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11650A - A devic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die press - Google Patents

A devic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die pr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11650A
KR20250011650A KR1020247041281A KR20247041281A KR20250011650A KR 20250011650 A KR20250011650 A KR 20250011650A KR 1020247041281 A KR1020247041281 A KR 1020247041281A KR 20247041281 A KR20247041281 A KR 20247041281A KR 20250011650 A KR20250011650 A KR 20250011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ret
die
coupling
movement
coupling elem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412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토마스 바이스바흐
Original Assignee
코르쉬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르쉬 아게 filed Critical 코르쉬 아게
Publication of KR20250011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11650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moulds carried by a turntable
    • B30B11/085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moulds carried by a turntable for multi-layer 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3/0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 A61J3/10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into the form of compressed tabl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presses; Auxiliary measures in connection with pressing
    • B30B15/32Discharging pr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0PRESSES
    • B30BPRESSES IN GENERAL
    • B30B11/00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 B30B11/02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 B30B11/08Presses specially adapted for forming shaped articles from material in particulate or plastic state, e.g. briquetting presses, tabletting presses using a ram exerting pressure on the material in a moulding space co-operating with moulds carried by a turn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타정기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삽입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다이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로터의 피치 원에 배열된다. 디바이스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로터를 포함한다. 제2 로터는 또한 적어도 하나의 물체 픽업 디바이스를 갖고, 적어도 하나의 물체 픽업 디바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픽업, 운반 및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 픽업 디바이스를 통해 제2 로터의 회전 방향 이동에 관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는 적어도 제2 로터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다이의 이동 경로를 모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die press, wherein the at least one die is arranged on a pitch circle of a rotor which is driven to rotate about a first rotational axis. The device comprises a second rotor rotatable about a second rotational axis. The second rotor also has at least one object pick-up device, the at least one object pick-up device comprising holding means enabling the pick-up, transport and delivery of the at least one object.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object can be controlled radially an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rotor via the at least one object pick-up device, so that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object can mimic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die over at least a rotational angular range of the second rotor.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1

Description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타정기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삽입하기 위한 디바이스A devic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die press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타정기(tableting machine)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삽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다이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터릿(turret)의 기준 원에 배열된다. 장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2 터릿을 포함한다. 제2 터릿은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를 또한 나타내고,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가 픽업되고, 운반되고,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를 통해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는 적어도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다이의 이동 경로를 모방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tabletting machine, wherein the at least one die is arranged on a reference circle of a turret which is driven to rotate about a first rotational axis. The device comprises a second turret which is rotatable about a second rotational axis. The second turret also presents at least one object holder, the at least one object holder comprising holding means by which the at least one object can be picked up, transported and released.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object can be controlled radially an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via the at least one object holder, so that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object can mimic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die over at least a rotational angular range of the second turret.

본 발명은 또한 타정기 및 전술된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system comprising a tableting machine and the above-described device.

본 발명은 타정기, 특히 회전식 타정기 분야에 관한 것으로, 제약, 기술 또는 화학 산업이나 식품 산업에서 분말 재료로부터 대량의 태블릿 또는 펠릿을 생산하는 데 사용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the field of tablet presses, and more particularly to rotary tablet presses, which are used for producing tablets or pellets in large quantities from powdered materials in the pharmaceutical, technical or chemical industries or in the food industry.

회전식 타정기는 복수의 펀치 쌍을 운반하는 터릿을 갖고 있으며, 각 펀치 쌍은 서로에 대해 조절 가능한 상부 펀치와 하부 펀치로 형성되는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터릿은 다이로 알려진 슬리브 형상의 인서트를 갖는, 기준 원에 일정한 간격으로 다이 개구가 제공된 다이 테이블을 포함한다. 가압될 재료는 충전 디바이스를 통해 이러한 다이 또는 다이 개구에 충전된다.A rotary press is known to have a turret carrying a plurality of punch pairs, each of which is formed by an upper punch and a lower punch which are adjustable relative to each other. The turret includes a die table having die openings provided at regular intervals on a reference circle, each having a sleeve-shaped insert known as a die. The material to be pressed is charged into these dies or die openings by means of a charging device.

터릿의 회전으로 인해 한 쌍의 펀치가 충전된 다이 또는 다이 개구 영역에 진입하면, 두 펀치는 제어 캠에 의해 서로를 향해 이동되고 압축 롤러 스테이션 영역으로 진입한다. 압축 롤러 스테이션에서는, 펀치가 서로에 대해 가압되어 다이 개구에 있는 재료가, 예를 들어 태블릿으로 압축된다. 가압 프로세스가 완료되면, 두 펀치가 모두 상향 이동되고 태블릿이 다이 개구 또는 다이에서 배출된다. 압축력은 압축 롤러를 통해 압축 도구로 전달된다. 압축 도구는 상부 및 하부 펀치라고도 지칭된다.When a pair of punches enters the filled die or die opening area due to the rotation of the turret, the two punches are moved towards each other by the control cam and enter the compression roller station area. In the compression roller station, the punches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so that the material in the die opening is compressed into, for example, a tablet. When the pressing process is completed, both punches are moved upwards and the tablet is ejected from the die opening or die. The compression force is transmitted to the compression tool via the compression roller. The compression tool is also referred to as the upper and lower punches.

또한, 인서트라고 지칭되는 물체 또는 코어를 갖춘 단층 또는 다층 태블릿을 제공하는 것도 공지되어 있다. 이러한 코어 또는 물체는 개별적으로 다이에 공급되고 가압될 매질, 특히 분말 내로 가압되거나 또는 이에 의해 코팅된다. 코어 또는 물체를 개별적으로 그리고 정의된 방식으로 다이에 공급하여, 유리하게는 다이의 중앙인 원하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하는 회전식 타정기에서 이러한 태블릿 또는 펠릿을 생산하는 것이 중요하다.It is also known to provide single-layer or multi-layer tablets having objects or cores, referred to as inserts. These cores or objects are individually fed into a die and pressed into a medium to be pressed, in particular a powder, or coated thereby. It is important to produce such tablets or pellets in a rotary tableting machine, in which the cores or objects are fed into the die individually and in a defined manner, so that they can advantageously be positioned at a desired position, preferably in the center of the die.

이와 관련하여, 다이의 원형 경로와 삽입 디바이스가 부분적으로 중첩되고 따라서 정확히 두 지점에서 교차하는 회전 삽입 디바이스를 갖춘 해결책이 있다. 복잡한 (그리고 오류가 발생하기 쉬운) 제어 시스템의 도움으로, 삽입될 물체를 교차점 중 정확히 한 점에서 가능한 한 빨리 배출하는 것이 목표이다. 예를 들어, DE 10 2013 104 344 A1 및 DE 10 2009 002 450 A1 공보는 이러한 회전 삽입 디바이스를 개시하고, 여기서 코어는 그리퍼 아암에 의해 이송 휠로부터 픽업되어 다이에 삽입된다.In this connection, there is a solution having a rotary insertion device in which the circular path of the die and the insertion device partially overlap and thus intersect at exactly two points. With the help of a complex (and error-prone) control system, the aim is to eject the object to be inserted as quickly as possible at exactly one of the intersection points. For example, publications DE 10 2013 104 344 A1 and DE 10 2009 002 450 A1 disclose such a rotary insertion device, in which a core is picked up from a transport wheel by a gripper arm and inserted into the die.

더욱이, 회전 삽입 디바이스를 갖춘 해결책은 예를 들어 DE 38 19 821 C2와 같은 종래 기술에 공지되어 있고, 여기서 그리퍼 아암은 삽입 디바이스의 터릿에서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배열되어 있으며, 따라서 캠 제어 또는 터릿에서의 결합을 통해 제한된 회전 각도에 걸쳐 다이의 곡선 경로를 따를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삽입기와 다이의 경로 속도에 차이를 발생시키므로, 그리퍼 아암의 추적 경로에도 불구하고 실제 동기 가동은 불가능하고, 삽입된 물체의 위치는 대체로 배출 시간에 의해 결정된다.Furthermore, solutions with rotary insertion devices are known from the prior art, such as for example from DE 38 19 821 C2, wherein the gripper arm is arranged to move radially in a turret of the insertion device and can thus follow a curved path of the die over a limited angle of rotation by means of cam control or engagement in the turret. However, this leads to differences in the path speeds of the inserter and the die, so that despite the tracking path of the gripper arm, a truly synchronous operation is impossible, and the position of the inserted object is largely determined by the ejection time.

DE 40 25 484 C1은 또한 회전식 타정기의 터릿에 통합된 삽입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특히, 반경 방향 아암은 다이 테이블 위의 회전식 타정기의 구동 터릿에 직접 배열되어 있으며, 이에 할당된 다이와 동기화되어 회전한다. 반경 방향 아암은 또한 터릿에서 (반경 방향으로) 수축 및 연장될 수 있으며 물체를 픽업하여 다이로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삽입 디바이스는 작은 구성 체적과 다이 내의 물체의 정확하고 재현 가능한 위치 설정을 가능하게 하지만, 이 비교적 복잡한 설계는 정기적으로 오작동을 유발한다. 또한, 종래의 회전식 타정기는 이러한 삽입 디바이스로 쉽게 개장될 수 없다.DE 40 25 484 C1 also discloses an insertion device which is integrated into the turret of a rotary press. In particular, a radial arm is arranged directly in the drive turret of the rotary press above the die table and rotates synchronously with the die assigned to it. The radial arm can also be retracted and extended (radially) in the turret and can pick up objects and transfer them to the die. Such an insertion device allows for a small construction volume and an accurate and reproducible positioning of objects within the die, but its relatively complex design regularly causes malfunctions. Furthermore, conventional rotary presses cannot be easily retrofitted with such an insertion device.

또한, DE 103 21 754 B4에는 연속 컨베이어에 코어 또는 물체를 위치시키고, 태블릿 프레스의 터릿의 기준 원 위로 연속 컨베이어를 안내하고, 태블릿 프레스의 상부 펀치를 통해 이를 다이 안으로 밀어넣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터릿의 기준 원 위로 코어 또는 물체를 운반하는 것은 코어 또는 물체의 위치를 정하고 코어 또는 물체와 다이의 이동을 동기화하기 위한 복잡한 조치가 수반된다는 단점이 있다.Furthermore, DE 103 21 754 B4 discloses positioning cores or objects on a continuous conveyor, guiding the continuous conveyor over a reference circle of a turret of a tablet press and forcing them into a die via the upper punch of the tablet press. However, transporting cores or objects over a reference circle of a turret has the disadvantage that complex measures are required for positioning the core or object and for synchronizing the movement of the core or object and the die.

DE 38 19 821 A는 회전 구동식 다이 테이블과 이송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회전식 태블릿 프레스를 개시한다. 이송 헤드를 갖는 복수의 헤드 부분은 터릿에 단단히 나사 고정되는 이송 디바이스 상의 반경 방향 아암에 장착된다. 이송 헤드에는 코어를 수용 및 해제하기 위한 흡입 파이프와 진공 디바이스가 있다. 반경 방향 아암은 서로 독립적으로 작동할 수 있는 수직 및 수평 실린더-피스톤 유닛으로 구성된다. 코어는 공급 디바이스를 통해 이송 디바이스의 수용부로 운반된다. 반경 방향 아암은 수직 실린더 피스톤을 통해 하향 이동하고, 이송 헤드는 음압을 통해 코어를 픽업한다. 그 후, 수평 실린더 피스톤은 반경 방향으로 외향으로 이동하고 다이에 도달하자마자, 헤드 부분이 다이 테이블의 가이드 링의 헤드 수용 홈으로 개방되므로, 헤드 가이드 링이 힘으로 제어되는 방식으로 이송 헤드를 기계적으로 안내하고 따라서 다이 테이블과 이송 디바이스의 기준 원이 중첩된다. DE 38 19 821 A는 특히 이송 헤드의 반경 방향 제어성을 개시한다. 이렇게 코어가 다이에 배치되고 분말로 가압된다. 코어를 다이 내로 가압함으로써, 코어가 반경 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고 중앙 위치에 삽입된다. 다이의 이동 경로와 이송 헤드의 이동 경로의 동기화는 특히 다이 테이블의 헤드 가이드 링의 헤드 수용 홈과 헤드 부분 또는 이송 헤드의 상호 결합에 의해 달성된다. 터릿에서의 반경 방향 이동성 및 결합으로 인해, 헤드 부분 또는 이송 헤드는 제한된 회전 각도에 걸쳐 다이의 곡선 경로를 따라야 한다. 그러나, 코어 위치 설정의 정확도와 관련하여 개선의 여지가 있다.DE 38 19 821 A discloses a rotary tablet press having a rotating die table and a transfer device. A plurality of head sections having transfer heads are mounted on radial arms on the transfer device, which are firmly screwed into a turret. The transfer heads have suction pipes and a vacuum device for receiving and releasing cores. The radial arms consist of vertical and horizontal cylinder-piston units which can be operated independently of one another. The cores are transported via the feed device into the receiving section of the transfer device. The radial arms move downwards via the vertical cylinder piston, and the transfer head picks up the cores via negative pressure. The horizontal cylinder piston then moves radially outwards and, as soon as it reaches the die, the head sections open into the head receiving grooves of the guide ring of the die table, so that the head guide ring mechanically guides the transfer heads in a force-controlled manner, so that the reference circles of the die table and the transfer device overlap. DE 38 19 821 A discloses in particular the radial controllability of the transfer heads. In this way, the cores are placed in the die and pressed with powder. By pressing the core into the die, the core is inserted in the center position without radial movement. Synchronization of the travel path of the die and the travel path of the transfer head is achieved in particular by the mutual engagement of the head receiving grooves of the head guide ring of the die table with the head part or the transfer head. Due to the radial movement and engagement in the turret, the head part or the transfer head must follow the curved path of the die over a limited rotation angle. However, there is room for improvement with regard to the accuracy of the core positioning.

JP 2019 135062 A는 또한 컨베이어 벨트, 공급 디바이스 및 타정기를 포함하는 압축 디바이스를 개시한다. 컨베이어 벨트는 바람직하게는 전자 칩을 공급 디바이스로 운반하고, 공급 디바이스는 이를 태블릿 프레스로 운반한다. 그곳에서, 칩이 다이에 삽입되고 분말로 가압된다. 공급 디바이스는 폐루프로 설계되고, 그 형상은 이송 영역에서의 다이 반경에 맞게 조정된다. 복수의 그리핑 디바이스는 칩을 픽업하고 해제하기 위한 이동식 그리퍼 핑거를 갖는 공급기에 부착된다. 그리퍼 핑거의 폐쇄 및 개방은 대응 가이드 캠을 통해 기계적으로 힘으로 제어된다. 공급 디바이스 또는 그리핑 디바이스는 태블릿 프레스의 터릿의 회전식 이동에 의해 구동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톱니 휠 전달 장치가 제공되며, 그 톱니는 그리핑 디바이스의 상부 롤러에 결합된다.JP 2019 135062 A also discloses a compacting device comprising a conveyor belt, a feeding device and a tablet press. The conveyor belt preferably transports electronic chips to the feeding device, which transports them to the tablet press. There, the chips are inserted into a die and pressed with powder. The feeding device is designed as a closed loop, its shape being adapted to the die radius in the transport area. A plurality of gripping devices are attached to the feeder, which have movable gripper fingers for picking up and releasing the chips. The closing and opening of the gripper fingers is mechanically force-controlled via corresponding guide cams. The feeding device or the gripping device is driven by the rotary movement of the turret of the tablet press. For this purpose, a toothed wheel transmission device is provided, the teeth of which are engaged with the upper roller of the gripping device.

따라서, 공지된 해결책과 관련하여, 위치 정확도 및 성능(속도)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하며, 한편 동시에 복잡한 제어 시스템을 생략하고 오류에 대한 취약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Therefore, with respect to the known solutions, it would be desirable to improve upon them in terms of positional accuracy and performance (speed), while at the same time omitting complex control systems and reducing vulnerability to errors.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제거하고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타정기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삽입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타정기의 연속 회전 터릿으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정확한 또는 정밀한 삽입이 가능해지고, 높은 터릿 속도에서도 높은 수준의 반복성과 신뢰성이 달성된다.It is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liminate the disadvantages of the prior art and to provide a devic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die press, which enables accurate or precise insertion of at least one object into a continuously rotating turret of the die press, with a high level of repeatability and reliability even at high turret speeds.

본 발명에 따른 목적은 독립 청구항의 특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유리한 실시예는 종속 청구항에 설명되어 있다.The object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solved by the features of the independent claims. Advantageous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dependent claims.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타정기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삽입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다이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터릿의 기준 원에 배열되고,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die press, wherein at least one die is arranged on a reference circle of a turret driven to rotate about a first rotational axis,

- 장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터릿을 포함하고; - The device comprises a second turret rotatable about a second rotational axis;

- 제2 터릿은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가 픽업되고, 운반되고,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The second turret comprises at least one object holder, and the at least one object holder comprises a holding means enabling at least one object to be picked up, carried and released;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를 통해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는 적어도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다이의 이동 경로를 모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movement path of at least one object can be controlled radially an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via the at least one object holder, so that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object can mimic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die over at least a rotational angular range of the second turret.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물체가 분리되고, 픽업되고, 연속 회전 터릿을 갖춘 회전식 타정기의 다이에 정확하게 삽입될 수 있게 한다. 종래 기술과 달리, 제안된 장치는 삽입 프로세스 동안 넓은 시간 범위에 걸쳐 물체의 이동 경로가 다이의 이동 경로와 유리하게 중첩될 수 있게 하고, 특히 물체는 다이와 동기적으로 이동될 수도 있다. 달리 말하면, 이동 경로는 이전의 경우처럼 주로 두 지점에서 중첩하는 것이 아니고, 더 긴 거리에 걸쳐 중첩된다. 물체가 다이와 동기적으로 유리하게 안내될 수 있다는 사실은 물체가 중첩하는 경로를 따르는 임의의 지점에서 다이에 삽입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치 정확도는 물체의 삽입 또는 해제 시간에 덜 의존적이다. 이는 무엇보다도 고속에서 더 높은 수준의 반복 정확도와 신뢰성으로 이어진다.In particular,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enables objects to be separated, picked up and precisely inserted into a die of a rotary press with a continuously rotating turret. In contrast to the prior art, the proposed device enables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to advantageously overlap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die over a wide time range during the insertion process, and in particular the object can also be moved synchronously with the die. In other words, the movement paths do not overlap primarily at two points, as was the case previously, but over a longer distance. The fact that the object can advantageously be guided synchronously with the die means that the object can be inserted into the die at any point along the overlapping path. The positioning accuracy is therefore less dependent on the insertion or release time of the object. This leads, among other things, to a higher level of repeatability and reliability, even at high speeds.

전술된 바와 같이, 삽입 디바이스는 삽입 디바이스에 포함된 터릿의 회전식 이동과 관련하여 물체의 반경 방향 이동을 허용하고, 이에 의해 물체와 다이의 이동 경로가 거리에 걸쳐 중첩될 수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이는 물체와 다이의 경로 속도의 차이로 이어진다. 따라서, 동기식 동작은 불가능하다. 물체의 반경 방향 제어성에 더하여,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과 관련된 물체의 접선 방향 제어성이 이 문제를 극복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체를 접선 방향으로 제어함으로써, 물체가 다이와 동기적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물체의 경로 속도가 유리하게 연속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insertion device allows radial movement of the object in relation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urret included in the insertion device, and it is known that the movement paths of the object and the die may thereby overlap over a distance, but this leads to a difference in the path velocities of the object and the die. Therefore, synchronous operation is impossible. In addition to the radial controllability of the object, it has been shown that tangential controllability of the object in relation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can overcome this problem. By controlling the object in the tangential direction, the path speed of the object can be advantageously continuously adjusted so that the object can be moved synchronously with the die.

유리하게는, 특히 단층 또는 다층 태블릿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종래의 회전식 타정기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로 간단한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으므로, 이는 생산될 펠릿에 코어 또는 물체를 가압할 수 있다. 회전식 타정기 내의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터릿의 기준 원에 적어도 하나의 다이가 배열되고, 한편 장치는 제2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터릿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Advantageously, a conventional rotary tablet press, which is designed in particular for pressing single-layer or multi-layer tablets, can be expanded in a simple manner with a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press cores or objects into the pellets to be produced. It is understood that at least one die is arranged on a reference circle of a turret which is driven to rotate around a first rotational axis in the rotary tablet press, while the device comprises a second turret which rotates around a second rotational axis.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터릿(즉, 타정기의 터릿)의 회전축은 제2 터릿(즉,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터릿)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2 터릿은 유리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삽입할 수 있는 방식으로 후속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타정기를 위한 추가 모듈로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단 한 번만 조절되면 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물체 홀더 또는 물체가 다이가 배열된 기준 원에 대략적으로 정렬될 때까지 타정기의 터릿 상으로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위치 설정의 허용 오차와 관련하여 "강인한(robust)" 것이 유리하다. 더욱이, 삽입될 물체를 분리하기 위한 추가적인 디바이스가 또한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며; 이 기능은 제안된 장치에 의해 구현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otation axis of the first turret (i.e. the turret of the press machine) i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turret (i.e. the turre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this connection, the second turret can advantageously be positioned subsequently in such a way that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insert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can therefore preferably be provided as an additional module for a rotary press machine, preferably having to be adjusted only once. For this purpos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should preferably be moved radially onto the turret of the press machine until the object holder or the object is approximately aligned with the reference circle on which the die is arranged.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s advantageously "robust" with respect to the tolerances of the positioning. Furthermore, additional devices for separating the objects to be inserted are also no longer necessary; this function is implemented by the proposed device.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터릿은 터릿에 고정된 구성요소가 원형 경로에서 이동하도록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회전 구성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적어도 하나의 다이는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터릿의 기준 원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다이는 제1 터릿의 회전축 주위의 원형 경로에서 회전한다. 따라서, 다이의 이동 경로는 원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물체는 물체 홀더에 의해 유지되고, 이는 결국 제2 터릿에 장착된다. 따라서, 물체는 제2 회전축 주위로 회전하고, 물체 홀더 또는 물체의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 제어성 없이 원형 경로에서 이동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red that the turret is a rotating component that rotates about an axis of rotation so that a component fixed to the turret moves in a circular path. It is preferred that at least one die is present on a reference circle of the turret that is driven to rotate about a first axis of rotation. Thus, the die rotates in a circular path around the axis of rotation of the first turret. Thus, it is preferred that the path of movement of the die is circular. On the other hand, the object is held by the object holder, which is in turn mounted on the second turret. Thus, it is also preferred that the object rotates about the second axis of rotation and moves in a circular path without radial and tangential controllability of the object holder or the object.

터릿을 포함하지만 물체 홀더 또는 물체의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 제어성이 없는 종래 기술의 삽입 디바이스에서는, 이제 물체를 다이로 "배출"하기 위해 두 원형 경로(물체/다이)의 교차점이 선택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발명자들은 이 절차로는 물체가 정확하게 배치되게 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했다. 이와 대조적으로, 물체는 물체 홀더를 통해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기 때문에, 물체의 이동 경로는 다이의 이동 경로와 일치하도록 조정될 수 있고, 물체는 또한 다이와 동기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In prior art insertion devices including a turret but without radial and tangential controllability of the object holder or the object, the intersection of two circular paths (object/die) is now selected to "eject" the object into the die. In this context, the inventors have recognized that this procedure does not allow for accurate positioning of the object. In contrast, since the object can be controlled radially an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via the object holder,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can be adjusted to coincide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die, and the object can also be moved synchronously with the die.

바람직하게는, 물체에 의한 이동 경로의 조정은 물체를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할 수 없을 때 발생하게 되는 (가상의) 교차점 사이의 범위에서 발생한다. 이 범위는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즉,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Preferably, the adjustment of the movement path by the object occurs in a range between the (virtual) intersection points where the object cannot be controlled radially and tangentially. This range can be described by the rotation angle of the second turret, i.e.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second turret.

따라서, 물체의 이동 경로는 원형 경로를 따르는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과 관련하여 개별 물체 홀더의 접선 방향 및 반경 방향 이동을 통해 다이의 경로에 맞게 조정된다. 따라서, 물체 홀더가 제2 터릿에 연결되는 지점에서는, 물체 홀더도 원형 경로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개별 물체 홀더의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 제어성으로 인해, 이러한 원형 이동 경로는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된 물체에 맞게 조정될 수 있으므로, 물체도 다이와 동기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Therefore,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is adjusted to the path of the die by the tangential and radial movements of the individual object holders in relation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along the circular path. Therefore, at the point where the object holder is connected to the second turret, it is desirable that the object holder also moves in a circular path. However, due to the radial and tangential controllability of the individual object holders, this circular movement path can be adjusted to the object held by the holding means, so that the object can also move synchronously with the die.

상기에 인용된 JP 2019 135062 A에는, 다이 경로에서 물체의 이동을 조정하는 것이 또한 공지되어 있다. 그러나, 이는 제2 터릿 대신, 폐루프이지만 원형이 아닌 루프로 설정된 공급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삽입 디바이스를 통해 발생한다. JP 2019 135062에서, 공급 디바이스는 다이 테이블의 형상에 맞게 하부측이 조정된 둥근 삼각형으로도 지칭된다. 따라서, 공급 디바이스에 설치된 JP 2019 135062의 그리핑 디바이스 자체는 원형 경로에서 이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이러한 공급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은 더욱 복잡하며 공급 디바이스에 제공된 그리핑 디바이스 사이에 더 큰 거리가 필요하다. 제2 터릿이 사용되지만, 물체의 이동 경로가 개별 물체 홀더를 통해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설계가 더 간단하고 물체 홀더의 더 조밀한 배열을 허용한다. 장치의 더욱 강인한 설계에 더하여, 생산 효율도 증가될 수 있다.In the above cited JP 2019 135062 A it is also known to adjust the movement of the objects in the die path. However, instead of a second turret, this takes place via an insertion device comprising a feeding device set up as a closed loop, but not circular. In JP 2019 135062 the feeding device is also referred to as a rounded triangle, the lower side of which is adapted to the shape of the die table. Therefore, the gripping device of JP 2019 135062 which is installed on the feeding device itself does not move in a circular path. However, providing such a feeding device is more complex and requires a larger distance between the gripping devices provided on the feeding device. The solution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which a second turret is used, but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s can be controlled radially an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via the individual object holders, allows a simpler design and a more compact arrangement of the object holders. In addition to the more robust design of the device, the production efficiency can also be increased.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의 이동 구간, 즉, 터릿이 특정 회전 각도에 걸쳐 수행하는 회전 방향 이동이다. 물체의 이동 경로가 물체 홀더의 접선 방향 및 반경 방향 편향을 통해 다이의 이동 경로를 모방할 수 있는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 180°인 회전 각도 범위에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다이의 이동 경로는 제2 터릿의 최대 반 회전에 걸쳐 물체에 의해 모방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otational angular range of the second turret is preferably a travel range of the second turret, i.e. a rotational movement which the turret performs over a certain rotational angle. The rotational angular range of the second turret, over which the travel path of the object can mimic the travel path of the die by means of the tangential and radial deflections of the object holder, is preferably in a rotational angular range of <180°. In this way, the travel path of the die is mimicked by the object over at most half a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예를 들어, 물체의 이동 경로는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인 약 340° 내에서 원형 경로를 따라 뻗는다. 물체가 다이의 이동 경로에 접하게 되면, 물체의 이동 경로는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2 터릿의 회전과 관련하여) 변경되고 다이의 이동 경로에 맞게 조정되며, 물체가 다이와 동기적으로 이동될 수 있다. 설명된 예에서, 물체의 이동 경로는 이제 제2 터릿의 대략 20°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다이의 이동 경로를 따를 수 있다. (도 1을 또한 참조)For example, the object's travel path extends along a circular path within a rotation angle range of about 340° of the second turret. When the object comes into contact with the die's travel path, the object's travel path is changed radially an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and adjusted to the die's travel path, so that the object can be moved synchronously with the die. In the described example, the object's travel path can now follow the die's travel path over a rotation angle range of about 20° of the second turret. (See also FIG. 1)

이동 경로의 모방 또는 조정은 특정 시간 및 거리 범위에 걸쳐 물체와 다이의 이동 경로가 중첩되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물체는 다이와 동기적으로 이동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물체의 중심 및/또는 중력 중심은 다이의 길이 방향 축에 대략적으로 위치된 다이로부터 일정 높이만큼 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체가 삽입되면 높이가 달라질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이 (비교적 긴) 동기적 이동 동안, 물체 홀더를 하강시킴으로써 물체가 삽입될 수 있다. 가능한 한 빨리 물체를 특정 지점에 떨어뜨려 물체를 위치시킬 필요는 없다.The mimicry or adjustment of the movement path is preferably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movement paths of the object and the die overlap over a certain time and distance range, and the object moves synchronously with the die. In this context, the center of the object and/or the center of gravity is preferably located at a certain height from the die, which is approximately positioned along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die.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height may vary when the object is inserted. During this (relatively long) synchronous movement, the object can be inserted by lowering the object holder. It is not necessary to position the object by dropping it at a specific point as quickly as possible.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물체는 바람직하게는 펠릿에 물체를 매립할 수 있게 하는 크기 및 기하학적 구성을 갖는 3차원 물체이고, 펠릿의 체적은 다이, 재료 및 압축력에 따라 달라진다. 따라서, 물체는 펠릿의 코어로 간주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코어는 고정된 구성요소로 구성되고, 코어는, 예를 들어 펠릿의 잔여 부분의 재료와는 다른 재료 또는 재료 조성으로 구성된다. 물체 또는 코어는 미리 압축된 분말 재료일 수도 있다. 코어가 있는 이러한 펠릿은 코어 태블릿이라고도 지칭된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체는 (그 자체로) 고체 셸에 의해 둘러싸인 액체 및/또는 기체 매질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코팅된 코어 태블릿과 관련하여, 이는 인간이 소화할 수 있는 고체에 싸인 액체 활성 성분일 수 있다.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is preferably a three-dimensional object having a size and a geometric configuration that allows the object to be embedded in the pellet, the volume of the pellet depending on the die, the material and the compression force. The object can therefore be regarded as the core of the pellet. Preferably, the core consists of a fixed component, the core consisting of a material or a material composition that is different from the material of the remainder of the pellet, for example. The object or core can also be a pre-compressed powder material. Such a pellet with a core is also referred to as a core tablet. 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object represents (as such) a liquid and/or gaseous medium surrounded by a solid shell. For example, in relation to a coated core tablet, this can be a liquid active ingredient encased in a solid that can be digested by humans.

타정기, 특히 회전식 타정기의 다이에 삽입되고 분말 재료로 압축될 수 있는 한, 물체의 구성에는 제한이 없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체는 마이크로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더욱 최근의 기술 발전에 따르면, 마이크로칩은 코어로서 태블릿 내에 압축되고 환자가 대응 태블릿을 복용한 후에 원격 진단을 위한 보조 도구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유리하게는 타정기의 다이에 매우 작은 마이크로칩을 물체로서 삽입할 수 있고, 이를 통해 "스마트" 태블릿이 생산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두께가 1 mm 미만일 수 있는 마이크로칩이 내재된 태블릿은 복용 시간을 포함하여 태블릿 섭취에 대한 확인 신호를 환자 신체 외부의 수신기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모니터링이 가능해진다.There are no restrictions on the configuration of the object, as long as it can be inserted into the die of a tablet press, in particular a rotary tablet press, and compressed into a powder material. 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object can also consist of a microchip. According to more recent technical developments, the microchip can be compressed as a core into the tablet and serve as an auxiliary tool for remote diagnostics after the patient has taken the corresponding tablet.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dvantageously makes it possible to insert very small microchips as objects into the die of a tablet press, whereby "smart" tablets can be produced. In particular, tablets with an integrated microchip, which can for example be less than 1 mm thick, can transmit a confirmation signal about the ingestion of the tablet, including the time of ingestion, to a receiver outside the patient's body, thereby enabling monitoring.

바람직하게는, 물체는 종래의 회전식 타정기에서 물체가 펠릿에 매립될 수 있게 하는 체적을 나타낸다. 물체는 그 가장 큰 치수가 바람직하게는 약 1 mm 내지 30 mm이고, 그 가장 작은 치수가 바람직하게는 약 0.1 mm 내지 10 mm이다. 물체는 이러한 치수 값으로 제한되지 않는다.Preferably, the object exhibits a volume that allows the object to be embedded in a pellet in a conventional rotary press. The object preferably has a largest dimension of about 1 mm to 30 mm, and a smallest dimension of about 0.1 mm to 10 mm. The object is not limited to these dimensional values.

더욱이, 제2 터릿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를 포함한다. 물체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과 함께 회전하며 물체 저장소로부터 물체를 픽업할 수 있다. 그 후, 물체 홀더는 제2 터릿의 실질적으로 반 회전에 걸쳐 물체를 운반할 수 있으며, 마지막으로 바람직하게는 물체를 적어도 하나의 다이 내로 해제할 수 있다. 물체 홀더와 적어도 하나의 다이뿐만 아니라 2개의 터릿은 (특히 물체 또는 물체 홀더의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 제어성을 통해) 물체가 정확한 위치에서 다이에 삽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조절된다. 물체 저장소는 용기로 구성될 수 있거나 또는 컨베이어 벨트 및/또는 이송 휠과 같은 공급 시스템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2 터릿에 관하여, 물체 저장소는 물체가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도입되는 위치의 대략 반대쪽에 위치되어, 물체 홀더가 제2 터릿의 대략 180° 회전에 걸쳐 물체를 유지 또는 운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체 홀더는 물체를 개별적으로 픽업하고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urthermore, the second turret preferably comprises at least one object holder. The object holder preferably rotates together with the second turret and can pick up objects from the object storage. The object holder can then transport the objects over substantially half a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and, finally, preferably, release the objects into at least one die. The object holder and the at least one die as well as the two turrets are adjusted in such a way that the objects can be inserted into the dies at a precise position (in particular through the radial and tangential controllability of the objects or the object holder). The object storage can be configured as a container or can also comprise a feeding system such as a conveyor belt and/or a transfer wheel. With respect to the second turret, the object storage is preferably positioned approximately opposite the position at which the objects are introduced into the at least one die, such that the object holder holds or transports the objects over approximately a 180°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The object holder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dividually pick up objects and to provide them to the at least one die.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물체 홀더는 바람직하게는 물체를 픽업하거나, 유지하거나, 및/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된 유지 수단을 나타낸다. 유지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의 대략 반 회전에 걸친 운반을 위해 물체를 유지하고 물체의 이동 경로가 다이의 이동 경로와 교차하는 구역에 있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물체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유지 수단은 제2 터릿의 높은 회전 속도에서도 고정된 위치에서 물체를 픽업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빠르게 활성화/제어될 수 있다. 또한, 유지 수단은 어떠한 불리한 레이턴시 없이 물체가 물체 저장소로부터 픽업되거나 다이로 해제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수 밀리초 이내에 유지력을 인가하거나 해제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object holder preferably exhibits a holding means configured to pick up, hold and/or release an object. The holding means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old an object for transport over approximately half a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and to release th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in a region where the travel path of the object intersects the travel path of the die. Preferably, the holding means can be activated/controlled sufficiently fast to be able to pick up an object at a fixed position even at high rotational speeds of the second turret. Furthermore, it is preferred that the holding means can apply or release a holding force within, for example, a few milliseconds, so that an object can be picked up from the object storage or released into the die without any disadvantageous latency.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제2 터릿이 커플링 요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커플링 요소는 다음과 같이,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urret comprises a coupling element, the coupling element being:

- 구동 제1 터릿과의 능동 접촉을 통해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을 시작 및/또는 보장하고;- Initiating and/or ensur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through active contact with the driving first turret;

- 적어도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를 기계적으로 힘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configured to mechanically and forcefully control the movement path of at least one object through at least one object holder over at least a rotational angle range of the second turret.

커플링 요소가 존재하는 경우에는 특별한 이점이 수반된다. 커플링 요소는 유리하게는 하나의 구성요소에 2가지 기능, 즉, a)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을 보장 또는 시작하는 기능, 및 b) 물체의 이동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기능을 조합한다. 커플링 요소가 구동 제1 터릿과 능동 접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사실(이는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이 보장함)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유리하게는 자체 구동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무엇보다도, 장치의 구동 장치와 타정기의 구동 장치의 복잡한 동기화가 필요 없다. 또한, 별개의 구동 장치를 생략함으로써 물체를 다이에 삽입하기 위한 장치가 특히 경량이 되고, 따라서 운반하기가 쉬워지며, 특히 다양한 타정기에서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더욱이, 커플링 요소는 동시에 물체 홀더를 통한 물체의 이동 경로를 기계적으로 힘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므로, 물체 홀더의 복잡한 제어 배열이 생략될 수 있다. 말할 것도 없이, 사용되는 구성요소의 수도 감소된다.The presence of a coupling element brings with it special advantages. The coupling element advantageously combines two functions in one component, namely a) the function of ensuring or initiating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and b) the function of influencing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The fact that the coupling element is preferably in active contact with the driving first turret (which is ensured by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means that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advantageously does not require its own drive. This means, among other things, that no complex synchronization of the drive of the device and the drive of the pressing machine is necessary. Furthermore, by omitting a separate drive, the device for inserting the object into the die becomes particularly lightweight and therefore easier to transport and particularly flexible in various pressing machines. Furthermore, since the coupling element is configured to simultaneously mechanically force-control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through the object holder, a complex control arrangement of the object holder can be omitted. Needless to say, the number of components used is also reduced.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커플링 요소는 두 구성요소 사이(여기서는: 예를 들어 제1 터릿과 제2 터릿 사이)에 가장 넓은 의미의 연결을 확립하는 구성요소 또는 조립체이다. 커플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두 구성요소 모두와 (일시적으로) 기계적으로 접촉하여 기계적 연결을 생성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연결은 비접촉식 연결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자석이 기계적 연결을 확립하지 않고도 다른 구성요소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것처럼 효과만이 전달된다. 특히, 이는 능동 연결인 것이 바람직하고, 커플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구성요소와 능동 접촉을 한다. 따라서, 커플링 요소는 두 구성요소 사이의 상호작용(기계적 또는 다른)을 가능하게 한다.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을 보장하기 위해, 커플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1 터릿과 능동 접촉하고, 제1 터릿은 타정기에 포함되며 구동 장치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능동 접촉은 커플링 요소를 제1 터릿의 요소와 기계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달성된다. 커플링 요소는 제1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을 제2 터릿에 전달하는, 예를 들어 톱니 휠, 캠 요소, 커넥팅 로드, 로드 링크, 벨트, 체인 등(이에 제한되지 않음)과 같은 요소를 갖춘 전달 장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coupling element is a component or assembly which establishes a connection in the broadest sense between two components (here: for example between a first turret and a second turret). The coupling element can preferably be in (temporarily) mechanical contact with both components, thereby creating a mechanical connection. Preferably, the connection can also be a non-contact connection, whereby only the effect is transmitted, as for example a magnet can influence another component without establishing a mechanical connection. In particular, it is preferred that this is an active connection, whereby the coupling element preferably comes into active contact with the components. Thus, the coupling element enables an interaction (mechanical or otherwise)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order to ensure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the coupling element is preferably in active contact with the first turret, which is included in the press machine and represents a drive device. For example, the active contact is achieved by mechanically connecting the coupling element with an element of the first turret. The coupling element may take the form of a transmission device having elements such as, but not limited to, a gear wheel, a cam element, a connecting rod, a load link, a belt, a chain, etc., which transmi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turret to the second turret.

제1 터릿이 회전하기 시작하면, 힘은 커플링 요소에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결국 힘은 제2 터릿으로 전달된다. 이를 통해, 유리하게는 제2 터릿도 회전 방향 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커플링 요소는 마찰 또는 변형을 통해 에너지가 거의 손실되지 않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2 터릿은 커플링 요소를 통해 회전 운동으로 설정될 수 있으며, 또한 타정기의 제1 터릿이 회전하고 있는 한 이 회전 운동을 유지할 수 있다.When the first turret starts to rotate, the force is preferably transmitted to the coupling element, which in turn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urret. This advantageously enables the second turret to also perform a rotational movement. The coupling element is preferably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little energy is lost through friction or deformation. Thus, the second turret can be set into a rotational movement via the coupling element, and can also maintain this rotational movement as long as the first turret of the press is rotating.

더욱이, 커플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물체 홀더를 통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를 힘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관련하여, 커플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와 물체 홀더 사이에 기계적, 유압적 및/또는 전기적 링크를 확립하는 수단을 나타낸다. 커플링 요소는 이 링크를 통해 물체 홀더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특히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를 조작할 수 있다.Furthermore, the coupling elemen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force-control the movement path of at least one object through the object holder. In this regard, the coupling element preferably represents means for establishing a mechanical, hydraulic and/or electrical link between the coupling element and the object holder. The coupling element can influence the object holder via this link, in particular manipulating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object.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가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커플링 요소에 능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커플링 요소는 제1 터릿과의 능동 접촉을 통해 커플링 이동을 수용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는 미리 결정된 공간 방향으로, 즉, 커플링 이동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와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다. 특히,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한 이러한 구성은 적은 수의 구성요소로 물체의 이동 경로를 제어할 수 있는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커플링 요소의 이동, 즉, 커플링 이동은 물체 홀더를 통한 물체의 이동 경로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 가이드 메커니즘은 적어도 하나의 다이가 배열된 제1 터릿과 커플링 요소를 통한 물체의 이동 경로 사이의 상호작용을 확립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bject holder is actively connected to the coupling element via a guide mechanism, the coupling element being capable of receiving a coupling movement via active contact with the first turret,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object being capable of being deflected in a predetermined spatial direction, i.e. radially and tangentially in relation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via the at least one object holder and the guide mechanism in the form of a coupling movement. In particular, this configuration via the guide mechanism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ive and efficient device for controlling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with a small number of components. Via the guide mechanism,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element, i.e. the coupling movement, directly influences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via the object holder. The guide mechanism establishes an interaction between the first turret, on which at least one die is arranged,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via the coupling element.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는 제1 터릿과의 결합과 같은 능동 접촉에 의해 커플링 요소에 부과되는 커플링 이동을 취할 수 있다. 가이드 메커니즘으로 인해, 커플링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물체 홀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따라서 물체의 이동 경로에도 영향을 미친다. 특히, 커플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물체 홀더의 이동 및 이에 대응하여 물체와 그 이동을 결정한다. 예를 들어, 커플링 요소는 접선 방향 및/또는 반경 방향 편향을 겪을 수 있고, 이러한 편향은 물체 홀더에 직접적으로, 즉, 동시에 전달되는 공간 방향을 취한다.Preferably, the coupling element can take on a coupling movement imposed on the coupling element by an active contact, such as engagement with the first turret. Due to the guiding mechanism, the coupling movement preferably has a direct effect on the object holder and thus also on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In particular, the coupling element preferably determines the movement of the object holder and thereby the object and its movement. For example, the coupling element can experience a tangential and/or radial deflection, which deflection takes on a spatial direction that is directly, i.e. simultaneously, transmitted to the object holder.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가이드 메커니즘은 힘을 전달하고 이동 경로 상의 물체 홀더 또는 물체를 제어하도록 설정된 구성요소 또는 조립체이다. 특히, 가이드 메커니즘은 커플링 요소의 커플링 이동을 물체 홀더에 전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체의 이동 경로가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가이드 메커니즘은 바람직하게는 유압, 공압, 전기 및/또는 기계 구성요소(이에 제한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a guide mechanism is a component or assembly configured to transmit force and control an object holder or an object along a path of movement. In particular, the guide mechanism can transmit a coupling movement of a coupling element to the object holder, thereby influencing the path of movement of the object. The guide mechanism can preferably include (but is not limited to) hydraulic, pneumatic, electrical and/or mechanical components.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커플링 요소가 커플링 헤드를 갖는 막대(rod) 형상의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커플링 부재는 제2 터릿의 한쪽에 장착되고, 커플링 부재는 커플링 헤드가 반경 방향으로 외향을 가리키도록 정렬되고 제1 터릿의 구성요소에 맞게 구조적으로 조정되며, 이를 통해 커플링 헤드는 제1 터릿의 회전식 이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제1 터릿의 구성요소와 결합될 수 있다. 커플링 요소의 이러한 구성은 그 설계가 특히 간단하다.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상승적으로 상호 작용하는 복수의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부재를 나타내며, 제1 터릿의 구성요소와 결합하여 제2 터릿의 회전을 설정할 수 있다. 각 커플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이 회전하는 동안 회전 각도 범위, 예를 들어 약 10° 내지 30°에 걸쳐 제1 터릿의 구성요소를 기계적으로 픽업함으로써 제1 터릿과 일시적으로 능동 접촉하게 된다. 커플링 요소와의 결합의 결과로서, 힘이 제2 터릿에 전달되고, 이로 인해 제2 터릿이 특정 양만큼 회전한다. 커플링 요소는 제1 터릿의 구성요소와 차례로 능동 접촉하여 구성요소와 커플링 요소 사이의 각 상호작용이 제2 터릿에 특정 힘을 인가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element comprises a rod-shaped coupling member having a coupling head, the coupling member being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turret, the coupling member being aligned such that the coupling head points radially outward and is structurally adapted to a component of the first turret, by means of which the coupling head can engage with a component of the first turret such that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turret can be transmitted. This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element is particularly simple in its design. The device preferably represents a plurality of synergistically interacting coupling elements or coupling members, which can engage with the components of the first turret to set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Each coupling element preferably comes into temporary active contact with the first turret by mechanically picking up a component of the first turret over a rotational angle range, for example about 10° to 30°, during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As a result of the engagement with the coupling element, a force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turret, which causes the second turret to rotate by a certain amoun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upling elements are in active contact with the components of the first turret in turn, such that each interaction between the components and the coupling elements applies a specific force to the second turret.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링 요소는 막대 형상의 커플링 부재를 포함한다. 한편으로는 가능한 한 거의 손실 없이 힘을 전달하기에 매우 적합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제안된 대로 한쪽에 2가지 자유도(접선 방향으로 피봇 가능 및 반경 방향으로 변위 가능)로 장착되는 경우, 특히 균일한 결합이 가능하기 때문에, 막대 형상의 커플링 부재가 사용하기에 특히 유리하다. 커플링 요소는 비교적 높은 강성을 가지고 있으며 금속 또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으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막대 형상의 커플링 요소를 사용하는 것이 또한 바람직하다. 조절성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가 복수의 다양한 타정기, 특히 다양한 크기의 터릿을 갖춘 타정기에 다양하게 사용될 수 있게 하며, 다양한 기계별 요구 사항에 맞게 조정될 수 있게 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upling element comprises a rod-shaped coupling element. The rod-shaped coupling element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use, since on the one hand it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transmitting forces with as little loss as possible, and on the other hand, when mounted on one side with two degrees of freedom (tangentially pivotable and radially displaceable), a particularly uniform coupling is possible. The coupling element has a relatively high rigidity and is preferably made of metal or fiber-reinforced plastic. It is also advantageous to use a rod-shaped coupling element whose length can be adjusted. The adjustability allows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o be used in a variety of different presses, in particular presses with turrets of different sizes, and to be adapted to different machine-specific requirements.

본 발명에 따르면, 커플링 헤드는 커플링 부재의 단부 부분으로 배열되는 구성요소이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oupling head is a component arranged at an end portion of a coupling member.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링 부재와 커플링 헤드는 바람직하게는 단일 구성요소로부터 분리할 수 없는 유닛으로 생산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커플링 부재와 커플링 헤드는 한편으로는 큰 손실 없이 힘과 토크를 전달할 수 있도록 특히 높은 강성을 가진 재료로 제조되고, 다른 한편으로, 적어도 표면은 터릿의 구성요소가 결합될 때 타정기에 심각한 마모가 발생하지 않도록 충분한 연성/탄성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와 커플링 헤드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으로 제조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head are preferably produced as an inseparable unit from a single component. In this context, it is preferred that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head are manufactured from a material having particularly high rigidity, on the one hand, so that forces and torques can be transmitted without significant losses, and on the other hand, at least the surfaces are sufficiently ductile/elastic, so that no significant wear occurs in the press when the components of the turret are joined. Preferably, the coupling member and the coupling head are manufactured from a fibre-reinforced plastic.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커플링 헤드는 또한 분리 가능하게 커플링 요소에 연결될 수 있으므로, 잡아야 할 구성요소에 따라, 타정기에서 교체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다양한 타정기에 사용할 수 있다. 더욱이, 이는 또한 전체 커플링 요소를 교체하지 않고도 마모된 커플링 헤드를 특히 쉽게 교체할 수 있게 한다. 특히, 커플링 헤드는 커플링 요소와 다른 유형의 재료를 나타낼 수 있다. 커플링 헤드와 타정기에서 픽업될 구성요소 사이의 적절한 재료 페어링은 특히 내구성이 뛰어난 커플링 요소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커플링 헤드는 특히 탄성이 있는 재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결과적으로 타정기의 구성요소와 결합할 때 마모를 거의 발생하지 않지만, 반면에 커플링 요소는 유리하게는 이동과 힘을 전달할 수 있도록 특히 단단하게 설계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coupling head can also be detach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element, so that, depending on the component to be picked up, it can be replaced in the press, thus making it possible to use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various presses. Furthermore, this also makes it particularly easy to replace a worn-out coupling head without having to replace the entire coupling element. In particular, the coupling head can represent a different type of material than the coupling element. A suitable material pairing between the coupling head and the component to be picked up in the press makes it possible to provide a particularly durable coupling element. For example, the coupling head can comprise a particularly elastic material, which as a result causes little wear when engaging with the component of the press, while the coupling element is advantageously designed to be particularly rigid in order to transmit movements and forces.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에 의해 픽업되는 구성요소는 타정기의 터릿에 장착된 요소이다. 따라서, 구성요소는 원형 경로에서 터릿의 축 주위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Preferably, the component picked up by the coupling element is an element mounted on the turret of the press machine. Accordingly, it is preferred that the component rotates around the axis of the turret in a circular path.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커플링 헤드가 바람직하게는 제1 터릿의 하부 펀치의 생크 직경과 일치하는 포크를 포함하여, 포크가 하부 펀치의 생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포크로서의 커플링 헤드의 구성은 반경 방향과 접선 방향(제2 터릿의 회전과 관련됨)으로 힘을 수용하고 전달하는 데 특히 유리하게 만든다. 특히, 접선 방향으로 수용되는 힘은 제2 터릿에 작용하는 토크를 생성하고 유리하게는 이를 구동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ead comprises a fork, preferably having a shank diameter matching that of the lower punch of the first turret, such that the fork can receive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The configuration of the coupling head as a fork makes it particularly advantageous for receiving and transmitting forces in the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 (related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In particular, the force received in the tangential direction generates a torque acting on the second turret and advantageously drives it.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포크는 일 단부에 연장부가 있는 막대 형상의 요소를 포함하는 구성요소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포크는 하부 펀치의 생크가 수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서로 이격된 2개의 연장부를 나타낸다. 비유적인 의미로, 포크는 카빙 포크(carving fork)의 구성을 나타낼 수 있으며, 연장부 또는 갈래는 대략 하부 펀치의 생크 직경만큼 멀리 이격된다. (도 2 또는 도 3을 또한 참조)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ork is preferably a component comprising a rod-shaped element having an extension at one end. Preferably, the fork represents two extens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such a way that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can be received. In a metaphorical sense, the fork may represent the configuration of a carving fork, with the extensions or prongs being spaced apart approximately as far apart as the shank diameter of the lower punch. (See also FIG. 2 or FIG. 3)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물체 홀더가 제2 터릿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는 유지 요소를 갖는 그리퍼 아암을 포함하고, 유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형태결합(positive) 연결 및/또는 마찰(frictional) 연결 방식으로 물체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퍼 아암의 사용은 특히 물체를 다이에 삽입하는 데 적합하고, 이는 복수의 다른 그리퍼 아암과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기 때문이며, 특히, 물체의 접선 방향 편향 또는 그리퍼 아암의 피봇 동작에 대한 충분한 이동 자유도는 각각의 그리퍼 아암을 이격시킴으로써 여전히 보장될 수 있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comprises a gripper arm having a retaining element which is radially mounted on the second turret, the retaining element being preferably configured to retain the object in a positive connection and/or a frictional connection. The use of the gripper arm is particularly suitable for inserting the object into the die, since it can be used in combination with a plurality of other gripper arms, in particular, a sufficient freedom of movement for the tangential deflection of the object or for the pivoting movement of the gripper arms can still be ensured by spacing the individual gripper arms apart.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리퍼 아암은 실질적으로 막대 형상의 구성요소로서,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고, 터릿에서 먼 쪽을 향하는 단부에 유지 요소가 배열된다. 전술된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그리퍼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부재의 커플링 이동에 의해 영향을 받고, 특히, 커플링 이동은 그리퍼 아암의 반경 방향 변위 및 피봇 능력을 결정한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gripper arm is a substantially rod-shaped component, preferably mounted radially on the second turret and having a retaining element arranged at its end facing away from the turret. Via the above-described guiding mechanism, the gripper arm is preferably influenced by a coupling movement of the coupling element or coupling member, in particular the coupling movement determines the radial displacement and the pivoting ability of the gripper arm.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유지 요소는 유지 수단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간주될 수 있다. 유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형태결합 연결 및/또는 마찰 연결 방식으로 물체를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유지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기계식, 공압식, 전기공압식, 유압식, 전기식 및/또는 자기식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따라서, 유지 요소는, 예를 들어 물체를 마찰식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유지하는 집게를 나타내는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지 요소는 음압을 발생시키고 따라서 마찰식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물체를 유지하는 수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리퍼 아암은, 그 자체이거나 또는 특히, 유지 요소가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정확하게 픽업하거나 및/또는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위치에서 유지 요소가 조절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taining element can be considered as a preferred embodiment of a retaining means. The retaining element is preferably configured to retain an object in a form-fitting connection and/or a frictional connection manner. In this context, the retaining element preferably comprises mechanical, pneumatic, electropneumatic, hydraulic, electrical and/or magnetic components. Thus, the retaining element can be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it represents a gripper, for example, which retains an object in a frictionally connected manner. Alternatively, the retaining element can represent a means for generating a negative pressure and thus retaining an object in a frictionally connected manner. In this context, it is preferred that the gripper arm itself or in particular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retaining element can be adjusted in a height position such that the retaining element can accurately pick up and/or place at least one object.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과 관련하여 커플링 요소,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의 접선 방향 및 반경 방향 편향이 그리퍼 아암에 직접 전달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리퍼 아암이 커플링 요소,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편향의 직접적인 전달, 즉, 레이턴시 없는 전달은 그리퍼 아암 또는 물체의 이동 경로와 적어도 하나의 다이 또는 그 이동 경로의 특히 양호한 동기화를 수반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er arm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element, preferably the coupling member, in such a way that the tangential and radial deflection of the coupling element, preferably the coupling member,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gripper arm. In particular, the direct, i.e. latency-free, transmission of the deflection entails a particularly good synchroniza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gripper arm or of the object with the movement path of at least one die or its.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리퍼 아암과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부재의 기계적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이와 관련하여, 바람직하게는 수평으로 정렬되며 제2 터릿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는 그리퍼 아암과 커플링 부재에 실질적으로 직교로 배향되는 볼트를 포함한다. 볼트는 특히 커플링 부재의 이동이 그리퍼 아암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커플링 부재로부터 그리퍼 아암으로 힘을 전달하는 데 사용된다. 볼트는 그리퍼 아암 및 커플링 요소에 단단히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참조)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gripper arm and the coupling element or coupling member preferably comprises a bolt which is oriented substantially orthogonally to the gripper arm and the coupling member, which is preferably horizontally aligned and radially mounted on the second turret. The bolt is used in particular to transmit forces from the coupling member to the gripper arm, such that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member can be adjusted by the gripper arm. The bolt is preferably rigidly connected to the gripper arm and the coupling element. (see Fig. 5)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제2 터릿이 물체 홀더에 포함된 유지 수단을 높이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가이드 곡선은 바람직하게는 유지 수단이(또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도) 이 가이드 캠을 따라 힘으로 제어되거나 안내되도록 제2 터릿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유형의 가이드 캠은, 예를 들어 회전식 타정기에서 상부 및 하부 펀치를 안내하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urret comprises a guide cam configured to guide the holding means included in the object holder into a height position. The guide curve is preferably arranged circumferentially on the second turret such that the holding means (or preferably also the holding element) is force-controlled or guided along this guide cam. Guide cams of this type are also known, for example, for guiding upper and lower punches in rotary presses.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그리퍼 아암에 포함된 유지 요소는 제2 터릿의 가이드 캠에 의해 높이 위치에서 안내될 수 있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retaining element included in the gripper arm can be guided in a height position by a guide cam of the second turret.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물체 홀더와 커플링 요소가 제2 터릿에 탄력적으로 장착되고 스프링 예비하중을 통해 제2 터릿의 회전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시작 위치로 안내될 수 있고, 한편, 물체 홀더와 커플링 요소가 반경 방향 시작 위치에서 제2 터릿의 회전과 관련하여 접선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최대 2°의 각도로 피봇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물체 홀더와 커플링 요소는 막대 형상이며 그에 따라 제2 터릿의 한쪽에 장착된다. 막대 형상의 요소는, 제2 터릿의 중심에서 시작하여, 이제 물체 홀더 또는 커플링 요소의 단부가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과 관련하여 대략 접선 방향 이동을 수행하도록 피봇될 수 있다. 커플링 요소를 최대 약 2°만큼 피봇시키는 것은 타정기의 터릿(제1 터릿)으로부터 장치의 터릿(제2 터릿)으로 충분히 효율적인 동력 전달을 유지하면서 균일한 결합 측면에서 특히 유리하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holder and the coupling element are elastically mounted on the second turret and can be guided into a radial starting position relativ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via a spring preload, while the object holder and the coupling element can pivot tangentially relativ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from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preferably by an angle of at most 2°. Preferably, the object holder and the coupling element are rod-shaped and are therefore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turret. The rod-shaped element can now pivot such that, starting from the centre of the second turret, the end of the object holder or the coupling element performs an approximately tangential movement relativ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The pivoting of the coupling element by at most about 2°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erms of a uniform coupling while maintaining a sufficiently efficient power transmission from the turret of the press (first turret) to the turret of the device (second turret).

반경 방향 시작 위치에서, 물체 홀더와 커플링 요소는 가능한 한 멀리 반경 방향으로 밀려나고 스프링 예비하중에 의해 이 시작 위치에서 안내되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위치에서 물체 홀더와 커플링 요소는 접선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으므로, 구성요소를 수용할 때 먼저 커플링 요소를 바람직하게는 2°만큼 피봇시키고 나서, 제2 터릿을 구동하는 커플링 요소에 힘을 인가하는 것 만으로, 타정기의 회전 구성요소를 균등하게 픽업할 수 있는 것이 유리하다.In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it is advantageous if the object holder and the coupling element are pushed radially as far as possible and remain guided in this starting position by the spring preload. In this position, the object holder and the coupling element can pivot tangentially, so that when accepting the component, it is advantageous if the rotating component of the press can be picked up evenly only by first pivoting the coupling element, preferably by 2°, and then applying a force to the coupling element which drives the second turret.

더욱이, 탄력 있는 장착은, 특히 물체 홀더와 커플링 요소의 부드럽고 비발작적인 이동을 가능하게 하며, 이는 무엇보다도, 물체가 유지 수단 또는 유지 요소에 의해 특히 안전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Furthermore, the elastic mounting enables a particularly smooth and non-twitchy movement of the object holder and the coupling element, which means, among other things, that the object can be held particularly securely by the holding means or holding element.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커플링 요소가 제1 터릿과 능동 접촉할 때 물체 홀더와 커플링 요소가 픽업 위치로 이송될 수 있으며,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is such that the object holder and the coupling element can be moved to a pick-up position when the coupling element is in active contact with the first turret,

- 커플링 부재와 그리퍼 아암은 시작 위치에서 가능한 최대 반경 방향 편향 및 접선 방향 이동성을 갖는 반면, 그리핑 위치에서의 반경 방향 편향 및 접선 방향 이동성은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최소로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나서 다시 반경 방향 시작 위치 및 가능한 최대 접선 방향 이동성으로 증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ing member and the gripper arm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a maximum possible radial deflection and tangential travel in the starting position, while the radial deflection and tangential travel in the gripping position are continuously reduced to a minimum over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second turret and then can be increased again to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and the maximum possible tangential travel.

이러한 실시예의 이점은, 특히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부재가 단순화된 방식으로 시작 위치로부터 픽업 위치에 도달할 수 있다는 점이다.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부재가 시작 위치에서 제2 터릿의 회전에 대해 접선 방향 이동성을 갖는다는 사실로 인해, 접선 방향 이동성은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의 단부 부분과 관련되고,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부재가 픽업될 구성요소(예를 들어, 하부 펀치)로 정확히 이동될 필요가 없도록 특정 양의 유극이 존재한다.An advantage of this embodiment is that in particular the coupling element or coupling member can reach the pick-up position from the starting position in a simplified manner. Due to the fact that the coupling element or coupling member has a tangential movement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in the starting position, the tangential movement preferably relates to an end portion of the coupling member, and a certain amount of play is present so that the coupling element or coupling member does not have to be moved exactly to the component to be picked up (e.g. the lower punch).

물체 홀더에 포함된 그리퍼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와 동일한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 이동을 동시에 수행한다. 이는 한편으로는 간단한 기계적 가이드 메커니즘이 그리퍼 아암의 이러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동시에 이것이 픽업될 구성요소, 바람직하게는 하부 펀치가 이미 다이의 정확한 위치를 지정하고 있다는 사실을 활용하기 때문에, 특히 본 발명의 장치의 설계를 단순화한다. 알려진 바와 같이, 하부 펀치는 중앙 위치에서 아래에서부터 다이로 삽입되는 방식으로 타정기의 터릿에 배열된다.The gripper arm incorporated in the object holder preferably performs simultaneously the same radial and tangential movements as the coupling member. This simplifies the design of the device of the invention in particular, since on the one hand a simple mechanical guiding mechanism enables this movement of the gripper arm and on the other hand it simultaneously utilizes the fact that the component to be picked up, preferably the lower punch, already specifies the exact position of the die. As is known, the lower punch is arranged in the turret of the press machine in such a way that it is inserted into the die from below in a central position.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픽업 위치는 커플링 부재가 제1 터릿과 능동 접촉할 때,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 또는 커플링 헤드가 타정기의 하부 펀치와 접촉할 때의 단계 동안 두 장치 요소 모두에 의해 취해지는 물체 홀더 또는 커플링 요소의 위치로서 정의되거나 또한 위치 순서로 정의된다. 픽업 위치는 지속적으로 변경될 수 있으며, 픽업 위치는 바람직하게는 물체가 다이의 이동 경로를 동기적으로 교차하는 전체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우선하기 때문에, 픽업 위치를 또한 픽업 단계라고 지칭할 수도 있다. 픽업 위치에 있는 동안, 커플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타정기의 회전 구성요소와 접촉하게 된다. 타정기의 터릿(제1 터릿)은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터릿(제2 터릿)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구성요소, 바람직하게는 하부 펀치가 커플링 부재 또는 커플링 헤드와 접촉하게 되면, 커플링 부재가 동반되고, 동반되는 동안 구성요소 또는 하부 펀치는 커플링 부재가 최소 반경 방향 편향에 도달할 때까지 커플링 부재를 제2 터릿의 회전축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가압한다. 물체 홀더 또는 그리퍼 아암은 동일한 접선 방향 및 반경 방향 이동을 수행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제안된 장치는 바람직하게는 최소 반경 방향 편향에서 접선 방향 이동을 방지하거나 불가능하게 만드는 커플링 요소에 대한 베어링을 나타낸다. 커플링 부재가 최소 반경 방향 편향에 도달한 후에, 타정기의 구성요소, 바람직하게는 하부 펀치는 계속 회전하고 커플링 부재를 계속 안내한다. 한편, 바람직하게는 베어링에 포함되는 스프링은 커플링 요소를 최소 반경 방향 편향에서 다시 시작 위치를 향해 밀어내고, 접선 방향 이동성이 다시 증가한다.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ick-up position is defined as the position of the object holder or the coupling element which is taken up by both device elements during the step when the coupling element is in active contact with the first turret, preferably when the coupling element or the coupling head is in contact with the lower punch of the pressing machine, or is also defined as the position sequence. The pick-up position can be changed continuously, and since the pick-up position preferably prevails over the entire rotational angle range in which the object synchronously intersects the travel path of the die, the pick-up position can also be referred to as the pick-up step. While in the pick-up position, the coupling element preferably comes into contact with a rotating component of the pressing machine. The turret of the pressing machine (the first turret) preferably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urre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second turret). When the component, preferably the lower pun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upling element or the coupling head, the coupling element is accompanied, and during the accompanying, the component or the lower punch presses the coupling element radially against the rotational axis of the second turret until the coupling element reaches a minimum radial deflection. The object holder or gripper arm is understood to perform identical tangential and radial movements. The proposed device preferably represents a bearing for the coupling element which prevents or makes impossible the tangential movement at a minimum radial deflection. After the coupling element has reached the minimum radial deflection, a component of the setting machine, preferably the lower punch, continues to rotate and continues to guide the coupling element. Meanwhile, a spring, preferably incorporated in the bearing, pushes the coupling element again towards the starting position at the minimum radial deflection, and the tangential movement increases again.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초기 반경 방향 위치와 최소 반경 방향 편향 사이의 차이가 대략 1 mm와 30 mm 사이, 바람직하게는 대략 5 mm와 20 mm 사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리하게는, 설명된 차이 값은 타정기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관하여 물체의 이동 경로를 재현하기에 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반경 방향 편향의 값은 유연한 반경 방향 변경 가능성뿐만 아니라 안정적인 안내도 허용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radial position and the minimum radial deflection is between about 1 mm and 30 mm, preferably between about 5 mm and 20 mm. Advantageously, the described difference values have been found to be sufficient to reproduce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with respect to at least one die of the press. In particular, the values of the radial deflection allow not only a flexible radial changeability, but also a stable guidance.

반경 방향 시작 위치와 최소 반경 방향 편향은 바람직하게는 물체 홀더 또는 그리퍼 아암 또는 물체의 반경 방향 위치 및/또는 커플링 요소 또는 커플링 부재 또는 커플링 헤드의 위치를 지칭한다. 초기 반경 방향 위치는 제2 터릿의 중심에서 시작하여 가능한 가장 큰 외향 변위를 갖는 앞서 언급한 장치 요소의 위치를 설명한다. 반면, 최소 편향은 터릿의 중심에서 시작하여 가능한 가장 작은 반경 방향 변위를 설명한다. 달리 말하면, 앞서 언급한 장치 요소의 단부 부분은 초기 위치에서 터릿 중심으로부터 최대 거리를 나타내는 반면, 단부 부분은 최소 반경 방향 편향에서 최소 거리를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두 위치 사이의 차이는 약 1 mm와 약 30 mm 사이,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5 mm와 약 20 mm 사이일 수 있다.The radial starting position and the minimum radial deflection preferably refer to the radial position of the object holder or the gripper arm or the object and/or to the position of the coupling element or the coupling member or the coupling head. The initial radial position describes the position of the aforementioned device element with the largest possible outward displacement starting from the center of the second turret. On the other hand, the minimum deflection describes the smallest possible radial displacement starting from the center of the turret. In other words, the end portion of the aforementioned device element exhibits the largest distance from the turret center in the initial position, whereas the end portion exhibits the smallest distance at the minimum radial deflection. Preferably,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positions can be between about 1 mm and about 30 mm, more preferably between about 5 mm and about 20 mm.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커플링 부재, 그리퍼 아암 및 기계적 연결부가 제1 스프링 요소와 제2 스프링 요소를 통해 제2 터릿에 장착되며, 이때 제1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시작 위치를 나타내는 반면, 제2 스프링 요소는 강성을 통해 접선 방향 이동성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제1 스프링 요소는 반경 방향 스프링이라고도 지칭될 수 있고, 한편 제2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접선 방향 스프링이다.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 스프링 요소를 제공하면, 특히 타정기의 구성요소와 특정 곡선 정확도로 결합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더욱이, 스프링은 각 회전 후에 추가의 결합이 반복적으로 가능하도록, 인가된 예비하중으로 인해 커플링 요소와 그리퍼 아암이 그 시작 위치로 복귀할 수 있게 한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member, the gripper arm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are mounted on a second turret via a first spring element and a second spring element, wherein the first spring element preferably defines a radial starting position, whereas the second spring element defines a tangential movement via its rigidity. The first spring element may therefore also be referred to as a radial spring, whereas the second spring element is preferably a tangential spring. The provision of radial and tangential spring elements makes it possible in particular to engage components of the press with a particular curve accuracy. Furthermore, the springs enable the coupling element and the gripper arm to return to their starting position due to the applied preload after each rotation, so that further engagement is repeatedly possible.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스프링 요소는 코일 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은 커플링 요소와 그리퍼 아암이 이 스프링에 의해 동등하게 영향을 받도록 기계적 연결로 결합된다. 제1 스프링에는 바람직하게는 예비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힘이 커플링 요소, 그리퍼 아암 및 기계적 연결부에 그 초기 위치의 방향으로 작용한다. 코일 스프링은 커플링 요소, 그리퍼 아암 및 기계적 연결부를 초기 위치로 안내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결합 동안, 커플링 부재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에 힘이 인가되므로,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고 커플링 부재, 그리퍼 아암 및 기계적 연결부가 터릿 중심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변위된다. 코일 스프링 대신 공압 스프링 및/또는 일정 압력 시스템을 사용하는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도 가능하다.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first spring element consists of a coil spring. Preferably, the coil spring is connected by a mechanical connection such that the coupling element and the gripper arm are equally influenced by this spring. The first spring is preferably preloaded, so that a force acts on the coupling element, the gripper arm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in the direction of their initial position. It is understood that the coil spring guides the coupling element, the gripper arm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into the initial position. During the connection, a force is applied radially to the coil spring via the coupling element, so that the coil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coupling element, the gripper arm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are displaced radially in the direction of the turret center. Other preferred embodiments are also possible, in which a pneumatic spring and/or a constant pressure system are used instead of the coil spring.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스프링 요소는 굽힘 막대 또는 굽힘 빔이고, 이는 슬리브 요소의 한쪽에 1자유도로 장착되며, 결국 터릿에 부착된다. 그에 따라 굽힘 막대 또는 굽힘 빔은 슬리브 요소에 의해 안내된다. 바람직하게는, 굽힘 바 또는 굽힘 빔은 터릿을 향한 커플링 요소의 단부에 부착되고 슬리브 요소 밖으로 (부분적으로) 밀려나올 수 있다. 커플링 요소의 반경 방향 시작 위치에서, 굽힘 바 또는 굽힘 빔은 굽힘 모멘트가 작용하면 굽혀지도록 슬리브 요소 밖으로 가능한 한 멀리 밀려나온다. 결합 동안, 커플링 요소는 타정기의 구성요소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하부 펀치에 의해 접선 방향 힘을 받는다. 이 힘은 굽힘 바 또는 굽힘 빔에 굽힘 토크를 발생시키고 굽힘을 야기하며, 이를 통해 커플링 요소가 접선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또한, 픽업 프로세스 동안 커플링 요소가 슬리브 요소에 반경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는 굽힘 바가 슬리브 요소에 완전히 삽입되어 더 이상 굽힘이 가능하지 않을 정도로 굽혀지기 더 어렵게 만든다. 굽힘 바 또는 굽힘 빔이 더 이상 굽혀질 수 없게 되면, 커플링 요소의 접선 방향 이동도 불가능하다. 그에 따라 접선 방향 이동성은 굽힘 바 또는 굽힘 빔의 강성에 의해 결정된다. 굽힘 바가 더 단단할수록 시작 위치에서의 접선 방향 이동성이 더 낮아지거나, 또는 원하는 이동성을 달성하기 위해 더 많은 힘이 인가되어야 한다.In ano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spring element is a bending bar or a bending beam, which is mounted with one degree of freedom on one side of the sleeve element and is ultimately attached to the turret. The bending bar or the bending beam is thereby guided by the sleeve element. Preferably, the bending bar or the bending beam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coupling element facing the turret and can be (partially) pushed out of the sleeve element. At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of the coupling element, the bending bar or the bending beam is pushed out of the sleeve element as far as possible so that it bends when a bending moment acts. During engagement, the coupling element is subjected to a tangential force by a component of the press, preferably by the lower punch. This force generates a bending torque in the bending bar or the bending beam and causes a bending, by means of which the coupling element can pivot tangentially. Furthermore, during the pick-up process, the coupling element is pressed radially against the sleeve element,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for the bending bar to be fully inserted into the sleeve element and thus no longer bendable. When the bending bar or beam can no longer bend, the tangential movement of the coupling element is also impossible. The tangential mobility is therefore determined by the stiffness of the bending bar or beam. The stiffer the bending bar, the lower the tangential mobility from the starting position, or the more force must be applied to achieve the desired mobility.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2 스프링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굽힘 막대 또는 굽힘 빔과 슬리브 요소의 조합이고, 슬리브 요소는 바람직하게는 굽힘 막대 또는 굽힘 빔에 1자유도로 장착된다. 앞서 언급된 실시예와 달리, 굽힘 바 또는 굽힘 빔은 바람직한 장치의 터릿에 반경 방향으로 움직이지 않게 장착되고, 한편 슬리브 요소는 커플링 부재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슬리브 요소는 자체 내에 굽힘 바 또는 굽힘 빔을 수용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굽힘 바 또는 굽힘 빔 위로 이동 가능하게 안내되므로, 앞서 언급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슬리브 요소가 자체 내에 전체 굽힘 바를 수용하는 경우에는 굽힘 바 또는 굽힘 빔의 굽힘이 더 어려워진다(도 5 참조).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second spring element is preferably a combination of a bending bar or a bending beam and a sleeve element, the sleeve element being preferably mounted in one degree of freedom on the bending bar or the bending beam. In contrast to the previously mentioned embodiments, the bending bar or the bending beam is preferably mounted radially immovably on the turret of the preferred device, whereas the sleeve element is preferably fixed to the coupling member. Furthermore, the sleeve element can accommodate the bending bar or the bending beam within itself and is thus guided movably over the bending bar or the bending beam, so that, as in the previously mentioned embodiments, the bending of the bending bar or the bending beam is made more difficult (see also FIG. 5 ).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가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를 통해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에 관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가 적어도 약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약 2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회전 각도 범위는 바람직하게는 다이의 이동 경로와 물체의 이동 경로의 교차점에 의해 정의된다. 이것을 접선 방향 또는 반경 방향으로 제어할 수 없으면, 물체는 제2 회전축 주위의 시작 위치에서 계속 회전하게 된다. 명시된 회전 각도 범위는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서 물체가 정확하게 위치될 수 있는 방식으로 물체를 제어하기에 이미 충분하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device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urret has a rotational angular range of at least about 10°, preferably at least about 20°, in which the movement path of at least one object can be controlled radially an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via the at least one object holder. The rotational angular range is preferably defined by the intersection of the movement path of the die and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If this cannot be controlled tangentially or radially, the object would continue to rotate around its starting position around the second rotational axis. The specified rotational angular range is already sufficient to control the object in such a way that the object can be positioned precisely in the at least one die.

이 문서에 설명된 값 및 파라미터와, 다른 모든 파라미터는 바람직하게는 정확한 파라미터가 아니라, "대략" 이러한 값 또는 파라미터를 취하는 파라미터이다.The values and parameters described in this document, and all other parameters, are preferably not exact parameters, but parameters that take "approximately" these values or parameters.

"실질적으로", "거의", "약", "대략" 등과 같은 용어는 바람직하게는 ± 40% 미만, 바람직하게는 ± 20% 미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 10% 미만, 훨씬 더 바람직하게는 ± 5% 미만, 그리고 특히 ± 1% 미만의 허용 오차 범위를 설명하며 항상 정확한 값을 포함한다. "유사"는 바람직하게는 "대략적으로 같은" 수량을 설명한다. "부분적"은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 특히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그리고 특별히 적어도 20%, 일부 경우에는 적어도 40%를 설명한다.Terms like "substantially", "approximately", "about", "approximately" etc. describe a tolerance of preferably less than ± 40%, preferably less than ± 20%, particularly preferably less than ± 10%, even more preferably less than ± 5% and in particular less than ± 1% and always include the exact value. "Similar" preferably describes a "roughly the same" quantity. "Partial" preferably describes at least 5%, particularly preferably at least 10%, and especially at least 20% and in some cases at least 40%.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다음을 포함하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stem comprising:

a.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터릿의 기준 원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다이를 포함하는 타정기, 및 a. A die press comprising at least one die arranged on a reference circle of a turret driven to rotate about a first rotational axis, and

b.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타정기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삽입하기 위한 전술된 유형의 장치. b. A device of the above-described typ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the pressing machine.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라면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맥락에서 설명된 이점, 기술적 효과 및 바람직한 실시예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도 유사하게 적용된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시스템의 맥락에서 설명된 모든 이점, 기술적 효과 및 바람직한 실시예는 장치로 이전될 수 있다.A person skilled in the art will recognize that the advantages, technical effects and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re similarly applicable to th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Likewise, all the advantages, technical effects and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in the context of the system can be transferred to the device.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맥락에서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리퍼 아암은 바람직하게는 위아래로 이동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에 대해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도 이동할 수 있는 방식으로 배열된다. 상향 및 하향 이동은 캠에 의해 힘으로 제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그리퍼 아암의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 이동은 또한 다이 또는 하부 펀치와의 기계적 결합에 의해 힘으로 제어된다. 이는 다이와 그리퍼 아암이 기계적 결합 동안 서로 중단 없는 동기화를 통해 강제로 안내되는 방식으로 이동하는 것을 보장한다. 터릿과 결합되지 않을 경우, 그리퍼 아암은 스프링을 통해 정의된 위치에 유지된다. 삽입될 물체를 분리하고 픽업하는 프로세스에도 동일한 내용이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픽업 또는 삽입이 발생할 수 있는 이용 가능한 거리 또는 시간 범위가 더 길어진다.As already explained in the context of the device according to the invention, the gripper arm is preferably arranged in such a way that it can not only move up and down, but also radially and tangentially relative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urret. The upward and downward movements are preferably force-controlled by a cam. On the other hand, the radial and tangential movements of the gripper arm are also force-controlled by a mechanical connection with the die or the lower punch. This ensures that the die and the gripper arm move in a forcibly guided manner in uninterrupted synchronization with each other during the mechanical connection. When not connected to the turret, the gripper arm is held in a defined position by a spring. The same can similarly be applied to the process of separating and picking up the object to be inserted. In this way, the available distance or time range in which the picking up or insertion can take place is increased.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스템은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system

a. 제2 터릿의 커플링 요소는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을 시작 및/또는 보장하기 위해 구동 제1 터릿과 능동 접촉하고; a. The coupling element of the second turret is in active contact with the driving first turret to initiate and/or ensur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b.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가 픽업되고, 운반되고,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b. At least one object holder comprises a holding means that allows at least one object to be picked up, carried and released;

c. 물체의 이동 경로는 다이의 이동 경로와 중첩되고,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는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는 적어도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다이의 이동 경로를 모방하고, 물체 홀더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다이로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c. The movement path of the object overlaps with the movement path of the die, and the movement path of at least one object can be controlled in the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s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so that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object mimics the movement path of the at least one die over at least a rotational angle range of the second turret, and the object hold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release the at least one object into the die.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커플링 요소가 포크 형상의 커플링 헤드를 갖는 막대 형상의 커플링 부재를 포함하고, 물체 홀더가 유지 요소를 갖는 그리퍼 아암을 포함하고,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system comprises a coupling member having a rod-shaped coupling head, the object holder comprising a gripper arm having a holding element,

그리퍼 아암과 커플링 부재는 제2 터릿에 탄력적으로 장착되고 스프링 예비하중을 통해 제2 터릿의 회전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시작 위치로 안내될 수 있고, 한편 그리퍼 아암과 커플링 부재는 반경 방향 시작 위치에서 제2 터릿의 회전과 관련하여 접선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The gripper arm and the coupling member are elastically mounted on the second turret and can be guided to a radial starting position relativ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by means of a spring preload, while the gripper arm and the coupling member are freely movable in the tangential direction relative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from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그리퍼 아암과 커플링 부재는 커플링 부재가 제1 터릿과 능동 접촉할 때 픽업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The gripper arm and the coupling member can be moved into a pick-up position when the coupling member is in active contact with the first turret,

- 커플링 부재와 그리퍼 아암은 시작 위치에서 가능한 최대 반경 방향 편향 및 접선 방향 이동성을 갖는 반면, 픽업 위치에서의 반경 방향 편향 및 접선 방향 이동성은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최소로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나서 다시 반경 방향 시작 위치 및 가능한 최대 접선 방향 이동성으로 증가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upling member and the gripper arm are characterized in that they have the maximum possible radial deflection and tangential travel in the starting position, while the radial deflection and tangential travel in the pick-up position are continuously reduced to a minimum over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second turret and then can be increased again to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and the maximum possible tangential travel.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전술된 유형의 장치 또는 전술된 유형에 따른 시스템을 사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물체를 타정기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에 삽입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물체를 삽입하기 위해 바람직한 장치 및 바람직한 시스템을 사용하는 것은,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물체의 이동 경로에서 반경 방향 변경만을 생성할 수 있는 디바이스를 주로 사용하는 종래 기술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보일 것이다.In a further preferred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press machine using a device of the type described above or a system according to the type described above. The use of the preferred device and the preferred system for inserting the object will appear to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be a departure from the prior art which primarily uses devices capable of producing only a radial change in the path of movement of the object.

이하에서, 본 발명이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되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바람직한 장치와 바람직한 타정기 사이의 상호작용의 개략적 표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3차원 도면이고,
도 3은 바람직한 장치와 타정기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추가의 개략적 표현으로, 특히 바람직한 커플링 요소와 하부 펀치의 바람직한 생크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표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역 및 바람직한 타정기의 3차원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추가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3차원 도면, 특히 바람직한 물체 홀더에 의한 물체의 픽업의 표현이다.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but is not limited thereto.
Figure 1 i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desired device and the desired trigger.
Figure 2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further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ferred device and the die,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ferred coupling element and the preferred shank of the lower punch,
Figure 4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a preferred setting device.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further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three-dimensional drawing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particular a representation of the pick-up of an object by a preferred object holder.

도 1은 바람직한 장치(1)와 타정기(2) 사이의 상호작용의 개략적 표현을 도시한다. 특히, 바람직한 장치(1)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6)를 타정기(2)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5)에 삽입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타정기(2) 내에서, 다이(5)는 제1 회전축(8)을 중심으로 회전 구동되는 터릿의 기준 원에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면에, 장치(1)는 제2 회전축(9)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제2 터릿을 나타낸다. 제2 터릿은 적어도 하나의 물체(6)를 픽업하고, 운반하고, 해제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유지 수단을 갖춘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7)를 포함한다. 유지 수단을 갖춘 물체 홀더(7)는 바람직하게는 그리퍼 아암(13)(다른 도면에 도시됨)과 유지 요소(14)(다른 도면에 도시됨)로 구성된다. 그리퍼 아암(13)은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고, 유지 요소(14)는 바람직하게는 물체를 형태결합식으로 및/또는 마찰식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1 shows a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a preferred device (1) and a press machine (2). In particular, the preferred device (1) is configured to insert at least one object (6) into at least one die (5) of the press machine (2). Within the press machine (2), the die (5) is preferably arranged in a reference circle of a turret which is driven to rotate around a first rotation axis (8). In contrast, the device (1) shows a second turret which can rotate around a second rotation axis (9). The second turret comprises at least one object holder (7) with holding means which makes it possible to pick up, transport and release at least one object (6). The object holder (7) with holding means preferably consists of a gripper arm (13) (shown in another figure) and a holding element (14) (shown in another figure). The gripper arm (13) is preferably mounted radially on the second turret, and the holding element (14)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old the object in a form-fitting and/or frictionally connected manner.

적어도 하나의 물체(6)의 이동 경로(3)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7)를 통해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물체의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 이동은 이중 화살표로 도시됨), 적어도 하나의 물체(6)의 이동 경로(3)는 적어도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다이(5)의 이동 경로(4)를 모방할 수 있다.The movement path (3) of at least one object (6) can be controlled radially an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via at least one object holder (7) (the radial and tangential movements of the object are illustrated by double arrows), so that the movement path (3) of at least one object (6) can mimic the movement path (4) of at least one die (5) at least over the rotational angle range of the second turret.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3차원 도면을 예시하고 있다. 특히, 장치(1)는 복수의 물체 홀더(7)를 포함하는 터릿(제2 터릿)을 나타낸다. 물체 홀더(7)는 각각 커플링 요소(10)에 능동적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물체 홀더(7)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14)를 갖춘 그리퍼 아암(13)을 포함한다. 그리퍼 아암(13)은 바람직한 장치(1)의 터릿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고, 유지 요소(14)는 바람직하게는 물체(6)(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형태결합식으로 및/또는 마찰식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반면, 커플링 요소(10)는 커플링 헤드(11)를 갖춘 막대 형상의 커플링 부재(12)를 포함한다. 커플링 부재(12)는 또한 바람직한 장치(1)의 터릿의 한쪽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커플링 부재(12)는 커플링 헤드(11)가 반경 방향으로 외향을 가리키도록 정렬된다. 커플링 헤드(11)는 타정기(2)의 터릿(제1 터릿[도 2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의 구성요소에 맞게 구조적으로 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커플링 헤드(11)가 타정기(2)의 터릿의 구성요소와 결합될 수 있게 하므로, 타정기(2)의 터릿의 회전식 이동이 장치(1)의 터릿으로 전달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헤드(12)는 포크 형상을 나타내며, 이는 타정기(2)의 하부 펀치(15)의 생크의 직경과 일치하여 포크가 하부 펀치(15)의 생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2 illustrates a three-dimensional drawing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vic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particular, the device (1) shows a turret (second turret) comprising a plurality of object holders (7). The object holders (7) are preferably each actively connected to a coupling element (10). Furthermore, the object holders (7) preferably comprise a gripper arm (13) with a holding element (14). The gripper arm (13) is radially mounted on the turret of the preferred device (1), the holding element (14) being preferably configured to hold an object (6) (not shown in Fig. 2) in a form-fitting and/or frictionally connected manner. On the other hand, the coupling element (10) comprises a rod-shaped coupling member (12) with a coupling head (11). The coupling member (12) is also radial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turret of the preferred device (1). In this context, the coupling member (12) is aligned such that the coupling head (11) points radially outward. The coupling head (11) is preferably structurally adapted to a component of a turret (a first turret [not shown in FIG. 2]) of the press machine (2). This allows the coupling head (11) to engage with a component of the turret of the press machine (2), so that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urret of the press machine (2) can be transmitted to the turret of the device (1). Preferably, the coupling head (12) has a fork shape, which preferably matches the diameter of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of the press machine (2), so that the fork can receive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물체 홀더(7)와 커플링 요소(10) 사이의 능동 연결은 그리퍼 아암(13)이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커플링 요소(12)에 연결되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그리퍼 아암(13)과 커플링 요소(12)는 장치(1)의 터릿의 회전식 이동과 관련하여 커플링 요소(12)의 접선 방향 및 반경 방향 편향이 그리퍼 아암(13)으로 직접 전달될 수 있는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커플링 부재(12), 그리퍼 아암(13) 및 기계적 연결부는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터릿에 제1 스프링 요소(17) 및 제2 스프링 요소(18)(특히 도 5 참조)를 통해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제1 스프링 요소(17)는 반경 방향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제2 스프링 요소(18)는 강성을 통해 접선 방향 이동성을 결정한다.The active connection between the object holder (7) and the coupling element (10) is configured in such a way that the gripper arm (13) is connected to the coupling element (12), preferably via a guide mechanism. The gripper arm (13) and the coupling element (12) are mechanically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the tangential and radial deflection of the coupling element (12)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urret of the device (1)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gripper arm (13). The coupling member (12), the gripper arm (13)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are also preferably mounted on the turret of the devic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via a first spring element (17) and a second spring element (18) (see in particular FIG. 5), wherein the first spring element (17) preferably determines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and the second spring element (18) determines the tangential movement via its rigidity.

도 3은 바람직한 장치(1)와 바람직한 타정기(2)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추가의 개략적 표현을 도시하며, 특히 바람직한 커플링 요소(10)와 하부 펀치(15)의 바람직한 생크 사이의 상호작용에 대한 표현을 도시하고 있다. 각각의 바람직한 커플링 요소(10)는 커플링 헤드(11)를 갖춘 막대 형상의 커플링 부재(12)를 포함하고, 커플링 부재(12)는 바람직한 장치(1)의 터릿의 한쪽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플링 부재(12)는 커플링 헤드(11)가 반경 방향으로 외향을 가리키도록 배향된다. 바람직한 타정기(2)는 태블릿을 생산하기 위한 생크(15)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하부 펀치를 나타낸다는 것을 이해한다. 하부 펀치(또는 그 생크(15) 역시)는 바람직하게는 타정기(2)의 터릿에 배열되어 터릿과 함께 회전하고 중앙에 위치되도록 아래쪽에서 다이(5)(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삽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타정기(2)의 터릿(제1 터릿)은 바람직하게는 장치(1)의 터릿(제2 터릿)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Fig. 3 shows a further schematic representation of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ferred device (1) and the preferred tablet press (2), and in particular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referred coupling element (10) and the preferred shank of the lower punch (15). Each preferred coupling element (10) comprises a rod-shaped coupling member (12) having a coupling head (11), the coupling member (12) being preferably mounted radially on one side of the turret of the preferred device (1). The coupling member (12) is oriented such that the coupling head (11) points radially outwardly.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preferred tablet press (2) represents at least one lower punch comprising a shank (15) for producing tablets. The lower punch (or its shank (15) as well) is preferably arranged in the turret of the tablet press (2) in such a way that it rotates together with the turret and can be inserted into the die (5) (not shown in Fig. 3) from below so as to be centrally positioned. The turret (first turret) of the pressing machine (2) preferably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urret (second turret) of the device (1).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헤드(11)는 포크 형상을 나타내며, 이는 타정기(2)의 하부 펀치(15)의 생크의 직경과 일치하여 포크가 하부 펀치(15)의 생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펀치(15)의 생크가 커플링 헤드(11)와 접촉하게 되면, 커플링 부재(12)가 동반되고, 동반되는 동안 하부 펀치(15)의 생크는 커플링 부재(12)가 최소 반경 방향 편향에 도달할 때까지 커플링 헤드(11)와 커플링 부재(12)를 제2 터릿의 회전축(9)에 대해 반경 방향으로 가압한다. 도 2와 관련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물체 홀더(7) 또는 그리퍼 아암(13)과 커플링 요소(10) 또는 커플링 부재(12)는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어, 물체 홀더(7) 또는 그리퍼 아암(13)이 동일한 반경 방향 이동(도 3에 도시되어 있지 않음)을 수행하도록 한다.Preferably, the coupling head (11) has a fork shape, which preferably matches the diameter of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of the die-cutting machine (2), so that the fork can receive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When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upling head (11), the coupling member (12) is accompanied, and during the accompanying,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presses the coupling head (11) and the coupling member (12)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axis (9) of the second turret until the coupling member (12) reaches a minimum radial deflection. As explained in connection with FIG. 2 , the object holder (7) or the gripper arm (13) and the coupling element (10) or the coupling member (12) are 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guide mechanism, so that the object holder (7) or the gripper arm (13) perform the same radial movement (not shown in FIG. 3 ).

제안된 장치(1)는 또한 바람직하게는 최소 반경 방향 편향에서 접선 방향 이동을 제한하거나 방지하는 커플링 부재(12)에 대한 베어링을 나타낸다. 커플링 부재(12)가 반경 방향 편향에 관하여 최소값에 도달한 후에, 하부 펀치는 계속 회전하고 커플링 헤드(11) 또는 커플링 부재(12)를 그 생크(15)로 접선 방향으로 계속 안내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이는 결합으로도 지칭되고, 여기서 타정기(2)의 터릿의 회전식 이동이 장치(1)의 터릿으로 전달될 수 있다. 커플링 요소(10) 또는 커플링 부재(12)의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 편향이 또한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이동으로 간주된다. 커플링 요소(10) 또는 커플링 부재(12)의 접선 방향 이동은 또한 앞서 언급된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물체 홀더(7) 또는 그리퍼 아암(13)으로 전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proposed device (1) also preferably represents a bearing for the coupling element (12) which limits or prevents a tangential movement at a minimum radial deflection. After the coupling element (12) has reached a minimum with respect to the radial deflection, the lower punch continues to rotate and continues to guide the coupling head (11) or the coupling element (12) tangentially with its shank (15).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lso referred to as a coupling, wherein the rotary movement of the turret of the die-setting machine (2) can be transferred to the turret of the device (1). The radial and tangential deflections of the coupling element (10) or of the coupling element (12) are also preferably regarded as coupling movements. The tangential movement of the coupling element (10) or of the coupling element (12) is also preferably transferred to the object holder (7) or the gripper arm (13) via the aforementioned guiding mechanism.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구역과 바람직한 타정기(2)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한다. 바람직하게는, 종래의 회전식 타정기를 특히 단층 또는 다층 태블릿을 가압하도록 구성된 타정기(2)로 사용할 수 있다. 회전식 타정기는 바람직한 장치(1)로 유리하게 간단한 방식으로 확장될 수 있으므로, 생산될 펠릿에 코어 또는 물체를 가압할 수 있다. 회전식 타정기 내의 제1 회전축(8)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터릿의 기준 원에 적어도 하나의 다이(5)(도 4에서는 볼 수 없음)가 배열되고, 한편 바람직한 장치(1)는 제2 회전축(9)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제2 터릿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제1 터릿(즉, 타정기(2)의 터릿)의 회전축(8)은 제2 터릿(9)(즉, 바람직한 장치(1)의 터릿)의 회전축과 실질적으로 평행하게 배열된다. 이와 관련하여, 제2 터릿은 유리하게는 바람직한 장치(1)가 적어도 하나의 물체(6)(도 4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적어도 하나의 다이(5)에 삽입할 수 있는 방식으로 후속적으로 위치될 수 있다. 따라서,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회전식 타정기용 추가 모듈로 제공될 수 있다.Fig. 4 shows a sec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and a three-dimensional drawing of a preferred tablet press (2). Preferably, a conventional rotary tablet press can be used as the tablet press (2), which is designed in particular for pressing single-layer or multi-layer tablets. The rotary tablet press can advantageously be expanded in a simple manner with the preferred device (1), so that cores or objects can be pressed into the pellets to be produced. It is understood that at least one die (5) (not visible in Fig. 4) is arranged in a reference circle of a turret which is driven to rotate about a first rotation axis (8) in the rotary tablet press, while the preferred device (1) comprises a second turret which rotates about a second rotation axis (9). In a preferred embodiment, the rotation axis (8) of the first turret (i.e. the turret of the tablet press (2)) is arranged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rotation axis of the second turret (9) (i.e. the turret of the preferred device (1)). In this regard, the second turret can advantageously be positioned subsequently in such a way that the preferred device (1) can insert at least one object (6) (not shown in figure 4) into at least one die (5). The device (1) can therefore preferably be provided as an additional module for a rotary press.

타정기(2)의 터릿은 장치(1)의 터릿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욱이, 커플링 부재(12)와 함께 커플링 요소(10)로 각각 지칭되는, 커플링 헤드(11)는 타정기(2)의 하부 펀치(15)의 생크를 잡는다. 따라서, 타정기(2)의 터릿의 회전식 이동은 바람직하게는 장치(1)의 터릿으로 전달된다. 또한, 커플링 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그리퍼 아암(13)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므로, 커플링 요소(10) 또는 커플링 부재(12)의 반경 방향 및/또는 접선 방향 이동(커플링 이동)은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그리퍼 아암(13)에 전달된다(커플링 부재(12)와 그리퍼 아암(13)의 연결에 대한 상세는 도 5에 도시됨).The turret of the press machine (2) preferably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the turret of the device (1). Furthermore, the coupling head (11), which is respectively referred to as a coupling element (10) together with the coupling member (12), grips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of the press machine (2). Therefore,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urret of the press machine (2) is preferably transmitted to the turret of the device (1). Furthermore, the coupling member (12) is preferably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gripper arm (13) via a guide mechanism, so that the radial and/or tangential movement (coupling movement) of the coupling member (10) or of the coupling member (12) is transmitted to the gripper arm (13) via the guide mechanism (details of the conn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12) and the gripper arm (13) are illustrated in FIG. 5).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특히, 물체 홀더(7)를 커플링 요소(10)와 능동 연결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메커니즘이 도시되어 있다. 커플링 요소(10)는 제1 터릿(타정기(2)의 터릿)과 접촉(접촉 프로세스는 바람직하게는 결합이라고도 지칭됨)을 통해 커플링 이동을 취할 수 있고, 물체 홀더(7)와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물체(6)(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1 참조)의 이동 경로(3)(도시되어 있지 않음, 도 1 참조)를 미리 결정된 공간 방향으로, 즉, 커플링 이동의 형태로, 제2 터릿(바람직한 장치(1)의 터릿)의 회전식 이동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편향시킬 수 있다.Fig. 5 show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devic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particular, a guide mechanism is shown, which is configured to actively connect an object holder (7) with a coupling element (10). The coupling element (10) can assume a coupling movement by contacting (the contact process is preferably also referred to as coupling) a first turret (a turret of the press (2)) and, via the object holder (7) and the guide mechanism, can deflect a movement path (3) (not shown, see Fig. 1) of an object (6) (not shown, see Fig. 1) in a predetermined spatial direction, i.e. in the form of a coupling movement, in the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 in relation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the turret of the preferred device (1)).

커플링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12)와 커플링 헤드(11)로 구성되는 반면, 물체 홀더(7)는 그리퍼 아암(13)과 유지 요소(14)를 포함한다. 커플링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의 한쪽에 장착되고, 커플링 요소(12)는 커플링 헤드(11)가 반경 방향으로 외향을 가리키는 방식으로 정렬되고 구조적으로 제1 터릿의 구성요소에 맞게 조정된다. 그리퍼 아암(13)에는 유지 요소(14)(함께 물체 홀더(7)로 고려됨)가 제공되며 또한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고, 유지 요소(14)는 바람직하게는 물체(6)를 형태결합식으로 및/또는 마찰식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퍼 아암(13)은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과 관련하여 커플링 부재(12)의 접선 방향 및 반경 방향 편향이 그리퍼 아암(13)에 직접 전달될 수 있는 방식으로 커플링 부재(12)(가이드 메커니즘)에 기계적으로 연결된다.The coupling element (10) preferably consists of a coupling member (12) and a coupling head (11), whereas the object holder (7) comprises a gripper arm (13) and a holding element (14). The coupling element (10) is preferably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turret, the coupling element (12) being aligned in such a way that the coupling head (11) points radially outwardly and is structurally adapted to the components of the first turret. The gripper arm (13) is provided with a holding element (14) (together considered as the object holder (7)) which is also preferably mounted radially on the second turret, the holding element (14) being preferably configured to hold the object (6) in a form-fitting and/or frictionally connected manner. The gripper arm (13) is preferably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member (12) (guide mechanism) in such a way that the tangential and radial deflections of the coupling member (12) in relation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gripper arm (13).

이와 관련하여, 그리퍼 아암(13)과 커플링 부재(12)의 기계적 연결은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는 수평으로 정렬된 그리퍼 아암(13)과 커플링 부재(12)에 실질적으로 직교로 배향되는 볼트(16)를 포함한다. 볼트(16)는 특히 커플링 부재(12)의 이동이 그리퍼 아암(13)에 의해 조정될 수 있도록 커플링 부재(12)로부터 그리퍼 아암(13)으로 힘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볼트(16)는 그리퍼 아암(13)과 커플링 부재(12)에 단단히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is regard, the mechanical connection of the gripper arm (13) and the coupling member (12) preferably comprises a horizontally aligned gripper arm (13) mounted radially on the second turret and a bolt (16) oriented substantially orthogonally to the coupling member (12). The bolt (16) serves in particular to transmit forces from the coupling member (12) to the gripper arm (13) such that the movement of the coupling member (12) can be adjusted by the gripper arm (13). The bolt (16) is preferably rigidly connected to the gripper arm (13) and the coupling member (12).

커플링 부재(12), 그리퍼 아암(13) 및 기계적 연결부(특히 볼트(16))도 제1 스프링 요소(17) 및 제2 스프링 요소(18)를 통해 제2 터릿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맥락에서, 제1 스프링 요소(17)는 바람직하게는 반경 방향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반면, 제2 스프링 요소(18)는 바람직하게는 강성을 통해 커플링 요소(12)와 그리퍼 아암(13)의 접선 방향 이동성을 결정한다.The coupling element (12), the gripper arm (13)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in particular the bolt (16)) are preferably also mounted on the second turret via a first spring element (17) and a second spring element (18). In this context, the first spring element (17) preferably determines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whereas the second spring element (18) preferably determines the tangential movement of the coupling element (12) and the gripper arm (13) via its rigidity.

제1 스프링 요소(17)는 코일 스프링으로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코일 스프링은 특히 볼트(16)에서 기계적 연결로 결합되므로, 커플링 부재(12)와 그리퍼 아암(13)은 이 스프링의 영향을 동등하게 받는다. 제1 스프링(17)에는 바람직하게는 예비하중이 걸리기 때문에, 커플링 요소(12), 그리퍼 아암(13) 및 기계적 연결부, 특히 볼트(16)에 그 반경 방향 시작 위치의 방향으로 힘이 작용한다.The first spring element (17) is preferably designed as a coil spring. Preferably, the coil spring is connected in particular by a mechanical connection at the bolt (16), so that the coupling member (12) and the gripper arm (13) are equally influenced by this spring. The first spring (17) is preferably preloaded, so that a force is exerted on the coupling element (12), the gripper arm (13)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in particular the bolt (16), in the direction of their radial starting position.

코일 스프링은 커플링 부재(12), 그리핑 아암(13) 및 기계적 연결부(특히 볼트(16))를 초기 위치로 안내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결합 프로세스 동안, 커플링 부재(12)를 통해 반경 방향으로 코일 스프링에 힘이 인가되므로, 코일 스프링이 압축되고 커플링 부재(12), 그리퍼 아암(13) 및 기계적 연결부, 특히 볼트(16)가 터릿 중심의 방향으로 반경 방향으로 변위된다.The coil spring is understood to guide the coupling member (12), the gripping arm (13)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in particular the bolt (16) into the initial position. During the joining process, a force is applied radially to the coil spring via the coupling member (12), so that the coil spring is compressed and the coupling member (12), the gripper arm (13)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in particular the bolt (16), are displaced radially in the direction of the turret center.

더욱이, 제2 스프링 요소(18)는 바람직하게는 굽힘 막대 또는 굽힘 빔(19)과 슬리브 요소(20)의 조합이고, 슬리브 요소(20)는 바람직하게는 굽힘 막대 또는 굽힘 빔(19)에 1자유도로 장착된다. 굽힘 막대 또는 굽힘 빔(19)은 바람직한 장치(1)의 터릿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고, 한편 슬리브 요소(20)는 커플링 부재(12)에 나사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굽힘 막대 또는 굽힘 빔(19)을 수용한다. 슬리브 요소(20)는 굽힘 바 또는 굽힘 빔(19) 위로 대응하는 이동 방식으로 안내된다.Furthermore, the second spring element (18) is preferably a combination of a bending bar or bending beam (19) and a sleeve element (20), the sleeve element (20) being preferably mounted in one degree of freedom to the bending bar or bending beam (19). The bending bar or bending beam (19) is preferably mounted radially on the turret of the preferred device (1), while the sleeve element (20) is preferably screw-fastened to the coupling member (12) and accommodates the bending bar or bending beam (19). The sleeve element (20) is guided in a correspondingly movable manner over the bending bar or bending beam (19).

바람직하게는, 슬리브 요소(20)는 터릿을 향하는 커플링 부재(12)의 단부에 부착되고, 굽힘 막대 또는 굽힘 빔(19)은 슬리브 요소(20) 밖으로 (부분적으로) 밀려나올 수 있다. 커플링 요소(12)의 반경 방향 시작 위치에서, 굽힘 바 또는 굽힘 빔(19)은 굽힘 토크가 작용하면 굽혀지도록 슬리브 요소(20) 밖으로 가능한 한 멀리 밀려나온다. 결합 동안, 커플링 부재(12)는 타정기(2)의 구성요소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하부 펀치(15)의 생크에 의해 접선 방향 힘을 받는다. 이 힘은 굽힘 바 또는 굽힘 빔(19)에 굽힘 토크를 발생시키고 굽힘을 야기하며, 커플링 부재(12)는 접선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다. 또한, 굽힘 막대 또는 굽힘 빔(19)은 커플링 요소(12)의 그리핑 프로세스 동안 슬리브 요소(20)로 반경 방향으로 가압되고, 이는 굽힘 막대(19)가 슬리브 요소(20)에 완전히 삽입되어 더 이상 굽힘이 가능하지 않을 때까지 굽혀지기 더 어렵게 만든다. 굽힘 바 또는 굽힘 빔(19)이 더 이상 굽혀질 수 없게 되면, 커플링 요소(12)의 접선 방향 이동도 불가능하다. 따라서, 접선 방향 이동성은 굽힘 바 또는 굽힘 빔(19)의 강성에 의해 결정된다. 굽힘 바(19)가 더 단단할수록 시작 위치에서의 커플링 요소(12)의 접선 방향 이동성이 더 낮아지거나, 또는 원하는 이동성을 달성하기 위해 바람직하게는 더 많은 힘이 인가되어야 한다.Preferably, the sleeve element (20) is attached to the end of the coupling member (12) facing the turret, and the bending bar or beam (19) can be (partially) pushed out of the sleeve element (20). At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of the coupling element (12), the bending bar or beam (19) is pushed out of the sleeve element (20) as far as possible, so that it bends when a bending torque is applied. During engagement, the coupling member (12) is subjected to a tangential force by a component of the press (2), preferably by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This force generates a bending torque in the bending bar or beam (19) and causes bending, so that the coupling member (12) can pivot tangentially. Additionally, the bending bar or bending beam (19) is pressed radially into the sleeve element (20) during the gripping process of the coupling element (12),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to bend until the bending bar (19) is fully inserted into the sleeve element (20) and no further bending is possible. Once the bending bar or bending beam (19) can no longer be bent, the tangential movement of the coupling element (12) is also no longer possible. The tangential mobility is therefore determined by the stiffness of the bending bar or bending beam (19). The stiffer the bending bar (19), the lower the tangential mobility of the coupling element (12) in the starting position, or preferably, more force must be applied to achieve the desired mobility.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14)는 유지 수단의 실시예로 간주되어야 한다. 유지 요소(14)는 바람직하게는 물체(6)를 픽업하거나, 유지하거나, 및/또는 해제하도록 구성된다. 더욱이, 유지 요소(14)는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의 대략 반 회전에 걸친 운반을 위해 물체(6)를 유지하고 물체(6)의 이동 경로(3)가 다이(5)의 이동 경로(4)와 교차하는 구역에서 다이(5)로 물체를 해제하도록 구성된다(도 1을 또한 참조).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14)는 제2 터릿의 높은 회전 속도에서도 고정된 위치에서 물체(6)를 픽업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빠르게 활성화/제어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요소(14)는, 예를 들어 물체(6)를 마찰식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유지하는 집게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유지 요소(14)는 음압을 발생시키고 물체(6)를 마찰식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유지하는 수단을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그리퍼 아암(13)은, 그 자체이거나 또는 특히, 유지 요소(14)가 물체(6)를 정확하게 픽업하거나 및/또는 배치할 수 있도록 하는 높이 위치에서 유지 요소(14)가 조절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터릿은 가이드 캠(21)을 나타낸다. 유지 요소(14)는 전달 요소(22)를 통해 가이드 캠(21)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전달 요소(22)는 유지 요소(14)를 높이 위치로 안내하거나 힘으로 제어한다. 가이드 캠(21)은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되므로, 유지 요소(14)가 이러한 가이드 캠(21)을 따라 힘으로 제어되거나 안내된다. 이러한 가이드 캠(21)은, 예를 들어 상부 및 하부 펀치를 안내하기 위한 회전식 타정기에서도 알려져 있다.Preferably, the retaining element (14) should be considered as an embodiment of a retaining means. The retaining element (14) is preferably configured to pick up, hold and/or release the object (6). Furthermore, the retaining element (14)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old the object (6) for transport over approximately half a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and to release the object into the die (5) in a region where the travel path (3) of the object (6) intersects the travel path (4) of the die (5) (see also FIG. 1). Preferably, the retaining element (14) can be activated/controlled sufficiently fast to be able to pick up the object (6) in a fixed position even at high rotational speeds of the second turret. Thus, the retaining element (14) can be configured to represent, for example, a gripper that holds the object (6) in a frictionally connected manner. Alternatively, the retaining element (14) can represent a means for generating a negative pressure and holding the object (6) in a frictionally connected manner. In this context, it is advantageous if the gripper arm (13) is configured such that the holding element (14) can be adjusted in a height position such that it can pick up and/or place the object (6) precisely, either by itself or in particular by the holding element (14). For example, the second turret represents a guide cam (21). The holding element (14) is advantageously connected to the guide cam (21) via a transmission element (22), which then guides or force-controls the holding element (14) into the height position. The guide cam (21) is preferably arranged circumferentially in the second turret, so that the holding element (14) is force-controlled or guided along this guide cam (21). Such guide cams (21) are also known from rotary presses for guiding upper and lower punches, for example.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추가 단면도를 예시한다. 특히, 장치(1)의 터릿의 커플링 요소(10)의 결합은 타정기(2)의 터릿의 하부 펀치(15)의 생크에 의해 예시된다. 커플링 요소(10)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헤드(11)를 갖춘 막대 형상의 커플링 부재(12)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헤드(12)는 포크 형상을 나타내며, 이는 타정기(2)의 하부 펀치(15)의 생크의 직경과 일치하여 포크가 하부 펀치(15)의 생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ig. 6 illustrates a further sectional view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1) according to the invention. In particular, the engagement of the coupling element (10) of the turret of the device (1) is exemplified by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of the turret of the press machine (2). The coupling element (10) preferably comprises a rod-shaped coupling member (12) having a coupling head (11). Preferably, the coupling head (12) has a fork shape, which preferably corresponds to the diameter of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of the press machine (2), such that the fork can receive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더욱이, 그리퍼 아암(13)은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커플링 부재(12)에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퍼 아암(13)과 커플링 부재(12)는 바람직하게는 장치(1)의 터릿의 회전식 이동과 관련하여 커플링 부재(12)의 접선 방향 및 반경 방향 편향이 그리퍼 아암(13)에 직접 전달될 수 있는 방식으로 기계적으로 연결된다. 커플링 부재(12), 그리퍼 아암(13) 및 기계적 연결부는 제1 스프링 요소(17) 및 제2 스프링 요소(18)(도시되어 있지 않음)를 통해 제2 터릿에 장착되며, 이때 제1 스프링 요소(17)는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12) 및 그리퍼 아암(13)의 반경 방향 시작 위치를 결정한다. 또한, 장치(1)의 터릿은 바람직하게는 그리퍼 아암(13)에 부착된 유지 요소(14)를 높이 위치로 안내하는 가이드 캠(21)을 나타낸다. 유지 요소(14)는 전달 요소(22)를 통해 가이드 캠(21)에 능동적으로 연결되며, 전달 요소(22)는 유지 요소(14)를 높이 위치로 안내하거나 힘으로 제어한다. 가이드 캠(21)은 바람직하게는 제2 터릿에 원주 방향으로 배열된다.Furthermore, the gripper arm (13) is preferably connected to the coupling member (12) via a guide mechanism. The gripper arm (13) and the coupling member (12) are preferably mechanically connected in such a way that the tangential and radial deflection of the coupling member (12) in connection with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turret of the device (1)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gripper arm (13). The coupling member (12), the gripper arm (13)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are mounted on a second turret via a first spring element (17) and a second spring element (18) (not shown), wherein the first spring element (17) preferably determines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of the coupling member (12) and the gripper arm (13). Furthermore, the turret of the device (1) preferably exhibits a guide cam (21) which guides a retaining element (14) attached to the gripper arm (13) into a height position. The retaining element (14) is actively connected to the guide cam (21) via the transmission element (22), which guides or force-controls the retaining element (14) to a height position. The guide cam (21) is preferably arranged circumferentially in the second turret.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1)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3차원 도면을 도시하며, 특히 바람직한 물체 홀더(7)에 의한 물체(6)의 픽업 동작의 표현을 도시한다. 타정기(2)의 다이(5)에 물체(6)를 삽입하기 위해서는, 바람직한 물체 홀더(7)가 먼저 물체 저장소로부터 물체(6)를 픽업하는 것이 필수적이다.Fig. 7 shows a three-dimensional drawing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device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n particular shows a representation of the pick-up operation of an object (6) by a preferred object holder (7). In order to insert an object (6) into the die (5) of the press (2), it is essential that the preferred object holder (7) first picks up the object (6) from the object storage.

본 발명의 목적을 위해, 물체 홀더(7)는 바람직한 장치(1)의 터릿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고 물체 저장소로부터 물체(6)를 픽업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속적으로, 물체 홀더(7)는 제2 터릿의 실질적으로 반 회전에 걸쳐 물체(6)를 운반하고, 마지막으로 물체(6)를 바람직하게는 타정기(2)의 다이(5)에 전달할 수 있다. 물체 홀더(7)와 다이(5)뿐만 아니라 바람직한 장치(1)의 2개의 터릿과 타정기(2)는 (특히 물체(6) 또는 물체 홀더(7)의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 제어성을 통해) 물체(6)가 정확한 위치에서 다이(5)에 도입될 수 있는 방식으로 조절된다.For the purpos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object holder (7) is preferably mounted radially on the turret of the preferred device (1) and is capable of picking up an object (6) from an object storage. Subsequently, the object holder (7) transports the object (6) over substantially half a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and finally transfers the object (6) preferably to a die (5) of the die press (2). The object holder (7) and the die (5) as well as the two turrets of the preferred device (1) and the die press (2) are adjusted in such a way that the object (6) can be introduced into the die (5) at a precise position (in particular via the radial and tangential controllability of the object (6) or the object holder (7)).

물체 저장소는 공급기, 특히 컨베이어 벨트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터릿에 관하여, 물체 저장소는 물체(6)가 적어도 하나의 다이(5)에 도입되는 위치의 대략 반대쪽에 존재하여, 물체 홀더(7)가 제2 터릿의 대략 180° 회전에 걸쳐 물체(6)를 유지 또는 운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체 홀더(7)는 물체(6)를 개별적으로 픽업하여 다이(5)에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object storage preferably consists of a feeder, in particular a conveyor belt. With respect to the second turret, the object storage preferably exists approximately opposite the position at which the objects (6) are introduced into at least one die (5), so that the object holder (7) holds or transports the objects (6) over approximately 180° of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The object holder (7) is preferably configured to individually pick up the objects (6) and provide them to the die (5).

커플링 요소(10)에는 바람직하게는 물체(6)를 픽업하는 기능이 없다. 그러나, 커플링 요소(10)가 또한 이송 휠과 같은 공급 유닛으로부터 구성요소를 픽업하여 물체(6)를 픽업하는 대안도 있을 수 있다. 더욱이, 상기의 설명에서 이미 언급된 바와 같이, 물체 홀더(7)는 바람직하게는 유지 요소(14)를 갖춘 그리퍼 아암(13)을 포함하고, 유지 요소(14)는 전달 요소(22) 및 가이드 캠(21)을 통해 높이 방향으로 안내된다.The coupling element (10) preferably does not have a function for picking up the object (6). However, it is also possible that the coupling element (10) also picks up the object (6) by picking up a component from a supply unit, such as a transport wheel. Furthermore, as already mentioned in the description above, the object holder (7) preferably comprises a gripper arm (13) with a holding element (14), the holding element (14) being guided in height via a transfer element (22) and a guide cam (21).

1 바람직한 장치
2 타정기
3 적어도 하나의 물체의 이동 경로
4 적어도 하나의 다이의 이동 경로
5 다이
6 물체
7 물체 홀더
8 제1 회전 구동 터릿의 회전축
9 회전 가능한 제2 터릿의 회전축
10 커플링 요소
11 커플링 헤드
12 커플링 부재
13 그리퍼 아암
14 유지 요소
15 하부 펀치의 생크
16 볼트
17 제1 스프링 요소
18 제2 스프링 요소
19 굽힘 바 또는 굽힘 빔
20 슬리브 요소
21 높이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제어 캠
22 높이 위치를 안내하기 위한 전달 요소
1 Desirable Device
2 tablets
3. The movement path of at least one object
4 At least one die's movement path
5 dice
6 objects
7 Object Holder
8 Rotation axis of the first rotary drive turret
9 Rotation axis of the second rotatable turret
10 Coupling Elements
11 Coupling Head
12 Absence of coupling
13 gripper arm
14 Maintenance Elements
15 Shank of lower punch
16 volts
17 1st spring element
18 Second spring element
19 Bending bar or bending beam
20 sleeve elements
21 Control cam to guide height position
22 Transmission elements for guiding height positions

Claims (15)

적어도 하나의 물체(6)를 타정기(2)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5)에 삽입하기 위한 장치(1)로서, 적어도 하나의 다이(5)는 제1 회전축(8)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터릿의 기준 원에 배열되고;
- 장치(1)는 제2 회전축(9)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제2 터릿을 포함하고;
- 제2 터릿은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7)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7)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6)가 픽업되고, 운반되고,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1)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6)의 이동 경로(3)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7)를 통해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물체(6)의 이동 경로(3)는 적어도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다이(5)의 이동 경로(4)를 모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A device (1)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6) into at least one die (5) of a press (2), wherein at least one die (5) is arranged on a reference circle of a turret driven to rotate about a first rotation axis (8);
- The device (1) includes a second turret rotatable around a second rotation axis (9);
- In a device (1), wherein the second turret comprises at least one object holder (7), and at least one object holder (7) comprises a holding means enabling at least one object (6) to be picked up, transported and released.
A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path (3) of at least one object (6) can be controlled radially and tangentially in relation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via at least one object holder (7), so that the movement path (3) of at least one object (6) can mimic the movement path (4) of at least one die (5) at least over the rotational angle range of the second turret.
제1항에 있어서,
제2 터릿은 커플링 요소(10)를 포함하고, 커플링 요소(10)는
- 구동 제1 터릿과의 능동 접촉을 통해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을 시작 및/또는 보장하고;
- 적어도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7)를 통해 적어도 하나의 물체(6)의 이동 경로(3)를 기계적으로 힘으로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In the first paragraph,
The second turret comprises a coupling element (10), the coupling element (10)
- initiates and/or ensures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through active contact with the driving first turret;
- A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mechanically force-control the movement path (3) of at least one object (6) via at least one object holder (7) over at least a rotational angle range of a second turret.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7)는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커플링 요소(10)에 능동적으로 연결되고, 커플링 요소(10)는 제1 터릿과의 능동 접촉을 통해 커플링 이동을 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물체(6)의 이동 경로(3)는 미리 결정된 공간 방향으로, 즉, 커플링 이동의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7)와 가이드 메커니즘을 통해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과 관련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편향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In the second paragraph,
A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at least one object holder (7) is actively connected to a coupling element (10) via a guide mechanism, the coupling element (10) being capable of assuming a coupling movement via active contact with the first turret, and the movement path (3) of the at least one object (6) can be deflected in a predetermined spatial direction, i.e. radially and tangentially in relation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via the at least one object holder (7) and the guide mechanism in the form of a coupling movement.
제2항 및 제3항 중 한 항 또는 두 항 모두에 있어서,
커플링 요소(10)는 커플링 헤드(11)를 갖춘 막대 형상의 커플링 부재(12)를 포함하고, 커플링 부재(12)는 제2 터릿의 한쪽에 장착되고, 커플링 부재(12)는 커플링 헤드(11)가 반경 방향으로 외향을 가리키도록 정렬되며 구조적으로 제1 터릿의 구성요소에 맞게 조정되고, 커플링 헤드(11)는 제1 터릿의 회전식 이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제1 터릿의 구성요소와 결합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In one or both of paragraphs 2 and 3,
A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element (10) comprises a rod-shaped coupling member (12) having a coupling head (11), the coupling member (12) is mounted on one side of the second turret, the coupling member (12) is aligned such that the coupling head (11) points radially outward and is structurally adapted to a component of the first turret, and the coupling head (11) is engageable with the component of the first turret such that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first turret can be transmitted.
제4항에 있어서,
커플링 헤드(11)는 바람직하게는 제1 터릿의 하부 펀치(15)의 생크 직경과 일치하는 포크를 포함하여, 포크가 하부 펀치(15)의 생크를 수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In paragraph 4,
A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coupling head (11) preferably includes a fork whose shank diameter matches the shank diameter of the lower punch (15) of the first turret, such that the fork can receive the shank of the lower punch (15).
제1항 내지 제5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물체 홀더(7)는 제2 터릿에 반경 방향으로 장착되는 유지 요소(14)를 갖춘 그리퍼 아암(13)을 포함하고, 유지 요소(14)는 바람직하게는 물체를 형태결합식으로 및/또는 마찰식으로 연결된 방식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In one or more of claims 1 to 5,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holder (7) comprises a gripper arm (13) having a retaining element (14) radially mounted on a second turret, the retaining element (14) being preferably configured to retain the object in a form-fitting and/or frictionally connected manner.
제2항 내지 제6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과 관련하여 커플링 요소(10),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12)의 접선 방향 및 반경 방향 편향이 그리퍼 아암(13)에 직접 전달될 수 있는 방식으로, 그리퍼 아암(13)이 커플링 요소(10), 바람직하게는 커플링 부재(12)에 기계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In one or more of claims 2 to 6,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gripper arm (13) is mechanically connected to the coupling element (10), preferably the coupling member (12), in such a way that the tangential and radial deflections of the coupling element (10), preferably the coupling member (12), can be directly transmitted to the gripper arm (13) in connection with the rotary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제1항 내지 제7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제2 터릿은 물체 홀더(7)에 포함된 유지 수단을 높이 위치로 안내하도록 구성된 가이드 캠(21)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In one or more of claims 1 to 7,
A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turret comprises a guide cam (21) configured to guide the holding means included in the object holder (7) to a height position.
제2항 내지 제8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물체 홀더(7) 및 커플링 요소(10)는 제2 터릿에 탄력적으로 장착되고 스프링 예비하중을 통해 제2 터릿의 회전에 관하여 반경 방향 시작 위치로 안내될 수 있고, 한편, 물체 홀더(7)와 커플링 요소(10)는 반경 방향 시작 위치에서 제2 터릿의 회전에 관하여 접선 방향으로 피봇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최대 2°의 각도로 피봇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In one or more of claims 2 to 8,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object holder (7) and the coupling element (10) are elastically mounted on the second turret and can be guided to a radial starting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via a spring preload, while the object holder (7) and the coupling element (10) can pivot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 of the second turret from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preferably through an angle of at most 2°.
제9항에 있어서,
물체 홀더(7)와 커플링 요소(10)는 커플링 요소(12)가 제1 터릿과 능동 접촉할 때 픽업 위치로 이송될 수 있고,
- 커플링 부재(12)와 그리퍼 아암(13)은 시작 위치에서 가능한 최대 반경 방향 편향 및 접선 방향 이동성을 갖는 반면, 픽업 위치에서의 반경 방향 편향 및 접선 방향 이동성은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최소로 지속적으로 감소되고 나서 다시 반경 방향 시작 위치 및 가능한 최대 접선 방향 이동성으로 증가될 수 있고,
초기 반경 방향 위치와 최소 반경 방향 편향 사이의 차이는 바람직하게는 1 mm 내지 30 mm, 바람직하게는 5 mm 내지 20 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In Article 9,
The object holder (7) and the coupling element (10) can be moved to the pick-up position when the coupling element (12) is in active contact with the first turret,
- The coupling member (12) and the gripper arm (13) have the maximum possible radial deflection and tangential travel in the starting position, while the radial deflection and tangential travel in the pick-up position can be continuously reduced to a minimum over the rotation angle range of the second turret and then increased again to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and the maximum possible tangential travel,
A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itial radial position and the minimum radial deflection is preferably between 1 mm and 30 mm, preferably between 5 mm and 20 mm.
제1항 내지 제10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커플링 부재(12), 그리퍼 아암(13) 및 기계적 연결부는 제1 스프링 요소(17) 및 제2 스프링 요소(18)를 통해 제2 터릿에 장착되고, 바람직하게는
제1 스프링 요소(17)는 반경 방향 시작 위치를 결정하는 반면, 제2 스프링 요소는 강성을 통해 접선 방향 이동성을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In one or more of claims 1 to 10,
The coupling member (12), the gripper arm (13) and the mechanical connection are mounted on the second turret via a first spring element (17) and a second spring element (18), preferably
A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spring element (17) determines the radial starting position, while the second spring element determines the tangential movement through its stiffness.
제1항 내지 제11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6)의 이동 경로(3)가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7)를 통해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에 관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는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는 적어도 10°,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In one or more of claims 1 to 11,
A device (1), characterized in that the rotational angle range of the second turret, in which the movement path (3) of at least one object (6) can be controlled radially and tangentially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via at least one object holder (7), is at least 10°, preferably at least 20°.
시스템이며,
a. 제1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되는 터릿의 기준 원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다이(5)를 포함하는 타정기(2), 및
b. 제1항 내지 제12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기재된 장치(1)로서, 적어도 하나의 물체(6)를 타정기(2)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5)에 삽입하기 위한, 장치(1)를 포함하는, 시스템.
It is a system,
a. A die press (2) including at least one die (5) arranged on a reference circle of a turret driven to rotate around a first rotation axis, and
b. A system comprising a device (1) as described in one or more of claims 1 to 12,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6) into at least one die (5) of a die press (2).
제13항에 있어서,
a. 제2 터릿의 커플링 요소(10)는 제2 터릿의 회전식 이동을 시작 및/또는 보장하기 위해 구동 제1 터릿과 능동 접촉하고;
b. 적어도 하나의 물체 홀더(7)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6)가 픽업되고, 운반되고, 해제될 수 있게 하는 유지 수단을 포함하고;
c. 물체(6)의 이동 경로(3)는 다이(5)의 이동 경로(4)와 교차하며, 적어도 하나의 물체(6)의 이동 경로(3)는 제2 터릿의 회전 방향 이동에 관하여 반경 방향 및 접선 방향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적어도 하나의 물체(6)의 이동 경로(3)는 적어도 제2 터릿의 회전 각도 범위에 걸쳐 적어도 하나의 다이(5)의 이동 경로(4)를 모방하고, 물체 홀더(7)는 적어도 하나의 물체(6)를 다이(5)로 해제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In Article 13,
a. The coupling element (10) of the second turret is in active contact with the driving first turret to initiate and/or ensur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b. At least one object holder (7) comprises a holding means enabling at least one object (6) to be picked up, carried and released;
c. A system characterized in that the movement path (3) of the object (6) intersects the movement path (4) of the die (5), and the movement path (3) of at least one object (6) can be controlled in the radial and tangenti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second turret, so that the movement path (3) of at least one object (6) mimics the movement path (4) of at least one die (5) at least over the rotational angle range of the second turret, and the object holder (7) is configured to release at least one object (6) into the die (5).
제1항 내지 제12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기재된 장치(1) 또는 제13항 또는 제14항 중 하나 이상의 항에 기재된 시스템의 용도이며, 적어도 하나의 물체(6)를 타정기(2)의 적어도 하나의 다이(5)에 삽입하기 위한, 용도.A use of a device (1) as described in one or more of claims 1 to 12 or a system as described in one or more of claims 13 or 14,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6) into at least one die (5) of a die press (2).
KR1020247041281A 2022-05-18 2023-05-16 A devic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die press Pending KR20250011650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174192.9 2022-05-18
EP22174192 2022-05-18
PCT/EP2023/063113 WO2023222688A1 (en) 2022-05-18 2023-05-16 Devic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tabletting machin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11650A true KR20250011650A (en) 2025-01-21

Family

ID=817491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41281A Pending KR20250011650A (en) 2022-05-18 2023-05-16 A devic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die press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526113A1 (en)
KR (1) KR20250011650A (en)
CN (1) CN119136970A (en)
WO (1) WO2023222688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305247B (en) * 2024-12-17 2025-03-07 山东新马制药装备有限公司 Chip packaging production equipment and chip packaging production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8915A (en) 1988-06-08 1992-02-18 Korsch Ohg Maschinenfabrik Coated-core press
DE4025484C1 (en) 1990-08-08 1991-10-10 Korsch Maschfab
US6767200B2 (en) * 2001-09-28 2004-07-27 Mcneil-Ppc, Inc.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es for manufacturing dosage forms
DE10321754B4 (en) 2003-05-15 2006-03-02 Fette Gmbh Method and device for placing solid components (depositors) in dies of a rotary tableting press
ES2605615T3 (en) 2008-04-18 2017-03-15 Korsch Ag Device for inserting inlays into the dies of a rotary tablet press
DE102013104344B4 (en) 2013-04-29 2015-07-09 Kilian Tableting Gmbh Device for inserting inserts in dies of a tablet press
PL3222414T3 (en) * 2016-03-24 2020-04-30 Korsch Ag Rotation press with stamps with at least two stamp tips at staggered heights for carrying out multiple pressing processes during a rotation
JP6917594B2 (en) 2018-02-05 2021-08-11 大森機械工業株式会社 Compression molding equipme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2688A1 (en) 2023-11-23
EP4526113A1 (en) 2025-03-26
CN119136970A (en) 2024-1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50011650A (en) A device for inserting at least one object into at least one die of a die press
JP5529005B2 (en) Mounting device and method and device for supplying fastening elements
EP2493797B1 (en) Material feeding apparatus with gripping member linkage
EP2931634B1 (en) Can body take-away mechanism for vertical bodymaker
JP6381627B2 (en) Actuating mechanism for vertically oriented bodymakers
JP2018118320A (en) Tool pack for vertical body makers
WO2014164949A1 (en) Cup feed mechanism for vertical bodymaker
CN103737318A (en) Automatic accessory assembly equipment
US6213369B1 (en) Material feeding apparatus
CN107433317A (en) The Transporting equipment of multistage forging press
WO2010043579A1 (en) Device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populating electrical components with contact elements
CN213053868U (en) Feeding and discharging manipulator for numerical control machine tool
JPS58187225A (en) Automatic feed device of object to be worked
US6224124B1 (en) Parts transfer and control circuit system
JP4576245B2 (en) Article conveying device
JP2673116B2 (en) Article transfer device
RU1782203C (en) Assembly robot production device
JP5219681B2 (en) Transfer press apparatus and press method
JPS6013562Y2 (en) pusher device
CN209256291U (en) The production line of tail door supporting rod
SE505793C2 (en) Device for joining plates or the like with frictional and / or profile-dependent engagement
EP4412906A1 (en) Mechatronic and modular encapsulating machine for food or beverage containers
RU2101220C1 (en) Appliance for transferring parts between conveyers situated in different height levels
WO1993017813A1 (en) A method and an apparatus for making screws, rivets or similar obje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1212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22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