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50037761A - 특정 oh 함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갖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 Google Patents
특정 oh 함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갖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50037761A KR20250037761A KR1020257001449A KR20257001449A KR20250037761A KR 20250037761 A KR20250037761 A KR 20250037761A KR 1020257001449 A KR1020257001449 A KR 1020257001449A KR 20257001449 A KR20257001449 A KR 20257001449A KR 20250037761 A KR20250037761 A KR 202500377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rrier
- ppm
- component
- thermoplastic composition
- polyurethan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1—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1—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with an inser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6—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 B29C45/1679—Making multilayered or multicoloured articles applying surface layers onto injection-moulded substrates inside the mould cavity, e.g. in-mould coating [IM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4—Oxy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0—Esters; Ether-esters
- C08K5/101—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 C08K5/103—Esters; Ether-esters of monocarboxylic acids with polyalcohol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9/00—Use of PC, i.e. polycarbonat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75/00—Use of PU, i.e. polyureas or 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캐리어 및 이러한 캐리어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을 포함하는, 개선된 층간 결합을 갖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개선된 층간 결합을 갖는 복합 구성 부품, 및 개선된 층간 결합을 갖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캐리어 재료로서의, 규정된 OH 함량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캐리어 및 이러한 캐리어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을 포함하는, 개선된 복합체 접착을 갖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개선된 복합체 접착을 갖는 복합 구성 부품, 및 개선된 복합체 접착을 갖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캐리어 재료로서의, 규정된 OH 함량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플라스틱으로 구성된 캐리어, 및 이러한 캐리어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을 포함하는 복합 구성 부품은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코팅된 고체 성형 부품이 RIM 공정 (반응 사출 성형)과 같은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두꺼운 층 두께를 갖는 코팅을 갖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특히 유리한 방법은 소위 금형 내 코팅 (IMC) 또는 직접 코팅 (DC)이다. 이는 코팅 성분을 금형 내의 상응하는 캐리어에 도포하고 금형 공동부 내에서 경화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전술된 요건 외에도, IMC 기법의 큰 이점은 가공 시간이 짧고 원료 손실이 적거나 더 적고 코팅을 포함하는 코팅된 사출 성형 부품 (복합 구성 부품)을 한 번의 작업을 통해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포함한다. RIM 공정에 의해 및 IMC 공정에 의해 수득된 복합 구성 부품 둘 다는 캐리어 재료의 기계적 특성을 나타내면서도 그의 풍화 안정성 및 내스크레치성은 폴리우레탄 층에 의해 개선된다. 여기서 복합 구성 부품의 전반적인 성능 및 전반적인 안정성은 또한 캐리어에 대한 폴리우레탄 층의 접착력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캐리어 재료로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복합 구성 부품은 종종 환경 사이클 시험 또는 저장과 같은 응력에 적용된 후에 접착력 손실을 나타낸다. 이로써 또한 복합 구성 부품의 전반적인 성능이 저하된다. RIM 및 IMC 공정의 또 다른 이점은 이러한 공정이 다른 공정에 의해서는 수득될 수 없는 특정 디자인을 제조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특히 복합 구성 부품의 코팅이 비교적 두껍게 제조될 수 있으면서도 이와 동시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기 때문이다.
DE 196 50 854 C1에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부품을 적어도 하나의 2-성분 듀로머(duromer) 층,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층으로 코팅하는, 다층 플라스틱 부품을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IMC 공정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공정에서는 플라스틱 부품 및 2-성분 듀로머 층을 사이클-동기적 방식으로 동일한 금형 내에 연이어 사출된다. DE 196 50 854 C1에는 캐리어 재료의 속성 및 공정 매개변수가 캐리어 재료와 이와 접촉하는 복합 구성 부품의 층 사이의 접착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기술되어 있지 않다.
WO 2006/072366 A1에는 적어도 두 개의 공동부를 갖는 금형 내에서 기재를 형성하고 코팅하기 위한 공정이 설명되어 있다. 이러한 공정은
A) 금형의 제1 공동부 내에서 기재를 형성하는 단계,
B) 이전 단계에서 제조된 기재를 금형의 제2 공동부 내로 도입시키는 단계,
C) 제2 공동부 내의 기재를 래커로 코팅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코팅은 승압 하에 수행되는 것인 단계
를 포함한다.
이러한 문헌에서도 캐리어 재료와 래커 층 사이의 접착력은 중점적으로 다루어지는 않았다.
EP28990008A1에는 캐리어의 특수한 표면 구조화를 통해 폴리우레탄 층에 대한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고 설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프라이머를 사용하거나 캐리어 재료를 특수하게 활성화하면 접착력을 개선할 수 있다고 공지되어 있다.
WO2011/015286 A1은 캐리어의 표면의 개질 (특히 프라이머 또는 표면 활성화)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캐리어 재료와 폴리우레탄 층 사이의 개선된 결합을 제공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발포된 캐리어 재료의 사용은 폴리우레탄 층에 대한 접착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WO2011/070044 A4에는 캐리어 재료인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고무-개질된 비닐(공)중합체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고무 함량이 복합체 접착에 미치는 영향이 연구되어 있다.
이러한 문헌들에서 결합 접착력의 개선은 프라이머 도포, 표면 활성화, 표면 구조화 또는 캐리어 재료의 발포와 같은 추가적인 단계에 의해 달성되거나, 캐리어 재료의 조성물에 첨가제를 첨가함으로써 달성된다. 이는 상응하는 비용 및 복잡성을 수반하는 추가적인 단계가 복합 부품의 제조에 요구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는 캐리어 재료의 조성물에 특수하게 첨가제를 첨가할 것이 요구되는데, 이는 생성된 복합 구성 부품의 기계적 특성 및 광학적 특성에 영향을 미치고 마찬가지로 첨가제에 대한 추가적인 비용을 수반한다.
이러한 선행 기술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행 기술의 적어도 하나의 단점을 극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캐리어 재료와 상기 캐리어 재료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 사이의 개선된 결합을 갖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공하는 것이었다. 바람직하게는, 프라이머 또는 표면 활성화에 의한 표면 개질과 같은 추가적인 단계는 필요하지 않아야 한다. 캐리어 재료의 복합체 접착을 개선/증진하기 위한 추가적인 첨가제의 사용도 마찬가지로 회피되어야 한다. 특히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은 높은 반응성을 가져야 한다 (즉, 바람직하게는 150초 미만, 바람직하게는 100초의 금형 체류 시간을 가져야 함). 사용되는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은 더욱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초, 바람직하게는 최대 10초의 포트 수명을 가져야 한다. 복합 구성 부품은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RIM 또는 IMC 공정, 특히 IMC 공정에 의해 제조되어야 한다.
전술된 목적 중 적어도 하나, 바람직하게는 모두가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었다. 놀랍게도, 규정된 OH가를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캐리어 재료로서 사용하면 캐리어 재료와 상기 캐리어 재료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 사이의 결합이 개선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생성된 복합체는 논-포지티브(non-positive) 접착을 나타낸다. 이는 특히 POSI 시험 (DIN EN ISO 4624:2016-08에 따르며, 임의로 가장 손상된 결함 패턴을 나타내는 방법 B (8.4.2)를 사용함)을 사용하여 시험함으로써 평가될 수 있다. DIN 표준으로부터 벗어나서, 구성 부품당 8번의 측정을 수행하고 총 3개의 구성 부품을 분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값의 중위 값이 접착력 값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성 부품의 초기 접착력은 전술된 POSI 시험에 의해 측정 시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MPa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성 부품의 가수분해 시험 후 (즉, 컨디셔닝 캐비닛에서 90±2℃ 및 95±3% 상대 습도에서 72시간 동안 저장 후 (구성 부품을 컨디셔닝 챔버 내에 적합하게 배치함으로써 구성 부품에 물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회피해야 함))의 접착력은 전술된 POSI 시험에 의해 측정 시 바람직하게는 또한 적어도 2 MPa이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성 부품에 있어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로 구성된 캐리어와 폴리우레탄 코팅 사이의 복합체 접착은 또한 20 mm의 폭을 갖는 구성 부품으로부터 채취된 스트립 시편을 100 mm/분의 시험 속도에서 DIN 53357:1982-10에 따른 휠 박리(wheel peel) 시험에 적용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복합체는 특히 폴리카르보네이트의 OH가가 본 발명에 따른 OH가보다 낮지만 대등한 시스템에 비해 개선을 보여준다. 이와 동시에,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지나치게 높은 OH 함량은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열 안정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폴리카르보네이트의 OH가는 가능한 한 낮게 유지되어야 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러한 폴리카르보네이트는 가열되면 황변하는 경향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OH 기의 특수하게 규정된 범위는 한편으로는 복합체 접착을 효과적으로 개선하면서도 다른 한편으로는 생성된 복합 구성 부품이 우수한 열 안정성을 나타내는 것을 보장할 정도로 여전히 충분히 낮은 것으로 밝혀졌다. 특정 이론에 얽매이려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형성된 캐리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OH 기는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의 성분과 반응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이로써, 캐리어의 표면과 형성되고 있는 폴리우레탄 층 사이에 결합, 바람직하게는 공유 결합이 형성된다. 이로써, 생성된 복합 구성 부품에 우수한 결합이 생성된다. 이러한 효과는 RIM 및/또는 IMC 공정에서 특히 두드러지는데, 왜냐하면 상기 공정에서는 일반적으로 높은 이소시아네이트 함량을 갖는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이로써, 설명된 반응이 특히 효과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따라서,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된 캐리어, 및
b) 캐리어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
을 포함하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i) 열가소성 조성물의 용융물을 금형 공동부 내로 사출한 후에 냉각시켜 캐리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열가소성 조성물은
A) 적어도 95.0 중량%의, 230 ppm 내지 1500 ppm의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B) 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첨가제
를 함유하는 것인 단계,
(ii) 금형의 공동부를 확대시켜 간극을 생성하거나, 또는 중공 금형 치수 면에서 제1 공동부보다 더 큰, 금형의 제2 공동부 내로 캐리어를 도입시켜 간극을 생성하는 단계,
(iii) - 적어도 하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 적어도 하나의 다관능성 H-활성 화합물, 및
-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첨가제 및/또는 가공 보조제
를 함유하는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을 캐리어와 금형 표면 사이의 간극 내로 사출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은 중합을 거쳐 콤팩트한 폴리우레탄 층을 제공하거나 캐리어의 표면과 접촉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층을 제공하는 단계,
(iv) 복합 구성 부품을 금형 공동부로부터 이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따라서 마찬가지로, 한 측면에서, 본 발명은
a)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된 캐리어, 및
b) 캐리어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
을 포함하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며, 상기 방법은
(i) (ia) 열가소성 조성물 (Z)의 용융물을 금형 공동부 내로 사출한 후에 냉각시켜 캐리어를 형성하거나, 또는 (ib) 열가소성 조성물 (Z)로 구성된 외부 플라이(ply)를 포함하는 필름을 금형 공동부 내로 도입시키고, 이 필름을 필름의 외부 플라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면 상에서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의 용융물로 오버몰딩한 후에 냉각시켜 캐리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열가소성 조성물 (Z)는
A) 적어도 95.0 중량%의, 230 ppm 내지 1500 ppm의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B) 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첨가제
를 함유하고,
여기서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는 열가소성 조성물 (Z)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것인 단계,
(ii) 금형의 공동부를 확대시켜 간극을 생성하거나, 또는 중공 금형 치수 면에서 제1 공동부보다 더 큰, 금형의 제2 공동부 내로 캐리어를 도입시켜 간극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ib)의 경우 캐리어는 열가소성 조성물 (Z)로 구성된 필름의 외부 플라이가 간극을 향하도록 배향되는 것인 단계,
(iii) - 적어도 하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 적어도 하나의 다관능성 H-활성 화합물, 및
-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첨가제 및/또는 가공 보조제
를 함유하는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을 캐리어와 금형 표면 사이의 간극 내로 사출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은 중합을 거쳐 콤팩트한 폴리우레탄 층을 제공하거나 캐리어의 표면과 접촉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층을 제공하는 것인 단계,
(iv) 복합 구성 부품을 금형 공동부로부터 이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단계 (i)이 두 개의 대안적인 하위 단계 (ia) 또는 (ib)로 나뉜다는 것은 명백하다. 모든 설명은 세분화되지 않은 단계 (i) 및/또는 단계 (ia) 및 (ib)로 세분화된 단계 (i)에 관한 것이다. 또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에 따른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 열가소성 조성물은 원칙적으로 "열가소성 조성물" 및/또는 "열가소성 조성물 (Z)"라고 지칭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 경우 차이점은 없다. 그러나, 단계 (i)이 단계 (ib)를 포함하는 경우에는 구별이 이루어져야 하는데, 왜냐하면 이러한 경우 때때로 "열가소성 조성물 (Z2)"라고도 지칭되는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이 사용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것은 열가소성 조성물 (Z)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공정 단계 (i) 내지 (iv)가 바로 연이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공정 단계 (i), (ii) 및/또는 (iii), 바람직하게는 (ii) 및 (iii)은 여러 번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그럴 필요는 없음). 공정 단계 (i)이 두 번 이상 수행되는 경우, 제2 단계 및 임의로 또한 모든 추가의 공정 단계 (i)에서 사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은 제1 공정 단계 (i)의 열가소성 조성물 (Z)와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공정 단계 (iii)에서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과 직접 접촉하는, 단계 (i)에서 생성된 캐리어 재료는 규정된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조성물 (Z)여야 한다. 공정 단계 (i) 내지 (iv)가 바로 연이어 수행되면, 공정 동안 작업편의 온도가 실온으로 냉각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로써 제조 시간이 단축되고 전체 공정의 에너지 효율이 더 높아진다.
공정 단계 (ii) 및 (iii)을 폴리우레탄 시스템을 다양하게 하면서 적어도 한 번 반복하여, 하나 이상의 폴리우레탄 층을 캐리어의 한 면에만 또는 양면에 도포하여, 열가소성 캐리어 및 또한 2층 초과의 구조를 임의로 갖는 적어도 두 개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PU 성분으로 구성된 복합 구성 부품을 제공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정 단계 (ii) 및 (iii)을 반복하는 경우 적어도 제2 폴리우레탄 층이 더 이상 지지체와 직접 접촉하지 않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공정 단계 (ii)에서 간극이 생성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어 "간극"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는 바람직하게는 재료가 빠져나갈 수 없도록 주위 환경으로부터 밀폐된 공동을 설명하는 용어이다. 공정 단계 (ii)에서 간극을 생성하기 위해, 사출 금형을 개방하고 후속적으로 사출 금형 공동부의 절반부를 더 큰 중공 금형 치수를 갖는 새로운 절반부로 교체하거나, 구성 부품을 제1 금형 공동부로부터 동일한 금형 또는 제2 금형의, 중공 금형 치수 면에서 더 큰 제2 공동부로 이동시키거나, 제1 공동부를 간극 폭만큼 개방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공정 단계 (ii)는 금형의 공동부를 확대시켜 간극을 생성하거나, 또는 중공 금형 치수 면에서 제1 공동부보다 더 큰, 금형의 제2 공동부 내로 캐리어를 도입시켜 간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한다. 공정 단계 (ii)가, 중공 금형 치수 면에서 제1 공동부보다 더 큰, 금형의 제2 공동부 내로 캐리어를 도입시켜 간극을 생성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공정 단계 (ib)가 수행되는 경우,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정 단계 (ii)에서 공정 단계 (i)로부터의 캐리어를 열가소성 조성물 (Z)로 구성된 필름의 외부 플라이가 간극을 향하도록 배향시킨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는 본 발명에 따라 발견되는 개선된 복합체 접착이 이러한 방식으로만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자명하다. 이를 위해서는 열가소성 조성물 (Z)가 폴리우레탄 층과 직접 접촉해야 한다. 따라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공정 단계 (ib)의 캐리어를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이 사출되는 간극에 대해 어떻게 배향시켜야 하는지를 알 것이다.
공정 단계 (ii)에서 기재의 이동은 예를 들어 다색 사출 성형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공지된 방법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전형적인 방법은 턴테이블, 터닝 플레이트, 슬라이딩 공동부 또는 인덱스 플레이트를 사용한 이동, 또는 기재가 코어에 남아 있게 하는 대등한 방법이다. 이동될 기재가 코어에 남아 있는 경우, 이는 변위 후에도 위치가 정확하게 규정된다는 이점이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선행 기술에서는 기재를 예를 들어 취급 시스템을 사용하여 공동부로부터 제거하고 또 다른 공동부 내로 배치함으로써 기재를 이동시키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기재를 제거하면서 이동시키면, 코팅 작업 시, 예를 들어 모서리 절첩부 또는 차폐된 영역의 생성 시, 구성의 자유도가 더 높아진다. 또한, 구조화된 래커 표면을 생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며, 이는 마찬가지로 더 높은 수준의 디자인 자유도를 수반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또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바와 같은 필름-삽입 성형을 통해 캐리어를 제공하는 가능성을 포함한다. 이를 위해 (ib)에 따른 공정 단계 (i)에서 열가소성 조성물 (Z)로 구성된 외부 플라이를 포함하는 필름을 금형 공동부 내로 도입시키고, 이 필름을 필름의 외부 플라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면 상에서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의 용융물로 오버몰딩한 후에 냉각시켜 캐리어를 형성한다. 따라서 이러한 공정은 (ia)에 따른 공정 단계 (i)에서 열가소성 조성물 (Z)의 용융물을 금형 공동부 내로 사출한 후에 냉각시키는 경우와 유사한 방식으로 캐리어를 제공한다. 두 경우 모두에서, 적어도 한 면에 열가소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캐리어가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조성물은 후속적으로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과 접촉된다. 그러나, (ib)에 따른 캐리어는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와 필름의 층 구조물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ia)에 따른 캐리어의 단면과 (ib)에 따른 캐리어의 단면은 상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용어 "캐리어"는 고전적인 기재, 및 기재와 필름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물을 모두 포함한다는 것이 명백하다. 기재는 일반적으로 금형 공동부 내에서 용융물의 사출에 의해서만 형성된다 (사출 성형 구성 부품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음)는 점에서, 기재와 필름의 다층 구조물과는 상이하다. 이와 대조적으로, 기재와 필름의 다층 구조물의 경우, 필름은 초기에 원래 응고된 형태로 금형 공동부 내로 도입된다. 미끄러짐을 방지하기 위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진공, 정전하 또는 기계적 고착을 사용하여 금형 공동부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 과정에서 필름이 (예를 들어 온도 상승을 통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변형될 가능성이 배제될 수 없다. 이러한 필름은 후속적으로, 냉각에 의해 기재 및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물의 실제 기재를 형성하는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로 오버몰딩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기재와, 기재 및 필름으로 구성된 다층 구조물은, 바람직하게는 금형 공동부 내로 처음 도입되는 시점에서 확실하게 구별된다. 첫 번째 경우에는 용융물이 도입되는 반면에, 후자의 경우에는 후속적으로 용융물로 오버몰딩되는 고체가 도입된다.
사용되는 필름은 열가소성 조성물 (Z)로 구성된 외부 플라이를 갖는다. 필름은 단일-플라이 또는 다중-플라이 필름일 수 있다. 필름이 다중-플라이로 이루어진 경우, 외부 플라이 중 적어도 하나는 열가소성 조성물 (Z)로 구성된 플라이이다. 특히 더 우수한 복합체 접착을 달성하는 것과 관련하여 본 발명을 이해한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백한 바와 같이, 필름이 단일-플라이만으로 이루어진 경우, 외부 플라이는 실제 필름이므로 필름을 어떻게 배향시킬지 또는 어느 면을 오버몰딩할 지를 신경 쓸 필요가 없다. 필름은 또한 열가소성 조성물 (Z)를 함유하는 플라이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라이는 바람직하게는 평면에서의 그의 연장 부분이 그의 두께보다 몇 배 더 큰 성형물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필름의 표면은 더욱 추가로 구조화될 수 있다. 구조화된 표면은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플라이라고도 지칭된다. 필름은 적어도 하나의 플라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되는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한 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코팅될 수 있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러한 코팅이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 (Z)를 함유하지 않는다는 전제 하에, 이러한 코팅은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와 직접 접촉하게 되거나/직접 접촉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필름의 이러한 코팅은 일반적으로 공정 단계 (ib)에서 필름의 외부 플라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면이라고 지칭된 면을 나타낸다. 필름은 스크린 인쇄, 진공 또는 다른 공지된 코팅 기법에 의해 코팅될 수 있다. 페인트, 금속 등이 코팅 재료로서 사용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라 필름 복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장 간단한 실시양태는 플라스틱 필름, 예를 들어 금속 필름, 및 이어서 또 다른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된 3층 구조물이다. 이러한 구조물의 이점은 코팅이 보호된다는 것이다. 필름의 외부 플라이 중 적어도 하나는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열가소성 조성물 (Z)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캐리어가 0.5 mm 내지 10 mm,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9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mm 내지 6.5 mm, 매우 바람직하게는 2 mm 내지 5 mm의 벽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폴리우레탄은 예를 들어 PU 래커, PU 발포체 또는 콤팩트한 PU 피막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러한 모든 실시양태는 용어 "폴리우레탄 층"에 포괄된다. 이러한 공정에 의해 제조된 폴리우레탄 층은 예를 들어 1 μm 내지 20 cm, 바람직하게는 5 μm 내지 15 c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μm 내지 10 cm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층이 1 - 1500 μm, 바람직하게는 1.5 mm 초과 - 10 mm, 특히 바람직하게는 1 cm 초과 - 20 cm,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500 μm 내지 1 mm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모든 구성에서 폴리우레탄 층은 또한 발포될 수 있다.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은 바람직하게는 > 90 내지 < 140, 바람직하게는 > 100 내지 <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105 내지 115의 지수를 갖는다. 지수는 완전한 폴리올 전환 (즉, OH-당량의 계산된 양의 이소시아네이트 기의 전환)의 경우에 계산된 화학량론적 양에 대한 실제로 사용되는 이소시아네이트 양의 백분율 비율로서 규정되며, 즉 지수 = ((이소시아네이트의 관능가 * 총 이소시아네이트의 몰량) / (알콜의 관능가 * 총 히드록시 기의 몰량)) * 100이다.
공정 단계 (iii)에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과 접촉하는 사출 금형의 표면이 5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00℃, 특히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95℃,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5℃, 특히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8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공정 단계 (iii)에서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과 접촉하는 사출 금형의 표면이 50℃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40℃, 특히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30℃,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20℃,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1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러한 값은 특히 캐리어 재료가 성분 A)로서 비스페놀 A에 기반한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경우에 적용된다. 상이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사용된 경우,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이러한 다른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유리전이온도에 기반하여 바람직한 온도를 상응하게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공정 단계 (iii)에서 반응성 폴리우레탄 혼합물과 접촉하는 사출 금형의 표면이 50℃ 내지 16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120℃, 더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10℃, 특히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의 범위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공정 단계 (iii)에서 폴리우레탄 측 금형 공동부의 온도가 캐리어 측 (열가소성 플라스틱 측) 금형 공동부의 온도보다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5℃,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높은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측 금형 공동부와 캐리어 측 금형 공동부 사이의 온도 차이가 없이 공정 단계 (iii)을 수행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공정 단계 (iii)에서 중합이 승압 하에 수행되는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공정 단계 (iii)에서의 압력이 10 내지 150 bar,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90 bar (10,000 내지 90,000 hPa)의 범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공정 단계 (iii)에서 원료 혼합물의 반응성 폴리우레탄이 고압 또는 저압 장치에 의해 도입되는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단계 (ii) 및 (iv)에서의 작업편의 이형 전에, 작업편은 치수 안정성이 달성될 때까지 냉각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복합 구성 부품은 바람직하게는 철도 차량, 항공기 또는 자동차의 내부 또는 외부 구성 부품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성분 A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성분 A에 따른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문헌을 통해 공지되어 있거나 문헌을 통해 공지된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문헌(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1964), 및 또한 DE-B 1 495 626, DE-A 2 232 877, DE-A 2 703 376, DE-A 2 714 544, DE-A 3 000 610, DE-A 3 832 396을 참조하며;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대해서는, 예를 들어 DE-A 3 077 934를 참조함). 본 발명의 맥락에서 성분 A)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뿐만 아니라 코폴리카르보네이트 및/또는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며;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선형 또는 공지된 방식의 분지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카르보네이트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에 "기반한" 재료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60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0 중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재료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존재하는 카르보네이트 기의 최대 80 mol%, 바람직하게는 20 mol% 내지 50 mol% 부분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분자 사슬에 포함된 탄산으로부터 유래된 산 라디칼뿐만 아니라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부터 유래된 산 라디칼을 함유하는 이러한 유형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라고 지칭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그것들은 포괄적 용어인 "열가소성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에 포괄된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기에 의한 카르보네이트 기의 대체는 실질적으로 화학량론적으로 및 또한 정량적으로 진행되며, 그러므로 반응물들의 몰비가 또한 최종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에 반영된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기는 랜덤 방식 및 블록 방식 모두에 의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는 용어 "폴리카르보네이트"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알킬" 또는 "알킬 기"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가 제거된 알칸 구조를 지칭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알킬 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그것은 포화되어 있으므로 인접한 탄소 원자들 사이에 단일 결합만을 포함한다. 알킬 기가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1-메틸부틸, 2-메틸부틸, 3-메틸부틸, 네오펜틸, 1-에틸프로필, n-헥실,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1-메틸펜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1,1-디메틸부틸, 1,2-디메틸부틸, 1,3-디메틸부틸, 2,2-디메틸부틸, 2,3-디메틸부틸, 3,3-디메틸부틸, 1-에틸부틸, 2-에틸부틸, 1,1,2-트리메틸프로필, 1,2,2-트리메틸프로필, 1-에틸-1-메틸프로필, 1-에틸-2-메틸프로필, 1-에틸-2-메틸프로필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탄소 원자의 개수가 상이하게 규정되는 경우 이러한 구조의 선택은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알킬렌" 또는 "알킬렌 기"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서로 상이한 탄소 원자들로부터 두 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된 가교 알칸 구조를 지칭하는 것이다. 이러한 맥락에서, 두 개의 탄소 원자로부터 제거된 두 개의 수소 원자는 알칸 구조에 존재하는 임의의 탄소 원자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이는 두 개의 탄소 원자들이 인접할 수 있지만 반드시 인접할 필요는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알킬렌 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다. 그것은 포화되어 있다. 알킬렌 기가 단 하나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는 경우, 그것은 두 개의 단일 결합을 통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연결된 메틸렌 기 (-CH2-)와 관련된다. 알킬렌 기가 메틸렌, 에틸렌, n-프로필렌, 이소-프로필렌, n-부틸렌, sec-부틸렌, tert-부틸렌, n-펜틸렌, 1-메틸부틸렌, 2-메틸부틸렌, 3-메틸부틸렌, 네오펜틸렌, 1-에틸프로필렌, n-헥실렌, 1,1-디메틸프로필렌, 1,2-디메틸프로필렌, 1,2-디메틸프로필렌, 1-메틸펜틸렌, 2-메틸펜틸렌, 3-메틸펜틸렌, 4-메틸펜틸렌, 1,1-디메틸부틸렌, 1,2-디메틸부틸렌, 1,3-디메틸부틸렌, 2,2-디메틸부틸렌, 2,3-디메틸부틸렌, 3,3-디메틸부틸렌, 1-에틸부틸렌, 2-에틸부틸렌, 1,1,2-트리메틸프로필렌, 1,2,2-트리메틸프로필렌, 1-에틸-1-메틸프로필렌, 1-에틸-2-메틸프로필렌, 1-에틸-2-메틸프로필렌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탄소 원자의 개수가 상이하게 규정되는 경우 이러한 구조의 선택은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알킬리덴" 또는 "알킬리덴 기"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바람직하게는 동일한 탄소 원자로부터 두 개의 수소 원자가 제거된 가교 알칸 구조를 지칭하는 것이다. 알킬리덴 기가 이소프로필리덴, n-프로필리덴, 이소헵틸리덴 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는 하기 화학식 (w)로 나타내어진다:
여기서
각각의 반복 단위에 존재하는 A는 독립적으로 지방족 또는 방향족 2가 기, 예를 들어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하나 이상의 방향족 고리를 함유할 수 있고 치환될 수 있으며 가교 구조로서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라디칼 또는 알킬아릴 또는 헤테로원자를 함유할 수 있는 방향족 2가 기, 예컨대 하기 화학식 (wi)의 구조를 나타내거나,
(여기서
R6 및 R7은 독립적으로 H, C1- 내지 C18-알킬, C1- 내지 C18-알콕시, 할로겐, 예컨대 Cl 또는 Br, 또는 각각의 경우에 임의로 치환된 아릴 또는 아르알킬, 바람직하게는 H 또는 C1- 내지 C12-알킬, 특히 바람직하게는 H 또는 C1- 내지 C8-알킬,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H 또는 메틸이고,
X는 단일 결합, -SO2-, -CO-, -O-, -S-, C1- 내지 C6-알킬렌, C2- 내지 C5-알킬리덴 또는 C5- 내지 C6-시클로알킬리덴 (이는 C1- 내지 C6-알킬,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에틸로 치환될 수 있음)을 나타내거나, 추가의 헤테로원자-함유 방향족 고리에 임의로 융합될 수 있는 C6- 내지 C12-아릴렌을 나타냄),
A와 관련하여, 시클릭,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2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하나 초과의 환을 포함할 수 있는 지방족 2가 기, 예를 들어 하기 구조 (wii)를 나타내거나,
A와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알킬렌 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형 알킬렌 기, 또는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4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5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하나 초과의 환을 함유할 수 있는 시클로알킬렌 기이고,
각각의 반복 단위에 존재하는 D는 독립적으로 A 또는 방향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2가 기,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렌 또는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헥실렌을 나타내고,
각각의 반복 단위에 존재하는 Y는 독립적으로, 시클릭, 선형 또는 분지형일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헤테로원자에 의해 중단될 수 있는 2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하고 하나 초과의 환을 포함하는 지방족 2가 기, 또는 방향족 2가 기,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지방족 2가 기, 2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분지형 지방족 2가 기,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하나 초과의 환을 포함할 수 있는 시클로지방족 2가 기, 또는 6 내지 3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방향족 2가 기, 특히 바람직하게는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헥실렌, 2 내지 1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지방족 선형 기 또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렌을 나타내고,
0 < x < 1이다.
특히 바람직한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는 하기 디올과 이산의 조합에 기반한 것이다: 비스페놀 A와 세바스산; 비스페놀 A와 이소프탈산, 테레프탈산 및/또는 프탈산과 임의로 레조르시놀; 이소소르바이드와 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과 임의로 추가의 디올 또는 이산.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에 적합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예를 들어 히드로퀴논, 레조르시놀, 디히드록시디페닐, 비스(히드록시페닐)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시클로알칸,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파이드, 비스(히드록시페닐) 에테르, 비스(히드록시페닐) 케톤,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폰, 비스(히드록시페닐) 술폭시드, α,α'-비스(히드록시페닐)디이소프로필벤젠, 이사틴 유도체 또는 페놀프탈레인 유도체로부터 유래된 프탈이미딘 및 그의 고리-알킬화, 고리-아릴화 및 고리-할로겐화 화합물 또는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4,4'-디히드록시디페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디메틸비스페놀 A,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술폰, 2,4-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p-디이소프로필벤젠, 9,9-비스(4-히드록시페닐)플루오렌 및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또한 하기 비스페놀 (I) 내지 (III)을 포함한다:
여기서 각각의 경우에 R'은 C1-C4-알킬, 아르알킬 또는 아릴, 바람직하게는 메틸 또는 페닐,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을 나타낸다.
특히 바람직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4-히드록시페닐)-3,3,5-트리메틸시클로헥산 및 디메틸비스페놀 A 및 또한 화학식 (I), (II) 및 (III)의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및 다른 적합한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은 예를 들어 US-A 3 028 635, US-A 2 999 825, US-A 3 148 172, US-A 2 991 273, US-A 3 271 367, US-A 4 982 014 및 US-A 2 999 846, DE-A 1 570 703, DE-A 2 063 050, DE-A 2 036 052, DE-A 2 211 956 및 DE-A 3 832 396, FR-A 1 561 518, 논문(H. Schnell, "Chemistry and Physics of Polycarbonates",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1964)에 설명되어 있다.
또한 하기 화학식 (1a)의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을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카르보네이트가 바람직하다:
여기서
R5는 수소 또는 C1- 내지 C4-알킬, C1- 내지 C4-알콕시, 바람직하게는 수소 또는 메틸 또는 메톡시, 특히 바람직하게는 수소를 나타내고,
R6, R7, R8 및 R9는 독립적으로 C6- 내지 C12-아릴 또는 C1- 내지 C4-알킬, 바람직하게는 페닐 또는 메틸, 특히 메틸을 나타내고,
Y는 단일 결합, SO2-, -S-, -CO-, -O-, C1- 내지 C6-알킬렌, C2- 내지 C5-알킬리덴, 헤테로원자를 갖는 추가의 방향족 고리와 임의로 축합될 수 있는 C6- 내지 C12-아릴렌, 또는 C1- 내지 C4-알킬로 일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는 C5- 내지 C6-시클로알킬리덴 라디칼, 바람직하게는 단일 결합, -O-, 이소프로필리덴 또는 C1- 내지 C4-알킬로 일치환 또는 다치환될 수 있는 C5- 내지 C6-시클로알킬리덴 라디칼을 나타내고,
V는 산소, C2- 내지 C6-알킬렌 또는 C3- 내지 C6-알킬리덴, 바람직하게는 산소 또는 C3-알킬렌을 나타내고,
p, q 및 r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여기서 q = 0일 때, W는 단일 결합이고, q = 1이고 r = 0일 때, W는 -O-, C2- 내지 C6-알킬렌 또는 C3- 내지 C6-알킬리덴, 바람직하게는 -O- 또는 C3-알킬렌을 나타내고,
q = 1이고 r = 1일 때, W 및 V는 독립적으로 C2- 내지 C6-알킬렌 또는 C3- 내지 C6-알킬리덴, 바람직하게는 C3-알킬렌을 나타내고,
Z는 C1- 내지 C6-알킬렌, 바람직하게는 C2-알킬렌을 나타내고,
o는 10 내지 50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의 반복 단위의 평균 개수이고,
m은 1 내지 10, 바람직하게는 1 내지 6, 특히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5의 반복 단위의 평균 개수이다.
마찬가지로, 화학식 (1a)의 두 개 이상의 실록산 블록이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을 통해 연결되어 에스테르 기를 형성하는 것인,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화학식 (1a)의 단량체 단위를 포함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 특히 이러한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제조는 예를 들어 WO 2015/052106 A2에 설명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화학식 (1a)의 두 개 이상의 실록산 블록이 테레프탈산 및/또는 이소프탈산을 통해 연결되어 에스테르 기를 형성하는 것인, 디히드록시아릴 화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폴리카르보네이트는 디페놀, 탄산 유도체, 임의로 사슬 종결제 및 임의로 분지화제로부터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되고,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는, 탄산 유도체의 일부분을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디카르복실산 유도체로,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에 존재하는 카르보네이트 구조 단위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에스테르 구조 단위에 의해 대체되는 정도로 대체함으로써 제조된다.
호모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 단 하나의 디페놀이 사용되고 코폴리카르보네이트의 경우 둘 이상의 디페놀이 사용된다. 사용되는 디페놀은, 합성에 첨가되는 다른 모든 화학물질 및 보조제와 마찬가지로, 그 자체의 합성, 취급 및 저장으로 인한 불순물로 오염될 수 있다. 그러나 가능한 가장 높은 순도의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분자량 조절에 요구되는 일관능성 사슬 종결제, 예를 들어 페놀 또는 알킬페놀, 특히 페놀, p-tert-부틸페놀, 이소옥틸페놀, 쿠밀페놀, 그의 염화탄산 에스테르 또는 모노카르복실산의 아실 클로라이드 또는 이러한 사슬 종결제의 혼합물은, 포스겐 또는 염화탄산 말단 기가 반응 혼합물에 여전히 존재한다는 전제 하에, 또는 아실 클로라이드 및 염화탄산 에스테르가 사슬 종결제인 경우, 초기 중합체의 충분한 페놀성 말단 기가 이용될 수 있는 한, 비스페녹시드(들)와의 반응에 공급되거나 합성 동안 임의의 요망되는 시점에 첨가된다. 그러나, 사슬 종결제(들)가 포스겐화 후에 포스겐이 더 이상 존재하지 않지만 촉매가 아직 첨가되지 않은 위치 또는 시점에 첨가되거나, 촉매보다 먼저 첨가되거나, 촉매와 함께 또는 이와 동시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될 임의의 분지화제 또는 분지화제 혼합물은 동일한 방식으로 합성에 첨가되지만, 전형적으로 사슬 종결제보다 먼저 첨가된다. 전형적으로 사용되는 화합물은 트리스페놀, 쿼터페놀 또는 트리- 또는 테트라카르복실산의 아실 클로라이드, 또는 폴리페놀 또는 아실 클로라이드의 혼합물이다. 분지화제로서 사용될 수 있고 세 개 이상의 페놀성 히드록실 기를 갖는 화합물 중 일부의 예는 플로로글루시놀,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트-2-엔, 4,6-디메틸-2,4,6-트리(4-히드록시페닐)헵탄, 1,3,5-트리스(4-히드록시페닐)벤젠,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 트리스(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2,2-비스[4,4-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실]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프로필)페놀, 테트라(4-히드록시페닐)메탄을 포함한다.
다른 삼관능성 화합물 중 일부는 2,4-디히드록시벤조산, 트리메스산, 염화시아누르 및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이다. 바람직한 분지화제는 3,3-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2-옥소-2,3-디히드로인돌 및 1,1,1-트리(4-히드록시페닐)에탄이다. 사용될 임의의 분지화제의 양은 각각의 경우에 사용되는 디페놀의 몰을 기준으로 0.05 mol% 내지 2 mol%이다.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기 위한 이러한 모든 조치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알려져 있다. 폴리에스테르 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여,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될 폴리카르보네이트의 바람직한 제조 방식은 공지된 계면 공정 및 공지된 용융 에스테르교환 공정이다 (예를 들어 WO 2004/063249 A1, WO 2001/05866 A1, WO 2000/105867, US 5,340,905 A, US 5,097,002 A, US-A 5,717,057 A를 참조함). 폴리카르보네이트가 용융 에스테르교환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자의 경우, 사용되는 산 유도체는 바람직하게는 포스겐 및 임의로 디카르보닐 디클로라이드이고, 후자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디페닐 카르보네이트 및 임의로 디카르복실산 디에스테르이다. 두 경우 모두에서, 폴리카르보네이트 제조 또는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 제조를 위한 촉매, 용매, 후처리, 반응 조건 등은 충분히 잘 설명되어 있고 공지되어 있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상대 용액 점도 (ηrel)는 바람직하게는 1.18 내지 1.4의 범위, 특히 바람직하게는 1.20 내지 1.32의 범위,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1.22 내지 1.29의 범위이다 (25℃에서 메틸렌 클로라이드 용액 100 ml 중 폴리카르보네이트 0.5 g의 용액에서 측정됨).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폴리에스테르카르보네이트의 중량-평균 분자량 Mw는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35,000, 더 바람직하게는 20,000 내지 33,000, 특히 바람직하게는 23,000 내지 30,000의 범위이다. Mw의 값은 용리액으로서 디클로로메탄을 사용하여 비스페놀 A 폴리카르보네이트 표준물에 대해 보정되는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 독일 소재의 페에스에스 폴리머 스탠다즈 서비스 게엠베하(PSS Polymer Standards Service GmbH)로부터의 공지된 몰질량 분포를 갖는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비스페놀 A 및 포스겐으로 구성됨)를 사용한 보정; 레버쿠젠 소재의 쿠렌타 게엠베하 운트 코 오하게(Currenta GmbH & Co. OHG)로부터의 공정 2301-0257502-09D (2009년판)에 따른 보정에 의해 결정된다. 용리액은 디클로로메탄이다. 가교된 스티렌-디비닐벤젠 수지의 칼럼 조합. 분석 칼럼의 직경: 7.5 mm; 길이: 300 mm. 칼럼 재료의 입자 크기: 3 μm 내지 20 μm. 용액의 농도: 0.2 중량%. 유량: 1.0 ml/분, 용액의 온도: 30℃. 굴절률 (RI) 검출기를 사용한 검출.
본 발명에 따르면, 성분 A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는 230 ppm 내지 1500 ppm, 바람직하게는 260 ppm 내지 130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300 ppm 내지 1000 ppm,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310 ppm 내지 800 pp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0 ppm 내지 790 ppm의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다. 성분 A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가 240 ppm 내지 1400 ppm, 바람직하게는 300 ppm 내지 130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400 ppm 내지 1200 ppm,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는 500 ppm 내지 1100 pp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50 ppm 내지 1050 ppm의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페놀성 OH 함량을 결정하는 방법을 알 것이다. 적합한 방법은 1H-NMR 분광법 또는 적외선 기법을 포함한다. 1-H-NMR 분광법을 통해 페놀성 OH 함량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가 예를 들어 비스페놀 A에 기반한 폴리카르보네이트인 경우 OH 말단 기의 함량은 실온에서 디클로로메탄 용매를 사용하는 1H-NMR 분광법에 의해, 6.68 ppm (페놀성 OH 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 있는 두 개의 방향족 양성자) 및 1.68 ppm (비스페놀 A 단위의 여섯 개의 메틸 양성자)에서의 신호의 적분값의 비율을 평가함으로써 결정된다. 상이한 비스페놀을 기반으로 하거나 비스페놀 A가 아닌 추가의 공단량체를 포함하는 (코)폴리카르보네이트가 사용되는 경우,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페놀성 OH 함량을 결정할 수 있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보고된 ppm 값은 중량을 기준으로 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원칙적으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페놀성 OH 함량을 조정하거나/이에 영향을 미치는 방법을 알 것이다. 상 계면 공정이 사용되는 경우,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예를 들어 사슬 종결제의 농도 또는 페놀성 OH 기를 임의로 또한 포함하는 특수한 사슬 종결제의 사용, 또는 페놀성 OH 기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말단 기의 후속 반응을 통해 본 발명에 따라 요망되는 페놀성 OH의 농도를 조정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용융 에스테르교환 공정이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제조하는 데 사용되는 경우, 사용되는 촉매 또는 사용되는 비스페놀에 대한 디아릴 카르보네이트의 비율이 페놀성 OH 함량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여기서도 역시, 공정 흐름상 하류의 단계에서, 존재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를 말단 기에서 개질하여 페놀성 OH 기를 특수하게 도입시키거나 반응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공정은 특히 성분 A)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가 하기 구조 (4) 내지 (7) 중 하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페닐 고리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8-알킬,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알킬,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로 일치환 또는 이치환될 수 있고, X는 단일 결합, 선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6-알킬렌 기, C2- 내지 C10-알킬리덴 기 또는 C5- 내지 C10-시클로알킬리덴 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단일 결합 또는 C1- 내지 C4-알킬렌,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리덴을 나타내고, "---"는 구조 (4) 내지 (7)이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구조 단위(4) 내지 (7)의 양의 합이 10 ppm 내지 1000 pp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95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80 ppm 내지 850 ppm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구조 단위 (4) 내지 (7)의 양을 결정하기 위해, 각각의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완전히 가수분해하고 분해 생성물의 양을 정량적 HPLC로 결정한다. 분해 생성물은 구조 (4a) 내지 (7a)를 포함할 수 있다. 구조 (4a) 내지 (7a)는 비스페놀 A를 포함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의 사용에 대한 예시로서 보고된다. (이는 예를 들어 하기와 같이 실행될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 샘플을 소듐 메톡시드를 사용하여 환류 하에 가수분해한다. 상응하는 용액을 산성화하고 농축시켜 건조한다. 건조 잔류물을 아세토니트릴에 용해시키고 UV 검출을 구비한 HPLC를 통해 화학식 (4a) 내지 (7a)의 페놀성 화합물을 결정한다.):
이렇게 유리된 화학식 (4a)의 화합물의 양은 10 내지 800 ppm,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75,00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70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0 ppm이다.
이렇게 유리된 화학식 (5a)의 화합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 (즉, 10 ppm의 검출 한계 미만) 내지 10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8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0 내지 50 ppm이다.
이렇게 유리된 화학식 (6a)의 화합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 (즉, 10 ppm의 검출 한계 미만) 내지 800 ppm, 더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70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0 ppm,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350 ppm이다.
이렇게 유리된 화학식 (7a)의 화합물의 양은 바람직하게는 0 (즉, 10 ppm의 검출 한계 미만) 내지 300 ppm, 바람직하게는 5 내지 250 ppm, 특히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ppm이다.
성분 B
조성물은 성분 B로서 중합체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고려되는 중합체 첨가제는 특히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중합체 첨가제를 포함한다. 성분 B에 따른 바람직한 중합체 첨가제는 난연제, 난연성 상승작용제, 연기-억제 첨가제, 점적방지제, 내부 및 외부 윤활제 및 이형제, 유동성 보조제, 대전방지제, 전도성 첨가제, 핵형성제, 안정화제, 항박테리아 첨가제, 내스크레치성-개선 첨가제, IR 흡수제, 광학 증백제, 형광 첨가제, 충전제 및 강화제, 염료 및 안료, 브뢴스테드-산성 화합물이다. 고려되는 특히 바람직한 중합체 첨가제는 난연제 (예를 들어 인 화합물, 예컨대 인산 또는 포스폰산 에스테르, 포스포네이트아민 및 포스파젠 또는 할로겐 화합물), 난연성 상승작용제 (예를 들어 나노 크기의 금속 산화물), 연기-억제 첨가제 (예를 들어 붕산 또는 붕산염), 점적방지제 (예를 들어 플루오린화 폴리올레핀, 실리콘 및 아라미드 섬유의 물질류로부터의 화합물), 내부 및 외부 윤활제 및 이형제 (예를 들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스테아릴 스테아레이트, 몬탄 왁스 또는 폴리에틸렌 왁스), 유동성 보조제 (예를 들어 저분자량 비닐(공)중합체), 대전방지제 (예를 들어 에틸렌 옥시드 및 프로필렌 옥시드의 블록 공중합체, 다른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히드록시 에테르, 폴리에테르아미드,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또는 술폰산 염), 전도성 첨가제 (예를 들어 전도성 카본 블랙 또는 탄소 나노튜브), 핵형성제, 안정화제 (예를 들어 UV/광 안정화제, 열 안정화제, 산화방지제, 에스테르교환 억제제, 가수분해 안정화제), 항박테리아 첨가제 (예를 들어 은 또는 은 염), 내스크레치성-개선 첨가제 (예를 들어 실리콘 오일 또는 경질 충전제, 예컨대 (중공) 세라믹 비드), IR 흡수제, 광학 증백제, 형광 첨가제, 충전제 및 강화제 (예를 들어 활석, 임의로 분쇄된 유리 또는 탄소 섬유, (중공) 유리 또는 세라믹 비드, 운모, 카올린, CaCO3 및 유리 플레이크) 및 염료 및 안료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이산화티타늄 또는 산화철), 충격 보강제 및 염기 소거제로서의 브뢴스테드-산성 화합물 또는 전술된 복수의 첨가제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열가소성 조성물과 관련하여 명시된 중량 백분율은 열가소성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0 중량%의 성분 A) 및 > 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성분 B),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5.0 중량%의 성분 A) 및 0.01 내지 5.0 중량%의 성분 B),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96.0 중량%의 성분 A) 및 0.05 중량% 내지 4.0 중량%의 성분 B)를 포함한다. 열가소성 조성물이 성분 A) 및 B)로 실질적으로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조성물이 성분 A)와 B)로 구성된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열가소성 조성물에서 성분 B)로서 적어도 하나의 열 안정화제가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열 안정화제는 특히 인산염, 아인산염, 포스포나이트, 포스핀 및 그의 혼합물의 군으로부터 선택된 인-기반 안정화제이다. 그 예는 트리스이소옥틸 포스페이트, 트리페닐 포스파이트, 디페닐 알킬 포스파이트, 페닐 디알킬 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 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 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 포스파이트 (이르가포스(Irgafos) 168),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쿠밀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도버포스(Doverphos) S-9228),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옥시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스(tert-부틸페닐)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 소르비톨 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ert-부틸페닐)-4,4'-비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6-이소옥틸옥시-2,4,8,10-테트라-tert-부틸-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메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tert-부틸-6-메틸페닐) 에틸 포스파이트, 6-플루오로-2,4,8,10-테트라-tert-부틸-12-메틸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ter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2-에틸헥실(3,3',5,5'-테트라-ter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5-부틸-5-에틸-2-(2,4,6-트리-tert-부틸페녹시)-1,3,2-디옥사포스피란,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핀 (TPP), 트리알킬페닐포스핀, 비스디페닐포스피노에탄 또는 트리나프틸포스핀을 포함한다. 그것은 단독으로 또는 혼합물로서, 예를 들어 이르가녹스(Irganox) B900 (이르가포스 168과 이르가녹스 1076의 4:1의 비의 혼합물) 또는 도버포스 S-9228과 이르가녹스 B900 또는 이르가녹스 1076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트리페닐포스핀 (TPP), 트리스이소옥틸포스페이트, 이르가포스 168 또는 트리스(노닐페닐) 포스파이트 또는 그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열 안정화제는 바람직하게는 최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3 중량% 내지 1.0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0.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2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TPP가 0 중량% 내지 0.1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08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0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아인산염의 군으로부터의 안정화제가 0.01 중량% 내지 0.1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내지 0.09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내지 0.08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는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또한 페놀성 산화방지제, 예컨대 알킬화 모노페놀, 알킬화 티오알킬페놀, 히드로퀴논 및 알킬화 히드로퀴논이 사용될 수 있다. 이르가녹스 1010 (펜타에리트리톨-3-(4-히드록시-3,5-디-tert-부틸페닐)프로피오네이트; CAS: 6683-19-8) 및 이르가녹스 1076 (옥타데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을 사용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것들은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 0.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25 중량% 내지 0.1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5 중량% 내지 0.04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특히 적합한 자외선 흡수제는 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예컨대 2-(3',5'-비스(1,1-디메틸벤질)-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티누빈(Tinuvin)® 234,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에스에(BASF SE)), 2-(2'-히드록시-5'-(ter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티누빈® 329,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에스에), 비스(3-(2H-벤조트리아졸릴)-2-히드록시-5-tert-옥틸)메탄 (티누빈® 360,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에스에),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 (티누빈® 1577,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에스에), 2-(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6-(1,1-디메틸에틸)-4-메틸페놀 (티누빈® 326,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에스에), 및 또한 벤조페논, 예컨대 2,4-디히드록시벤조페논 (키마소르브(Chimassorb)® 22,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에스에) 및 2-히드록시-4-(옥틸옥시)벤조페논 (키마소르브® 81,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에스에), 2,2-비스[[(2-시아노-1-옥소-3,3-디페닐-2-프로페닐)옥시]메틸]-1,3-프로판디일 에스테르 (9CI) (우비눌(Uvinul) 3030,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에스에), 2-[2-히드록시-4-(2-에틸헥실)옥시]페닐-4,6-디(4-페닐)페닐-1,3,5-트리아진 (티누빈® 1600,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에스에), 테트라에틸 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호스타빈(Hostavin) 비-캡(B-Cap), 클라리안트 아게(Clariant AG)) 또는 N-(2-에톡시페닐)-N'-(2-에틸페닐)에탄디아미드 (티누빈® 312, CAS 번호 23949-66-8, 루트비히스하펜 소재의 바스프 에스에)이다.
UV 흡수제가 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흡수제를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최대 0.8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8 중량% 내지 0.4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35 중량%의 양으로 함유한다.
적합한 이형제는 특히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스테아레이트 (PETS)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GMS)를 포함한다. 이형제가 존재하는 경우,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최대 0.8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8 중량% 내지 0.4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35 중량%로 함유한다.
특히, 열가소성 조성물이 성분 B)로서 적어도 세 개의 탄소 원자 및 적어도 세 개의 히드록실 기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성분 (I)을 임의의 비율로 포함하는 것이 특히 유리한 것으로 입증되었으며, 여기서 이러한 적어도 세 개의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는 각각의 경우에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C1-C32-카르복실산 또는 벤조산으로 에스테르화되고 이러한 적어도 세 개의 히드록실 기 중 적어도 하나는 유리 히드록실 기의 형태를 갖는다. 이러한 경우 다른 성분 B)도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은 말할 나위도 없다.
놀랍게도, 특수한 히드록실 성분을 캐리어 재료에 추가적으로 사용하면 개선된 복합체 접착이 더욱 더 개선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특수한 히드록실 성분은 주로 캐리어의 표면에 축적된다. 이로써 캐리어의 전반적인 특성은 추가적인 첨가제의 사용에 의해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복합체는 특히 대등한 시스템에 비해 추가의 개선을 보이지만, 성분 A)의 폴리카르보네이트는 적어도 하나의 히드록실 기를 갖는 첨가제, 바람직하게는 특수한 히드록실 성분 (I)을 포함하지 않는다. 이론에 얽매이려는 것은 아니지만, 특수한 히드록실 성분 (I)은 그의 화학적 속성 때문에 접착 촉진제로서 작용할 수 있다고 가정된다. 친수성 OH 기 및 임의로, 존재하는 경우, 소수성 탄화수소 사슬 (특히 그것이 긴 사슬인 경우)은 캐리어 형성 동안 및/또는 캐리어 형성 후에 캐리어 표면에 축적된다. 이와 동시에 소수성 탄화수소 기는 캐리어 재료의 내부 및 외부에 단단히 고착된다 (특히 긴 사슬 탄화수소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된 방식으로 캐리어 재료와 얽힘으로써 공유 결합을 형성하지 않고도 응력에 견디는 결합을 형성할 수 있음). 여기서 캐리어에 있어서 이동성 및 이에 따른 표면 축적 경향은 예를 들어 냉각 공정을 통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용융물이 따뜻할수록 분자의 이동성은 더 크다. 용융물의 온도는 예를 들어 공정에서 전체 용융물 온도 또는 금형 온도의 상승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이와 동시에, 이러한 표면 축적은 특수한 히드록실 성분이 전체 캐리어 재료에서 고갈되는 효과를 갖는다. 그 결과 히드록실 성분이 캐리어의 전반적인 특성에 거의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이는 또한 두 번째로 히드록실 성분의 양이 최소화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데, 왜냐하면 그것은 그것이 필요한 경우에만 효율적으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이로써 비용이 추가적으로 절감된다.
이론에 얽매이려는 것은 아니지만, 특히 형성된 캐리어의 표면에 존재하는 추가의 추가적인 OH 기가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의 성분과의 반응에 이용될 수 있다고 가정된다. 폴리카르보네이트와 폴리우레탄 사이의 공유 결합과, 캐리어 재료에 단단히 고착됨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더 유연한 반응된 히드록실 화합물과 폴리우레탄 사이의 결합의 조합은 우수한 결합을 초래한다.
히드록실 성분 (I)은 바람직하게는 하기 화학식 (I)로 나타내어진다:
(R4-C(=O)O)o-(R5)x-(OH)p (I)
여기서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C1-C31-알킬 라디칼 또는 페닐이고,
R5는 x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알킬렌 기이며, 여기서 x는 3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이고, R5에 존재하는 각각의 이러한 탄소 원자는 각각 치환기 (R4-C(=O)O)o-, -(OH)p 및/또는 수소 또는 알킬 라디칼을 포함할 수 있고,
o는 1 내지 12의 수이고 p는 1 내지 12의 수이며, 단 o + p는 2 내지 12이고 o + p의 최댓값은 R5에 존재하는 탄소 원자의 최대 개수 x에 의해 결정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화학식 (I)이 탄소가 원자가를 갖는 만큼의 치환기만을 갖는다는 것은 명백하다. 분지형 R5-알킬렌 기가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3급 탄소를 포함하는 경우, 이러한 3급 탄소 원자는 치환기 R4-C(=O)O)o-, -(OH)p 및/또는 수소 중 하나를 위해 남아 있는 최대 하나의 원자가만을 갖게 된다. 분지형 R5-알킬렌 기는 마찬가지로 추가의 치환기를 위한 원자가를 갖지 않는 4급 탄소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히드록실 성분 (I)이 하기 화학식 (Ia) 또는 (Ib)로 나타내어지는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여기서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C1-C31-알킬 라디칼 또는 페닐이되, 단 적어도 하나의 R4가 수소이고 적어도 하나의 R4가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C1-C31-알킬 라디칼 또는 페닐임을 전제로 하고,
각각의 Y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을 나타내고,
Z는 수소, 알킬 라디칼 또는 OR4를 나타낸다.
여기서 각각의 R4는 독립적으로 수소,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C1-C31-알킬 라디칼 또는 페닐이되, 단 적어도 하나의 R4가 수소이고 적어도 하나의 R4가 지방족 포화 또는 불포화, 선형, 시클릭 또는 분지형 C1-C31-알킬 라디칼 또는 페닐임을 전제로 하고,
각각의 Y는 독립적으로 수소, 알킬 또는 아릴 라디칼을 나타내고,
Z는 수소 또는 알킬 라디칼을 나타내고,
x는 3 내지 12, 바람직하게는 3 내지 8,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7,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의 수이다.
화학식 (I) 또는 (Ib)에서 x가 3 내지 5를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I), (Ia) 또는 (Ib)에서 각각의 R4가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sec-부틸, tert-부틸, n-펜틸, 1-메틸부틸, 2-메틸부틸, 3-메틸부틸, 네오펜틸, 1-에틸프로필, 시클로헥실, 시클로펜틸, n-헥실, 1,1-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1,2-디메틸프로필, 1-메틸펜틸, 2-메틸펜틸, 3-메틸펜틸, 4-메틸펜틸, 1,1-디메틸부틸, 1,2-디메틸부틸, 1,3-디메틸부틸, 2,2-디메틸부틸, 2,3-디메틸부틸, 3,3-디메틸부틸, 1-에틸부틸, 2-에틸부틸, 1,1,2-트리메틸프로필, 1,2,2-트리메틸프로필, 1-에틸-1-메틸프로필, 1-에틸-2-메틸프로필, 1-에틸-2-메틸프로필, n-헵틸, n-옥틸, 피나실, 아다만틸, 이성질체 멘틸, n-노닐, n-데실, n-도데실, n-트리데실, n-테트라데실, n-헥사데실 또는 n-옥타데실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I), (Ia) 또는 (Ib)에서 각각의 R4가 독립적으로 n-노닐, n-데실, n-도데실, n-트리데실, n-테트라데실, n-헥사데실 또는 n-옥타데실을 나타내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R4에 대한 상기-설명된 규정과 더불어, 화학식 (I), (Ia) 또는 (Ib)에서 각각의 Y가 독립적으로 수소, 메틸, 에틸, 프로필, 부틸 또는 페닐을 나타내는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성분 B)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이다.
열가소성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0.0001 중량% 내지 5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01 중량% 내지 1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8 중량%, 가장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내지 0.06 중량%의 히드록실 성분 (I)을 포함한다. 이러한 양은 개선된 복합체 접착 효과가 발생하면서도 이와 동시에 캐리어의 전반적인 특성이 거의 변하지 않게 할 정도로 그 양이 충분히 낮은 것을 보장한다.
성분 B)가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제, 바람직하게는 아인산염 및/또는 인산염의 군으로부터의 안정화제, 특히 바람직하게는 전술된 화합물 중 하나인 안정화제,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 적어도 하나의 UV 흡수제, 적어도 하나의 페놀성 산화방지제 및 임의로 염료 (유기) 및/또는 안료 (유기 및 무기)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성분 B)가 TPP를 0 중량% 내지 0.1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08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 중량% 내지 0.0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아인산염 및/또는 인산염의 군으로부터의 적어도 하나의 안정화제를 0.01 중량% 내지 0.1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15 중량% 내지 0.09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 중량% 내지 0.08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자외선 흡수제를 최대 0.8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8 중량% 내지 0.4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3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이형제를 최대 0.8 중량%, 바람직하게는 0.05 중량% 내지 0.5 중량%, 더 바람직하게는 0.08 중량% 내지 0.4 중량%,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0.1 중량% 내지 0.35 중량%의 양으로 포함하는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공정 단계 (ib)에 따른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
공정 단계 (ib)에서 필름은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로 오버몰딩되며, 여기서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는 열가소성 조성물 (Z)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는 모든 선호도 및/또는 조합의 상기-설명된 성분 A) 및 B)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열가소성 조성물 (Z2)의 재료는 제한되지 않고 의도된 용도에 의해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조정 및 선택될 수 있되, 단 이러한 조성물이 열가소성이라는 것을 전제로 한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이러한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와 필름 사이의 접착력도 매우 중요하고 최적화될 수 있다는 것은 명백하다. 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의 지식 및 능력에 달려 있다.
폴리우레탄
사용되는 코팅은 바람직하게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또는 콤팩트한 폴리우레탄 층이다.
본 발명에 따라 사용되는 폴리우레탄은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H-활성 다관능성 화합물, 바람직하게는 폴리올과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폴리우레탄"은 폴리우레탄 우레아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며, 여기서 임의로 폴리올과 혼합된, NH 관능기를 갖는 화합물이 H-활성 다관능성 화합물로서 사용된다.
적합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방향족, 아르지방족, 지방족 또는 시클로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며, 이는 바람직하게는 ≥ 2의 NCO 관능가를 갖고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고 또한 이미노옥사디아진디온, 이소시아누레이트, 우레트디온, 우레탄, 알로파네이트, 뷰렛, 우레아, 옥사디아진트리온, 옥사졸리디논, 아실우레아 및/또는 카르보디이미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것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서로의 임의의 요망되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전술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그 자체로 공지되어 있고 지방족, 시클로지방족, 아르지방족 및/또는 방향족 결합된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갖는 디- 및/또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에 기반하며, 그것이 포스겐을 사용하여 제조되었는지 또는 포스겐을 사용하지 않는 공정에 의해 제조되었는지는 중요하지 않다. 이러한 디- 또는 트리이소시아네이트의 예는 1,4-디이소시아네이토부탄, 1,5-디이소시아네이토펜탄, 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 (HDI), 2-메틸-1,5-디이소시아네이토펜탄, 1,5-디이소시아네이토-2,2-디메틸펜탄, 2,2,4- 및 2,4,4-트리메틸-1,6-디이소시아네이토헥산, 1,10-디이소시아네이토데칸, 1,3- 및 1,4-디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산, 1,3- 및 1,4-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1-이소시아네이토-3,3,5-트리메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IPDI),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시클로헥실메탄 (데스모두르(Desmodur)® W, 독일 레버쿠젠 소재의 코베스트로 아게), 4-이소시아네이토메틸-1,8-옥탄 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이소시아네이토노난, TIN), ω,ω'-디이소시아네이토-1,3-디메틸시클로헥산 (H6XDI), 1-이소시아네이토-1-메틸-3-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1-이소시아네이토-1-메틸-4-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노르보르난, 1,5-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 및 1,4-비스(2-이소시아네이토프로프-2-일)벤젠 (TMXDI), 2,4- 및 2,6-디이소시아네이토톨루엔 (TDI), 특히 2,4 및 2,6 이성질체, 및 두 이성질체의 공업용 혼합물, 2,4'- 및 4,4'-디이소시아네이토디페닐메탄 (MDI), 중합체성 MDI (pMDI), 1,5-디이소시아네이토나프탈렌, 1,3-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벤젠 (XDI) 및 언급된 화합물들의 임의의 요망되는 혼합물이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2.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4.5, 특히 바람직하게는 2.2 내지 2.7의 평균 NCO 관능가, 및 5.0 중량% 내지 37.0 중량%, 바람직하게는 14.0 중량% 내지 34.0 중량%의 이소시아네이트 기 함량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지방족 및/또는 시클로지방족 결합된 이소시아네이트 기만을 갖는 전술된 유형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또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혼합물이 사용된다.
전술된 유형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이성질체 비스(4,4'-이소시아네이토시클로헥실)메탄 및 그의 혼합물에 기반한 것이 매우 특히 바람직하다.
고분자량의 개질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특히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폴리우레탄 화학으로부터 공지된, 400 내지 15,000, 바람직하게는 600 내지 12,000의 분자량 범위의 말단 이소시아네이트-함유 예비중합체이다. 이러한 화합물은 예로서 언급된 유형의 과량의 단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적어도 두 개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기를 갖는 유기 화합물, 특히 유기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의 반응에 의해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유형의 적합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은 82 내지 599, 바람직하게는 62 내지 200의 분자량 범위의 단순 다가 알콜,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트리메틸올프로판, 1,2-프로판디올 또는 1,4-부탄디올 또는 2,3-부탄디올뿐만 아니라, 특히 600 내지 12,000, 바람직하게는 800 내지 4,000의 분자량을 갖고 적어도 두 개, 일반적으로 2 내지 8개,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6개의 1급 및/또는 2급 히드록실 기를 갖는, 폴리우레탄 화학으로부터 그 자체로 공지된 유형의 고분자량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또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예로서 언급된 유형의 저분자량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기를 갖는 덜 바람직한 화합물, 예컨대, 예를 들어 폴리티오에테르 폴리올, 히드록실-함유 폴리아세탈, 폴리히드록시폴리카르보네이트, 히드록실-함유 폴리에스테르아미드 또는 올레핀계 불포화 화합물의 히드록실-함유 공중합체로부터 제조된 NCO 예비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기, 특히 히드록실 기를 가지며 NCO 예비중합체의 제조에 적합한 화합물은, 예를 들어, US-A 4 218 543에 개시된 화합물이다. NCO 예비중합체의 제조 동안,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기를 갖는 이러한 화합물을, NCO 과량을 유지하면서, 상기에 예로서 언급된 유형의 단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킨다. NCO 예비중합체는 일반적으로 10 중량% 내지 26 중량%,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내지 26 중량%의 NCO 함량을 갖는다. 상기로부터, 본 발명의 맥락에서, 용어 "NCO 예비중합체" 및 "말단 이소시아네이트 기를 갖는 예비중합체"는 반응 생성물 그 자체, 및 종종 "반예비중합체"로도 공지된 과량의 미전환 출발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의 혼합물 모두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는 것은 명백하다.
고려되는, > 500 mg KOH/g의 OH가를 갖는 지방족 디올은 폴리우레탄 화학에서 가교에 관례적으로 사용되는 사슬 연장제,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3-프로판디올을 포함한다. 디올, 예컨대 2-1,4-부탄디올, 1,3-부탄디올, 2,3-부탄디올 및/또는 2-메틸-1,3-프로판디올이 바람직하다. 지방족 디올을 서로의 혼합물로서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것을 알 것이다.
적합한 H-활성 성분은 5 내지 600 mg KOH/g의 평균 OH가 및 2 내지 6의 평균 관능가를 갖는 폴리올을 포함한다. 10 내지 50 mg KOH/g의 평균 OH가를 갖는 폴리올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적합한 폴리올은 적합한 출발 분자, 예컨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4-디히드록시부탄, 1,6-디히드록시헥산, 디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또는 수크로스의 알콕실화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폴리히드록시폴리에테르를 포함한다. 출발 물질로서 마찬가지로 적합한 것은 암모니아 또는 아민, 예컨대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2,4-디아미노톨루엔, 아닐린 또는 아미노 알콜 또는 페놀, 예컨대 비스페놀 A이다. 알콕실화는 프로필렌 옥시드 및/또는 에틸렌 옥시드 또는 혼합물을 사용하여 임의의 요망되는 순서로 수행된다.
폴리올 외에도 추가적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아민 및 아미노 알콜, 예를 들어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에틸렌디아민, 트리에탄올아민, 이소포론디아민, N,N'-디메틸(디에틸)에틸렌디아민, 2-아미노-2-메틸(또는 에틸)-1-프로판올, 2-아미노-1-부탄올, 3-아미노-1,2-프로판디올, 2-아미노-2-메틸(에틸)-1,3-프로판디올, 및 알콜, 예를 들어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4-디히드록시부탄, 1,6-디히드록시헥산, 디메틸올프로판, 글리세롤 및 펜타에리트리톨, 및 또한 소르비톨 및 수크로스 또는 이러한 화합물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추가의 가교제 및/또는 사슬 연장제이다.
또한 적합한 것은, 저분자량 알콜과 다가 카르복실산, 예컨대 아디프산, 프탈산, 헥사히드로프탈산, 테트라히드로프탈산 또는 이러한 산의 무수물을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수득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이되, 단 H-활성 성분의 점도가 지나치게 커지지 않는 것을 전제로 한다. 에스테르 기를 포함하는 바람직한 폴리올은 리시놀레산이다. 수지, 예를 들어 알데히드-케톤 수지의 용해 및 또한 피마자 오일의 개질에 의해 수득될 수 있는 바와 같은 피마자 오일, 및 다른 천연 오일에 기반한 폴리올을 포함하는 제제가 또한 적합하다.
마찬가지로 적합한 것은 고분자량 폴리히드록시 폴리에테르이며, 여기서 고분자량 중부가물 또는 중축합물 또는 중합체는 미세하게 분산되거나 용해되거나 그라프팅된 형태로 존재한다. 이러한 개질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예를 들어 중부가 반응 (예를 들어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아미노-관능성 화합물 사이의 반응) 또는 중축합 반응 (예를 들어 포름알데히드와 페놀 및/또는 아민 사이의 반응)이 현장에서 히드록실-함유 화합물에서 발생하도록 허용되는 경우에 수득된다. 그러나, 즉시 사용 가능한 수성 중합체 분산액을 폴리히드록실 화합물과 혼합하고, 이어서 혼합물로부터 물을 제거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예를 들어 폴리에테르 또는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올의 존재 하에 스티렌과 아크릴로니트릴의 중합에 의해 수득된 바와 같은 비닐 중합체에 의해 개질된 폴리히드록실 화합물이 폴리우레탄의 제조에 또한 적합하다. 비닐포스폰산 에스테르 및 임의로 (메트)아크릴로니트릴, (메트)아크릴아미드 또는 OH-관능성 (메트)아크릴산 에스테르와의 그라프트 중합에 의해 DE-A 2 442 101, DE-A 2 844 922 및 DE-A 2 646 141에 따라 개질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 사용되면, 뛰어난 난연성의 플라스틱이 제공된다.
H-활성 화합물로서 사용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화합물의 대표물은 예를 들어 문헌(High Polymers, vol. XVI, "Polyurethanes Chemistry and Technology", Saunders-Frisch (ed.) Interscience Publishers, New York, London, vol. 1, pp. 32-42, 44, 54 and vol. II, 1984, pp. 5-6 and pp. 198-199)에 설명되어 있다.
언급된 화합물들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H-활성 성분의 평균 OH가 및 평균 관능가에 대한 제한은 특히 생성된 폴리우레탄의 증가하는 취성으로부터 초래된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원칙적으로 폴리우레탄의 중합체 물리적 특성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을 알기 때문에 NCO 성분, 지방족 디올 및 폴리올을 서로 유리하게 조정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층 (b)는, 예를 들어 래커 또는 코팅 형태의, 발포체 또는 고체일 수 있다.
그 자체로 공지된 모든 보조제 및 첨가제, 예컨대, 예를 들어, 이형제, 발포제, 충전제, 촉매 및 난연제가 그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임의로 보조제 및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하기와 같다:
a) 발포제로서의 물 및/또는 휘발성 무기 또는 유기 물질
적합한 유기 발포제는 예를 들어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할로겐-치환된 알칸, 예컨대 메틸렌 클로라이드, 클로로포름, 에틸리덴 클로라이드, 비닐리덴 클로라이드, 모노플루오로트리클로로메탄, 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또한 부탄, 헥산, 헵탄 또는 디에틸 에테르를 포함하며, 적합한 무기 발포제는 공기, CO2 또는 N2O를 포함한다. 발포 효과는 또한 기체, 예를 들어 질소의 제거와 함께 실온 초과의 온도에서 분해되는 화합물, 예를 들어 아조 화합물, 예컨대 아조디카르본아미드 또는 아조이소부티로니트릴의 첨가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b) 촉매
촉매는, 예를 들어,
3급 아민 (예컨대 트리에틸아민, 트리부틸아민, N-메틸모르폴린, N-에틸모르폴린,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디아민, 펜타메틸디에틸렌트리아민 및 고급 동족체, 1,4-디아자비시클로-(2,2,2)옥탄, N-메틸-N'-디메틸아미노에틸피페라진, 비스(디메틸아미노알킬)피페라진, N,N-디메틸벤질아민, N,N-디메틸시클로헥실아민, N,N-디에틸벤질아민, 비스(N,N-디에틸아미노에틸)아디페이트, N,N,N',N'-테트라메틸-1,3-부탄디아민, N,N-디메틸-β-페닐에틸아민, 1,2-디메틸이미다졸, 2-메틸이미다졸),
모노시클릭 및 비시클릭 아미드, 비스(디알킬아미노)알킬 에테르,
아미드 기 (바람직하게는 포름아미드 기)를 포함하는 3급 아민,
2급 아민 (예컨대 디메틸아민)과 알데히드 (바람직하게는 포름알데히드 또는 케톤, 예컨대 아세톤, 메틸 에틸 케톤 또는 시클로헥산온) 및 페놀 (예컨대 페놀, 노닐페놀 또는 비스페놀)로 구성된 만니히(Mannich) 염기,
이소시아네이트-활성 수소 원자를 포함하는 3급 아민 (예를 들어 트리에탄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N-에틸디에탄올아민, N,N-디메틸에탄올아민) 및 이것과 알킬렌 옥시드, 예컨대 프로필렌 옥시드 및/또는 에틸렌 옥시드의 반응 생성물,
2급/3급 아민,
탄소-규소 결합을 갖는 실라아민 (2,2,4-트리메틸-2-실라모르폴린 및 1,3-디에틸아미노메틸테트라메틸디실록산),
질소-함유 염기 (예컨대 테트라알킬암모늄 히드록시드),
알칼리 금속 히드록시드 (예컨대 수산화나트륨, 알칼리 금속 페녹시드, 예컨대 소듐 페녹시드),
알칼리 금속 알콕시드 (예컨대 소듐 메톡시드) 및/또는
헥사히드로트리아진
이다.
NCO 기와 제레비티노프(Zerewitinoff)-활성 수소 원자 사이의 반응은, 그 자체로 공지된 방식으로 락탐 및 아자락탐에 의해, 산성 수소를 포함하는 화합물과 락탐 사이에 부가물이 초기에 형성됨으로써, 급격하게 가속화된다.
또한 촉매로서 사용될 수 있는 것은 유기 금속 화합물, 특히 유기 주석 및/또는 비스무트 화합물이다. 디-n-옥틸 틴 머캅티드와 같은 황-함유 화합물 외에도 유기 주석 화합물로서 바람직하게 고려되는 것은 카르복실산의 주석(II) 염, 예컨대 아세트산주석(II), 옥토산주석(II), 틴(II) 에틸헥소에이트 및 라우르산주석(II), 및 주석(IV) 화합물, 예를 들어 디부틸틴 옥시드, 디부틸틴 디클로라이드, 디부틸틴 디아세테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디부틸틴 말레에이트 또는 디옥틸틴 디아세테이트이다. 유기 비스무트 촉매는 예를 들어 특허 출원 WO 2004/000905에 설명되어 있다.
전술된 모든 촉매는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 것이다. 유기 금속 화합물과 아미딘, 아미노피리딘 또는 히드라지노피리딘의 조합이 특히 관심의 대상이다.
촉매는 일반적으로 적어도 두 개의 이소시아네이트-반응성 수소 원자를 갖는 화합물의 총량을 기준으로 약 0.001 중량% 내지 1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c) 표면-활성 첨가제, 예컨대 유화제 및 발포체 안정화제.
적합한 유화제는 예를 들어 피마자 오일 술포네이트의 나트륨 염 또는 지방산과 아민의 염, 예컨대 디에틸암모늄 올레에이트 또는 디에탄올아민 스테아레이트이다. 술폰산, 예컨대, 예를 들어 도데실벤젠술폰산 또는 디나프틸메탄디술폰산, 또는 지방산, 예컨대 리시놀레산, 또는 중합체성 지방산의 알칼리 금속 또는 암모늄 염이 또한 표면-활성 첨가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적합한 발포체 안정화제는 특히 폴리에테르실록산, 특히 수용성 대표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화합물의 구조는 일반적으로 에틸렌 옥시드와 프로필렌 옥시드의 공중합체가 폴리디메틸실록산 라디칼에 부착되도록 하는 구조이다. 특히 관심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알로파네이트 기를 통해 다중 분지화된 폴리실록산-폴리옥시알킬렌 공중합체이다.
d) 반응 지연제
적합한 반응 지연제는 예를 들어 산성 물질 (예컨대 염산 또는 유기 산 할로겐화물)을 포함한다.
e) 첨가제
고려되는 PU 첨가제는 예를 들어 그 자체로 공지된 유형의 기포 조절제 (예컨대 파라핀 또는 지방 알콜) 또는 디메틸폴리실록산 및 그 자체로 공지된 유형의 안료 또는 염료 및 난연제 (예를 들어 트리스클로로에틸 포스페이트, 트리크레실 포스페이트 또는 암모늄 포스페이트 및 폴리포스페이트), 또한 노화 및 풍화 영향에 대한 안정화제, 가소제 및 정진균성 및 정균성 물질 및 충전제 (예컨대 황산바륨, 규조토, 카본 블랙 또는 침강 백악)이다.
본 발명에 따라 임의로 공동으로 사용되는 표면-활성 첨가제 및 발포체 안정화제 및 기포 조절제, 반응 지연제, 안정화제, 난연제, 가소제, 염료 및 충전제 및 정진균성 및 정균성 물질의 추가의 예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있으며 문헌에 설명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래커 비율을 기준으로, 최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2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 중량%의 용매 함량을 갖는 저-용매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무-용매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용매가 존재하면 거품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로써 제조 시 VOC (휘발성 유기 화합물) 함량이 증가한다. 특히 IMC 공정 및/또는 RIM 공정에서의 사용의 경우, 저-용매 또는 무-용매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유리한데, 왜냐하면 이러한 공정에서는 용매가 짧은 반응 시간 내에 증발할 수 없고/거나 금형이 닫혀있기 때문이다.
짧은 포트 수명을 갖는 래커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이 관례적이다. 최대 1분의 포트 수명을 갖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초의 포트 수명을 갖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0초의 포트 수명을 갖는 시스템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래커 시스템의 반응을 위한 사이클 시간을 사출 성형 사이클 시간에 맞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히 경제적이다. 포트 수명이 짧은 경우 고압 역류 혼합 헤드를 사용하여 두 성분을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공정과 비교했을 때 이는 가장 높은 생산성을 허용한다. 또한 공정이 끝날 즈음에 혼합된 래커 원료의 잔류물이 금형 내에 남지 않는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a) A) 적어도 95.0 중량%의, 230 ppm 내지 1500 ppm의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B) 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중합체 첨가제
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된 캐리어,
b) 캐리어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
을 포함하고,
2-성분 반응성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된
복합 구성 부품을 제공한다. 이는 특히 바람직하게는 IMC 공정 또는 RIM 공정이다. 이는 매우 특히 바람직하게는 IMC 공정이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모든 선호도 및 선호도의 조합의 상기-설명된 성분 A), B) 및 상기-설명된 폴리우레탄 층이 관련된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성 부품이 본 발명에 따른 공정에 의해 수득되는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복합 구성 부품과 관련하여 성분 A)의 페놀성 OH 함량이 출발 조성물에 기반한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과의 반응을 통해 적어도 캐리어의 표면에서 OH 함량이 감소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는 검증이 안 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그 이유는 특히 반응이 실질적으로 계면에서만 일어나고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이 캐리어 재료에 거의 침투하지 않기 때문이다. 완성된 복합 구성 부품의 캐리어의 OH 함량은, 캐리어를 파괴함으로써, 예를 들어 긁어냄으로써, 결정될 수 있다. 이는 특히 상기-설명된 방법, 바람직하게는 1H-NMR을 사용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필름이 사용되는 경우, IR 현미경, 박편 또는 연마된 단면을 사용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성 부품이
- 적어도 하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 적어도 하나의 다관능성 H-활성 화합물, 및
-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첨가제 및/또는 가공 보조제
를 함유하는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을 사용하여 2-성분 반응성 사출 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며,
여기서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은 > 90 내지 < 140의 지수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복합 구성 부품이 철도 차량, 항공기 또는 자동차의 내부 또는 외부 구성 부품인 것이 마찬가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추가의 측면은
2-성분 반응성 사출 성형 공정에서 캐리어 및 캐리어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을 포함하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캐리어 재료로서의,
A) 적어도 95.0 중량%의, 230 ppm 내지 1500 ppm의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B) 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중합체 첨가제
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모든 선호도 및 선호도의 조합의 상기-설명된 성분 A), B) 및 상기-설명된 폴리우레탄 층이 관련된다.
실시예
사용된 재료:
PC1: 12 cm3/(10분)의 용융 부피 유량 MVR (ISO 1133:2012-03에 따라 300℃의 시험 온도 및 1.2 kg의 하중에서 측정됨)을 갖는 60 중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와 30 cm3/(10분)의 용융 부피 유량 MVR (250℃의 시험 온도 및 1.2 kg의 하중에서 측정됨)을 갖는 40 중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혼합물에 기반한 비스페놀 A-기반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PC2: 30 cm3/(10분)의 용융 부피 유량 MVR (250℃의 시험 온도 및 1.2 kg의 하중에서 측정됨)을 갖는 비스페놀 A에 기반한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PC3: 12 cm3/(10분)의 용융 부피 유량 MVR (ISO 1133:2012-03에 따라 300℃의 시험 온도 및 1.2 kg의 하중에서 측정됨)을 갖는 비스페놀 A에 기반한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PC4: 6 cm3/(10분)의 용융 부피 유량 MVR (ISO 1133:2012-03에 따라 300℃의 시험 온도 및 1.2 kg의 하중에서 측정됨)을 갖는 비스페놀 A에 기반한 분말 형태의 선형 폴리카르보네이트.
GMS: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CAS 91052-47-0)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 사용된 폴리우레탄 코팅 시스템은, 둘 다 독일 프리드리히스도르프 소재의 륄 퓨로머 게엠베하(RUEHL PUROMER GmbH)로부터의, 100 대 229의 혼합비를 갖는 퓨로클리어(puroclear) 3351 IT (폴리올 성분)와 퓨로나트(puronat) 960/1 (디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의 혼합물이었다. 퓨로클리어 3351 IT는 퓨로나트 960/1 (HDI 이소시아네이트 성분)로 처리되면 20℃에서 1.09 g/cm3의 밀도 및 25℃에서 약 1000 mPas의 점도를 갖는 내광성 주조 엘라스토머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는 폴리올 배합물이다. 퓨로나트 960/1은 20℃에서 약 1.13 g/cm3의 밀도 및 25℃에서 약 2500 mPas의 점도를 갖는 액체 무색 지방족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이다.
사용된 시험 방법
접착력: 접착력을 DIN EN ISO 4624:2016-08에 따른 "POSI" 시험을 통해 결정하였다. 가장 손상된 결함 패턴을 나타내는 방법 B(8.4.2)를 사용하였다. 표준으로부터 벗어나서, 3개의 시편에 대해 각각의 경우에 8번의 측정을 수행하여 중위 값을 형성하였다. 가장 통상적인 결함 패턴을 결정하여 표에 보고하였다. 표 1에는 하기가 명시되어 있다: A: 응집 파괴, 기재, A/B: 접착 파괴, 기재 및 코팅, B: 응집 파괴, 코팅 및 Y: 접착제의 응집 파괴.
가수분해 저장: 복합 구성 부품을 컨디셔닝 캐비닛에 (90±2)℃ 및 (95±3)% 상대 습도에서 72시간 동안 저장하였다. 구성 부품을 컨디셔닝 캐비닛에 적합하게 배치함으로써 구성 부품에 물방울이 형성되는 것을 회피하였다. 이어서 구성 부품을 다시 "POSI" 시험 (상기를 참조함)에 의한 접착력 시험에 적용하였다.
페놀성 OH 함량: OH 말단 기의 함량을 복합 구성 부품의 래커 처리되지 않은 영역에서 측정하였다. 이를, 실온에서 용매로서 CDCl3을 사용하여 1H-NMR 분광법 (600 MHz)을 통해, 6.68 ppm (페놀성 OH 기에 대해 오르토 위치에 있는 두 개의 방향족 양성자) 및 1.68 ppm (비스페놀 A 단위의 여섯 개의 메틸 양성자)에서의 신호의 적분값의 비율을 평가함으로써 측정하였다.
성형 화합물의 제조 및 특징화:
화합물을 ZSK25에서 제조하였다. 용융 온도는 260℃였고 회전 속도는 225 rpm이었다. 처리량은 17.5 내지 20 kg/h였다.
복합 구성 부품의 제조:
286.4 cm2의 투영 면적을 갖는 부분적으로 표면-코팅된 사출 성형 부품을 사출 성형기에서 두 개의 공동부 (RIM 시스템에 연결된 기재 측 공동부 및 폴리우레탄 측 코팅 공동부)를 갖는 사출 금형에서 제조하였다. 복합 구성 부품은, 표면이 폴리우레탄 피막으로 부분적으로 코팅된, 열가소성 플라스틱 (캐리어)으로 구성된 시트형 구성 부품이었다. 구성 부품의 코팅된 면적은 225.5 cm2였다. 이러한 면적 중 150 cm2를 접착력 시험을 위한 시험 영역으로서 사용하였다. 시험 영역에서 8번의 측정을 수행하였다. 시험 영역의 벽 두께는 사출 성형 구성 부품의 경우 약 3.2 mm였고 폴리우레탄 층의 경우 0.5 mm였다. 각각의 경우에 세 개의 복합 구성 부품을 초기 접착력 측정에 사용하였고 세 개의 복합 구성 부품을 가수분해 저장 후 접착력 측정에 사용하였다.
제1 공정 단계에서 캐리어를 제조하였다. 이를 위해, 표 1에 설명된 바와 같은 조성물의 열가소성 과립을 사출 성형 배럴에서 용융시키고 300℃의 온도에서 닫힌 금형의 제1 금형 공동부 내로 사출하였다. 이러한 금형 공동부를 100℃의 온도로 온도-제어하였다. 캐리어의 응고를 초래하는 유지 시간 및 냉각 시간이 경과한 후에, 제2 공정 단계에서 금형을 열었다. 제조된 캐리어 구성 부품을 사출 금형의 취출기 측에 고정하였다. 사출 금형의 다이 측에 있는 슬라이딩 테이블을 위치 2로 이동시켰다. 제3 공정 단계에서 금형을 다시 닫고 캐리어와 금형이 폴리우레탄 코팅을 위한 공동부를 형성하였다.
제4 공정 단계에서 RIM 시스템으로부터의 폴리우레탄 코팅 시스템의 두 반응성 성분을 고압 역류 혼합 헤드로 운반하여 거기에서 혼합한 후에 사출하였다. PU 측 공동부를 100℃의 온도로 온도-제어하였다. 제5 공정 단계에서 반응 시간 및 냉각 시간이 경과한 후에, 금형을 다시 한 번 열고 코팅된 성형 부품을 이형시켰다.
성형 부품을 후속적으로 접착력 (초기 접착력) 시험에 적용하였다. 성형 부품을 추가적으로 상기-설명된 가수분해 저장에 적용하였고 접착력을 다시 한 번 측정하였다 (가수분해 후 접착력). 모든 측정에서, 각각의 경우에 항상 동일한 결함 패턴이 관찰되었다.
<표 1>
표 1의 결과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캐리어의 열가소성 조성물의, 본 발명에 따른 페놀성 OH 기 함량을 갖는 구성 부품은 우수한 결함 패턴과 함께 향상된 복합체 접착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 2 및 5의 초기 복합체 접착은 비교 실시예 3 및 4의 것보다 더 높다. 이와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모든 복합 구성 부품은 향상된 가수분해 저장 후 복합체 접착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실시예 5를 통해, 열가소성 조성물에 특수한 히드록실 성분을 첨가하면 가수분해 저장 후 복합체 접착이 특히 추가로 개선된다는 것은 명백하다.
Claims (15)
- a) 열가소성 조성물로 구성된 캐리어, 및
b) 캐리어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
을 포함하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이며,
상기 방법은
(i) (ia) 열가소성 조성물 (Z)의 용융물을 금형 공동부 내로 사출한 후에 냉각시켜 캐리어를 형성하거나, 또는 (ib) 열가소성 조성물 (Z)로 구성된 외부 플라이를 포함하는 필름을 금형 공동부 내로 도입시키고, 이 필름을 필름의 외부 플라이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는 면 상에서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의 용융물로 오버몰딩한 후에 냉각시켜 캐리어를 형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열가소성 조성물 (Z)는
A) 적어도 95.0 중량%의, 230 ppm 내지 1500 ppm의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B) 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중합체 첨가제
를 함유하고,
여기서 추가의 열가소성 조성물 (Z2)는 열가소성 조성물 (Z)와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는 것인 단계,
(ii) 금형의 공동부를 확대시켜 간극을 생성하거나, 또는 중공 금형 치수 면에서 제1 공동부보다 더 큰, 금형의 제2 공동부 내로 캐리어를 도입시켜 간극을 생성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ib)의 경우 캐리어는 열가소성 조성물 (Z)로 구성된 필름의 외부 플라이가 간극을 향하도록 배향되는 것인 단계,
(iii) - 적어도 하나의 폴리이소시아네이트 성분,
- 적어도 하나의 다관능성 H-활성 화합물, 및
- 임의로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첨가제 및/또는 가공 보조제
를 함유하는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을 캐리어와 금형 표면 사이의 간극 내로 사출하는 단계로서, 여기서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은 중합을 거쳐 콤팩트한 폴리우레탄 층을 제공하거나 캐리어의 표면과 접촉하는 폴리우레탄 발포체 층을 제공하는 것인 단계,
(iv) 복합 구성 부품을 금형 공동부로부터 이형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인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가 310 ppm 내지 1100 ppm의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A)의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가 하기 구조 (4) 내지 (7) 중 하나, 특히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여기서 페닐 고리는 독립적으로 C1- 내지 C8-알킬, 할로겐, 바람직하게는 C1- 내지 C4-알킬, 특히 바람직하게는 메틸로 일치환 또는 이치환될 수 있고, X는 단일 결합, 선형 또는 분지형 C1- 내지 C6-알킬렌 기, C2- 내지 C10-알킬리덴 기 또는 C5- 내지 C10-시클로알킬리덴 기를 나타내고, 바람직하게는 단일 결합 또는 C1- 내지 C4-알킬렌을 나타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이소프로필리덴을 나타내고, "---"는 구조 (4) 내지 (7)이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에 결합되는 것을 나타낸다. - 제3항에 있어서, 구조 단위 (4) 내지 (7)의 양의 합이 50 ppm 내지 1000 ppm, 바람직하게는 80 ppm 내지 850 pp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캐리어가 적어도 하나의 지점에서 0.5 mm 내지 10 mm의 벽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폴리우레탄 층이 1 μm 내지 20 cm의 층 두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조성물 (Z)가 성분 A) 및 B)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B)가 난연제, 난연성 상승작용제, 연기-억제 첨가제, 점적방지제, 내부 및 외부 윤활제 및 이형제, 유동성 보조제, 대전방지제, 전도성 첨가제, 핵형성제, 안정화제, 항박테리아 첨가제, 내스크레치성-개선 첨가제, IR 흡수제, 광학 증백제, 형광 첨가제, 충전제 및 강화제, 염료 및 안료, 브뢴스테드-산성 화합물로 이루어진 군의 적어도 하나의 대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래커 비율을 기준으로, 최대 10 중량%, 바람직하게는 최대 2 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 중량%의 용매 함량을 갖는 저-용매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무-용매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반응성 폴리우레탄 원료 혼합물이 최대 1분, 바람직하게는 최대 30초, 특히 바람직하게는 최대 10초의 포트 수명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공정 단계 (iii)에서의 중합이 승압 하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 a) A) 적어도 95.0 중량%의, 230 ppm 내지 1500 ppm의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B) 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중합체 첨가제
를 함유하는 열가소성 조성물 (Z)로 구성된 캐리어,
b) 캐리어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
을 포함하고,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조된
복합 구성 부품. - 제13항에 있어서, 철도 차량, 항공기 또는 자동차의 내부 또는 외부 구성 부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 구성 부품.
- 2-성분 반응성 사출 성형 공정에서 캐리어 및 상기 캐리어와 직접 접촉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우레탄 층을 포함하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데 있어서 캐리어 재료로서의,
A) 적어도 95.0 중량%의, 230 ppm 내지 1500 ppm의 페놀성 OH 함량을 갖는 방향족 폴리카르보네이트 및
B) 0 중량% 내지 5.0 중량%의 적어도 하나의 상업적으로 입수가능한 중합체 첨가제
를 함유하는 조성물의 용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EP22185585.1 | 2022-07-18 | ||
EP22185585.1A EP4309864B1 (de) | 2022-07-18 | 2022-07-18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mit einem träger umfassend polycarbonat mit spezifischem oh-gehalt |
EP22185586.9A EP4309865A1 (de) | 2022-07-18 | 2022-07-18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mit einem träger umfassend eine hydroxylkomponente |
EP22185586.9 | 2022-07-18 | ||
PCT/EP2023/069171 WO2024017706A1 (de) | 2022-07-18 | 2023-07-11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mit einem träger umfassend polycarbonat mit spezifischem oh-gehalt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50037761A true KR20250037761A (ko) | 2025-03-18 |
Family
ID=8720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57001449A Pending KR20250037761A (ko) | 2022-07-18 | 2023-07-11 | 특정 oh 함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갖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20250037761A (ko) |
CN (1) | CN119546438A (ko) |
WO (1) | WO202401770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EP4534618A1 (en) * | 2023-10-03 | 2025-04-09 | SABIC Global Technologies B.V. | Coated article |
Family Cites Families (3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1007996B (de) | 1955-03-26 | 1957-05-09 | Bayer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thermoplastischer Kunststoffe |
US2991273A (en) | 1956-07-07 | 1961-07-04 | Bayer Ag | Process for manufacture of vacuum moulded parts of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polycarbonates |
US3148172A (en) | 1956-07-19 | 1964-09-08 | Gen Electric | Polycarbonates of dihydroxyaryl ethers |
US2999846A (en) | 1956-11-30 | 1961-09-12 | Schnell Hermann | High molecular weight thermoplastic aromatic sulfoxy polycarbonates |
BE585496A (ko) | 1958-12-12 | |||
US3028635A (en) | 1959-04-17 | 1962-04-10 | Schlumberger Cie N | Advancing screw for gill box |
DE1495626B1 (de) | 1960-03-30 | 1971-06-09 | Bayer Ag |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polyestern |
GB1122003A (en) | 1964-10-07 | 1968-07-31 | Gen Electric | Improvements in aromatic polycarbonates |
NL152889B (nl) | 1967-03-10 | 1977-04-15 | Gen Electric | Werkwijze ter bereiding van een lineair polycarbonaatcopolymeer, alsmede orienteerbare textielvezel van dit copolymeer. |
DE2036052A1 (en) | 1970-07-21 | 1972-01-27 | Milchwirtschafthche Forschungs und Untersuchungs Gesellschaft mbH, 2100 Hamburg | Working up of additives in fat and protein - contng foodstuffs |
DE2063050C3 (de) | 1970-12-22 | 1983-12-15 | Bayer Ag, 5090 Leverkusen | Verseifungsbeständige Polycarbonate,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
DE2211956A1 (de) | 1972-03-11 | 1973-10-25 | Bayer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erseifungsstabiler blockcopolycarbonate |
DE2232877B2 (de) | 1972-07-05 | 1980-04-10 | Werner & Pfleiderer, 7000 Stuttgart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estern |
DE2442101A1 (de) | 1974-09-03 | 1976-03-11 | Bayer Ag | Phosphor- und gegebenenfalls stickstoff-enthaltende polymere |
JPS5292295A (en) | 1976-01-29 | 1977-08-03 | Sumitomo Chem Co Ltd |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 |
IT1116721B (it) | 1976-04-02 | 1986-02-10 | Allied Chem | Copolimero bisfenolo a tereftalato carbonato lavorabili in massa fusa |
US4218543A (en) | 1976-05-21 | 1980-08-19 | Bayer Aktiengesellschaft | Rim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elastic moldings |
DE2646141A1 (de) | 1976-10-13 | 1978-04-20 | Bayer Ag | Phosphor und gegebenenfalls stickstoff enthaltende polymere |
DE2844922A1 (de) | 1978-10-14 | 1980-04-30 | Kabel Metallwerke Ghh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waermetauschers |
JPS5594930A (en) | 1979-01-10 | 1980-07-18 | Sumitomo Chem Co Ltd | Preparation of aromatic polyester by improved bulk polymerization process |
EP0351168B1 (en) | 1988-07-11 | 1997-11-05 | General Electric Company | Process for preparing polycarbonates |
NO170326C (no) | 1988-08-12 | 1992-10-07 | Bayer Ag | Dihydroksydifenylcykloalkaner |
DE3844633A1 (de) | 1988-08-12 | 1990-04-19 | Bayer Ag | Dihydroxydiphenylcycloalkane, ihre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zur herstellung von hochmolekularen polycarbonaten |
DE4238123C2 (de) | 1992-11-12 | 2000-03-09 | Bayer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moplastischen Polycarbonaten |
US5717057A (en) | 1994-12-28 | 1998-02-10 | General Electric Company | Method of manufacturing polycarbonate |
DE19650854C1 (de) | 1996-11-27 | 1998-03-12 | Petri Ag |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Mehrschicht-Kunststoffteils |
DE19933132A1 (de) | 1999-07-19 | 2001-01-25 | Bayer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difizierten Polycarbonaten |
JP4538317B2 (ja) | 2002-06-21 | 2010-09-08 | ビーエーエスエフ ソシエタス・ヨーロピア | 微細発泡性又は無発泡性の光安定性ポリウレタン材料及びその製造方法 |
DE10300598A1 (de) | 2003-01-10 | 2004-07-22 | Bayer Ag |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Polycarbonaten |
DE102004062510A1 (de) | 2004-12-24 | 2006-07-06 | Bayer Materialscience Ag | Verfahren zum Formen und Beschichten eines Substrats |
DE102009035807A1 (de) | 2009-08-01 | 2011-02-03 | Bayer Materialscience Ag | Verbesserte Haftung zwischen Thermoplasten und Polyurethan |
US8852744B2 (en) | 2009-12-08 | 2014-10-07 | Bayer Materialscience Ag | Composite components with improved adhesion of polycarbonate/polyester compositions and polyurethane |
EP3055342A2 (en) | 2013-10-08 | 2016-08-17 | Covestro Deutschland AG | Process for preparing polysiloxane-polycarbonate block cocondensates using a salt of a weak acid |
EP3057755B1 (de) * | 2013-10-18 | 2020-01-01 | Covestro Deutschland AG | Polycarbonatzusammensetzungen mit verbesserter haftung zu polyurethanschichten |
KR102453601B1 (ko) * | 2016-12-28 | 2022-10-12 | 코베스트로 도이칠란트 아게 | 우수한 노치 충격 인성 및 개선된 용융 안정성을 갖는 조성물 및 열가소성 성형 배합물 |
US11559951B2 (en) * | 2016-12-28 | 2023-01-24 | Covestro Deutschland Ag | Composite component |
EP4015580A1 (de) * | 2020-12-18 | 2022-06-22 | Covestro Deutschland AG | Zusammensetz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transluzenten thermoplastischen polycarbonat/polymethylmethacrylat-formmasse |
-
2023
- 2023-07-11 CN CN202380052911.6A patent/CN119546438A/zh active Pending
- 2023-07-11 KR KR1020257001449A patent/KR20250037761A/ko active Pending
- 2023-07-11 WO PCT/EP2023/069171 patent/WO2024017706A1/de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17706A1 (de) | 2024-01-25 |
CN119546438A (zh) | 2025-02-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3167B1 (ko) | 폴리우레탄 복합 부품의 제조 방법, 및 상기 복합 부품 | |
KR101848940B1 (ko) | 개선된 층간 접착력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 폴리에스테르 조성물 및 폴리우레탄으로부터의 복합 부품 | |
TWI480149B (zh) | 改良熱塑性塑膠與聚胺基甲酸酯之間的黏附 | |
KR20160073389A (ko) | 폴리우레탄 층에 대한 개선된 접착력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
US10934429B2 (en) | Polycarbonat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adhesion to polyurethane layers | |
KR20000077422A (ko) | 폴리우레탄 및 다른 열가소성 재료로 제조된 접착이견고한 복합 재료, 그의 제조 방법 및 그의 자동차에서의사용 방법 | |
JP3990286B2 (ja) | 改良された発泡接着を示すポリカーボネート組成物 | |
KR20160073388A (ko) | 폴리우레탄 층에 대한 개선된 접착력을 갖는 폴리카르보네이트 조성물 | |
KR20250037761A (ko) | 특정 oh 함량의 폴리카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지지체를 갖는 복합 구성 부품을 제조하는 방법 | |
KR20150096734A (ko) | Ir-반사 안료를 함유하는 짙게 착색된 폴리카르보네이트 성형 컴파운드 | |
US11559951B2 (en) | Composite component | |
KR102637290B1 (ko) | 열가소성 복합 물품 및 그의 제조 방법 및 용도 | |
EP4309865A1 (de)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mit einem träger umfassend eine hydroxylkomponente | |
EP3560675A1 (en) | Thermoplastic composite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use thereof | |
EP4309864B1 (de) |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undbauteils mit einem träger umfassend polycarbonat mit spezifischem oh-gehalt | |
EP3556527A1 (en) | Thermoplastic composite article and manufacturing method and use thereof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501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