 수 있다. 이 시간은 제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22)를 작동시켜 발진기(38)가 동작하는 시간에 즉 출력펄스의 펄스폭이 문제가되는 회로에서 그다지 중요하지는 않다.
이와 같이, 본 고안회로에 의하면, 조정개소가 1개소라도, 회로부품의 정수의 붉균일을 쉽게 흡수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전원전압의 변동이나 온도변화에 의해서도 출력펄스의 펄스폭이 거의 변화하지 않고, 따라서 오동작이 일어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더욱이, 가변분압수단의 구체적인 구성은 도면의 예 이외에도 여러가지 변경이 가능하며, 즉 전원의 양단간에 2개의 콘덴서로 된 직렬회로를 접속하고, 이들 2개의 콘덴서의 접속점을 트랜지스터(360의 베이스에 접속하고, 그 한쪽의 콘덴서의 용량을 변화하도록 구성하여도 좋다.

Claims (1)

  1. 제1 및 제2의 트랜지스터(21,22)의 콜렉터가 각각 저항을 통해서 전원의 일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의 트랜지스터(21)의 에미터가 저항과 콘덴서의 병렬회로를 통해서 상기 전원의 타단에 접속되어, 상기 제2의 트랜지스터(22)의 에미터가 상기 전원의 타단에 접속되고, 상기 제1 및 제2의 트랜지스터의 베이스가 각각 저항을 거쳐 상기 전원의 일단에 접속되고,상기 제1 및 제2의 트랜지스터의 한쪽 콜렉터와 타단의 베이스가 각각 콘덴서를 통해서 접속된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Multivibrator)가 설치되고, 상기 전원의 양단간에 가변분압수단이 접속되고, 그 분압점이 제3의 트랜지스터(36)의 베이스에 접속되어, 그 제3의 트랜지스터의 콜렉터가 상기 전원의 일단에 접속되며, 에미터가 상기 제1의 트랜지스터의 에미터에 접속되고, 상기 분압점의 전위를 조정함으로서 상기 무안정 멀티바이브레이터로부터 얻어지는 출력펄스의 펄스폭이 조정되도록 된 펄스 발생회로.
KR740003995U 1974-07-25 1974-07-25 펄스 발생 회로 Expired KR79000185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3995U KR790001853Y1 (ko) 1974-07-25 1974-07-25 펄스 발생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740003995U KR790001853Y1 (ko) 1974-07-25 1974-07-25 펄스 발생 회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790001853Y1 true KR790001853Y1 (ko) 1979-11-02

Family

ID=192006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740003995U Expired KR790001853Y1 (ko) 1974-07-25 1974-07-25 펄스 발생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790001853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156875A (en) Constant amplitude, variable frequency sawtooth generator
US3376518A (en) Low frequency oscillator circuit
US3949322A (en) Stable pulse width control for astable multivibrators and the like
KR790001853Y1 (ko) 펄스 발생 회로
US4114075A (en) Rotation control system
US3471718A (en) Hysteresis control for a schmitt trigger circuit
US3967216A (en) Pulse generator stabilized for change of ambient temperature and source voltage
US3644757A (en) Voltage and temperature stabilized multivibrator circuit
US3916343A (en) Frequency stabilized relaxation oscillator
US3046414A (en) Pulse generator for producing periodic pulses of varying width from an alternating voltage
US3217179A (en) Pulse controlled timing circuit for monostable multivibrator
US3551704A (en) Pulse generator
US3713046A (en) Waveform generator with accurate mark to space ratio
US4255722A (en) Voltage controlled multivibrator having variable frequency and duty cycle
JPH0368570B2 (ko)
US3742258A (en) Monostable multivibrator with a long time constant and an auxiliary transistor for ensuring turn-on of the transistor conducting in the stable state
SU649129A1 (ru) Несимметричный управл емый мультивибратор
SU905992A1 (ru) Генератор пилообразного напр жени
GB1412718A (en) Circuit arrangement for stabilisung the freuqency in voltage-controlled oscillators
KR790001723B1 (ko) 발진회로
SU421113A1 (ru) Генератор импульсов
JPS641797Y2 (ko)
US3505536A (en) Frequency dividing circuit,with semiconductors
JPS5816274Y2 (ja) キヨシジヨウハハツセイカイロ
SU790122A1 (ru) Мультивибрато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