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29773A -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 Google Patents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29773A
KR20250029773A KR1020247035006A KR20247035006A KR20250029773A KR 20250029773 A KR20250029773 A KR 20250029773A KR 1020247035006 A KR1020247035006 A KR 1020247035006A KR 20247035006 A KR20247035006 A KR 20247035006A KR 20250029773 A KR20250029773 A KR 20250029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yl
alkylene
compound according
mmol
compoun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350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플로리안 뮬러
도라 톨레도 바르샤비크
앤드류 몰리
샤론 샤캄
Original Assignee
스포로스 바이오디스커버리,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포로스 바이오디스커버리, 인크. filed Critical 스포로스 바이오디스커버리, 인크.
Publication of KR20250029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29773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48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 C07D215/54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attached in position 3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09Non-condensed quinolin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4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metasta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33/00Carboxylic acid amides
    • C07C233/64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233/65Carboxylic acid amides having carbon atoms of carbox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s of the carboxamide groups bound to hydrogen atoms or to carbon atoms of un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2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36Radicals substituted by singly-bound nitrogen atoms
    • C07D213/40Acylated substituent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 C07D21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5/1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atoms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5/36Sulfur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553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F9/576Six-membered rings
    • C07F9/60Quinoline or hydrogenated quinoline ring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n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Epidemiology (AREA)

Abstract

본 개시내용은 부분적으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은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및 생리적 장애, 예컨대 TEA 도메인 전사 인자에 의해 매개되는 증식성 장애를 치료하기 위한 상기 화합물의 사용 방법을 제공한다.
.

Description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 참조
본 출원은 2022년 3월 22일에 출원된 미국 가특허출원 제63/322,600호에 대한 우선권과 이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의 내용은 그 전문이 본원에 참조로 편입된다.
개시내용의 요약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추가적으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 또는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원에 개시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비정상적인 전사 증강 연관(transcriptional enhanced associate; TEA) 도메인 전사 인자(TEAD) 전사 복합 활성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특정 질환 또는 장애 예컨대 비정상적인 TEAD 전사 복합 활성(예를 들어,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암을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추가로 개시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변수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은 표 1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본원에 개시된 약학적 조성물의 치료적 유효량을 대상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비정상적인 TEAD 활성(예를 들어, 조절장애(disregulation))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추가로 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질환 또는 병태는 비정상적인 TEAD 전사 복합 활성(예를 들어,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암이다.
개시내용은 다음의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인간 TEAD1, TEAD2, TEAD3, 및 TEAD4의 도메인 구조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백분율 값은 TEAD1의 각각의 결합 도메인에 대해 비교되는 TEAD2-4의 N-말단 DNA 결합 도메인(DNA-BD) 및 C-말단 YAP/TAZ 결합 도메인(YAP/TAZ-BD)의 동일성을 나타낸다. DNA-BD의 p38 결합 D 도메인뿐만 아니라 팔미토일화 및 인산화를 포함하는 번역후 변형이 또한 나타나 있다.
도 2a는 종양 형성, 줄기 세포 유지, 암 면역학, 및 신진대사뿐만 아니라 신호전달 피드백 루프(signaling feedback loop)의 형성에 있어서 중요한 기능을 조절하는, 암 생물학에서의 TEAD의 상류 신호전달 및 하류 전사 결과를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발암성 신호 전달 경로(Oncogenic signal transduction pathway)는 EGFR 신호전달, TGFβ 신호전달, WNt 신호전달, GPCR 신호전달, 암 유전자(*로 표시함), 예컨대 KRAS, BRAF, LKB1, APC, 및 GNAQ/11을 포함한다.
도 2b는 종양 형성의 여러 단계에서의 TEAD의 역할을 나타내는 다이어그램이다.
상세한 설명
특정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제공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이 본원에 추가로 제공된다. 또한,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및 조성물의 사용 방법이 본원에 제공된다. 본원에 개시된 고려되는 화합물 및 조성물은 전사 증강 인자 도메인(TEAD) 활성의 억제제이고, 이에 따라 이는 비정상적인 TEAD 전사 복합 활성(예를 들어,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암과 같은 특정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에서 유용하다.
본 개시내용은 치료 효능과 관련된 특정 TEAD 이소형(예를 들어, TEAD1 및/또는 TEAD4)에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 또는 화학식 (I')의 화합물, 예를 들어,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선택적 결합은 덜 선택적이고/이거나 선택적이지 않은 TEAD 이소형 결합은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예를 들어, 독성 및/또는 암 세포 증식)의 증가를 야기할 수 있기 때문에 유리하다.
특정 용어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원에 사용된 모든 기술 및 과학 용어는 청구된 주제가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일반적으로 이해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본원에 기재된 면역학, 종양학, 세포 및 조직 배양, 분자 생물학, 및 단백질 올리고머- 또는 폴리뉴클레오티드 화학 및 혼성화와 관련하여 이용되는 명명법, 및 이의 기술은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고,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다. 상기 일반적인 설명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예시하고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청구된 임의의 주제를 제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섹션 제목은 구성적인 목적만을 위한 것이며, 기재된 주제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화학적 정의
특정 작용기 및 화학 용어의 정의는 아래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비대칭 중심을 포함하며, 이에 따라 다양한 이성질체 형태, 예를 들어, 거울상 이성질체 및/또는 부분입체 이성질체로 존재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개별적인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제 이성질체 또는 기하 이성질체의 형태이거나, 또는 라세미체 혼합물을 포함하는 입체 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하나 이상의 입체 이성질체가 풍부한 혼합물의 형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성질체는 키랄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및 키랄 염의 형성과 결정화를 포함하는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알려진 방법에 의해 혼합물로부터 단리되거나; 또는 바람직한 이성질체는 비대칭 합성에 의해 제조된다. 개시내용은 추가적으로 다른 이성질체가 실질적으로 없는 개별적인 이성질체로서, 그리고 대안적으로 다양한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은 또한 하나 이상의 동위원소 치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H는 1H, 2H (D 또는 중수소), 및 3H (T 또는 삼중수소)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이며; C는 12C, 13C, 및 14C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이며; O는 16O 및 18O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이며; F는 18F 및 19F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이며; 기타 마찬가지이다.
관사 "a" 및 "an"은 하나 또는 하나 초과(즉, 적어도 하나)의 관사의 문법적 목적어를 지칭하기 위해 본원에 사용된다.
값이 범위가 열거되는 경우, 이는 상기 범위 내의 각각의 값 및 하위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C1-6 알킬"은 C1, C2, C3, C4, C5, C6, C1-6, C1-5, C1-4, C1-3, C1-2, C2-6, C2-5, C2-4, C2-3, C3-6, C3-5, C3-4, C4-6, C4-5, 및 C5-6 알킬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알킬"은 예를 들어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또는 분지형 포화 탄화수소기의 라디칼("C1-20 알킬")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10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9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9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8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7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7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6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5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4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3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 내지 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2 알킬").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기는 1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C1 알킬"). C1-6 알킬기의 예는 메틸, 에틸, 프로필, 이소프로필, 부틸, 이소부틸, 펜틸, 헥실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알킬렌"은 알킬기의 2가 라디칼을 지칭한다. 탄소의 범위 또는 수가 특정 "알킬렌" 기에 대해 제공되는 경우, 범위 또는 수는 선형 탄소 2가 사슬 내의 탄소의 범위 또는 수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알킬렌"기는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아릴"은 방향족 고리계에 제공되는 6-14개의 고리 탄소 원자 및 제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모노시클릭 또는 폴리시클릭(예를 들어, 비시클릭 또는 트리시클릭) 4n+2 방향족 고리계(예를 들어, 시클릭 배열로 공유되는 6, 10, 또는 14개의 π 전자를 가짐)의 라디칼("C6-14 아릴")을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헤테로아릴"은 방향족 고리계에 제공되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모노시클릭 또는 비시클릭 4n+2 방향족 고리계(예를 들어, 시클릭 배열로 공유되는 6 또는 10개의 전자를 가짐)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5-10원 헤테로아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아릴기에서, 부착점은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에 따라 탄소 또는 질소 원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아릴기는 방향족 고리계에 제공되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5-6원 헤테로아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2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하나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5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피롤릴, 푸라닐 및 티오페닐을 포함한다.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5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옥사졸릴, 이속사졸릴, 티아졸릴, 및 이소티아졸릴을 포함한다. 3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5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트리아졸릴, 옥사디아졸릴, 및 티아디아졸릴을 포함한다.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5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테트라졸릴을 포함한다. 1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6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피리디닐을 포함한다. 2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6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피리다지닐, 피리미디닐, 및 피라지닐을 포함한다.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예시적인 6원 헤테로아릴기는, 제한 없이, 각각 트리아지닐 및 테트라지닐을 포함한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예를 들어, 시클로알칸으로부터 유래되는 "C3-C10시클로알킬"로 본원에 지칭되는 3-12, 3-10, 3-8, 4-8, 또는 4-6개의 탄소의 1가 포화 시클릭, 비시클릭 또는 가교된 시클릭(예를 들어, 아다만틸) 탄화수소기를 지칭한다. 예시적인 시클로알킬기는, 비제한적으로, 시클로헥산, 시클로펜탄, 시클로부탄 및 시클로프로판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릭"은 고리 탄소 원자 및 1 내지 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3원 내지 10원 비-방향족 고리계의 라디칼을 지칭하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3-10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질소 원자를 포함하는 헤테로시클릴기에서, 부착점은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에 따라 탄소 또는 질소 원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모노시클릭("모노시클릭 헤테로시클릴") 또는 융합된, 가교된 또는 스피로 고리계 예컨대 비시클릭 계("비시클릭 헤테로시클릴")이고, 그리고 이는 포화되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불포화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 비시클릭 고리계는 1 또는 2개 고리에 하나 이상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한다. "헤테로시클릴"은 또한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시클릴 고리가 하나 이상의 시클로알킬기와 융합되고, 부착점은 시클로알킬 또는 헤테로시클릴 고리 상에 있는 고리계, 또는 상기 정의된 바와 같은 헤테로시클릴 고리가 하나 이상의 페닐 또는 헤테로아릴 기와 융합되고, 부착점은 헤테로시클릴 고리 상에 있는 고리계를 포함하며, 이러한 경우, 고리 구성원의 수는 헤테로시클릴 고리계 중의 고리 구성원의 수를 연속적으로 지정한다. 용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시클릴", "헤테로시클릴 고리", "헤테로시클릭기", "헤테로시클릭 모이어티" 및 "헤테로시클릭 라디칼"은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용어 "카르보시클릴" 또는 "카르보시클릭"은 비-방향족 고리계에 3 내지 10개의 고리 탄소 원자("3-10원 카르보시클릭 고리") 및 제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비-방향족 시클릭 탄화수소기의 라디칼을 지칭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카르보시클릴" 또는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3-10원 비-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3-10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4-7원 비-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4-7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5-10원 비-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황, 붕소, 인, 및 규소로부터 선택된다("5-10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5-8원 비-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5-8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시클릴기는 고리 탄소 원자 및 1-4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비-방향족 고리계이고, 여기서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된다("5-6원 헤테로시클릴").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시클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3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시클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1-2개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시클릴은 질소, 산소, 및 황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고리 헤테로원자를 갖는다.
화합물 또는 화합물 상에 존재하는 기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헤테로"는 화합물 또는 기의 하나 이상의 탄소 원자가 질소, 산소, 또는 황 헤테로원자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헤테로는 알킬, 예를 들어, 헤테로알킬; 시클로알킬, 예를 들어, 헤테로시클릴; 아릴, 예를 들어, 헤테로아릴; 및 1 내지 5개, 특히 1 내지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것과 같은 상기 기재된 하이드로카르빌기 중 어느 하나에 적용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용어 "할로" 및 "할로겐"은 불소(플루오로, -F), 염소(클로로, -Cl), 브롬(브로모, -Br), 및 요오드(아이오도, -I)로부터 선택되는 원자를 지칭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할로기는 플루오로 또는 클로로이다.
용어 "할로알킬"은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되는 모노, 폴리 및 퍼할로알킬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할로겐은 독립적으로 불소, 염소, 브롬 및 요오드로부터 선택된다.
용어 "옥소"는 =O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치환된"은 용어 "임의로"가 선행되든 선행되지 않든 기(예를 들어, 탄소 또는 질소 원자) 상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소가 허용 가능한 치환기, 예를 들어, 치환 시, 안정한 화합물, 예를 들어, 재배열, 고리화, 제거, 또는 기타 반응에 의한 것과 같은 변형이 자발적으로 진행되지 않는 화합물을 생성하는 치환기로 대체되는 것을 의미한다.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치환된" 기는 기의 하나 이상의 치환 가능한 위치에서 치환기를 갖고, 임의의 주어진 구조에서 하나 초과의 위치가 치환되는 경우, 치환기는 각 위치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
질소 원자는 원자가가 허용되는 바와 같이 치환되거나 치환되지 않으며, 1차, 2차, 3차 및 4차 질소 원자를 포함한다.
이러한 그리고 다른 예시적인 치환기는 상세한 설명, 실시예청구항에 보다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개시내용은 치환기의 상기 예시적인 목록에 의해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기타 정의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는 활성 약학적 성분(들) 이외의 약학적 제제의 임의의 물질을 지칭한다. 예시적인 약학적 부형제는 제조 공정을 보조하거나; 안정성을 보호하거나, 지원하거나 또는 향상시키거나; 생체 이용 효율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환자 수용성(patient acceptability)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이것은 또한 제품 식별을 돕거나 또는 저장 또는 사용 과정에서 생성물의 전체적 안전성 또는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등이 없이 인간 및 하등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율에 상응하는 염을 지칭한다.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적합한 무기 및 유기 산 및 염기로부터 유래된 것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비독성의 산 부가염의 예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황산 및 과염소산과 같은 무기산을 사용하거나 또는 아세트산, 옥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석신산 또는 말론산과 같은 유기산을 사용하거나 또는 이온 교환과 같은 본 기술분야에 사용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형성되는 아미노기의 염이다.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아디페이트, 알긴산, 아스코르베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비설페이트, 보레이트, 부티레이트, 캄포레이트, 캄포르설포네이트, 시트레이트, 시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디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포르메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글루코네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하이오다이드, 2-하이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락토비오네이트, 락테이트, 라우레이트, 라우릴 설페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로네이트, 메탄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올리에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펙티네이트, 퍼설레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포스페이트,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석시네이트, 설페이트, 타르트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운데카노에이트, 발레레이트 염 등을 포함한다. 적합한 염기로부터 유래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 금속, 암모늄 및 N+(C1-4알킬)4 염을 포함한다. 대표적인 알칼리 또는 알칼리토 금속염은 나트륨, 리튬,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을 포함한다. 추가적인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적절한 경우, 할라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카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저급 알킬 설포네이트 및 아릴 설포네이트와 같이 반대이온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비독성 암모늄, 4차 암모늄, 및 아민 양이온을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투여가 고려되는 "대상체"는, 비제한적으로, 인간(즉, 임의의 연령 그룹의 남성 또는 여성, 예를 들어 소아 대상체(예를 들어, 유아, 어린이, 청소년) 또는 성인 대상체(예를 들어, 청년 성인, 중년 성인 또는 노인 성인)) 및/또는 비-인간 동물, 예를 들어, 포유동물 예컨대 영장류(예를 들어, 사이노몰거스 원숭이(cynomolgus monke), 레서스 원숭이(rhesus monkey)), 소, 돼지, 말, 양, 염소, 설치류, 고양이 및/또는 개를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인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대상체는 비-인간 동물이다. 용어 "인간", "환자", "개체" 및 "대상체"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이들 용어 중 어느 것도 의료인의 감독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용어 "질환", "장애" 및 "병태"는 본원에서 상호 교환적으로 사용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용어 "치료하다", "치료하는" 및 "치료"는 대상체가 특정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앓는 동안,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중증도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지연시키거나 늦추는 행위로 고려된다.
본원에 사용되는 바와 같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에 있어서 치료적 이점을 제공하거나 또는 질환, 장애 또는 병태와 관련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늦추거나 최소화하는 데 충분한 양이다. 화합물의 치료적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의 치료에 있어서 치료적 이점을 제공하는 다른 요법과 조합되거나 또는 단독으로의 치료제의 양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전체 요법을 개선하거나, 질환 또는 병태의 증상 또는 원인을 감소시키거나 회피하거나, 또는 다른 치료제의 치료 효능을 향상시키는 양을 포함한다.
화합물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X는 N 또는 CH이고;
R1은 -C(O)OR5, -C(O)-NR6R2, -S(O)2-N(R6)2, -S(O)m-(C1-6알킬), 및 -S(O)N(R6)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1-C6 알킬,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CN,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0-C4 알킬렌)-페닐, -(C1-C6 알킬렌)-N(R6)2, 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 -(C0-C4 알킬렌)-C3-C10시클로알킬, 및 -(C0-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10원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임의의 상술한 페닐, 5-6원 헤테로아릴, C3-C10시클로알킬, 및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m은 1 또는 2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및 -O-(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께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각각의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각각의 Rx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할로겐, -OR5, -CN, 및 -N(R6)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y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할로겐, -OR5, -CN, 및 -N(R6)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s는 0, 1, 또는 2이고;
t는 0, 1, 2 또는 3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X는 N 또는 CH이고;
R1은 -C(O)OR5, -C(O)-NR6R2, -S(O)2-N(R6)2, -S(O)m-(C1-6알킬), 및 -S(O)N(R6)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1-C6 알킬,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CN,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CN 또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0-C4 알킬렌)-페닐, -(C1-C6 알킬렌)-N(R6R7), -(C1-C6 알킬렌)-OP(O)(OR5)2, 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 -(C0-C4 알킬렌)-C3-C10시클로알킬, 및 -(C0-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10원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임의의 상술한 페닐, 5-6원 헤테로아릴, C3-C10시클로알킬, 및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하나 이상의 Rw로 임의로 치환되고;
m은 1 또는 2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및 -O-(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께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각각의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R7은 수소, -C1-C6 알킬, -C(O)-(C1-6 알킬), -C(O)N(R6)2, -C(O)2-(C1-6 알킬), -S(O)n-(C1-C6 알킬), 및 -S(O)nNR6-(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w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할로겐, -N(R6)2,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1-C6 알킬은 -OH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x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할로겐, -OR5,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y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할로겐, -OR5,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s는 0, 1, 또는 2이고;
t는 0, 1, 2 또는 3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X는 N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X는 CH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C(O)-NHR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S(O)-R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C(O)OH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S(O)2-R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S(O)2-NHR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S(O)CH3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S(O)2CH3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1은 -S(O)2NHCH3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CN,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1-C6 알킬렌)-N(R6)2, 및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4 알킬렌)-5-6원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H(CH3)-5-6원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H2-5-6원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C1-C6알킬 또는 N(Ra)2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피리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옥사졸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OH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O-(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이소프로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OR5로 치환된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OH로 치환된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OH 및 -OCH3로 치환된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렌)-S(O)n-(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렌)-CN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C(O)OR5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렌)-N(R6)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메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메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는 메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m은 1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m은 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n은 0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n은 1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n은 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s는 0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s는 1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s는 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는 0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는 1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는 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는 3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메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C1-C6 할로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할로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F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메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할로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F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C1-C6 할로알킬이고, R4는 H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둘다 할로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둘다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둘다 H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게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할로겐은 F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프로필 또는 시클로부틸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로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프로필 또는 시클로부틸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시클로프로필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하나 이상의 플루오로로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부틸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5는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5는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5는 메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6는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6는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s 및 t는 둘다 0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R2는 -C1-C6 알킬,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CN,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CN 또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1-C6 알킬렌)-N(R6R7), 및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5-6원 헤테로아릴은 하나 이상의 Rw로 임의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R3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및 -O-(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께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각각의 R6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R7은 수소, -C1-C6 알킬, -C(O)-(C1-6 알킬), -C(O)NR6, -C(O)2-(C1-6 알킬), 및 -S(O)2NR6-(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w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N(R6)2,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1-C6 알킬은 -OH로 임의로 치환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 본원에 개시된다:
상기 식에서,
R2는 -C1-C6 알킬,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CN,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CN 또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1-C6 알킬렌)-N(R6R7), -(C1-C6 알킬렌)-OP(O)(OR5)2, 및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5-6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5-6원 헤테로아릴은 하나 이상의 Rw로 임의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R3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및 -O-(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께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각각의 R6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R7은 수소, -C1-C6 알킬, -C(O)-(C1-6 알킬), -C(O)N(R6)2, -C(O)2-(C1-6 알킬), -S(O)n-(C1-C6 알킬), 및 -S(O)nNR6-(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w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N(R6)2,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1-C6 알킬은 -OH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b-1)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이다:
.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4 알킬렌)-5-6원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H(CH3)-5-6원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H2-5-6원 헤테로아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C1-C6알킬 또는 N(Ra)2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피리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옥사졸릴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OH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O-(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이소프로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OR5로 치환된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OH로 치환된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OH 및 -OCH3로 치환된 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렌)-S(O)n-(C1-C6 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렌)-CN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렌)-OP(O)(OR5)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C1-C6 알킬렌)-N(R6)2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1-C6 알킬렌)-N(R6R7)2, -(C1-C6 알킬렌)-OP(O)(OR5)2,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 및 -(C0-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10원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임의의 상술한 5-6원 헤테로아릴 및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메틸, -NH2,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N(R6R7)2, 및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임의의 상술한 5-6원 헤테로아릴 및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메틸, -NH2,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메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메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2는 메틸,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C1-C6 할로알킬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할로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는 -F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수소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할로겐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4는 -F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께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할로겐은 F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하기 표 1로부터 선택된다:
약학적 조성물 및 투여 경로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예를 들어,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에스테르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이 본원에 개시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부형제는 다음의 것으로부터 선택된다: 불활성 고체 희석제 및 충전제, 멸균 수용액과 다양한 유기 용매를 포함하는 희석액, 투과 향상제, 가용화제 및 아쥬반트(adjuvant).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단독으로 또는 다른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된다. 이러한 조성물은 제약 분야에 잘 알려진 방식으로 제조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적 조성물은 직장, 협측, 비강 및 경피 경로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참조로 포함된 이들 특허 및 특허 출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유사한 유용성을 가진 제제의 허용되는 투여 방식 중 어느 하나에 의해, 동맥내 주사, 정맥내, 복강내, 비경구, 근육내, 피하, 경구, 국소적으로, 흡입제로서, 또는 예컨대 스텐트 예를 들어, 또는 동맥 삽입 원통형 중합체와 같은 침윤형(impregnated) 또는 코팅형(coated) 장치를 통해 단일 또는 다중 용량으로 투여된다.
투여를 위한 하나의 방식은 비경구, 특히 주사에 의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신규한 조성물이 주사에 의한 투여를 위해 혼입된 형태는 참기름, 옥수수유, 면실유 또는 땅콩유가 있는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 또는 에멀젼뿐만 아니라 엘릭서(elixir), 만니톨, 덱스트로스, 또는 멸균 수용액, 및 유사한 약학적 비히클을 포함한다. 식염수 중의 수용액은 또한 주사를 위해 편리하게 사용되며, 그러나,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는 덜 바람직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에탄올,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및 이들의 적합한 혼합물), 사이클로덱스트린 유도체 및 식물성 오일이 이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적절한 유동성은 예를 들어 레시틴과 같은 코팅을 사용하는 것에 의해, 분산의 경우 필요한 입자 크기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또는 계면 활성제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유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미생물의 작용의 예방은 다양한 항균 및 항진균제, 예를 들어 파라벤, 클로로부탄올, 페놀, 소르브산, 티메로살 등에 의해 이루어진다.
멸균 주사액은 필요에 따라 상기에 열거된 다양한 다른 성분과 함께 적절한 용매에 필요한 양만큼 본 개시내용에 따른 화합물을 혼입하고 이후 여과 멸균을 후속하여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분산액은 다양한 살균된 활성 성분을 기본 분산 매질 및 상기에 열거된 것 중 필요로 되는 다른 성분이 포함되는 멸균 비히클에 혼입시킴으로써 제조된다. 멸균 주사액을 제조하기 위한 멸균 분말의 경우, 선호하는 제조 방법은 진공 건조 및 동결 건조 기술이며, 이는 사전에 멸균 여과한 이의 용액으로부터의 임의의 추가적인 원하는 성분이 더해진 활성 성분의 분말을 생성하였다.
경구 투여는 본 개시내용에 따른 화합물 투여를 위한 또 다른 경로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투여는 캡슐 또는 장용 코팅 정제 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통해 이루어진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의 제조 시, 활성 성분은 일반적으로 부형제로 희석되고/되거나 캡슐, 사쉐(sachet), 종이, 또는 다른 용기의 형태인 이러한 담체 내에 봉입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부형제가 희석제로서 역할을 하는 경우, 이는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물질(상기와 같음)의 형태이고, 이는 활성 성분을 위한 비히클, 담체, 또는 매질로서 역할을 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정제, 알약, 분말, 로젠지, 사쉐, 카세(cachet), 엘릭서, 현탁액, 에멀전, 용액, 시럽, (고체로서의 또는 액체 매질 중의) 에어로졸, 예를 들어 최대 10 중량%의 활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연고, 연질 및 경질 젤라틴 캡슐, 멸균 주사용 용액 및 멸균 포장 분말의 형태이다.
적합한 부형제의 일부 예는 락토오스, 덱스트로오스, 수크로오스, 소르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검, 인산칼슘, 알기네이트, 트라가칸트, 젤라틴, 규산칼슘, 미정질 셀룰로오스, 폴리비닐피롤리돈, 셀룰로오스, 멸균수, 시럽, 및 메틸 셀룰로오스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제제는 추가적으로 다음의 것을 포함한다: 윤활제 예컨대 활석, 스테아르산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 습윤제; 에멀젼화제 및 현탁제; 보존제 예컨대 메틸 및 프로필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감미제; 및 향미제.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시내용의 조성물은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절차를 이용함으로써 환자에의 투여 이후 활성 성분의 신속, 지속 또는 지연 방출을 제공하기 위해 제제화된다. 경구 투여를 위한 제어 방출 약물 전달 시스템은 중합체-코팅된 저장소 또는 약물-중합체 매트릭스 제제를 포함하는 용해 시스템 또는 삼투 펌프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다른 제제는 경피 전달 장치("패치")를 이용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경피 패치는 제어된 양의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연속적 또는 불연속적 주입을 제공하기 위해 사용된다. 약학적 제제의 전달을 위한 경피 패치의 구성 및 용도는 본 기술분야에 잘 알려져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패치는 약학적 제제의 연속적, 맥동적 또는 온 디맨드(on demand) 전달을 위해 구성된다.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단위 제형으로 제제화된다. 용어 "단위 제형"은 인간 대상체 및 다른 포유동물을 위한 단위 투여량으로 적합한 물리적으로 별개의 단위와 관련되며, 각 단위는 적합한 약학적 부형제(예를 들어, 정제, 캡슐, 앰플)과 관련하여 원하는 치료적 효과를 일으키도록 계산된 활성 물질의 사전 결정된 양을 포함한다. 화합물은 일반적으로 약학적 유효량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경구 투여의 경우, 각각의 투여량 단위는 1 mg 내지 2 g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그리고 비경구 투여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700 mg의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을 포함한다. 그러나, 실제 투여된 화합물의 양은 보통 치료되는 병태, 선택된 투여 경로, 실제 투여된 화합물 및 이의 상대적 활성, 개별 환자의 연령, 체중 및 반응, 환자의 증상의 중증도 등을 포함하는 관련 상황과 관점에서 의사에 의해 결정될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정제와 같은 고체 조성물을 준비하는 경우, 주요 활성 성분은 약학적 부형제와 혼합되어 본 개시내용의 화합물의 균질한 혼합물을 포함하는 고체 예비제제 조성물(preformulation composition)을 형성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이러한 예비제제 조성물이 균질한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 이는 활성 성분이 조성물 전체에 고르게 분산되고 이로써 조성물이 정제, 알약 및 캡슐과 같이 동등하게 효과적인 단위 제형으로 쉽게 나누어지는 것을 의미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 개시내용의 정제 또는 알약은 코팅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배합되어 연장된 작용의 장점을 부여하는 제형을 제공하거나, 또는 위의 산성 조건으로부터 보호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정제 또는 알약은 내부 투여 및 외부 투여 성분을 포함하며, 후자는 전자 위에 엔벨로프(envelope)의 형태로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두 성분은 위에서 분해되는 것을 막고 내부 성분이 십이지장으로 손상되지 않고 통과하거나 방출이 지연되도록 하는 장용층에 의해 분리되어 있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다양한 물질은 이러한 장용층 또는 코팅을 위해 사용되며, 이러한 물질은 다수의 중합체성 산(polymeric acid) 및 중합체성 산과 셸락(shellac), 세틸 알코올 및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와 같은 이러한 물질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흡입 또는 주입용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수성 또는 유기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용액 및 현탁액, 그리고 분말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액체 또는 고체 조성물은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국소적 또는 전신적 효과를 위해 경구 또는 비강 호흡 경로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용매 중의 조성물은 불활성 가스를 사용하여 분무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분무된 용액은 분무 장치에서 직접 흡입되거나 또는 분무 장치는 안면마스크 텐트(facemask tent) 또는 간헐적 양압 호흡기에 부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용액, 현탁액, 또는 분말 조성물은, 적절한 방식으로 제제를 전달하는 장치로부터 경구로, 또는 비강으로 투여된다.
치료 방법
특정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예를 들어, 치료적 유효량의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TEAD 이소형(예를 들어, TEAD1 및/또는 TEAD4)의 비정상적인 활성(예를 들어, TEAD 전사 복합체의 과활성화)에 의해 조절되는 질환 또는 장애를 치료하는 방법이 본원에 개시된다.
TEA 도메인 전사 인자(TEAD)는 히포(Hippo) 신호전달 경로의 하류 효과기(downstream effector)이다. 현재, TEAD의 다음의 4개의 이소형이 확인되었다 - TEAD1, TEAD2, TEAD3, 및 TEAD4. TEAD 이소형은 매우 유사한 구조를 공유한다. 4개의 이소형의 N-말단은 매우 보존적인 68-아미노산 TEA/ATTS DNA-결합 도메인을 공유하며, 이는 MCAT 요소(50 -CATTCCA/T-30)에 결합된다. C-말단은 전사 공활성화 인자(transcriptional coactivator) YAP/TAZ를 모집하는 전사활성화 도메인(transactivation domain)을 포함한다.
TEAD 단백질의 발현은 위, 대장, 유방 및 전립선 암을 포함하는 여러 암 유형에서 상향 조절된다. TEAD 과활성화는 종양 진행, 전이, 암 대사, 면역 및 약물 내성에 있어서 역할을 하며, 환자의 좋지 않은 생존과 상관 관계가 있다.
TEAD1 및/또는 TEAD4의 선택적 결합은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를 최소화하면서 항-종양 효능을 최적화하기에 유리하다. TEAD3의 억제는 비-표적 독성(off-target toxicity)(예를 들어, 신장 독성)과 연관되어 있으며, 한편 TEAD2의 억제는 전-증식성(pro-proliferative)일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의해 보여지는 TEAD 이소형 선택성은 본 기술분야에 알려진 TEAD 억제제과 대비되는 장점이다. 예를 들어, 열 이동 분석(thermal shift assay)을 사용하여 Tang과 Post에 의해 입증된 바와 같이, TEAD 억제제 VT3989는 주로 TEAD1-3과 상호작용한다. 보고된 열 이동 데이터는 아래의 표 2에 제공된다(Tang and Post, "The TEAD autopalmitoylation inhibitor VT3989 improves efficacy and increases durability of efficacy of osimertinib in preclinical EGFR mutant tumor models", Proceedings of the American Association for Cancer Research Annual Meeting 2022; 2022 Apr. 8-13. Philadelphia (PA): AACR; Poster #5364). 표 2에 제공된 데이터는 VT3989가 억제가 바람직하지 않은 TEAD 이소형인 TEAD2 및 3에 비해 최소 선택성을 제공하는 것을 나타낸다. 게다가, VT3989는 억제가 바람직한 TEAD 이소형인 TEAD4에 대한 더 낮은 수준의 결합을 나타낸다. 2.5℃의 ΔTm (℃)에 있어서의 각 변화는 결합 친화성에 있어서 대략 10배의 차이와 관련될 수 있다(Bhayani et al.; "Determination of dissociation constants of protein ligands by thermal shift assay", Biochemical and Biophysical Research Communications, 2022, 560:1-6.)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TEAD 이소형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TEAD1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TEAD4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TEAD1 및 TEAD4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EAD1에 대한 결합 친화성은 TEAD2 및/또는 TEAD3에 비해 10배, 100배, 1,000배, 또는 10,000배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EAD4에 대한 결합 친화성은 TEAD2 및/또는 TEAD3에 비해 10배, 100배, 1,000배, 또는 10,000배이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의해 보여지는 TEAD 이소형 선택성의 증거는 아래의 실시예 174에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AP/TAZ-TEAD(예를 들어, TEAD1 및/또는 TEAD4) 전사 공활성화 인자 복합체의 과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료 요법으로서 유용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TEAD(예를 들어, TEAD1, TEAD2, TEAD3, 및 TEAD4 이소형)의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치료하기 위한 의료 요법으로서 유용하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는 TEAD의 과발현 또는 게놈 융합 또는 증폭을 특징으로 한다. TEAD1 및 TEAD4는 예를 들어, TEAD1-PARVA와 같이 재발성 종양-융합(onco-fusion)을 겪는다. 이러한 융합은 TEAD의 더 높은 발현을 유도하고, TEAD-표적 유전자의 증강된 전사를 야기할 수 있다. TEAD4의 증폭(게놈 카피수 증가)은 예를 들어 난소 및 자궁 암종뿐만 아니라 고환 생식 세포 종양에서 12p13 유전자 자리의 일부로서 다양한 암에서 발생한다. TEAD4의 이러한 게놈 증폭은 이의 mRNA 발현의 강한 증가와 관련되며, 높은 TEAD-YAP/TAZ 전사 활성을 유도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TEAD 이소형은 TEAD1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TEAD 이소형은 TEAD4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질환, 장애 또는 병태는 비정상적인 TEAD 전사 복합 활성(예를 들어, 과활성화)을 특징으로 하는 암이다. 이러한 암은, 비제한적으로, 유방암, 폐암, 위암, 대장암, 췌장 선암을 포함하는 췌장암, 악성 중피종을 포함하는 중피종, 간세포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신세포 암종 및 수모세포종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췌장 선암, 간세포암, 유방암, 및 악성 중피종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암은 악성 중피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유방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폐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위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대장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립선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두경부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신세포 암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수모세포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수모세포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유방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폐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위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대장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전립선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두경부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신세포 암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중피종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췌장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암은 전이성 간세포암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시내용은 TEAD 활성을 조절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시내용은 TEAD 활성을 조절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시내용은 의료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I), 화학식 (I'), 화학식 (Ia), 화학식 (Ia'), 화학식 (Ib), 화학식 (Ic), 화학식 (Ib-1), 또는 화학식 (Ib-2)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제공한다.
실시예
본 개시내용은 다음의 실시예에서 추가로 예시될 것이며, 이는 단지 예시를 위해 제공되며, 임의의 방식으로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약어
tert-부틸옥시카르보닐의 경우 Boc
디에틸아미노황 트리플루오라이드의 경우 DAST
1,8-디아자비시클로 (5.4.0) 운데크-7-엔의 경우 DBU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의 경우 DCC
1,1-디클로로에탄의 경우 DCE
디클로로메탄의 경우 DCM
디에탄올아민의 경우 DEA
디에틸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의 경우 DEAD
디이소프로필 아조디카르복실레이트의 경우 DIAD
디이소부틸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경우 DIBAL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휴니그() 염기의 경우 DIPEA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의 경우 DMA
4-(디메틸아미노) 피리딘의 경우 DMAP
N,N-디메틸포름아미드의 경우 DMF
디메틸설폭사이드의 경우 DMSO.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프로필) 카르보디이미드의 경우 EDC
에틸 아세테이트의 경우 EtOAc
시간의 경우 h
N-[(디메틸아미노)-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딘-1-일메틸렌]-N-메틸메탄아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N-옥사이드의 경우 HATU
(1H-벤조트리아졸-1-일옥시)(디메틸아미노)-N,N-디메틸메탄이미늄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의 경우 HBTU
N-하이드록시벤조트리아졸의 HOBT
고압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HPLC.
리튬 알루미늄 하이드라이드의 경우 LAH
이소프로필 알코올의 경우 IPA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법의 경우 LCMS
리튬 디이소프로필아미드의 경우 LDA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의 경우 LiHMDS
메타-클로로퍼옥시벤조산의 경우 mCPBA
분자 이온의 경우 MI
분의 경우 Min
마이크로파의 경우 MW
N-브로모석신아미드의 경우 NBS
N-클로로석신아미드의 경우 NCS
N-플루오로-o-벤젠디설폰이미드의 경우 NFOBS
N-플루오로벤젠설폰이미드의 경우 NFSI
N-하이드록시석신이미드의 경우 NHS
N-아이오도석신아미드의 경우 NIS
N-메틸모르폴린의 경우 NMM
1-메틸-2-피롤리디논의 경우 NMP
핵 자기 공명의 경우 NMR.
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클로라이드의 경우 PdCl2(PPh3)2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디클로로팔라듐(II)의 경우 Pd(dppf)2Cl2
DCM을 가진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디클로로팔라듐(II) 복합체의 경우 Pd(dppf)2Cl2.DCM
비스(디벤질리덴아세톤)팔라듐의 경우 (Pd(dba)2)
둥근 바닥 플라스크의 경우 Rbf
체류 시간의 경우 RT.
화학적으로 결합된 프로필설폰산 작용기를 가진 실리카-기반 용제의 경우 SCX-2
초임계 유체 크로마토그래피의 경우 SFC
테트라-n-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경우 TBAF
tert-부틸디메틸실릴의 경우 TBDMS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무수물의 경우 TFA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경우 TFA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의 경우 THF
인산삼칼륨의 경우 TPP
톨루엔설포닐의 경우 Ts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 [2-(2-아미노에틸) 페닐)] 팔라듐(II) 클로라이드의 경우 XPhos-Pd-G1
클로로(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 [2-(2'-아미노-1,1'-비페닐)] 팔라듐(II)의 경우 XPhos-Pd-G2
분석 방법
화학적으로 이용 가능한 출발 물질, 시약 및 무수 용매를 공급받은 대로 사용하였다.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또는 유리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Merck 실리카 겔 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플래시 크로마토그래피를 또한 콤비-플래시 RF Teledyne Isco 기계 상에서 수행하였다. 분취 TLC를 Merck 플레이트 상에서 수행하였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석 방법
방법-A
방법 명칭: - UC02_FAR1, 기계 상세사항: - PDA 및 Acquity SQ 검출기가 구비된 Water Acquity UPLC-H Class, 컬럼: Waters X-bridge C18, 50*2.1 mm, 2.5 마이크론, 컬럼 온도: 35℃, 오토 샘플러 온도: 15℃, 이동상 A: Milli Q 물 중의 0.1 % 포름산(PH = 2.70), 이동상 B: Milli Q 물: 아세토니트릴 (10:90) 중의 0.1%포름산; 이동상 구배 상세설명: T = 0분 (97% A, 3% B) 흐름 : 0.8 ml/분; T = 0.75분 (97% A, 3% B) 흐름 : 0.8 ml/분; T = 2.7분까지의 구배 (2% A, 98% B) 흐름 : 0.8 ml/분; T = 3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흐름 : 1mL/min; T = 3.5분 (0% A, 100% B) 흐름 : 1 ml/분; T= 3.51분까지의 구배 (97% A, 3% B) 흐름 : 0.8 ml/분; T = 4분에서의 실시 종료 (97% A, 3% B), 유량: 0.8 ml/분, 유량:- 0.8 ml/분, 실시 시간:- 4분, UV 검출 방법:- PDA, 파장: - 200-500 nm; 질량 파라미터: 프로브:-ESI, 이온화 방식: - 양성 및 음성, 콘 전압(Cone voltage): -30V 및 10 V, 모세관 전압: - 3.0 KV, 인출기 전압(Extractor Voltage): - 1 V, Rf 렌즈: - 0.1 V, 소스의 온도:-120℃, 탈용매화 온도:- 400℃. 콘 가스 흐름: - 100 L/시간, 탈용매화 가스 흐름:-800 L/시간.
방법-B
방법 명칭:-UC03_ABR2, 기계 상세사항: - PDA가 연결되고, SQ 검출기가 구비된 Waters Acquity Ultraperfomance LC, 컬럼: Waters X-bridge C18, 50*4.6 mm, 3.5 마이크론, 컬럼 온도: 35℃, 오토 샘플러 온도: 15℃, 이동상 A: Milli Q 물 중의 5mM 중탄산암모늄(pH = 8.00),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구배 상세사항: T = 0분 (97% A, 3% B) 유량 = 1.0 ml/분, T = 0.20분 (97% A, 3% B) 유량 = 1.0 ml/분; T = 2.70분까지의 구배 (20% A, 80% B) 유량 = 1.0 ml/분; T = 3.0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유량 = 1.2 ml/분; T = 3.50분 (0% A, 100% B) 유량 = 1.2 ml/분; T = 3.51분 (97% A,3% B) 유량 = 1.0 ml/분; T = 4.0분에서의 실시 종료 (97% A, 3% B) 유량 = 1.0 ml/분, 실시 시간:- 4분, UV 검출 방법:- PDA, 파장:- 195 nm - 500nm; 질량 파라미터: 프로브:-ESI, 이온화 방식: - 양성 및 음성, 콘 전압 :-30 및 10 V, 모세관 전압:- 3.0 KV, 인출기 전압:-2 V, Rf 렌즈:- 0.1 V, 소스의 온도:-120℃, 프로브의 온도:- 400℃, 콘 가스 흐름:- 100 L/Hr, 탈용매화 가스 흐름:-800 L/Hr.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방법
방법-A
방법 명칭: - HP04_BR1 기계 상세사항: - 2998 PDA 검출기를 가진 Water alliance e2695, 컬럼 온도: 25℃, 오토 샘플러 온도: 25℃, 이동상 A: HPLC 물 중의 0.1% 수산화암모늄 용액 이동상 B: 100%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구배 상세사항:T = 0분 (10% A, 90% B) 흐름 : 1 ml/분; T = 7분 (90%A, 10% B) 흐름 : 1 ml/분; T = 9분까지의 구배 (100% A, 0% B) 흐름 : 1 ml/분; T = 14분까지의 구배 (100% A, 0% B) 흐름 : 1 ml/분; T = 14.01분 (10% A, 90% B) 흐름 : 1 ml/분; T= 17분까지의 구배 (10% A, 90% B) 흐름 : 1 ml/분; T = 17분에서의 실시 종료 (10% A, 90% B), 유량: 1 ml/분, 실시 시간:- 17분, UV 검출 방법:- PDA.
방법-B
방법 명칭: - HP05_TFAR1.기계 상세사항: PDA 검출기를 가진 AGILENT TECHNOLOGY 1260 인피니티 시리즈, 컬럼 온도: 25℃, 오토 샘플러 온도: 25℃, 이동상 A: HPLC 물 중의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동상 B: 100%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구배 상세사항 T = 0분 (90% A, 10% B) 흐름: 1 ml/분; T = 7분 (10%A, 90% B) 흐름 : 1 ml/분; T = 9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흐름 : 1 ml/분; T = 14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흐름 : 1 ml/분; T = 14.01분 (90% A, 10% B) 흐름 : 1 ml/분; T= 17분까지의 구배 (90% A, 10% B) 흐름 : 1 ml/분; T = 17분에서의 실시 종료 (90% A, 10% B), 유량: 1 ml/분, 실시 시간:- 17분, UV 검출 방법:- PDA.
방법-C
방법 명칭: - HP06_TFAR1 기계 상세사항: - PDA 검출기를 가진 AGILENT TECHNOLOGY 1100 시리즈, 컬럼 온도: 25℃, 오토 샘플러 온도: 25℃, 이동상 A: HPLC 물 중의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동상 B: 100%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구배 상세사항 T = 0분 (90% A, 10% B) 흐름: 1 ml/분; T = 7분 (10%A, 90% B) 흐름: 1 ml/분; T = 9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흐름: 1 ml/분; T = 14분까지의 구배 (0% A, 100% B) 흐름: 1 ml/분; T = 14.01분 (90% A, 10% B) 흐름: 1 ml/분; T= 17분까지의 구배 (90% A, 10% B) 흐름: 1 ml/분; T = 17분에서의 실시 종료 (90% A, 10% B), 유량: 1 ml/분, 실시 시간: - 17분, UV 검출 방법: - PDA.
NMR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실온에서 언급한 용매를 사용하여 400 MHz에서 작동하는 Bruker Avance-400 장비를 사용하여 1H 핵 자기 공명(NMR) 분광법을 실시하였다. 샘플을 적절한 중수소화 용매에서 용액으로 제조하여, 적절한 내부 비-중수소화 용매 피크 또는 테트라메틸실란을 참조하였다. 화학적 이동을 테트라메틸실란의 다운필드(downfield)에서 ppm (δ)으로 기록하였다. 모든 경우에, NMR 데이터는 제시된 구조와 일치하였다. 특징적인 화학적 이동(δ)은 주요 피크 지정을 위한 종래의 약어를 사용하여 백만분율로 제공된다: 예를 들어 s, 단일선; d, 이중선; t, 삼중선; q, 사중선; dd, 이중선의 이중선; dt, 삼중선의 이중선; m, 다중선; br, 넓음.
정제 방법
역상 HPLC에 의한 분취 정제
분취 HPLC 방법-A
UV/가시광선 파장-길이 검출기가 있는 바이러리 펌프를 가진 Biotage-FC-01, 컬럼: YMC, 120 g, 50μm, 컬럼 온도: 실온, 이동상 A: 물 중 0.1% 포름산,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이동상 구배 상세사항: t = 0.01분 (100% A, 0% B); t = 3분 (85% A, 15% B); t = 25분까지의 구배 (55% A, 45% B); t = 35분 (0% A, 100% B); t = 45분에서 실시 종료시까지의 구배 (100% A, 0% B); 유량: 80 ml/분, 분석 시간 45분
합성
본 출원의 화합물의 화학적 합성을 위한 여러 방법이 본원에 기재된다. 이러한 및/또는 다른 잘 알려진 방법은 본 출원 및 청구항의 범위 내의 추가적인 화합물의 합성을 촉진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변형되고/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대안적인 방법 및 변형은 본 출원 및 청구항의 사상 및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하기 설명, 반응식 및 실시예에 제시된 방법은 예시적인 목적을 위한 것으로 의도되며, 개시내용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하나의 방법(반응식 1)에서, 화학식 [IIb]의 화합물은 3차 아민 염기 예컨대 DIPEA의 존재하에서 화학식 [II]의 치환된 Het-방향족 카르복실산을 용매로서의 DMF 또는 DCM 중의 HATU와 같은 아미드 커플링 시약, 일반 화학식 [III]의 아민과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반응은 적절하게는 실온에서 실시된다. 반응 후처리 후, 통상적으로, 액체-액체 추출에 의해, 반응 생성물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역상 분취 HPLC 또는 재-결정화(방법 A)에 의해 정제된다.
반응식-1
하기 화합물을 나타낸 중간체를 사용하여 상기 기재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실시예 1 - N-이소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의 합성
단계-1a:
250 mL 3목 RB 플라스크에서, THF(31.5 mL) 중의 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산-1-온 CAS 번호: 75091-99-5, (0.5 g, 3.01 mmol, 1.0 당량)에 -78℃에서 교반하면서 30분의 기간에 걸쳐 리튬 비스(트리메틸실릴)아미드(3.6 mL, 3.61 mmol, THF 중 1M 용액)를 적하하였고, 이후 -78℃에서 추가 1시간 동안 교반을 지속되게 하였고, 1시간 후, THF(4 mL) 중의 N-페닐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이미드(1.0 g, 3.01 mmol, 1.0 당량)의 용액을 교반하면서 30분의 기간에 걸쳐 적하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78℃에서 추가 2시간 동안 교반하였고, 교반하면서 6시간의 기간에 걸쳐 실온으로 서서히 가온시켰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0.1:9.9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 추출물을 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켰다. 여과물을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1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백색 고체로서 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를 생성하였다(A1, 0.45 g, 1.509 mmol, 수율: 50.14%).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5.80 - 5.81 (m, 1H), 2.51 - 2.47 (m, 2H), 2.43 - 2.30 (m, 2H), 2.20-2.15 (m, 1H), 1.84 - 1.73 (m, 1H), 0.83 - 0.90 (m, 1H). 주석: 미량의 PhN(OTf)2를 가진 지방족 불순물.
단계-1b:
250 mL 3목 RB 플라스크에서, 디옥산(3.8 mL) 중의 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에닐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 CAS: 73183-34-3, (A1, 0.1 g, 0.33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비스(피나콜라토) 디보론, (0.102 g, 0.402 mmol, 1.2 당량), 아세트산칼륨(0.109 g, 1.11 mmol, 3.0 당량), PdCl2(dppf)(0.074 g, 0.100 mmol, 0.3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면서 80℃에서 가열하고,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1:9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80℃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고,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켰다. 여과물을 진공 중에서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4,4,5,5-테트라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1,3,2-디옥사보로란(A2, 0.027 g, 0.097 mmol, 수율: 29.16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6.54 - 6.53 (m, 1H), 2.38 - 2.31 (m, 2H), 2.27 - 2.25 (m, 1H), 2.21 - 2.20 (m, 2H), 2.03 - 1.99 (m, 1H) 1.49 - 1.47 (m, 1H), 1.30 (s, 12H). 주석: 소량의 지방족 불순물이 관찰되었다
단계-1:
메탄올 및 물(50 mL, 9:1) 중의 메틸 8-브로모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 (A13, 5.0 g, 18.791 mmol, 1.0 당량) 및 NaOH(1.5 g, 37.581 mmol, 2.0 당량)의 용액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N HCl(40 mL; pH = 3)로 산성화시키고, 0℃에서 30분 동안 교반되게 하여 옅은 황색을 띤 고체를 수득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3:7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2시간의 교반 후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고진공으로 여과시켜 8-브로모퀴놀린-3-카르복실산(A3, 4.13 g, 16.38 mmol, 수율: 87.20%)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7.64 (t, J = 8.0 Hz, 1H), 8.25 - 8.31 (m, 2H), 9.05 (d, J = 2.4 Hz, 1H), 9.40 (d, J = 2.4 Hz, 1H)
LCMS(방법 A): 1.736분, 100.0%, MS: ES+ 252.00 [M]+
단계-2:
250 mL 3목 RB 플라스크에서, 8-브로모퀴놀린-3-카르복실산(A3, 4.0 g, 15.873 mmol, 1.0 당량), 이소프로필 아민 CAS 번호: 75-31-0(1.19 g, 15.873 mmol, 1.0 당량), 및 DIPEA(6.2 g, 47.62 mmol, 3.0 당량)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DMF(40 mL, 10 v) 중의 HATU(6.59 g, 17.46 mmol, 1.1 당량)과 함께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1:1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200 mL)로 희석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얻은 황색을 띤 고체를 부흐너 깔때기(buchner funnel)를 통해 여과시켜 8-브로모-N-이소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A4, 3.05 g, 10.41 mmol, 수율: 65.5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34 (d, J = 2.0 Hz, 1H), 8.87 (d, J = 2.4 Hz, 1H), 8.67 (d, J = 8.8 Hz, 1H), 8.26 - 8.24, (m, 1H), 8.16 - 8.13 (m, 1H), 7.62 (d, J = 8.0 Hz, 1H), 4.22 - 4.13 (m, 1H), 1.23 (d, J = 6.8 Hz, 6H),
LCMS(방법 A): 1.852분, 100.0%, MS: ES+ 293.01 [M+H]
단계-3:
1,4-디옥산 및 물(14.5 mL, 9:1) 중의 8-브로모-N-이소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A4, 1.2 g, 4.093 mmol, 1.0 당량), 및 2-(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4,4,5,5-테트라메틸-1,3, 2-디옥사보로란(A2, 1.24 g, 4.503 mmol, 1.1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인산삼칼륨(1.21 g, 12.28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30분 동안 질소로 퍼징하고, 이후 Pd(dppf)Cl2(0.94 g, 0.819 mmol, 0.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최대 100℃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3:7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얻은 조 잔류물(crude residue)(2.5 g)을 고정상으로서의 실리카 겔(60-120 메쉬)(헥산 중의 2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N-이소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 1.0 g, 2.759 mmol, 수율: 67.57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8 (d, J = 2.4 Hz, 1H), 8.58 (d, J = 7.6 Hz, 1H), 8.01 - 7.98 (m, 1H), 7.63 - 7.62 (m, 2H), 5.87 (br s, 1H), 4.18 - 4.13 (m, 1H), 2.80 - 2.68 (m, 3H), 2.31 - 2.27 (m, 1H), 2.09 - 2.06 (m, 1H), 1.73 - 1.67 (m, 1H), 1.21 (d, J = 8.0 Hz, 6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4 (d, J = 2.4 Hz, 1H), 7.96 (dd, J = 7.6, 2.0 Hz, 1H), 7.68 - 7.62 (m, 2H), 5.87 (br s, 1H), 4.33 - 4.26 (m, 1H), 2.79 - 2.64 (m, 3H), 2.55 - 2.49 (m, 1H), 2.41 - 2.36 (m, 1H), 2.18 - 2.14 (m, 1H), 1.92 - 1.83 (m, 1H), 1.33 (d, J = 6.8 Hz, 6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239분, 96.73%, MS: ES+ 363.10 [M+H]
HPLC(방법 B): 8.327분, 97.65%, @254 nm.
실시예 2 - N-((S)-1-하이드록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의 합성
단계-1:
1,4 디옥산: 물(4 mL, 9:1) 중의 8-브로모퀴놀린-3-카르복실산(A3, 0.3 g, 1.190 mmol, 1.0 당량), 4,4,5,5-테트라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1,3,2-디옥사보로란(A2, 0.328 g, 1.190 mmol, 1.0 당량) 및 K3PO4(1.2 g, 5.952 mmol, 5.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서 Pd(PPh3)4(0.137 g, 0.119 mmol, 0.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5시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7.0:3.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00℃에서 2.5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2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 g (조생성물(crude))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5, 0.3 g, 0.934 mmol, 수율: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주석: 조 화합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LCMS(방법 A):2.464분, 86.69%, 254.0 nm, MS: ES+ 322.11 (M+1)
단계-2:
N2 분위기하에 0℃에서 DCM(3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5, 0.3 g, 0.9345 mmol, 1.0 당량), HATU(1.0 g, 2.803 mmol, 3.0 당량) 및 DIPEA(0.180 g, 1.401 mmol, 1.5 당량)의 용액을 20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질소하에서 CAS:40154-78-7(0.2 g, 1.027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7.0:3.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5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x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N-((S)-1-(피리딘-2-일)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 0.065 g, 0.152 mmol, 수율: 12.84%(2단계에 걸친 수율))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29 (br s, 1H), 9.19 (d, J = 7.6 Hz, 1H), 8.89 (br s,1H), 8.54 (d, J = 4.4 Hz, 1H), 8.02 (t, J = 4.4 Hz, 1H), 7.78 (t, J = 7.2 Hz, 1H), 7.65 - 7.62 (m, 2H), 7.48 (d, J = 8.0 Hz, 1H), 7.28 (t, J= 5.6 Hz, 1H), 5.87 (s,1H), 5.28 - 5.23 (m, 1H), 2.81 - 2.69 (m, 3H), 2.46 - 2.42 (m, 1H), 2.32 - 2.29 (m, 1H), 2.1-2.07 (m, 1H),1.71 - 1.67 (m, 1H), 1.55 (d, J = 6.8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4 Hz, 1H), 8.85 (d, J = 2.4 Hz, 1H), 8.56 (d, J = 1.6 Hz, 1H), 7.9 (dd, J = 1.6 Hz, 1H), 7.86 (td, J = 7.6 Hz, 1H), 7.70 (m, 2H), 7.54 (d, J = 8.0 Hz, 1H), 7.35 (t, J = 4.8 Hz, 1H), 5.87 (br s, 1H), 5.35 (q, J = 7.1 Hz, 1H), 2.83 - 2.71 (m, 1H), 2.68 - 2.64 (m, 2H), 2.56 - 2.50 (m, 1H), 2.41 - 2.37 (m, 1H), 2.18 - 2.15 (m, 1H), 1.81 - 1.70 (m, 1H), 1.66 (d, J = 2.0 Hz, 3H).
LCMS(방법 A): 2.295분, 100%, 254.0 nm, MS: ES+ 426.23 (M+1)
HPLC(방법 B): 6.213분, 99.75 %, 254.0 nm
키랄 HPLC: 2.28분, 100%, 245.0 nm
실시예 3 - N-((S)-1-(6-아미노피리딘-2-일)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 포르메이트(화합물 3)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DCM(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5, 0.3 g, 0.93 mmol, 1.0 당량), HATU(0.530 g, 1.39 mmol, 1.5 당량) 및 DIPEA(0.48 ml, 2.79 mmol, 3.0 당량)의 용액을 5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CAS: 1415303-42-2(0.265 g, 1.11 mmol, 1.2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8:2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켄칭시키고, DCM(3 x 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S)-1-(6-브로모피리딘-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A6, 0.21 g, 0.416 mmol, 수율: 44%)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9.28 - 9.25 (m, 2H), 8.89 (d, J = 2.4 Hz, 1H), 8.03 - 8.00 (m, 1H), 7.75 (t, J = 7.6 Hz, 1H), 7.67 - 7.62 (m, 2H), 7.55 - 7.51 (m, 2H), 5.88 (br s, 1H), 5.22 - 5.15 (m 1H), 2.82 - 2.60 (m, 3H), 2.51 - 2.50 (m, 1H), 2.29 - 2.25 (m, 1H), 2.10 - 2.07 (m, 1H), 1.75 - 1.64 (m, 1H). 1.54 (d, J = 7.2 Hz, 3H)
LCMS(방법 A): 2.817분, 95.22%, 254.0 nm, MS: ES+ 506.04 (M+2)
단계-2:
디옥산(10 mL) 중 N-((S)-1-(6-브로모피리딘-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A6, 0.19 g, 0.37 mmol, 1.0 당량), Pd(OAc)2(0.012 g, 0.037 mmol, 0.1 당량), xantphos(0.021g, 0.037 mmol, 0.1 당량) 및 Cs2CO3(0.360 g, 1.11 mmol, 3.0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제조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5분 동안 질소로 퍼징시키고, 이후 질소 분위기하에서 CAS: 4248-19-5(0.051g, 0.44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10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70:3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9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여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원하는 생성물을 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시켜 tert-부틸 (6-((1S)-1-(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에틸) 피리딘-2-일) 카르바메이트(A7, 0.15 g, 0.27 mmol, 수율: 73.8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75 (s, 1H), 9.33 (d, J = 1.6 Hz, 1H), 9.07 (d, J = 7.6 Hz, 1H), 8.89 (d, J= 2.4 Hz, 1H), 8.05 - 8.03 (m, 1H), 7.74 - 7.64 (m, 4H), 7.12 (d, J = 7.2 Hz, 1H), 5.87 (br s, 1H), 5.15 - 5.12 (m, 1H), 2.80 - 2.67 (m, 4H), 2.33 - 2.29 (m, 1H), 2.10 - 2.08 (m, 1H), 1.73 - 1.68 (m, 1H), 1.5 (d, J = 7.2 Hz, 3H) 1.48 (s, 9H)
LCMS(방법 A): 2.977분, 96.51%, 254.0 nm, MS: ES+ 541.3 (M+1)
단계-3:
디옥산(10 mL) 중의 tert-부틸 (6-((1S)-1-(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에틸) 피리딘-2-일) 카르바메이트(A7, 0.15 g, 0.27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실온에서 디옥산[4 M] 중 HCl(5 m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1:1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HCl 염으로서 0.1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역상 분취 HPLC 정제(방법-A 물 아세토니트릴 중 0.1% 포름산)에 의해 정제하여 원하는 N-((S)-1-(6-아미노피리딘-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 포르메이트(화합물 3, 0.043 g, 0.097 mmol, 수율: 35.24%)를 얻었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29 (br s, 1H), 9.13 (br s, 1H), 8.89 (br s, 1H), 8.04 - 8.01 (m, 1H), 7.66 - 7.63 (m, 2H), 7.42 (t, J = 8.0 Hz, 1H), 6.60 (d, J = 7.2 Hz, 1H), 6.41 (d, J = 7.6 Hz, 1H), 5.87 (br s, 1H), 5.07 - 5.04 (br s, 1H), 2.80 - 2.67 (m, 3H), 2.51 - 2.50 (m, 1H), 2.29 - 2.25 (m, 1H), 2.10 - 2.07 (m, 1H), 1.72 - 1.64 (m, 1H), 1.51 (d, J = 6.8 Hz, 3H) 주석: -NH2 양성자는 보이지 않으며, 포르메이트 염의 형태의 화합물이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d, J = 2.4 Hz, 1H), 8.86 (d, J = 2.4 Hz, 1H), 7.99 (dd, J = 8.0, 1.6 Hz, 1H), 7.70 -7.63 (m, 3H), 6.82 (d, J = 7.2 Hz, 1H), 6.70 (d, J = 8.4 Hz, 1H), 5.86 (br s, 1H), 5.21 - 5.15 (m, 1H 2.78 - 2.65 (m, 3H), 2.55-2.51 (m, 1H), 2.41 - 2.34 (m, 1H), 2.18 - 2.15 (m, 1H), 1.92 - 1.83 (m, 1H), 1.66 (d, J = 7.2 Hz, 3H). 주석: -NH 및 NH2 양성자는 보이지 않으며, 포르메이트 염의 형태의 화합물이다.
LCMS(방법 B): 2.98분, 99.60%, 254.0 nm, MS: ES+ 441.07 (M+1),
HPLC(방법 A): 8.772분, 99.60%, 254.0 nm
키랄 HPLC: 3.76분, 100%, 240.0 nm
실시예 4 - N-((S)-1-하이드록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한 DMF(1.7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실산(A5, 0.17 g, 0.529 mmol, 1.0 당량), HATU(0.30 g, 0.791 mmol, 1.5 당량) 및 DIPEA(0.20 g, 1.587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2749-11-3(0.043 g, 0.582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100%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3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2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8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S)-1-하이드록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 0.123 g, 0.325 mmol, 수율: 61.43%)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80 (d, J = 2.4 Hz, 1H), 8.47 (d, J = 8.0 Hz, 1H), 8.01 - 7.99 (m, 1H), 7.64 - 7.63 (m, 2H), 5.87 (br s, 1H), 4.80 (t, J = 6.0 Hz, 1H), 4.10 - 4.07 (m, 1H), 3.54 -3.50 (m, 1H), 2.80 - 2.67 (m, 3H), 2.44 - 2.42 (m, 1H), 2.33 - 2.25 (m, 1H), 2.10 - 2.07 (m, 1H), 1.75 - 1.64 (m, 1H), 1.18 (d, J= 6.8 Hz, 3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 NMR 스펙트럼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2.4 Hz, 1 H), 8.78 (d, J = 2.0 Hz, 1H), 7.96 (dd, J = 7.6, 2.0 Hz, 1 H), 7.69 - 7.62 (m, 2H), 5.87 (br s, 1H), 4.32 - 4.26 (m, 1H), 3.67 (d, J = 5.6 Hz, 2H), 2.81 - 2.75 (m, 1H), 2.68-2.64 (m, 2H), 2.55 - 2.51 (m, 1H), 2.40 - 2.34 (m, 1H), 2.18 - 2.15 (m, 1H), 1.93 - 1.82 (m, 1H), 1.32 (d, J = 6.8 Hz, 3H). 주석: -OH 및 -NH 양성자는 MeOD에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236분, 99.62%, 254.0 nm, MS: ES+ 379.12 (M+1)
HPLC(방법 A): 7.941분, 99.26%, 254.0 nm
키랄 HPLC: 4.73분, 50.10%, 240.0 nm; 5.10분, 49.48%, 240.0 nm
실시예 5 - N-(피리딘-2-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DMF(1.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5, 0.15 g, 0.466 mmol, 1.0 당량), HATU(0.26 g, 0.700 mmol, 1.5 당량) 및 DIPEA(0.24 ml, 1.40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CAS: 3731-51-9(0.055 g, 0.513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100%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2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7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피리딘-2-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 0.057 g, 0.138 mmol, 수율: 29.67%)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46 (t, J = 6 Hz, 1H) 9.31 (d, J = 2.4 Hz, 1H), 8.89 (d, J = 2.0 Hz, 1H) 8.53 (d, J = 4.0 Hz, 1H), 8.04 - 8.00 (m, 1H), 7.79 (dt J = 7.6, 1.6 Hz, 1H), 7.67 - 7.62 (m, 2H), 7.41 (d J = 7.6 Hz, 1H), 7.29 (t, J = 5.2 Hz, 1H), 5.88 (br s,1H), 4.65 (d, J = 6.0 Hz, 2H), 2.81 - 2.78 (m, 1H), 2.72 - 2.67 (m, 2H), 2.33 - 2.25 (m, 1H), 2.10 - 2.07 (m, 1H), 1.75 - 1.72 (m, 1H)
1 H NMR (MeOD, 400 MHz): 9.28 (d, J = 2.0 Hz, 1H), 8.82 (d, J = 2.4 Hz, 1H), 8.51 (d, J = 5.2 Hz, 1H), 7.95 (dd J = 8.0, 2.0 Hz 1H), 7.84 (td J = 7.6, 1.6 Hz, 1H), 7.67 - 7.60 (m, 2H), 7.49 (d, J = 8.0 Hz, 1H), 7.34 - 7.31 (m, 1H), 5.84 (br s,1H), 4.76 (s, 2H), 2.80 - 2.73 (m, 1H), 2.67 - 2.62 (m, 2H), 2.54 - 2.48 (m, 1H), 2.38 - 2.30 (m, 1H), 2.15 - 2.12 (m, 1H), 1.87 - 1.82 (m, 1H)
LCMS(방법 A): 2.145분, 99.27 %, 254.0 nm, MS: ES+ 412.17 (M+1)
HPLC(방법 A): 8.707분, 98.45%, 254.0 nm
실시예 6 - N-((S)-1-메톡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의 합성
단계-1:
DMF(1.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5, 0.15 g, 0.466 mmol, 1.0 당량), HATU(0.26 g, 0.700 mmol, 1.5 당량) 및 DIPEA(0.18 g, 1.400 mmol, 3.0 당량)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CAS: 99636-32-5(0.045 g, 0.513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100%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3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2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7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S)-1-메톡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 0.063 g, 0.160 mmol, 수율: 34.3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80 (d, J = 2.0 Hz, 1H), 8.60 (d, J = 8.0 Hz, 1H), 8.02 - 7.99 (m, 1H), 7.64 - 7.61 (m, 2H), 5.87 (s, 1H), 4.29 - 4.23 (m, 1H), 3.47 - 3.43 (m, 1H), 3.34 - 3.31 (m, 1H), 3.30 (s, 3H), 2.80 - 2.77 (m, 1H), 2.72 - 2.68 (m, 2H), 2.50 - 2.46 (m, 1H), 2.32 - 2.24 (m, 1H), 2.10 -2.07 (m, 1H), 1.73 -1.67 (m, 1H), 1.19 (d, J = 6.8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7 (d, J = 2.0 Hz, 1H), 7.97 (dd, J = 7.6, 2.0 Hz, 1H), 7.70 - 7.63 (m, 2H), 5.87 (br s, 1H), 4.5 - 4.39 (m, 1H), 3.58 - 3.54 (m, 1H), 3.50 - 3.47 (m, 1H), 3.42 (s, 3H), 2.83 - 2.81 (m, 1H), 2.78 - 2.75 (m, 2H), 2.68 - 2.65 (m, 1H), 2.55 - 2.41 (m, 1H), 2.18 - 2.15 (m, 1H), 1.93 - 1.82 (m, 1H), 1.31 (d, J = 6.8 Hz, 3H).
LCMS(방법 A): 2.505분, 98.87%, 254.0 nm, MS: ES+ 393.17 (M+1)
HPLC(방법 A): 9.078분, 98.54%, 254.0 nm
키랄 HPLC: 5.31분, 50.73%, 240.0 nm; 5.63분, 49.26%, 240.0 nm.
실시예 7 - N-((R)-1-하이드록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1.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5, 0.15 g, 0.467 mmol, 1.0 당량), HATU(0.35 g, 0.934 mmol, 2.0 당량) 및 DIPEA(0.18 g, 1.40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35320-23-1(0.042 g, 0.560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10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3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7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R)-1-하이드록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 0.097 g, 0.256 mmol, 수율: 54.91%)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 1H), 8.80 (d, J = 2.4 Hz, 1H), 8.47 (d, J = 8.0 Hz, 1H), 8.01 - 7.98 (m, 1H), 7.64 - 7.61 (m, 2H), 5.87 (br s, 1H), 4.79 (t, J = 6.0 Hz, 1H), 4.12 - 4.01 (m, 1H), 3.54 - 3.48 (m, 1H), 3.42 - 3.38 (m, 1H), 2.89 - 2.77 (m, 1H), 2.73 - 2.68 (m, 2H), 2.50 - 2.46 (m, 1H), 2.33 - 2.25 (m, 1H), 2.09-2.07 (m, 1H), 1.73 - 1.67 (m, 1H), 1.18 (d, J = 6.8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78 (d, J = 2.0 Hz, 1H), 7.97 (d, J = 7.6 Hz, 1 H), 7.69 - 7.62 (m, 2H), 5.86 (br s, 1H), 4.30 - 4.25 (m, 1H), 3.67 (d, J = 5.6 Hz, 1H), 2.88 - 2.65 (m, 3H), 2.55 - 2.51 (m, 1H), 2.40 - 2.37 (m, 1H), 2.17 - 2.15 (m, 1H), 1.89 - 1.85 (m, 1H), 1.31 (d, J = 6.8 Hz, 3H).
LCMS(방법 A): 2.237분, 100%, 254.0 nm, MS: ES+ 379.1 (M+1)
HPLC(방법 A): 7.930분, 100%, 254.0 nm
키랄 HPLC: 6.17분, 49.36%, 6.99분, 50.32%, 240.0 nm
실시예 8 - N-((1-메틸-1H-이미다졸-2-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DMF(1.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5, 0.15 g, 0.466 mmol, 1.0 당량), HATU(0.26 g, 0.700 mmol, 1.5 당량) 및 DIPEA(0.18 g, 1.40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53332-67-5(0.094 g, 0.513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 DCM; 1.0:9.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3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22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 중 5% 메탄올)에 의해 정제하여 N-((1-메틸-1H-이미다졸-2-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 0.058 g, 0.139 mmol, 수율: 29.97%)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0 - 9.27 (m, 2H), 8.85 (s, 1H), 8.00 - 7.97 (m, 1H), 7.64 - 7.62 (m, 2H), 7.11 (s, 1H), 6.82 (s, 1H), 5.86 (br s, 1H), 4.60 (d, J = 5.2 Hz, 2H), 3.69 (s, 3H), 2.71 - 2.67 (m, 3H), 2.50-2.45 (m, 1H), 2.25 - 2.22 (m, 1H), 2.09 - 2.06 (m, 1H), 1.71-1.65 (m, 1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4 Hz, 1H), 8.81 (d, J = 2.0 Hz, 1H), 7.96 (dd, J = 7.6, 2.0 Hz, 1H), 7.69 - 7.62 (m, 2H), 7.09 (d, J = 1.2 Hz, 1H), 6.93 (d, J = 1.6 Hz, 1H), 5.86 (br s, 1H), 4.75 (s, 2H), 3.81 (s, 3H), 2.81 - 2.64 (m, 3H), 2.55 - 2.50 (m, 1H), 2.40 - 2.33 (m, 1H), 2.17 - 2.15 (m, 1H), 1.92 - 1.84 (m, 1H).
LCMS(방법 A): 1.892분, 100.0%, 210.0 nm, MS: ES+ 415.1 (M+1)
HPLC(방법 A): 8.081분, 98.59%, 210.0 nm
실시예 9 - N-((R)-1-메톡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DMF(1.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5, 0.150 g, 0.466 mmol, 1.0 당량), HATU(0.26 g, 0.700 mmol, 1.5 당량) 및 DIPEA(0.18 g, 1.40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626220-76-6(0.064 g, 0.513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100% EtOAc 사용)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3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8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ACN을 사용하는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N-((R)-1-메톡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 0.121 g, 0.308 mmol, 수율: 66.05%)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9 (d, J = 2.4 Hz, 1H), 8.60 (d, J = 8.0 Hz, 1H), 8.01-7.99 (m, 1H), 7.64 - 7.63 (m, 2H), 5.87 (br s, 1H), 4.29 - 4.23 (m, 1H), 3.47 - 3.43 (m, 1H), 3.35 - 3.31 (m, 1H) 3.29 (s, 3H), 2.80 - 2.77 (m, 1H), 2.72 - 2.68 (m, 2H), 2.47 - 2.46 (m, 1H), 2.32 - 2.24 (m, 1H), 2.09 - 2.07 (m, 1H), 1.73 - 1.67 (m, 1H), 1.19 (d, J = 6.8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3 (d, J = 2.4 Hz, 1H), 8.75 (d, J = 2.0 Hz, 1H), 7.96 (dd, J = 7.6, 2.0 Hz, 1H), 7.68 - 7.62 (m, 2H), 5.86 (br s, 1H), 4.43 - 4.39 (m, 1H), 3.57 - 3.50 (m, 1H), 3.49 - 3.46 (m, 1H), 3.42 (s, 3H), 2.80 - 2.71 (m, 1H), 2.67 - 2.55 (m, 2H), 2.52 - 2.50 (m, 1H), 2.40 - 2.33 (m,1H), 2.18 - 2.14 (m, 1H), 1.92 -1.81 (m, 1H), 1.31 (d, J = 6.8 Hz, 3H).
LCMS(방법 A): 2.480분, 100.0%, 254.0 nm, MS: ES+ 393.17 (M+1)
HPLC(방법 A): 9.068분, 98.51, 210.0 nm
키랄 HPLC: 4.64분 및 4.93분, 49.45% 및 50.54%, 240.0 nm
실시예 10 - N-((4-메틸-1H-피라졸-5-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DMF(1.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5, 0.15 g, 0.466 mmol, 1.0 당량), HATU(0.26 g, 0.700 mmol, 1.5 당량) 및 DIPEA(0.18 g, 1.40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2173991-88-1(0.094 g, 0.513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 DCM; 1.0:9.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2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94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7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4-메틸-1H-피라졸-5-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 0.073 g, 0.176 mmol, 수율: 37.73%)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54, 12.38 (s, 1H), 9.26 (d, J = 2.4 Hz, 1H), 9.18 - 9.09 (m, 1H), 8.83 (d, J = 2.4 Hz, 1H), 7.99 - 7.97 (m, 1H), 7.64 - 7.60 (m, 2H), 7.46 (br s, 1H), 5.86 (br s, 1H), 4.52 (d, J = 4.8 Hz, 2H), 2.84 - 2.77 (m, 2H), 2.28 - 2.24(m, 1H), 2.09 - 2.06 (m, 1H), 2.02 (s, 3H), 1.74 - 1.65 (m, 1H). 주석: 지방족 2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2.4 Hz, 1H), 8.77 (d, J = 2.0 Hz, 1H), 7.95 (d, J = 7.6 Hz, 1H), 7.68 - 7.62 (m, 2H), 7.42 (br s, 1H), 5.86 (br s, 1H), 4.68 (s, 2H), 2.77 - 2.74 (m, 1H), 2.64 (d, J = 2.8 Hz, 2H), 2.55 - 2.50 (m, 1H), 2.40 - 2.33 (m, 1H), 2.19 - 2.10 (m, 4H), 1.92 - 1.81 (m, 1H).
LCMS(방법 A): 2.331분, 100.0%, 210.0 nm, MS: ES+ 415.1 (M+1)
HPLC(방법 A): 8.273분, 98.67%, 210.0 nm
실시예 11 - N-(옥사졸-2-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1.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5, 0.15 g, 0.466 mmol, 1.0 당량), HATU(0.35 g, 0.933 mmol, 2.0 당량) 및 DIPEA(0.24 g, 1.867 mmol, 4.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1041053-44-4(0.075 g, 0.560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8:2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3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7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옥사졸-2-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 0.090 g, 0.224 mmol, 수율: 48.03%)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52 (t, J = 5.6 Hz, 1H), 9.27 (d, J = 2.4 Hz, 1H), 8.86 (d, J = 2.0, Hz, 1H), 8.09 (d, J = 0.8 Hz, 1H), 8.02 (dd, J = 6.8 ,2.8 Hz, 1H), 7.67 - 7.62 (m, 2H), 7.19 (d, J = 0.8 Hz, 1H), 5.87 (br s, 1H), 4.67 (d, J = 5.6 Hz, 2H), 2.85 - 2.78 (m, 1H), 2.71 - 2.67 (m, 2H), 2.33 - 2.25 (m, 1H), 2.10 - 2.07 (m, 1H), 1.74-1.67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 400 MHz): δ ppm, 9.29 (d, J = 2.4 Hz, 1H), 8.82 (d, J = 2.4 Hz, 1H), 7.98 (dd, J = 8.0, 2.0 Hz, 1H), 7.93 (d, J = 0.4 Hz, 1H), 7.71 - 7.64 (m, 2H), 7.18 (s, 1H), 5.87 (br s, 1H), 4.80 (s, 2H), 2.83 - 2.76 (m, 1H), 2.68 - 2.64 (m, 2H), 2.55 - 2.51 (m, 1H), 2.41 - 2.37 (m, 1H), 2.18 - 2.15 (m, 1H), 1.92 - 1.86 (m, 1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341분, 99.58%, 220.0 nm, MS: ES+ 402.07(M+1)
HPLC(방법 A): 8.385분, 98.13%, 210.0 nm
실시예 12 - N-(옥사졸-2-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 및 13)의 키랄 분리
절차:
화합물 11 (0.025 g) 라세미체를 (CHIRALPAK IG 250 X 10 mm 5 um) 컬럼 상에서의 키랄 SFC 정제에 적용하였고 여기서 다음의 2개의 피크가 분리되었다: 화합물 12로서의 피크 1(0.007 g 수율 = 28.00%) 및 화합물 13으로서의 피크 2(0.004 g, 수율 = 16.00%).
컬럼 ID: CHIRALPAK IG, 250 x 10 mm, 5μm
이동상 A: Liq.CO2
이동상 B: IPA-ACN(70-30) 중의 0.1 % 메탄올성 암모니아
유량 (ML/MIN): 14
장비 ID: SFC INVESTIGATOR
방법: 시간: 흐름: %A: %B (0:14:60:40), (7:14:60:40)
화합물 12: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53 (t, J = 5.2 Hz, 1H), 9.28 (d, J = 1.6 Hz, 1H), 8.86 (d, J = 1.6 Hz, 1H), 8.09 (s, 1H), 8.02 (d, J = 5.6 Hz,1H), 7.66 (br s, 2H), 7.19 (s, 1H), 5.88 (s, 1H), 4.67 (d, J = 5.2 Hz, 2H), 2.78 - 2.67 (m, 3H), 2.33 - 2.29 (m, 1H), 2.10 - 2.07 (m, 1H), 1.72-1.68 (m, 1H)
LCMS(방법 A): 2.368분, 97.96%, 254.0 nm, MS: ES+ 402.2 (M+1)
HPLC(방법 A): 8.461분, 98.53%, 254.0 nm
화합물 13: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53 (t, J = 5.2 Hz, 1H), 9.28 (d, J = 1.6 Hz, 1H), 8.86 (d, J = 1.6 Hz, 1H), 8.09 (s, 1H), 8.02 (d, J = 5.6 Hz, 1H), 7.66 - 7.63 (m, 2H), 7.20 (s, 1H), 5.88 (s, 1H), 4.67 (d, J = 5.6 Hz, 2H), 2.81 - 2.68 (m, 3H), 2.33 - 2.25 (m, 1H), 2.10 - 2.07 (m, 1H), 1.75 - 1.67 (m, 1H)
LCMS(방법 A): 2.367분, 98.83%, 254 nm, MS: ES+ 402.1(M+1)
HPLC(방법 A): 8.481분, 99.19%, 254.0 nm
실시예 13 - 3-(메틸설피닐)-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화합물 14)의 합성
단계-1:
아세토니트릴 (50 mL) 중의 8-브로모퀴놀린 CAS: 16567-18-3(5.0 g, 23.9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요오드(12.16 g, 47.93 mmol, 2.0 당량) 및 TBHP(70% 수용액)을 첨가하고, 이후 CAS: 75-91-2(30.93 mL, 240.3 mmol, 10.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1.0:9.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80℃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5.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1%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8-브로모-3-아이오도퀴놀린(A8, 4.1 g, 12.27 mmol, 수율: 51.09%)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9.16 (d, J = 2.0 Hz, 1H), 8.97 (d, J = 2.0 Hz, 1H), 8.18 (d, J = 7.4 Hz, 1H), 7.98 (d, J = 7.6 Hz, 1H), 7.56 (t, J = 7.6 Hz, 8 Hz, 1H)
LCMS(방법 A): 2.516분, 97.70%, 254.0 nm, MS: ES-336.0 (M+2)
단계-2:
톨루엔(40 mL) 중의 8-브로모-3-아이오도퀴놀린(A8, 4.0 g, 11.9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서 CAS: 5188-07-8(1.17 g, 16.77 mmol, 1.4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n-헥산; 1.0:9.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80℃에서 3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40 mL)로 켄칭시켜 조생성물을 침전시켰고 이를 여과시키고, 50 mL의 물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건조시켜 2.9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n-헥산으로 분쇄하여 8-브로모-3-(메틸티오) 퀴놀린(A9, 2.5 g, 9.84 mmol, 수율: 84.13%)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90 (d, J = 2.4 Hz, 1H), 8.24 (d, J = 2.0 Hz, 1H), 8.04 (dd, J = 7.6,1.2 Hz, 1H), 7.95 (dd, J = 8.2 Hz, 0.8 Hz, 1H), 7.52 (t, J = 8.0 Hz, 1H), 2.66 (s,3 H).
LCMS(방법 A): 2.295분, 95.98%, 254.0 nm, MS: ES+ 256.10 (M+2)
단계-3:
DCM(15 mL) 중의 8-브로모-3-(메틸티오) 퀴놀린(A9, 1.5 g, 5.9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 0℃에서 m-CPBA(1.52 g, 8.85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7.0:3.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DCM(3x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 중 2% MeOH)에 의해 정제하여 8-브로모-3-(메틸설피닐) 퀴놀린(A10, 0.55 g, 2.04 mmol, 수율: 34.50%)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23 (d, J = 2.0 Hz, 1H), 8.80 (d, J = 2.4 Hz, 1H), 8.29 (dd, J = 7.6, 2.0 Hz, 1H), 8.23 (dd, J = 8.0 Hz, 1.2 Hz, 1H), 7.65 (t, J = 8.0 Hz, 1H), 2.97 (s, 3H).
LCMS(방법 A): 1.553분, 96.36%, 254.0 nm, MS: ES+ 272.00 (M+2)
단계-4:
디옥산(2.0 mL) 및 물(0.5 mL) 중의 8-브로모-3-(메틸설피닐) 퀴놀린(A10, 0.25 g, 0.925 mmol, 1.0 당량), 4,4,5,5-테트라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1,3,2-디옥사보로란(A2, 0.38 g, 1.388 mmol, 1.5 당량) 및 Na2CO3(0.29 g, 2.776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서 Pd(dppf)Cl2.DCM(0.075 g, 0.092 mmol, 0.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7.0:3.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00℃에서 3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4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헥산 중의 7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메틸설피닐)-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화합물 14, 0.07 g, 0.206 mmol, 수율: 22.78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11 (d, J = 2.0 Hz, 1H), 8.70 (d, J = 2.0 Hz, 1H), 8.10 - 8.07 (m, 1H), 7.70 - 7.67 (m, 2H), 5.86 (br s, 1H), 2.94 (s, 3H), 2.77 - 2.67 (m, 3H), 2.33 - 2.28 (m, 1H), 2.10 - 2.07 (m, 1H), 1.72 - 1.67 (m, 1H). 주석: CF3-CH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10 (d, J = 1.6 Hz, 1H), 8.69 (d, J = 2.4 Hz, 1H), 8.01 (dd, J = 7.6, 2.4 Hz, 1H), 7.74 - 7.68 (m, 2H), 5.87 (br s, 1H), 3.01 (s, 3H), 2.83 - 2.78 (m, 1H), 2.72 - 2.61 (m, 2H), 2.55 - 2.51 (m, 1H), 2.40 - 2.33 (m, 1H), 2.18 - 2.15 (m, 1H), 1.91 - 1.82 (m, 1H). 주석: 소량의 지방족 불순물이 관찰됨.
LCMS(방법 A): 2.357분, 97.92%, 254.0 nm, MS: ES+ 340.06 (M+1)
HPLC(방법 A): 8.493분, 98.25%, 254.0 nm
실시예 14 - 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의 합성
단계-1:
THF(20 mL) 중의 2-아미노-3-브로모벤조산(CAS: 20776-51-6)(5.0 g, 23.14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BH3.THF(THF 중 1M, 81.0 mL, 81.007 mmol, 3.5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70℃에서 1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MeOH로 켄칭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얻었다. 잔류물을 물(100 mL)과 함께 교반하고, 여과시켰다. 잔류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증발시켜 옅은 갈색 고체로서 (2-아미노-3-브로모-페닐) 메탄올(A11, 4.4 g, 21.78 mmol, 94.09% 수율)을 얻었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7.41 (dd, J = 8.4, 1.6 Hz, 1H), 7.02 (d, J = 7.6 Hz, 1H), 6.60 (t, J = 8.0 Hz, 1H), 4.68 (s, 2H), 3.65 (br s, 3H). 주석: 소량의 지방족 불순물이 관찰됨
LCMS(방법 A): 1.667분, 98.41%, 254.0 nm, MS: ES+ 202.0 (M), 204.0 (M+2)
단계-2:
DCM(40 mL) 중의 (2-아미노-3-브로모-페닐) 메탄올(A11, 4.4 g, 21.78 mmol, 1 당량)의 용액에 MnO2(18.93 g, 232.40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6.0:4.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2-아미노-3-브로모벤즈알데히드(A12, 3.5 g, 17.50 mmol, 수율: 78.75%)를 얻었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9.85 (s, 1H), 7.64 (dd, J = 7.6, 1.6 Hz, 1H), 7.51 (dd, J = 7.6, 1.6 Hz, 1H), 6.70 (t, J = 7.6 Hz, 1H) 주석: -NH2 양성자는 관찰되지 않음.
LCMS(방법 A): 1.966분, 98.98%, 254.0 nm, MS: ES+ 200.0 (M), 201.99 (M+2)
단계-3:
EtOH(4 mL) 중의 (A12, 380 mg, 1.8996 mmol, 1 당량)의 용액에 L-프롤린(109 mg, 0.9498 mmol, 0.5 당량) 및 CAS 922-67-80(0.22mL, 2.4695 mmol, 1.3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80℃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얻었다. 잔류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60-12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8-브로모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3, 374 mg, 1.41 mmol, 73.99% 수율)을 얻었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9.59 (d, J = 2.0 Hz, 1H), 8.89 (d, J = 2.0 Hz, 1H), 8.20 (dd, J = 7.6, 1.6 Hz, 1H), 7.95 (dd, J = 8.4, 1.2 Hz, 1H), 7.52 (t, J = 8.0 Hz, 1H), 4.06 (s, 3H).
LCMS(방법 B): 2.61분, 100%, 254.0 nm, MS: ES+ 268.02 (M+2)
단계-4:
디옥산(7 mL) 및 물(3 mL) 중의 4,4,5,5-테트라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1,3,2-디옥사보로란(A2, 1.14 g, 4.133 mmol, 1.1 당량), 메틸 8-브로모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3, 1.0 g, 3.758 mmol, 1.0 당량) 및 K3PO4(1.59 g, 7.516 mmol, 2.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서 Pd(dppf)Cl2 .DCM(0.306 g, 0.375 mmol, 0.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2.0:8.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00℃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5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4, 0.72 g, 2.147 mmol, 수율: 57.20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9 (d, J = 2.0 Hz, 1H), 9.00 (d, J = 2.0 Hz, 1H), 8.13 (dd, J = 7.6, 1.6 Hz, 1H), 7.71 - 7.64 (m, 2H), 5.86 (br s, 1H), 3.95 (s, 3H), 2.80 - 2.77 (m, 1H), 2.69 - 2.66 (m, 3H), 2.31 - 2.27 (m, 1H), 2.09 - 2.06 (m, 1H), 1.72 - 1.66 (m, 1H).
LCMS(방법 A): 2.903분, 100.0%, 210.0 nm, MS: ES+ 336.06 (M+1)
단계-5:
MeOH: H2O(10 mL, 7:3) 중의 메틸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4, 1.0 g, 2.982 mmol, 1.0 당량) 및 NaOH(0.59 g, 14.912 mmol, 5.0 당량)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제조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6.0:4.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4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얻은 잔류물을 빙수에 붓고, 이후 여과시켜 원하는 생성물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8 g, 2.489 mmol, 수율: 83.8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13.54 (br s, 1H), 9.29 (d, J = 2.4 Hz, 1H), 8.98 (d, J = 2.4, Hz, 1H), 8.12 (dd, J = 7.6, 2.0 Hz, 1H), 7.71 - 7.64 (m, 2H), 5.87 (br s, 1H), 2.84 - 2.67 (m, 3H), 2.47 - 2.42 (m, 1H), 2.33 - 2.24 (m, 1H), 2.10 - 2.07 (m, 1H), 1.75 - 1.65 (m, 1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49 (d, J = 2.0 Hz, 1H), 9.42 (d, J = 2.0 Hz, 1H), 8.29 (dd, J = 8.4,1.2 Hz, 1H), 8.00 (dd, J = 7.2,1.2 Hz, 1H), 7.91 (t, J = 8.0 Hz, 1H), 6.02 (br s, 1H), 2.78 - 2.71 (m, 2H), 2.68 - 2.57 (m, 2H), 2.47 - 2.40 (m, 1H), 2.25 - 2.21 (m, 1H), 1.98 - 1.88 (m, 1H). 주석: -COOH 양성자는 MeOD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475분, 100.0%, 254.0 nm, MS: ES+ 322.06 (M+1)
HPLC(방법 A): 4.280분, 99.77%, 254.0 nm
실시예 15 - 3-(메틸설포닐)-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화합물 16)의 합성
단계-1:
DCM(25 mL) 중의 5-브로모-3-(메틸티오) 퀴놀린(A9, 1.0 g, 3.93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서 m-클로로퍼벤조산(2.10 g, 11.80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1.0:1.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포화 중탄산나트륨 수용액(200 mL)로 희석시키고, DCM(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6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5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8-브로모-3-(메틸설포닐) 퀴놀린(A15, 0.50 g, 1.747 mmol, 수율: 44.41%)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41 (d, J = 2.4 Hz, 1H), 9.13 (d, J = 2.4 Hz, 1H), 8.39 (dd, J = 7.6, 1.2 Hz, 1H), 8.33 (dd, J = 8.0, 1.2 Hz, 1H), 7.72 (t, J = 8.0 Hz, 1H), 3.44 (s, 3H).
LCMS(방법 A): 1.807분, 95.24%, 254.0 nm, MS: ES+ 286.01 (M), 288.01 (M+2)
단계-2:
디옥산(15 mL) 중의 8-브로모-3-(메틸설포닐) 퀴놀린(A15, 0.3 g, 1.048 mmol, 1.0 당량), 4,4,5,5-테트라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1,3,2-디옥사보로란(A2, 0.289 g, 1.048 mmol, 1.0 당량) 및 K3PO4(0.666 g, 3.144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서 Pd(PPh3)4(0.242 g, 0.209 mmol, 0.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1.0:1.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00℃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1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1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메틸설포닐)-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화합물 16, 0.113 g, 0.317 mmol, 수율: 30.37%)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9 (d, J = 2.4 Hz, 1H), 9.02 (d, J = 2.4 Hz, 1H), 8.20 (dd, J = 7.6, 2.0 Hz, 1H), 7.79-7.73 (m, 2H), 5.88 (br s, 1H), 3.40 (s, 3H), 2.79 - 2.76 (m, 1H), 2.76 - 2.70 (m, 1H), 2.29 - 2.26 (m, 1H), 2.11 - 2.08 (m, 1H), 1.75 - 1.65 (m, 1H). 주석: 2H는 DMSO 용매와 겹쳐졌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d, J = 2.4 Hz, 1H), 8.96 (d, J = 2.4 Hz, 1H), 8.08 (dd, J = 8.0,1.6 Hz, 1H), 7.80 (dd, J = 7.2, 1.6 Hz, 1H), 7.76 - 7.72 (m, 1H), 5.89 (br s, 1H), 3.30 (s, 3H), 2.83 - 2.78 (m, 1H), 2.72 - 2.68 (m, 1H), 2.68 - 2.61 (m, 1H), 2.57 - 2.52 (m, 1H), 2.41 - 2.34 (m, 1H), 2.20 - 2.15 (m, 1H), 1.90 - 1.80 (m, 1H).
LCMS(방법 A): 2.560분, 95.70%, 254.0 nm, MS: ES+ 356.02 (M+1)
HPLC(방법 A): 9.069분, 95.08%, 254.0 nm
실시예 16 - N-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설폰아미드(화합물 17)의 합성
단계-1a:
디에틸 에테르(100 mL) 중의 페닐메탄티올 CAS: 100-53-8 (10.0 g, 80.64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a 금속(0.927 g, 40.257 mmol, 0.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3.0:7.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사용하여 여과시키고, 고체 물질을 디에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백색 고체로서 나트륨 페닐메탄티올레이트(A16, 6.0 g, 41.04 mmol, 수율: 50.9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25 (d, J = 9.2 Hz, 2H), 7.16 - 7.11 (m, 2H), 7.01 - 6.98 (m, 1H), 3.50 (br s, 2H).
단계-1:
DMF(25 mL) 중의 8-브로모-3-아이오도퀴놀린(A8, 3.0 g, 8.98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나트륨 페닐메탄티올레이트(A16, 1.83 g, 12.576 mmol, 1.4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시간 동안 80℃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1.0:9.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5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2.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3-(벤질티오)-8-브로모퀴놀린(A17, 1.5 g, 4.54 mmol, 수율: 50.56%)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91 (d, J = 2.4 Hz, 1H), 8.39 (d, J = 2.4 Hz, 1H), 8.07 (dd, J = 7.6,1.2 Hz, 1H), 7.92 (dd, J= 8.0, 1.2 Hz, 1H), 7.51 (t, J = 7.6 Hz, 1H), 7.41 (d, J = 7.2 Hz, 2H), 7.32 - 7.28 (m, 2H), 7.25 - 7.21 (m, 1H), 4.45 (s, 2H).
LCMS(방법-A): 2.780분, 97.22%, 254.0 nm, MS: ES+ 332.01 (M+2)
단계-2:
아세토니트릴, 아세트산 및 물 중의 3-(벤질티오)-8-브로모퀴놀린(A17, 1.5 g, 4.54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CAS: 118-52-5(1.91 g, 9.084 mmol, 2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3.0:7.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0℃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건조시키고, 이후 DCM으로 희석시키고, 0℃로 냉각시키고, 5% 수성 NaHCO3를 첨가하고, 15분 동안 0℃에서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고, 유기층을 염수 용액(50 ml)로 세척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5 g 조 8-브로모퀴놀린-3-설포닐 클로라이드(A18, 1.5 g, 4.893 mmol, 수율: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주석: 얻은 조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LCMS(방법 A): 2.455분, 11.07%, 254.0 nm, MS: ES+, 308.0 (M+2)
단계-3:
DCM(20 mL) 중의 8-브로모퀴놀린-3-설포닐 클로라이드(A18, 1.5 g, 4.893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CAS: 74-89-5(4.89 mL, 9.786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3.0:7.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2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50 mL)로 켄칭시키고, DCM(3x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4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8-브로모-N-메틸퀴놀린-3-설폰아미드(A19, 1.1 g, 3.652 mmol, 수율: 80.42%(2단계에 걸친 수율))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6 (d, J = 2.4 Hz, 1H), 8.96 (d, J = 2.0 Hz, 1H), 8.35 - 8.30 (m, 2H), 7.88 (q, J = 4.8 Hz, 1H), 7.69 (t, J = 8.0 Hz, 1H), 2.49 (s, 3H).
LCMS(방법 A): 1.859분, 100%, 254.0 nm, MS: ES+ 302.96 (M+2)
단계-4:
디옥산(2 mL) 및 물(0.4 mL) 중의 8-브로모-N-메틸퀴놀린-3-설폰아미드(A19, 0.1 g, 0.332 mmol, 1.0 당량), 4,4,5,5-테트라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1,3,2-디옥사보로란(A2, 0.11 g, 0.398 mmol, 1.2 당량) 및 Na2CO3(0.088 g, 0.83 mmol, 2.5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서 Pd(dppf)Cl2.DCM(0.013 g, 0.016 mmol, 0.0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1.0:1.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00℃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x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2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N-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설폰아미드(화합물 17, 0.079 g, 0.213 mmol, 수율: 64.23%)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13 (d, J = 2.4 Hz, 1H), 8.85 (d, J = 2.4 Hz, 1H), 8.17 (dd, J = 6.8, 2.8 Hz, 1H), 7.74 - 7.70 (m, 3H), 5.87 (br s, 1H), 2.80 - 2.66 (m, 4H), 2.49 (s, 3H), 2.32 - 2.25 (m, 1H), 2.10 - 2.07 (m, 1H), 1.74 - 1.67 (m, 1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17 (d, J = 2.4 Hz, 1H), 8.80 (d, J = 2.4 Hz, 1H), 8.04 (dd, J = 8.0,1.6 Hz, 1H), 7.77 - 7.69 (m, 2H), 5.88 (br s, 1H), 2.83 - 2.78 (m, 1H), 2.71 - 2.66 (m, 2H), 2.62 (s, 3H), 2.57 - 2.51 (m, 1H), 2.40 - 2.34 (m, 1H), 2.19 - 2.16 (m, 1H), 1.91 - 1.89 (m, 1H). 주석: -SO2NH 양성자는 MeOD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599분, 100%, 254.0 nm, MS: ES+ 371.12 (M+1)
HPLC(방법 A): 9.102분, 100%, 254.0 nm
실시예 17 - N-(1-(옥사졸-2-일)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8)의 합성
단계-1:
THF(4 mL) 중의 옥사졸 CAS: 288-42-6 (0.2 g, 2.89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78℃에서 n-BuLi(1.81 mL, 2.896 mmol, 헥산 중의 1.5 M, 1.0 당량)을 첨가하고, -78℃에서 1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하고, 이후 THF(1 mL) 중의 CAS: 3591-86-8(0.327 g, 2.896 mmol, 1.0 당량)을 N2하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1:1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N HCl(10 mL)로 켄칭시키고, DCM(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옥사졸-2-카르발데히드(A20, 0.25 g, 2.575 mmol, 수율: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72 (s, 1H), 7.95 (s, 1H), 7.66 (s, 1H).
LCMS(방법 A): 0.196분, 38.56%, 210.0 nm, MS: ES+, 97.9 (M+1)
단계-2:
THF(3 mL) 중의 옥사졸-2-카르발데히드(A20, 0.25 g, 2.5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CAS: 146374-27-8(0.374 g, 3.09 mmol, 1.2 당량) 및 CAS: 3087-36-3(1.17 g, 5.15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1:1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염수(5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E)-2-메틸-N-(옥사졸-2-일메틸렌) 프로판-2-설피나미드(A21, 0.15 g, 2.496 mmol, 수율: 25.87%(2단계에 걸친 수율))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45 (s, 1H), 8.29 (s, 1H), 7.63 (s, 1H), 1.19 (s, 9H).
LCMS(방법 A): 1.551분, 98.61%, 254.0 nm, MS: ES+ 201.10 (M+1)
단계-3:
DCM(3 mL) 중의 (E)-2-메틸-N-(옥사졸-2-일메틸렌) 프로판-2-설피나미드 (A21, 0.150 g, 0.74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 0℃에서 CH3MgBr(0.27 mL, 0.823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1.0:1.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0℃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NH4Cl 용액(5 mL)로 켄칭시키고, DCM(3x10 mL)로 추출하였다. 이후 조 물질을 MeOH(5 mL)에 용해시키고, 디옥산 중의 4 M HCl(0.347 mL, 1.388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4.0:1.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1-(옥사졸-2-일) 에탄-1-아민(A22, 0.08 g, 0.713 mmol, 수율: 71.8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81 (s, 2H), 8.24 (d, J=0.8 Hz, 1H), 7.32 (d, J= 0.8, 1H), 4.68 - 4.65 (m, 1 H), 1.56 (d, J=6.8 Hz, 3H). (MeOH 미량이 관찰됨).
단계-4: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5, 0.2 g, 0.622 mmol, 1.0 당량), HATU(0.35 g, 0.933 mmol, 1.5 당량) 및 DIPEA(0.32 mL, 1.867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1-(옥사졸-2-일) 에탄-1-아민(A22, 0.139 g, 0.933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7:3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2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x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6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1-(옥사졸-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8, 0.141 g, 0.333 mmol, 수율: 54.53%)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35 (d, J = 7.6 Hz, 1H), 9.27 (d, J = 2.0 Hz, 1H), 8.85 (d, J= 2.0 Hz, 1H), 8.08 (s, 1H), 8.02 - 8.00 (m, 1H), 7.66 - 7.62 (m, 2H), 7.19 (s, 1H), 5.87 (br s, 1H), 5.40 - 5.36 (m, 1H), 2.80-2.67 (m, 3H), 2.32 - 2.28 (m, 1H), 2.09-2.07 (m, 1H), 1.71-1.65 (m, 1H), 1.61 (d, J=7.6 Hz, 3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2.4 Hz, 1H), 8.83 (d, J= 2.4 Hz, 1H), 7.97 (dd, J= 8.0,2.0 Hz, 1H), 7.92 (d, J=0.4 Hz, 1H), 7.7 - 7.63 (m, 2H), 7.18 (d, J=0.4 Hz, 1H), 5.87 (br s, 1H), 5.52 - 5.46 (m, 1H), 2.75 - 2.68 (m, 1H), 2.68-2.65 (m, 2H), 2.56-2.51 (m, 1H), 2.40 - 2.37 (m, 1H), 2.18-2.14 (m, 1H), 1.92-1.83 (m, 1H), 1.73 (d, J= 6.8 Hz, 3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466분, 100%, 254.0 nm, MS: ES+ 416.18 (M+1)
HPLC(방법 A): 8.717분, 99.37%, 254.0 nm
실시예 18 - N-(1-(옥사졸-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9-22)의 키랄 분리
절차:
화합물 18(0.131 g) 라세미체를 (CHIRALPAK IG 250X50 mm 5um) 컬럼 상에서의 키랄 SFC 정제에 적용하였고, 여기서 다음의 3개의 피크를 분리하였다: 피크 1(0.051 g, 수율 = 38.93%), 피크 2(화합물 19, 0.0172 g 수율=13.13%), 및 피크 3(화합물 20 0.0142 g 수율 = 10.84%)
컬럼 ID: CHIRALPAK IG 250X50 mm 5um
이동상 A: LIQ. CO2
이동상 B: MEOH-ACN(50-50) 중의 0.1% M.NH3
유량 (ML/MIN): 170
장비 ID: 2489 UV 검출기를 가진 WATERS SFC 350
방법: 시간: 흐름: %A: %B (0.01:170:55:45), (17:170:55:45)
화합물 19: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35 (d, J = 7.6 Hz, 1H), 9.27 (d, J = 2.4 Hz, 1H), 8.86 (d, J = 2.4 Hz, 1H), 8.08 (d, J = 0.8 Hz, 1H), 8.03 - 8.00 (m, 1H), 7.67 - 7.63 (m, 2H), 7.19 (d, J = 0.4 Hz, 1H), 5.88 (br s, 1H), 5.40 - 5.36 (m, 1H), 2.72 - 2.67 (m, 4H), 2.33 - 2.29 (m, 1H), 2.10 - 2.07 (m, 1H), 1.71-1.67 (m, 1H), 1.61 (d, J = 6.8 Hz, 3H)(주석: -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d, J = 2.4 Hz, 1H), 8.83 (d, J = 2.0 Hz, 1H), 7.98 (dd, J = 7.6, 1.6 Hz, 1H), 7.92 (d, J = 0.8 Hz, 1H), 7.71 - 7.64 (m, 2H), 7.18 (s, 1H), 5.87 (br s, 1H), 5.52 - 5.47 (m, 1H), 2.79 - 2.66 (m, 4H), 2.56 - 2.37(m ,1H), 2.18-2.15 (m, 1H), 1.93-1.82 (m, 1H),1.73 (d, J = 7.2 Hz, 3 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2.465분, 100%, 254.0 nm, MS: ES+ 416.2 (M+1)
HPLC(방법 A): 8.775분, 100%, 254.0 nm
화합물 20: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35 (d, J = 7.6 Hz, 1H), 9.27 (d, J = 2.4 Hz, 1H), 8.86 (d, J = 2.4 Hz, 1H), 8.08 (d, J = 0.8 Hz, 1H), 8.03 - 8.00 (m, 1H), 7.67 - 7.63 (m, 2H), 7.19 (d, J = 0.4 Hz, 1H), 5.88 (br s, 1H), 5.40 - 5.36 (m, 1H), 2.72 - 2.67 (m, 4H), 2.33 - 2.29 (m, 1H), 2.10 - 2.07 (m, 1H), 1.71-1.67 (m, 1H), 1.61 (d, J = 6.8 Hz, 3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d, J = 2.4 Hz, 1H), 8.83 (d, J = 2.0 Hz, 1H), 7.98 (dd, J = 7.6, 1.6 Hz, 1H), 7.92 (d, J = 0.8 Hz, 1H), 7.71 - 7.64 (m, 2H), 7.18 (s, 1H), 5.87 (br s, 1H), 5.52 - 5.47 (m, 1H), 2.79 - 2.66 (m, 4H), 2.56 - 2.37(m ,1H), 2.18-2.15 (m, 1H), 1.93-1.82 (m, 1H),1.73 (d, J = 7.2 Hz, 3 H)(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2.466분, 100%, 254.0 nm, MS: ES+ 416.2 (M+1)
HPLC(방법 A): 8.772분, 99.71%, 254.0 nm
화합물 21 & 화합물 22의 키랄 분리:
절차: 피크 1 이성질체 1(화합물 21, 0.0131 g, 수율 = 26.20%), 및 피크 1 이성질체 2(화합물 22, 0.0129 g, 수율 = 25.80%)를 얻기 위해 피크 1(0.051 g)을 추가로 (CHIRALPAK IG 250X50 mm 5um) 컬럼 상에서의 키랄 SFC 정제에 적용하였다.
컬럼 ID: CHIRALPAK IG 250X50 mm 5um
이동상 A: LIQ. CO2
이동상 B: IPA-MEOH(70-30) 중의 0.1% M.NH3
유량 (ML/MIN): 150
장비 ID: 2489 UV 검출기를 가진 WATERS SFC 350
방법: 시간: 흐름: %A: %B (0.01:150:70:30),( 18: 150:70:30)
화합물 21: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35 (d, J = 7.6 Hz, 1H), 9.27 (d, J = 2.4 Hz, 1H), 8.86 (d, J = 2.4 Hz, 1H), 8.08 (d, J = 0.8 Hz, 1H), 8.03 - 8.00 (m, 1H), 7.67 - 7.63 (m, 2H), 7.19 (d, J = 0.4 Hz, 1H), 5.88 (br s, 1H), 5.40 - 5.36 (m, 1H), 2.72 - 2.67 (m, 4H), 2.33 - 2.29 (m, 1H), 2.10 - 2.07 (m, 1H), 1.71-1.67 (m, 1H), 1.61 (d, J = 6.8 Hz, 3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d, J = 2.4 Hz, 1H), 8.83 (d, J = 2.0 Hz, 1H), 7.98 (dd, J = 7.6, 1.6 Hz, 1H), 7.92 (d, J = 0.8 Hz, 1H), 7.71 - 7.64 (m, 2H), 7.18 (s, 1H), 5.87 (bs, 1H), 5.52 - 5.47 (m, 1H), 2.79 - 2.66 (m, 4H), 2.56 - 2.37(m ,1H), 2.18-2.15 (m, 1H), 1.93-1.82 (m, 1H),1.73 (d, J = 7.2 Hz, 3 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2.427분, 100%, 254.0 nm, MS: ES+ 416.2 (M+1)
HPLC(방법 A): 8.859분, 100%, 254.0 nm
화합물 22: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35 (d, J = 7.6 Hz, 1H), 9.27 (d, J = 2.4 Hz, 1H), 8.86 (d, J = 2.4 Hz, 1H), 8.08 (d, J = 0.8 Hz, 1H), 8.03 - 8.00 (m, 1H), 7.67 - 7.63 (m, 2H), 7.19 (d, J = 0.4 Hz, 1H), 5.88 (br s, 1H), 5.40 - 5.36 (m, 1H), 2.72 - 2.67 (m, 4H), 2.33 - 2.29 (m, 1H), 2.10 - 2.07 (m, 1H), 1.71-1.67 (m, 1H), 1.61 (d, J = 6.8 Hz, 3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d, J = 2.4 Hz, 1H), 8.83 (d, J = 2.0 Hz, 1H), 7.98 (dd, J = 7.6, 1.6 Hz, 1H), 7.92 (d, J = 0.8 Hz, 1H), 7.71 - 7.64 (m, 2H), 7.18 (s, 1H), 5.87 (br s, 1H), 5.52 - 5.47 (m, 1H), 2.79 - 2.66 (m, 4H), 2.56 - 2.37(m ,1H), 2.18-2.15 (m, 1H), 1.93-1.82 (m, 1H),1.73 (d, J = 7.2 Hz, 3 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2.420분, 100%, 254.0 nm, MS: ES+ 416.1 (M+1)
HPLC(방법 A) : 8.851분, 100%, 254.0 nm
실시예 19 - N-(2-(메틸티오)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3)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1 g, 0.3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16 mL, 0.93 mmol, 3.0 당량) 및 HATU(0.17 g, 0.46 mmol, 1.5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CAS: 18542-42-2) 2-(메틸티오) 에탄-1-아민(0.028 g, 0.31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4.0:6.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1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2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N-(2-(메틸티오)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3, 0.055 g, 0.13 mmol, 수율: 45.0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 1H), 8.96 (t, J = 5.6 Hz, 1H), 8.79 (d, J = 2.0 Hz, 1H), 8.02 - 7.99 (m, 1H), 7.65 - 7.61 (m, 2H), 5.86 (br s, 1H), 3.53 (q, J = 6.4 Hz, 2H), 2.80 - 2.77 (m, 1H), 2.72 - 2.67 (m, 4H), 2.32 - 2.20 (m, 1H), 2.13 - 2.06 (m, 4H), 1.74-1.67 (m, 1H). (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5 (d, J = 2.0 Hz, 1H), 7.96 (d, J = 8.0 Hz, 1H), 7.69-7.62 (m, 2H), 5.86 (br s, 1H), 3.68 (t, J = 6.8 Hz, 2H), 2.80 (t, J = 7.2 Hz, 3H), 2.68 - 2.60 (m, 2H), 2.55 - 2.50 (m, 1H), 2.40 - 2.33 (m, 1H), 2.19 - 2.15 (m, 4H), 1.92-1.81 (m, 1H)(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614분, 95.77%, 254 nm, MS: ES+ 395.12 (M+1)
HPLC(방법 B): 9.433분, 95.17%, 254 nm
실시예 20 - N-(2-(메틸설피닐)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4)의 합성:
단계-1:
DCM(1 mL) 중의 N-(2-(메틸티오)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3, 0.1 g, 0.2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생성된 혼합물에 DCM(0.5 mL) 중의 m-CPBA(60% 검정)(0.026 g, 0.25 mmol, 1.0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적하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 DCM; 0.5:9.5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 mL)로 희석시키고, 포화 NaHCO3(5 mL)의 용액을 사용하여 염기성화시키고, DCM(3 x 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1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DCM 중 3% MeOH)에 의해 정제하여 N-(2-(메틸설피닐)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4, 0.055 g, 0.13 mmol, 수율: 52.88%)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9.13 (t, J = 5.2 Hz, 1H), 8.80 (d, J = 2.0 Hz, 1H), 8.02-8.00 (m, 1H), 7.65 - 7.62 (m, 2H), 5.87 (br s, 1H), 3.77-3.64 (m, 2H), 3.15-3.08 (m, 1H), 2.97-2.91 (m, 1H), 2.79 - 2.71 (m, 2H), 2.62 (s, 3H), 2.32 - 2.25 (m, 1H), 2.10 - 2.07 (m, 1H), 1.74-1.67 (m, 1H). (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76 (d, J = 2.0 Hz, 1H), 7.96 (t, J = 6.4 Hz, 1H), 7.69-7.63 (m, 2H), 5.86 (br s, 1H), 3.95-3.89 (m, 2H), 3.28-3.23 (m, 1H), 3.13-3.07 (s, 1H), 2.76 (s, 4H), 2.68-2.65 (m, 2H), 2.55 - 2.51 (m, 1H), 2.40 - 2.37 (m, 1H), 2.18 - 2.15 (m, 1H), 1.89-1.85 (m, 1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121분, 100%, 254 nm, MS: ES+ 411.1 (M+1)
HPLC(방법 B): 7.334분, 99.45%, 254 nm
실시예 21 - N-(2-(메틸 설포닐)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5)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1 g, 0.3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27 mL, 1.55 mmol, 5.0 당량) 및 HATU(0.17 g, 0.46 mmol, 1.5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2-(메틸 설포닐) 에탄-1-아민(CAS:104458-24-4)(0.049 g, 0.31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EtOAc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냉각수(3 x 3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한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N-(2-(메틸 설포닐)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5, 0.053 g, 0.12 mmol, 수율: 40.15%)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9.09 (t, J = 5.2 Hz, 1H), 8.79 (d, J = 1.6 Hz, 1H), 8.02 - 8.00 (m, 1H), 7.65 - 7.62 (m, 2H), 5.87 (br s, 1H), 3.77 (q, J = 6.4 Hz, 2H), 3.44 (t, J = 6.8 Hz, 2H), 3.07 (s, 3H), 2.80 - 2.77 (m, 1H), 2.71 - 2.67 (m, 2H), 2.46 - 2.43 (m, 1H), 2.32 - 2.28 (m, 1H), 2.10 - 2.07 (m, 1H), 1.71 - 1.67 (m, 1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6 (d, J = 2.0 Hz, 1H), 7.97 (dd, J = 7.6, 3.6 Hz, 1H), 7.69 - 7.63 (m, 2H), 5.86 (s, 1H), 3.95 (t, J = 6.4 Hz, 2H), 3.51 (t, J = 6.8 Hz, 2H), 3.09 (s, 3H), 2.78 - 2.74 (m, 1H), 2.68 - 2.64 (m, 2H), 2.55 - 2.51 (m, 1H), 2.40 - 2.37 (m, 1H), 2.18 - 2.15 (m, 1H), 1.89 - 1.85 (m, 1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290분, 98.55%, 254 nm, MS: ES+ 427.2 (M+1)
HPLC(방법 B): 8.152분, 98.63%, 254 nm
실시예 22 -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6)의 합성:
단계-1:
DMF(5.0 mL) 중의 8-브로모퀴놀린-3-카르복실산(A3, 0.50 g, 1.9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3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76 g, 5.95 mmol, 3.0 당량) 및 HATU(1.12 g, 2.97 mmol,1.5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이소프로필 아민(CAS:75-31-0)(0.11 g, 1.98 mmol,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1.0: 1.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EtOAc(50 mL) 및 H2O(50 mL)에 의해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고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230-400 메쉬 크기 실리카를 사용하는 콤비-플래시에 의해 정제하였고, 생성물을 12% EtOAc: 헥산으로 용리시켜 8-브로모-N-이소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A23, 0.323 g, 1.101 mmol, 수율: 55.59%)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3 (d, J = 2.0 Hz, 1H), 8.86 (d, J = 2.0 Hz, 1H), 8.67 (d, J = 4.8 Hz, 1H), 8.24 (d, J = 6.8 Hz, 1H), 8.14 (d, J = 8.0 Hz, 1H), 7.61 (t, J = 8.0 Hz, 1H), 4.21 - 4.12 (m, 1H), 1.23 (d, J = 6.4 Hz, 6H).
LCMS(방법 A): 1.866분, 99.55%, 254 nm, MS: ES+ 294 (M+1)
단계-2:
디옥산: H2O(3: 1) 중의 A23(0.1 g ,0.34 mmol, 1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CAS: 1227068-84-9(0.08 g, 0.33 mmol, 1 당량), Na2CO3(0.10 g,1.02 mmol, 3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N2로 퍼징시켰다. 그 후, Pd(dppf)Cl2(0.02 g, 0.03 mmol, 0.1 당량)을 첨가하고,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50% EtOAc: 헥산)에 의해 모니터링하여 110℃에서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2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고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230-400 메쉬 크기 실리카를 사용하는 콤비-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고, 생성물을 10% EtOAc: 헥산으로 용리시켜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6, 0.074 g, 0.223 mmol, 수율: 66.07%)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1.6 Hz, 1H), 8.79 (d, J = 1.6 Hz, 1H), 8.56 (d, J = 7.2 Hz, 1H), 8.01 (t, J = 5.6 Hz, 1H), 7.63 (t, J = 7.2 Hz, 2H), 5.76 (br s, 1H), 4.18 - 4.13 (m, 1H), 2.90 (br s, 2H), 2.79 (t, J = 14.8 Hz, 2H), 2.25 - 2.18 (m, 2H), 1.21 (d, J = 6.4 Hz, 6H).
LCMS(방법 A): 2.313분, 96.62%, 254.0 nm, MS: ES+ 331.2 (M+1)
HPLC(방법 B): 8.486분, 254.0 nm에서 99.62%.
실시예 23 - (S)-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피리딘-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7)의 합성
단계-1:
디옥산: 물(9:1) 중의 메틸 8-브로모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3, 0.4 g, 1.50 mmol, 1.0 당량), 2-(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CAS: 1227068-84-9)(0.36 g, 1.50 mmol, 1.0 당량) 및 Na2CO3(0.47 g, 4.50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N2 분위기하에서 실온에서 3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반응 용액을 15분 동안 실온에서 N2로 탈기시켰다. 이 반응 용액에 PdCl2(dppf)(0.10 g, 0.15 mmol, 0.1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유리 바이알을 마개로 밀봉하였고, 16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3.0:7.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10℃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10 mL)로 희석시키고, 셀라이트 층을 통해 이를 여과시키고, 이를 EtOAc(30 mL)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7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1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24, 0.3 g, 0.98 mmol, 수율: 65.93%)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1 (d, J = 2.0 Hz, 1H), 9.02 (d, J = 2.0 Hz, 1H), 8.16 (dd, J = 8.0 Hz, 1.2 Hz, 1H), 7.73 (dd, J = 6.8 Hz, 1.2 Hz, 1H), 7.68 (t, J = 7.6 Hz, 1H), 5.76 (br s, 1H) 3.96 (s, 3H), 2.89 (br s, 2H), 2.83 - 2.75 (m, 2H), 2.27 - 2.17 (m, 2H).
LCMS(방법 A): 2.613분, 98.28%, 254 nm, MS: ES+ 304.1 (M+1)
단계-2:
MeOH: 물(7:3) 중의 메틸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24, 0.3 g, 0.9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3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NaOH(0.10 g, 2.630 mmol, 2.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유리 바이알을 마개로 밀봉하고, 4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3.0:7.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10℃에서 4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MeOH(5 mL)로 희석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에 pH가 산성이 될 때까지 시트르산의 수용액을 첨가하여 침전물을 얻었다. 얻은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10 mL)로 세척하고, 감소된 진공 상에서 건조시켜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 0.24 g, 0.82 mmol, 수율: 83.91%)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0 (d, J = 2.0 Hz, 1H), 8.97 (d, J = 2.0 Hz, 1H), 8.13 (dd, J = 8.0 Hz, 1.2 Hz, 1H), 7.72 - 7.64 (m, 2H), 5.76 (br s, 1H), 2.89 (br s, 2H), 2.79 (t, J = 14.4 Hz, 2H), 2.27 - 2.17 (m, 2H). 주석: -COOH 양성자는 DMSO 수분으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164분, 98.32%, 254 nm, MS: ES+ 290.1 (M+1)
단계-3:
DMF(1.0 mL) 중의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 0.1 g, 0.3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30 mL, 1.72 mmol, 5.0 당량) 및 HATU(0.19 g, 0.51 mmol, 1.5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1S)-1-(피리딘-2-일) 에탄-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40154-78-7)(0.067 g, 0.34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EtOAc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0℃ 내지 실온에서 1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S)-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피리딘-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7, 0.099 g, 0.25 mmol, 수율: 72.79%)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1 (d, J = 2.4 Hz, 1H), 9.20 (d, J = 8.0 Hz, 1H), 8.90 (d, J = 2.4 Hz, 1H), 8.54 (d, J = 4.0 Hz, 1H), 8.04 (dd, J = 7.2, 2.0 Hz, 1H), 7.78 (dt, J = 8.0 Hz, 2.0 Hz, 1H), 7.69 - 7.63 (m, 2H), 7.48 (d, J = 8.0 Hz, 1H), 7.29 - 7.26 (m, 1H), 5.77 (br s, 1H), 5.30 - 5.22 (m, 1H), 2.90 - 2.89 (m, 2H), 2.79 (t, J = 15.6 Hz, 2H), 2.26 - 2.19 (m, 2H), 1.55 (d, J = 6.8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9 (d, J = 2.4 Hz, 1H), 8.85 (d, J = 2.4 Hz, 1H), 8.55 (d, J = 4.4 Hz, 1H), 8.00 (d, J = 8.0 Hz, 1H), 7.87 - 7.83 (m, 1H), 7.70 - 7.63 (m, 2H), 7.54 (d, J = 8.0 Hz, 1H), 7.36 - 7.32 (m, 1H), 5.75 (br s, 1H), 5.35 (q, J = 7.2 Hz, 1H), 2.89 - 2.86 (m, 2H), 2.83 - 2.74 (m, 2H), 2.32 - 2.25 (m, 2H), 1.66 (d, J = 7.2 Hz, 3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027분, 95.17%, 210 nm, MS: ES+ 394.2 (M+1)
HPLC(방법 B): 8.283분, 98.25%, 254nm
키랄 HPLC(방법 C): 2.59분, 98.10%, 240 nm
실시예 24 - (S)-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8)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 0.1 g, 0.3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18 mL, 1.03 mmol, 3.0 당량) 및 HATU(0.19 g, 0.51 mmol, 1.5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S)-2-아미노프로판-1-올(CAS: 2749-11-3)(0.025 g, 0.34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EtOAc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0℃ 내지 실온에서 1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8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여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S)-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8, 0.075 g, 0.21 mmol, 수율: 63.02%)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6 (d, J = 2.4 Hz, 1H), 8.81 (d, J = 2.0 Hz, 1H), 8.47 (d, J = 7.6 Hz, 1H), 8.02 (dd, J = 7.6, 2.4 Hz, 1H), 7.67 - 7.62 (m, 2H), 5.76 (br s, 1H), 4.79 (t, J = 5.6 Hz, 1H), 4.10 - 4.06 (m, 1H), 3.53 - 3.48 (m, 1H), 3.42 - 3.37 (m, 1H), 2.89 (br s, 2H), 2.79 (t, J = 14.8 Hz, 2H), 2.25 - 2.18 (m, 2H), 1.18 (d, J = 6.4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2.4 Hz, 1H), 8.77 (d, J = 2.0 Hz, 1H), 7.98 (dd, J = 8.0, 1.6 Hz, 1H), 7.69 - 7.59 (m, 2H), 5.75 (br s, 1H), 4.32 - 4.24 (m, 1H), 3.68 (dd, J = 17.6 Hz, 11.6 Hz, 2H), 3.67 (s, 1H), 3.01 (br s, 2H), 2.89 - 2.74 (m, 2H), 2.34 - 2.24 (m, 2H), 1.39 - 1.28 (m, 3H). (주석: -NH 및 -O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1.970분, 98.04%, 254 nm, MS: ES+ 347.2 (M+1)
HPLC(방법 B): 7.064분, 97.63%, 254nm
키랄 HPLC(방법 C): 2.79분, 99.18%, 248nm
실시예 25 -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옥사졸-2-일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9)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 0.1 g, 0.3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30 mL, 1.72 mmol, 5.0 당량) 및 HATU(0.19 g, 0.51 mmol, 1.5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옥사졸-2-일메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46 g, 0.34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10.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0℃ 내지 실온에서 1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옥사졸-2-일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29, 0.085 g, 0.23 mmol, 수율: 66.92%)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53 (t, J = 5.2 Hz, 1H), 9.28 (d, J = 2.0 Hz, 1H), 8.87 (d, J = 2.0 Hz, 1H), 8.09 (s, 1H), 8.04 (dd, J = 7.6 Hz, 1.6 Hz, 1H), 7.69 - 7.63 (m, 2H), 7.19 (s, 1H), 5.77 (br s, 1H), 4.67 (d, J = 5.6 Hz, 2H), 2.90 (br s, 2H), 2.79 (t, J = 14.4 Hz, 2H), 2.27 - 2.17 (m, 2H).
LCMS(방법 A): 2.111분, 97.20%, 254 nm, MS: ES+ 370.1 (M+1)
HPLC(방법 B): 7.544분, 98.69%, 254 nm
실시예 26 - 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0)의 합성:
단계-1:
디옥산: H2O(3: 1) 중의 A23(0.1 g, 0.34 mmol, 1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CAS: 859217-67-7(0.08 g, 0.33 mmol, 1 당량), Na2CO3(0.10 g, 1.02 mmol, 3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N2로 퍼징시켰다. 그 후 Pd(dppf)Cl2(0.02 g, 0.03 mmol, 0.1 당량)을 첨가하고,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50% EtOAc: 헥산)로 모니터링하여 110℃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H2O(2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고진공하에서 농축시켰다. 조 생성물을 230-400 메쉬 크기 실리카를 사용하는 콤비-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7% EtOAc: 헥산으로 용리시켜 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0, 0.051 g, 0.158 mmol, 수율: 46.40%)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1H), 8.76 (d, J = 2.0 Hz, 1H), 8.56 (d, J = 7.6 Hz, 1H), 7.98 - 7.96 (m, 1H), 7.63 - 7.59 (m, 2H), 5.73 (br s, 1H), 4.20 - 4.11 (m, 1H), 2.61 (br s, 2H), 2.01 (br s, 2H), 1.52 (t, J = 6.4 Hz, 2H), 1.21 (d, J = 6.4 Hz, 6H),1.05 (s, 6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2 (d, J = 2 Hz,1H), 8.71 (d, J = 2.0 Hz, 1H), 7.93 - 7.90 (m, 1H), 7.62 - 7.59 (m, 2H), 5.78 (br s, 1H), 4.32 - 4.26 (m, 1H), 2.61 (s, 2H), 2.07 - 2.03 (m, 2H), 1.64 (t, J = 6.4 Hz, 2H), 1.48 (d, J = 6.8 Hz, 6H), 0.94 (s, 6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797분, 100%, 254 nm, MS: ES+ 323.2 (M+1).
HPLC(방법 B): 10.612분, 254 nm에서 100%.
실시예 27 - (S)-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피리딘-2-일)에틸) 퀴놀린 -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6, 0.1 g, 0.3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30 mL, 1.03 mmol, 5.0 당량) 및 HATU(0.20 g, 0.53 mmol, 1.5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S)-1-(피리딘-2-일) 에탄 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40154-78-7)(0.069 g, 0.35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EtOAc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0℃ 내지 실온에서 1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4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S)-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피리딘-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1, 0.078 g, 0.20 mmol, 수율: 56.93%)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1 (d, J = 2.0 Hz, 1H), 9.18 (d, J = 7.6 Hz, 1H), 8.86 (d, J = 2.0 Hz, 1H), 8.54 (d, J = 4.0 Hz, 1H), 8.00 - 7.98 (m, 1H), 7.77 (dt, J = 7.6 Hz, 1.6 Hz, 1H), 7.64 - 7.61 (m, 2H), 7.47 (d, J = 8.0 Hz, 1H), 7.29 - 7.26 (m, 1H), 5.74 (br s, 1H), 5.27 - 5.24 (m, 1H), 2.62 (br s, 2H), 2.01 (br s, 2H), 1.56 - 1.51 (m, 5H), 1.05 (s, 6H).
LCMS(방법 A): 2.560분, 100%, 254 nm, MS: ES+ 386.2 (M+1)
HPLC(방법 B): 10.376분, 100%, 254 nm
키랄 HPLC(방법 C): 9.687분, 100%, 240 nm
실시예 28 - (S)-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2)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A26(0.090 g, 0.31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124 g, 0.950 mmol, 3.0 당량) 및 HATU(0.18 g, 0.470 mmol, 1.5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S)-2-아미노프로판-1-올(CAS: 2749-11-3)(0.024 g, 0.310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4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50 x 2)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분취 TLC로 정제하여 (S)-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2, 0.050 g, 0.147 mmol, 수율: 46.29%)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6 (s, 1H), 8.78 (s, 1H), 8.45 (d, J = 8.0 Hz, 1H), 7.97 (t, J = 4.8 Hz, 1H), 7.63 - 7.60 (m, 2H), 5.74 (br s, 1H), 4.79 (t, J = 5.6 Hz, 1H), 4.11 - 4.04 (m, 1H), 3.53 - 3.47 (m, 1H), 3.41 - 3.35 (m, 1H), 2.61 (br s, 2H), 2.01 (br s, 2H), 1.52 (t, J = 6.4 Hz, 2H), 1.17 (d, J = 6.8 Hz, 3H), 1.05 (s, 6H).
LCMS(방법 A): 2.411분, 100%, 254.0 nm, MS: ES+ 339.11 (M+1)
HPLC(방법 B): 8.906분, 100%, 254.0 nm
키랄 HPLC(방법 B): 4.01분, 100%, 260.0 nm
실시예 29 - 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옥사졸-2-일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3)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A26(0.1 g, 0.35 mmol, 1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0℃에서 DIPEA(0.19 g, 1.053 mmol, 3 당량) 및 HATU(0.20 g, 0.53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옥사졸-2-일메탄아민(0.03 g ,0.30 mmol, 1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7.0:3.0)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EtOAc(20 mL) 및 H2O(20 mL)에 의해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고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230-400 메쉬 크기 실리카를 사용하는 콤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고, 생성물을 50% EtOAc: 헥산으로 용리시켜 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옥사졸-2-일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3, 0.026 g, 0.074 mmol, 수율: 20.27%)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51 (br s, 1H), 9.27 (s, 1H), 8.84 (s,1H), 8.08 (s, 1H), 7.98 (t, J = 4.4 Hz 1H), 7.62 (d, J = 4.4 Hz, 2H), 7.19 (s, 1H), 5.74 (br s,1H), 4.66 (d, J = 5.2 Hz, 2H), 2.67 - 2.33 (m, 2H), 2.01 (br s, 2H), 1.52 (t, J = 5.6 Hz, 2H), 1.04 (s, 6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s, 1H), 8.79 (d, J = 2.0 Hz, 1H), 7.94 (t, J = 4.4 Hz, 2H), 7.66 - 7.61 (m, 2H), 7.18 (s,1H), 5.78 (br s, 1H), 4.66 (s, 2H), 2.62 (s, 2H), 2.04 (t, J = 10.0 Hz, 2H), 1.64 (t, J = 6.4 Hz, 2H), 1.10 (s, 6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569분, 254 nm에서 98.86%, MS: ES+ 362 (M+1)
HPLC(방법 B): 9.413분, 254 nm에서 100%.
실시예 30 - 8-(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4)의 합성:
단계-1:
디옥산: 물(4:1) 중의 A13(1.0 g, 3.750 mmol, 1.0 당량), 및 CAS: 141091-37-4(0.78 g, 3.75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35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Na2CO3(1.19 g, 11.20 mmol, 3.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15분 동안 질소로 퍼징시켰다. 질소 가스로의 퍼징 후 실온에서 PdCl2(dppf)를 첨가하였고, 이후 반응물을 11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로 모니터링하여 110℃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냉각수(200 mL)에 부었다. 이후 다시 에틸 아세테이트(2 x 200 mL)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고 이를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헥산 중의 7%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메틸 8-(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27, 0.6 g, 2.244 mmol, 수율: 59.7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0 (d, J = 2.0 Hz, 1H), 8.99 (d, J = 2.0 Hz, 1H), 8.10 (dd, J = 8.0 Hz, J = 2.0 Hz, 1H), 7.69 - 7.63 (m, 2H), 5.83 (br s, 1H), 3.95 (s, 3H), 2.57 (br s, 2H), 2.22 (br s, 2H), 1.78 - 1.70 (m, 4H).
LCMS(방법 A): 2.821분, 96.51%, 254.0 nm, MS: ES+ 268.10 (M+1)
단계-2:
MeOH: H2O(4.2: 1.8 mL) 중의 A27(0.6 g, 2.24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35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NaOH(0.179 g, 4.480 mmol, 2.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3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직접적으로 농축시키고, 이후 물(15 mL)를 첨가하고, 이후 시트르산으로 산성화시켜 백색 고체를 얻었다.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2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에서 건조시켜 8-(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8, 0.45 g, 1.776 mmol, 수율: 79.22%)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3.54 (br s, 1H), 9.29 (d, J = 2.0 Hz, 1H), 8.93 (d, J = 2.0 Hz, 1H), 8.07 (dd, J = 7.6 Hz, J = 2.0 Hz, 1H), 7.66 - 7.13 (m, 2H), 5.83 (br s, 1H), 2.58 (br s, 2H), 2.22 (br s, 2H), 1.77 - 1.70 (m, 4H).
LCMS(방법 A): 2.220분, 99.73%, 254.0 nm, MS: ES+ 254.10 (M+1)
단계-3:
DMF(1.0 mL) 중의 A28(0.1 g, 0.39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153 g, 1.180 mmol, 3.0 당량) 및 HATU(0.225 g, 0.590 mmol, 1.5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프로판-2-아민(CAS:75-31-0)(0.023 g, 0.390 mmol, 1.0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50 %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4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40 mL)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순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생성물을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8-(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4, 0.065 g, 0.220 mmol, 수율: 56.03%)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3 (d, J = 2.0 Hz, 1H), 8.76 (d, J = 2.0 Hz, 1H), 8.56 (d, J = 7.6 Hz, 1H), 7.96 (t, J = 4.8 Hz, 1H), 7.63 - 7.60 (m, 2H), 5.83 (br s, 1H), 4.18 - 4.11 (m, 1H), 2.67 (br s, 2H), 2.22 (br s, 2H), 1.77 - 1.70 (m, 4H), 1.21 (d, J = 6.8 Hz, 6H).
LCMS(방법 A): 2.397분, 100%, 254.0 nm, MS: ES+ 295.16 (M+1)
HPLC(방법 B): 9.316분, 99.74%, 254.0 nm
실시예 31 - (S)-8-(시클로헥스-1-엔-1-일)-N-(1-(피리딘-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5)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A28(0.1 g, 0.39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255 g, 1.900 mmol, 5.0 당량) 및 HATU(0.225 g, 0.590 mmol, 1.5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CAS: 40154-78-7(0.077 g, 0.390 mmol, 1.0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4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40 mL)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순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생성물을 헥산 중의 35%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키고, 분취 TLC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S)-8-(시클로헥스-1-엔-1-일)-N-(1-(피리딘-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5, 0.031 g, 0.086 mmol, 수율: 21.98%)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8 (d, J =2.0 Hz, 1H), 9.19 (d, J = 7.6 Hz, 1H), 8.87 (d, J =2.0 Hz,1H), 8.54 (d, J = 4.4 Hz,1H) 7.98 (t, J = 4.8 Hz, 1H), 7.78 (dt, J = 7.6 Hz, 1.6 Hz, 1H), 7.62 (d, J = 4.8 Hz, 2H), 7.47 (d, J = 8.0 Hz, 1H), 7.29 - 7.26 (m, 1H), 5.84 (br s, 1H), 5.29 - 5.22 (m, 1H), 2.59 (br s, 2H), 2.33 (br s, 2H), 1.77 - 1.70 (m, 4H), 1.55 (d, J = 7.2 Hz, 3H).
LCMS(방법 A): 2.131분, 100%, 210 nm, MS: ES+ 358.12 (M+1)
HPLC(방법 B): 9.162분, 99.49%, 254.0 nm
키랄 HPLC(방법 C): 2.88분, 98.97%, 241.0 nm
실시예 32 - (S)-8-(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6)의 합성:
단계-1:
절차:
DMF(1.0 mL) 중의 A28(0.1 g, 0.39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153 g, 1.110 mmol, 3.0 당량) 및 HATU(0.225 g, 0.590 mmol, 1.5 당량)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S)-2-아미노프로판-1-올(CAS: 2749-11-3)(0.030 g, 0.390 mmol, 1.0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35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50 mL)로 추출하고,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순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생성물을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S)-8-(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6, 0.055 g, 0.177 mmol, 수율: 45.08 %)로서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8 (d, J = 2.0 Hz, 1H), 8.46 (d, J = 8.0 Hz,1H), 7.96 (t, J = 4.8 Hz,1H), 7.63 - 7.60 (m, 2H), 5.83 (br s, 1H), 4.79 (t, J = 6.0 Hz, 1H), 4.11 - 4.04 (m. 1H), 3.53 - 3.48 (m, 1H), 3.41 - 3.37 (m, 1H), 2.59 (br s, 2H), 2.22 (br s, 2H), 1.77 - 1.70 (m, 4H), 1.17 (d, J = 6.4 Hz, 3H).
LCMS(방법 A): 2.006분, 95.61%, 254 nm, MS: ES+ 311.11 (M+1)
HPLC(방법 B): 7.558분, 97.76%, 254.0 nm
키랄 HPLC(방법 C): 2.85분, 100%, 241.0 nm
실시예 33 - 8-(시클로헥스-1-엔-1-일)-N-(옥사졸-2-일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7)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A28(0.1 g, 0.39 mmol, 1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0℃에서 DIPEA(0.15 g, 1.8 mmol, 3 당량), HATU(0.22 g, 0.58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옥사졸-2-일메탄아민(0.03 g, 0.39 mmol, 1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 DCM, 1.0: 9.0)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EtOAc(20 mL) 및 H2O(2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고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230-400 메쉬 크기 실리카를 사용하는 콤비-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생성물을 12% EtOAc: 헥산으로 용리시켜 8-(시클로헥스-1-엔-1-일)-N-(옥사졸-2-일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로서 생성하였다. (화합물 37, 0.042 g, 0.125 mmol, 수율: 32.06%).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52 (t, J = 5.2 Hz,1H), 9.27 (d, J = 2.0 Hz, 1H), 8.84 (d, J = 2.0 Hz, 1H), 8.09 (s, 1H), 7.99 - 7.97 (m, 1H), 7.62 (d, J = 4.0 Hz, 2H), 7.19 (s, 1H), 5.84 (br s, 1H), 4.67 (d, J = 5.2 Hz, 2H), 2.58 (br s, 2H), 2.22 (br s, 2H), 1.77 - 1.70 (m, 4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d, J = 2.4 Hz, 1H), 8.81 (d, J = 2.4 Hz, 1H), 7.95 (t, J = 6.0 Hz, 2H), 7.67 - 7.62 (m, 2H), 7.18 (s, 1H), 5.86 (br s, 1H), 4.79 (s, 2H), 2.56 (d, J = 1.6 Hz, 2H), 2.31 - 2.29 (m, 2H), 1.89 - 1.86 (m, 2H), 1.83 - 1.80 (m, 2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209분, 95.17%, 254 nm, MS: ES+ 334.1 (M+1)
HPLC(방법 B): 8.202분, 96.41%, 254 nm
실시예 34 - N-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8)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DMF(1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09 g, 0.280 mmol, 1.0 당량), HATU(0.159 g, 0.420 mmol, 1.5 당량) 및 DIPEA(0.14 ml, 0.84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74-89-5(0.021 g, 0.420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8:2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8, 0.035 g, 0.104 mmol, 수율: 37.3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80-8.74 (m, 2H), 8.01-7.99 (dd, J = 6.0 Hz, = 4.0 Hz, 1H), 7.64-7.61 (m, 2 H), 5.86 (br s,1H), 2.87 (d, J = 4.8 Hz ,3H), 2.87-2.59 (m, 1H), 2.80-2.50 (m, 2H), 2.33-2.24 (m, 2H), 2.33-2.07 (m, 1H), 1.74 - 1.64 (m, 1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4 (t, J = 2.4 Hz, 1H), 7.96 (dd, J = 7.6, 2.0 Hz, 1H), 7.69-7.63 (m, 2H), 5.86 (br s, 1H), 3.02 (s, 3H), 2.76-2.64 (m, 1H), 2.55-2.33 (m, 2H), 2.51 (s, 1H), 2.18-2.03 (m, 1 H),1.92-1.82 (br s, 1H), 1.92-1.82 (m, 1H)(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327분, 98.92%, 254.0 nm, MS: ES+ 429.3 (M+1)
HPLC(방법 A): 8.561분, 97.93%, 210.0 nm
키랄 HPLC(방법 A): 피크-1 3.73분, 49.03 %, 240.0 nm; 피크-2 4.02분, 50.02 %, 240.0 nm
실시예 35 - N-(2-하이드록시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9)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DMF(1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09 g, 0.280 mmol, 1.0 당량), HATU(0.159 g, 0.420 mmol, 1.5 당량) 및 DIPEA(0.14 ml, 0.84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141-43-5(0.025 g, 0.420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8:2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로서 헥산 중의 8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2-하이드록시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39, 0.034 g, 0.093 mmol, 수율: 33.32%)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81-8.80 (m, 2H), 8.00 (, J = 5.6, 4.7 Hz, 1H), 7.64-7.61 (m, 2H), 5.87 (br s, 1H), 4.80 (t, J = 5.6 Hz ,1H), 3.59-3.54 (q, J = 6.0 Hz, 2H), 3.42-3.34 (q, J = 6.0 Hz, 2H), 2.80-2.77 (m, 1H), 2.72-2.67 (m, 2H), 2.32-2.24 (m, 1 H), 2.10-2.07 (m, 1H), 1.74-1.64 (m, 1 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2.0 Hz, 1H), 8.78 (d, J = 2.4 Hz, 1H), 7.97 (dd, J = 7.6, 2 Hz, 1H), 7.69-7.63 (m, 2H), 5.86 (s, 1H), 3.78 (t, J = 5.6 Hz ,2H), 3.59 (t, J = 5.6 Hz, 2 H), 2.78-2.65 (m, 3 H), 2.55-2.51 (m,1 H), 2.40-2.37 (m,1 H), 2.18-2.15 (m, 1 H), 1.91-1.85 (m, 1 H). (주석: -NH 및 - O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154분, 100 %, 254.0 nm, MS: ES+ 365 (M+1)
HPLC(방법 A): 7.651분, 99.49%, 210.0 nm
키랄 HPLC(방법 A): 피크-1 4.25분, 49.65 %, 240.0 nm; 4.69분, 49.98 %, 240.0 nm
실시예 36 - N-(2-메톡시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0)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09 g, 0.280 mmol, 1.0 당량), HATU(0.160 g, 0.420 mmol, 1.5 당량) 및 DIPEA(0.15 mL, 0.84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109-85-3(0.0315 g, 0.420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7.0:3.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8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2-메톡시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0, 0.047 g, 0.124 mmol, 수율: 44.34%)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90 (br s, 1H), 8.81 (d, J = 2.0 Hz, 1H), 8.02-7.99 (m, 1H), 7.65 - 7.62 (m, 2H), 5.87 (br s, 1H), 3.51 (s, 4H), 3.30 (s, 3H), 2.81-2.69 (m, 3H), 2.29-2.25 (m, 1H), 2.09-2.07 (m, 1H), 1.74-1.64 (m, 1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1H), 8.77 (d, J = 2.4 Hz, 1H), 7.97 (dd, J = 1.6, 7.6 Hz, 1H), 7.69-7.63 (m, 2H), 5.87 (br s, 1H), 3.67 (s, 4H), 3.42 (s, 3H), 2.83 -2.65 (m, 3H), 2.55-2.51 (m, 1H), 2.41-2.34 (m, 1H), 2.18-2.15 (m, 1H), 1.93-1.82 (m, 1H)(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393분, 98.83%, 254.0 nm, MS: ES+ 379.1(M+1)
HPLC(방법 A): 8.672분, 97.52%, 254.0 nm
키랄 HPLC: 피크-1: 5.14분, 49.67%, 240 nm; 피크-2: 5.57분, 50.32%, 240 nm
실시예 37 - N-이소프로필-N-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의 합성:
단계-1:
불활성 조건 N2(g)하에서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09 g, 1.2 mmol, 1.0 당량), CAS: 4747-21-1(0.024 g, 0.336 mmol, 1.2 당량) 및 DIPEA(0.10 g, 0.84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HATU(0.159 g, 0.42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에틸 아세테이트(3:7)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3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EtOAc(2 x 5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7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N-이소프로필-N-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1, 0.023 g, 0.061 mmol, 수율 19.16%)를 생성하였다.
1 H VT-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86 (br s, 1H), 8.36 (br s, 1H), 7.95 (br s, 1H), 7.61 (br s, 1H), 5.89 (br s, 2H), 4.28 (br s, 1H), 2.89-2.70 (m, 6H), 2.34-2.31 (m, 1H), 2.12-2.10 (m, 1H), 1.75-1.73 (m, 1H), 1.26-1.19 (br s, 6H). (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NMR (MeOD, 400 MHz): δ ppm, 8.87 (d, J = 12.4 Hz, 1H), 8.40 (d, J = 17.2 Hz, 1H), 7.94 (dd, J = 6.8, 7.2 Hz, 1H), 7.67-7.62 (m, 2H), 5.86 (br s, 1H), 4.04-3.95 (m, 1H), 3.36-2.95 (s, 3 H), 2.79-2.62 (m, 3H) 2.55-2.50 (m, 1H), 2.40-2.36 (m, 1H), 2.18-2.15 (m, 1H), 1.92-1.86 (m, 1H), 1.32 (d, J = 6.8 Hz, 3H) 1.27 (d, J = 6.8 Hz, 3H)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87 (d, J = 12.4 Hz, 1H), 8.46 (br s, 1H), 8.40 (br s, 1H), 7.98 - 7.96 (m, 1H), 7.64 - 7.61 (m, 3H), 5.85 (s, 2H), 4.78 (br s, 1H), 3.86 (br s, 1H), 2.90 - 2.60 (m, 9H), 2.33 - 2.23 (m, 1H), 2.08-2.05 (m, 1H), 1.74 - 1.63 (m, 1H), 1.23 - 1.14 (m, 6H)(주석: 회전이성질체로 인해 피크가 넓게 관찰됨)
LCMS(방법-A): 2.512분, (100%), 254 nm, m/z=377.17(M+H)+
HPLC(방법-A): 9.81분, (100%), 210 nm
실시예 38 - N-(피리미딘-2-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2)의 합성:
단계-1:
불활성 조건 N2(g)하에서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01 g, 0.31 mmol, 1.0 당량), CAS: 372118-67-7(0.045 g, 0.31 mmol, 1.0 당량) 및 DIPEA(0.12 g, 0.93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HATU(0.178 g, 0.46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DCM 중의 MeOH(0.5:9.5)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3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EtOAc(2 x 50 mL)로 추출하고,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6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DCM 중의 50% 메탄올)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42(0.039 g, 0.094 mmol, 수율 32.88%)를 생성하였다.
1 H -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45 (t, J = 6.0 Hz, 1H), 9.31 (d, J = 2.4 Hz, 1H), 8.88 (d, J = 2.4 Hz, 1H), 8.79 (d, J = 4.8 Hz, 2H), 8.04-8.01 (m, 1H), 7.66-7.63 (m, 2H), 7.43 (t, J = 4.8 Hz, 1H), 5.88 (br s, 1H), 4.74 (d, J = 6.0 Hz, 2H), 2.82-2.80 (m, 1H), 2.79-2.67 (m, 2H), 2.40 - 2.25 (m, 2H), 2.10-2.07 (m, 1H), 1.73-1.66 (m, 1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 NMR (MeOD, 400 MHz): δ ppm, 9.32 (d, J = 2.0 Hz, 1H), 8.87 (d, J = 2.0 Hz, 1H), 8.80 (d, J = 5.2 Hz, 2H), 8.00 (dd, J = 8.0, 7.6 Hz, 1H), 7.71-7.64 (m, 2H), 7.43 (t, J = 4.8 Hz, 1H), 5.88 (br s, 1H), 2.79 - 2.76 (m, 1H), 2.69-2.66 (m, 2H), 2.56-2.51 (m, 1H), 2.39-2.33 (m, 1H), 2.18 - 2.16 (m, 1H) 1.93-1.83 (m,1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고; 2H는 MeOD 수분 피크와 겹쳐졌다)
LCMS(방법-A): 2.28분, (98.45%), 254 nm; MS: ES+ 413 (M+1)
HPLC(방법-A): 8.20분, (97.7%), 210 nm
실시예 39 - N-(피리다진-3-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DMF(1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09 g, 0.280 mmol, 1.0 당량), HATU(0.159 g, 0.420 mmol, 1.5 당량) 및 DIPEA(0.14 ml, 0.84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93319-65-4(0.036 g, 0.336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DC: MeOH; 9:1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x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 중의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N-(2-하이드록시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3, 0.076 g, 0.184 mmol, 수율: 65.79 %)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60 (t, J = 5.2 Hz, 1H), 9.31 (d, J = 2.0 Hz, 1H), 9.16 (d, J = 2.4 Hz ,1H), 8.88 (d, J = 2.0 Hz, 1H), 8.03-8.01 (m, 1H), 7.73-7.63 (m, 4H), 5.87 (br s, 1H), 4.85 (d, J = 5.6 Hz, 2H), 2.85-2.71 (m, 2H), 2.28-2.25 (m, 1H), 2.09-2.07 (m, 1H), 1.74-1.67 (m, 1H). (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31 (d, J = 2.4 Hz, 1H), 9.14 (d, J = 4.0 Hz, 1H), 8.85 (d, J = 2.4 Hz ,1H), 7.98 (dd, J = 1.2 Hz, 1 H), 7.85 (d, J = 7.6 Hz, 1 H), 7.77-7.74 (m, 1H), 7.69-7.64 (m, 2H), 5.87 (br s,1H), 4.95 (s, 2H), 2.79-2.76 (m, 1H), 2.69-2.65 (m, 2H), 2.55-2.51 (m, 1H), 2.41-2.33 (m, 1H), 2.18-2.15 (m, 1H), 1.88-1.82 (m, 1 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243분, 98.55 %, 254.0 nm, MS: ES+ 413 (M+1)
HPLC(방법 A): 7.95분, 98.09 %, 254.0 nm
키랄 HPLC(방법 A): 피크-1 4.25분, 49.65 %, 240.0 nm;
피크-2 4.69분, 49.98 %, 240.0 nm
실시예 40 - N-(피라진-2-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4)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09 g, 0.280 mmol, 1.0 당량), HATU(0.160 g, 0.420 mmol, 1.5 당량) 및 DIPEA(0.15 mL, 0.84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20010-99-5(0.046 g, 0.420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100% EtOAc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2시간 이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72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여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9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피라진-2-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4, 0.072 g, 0.174 mmol, 수율: 62.33%)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54 (t, J = 5.6 Hz, 1H), 9.30 (d, J = 2.0 Hz, 1H), 8.88 (d, J = 1.6 Hz, 1H), 8.73 (s, 1H), 8.62 (s, 1H), 8.57 (d, J = 2.0 Hz, 1H), 8.03-8.01(m, 1H), 7.66-7.63 (m, 2H), 5.87 (br s, 1H), 4.71 (d, J = 5.6 Hz, 2H), 2.81-2.68 (m, 3H), 2.32-2.25 (m, 1H), 2.10-2.07 (m, 1H), 1.75-1.67 (m, 1H). (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30 (d, J = 2.0 Hz,1H), 8.83 (d, J = 2.0 Hz, 1H), 8.75 (s, 1H), 8.62 (s, 1H), 8.55 (d, J = 2.0 Hz, 1H), 7.98 (dd, J = 1.6, 8.0 Hz, 1H), 7.70-7.64 (m, 2H), 5.87 (br s, 1H), 4.87 (s, 2H), 2.79-2.79 - 2.77 (m, 1H), 2.69 - 2.66 (m, 2H), 2.56 -2.51 (m, 1H), 2.41-2.34 (m, 1H), 2.18-2.15 (m, 1H), 1.93-1.85 (m, 1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A): 2.305분, 98.22%, 254.0 nm, MS: ES+ 413.2 (M+1)
HPLC(방법-A): 8.360분, 97.65%, 254.0 nm
실시예 41 - N-((5-메틸옥사졸-2-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09 g, 0.280 mmol, 1.0 당량), HATU(0.160 g, 0.420 mmol, 1.5 당량) 및 DIPEA(0.15 mL, 0.84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2173992-46-4(0.0457 g, 0.420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5% MeOH: DCM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2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x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8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 중의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N-((5-메틸옥사졸-2-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5, 0.038 g, 0.0914 mmol, 수율: 32.66%)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49 (br s, 1H), 9.27 (s, 1H), 8.86 (s, 1H), 8.02 (d, J = 3.6 Hz, 1H), 7.66 (s, 2H), 6.79 (s, 1H), 5.87 (br s, 1H), 4.60 (d, J = 4.8 Hz, 2H), 2.81-2.68 (m, 3H), 2.32-2.28 (m, 4H), 2.10-2.07 (m, 1H), 1.71-1.67 (m, 1H)(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9 (s, 1H), 8.83 (s, 1H), 7.98 (d, J = 7.2 Hz, 1H), 7.70-7.64 (m, 2H), 6.78 (s, 1H), 5.87 (br s, 1H), 4.73 (s, 2H), 2.79-2.66 (m, 3H), 2.56 -2.51 (m, 1H), 2.41-2.34 (m, 4H), 2.18-2.15 (m, 1H), 1.91-1.85 (m, 1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A): 2.433분, 97.16%, 254.0 nm, MS: ES+ 416.1 (M+1)
HPLC(방법-A): 8.81분, 97.37%, 254.0 nm
실시예 42 - N-(2-하이드록시-1-(피리딘-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09 g, 0.280 mmol, 1.0 당량), HATU(0.160 g, 0.420mmol, 1.5 당량) 및 DIPEA(0.15 mL, 0.84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1187930-63-7(0.065 g, 0.308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 DCM; 0.5:9.5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2시간 이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8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9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2-하이드록시-1-(피리딘-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6, 0.058 g, 0.131 mmol, 수율: 46.90%)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0 (s, 1H), 9.09 (d, J = 7.6 Hz, 1H), 8.92 (s, 1H), 8.55 (d, J = 4.0 Hz, 1H), 8.03 (t, J = 4.8 Hz, 1H), 7.78 (t, J = 6.8 Hz, 1H), 7.66 (d, J = 4.4 Hz, 2H), 7.49 (d, J = 8.0 Hz, 1H), 7.29 (t, J = 5.6 Hz, 1H), 5.88 (br s, 1H), 3.90-3.82 (m, 2H), 2.81-2.68 (m, 4H), 2.33-2.26 (m, 1H), 2.10-2.08 (m, 1H), 1.72-1.68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30 (d, J = 2.0 Hz,1H), 8.89 (d, J = 2.4 Hz, 1H), 8.59 (d, J = 4.4 Hz, 1H), 8.00 (dd, J = 2.0, 8.0 Hz,1H), 7.86 (dt, J = 1.6, 8.0 Hz, 1H), 7.70-7.65 (m, 2H), 7.57 (d, J = 8.0 Hz,1 H), 7.38-7.35 (m, 1H), 5.88 (br s, 1H), 5.39 (t, J = 6.4 Hz, 1H), 4.09-3.99 (m, 2H), 2.83-2.66 (m, 3H), 2.56-2.52 (m, 1H), 2.41-2.34 (m, 1H), 2.19-2.16 (m, 1H), 1.93-1.86 (m, 1H). (주석: -NH 및 -O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A): 2.171분, 100%, 210.0 nm, MS: ES+ 442.2 (M+1)
HPLC(방법-A): 8.19분, 99.16%, 254.0 nm
실시예 43 - N-((1H-피라졸-5-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7)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09 g, 0.280 mmol, 1.0 당량), HATU(0.160 g, 0.420 mmol, 1.5 당량) 및 DIPEA(0.15 mL, 0.84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1196153-72-6(0.041 g, 0.308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 DCM; 0.5:9.5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2시간 이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8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DCM 중의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N-((1H-피라졸-5-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7, 0.038 g, 0.0949 mmol, 수율: 33.8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VT NMR: δ ppm, 12.47 (s, 1H), 9.29 (s, 1H), 8.99 (s, 1H), 8.81 (s, 1H), 7.97 (d, J = 6.8 Hz, 1H), 7.64-7.61 (m, 3H), 6.24 (s, 1H), 5.89 (br s, 1H), 4.58 (d, J = 4.8 Hz, 2H), 2.82-2.70 (m, 3H), 2.35-2.28 (m, 1H), 2.13-2.10 (m, 1H), 1.80-1.71 (m, 1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d, J = 2.4 Hz,1H), 8.80 (d, J = 2.0 Hz, 1H), 7.97 (dd, J = 1.6, 8.0 Hz, 1H), 7.69-7.63 (m, 3H), 6.38 (s, 1H), 5.87 (br s, 1H), 4.71 (s, 2H), 2.78-2.65 (m, 3H), 2.56-2.51 (m, 1H), 2.41-2.33 (m, 1H), 2.18-2.15 (m, 1H), 1.93-1.82 (m, 1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A): 2.257분, 98.28%, 254.0 nm, MS: ES+ 401.2(M+1)
HPLC(방법-A): 8.02분, 95.17%, 254.0 nm
실시예 44 - N-((1H-1,2,4-트리아졸-3-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8)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09 g, 0.280 mmol, 1.0 당량), HATU(0.160 g, 0.420mmol, 1.5 당량) 및 DIPEA(0.15 mL, 0.84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1197157-75-7(0.041 g, 0.308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2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 DCM; 0.5:9.5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2시간 이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7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DCM 중의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N-((1H-1,2,4-트리아졸-3-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8, 0.040 g, 0.0996 mmol, 수율: 35.5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VT NMR: δ ppm, 13.70 (s, 1H), 9.29 (d, J = 1.6 Hz, 1H), 9.13 (bs, 1H), 8.83 (d, J = 1.6 Hz, 1H), 8.44 (br s, 1H), 7.98 (d, J = 6.4 Hz, 1H), 7.67-7.61 (m, 2H), 5.91 (br s, 1H), 4.66 (s, 2H), 3.54-3.46 (m, 1H), 2.83-2.68 (m, 4H), 2.35-2.28 (m, 1H), 2.13-2.11 (m, 1H), 1.80-1.71 (m, 1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30 (s, 1H), 8.84 (s, 1H), 8.48 (br s, 1H), 7.98 (d, J = 7.6 Hz, 1H), 7.70-7.63 (m, 2H), 5.87 (br s, 1H), 4.81 (s, 2H), 2.79-2.65 (m, 3H), 2.56-2.51 (m, 1H), 2.41-2.33 (m, 1H), 2.18-2.16 (m, 1H), 1.93-1.83 (m, 1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A): 2.069분, 99.06%, 254.0 nm, MS: ES+ 402.2(M+1)
HPLC(방법-A): 6.22분, 98.60%, 254.0 nm
실시예 45 - N-(시아노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9)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1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1g, 0.3112 mmol, 1.0 당량), HATU(0.177g, 0.466 mmol, 1.5 당량) 및 DIPEA(0.161g, 1.244 mmol, 4.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6011-14-9(0.03168 g, 0.342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1:1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30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5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1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3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시아노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9, 0.1 g, 0.278 mmol, 수율: 89.41%)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 d 6 , 400 MHz): δ ppm, 9.58 (t, J = 5.2 Hz, 1H), 9.25 (d, J = 2.0 Hz, 1H), 8.87 (d, J = 2.0 Hz, 1H), 8.04 (dd, J = 7.2 Hz, 2.8 Hz, 7.2 Hz, 1H), 7.69 - 7.64 (m, 2H), 5.88 (s, 1H), 4.43 (d, J = 5.6 Hz, 2H), 2.81 - 2.567 (m, 3H),2.33 - 2.25 (m, 1H), 2.09(d, J = 11.6, 1H), 1.75 - 1.64 (m, 1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0 Hz, 1H), 8.81 (d, J = 2.4 Hz, 1H), 7.99 (dd, J = 8.0 Hz, 1H), 7.72 - 7.65 (m, 2H), 5.87 (s, 1H), 4.45 (s, 2H), 2.79-2.66 (m, 3H), 2.56-2.51 (m, 1H), 2.41 - 2.34 (m, 1H), 2.17 (d, J = 12.8 Hz, 1H), 1.93 - 1.85 (m, 1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438분, 100%, 254.0 nm, MS: ES+ 360.07(M+1)
HPLC(방법 A): 8.764분, 100%, 254.0 nm
키랄 HPLC: 피크 1 = 3.87분, 49.62 %, 240.0 nm; 피크 2 = 4.46분, 50.38 %, 240.0 nm
실시예 46 -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보닐)-D-알라닌(화합물 50)의 합성:
단계-1:
불활성 조건 N2(g)하에서 DMF(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5 g, 1.5 mmol, 1.0 당량), CAS: 14316-06-4(0.21 g, 1.54 mmol, 1.0 당량) 및 DIPEA(0.8 ml, 4.6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HATU(0.88 g, 2.3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4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EtOAc(2 x 5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4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3R)-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타노에이트(A29, 0.3 g, 0.738 mmol, 수율 47.44%)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6 (d, J = 2.0 Hz, 1H), 9.17(d, J = 6.8 Hz, 1H), 8.86 (d, J = 2.0 Hz, 1H), 8.02 (dd, J = 6.0, 3.6 Hz, 1H), 7.66-7.63 (m, 2H), 5.87 (br s, 1H), 4.59-4.52 (m, 1H), 3.67 (s, 3H), 2.80-2.67 (m, 3H), 2.50-2.46 (m, 1H), 2.32-2.24 (m, 1H), 2.10-2.07 (m, 1H), 1.74-1.64 (m, 1H), 1.45 (d, J = 7.6 Hz, 3H)
LCMS: 2.51분, 100%, 215 nm
단계-2:
A29(0.15 g, 0.3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MeOH: H2O(8:2) 중의 LiOH(0.018 g, 0.44 mmol, 1.2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고, 이후 반응이 실온에서 실시되게 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이후 1N HCl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키고, 이후 부흐너 여과를 사용하여 여과시켜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보닐)-D-알라닌(화합물 50, 0.056 g, 0.143 mmol, 수율 38.67%)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32 (d, J = 2.0 Hz, 1H), 9.21 (d, J = 6.8 Hz, 1H), 9.04 (s,1H), 8.08-8.07 (m,1H), 7.72-7.68 (m, 2H), 5.89 (br s, 1H), 4.53-4.46 (m, 1H), 2.77-2.69 (br s, 2H), 2.65-2.51 (m, 1H), 2.47-2.42 (m, 1H), 2.33-2.26 (m, 1H), 2.10-2.07 (m, 1H),1.77-1.68 (m,1H), 1.46 (d, J = 7.2 Hz, 3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68 (d, J = 1.6 Hz, 1H), 9.49 (d, J = 1.6 Hz, 1H), 8.38 (d, J = 8.0 Hz, 1H), 8.13 (dd, J = 6.8 Hz, 1H), 8.05 (t, J = 8.0 Hz, 1H), 6.10 (br s, 1H), 4.75-4.70 (m, 1H), 3.42-2.25 (s, 6H), 2.03-1.91(m, 1H), 1.63 (d, J = 7.6 Hz, 3H). (주석: -NH 및 -O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 2.28분, 100%, 210 nm
HPLC: 4.49분, 99.17%, 254 nm
키랄 HPLC: 피크-1 3.58분, 48.54%, 240 nm; 피크-2: 3.90분, 49.73%, 240 nm
실시예 47 - O-메틸-N-(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보닐)-D-세린(화합물 51)의 합성:
단계-1:
250 mL 3목 RB 플라스크에서, 백색 비정질 물질로서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250 g, 0.775 mmol), 메틸 O-메틸-D-세리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CAS 1800300-79-1(0.315 g, 0.934 mmol, 1.2 당량), 및 DIPEA(1.12 ml, 2.35 mmol, 3.0 당량)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DMF(2 mL, 10 v) 중의 HATU(0.89 g, 1.16 mmol, 1.5 당량)과 함께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3:7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희석시키고, DCM으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층을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조 잔류물을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60-120 메쉬; 30%의 EtOAc 및 헥산)로 정제하여 메틸 O-메틸-N-(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보닐)-D-세리네이트(A30, 0.185 g, 0.424 mmol, 수율: 54.4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9.21 (d, J = 7.2 Hz, 1H), 8.88 (d, J = 4.0 Hz, 1H), 8.03 (dd, J = 6.4, 4.8 Hz, 1H), 7.67-7.63 (m, 2H), 5.88 (br s, 1H), 4.82-4.77 (m, 1H), 3.87-3.50 (m, 5H), 3.26 (s, 3H), 2.81-2.68 (m, 4H), 2.33-2.25 (m, 1H), 2.30-2.20 (m, 1H), 2.10-2.1 (m, 1H), 1.74-1.64 (m, 1H).
LCMS(방법 A): 2.513분, 100.0%, MS: ES+ 437.18 [M+H]
단계-2:
THF/물(3mL/1mL) 중의 메틸 O-메틸-N-(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보닐)-D-세리네이트(A30, 0.170 g, 0.3895 mmol 1.0 당량)의 현탁액을 0℃로 냉각시키고, 이후 LiOH(0.033 g,0.824 mmol 2.0 당량)으로 처리하고, 반응 용액을 이 온도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1N HCl로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EtOAc(2 x 50 mL)로 추출하고, 세척하고 건조시켜 회색 고체 O-메틸-N-(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보닐)-D-세린(화합물 51, 0.052 g, 0.123 mmol 31.06% 수율)을 얻었다.
1 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9.27 (d, J = 2.0 Hz, 1H), 9.11 (d, J = 7.6 Hz, 1H,) 8.93 (s, 1H), 8.03 (dd, J = 6.4, 4.8 Hz, 1H), 7.67-7.64 (m, 2H), 5.88 (br s, 1H), 4.72 (q, J = 10.0 Hz, 1H), 3.83-3.68 (m ,1H), 3.32 (s, 3H), 2.81-2.67 (m,3H), 2.58-2.51 (m,1H), 2.33-2.26 (m,1H), 2.10-2.07 (m,1H),1.76-1.66 (m ,1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400 MHz, MeOD) δ (ppm): 9.48 (s, 1H), 9.42 (d, J = 2.0 Hz,1H), 8.29 (d, J = 4.0 Hz ,1H), 8.02 (d, J = 4.0 Hz, 1H), 7.96 (t, J = 8.0 Hz, 1H), 6.04 (br s, 1H), 4.00-3.97 (m, 1H), 3.89-3.82 (m, 1H), 3.45 (s, 3H) 3.74 (br s, 2H), 2.65-2.56 (m, 2H), 2.48-2.41 (m,1H), 2.61-2.24 (m,1H), 2.01-1.90 (m, 1H)(주석: -NH 및 -O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31분, 95.47%, 254 nm
HPLC(방법 A): 4.34분, 96.33%, 254 nm
키랄 HPLC: 피크-1 6.26분, 36.05%, 240 nm: 피크-2 6.71분, 43.16%, 240 nm
실시예 48 - N-((R)-1-(메틸아미노)-1-옥소프로판-2-일)-8-(4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2)의 합성:
단계-1: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50, 0.16 g, 0.40 mmol, 1.0 당량), CAS: 61302-99-6(0.027 g, 0.40 mmol, 1.0 당량) 및 DIPEA(0.2 ml, 1.2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불활성 조건 N2(g)하에서 제조하였고, 이후 HATU(0.232 g, 0.612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EtOAc(2 x 5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4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고 이후 분취 HPLC정제(방법-A)에 의해 정제하여 N-((R)-1-(메틸아미노)-1-옥소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2, 0.023 g, 0.057 mmol, 수율 13.91%)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8 (d, J = 2.0 Hz, 1H), 8.91-8.88 (m, 2H), 8.02-7.80 (m, 2H), 7.95 (m, J = 4.4 Hz, 2H), 7.65-7.64 (m, 1H), 5.88 (br s, 1H), 4.51-4.48 (m ,1H), 2.79 (br s, 1H), 2.72-2.68 (m, 2H), 2.62-2.57 (m, 4H), 2.33-2.29 (m, 1H), 2.10-2.07 (m, 1H), 1.72-1.68 (m, 1H), 1.37(d, J = 7.2 Hz, 3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d, J = 2.0 Hz, 1H), 8.85 (d, J = 2.0 Hz, 1H), 7.98 (dd, J = 7.8, 1.6 Hz, 1H), 7.70-7.64 (m, 2H), 5.87 (br s, 1H), 4.61 (q, J = 7.2 Hz, 1H), 2.80 (s, 3H), 2.79-2.75 (m, 2H), 2.68-2.65 (m, 1H), 2.56-2.51 (m, 1H), 2.41-2.38 (m, 1H), 2.18-2.15 (m, 1H), 1.53 (d, J = 7.2 Hz, 3 H)(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20분, 100%, 254.0 nm, m/z = 406.12 (M+H) +
HPLC(방법 A): 7.75분, 99.61%, 210 nm
키랄 HPLC: 피크-1: 3.55분, 42.28%, 245 nm: 피크-2: 4.07분, 43.73%, 245 nm
실시예 49 - N-((R)-1-아미노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3)의 합성:
단계-1:
불활성 조건 N2(g)하에서 DMF(2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2 g, 0.62 mmol, 1.0 당량), CAS: 333743-54-7(0.10 g, 0.62 mmol, 1.0 당량) 및 DIPEA(0.3 ml, 1.8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HATU(0.35 g, 0.93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4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EtOAc(2 x 5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2R)-2-(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필) 카르바메이트(A31, 0.22g, 0.461 mmol, 수율 67.2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3 (d, J = 1.6 Hz, 1H), 8.77 (d, J = 1.6 Hz, 1H), 8.48 (d, J = 8.4 Hz, 1H), 7.98 (t, J = 4.8 Hz, 1H), 7.64-7.61 (m, 2H), 7.01 (t, J = 5.6 Hz, 1H), 5.87 (br s, 1H), 4.15-4.08 (m, 1H), 3.43-3.07(m, 2H), 2.79-2.68 (m, 4H), 2.31-2.25 (m, 1H), 2.01-2.07 (m,1H), 1.74-1.63 (m, 1H), 1.35 (s, 9H), 1.14 (d, J = 6.8 Hz, 3H)
LCMS(방법-A): RT= 2.72분, 100%, 254 nm, m/z = 478.24 (M+H)+
단계-2:
DCM(1 ml) 중의 A31(0.1 g, 0.2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디옥산 중의 4M HCl을 첨가하였고, 이후 반응이 실온에서 실시되게 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이후 펜탄 및 디에틸 에테르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N-((R)-1-아미노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3, 0.070 g, 0.18mmol, 수율 88.57%)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3 (s, 1H), 8.96 (s, 1H), 8.90 (d, J = 8.0 Hz, 1H), 8.09 (br s, 2H), 8.04-8.02 (m, 1H), 7.68-7.66 (m, 2H), 5.88 (br s, 1H), 4.35 (t, J = 6.8 Hz, 1H), 3.01 (br s, 2H), 2.76-2.67 (m, 3H), 2.32-2.25 (m, 1H), 2.10-2.07 (m, 1H), 1.72-1.68 (m, 1H), 1.23 (d, J = 6.4 Hz, 3H). (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60 (s, 1H), 9.49 (s, 1H), 8.34 (d, J = 8.0 Hz, 1H), 8.08 (d, J = 6.4 Hz, 1H), 8.01 (t, J = 7.6 Hz, 1H), 6.07 (br s, 1H), 4.56-4.52 (m, 1H), 3.33-3.16 (m, 2H), 2.75-2.61 (m, 4H), 2.49-2.42 (m, 1H), 2.28-2.25 (m, 1H), 2.0-1.90 (m, 1H),1.46 (d, J = 6.8 Hz, 3H)(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A): 1.86분, 100%, 210.0 nm, m/z = 378.1
HPLC(방법-A): 8.34분, 100%, 210 nm
키랄 HPLC: 피크-1: 5.27분, 47.54%, 240 nm; 피크-2: 5.75분, 52.45%, 240 nm
실시예 50 - N-((R)-4-하이드록시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4)의 합성:
단계-1:
불활성 조건 N2(g)하에서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2 g, 0.62 mmol, 1.0 당량), CAS: 61477-40-5(0.055 g, 062 mmol, 1.0 당량) 및 DIPEA(0.3ml, 1.8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HATU(0.355 g, 0.934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4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EtOAc(2 x 5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4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R)-4-하이드록시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4, 0.063 g, 0.161 mmol, 수율 25.79%)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3 (d, J = 1.6 Hz, 1H), 8.78 (d, J = 2.0 Hz, 1H), 8.55 (d, J = 8.4 Hz, 1H), 8.00 (t, J = 4.8 Hz, 1H), 7.64 (d, J = 4.4 Hz, 2H), 5.87(br s, 1H), 4.47 (t, J = 4.8 Hz, 1H), .4.21-4.14 (m, 1H), 3.49-3.46 (m, 2H), 2.80-2.07 (m, 5H), 1.80-1.42 (m, 3H), 1.20 (d, J = 6.4 Hz, 3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3 (d, J= 2.0Hz, 1H), 8.75(d, J=2.0Hz, 1H), 7.97(d, J=6.4Hz, 1H), 7.69-7.63(m, 2H), 6.87(br s,1H), 4.39-4.34(m, 1H), 3.75-3.66 (m, 2H), 2.88-2.65 (m, 3H), 2.55-2.51(m, 1H), 2.40-2.34(m,1H), 2.18-2.15(m, 1H), 1.91-1.82 (m, 3H), 1.35(d, J = 6.8 Hz, 3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A): 2.27분, 98.91%, 254.0 nm, m/z= 393.17 (m+H)+
HPLC(방법-A): 8.25min, 100%, 210 nm
키랄 HPLC: 피크-1: 4.22분, 50.06%, 240 nm; 피크-2: 4.53분, 49.93%, 240 nm
실시예 51 - (3R)-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탄산(화합물 55)의 합성:
불활성 조건 N2(g)하에서 DMF(2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 0.45 g, 1.4mmol, 1.0 당량), CAS: 139243-54-2(0.23g, 1.54mmol, 1.1 당량) 및 DIPEA(0.542g, 4.2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HATU(0.798 g, 2.1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4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EtOAc(2 x 5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45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3R)-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타노에이트(A32, 0.41g, 0.975 mmol, 수율 69.72%)를 생성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2 (d, J = 2.4 Hz, 1H), 8.73(d, J = 2.0 Hz, 1H), 7.96 (dd, J = 7.6, 1.6 1H), 7.69-7.63 (m, 2H), 5.86 (br s, 1H), 4.62-4.57 (m, 1H), 3.70 (s, 3H), 2.77-2.72 (m, 2H), 2.68-2.63 (m,3H), 2.55-2.51 (m, 1H), 2.41-2.37 (m, 1H), 2.18-2.15 (m,1H), 1.90-1.85 (m,1H),1.37 (d, J = 6.8 Hz, 3H). (주석: -N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고; EA 용매 미량이 관찰되었다)
LCMS(방법 A): 2.523분, 100%, 254 nm, (M+H) + = 421.12
키랄 HPLC: 피크-1 3.31분, 49.60%, 240 nm 피크-2 3.52분, 50.39%, 240 nm
단계-2
(A32, 0.38 g, 0.90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MeOH: H2O(8:2) 중의 LiOH.H2O(0.094 g, 1.80 mmol, 2.0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고, 이후 반응이 실온에서 실시되게 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이후 1N HCl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키고, 이후 부흐너 여과를 사용하여 여과시켜 (3R)-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탄산(화합물 55, 0.18 g, 0.44 mmol, 수율 49%)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d, J = 2.0 Hz, 1H), 8.84 (s,1H), 8.75 (d, J = 7.6 Hz, 1H), 8.04-8.02 (m, 1H), 7.68-7.66 (m, 3H), 5.87 (br s, 1H), 4.43-4.35 (m, 1H), 2.79-2.61 (m, 4H), 2.47-2.43 (m,1H), 2.33-2.29 (m, 1H), 2.10-2.07 (m, 1H), 1.73-1.68 (m, 1H), 1.24 (d, J = 8.0 Hz, 3H)(주석:-하나의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지고 이는 MeOD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52 (d, J = 1.6 Hz, 1H), 9.41(d, J = 1.6 Hz, 1H), 8.32(d, J = 7.6 Hz, 1H), 8.08 (d, J = 6.0 Hz, 1H), 8.01 (t, J = 8.0 Hz ,1H), 6.07 (br s, 1H), 4.64-4.59 (m, 1H), 2.80-2.74 (m, 4H), 2.66-2.63 (m, 2H), 2.49-2.46 (m, 1H), 2.28-2.25 (m, 1H), 1.97-1.93 (m, 1H), 1.41 (d, J = 6.8 Hz, 3H)(주석: -NH 및 -OH 양성자는 MeOD로부터의 중수소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28분, 100%, 242.0 nm, (M+H)+ = 407.12
HPLC(방법 A): 4.51분, 99.47%, 254 nm
키랄 HPLC: 피크-1 4.97분, 47.33%, 240 nm; 피크-2 5.52분, 44.05%, 240 nm
실시예 52 - N-((R)-4-(메틸아미노)-4-옥소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6)의 합성:
단계-1
불활성 조건 N2(g)하에서 DCM(2mL) 중의 (3R)-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탄산(화합물 55, 0.107 g, 0.263 mmol, 1.0 당량), CAS:593-51-1(0.0195g, 0.289 mmol, 1.1 당량) 및 DIPEA(0.102g, 0.789 mmol, 3.2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EDCI.HCl(0.0757g, 0.395 mmol, 1.5 당량) 및 HOBt(0.0534g, 0.39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순수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EtOAc(2 x 5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7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여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R)-4-(메틸아미노)-4-옥소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6, 0.045 g, 0.107 mmol, 수율 40.75%)를 생성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2 (d, J = 2.0 Hz, 1H), 8.74 (d, J = 2.0 Hz, 1H), 7.97 (dd, J = 7.4, 2.0 Hz, 1H), 7.69-7.63 (m, 2H), 5.87 (br s, 1H), 4.59-4.54 (m, 1H), 2.89-2.75 (m,4H), 2.68-2.65 (m, 1H), 2.62-2.61(m, 1H), 2.59-2.46 (m, 3H), 2.41-2.34 (m, 1H), 2.41-2.34 (m, 1H), 1.93-1.83 (m, 1H),1.38 (d, (d, J = 6.8 Hz, 3H)
1 H NMR (CD 3 CN, 400 MHz): δ ppm 9.20 (d, J = 2.0 Hz, 1H), 8.63 (d, J = 2.0 Hz, 1H), 7.94 (dd, J = 7.6, 1.6 Hz, 1H), 7.71 (d, J = 7.6 Hz, 1H), 7.66-7.60 (m, 2H), 6.51 (br s, 1H), 5.89 (br s, 1H), 4.51-4.45 (m, 1H), 2.83-2.48 (m, 2H), 2.43 (d, J = 6.4 Hz, 3H), 2.40-2.32 (m, 4H), 1.83-1.77(m, 2H), 1.96-1.78 (m,1H), 1.29 (d, J = 6.8 Hz, 3H)
LCMS(방법 A): 2.22분, 99.89%, 254 nm, (M+H)+ = 420.18
HPLC(방법 A): 7.69분, 99.53%, 210 nm
키랄 HPLC: 피크-1 11.21분, 52.16%, 225 nm; 피크-2 11.81분, 47.84%, 225 nm
실시예 53 - 5-(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2-나프타미드(화합물 57)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CM(10 mL) 중의 5-브로모-2-나프토산 CAS: 1013-83-8(1.0 g, 3.982 mmol, 1.0 당량), HATU(2.27 g, 5.974 mmol, 1.5 당량) 및 DIPEA(1.36 mL, 7.965 mmol, 2.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프로판-2-아민 CAS:75-31-0(0.258 g, 4.389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3:7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20 mL)로 켄칭시키고, DCM(3 x 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0-2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5-브로모-N-이소프로필-2-나프타미드(A33)(0.95 g, 3.251 mmol, 수율: 81.64%)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51-8.48 (m, 2H), 8.17 (d, J = 8.8 Hz, 1H), 8.09 (dd, J = 8.8, 1.6 Hz, 2H), 7.98 (d, J = 7.6 Hz, 1H), 7.52 (t, J = 8.0 Hz,1H), 4.19 - 4.14 (m, 1H),1.27 - 1.17 (m, 6H). 주석: SM과 관련된 일부 지방족 불순물이 존재한다.
LCMS(방법 A): 2.286분, 97.67%, 254.0 nm, MS: ES+ 292.1(M), 294.1 (M+2)
단계-2
1,4-디옥산(3 mL) 중의 5-브로모-N-이소프로필-2-나프타미드(A33)(0.3 g, 1.229 mmol, 1.0 당량), 2-(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 CAS:1227068-84-9(상업용 공급처인 combi block에서 구입함)(0.32 g, 1.106 mmol, 0.9 당량), 및 인산삼칼륨(0.78 g, 3.687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30분 동안 질소로 퍼징시키고, 이후 Pd(PPh3)4(0.143 g, 0.123 mmol, 1.3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최대 100℃까지 가열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3:7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00℃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잔류물(0.4 g)을 얻었고, 이를 고정상으로서의 실리카 겔(60-120 메쉬)(헥산 중 2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5-(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2-나프타미드(화합물 57)(0.14 g, 0.425 mmol, 수율: 34.65%)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45 (s, 1H), 8.39 (d, J = 7.6 Hz, 1H), 7.97 - 7.91 (m, 3H), 7.55 (t, J = 8.0 Hz, 1H), 7.40 (d, J = 6.8 Hz, 1H), 5.64 (br s, 1H), 4.18 - 4.13 (m, 1H), 2.82 (t, J = 14.8 Hz, 2H), 2.65 - 2.55 (m, 2H), 2.34 - 2.24 (m, 2H), 1.21 (d, J = 6.4 Hz, 6H).
LCMS(방법 A): 2.398분, 98.32%, MS: ES+ 330.16 [M+H]
HPLC(방법 C): 8.357분, 96.83%, 210 nm
실시예 54 - N-((S)-1-(피리딘-2-일) 에틸)-5-(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2-나프타미드(화합물 58)의 합성:
단계-1
AcOH(240 mL) 중의 2-나프토산 CAS: 93-09-4 (24.0 g, 139.4 mmol, 1.0 당량), Br2(22.2 g, 139.4 mmol, 1.0 당량) 및 I2(0.706 g, 2.788 mmol, 0.02 당량)의 용액을 12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2.0:8.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20℃에서 5시간의 교반 후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얻은 고체를 여과시키고, AcOH(50 mL) 및 물(200 mL)로 세척하여 20.0 g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이후 조 물질을 MeOH(2 x 50 mL)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5-브로모-2-나프토산(A34)(15.0 g, 59.74 mmol, 수율: 42.8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3.31 (br s, 1H), 8.68 (d, J = 1.6 Hz, 1H), 8.21 (t, J = 8.4 Hz, 2H), 8.14 (dd, J = 8.8, 1.6 Hz, 1H), 8.03 (dd, J = 7.6, 1.2 Hz, 1H), 7.54 (t, J = 7.6 Hz, 1H).
단계-2
디옥산(2 mL) 및 물(1 mL) 중의 5-브로모-2-나프토산(A34)(0.25 g, 0.996 mmol, 1.0 당량), 4,4,5,5-테트라메틸-2-(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1,3,2-디옥사보로란(CAS:683242-93-5)(0.41 g, 1.195 mmol, 1.2 당량) 및 K3PO4(1.05 g, 4.980 mmol, 5.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서 Pd(dppf)Cl2 . DCM(0.081 g, 0.099 mmol, 0.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8.0:2.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00℃에서 2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x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32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69% EA)에 의해 정제하여 5-(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2-나프토산(A35)(0.30 g, 0.936 mmol, 수율: 94.0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13.11 (br s, 1H), 8.60 (d, J = 1.6 Hz, 1H), 8.06 (t, J = 11.2 Hz, 2H), 7.96 (dd, J = 8.8, 2.0 Hz, 1H), 7.57 (t, J = 8.0 Hz, 1H), 7.42 (dd, J = 7.2, 1.2 Hz, 1H), 5.73 (br s, 1H), 3.94 (br s, 1H), 2.80 - 2.77 (m, 1H), 2.56 - 2.54 (m, 1H), 2.49 - 2.27 (m, 2H), 2.10 - 2.07 (m, 1H), 1.77 - 1.73 (m, 1H). 주석: 소량의 지방족 불순물 피크가 관찰되었다.
LCMS(방법 A): 2.732분, 92.64 %, 280.0 nm, MS: ES- 319.4 (M-1)
단계-3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DMF(2 mL) 중의 5-(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2-나프토산(A35)(0.15 g, 0.468 mmol, 1.0 당량), HATU(0.26 g, 0.703 mmol, 1.5 당량) 및 DIPEA(0.17 g, 1.37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CAS: 40154-78-7(0.068 g, 0.562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5.0:5.0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4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25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3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S)-1-(피리딘-2-일) 에틸)-5-(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2 나프타미드(화합물 58)(0.063 g, 0.148 mmol, 수율: 15.8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01 (d, J = 8.0 Hz, 1H), 8.56 - 8.53 (m, 2H), 8.04 (d, J = 9.2 Hz, 1H), 7.96 - 7.94 (m, 2H), 7.76 (td, J = 8.0,1.6 Hz, 1H), 7.56 (t, J = 8.0 Hz, 1H), 7.46 - 7.38 (m, 2H), 7.28 - 7.25 (m, 1H), 5.74 (br s, 1H), 5.28 - 5.24 (m, 1H), 2.79 (br s, 1H), 2.52 - 2.51 (m, 1H), 2.45 - 2.33 (m, 3H), 2.11 - 2.08 (m, 1H), 1.83 - 1.73 (m, 1H), 1.55 (d, J = 7.2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8.56 - 8.54 (m, 1H), 8.47 (d, J = 1.6 Hz, 1H), 8.06 (d, J = 8.8 Hz,1H), 7.94-7.92 (m, 2H), 7.85 (td, J = 7.6, 2.0 Hz, 1H), 7.56 - 7.52 (m, 2H), 7.40 (dd, J = 6.8, 1.2 Hz, 1H), 7.35 - 7.31 (m, 1H), 5.79 (br s, 1H), 5.35 (q, J = 7.2 Hz, 1H), 2.67 - 2.38 (m, 5H), 2.22 - 2.18 (m, 1H), 1.89 - 1.85 (m, 1H) 1.65 (d, J = 7.2 Hz, 3H). 주석: 아미드산-NH(Amidic -NH)는 관찰되지 않음.
LCMS(방법 A): 2.572분, 97.37%, 210.0 nm, MS: ES+ 425.23 (M+1)
HPLC(방법 B): 6.907분, 95.34%, 210.0 nm
키랄 HPLC(방법 A): 2.51분, 95.16%, 230.0 nm
실시예 55 - N-이소프로필-8-(스피로 [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9)의 합성:
단계-1
톨루엔(200 mL) 중의 1,4-디옥사스피로 [4.5] 데칸-8-온(CAS:4746-97-8)(25 g, 160.07 mmol, 1.0 당량), CAS: 1779-49-3(57.1 g, 160.0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KO t Bu(21.5 g, 192.08 mmol, 1.2 당량)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1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1:9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NH4Cl을 사용하여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2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60-12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4% EA)에 의해 정제하여 8-메틸렌-1,4-디옥사스피로 [4.5] 데칸(A36)(18 g, 116.88 mmol, 수율 72.92%)를 수득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4.69 (s, 2H), 3.98 (s, 4H), 2.30 (t, J = 6.4 Hz, 4H), 1.72 (t, J = 6.8 Hz, 4H).
단계-2
A36(5.2 g, 3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톨루엔(52 mL) 중의 디에틸아연(87.9 mL, 87.9 mmol, 2.56 당량)을 -40℃에서 N2 분위기하에서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40℃에서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CH2I2(46.06 g, 172 mmol, 5.2 당량)을 -40℃에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밤새 실시되게 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1:9)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8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NH4Cl을 사용하여 켄칭시키고, 디에틸 에테르(4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티오황산나트륨(3 x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이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5.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3%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7,10-디옥사디스피로 [2.2.4.2] 도데칸(A37)(3 g, 17.85 mmol, 수율 52%)를 생성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3.98 (s, 4H), 1.71 (t, J = 6.0 Hz, 4H), 1.45-1.42 (m, 4H), 0.30 (s, 4H).
단계 3
THF: H2O(8.33 mL, 3:2) 중의 A37(1.1 g, 6.5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 0℃에서 TFA(1.67 mL, 21.58 mmol, 3.3 당량)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디에틸 에테르: 펜탄 1:9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8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완료 후 반응 혼합물을 수성 Na2CO3를 사용하여 켄칭시키고, 디에틸 에테르(4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3(3 x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5.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여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2%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스피로 [2.5]옥탄-6-온(A38)(0.2g, 1.61 mmol, 수율 24.63%)를 생성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2.54-2.42(m, 4H), 1.70 (t, J = 6.8 Hz, 4H), 0.51 (s, 4H).
단계 4
THF(4 mL) 중의 A38(0.2 g, 1.6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78℃에서 LiHMDS(1.7 mL, 1.77 mmol, 1.1 당량, THF 중 1.0 M)를 적하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78℃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시간 후, N-페닐-비스(트리플루오로메탄설폰이미드) CAS:37595-74-7(0.68 g, 1.93 mmol, 1.2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고, 반응이 밤새 실시되게 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1:9)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8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H2O를 사용하여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4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2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스피로 [2.5]옥트-5-엔-6-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A39)(0.19 g, 0.74 mmol, 수율 46.04%)를 수득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5.81-5.79(m, 1H), 2.45-2.40 (m, 2H), 2.07-2.04 (m, 2H), 1.57 (t, J = 6.4 Hz, 2H), 0.41 (s, 4H).
단계 5
디옥산(14 Ml) 중의 A39(1.4 g, 5.4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B2Pin2(CAS:73183-34-3)(1.52 g, 6.0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KOAc(1.62 g,16.54 mmol, 3.03 당량), PdCl2(dppf)(0.39 g, 0.54 mmol, 0.1 당량)을 첨가하였고,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N2를 사용하여 퍼징시키고, 이후 10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TLC(이동상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1:9)로 반응의 완료를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여과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4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41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1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4,4,5,5-테트라메틸-2-(스피로 [2.5]옥트-5-엔-6-일)-1,3,2-디옥사보로란(A40)(0.6 g, 2.56 mmol, 수율 46.90 %)를 생성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6.61-6.60(m, 1H), 2.25-2.21 (m, 2H), 2.01-1.99 (m, 2H), 1.39-1.36 (m, 2H), 1.29 (s, 1H), 0.32-0.28 (m, 4H).
단계 6
디옥산: H2O(8:2) 중의 A40(0.07 g, 0.29 mmol, 1.1 당량) 및 A23(0.08 g, 0.2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K3PO4(0.173 g, 0.81 mmol, 3.0 당량), PdCl2(dppf). DCM(0.11 g, 0.31 mmol, 0.5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밤새 실시되게 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5:5)로 모니터링하여 110℃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사용하여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078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3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이소프로필-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9)(0.03 g, 0.09 mmol, 수율 31.32%)를 생성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3 (d, J = 2.4 Hz, 1H), 8.72 (d, J = 2.4 Hz, 1H), 7.93 (dd, J = 8.0, 1.6 Hz, 1H), 7.68-7.61 (m, 2H), 5.90-5.88 (m, 1H), 4.33-4.26 (m, 1H), 2.69-2.65 (m, 2H), 2.20-2.18 (m, 2H), 1.68-1.65 (m, 2H), 1.33-1.30 (m, 6H), 0.44 (s, 4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57분, 100%, 254.0nm MS; ES+ 321.2 (M+H)
HPLC(방법 A)- 9.81분, 95.41%, 210 nm
실시예 56 - (S)-N-(1-(피리딘-2-일) 에틸)-8-(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0)의 합성:
단계-1
디옥산: H2O(8:2) 중의 메틸 8-브로모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3)(1.8 g, 6.76 mmol, 1.0 당량), A40(1.74 g, 7.44 mmol, 1.1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K3PO4(4.28 g, 20.2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고, 15분 동안 N2로 퍼징시켰다. 이후 PdCl2(dppf)(0.24 g, 0.338 mmol, 0.05 당량)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후 11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이동상으로서 EA: 헥산 1:1)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시키고, 이후 여과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7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60-12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41)(1.15 g, 3.91 mmol, 수율 57.95%)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36 (d, J = 2.0 Hz, 1H), 8.96 (d, J = 2.0 Hz, 1H), 7.98 (dd, J = 8.0 Hz, 1.6 Hz, 1H), 7.72 (dd, J = 6.8 Hz,1.2 Hz, 1H), 7.65 (t, J = 8.0 Hz, 1H), 5.90-5.88 (m, 1H), 4.03 (s, 3H), 2.68-2.67(m, 2H), 2.20-2.18 (m, 2H), 1.67 (t, J = 6.0 Hz, 2H), 0.45 (s, 4H).
LCMS(방법 A): 2.982분, 99.11%, 254.0 nm, MS: ES+ 294.2(M+1)
단계 2
MeOH: H2O(8:1)(11 ml) 중의 A41(1.1 g, 3.7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NaOH(0.74 g, 18.74 mmol, 5.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100% 에틸 아세테이트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키고 이후 잔류물을 희석 HCl로 산성화시켰다(PH=3). 얻은 고체를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42)(0.73 g, 2.61 mmol, 수율 69.7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36 (d, J = 2.0 Hz, 1H), 8.94 (d, J = 2.0 Hz, 1H), 7.97 (dd, J = 8.0 Hz, 1.2 Hz, 1H), 7.70 (dd, J = 6.8 Hz, 1.2 Hz, 1H), 7.63 (t, J = 7.6 Hz, 1H), 5.90-5.88 (m, 1H), 2.68-2.65 (m, 2H), 2.20-2.18 (m, 2H), 1.66 (t, J = 6.0 Hz, 2H), 0.44 (s, 4H). 주석: -CO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2.510분, 99.38%, 254.0 nm, MS: ES+ 280.11(M+1)
단계 3
DCM(1 mL) 중의 A42(0.09 g, 0.32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HATU(0.18 g, 0.48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N2 분위기하에서 DIPEA(0.12 g, 0.96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10분 후, CAS: 40154-78-7(S)-1-(피리딘-2-일) 에탄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0.037 g, 0.35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100% EA 이동상)로 모니터링하였고 이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S)-N-(1-(피리딘-2-일) 에틸)-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0)(0.034 g, 0.088 mmol, 수율 27.52%)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d, J = 2.4 Hz, 1H), 8.83 (d, J = 2.4 Hz, 1H), 8.55 (d, J = 4.0 Hz, 1H), 7.95 (d, J = 8.0 Hz, 2.0 Hz, 1H), 7.85 (dt, J = 7.6 Hz, 1.6 Hz, 1H), 7.69-7.64 (m, 2H), 7.54 (d, J = 7.6 Hz, 1H), 7.35-7.32 (m, 1H), 5.90-5.88 (m, 1H), 5.35 (q, J = 7.2 Hz, 1H), 2.69-2.65 (m, 2H), 2.20-2.18 (m, 2H), 1.68-1.65 (m, 5H), 0.44 (s, 4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273분, 100%, 254.0 nm, MS: ES+ 384.2(M+1)
HPLC(방법 A): 9.67분, 99.33%, 254.0 nm.
키랄 HPLC(방법 A): 7.82분, 94.27%, 300 nm.
실시예 57 - N-(옥사졸-2-일메틸)-8-(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1)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옥사졸-2-카르발데히드(5.0 g, 51.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메틸프로판-2-설피나미드 CAS:146374-27-8(7.4 g, 61.8 mmol, 1.2 당량), 및 피페리딘-1-카르발데히드 CAS:3087-36-3(25.5 ml, 10.3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50% EtOA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에 붓고, EtOAc(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얻었다. 생성된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원하는 생성물을 헥산 중의 40% EtOAc에서 용리시켜 (E)-2-메틸-N-(옥사졸-2-일메틸렌) 프로판-2-설피나미드(A43)(4.9 g, 24.46 mmol, 수율: 47.5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8.45 (s, 1H), 8.28 (s, 1H), 7.62 (s, 1H),1.27 (s, 9H).
LCMS(방법 A): LCMS는 원하는 생성물 질량을 지원하지 않는다.
단계-2
MeOH(20 mL) 중의 (E)-2-메틸-N-(옥사졸-2-일메틸렌) 프로판-2-설피나미드(A43)(4.9 g, 29.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NaBH4(1.7 g, 44.9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TLC(이동상으로서 5% DCM: MeOH)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400 mL)에 붓고, EtOAc(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얻었다. 생성된 조 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DCM 중의 2% MeOH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2-메틸-N-(옥사졸-2-일메틸) 프로판-2-설피나미드(A44)(4.1 g, 20.26 mmol, 수율: 82.84 %)를 수득하였다.
LCMS(방법 A): 1.303분, 100.0 %, 210.0 nm MS: ES+ 203.0 (M+1).
1 H NMR (DMSO, 400 MHz): δ ppm 7.64 (s, 1H), 7.09 (s, 1H), 4.49-4.37 (m, 2H), 3.94 (t, J = 8.8 Hz 1H), 1.24 (s, 9H).
단계-3
MeOH(90 mL) 중의 2-메틸-N-(옥사졸-2-일메틸) 프로판-2-설피나미드(A44)(9.0 g, 44.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디옥산(11.68 g, 31.1 mmol, 7.0 v) 중의 4M HCl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5% DCM: MeOH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완료 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직접적으로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고 이를 펜탄을 사용하여 분쇄하여 옥사졸-2-일메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A45)(7.0 g, 52.02 mmol, 수율:87.88 %)를 수득하였다.
LCMS(방법 A): LCMS는 원하는 생성물 질량을 지원하지 않는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8.94 (s, 3H), 8.23 (s, 1H), 7.30 (s, 1H), 4.22 (s, 2H).
단계-4
DCM(2mL) 중의 A42(0.2g, 0.7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40 g, 1.07 mmol, 1.5 당량) 및 DIPEA(0.27 g, 2.1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고, 그 다음 10분 후, (A45)(0.12 g, 0.93 mmol, 1.3 당량)을 N2 분위기하에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이동상으로서 100% EA)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수(1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21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옥사졸-2-일메틸)-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1)(0.09 g, 0.25 mmol, 수율 34.97%)를 생성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9 (d, J = 2.4 Hz, 1H), 8.80 (d, J = 2 Hz, 1H), 7.96-7.93 (m, 2H), 7.70-7.62 (m, 2H), 7.18 (s, 1H), 5.89 (br s, 1H), 4.80 (s, 2H), 2.68-2.67 (m, 2H), 2.19 (d, J = 3.2 Hz, 2H), 1.67 (t, J = 6.0 Hz, 2H), 0.44 (s, 4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51 (t, J = 5.6 Hz, 1H), 9.28 (d, J = 2.0 Hz, 1H), 8.84 (d, J = 2.0 Hz, 1H), 8.09 (s, 1H), 8.00-7.98(m, 1H), 7.67-7.61 (m, 2H), 7.19 (s, 1H), 5.89 (br s, 1H), 4.67 (d, J = 5.6 Hz, 2H), 2.69 (br s, 2H), 2.13 (br s, 2H), 1.55 (t, J = 6.0 Hz, 2H), 0.40 (s, 4H).
LCMS(방법 A)-2.38분, 100%, 254.0nm, MS: ES+ 360.3 (M+1)
HPLC(방법 A)-8.76분, 97.68%,210nm
실시예 58 - N-((S)-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2):
단계-1
EtOH(75 mL) 중의 벤조니트릴 CAS 100-47-0(15 g, 145.63 mmol, 1.0 당량) 및 아세틸 클로라이드(83 ml, 1165.04 mmol, 8.0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Hex; 3:7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16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포화 NaHCO3(3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20.0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여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Hex 중의 10% EA)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벤즈이미데이트(A46)(14 g, 93.95 mmol, 수율: 64.5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8.89 (s, 1H), 7.83-7.81 (m, 2H), 7.51-7.42 (m,3H), 4.24 (q, J = 7.2 Hz, 2H), 1.31 (t, J = 7.2 Hz, 3H)
LCMS(방법 A): 1.081분, 91%, 254.0 nm, MS: ES+149 (M+1)
단계-2
1,2 DCE(140 mL) 중의 에틸 벤즈이미데이트(A46)(14 g, 93.95 mmol, 1.0 당량) 및 메틸 L-세리네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CAS 5680-80-8(16 g, 103.35 mmol, 1.1 당량)의 용액을 8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1:1)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얻었다. 얻은 조 잔류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Hex 중의 30% EA)에 의해 정제하여 (S)-2-페닐-4,5-디하이드로옥사졸-4-카르복실레이트(A47)(14 g, 68.292 mmol, 수율: 72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7.9-7.86 (m, 2H), 7.61-7.57 (m,1H), 7.52-7.48 (m, 2H), 4.99-4.95 (dd, J = 10 Hz, 8 Hz, 1H), 4.64-4.56 (m, 2H), 3.71 (s, 3H),
LCMS(방법 A): 1.799분, 99.47 %, 254.0 nm, MS: ES+ 206 (M+1)
단계-3
THF(1.8 mL) 중의 (S)-2-페닐-4,5-디하이드로옥사졸-4-카르복실레이트(A47)(14 g, 68.29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BAL-H(204 ml, 204.87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7:2)로 모니터링하여 3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포화 NH4Cl(5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5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Hex 중의 70% EA)에 의해 정제하여 (R)-(2-페닐-4,5-디하이드로옥사졸-4-일) 메탄올(A48)(8.0 g, 45.197 mmol, 수율: 6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7.86 (d, J = 7.2 Hz ,2H), 7.56-7.45 (m, 3H), 4.9 (t, J = 5.6 Hz, 1H), 4.32-4.24 (s, 3H), 3.62-3.44 (m, 2H).
LCMS(방법 A): 1.006분, 94 %, 254.0 nm, MS: ES+ 178 (M+1)
단계-4
THF(1 ml) 중의 (R)-(2-페닐-4,5-디하이드로옥사졸-4-일) 메탄올(A48)(8.0 g, 45.19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NaH(3.6 g, 90.39 mmol, 2.0 당량) 및 MeI(16.04 g, 112.9 mmol, 2.5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A: HEX; 1:1)로 모니터링하였고 이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 냉각수(50 mL)에 붓고, EtOAc(3 x 10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구배 용리 Hex 중의 50% EA)에 의해 정제하여 (R)-4-(메톡시메틸)-2-페닐-4,5-디하이드로옥사졸(A49)(3.5 g, 18.324 mmol, 수율: 40%)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7.87-7.85 (m, 2H), 7.57-7.46 (m, 3H), 4.49-4.39 (m, 2H), 4.21 (t, J = 7.2 Hz, 1H), 3.52 (dd, J = 9.6, 4 Hz, 1H), 3.42 (dd, J = 9.6, 4 Hz, 1H), 3.29 (s, 3H).
LCMS(방법 A): 1.345분, 88 %, 254.0 nm, MS: ES+ 192 (M+1)
단계-5
4.0 M 수성 HCl(420 mL) 중의 (R)-4-(메톡시메틸)-2-페닐-4,5-디하이드로옥사졸(A49)(14.0 g, 73.210 mmol, 1.0 당량)의 용액을 5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20시간 동안 110℃에서 가열하였다. TLC(이동상으로서 DCM 중의 5% MeOH)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이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켰다. 얻은 여과물을 에테르(4 x 100 mL)로 추출하여 불순물을 제거하고 이후 조합된 수성층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12.0 g (S)-2-아미노-3-메톡시프로판-1-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A50)(12.0 g, 114.12 mmol, 수율: 정량적)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31 (br s, 3H), 3.57-3.47 (m, 5H), 3.27 (s, 3H), 3.21-3.20 (m, 1 H),
LCMS(방법 A): 0.197분, 70.29%, 210.0 nm, MS: ES+ 106.0 (M+1)
단계-6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5 g, 1.557 mmol, 1.0 당량), HATU(0.887 g, 2.334 mmol, 1.5 당량) 및 DIPEA(0.8 mL, 4.669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S)-2-아미노-3-메톡시프로판-1-올(A50)(0.327 g, 3.115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7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S)-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2)(0.15 g, 0.367 mmol, 수율: 23.6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m, 1H), 8.28 (m, 1H), 8.53 (d, J = 8.0 Hz,1H), 8.01-7.99 (m, 1H), 7.64-7.63 (m, 2H), 5.87 (br s, 1H), 4.83 (t, J = 5.6 Hz,1H), 4.21-4.18 (m, 1H), 3.55-3.50 (m, 1H), 3.31(s, 3H), 2.72-2.68 (m, 3H), 2.32-2.07 (m, 3H), 1.71-1.67 (m, 1H). 주석: CF3 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진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m, 1H), 8.79 (m, 1H), 7.97 (dd, J = 7.6 Hz, J = 8.0 Hz,1H), 7.69-7.63 (m, 2H), 5.87 (br s, 1H), 4.39 (t, J = 5.6 Hz,1H), 3.80-3.76 (m, 2H), 3.67-3.64 (m, 2H), 3.63(s, 3H), 2.78-2.15 (m, 6H), 1.91-1.85 (m, 1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215분, 100%, 254.0 nm, MS: ES+ 409.42 (M+1)
HPLC(방법 A): 7.84분, 100%, 254.0 nm
실시예 59 - N-(R)-4아미노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3)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서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2 g, 0.62 mmol, 1.0 당량), HATU(0.35 g, 0.93 mmol, 1.5 당량) 및 DIPEA(0.24 g, 1.86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1187927-71-4(0.12 g, 0.68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0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EtOAc: 헥산; 7:3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30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5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3R)-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틸) 카르바메이트(A51)(0.2 g, 0.40 mmol, 수율: 65.3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 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8 (d, J = 2.0 Hz, 1H), 8.56 (d, J = 8.4 Hz, 1H), 8.00 (t, J= 4.8 Hz, 1H), 7.64 - 7.61 (m, 2H), 6.82 - 6.79 (m, 1H), 5.86 (br s, 1H), 4.13 - 4.06 (m, 1H), 3.04-2.95 (m, 2H), 2.80 - 2.67 (m, 3H), 2.31- 2.24 (m, 1H), 2.09- 2.06 (m, 1H) ,1.74 - 1.61 (m , 3H) , 1.36 (s, 9H), 1.19 (d, J=6.4 Hz, 4H).
LCMS(방법 A): 2.781분, 100%, 254.0 nm, MS: ES+ 492.2(M+1)
단계-2
DCM(1.9 ml) 중의 tert-부틸((3R)-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틸) 카르바메이트(A51)(0.19 g, 0.38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디옥산(1 ml) 중의 4M HCl을 적하하고,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MeOH: DCM; 0.5:9.5 사용)로 모니터링하여 4시간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증발시켜 조생성물을 얻었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5% MeOH: DCM)에 의해 정제하여 N-(R)-4 아미노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3)(0.062 g, 0.15 mmol, 수율: 41.11%)를 생성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45 (m, 2H), 9.05 (d, J = 7.6 Hz, 1H), 8.28 (d, J = 8.0 Hz, 1H), 8.03 (d, J = 6.8 Hz, 1H), 7.98-7.94 (m, 2H), 6.04 (br s, 1H), 4.37 - 4.34 (m, 1H) , 3.15 - 3.06 (m, 2H), 2.75-2.64 (m, 3H), 2.63-2.60 (m, 1H), 2.48 - 2.45 (m, 1H) , 2.26-2.23 (m, 1H), 2.04 - 1.92 (m , 3H) , 1.44 (d , J = 6.8 Hz , 3H).
1H NMR (DMSO d 6, 400 MHz): δ ppm, 9.28 (d, J = 1.6 Hz ,1H), 8.88 (s, 1H), 8.79 (d, J = 8.0 Hz, 1H), 8.03 (t, J = 5.6 Hz,1H), 7.89 (s, 3H), 7.67 - 7.66 (m, 2H), 5.875 (br s, 1H), 4.19 - 4.16 (m, 1H), 2.87 - 2.84 (m, 2H), 2.79 - 2.68 (m, 3H), 2.33 - 2.29 (m, 1H), 2.10 - 2.07 (m, 1H), 1.86 - 1.82 (m, 2H), 1.72 - 1.68 (m, 1H), 1.25 (d, J = 6.4 Hz, 3H).
LCMS(방법 A): 1.886분, 100%, 254.0 nm, MS: ES+ 392.2(M+1)
HPLC(방법 A): RT= 5.51분,100%, 270 nm.
키랄 HPLC: 피크 1 RT = 8.56분, 39.00%, 241 nm; 피크 2 = RT: 9.92분, 60.09%, 241 nm
실시예 60 - N-((S)-1-(디메틸아미노)-3-하이드록시-1-옥소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4)의 합성:
단계-1
DCM(20 ml) 중의 ((벤질옥시)카르보닐)-L-세린(CAS:1145-80-8)(2.00 g, 8.3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1.0 M 디메틸아민 CAS: 124-40-3(0.843 ml, 12.54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DIPEA(4.36 ml, 25.08 mmol, 3.0 당량) 및 HATU(4.765 g, 12.54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DCM 중의 3% MeOH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S)-(1-(디메틸아미노)-3-하이드록시-1-옥소프로판-2-일) 카르바메이트(A52)(0.358 g, 1.34 mmol, 수율 1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38 - 7.29 (m, 6H), 5.01 (s, 2H), 4.87 (t, J = 6.0 Hz, 1H), 4.54 (m, 1H), 3.57 - 3.53 (m, 1H), 3.46 - 3.42 (m, 1H), 3.05 (s, 3H), 2.82 (s, 3H).
LCMS(방법 A): 1.495분, 95.91%, 220.0 nm, MS: ES+ 267.15
단계-2
MeOH(5 mL) 중의 벤질 (S)-(1-(디메틸아미노)-3-하이드록시-1-옥소프로판-2-일) 카르바메이트(A52)(0.15 g, 0.5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실온에서 질소 분위기하에서 Pd/C(0.075 g, 50 중량%)를 첨가하고, H2 분위기하에서 5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원하는 생성물 A53 (S)-2-아미노-3-하이드록시-N, N-디메틸프로판아미드(0.078 g, 0.59 mmol, 수율: 7.4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4.77 - 4.68 (bs, 1H), 3.67 (t, J = 7.6 Hz, 1H), 3.42 - 3.36 (m, 1H), 3.26 - 3.2 (m, 1H), 3.03 (s, 3H), 2.85 (s, 3H), 1.81 -1.76 (bs, 2H),
LCMS(방법 B): 0.70분, 100%, 220.0 nm, MS: ES+ 133.1
단계-3
DMF(10 ml) 중의 8-브로모-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606 g, 1.8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S)-2-아미노-3-하이드록시-N, N-디메틸프로판아미드(A53)(0.150 mg, 1.89 mmol, 1.0 당량), DIPEA(0.736 g, 5.66 mmol, 3.0 당량) 및 HATU(1.07 g, 2.83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1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분취 HPLC(방법-A)에 의해 정제하여 N-((S)-1-(디메틸아미노)-3-하이드록시-1-옥소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4)(0.055 g, 0.694 mmol, 6.6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88 (m, 2H), 8.01- 7.98 (m, 1H), 7.64 (m, 2H), 5.87 (br s, 1H), 5.08 - 5.03 (m, 1H), 4.98 (t, J = 6.0 Hz, 1H), 3.79 - 3.73 (m, 1H), 3.67 - 3.62 (m, 1H), 3.15 (s, 3H), 2.97 - 2.87 (m, 4H), 2.87 - 2.80 (1H), 2.33-2.29 (m, 1H), 2.10 - 2.07 (m, 1H), 1.74 - 1.67 (m, 1H), (주석: 2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0 Hz, 1H), 8.84 (d, J = 2.0 Hz, 2H), 7.98 (dd, J = 6.0, 1.6, Hz 1H), 7.70 -7.63 (m, 2H), 5.87 (bs, 1H), 5.26 (t, J = 4.0 Hz, 1H), 3.97 - 3.86 (m, 2H), 3.29 (s, 3H), 3.03 (s, 3H), 2.78 - 2.65 (m, 2H), 2.55 - 2.51 (1H), 2.40 - 2.22 (m, 1H), 1.92 - 1.89 (m, 1H), 1.88 - 1.86 (m, 1H).
HPLC(방법 A): 7.419분, 100%, 254.0 nm.
LCMS(방법 A): 2.164분, 100%, 254.0 nm, MS: ES+ 436.2
키랄 HPLC: 피크-1: 3.96, 49.9%; 피크-2: 4.90, 50% 250 nm
실시예 61 - N-(2-하이드록시-1- (옥사졸-2-일)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5)의 합성
단계-1
DCM(40 mL) 중의 DMSO(2.1 g, 27.21 mmol, 2.4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78℃에서 100 mL 3목 RBF에서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동일한 온도에서 옥살릴 클로라이드(1.43 g, 11.34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2-((tert-부틸디메틸실릴)옥시)에탄-1-올(CAS: 102229-10-7)(2.0 g, 11.34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다시 동일한 온도에서 추가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30분 후 Et3N (5.7 g, 56.71 mmol, 5.0 당량)을 -78℃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2-((tert-부틸디메틸실릴) 옥시) 아세트알데히드(A54)(2.2 g, 0.126 mmol, 수율: 정량적)를 얻었다. (얻은 조생성물을 생성물의 휘발성 특징으로 인해 임의의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다.)
단계-2
THF(50 mL) 중의 2-((tert-부틸디메틸실릴) 옥시) 아세트알데히드(A54)(2.0 g, 11.47 mmol, 1.0 당량), 2-메틸프로판-2-설피나미드(CAS:146374-27-8)(1.6 g, 13.76 mmol, 1.2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0℃에서 100 mL 3목 RBF에서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0℃에서 Ti (OC2H5)4(CAS: 3087-36-3)(5.2 g, 22.94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고,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00 mL)로 추출하였다. 이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2개의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얻은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N-(2-((tert-부틸디메틸실릴) 옥시) 에틸리덴)-2-메틸프로판-2-설피나미드(A55)(0.6 g, 2.162 mmol, 수율: 18.86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90 (s, 1H), 4.60 (d, J = 2.8 Hz, 2H), 1.12 (s, 9H), 0.89 (s, 9H), 0.07 (s, 6H).
LCMS(방법 A): 2.853분, 99.01%, 254.0 nm, MS: ES+ 278.15 (M+1)
단계-3
THF(2 mL) 중의 옥사졸(CAS: 288-42-6)(0.024 g, 0.36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78℃에서 3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78℃에서 n-BuLi(헥산 중 2.5 M)(0.14 mL, 0.360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N-(2-((tert-부틸디메틸실릴) 옥시) 에틸리덴)-2-메틸프로판-2-설피나미드(A55)(0.1 g, 0.360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수성 NH4Cl(1 mL)로 켄칭시키고, 물(10 mL)로 희석시키고, 추가로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얻은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100-2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6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N-(2-((tert-부틸디메틸실릴) 옥시)-1- (옥사졸-2-일) 에틸)-2-메틸프로판-2-설피나미드(A56)(0.03 g, 0.086 mmol, 수율: 24.19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34 (s, 1H), 7.96 (s, 1H), 5.38 (d, J = 8.0 Hz, 1H), 4.23-4.21 (m, 1H), 3.87-3.83 (m, 1H), 3.77-3.72 (m, 1H), 1.08 (s, 9H), 0.85 (s, 9H), 0.01 (s, 6H).
LCMS(방법 A): 2.550분, 97.60%, 220.0 nm, MS: ES+ 347.11 (M+1)
단계-4
MeOH(0.3 mL) 중의 N-(2-((tert-부틸디메틸실릴) 옥시)-1-(옥사졸-2-일) 에틸)-2-메틸프로판-2-설피나미드(A56)(0.03 g, 0.08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5 mL 단목 RBF에서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실온에서 디옥산(0.3 mL) 중의 4M HCl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직접적으로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2-아미노-2-(옥사졸-2-일) 에탄-1-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A57)(0.02 g, 수율: 정량적)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생성물을 임의의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다).
LCMS(방법 B): 0.70분, 100.00%, 210.0 nm, MS: ES+ 129.1 (M+1)
단계-5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75 g, 0.54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0℃에서 HATU(0.311 g, 0.820 mmol, 1.5 당량) 및 DIPEA(0.212 g, 1.641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고, 10-15분 동안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고, 이후 실온에서 A57(0.090 g, 0.547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 및 EtOAc(2 x 30 mL)로 희석시켰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얻었다. 얻은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이동상으로서 DCM 중의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N- (2-하이드록시-1- (옥사졸-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5)(0.019 g, 0.044 mmol, 수율: 15.8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8 (d, J = 1.6 Hz, 1H), 8.96 (d, J = 8.4 Hz, 1H), 8.87 (d, J = 2.0 Hz, 1H), 8.35 (s, 1H), 8.05 (s, 1H), 8.00 (t, J = 5.6 Hz, 1H), 7.65 - 7.62 (m, 2H), 5.87 (br s, 1H), 5.19-5.14 (m, 1H), 5.01 (t, J = 5.6 Hz, 1H), 3.84 - 3.73 (m, 2H), 2.81 - 2.67 (m, 3H), 2.29 - 2.25 (m, 1H), 2.09 (m, 1H), 1.74 - 1.64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d, J = 2.4 Hz, 1H), 8.83 (d, J = 2.0 Hz, 1H), 8.22 (s, 1H), 7.98 - 7.96 (m, 2H), 7.70 - 7.63 (m, 2H), 5.86 (br s, 1H), 5.36 (t, J = 6.0 Hz, 1H), 4.02 - 3.99 (m, 2H), 2.78 - 2.75 (m, 1H), 2.68 - 2.65 (m, 2H), 2.55 - 2.51 (m, 1H), 2.40 - 2.37 (m, 1H), 2.18 - 2.14 (m, 1H), 1.89 - 1.85 (m, 1H). 주석: -NH 및 -OH 양성자는 MeOD와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196분, 97.78%, 254.0 nm, MS: ES+ 432.23 (M+1)
HPLC(방법 A): 7.61분, 96.07%, 254.0 nm
실시예 62 - N-((5-옥소피롤리딘-2-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6)의 합성
단계-1
DMF(0.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05 g, 0.1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고, 0℃로 냉각시켰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HATU(0.088 g, 0.23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30분의 교반 후, DIPEA(0.06 g, 0.46 mmol, 3.0 당량) 및 5-(아미노메틸) 피롤리딘-2-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115307-13-6)(0.02 g, 0.15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20 mL)에 붓고, 침전시켰고, 이를 여과시키고, 물(50 m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 건조시켜 조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순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DCM 중의 7% MeOH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5-옥소피롤리딘-2-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6)(0.046 g, 0.11 mmol, 수율: 70.8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6 (d, J = 2.0 Hz, 1H), 8.87 (t, J = 5.6 Hz, 1H), 8.82 (d, J = 2.4 Hz, 1H), 8.02-7.99 (m, 1H), 7.84 (s, 1H), 7.65-7.64 (m, 2H), 5.87 (br s, 1H), 3.78-3.75 (m, 1H), 3.42-3.38 (m, 2H), 2.80-2.67 (m, 2H), 2.42-2.39 (m, 2H), 2.33-2.21 (m, 2H), 2.19-2.07 (m, 2H), 1.82-1.79 (m, 1H), 1.72-1.67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2.0 Hz, 1H), 8.79 (d, J = 2.0 Hz, 1H), 7.97 (dd, J = 7.6 Hz,1.6 Hz, 1H), 7.70-7.64 (m, 2H), 5.87 (br s, 1H), 4.03-4.00 (m, 1H), 3.65-3.58 (m, 2H), 3.55-3.50 (m, 1H), 2.78-2.75 (m, 1H), 2.68-2.65 (m, 2H), 2.55-2.51 (m, 1H), 2.46-2.34 (m, 3H), 2.18-2.15 (m, 1H), 2.00-1.85 (m, 2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용매에서 교환된다.
LCMS(방법 A): 2.156분, 99.55%, 254.0 nm, MS: ES+ 418.2 (M+1)
HPLC(방법 A): 7.39분, 99.49%, 254.0 nm
키랄 HPLC: 피크-1: 3.57분, 21.70%, 240.0 nm; 피크-2: 3.81분, 27.86%, 240.0 nm; 피크-3: 5.05분, 25.38%, 240.0 nm; 피크-4: 6.30분, 25.0414%, 240.0 nm
실시예 63 - N-((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2-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7)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05 g, 0.15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088 g, 0.233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0℃에서 DIPEA(0.07 mL, 0.466 mmol, 3.0 당량) 및 6-(아미노메틸) 피리딘-2 (1H)-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95878-02-7)(0.027 g, 0.171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에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얻은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20 mL)로 세척하고, 이후 감압하에서 건조시켰고, 조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DCM 중의 0-2 % MeOH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6-옥소-1,6-디하이드로피리딘-2-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7)(0.021 g, 0.049 mmol, 수율: 31.57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1.62 (br s, 1H), 9.32 (t, J = 6.0 Hz, 1H), 9.29 (d, J = 2.0 Hz, 1H), 8.86 (d, J = 2.0 Hz, 1H), 8.04-8.01 (m, 1H),7.66-7.63 (m, 2H), 7.39 (t, J = 7.6 Hz, 1H), 6.23-6.14 (m, 2H), 5.87 (br s, 1H), 4.39 (d, J = 5.2 Hz, 2H), 2.81-2.67 (m, 4H), 2.33-2.25 (m, 1H), 2.10-2.07 (m, 1H), 1.75-1.67 (m, 1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9 (d, J = 2.0 Hz, 1H), 8.83 (d, J = 2.4 Hz, 1H), 7.98 (dd, J = 7.6, 1.2 Hz, 1H), 7.71-7.64 (m, 2H), 7.58 (t, J = 8.8 Hz, 1H), 6.48-6.41 (m, 2H), 5.87 (br s, 1H), 4.56 (s, 2H), 2.85-2.75 (m, 1H), 2.69-2.65 (m, 2H), 2.55-2.51 (m, 1H), 2.40- 2.33 (m, 1H), 2.18-2.15 (m, 1H), 1.92-1.85 (m, 1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189분, 100.00 %, 254 nm, MS: ES+ 428.23 (M+1)
HPLC(방법 A): 7.37분, 99.08 %, 254 nm
키랄 HPLC: 피크-1 6.07분, 49.36%, 242 nm; 피크-2 6.53분, 49.55 %, 242 nm
실시예 64 - N-((2-옥소-1,2-디하이드로피리딘-3-일)메틸)-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8)의 합성
단계-1
DMF(0.5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05 g, 0.1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고, 0℃로 냉각시켰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HATU(0.09 g, 0.23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30분의 교반 후, DIPEA(0.06 g, 0.46 mmol, 3.0 당량) 및 3-(아미노메틸) 171이리딘-2(1H)-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85468-38-8)(0.02 g, 0.15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20 mL)에 붓고, 침전시켰고, 이를 여과시키고, 물(50 m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건조시켜 조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고, 원하는 생성물을 아세토니트릴 중의 50% 물로 용리시켜 N-((2-옥소-1, 2-디하이드로피리딘-3-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8)(0.037 g, 0.09 mmol, 수율: 55.6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1.69 (s, 1H), 9.29 (d, J = 1.6 Hz, 1H), 9.16 (t, J = 5.6 Hz, 1H), 8.87 (d, J = 2.0 Hz, 1H), 8.02-8.00 (m, 1H), 7.65-7.64 (m, 2H), 7.35 (dd, J = 6.4, 24.0 Hz, 2H), 6.18 (t, J = 6.4, 1H), 5.87 (br s, 1H), 4.31 (d, J = 5.6 Hz, 2H), 2.81-2.67 (m, 3H), 2.33-2.25 (m, 1H), 2.10-2.08 (m, 1H), 1.75-1.66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9 (s, 1H), 8.81 (s, 1H), 7.97 (d, J = 7.6 Hz, 1H), 7.69-7.63 (m, 3H), 7.41 (d, J = 6.4 Hz, 1H), 6.43 (t, J = 6.8 Hz, 1H), 5.87 (br s, 1H), 4.52 (s, 2H), 2.78-2.75 (m, 1H), 2.68-2.65 (m, 2H), 2.55-2.51 (m, 1H), 2.40-2.34 (m, 1H), 2.18-2.15 (m, 1H), 1.93-1.85 (m, 1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266분, 95.77%, 254.0 nm, MS: ES+ 428.2 (M+1)
HPLC(방법 A): 7.56분, 100%, 254.0 nm
키랄 HPLC: 피크-1: 7.75분, 49.18%, 240.0 nm; 피크-2: 8.57분, 50.81%, 240.0 nm
실시예 65 - N-(1-(하이드록시메틸)시클로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9)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 g, 0.3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고, 0℃로 냉각시켰다. 이 반응 용액에 DIPEA(0.12 g, 0.93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HATU(0.17 g, 0.46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30분의 교반 후, CAS:115652-52-3 1-아미노-시클로프로판메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4 g, 0.37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2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N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실리카 겔(230-400 메쉬) 상에서의 순상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1-(하이드록시메틸) 시클로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9)(0.047 g, 0.12 mmol, 수율: 38.84%)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6 (d, J = 2.0 Hz, 1H), 9.96 (dd, J = 7.6, 1.6 Hz, 1H), 7.69-7.62 (m, 2H), 5.86 (br s, 1H), 3.74 (s, 2H), 2.77-2.74 (m, 1H), 2.67-2.64 (m, 2H), 2.55-2.50 (m, 1H), 2.33-2.15 (m, 1H), 2.17-2.15 (m, 1H), 1.89-1.85 (m, 1H), 0.95 (s, 4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d 6 400 MHz): δ ppm, 9.23 (d, J = 2.0 Hz, 1H), 9.01 (s, 1H), 8.80 (d, J = 1.6 Hz, 1H) 7.98-7.96 (m, 1H), 7.63-7.60 (m, 2H), 5.87 (br s, 1H), 4.82 (t, J = 5.6 Hz, 1H), 3.57 (d, J = 5.6 Hz, 2H), 2.80-2.67 (m, 3H), 2.32-2.25 (m, 2H), 2.09-2.06 (m, 1H), 1.74-1.65 (m, 1H) 0.82-.74 (m, 4H).
LCMS(방법 A): 2.244분, 100%, 254.0 nm, MS: ES+ 391.17 (M+1)
HPLC(방법 A): 7.99분, 99.74%, 254.0 nm
키랄 HPLC: 피크-1: 3.06분, 49.18%, 240.0 nm; 피크-2: 3.50분, 49.9%, 240.0 nm
실시예 66 - N- ((R)-1-아세트아미도프로판-2-일)-8-(4-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0)의 합성
단계-1
DCM(2 mL) 중의 N-((R)-1-아미노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53)(0.115 g, 0.3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아세틸 클로라이드(0.040 g, 0.36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TEA(0.08 mL, 0.61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DCM(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R)-1-아세트아미도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0)(0.053 g, 0.128 mmol, 수율 41.47%)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8 (d, J = 2.0 Hz, 1H), 8.56 (d, J = 8.0 Hz, 1H), 8.02-7.99 (m, 2H), 7.64-7.63 (m, 2H), 5.87 (br s, 1H), 4.15-4.11 (m ,1H), 3.30-3.17 (m, 2H), 2.79-2.60 (m, 3H), 2.32-2.25 (m, 1H), 2.10-2.07 (m, 1H), 1.82 (s, 3H), 1.73-1.67 (m, 1H), 1.15 (d, J = 6.8 Hz, 3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3 (d, J = 2.0 Hz, 1H), 8.74 (d, J = 2.0 Hz, 1H), 7.98 (dd, J = 5.6, 2.0 Hz, 1H), 7.69-7.63 (m, 2H), 5.86 (br s, 1H), 4.35-4.30 (m, 1H), 3.47-3.32 (m, 2H), 2.78-2.68 (m, 3H), 2.65-2.55 (m, 1H), 2.51-2.40 (m, 1H), 2.17-2.09 (m, 1H), 1.97 (s, 3H), 1.39-1.29 (m, 1H), 0.93 (d, J = 6.8 Hz, 3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22분, 100%, 220 nm, MS: ES+ 420.13 (M+1)
HPLC(방법 A): 7.75분, 99.80%, 210 nm
키랄 HPLC: 6.74분, 7.06분, 48.93%, 51.06%, 240 nm
실시예 67 - N-((S)-1-(피리딘-2-일)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1 및 화합물 72)의 키랄 분리
컬럼 ID: CHIRALCEL ODH (250 X 4.6 mm 5 um)
이동상 A: Liq.CO2
이동상 B: M.NH3-MEOH-ACN (50-50)
유량 (ML/ MIN): 3
장비 ID: SFC INVESTIGATOR
방법: 시간: 흐름: %A: %B (0:14:60:40), (7:14:60:40)
유입량: 0.060 g.
유출량: 화합물 71 = 0.015 g (%수율 = 33.33%) 및 화합물 72 = 0.013 g (%수율 = 25%)
화합물 71: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4 Hz, 1H), 8.86 (d, J = 2 Hz, 1H), 8.56 (d, J = 4.8 Hz, 1H), 7.99 (dd, J = 7.6, 1.6 Hz, 1H), 7.86 (td, J = 7.6, 1.6 Hz, 1H), 7.70-7.64 (m, 2H), 7.55 (d, J = 8 Hz, 1H), 7.36-7.33 (m, 1H), 5.87 (s, 1H), 5.36-5,32 (m, 1H), 2.78-2.65 (m, 3H), 2.55-2.51 (m, 1H), 2.40-2.37 (m, 1H), 2.18-2.15 (m, 1H), 1.92-1.85 (m, 1H),1.66 (d, J = 6.8 Hz, 3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9 (d, J = 2.4 Hz, 1H), 9.21 (d, J = 7.6 Hz, 1H), 8.89 (d, J = 2.0 Hz, 1H), 8.54 (d, J = 4.4 Hz, 1H), 8.02 (dd, J = 5.2, 4.0 Hz, 1H), 7.80-7.75 (m, 1H), 7.65 - 7.62 (m, 2H), 7.48 (d, J = 8.0 Hz, 1H), 7.29 (dd, J = 7.2, 5.2 Hz, 1H), 5.87 (br s, 1H), 5.29 - 5.22 (m, 1H), 2.81 - 2.67 (m, 3H), 2.33 - 2.29 (m, 1H), 2.10-2.07 (m, 1H), 1.74 - 1.65 (m, 1H), 1.55 (d, J = 7.2 Hz, 3H).
CMS(방법 A): 2.321분, 100%, 254.0 nm, MS: ES+ 426.3 (M+1)
HPLC(방법 A): 9.18분, 100%, 254.0 nm
키랄 HPLC: 2.29분, 100%, 246 nm
화합물 72: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4 Hz, 1H), 8.86 (d, J = 2 Hz, 1H), 8.56 (d, J = 4.8 Hz, 1H), 7.99 (dd, J = 7.6, 1.6 Hz, 1H), 7.86 (td, J = 7.6, 1.6 Hz, 1H), 7.70-7.64 (m, 2H), 7.55 (d, J = 8 Hz, 1H), 7.36-7.33 (m, 1H), 5.87 (s, 1H), 5.36-5,32 (m, 1H), 2.78-2.65 (m, 3H), 2.55-2.51 (m, 1H), 2.40-2.37 (m, 1H), 2.18-2.15 (m, 1H), 1.92-1.85 (m, 1H),1.66 (d, J = 6.8 Hz, 3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9 (d, J = 2.4 Hz, 1H), 9.21 (d, J = 7.6 Hz, 1H), 8.89 (d, J = 2.0 Hz, 1H), 8.54 (d, J = 4.4 Hz, 1H), 8.02 (dd, J = 5.2, 4.0 Hz, 1H), 7.80-7.75 (m, 1H), 7.65 - 7.62 (m, 2H), 7.48 (d, J = 8.0 Hz, 1H), 7.29 (dd, J = 7.2, 5.2 Hz, 1H), 5.87 (br s, 1H), 5.29 - 5.22 (m, 1H), 2.81 - 2.67 (m, 3H), 2.33 - 2.29 (m, 1H), 2.10-2.07 (m, 1H), 1.74 - 1.65 (m, 1H), 1.55 (d, J = 7.2 Hz, 3H).
LCMS(방법 A): 2.321분, 100%, 254.0 nm, MS: ES+ 426.3 (M+1)
HPLC(방법 A): 9.20분, 100%, 254.0 nm
키랄 HPLC(방법 A): 2.32분 ,100%, 246 nm
실시예 68 - N-((R)-1-(옥사졸-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3)의 합성
단계-1
무수 THF(50 mL) 중의 옥사졸 CAS: 288-42-6(10.0 g, 144.8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78℃에서 n-BuLi(90.50 mL, 144.80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N2 분위기하에서 CAS: 2591-86-8(16.36 g, 144.80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N HCl(200 mL)로 켄칭시키고, DCM(3 x 3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옥사졸-2-카르발데히드(A58)(12.8 g, 131.86 mmol, 수율: 91.07%)를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다 (주석: 화합물의 휘발성 특징으로 인해 유기층을 더 낮은 온도 25℃에서 회전증발기(rotavapor) 상에서 농축시켰고, 또한 용매를 완전하게 제거하지 못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73 (s, 1H), 8.50 (s, 1H), 7.66 (s, 1H).
단계-2
THF(50 mL) 중의 옥사졸-2-카르발데히드(A58)(5.0 g, 51.509 mmol, 1.0 당량)의 용액에 CAS: 343338-28-3(7.49 g, 61.811 mmol, 1.2 당량) 및 Ti(OC2H4)4 CAS:3087-36-3(22.988 g, 103.06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포화 염수(10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3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S, E)-2-메틸-N-(옥사졸-2-일메틸렌) 프로판-2-설피나미드(A59)(4.0 g, 19.974 mmol, 수율: 38.7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46 (s, 1H), 8.29 (s, 1H), 7.64 (s, 1H), 1.19 (s, 9H).
LCMS(방법 A): 1.547분, 100%, 285.0 nm, MS: ES+ 201.0 (M+1)
단계-3
DCM(40 mL) 중의 (E)-2-메틸-N- (옥사졸-2-일메틸렌) 프로판-2-설피나미드(A59)(4.0 g, 19.97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 -78℃에서 CH3MgBr (Et2O 중 3M)(7.989 mL, 23.969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78℃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후 1.5시간 동안 실온까지 가온되게 하였다. CH3MgBr(Et2O 중 3M)(7.989 mL, 23.969 mmol, 1.2 당량)의 2회분을 첨가하고, 다시 -78℃에서 1시간 동안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였다. 1시간 후 3시간 동안 실온까지 가온되게 하였다. CH3MgBr(Et2O 중 3M)(3.99 mL, 11.984 mmol, 0.6 당량)의 3회분을 -78℃에서 첨가하고, 이후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까지 가온되게 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수성 NH4Cl(100 mL)에 서서히 붓고, EtOAc(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펜탄을 사용한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S)-2-메틸-N-((R)-1-(옥사졸-2-일) 에틸) 프로판-2-설피나미드(A60)(3.0 g, 13.868 mmol, 수율: 69.4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8.07 (s, 1H), 7.16 (s, 1H), 5.93 (d, J = 7.6 Hz,1H), 4.56-4.48 (m, 1H), 1.50 (d, J = 6.8 Hz, 3H), 1.09 (s, 9H).
LCMS(방법 A): 1.404분, 100%, 220.0 nm, MS: ES+ 217.1 (M+1).
키랄 HPLC: 4.14분, 100%, 216.0 nm.
단계-4
MeOH(30 mL) 중의 (S)-2-메틸-N- ( (R)-1- (옥사졸-2-일) 에틸) 프로판-2-설피나미드(A60)(3.0 g, 13.87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디옥산 중의 4M HCl(7.28 mL, 29.126 mmol, 2.1 당량)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이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R)-1-(옥사졸-2-일) 에탄-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A61)(2.77 g, 18.642 mmol, 수율: 정량적)을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78 (br s, 2H), 8.25 (s, 1H), 7.33 (s, 1H), 4.70 - 4.64 (m, 1H), 1.56 (d, J = 6.8 Hz, 3H).
LCMS(방법 A): 0.196분, 94.57%, 210.0 nm, MS: ES+ 112.9 (M+1)
단계-5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5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 화합물 15(5.0 g, 15.562 mmol, 1.0 당량), HATU(8.876 g, 23.343 mmol, 1.5 당량) 및 DIPEA(8.045 Ml, 46.685 mmol, 3.0 당량)의 용액에 A61(2.77 g, 18.674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이후 물(100 mL)를 첨가하고, EtOAc(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6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R)-1- (옥사졸-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3)(4.6 g, 11.073 mmol, 수율: 71.1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6 (d, J = 7.6 Hz, 1H), 9.27 (d, J = 2.0 Hz, 1H), 8.86 (d, J = 2.0 Hz, 1H), 8.08 (s, 1H), 8.03 - 8.00 (m, 1H), 7.66 - 7.63 (m, 2H), 7.19 (s, 1H), 5.88 (br s, 1H), 5.40 - 5.36 (m, 1H), 2.80 - 2.67 (m, 4H), 2.33 - 2.29 (m, 1H), 2.10-2.07 (m, 1H), 1.73-1.65 (m, 1H), 1.61 (d, J = 6.8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0 Hz, 1H), 8.83 (d, J = 2.0 Hz, 1H), 7.99 - 7.92 (m, 2H), 7.70 - 7.63 (m, 2H), 7.18 (s, 1H), 5.88 (br s, 1H), 5.52 - 5.46 (m, 1H), 2.78 - 2.75 (m, 1H), 2.68-2.65 (m,2H), 2.55-2.51 (m, 1H), 2.40 - 2.37 (m, 1H), 2.18-2.15 (m, 1H), 1.91-1.85 (m, 1H), 1.73 (d, J = 6.8 Hz, 3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460분, 98.73%, 254.0 nm, MS: ES+ 416.2 (M+1)
HPLC(방법 A): 8.77분, 99.01%, 254.0 nm.
키랄 HPLC: 피크-1 (5.02분, 47.83%, 245.0 nm); 피크-2 (6.08분, 49.16%, 245.0 nm)
실시예 69 - N-((R)-4-(디메틸아미노)-4-옥소부탄-2-일)-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4)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서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한 DCM(20 v) 중의 (3R)-3-(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도)부탄산(화합물 55)(0.15 g, 0.36 mmol, 1.0 당량), EDCl.HCl(0.106 g, 0.553 mmol, 1.5 당량), HOBt(0.075 g, 0.553 mmol, 1.5 당량) 및 DIPEA(0.143 g, 1.107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디메틸 아민(THF 중 2 M) CAS: 124-40-3 (0.067 g, 1.476 mmol, 4.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50 mL)로 켄칭시키고, DCM(3 x 1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n-펜탄을 사용하는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N-((R)-4-(디메틸아미노)-4-옥소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4)(0.04 g, 0.0922 mmol, 수율: 25%)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2 (d, J = 2.4 Hz, 1H), 8.74 (d, J = 2.4 Hz, 1H), 7.95 (dd, J = 7.6, 2.0 Hz, 1H), 7.68 -7.65 (m, 2H), 5.87 (br s, 1H), 4.62 - 4.57 (m, 1H), 3.17 (s, 3H), 2.96 (s, 3H), 2.88-2.83 (m, 1H), 2.77 - 2.75 (m, 1H), 2.69-2.64 (m, 3H), 2.55-2.51 (m, 1H), 2.40 - 2.38 (m, 1H), 2.18-2.15 (m, 1H), 1.92-1.85 (m, 1H), 1.41 (d, J = 5.4 Hz, 3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9.23 (d, J = 2.4 Hz, 1H), 8.77 (d, J = 2.4 Hz, 1H), 8.64 (d, J = 7.6 Hz, 1H), 8.02 - 7.99 (m, 1H), 7.65-7.63 (m, 2H), 5.88 (br s, 1H), 4.42 - 4.39 (m, 1H), 3.02 (s, 3H), 2.83 (s, 3H), 2.76 - 2.71 (m, 2H), 2.69-2.61 (m, 2H), 2.57-2.53 (m, 1H), 2.51 - 2.43 (m, 1H), 2.35 - 2.32 (m, 1H), 2.07 (m, 1H), 1.75 - 1.67 (m, 1H), 1.25 (d, J = 6.4 Hz, 3H).
LCMS(방법 A): 2.290분, 100%, 210.0 nm, MS: ES+ 434.3 (M+1)
HPLC(방법 A): 8.26분, 98.29%, 210.0 nm.
키랄 HPLC(방법 A): 피크 1: 8.12분, 45.66%, 240 nm; 피크 2: 8.49분, 53.04%, 240 nm.
실시예 70 - N-(3-(디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8-(4-(트리플루오로 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5)의 합성
단계-1
DMF(5.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5 g, 1.5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88 g, 2.33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DIPEA(0.8 mL, 4.67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0℃에서 교반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CAS: 3196 -73-4 β-알라닌 메틸 에스테르 하이드로클로라이드(0.239 g, 1.71 mmol, 1.1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조 잔류물을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60-120 메쉬; 50%의 EtOAc 및 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파노에이트(A62)(0.34 g, 0.862 mmol, 수율: 55.34%)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3 (d, J = 2.0 Hz, 1H), 8.92 (t, J = 6.8 Hz, 1H), 8.78 (d, J = 1.6 Hz, 1H), 8.01-7.99 (m, 1H), 7.64-7.61 (m, 2H), 5.86 (br s, 1H), 3.62 (s, 3H), 3.57 (q, J =5.6 Hz, 2H), 2.80-2.64 (m, 5H), 2.45-2.40 (m, 1H), 2.31-2.24 (m, 1H), 2.09-2.06 (m, 1H), 1.74-1.63(m, 1H).
LCMS(방법 A): 2.418분, 99.31%, MS: ES+ 407.22 [M+H].
단계-2
MeOH: H2O(3:1 mL) 중의 메틸 3-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파노에이트(A62)(0.340 g, 0.832 mmol)의 용액에 0℃에서 LiOH.H2O(0.068 g, 1.67 mmol, 2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고,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N HCl로 산성화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백색 비정질 고체로서 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판산(A63)(0.32g, 0.765 mmol, 수율: 32.8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92 (t, J = 5.2 Hz, 1H), 8.81 (d, J = 2.0 Hz, 1H), 8.02-7.99 (m, 1H) ,7.65-7.62 (m, 2H), 5.87 (br s, 1H), 3.53 (q, J = 6.8 Hz, 2H), 2.80-2.67 (m, 3H), 2.59-2.56 (m, 2H), 2.50-2.46 (m, 1H), 2.32-2.25 (m, 1H), 2.10-2.07 (m, 1H) ,1.74-1.65. (m, 1H).
LCMS(방법 A): 2.191분, 100%, MS: ES+ 393.17 [M+H] +
단계-3
DMF(1.5 Ml) 중의 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판산(A63)(0.15 g, 0.3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21 g, 0.57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10분 후, 동일한 온도에서 DIPEA(0.2 Ml, 1.14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디메틸 아민(THF 중 2M) CAS:124-40-3(0.018 g, 0.42 mmol, 1.1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10 Ml x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층을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조 잔류물을 실리카 겔(60-120 메쉬; 50%의 EtOAc 및 헥산)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3-(디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5)(0.064 g, 0.155 mmol, 수율: 43.1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84 (t, J = 5.2 Hz, 1H), 8.78 (d, J = 2.4 Hz, 1H), 8.01-7.98 (m, 1H), 7.64-7.61 (m, 2H), 5.86 (br s, 1H), 3.52 (q, J = 5.6 Hz, 2H), 2.97 (s, 3H), 2.88-2.77 (m, 5H), 2.71-2.62 (m, 3H), 2.32-2.24 (m, 1H), 2.09-2.07 (m, 1H), 1.74-1.63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4 (d, J = 2.4 Hz, 1H), 7.96 (dd, J = 1.6 Hz, 7.6 Hz, 1H), 7.68-7.63 (m, 2H), 5.86 (br s, 1H), 3.73 (t, J = 6.8 Hz, 2H), 3.11 (s, 3H), 2.98 (s, 3H), 2.80 (t, J = 6.8 Hz, 3H), 2.75-2.64 (m, 2H), 2.55-2.50 (m, 1H), 2.40-2.37 (m, 1H), 2.17-2.15 (m, 1H), 1.92-1.88 (m, 1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22분, 99.25%, MS: ES+ 420.3 [M+H]
HPLC(방법 A): 7.98분. 99.11%, 254 nm
키랄 HPLC(방법 A): 6.46+7.39분. 49.63+49.80%, 242 nm
실시예 71 - N-(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8-(4-(트리플루오로 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6)의 합성
단계-1
DMF(1.5 mL) 중의 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판산 A63(0.15 g, 0.3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21 g, 0.57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THF 중의 CAS: 74-89-5 메틸 아민 2M(0.28 mL, 0.57 mmol, 1.5 당량) 및 DIPEA(0.2 mL, 1.14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층을 진공하에서 증발시키고, 조 잔류물을 실리카 컬럼 크로마토그래피(60-120 메쉬; 50%의 EtOAc 및 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N-(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6)(0.065 g, 0.155 mmol, 수율: 40.6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3 (d, J = 2.0 Hz, 1H), 8.88 (t, J = 5.6 Hz, 1H), 8.78 (d, J = 2.0 Hz, 1H), 8.01-7.98 (m, 1H), 7.88-7.87 (m, 1H), 7.64-7.61 (m, 2H), 5.86 (br s, 1H), 3.55 (q, J = 7.2 Hz, 2H), 2.85-2.75 (m, 1H), 2.74-2.65 (m, 1H), 2.58 (d, J = 4.8 Hz, 3H), 2.42-2.39 (m, 3H), 2.18-2.07 (m, 1H), 1.74-1.63 (m ,1H). 주석: 3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3 (d, J = 2.0 Hz, 1H), 8.74 (d, J = 2.4 Hz, 1H), 7.98-7.95 (m, 1H), 7.69-7.63 (m, 2H), 5.86 (br s, 1H), 3.72 (t, J = 6.8 Hz, 2H), 2.75 (s, 3H), 2.68-2.64 (m, 2H), 2.57 (t, J = 6.8 Hz, 2H), 2.51-2.49 (m, 1H), 2.40-2.34 (m, 1H), 2.18-2.15 (m, 1H), 1.89-1.85 (m ,1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12분, 98.87%, MS: ES+ 406.37 [M+H]
HPLC(방법 A): 7.49분. 99.45%, 254 nm
실시예 72 - N-((R)-4-아세트아미도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7)의 합성
단계-1
DMF(3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2 g, 0.62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HATU(0.355 g, 0.933 mmol, 1.5 당량) 및 DIPEA(0.32 mL, 1.867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5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질소하에서 CAS:1187927-71-4 (R)-1-Boc-아미노-부틸-3-아민(0.129 g, 0.685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DCM(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R)-3-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틸) 카르바메이트(A64)(0.22 g, 0.448 mmol, 수율: 71.9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9.24 (d, J = 2.0 Hz, 1H), 8.78 (d, J = 2.0 Hz, 1H), 8.55 (d, J = 8.0 Hz, 1H), 8.00 (t, J = 4.8 Hz, 1H), 7.65-7.63 (m, 2H), 6.80 (br s, 1H), 5.87 (br s, 1H), 4.11-4.08 (m, 1H), 3.02-2.97 (m, 2H), 2.73-2.68 (m, 3H), 2.33-2.25 (m, 2H), 2.09-2.07 (m, 1H),1.73-1.65 (m, 3H), 1.36 (s, 9H), 1.20 (d, J = 6.8 Hz, 3H).
LCMS(방법 A): 2.725분, 96.87%, 254.0 nm, MS: ES+ 492.4 (M+1).
단계-2:
MeOH(2 mL) 중의 tert-부틸 ((3R)-3-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틸) 카르바메이트(A64)(0.22 g, 0.44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디옥산 중의 4 M HCl(0.22 mL, 0.895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디에틸 에테르(5 mL)를 사용하는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N-((R)-4-아미노부탄-2-일)-8-(4-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A65)(0.2 g, 0.511 mmol, 정량적)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8 (s, 1H), 8.87 (s, 1H), 8.78 (d, J = 8.0 Hz, 1H), 8.03 (t, J = 5.2 Hz, 3H), 7.87 (br s ,2H), 7.67-7.64 (m, 2H), 5.88 (br s, 1H), 4.19-4.16 (m, 1H), 3.72-3.46 (m, 5H), 2.89-2.86 (m, 2H), 2.76-2.68 (m, 2H), 2.33-2.25 (m, 1H), 2.10-2.07 (m, 1H), 1.86-1.82 (m, 2H), 1.75-1.69 (m, 1H), 0.85 (d, J = 6.8 Hz, 3H). 주석: 화합물을 HCl 염으로서 단리하였다.
LCMS(방법 A): 1.853분, 97.76%, 254.0 nm, MS: ES+ 392 (M+1)
단계-3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DCM(2 mL) 중의 N-((R)-4-아미노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A65)(0.18 g, 0.460 mmol, 1.0 당량) 및 TEA(0.2 mL, 1.379 mmol, 3.0 당량)의 용액에 CH3COCl(0.036 mL, 0.460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 4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 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DCM(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5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N-((R)-4-아세트아미도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7)(0.087 g, 0.201 mmol, 수율: 43.6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400 MHz): δ ppm,9.24 (s, 1H), 8.78 (s, 1H), 8.58 (d, J = 7.6 Hz, 1H), 8.01 (s, 1H), 7.85(s, 1H), 7.63 (d, J = 3.6 Hz, 2H), 5.87 (br s, 1H), 4.12-4.09 (m, 1H), 3.11-3.09 (m, 2H), 2.77-2.68 (m, 3H), 2.32-2.29 (m, 2H), 2.10-2.07 (m, 1H), 1.84 (s, 3H), 1.78-1.64 (m, 3H), 1.20 (d, J = 6.4 Hz, 3H).
LCMS(방법 A): 2.198분, 98.97%, 242.0 nm, MS: ES+ 434.3 (M+1)
HPLC(방법 A): 7.87분, 97.93%, 254.0 nm
키랄 HPLC: 4.93분. 98%, 242 nm
실시예 73 - N-(3-아세트아미도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8)의 합성
단계-1
DCM(1 mL) 중의 프로판-1,3-디아민 (CAS:109-76-2)(0.1 g, 1.348 mmol, 1.0 당량), CH3COCl(0.105 g, 1.348 mmol, 1.0 당량) 및 DIPEA(0.704 ml, 4.047 mmol, 3.0 당량)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 -78℃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실온까지 가온되게 하였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5 % HCl(2 mL)로 켄칭시키고, 포화 NaHCO3(3 x 10 mL)로 염기성화시키고 이후 DCM(10 mL)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n-펜탄을 사용한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N-(3-아미노프로필) 아세트아미드(A66)(0.1 g, 0.862 mmol, 수율: 63.7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97-7.88 (m, 1H), 3.07-2.98 (m, 2H), 2.70 (t, J = 6.8 Hz ,4H), 1.78 (s, 3H), 1.62-1.54 (m, 2H).
LCMS(방법 B): 1.25분, 78%, 210.0 nm, MS: ES+ 117 (M+1)
단계-2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한 DMF(1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 g, 0.311 mmol, 1.0 당량), HATU(0.17 g, 0.467 mmol, 1.5 당량) 및 DIPEA(0.16 mL, 0.934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A66(0.039 g, 0.342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고, 7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되게 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및 DCM(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OH 중의 5% MDC)에 의해 정제하여 N-(3-아세트아미도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8)(0.033 g, 0.078 mmol, 수율: 25.28%)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76 (d, J = 2.0 Hz, 1H), 7.97 (dd, J = 2.0 Hz J = 7.6 Hz, 1H), 7.69-7.63 (m, 2H), 5.86 (br s ,1H), 3.51 (t, J = 6.8 Hz, 2H), 2.78-2.75 (m, 1H), 2.68-2.65 (m, 2H), 2.55-2.51 (m, 1H), 2.40-2.33 (m, 1H), 2.17-2.14 (m, 1H), 1.98 (s, 3H), 1.92-1.82 (m, 3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d 6 , 400 MHz): 9.24 (d, J = 2.0 Hz, 1H), 8.80-8.78 (m, 1H), 8.02-7.99 (m, 1H), 7.90 (br s, 1H), 7.64-7.61 (m, 2H), 5.86 (br s,1H), 3.12 (q, J = 6.8 Hz, 2H), 2.80-2.67 (m, 3H), 2.33-2.32 (m, 1H), 2.10-2.07 (m, 1H), 1.81 (s, 3H), 1.76-1.64 (m, 3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LCMS(방법 A): 2.150분, 97.87%, 254.0 nm, MS: ES+ 420.38 (M+1)
HPLC(방법 A): 7.62분, 97.0%, 254.0 nm
실시예 74 - N-(2-아세트아미도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9)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 g, 0.31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HATU(0.17 g, 0.467 mmol, 1.5 당량) 및 DIPEA(0.16 mL, 0.934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질소하에서 CAS: 1001-53-2 N-아세틸에틸렌디아민(0.034 g, 0.342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7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DCM(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OH 중의 5% MDC)에 의해 정제하여 N-(2-아세트아미도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9)(0.038 g, 0.093 mmol, 수율: 30.12%)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4 (d, J = 2.4 Hz ,1H), 7.97 (dd, J = 8.0 Hz, 7.6 Hz, 1H), 7.69-7.63 (m, 2H), 5.86 (br s, 1H), 3.59-3.56 (m, 2H), 3.48-3.45 (m, 2H), 2.78-2.75 (m, 1H), 2.68-2.65 (m, 2H), 2.55-2.51 (m, 1H), 2.40-2.37 (m, 1H), 2.17-2.15 (m, 1H), 1.98 (s, 3H), 1.89-1.85 (m, 1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86 (t, J = 5.2 Hz ,1H), 8.79 (d, J = 2.0 Hz, 1H), 8.04-7.98 (m, 2H), 7.64-7.61(m, 2H), 5.87 (br s, 1H), 3.39-3.34 (m, 2H), 3.28-3.23 (m, 2H), 2.80-2.67 (m, 3H), 2.50-2.46 (m, 1H), 2.33-2.24 (m, 1H), 2.10-2.07 (m, 1H), 1.82 (s, 3H), 1.74-1.65 (m, 1H).
LCMS(방법 A): 2.122분, 100 %, 242.0 nm, MS: ES+ 406.22 (M+1)
HPLC(방법 A): 7.45분, 99.69%, 254.0 nm
실시예 75 - N-(1-(1H-피라졸-5-일)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0)의 합성
단계-1
MeOH(2.0 mL) 중의 7M NH3에서의 1-(1H-피라졸-5-일) 에탄-1-온 (CAS:20583-33-9)(0.2 g, 1.8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Ti (O i pr)4(1.0 g, 3.63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수소화붕소나트륨(sodium borohydride)(0.13 g, 3.63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 1- (1H-피라졸-5-일) 에탄-1-아민(A67)(0.22 g, 1.97 mmol, 수율: 정량적)을 얻었다.
LCMS(방법 B): 1.22분, 10.93 %, 254 nm, MS: ES+ 112.2 (M+1)
단계-2
DMF(1.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 g, 0.3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17 g, 0.46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DIPEA(0.16 mL, 0.934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추가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1- (1H-피라졸-5-일) 에탄-1-아민(A67)(0.038 g, 0.342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에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부흐터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2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에서 건조시키고 이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80%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 (1- (1H-피라졸-5-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0)(0.018 g, 0.043 mmol, 수율: 13.95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57 (br s, 1H), 9.27 (d, J = 2.0 ,1H), 9.04 (br s, 1H), 8.84 (d, J = 2.0 Hz, 1H), 8.01-7.98 (m, 1H), 7.64-7.63 (m, 3H), 6.25 (s, 1H), 5.87 (s, 1H), 5.39-5.31 (m, 1H), 2.81-2.67 (m, 2H), 2.50-2.46 (m, 2H), 2.33 -2.29 (m, 1H), 2.10-2.07 (m, 1H), 1.73-1.67 (m, 1H), 1.54 (d, J = 6.8 Hz, 3H).
LCMS(방법 A): 2.293분, 97.06 %, 254 nm, MS: ES+ 415.2 (M+1)
HPLC(방법 A): 8.25분, 95.14 %, 254 nm
실시예 76 - N-((R)-1-하이드록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1 및 화합물 82)의 키랄 분리
컬럼 ID: CHIRALPAK IG 250X50 mm 5um
이동상 A: LIQ. CO2
이동상 B: MEOH
유량 (ML/ MIN): 150
장비 ID: 2489 UV 검출기를 가진 WATERS SFC 350
방법: 시간: 흐름: %A: %B (0.01:150:70:30), (24:150:70:30)
유입량: 0.1206 g.
유출량: 화합물 81= 0.044 g (%수율 = 36.48%) 및 화합물 82= 0.040 g (%수율 = 33.17%)
화합물 81:
1 H NMR (DMSO-d6, 400 MHz) : δ ppm, δ 9.25 (d, J = 2.0 Hz, 1H), 8.81 (d, J = 2.0 Hz, 1H), 8.47 (d, J = 7.6 Hz, 1H), 8.01-7.99 (m, 1H), 7.64 - 7.63 (m, 2H), 5.88 (br s, 1H), 4.79 (t, J = 5.6 Hz, 1H), 4.10-4.07 (m, 1H), 3.53-3.49 (m, 1H), 3.42-3.37 (m, 1H), 2.73-2.68 (m, 3H), 2.33 - 2.29 (m, 1H), 2.10-2.07 (m, 1H), 1.72 -1.67 (m, 1H), 1.18 (d, J = 6.8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δ 9.25 (d, J = 2.4 Hz, 1H), 8.78 (d, J = 2.4 Hz, 1H), 7.97 (dd, J = 7.6, 2.0 Hz, 1H), 7.69 - 7.63 (m, 2H), 5.87 (br s, 1H), 4.31 - 4.26 (m, 1H), 3.71-3.68 (m, 2H), 2.78-2.65 (m, 3H), 2.56-2.51 (m, 1H), 2.41-2.34 (m, 1H), 2.18-2.15 (m, 1H), 1.93-1.83 (m, 1H), 1.32 (d, J = 6.8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212분, 99.64%, 254.0 nm, MS: ES+ 379.2 (M+1)
HPLC(방법 A): 7.88분, 99.59%, 254.0 nm
키랄 HPLC(방법 A): 5.88분 ,99.76%, 240 nm
화합물 82: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δ 9.25 (d, J = 2.0 Hz, 1H), 8.81 (d, J = 2.4 Hz, 1H), 8.47 (d, J = 7.6 Hz, 1H), 8.01-7.99 (m, 1H), 7.64 - 7.63 (m, 2H), 5.87 (br s, 1H), 4.79 (t, J = 5.6 Hz, 1H), 4.10 - 4.07 (m, 1H), 3.52-3.48 (m, 1H), 3.42-3.38 (m, 1H), 2.81-2.68 (m, 3H), 2.33 - 2.29 (m, 2H), 2.10-2.07 (m, 1H), 1.72 - 1.67 (m, 1H), 1.18 (d, J = 6.8 Hz, 3H).
1 H NMR (MeOD, 400 MHz) : δ ppm, δ 9.25 (d, J = 2.0 Hz, 1H), 8.78 (d, J = 2.4 Hz, 1H), 7.97 (dd, J = 7.6, 2.0 Hz, 1H), 7.69 - 7.63 (m, 2H), 5.87 (br s, 1H), 4.31 - 4.26 (m, 1H), 3.71-3.68 (m, 2H), 2.78-2.65 (m, 3H), 2.56-2.51 (m, 1H), 2.41-2.34 (m, 1H), 2.18-2.15 (m, 1H), 1.93-1.82 (m, 1H), 1.32 (d, J = 6.8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214분, 100%, 254.0 nm, MS: ES+ 379.2 (M+1)
HPLC(방법 A): 7.87분, 98.49%, 254.0 nm
키랄 HPLC(방법 A): 6.79분, 98.70%, 240 nm
실시예 77 - N-((R)-1-시아노-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3)의 합성
단계 1
DMF(5.0 mL) 중의 CAS: 51186-58-4(0.5 g, 1.5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88 g, 2.32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수성 NH4OH(0.37 mL 28%)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35%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R)-4-아미노-3-((tert-부톡시 카르보닐) 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A68)(0.238, 0.739 mmol, 수율 47.75%)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7.37 - 7.30 (m, 5H), 7.27 (s, 1H), 7.10 (s, 1H), 7.05 (d, J = 8.4 Hz, 1H), 5.12 - 5.05 (m, 2H), 4.31 - 4.26 (m, 1H), 2.78 - 2.73 (dd, J = 5.6 Hz,16.0 Hz, 1H), 2.61 - 2.47 (dd, J = 5.2, 16.0 Hz, 1H), 1.33 (d, J = 24.0 Hz, 9H).
LCMS(방법 A): 1.821분, 100.0 % 210 nm, MS: ES+ 323.2 (M+1)
단계-2
1, 4 디옥산(40.0 mL) 중의 벤질 (R)-4-아미노-3-((ter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A68)(4.0 g, 12.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피리딘(4.0 mL, 13.6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10분 후, TFAA(2.8 mL, 55.9 mmol, 4.5 당량)을 적하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NaHCO3(1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100-200 메쉬)(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R)-3-((tert-부톡시카르보닐) 아미노)-3-시아노프로파노에이트(A69)(3.6 g, 11.82 mol, 수율 95.70 %)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7.84 (d, J = 7.6 Hz, 1H), 7.38 - 7.30 (m, 5H), 5.12 (s, 2H), 4.70 (d, J = 6.8 Hz, 1H), 3.02 - 2.87 (m, 2H), 1.30 (s, 9H).
LCMS(방법 A): 2.32분,90.42 %, 220 nm, MS: ES+ 305.2 (M+1)
단계-3
THF(30 mL) 중의 벤질 (R)-3-((tert-부톡시 카르보닐) 아미노)-3-시아노프로파노에이트(A69)(3.6 g, 11.8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CH3SO3H(5.22 mL, 59.14 mmol, 5.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수성 NaHCO3(1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100-200 메쉬)(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R)-3-아미노-3-시아노프로파노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A70)(1.2 g, 4.98 mmol, 수율 42.1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7.39 - 7.31 (m, 5H), 5.14 (s, 2H), 4.01 (t, J = 6.8 Hz, 1H), 2.88 - 2.74 (m, 2H).; LCMS(방법 A): 원하는 질량을 지원하지 않음.
단계-4
DMF(5.0 mL) 중의 벤질 (R)-3-아미노-3-시아노프로파노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A70)(0.5 g, 2.0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DIPEA(1.15 mL, 6.24 mmol, 3.0 당량) 및 HATU(1.18 g, 3.12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10분 후, 동일한 온도에서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801 g, 2.28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다시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100-200 메쉬)(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35%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3R)-3-시아노-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파노에이트(A71)(0.475, 0.936 mmol, 수율: 97.23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60 (d, J = 7.2 Hz, 1H), 9.22 (d, J = 1.6 Hz, 1H), 8.81 (d, J = 1.6 Hz, 1H), 8.04 - 8.02 (dd, J = 2.4 Hz, & 6.8 Hz, 1H), 7.66 (t, J = 7.2 Hz, 2H), 7.37 (d, J = 6.8 Hz, 2H), 7.33 - 7.27 (m, 3H), 5.88 (br s, 1H), 5.32 - 5.27 (m, 1H), 5.18 (s, 2H), 3.34 - 3.15 (m, 2H), 2.81 - 2.78 (m, 1H), 2.70-2.65 (m, 2H), 2.46 (br s, 1H), 2.32 - 2.29 (m, 1H), 2.08-2.06 (m, 1H), 1.75 -1.64 (m, 1H).
LCMS(방법 A): 2.823분,100.0%, 254 nm, MS: ES+ 508.4 (M+1).
단계-5
MeOH: H2O(8: 2) 중의 벤질 (3R)-3-시아노-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파노에이트(A71)(0.475 g, 0.93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LiOH.H2O(0.064 g, 2.80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1N HCl을 사용하여 최대 산성 pH까지 산성화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3R)-3-시아노-3-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판산(A72)(0.380 g, 0.911 mmol, 수율 97.27%)를 수득하였다. 주석: 조 생성물을 임의의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직접적으로 사용하였다.
LCMS(방법 A): 2.359분, 28.84 %, 254.0 nm, ES+ 418.3 (M+1).
단계-6
DCM 중의 (3R)-3-시아노-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판산(A72)(0.380 g, 0.91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EDC.HCl(0.26 g, 1.36 mmol, 1.5 당량) 및 HOBt(0.246 g, 1.82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실온에서 메틸아민(0.9 Ml, 1.82 mmol, 2.0 당량, THF 중 2M)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35%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 ((R)-1-시아노-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8- (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3)(0.024 g, 0.056 mmol, 수율 47.7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59 (d, J = 7.2 Hz, 1H), 9.23 (d, J = 2.4 Hz, 1H), 8.84 (d, J = 2.4 Hz, 1H), 8.15 (d, J = 4.8 Hz, 1H), 8.05 - 8.04 (dd, J = 2.4, 6.8 Hz, 1H), 7.69 - 7.64 (m, 2H), 5.88 (br s, 1H), 5.26 - 5.20 (m, 1H), 2.92 - 2.90 (m, 1H), 2.85 - 2.80 (m, 2H), 2.69-2.67 (m, 2H), 2.62 (d, J = 4.8 Hz, 3H), 2.33 - 2.25 (m, 2H), 2.08-2.04 (m, 1H), 1.73 - 1.67 (m, 1H).
HPLC(방법 A): 7.98분, 96.11 %, 254 nm.
LCMS(방법 A): 2.247분,100.0 %, 254 nm, ES+ 431.3 (M+1).
키랄 HPLC: 5.37분, 50%, 245 nm, 6.51분, 49.8%, 245 nm
실시예 78 - (R)-N-(1-시아노-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4)의 합성
단계-1
DMF(5.0 mL) 중의 A25(0.70 g, 2.91 mmol, 1.2 당량), HATU(1.39 g, 3.60 mmol, 1.5 당량) 및 DIPEA(1.34 ml,7.34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제조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10분 후, 벤질 (R)-3-아미노-3-시아노프로파노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A70)(0.5 g, 2.43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수성 NaHCO3(5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51 g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35%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R)-3-시아노-3-(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파노에이트(A73)(0.4 g, 0.842 mmol, 수율 34.5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60 (d, J = 7.2 Hz, 1H), 9.23 (d, J = 2.4 Hz, 1H), 8.82 (d, J = 2.0 Hz, 1H), 8.05 - 8.04 (dd, J = 1.6 Hz & J = 7.6 Hz, 1H), 7.72 - 7.63 (m, 2H), 7.37 (d, J = 6.8 Hz, 2H), 7.33 - 7.28 (m, 3H), 5.77 (s, 1H), 5.29 (m, 1H), 5.17 (s, 2H), 3.34 - 3.15 (m, 2H), 2.90 (br's, 2H), 2.79 (t, J = 14.4 Hz, 2H), 2.28 - 2.18 (m, 2H).
LCMS(방법 A): 2.616분, 95.58 %, 254 nm, MS: ES+ 476.34 (M+1).
단계-2
MeOH: H2O: THF(7:2:1. 10.0 mL) 중의 벤질(R)-3-시아노-3-(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파노에이트(A73)(0.4 g, 0.84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LiOH.H2O(0.06 g, 2.52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켜 조 물질을 수득하였고 이를 1N HCl(50.0 mL)을 사용하여 산성화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R)-3-시아노-3-(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판산(A74)(0.38 g, 0.987 mmol, 수율 97.75 %)를 수득하였다.
LCMS(방법 A): 2.098분, 71.57 %, 254.0 nm, MS: ES+ 385.37 (M+1).
단계-3
DCM(5.0 mL) 중의 (R)-3-시아노-3-(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스 아미도) 프로판산(A74)(0.38 g, 0.91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EDC.HCl(0.26 g, 1.36 mmol, 1.5 당량) 및 HOBt(0.246 g, 1.82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15분 후, 메틸아민(0.9 mL, 1.82 mmol, 2.0 당량, THF 중 2M)을 첨가하였고, 다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0.4 g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35%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R)-N-(1-시아노-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4)(0.238 g, 0.739 mmol, 수율 47.75%)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56 (d, J = 7.2 Hz, 1H), 9.26 (d, J = 2.0 Hz, 1H), 8.86 (d, J = 2.0 Hz, 1H), 8.5 (d, J = 4.0 Hz, 1H), 8.05 (t, J = 6.4 Hz & 1.2 Hz, 1H), 7.71 - 7.65 (m, 2H), 5.77 (br's, 1H), 5.26 - 5.21 (m, 1H), 3.39 (s, 2H), 2.96 - 2.76 (m, 6H), 2.76 (s, 3H), 2.26 - 2.19 (m, 2H).
LCMS(방법 A): 2.045분, 100.0 %, 244 nm, MS: ES+ 399.27 (M+1)
HPLC(방법 A): 7.05분, 96.39. %, 254 nm
실시예 79 - N-((R)-4-아미노-4-옥소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5)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3 g, 0.93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DIPEA(0.542 g, 2.80 mmol, 3.0 당량), 및 HATU(0.532 g, 1.40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15분 후, (R)-메틸 3-아미노부타노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CAS: 139243-54-2(0.157 g, 1.03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 실리카 겔(100-200)(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3R)-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타노에이트(A75)(0.210 g, 0.499 mmol, 수율: 53.45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1 (d, J = 2.0 Hz, 1H), 8.75 (d, J = 2.0 Hz, 1H), 8.70 (d, J = 7.6 Hz, 1H), 8.00 (dd, J = 4.0 Hz & 9.6 Hz, 1H), 7.64 - 7.61 (m, 2H), 5.87 (br s, 1H), 4.45 - 4.38 (m, 1H), 3.60 (s, 3H), 2.79 (d, J = 12.4 Hz, 1H), 2.72 - 2.66 (m, 3H), 2.57 (d, J = 6.8 Hz, 2H), 2.32 - 2.24 (m, 1H), 2.08 (d, J = 8.0 Hz, 1H), 1.71 - 1.67 (m, 1H), 1.24 (d, J = 6.8 Hz, 3H).
LCMS(방법 A): 2.487분, 96.19%, 254 nm, MS: ES+ 421.2 (M+1)
단계-2
MeOH: H2O(3:1 mL) 중의 메틸 (3R)-3- (8- (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타노에이트(A75)(0.21 g, 0.49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LiOH.H2O(0.017 g, 0.749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이후 1N HCl 용액을 사용하여 최대 pH 2-3로 산성화시켜 고체 침전물을 얻었다. 이후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 상에서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건조시켜 (3R)-3-(8-(4-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탄산(A76)(0.1 g, 0.246 mmol, 수율:49.26%)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9 (d, J = 2.4 Hz, 1H), 9.05 (d, J = 1.6 Hz, 1H), 8.10 (dd, J = 1.6 Hz & 8.0 Hz, 1H), 7.85 - 7.77 (m, 2H), 5.95 (br s, 1H), 4.62 - 4.57 (m, 1H), 2.78 - 2.70 (m, 2H), 2.69 - 2.55 (m, 3H), 2.44 - 2.41 (m, 1H), 2.22 - 2.19 (m, 1H), 2.19 - 1.88 (m, 1H), 1.40 (d, J = 4.0 Hz, 3H). 주석: -CONH 및 -CO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HPLC(방법 A): 4.431분, 98.88 %, 254 nm.
LCMS(방법 A): 2.268분, 98.02%, 242.0 nm, MS: ES+ 407.3 (M+1)
단계-3
DMF(2.0 mL) 중의 (3R)-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탄산(A76)(0.06 g, 0.14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CDI(0.047 g, 0.295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시간 후, 수성 암모니아(1.0 mL, 28% NH4OH)를 0℃에서 첨가하고, 다시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에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R)-4-아미노-4-옥소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5)(0.032 g, 0.078 mmol, 수율: 53.33 %)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2 (d, J = 2.4 Hz, 1H), 8.74 (d, J = 2.0 Hz, 1H), 7.96 (dd, J = 2.0 Hz & 7.6 Hz, 1H), 7.68 - 7.64 (m, 2H), 5.86 (br s, 1H), 4.58 - 4.57(m, 1H), 2.82 - 2.78 (m, 1H), 2.68 - 2.61 (m, 3H), 2.53 - 2.48 (m, 2H), 2.44- 2.41 (m, 1H), 2.22 - 2.19 (m, 1H), 2.19 - 1.88 (m, 1H), 1.38 (d, J = 6.8 Hz, 3H). 주석: -CONH 및 -CONH2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HPLC(방법 A): 7.436분, 98.69 %, 254 nm.
LCMS(방법 A): 2.117분, 100 %, 210 nm, MS: ES+ 406.2 (M+1).
실시예 80 - N-((R)-1-하이드록시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6)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 화합물 15(0.1 g, 0.3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DIPEA(0.120 g, 0.93 mmol, 3.0 당량) 및 HATU(0.177 g, 0.46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CAS: 5856-63-6 (R)-(-)-2-아미노-1-부탄올(0.030 g, 0.34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100-200) 상의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10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N-((R)-1-하이드록시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6)(0.064 g, 0.16 mmol, 수율: 53.33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1.6 Hz, 1H), 8.81 (d, J = 1.6 Hz, 1H), 8.39 (d, J = 8.4 Hz, 1H), 8.00 (t, J = 4.8 Hz, 1H), 7.63 (d, J = 4.4 Hz, 1H), 5.87 (br s, 1H), 4.74 (t, J = 5.2 Hz, 1H), 3.93 (d, J = 4.8 Hz, 1H), 3.52 - 3.46 (m, 2H), 2.77 - 2.67 (m, 3H), 2.32 - 2.28 (m, 1H), 2.08 (d, J = 12.0 Hz, 1H), 1.73 - 1.67 (m, 2H), 1.50 - 1.48 (m, 1H), 0.91 (t, J = 7.2 Hz, 3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1.6 Hz, 1H), 8.79 (d, J = 2.0 Hz, 1H), 7.97 (d, J = 6.0 Hz, 1H), 7.69 - 7.63 (m, 2H), 5.87 (br s, 1H), 4.13 - 4.10 (m, 1H), 3.69 (d, J = 4.4 Hz, 2H), 3.01 - 2.88 (m, 1H), 2.84 - 2.65 (m, 4 H), 2.55 - 2.37 (m, 3H), 2.18 - 2.15 (m, 2H), 1.93 - 1.82 (m, 2H), 1.79 - 1.65 (m, 1H), 0.91 (t, J = 7.2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A): 2.30분, 99.54%, 220 nm, MS: ES+ 393.3 (M+1)
HPLC(방법-A): 8.22분, 95.85%, 210 nm
실시예 81 - N-((R)-2-하이드록시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7)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 화합물 15(0.1 g, 0.31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236 g, 0.623 mmol, 2.0 당량), DIPEA(0.120 g, 0.934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15분 후, CAS: 2799-16-8 (R)-(-)-1-아미노-2-프로판올(0.025 g, 0.342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100-200)을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R)-2-하이드록시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7)(0.054 g, 0.142 mmol, 수율: 45.85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1.6 Hz, 1H), 8.82 - 8.75 (m, 2H), 8.00 (t, J = 5.2 Hz, 1H), 7.64 - 7.61 (m, 2H), 5.86 (br s, 1H), 4.82 (d, J = 4.4 Hz, 1H), 3.86 - 3.81 (m, 1H), 3.31 - 3.22 (m, 2H), 2.80 - 2.77 (m, 1H), 2.72 - 2.69 (m, 2H), 2.32 - 2.24 (m, 1H), 2.10 - 2.07 (m, 1H), 1.74 - 1.67 (m, 1H), 1.11 (d, J = 6.0 Hz, 3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2.0 Hz, 1H), 8.78 (d, J = 2.0 Hz, 1H), 7.97 (dd, J = 7.6 Hz & 7.6 Hz, 1H), 7.68 - 7.62 (m, 2H), 5.86 (s, 1H), 4.08 - 4.00 (m, 1H), 3.57 - 3.49 (m, 1H), 3.43 - 3.37(m, 1H), 2.78 - 2.75 (m, 1H), 2.68 - 2.64 (m, 2H), 2.55 - 2.50 (m, 1H), 2.40 - 2.33 (m, 1H), 2.17 - 2.15 (m, 1H), 1.92 - 1.82 (m, 1H), 1.26 (d, J = 6.4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A): 2.205분, 99.21%, 220 nm, MS: ES+ 379.3 (M+1)
HPLC(방법-A): 7.83분, 97.48%, 254 nm
키랄 HPLC: 2.98분, 49.5%, 240 nm; 3.44분, 49.5 %, 240 nm
실시예 82 - N-((S)-2-하이드록시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8)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 g, 0.31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HATU(0.177 g, 0.468 mmol, 1.5 당량) 및 DIPEA(0.15 mL, 0.936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0℃로 냉각시키고 그 다음 (S)-1-아미노프로판-2-올 CAS 번호: 2799-17-9(0.026 g, 0.342 mmol, 1.1 당량)을 0℃에서 반응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0 mL x 3)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5-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킴)에 의해 정제하여 N-((S)-2-하이드록시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8)(0.014 g, 0.037 mmol, 수율: 11.57%)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6 (d, J = 2.0 Hz,1H), 8.82 (d, J = 2.0 Hz,1H), 8.77 (t, J = 5.2 Hz,1H), 8.00 (q, J = 4 Hz, 1H), 7.64-7.61 (m, 2H), 5.87 (br s, 1H), 4.82(d, J = 4.4 Hz, 1H), 3.86 - 3.81 (m, 1H), 3.29 - 3.23 (m, 2H), 2.80-2.67 (br s, 2H), 2.30-2.25 (br s, 1H), 2.08 (d, J = 8.8 Hz, 1H), 1.74 - 1.64 (m, 2H), 1.11(d, J = 6.4 Hz, 2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400 MHz): δ ppm 9.26 (d, J = 2.0 Hz,1H), 8.79 (d, J = 2.0 Hz, 1H), 7.97 (dd, J = 1.6 Hz, J = 7.6 Hz, 1H), 7.69 - 7.63 (m, 2H), 5.87 (br s, 1H), 4.04 (q, J = 6.4 Hz, 1H), 3.54 - 3.49 (m, 1H), 3.41 (t, J = 6.4 Hz ,2H), 2.78 - 2.75 (m, 1H), 2.66 (d, J = 13.6 Hz, 2H), 2.54(d, J = 17.6 Hz 1H),2.38 (d, J = 13.6 Hz, 1H) 2.16(d, J = 10 Hz, 1H), 1.90 - 1.85 (m, 1H), 1.30(s, 1H), 1.26(d, J = 6.4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HPLC(방법-A): 7.84분, 96.09%, 254 nm
LCMS(방법-A): 2.198분, 97.68%, 254.0 nm, MS: ES+ 379.27(M+1)
키랄 HPLC: 6.3분, 47.6%, 254 nm; 6.5분, 47.5 %, 254 nm
실시예 83 - N-((2R)-1-(((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일)메틸)아미노)프로판-2-일)아세트아미드 및 N-((R)-2-아미노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89 및 화합물 90)의 합성
단계-1
DMF(2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 g, 0.31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HATU(0.177 g, 0.467 mmol, 1.5 당량) 및 DIPEA(0.16 mL, 0.934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CAS:100927-10-4 (R)-tert-부틸 (1-아미노프로판-2-일) 카르바메이트(0.065 g, 0.373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그 다음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30 mL)로 희석시키고, DCM(30 mL x 3)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Na2SO3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7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킴)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2R)-1-(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스 아미도) 프로판-2-일) 카르바메이트(A77)(0.12 g, 0.251 mmol, 수율: 62.1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9.24 (s, 1H), 8.78 (br s, 2H), 7.99 (t, J = 4.4 Hz, 1H), 7.65-7.61 (m ,2 H), 6.81 (d, J = 8.4 Hz, 1H), 5.87 (br s,1H), 3.79-3.76 (m, 1H), 3.41-3.28 (m, 2H), 2.89-2.68 (m, 4H), 2.33-2.25 (m, 1H), 2.10-2.07 (m, 1H),1.73-1.67 (m, 1H), 1.35 (s, 9H), 1.07 (d, J = 6.8 Hz, 3H).
LCMS(방법-A): 2.683분, 99.16%, 242.0 nm, MS: ES+ 478.4 (M+1).
단계-2
MeOH(4 mL) 중의 tert-부틸 ((2R)-1-(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판-2-일) 카르바메이트(A77)(0.12 g, 0.251 mmol, 1.0 당량)의 용액에 디옥산 중의 4M HCl(0.13 mL, 0.502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얻었다. 얻은 조 물질을 펜탄을 사용한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N-((R)-2-아미노프로필)-8-(4-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0)(0.11 g, 0.291 mmol, 정량적)을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4 (d, J = 1.6 Hz, 1H), 9.19 (t, J = 5.6 Hz, 1H), 8.96 (s ,1H), 8.1 (br s ,3H), 8.05-8.02 (m, 1H), 7.68-7.65 (m, 2H), 5.88 (br s,1H), 3.59-3.45 (m, 3H), 2.80-2.68 (m, 3H), 2.41-2.25 (m, 1H), 2.10-2.07 (m, 1H),1.76-1.67 (m, 1H), 1.26 (d, J = 6.4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57 (s, 1H), 9.49 (s, 1H), 8.34 (d, J = 8.0 Hz, 1H), 8.07 (d, J = 6.4Hz, 1H), 8.00 (d, J = 8.0 Hz, 1H), 6.07 (br s,1H), 3.75-3.72 (m, 2H), 3.68-3.65 (m, 1H), 2.75-2.62 (m, 4H), 2.49-2.46 (m, 1H), 2.27-2.24 (m, 1H),1.98-1.93 (m, 1H), 1.43 (d, J = 6.4 Hz, 3H). 주석: -CONH 및 -NH2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1.882분, 98.14%, 254.0 nm, MS: ES+ 378.3 (M+1)
HPLC(방법 A): 9.61분, 95.28%, 254.0 nm
단계-3
DCM(2 mL) 중의 N-((R)-2-아미노프로필)-8-(4-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0)(0.05 g, 0.13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TEA(0.55 mL, 0.397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CH3COCl(0.009 mL, 0.132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실온에서 연속적으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 냉각수(5 mL)로 켄칭시키고, DCM(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DCM 중의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N-((2R)-1-((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일) 메틸) 아미노) 프로판-2-일) 아세트아미드(화합물 89)(0.016 g, 0.038 mmol, 수율: 29.7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3 (d, J = 1.6 Hz, 1H), 8.80-8.78 (m, 2H), 8.00 (t, J = 5.2 Hz, 1H), 7.82 (d, J = 8.0 Hz, 1H), 7.65-7.64 (m, 2H), 5.87 (br s, 1H), 4.05-4.01 (m, 1H), 2.81-2.68 (m, 4H), 2.35-2.29 (m, 1H), 2.10-2.07 (m, 1 H), 1.81 (s, 3H),1.75-1.66 (m, 1H), 1.08 (d, J = 6.4 Hz, 3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3 (d, J = 2.0 Hz, 1H), 7.99-7.97 (m, 1H), 7.69-7.63 (m, 2H), 5.87 (br s ,1H), 4.26-4.23 (m, 1H), 3.59-3.45 (m, 3H), 2.78-2.65 (m, 3H), 2.56-2.51 (m, 1H), 2.41-2.37 (m, 1H), 2.18-2.16 (m, 1H), 1.96 (s, 3H), 1.24 (d, J = 6.8 Hz, 3H).
LCMS(방법 A): 2.192분, 99.24%, 242.0 nm, MS: ES+ 420.4 (M+1)
HPLC(방법 A): 7.72분, 97.80%, 254.0 nm
실시예 84 - N-(2-(메틸설폰아미도)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1)의 합성
단계-1
THF(10 mL) 중의 tert-부틸 (2-아미노에틸) 카르바메이트 CAS: 57260-73-8 (1.0 g, 6.2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3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실온에서 NEt3(0.5 g, 4.99 mmol, 0.8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0℃에서 메틸 설포닐 클로라이드(1.082 g, 7.48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0 mL)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3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조 tert-부틸 (2-(메틸설폰아미도) 에틸) 카르바메이트(A78)(1.1 g, 4.61 mmol, 수율: 74.3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04 (bs, 1H), 6.88 (bs, 1H), 3.01 (t, J = 6.0 Hz, 2H), 2.95 (t, J = 5.6 Hz, 2H), 2.88 (s, 3H), 1.37 (s, 9H).
LCMS(방법-A): 지원하지 않음
단계-2
DCM(10.0 mL) 중의 tert-부틸 (2-(메틸설폰아미도) 에틸) 카르바메이트(A78)(1.1 g, 4.6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3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0℃에서 디옥산 중의 4M HCl(6.89 mL, 13.84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증류시켜 조 N-(2-아미노에틸) 메탄설폰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A79)(0.8 g, 4.58 mmol, 수율: 85.9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16 (bs, 3H) 7.39 (t, J = 6 Hz, 1H), 3.21 (q, J = 6.4 Hz, J = 12.8 Hz, 2H), 2.96 (s, 3H) 2.90-2.88 (m, 2H), 1.37 (bs, 1H),
LCMS(방법-A): 지원하지 않음
단계-3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DMF 중의 N-(2-아미노에틸) 메탄 설폰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A79), 화합물 15(0.1 g, 0.31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HATU(0.216, 0.57 mmol, 1.5 당량), DIPEA(0.12 g, 0.936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반응 혼합물을 최대 0℃로 냉각시켰다. N-(2-아미노에틸) 메탄 설폰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A79)(0.065 g, 0.374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30 mL)로 희석시키고, 하강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얻은 조생성물을 펜탄을 사용한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N-(2-(메틸설폰아미도)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1)(0.053 g, 0.120 mmol, 수율: 3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6 (d, J = 2 Hz, 1H), 8.90 (t, J = 5.6 Hz ,1H), 8.81 (d, J = 1.6 Hz, 1H), 8.02-8.01 (m, 1H), 7.65-7.62 (m, 2H), 7.22 (t, J = 5.6 Hz, 1H), 5.87 (bs, 1H), 3.45-3.43 (t, J = 6.0 Hz, 2H) 3.23 - 3.10 (m, 2H), 2.93 (s, 3H), 2.80-2.77 (m, 1H), 2.72-2.67 (m, 2H), 2.39 - 2.25 (m, 1H), 2.10-2.07 (m, 1H), 1.74 - 1.64 (m, 1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2 Hz, 1H), 8.79 (d, J = 2.0 Hz ,1H), 7.97 (dd, J = 1.6 Hz, J = 7.6 1H), 7.69 - 7.63 (m, 2H), 5.87 (bs, 1H), 3.61 (t, J = 6.0 Hz, 2H), 2.99 (bs, 3H), 2.81-2.75 (m, 1H), 2.68-2.65 (m, 2H), 2.55-2.51 (m, 1H), 2.40-2.34 (m, 2H), 2.18-2.15 (m, 1H), 1.93 - 1.85 (m, 1H).
LCMS(방법 A): 2.260분, 97.85%, MS: ES+ 442.88 [M+H]
HPLC(방법 B): 6.88분, 95.71%, 254 nm
실시예 85 - 메틸 (2-(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에틸)카르바메이트(화합물 92)의 합성
단계-1
THF(10 mL) 중의 tert-부틸 (2-아미노에틸) 카르바메이트 CAS: 57260-73-8 (0.1 g, 0.62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3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NEt3(0.05 g, 0.499 mmol, 0.8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0℃에서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0.088 g, 0.936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0 mL)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순수 tert-부틸 메틸 에탄-1, 2-디일디카르바메이트(A80)(0.11 g, 0.504 mmol, 수율: 80.8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11 (br s, 1H), 6.82 (br s, 1H), 3.50 (s, 3H), 2.96 (m, 4H), 1.37 (s, 9H); LCMS(방법 A): 지원하지 않음
단계-2
DCM(10 mL) 중의 tert-부틸 메틸 에탄-1,2-디일디카르바메이트(A80)(0.11 g, 0.50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0℃에서 디옥산 중의 4M HCl(0.88 mL, 1.50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증류시켜 순수 메틸 (2-아미노에틸) 카르바메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A81)(0.096 g, 0.620 mmol, 수율: 98.4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97 (br s, 3H) 7.33 (br s, 1H), 3.54 (s, 3H), 3.38 (s, 3H) 3.23 (q, J = 6 Hz, 2H), 2.84 (q, J = 6 Hz, 2H) 주석: 양성자 수는 HCl 염으로 인해 더 많다.
LCMS(방법 A): 지원하지 않음
단계-3
DMF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 g, 0.31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DIPEA(0.15 mL, 0.924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메틸 (2-아미노에틸) 카르바메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A81)(0.057 g, 0.373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30 mL)로 희석시키고, 하강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진공하에서 건조시키고 이후 조생성물을 펜탄을 사용한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2-(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에틸) 카르바메이트(화합물 92)(0.047 g, 0.111 mmol, 수율: 35.87%)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86 (t, J = 5.2 Hz ,1H), 8.79 (d, J = 2 Hz, 1H), 8.01-7.99 (m, 1H), 7.64-7.61 (m, 2H), 7.31 (t, J = 5.6 Hz, 1H), 5.87 (br s, 1H), 3.53 (s, 3H) 3.22-3.18 (m, 2H), 2.80 - 2.61 (m, 3H), 2.21 (br s, 1H), 2.09-2.06 (m, 1H), 1.74 - 1.64 (m, 1H), 1.25-1.23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5 (t, J = 2.4 Hz ,1H), 7.97 (dd, J = 1.6 Hz, J = 7.6 1H), 7.69 - 7.63 (m, 2H), 5.86 (br s, 1H), 3.65 (s, 3H), 3.57 (t, J = 6 Hz, 2H), 3.41 (t, J = 6.4 Hz, 3H), 2.78-2.75 (m, 1H), 2.68-2.65 (m, 2H), 2.55-2.51 (m, 1H), 2.4-2.34 (m, 1H), 2.16 (d, J = 10.8 Hz, 1H), 1.93-1.83 (m, 1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315분, 98.12%, 241.0nm MS: ES+ 422.53 [M+H]
HPLC(방법 A): 8.12분, 95.61%, 254.0nm
실시예 86 - N-(3-(메틸설폰아미도)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3)의 합성
단계-1
THF(10 mL) 중의 tert-부틸 (3-아미노프로필) 카르바메이트 CAS: 75178-96-0 (0.5 g, 2.86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NEt3(0.231 g, 2.295 mmol, 0.8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0℃에서 메틸 설포닐 클로라이드(0.39 g, 3.443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0 mL)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tert-부틸 (3- (메틸설폰아미도) 프로필) 카르바메이트(A82)(0.8 g, 3.174 mmol, 정량적)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6.93 (br s, 1H), 6.82 (br s, 1H), 4.18 (br s, 3H), 2.95 - 2.90 (m, 4H), 2.87 (s, 3H), 2.37 (s, 1H), 1.59-1.54 (m, 3H), 1.37(s, 9 H). 주석: 교환 가능한 양성자 수가 더 많다.
LCMS(방법 A): 지원하지 않음
단계-2
DCM(8 mL) 중의 tert-부틸 (3-(메틸설폰아미도) 프로필) 카르바메이트(A82)(0.8 g, 3.17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3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0℃에서 디옥산 중의 4M HCl(2.38 mL, 9.51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진공하에서 증류시켜 N-(3-아미노프로필) 메탄 설폰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A83)(0.7 g, 3.71 mmol, 수율: 95.0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032 (br s, 3H) 7.17 (t, J = 6 Hz, 1H), 3.03 (q, J = 6.4 Hz, 2H), 2.90 (s, 3H) 2.85 - 2.77 (m, 2H) 1.79 - 1.74 (m, 2H).
LCMS(방법 A): 지원하지 않음
단계-3
DMF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 g, 0.31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DIPEA(0.15 mL, 0.933 mmol, 3.0 당량) 및 HATU(0.17 g, 0.466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N-(3-아미노프로필) 메탄설폰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A83)(0.070 g, 0.373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30 mL)로 희석시키고, 하강된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이후 진공하에서 건조시켰다. 얻은 조생성물을 펜탄을 사용한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N-(3-(메틸설폰아미도) 프로필)-8-(4-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3)(0.091 g, 0.199 mmol, 수율: 39.7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3 (d, J = 2.4 Hz, 1H), 8.82-8.79 (m, 2H), 8.022-7.99 (m, 1H), 7.64-7.61 (m, 2H), 7.04 (t, J = 5.6 Hz ,1H), 5.86 (br s, 1H), 3.05 (q, J = 6.8 Hz, 2H), 2.91 (s, 3H), 2.80-2.77(d, 1H), 2.72-2.67 (br s, 2H), 2.32-2.24 (m, 1H), 2.10-2.07 (m, 1H), 1.81 - 1.73 (m, 2H),1.71 - 1.64 (m, 1H). 주석: -CH2- 및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 1H), 8.78 (d, J = 2.0 Hz ,1H), 7.97 (dd, J = 4 Hz, J = 8 Hz, 1H), 7.69 - 7.63 (m, 2H), 5.86 (br s, 1H), 3.57 (t, J = 6.8 Hz, 2H) ,3.21 (t, J = 6.8 Hz, 2H), 2.96 (s, 3H), 2.80 (d, 1H), 2.80 - 2.75 (m, 1H), 2.66-2.63 (m, 1H), 2.55-2.51 (m, 1H), 2.18-2.15 (m, 1H), 1.96 - 1.89 (m, 2H). 주석: -CONH 및 -NHSO2Me 양성자는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297분, 100 %, 210 nm MS: ES+ 456.48 [M+H]
HPLC(방법 A): 8.03분, 96.21 %, 254 nm
실시예 87 - 메틸(3-(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프로필) 카르바메이트(화합물 94)의 합성
단계-1
DCM(10 mL) 중의 tert-부틸 (3-아미노프로필) 카르바메이트 CAS: 75178-96-0 (0.5 g, 2.86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NEt3(0.230 g, 2.28 mmol, 0.8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메틸 클로로포르메이트(0.4 g, 4.30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3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tert-부틸 메틸 프로판-1, 3-디일디카르바메이트(A84)(0.6 g, 2.58 mmol, 수율: 90.9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055 (br s, 1H), 6.76 (br s, 1H), 3.59 (s, 2H), 2.96 - 2.88 (m, 4H), 1.53 - 1.42 (m, 2H), 1.37(s, 9H).
LCMS(방법 A): 지원하지 않음
단계-2
DCM(8 mL) 중의 tert-부틸 메틸 프로판-1, 3-디일디카르바메이트(A84)(0.6 g, 2.5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3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0℃에서 디옥산 중의 4M HCl(2.38 mL, 7.79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이후 용매를 감압하에서 제거하여 메틸 (3-아미노프로필) 카르바메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A85)(0.7 g, 4.151 mmol, 수율: 95.0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95 (br s, 2H) 7.28 (t, J = 6.0 Hz, 1H), 3.52 (s, 3H), 3.06-3.03 (m, 2H), 2.78-2.73 (m, 2H), 1.79 - 1.68 (m, 2H).
LCMS(방법 A): 지원하지 않음
단계-3
DMF(1.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 g, 0.32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15 mL, 0.936 mmol, 3.0 당량) 및 HATU(0.177 g, 0.468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메틸 (3-아미노프로필) 카르바메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A85)(0.062 g, 0.374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3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키고, 얻은 조생성물을 펜탄을 사용한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2-(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도)에틸) 카르바메이트(화합물 94)(0.020 g, 0.045 mmol, 수율: 15.2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8 (d, J = 2 Hz ,2H), 8.00 (q, J = 4 Hz, J = 5.6Hz, 1H), 7.63 (t, J = 2 Hz, 2H), 7.17 (br s, 1H), 5.86 (br s, 1H), 3.52 (s, 3H) 3.08 (q, J = 6.4, J =12.8, 3H), 2.80-2.79 (m, 1H), 2.72-2.67 (m, 2H), 2.33-2.24 (m, 2H), 2.10-2.07 (m, 1H), 1.74 - 1.65 (m, 3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 Hz, 1H), 8.76 (d, J = 2 Hz ,2H), 7.97 (dd, J = 2 Hz, 7.6 Hz 1H), 7.69 - 7.63 (m, 2H), 5.87 (br s, 1H), 3.65 (s, 3H), 3.51 (t, J = 6.8, 2H), 3.25 (t, J = 6.8 Hz, 2H), 2.78-2.75 (m, 1H), 2.68-2.65 (m, 1H), 2.55-2.51 (m, 1H), 2.40-2.34 (m, 1H), 2.18-2.15 (m, 1H), 1.93 - 1.82 (m, 3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된다.
LCMS(방법 A): 2.362분, 97.92%, 254.0 nm MS: ES+ 436.53 [M+H]
HPLC(방법 A): 8.31분, 95.34%, 254.0 nm
실시예 88 - N-(3-하이드록시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5)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 g, 0.31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DIPEA(0.15 mL, 0.936 mmol, 3.0 당량) 및 HATU(0.177 g, 0.467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CAS:156-87-6 3-아미노-1-프로판올(0.026 g, 0.352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30 mL)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3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킴)에 의해 정제하여 N-(3-하이드록시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5)(0.087 g, 0.229 mmol, 수율: 74.3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 Hz,1H), 8.79 (d, J = 1.6 Hz, 2H), 8.01-7.99 (m, 1H), 7.64-7.62 (m, 2H), 5.87 (br s, 1H), 4.52 (t, J = 5.2 Hz, 1H), 3.50 (q, J = 6 Hz, 2H), 3.41-3.38 (m, 2H), 2.80 - 2.67 (m, 3H), 2.47 (br s, 1H), 2.30 (d, J = 14.4 Hz, 1H), 2.08 (d, J = 12 Hz, 1H), 1.76 - 1.67 (m,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 Hz, 1H), 8.75 (d, J = 2 Hz, 1H), 7.97 (dd, J = 2 Hz, J = 8 Hz, 1H), 7.69 - 7.63 (m, 2H), 5.86 (br s, 1H), 3.71 (t, J = 5.2 Hz, 2H), 3.57 (t, J = 7.2 Hz, 2H), 2.81 - 2.75(m, 3H), 2.65 (d, J = 12.8 Hz ,1H), 2.40-2.33 (m, 1H), 2.17 (t, J = 14.4 Hz, 1H), 1.94 - 1.88 (m,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된다.
LCMS(방법 A): 2.182분, 99.26%, 254.0 nm, MS: ES+ 379.32 [M+H]
HPLC(방법 A): 7.79분, 98.27%, 254.0 nm
실시예 89 - N-(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6)의 합성
단계-1
THF(10 mL) 중의 3-아미노-2-메틸프로판산 CAS: 144-90-1(1.0 g, 9.7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BF3.OEt3(1.3 g, 9.70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온도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고, 이후 BH3SMe2(0.88 g, 11.64 mmol, 1.2 당량)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다시 5시간 동안 환류 가열시켰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3-아미노-2-메틸프로판-1-올(A86)(1.0 g, 11.21 mmol, 수율: 38.88%)를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04 (br s, 5H), 4.29 (br s, 3H), 3.55 (d, 7.6 Hz, 3H), 3.40 - 3.38 (m, 3H), 3.36 - 3.27 (m, 1H), 2.88 - 2.74 (m, 3H), 2.72 - 2.70(m, 1H), 1.16 (d, J = 7.2 Hz, 3H), 0.87 (d, J = 6.8 Hz, 2H). 주석: 양성자 수는 소모되지 않은 SM으로 인해 더 많다.
LCMS(방법 A): 0.254분, 43.27 %, 254.0 nm, MS: ES+ 90.01 (M+1)
단계-2
DMF(1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 g, 0.32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HATU(0.177 g, 0.468 mmol, 1.5 당량) 및 DIPEA(0.15 mL, 0.936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A86)(0.033 g, 0.373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30 mL) 및 EtOAc(30 mL)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3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25%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킴)에 의해 정제하여 N-(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8-(4-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6)(0.008 g, 0.204 mmol, 수율: 6.5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s, 1H), 8.79 (m, 2H), 8.01 (t, J = 4 Hz, 1H), 7.63 (d, J = 4 Hz, 2H), 5.86 (br s, 1H), 4.55 (t, J = 5.2 Hz, 1H), 3.21-3.17 (m, 1H), 2.80-2.67(m, 2H), 2.33-2.20 (m, 1H), 2.10-2.07 (m, 1H), 1.88-1.86 (m, 2H), 1.70-1.68 (m, 2H), 0.90(d, J = 6.8 Hz, 3H). 주석: -CH2 및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 Hz, 1H), 8.76 (d, J = 2 Hz, 2H), 7.97 (d, J = 6 Hz, 1H), 7.69-7.63 (m, 2H), 5.87 (br s, 1H), 3.55 (d, J = 5.6 Hz, 2H), 3.51-3.47 (m, 1H), 3.43-3.32 (m, 1H), 2.78-2.75 (m, 1H), 2.66-2.65 (m, 1H), 2.55-2.51 (m, 1H), 2.40-2.37 (m, 1H), 2.17 (d, J = 13.2 Hz, 1H), 2.05 - 2.00 (m, 1H), 1.91-1.85 (m, 1H), 1.04 (d, J = 6.8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된다.
LCMS(방법 A): 2.322분, 97.12 %, 254.0 nm, MS: ES+ 393.37 (M+1)
HPLC(방법 A): 8.22분, 95.24%, 254.0 nm
실시예 90 - (N-(3-하이드록시부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7)의 합성
단계-1
무수 THF(20 mL) 중의 3-옥소부탄아미드(CAS: 5977-14-0)(2.0 g, 19.7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60℃에서 LiAlH4 용액(THF 중 2M)(49 mL, 5.0 당량)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시간의 기간에 걸쳐 최대 실온까지 가온되게 하였다. 1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시켰고 이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추가 1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20 mL)로 켄칭시키고, 또한 포화 NaHCO3 용액(40 mL)를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5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황색을 띤 오일로서 4-아미노부탄-2-올(A87)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임의의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사용하였다(0.65 g, 7.29 mmol, 수율 36.86%).
LCMS(방법-A): 0.232분, 91.53%, 210.0nm, MS: ES+ 90.0 (M+1)
단계-2
DMF(1.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15 g, 0.46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26 g, 0.700 mmol, 1.5 당량) 및 DIPEA(0.18 g, 1.4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4-아미노부탄-2-올(A87)(0.045 g, 0.5135 mmol, 1.1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3.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3-하이드록시부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7)(0.027 g, 0.069 mmol, 수율 14.7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8 (m, 2H), 8.0 (dd, J = 4.0, 5.6 Hz, 1H), 7.64-7.63 (m, 2H), 5.86 (br s, 1H), 4.50-4.10 (m, 1H), 3.74-3.70 (m, 1H), 3.42-3.33 (m, 2H), 2.72-2.67 (m, 3H), 2.33-2.28 (m, 1H), 2.10-2.07 (m, 1H), 1.71-1.59 (m, 3H), 1.47 (s, 1H), 1.11 (d, J = 6.0 Hz, 3H).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D2O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2.4 Hz, 1H), 8.79 (d, J = 2.4 Hz, 1H), 7.98 (dd, J = 2.0, 8.0 Hz, 1H), 7.71-7.65 (m, 2H), 5.87 (br s, 1H), 3.93-3.88 (m, 1H), 3.63-3.55 (m, 2H), 2.81-2.65 (m, 3H), 2.65-2.51 (m, 1H), 2.41-2.32 (m, 1H), 2.19-2.13 (m, 1H), 1.90-1.76 (m, 3H), 1.26 (d, J = 6.4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된다.
LCMS(방법-A): 2.115분, 99.68%, 254.0 nm, MS: ES+ 393.4 (M+1)
HPLC(방법-A): 8.09분, 99.22%, 254 nm.
키랄 HPLC(방법-A): 피크-1: 1.92분, 22.84%, 242.0nm; 피크-2: 2.06분, 26.38%, 242.0 nm; 피크-3: 3.18분, 25.21%, 242.0nm; 피크-4: 3.66분, 24.85%, 242.0nm.
실시예 91 - N-((R)-4-(메틸설폰아미도)부탄-2-일)-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8)의 합성
단계-1
DCM(1.0 mL) 중의 N-((R)-4-아미노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63)(0.04 g, 0.1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TEA(0.031 g, 0.30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10분의 교반 후, 메탄설포닐 클로라이드(CAS: 번호:124-63-0)(0.017 g, 0.15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5 mL)로 켄칭시키고, DCM(10 mL x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 - 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30-4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R)-4-(메틸설폰아미도) 부탄-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8)(0.019 g, 0.04 mmol, 수율: 39.6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9 (d, J = 2.0 Hz, 1H), 8.60 (d, J = 8.0 Hz, 1H), 8.01 (t, J = 4.8 Hz, 1H), 7.64-7.63 (m, 2H), 6.99 (t, J = 5.6 Hz, 1H), 5.87 (br s, 1H), 4.17-4.14 (m, 1H), 3.02 (q, J = 6.8, 13.2 Hz, 2H), 2.89 (s, 3H), 2.80-2.67 (m, 3H), 2.33-2.28 (m, 1H), 2.10-2.07 (m, 1H), 1.80-1.67 (m, 3H), 1.21 (d, J = 6.4 Hz, 3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3 (d, J = 2.0 Hz, 1H), 8.76 (d, J = 2.0 Hz, 1H), 7.98-7.96 (m, 1H), 7.69-7.63 (m, 2H), 5.87 (br s, 1H), 4.33 (q, J = 6.8, 13.6 Hz, 1H), 3.24-3.18 (m, 2H), 2.95 (s, 3H), 2.78-2.75 (m, 1H), 2.68-2.65 (m, 2H), 2.55-2.51 (m, 1H), 2.40-2.37 (m, 1H), 2.18-2.15 (m, 1H), 1.91-1.83 (m, 2H), 1.35 (d, J = 6.4 Hz, 3H). 주석: -CONH 및 -NHSO2Me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358분, 100%, 254.0nm, MS: ES+ 470.4 (M+1).
HPLC(방법 A): 8.13분, 98.02%, 210 nm.
실시예 92 - N-(2-(3-메틸우레이도)에틸)-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 및 (화합물 99)의 합성
단계-1
DMF(2 mL) 중의 화합물 15(0.3 g, 0.93 mmol, 1.0 당량) 및 CAS:57260-73-8 1-Boc-에틸렌디아민(0.19 g, 1.23 mmol, 1.3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HATU(0.53 g, 1.39 mmol, 1.5 당량), DIPEA(0.48 mL, 2.79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60-12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2-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에틸) 카르바메이트(A88)(0.28 g, 0.640 mmol, 수율 65.1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4 (s,1H), 8.80 (d, J =13.6 Hz, 2H), 7.97 (d, J = 15.2 Hz, 1H), 7.64 (s, 2H), 6.99 (s, 1H), 5.87(s, 1H), 3.16 (d, J = 4.0 Hz, 2H), 2.77-2.69 (m, 4H), 2.32-1.67 (m, 4H), 1.37(s, 9H), 1.25 (s, 1H).
LCMS(방법 A):2.611 분, 87.31%, 210.0 nm
단계-2
디옥산(1 mL) 중의(A88)(0.24 g, 0.5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디옥산 중의 HCl(1.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N-(2-아미노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A89)(0.21, 0.57 mmol, 수율 89.4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31(d, J = 2.4 Hz, 1H), 9.11(t, J = 5.2 Hz, 1H), 8.91 (d, J = 2.0 Hz, 1H), 8.03-8.01 (m, 4H), 7.66 (t, J = 8.0 Hz, 2H), 5.87 (s,1H), 3.60-3.07 (m, 5H), 2.89-2.69 (m, 6H), 2.29-2.07(m, 2H), 1.72-1.67(m, 1H), 1.29-1.23 (m, 2H). 주석: 양성자 수는 HCl 염으로 인해 더 많다.
단계-3
DCM(2.0 mL) 중의 (A89)(0.210 g, 0.5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aHCO3(0.048 g, 0.57 mmol, 1.0 당량) 및 트리포스겐(Triphosgene)(0.050 g, 0.18 mmol, 0.32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THF 중 CH3NH2 2M(2.0 m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20 mL)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0-200 실리카 겔 사용)에 의해 정제하고, 원하는 생성물을 50% (DCM:MeOH)에서 용리시켜 1-(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보닐) 이미다졸리딘-2-온(0.016 g, 0.041 mmol, 수율 6.95 %); 및 N-(2-(3-메틸우레이도)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99)(0.010 g, 수율: 0.025 mmol, 7.1%)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 1H), 8.76 (d, J = 2.0 Hz, 1H), 7.97 (dd, J = 8.0, 2.0 Hz, 1H), 7.69-7.63 (m, 2H), 5.86 (br s,1H), 3.56-3.44 (m, 2H), 2.81-2.73 (m, 6H), 2.55-2.51 (m, 2H), 2.16 (d, J = 10.4 Hz, 1H),1.89-1.85 (m,1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된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 1H), 8.90-8.87 (m, 1H), 8.79 (d, J = 2.0 Hz, 1H), 8.01-7.98 (m, 1H), 7.65-7.63 (m, 2H), 6.10(t, J = 5.2 Hz, 1H), 5.86 (br s, 2H), 3.28-3.21 (m, 2H), 2.80-2.67 (m, 4H), 2.55-2.54 (m, 3H), 2.32-2.24 (m, 1H), 2.10-2.07 (m, 1H), 1.73-1.67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LCMS(방법 A):2.166분, 100%, 242.0nm
HPLC(방법 A):7.37분, 100%, 210.0nm
키랄 HPLC- 피크1: 6.51분, 48.12%: 피크-2: 6.64분, 51.87%, 240 nm
원하지 않는 생성물:
1 H NMR (MeOD, 400 MHz): δ ppm 8.96 (d, J = 2.0 Hz, 1H), 8.54 (d, J = 2.0 Hz, 1H), 7.94 (dd, J = 7.6, 2.0 Hz, 1H), 7.67-7.59 (m, 2H), 5.85 (br s,1H), 4.17-4.13(m, 2H), 3.62-3.58 (m, 2H), 2.79-2.50 (m, 4H), 2.40-2.33 (m, 1H), 2.17-2.14 (m, 1H), 1.93-1.82(m, 1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8.91 (d, J = 2.4 Hz, 1H), 8.50 (d, J = 2.0 Hz, 1H), 7.99 (dd, J = 7.2, 6.8 Hz, 1H), 7.83 (s, 1H), 7.63-7.58 (m, 2H), 5.85 (br s, 1H), 4.00 (t, J = 7.6 Hz, 2H), 3.45 (t, J = 8.0 Hz, 2H), 2.80-2.67 (m, 2H), 2.33-2.28 (m, 1H), 2.10-2.07 (m, 1H), 1.71-1.67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LCMS(방법 A): 2.32분, 96.62%, 254.0 nm, M+H = 390.32
HPLC(방법 A): 8.19분, 98.33%, 254.0 nm
실시예 93 - N-(3-(3-메틸우레이도)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0)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2 g, 0.6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350 g, 0.93 mmol, 1.5 당량) 및 DIPEA(0.31 mL, 1.86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0℃에서 15분 동안의 교반 후, tert-부틸 (3-아미노프로필) 카르바메이트(CAS: 번호:75178-96-0)(0.140 g, 0.89 mmol, 1.3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60 - 120 메쉬)을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필) 카르바메이트(A90)(0.120 g, 0.25 mmol, 수율:40.37%)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9-8.76 (m, 2H), 8.01-7.99 (m, 1H), 7.65-7.61 (m, 2H), 6.87 (t, J = 5.6 Hz, 1H), 5.86 (br s, 1H), 3.02-3.00 (m, 2H), 2.69-2.60 (m, 5H), 2.33-2.32 (m, 1H), 2.10-2.09 (m, 1H), 1.71-1.66 (m, 4H), 1.37-1.33 (m, 9H).
LCMS(방법 A): 2.72분, 94.87%, 245.0nm
단계-2
1, 4-디옥산(2.0 mL) 중의 tert-부틸 (3-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필) 카르바메이트(A90)(0.120 g, 0.2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0℃에서 디옥산 중의 4M HCl(2.0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N-(3-아미노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A91)(0.060 g, 0.15 mmol, 수율 63.2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9 (d, J = 2.4 Hz, 1H), 9.07 (t, J = 5.6 Hz, 1H), 8.87 (d, J = 2.0 Hz, 1H), 8.03-8.00 (m, 1H), 7.89 (br s, 3H), 7.67-7.63 (m, 2H), 3.44-3.39 (m, 2H), 2.92-2.67 (m, 2H), 2.57-2.50 (m, 3H), 2.42-2.33 (m, 1H), 2.32-2.28 (m, 1H), 1.90-1.69 (m, 2H), 1.67-1.23 (m, 1H). 주석: 양성자 수는 HCl 염으로 인해 더 많다.
단계 3
DCM(2.5 mL) 중의 N-(3-아미노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A91)(0.250 g, 0.6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DCM(2 mL) 중의 NaHCO3(0.250 g, 0.66 mmol, 1.0 당량) 및 트리포스겐 (0.062 g, 0.21 mmol, 0.32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THF 중 CH3NH2 2M(2.0 mL, 1.5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역상 HPLC에 의해 정제하여 N-(3-(3-메틸우레이도) 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0)(0.106 g, 0.243 mmol, 수율 51%)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2.0 Hz, 1H), 8.77 (d, J = 2.0 Hz,1H), 7.98 (dd, J = 1.6, 7.6 Hz, 1H), 7.69-7.63 (m, 2H), 5.86 (br s, 1H), 3.52 (t, J = 6.8 Hz, 2H), 3.27 (t, J = 6.8 Hz, 2H), 2.78-2.76 (m, 1H), 2.72 (s, 3H), 2.69-2.65 (m, 2H), 2.52-2.50 (m, 1H), 2.40-2.37 (m, 1H), 2.17-2.15 (m, 1H), 1.89-1.81 (m, 1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84-8.78 (m, 2H), 8.02-7.99 (m, 1H), 7.64-7.63 (m, 2H), 5.96 (t, J = 5.6 Hz, 1H), 5.87 (br s, 1H), 5.80 (d, J = 4.4 Hz, 1H), 3.09-3.07 (d, J = 6.4 Hz, 2H), 2.80-2.67 (m, 3H), 2.51-2.59 (m, 6H), 2.33-2.29 (m, 1H), 2.12-2.16 (m, 1H), 1.67-1.64 (m, 3H).
HPLC(방법 A)- 7.53분, 95.33%, 215.0 nm
LCMS(방법 A) - 2.17분, 100%, 242.0 nm
실시예 94 - N-(2-((N-메틸설파모일) 아미노) 에틸)-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의 합성
단계 1
DMF(5.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2 g, 0.62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31 mL, 1.869 mmol, 3.0 당량) 및 HATU(0.16 g, 0.934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tert-부틸 (2-아미노에틸) 카르바메이트(CAS: 번호:57260-73-8)(0.119 g, 0.747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 - 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8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2-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에틸) 카르바메이트(A92)(0.190 g, 0.410 mmol, 수율: 6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81 (t, J = 5.6 Hz ,1H), 8.79 (d, J = 2.0 Hz, 1H), 8.0-7.95 (m, 2H), 7.65-7.63 (m, 2H), 7.00-6.97 (t, J = 5.6 Hz, 1H), 5.87 (s, 1H), 3.37-3.23 (m, 2H), 2.77-249 (m, 3H), 2.47-1.67 (m, 2H), 2.33-2.28 (m, 1H), 2.10-2.07 (m, 1H), 1.71-1.67 (m, 1H), 1.37 (s, 9H).
LCMS(방법 A): 2.639분, 97.79%, 254.0 nm, MS: ES+ 464.53 (M+H)
단계-2
DCM(2.0 mL) 중의 tert-부틸 (2-(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에틸) 카르바메이트(A92)(0.190 g, 0.410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0℃에서 1, 4-디옥산 중의 4M HCl(1.9 mL, 10 V)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고 이를 에테르(5 mL x 2)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N-(2-아미노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A93)(0.180 g, 0.495 mmol, 수율: 정량적)을 생성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1 (d, J = 2.0 Hz, 1H), 9.11 (t, J =5.2 Hz, 1H), 8.91 (d, J =1.6 Hz, 1H), 8.03-8.01 (m, 3H), 7.67-7.64 (m, 2H), 5.87 (br s, 1H), 3.62-3.57 (m, 2H), 3.06-3.03 (m, 2H), 2.80-2.67 (m, 4H), 2.33-2.25 (m, 1H), 2.10-2.07 (m, 1H), 1.75-1.66 (m, 1H).
LCMS(방법 A): 1.853분, 97.39%, 254.0 nm, MS: ES+ 364 (M+1)
단계-3
DCM(3.0 mL) 중의 N-(2-아미노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A93)(0.140 g, 0.385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TEA(0.13 mL, 0.77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메틸 설파모일 클로라이드(0.490 g, 3.85 mmol, 10 당량)를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그리고 실온에서 14.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 - 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N-(2-((N-메틸설파모일)아미노)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1)(0.038 g, 0.083 mmol, 수율: 21.6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86 (t, J = 5.6 Hz ,1H), 8.80 (d, J = 2.0 Hz, 1 H), 8.0 (dd, J = 4.0, 6.0 Hz, 1H), 7.65-7.63 (m, 2H), 7.06 (t, J = 5.6 Hz, 1H), 6.75 (m, 1H), 5.87 (br s, 1H), 3.47-3.43 (m, 2H), 3.06-3.01 (m, 2H), 2.80.2.62 (s, 3H), 2.45 (d, J = 3.6 Hz, 3H), 2.32-2.25 (m, 1H), 2.10-2.07 (m, 1H), 1.74-1.67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 1H), 8.78 (d, J = 2.0 Hz, 1H), 7.96 (dd, J = 2.0, 7.6 Hz, 1H), 7.69-7.63 (m, 2H), 5.86 (br s, 1H), 3.62 (t, J = 6.4 Hz, 2H), 3.26 (t, J = 6.0 Hz, 2H), 2.78-2.68 (m, 2H), 2.63 (s, 3H), 2.55-2.51 (m, 1H), 2.40-2.33 (m, 1H), 2.17-2.15 (m, 1H), 1.92-1.83 (m, 1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된다.
LCMS(방법 A): 2.385분, 100%, 254.0 nm, MS: ES+ 457.5 (M+1)
HPLC(방법 A): 7.92분, 98.67%, 254.0 nm.
키랄 HPLC: 피크-1: 4.06분, 50.83.70%, 242.0 nm; 피크-2: 4.71분, 49.16%, 242.0 nm.
실시예 95 - N-(3-((N-메틸설파모일) 아미노)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2)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0.2 g, 0.62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3 mL, 1.86 mmol, 3.0 당량) 및 HATU(0.350 g, 0.934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tert-부틸 (3-아미노프로필) 카르바메이트(CAS:75178-96-0)(0.129 g, 0.747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 - 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8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필) 카르바메이트(A94)(0.185 g, 0.387 mmol, 수율: 61.2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3 (d, J = 2.4 Hz, 1H), 8.78-8.76 (m, 2H), 8.02-7.98 (m, 1H), 7.65-7.61 (m, 2H), 6.86 (t, J = 5.6 Hz, 1H), 5.86 (br s, 1H), 3.04-2.99 (m, 2H), 2.80-2.67 (m, 3H), 2.33-2.32 (m, 1H), 2.10-2.06 (m, 1H), 1.73-1.65 (m, 3H), 1.37 (s, 9H).
주석: CH2 양성자는 DMSO 수분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D2O에서 분명하게 관찰되며,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D2O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LCMS(방법 A): 2.725분, 84.36%, 210.0 nm, MS: ES+ 478.54 (M+1)
단계-2
DCM(1.8 mL) 중의 tert-부틸 (3-(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필) 카르바메이트(A94)(0.185 g, 0.387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0℃에서 1, 4-디옥산 중의 4 M HCl(1.8 mL, 10 v)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얻었다. 조 물질을 에테르(5.0 mL x 2)를 사용하여 분쇄하여 N-(3-아미노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A95)(0.16 g, 0.424 mmol, 수율: 정량적)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9 (d, J = 2.4 Hz, 1H), 9.09(t, J = 5.6 Hz, 1H), 8.88 (d, J = 2.4 Hz, 1H), 8.04-8.00 (m, 1H), 7.92 (br s, 3H), 7.68-7.64 (m, 2H), 5.87 (br s, 1H), 3.44-3.39 (q, J = 7.2, 13.0 Hz, 2H), 2.92-2.87 (m, 2H), 2.79-2.67 (m, 2H) 2.33-2.25 (m, 1H), 2.10-2.07 (m, 1H), 1.91-1.83 (m, 2H), 1.74-1.68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D2O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LCMS(방법 A): 1.86분, 97.95%, 210.0 nm, MS: ES+ 378 (M+1)
단계-3
DCM(3.0 mL) 중의 N-(3-아미노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A95)(0.120 g, 0.31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TEA(0.01 mL, 0.636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메틸설파모일 클로라이드(0.41 g, 3.1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4.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 - 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7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N-(3-((N-메틸설파모일) 아미노) 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2)(0.016 g, 0.034 mmol, 수율: 10.70%)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6 (d, J = 2.0 Hz, 1H), 7.98-7.96 (d, J = 7.6Hz, 1H), 7.69-7.63 (m, 2H), 5.87 (br s, 1H), 3.57 (t, J = 6.8 Hz, 2H), 3.09 (t, J = 6.8 Hz, 2H), 2.79-2.68 (m, 3H), 2.63 (s, 3H), 2.55-2.51 (m, 1H), 2.41-2.37 (m, 1H), 2.16-2.15 (m, 1H), 1.96-1.85 (m, 3H). 주석: 교환 가능한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된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81-8.78 (m, 2H), 8.02-7.99 (m, 1H), 7.64-7.61 (m, 2H), 6.88 (t, J = 6.0 Hz, 1H), 6.71-6.69 (m, 1H), 5.87 (br s, 1H), 2.92-2.87 (m, 2H), 2.80-2.77 (m, 1H), 2.72-2.67 (m, 1H), 2.46-2.44 (m, 4H), 2.33-2.52 (m, 1H), 2.10-2.06 (m, 1H), 1.81-1.75 (m, 2H), 1.71-1.65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CH2 양성자는 DMSO 수분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 스펙트럼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LCMS(방법 A): 2.34분, 100%, 254.0 nm, MS: ES+ 471.5 (M+1)
HPLC(방법 A): 8.00분, 100%, 254.0 nm
키랄 HPLC(방법 A): 피크-1: 3.07분, 49.43 %, 240.0 nm; 피크-2: 3.61분, 50.0 %, 240.0 nm.
실시예 96 - N-((S)-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3 및 화합물 104)의 키랄 분리
단계-2: 화합물 103 및 화합물 104: N-((S)-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의 키랄 분리
컬럼 ID: YMC 셀룰로오스, 250X19mm 5um
이동상 A: n-헵탄 중 0.1% M.NH3
이동상 B: IPA-ACN (50:50) 중 0.1% M.NH3
유량 (ML/MIN): 32
장비 ID: UV 검출기를 가진 PHP-04 AGILENT 1260 INFINITY-II SERIES
방법: 시간: 흐름: %A: %B (0.00:32:87:13), (39:32:87:13)
유입량: 0.05 g.
유출량: 화합물 103 = 0.0165 g(%수율=32%), 화합물 104, = 0.017 g (%수율=34%)
화합물 103: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1H), 8.82 (d, J = 2.04Hz, 1H), 8.83 (d, J = 8.0 Hz,1H), 8.01-7.98 (m, 1H), 7.64-7.61 (m, 2H), 5.87 (br s, 1H), 4.84 (t, J =11.6 Hz,1H), 4.23-4.18 (m, 1H), 3.57-3.50 (m, 1H), 3.76-2.65 (m, 4H), 2.51 (s, 1H), 2.10-2.07 (m, 1H), 2.46-2.07 (m, 5H), 1.74-1.67 (m, 1H). 1.26-1.23 (m, 1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J = 1.6 Hz,1H), 8.79 (d, J = 2.04Hz, 1H), 7.97 (dd, J = 7.6Hz, J = 7.6Hz, 1H), 7.69-7.63 (m, 2H), 5.87 (s, 1H), 4.84 (t,J =11.6 Hz,1H), 4.40-4.37 (m, 1H), 3.67-3.63 (m, 2H), 3.42-3.32 (m, 2H), 3.21 (s,1H), 2.78-2.35 (m, 6H), 1.91-1.85 (m, 1H), 1.30 (s,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2.192분, 100%, 254.0 nm, MS: ES+ 409 (M+1)
HPLC(방법 A): 7.82분, 99.74%, 254.0 nm
키랄 HPLC: 5.44분, %, 240.0 nm
화합물 104: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1H), 8.79 (d, J = 2.4 Hz, 1H), 8.82 (dd, J = 8.0 Hz, 1H), 8.0-7.99 (m, 1H), 7.64-7.61(m, 2H), 5.87 (br s, 1H), 4.84 (t, J = 6.0 Hz, 1H), 4.21-4.18 (m, 1H), 3.55-3.28 (m, 4H), 2.51 (s, 3H), 2.10-2.07 (m, 1H), 2.51-2.01 (m, 3H), 1.71-1.67 (m, 1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1H), 8.27 (d, J = 2.0 Hz, 1H), 7.97(dd, J = 7.6 Hz, J = 7.6Hz, 1H), 7.69-7.63 (m, 2H), 5.87 (br s, 1H), 4.40-4.37 (t, J = 6.0 Hz, 1H), 3.55-3.28 (m, 4H), 2.51 (s, 3H), 2.76-2.51 (m, 4H), 2.41-2.37(m, 1H), 2.18-2.15 (m, 1H), 1.93-1.85(m, 1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194분, 100%, 254.0 nm, MS: ES+ 409 (M+1)
HPLC(방법 A): 7.82분, 100%, 210.0 nm
키랄 HPLC: 6.19분, 96%, 240.0 nm
실시예 97 - (2R)-2-(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도)프로필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화합물 105)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1.0 g, 3.11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CAS: 35320-23-1 D-알라니놀(0.234 g, 3.113 mmol, 1.0 당량), DIPEA(1.2 g, 9.339 mmol, 3.0 당량) 및 HATU(1.781 g, 4.687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2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3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N-((R)-1-하이드록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1.04 g, 2.74 mmol, 7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 1H), 8.81 (d, J = 2.4 Hz, 1H), 8.49 (d, J = 8.0 Hz, 1H), 8.01 - 7.95 (m, 1H), 7.64 - 7.61 (m, 2H), 5.87 (br s, 1H), 4.81 (t, J = 8.4 Hz, 1H), 4.10 - 4.05 (m, 1H), 3.54 - 3.48 (m, 1H), 3.42 - 3.28 (m, 1H) 2.89 (br s, 1H), 2.80 - 2.73 (m, 3H),2.33 - 2.25 (m, 1H), 2.10 - 2.07 (m, 1H), 1.73 - 1.67 (m, 1H), 1.18 (d, J = 6.8 Hz, 3H).
LCMS(방법 A): 2.219분, 98.50%, 242.0 nm, MS: ES+ 379.17(M+1)
단계-2
DCM(25 mL) 중의 N-((R)-1-하이드록시프로판-2-일)-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7)(0.9 g, 2.380 mmol, 1.0 당량) 및 1H-테트라졸(0.493 g, 7.135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디-tert-부틸 N, N-디이소프로필포스포라미다이트 CAS: 137348-86-8(1.95 g, 7.135 mmol, 3.0 당량) 및 DMAP(0.145 g, 1.19 mmol, 0.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H2O2 수성(0.750 g, 7.135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7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7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60 -1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디-tert-부틸 ((2R)-2-(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필) 포스페이트(A96)(0.230 g, 0.403 mmol, 16.1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81 (d, J = 2.4 Hz, 1H), 8.72()(d, J = 7.6 Hz, 1H), 8.01 - 7.99 (m, 1H), 7.66 - 7.62 (m, 2H), 5.87 (br s, 1H), 4.32 - 4.28 (m, 1H), 3.96 - 3.88 (m, 2H), 2.80 - 2.67 (m, 3H), 2.33 - 2.28 (m, 2H), 2.10 - 2.07 (m, 1H), 1.71 - 1.67 (m, 1H), 1.40 (s, 9H), 1.37 (s, 9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LCMS(방법 A): 2.785분, 100%, 210.0 nm, MS: ES+ 571.3 (M+1)
단계-3
DCM(5 mL) 중의 디-tert-부틸 ((2R)-2-(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필) 포스페이트(A96)(0.170 g, 0.29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디옥산 중의 4M HCl(1.5 m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2R)-2-(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필 디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화합물 105)(0.105 g, 0.215 mmol, 수율: 76.9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7 (d, J = 2.0 Hz, 1H), 8.86 (d, J = 1.6 Hz, 1H), 8.79 (d, J = 7.6 Hz, 1H), 8.03 - 8.01 (m, 1H), 7.67 - 7.66 (m, 2H), 5.88 (br s, 1H), 4.29 - 4.23 (m, 1H), 3.96 - 3.84 (m, 2H), 2.80 - 2.67 (m, 4H), 2.33 - 2.25 (m, 1H), 2.10 - 2.07 (m, 1H), 1.74 - 1.68 (m, 1H), 1.23 (d, J = 6.4 Hz, 3H). 주석: 포스페이트 OH 양성자는 DMSO 용매에서 교환되고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61 (d, J = 1.6 Hz, 1H), 9.45 (d, J = 2.0 Hz, 1H), 8.35 (d, J = 8.0 Hz, 1H), 8.12 - 8.10 (m, 1H), 8.05 - 8.01 (m, 1H), 6.08 (br s, 1H), 4.50 - 4.46 (m, 1H), 4.21 - 4.08 (m, 2H), 2.75 - 2.58 (m, 3H), 2.50 - 2.43 (m, 2H), 2.28 - 2.15 (m, 1H), 2.01 - 1.91 (m, 1H), 1.42 (d, J = 6.4 Hz, 3H). 주석: 포스페이트 OH 및 -CONH 양성자는 MeOD 용매에서 교환된다.
HPLC(방법 A): 3.649분, 98.12%, 210.0 nm.
LCMS(방법 A): 1.822분, 100%, 254.0 nm, MS: ES+ 459.1 (M+1)
실시예 98 - N-((1H-피라졸-5-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6 및 화합물 107)의 키랄 분리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0분 동안 교반한 DMF(70 mL) 중의 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화합물 15)(7.0 g, 21.786 mmol, 1.0 당량), HATU(12.42 g, 32.710 mmol, 1.5 당량) 및 DIPEA(11.25 mL, 65.420 mmol, 3.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1196153-72-6 (1H-피라졸-3-일) 메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2.91 g, 21.786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3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9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1H-피라졸-5-일) 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47)(3.0 g, 7.492 mmol, 수율: 3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47 (s, 1H), 9.27-9.26 (m, 2H),8.83 (d, J = 2.4 Hz, 1H), 8.01-7.97 (m, 1H), 7.65-7.61 (m, 3H), 6.23 (s, 1H), 5.88 (br s, 1 H), 4.54 (d, J = 5.2 Hz, 2 H), 3.40-3.28 (m, 1 H), 2.80-2.67 (m, 3H), 2.51-1.88 (m, 2H), 1.74-1.64 (m, 1H).
LCMS(방법 A): 2.10분, 98.39%, 254.0 nm, MS: ES+ 401 (M+1)
HPLC(방법 A): 7.44분, 97.35%, 254.0 nm
키랄 HPLC: 4.57분, 47.798%, 5.11분, 48.72%, 245.0 nm
단계-2
화합물 106 및 화합물 107의 키랄 분리:
컬럼 ID: IG-REPACK, 250X30 mm 5um
이동상 A: 헵탄 중의 0.1% M NH3
이동상 B: MDC: IPA: CAN (80:10:10)
유량 (ML/MIN): 40
장비 ID: WELCH PREP SAIL 1000 UV 검출기
방법: 시간: 흐름: %A: %B (초기: 40:50:50), (45:40:50:40)
유입량: 3.0 g.
유출량: 화합물 106= 1.019 g (%수율 = 33.97%) 및 화합물 107= 1.081 g (%수율 = 36%)
화합물 106: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δ 12.47 (s, 1H), 9.28-9.27 (m, 2H), 8.84 (d, J = 2.0 Hz, 1H), 8.01-7.97 (m, 1H), 7.65-7.61 (m, 3H), 6.23 (br s, 1H), 5.87 (br s, 1H), 4.54 (br s, 2H), 2.81-2.51 (m, 3H), 2.28-2.07 (m, 3H), 1.74-1.64 (m, 1H).
LCMS(방법 A): 2.219분, 95.91%, 254.0 nm, MS: ES+ 401.3 (M+1)
HPLC(방법 A): 7.38분, 95.02 %, 254.0 nm
키랄 HPLC(방법 A): 4.74분, 98.23%, 245 nm
화합물 107:
1 H NMR (DMSO-d6, 400 MHz): δ ppm, δ 12.47 (s, 1H), 9.28-9.25 (m, 2H),8.84 (d, J = 2.0 Hz, 1H), 8.01-7.98 (m, 1H), 7.65-7.61 (m, 3H), 6.23 (s, 1H), 5.87 (br s, 1H), 4.54 (d, J = 5.2 Hz, 2H), 2.81-2.67 (m, 3H), 2.33-2.07 (m, 2H), 1.73-1.67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CMS(방법 A): 2.218분, 97.03%, 254.0 nm, MS: ES+ 401.27 (M+1)
HPLC(방법 A): 7.39분, 97.45 %, 254.0 nm
키랄 HPLC(방법 A): 5.35분 ,96.01 %, 245 nm
실시예 99 - 6-메톡시-N-((S)-1-(피리딘-2-일) 에틸)-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8)의 합성
단계-1
DMF(15.0 mL) 중의 5-메톡시-2-아미노벤조산 (CAS: 6705-03-9)(1.0 g, 5.9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NBS(1.28 g, 7.17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얼음 냉각수(5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실리카 겔(100-200 메쉬) 상에서의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20%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2-아미노-3-브로모-5-메톡시벤조산(A97)(0.708 g, 2.87 mmol, 수율: 47.9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7.38 (d, J = 2.8 Hz, 1H), 7.33 (d, J = 3.2 Hz, 1H), 3.69 (s, 3H).
주석: NH2 및 COOH 양성자는 DMSO 용매에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1.812분, 100%, 254.0 nm, MS: ES+ 248.1 (M+2)
단계-2
THF(5 mL) 중의 2-아미노-3-브로모-5-메톡시벤조산(A97)(0.7 g, 2.8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BH3.THF(10.0 mL, 9.95 mmol, 3.5 당량, THF 중 1M)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MeOH(50 mL)로 켄칭시켜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물(30 mL)과 함께 교반하고 여과시켰다. 잔류물을 DCM에 용해시키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옅은 갈색 고체로서 (2-브로모-6- (하이드록시메틸)-4-메톡시페놀(A98)(0.613 g, 2.64 mmol, 92.85 % 수율)을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6.93 (d, J = 2.8 Hz, 1H), 6.82 (d, J = 2.8 Hz, 1H), 5.27 (t, J = 5.6 Hz, 1H), 4.61 (br s, 2H), 4.40 (d, J = 5.6 Hz, 2H), 3.66 (s, 3H).
LCMS(방법 A): 1.505분, 100 %, 254.0 nm, MS: ES+ 234.0 (M+2)
단계-3
DCM(10.0 mL) 중의 (2-아미노-3-브로모-5-메톡시페닐) 메탄올(A98)(0.6 g, 2.58 mmol, 1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MnO2(2.28 g, 25.86 mmol, 10.0 당량)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 상에서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2-아미노-3-브로모-5-메톡시벤즈알데히드(A99)(0.51 g, 2.21 mmol, 수율: 85.9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83 (s, 1H), 7.45 (d, J = 2.8 Hz, 1H), 7.33 (d, J = 2.8 Hz, 1H), 6.71 (br s, 2H), 3.74 (s, 3H).; LCMS(방법 A): 2.037분, 98.79%, 254.0 nm, MS: ES+ 232 (M+2)
단계-4
EtOH(10.0 mL) 중의 2-아미노-3-브로모-5-메톡시벤즈알데히드(A99)(0.50 g, 2.1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실온에서 L-프롤린(0.124 g, 1.08 mmol, 0.5 당량) 및 CAS: 922-67-8(0.237 g, 2.82 mmol, 1.3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8-브로모-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00)(0.253 g, 0.854 mmol, 39.35% 수율)을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1 (d, J = 1.6 Hz, 1H), 8.93 (s, 1H), 7.97 (d, J = 2.4 Hz, 1H), 7.71 (d, J = 2.0 Hz, 1H), 3.96 (s, 3H), 3.92 (s, 3H).
LCMS(방법 A): 2.215분, 100%, 254.0 nm, MS: ES+ 298.0 (M+2)
단계-5
1, 4-디옥산: 물(4:1, 50 mL) 중의 메틸 8-브로모-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00)(1.00 g, 3.3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4, 4, 5, 5-테트라메틸-2- (4-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1, 3, 2-디옥사보로란(A2)(1.39 g, 5.067 mmol, 1.5 당량), 및 Cs2CO3(3.29 g, 10.134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교반하고 15분 동안 N2 가스로 탈기시켰다. 그 이후 PdCl2 (dppf). DCM(0.413 g, 0.506 mmol, 0.15 당량)을 N2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32%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A101) 메틸 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1.25 g, 3.42 mmol, 수율: 45.0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12 (d, J = 2.4 Hz, 1H), 8.87 (d, J = 2.4 Hz, 1H), 7.55 (d, J = 2.8 Hz, 1H), 7.29 (d, J = 2.8 Hz, 1H), 5.88 (br s, 1H), 3.94 (s, 3H), 3.90 (s, 3H), 2.81-2.74 (m, 1H), 2.67-2.63 (m, 2H), 2.50-2.43 (m, 1H), 2.29-2.22 (m, 1H), 2.08-2.05 (m, 1H), 1.72-1.62 (m, 1H).
LCMS(방법 A): 2.923분, 93.95%, 254.0 nm, MS: ES+ 366.3 (M+1).
단계-6
MeOH: H2O(20 mL, 7:3) 중의 메틸 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01)(1.25 g, 3.42 mmol, 1.0 당량) 및 LiOH. H2O(0.410 g, 10.27 mmol, 3.0 당량)의 용액을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제조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얻은 잔류물을 10% 시트르산 용액에 붓고, 이후 여과시켜 원하는 생성물 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02)(1.03 g, 2.93 mmol, 수율: 85.7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12 (d, J = 2.0 Hz, 1H), 8.79 (d, J = 2.0 Hz, 1H), 7.50 (d, J = 2.8 Hz, 1H), 7.25 (d, J = 2.8 Hz, 1H), 5.87 (br s, 1H), 3.90 (s, 3H), 2.78-2.75 (m, 1H), 2.68-2.65 (m, 2H), 2.50-2.43 (m, 1H), 2.29-2.22 (m, 1H), 2.07-2.05 (m, 1H), 1.70-1.64 (m, 1H). 주석: 산 (COOH) 양성자는 중수소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512분, 94.61%, 254.0 nm, MS: ES+ 352.3 (M+1)
단계 7
DMF(10 mL) 중의 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02)(0.900 g, 2.56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998 g, 7.680 mmol, 3.0 당량) 및 HATU(1.45 g, 3.840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0℃에서 10분의 교반 후, (S)-1- (235이리딘-2-일) 에탄-1-아민(CAS: 27854-90-6)(0.312 mg, 2.56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25 mL x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32%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6-메톡시-N-( (S)-1- (235이리딘-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8)(0.527 g, 1.15 mmol, 45.2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17-9.12 (m, 2H), 8.75 (d, J = 2.0 Hz, 1H), 8.55 (d, J = 4.0 Hz, 1H), 7.78 (d, J = 6.8 Hz, 1H), 7.48-7.46 (d, J = 8.0 Hz, 1H), 7.40 (d, J = 2.4 Hz, 1H), 7.29-7.25 (m, 2H), 5.89 (br s, 1H), 5.29-5.23 (m, 1H), 3.91 (s, 3H), 2.89-2.67 (m, 3H), 2.50-2.44 (m, 1H), 2.32-2.23 (m, 1H), 2.08-2.05 (m, 1H), 1.72-1.66 (m, 1H), 1.64 (d, J = 6.8 Hz, 3H).
HPLC(방법 A): 9.24분, 95.12%, 210.0 nm.
LCMS(방법 A): 9.915분, 96.52%, 254.0 nm, MS: ES+ 456.5 (M+1).
실시예 100 - 6-메톡시-N-((R)-1-(옥사졸-2-일)에틸)-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9)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02)(0.75 g, 2.1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82 g, 6.40 mmol, 3.0 당량) 및 HATU(1.21 g, 3.20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R)-1- (옥사졸-2-일) 에탄-1-아민(A61)(0.238 g, 2.13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25 mL x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6-메톡시-N-((R)-1- (옥사졸-2-일) 에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09)(0.264 g, 0.593 mmol, 29.8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2 (d, J = 8.0 Hz, 1H), 9.10 (d, J = 1.6 Hz, 1H), 8.73 (d, J = 1.6 Hz, 1H), 8.08 (s, 1H), 7.39 (d, J = 2.8 Hz, 1H), 7.25 (d, J = 2.8 Hz, 1H), 7.18 (s, 1H), 5.89 (br s, 1H), 5.40 - 5.33 (m, 1H), 3.90 (s, 3H), 3.78 - 2.66 (m, 3H), 2.47 - 2.44 (m, 1H), 2.30 - 2.26 (m, 1H), 2.23 - 2.08 (m, 1H), 1.75 - 1.61 (m, 1H), 1.60 (d, J = 6.8 Hz, 3H).
LCMS(방법 A): 2.46분, 98.31%, 254.0 nm, MS: ES+ 446.3 (M+1).
HPLC(방법 A): 8.77분, 99.62%, 254.0 nm.
키랄 HPLC: 피크-1: 3.11분, 48.01%, 248.0nm; 피크-2: 3.83분, 48.04%, 248.0nm
실시예 101 - N-((R)-1-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0)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02)(0.750 g, 2.1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82 g, 6.40 mmol, 3.0 당량) 및 HATU(1.21 g, 3.20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R)-2-아미노프로판-1-올(CAS: 35320-23-1)(0.159 g, 2.13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25 mL x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6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N-((R)-1-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0)(0.281 g, 0.688 mmol, 34.5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07 (d, J = 1.6 Hz, 1H), 8.67 (d, J = 1.6 Hz, 1H), 8.42 (d, J = 8.0 Hz, 1H), 7.38 (d, J = 2.8 Hz, 1H), 7.24 (d, J = 2.4 Hz, 1H), 5.89 (br s, 1H), 4.78 (t, J = 6.0 Hz, 1H), 4.10-4.03 (m, 1H), 3.96 (s, 3H), 3.53-3.47 (m, 2H), 2.77-2.67 (m, 3H), 2.33- 2.23 (m, 1H), 2.08-2.05 (m, 1H), 1.72-1.65 (m, 1H), 1.17 (d, J = 6.8 Hz, 3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D2O 스펙트럼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LCMS(방법 A): 2.25분, 99.03%, 254.0 nm, MS: ES+ 409.4 (M+1)
HPLC(방법 A): 8.02분, 98.79%, 254.0 nm.
키랄 HPLC: 피크-1: 3.64분, 45.42%, 246.0 nm. 피크-2: 3.95분, 52.76%, 246.0 nm.
실시예 102 - 6-메톡시-N-(옥사졸-2-일메틸)-8-(4- (트리플루오로 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1)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옥사졸-2-카르발데히드(A58)(5.0 g, 51.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2-메틸프로판-2-설피나미드 CAS:146374-27-8(7.4 g, 61.8 mmol, 1.2 당량), 및 피페리딘-1-카르발데히드 CAS:3087-36-3(25.5 ml, 10.3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50% EtOA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에 붓고, EtOAc(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얻었다. 생성된 조 생성물을 실리카 겔 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원하는 생성물을 헥산 중의 40% EtOAc에서 용리시켜 (E)-2-메틸-N-(옥사졸-2-일메틸렌) 프로판-2-설피나미드(A103)(4.9 g, 24.46 mmol, 수율: 47.5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8.45 (s, 1H), 8.28 (s, 1H), 7.62 (s, 1H),1.27 (s, 9H).
LCMS(방법 A): LCMS는 원하는 생성물 질량을 지원하지 않는다.
단계-2
MeOH(20 mL) 중의 (E)-2-메틸-N-(옥사졸-2-일메틸렌) 프로판-2-설피나미드(A103)(4.9 g, 29.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NaBH4(1.7 g, 44.9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TLC(이동상으로서 5% DCM: MeOH)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400 mL)에 붓고, EtOAc(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생성된 조 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DCM 중의 2% MeOH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2-메틸-N-(옥사졸-2-일메틸) 프로판-2-설피나미드(A104)(4.1 g, 20.26 mmol, 수율: 82.84 %)를 수득하였다.
LCMS(방법 A): 1.303분, 100.0 %, 210.0 nm MS: ES+ 203.0 (M+1).
1 H NMR (DMSO, 400 MHz): δ ppm 7.64 (s, 1H), 7.09 (s, 1H), 4.49-4.37 (m, 2H), 3.94 (t, J = 8.8 Hz 1H), 1.24 (s, 9H).
단계-3
MeOH(90 mL) 중의 2-메틸-N-(옥사졸-2-일메틸) 프로판-2-설피나미드(A104)(9.0 g, 44.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디옥산 중의 4M HCl(11.68 g, 31.1 mmol, 7.0 v)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5% DCM: MeOH 사용) 상에서 모니터링하였다. 완료 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직접적으로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고 이를 펜탄을 사용하여 분쇄하여 옥사졸-2-일메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A105)(7.0 g, 52.02 mmol, 수율: 87.88 %)를 수득하였다.
LCMS(방법 A): LCMS는 원하는 생성물 질량을 지원하지 않는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8.94 (s, 3H), 8.23 (s, 1H), 7.30 (s, 1H), 4.22 (s, 2H).
단계-4
DMF(15 mL) 중의 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02)(0.35 g, 0.99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38 g, 2.99 mmol, 3.0 당량) 및 HATU(0.568 g, 1.49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옥사졸-2-일메탄아민(A105)(0.097 g, 0.996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5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5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6-메톡시-N-(옥사졸-2-일메틸)-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1)(0.165 g, 0.382 mmol, 44.7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48 (t, J = 5.6 Hz, 1H), 9.00 (d, J = 2.0 Hz,1H), 8.72 (d, J = 2.0 Hz, 1H), 8.09 (s, 1H), 7.40 (d, J = 2.4 Hz, 1H), 7.26 (d, J = 2.8 Hz, 1H), 7.19 (s, 1H), 5.89 (br s, 1H), 4.66 (d, J = 5.6 Hz, 2H), 3.91 (s, 3H), 2.79-2.67 (m, 3H), 2.33-2.23 (m, 2H), 2.09-2.06 (m, 1H), 1.72-1.63 (m, 1H).
LCMS(방법 C): 2.413분, 96.37%, 254.0 nm, MS: ES+ 432.3 (M+1)
HPLC(방법 B): 6.93분, 95.22%, 210.0 nm.
키랄 HPLC: 피크-1: 4.81분, 47.98%, 246.0nm; 피크-2: 5.33분, 49.82%, 246.0nm.
실시예 103 - N-((1H-피라졸-3-일)메틸)-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 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2)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02)(0.1 g, 0.2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123 g, 0.56 mmol, 2.0 당량) 및 DIPEA(0.110 g, 0.85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1H-피라졸-3-일) 메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번호: 1196153-72-6)(0.056 g, 0.42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2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 - 400 메쉬)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5-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1H-피라졸-3-일) 메틸)-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2)(0.067 g, 0.155 mmol, 수율: 54.6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63 (br s, 1H), 9.20 (br s, 1H), 9.10 (d, J = 2.0 Hz, 1H), 8.70 (d, J = 2.0 Hz, 1H), 7.66 (br s, 1H), 7.38 (d, J = 2.8 Hz, 1H), 7.24 (d, J = 2.8 Hz, 1H), 6.22 (s, 1H), 5.88 (s, 1H), 4.53 (br s, 2H), 3.93 (s, 3H), 2.78-2.67 (m, 3H), 2.33-2.23 (m, 1H), 2.08-2.05 (m, 1H),1.72-1.62 (m, 1H). 주석: CF3-CH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MeOD에서 분명하게 관찰된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09 (d, J = 2.0 Hz, 1H), 8.67 (d, J = 2.4 Hz, 1H), 7.61 (br s, 1H), 7.30 (d, J = 1.2 Hz, 2H), 6.37 (s, 1H), 5.86 (s, 1H), 4.70 (s, 2H), 4.01 (s, 3H), 2.74-2.71 (m, 3H), 2.65-2.49 (m, 1H), 2.39-2.31 (m, 1H), 2.16-2.13 (m, 1H),1.91-1.80 (m, 1H). 주석: -CONH 및 -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30분, 98.42%, 254 nm, MS: ES+ 431.7 (M+1)
HPLC(방법 A): 8.07분, 98.25%, 254 nm.
실시예 104 - N-((S)-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6-메톡시-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3)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02)(0.09 g, 0.256 mmol, 1.0 당량)의 용액에 N2 분위기하에 0℃에서 HATU(0.14 g, 0.38 mmol, 1.5 당량) 및 DIPEA(0.13 mL, 0.76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0℃에서 10분의 교반 후, (S)-2-아미노-3-메톡시프로판-1-올(A50)(0.053 g, 0.51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70% EA)에 의해 정제하여 N- ((S)-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3)(0.04 g, 0.091 mmol, 수율: 35.62%)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07 (d, J = 2.0 Hz, 1H), 8.66 (d, J = 2.0 Hz ,1H), 7.30 (dd, J = 2.8, 5.2 Hz, 2H), 5.87 (br s, 1H), 4.39-3.36 (m, 1H), 3.97 (s, 3H), 3.78 (dd, J = 1.2, 5.6 Hz, 2H), 3.68-3.62 (m, 2H), 3.42 (s, 3H), 2.75-2.62 (m, 3H), 2.54-2.50 (m, 1H), 2.39-2.36 (m, 1H), 2.16-2.14 (m, 1H), 1.88-1.84 (m, 1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08 (d, J = 2.0 Hz, 1H), 8.69 (d, J = 2.0 Hz ,1H), 8.47 (d, J = 8.4 Hz, 1H), 7.38 (d, J = 2.8 Hz, 1H), 7.24 (d, J = 2.8 Hz, 1H), 5.89 (m, 1H), 4.82 (t, J = 5.6 Hz, 1H), 4.21-4.16 (m, 1H), 3.91 (s, 3H), 3.54-3.47 (m, 4H), 3.25 (s, 3H), 2.78-2.67 (m, 3H), 2.46-2.44 (m, 1H), 2.33-2.23 (m, 1H), 2.08-2.05 (m, 1H), 1.72-1.62 (m, 1H).
LCMS(방법 A): 2.270분, 99.48%, 254.0nm, MS: ES+ 439.6 (M+1).
HPLC(방법 A): 6.89분, 95.15%, 254.0nm.
키랄 HPLC(방법 A): 피크-1: 20.361분, 48.11 %, 246.0nm; 피크-2: 24.125분, 48.83%, 246.0nm.
실시예 105 - 6-메톡시-N-(3-(메틸설폰아미도) 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4)의 합성
단계-1
DMF(5 mL) 중의 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02)(0.050 g, 0.14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3-아미노프로필) 메탄설폰아미드(A83)(0.026 mg, 0.142 mmol, 1.0 당량), TEA(0.043 g, 0.426 mmol, 3.0 당량) 및 HATU(0.080 g, 0.213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12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 중의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6-메톡시-N-(3-(메틸설폰아미도) 프로필)-8-(4-(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4)(0.029 g, 0.060 mmol, 45.84%)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06 (d, J = 2.0 Hz, 1H), 8.82 (br s, 1H), 8.65 (d, J = 2.0 Hz, 1H), 7.31 (d, J = 2.4 Hz, 1H), 5.86 (br s, 1H), 4.02 (s, 3H), 3.60 - 3.56 (m, 2H), 3.21 (t, J = 6.4 Hz, 2H), 2.98 (s, 3H), 2.75 - 2.62 (m, 3H), 2.54 - 2.50 (m, 1H), 2.9 - 2.36 (m, 1H), 2.17 - 2.14 (m, 1H), 1.96 - 1.87 (m, 3H). 주석: -CONH 및 MeSO2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OS-d 6 , 400 MHz): δ ppm, 9.06 (d, J = 2.0 Hz, 1H), 8.76 (t, J = 5.6 Hz, 1H), 8.66 (d, J = 2.0 Hz, 1H), 7.39 (d, J = 2.4 Hz, 2H), 7.25 (d, J = 2.8 Hz, 2H), 7.04 (t, J = 5.6 Hz, 2H), 5.86 (br s, 1H), 3.92 (s, 3H), 3.06 - 3.01 (m, 2H), 2.91 (s, 3H), 2.88 - 2.73 (m, 4H), 2.33 - 2.23 (m, 1H), 2.08 - 2.06 (m, 1H), 1.80 - 1.65 (m, 2H).
HPLC(방법 B): 7.18분, 96.09%, 254.0 nm,
LCMS(방법 A): 2.357분, 97.41%, 254.0 nm, MS: ES+ 486.89
실시예 106 - N-이소프로필-6-메톡시-8-(4- (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5)의 합성
단계-1
MeOH: H2O(5.0 mL, 7:3) 중의 메틸 8-브로모-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00)(0.2 g, 0.67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LiOH(0.270 g, 6.75 mmol, 10.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직접적으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수성 10% 시트르산 용액을 사용하여 중화시킴으로써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감압하에서 건조시켜 8-브로모-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산(A106)(0.156 g, 0.553 mmol, 수율: 81.9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3.38 (br s, 1H), 9.21 (d, J = 1.6 Hz, 1H), 8.89 (d, J = 1.6 Hz, 1H), 7.95 (d, J = 2.4 Hz, 1H), 7.68 (d, J = 2.4 Hz, 1H), 3.92 (s, 3H).
LCMS(방법 A): 1.851분, 100%, 254.0 nm, MS: ES+ 284.0 (M+2)
단계-2
DMF(2.5 mL) 중의 8-브로모-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산(A106)(0.15 g, 0.53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이소프로필 아민 CAS: 75-31-0 (0.03 g, 0.531 mmol, 1.0 당량), DIPEA(0.20 g, 1.593 mmol, 3.0 당량) 및 HATU(0.30 g, 0.796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75 mL)로 희석시키고, 다시 실온에서 추가 1시간 동안 교반하여 고체 물질을 얻었다. 얻은 고체 물질을 부흐너 깔때기 상에서 여과시키고, 고진공하에서 건조시켜 8-브로모-N-이소프로필-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A107)(0.11 g, 0.340 mmol, 67%)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6 , 400 MHz): δ ppm, 9.15 (d, J = 2.0 Hz, 1H), 8.72 (d, J = 1.6 Hz, 1H), 8.62 (d, J = 7.2 Hz, 1H), 7.92 (d, J = 2.4 Hz, 1H), 7.54 (d, J = 2.8 Hz, 1H), 4.18 - 4.13 (m, 1H), 3.93 (s, 3H), 1.22 (d, J = 6.8 Hz, 6H).
LCMS(방법 A): 1.946분, 99.51%, 254.0 nm, MS: ES+ 325.1 (M+2)
단계-3
디옥산(4.0 mL) 및 물(1.0 mL) 중의 4, 4, 5, 5-테트라메틸-2- (4- (트리플루오로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1, 3, 2-디옥사보로란(A2)(0.084 g, 0.306 mmol, 1.1 당량), 8-브로모-N-이소프로필-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A107)(0.09 g, 0.278 mmol, 1.0 당량) 및 Na2CO3(0.058 g, 0.556 mmol, 2.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제조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질소 분위기하에서 10-15분 동안 퍼징시켰다. 이후 Pd (dppf)Cl2 .DCM(0.004 g, 0.042 mmol, 0.15 당량)을 첨가하고,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얻은 조 생성물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35%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이소프로필-6-메톡시-8-(4-(트리플루오로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5)(0.026 g, 0.066 mmol, 수율: 21.6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06 (d, J = 2.0 Hz, 1H), 8.65 (d, J = 2.4, Hz, 1H), 8.53 (d, J = 7.6 Hz, 1H), 7.38 (d, J = 2.8, Hz, 1H), 7.23 (d, J = 2.8, Hz, 1H), 5.89 (br s, 1H), 4.19 - 4.10 (m, 1H), 3.95 (s, 3H), 2.77 - 2.67 (m, 3H), 2.49 - 2.44 (m, 1H), 2.33 - 2.23 (m, 1H), 2.08 - 2.05 (m, 1H), 1.72 - 1.62 (m, 1H), 1.16 (d, J = 7.2 Hz, 6 H).
HPLC(방법 A): 9.46분, 97.20 %, 254.0 nm,
LCMS(방법 A): 2.576분, 97.02 %, 254.0 nm, MS: ES+ 393.4 (M+1).
실시예 107 - (R)-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6)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1 g, 0.3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DIPEA(0.18 mL, 1.03 mmol, 3.0 당량) 및 HATU(0.19 g, 0.51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R)-2-아미노프로판-1-올(CAS: 35320-23-1)(0.025 g, 0.34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70%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R)-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1-하이드록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6)(0.065 g, 0.18 mmol, 수율: 54.6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6 (d, J = 2.0 Hz, 1H), 8.81 (d, J = 2.0 Hz, 1H), 8.48 (d, J = 8.0 Hz, 1H), 8.02 (dd, J = 7.2 Hz, 2.0 Hz, 1H), 7.67-7.63 (m, 2H), 5.76 (br s, 1H), 4.80 (t, J = 6.0 Hz, 1H), 4.08 - 4.06 (m, 1H), 3.52 - 3.49 (m, 1H), 3.41 - 3.37 (m, 1H), 2.90 (br s, 2H), 2.80-2.75 (m, 2H), 2.25 - 2.18 (m, 2H), 1.17 (d, J = 6.8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2.4 Hz, 1H), 8.77 (d, J = 2.4 Hz, 1H), 7.98 (dd, J = 8.0 Hz, 1.6 Hz, 1H), 7.69 - 7.62 (m, 2H), 5.75 (br s, 1H), 4.28 (q, J = 6.0 Hz, 1H), 3.67 (t, J = 5.2 Hz, 2H), 2.89 - 2.86 (m, 2H), 2.78 (m, 2H), 2.34 - 2.24 (m, 2H), 1.30 (t, d = 6.4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1.948분, 97.77%, 254 nm, MS: ES+ 347.1 (M+1)
HPLC(방법 A): 7.04분, 96.92%, 254 nm
키랄 HPLC(방법 A): 3.27분, 100%, 242 nm
실시예 108 - (R)-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옥사졸-2-일) 에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7)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1 g, 0.34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262 g, 0.691 mmol, 2.0 당량) 및 DIPEA(0.16 mL, 1.037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R)-1-(옥사졸-2-일) 에탄-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A61)(0.046 g, 0.414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에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20 m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건조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DCM 중의 0-2 % MeOH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R)-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 (옥사졸-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7)(0.026 g, 0.067 mmol, 수율: 19.62 %)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8 (s, 1H), 8.82 (s, 1H), 8.08 (s, 1H), 7.98 (d, J = 8.0 Hz, 1H), 7.92(s, 1H), 7.70-7.63 (m, 2H), 7.18 (s, 1H), 5.75 (br s, 1H), 5.50-5,48 (m, 1H), 2.88 (br s, 2H), 2.77 (t, J =14.8 Hz, 2H), 2.32-2.25(m, 2H), 1.72 (d, J = 6.8 Hz, 3H).
LCMS(방법 A): 2.190분, 100 %, 254 nm, MS: ES+ 384.17 (M+1)
HPLC(방법 A): 7.81분, 100 %, 254 nm
키랄 HPLC: 5.14분, 100%, 240 nm
실시예 109 - (S)-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옥사졸-2-일) 에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8)의 합성
단계-1
THF(4 mL, 10 v) 중의 옥사졸-2-카르발데히드(A58)(CAS: 65373-52-6)(0.4 g, 4.12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50 mL 3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제조하였다. 이 용액에 동일한 온도에서 (R)-2-메틸프로판-2-설피나미드(CAS: 196929-78-9)(0.599 g, 4.944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0℃에서 Ti(OEt)4(1.88 g, 8.240 mmol, 2.0 당량)을 적하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헥산 중의 50% EtOAc)로 모니터링하였고, 완료 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염수 용액(3 mL), EtOAc(20 mL)로 희석시키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15분 후, 고체 물질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EtOAc(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분리시키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얻었다. 조 물질을 실리카 230-400 메쉬 크기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원하는 생성물을 헥산 중의 22% EtOAc에서 용리시켜 (R, E)-2-메틸-N-(옥사졸-2-일메틸렌) 프로판-2-설피나미드(A108) 갈색의 점성 액체(0.4 g, 1.997 mmol, 수율: 48.4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45 (s, 1H), 8.28 (s, 1H), 7.63 (s, 1H), 1.19 (s, 9H).
LCMS(방법 A): 1.298분, 100 %, 254.0 nm, MS: ES+ 201.0 (M+1)
단계-2
DCM(8 mL, 20 v) 중의 (R, E)-2-메틸-N-(옥사졸-2-일메틸렌) 프로판-2-설피나미드(A108)(0.4 g, 1.99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78℃에서 50 mL 3목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78℃에서 MeMgBr(0.8 mL, 2.936 mmol, 1.2 당량)을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5시간 후, 다시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추가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두 번째로 -78℃에서 MeMgBr(0.8 mL, 2.936 mmol, 1.2 당량)을 적하하고, 동일한 온도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1.5시간 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까지 가온시키고, 다시 추가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세 번째로 -78℃에서 MeMgBr(0.4 mL, 1.468 mmol, 1.2 당량)을 적하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추가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이동상으로서 100% EtOAc)는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NH4Cl 수용액(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2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분리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물질을 얻었다. 조 물질을 20% 디에틸 에테르 및 n-펜탄을 사용하는 분쇄에 의해 정제하여 (R)-2-메틸-N-((S)-1-(옥사졸-2-일)에틸)프로판-2-설피나미드(A109) 밝은 황색 고체(0.21 g, 0.970 mmol, 수율: 48.6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07 (s, 1H), 7.15 (s, 1H), 5.94 (d, J = 7.6 Hz, 1H), 4.51-4-48 (m, 1H), 1.49 (d, J = 6.8 Hz, 3H), 1.08 (s, 9H).
LCMS(방법 A): 1.379분, 100%, 210 nm, MS: ES+ 217.0 (M+1)
단계-3
MeOH(0.8 mL) 중의 (R)-2-메틸-N-((S)-1-(옥사졸-2-일) 에틸) 프로판-2-설피나미드(A109)(0.1 g, 0.46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에 실온에서 디옥산 중의 4M HCl(0.24 mL, 0.970 mmol, 2.1 당량)을 적하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동일한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이동상으로서 100% EtOAc)로 모니터링하여 실온에서 16시간의 교반 후 반응이 완료된 것을 확인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직접적으로 농축시켜 (S)-1-(옥사졸-2-일) 에탄-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황색을 띤 점성 액체(A110)(0.075 g, 0.668 mmol, 수율: 48.48%)로서 0.075 g 물질을 얻었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8.85 (br s, 3H), 8.24 (s, 1H), 7.32 (s, 1H), 4.66-4.64 (m, 1H), 1.56 (d, J = 6.8 Hz, 3H).
LCMS(방법 A): 0.185분, 100.0%, 210 nm, MS: ES+ 113.1 (M+1)
단계-4
DMF(0.8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05 g, 0.17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DIPEA(0.15 mL, 0.864 mmol, 5.0 당량) 및 HATU(0.098 g, 0.259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S)-1-(옥사졸-2-일) 에탄-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A110)(0.026 g, 0.172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20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0 x 2)로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순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원하는 생성물을 헥산 중의 42%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시켜 (S)-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1- (옥사졸-2-일)에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8)(0.039 g, 0.101 mmol, 수율: 59.0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6 (d, J = 7.6 Hz, 1H), 9.28 (d, J = 2.0 Hz, 1H), 8.87 (d, J = 2.0 Hz,1H), 8.08 (s, 1H), 8.03 (dd, J = 7.6, 2.0 Hz, 1H), 7.69-7.63 (m, 2H), 7.19 (s,1H), 5.77 (br s, 1 H), 5.40-5.36 (m, 1H), 2.90 (br s, 2H), 2.83-2.27 (m, 2H), 2.27-2.17 (m, 2H), 1.61 (d, J = 7.2 Hz, 3H).
LCMS(방법 A): 2.181분, 98.92%, 245 nm, MS: ES+ 384.12 (M+1)
HPLC(방법 A): 7.78분, 99.09%, 210 nm
실시예 110 - N-((1H-피라졸-5-일)메틸)-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9)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05 g, 0.1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DIPEA(0.15 mL, 0.86 mmol, 5.0 당량) 및 HATU(0.098 g, 0.25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1H-피라졸-5-일) 메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11961153-72-6)(0.023 g, 0.17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1H-피라졸-5-일) 메틸)-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19)(0.023 g, 0.062 mmol, 수율: 36.50%)로서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64 (s, 1H), 9.28 (d, J = 2.0 Hz, 2H), 8.85 (d, J = 2.0 Hz, 1H), 8.01 (d, J = 7.6 Hz, 1H), 7.67 - 7.41 (m, 3H), 6.23 (s, 1H), 5.76 (br s, 1H), 4.54 (s, 2H), 2.89 (s, 2H), 2.83 - 2.73 (m, 2H), 2.27 - 2.21 (m, 2H),
LCMS(방법 A): 2.020분, 100%, 254 nm, MS: ES+ 369.2 (M+1)
HPLC(방법 A): 7.02분, 97.98%, 254nm
실시예 111 -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 (4-메틸-1H-피라졸-5-일)메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0)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05 g, 0.1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DIPEA(0.09 mL, 0.51 mmol, 3.0 당량) 및 HATU(0.098 g, 0.25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4-메틸-1H-피라졸-5-일) 메탄아민(CAS: 2173991-88-1)(0.031 g, 0.17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ACN 중의 0-30% 물)을 사용하는 RFC에 의해 정제하여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4-메틸-1H-피라졸-5-일) 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0)(0.018 g, 0.047 mmol, 수율:27.27%)로서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39 (s, 1H), 9.28 (s, 1H), 9.10 (s, 1H) 8. 84 (s, 1H), 8.00 (d, J = 6.8 Hz, 1H), 7.67 - 7.61 (m, 2H), 7.45 (br s, 1H), 5.75 (br s, 1H), 4.52 (d, J = 4.8 Hz, 2H), 2.89 (br s, 2H), 2.82 - 2.75 (m, 2H), 2.25 - 2.18 (m, 2H), 2.02 (s,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0 Hz, 1H), 8.77 (d, J = 2.0 Hz, 1H), 7.97 (d, J = 6.8 Hz, 1H), 7.69 - 7.62 (m, 2H), 7.42 (br s, 1H), 5.75 (br s, 1H), 4.68 (s, 2H), 2.87 (br s, 2H), 2.81 - 2.74 (m, 2H), 2.32 - 2.25 (m, 2H), 2.15 (s, 3H). 주석: -CONH 및 -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101분, 95.53%, 254 nm, MS: ES+ 383.2 (M+1)
HPLC(방법 A): 7.36분, 98.50%, 254 nm
실시예 112 - (S)-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메톡시 프로판-2-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1)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1 g, 0.3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DIPEA(0.18 mL, 1.03 mmol, 3.0 당량) 및 HATU(0.19 g, 0.51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S)-1-메톡시프로판-2-아민(CAS: 99636-32-5)(0.025 g, 0.34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30%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S)-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1-메톡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1)(0.052 g, 0.14 mmol, 수율: 41.9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80 (d, J = 2.0 Hz, 1H), 8.61 (d, J = 8.0 Hz, 1H), 8.03 (dd, J = 7.6, 2.0 Hz, 1H), 7.67 - 7.62 (m, 2H), 5.76 (s, 1H), 4.27 - 4.24 (m, 1H), 3.47 - 3.40 (m, 2H), 3.26 (s, 3H), 2.90 (br s, 2H), 2.83 - 2.75 (m, 2H), 2.25 - 2.18 (m, 2H), 1.19 (d, J = 6.8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5 (d, J = 2.0 Hz, 1H), 7.98 (dd, J = 8.0 Hz, 1.6 Hz, 1H), 7.69 - 7.62 (m, 2H), 5.75 (br s, 1H), 4.42 - 4.40 (m, 1H), 3.57 - 3.53 (m, 1H), 3.42 (s, 3H), 3.50 - 3.46 (m, 1H), 2.89 - 2.86 (m, 2H), 2.81 - 2.74 (m, 2H), 2.32 - 2.25 (m, 2H), 1.31 (d, J = 6.8 Hz, 3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178분, 95.62%, 254 nm, MS: ES+ 361.2 (M+1)
HPLC(방법 A): 8.17분, 100%, 254 nm
키랄 HPLC: 2.96분, 100% 242 nm
실시예 113 -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5-옥소피롤리딘-2-일)메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2)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05 g, 0.17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098 g, 0.259 mmol, 1.5 당량) 및 DIPEA(0.066 mL, 0.518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5-(아미노메틸) 피롤리딘-2-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115307-13-6)(0.028 g, 0.190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에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20 m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건조시키고 이후 얻은 조생성물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그리고 DCM 중의 0-2% MeOH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5-옥소피롤리딘-2-일) 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2)(0.039 g, 0.101 mmol, 수율: 58.6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7 (d, J = 2.0 Hz, 1H), 8.87-8.82 (m, 2H), 8.03 (dd, J = 2.0, 7.2 Hz, 1H), 7.83 (s, 1H), 7.68-7.62 (m, 2H), 5.76 (br s, 1H), 3.76 (t, J = 6.0 Hz, 1H), 3.40-3.32 (m, 2H), 2.90-2.83 (m, 2H), 2.79-2.67 (m, 2H), 2.26-2.10 (m, 5H), 1.82-1.79 (m, 1H).
LCMS(방법 A): 1.914분, 98.09 %, 254 nm, MS: ES+ 386.17 (M+1)
HPLC(방법 A): 6.52분, 98.44 %, 254 nm
키랄 HPLC: 피크-1 3.67분, 49.95% 240 nm; 피크-2 4.80분, 50.04%, 240 nm
실시예 114 -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6-옥소-1, 6-디하이드로피리딘-2-일)메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3)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05 g, 0.17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098 g, 0.259 mmol, 1.5 당량) 및 DIPEA(0.066 g, 0.518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6-(아미노메틸) 피리딘-2 (1H)-온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95878-02-7)(0.030 g, 0.190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에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20 mL)로 세척하고, 이후 감압하에서 농축시켰다. 얻은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230-400 메쉬) 상에서의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DCM 중의 0-4% MeOH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6-옥소-1, 6-디하이드로피리딘-2-일) 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3)(0.036 g, 0.091 mmol, 수율: 52.6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1.63 (br s, 1H), 9.34-9.30 (m, 2H), 8.88 (d, J = 2.0 Hz,1H), 8.05 (dd, J = 7.6, 1.6 Hz, 1H), 7.69-7.64 (m, 2H),7.40-7.38 (m, 1H), 6.22-6.13 (m, 2H), 5.77 (br s, 1H), 4.39 (d, J = 5.6 Hz, 2H), 2.95-2.87 (m, 2H), 2.83-2.76 (m, 2H), 2.28-2.17 (m, 2H).
LCMS(방법 A): 1.954분, 98.46%, 254 nm, MS: ES+ 396.27 (M+1)
HPLC(방법 A): 6.53분, 98.41%, 254 nm
실시예 115 -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2-옥소-1,2-디하이드로 피리딘-3-일) 메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4)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05 g, 0.1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동일한 온도에서 DIPEA(0.089 mL, 0.51 mmol, 3.0 당량) 및 HATU(0.098 g, 0.25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CAS:85468-38-8(0.033 g, 0.20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에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얻은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5 mL X 2)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2-옥소-1, 2-디하이드로피리딘-3-일) 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4)(0.040 g, 0.10 mmol, 수율: 58.5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1.7 (br s, 1 H), 9.31 (d, J = 2.4 Hz, 1H), 9.15 (t, J = 6.8 Hz, 1H), 8.88 (d, J = 2.0 Hz, 1H), 8.03 (dd, J = 1.6, 6.0 Hz, 1H) 7.67-7.64 (m, 2H), 7.38 (d, J = 6.4 Hz, 1H), 7.32 (d, J = 5.2 Hz, 1H), 6.43 (t, J = 6.4 Hz, 1H), 5.77 (br s, 1H), 4.31 (d, J = 5.2 Hz, 2H), 2.90 (br s, 2H), 2.81-2.79 (m, 2H), 2.24-2.21 (m, 2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9 (d, J = 2.0 Hz, 1H), 8.81 (d, J = 2.4 Hz, 1H), 7.99 (dd, J = 1.6, 6.4 Hz, 1H), 7.70-7.63 (m, 3H), 7.40 (dd, J = 4.8 Hz, 1.6, 1H), 6.43 (t, J = 6.4 Hz, 1H), 5.75 (br s, 1H), 4.25 (s, 2H), 2.90-2.87 (m, 2H), 2.81-2.74 (m, 2H), 2.34-2.24 (m, 2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1.95분, 100%, 210.0 nm, MS: ES+ 396.2 (M+1)
HPLC(방법 A): 6.63분, 97.89%, 210.0 nm
실시예 116 -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 (하이드록시 메틸) 시클로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5)의 합성
단계-1
DMF(0.5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05 g, 0.1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고, 0℃로 냉각시켰다. 이 반응 용액에 HATU(0.09 g, 0.26 mmol, 1.5 당량) 및 DIPEA(0.07 g, 0.51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1-아미노-시클로프로판메탄올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115652-52-3)(0.02 g, 0.17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20 mL)에 부어 침전시키고, 이를 여과시키고, 물(50 m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건조시켜 조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실리카 겔(230-400 메쉬) 상에서의 역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원하는 생성물을 아세토니트릴 중의 45% 물에서 용리시켜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1- (하이드록시메틸) 시클로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5)(0.045 g, 0.12 mmol, 수율: 72.6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9.03 (s, 1H), 8.82 (d, J = 2.0 Hz, 1H), 7.99 (dd, J = 7.2, 1.6 Hz, 1H), 7.67-7.61 (m, 2H), 5.77 (s, 1H), 4.84 (t, J = 4.8 Hz, 1H), 3.58 (d, J = 4.8 Hz, 2H), 2.89 (m, 2H), 2.79-2.70 (m, 2H), 2.26-2.17 (m, 2H), 0.81-0.76 (m, 4H)
LCMS(방법 A): 1.982분, 98.29%, 254.0 nm, MS: ES+ 359.12 (M+1)
HPLC(방법 B): 7.00분, 98.60%, 254.0 nm
실시예 117 - (R)-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4-(메틸아미노)-4-옥소부탄-2-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6)의 합성
단계-1
DMF(5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5 g, 1.7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50 mL의 단목 플라스크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동일한 온도에서 DIPEA(0.8 mL, 5.19 mmol, 3.0 당량) 및 HATU(0.98 g, 2.59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CAS:139243-54-2 (R)-메틸 3-아미노부타노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0.29 g, 1.90 mmol, 1.1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에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고진공에서 건조시켜 메틸 (R)-3-(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타노에이트(A111)(0.35 g, 0.90 mmol, 수율: 52.1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3(d, J =2.0 Hz, 1H), 8.77 (d, J =2.0 Hz, 1H), 8.70 (d, J =7.6 Hz, 1H), 8.03 (d, J =5.6 Hz, 1H), 7.67-7.62 (m, 2H), 5.76 (br s, 1H), 4.59-4.39 (m, 1H), 3.64 (s, 3H), 2.90 (br s, 2H), 2.82-2.72 (m, 2H), 2.70-2.66 (m, 2H), 2.62-2.54 (m, 2H), 2.25-2.18 (m, 2H), 1.24 (d, J =6.8 Hz, 3H).
LCMS(방법 A): 2.21분, 93%, 254.0 nm, MS: ES+ 389.3 (M+1)
단계-2
THF(3.5 Ml) 중의 메틸 (R)-3-(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타노에이트(A111)(0.35 g, 0.90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25 Ml의 단목 플라스크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물(3.5 Ml) 중의 LiOH의 수용액(0.113 g, 2.70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시트르산의 용액으로 중화시켜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로 세척하고, 고진공에서 건조시켜 (R)-3- (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탄산(A112)(0.25 g, 0.66 mmol, 수율: 53.20%)로서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2.0 Hz, 1H), 8.73 (d, J =1.6 Hz, 1H), 7.97 (d, J =8.0 Hz, 1H), 7.68-7.62 (m, 2H), 5.75 (br s, 1H), 4.57 (q, J =6.8Hz, 1H), 2.87-2.55 (m, 7H), 2.32-2.25 (m, 2H), 1.38 (d, J =6.8 Hz, 3H). 주석: -CO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될 수 있다.
LCMS(방법 A): 1.99분, 93%, 254.0 nm, MS: ES+ 375.1 (M+1)
단계-3
DMF(1 mL) 중의 (R)-3- (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탄산(A112)(0.100 g, 0.2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25 mL의 단목 플라스크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실온에서 CDI(0.086 g, 0.53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메틸아민 용액(THF 중 2M)(10 vol)을 반응물에 적하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9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R)-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4- (메틸아미노)-4-옥소부탄-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6)(0.045 g, 0.11 mmol, 수율: 33.51%)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3 (d, J =2.4 Hz, 1H), 8.73 (d, J =2.4 Hz, 1H), 7.98 (dd, J =1.6, 7.6 Hz, 1H), 7.69-7.62 (m, 2H), 5.75 (br s, 1H), 4.58-4.53 (m, 1H), 2.89-2.86 (m, 2H), 2.81-2.78 (m, 2H), 2.75 (s, 3H), 2.62-2.57 (m, 1H), 2.51-2.46 (m, 1H), 2.32-2.25 (m, 2H), 1.36 (d, J =6.8 Hz, 3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1.948분, 100%, 210.0 nm, MS: ES+ 388.4 (M+1)
HPLC(방법 A): 6.83분, 100%, 254 nm
실시예 118 - N-(시아노메틸)-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7)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A25(0.20 g, 0.69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394 g, 1.037 mmol, 1.5 당량) 및 DIPEA(0.57 mL, 2.074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2-아미노아세토니트릴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6011-14-9)(0.06397 g, 0.6914 mmol, 1.0 당량)을 첨가하였고, 반응물을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NaHCO3(50 mL) 및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EtOAc(2 x 50 mL)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헥산 중의 3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 (시아노메틸)-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7)(0.109 g, 0.333 mmol, 수율 48.1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57 (t, J = 5.2 Hz,1H), 9.27 (d, J = 2.4 Hz, 1H), 8.87 (d, J =2.4 Hz, 1H), 8.05 (dd, J =1.6, 7.6 Hz, 1H), 7.71-7.65 (m, 2H), 5.76 (d, J =3.6 Hz, 1H), 4.42(d, J =5.2Hz, 2H), 2.90 (t, J =5.2Hz, 2H), 2.80 (t, J =14.0Hz, 2H), 2.26-2.19 (m, 2H).
LCMS(방법 A): 2.122분, 254nm, 100%, m/z = 328.2 (M+H) +
HPLC(방법 A): 7.76분, 254nm, 100%
실시예 119 - N-(1-(1H-피라졸-5-일)에틸)-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8)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15 g, 0.51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HATU(0.295 g, 0.778 mmol, 1.5 당량) 및 DIPEA(0.27 mL, 0.1.556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1H-피라졸-5-일) 에탄-1-아민(A67)(CAS: 1179072-43-5)(0.063 g, 0.57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에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2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에서 건조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헥산 중의 50% EtOAc로 용리시켜 N-(1-(1H-피라졸-5-일) 에틸)-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8)(0.029 g, 0.076 mmol, 수율: 14.62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58 (br s, 1H) 9.28 (d, J = 2.4 ,1H), 9.02 (s, 1H), 8.82 (d, J = 2.0 Hz,1H), 7.97 (t, J = 5.2 Hz, 1H), 7.63-7.60 (m, 3H),6.25 (s, 1H), 5.76 (br s, 1H), 5.34 (br s, 1H), 2.90-2.89 (m, 2H), 2.83-2.69 (m, 2H), 2.32-2.19 (m, 2H), 1.52 (d, J = 7.2 Hz, 3H).
LCMS(방법 A): 2.053분, 96.82%, 254 nm, MS: ES+ 383.3(M+1)
HPLC(방법 A): 7.32분, 95.76%, 254 nm
실시예 120 - (R)-N-(4-아미노-4-옥소부탄-2-일)-8-(4,4-디플루오로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9)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R)-3- (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탄산(A112)(0.10 g, 0.2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25 mL의 단목 RBF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실온에서 CDI(0.086 g, 0.53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암모니아 수용액(10 vol)을 적하하였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9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R)-N- (4-아미노-4-옥소부탄-2-일)-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29)(0.040 g, 0.10 mmol, 수율: 40.11%)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4 (d, J = 2.4 Hz, 1H), 7.98 (dd, J = 2.0 Hz & 8.0 Hz, 1H), 7.70 - 7.62 (m, 2H), 5.75 (br s, 1H), 4.59 - 4.57 (m, 1H), 2.89 - 2.86 (m, 2H), 2.81 - 2.74 (m, 2H), 2.66 - 2.61 (m, 1H), 2.53 - 2.48 (m, 1H), 2.32 - 2.25 (m, 2H), 1.38 (d, J = 6.8 Hz, 3H). 주석: -CONH 및 -CONH2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1.895분, 100%, 210.0 nm, MS: ES+ 374.4 (M+1)
HPLC(방법 A): 6.59분, 100%, 210.0 nm
실시예 121 - (R)-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 부탄-2-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0)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A25(0.1 g, 0.3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DIPEA(0.133 g, 1.03 mmol, 3.0 당량) 및 HATU(0.197 g, 0.51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고, 반응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10분 후, CAS: 5856-63-6(R)-(-)-2-아미노-1-부탄올(0.033 g, 0.38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100 %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R)-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부탄-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0)(0.068 g, 0.18 mmol, 수율: 56.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7 (s, 1H), 8.82 (s, 1H), 8.38 (d, J = 8.4 Hz, 1H), 8.02 (d, J = 7.2 Hz, 1H), 7.63 (t, J = 7.6 Hz, 2H), 5.76 (br s, 1H), 4.74 (t, J = 5.6 Hz, 1H), 3.93 (d, J = 5.2 Hz, 1H), 3.53 - 3.46 (m, 2H), 2.90 (br s, 2H), 2.79-2.76 (m, 2H), 2.24 - 2.18 (m, 2H), 1.70 - 1.68 (m, 1H), 1.50 - 1.47 (m, 1H), 0.91 (t, J = 7.2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0 Hz, 1H), 8.78 (d, J = 2.4 Hz, 1H), 7.98 (dd, J = 7.6 Hz & 7.6 Hz, 1H), 7.69 - 7.64 (m, 2H), 5.75 (s, 1H), 4.13 - 4.10 (m, 1H), 3.70 - 3.68 (m, 2H), 2.87 (m, 2H), 2.83 - 2.74 (m, 2H), 2.34 - 2.24 (m, 2H), 1.83 - 1.77 (m, 1H), 1.67 - 1.59 (m, 1H), 1.07 (t, J =7.6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A): 2.047분, 95.99%, 210 nm, MS: ES+ 361.2 (M+1)
HPLC(방법-A): 7.33, 95.88%, 220 nm
키랄 HPLC(방법): 3.60, 100%, 240 nm
실시예 122 - (R)-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2-하이드록시 프로필)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1)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A25(0.1 g, 0.34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HATU(0.262 g, 0.691 mmol, 2.0 당량) 및 DIPEA(0.133 g, 1.03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0℃에서 (R)-1-아미노프로판-2-올(CAS: 번호: 2799-16-8)(0.028 g, 0.380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고, 이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A(20 mL x 2)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R)-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2-하이드록시프로필)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1)(0.040 g, 0.115 mmol, 수율:33.4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8 (d, J = 2.0 Hz, 1H), 8.85-8.81 (m, 2H), 8.0 (q, J = 2.0 Hz, 7.2Hz 1H), 7.67-7.62 (m, 2H), 5.76 (br s, 1H), 4.85 (br s, 1H), 3.84(d, J = 8.0 Hz,1H), 3.29-3.21 (m, 2H), 2.90 (br s, 2H), 2.79 (t, J = 14.0 Hz, 2H), 2.25-2.17 (m, 2H), 1.11 (d, J = 6.4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0 Hz, 1H), 8.78 (d, J = 2.4 Hz, 1H), 7.99 (d, J = 8 Hz, 1H), 7.69-7.63 (m, 2H), 5.75 (s, 1H), 4.06-4.02 (m, 1H), 3.54-3.49 (m, 1H), 3.43-3.38 (m, 2H), 2.28 (br s, 2H), 2.78 (t, J = 14.4 Hz, 2H), 2.34-2.24 (m, 2H), 1.26 (d, J = 6.4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1.96, 100%, 254 nm, MS: ES+ 347.3 (M), (M+1)
HPLC(방법-A): 7.30분, 100%, 210 nm
실시예 123 - (S)-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2-하이드록시프로필)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2)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A25(0.1 g, 0.34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HATU(0.196 g, 0.517 mmol, 1.5 당량) 및 DIPEA(0.15 mL, 1.035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고, 이후 (S)-1-아미노프로판-2-올 CAS: 2799-17-9 (0.028 g, 0.380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첨가하고, EtOAc(30 mL)로 3회 추출하였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5-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킴)에 의해 정제하여 (S)-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2-하이드록시프로필)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2)(0.016 g, 0.046 mmol, 수율: 11.97%)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7 (d, J = 2 Hz, 1H), 8.82 (d, J = 2 Hz, 1H), 8.77 (t, J = 5.6 Hz, 1H), 8.02 (dd, J = 2.0 Hz,7.6 Hz, 1H), 7.67 - 7.62 (m, 2H), 5.76 (br s, 1H), 4.82 (d, J = 4.8 Hz, 1H), 3.85-3.82 (m, 1H), 3.29 - 3.25(m, 2H), 2.90 (br s, 2H), 2.79(t, J = 14.8 Hz, 2H), 2.27 - 2.17(m, 2H), 1.10 (d, J = 2.8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 Hz,1H), 8.79 (d, J = 2.4 Hz, 1H), 7.99 (dd, J = 1.6 Hz,7.6 Hz, 1H), 7.70 - 7.63 (m, 2H), 5.75 (s, 1H), 4.04-4.02 (m, 1H), 3.54 - 3.49 (m, 1H), 3.42 (d, J = 7.2 Hz, 1H), 2.88 (t, J = 5.2 Hz, 2H), 2.83 2.74 (m, 2H), 2.32 - 2.25 (m, 2H), 1.26 (d, J = 6.4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1.939분, 95.12%, 254.0 nm MS: ES+ 347.21[M+H]
HPLC(방법-A)- 6.95분, 96.10%, 210nm
실시예 124 - (R)-N-(2-아세트아미도프로필)-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3)의 합성
단계-1
DCM(5 mL) 중의 (R)-N-(2-아미노프로필)-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4)(0.1g, 0.2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아세틸 클로라이드(0.02 mL, 0.28 mmol, 1.0 당량) 및 NEt3(0.12 mL, 0.86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60-12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OH 중의 3% MDC)에 의해 정제하여 (R)-N- (2-아세트아미도프로필)-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3)(0.03 g, 0.077 mmol, 34.54%)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2 (d, J = 2.0Hz, 1H), 7.99 (dd, J = 8.0 Hz, 8.0 Hz, 1H), 7.70-7.63 (m, 2H), 5.75 (br s, 1H), 4.26-4.21 (m, 1H), 3.6-3.54 (m, 1H), 3.48-3.43 (m, 1H), 2.88 (t, J = 6 Hz, 2H), 2.78-2.75 (m, 2H), 2.34-2.23 (m, 2H), 1.93 (s, 3H), 1.24 (d, J = 6.8Hz, 3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9 (m, 2H), 8.02 (dd, J = 7.6,1.6 Hz, 1H), 7.81 (d, J = 8.0 Hz, 1H), 7.67-7.62 (m, 2H), 5.76 (s, 1H), 4.06-3.99 (m, 1H), 2.90 (br s, 2H), 2.79 (t, J =14.4 Hz, 2H), 2.26-2.17 (m, 2H), 1.80 (s, 3H), 1.08 (d, J = 6.8 Hz, 3H).
LCMS(방법 A) 1.94분, 97.18%, 254.0nm, MS: ES+ 388.37 (M), (M+1)
HPLC(방법 A) 6.87분, 96.26%, 220 nm
키랄 HPLC- 3.73분, 95.54%, 240.0 nm
실시예 125 - (R)-N-(2-아미노프로필)-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4)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A25(0.3 g, 1.0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HATU(0.59 g, 1.55 mmol, 1.5 당량) 및 DIPEA(0.53 mL, 3.11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고, 이후 0℃에서 (S)-1-아미노프로판-2-올 CAS: 100927-10-4(0.21 g, 1.24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0 mL)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3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킴)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R)- (1- (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판-2-일) 카르바메이트(A113)(0.22 g, 0.49 mmol, 수율 47.82%)를 수득하였다.
LCMS-(방법 A): 2.47분, 96.11%, 254.0nm MS: ES+ 446.38(M+1)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5 (s,1H), 8.78 (s, 2H), 8.00 (d, J =6.0Hz, 1H), 7.64 (t, J =14.4Hz, 2H), 6.81 (d, J = 8.0 Hz, 1H), 5.76 (br s, 1H), 3.77 (br s, 1H),3.15 (s, 2H), 2.89 (br s, 2H), 2.83-2.67 (m, 2H), 2.25-2.20 (m, 2H), 1.35 (s, 9H), 1.05 (d, J =6.4Hz, 3H).
단계-2
디옥산(2.0 mL) 중의 A113(0.22 g, 0.4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디옥산 중의 4M HCl(4 mL, 2.0 당량)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R)-N- (2-아미노프로필)-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4)(0.047g, 0.140 mmol, 수율 27.56%)를 생성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47 (s,2H), 8.30 (d, J = 8.0Hz, 1H), 8.03 (d, J = 7.2Hz,1H), 7.96 (t, J =8.0Hz, 1H), 5.93 (s,1H), 3.75-3.61 (m,3H), 2.91-2.33 (m, 4H), 2.42-2.33 (m,2H), 1.42 (d, J =6.8Hz, 3H).
주석: -CONH 및 -NH2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33 (d, J =2.0Hz, 1H), 9.15 (t, J =5.2Hz, 1H), 8.92 (d, J =1.6Hz, 1H), 8.04 (d, J =7.2Hz, 4H), 7.70-7.64 (m, 2H), 5.77 (s,1H), 2.90-2.67 (m,4H), 2.28-2.17 (m, 2H), 1.25 (d, J =6.4Hz, 3H). 주석: -CH2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LCMS- (방법 A): 1.66분, 98.72%, 254.0nm
HPLC(방법 A): 8.13분, 97.58%, 254.0nm
키랄 HPLC- 5.65분, 95.87%, 254.0nm
실시예 126 -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3-하이드록시프로필)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5)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150 g, 0.5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20 g, 1.55 mmol, 3.0 당량) 및 HATU(0.295 g, 0.77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3-아미노프로판-1-올(CAS: 번호:156-87-6)(0.042 g, 0.57 mmol, 1.1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5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3-하이드록시프로필)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5)(0.060 g, 0.173 mmol, 수율 33.4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5 (s, 1H), 8.79 (s, 2H), 8.02 (d, J = 6.0 Hz, 1H), 7.65-7.63 (m, 2H), 5.75 (br s, 1H), 4.52 (br s, 1H), 3.50 (d, J = 4.8 Hz, 2H), 3.38 (d, J = 5.6 Hz, 2H), 2.90 (s, 2H), 2.79-2.75 (m, 2H), 2.22 (s, 2H), 1.74-173 (m, 2H).
LCMS(방법 A): 1.963분, 95.50%, 254.0 nm, MS: ES+ 347.4 (M+1)
HPLC(방법 B): 7.06분, 100%, 254 nm.
실시예 127 -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6)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1 g, 0.3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19 g, 0.51 mmol, 1.5 당량) 및 DIPEA(0.13 g, 1.037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3-아미노-2-메틸프로판-1-올(A86)(0.034 g, 0.381 mmol, 1.1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3.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 - 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밝은 갈색의 끈적한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3-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6)(0.012 g, 0.033 mmol, 수율: 4.81%)를 수득하였다.
1 H-NMR (DMSO,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 1H), 8.80 (d, J = 2.0 Hz, 1H), 8.76 (t, J = 5.6 Hz, 1H), 8.03 (dd, J = 2.0, 7.2 Hz, 1H), 7.67-7.62 (m, 2H), 5.76 (s, 1H), 4.55 (t, J = 5.2 Hz, 1H), 3.22-3.16 (m, 1H), 2.90 (br s, 2H), 2.83-2.75 (m, 2H), 2.27-2.17 (m, 2H), 1.90-1.85 (m, 1H), 0.90 (d, J = 6.4 Hz, 3H). 주석: 3H는 수분 피크와 겹쳐졌고 이는 D2O NMR에서 분명하게 볼 수 있다.
LCMS(방법 A):2.047분, 95.84%, 254.0 nm, MS: ES+ 361.3 (M+1)
HPLC(방법 A): 7.31분, 95.64%, 254 nm.
실시예 128 -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3-하이드록시부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7)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5)(0.1 g, 0.3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 0℃에서 DIPEA(0.130 g, 1.03 mmol, 3.0 당량) 및 HATU(0.19 g, 0.51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4-아미노부탄-2-올(A87)(0.046 g, 0.51 mmol, 1.5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5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 - 400 메쉬)를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밝은 갈색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 (3-하이드록시 부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7)(0.037 g, 0.10 mmol, 수율 26.69%)를 수득하였다.
H NMR (DMSO, 400 MHz): δ ppm, 9.25 (d, J =2.0 Hz, 1H), 8.79-8.75 (m, 2H), 8.02 (dd, J = 2.0, 7.6 Hz, 1H), 7.67-7.62 (m, 2H), 5.76 (s, 1H), 4.55 (d, J = 4.8 Hz, 1H), 3.73-3.70 (m, 1H), 3.42-3.37 (m, 2H), 2.90 (br s, 2H), 2.78 (t, J =14.2 Hz, 2H), 2.25-2.18 (m, 2H),1.66-1.59 (m, 2H), 1.10 (d, J = 6.4 Hz, 3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74 (d, J = 2.0 Hz, 1H), 7.98 (dd, J = 1.6, 8.0 Hz, 1H), 7.69-7.62 (m, 2H), 5.76 (br s, 1H), 3.94-3.86 (m, 1H), 3.64-3.50 (m, 2H), 2.89-2.86 (t, J = 4.8 Hz, 2H), 2.78 (t, J = 14.0 Hz, 2H), 2.34-2.19 (m, 2H), 1.88-1.72 (m, 2H),1.25 (d, J = 6.0 Hz, 3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033분, 95.63%, 254.0nm, MS: ES+ 361.4 (M+1)
HPLC(방법 B): 7.19분, 95.11%, 220nm
키랄 HPLC: 피크-1: 5.68분, 49.42%, 240nm; 피크-2: 6.38분, 49.84%, 240 nm.
실시예 129 -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8)의 합성
단계-1
디옥산(40 mL) 및 물(10 mL) 중의 2-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4, 4, 5, 5-테트라메틸-1, 3, 2-디옥사보로란(2.72 g, 11.14 mmol, 1.5 당량), 메틸 8-브로모-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00)(2.20 g, 7.43 mmol, 1.0 당량) 및 Na2CO3(1.56 g, 14.86 mmol, 2.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서 Pd(dppf)Cl2 .DCM(0.543 g, 0.743 mmol, 0.1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20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2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32%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14)(1.66 g, 4.98 mmol, 수율: 67.0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13 (d, J = 2.4 Hz, 1H), 8.86 (d, J = 2.8 Hz, 1H), 7.56 (d, J = 2.8 Hz, 1H), 7.32 (d, J = 2.8 Hz, 1H), 5.79 (br s, 1H), 3.94 (s, 3H), 3.92 (s, 3H), 2.88 -2.85 (m, 2H), 2.81 - 2.74 (m, 2H), 2.74 - 2.59 (m, 2H).
LCMS(방법 A): 2.654분, 97.43%, 254.0 nm, MS: ES+ 334.3 (M+1)
단계-2
THF: H2O(10 mL, 7:3) 중의 메틸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14)(1.66 g, 4.98 mmol, 1.0 당량) 및 LiOH(0.627 g, 14.94 mmol, 3.0 당량)의 용액을 실온에서 제조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키고, 얻은 잔류물을 1 N HCl 용액에 붓고, 이후 여과시켜 원하는 생성물(A115)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산(0.925 g, 2.89 mmol, 수율: 58.1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3.46 (s, 1H), 9.13 (d, J = 2.0 Hz, 1H), 8.83 (d, J = 2.0 Hz, 1H), 7.54 (d, J = 2.8 Hz, 1H), 7.30 (d, J = 2.8 Hz, 1H), 5.78 (br s, 1H), 3.91 (s, 3H), 2.88 -2.86 (m, 2H), 2.81 - 2.67 (m, 2H), 2.25 - 2.20 (m, 2H).
LCMS(방법 A): 2.066분, 100%, 254.0 nm, MS: ES+ 320.3 (M+1)
단계-3
DMF(10 mL) 중의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산(A115)(0.100 g, 0.31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이소프로필 아민 CAS: 75-31-0(0.023 mg, 0.313 mmol, 1.0 당량), DIPEA(0.122 g, 0.939 mmol, 3.0 당량) 및 HATU(0.178 g, 0.470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 냉각수(50 mL)로 희석시키고, 얻은 고체를 여과시키고, 진공 건조시켜 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8)(0.027 g, 0.074 mmol, 23.6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08 (d, J = 2.0 Hz, 1H), 8.67 (d, J = 2.0 Hz, 1H), 8.54 (d, J = 7.4 Hz, 1H), 7.40 (d, J = 2.8 Hz, 1H), 7.26 (d, J = 2.8 Hz, 1H), 5.78 (br s, 1H), 4.17 - 4.12 (m, 1H), 3.91 (s, 3H), 2.89 -2.88 (m, 2H), 2.78 - 2.73 (m, 2H), 2.24 - 2.17 (m, 2H), 1.21 (d, J = 6.4 Hz, 6H).
HPLC(방법 A): 8.29분, 99.22%, 254.0 nm.
LCMS(방법 A): 2.346분, 97.75%, 254.0 nm, MS: ES+ 361.47 (M+1)
실시예 130 - (R)-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9)의 합성
단계-1
DMF(15 mL) 중의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산(A115)(0.10 g, 0.31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D-알리놀 CAS: 35320-23-1(0.023 g, 0.313 mmol, 1.0 당량), DIPEA(0.122 g, 0.939 mmol, 3.0 당량) 및 HATU(0.178 g, 0.470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40 mL)로 희석시키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얻은 고체를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R)-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39)(0.036 g, 0.088 mmol, 28.1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400 MHz): δ ppm, 9.09 (d, J = 2.0 Hz, 1H), 8.68 (d, J = 2.0 Hz, 1H), 8.43 (d, J = 8.0 Hz, 1H), 7.40 (d, J = 2.8 Hz, 1H), 7.26 (d, J = 2.8 Hz, 1H), 5.78 (br s, 1H), 4.78 (t, J = 5.6 Hz, 1H), 4.10 - 4.05 (m, 1H), 3.91 (s, 3H), 3.53 - 3.47 (m, 1H), 3.47 - 3.33 (m, 1H), 2.88 (br s, 2H), 2.81 - 2.78 (m, 2H), 2.25 - 2.19 (m, 2H), 1.22 (d, J = 6.8 Hz, 3H). 주석: 하나의 양성자는 DMSO 수분 피크와 겹쳐진다.
HPLC(방법 A): 7.104분, 95.77%, 254.0 nm.
LCMS(방법 A): 1.914분, 97.10%, 254.0 nm, MS: ES+ 377.4 (M+1)
실시예 131 - N-((1H-피라졸-3-일) 메틸)-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0)의 합성
단계-1
DMF(2 mL) 중의 A115(0.15 g, 0.38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각각 HATU(0.291 g, 0.766 mmol, 2.0 당량) 및 DIPEA(0.148 g, 1.14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CAS 번호: 1196153-72-6 (1H-피라졸-3-일) 메탄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76 g, 0.574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25 mL)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50 mL)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시켜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N-((1H-피라졸-3-일) 메틸)-8- (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0)(0.114 g, 0.286 mmol, 수율: 60.91%)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63 (br s, 1H), 9.21 (br s, 1H), 9.11 (d, J = 2.0 Hz, 1H), 8.71 (d, J = 2.4 Hz, 1H), 7.65 (d, J = 6.8 Hz, 1H), 7.40 (d, J = 2.8 Hz, 1H), 7.26 (d, J = 3.2 Hz, 1H), 6.22 (d, J = 1.6 Hz, 1H), 5.77 (d, J = 6.8 Hz, 1H), 4.53 (d, J = 3.6 Hz, 2H), 3.91 (s, 3H), 2.86-2.83 (m, 2H) 2.74 (t, J = 1.6 Hz, 2H) 2.26-2.15 (m, 2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10 (d, J = 2.4 Hz, 1H), 8.67 (d, J = 2.4 Hz, 1H), 9.21 (br. s, 1H), 7.32-7.29 (m, 2H), 6.37 (d, J = 2.0 Hz, 1H), 5.75 (br. s, 1H), 4.70 (s, 2H), 3.97 (s, 3H), 2.86-2.83 (m, 2H), 2.80-2.73 (m, 2H), 2.33-2.22 (m, 2H). 주석: -CONH 및 -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A): 2.04분, 96.98%, 254 nm, MS: ES+ 399 (M), (M+1)
HPLC(방법-A): 7.16분, 99.27%,254 nm,
실시예 132 - (R)-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N-(1- (옥사졸-2-일) 에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1)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A115(0.1 g, 0.31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 0℃에서 HATU(0.178 g, 0.469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후 DIPEA(0.121 g, 0.939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15분 후, A61(0.069 g, 0.469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물(3 mL)를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3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R)-8-(4, 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N-(1-(옥사졸-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1)(0.041 g, 0.099 mmol, 수율 31.6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31 (d, J = 7.6 Hz, 1H), 9.11 (d, J = 1.6 Hz, 1H), 8.73 (d, J = 1.6 Hz, 1H), 8.08 (br. s, 1H), 7.42 (d, J = 2.4 Hz, 1H), 7.28 (d, J = 2.4 Hz, 1H), 7.19 (s, 1H), 5.79 (br. s, 1H), 5.40-5.33 (m, 1H), 3.91 (s, 3H), 2.88 (br. s, 2H), 2.82-2.74 (m, 2H), 2.24-2.17 (m, 2H), 1.60 (d, J = 6.8 Hz, 3H).
LCMS(방법 A): 2.093분, 95.44%, 254.0 nm, MS: ES+ 414.4 (M+1)
HPLC(방법 A): 7.94분, 98.97%, 254 nm
키랄 HPLC: 8.25분, 98.63%, 254 nm
실시예 133 -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3-(메틸 설폰아미도)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2)의 합성
단계-1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DMF 중의 A25(0.1 g, 0.346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15 mL, 1.035 mmol, 3.0 당량) 및 HATU(0.197 g, 0.517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A83) N-(3-아미노프로필) 메탄설폰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78 g, 0.414 mmol, 1.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0 mL)로 3회 추출하고,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증발시켰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100-200 메쉬) 상에서의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25%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8-(4,4-디플루오로시클로헥스-1-엔-1-일)-N-(3-(메틸설폰아미도) 프로필)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2)(0.103 g, 0.229 mmol, 수율: 74.5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6 (d, J = 2 Hz,1H), 8.79 (d, J = 1.6 Hz, 2H), 8.03 (dd, J = 4 Hz, J = 7.2 Hz, 1H), 7.67 - 7.62 (m, 2H), 7.04 (t, J = 6 Hz, 1H), 5.76 (br s, 1H), 3.44-3.39 (m, 2H), 3.04 (q, J = 6.8 Hz, 2H), 2.91(s, 3H), 2.83-2.67 (m, 2H), 2.27 - 2.17 (m, 2H), 1.81 - 1.74 (m, 2H), 1.81 - 1.74 (m, 2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2 Hz, 1H), 8.76 (d, J = 1.6 Hz, 1H), 7.98 (dd, J = 4 Hz, J = 7.2 Hz, 1H), 7.70 - 7.63 (m, 2H), 5.75 (br s,1H), 3.57 (t, J = 6.8 Hz, 2H), 3.21 (t, J = 8.5 Hz, 2H), 3.01 (s, 3H), 2.87(m, J = 12.8 Hz, 2H), 2.78 (t, J = 14.8 Hz, 2H), 2.34 - 2.25 (m, 2H).1.96 - 1.89 (m, 2H).
LCMS(방법 A): 2.065분, 95.39%, 254.0 nm MS: ES+424.68 [M+H]
HPLC(방법 A): 7.09분, 95.12%, 254.0 nm
실시예 134 - (R)-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3)의 합성
단계-1
디옥산: 물(4: 1) 중의 메틸 8-브로모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3)(0.5 g, 1.87 mmol, 1.0 당량), 2-(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4, 4, 5, 5-테트라메틸-1, 3, 2-디옥사보로란(CAS: 859217-67-7)(combi block으로부터 구입함)(0.44 g, 1.87 mmol, 1.0 당량) 및 Na2CO3(0.594 g, 5.61 mmol, 3.0 당량)의 용액을 N2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3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반응 용액을 15분 동안 실온에서 N2로 탈기시켰다. 이 반응 용액에 동일한 온도에서 PdCl2dppf(0.136 g, 0.187 mmol, 0.1 당량)을 첨가하였다. 유리 바이알을 마개로 밀봉하고, 16시간 동안 110℃로 가열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EtOAc(10 mL)로 희석시키고, 이를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EtOAc(30 mL)로 이를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16)(0.243 g, 0.822 mmol, 수율: 43.7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9 (d, J = 2.0 Hz, 1H), 8.99 (d, J = 2.0 Hz, 1H), 8.10 (dd, J = 7.2 Hz, 2.0 Hz, 1H), 7.68 - 7.62 (m, 2H), 5.74 (br s, 1H), 3.95 (s, 3H), 2.60 (d, J = 1.6 Hz, 2H), 2.01 (br s, 2H), 1.52 (t, J = 6.4 Hz, 2H), 1.04 (s, 6H).
LCMS(방법 A): 2.174분, 98.68%, 254 nm, MS: ES+ 296.2 (M+1)
단계-2
MeOH: 물(7:3) 중의 메틸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16)(0.243 g, 0.82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3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동일한 온도에서 NaOH(0.065 g, 1.647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유리 바이알을 마개로 밀봉하고, 4시간 동안 50℃로 가열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직접적으로 농축시키고, pH가 산성이 될 때까지 시트르산의 수용액을 사용하여 산성화시켜 침전물을 생성하였다.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10 mL)로 세척하고, 진공하에서 건조시켜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17)(0.150 g, 0.533 mmol, 수율: 64.91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3.49 (br s, 1H), 9.28 (d, J = 2.4 Hz, 1H), 8.93 (d, J = 2.0 Hz, 1H), 8.07 (dd, J = 2.4 Hz & 7.2 Hz, 1H), 7.76 - 7.61 (m, 2H), 5.74 (br s, 1H), 2.60 (br s, 2H), 2.01 (br s, 2H), 1.52 (t, J = 6.4 Hz, 2H), 1.04 (s, 6H).
LCMS(방법 A): 2.734분, 100%, 254 nm, MS: ES+ 282.2 (M+1)
단계 3
DMF(1.0 mL) 중의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17)(0.09 g, 0.31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동일한 온도에서 DIPEA(0.16 mL, 0.959 mmol, 3.0 당량) 및 HATU(0.182 g, 0.479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R)-2-아미노프로판-1-올, CAS:35320-23-1(0.024 g, 0.319 mmol, 1.0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15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20 x 2)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헥산 및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는 순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48%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고, 분취 TLC(이동상으로서 100% EtOAc)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R)-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 (1-하이드록시프로판-2-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3)(0.034 g, 0.100 mmol, 수율: 31.4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6 (d, J = 2.0 Hz, 1H), 8.78 (d, J = 2.0 Hz, 1H), 8.46 (d, J = 7.6 Hz,1H), 7.98-7.95 (m, 1H) 7.61-760 (m, 2H), 5.74 (br s, 1H), 4.79 (t, J = 5.6 Hz, 1H), 4.09-4.06 (m, 1H), 3.53-3.47 (m, 1H), 3.41-3.35 (m, 1H), 2.61 (br s, 2H), 2.01 (br s, 2H), 1.52 (t, J = 6.0 Hz, 2H), 1.17(d, J = 6.8 Hz, 3H), 1.05 (s, 6H).
LCMS(방법 A): 2.411분, 100%, 254 nm, MS: ES+ 339.16 (M+1)
HPLC(방법 A): 8.81분, 98.61%, 210 nm
실시예 135 - (R)-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옥사졸-2-일) 에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4)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6)(0.1 g, 0.35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270 g, 0.710 mmol, 2.0 당량) 및 DIPEA(0.18 mL, 1.066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R)-1- (옥사졸-2-일) 에탄-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A61)(0.048 g, 0.426 mmol, 1.2 당량)을 0℃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에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20 mL)로 세척하고, 감압하에서 건조시키고, 이후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DCM 중의 0-2 % MeOH로 용리시켜 (R)-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 (1- (옥사졸-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4)(0.023 g, 0.061 mmol, 수율: 17.23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3 (d, J = 8.0 Hz,1H), 9.28 (d, J = 2.4 Hz, 1H), 8.84 (d, J = 2.0 Hz, 1H), 8.08 (s, 1H), 7.98 (t, J = 4.8 Hz, 1H), 7.62 (d, J = 4.8 Hz, 2H), 7.18 (s, 1H), 5.75 (br s, 1H), 5.39-5.36 (m, 1H), 2.43-2.40 (m, 2H), 2.016 (br s, 2H), 1.60 (d, J = 6.8 Hz, 3H), 1.54 (t, J = 6.4 Hz, 2H),1.05 (s, 6H).
LCMS(방법 A): 2.694분, 95.96 %, 254 nm, MS: ES+ 376.22 (M+1)
HPLC(방법 A): 9.80분, 96.80 %, 254 nm
키랄 HPLC: 7.72분, 97.48 %, 240 nm
실시예 136 - (S)-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옥사졸-2-일) 에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5)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6)(0.05 g, 0.17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동일한 온도에서 DIPEA(0.15 mL, 0.884 mmol, 5.0 당량) 및 HATU(0.101 g, 0.266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A110(0.026 g, 0.177 mmol, 1.0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25 mL)에 붓고, 에틸 아세테이트(30 x 2)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이후 여과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고 이를 순상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40%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S)-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 (1- (옥사졸-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5)(0.029 g, 0.077 mmol, 수율: 43.9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4 (d, J = 7.6 Hz, 1H), 9.28 (d, J = 2.0 Hz, 1H), 8.84 (d, J = 2.0 Hz, 1H), 8.08 (s, 1H) 7.98 (t, J = 4.8 Hz, 1H), 7.62 (d, J = 4.8 Hz, 2H), 7.19 (s, 1H), 5.74 (s, 1H), 5.37-5.34 (m, 1H), 2.61-2.50 (m, 2H), 2.08 (br s, 2H), 1.70 (d, J = 6.8 Hz, 3H), 1.52 (t, J = 6.0 Hz, 2H), 1.04 (s, 6H).
LCMS(방법 A): 2.679분, 100%, 254 nm, MS: ES+ 376.17 (M+1)
HPLC(방법 A): 9.780분, 98.73%, 210 nm
실시예 137 - N-((1H-피라졸-5-일)메틸)-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6)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6)(0.05 g, 0.1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서 DIPEA(0.15 mL, 0.88 mmol, 5.0 당량) 및 HATU(0.10 g, 0.26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0℃에서 30분의 교반 후, (1H-피라졸-5-일) 메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1196153-72-6)(0.023 g, 0.17 mmol, 1.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DCM 중의 2% MeOH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 (1H-피라졸-5-일) 메틸)-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6)(0.033 g, 0.09 mmol, 수율: 51.5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63 (s, 1H), 9.28 - 9.23 (m, 2H 두 신호가 함께 겹쳐짐), 8.82 (d, J = 2.4 Hz, 1H), 7.96 (t, J = 4.8 Hz, 1H), 7.66 - 7.60 (m, 3H), 6.23 (s, 1H), 5.74 (br s, 1H), 4.54 (br s, 1H), 2.61 (br s, 2H), 2.01 (br s, 2H),1.52 (t, J = 6.4 Hz, 2H), 1.04 (s, 6H).
VT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45 (s, 1H), 9.28 (d, J = 1.6 Hz, 1H), 8.97 (br s, 1H), 8.78 (d, J = 1.6 Hz, 1H), 7.94 - 7.92 (m, 1H), 7.61 - 7.58 (m, 3H), 6.24 (s, 1H), 5.77 (s, 1H), 4.57 (d, J = 4.4 Hz, 2H), 2.64 - 2.59 (br s, 2H), 2.04 (br s, 1H), 1.56 (t, J = 6.4 Hz, 2H), 1.07 (s, 6H).
LCMS(방법 A): 2.450분, 100%, 254 nm, MS: ES+ 361.2 (M+1)
HPLC(방법 A): 8.80분, 100%, 254nm
실시예 138 - 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4-메틸-1H-피라졸-5-일) 메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7)의 합성
단계-1
DMF(0.5 mL) 중의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6)(0.05 g, 0.17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의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질소 분위기하에 동일한 온도에서 DIPEA(0.09 mL, 0.533 mmol, 3.0 당량) 및 HATU(0.101 g, 0.266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CAS: 2173991-88-1 (4-메틸-1H-피라졸-3-일) 메탄아민 디하이드로클로라이드, (0.032 g, 0.177 mmol, 1.0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15 mL)에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2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에서 건조시키고 이후 얻은 조생성물을 분취 TLC(이동상으로서 100%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4-메틸-1H-피라졸-5-일) 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7)(0.017 g, 0.045 mmol, 수율: 25.54%)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38 (s, 1H), 9.27 (d, J = 2.0 Hz, 1H), 9.09 (br s, 1H), 8.81 (d, J = 2.0 Hz, 1H), 7.95 (t, J = 4.8 Hz, 1H) 7.60 (d, J = 7.6 Hz, 2H), 7.44 (br s, 1H), 5.92-5.73 (m, 1H), 4.60-4.51 (m, 2H), 2.02 (s, 5H), 1.52 (t, J = 6.0 Hz, 2H), 1.04 (s, 6H). (주석: 2H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0 Hz, 1H), 8.74 (s, 1H), 7.92-7.90 (m, 1H), 7.62-7.59 (m, 2H) 7.43 (br s, 1H), 5.77 (br s, 1H), 4.67 (br s, 2H), 2.61 (br s, 2H), 2.14 (s, 3H), 2.08 (br s, 2H), 1.63 (t, J = 6.4 Hz, 2H), 1.09 (s, 6H). 주석: -CONH 및 -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540분, 99.36%, 254 nm, MS: ES+ 375.17 (M+1)
HPLC(방법 A): 9.20분, 98.70%, 210 nm
실시예 139 - (S)-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메톡시프로판-2-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8)의 합성
단계-1
THF(1 mL) 중의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6)(0.1 g, 0.35 mmol, 1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동일한 온도에서 DIPEA(0.13 g, 1.06 mmol, 3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0℃에서 HATU(0.19 g, 0.52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CAS: 99636-32-5)(S)-(+)-1-메톡시-2-프로필아민(0.03 g, 0.35 mmol, 1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EtOAc(20 mL x 3)로 추출하고,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 용리 10% EtOAc: 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S)-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 (1-메톡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8)(0.034, 0.096 mmol, 수율: 27.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d, J = 2 Hz, 1H), 8.77 (d, J = 2 Hz, 1H), 8.59 (d, J = 4 Hz, 1H), 7.99-7.96 (m, 1H), 7.63-7.60 (m, 2H), 5.74 (br s, 1H), 4.29-4.22 (m,1H), 3.47-3.43 (m, 1H), 3.35-3.30 (m,1H), 3.29 (s, 3H), 2.68-2.33 (m, 2H), 2.01 (br s, 2H), 1.52 (t, J = 6.4 Hz, 2H) ,1.18 (d, J = 2.8 Hz, 3H), 1.10 (s, 6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2 (s, 1H), 8.72 (s, 1H), 7.93-7.91 (m, 1H), 7.63-7.59 (m, 2H), 5.78 (br s, 1H), 4.43-4.38 (m, 1H), 3.57-3.53 (m,1H), 3.50-3.46 (m, 1H), 3.36 (s, 3H), 2.63-2.61 (m, 2H), 2.08 (br s, 2H),1.64 (t, J = 6.4 Hz, 2H), 1.30 (d, J = 6.8 Hz, 3H), 0.92 (s, 6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735분, 100%, 254 nm, MS: ES+ 275M+1)
HPLC(방법 A): 10.22분, 100%, 254 nm
실시예 140 - (R)-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4-(메틸아미노)-4-옥소부탄-2-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9)의 합성
단계-1
DCM(1.0 mL) 중의 A121(0.09 g, 0.24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0℃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0℃에서 TEA(0.1 mL, 0.368 mmol, 1.5 당량),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0.040 g, 0.368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동일한 온도에서 메틸 아민(0.18 mL, 0.368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다시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고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230-400 메쉬 크기 실리카를 사용하는 콤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고, 생성물을 25% EtOAc: 헥산에서 용리시켜 (R)-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 (4- (메틸아미노)-4-옥소부탄-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49)(0.065 g, 0.171 mmol, 수율: 69.89%)로서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3 (d, J = 1.6 Hz,1H), 8.74 (d, J = 2.0 Hz, 1H), 8.61 (d, J = 7.6 Hz, 1H), 7.98 - 7.96 (m, 1H), 7.86 - 7.85 (d, J = 4.4 Hz, 1H), 7.61 - 7.60 (m, 1H), 5.74 (br s, 1H), 4.40 - 4.37 (m, 1H), 2.67 - 2.57 (m, 5H), 2.46 - 2.42 (m, 1H), 2.32 - 2.28 (m, 1H), 2.01 (br s, 2H), 1.52 (t, J = 6.0 Hz, 2H), 1.19 (d, J =6.4 Hz, 3H), 1.05 (s, 6H).
1 H NMR (MeOD-d 3 , 400 MHz): δ ppm, 9.18 (d, J = 2.0 Hz,1H), 8.67 (d, J = 2.0 Hz, 1H), 7.99 (br s, 1H), 7.90 - 7.88 (m, 1H), 7.61 - 7.58 (m, 2H), 5.76 - 5.74 (m, 1H), 4.56 - 4.50 (m, 1H), 3.23 - 3.17 (m, 1H), 2.72 (d, J = 4.4 Hz, 3H), 2.60 - 2.54 (m, 3H), 2.48 - 2.43 (m, 1H), 2.05 - 2.05 (m, 2H), 1.61 (t, J = 6.4 Hz, 2H), 1.33 - 1.28 (m, 3H), 1.05 (s, 6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336분, 100.00%, 254 nm, MS: ES+ 380.27 (M+1)
HPLC(방법 B): 8.60분, 100.00%, 254.0 nm
키랄 HPLC(방법 B): 9.06분, 100.00%, 240.0 nm
실시예 141 - N-(시아노메틸)-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0)의 합성
단계-1
DMF(1 mL) 중의 A26(0.05 g, 0.17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실온에서 DIPEA(0.15 mL, 0.888 mmol, 5.0 당량) 및 HATU(0.067 g, 0.177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동일한 온도에서 2-아미노아세토니트릴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6011-14-9)(0.019 g, 0.213 mmol, 1.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고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230-400 메쉬 크기 실리카를 사용하는 콤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고, 생성물을 0-30% EtOAc: 헥산으로 용리시켜 N-(시아노메틸)-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0)(0.021 g, 0.065 mmol, 수율: 36.98%)로서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55 (t, J = 5.2 Hz,1H), 9.25 (d, J = 2.0 Hz, 1H), 8.84 (d, J = 2.0 Hz, 1H), 8.00 (t, J = 4.8 Hz, 1H), 7.64 - 7.61 (m, 2H), 5.74 (s, 1H), 4.41 (d, J = 5.2 Hz, 2H), 2.61 (br s, 2H), 2.01 (br s, 2H), 1.53 (t, J = 6.4 Hz, 2H), 1.05 (s, 6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1H), 8.77 (d, J = 2.4 Hz, 1H), 7.94 (dd, J = 2.0 Hz 5.2 Hz, 2H), 5.78 (s, 1H), 4.44 (s, 2H), 2.62 (d, J = 2.0 Hz, 2H), 2.08 (d, J = 2.8 Hz, 2H), 1.64 (d, J = 6.4 Hz, 2H), 1.10 (s, 6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651분, 100.0%, 254 nm, MS: ES+ 320.16 (M+1)
HPLC(방법 A): 9.66분, 97.73%, 254 nm
실시예 142 - N-(1-(1H-피라졸-5-일)에틸)-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1)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6)(0.1 g, 0.3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20 g, 0.533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그 다음 10분 후 동일한 온도에서 DIPEA(0.18 mL, 0.106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고, 추가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10분의 교반 후, 1- (1H-피라졸-5-일) 에탄-1-아민(A67)(CAS: 1179072-43-5)(0.043 g, 0.390 mmol, 1.1 당량)을 0℃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냉각수(5 mL)에 부어 침전물을 얻었다. 침전물을 부흐너 깔때기를 통해 여과시키고, 물(2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에서 건조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고, 헥산 중의 50%EtOAC로 용리시켜 N-(1- (1H-피라졸-5-일) 에틸)-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1)(0.025 g, 0.066 mmol, 수율: 18.93 %)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58 (br s, 1H) 9.28 (d, J =2.4 ,1H), 9.02 (br s, 1H), 8.82 (d, J = 2.0 Hz,1H), 7.97 (t, J =5.2 Hz, 1H), 7.63-7.60 (m, 3H), 6.25 (s, 1H), 5.74 (br s, 1H), 5.34-5.32 (m, 1H), 2.65-2.60(m, 2H),2.02-2.01(m, 2H), 1.52 (t, J =6.8 Hz, 5H),1.05 (s, 6H).
LCMS(방법 A): 2.486분, 98.95%, 254 nm, MS: ES+ 375.27(M+1)
HPLC(방법 A): 9.20분, 98.06%, 254 nm
실시예 143 - (R)-N-(1-시아노-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2)의 합성
단계-1
DMF(5.0 mL) 중의 A26(0.49 g, 1.7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HATU(1.0 g, 2.63 mmol, 1.5 당량) 및 DIPEA(0.98 g, 5.28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15분 후, 동일한 온도에서 A70(0.55 g, 2.28 mmol, 1.3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MeOH 중의 3% MD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R)-3-시아노-3- (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파노에이트(A118)(0.32 g, 0.68 mmol, 수율: 40%)를 수득하였다.
LCMS: 3.033분, 40.35%, 220 nm, MS: ES+ 468.5 (M+1)
단계-2
THF: MeOH(3.0 mL, 2: 1 vol) 중의 A118(0.32 g, 0.6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수성 LiOH(1.0 mL, 1 vol의 1N 용액)을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1N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 (R)-3-시아노-3- (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프로판산(A119)(0.13 g, 0.34 mmol, 수율: 52%)를 수득하였다.
LCMS: 2.43분, 23.73 %, 254 nm, MS: ES+ 378.4 (M+1)
단계-3
DCM(2.0 mL) 중의 (A119)(0.12 g, 0.3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EDC.HCl(0.12 g, 4.75 mmol, 2.0 당량) 및 HOBt(0.085 g, 6.34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10분 후, 실온에서 CH3-NH2(THF 중의 2 M 용액)(0.37 mL, 6.34 mmol, 2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시 동일한 온도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분취 HPLC 정제(방법-A)에 의해 정제하여 (R)-N-(1-시아노-3-(메틸아미노)-3-옥소프로필)-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2)(0.0075 g, 0.019 mmol, 수율: 6.25 %)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5 (d, J = 2.4 Hz, 1H), 7.94 (dd, J = 2.4 Hz & 7.6 Hz, 1H), 7.67 - 7.63 (m, 2H), 5.78 (s, 1H), 5.14 (t, J = 7.2 Hz, 1H), 2.98 (t, J = 6.0 Hz, 2H), 2.78 (s, 3H), 2.62 (d, J = 1.6 Hz, 2H), 2.08 (d, J = 3.2 Hz, 2H), 1.64 (t, J = 6.4 Hz, 2H), 1.10 (s, 6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HPLC(방법 A): 8.81분, 97.45 %, 254 nm.
LCMS(방법 A): 2.511분, 100 %, 254 nm, MS: ES+ 391.3 (M+1)
실시예 144 - (R)-N-(4-아미노-4-옥소부탄-2-일)-8-(4, 4-디메틸 시클로헥스-1-엔-1-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3)의 합성
단계-1
DMF(4.0 mL) 중의 A26(0.25 g, 0.888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실온에서 3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실온에서 DIPEA(0.45 mL, 2.665 mmol, 3.0 당량), HATU(0.36 g, 0.888 mmol, 1.0 당량)을 첨가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동일한 온도에서 메틸 (R)-3-아미노부타노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139243-54-2)(0.20 g, 1.332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고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콤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25% EtOAc: 헥산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R)-3- (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타노에이트(A120)(0.15 g, 0.394 mmol, 수율: 44.37%)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4 (d, J = 2.0 Hz, 1H), 8.67 (d, J = 7.6 Hz, 1H), 8.00 - 7.97 (m, 1H), 7.63 - 7.67 (m, 2H), 5.74 (br s, 1H), 4.46 - 4.39 (m, 1H), 3.60 (s, 3H), 2.71 - 2.66 (m, 3H), 2.61 (br s, 3H), 2.58 - 2.56 (m, 3H), 2.01 (br s, 2H), 1.52 (t, J = 6.4 Hz, 2H), 1.30 - 1.15 (m, 3H), 1.05 (s, 6H).
LCMS(방법 A): 2.713분, 94.72%, 254 nm, MS: ES+ 381.27 (M+1)
단계-2
THF: H2O(1: 1, 3.0 Ml, 2 vol) 중의 (A120)(0.15 g, 0.39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0℃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LiOH.2H2O(0.05 g, 1.182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디에틸 에테르(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이후 수성층을 수성 시트르산으로 최대 Ph ~4로 산성화시키고 다시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이후 조합된 유기층(산성화 이후)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R)-3-(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탄산(A121)(0.07 g, 0.191 mmol, 수율: 41.6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25 (br s, 1H), 9.24 (d, J = 2.4 Hz, 1H), 8.74 (d, J = 2.0 Hz, 1H), 8.66 (d, J = 7.6 Hz, 1H), 7.98 - 7.96 (m, 1H), 7.65 - 7.60 (m, 2H), 5.74 (s, 1H), 4.43 - 4.36 (m, 1H), 3.60 (s, 3H), 2.73 - 2.61 (m, 2H), 2.01 (br s, 2H), 1.52 (t, J = 6.4 Hz, 2H), 1.30 - 1.15 (m, 3H), 1.24 (s, 6H).
LCMS(방법 A): 2.427분, 99.45%, 254 nm, MS: ES+ 367.32 (M+1)
단계-3
DCM(0.6 mL) 중의 (A121)(0.06 g, 0.16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0℃에서 10 mL 유리 바이알에서 제조하였다. 이 반응 용액에 0℃에서 TEA(0.025 g, 0.245 mmol, 1.5 당량), 에틸클로로포르메이트(0.027 g, 0.245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동일한 온도에서 수성 NH4OH(0.6 g, 10 vol)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다시 0℃ 내지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고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얻었다. 조 생성물을 콤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25% EtOAc: 헥산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R)-N- (4-아미노-4-옥소부탄-2-일)-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3)(0.021 g, 0.057 mmol, 수율: 35.0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4 Hz, 1H), 8.74 (d, J = 2.4 Hz, 1H), 8.61 (d, J = 8.0 Hz, 1H), 7.97 (dd, J = 4.0 Hz & 6.0 Hz, 1H), 7.61 - 7.60 (m, 2H), 7.38 (br s, 1H), 6.87 (br s, 1H), 5.74 (s, 1H), 4.39 (m, 1H), 2.62 - 2.61 (m, 2H), 2.47 - 2.42 (m, 1H), 2.22 - 2.26 (m, 1H), 2.01 (d, J = 3.2 Hz, 2H), 1.52 (t, J = 6.8 Hz, 2H), 1.23 - 1.20 (m, 3H), 1.05 (s, 6H).
1 H NMR (MeOD-d 3 , 400 MHz): δ ppm, 9.22 (d, J = 2.0 Hz,1H), 8.71 (d, J = 2.4 Hz, 1H), 7.92 (dd, J = 2.8 Hz & 6.8 Hz, 1H), 7.64 - 7.61 (m, 2H), 6.87 (br s, 1H), 5.79 - 5.77 (m, 1H), 4.60 - 4.55 (m, 1H), 2.66 - 2.59 (m, 3H), 2.53 - 2.48 (m, 1H), 2.08 (d, J = 3.6 Hz, 2H), 1.64 (t, J = 6.4 Hz, 2H), 1.39 - 1.37 (m, 3H), 1.10 (s, 6H). 주석: -CONH 및 -CONH2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273분, 99.73%, 254 nm, MS: ES+ 366.4 (M+1)
HPLC(방법 A): 8.25분, 98.94%, 254.0 nm
실시예 145 - (S)-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4)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26)(0.08 g, 0.284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HATU(0.162 g, 0.42 mmol, 1.5 당량) 및 DIPEA(0.15 mL, 0.85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S)-2-아미노-3-메톡시프로판-1-올(A50)(0.060 g, 0.568 mmol, 2.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6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S)-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 (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4)(0.031 g, 0.084 mmol, 수율: 29.5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7 (s, 1H), 8.80 (s, 1H), 8.51 (d, J = 7.6 Hz, 1H), 7.98 (s, 1H), 7.62 -7.61 (d, J = 3.6 Hz, 2H), 5.75 (br s, 1H), 4.83 (s, 1H), 4.21 - 4.20 (m, 1H), 3.54 - 3.50 (m, 4H), 3.29 (s, 3H), 2.75 - 2.62 (m, 2H), 2.02 (s, 2H), 1.53 (s, 2H), 1.05 (s, 6H).
LCMS(방법 A): 2.40분, 96.55%, 254.0 nm, MS: ES+ 369.4 (M+1)
HPLC(방법 A): 8.73분, 96.49%, 254.0 nm
키랄 HPLC(방법 A): 8.73분, 95.03%, 242.0 nm.
실시예 146 - 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5)의 합성
단계-1
디옥산(40 mL) 및 물(10 mL) 중의 2-(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4, 4, 5, 5-테트라메틸-1, 3, 2-디옥사보로란 CAS:859217-67-7(1.84 g, 8.442 mmol, 1.0 당량), 메틸 8-브로모-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00)(2.50 g, 8.442 mmol, 1.0 당량) 및 Na2CO3(1.77 g, 16.88 mmol, 2.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하에서 Pd (dppf)Cl2 .DCM(1.21 g, 1.688 mmol, 0.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1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85%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A122)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산(1.2 g, 3.85 mmol, 수율: 45.60%)를 수득하였다. (주석: -원 포트 커플링(one pot coupling) 및 가수분해가 관찰됨)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3.42 (br s, 1H), 9.11 (d, J = 2.4 Hz, 1H), 8.80 (d, J = 2.0 Hz, 1H), 7.48 (d, J = 7.6 Hz, 1H), 7.23 (d, J = 2.8 Hz, 1H), 5.76 (br s, 1H), 3.91 (s, 3H), 2.57 (br s, 2H), 1.98 (br s, 2H), 1.50 (t, J = 6.0 Hz, 2H), 1.02 (s, 6H).
LCMS(방법 A): 2.57분, 78%, 254.0 nm, MS: ES+ 312
단계-2
DMF(10 mL) 중의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산(A122)(0.100 g, 0.32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이소프로필아민 CAS: 75-31-0 (0.024 g, 0.321 mmol, 1.0 당량), DIPEA(0.125 g, 0.963 mmol, 3.0 당량) 및 HATU(0.182 g, 0.481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7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26% EtOAc)에 의해 정제하여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이소프로필-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5)(0.041 g, 0.116 mmol, 36.2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08 (d, J = 2.4 Hz, 1H), 8.64 (d, J = 2.0 Hz, 1H), 8.51 (d, J = 7.6 Hz, 1H), 7.36 (d, J = 2.8 Hz, 1H), 7.19 (d, J = 2.8 Hz, 1H), 5.75 (br s, 1H), 4.17 - 4.12 (m, 1H), 3.89 (s, 3H), 2.59 (br s, 2H), 1.99 (br s, 2H), 1.50 (t, J = 6.0 Hz, 2H), 1.18 (d, J = 9.2 Hz, 6H), 1.04 (s, 6H).
HPLC(방법 A): 8.50분, 95.33%, 254.0 nm.
LCMS(방법 A): 2.796분, 99.71%, 254.0 nm, MS: ES+ 353.4.
실시예 147 - N-이소프로필-6-메톡시-8-(스피로[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6)의 합성
단계-1
디옥산(40 mL) 및 물(10 mL) 중의 4, 4, 5, 5-테트라메틸-2- (스피로[2.5]옥트-5-엔-6-일)-1, 3, 2-디옥사보로란(A40)(1.97 g, 8.442 mmol, 1.0 당량), 메틸 8-브로모-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00)(2.50 g, 8.442 mmol, 1.0 당량) 및 Na2CO3(1.77 g, 16.884 mmol, 2.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Pd (dppf)Cl2 .DCM(1.23 g, 1.688 mmol, 0.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1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100-2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78%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6-메톡시-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23)(0.67 g, 2.16 mmol, 수율: 25.6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3.42 (br s, 1H), 9.14 (d, J = 2.4 Hz, 1H), 8.82 (d, J = 2.4 Hz, 1H), 7.50 (d, J = 2.8 Hz, 1H), 7.28 (d, J = 2.8 Hz, 1H), 5.90 (br s, 1H), 3.91 (s, 3H), 2.66 (br s, 2H), 2.11 (br s, 2H), 1.54 (t, J = 6.0 Hz, 2H), 0.39 (br s, 4H).
LCMS(방법 A): 2.496분, 97.37%, 254.0 nm, MS: ES+ 310.4.
단계 2
DMF(10 mL) 중의 6-메톡시-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23)(0.075 g, 0.24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이소프로필 아민(0.018 g, 0.242 mmol, 1.0 당량), DIPEA(0.095 g, 0.726 mmol, 3.0 당량) 및 HATU(0.138 g, 0.363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7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100-2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26%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이소프로필-6-메톡시-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6)(0.014 g, 0.04 mmol, 16.5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08 (d, J = 2.0 Hz, 1H), 8.64 (d, J = 2.0 Hz, 1H), 8.51 (d, J = 7.6 Hz, 1H), 7.36 (d, J = 2.8 Hz, 1H), 7.22 (d, J = 2.8 Hz, 1H), 5.90 (br s, 1H), 4.17 - 4.12 (m, 1H), 3.90 (s, 3H), 2.67 -2.61 (m, 2H), 2.12 (br s, 2H), 1.54 (t, J = 6.0 Hz, 2H), 1.21 (d, J = 6.4 Hz, 6H), 0.39 (br s, 4H).
HPLC(방법 A): 9.874분, 96.18%, 254.0 nm.
LCMS(방법 A): 2.618분, 97.24%, 254.0 nm, MS: ES+ 351.4.
실시예 148 - (R)-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7)의 합성
단계-1
DMF(2 mL) 중의 A122(0.1 g, 0.32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각각 HATU(0.244 g, 0.643 mmol, 2.0 당량) 및 DIPEA(0.124 g, 0.963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고, 이후 CAS 번호:35320-23-1 (R)-2-아미노프로판-1-올(0.036 g, 0.481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이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되게 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수(5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100-200 메쉬) 상에서의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45%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R)-8- (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 (1-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7)(0.040 g, 0.108 mmol, 수율: 33.8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09 (d, J = 1.6 Hz, 1H), 8.65 (d, J = 1.6 Hz,1H), 8.39 (d, J = 7.6 Hz, 1H), 7.35 (d, J = 2.4 Hz, 1H), 7.19 (d, J = 2.8 Hz, 1H), 5.75 (br s, 1H), 4.77 (t, J = 5.6 Hz, 1H), 4.09-4.05 (m, 1H), 3.90 (s, 3H), 3.51 - 3.47 (m, 1H), 2.60 (br s, 2H), 2.00 (br s, 2H), 1.50 (t, J = 6.0 Hz, 1H), 1.23 (s, 2H), 1.16 (d, J = 6.4 Hz, 3H), 1.04 (s, 6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06 (d, J = 2.4 Hz, 1H), 8.62 (d, J = 2.0 Hz,1H), 7.27-7.23 (m, 2H), 5.78 (br. s, 1H), 4.31-4.24 (m, 1H), 3.96 (s, 3H), 3.67-3.65 (m, 2H), 2.59 (br. s, 1H), 2.07 (br. s, 2H), 1.62 (t, J = 6.4 Hz, 1H), 1.32-1.30 (d, J = 6.4 Hz, 4H), 1.09 (s, 6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LCMS(방법 A): 2.40, 97.75%, 254 nm, MS: ES+ 369 (M), (M+1)
HPLC(방법 A): 8.96, 100%, 254 nm,
실시예 149 - N-((1H-피라졸-4-일)메틸)-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8)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산(A122)(0.100 g, 0.321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1H-피라졸-4-일) 메탄아민 CAS: 1196153-72-6(0.042 g, 0.321 mmol, 1.0 당량), DIPEA(0.125 g, 0.963 mmol, 3.0 당량) 및 HATU(0.182 g, 0.481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75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100-2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26%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1H-피라졸-4-일) 메틸)-8- (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8)(0.019 g, 0.048 mmol, 수율: 15.15%)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09 (d, J = 2.4 Hz, 1H), 8.64 (d, J = 2.0 Hz, 1H), 7.64 (m, 1H), 7.27 (dd, J = 9.6, 2.8 Hz, 2H), 6.37 (br s, 1H), 5.79 (br s, 1H), 4.70 (br s, 2H), 3.99 (s, 3H), 2.59 (br s, 2H), 2.07 (br s, 2H), 1.63 (t, J = 6.4 Hz, 2H), 1.08 (s, 6H). 주석: -CONH 및 -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d 6 400 MHz): δ ppm, 12.62 (br s, 1H), 9.18 (br s, 1H), 9.10 (d, J = 1.6 Hz,1H), 8.69 (d, J = 2.0 Hz, 1H), 7.66 (br s, 1H), 7.35 (d, J = 2.4 Hz, 1H), 7.20 (d, J = 2.8 Hz, 1H), 6.22 (br s, 1H), 5.77 (br. s, 1H), 4.53 (br s, 2H), 3.90 (s, 3H), 2.67 - 2.59 (m, 2H), 1.99 (br s, 2H), 1.51 (t, J = 6.4 Hz, 2H), 1.04 (s, 6H).
HPLC(방법 A): 8.862분, 95.24%, 254.0 nm.
LCMS(방법 A): 2.462분, 95.89%, 254.0 nm, MS: ES+ 391.5 (M+1)
실시예 150 - (R)-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N-(1- (옥사졸-2-일) 에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9)의 합성
단계-1
DMF(4 mL) 중의 A122(0.07 g, 0.22 mmol, 1.0 당량), (A61)(0.03 g, 0.27 mmol, 1.2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HATU(0.128 g, 0.337 mmol, 1.5 당량) 및 DIPEA(0.11 mL, 0.67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16시간 이후. 물(2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 MDC: MeOH)에 의해 정제하여 (R)-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N- (1- (옥사졸-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59)(0.019 g, 0.04 mmol, 수율 20.6%)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08 (d, J = 2.0 Hz, 2H), 8.67 (d, J = 2.0 Hz, 2H), (7.92 (s, 1H), 7.26 (d, J = 2.8 Hz, 2H), 7.24 (d, J = 2.8 Hz, 2H) 7.18 (s, 1H), 5.79 (br. s, 1H), 5.51-5.45 (m, 1H), 3.96 (s, 3H), 2.59 (br. d, J = 2.0 Hz, 2H), 2.80 (br. s, 2H), 1.72 (d, J = 7.2 Hz, 3H), 1.63 (t, J = 2.8 Hz, 2H), 1.09 (s, 6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8 (d, J = 8.0 Hz, 1H), 9.10 (d, J = 2.0 Hz, 1H), 8.70 (d, J = 2.0 Hz, 1H), 8.08 (s, 1H), 7.37 (d, J = 2.8 Hz, 1H), 7.20 (d, J = 2.8 Hz, 1H), 7.18 (s, 1H), 5.76 (br s, 1H), 5.38-5.34 (m, 1H), 3.90 (s, 3H), 2.00 (s, 2H), 1.59 (d, J = 7.2 Hz, 3H), 1.51 (t, J = 6.4 Hz, 2H), 1.04 (s, 6H). 주석: -CH2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LCMS(방법 A): 2.68분, 99.83%, 210 nm M+H=406.37
HPLC(방법 A): 9.88분, 99.19%, 254 nm
키랄 HPLC: 3.90분, 98.73%, 248 nm
실시예 151 - (S)-8- (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0)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DMF(1 mL) 중의 DIPEA(0.15 mL, 0.867 mmol, 3.0 당량)과 함께 8-(4, 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실산(A122)(0.09 g, 0.289 mmol, 1.0 당량) 및 HATU(0.16 g, 0.433 mmol, 1.5 당량)을 교반한 용액에 (A50)(S)-2-아미노-3-메톡시프로판-1-올(0.060 g, 0.578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희석시키고, EA(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Hex 중의 80% EA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S)-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6-메톡시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0)(0.022 g, 0.055 mmol, 수율: 19%)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06 (d, J = 2.4 Hz, 1H), 8.63 (d, J = 2.0 Hz ,1H), 8.44 (d, J = 8.0 Hz, 1H), 7.23 (d, J = 2.8 Hz, 1H), 5.76 (br s, 1H), 4.39-4.36 (m, 1H), 3.90 (s, 3H), 3.54-3.34 (m, 4H), 3.28 (s, 3H), 2.59-2.58 (m, 2H). 2.07 (s, 2H), 1.62 (t, J = 12.4 Hz, 3H), 1.09 (s, 6H). 주석: -CONH 및 -O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10 (d, J = 2.0 Hz, 1H), 8.67 (d, J = 1.6 Hz ,1H), 8.44 (d, J = 8.0 Hz, 1H), 7.36 (d, J = 2.8 Hz, 1H), 7.20 (d, J = 2.8 Hz, 2H), 5.76 (br s, 1H), 4.81 (t, J = 11.2 Hz, 1H), 4.21-4.16 (m, 1H), 3.90 (s, 3H), 3.54-3.46 (m, 4H), 3.28 (s, 3H), 2.67-2.57 (m, 1H), 2.00 (br s, 2H), 1.50 (t, J = 12.8 Hz, 2H), 1.10 (s, 6H).
LCMS(방법 A): 2.417분, 100%, 254.0 nm, MS: ES+ 399 (M+1)
HPLC(방법 A): 8.90분, 100%, 254.0 nm
키랄 HPLC(방법 A):4.29분, 99.17 %, 248.0 nm
실시예 152 - 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3-(메틸 설폰아미도)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1)의 합성
단계-1
DMF(2 mL) 중의 A26(0.07 g, 0.24 mmol, 1.0 당량), A83 N-(3-아미노프로필) 메탄설폰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0.056 g, 0.29 mmol, 1.2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HATU(0.12 g, 0.36 mmol, 1.5 당량), DIPEA(0.16 mL, 0.72 mmol, 3.0 당량)을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x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60-12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30% EtOAc: 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8-(4,4-디메틸시클로헥스-1-엔-1-일)-N-(3-(메틸설폰아미도) 프로필)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1)(0.019 g, 0.045 mmol, 수율 18.44%)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4(d, J =2.0Hz, 1H), 8.73(d, J =2.4Hz,1H), 7.93(dd, J =6.8,6.8Hz, 1H), 7.64-7.62(m,2H), 5.78(br s,1H), 3.57(t, J = 13.6Hz, 2H), 3.21(t, J = 13.6Hz, 2H), 2.61(d, J = 1.6Hz, 2H), 2.09(s, 2H), 1.94-1.91(m,2H), 1.64(t, J =12.4Hz, 2H), 1.10(s, 6H). 주석: -CONH 양성자는 MeOD NMR에서 교환되었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5(d, J =2.4Hz, 1H), 8.80-8.77(m, 2H), 7.99-7.96(m, 1H), 7.61(t, J = 5.2Hz, 2H), 7.03(t, J = 12.0Hz, 1H), 5.74(br s, 1H), 3.41-3.34(m, 2H), 3.06-3.01(m, 2H), 2.91(s, 3H), 2.67-2.60 (m, 2H), 2.01(br s, 2H), 1.79-1.74(m, 2H), 1.52-1.49 (m, 2H), 1.05 (s, 6H).
LCMS(방법 A)- 2.504분, 98.69%, 254.0nm
HPLC(방법 A)- 8.96분, 99.49%, 210nm
실시예 153 - 8-(2,2-디플루오로스피로[3.5]논-6-엔-7-일)-N-이소프로필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2)의 합성
단계 1
DME(5.0 mL) 중의 A36(0.3 g, 1.945 mmol, 1.0 당량) & Zn-Cu 결합체(1.254 g, 9.727 mmol, 5.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Cl3CCOCl(0.56 mL g, 5.058 mmol, 2.6 당량)을 적하하여 반응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수성 NH4Cl을 사용하여 켄칭시키고 이후 EtOAc(30 mL x 4)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염수(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15%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1, 1-디클로로-8, 11-디옥사디스피로 [3.2.47.24] 트리데칸-2-온(A124)(0.12 g, 0.453 mmol, 수율: 23.27%)를 수득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3.99-3.96 (m, 4H), 2.88-2.81 (m, 2H), 1.97-1.69 (m, 8H)
단계 2
메탄올(1.0 mL) 및 포화 수성 NH4Cl(1.0 mL) 중의 1, 1-디클로로-8, 11-디옥사디스피로 [3.2.47.24] 트리데칸-2-온(A124)(0.1 g, 0.37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Zn 분말(0.247 g, 3.773 mmol, 10.0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연속적으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16시간 이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시키고, EtOAc(20 mL)로 세척하였다. 조합된 에틸 아세테이트 층을 물(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15%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8, 11-디옥사디스피로 [3.2.47.24] 트리데칸-2-온(A125)(0.04 g, 0.204 mmol, 수율 54.02%)를 수득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3.87 (s, 4H), 2.78 (s, 4H), 1.72-1.69 (m, 4H), 1.57-1.54 (m, 4H).
단계 3
DCM(5 Ml) 중의 8, 11-디옥사디스피로 [3.2.47.24] 트리데칸-2-온(A125)(0.2 g, 1.019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AST(0.34 Ml, 2.548 mmol, 2.5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 냉각수(20 Ml)를 사용하여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4)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18%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2, 2-디플루오로-8, 11-디옥사디스피로 [3.2.47.24] 트리데칸(A126)(0.06 g, 0.275 mmol, 수율: 26.98%)를 수득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3.96 (m,4H), 2.36 (t, J =5.6 Hz, 4H), 1.76-1.73 (m, 4H), 1.63-1.59 (m, 4H).
단계 4
THF(1.0 mL) 중의 2, 2-디플루오로-8, 11-디옥사디스피로 [3.2.47.24] 트리데칸(A126)(0.06 g, 0.27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실온에서 1N HCl 용액(1.0 mL)를 첨가하여 반응 혼합물을 생성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0 mL)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x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10% EtOAc에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2,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노난-7-온(A127)(0.020 g, 0.114 mmol, 수율: 41.76%)를 수득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2.52 (t, J = 6 Hz, 4H), 2.36 (t, J = 6.8 Hz, 4H), 2.00 (t, J = 6.8 Hz, 4H).
단계 5
THF(3 mL) 중의 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노난-7-온(A127)(0.025 g, 0.14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 0℃에서 LiHMDS(0.158 mL, 0.158 mmol, 1.1 당량)을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CAS:37595-74-7(0.056 g, 0.158 mmol, 1.1 당량)의 첨가를 후속하고, 이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H2O를 사용하여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4 x 5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A128)(0.005 g, 0.0163 mmol, 수율: 11.38%)를 수득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5.74-5.72 (m, 1H), 2.46-2.35 (m, 8H), 1.90 (t, J = 6.4 Hz, 2H).
단계 6
디옥산(2 mL) 중의 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 트리플루오로메탄설포네이트(A128)(0.1 g, 0.32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B2Pin2(0.91 g, 0.359 mmol, 1.1 당량) 및 KOAc(0.096 g, 0.980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5분 동안 N2 가스로 퍼징시켰다. 이후 PdCl2 (dppf).DCM(0.014 g, 0.0195 mmol, 0.06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을 밤새 100℃에서 실시되게 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5%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2-(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4, 4, 5, 5-테트라메틸-1, 3, 2-디옥사보로란(A129)(0.02 g, 0.074 mmol, 수율: 21.56%)를 수득하였다.
1 H NMR (CDCl 3 , 400 MHz): δ ppm 6.48 (s, 1H), 2.37-2.28 (m, 4H), 2.25 - 2.24 (m, 2H), 2.22 - 2.18 (m, 2H), 1.67 (t, J = 6.0 Hz, 2H).1.25 (s, 12H).
단계 7
디옥산(2 Ml) & H2O(0.5 Ml) 중의 2-(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4, 4, 5, 5-테트라메틸-1, 3, 2-디옥사보로란(A129)(0.302 g, 1.126 mmol, 1.1 당량), A4(0.3 g, 1.02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K3PO4(0.652 g, 3.069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5분 동안 N2 가스로 반응 혼합물을 퍼징시켰다. 이후 PdCl2 (dppf).DCM(0.037 g, 0.051 mmol, 0.05 당량)을 N2 분위기하에 실온에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반응을 110℃에서 밤새 실시되게 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20 Ml)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2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230-400 메쉬)를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3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8-(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N-이소프로필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2)(0.084 g, 0.227 mmol, 수율: 21.4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5 (s, 1H), 8.77 (s, 1H), 8.57 (d, J = 7.6 Hz, 1H), 7.98 (t, J = 4.8 Hz, 1H), 7.61 (d, J = 4.8 Hz, 2H), 5.79 (br s, 1H), 4.19-4.14 (m, 1H), 2.69 (br s, 2H), 2.46-2.38 (m, 6H), 1.85 (t, J = 6.0 Hz, 2H), 1.22 (d, J = 6.8 Hz, 6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3 (d, J = 2.4 Hz, 1H), 8.72 (d, J = 2.0 Hz, 1H), 7.94 (dd, J = 2.8, 6.4 Hz, 1H), 7.65-7.62 (m, 2H), 5.81 (br s, 1H), 4.33-4.26 (m, 1H), 2.69-2.68 (m, 2H), 2.53-2.45 (m, 6H), 1.97 (t, J = 6.0 Hz, 2H), 1.33 (d, J = 6.4 Hz, 6H).
LCMS(방법 A): 2.637분, 99.25 %, 254.0 nm, MS: ES+ 371.2 (M+1).
HPLC(방법-A): 9.45분, 99.04 %, 254.0 nm
실시예 154 - (S)-8-(2,2-디플루오로스피로[3.5]논-6-엔-7-일)-N-(1-(피리딘-2-일) 에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3)의 합성
단계-1
디옥산(4 mL) 및 H2O(2 mL) 중의 메틸 8-브로모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3)(0.45 g, 1.691 mmol, 1.0 당량), A129(0.5 g, 1.860 mmol, 1.1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K3PO4(1.074 g, 5.062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반응 혼합물을 5분 동안 N2 가스로 퍼징시키고, 이후 PdCl2(dppf).DCM 복합체(0.619 g, 0.844 mmol, 0.5 당량)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1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30 mL)로 희석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 3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8-(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30)(0.3 g, 0.874 mmol, 수율: 49.65%)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35 (d, J = 2.0 Hz, 1H), 8.95 (d, J = 2.4 Hz, 1H), 7.99 (dd, J = 1.6, 8.0 Hz, 1H), 7.70-7.62 (m, 2H), 5.80 (br s, 1H), 4.03 (s, 3H), 2.70-2.67 (m, 2H), 2.53-2.45 (m, 6H), 1.97 (t, J = 6.0 Hz, 2H).
LCMS(방법 A): 2.900분, 91.28%, 254.0 nm, MS: ES+ 344.2(M+1).
단계-2
MeOH(2.4 mL) 및 H2O(0.3 mL) 중의 메틸 8-(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 퀴놀린-3-카르복실레이트(A130)(0.3 g, 0.874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aOH(0.175 g, 4.368 mmol, 5.0 당량)을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4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감압하에서 농축시켰고 이후 얻은 잔류물을 1N HCl(10 mL)로 산성화시키고, EtOAc(4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8-(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31)(0.23 g, 0.699 mmol, 수율 79.93%)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3.51 (br s, 1H), 9.29 (d, J = 2.0 Hz, 1H), 8.95 (d, J = 2.0 Hz, 1H), 8.10-8.08 (m, 1H), 7.67-7.62 (m, 2H), 5.79 (br s, 1H), 2.68 (s, 2H), 2.51-2.38 (m, 4H), 1.84 (t, J = 6.0 Hz, 2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36 (d, J = 2.0 Hz, 1H), 8.96 (d, J = 1.6 Hz, 1H), 7.99 (d, J = 6.8 Hz, 1H), 7.69-7.62 (m, 2H), 5.81 (br s, 1H), 2.69-2.68 (m, 2H), 2.53-2.45 (m, 6H), 1.97 (t, J = 6.4 Hz, 2H
LCMS(방법 A): 2.476분, 91.40%, 254.0 nm, MS: ES+ 330.3(M+1).
단계-3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5분 동안 교반한 DMF(2 mL) 중의 8-(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31)(0.07 g, 0.213 mmol, 1.0 당량), HATU(0.242 g, 0.638 mmol, 3.0 당량) 및 DIPEA(0.22 mL, 1.275 mmol, 6.0 당량)의 용액에 질소하에서 CAS: 40154-78-7(0.049 g, 0.468 mmol, 2.2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8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S)-8- (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N- (1- (피리딘-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3)(0.034 g, 0.078 mmol, 수율: 36.90%)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1 (d, J = 2.0 Hz, 1H), 9.19 (d, J = 7.6 Hz, 1H), 8.87 (d, J = 2.0 Hz, 1H), 8.54 (d, J = 4.4 Hz, 1H), 8.00 (t, J = 4.8 Hz, 1H), 7.78 (t, J = 6.0 Hz, 1H), 7.63 (d, J = 4.8 Hz, 2H), 7.48 (d, J = 7.6 Hz, 1H), 7.29-7.26 (m, 1H), 5.79 (br s, 1H), 5.30-5.22 (m, 1H), 2.70-2.68 (m, 4H), 2.43-2.33 (m, 4H), 1.86 (t, J = 6.0 Hz, 2H), 1.56 (d, J = 7.2 Hz, 3H).
LCMS(방법 A): 2.284분, 95.81%, 254.0 nm, MS: ES+ 434.4(M+1)
HPLC(방법 A): 9.19분, 98.56%, 254.0 nm
실시예 155 - 8-(2, 2-디플루오로스피로[3.5]논-6-엔-7-일)-N-(옥사졸-2-일메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4)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5분 동안 교반한 DMF(2 mL) 중의 8-(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퀴놀린-3-카르복실산(A131)(0.07 g, 0.213 mmol, 1.0 당량), HATU(0.242 g, 0.638 mmol, 3.0 당량) 및 DIPEA(0.22 mL, 1.275 mmol, 6.0 당량)의 용액에 (A105) 옥사졸-2-일메탄아민(0.063 g, 0.468 mmol, 2.2 당량)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추가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8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8-(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N- (옥사졸-2-일메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4)(0.033 g, 0.078 mmol, 수율: 37.9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52 (t, J = 6.0 Hz, 1H), 9.28 (d, J = 2.4 Hz, 1H), 8.85 (d, J = 2.4 Hz, 1H), 8.09 (d, J = 0.4 Hz, 1H), 8.01-7.99 (m, 1H), 7.65-7.62 (m, 2H), 7.19 (d, J = 0.8 Hz, 1H), 5.79 (br s, 1H), 4.67 (d, J = 6.0 Hz, 2H), 2.68-2.67 (m, 4H), 2.43-2.33 (m, 4H), 1.85 (t, J = 6.0 Hz, 2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9 (d, J = 2.4 Hz, 1H), 8.81 (d, J = 2.4 Hz, 1H), 7.97-7.93 (m, 2H), 7.67-7.62 (m, 2H), 7.18 (d, J = 0.4 Hz 1H), 5.82-5.80 (m, 1H), 4.80 (s, 2H), 2.71-2.67 (m, 2H), 2.53-2.45 (m, 6H), 1.97 (t, J = 6.0 Hz, 2H).
LCMS(방법 A): 2.385분, 99.10%, 254.0 nm, MS: ES+ 410.4 (M+1)
HPLC(방법 A): 8.39분, 97.95%, 254.0 nm
실시예 156 - (R)-8-(2,2-디플루오로스피로[3.5]논-6-엔-7-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5)의 합성
단계-1
질소 분위기하에 0℃에서 5분 동안 교반한 DMF(2 mL) 중의 8-(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31)(0.07 g, 0.213 mmol, 1.0 당량), HATU(0.242g, 0.638 mmol, 3.0 당량) 및 DIPEA(0.22 mL, 1.275 mmol, 6.0 당량)의 용액에 CAS: 35320-23-1 (R)-2-아미노프로판-1-올(0.035 g, 0.468 mmol, 2.2 당량)을 첨가하였고, 생성된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완료 후 물(10 mL)를 첨가하고, EtOAc(3 x 1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7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R)-8-(2,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5)(0.045 g, 0.116 mmol, 수율: 54.79%)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6 (br s, 1H), 8.79 (br s, 1H), 8.46 (d, J = 6.8 Hz, 1H), 7.98 (br s, 1H), 7.62 (br s, 2H), 5.79 (br s, 1H), 4.79 (br s, 1H), 4.08 (br s, 1H), 3.51-3.49 (m, 1H), 2.69 (br s, 3H), 2.43-2.38 (m, 3H), 1.85 (br s, 2H), 1.23-1.16 (m, 4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2.0 Hz, 1H), 8.76 (d, J = 2.0 Hz, 1H), 7.94 (dd, J = 2.8, 6.8 Hz, 1H), 7.64-7.62 (m, 2H), 5.80 (br s, 1H), 4.30-4.27 (m, 1H), 3.67 (d, J = 4.8 Hz, 2H), 2.69-2.67 (m, 2H), 2.53-2.45 (m, 6H), 1.97 (t, J = 6.0 Hz, 2H), 1.31 (d, J = 6.8 Hz, 4H);
LCMS(방법 A): 2.214분, 95.77%, 254.0 nm, MS: ES+ 387.4 (M+1)
HPLC(방법 A): 6.99분, 96%, 254.0 nm
실시예 157 - (R)-N-(1-(옥사졸-2-일)에틸)-8-(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6)의 합성
단계-1
DMF 중의 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42)(0.090 g, 0.3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120 g, 0.96 mmol, 3.0 당량) 및 HATU(0.180 g, 0.48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R)-1- (옥사졸-2-일) 에탄-1-아민(A61)(0.050 g, 0.38 mmol, 1.2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60 - 12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R)-N- (1- (옥사졸-2-일) 에틸)-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6)(0.018 g, 0.048 mmol, 수율 1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34 (d, J = 8.0 Hz, 1H), 9.28 (d, J = 2.4 Hz, 1H), 8.84 (d, J = 2.0 Hz, 1H), 8.08 (s, 1H), 7.99-7.97 (m, 1H), 7.67-7.61 (m, 2H), 7.19 (s, 1H), 5.89 (s, 1H), 5.38 (t, J = 7.2 Hz, 1H), 2.68 (br s, 2H), 2.13 (br s, 2H), 1.61 (d, J = 7.2 Hz, 3H), 1.55 (t, J = 6.0 Hz, 2H), 0.40 (s, 4H).
LCMS(방법 A): 2.52분, 99.45%, 244.0nm, MS: ES+ 374.3 (M+1)
HPLC(방법 B): 9.17분, 99.52%, 210nm
키랄 HPLC- 4.37분, 97.70%, 242nm
실시예 158 - (R)-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8-(스피로 [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7)의 합성
단계-1
DMF(4.0 mL) 중의 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42)(0.090 g, 0.3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120 g, 0.96 mmol, 3.0 당량) 및 HATU(0.180 g, 0.48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2-아미노에탄-1-올 (CAS 번호: 35320-23-1)(0.020 g, 0.38 mmol, 1.2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0 mL x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60-12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R)-N- (1-하이드록시프로판-2-일)-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7)(0.027 g, 0.080 mmol, 수율 24.91%)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 1H), 8.76 (d, J = 2.0 Hz, 1H), 7.93 (d, J = 6.4 Hz, 1H), 7.68-7.63 (m, 2H), 5.89 (br s, 1H), 4.29-4.27 (m, 1H), 3.67 (dd, J = 2.0, 6.0 Hz, 2H), 2.67 (br s, 2H), 2.19 (br s, 2H), 1.67 (t, J = 6.0 Hz, 2H), 1.31 (d, J = 6.8 Hz, 3H), 0.44 (s, 4H).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7 (d, J = 2.0 Hz, 1H), 8.79 (d, J = 2.0 Hz, 1H), 8.45 (d, J = 7.6 Hz, 1H), 7.97 (dd, J = 2.0, 7.6 Hz, 1H), 7.64-7.59 (m, 2H), 5.88 (s, 1H), 4.79 (t, J = 6.0 Hz, 1H), 4.10-4.06 (m, 1H), 3.52-3.48 (m, 1H), 3.41-3.38 (m, 1H), 2.68 (br s, 2H), 2.13 (br s, 2H), 1.55 (t, J = 6.0 Hz, 2H), 1.18 (d, J = 6.8 Hz, 3H) 0.40 (s, 4H).
LCMS(방법 A): 2.25분, 98.19%, 239.0 nm. MS: ES+ 337.4 (M+1)
HPLC(방법 B): 8.14분, 99.09%, 210.0 nm.
키랄 HPLC: 5.53분, 97.09%, 242.0nm
실시예 159 - (R)-N-(4-(메틸아미노)-4-옥소부탄-2-일)-8-(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8)의 합성
단계-1
DMF(4.0 mL) 중의 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42)(0.3 g, 1.07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16 g, 1.60 mmol, 1.5 당량) 및 DIPEA(0.120 g, 0.32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메틸 (R)-3-아미노부타노에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번호:139243-54-2)(0.190 g, 1.2 mmol, 1.2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3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60 - 12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R)-3-(8-(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도)부타노에이트(A132)(0.260 g, 0.68 mmol, 수율 6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5 (d, J = 2.4 Hz, 1H), 8.68 (d, J = 8.0 Hz, 1H), 7.98 (dd, J = 2.0, 7.6 Hz, 1H), 7.65-7.60 (m, 2H), 5.88 (s, 1H), 4.44-4.40 (m, 1H), 3.60 (s, 3H), 2.72-2.66 (m, 3H), 2.13 (s, 2H), 1.55 (t, J = 5.2 Hz, 2H), 1.24 (d, J = 6.8 Hz, 3H), 0.40 (s, 4H). 주석: 하나의 양성자는 DMSO 용매 피크와 겹쳐졌다.
LCMS(방법 A): 2.589분, 100%, 254.0nm.
단계 2
THF: H2O(3:1)(0.3 mL) 중의 메틸 (R)-3- (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타노에이트(A132)(0.02 g, 0.0524 mmol, 1.0 당량), LiOH(0.0006 g, 0.158 mmol, 3.0 당량)의 교반된 용액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하였고, 이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m 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다음의 0.03 g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R)-3-(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도) 부탄산(A133) 주석: 조생성물을 추가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서 그대로 사용하였다.
LCMS(방법 A): 2.253분, 96.82%, 254.0nm.
단계 3
DCM(2.0 mL) 중의 (R)-3- (8- (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도)부탄산(A133)(0.120 g, 0.32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EDC.HCl(0.090 g, 0.49 mmol, 1.5 당량) 및 HOBt(0.08 g, 0.65 mmol, 2.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DCM(2.0 mL) 중의 CH3NH2(0.020 g, 0.65 mmol, 2.0 당량)의 첨가를 후속하고, 이를 N2 분위기하에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이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DCM(30 mL x 2)으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60-120 메쉬)를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메탄올 중의 30% MDC)에 의해 정제하여 (R)-N- (4- (메틸아미노)-4-옥소부탄-2-일)-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8)(0.015 g, 0.04 mmol, 수율: 12.5%)를 수득하였다.
1 H-NMR (MeOD, 400 MHz): δ ppm 9.22 (d, J = 2.4 Hz, 1H), 8.76 (d, J = 1.6 Hz, 1H), 7.94 (dd, J = 1.6, 8.0 Hz, 1H), 7.69-7.61 (m, 2H), 5.89 (s, 1H), 4.65-4.53 (m, 1H), 2.75 (s, 3H), 2.67 (br d, J = 1.6 Hz, 2H), 2.62-2.57 (m, 1H), 2.51-2.46 (m, 1H) 2.19 (d, J = 3.2 Hz, 2H), 1.67 (t, J = 6.0 Hz, 2H), 1.36 (d, J = 6.8 Hz, 3H), 1.31 (s, 1H), 0.44 (s, 4H).
1 H-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4 (d, J = 2.0 Hz, 1H), 8.76 (d, J = 2.0 Hz, 1H), 8.63 (d, J = 8.0 Hz, 1H), 7.98 (d, J = 5.6, 1H), 7.87 (br s, 1H), 7.65-7.59 (m, 2H), 5.88 (s, 1H), 4.41-4.39 (m, 1H), 2.67 (br s, 2H), 2.62-2.57 (m, 4H), 2.13 (s, 2H), 1.55 (t, J = 6.0 Hz, 2H), 1.19 (d, J = 6.8 Hz, 3H), 0.40 (s, 4H).
LCMS(방법 A): 2.205분, 98.46%, 254.0nm
HPLC(방법 A): 8.00분, 100%, 254.0nm
키랄 HPLC(방법): 4.53분, 98.27%, 242.0nm
실시예 160 - N-((1H-피라졸-3-일)메틸)-8-(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9)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42)(0.1 g, 0.3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DIPEA(0.138 g, 1.07 mmol, 3.0 당량) 및 HATU(0.271 g, 0.71 mmol, 2.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1H-피라졸-3-일) 메텐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CAS: 번호:1196153-72-6)(0.071 g, 0.53 mmol, 1.5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2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2)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헥산 중의 45-5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N-((1H-피라졸-3-일) 메틸)-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69)(0.064 g, 0.17 mmol, 수율: 49.88%)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65 (br s, 1H), 9.29 (d, J = 1.6 Hz, 1H), 9.24 (s, 1H), 8.82 (d, J = 1.6 Hz, 1H), 7.97(d, J = 6.4 Hz, 1H), 7.65-7.59 (m, 3H), 6.23 (s, 1H), 5.87 (s, 1H), 4.55 (d, J = 4.8 Hz, 2H), 2.68 (s, 2H), 2.13 (s, 2H), 1.56-1.53 (t, J = 6.0 Hz, 2H), 0.39 (s, 4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7 (d, J = 2.0 Hz, 1H), 8.76 (d, J = 2.4 Hz, 1H), 7.93-7.91 (dd, J = 1.6, 8.0 Hz, 1H), 7.68-7.60 (m, 3H), 6.37 (d, J = 2.4 Hz, 1H), 5.88 (s, 1H), 4.70 (s, 2H), 2.66 (d, J = 1.6 Hz, 2H), 2.18 (d, J = 2.8 Hz, 2H), 1.66 (t, J = 6.0 Hz, 2H), 0.44 (s, 4H).
LCMS (UC02_FAR1): 2.178분, 98.61%, 254.0nm, MS: ES+ 359.3 (M+1).
HPLC (HP04-BR1): 8.22분, 98.47%, 210.0nm.
실시예 161 - (S)-N-(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8-(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0)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42)(0.08 g, 0.28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HATU(0.163 g, 0.42 mmol, 1.5 당량) 및 DIPEA(0.15 mL, 0.859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S)-2-아미노-3-메톡시프로판-1-올(A50)(0.060 g, 0.573 mmol, 2.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1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7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S)-N- (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0)(0.035 g, 0.096 mmol, 수율: 33.3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8 (d, J = 1.6 Hz, 1H), 8.81 (d, J = 1.6 Hz, 1H), 8.50 (d, J = 8.0 Hz, 1H), 7.98 (d, J = 5.6 Hz, 1H), 7.64-7.60 (m, 2H), 5.89 (s, 1H), 4.83 (t, J = 5.6 Hz, 1H), 4.21-4.20 (m, 1H), 3.56-3.50 (m, 4H), 3.29 (s, 3H), 2.69 (s, 2H), 2.14 (s, 2H), 1.56 (t, J = 5.6 Hz, 2H), 0.40 (s, 4H).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6 (d, J = 2.4 Hz, 1H), 8.78 (d, J = 2.4 Hz, 1H), 7.94 (dd, J = 1.6, 8.0 Hz, 1H), 7.69-7.62 (m, 2H), 5.90 (s, 1H), 4.39 (t, J = 5.6 Hz, 1H), 3.79-3.77 (m, 2H), 3.69-3.63 (m, 2H), 3.43 (s, 3H), 2.68 (s, 2H), 2.19 (d, J = 2.8 Hz, 2H), 1.67 (t, J = 6.0 Hz, 2H), 0.45 (s, 4H).
LCMS(방법 A): 1.241분, 98.90%, 244.0 nm, MS: ES+ 367.3 (M+1)
HPLC(방법 A): 8.11분, 99.09%, 254.0 nm
키랄 HPLC(방법 A): 3.95분, 99.08%, 242.0 nm.
실시예 162 - (R)-N-(1-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8-(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의 합성
단계-1
DMF(2 mL) 중의 A123(0.10 g, 0.32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각각 HATU(0.246 g, 0.647 mmol, 2.0 당량) 및 DIPEA(0.125 g, 969 mmol, 3.0 당량)을 첨가하고, 이후 CAS 번호: 35320-23-1(R)-2-아미노프로판-1-올(0.036 g, 0.484 mmol, 1.5 당량)을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빙수(20 mL)로 희석시키고, EtOAc(3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R)-N- (1-하이드록시프로판-2-일)-6-메톡시-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1)(0.057 g, 0.155 mmol, 수율: 48.1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10 (br s, 1H), 8.66 (br s, 1H), 8.40 (d, J = 7.6 Hz, 1H), 7.36 (br s, 1H), 7.23 (br s, 1H), 5.90 (br s, 1H), 4.78 (t, J = 5.6 Hz, 1H), 4.08-4.04 (m, 1H), 3.90 (s, 3H), 3.51-3.47(m, 1H), 2.67 (br s, 2H), 2.12 (br s, 2H), 1.55 (br s, 2H), 1.17(d, J = 6.4 Hz, 3H), 0.39 (s, 4H),
1 H NMR (MeOD,400 MHz): δ ppm, 9.07 (br s, 1H), 8.64 (br s, 1H), 7.27 (br s, 2H), 5.89 (br s, 1H), 4.29-4.25 (m, 1H), 3.97 (br s, 3H), 3.66 (br s, 2H), 2.64 (s, 2H), 2.17 (br s, 2H), 1.65 (t, J = 6 Hz, 2H), 1.31(d, J = 6.4 Hz, 3H), 0.44 (s, 4H)
LCMS(방법-A): 2.26, 96.58%, 254 nm, MS: ES+ 367 (M), (M+1)
HPLC(방법-A): 8.17, 98.62%, 254 nm.
실시예 163 - N-((1H-피라졸-4-일) 메틸)-6-메톡시-8-(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6-메톡시-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23)(0.100 g, 0.32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1H-피라졸-4-일) 메탄아민 CAS: 1196153-72-6(0.047 g, 0.323 mmol, 1.0 당량), DIPEA(0.125 g, 0.969 mmol, 3.0 당량) 및 HATU(0.184 g, 0.484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100-2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헥산 중의 26% EtOAc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N-((1H-피라졸-4-일) 메틸)-6-메톡시-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2)(0.014 g, 0.039 mmol, 12.36%)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12.62 (br s, 1H), 9.18 (br s, 1H), 9.12 (d, J = 2.4 Hz, 1H), 8.69 (d, J = 2.4 Hz, 1H), 7.66 (br s, 1H), 7.36 (d, J = 2.8 Hz, 1H), 7.23 (d, J = 2.8 Hz, 1H), 6.23 (br s, 1H), 5.90 (s, 1H), 4.53 (br s, 2H), 3.90 (s, 3H), 2.67 (br s, 2H), 2.15 (br s, 2H), 1.54 (t, J = 6.0 Hz, 2H), 0.39 (s, 4H).
HPLC(방법 A): 8.374분, 96.51%, 254.0 nm.
LCMS(방법 A): 2.342분, 97.30%, 254.0 nm, MS: ES+ 389.4 (M+1)
실시예 164 - (R)-6-메톡시-N-(1-(옥사졸-2-일) 에틸)-8-(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의 합성
단계-1
DMF(4 mL) 중의 (A123) 6-메톡시-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0.1 g, 3.21 mmol, 1.0 당량) 및 (A61)(0.05 g, 0.38 mmol, 1.2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N2 분위기하에서 HATU(0.18 g, 4.8 mmol, 1.5 당량) 및 DIPEA(0.16 mL, 0.96 mmol, 3.0 당량)을 첨가하여 반응 생성물을 생성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물(20 mL)를 첨가하고, 에틸 아세테이트(2 x 30 mL)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100-200 메쉬)를 사용하여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50% EtOAc: 헥산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R)-6-메톡시-N- (1- (옥사졸-2-일) 에틸)-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3)(0.013 g, 0.032 mmol, 수율: 10.15%)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09 (d, J = 2.0 Hz, 1H), 8.68 (d, J = 2.4 Hz, 1H), 7.92 (s, 1H), 7.29 (s, 2H), 7.18 (s, 1H), 5.90 (br s, 1H), 5.49-5.47 (m, 1H), 3.97 (s, 3H), 2.65 (d, J = 1.6 Hz, 2H), 2.18 (d, J = 3.2 Hz, 2H), 1.72 (d, J = 7.2 Hz, 3 H), 1.66 (t, J = 6.0 Hz, 2H), 0.40 (s, 4H).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9 (d, J = 7.6 Hz, 1H), 9.11 (d, J = 2.0 Hz, 1H), 8.71 (d, J = 2.0 Hz, 1H), 8.08 (s, 1H), 7.37 (d, J = 2.8 Hz, 1H), 7.24 (d, J = 2.8 Hz, 1H), 7.18 (s, 1H), 5.91 (br s, 1H), 5.38-5.35 (m, 1H), 3.91 (s, 2H), 2.67-2.50 (m, 2H), 2.12 (br s, 2H), 1.61-1.52 (m, 4H), 0.39 (s, 3H).
LCMS-2.50분, 98.37%, 254 nm
HPLC-9.25분, 99.23%, 254 nm
실시예 165 - (S)-N-(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6-메톡시-8- (스피로[2.5]옥트-5-엔-6-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6-메톡시-8- (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23)(0.100 g, 0.323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S)-2-아미노-3-메톡시프로판-1-올(A50)(0.047 g, 0.323 mmol, 1.0 당량), DIPEA(0.125 g, 0.969 mmol, 3.0 당량) 및 HATU(0.176 g, 0.465 mmol, 1.5 당량)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물(50 mL)로 희석시키고, EtOAc(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상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100-200 메쉬)을 사용하여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원하는 생성물은 DCM 중의 7% MeOH에서 용리됨)에 의해 정제하여 (S)-N- (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6-메톡시-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4)(0.015 g, 0.042 mmol, 13.25%)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10 (d, J = 2.0 Hz, 1H), 8.70 (d, J = 2.0 Hz, 1H), 8.47 (d, J = 8.0 Hz, 1H), 7.36 (d, J = 2.8 Hz, 1H), 7.24 (d, J = 2.8 Hz, 1H), 5.91 (br s, 1H), 4.21 - 4.16 (m, 1H), 3.94 (s, 3H), 3.56 - 3.47 (m, 4H), 3.29 (s, 3H), 2.67 (br s, 2H), 2.12 (br s, 2H), 1.54 (t, J = 6.0 Hz, 2H), 0.39 (s, 4H), 1H는 용매에서 겹쳐져 있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10 (d, J = 2.4 Hz,1H), 8.83 (br s, 1H), 7.38 - 7.36 (m, 2H), 5.95 (br s, 1H), 4.45 - 4.35 (m, 1H), 3.99 (s, 3H), 3.80 - 3.76 (m, 2H), 3.75 - 3.61 (m, 2H), 3.44 (s, 3H), 2.63 (br s, 2H), 2.20 (br s, 2H), 1.68 (t, J = 6.0 Hz, 2H), 0.46 (s, 4H).
HPLC(방법 A): 8.263분, 98.34%, 254.0 nm.
LCMS(방법 A): 2.249분, 96.60%, 254.0 nm, MS: 397.2 (M+1)
실시예 166 - N-(3-(메틸설폰아미도)프로필)-8-(스피로[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42)(0.100 g, 0.35 mmol, 1.0 당량)의 교반된 용액에 0℃에서 HATU(0.190 g, 0.52 mmol, 1.5 당량) 및 DIPEA(0.18 mL, 1.05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N-(3-아미노프로필) 메탄 설폰아미드 하이드로클로라이드(A83)(0.088 g, 0.46 mmol, 1.3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0℃ 내지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60-120 메쉬)을 사용하는 수동 컬럼 크로마토그래피(10% MDC: 메탄올)에 의해 정제하여 N-(3-(메틸설폰아미도) 프로필)-8-(스피로 [2.5]옥트-5-엔-6-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5)(0.052 g, 0.125 mmol, 수율 37.14%)를 수득하였다.
1 H 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2.4 Hz, 1H), 8.74(d, J = 2.0 Hz, 1H), 7.94 (dd, J =1.6, 8.0 Hz, 1H), 7.69 - 7.61 (m, 2H), 5.89 (s, 1H), 3.57 (t, J = 6.8 Hz, 2H), 3.21 (t, J = 6.8 Hz, 2H), 2.98 (s, 3H), 2.67 (br s, 2H), 2.19 (d, J = 2.8 Hz, 2H), 1.96-1.89 (m, 2H), 1.67 (t, J = 6.0 Hz, 2H), 0.44 (s, 4H).
1 H NMR (DMSO, 400 MHz): δ ppm 9.26 (d, J =2.4 Hz, 1H), 8.81-8.77 (m, 2H), 7.98 (dd, J = 2.0, 7.6 Hz, 1H), 7.65-7.59 (m, 2H), 7.04 (t, J = 5.8 Hz, 1H), 3.41-3.34 (m, 3H), 3.04 (q, J = 6.4 Hz, 13.2 Hz, 2H), 2.91 (s, 3H), 2.68 (br s, 2H), 2.13 (br s, 2H), 1.78 (t, J = 6.8 Hz, 2H), 1.55 (t, J = 6.0 Hz, 2H), 0.40 (s, 4H).
LCMS(방법 A)-2.31분, 98.88%, 254.0nm, MS: ES+ 414.3 (M+1)
HPLC(방법 A)- 8.28분, 99.24%, 254.0nm
실시예 167 - (R)-8-(2,2-디플루오로스피로[3.5]논-6-엔-7-일)-N-(1-(옥사졸-2-일) 에틸)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의 합성
단계-1
DMF(2.0 mL) 중의 8-(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31)(0.060 g, 0.18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DIPEA(0.19 mL, 1.093 mmol, 6.0 당량) 및 HATU(0.208 g, 0.547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R)-1- (옥사졸-2-일) 에탄-1-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A61)(0.059 g, 0.401 mmol, 2.2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8시간 동안 0℃ 내지 실온에서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1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조생성물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구배용매로서 헥산 중의 70% 에틸 아세테이트)에 의해 정제하여 (R)-8-(2,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N- (1-(옥사졸-2-일) 에틸)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6)(0.022 g, 0.052 mmol, 수율: 28.52%)를 수득하였다.
1 H NMR (DMSO-d 6 , 400 MHz): δ ppm 9.34 (d, J = 7.6 Hz, 1H), 9.28 (d, J = 2.0 Hz, 1H), 8.84 (d, J = 2.0 Hz, 1H), 8.08 (s, 1H), 7.99 (t, J = 5.6 Hz, 1H), 7.63-7.60 (m, 2H), 7.19 (s, 1H), 5.79 (br s, 1H), 5.37 (t, J = 7.2 Hz, 1H), 2.67 (br s, 3H), 2.38-2.33 (m, 5H), 1.85 (t, J = 6.0 Hz, 2H), 1.61 (d, J = 7.2 Hz, 3H).
HPLC(방법 A): 8.82분, 98.79%, 254.0 nm.
LCMS(방법 A): 2.447분, 98.19%, 254.0 nm, MS: ES+ 424.4 (M+1).
키랄 HPLC: 3.96분, 97.99%, 242.0 nm.
실시예 168 - (S)-8-(2, 2-디플루오로스피로[3.5]논-6-엔-7-일)-N-(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의 합성
단계-1
DMF(1.0 mL) 중의 8-(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 퀴놀린-3-카르복실산(A131)(0.070 g, 0.212 mmol, 1.0 당량)의 용액에 0℃에서 HATU(0.121 g, 0.319 mmol, 1.5 당량) 및 DIPEA(0.10 mL, 0.636 mmol, 3.0 당량)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N2 분위기하에서 교반하였다. 0℃에서 15분의 교반 후, (S)-2-아미노-3-메톡시프로판-1-올(A50)(0.044 g, 0.424 mmol, 2.0 당량)을 동일한 온도에서 첨가하였다. 이후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반응의 완료를 나타내었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얼음-냉각수(10 mL)로 켄칭시키고,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조합된 유기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서 농축시켜 조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얻은 조 물질을 고정상으로서 실리카 겔(230 - 400 메쉬)을 사용하는 플래시 컬럼 크로마토그래피(MeOH 중의 5% MDC)에 의해 정제하여 (S)-8- (2, 2-디플루오로스피로 [3.5] 논-6-엔-7-일)-N- (1-하이드록시-3-메톡시프로판-2-일) 퀴놀린-3-카르복사미드(화합물 177)(0.025 g, 0.06 mmol, 수율: 25.99%)를 수득하였다.
1 H-NMR (MeOD, 400 MHz): δ ppm, 9.25 (d, J = 2.4 Hz, 1H), 8.76 (d, J = 2.0 Hz, 1H), 7.94 (dd, J = 2.8 Hz, 7.2 Hz, 1H), 7.65 - 7.62 (m, 2H), 5.80 (s ,1H), 4.40 - 4.37 (m, 1H), 3.77 (dd, J = 1.6 Hz, 5.6 Hz, 2H), 3.66 - 3.64 (m, 2H), 3.42 (s, 3H), 2.68 (br s, 2H), 2.52 - 2.44 (m, 6H), 1.96 (t, J = 6.0 Hz, 2H).
1 H-NMR (DMSO-d 6 , 400 MHz): δ ppm, 9.27 (d, J = 2.4 Hz, 1H), 8.81 (d, J = 2.4 Hz, 1H), 8.51 (d, J = 8.4 Hz, 1H), 7.98 (t, J = 5.0 Hz, 1H), 7.61 (d, J = 4.4 Hz, 2H), 5.79 (br s ,1H), 4.82 (t, J = 5.6 Hz, 1H), 4.23 - 4.18 (m, 1H), 3.55 - 3.50 (m, 4H), 3.28 (s, 3H), 2.69 (br s, 2H), 2.46 - 2.38 (m, 4H), 2.33 (br s, 2H), 1.85 (t, J = 6 Hz, 2H).
LCMS(방법 A): 2.240분, 100%, 254.0 nm, MS: ES+ 417.5 (M+1)
HPLC(방법 A): 7.91분, 100%, 254.0 nm
키랄 HPLC(방법 A):3.88분, 98.79 %, 260.0 nm
생물학적 실시예
선행 기술 TEAD 억제제 1-1, 1-2, 1-3, 및 1-4(하기 표 3에 제공된 구조)를 생물학적 실시예 169-179에 대한 참조 화합물로서 사용한다.
실시예 169 - NCI-H226 및 H28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TEAD 의존적 NF2-null 중피종 세포주인 NCI-H226, 및 TEAD-비의존적 중피종 세포주인 NCI-H28의 세포 증식을 다음의 2개의 상이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a) CellTiter-Glo 2.0(Promega #G9243). 세포 증식에 대한 본원에 개시된 TEAD 억제제의 효과를 TEAD1-유전자 의존적 세포주 NCI-H226(반응 세포주(responder cell line)) 및 비반응 음성 대조군으로서의 TEAD-비의존적 세포주(NCI-H23, HEK293T)에서 결정하였다. 37℃, 5% CO2, 가습된 인큐베이터에서 NCI-H226 및 NCI-H23에 대한 성장 배지(RPMI-1640, Gibco #61870-010) 또는 10% 열 불활성화 소 혈청(Gibco 10500-064)이 있는 DMEM(Gibco #31966-021, HEK293T) 중의96-웰 플레이트(Thermo Scientific #167008)에 웰(well)당 800개(NCI-H226 및 HEK-293T) 또는 2000개(NCI-H23) 세포로 세포를 시딩(seeding)하였고; 24시간 후, 시험 화합물 또는 DMSO 비히클을 포함하는 새로운 성장 배지를 첨가하고, 144시간 동안 세포와 함께 인큐베이션시켰다. TEAD 억제제 스톡을 DMSO에서 1000X 배 과량으로 제조하였고, 10,000 내지 0.1 nM의 용량 반응 시험 화합물 용량 범위를 사용하였다. 각 처리를 3회 실시하였다. 144시간의 처리 후, 상대적 세포 생존도 수치를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시험 플레이트 및 CellTiter-Glo 2.0 시약을 실온으로 평형화되게 하였다. CellTiter-Glo 2.0 시약을 1:1 시약 대 배지 비율로 96-웰 세포 플레이트에 첨가하였고, 플레이트를 2분 동안 플레이트 진탕기에 배치하고, 이후 추가 10분 동안 실온에서 인큐베이션시켜 완전한 세포 용해가 일어나게 하였다. 혼합물을 이후 백색 96-웰 루미노미터 분석 플레이트(96-well luminometer assay plate)(Greiner Bio One #655075)로 이송시켰다. CLARIOStar Plus 다중-모드 플레이트 리더(BMG Labtech)를 권장된 설정(ultra-Glo 사전-설정:자동 초점 및 향상된 동적 범위가 켜진 상태의 방출 545-50nm)을 갖춘 발광 검출 모드로 사용하여 발광을 정량화하였다. 상대적 세포 밀도는 DMSO-단독 대조군 웰과 관련하여 억제제 농도의 함수로서 표현된다. 데이터는 GraphPad Prism을 사용하여 플롯팅되었고, 생물학적 효과에 대한 IC50 값은 제약 조건이 없는 시그모이드, 4-파라미터 로지스틱, 최소 제곱법을 사용하는 EC50 비선형 핏 함수를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b) Cell Titer One(Promega, # G3582). 세포 증식에 대한 본원에 개시된 TEAD 억제제의 효과를 또한 Promega Substrate Cell Titer Aqueous One 용액 시약을 사용하여 결정하였다. 세포 증식 반응(H226) 및 무반응 음성 대조군 암 세포주(CAMA1, H28)뿐만 아니라 비-변형 정상 인간 세포(HUVEC, NHDF)에 대한 효과에 대해 TEAD 억제제를 평가하였다. 분리된 세포를 배지에 (세포주에 따라, 모두 10% FBS를 갖고, 항생제로서 겐타마이신을 갖는 DMEM, RPMI, 또는 EMEM에) 현탁시켰다. 96-웰 플레이트에서 웰당 750개의 세포로서 100 μL/웰로 세포를 시딩하였고, 안착되어 부착되게 하였다. 24시간의 인큐베이션(37℃, 5% CO2, 가습된 인큐베이터) 후, 100 μL의 시험 화합물-함유 배지를 첨가하였다. 시험 화합물의 2000X 농축된 스톡으의 희석 시리즈를 DMSO에서 최종 농도가 0.1 내지 10,000 nM이 되게 제조하였다. 시험 화합물-함유 배지의 첨가 후, 세포를 37℃, 5% CO2, 가습된 인큐베이터에서 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세포 밀도를 측정하기 위해, 20 μL의 Promega Substrate Cell Titer 96 Aqueous One 용액 시약(Promega, # G3582)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보통 3-8시간 동안 37℃에서 인큐베이션시켜 대조군 세포(화합물이 없음) 중에서 490 nm에서 1.5의 OD에 도달되게 하였다. Vmax [Molecular Devices] 분광광도계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OD를 측정하였다. 배지 단독-웰을 배경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고, 세포 밀도를 DMSO 비히클 대조군에 대해 정규화하였다. EC50은 최대 성장 억제의 50%를 달성하는 농도로 간주되었다.
IC50 및 EC50 데이터의 경우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까지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ND: 데이터 없음.
실시예 170 - Mero14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Mero14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400개의 세포/웰로 플레이팅(plating)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144시간(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상대적 I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non-constrained four-parameter logistic curve fit)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trapezoidal method)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하였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IC50 및 EC50 데이터의 경우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ND: 데이터 없음.
실시예 171 - Mero82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Mero 82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400개의 세포/웰로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144시간(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상대적 I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하였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IC50 및 EC50 데이터의 경우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ND: 데이터 없음.
실시예 172 - BHY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BHY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특정 세포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144시간(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EC50 및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E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IC50 및 EC50 데이터의 경우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ND: 데이터 없음.
실시예 173 - LOU-NH91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LOU-NH91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특정 세포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216시간(9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EC50 및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E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IC50 및 EC50 데이터의 경우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ND: 데이터 없음.
실시예 174 - MSTO-211H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MSTO-211H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특정 세포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144시간(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상대적 I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하였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IC50 및 EC50 데이터의 경우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ND: 데이터 없음.
실시예 175 - SDM103T2 증식 및 세포 생존도 분석
SDM103T2 세포를 트립신으로 처리하고, 계수하고, 96웰 평면 바닥 조직 배양액 처리 플레이트에서의 200 μl의 성장 배지에서 특정 세포 밀도로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팅된 세포를 37℃,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시켰고,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화합물로 3회 처리하였다. 50 μl의 연속 희석된 화합물을 각 웰에 첨가하여 웰당 0.5%의 최종 DMSO 농도 및 웰당 250 μl의 총 부피가 되게 하였다. 처리된 세포를 37℃, 5% CO2에서 144시간(6일) 동안 인큐베이션시켰다. 화합물 처리 후, 나머지 생존 가능한 세포를 다음과 같이 Promega CellTiter-Glo 2.0 분석을 사용하여 검출하였다: 150 μl의 배지를 분석되는 각각의 웰로부터 제거하였고, 100 μl의 실온 CellTiter-Glo 2.0 시약을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500rpm으로 오비탈 쉐이커에 2분 동안 배치하고, 이후, 실온에서 추가 10분 동안 진탕하지 않고 인큐베이션시켰다. 150 μl의 세포 용해물을 각 웰로부터 제거하고, 백색 불투명 96 웰 플레이트의 단일 웰에 분배하였다. 545 nm에서의 발광을 BMG CLARIOstar 플레이트 리더를 사용하여 판독하였다. 발광 신호는 생존 가능한 세포의 수에 정비례하였으며,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 가능한 세포의 백분율을 이후 각 분석 지점에 대해 계산하였다. DMSO 대조군에 대한 생존도 백분율을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롯팅하고,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에서 비선형 회귀로 곡선을 핏팅하였다. EC50 및 IC50 값을 다음과 같이 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EC50 값의 경우, 제약 조건이 없는 4-파라미터 로지스틱 곡선 핏을 사용하였다(시그모이드, 4PL, X는 농도임). 절대적 IC50 값의 경우, 기준선은 Y=0로 제한되었다(절대적 IC50, X는 농도임). 곡선하 면적(AUC): Prism은 사다리꼴 방법을 사용하여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분석은 핏팅된 곡선을 단순히 일련의 연결된 XY 포인트로서 본다. Prism은 단순하게 직선으로 포인트를 연결하여 정의된 "곡선"하 면적을 계산한다. AUC의 단위는 Y축 단위에 X축 단위를 곱한 것이다.
IC50 및 EC50 데이터의 경우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ND: 데이터 없음.
실시예 176 - 세포-기반 TEAD-프로모터 전사 활성 분석
루시퍼라제 기반 TEAD-전사 세포-기반 리포터 분석: 세포-기반 시스템에서 TEAD 전사 활성에 대한 본원에 개시된 TEAD 억제제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컨센서스 합성 TEAD/YAP 프로모터 요소(consensus synthetic TEAD/YAP promoter element)(MCF7-Luc, BPS Bioscience, Catalog #60618)하에서 루시퍼라제를 발현하는 안정한 MCF7 세포주를 이용하였다. 이 MCF7-TEAD-Luc 세포주는 유전학적 및 약리학적 개입 모두를 사용하여 광범위하게 검증되었고, 이는 TEAD/YAP 경로의 절단(ablation)에 반응하여 루시퍼라제 발현 및 발광의 억제를 나타내었다. MCF7-Luc 세포를 백색 384-웰 플레이트에서 웰당 10,000개의 세포로 플레이팅하였고, 빠른 회전으로 안착시켰다. 배지는 10% 소 태아 혈청(ExCell), 셀레늄-트랜스페린-인슐린 혼합물(Gibco), 1X 비필수 아미노산(Gibco) 및 피루브산나트륨(Gibco)이 보충된 MEM(Gibco)이었다. 세포를 부착되게 하고 밤새 성장시켰고(가습된 인큐베이터 중 37℃, 5% CO2), 시험 화합물을 다음날 첨가하였다. 화합물을 DMSO에서 1000X 배 과량으로 용해시키고, 2배 연속 희석시키고, 웰당 30 μL의 배지로서 배지에 첨가하였다. DMSO-단독 웰은 비히클 대조군으로서 역할을 한다. 배지에서의 약물의 최고 농도는 1,000 nM이었다. 양성 대조군 화합물을 K975(pan-TEAD 억제제) 및 음성 대조군(액티노마이신(Actinomycin))을 포함한다. 세포를 시험 화합물 및 양성 대조군과 함께 2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시켰고, 그 이후 One-Glo 루시퍼라제 키트(Promega)로 발광을 측정하였다. 30 μL의 One-Glo 시약을 각각의 웰에 첨가하고, 세포가 용해되도록 8분 동안 진탕시켰다. 플레이트를 1분 동안 1000 RPM으로 원심분리시켜 웰에서의 모든 액체를 침전시키고, 거품을 제거하였다. ENVision 플레이트 리더(Perkin Elmer)를 사용하여 발광을 정량화하였다. 시험 화합물에 의한 발광의 억제 백분율을 시험 화합물의 농도의 함수로서 표시하였고, 시험 화합물이 없는 DMSO 단독 웰은 기준선으로서 역할을 하였다.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EC50 값은 비-선형 점근선 핏(non-linear asymptotic line fit)을 사용하여 계산되었다.
EC50 데이터의 경우 "A"는 0.2 μM 미만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B"는 0.2 μM로부터 최대 1 μM의 범위의 값을 나타내고; 기호 "C"는 1 μM 초과의 값을 나타낸다.
실시예 177 - TEAD 열 이동 분석(TSA)
열 이동 분석(TSA)은 온도의 변화에 따른 단백질의 안정성을 평가하기 위한 생물물리학적 방법이다. 상기 분석은 다양한 약물 농도와 같은 다양한 조건에서 열 변성 온도를 측정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히지 않은 단백질에 결합하는 형광 염료를 사용하였다. SYPRO Orange는 소수성 표면에 비특이적으로 결합되고, 물은 이의 형광을 강하게 억제한다. 단백질이 접히지 않은 경우, 노출된 소수성 표면은 염료와 결합되어 물을 차단하여 형광의 증가를 일으킨다. 세제 미셀(detergent micelle)은 또한 염료와 결합하여, 배경 잡음(background noise)을 극적으로 증가시킨다. 소분자가 단백질에 결합하면 열 변성에 대한 안정화가 유발되며, 열 안정화 정도는 결합 강도에 비례한다.
본 실시예에 기재된 연구는 TEAD 억제제로 처리되었을 때 TEAD 이소형 1-4의 용융 온도(ΔTm)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화합물 1-1 - 알려진 강한 TEAD1 및 약한 TEAD2 억제제; 뿐만 아니라 화합물 1-4 - pan-TEAD 억제제를 대조군으로서 사용하였다. 예상되는 바와 같이, 화합물 1-1은 TEAD1에 대해서만 현저한 열 이동을 나타내었고, 한편 화합물 1-4는 모든 4개의 TEAD 이소형에 대해 열 이동을 나타내었다. 표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시내용의 화합물은 TEAD1 결합 및 TEAD2-4에 대한 상당하게 다른 결합을 일정하게 나타내었다.
실험 파라미터/조건
분석 버퍼 제조
5 mL의 세포 배양용 물에 Tris-HCL을 용해시키고, 완전하게 용해되게 하였다. pH를 NaOH를 사용하여 8로 조절하였다. 추가적인 분석 버퍼 성분들을 상기 열거된 순서로 첨가하였다. 버퍼를 서서히 혼합하였다.
분석 흐름
분석 버퍼를 상기 개략된 절차에 따라 제조하고, 시험 웰에 분배하였다. Spyro orange를 분석 버퍼에 5X의 농도로 첨가하고, 이후 시험 화합물 스톡 용액이 후속되었으며 이는 분석 버퍼에 10 μM 또는 30 μM의 농도로 첨가되었다.
용해 사이클을 1℃/min의 램프 속도로 20-95℃ 범위에서 Bio-RAD PCR 장비에서 수행하였다.
열 이동 데이터는 하기 표 14에 제공된다.
실시예 178 - TEAD 억제제를 사용한 마우스 이종이식 MSTO-211H 종양의 억제
본 연구는 MSTO-211H 이종이식 폐암을 치료하기 위해 BALB/c 누드 마우스에서 시험 화합물의 생체내 항암 효능을 평가하였다.
세포 배양
MSTO-211H 종양 세포를 공기 중 5% CO2 분위기하에 37℃에서 10% 소 태아 혈청 및 1% 항생제-항진균제가 보충된 RPMI 1640 배지에서 유지시켰다. 종양 세포를 트립신-EDTA로 주 2회 정기적으로 계대배양시켰다. 95% 또는 그 초과의 세포 생존율을 보이는 대수 성장기에서 성장하는 세포를 수확하였고, 종양 접종을 위해 계수하였다.
종양 세포 정보
종양 접종
각각의 마우스에 대해 피하로 우측 옆구리에 종양 발달을 위해 MSTO-211H 종양 세포(5×106 + 50% 매트리겔(matrigel)/0.2 mL)를 접종시켰다. 식별을 위해 고유 6자리 유효 숫자가 있는 귀걸이로 동물을 표시하였다. 평균 종양 부피가 181 mm3의 평균 크기에 도달되었을 때 처리를 시작하였다.
종양 측정
주요 평가변수는 종양 성장을 지연시킬 수 있는지 또는 마우스를 치료할 수 있는지 여부를 알기 위한 것이었다. 종양 부피를 캘리퍼를 사용하여 2차원에서 1주 2회 측정되었으며,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부피를 mm3로 표시하였다: V = 0.5 a x b2 상기 식에서, a 및 b는 각각 종양의 긴 직경과 짧은 직경이다. 종양 크기를 이후 T/C 값의 계산을 위해 사용하였다. TGI 값(단위 백분율) 또는 T/C 값(단위 백분율)은 항종양 효과의 지표이며; T 및 C는 각각 주어진 일자에서의 처리된 그룹 및 대조군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 또는 종양 중량이다.
TGI를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각각의 그룹에 대해 계산하였다: TGI (%) = [1-(Ti-T0)/ (Vi-V0)] ×100; Ti는 주어진 일자에서의 처리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T0는 처리 시작 일자에서의 처리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Vi는 Ti와 동일자에서의 비히클 대조군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V0는 처리 시작 일자에서의 비히클 그룹의 평균 종양 부피이다.
상대적 T/C(%)=TRTV / CRTV ×100 (RTV(%) = Vt / V0 ×100, Vt는 주어진 일자에서의 평균 종양 부피이고, V0는 처리의 최초 일자에서의 평균 종양 부피이다. TRTV는 처리 그룹의 RTV이고, CRTV는 비히클 대조군 그룹의 RTV이이다.)
통계 분석
평균 및 평균의 표준 오차(SEM)를 포함하는 요약 통계가 각 시점에서 각각의 그룹의 종양 부피에 대해 제공되었다.
연구의 종료 시 얻은 데이터에 대해 그룹 간의 종양 부피의 차이의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단측 T 시험(One-tailed T test)을 수행하여 두 그룹 간의 종양 부피를 비교하였다. 모든 데이터는 GraphPad Prism 6.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p < 0.0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된다.
비히클 그룹이 588 mm3에 도달되었을 때 연구의 항종양 효과를 PG-D27에 대해 분석하였다.
종양 부피 추적
연구 과정에 걸친 종양 부피의 변화는 하기 표 15에 제공되어 있다.
종양 성장 억제 분석
시험 화합물에 대한 종양 성장 억제 속도를 처리 시작 후 27일차에 종양 부피 측정에 기반하여 계산하였다. 종양 부피에 따라 계산된 T/C 값은 서로 근사하였고, 추세는 하기 표 16에 나타나 있다.
실시예 179 - TEAD 억제제를 사용한 마우스 이종이식 NCI-H226 종양의 억제
본 연구는 암컷 BALB/c 누드 마우스에서의 피하 폐암 NCI-H226 이종이식 모델의 처리시 TEAD 억제제의 생체내 치료 효능을 평가하였다.
종양 세포 정보
연구 설계
세포 배양
NCI-H226 세포(CL-00364) 암 세포를 공기 중 5% CO2 분위기하에 37℃에서 10% 소 태아 혈청이 보충된 RPMI1640 배지를 사용하여 시험관 내에서 유지시켰다. 대수 성장기의 세포를 수확하였고, 종양 접종 전에 세포 계수기로 정량화하였다.
종양 접종
각각의 마우스에 대해 피하로 우측앞 옆구리 부위에 종양 발달을 위해 매트리겔과 (1:1)로 혼합된 0.2 ml의 PBS 중의 NCI-H226 종양 세포(1x 107)를 접종하였다.
무작위화
평균 종양 크기가 138.81 mm3에 도달되었을 때 무작위화를 수행하였다. 45마리 마우스를 연구에 등록하였다. 모든 동물을 각 그룹당 5마리로 9개 연구 그룹에 대해 무작위적으로 배정하였다. 무작위화는 "매칭 분포(Matched distribution)" 방법/"층화(Stratified)" 방법(StudyDirectorTM 소프트웨어, 버젼 3.1.399.19) /무작위화 블록 설계에 기반하여 수행되었다. 무작위화 일자를 0일로 표시하였다.
시험 화합물 투여
연구 설계에 따라 무작위화와 동일자(0일)에 처리를 시작하였다.
관찰 및 데이터 수집
종양 세포 접종 후, 동물에 대해 매일 이환율 및 사망률을 확인하였다. 정기적인 모니터링 동안, 동물에 대해 이동성과 같은 행동, 음식과 물 소비, 체중 증가/감소(무작위화 이후 매주 2회 체중을 측정함), 눈/털 뭉침 및 임의의 다른 이상 상태에 대한 종양 성장 및 처리의 임의의 효과를 확인하였다. 사망률 및 관찰된 임상적 징후를 개별 동물에 대해 상세하게 기록하였다.
무작위화 이후 매주 2회 종양 부피를 캘리퍼를 사용하여 2차원으로 측정하였고, 다음의 식을 사용하여 부피를 mm3로 표현하였다: "V = (L x W x W)/2, 상기 식에서, V는 종양 부피이고, L은 종양 길이(가장 긴 종양 치수)이고, W는 종양 폭(L에 대해 수직한 가장 긴 종양 치수)이다. 투여량뿐만 아니라 종양 및 체중 측정을 층류 캐비넷(Laminar Flow Cabinet)에서 실시하였다.
체중 및 종양 부피를 StudyDirectorTM 소프트웨어(버젼 3.1.399.19)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통계 분석
미리 특정한 일자에 상이한 그룹의 종양 부피를 비교하기 위해, 바틀렛(Bartlett) 시험을 우선 사용하여 모든 그룹에 걸친 분산의 동질성의 가정을 확인하였다. 바틀렛 시험의 p-값이 >= 0.05인 경우, 일원 ANOVA(one-way ANOVA)를 수행하여 모든 그룹에 걸쳐 평균의 전반적인 동등성을 시험하였다. 일원 ANOVA의 p-값이 < 0.05인 경우, 모든 쌍별 비교를 위한 투키(Tukey)의 HSD(진정으로 유의미한 차이) 시험, 및 각 처리 그룹과 비히클 그룹을 비교하기 위한 둔넷(Dunnett) 시험을 실시하여 사후 시험(post hoc testing)을 수행하였다. 바틀렛 시험의 p-값이 <0.05이었을 때, 크루스칼-월리스 시험(Kruskal-Wallis test)을 수행하여 모든 그룹 간의 중앙값의 전반적인 동등성을 시험하였다. 크루스칼-월리스 시험의 p-값이 <0.05인 경우, 둘다 단일-단계로 p-값 조정이 이루어진, 모든 쌍별 비교를 위해 또는 각 처리 그룹과 비히클 그룹을 비교하기 위해 코노버(Conover)의 비모수적 시험을 실시함으로써 사후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쌍별 비교를 다중 비교 수정 없이 수행하였고, 웰치(Welch)의 t-시험 또는 맨-휘트니 U 시험(Mann-Whitney U test)으로부터 직접적으로 유래된 명목/미수정 p-값(nominal/uncorrected p-value)을 기록한다. 구체적으로, 바틀렛 시험을 우선 사용하여 한 쌍의 그룹에 대해 분산의 동질성의 가정을 확인하였다. 바틀렛 시험의 p-값이 ≥0.05이었을 때, 웰치의 t-시험을 수행하였고; 그렇지 않으면 맨-휘트니 U 시험을 수행하여 명목 p-값을 얻었다.
통계 컴퓨팅 및 그래픽(버젼 3.3.1)을 위한 R-a 언어 및 환경에서 모든 통계 분석을 수행하였다. 모든 시험은 달리 특정하지 않는 한 양측형이고, <0.05의 p-값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결과 - 종양 성장 억제
주석: 바틀렛 시험을 수행하여 분산 및 정규성의 동질성을 시험하였고, P =4.09e-06, 유의미한, 비모수적 시험을 사용하여 그룹들을 비교하였다.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Claims (76)

  1. 하기 화학식 (I)을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식에서,
    X는 N 또는 CH이고;
    R1은 -C(O)OR5, -C(O)-NR6R2, -S(O)2-N(R6)2, -S(O)m-(C1-6알킬), 및 -S(O)N(R6)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1-C6 알킬,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CN,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0-C4 알킬렌)-페닐, -(C1-C6 알킬렌)-N(R6)2, 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 -(C0-C4 알킬렌)-C3-C10시클로알킬, 및 -(C0-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10원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지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임의의 상술한 페닐, 5-6원 헤테로아릴, C3-C10시클로알킬, 및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m은 1 또는 2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및 -O-(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께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각각의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각각의 Rx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할로겐, -OR5, -CN, 및 -N(R6)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y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할로겐, -OR5, -CN, 및 -N(R6)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s는 0, 1, 또는 2이고;
    t는 0, 1, 2 또는 3이다.
  2. 하기 화학식 (I')를 갖는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식에서,
    X는 N 또는 CH이고;
    R1은 -C(O)OR5, -C(O)-NR6R2, -S(O)2-N(R6)2, -S(O)m-(C1-6알킬), 및 -S(O)N(R6)2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1-C6 알킬,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CN,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CN 또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0-C4 알킬렌)-페닐, -(C1-C6 알킬렌)-N(R6R7), -(C1-C6 알킬렌)-OP(O)(OR5)2, 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 -(C0-C4 알킬렌)-C3-C10시클로알킬, 및 -(C0-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10원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임의의 상술한 페닐, 5-6원 헤테로아릴, C3-C10시클로알킬, 및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하나 이상의 Rw로 임의로 치환되고;
    m은 1 또는 2이고;
    n은 0, 1 또는 2이고;
    R3는 수소,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O-(C1-C6 알킬), 및 -O-(C1-C6 할로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께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각각의 R6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R7은 수소, -C1-C6 알킬, -C(O)-(C1-6 알킬), -C(O)N(R6)2, -C(O)2-(C1-6 알킬), -S(O)n-(C1-C6 알킬), 및 -S(O)nNR6-(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w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할로겐, -N(R6)2,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1-C6 알킬은 -OH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x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할로겐, -OR5,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y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할로겐, -OR5, 및 -CN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s는 0, 1, 또는 2이고;
    t는 0, 1, 2 또는 3이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X는 N인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C(O)-NHR2인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C(O)OH인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S(O)CH3인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S(O)2CH3인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1은 -S(O)2NHCH3인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6 알킬,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CN,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1-C6 알킬렌)-N(R6)2, 및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4 알킬렌)-5-6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H(CH3)-5-6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12.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H2-5-6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6원 헤테로아릴은 C1-C6알킬 또는 N(Ra)2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인 화합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6원 헤테로아릴은 피리딜인 화합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인 화합물.
  16.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옥사졸릴인 화합물.
  17. 제1항 내지 제13항 및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인 화합물.
  1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6 알킬인 화합물.
  19.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1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이소프로필인 화합물.
  2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인 화합물.
  21.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OR5로 치환된 C1-C6 알킬)인 화합물.
  22. 제1항 내지 제9항, 제20항 및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OH로 치환된 C1-C6 알킬)인 화합물.
  23. 제1항 내지 제9항 및 제2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OH 및 -OCH3로 치환된 C1-C6 알킬)인 화합물.
  24.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6 알킬렌)-S(O)n-(C1-C6 알킬)인 화합물.
  25.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6 알킬렌)-CN인 화합물.
  26.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인 화합물.
  27.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인 화합물.
  28.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6 알킬렌)-N(R6)2인 화합물.
  29.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C1-C6 할로알킬)인 화합물.
  30. 제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인 화합물.
  31.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할로겐(예를 들어, -F)인 화합물.
  32.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수소인 화합물.
  33. 제1항 내지 제3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할로겐(예를 들어, -F)인 화합물.
  34. 제1항 내지 제2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께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예를 들어, -F)으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35. 제1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s 및 t는 둘 모두 0인 화합물.
  36.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식에서,
    R2는 -C1-C6 알킬,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CN,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1-C6 알킬렌)-N(R6)2, 및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임의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R3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및 -O-(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께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각각의 R6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수소 또는 -C1-C6 알킬이다.
  37. 하기 화학식 (Ia')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상기 식에서,
    R2는 -C1-C6 알킬,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CN,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CN 또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1-C6 알킬렌)-N(R6R7), -(C1-C6 알킬렌)-OP(O)(OR5)2, 및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5-6원 헤테로아릴은 하나 이상의 Rw로 임의로 치환되고;
    n은 0, 1 또는 2이고;
    R3는 할로겐, -C1-C6 알킬, -C1-C6 할로알킬, 및 -O-(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4는 수소, 할로겐, 및 -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께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으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5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각각의 R6는 독립적으로 각각의 경우에, 수소 또는 -C1-C6 알킬이고;
    R7은 수소, -C1-C6 알킬, -C(O)-(C1-6 알킬), -C(O)N(R6)2, -C(O)2-(C1-6 알킬), -S(O)n-(C1-C6 알킬), 및 -S(O)nNR6-(C1-C6 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w는 독립적으로 -C1-C6 알킬, -N(R6)2,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1-C6 알킬은 -OH로 임의로 치환된다.
  38.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b)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
  39. 제36항 또는 제37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Ic)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인 화합물:
    .
  40.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4 알킬렌)-5-6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41.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H(CH3)-5-6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42.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H2-5-6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43. 제36항 내지 제4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6원 헤테로아릴은 -C1-C6알킬 또는 -N(Ra)2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각각의 Ra는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C1-C6알킬인 화합물.
  44. 제36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6원 헤테로아릴은 피리딜인 화합물.
  45. 제36항 내지 제4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인 화합물.
  46. 제36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옥사졸릴인 화합물.
  47. 제36항 내지 제43항 및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5-6원 헤테로아릴은 인 화합물.
  48.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S(O)n-(C1-C6 알킬),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 -(C1-C6 알킬렌)-N(R6R7)2, -(C1-C6 알킬렌)-OP(O)(OR5)2,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 및 -(C0-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3-10원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임의의 상술한 5-6원 헤테로아릴 및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메틸, -NH2,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49. 제37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 -(C1-C6 알킬렌)-N(R6R7)2, 및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N, O, 및 S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또는 3개의 헤테로원자를 갖는 5-6원 헤테로아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임의의 상술한 5-6원 헤테로아릴 및 3-10원 헤테로시클릴은 메틸, -NH2, 및 옥소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50.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6 알킬인 화합물.
  51. 제36항 내지 제39항 및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이소프로필인 화합물.
  52.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1 또는 2개의 -OR5로 치환된 C1-C6 알킬)인 화합물.
  53. 제36항 내지 제39항 및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OR5로 치환된 C1-C6 알킬)인 화합물.
  54. 제36항 내지 제39항, 제52항 및 제5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OH로 치환된 C1-C6 알킬)인 화합물.
  55.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OH 및 -OCH3로 치환된 C1-C6 알킬)인 화합물.
  56.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6 알킬렌)-S(O)n-(C1-C6 알킬)인 화합물.
  57.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6 알킬렌)-CN인 화합물.
  58.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OR5인 화합물.
  59.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OR5로 임의로 치환된 C1-C4 알킬렌)-C(O)N(R6)2인 화합물.
  60. 제36항 내지 제3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2는 -(C1-C6 알킬렌)-N(R6)2인 화합물.
  61. 제36항, 제37항 및 제40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C1-C6 할로알킬인 화합물.
  62. 제36항, 제37항 및 제40항 내지 제6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트리플루오로메틸인 화합물.
  63. 제36항, 제37항 및 제40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할로겐인 화합물.
  64. 제36항, 제37항, 제40항 내지 제60항 및 제6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는 -F인 화합물.
  65. 제36항, 제37항 및 제40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수소인 화합물.
  66. 제36항, 제37항 및 제40항 내지 제6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할로겐인 화합물.
  67. 제36항, 제37항, 제40항 내지 제64항 및 제6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4는 -F인 화합물.
  68. 제36항, 제37항 및 제40항 내지 제6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R3 및 R4는 함께 취해져 R3 및 R4가 부착되는 탄소와 함께 3-7원 카르보시클릭 고리를 형성하고, 여기서 카르보시클릭 고리는 하나 이상의 할로겐(예를 들어, -F)으로 임의로 치환되는 화합물.
  69. 제1항 내지 제6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합물은 표 1로부터 선택되는 화합물.
  70. 제1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하는 약학적 조성물.
  71. TEAD1 및 TEAD 4로부터 선택되는 TEAD 이소형의 과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서 상기 질환 또는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으로서, 제1항 내지 제69항 중 어느 한 항의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 또는 제70항의 약학적 조성물을 상기 대상체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치료 방법.
  72. 제71항에 있어서, 질환 또는 병태는 TEAD1 및 TEAD4로부터 선택되는 TEAD 이소형의 과활성화를 특징으로 하는 암인 방법.
  73. 제72항에 있어서, 암은 유방암, 폐암, 위암, 대장암, 췌장 선암을 포함하는 췌장암, 악성 중피종을 포함하는 중피종, 간세포암, 전립선암, 두경부암, 신세포 암종 및 수모세포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4. 제72항 또는 제73항에 있어서, 암은 간세포암, 유방암, 췌장 선암, 및 악성 중피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75. 제72항 내지 제7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은 악성 중피종인 방법.
  76. 제72항 내지 제7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은 전이성인 방법.
KR1020247035006A 2022-03-22 2023-03-22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Pending KR2025002977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322600P 2022-03-22 2022-03-22
US63/322,600 2022-03-22
PCT/US2023/015981 WO2023183437A1 (en) 2022-03-22 2023-03-22 Tead inhibitors and methods of us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29773A true KR20250029773A (ko) 2025-03-05

Family

ID=860536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35006A Pending KR20250029773A (ko) 2022-03-22 2023-03-22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496789A1 (ko)
KR (1) KR20250029773A (ko)
CN (1) CN119522215A (ko)
AU (1) AU2023237749A1 (ko)
WO (1) WO2023183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202423428A (zh) 2022-09-29 2024-06-16 香港商英矽智能科技知識產權有限公司 Tead抑制劑及其使用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G11202000266VA (en) * 2017-08-04 2020-02-27 Bayer Animal Health Gmbh Quinoline derivatives for treating infections with helminths
EP3877356A4 (en) * 2018-11-09 2022-06-22 Vivace Therapeutics, Inc. BICYCLIC LINKS
AU2020257207A1 (en) * 2019-04-16 2021-11-25 Vivace Therapeutics, Inc. Bicyclic compounds
WO2020243423A1 (en) * 2019-05-31 2020-12-03 Ikena Oncology, Inc. Tead inhibitors and uses thereof
CA3194456A1 (en) * 2020-09-30 2022-04-07 Arnaud Marchand 1,2,3,4-tetrahydroquinoline derivatives as inhibitors of the yap/taz-tead activation for treating canc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9522215A (zh) 2025-02-25
EP4496789A1 (en) 2025-01-29
WO2023183437A1 (en) 2023-09-28
AU2023237749A1 (en) 2024-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0978B2 (ja) 6−(5−ヒドロキシ−1h−ピラゾール−1−イル)ニコチンアミド誘導体およびphd阻害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CN108467369B (zh) 作为激酶抑制剂的联芳基酰胺化合物
ES2706951T3 (es) Compuestos de benceno sustituidos con arilo o heteroarilo
JP2023518722A (ja) Yap/taz-teadタンパク質-タンパク質相互作用阻害剤としてのビアリール誘導体
WO2018225093A1 (en) Chemical compounds as atf4 pathway inhibitors
CA2954488C (en) Pyridone derivative having tetrahydropyranylmethyl group
WO2019173653A1 (en) Amino acid compounds and methods of use
CN113645971B (zh) 化合物及其用途
EA032754B1 (ru) Аминогетероарил бензамиды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киназы
CA3111649A1 (en) Tricyclic compounds acting on crbn proteins
EP3204359A1 (en) Tetrahydroisoquinoline derivatives
AU2018209667A1 (en) JAK1 selective inhibitors
IL273839B (en) Benzimid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s
EP3634952A1 (en) Chemical compounds as atf4 pathway inhibitors
CN115484948A (zh) 化合物及其用途
JP2023540548A (ja) 抗腫瘍活性を有する化合物及びその使用
KR20250029773A (ko) Tead 억제제 및 사용 방법
WO2023015164A1 (en) Cyanopyridine and cyanopyrimidine bcl6 degraders
BR112021001608A2 (pt) derivado de amida heteroaromático inovador e medicamento contendo o mesmo
JP2025503052A (ja) ユビキチン特異的プロテアーゼ7阻害剤としてのヘテロ環式化合物
TW202333663A (zh) Rxfp1促效劑
JP2023527792A (ja) Tlr2調節剤化合物、医薬組成物、及びそれらの使用
CN115279757A (zh) 用于治疗和预防hiv感染的抗病毒药剂的嘧啶系双环化合物
WO2024028169A1 (en) Novel specifically substituted thiophenolic compounds
EP4308569A1 (en) Selective modulators of ataxia telangiectasia mutated (atm) kinase and uses thereof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0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