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11316A -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 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 - Google Patents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 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11316A
KR20250011316A KR1020230091543A KR20230091543A KR20250011316A KR 20250011316 A KR20250011316 A KR 20250011316A KR 1020230091543 A KR1020230091543 A KR 1020230091543A KR 20230091543 A KR20230091543 A KR 20230091543A KR 20250011316 A KR20250011316 A KR 202500113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line
vehicle
silicone
install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915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재만
오종태
윤현수
임호섭
선찬호
조현석
김범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모텍
Priority to KR10202300915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11316A/ko
Publication of KR202500113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1131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1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onstruction or spatial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3Inflatable members
    • B60R21/235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 B60R2021/23504Inflatable members characterised by their material characterised by material
    • B60R2021/23519Res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외면에 실리콘 소재의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그 외면에 실리콘 코팅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면 어느 한 끝단에 일방향으로 라인이 형성되어 에어백을 차량에 설치시 라인을 기준으로 접어 설치될 있는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는 에어백 외면에 라인이 부착되어 에어백을 차량내부 에어백 커버에 장착시 라인을 기준으로 작업자가 접어 장착시켜 작업 효율을 높이고, 에어백 작동 불량을 방지하며, 다른 소재로 라인을 생성시킬 경우 변질등에 의해서 라인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때 에어백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심각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인을 동일한 실리콘 소재로 사용하여 부착력을 높일 뿐만아니라 에어백 외면에 라인 부착시 실리콘 접착 증진제를 이용하여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Description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 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Airbags with reference lines when installing vehicle airbags}
본 발명은 차량용 에어백 외면에 실리콘 소재의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그 외면에 실리콘 코팅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면 어느 한 끝단에 일방향으로 라인이 형성되어 에어백을 차량에 설치시 라인을 기준으로 접어 설치될 있는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에 관한 것이다.
에어백은 안전벨트와 더불어 대표적인 탑승객 보호장치로 최초에는 충돌 사고시 운전자나 승객을 보호하기 위하여 조향 핸들이나 대시보드(dashboard)에 장착되어 자동차의 앞부분이 충돌하는 순간 급격히 공기가 주입되어 팽창시킴으로써 머리와 가슴의 충격을 흡수해 주는 장치이다. 최근에는 차량내 각 측면에 일자로 설치되는 등 다양한 공간에 구비되어 사고시 탑승객의 안전성 높이고 있다.
에어백 시스템은 검지 시스템과 에어백 모듈로 이루어져 있는데, 검지 시스템은 센서·배터리·진단장치 등으로 이루어지며, 에어백 모듈은 에어백과 충격감지시스템, 작동기체 팽창장치로 이루어져 있다.
에어백은 일반적으로 나일론과 폴리에스터와 같은 강화된 섬유 재질로 만들어지고, 그 외면에 실리콘 코팅을 실시한다. 실리콘을 코팅하는 이유로는 첫째, 에어백 소재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에어백은 차량 충돌시 급격한 팽창과 수축을 반복하게 되므로 이러한 동작에 의한 마찰과 마모를 줄일 수 있으며, 실리콘 코팅은 에어백의 수명을 연장하고, 재질의 피로와 파손을 방지한다. 둘째, 차량 내부에는 다양한 머지, 습기, 오염 물질 등이 존재하고 있으며, 이러한 외부 요인들은 에어백 작동에 영향을 줄수 있다. 따라서 실리콘 코팅을 실시하여 방수 및 방진처리를 실시하여 외부요인으로부터 에어백의 작동이 방해되는 요인을 줄인다. 셋째, 실리콘 코팅은 에어백의 표면을 매끄럽게 만들어 유동성을 향상 시킬수 있다. 에어백이 팽창되고 수축될 때, 실리콘 콩팅은 마찰을 감소시켜 원활한 팽창 동작이 일어날 수 있다. 이는 에어백의 작동 속도와 정확성을 향상 시킬수 있다. 마지막은 실리콘 코팅을 함으로써 에어백 표면을 부드럽고 비점착성으로 만들어 에어백 외면에 먼지, 오염 물질 등이 쉽게 부착되지 않게 하여 유지 및 보수의 용이성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차량용 에어백 관현 선행기술을 살펴보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87702호(2005.04.27.)은 단사섬도가 0.5 ∼ 4.5dtex 이고 전섬도가 67 ∼ 250dtex 이고, 구리 환산 1 ∼ 200ppm 의 구리 화합물 함유 폴리아미드섬유를 경사와 위사로 하는 섬유 전섬도와 직밀도의 곱이 20000 이하, 유제가 0.8wt% 이상 부착, 단위면적당 중량 250g/㎡, 두께 0.30㎜ 이하의 AJL 직물로 이루어지는 에어백용 원단을 제공하고,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1736호(2014.09.24.)는 큰 외부 충격은 물론이고 고온 및 고압에 잘 견딜 수 있어 외장용 에어백으로 사용될 수 있는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차량에 에어백이 설치되는 커버 내부로 에어백을 삽입할때에는 인력으로 삽입 설치되고 있으며, 접는 방법은 설치 인원이 별다른 기준없이 접어 삽입 설치하고 있다. 이러한 불균일한 설치 방법은 추후 사고 발생시 에어백 작동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는 문제점과 작업자 개인의 각기 다른 접는 방식에 따라 시간대비 작업 시간의 설정을 제대로 하지 못하여 작업의 효율성을 낮춘다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상기 선행기술들과 같이 현재 까지 에어백 관련 선행기술들은 작동장치 또는 에어백을 이루는 소재들만 있으므로 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유사 동일한 선행기술은 현재 없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87702호(2005.04.27.)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441736호(2014.09.24.)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에어백을 차량내부 에어백 커버 내부로 삽입시 에어백 외면에 작업자가 에어백을 접는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되어 기준 라인에 맞게 작업자가 에어백을 접어 설치할 수 있고, 기준 라인의 생성에 의한 작업 효율을 올릴 수 있고, 에어백 외면은 실리콘이 코팅되어 있는 바 동일 소재의 실리콘으로 라인을 잡아 부착력을 향상 시켜 사고에 따른 에어백 작동시 불량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10)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20)이 부착된 에어백(10)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그 외면에 실리콘 코팅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면 어느 한 끝단에 일방향으로 라인(20)이 형성된다.
상기 라인(20)은 컬러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라인(20)을 기준으로 접어서 차량에 에어백을 삽입설치 할 수 있다.
상기 라인(20)은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며, 실리콘으로 코팅된 에어백(10) 외면과 부착을 위해 실리콘 접착 증진제로 부착되는 차량용 에어백(10)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20)이 부착된 에어백을 제공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본 발명은 에어백 외면에 라인이 부착되어 에어백을 차량내부 에어백 커버에 장착시 라인을 기준으로 작업자가 접어 장착시켜 작업 효율을 높이고, 에어백 작동 불량을 방지한다.
(2) 다른 소재로 라인을 생성시킬 경우 변질등에 의해서 라인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때 에어백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심각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인을 동일한 실리콘 소재로 사용하여 부착력을 높일 뿐만아니라 에어백 외면에 라인 부착시 실리콘 접착 증진제를 이용하여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을 나타내는 실사도이다.
본 발명의 명칭은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으로 통상의 기술자가 쉽게 알 수 있도록 구체적인 내용을 기재하고, 충분히 유추 가능한 별도의 기재는 생략하며, 필요 경우 실시예 및 도면을 기재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용어들은 한정 해석하지 아니하며,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면에 있어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을 나타내는 실사도로 상기 도 1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을 하기에 더욱 상세하게 개진하다.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백(10)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10)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그 외면에 실리콘 코팅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면 어느 한 끝단에 일방향으로 라인이 형성된다.
차량용 에어백(10)은 조향핸들, 대시보드, 차량내부 좌석 양 측면 등 설치되는 방향에 따라서 그 형상이 다양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그 형태마다 최초 접어지는 끝단부분에 본 발명의 라인(20)이 부착되되, 라인(20)의 형태는 일자, 원형, 물결무늬로 에어백(10)의 형태에 따라서 선택된 라인(20)의 형태로 부착된다.
작업자는 본 발명의 라인(20)을 기준으로 갈지자 형태로 에어백(10)을 접어 에어백 커버 내부로 삽입 장착시켜 차량사고에 따른 에어백(10) 작동시 에어백(10)의 팽창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라인(20)은 컬러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라인(20)을 기준으로 접어서 차량에 에어백(10)을 삽입설치 할 수 있다.
상기 컬러는 작업자가 에어백 커버에 에어백(10)을 삽입 장착하는 작업시 시안성이 높은 컬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라인(20)은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며, 실리콘으로 코팅된 에어백(10) 외면과 부착을 위해 실리콘 접착 증진제로 부착된다.
상기 실리콘 접착 증진제(silicone adhesion promoter)의 조성물은 비닐실란(Vinyl silane) 55~60 중량%, 인산수소포타슘(Potassium Phosphate) 01~0.3 중량%, Sodium Hydroxide, 50% Solution 0.01~0.03중량%, 물(water) 29~30중량%, 메탄올(Methanol) 9~11중량%로 이루어진다.
상기 실리콘 접착 증진제 제조는 반응기에 상기 조성물을 투입하여 골고루 교반하고, 70도 정도로 가열하여 2~4시간 정도 서서히 교반 한 뒤 상압에서 온도를 130도 정도로 승온하여 서서히 교반하면서 휘발물질(메탄올, 물, Cyclics)들을 제거하고, 나머지 휘발성분은 진공으로 제거해낸 뒤 냉각 후 여과 포장하여 제조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는 에어백 외면에 라인이 부착되어 에어백을 차량내부 에어백 커버에 장착시 라인을 기준으로 작업자가 접어 장착시켜 작업 효율을 높이고, 에어백 작동 불량을 방지하며, 다른 소재로 라인을 생성시킬 경우 변질등에 의해서 라인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으며, 이때 에어백이 제대로 작동되지 않아 심각한 사고가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라인을 동일한 실리콘 소재로 사용하여 부착력을 높일 뿐만아니라 에어백 외면에 라인 부착시 실리콘 접착 증진제를 이용하여 부착력을 향상시킨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은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 : 에어백 20 : 라인

Claims (3)

  1. 차량에 설치되는 에어백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은
    나일론 또는 폴리에스터 재질로 그 외면에 실리콘 코팅이 구비되어 있으며, 일면 어느 한 끝단에 일방향으로 라인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컬러가 구비되어 작업자가 라인을 기준으로 접어서 차량에 에어백을 삽입설치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인은 실리콘 소재로 이루어지며, 실리콘으로 코팅된 에어백 외면과 부착을 위해 실리콘 접착 증진제로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
KR1020230091543A 2023-07-14 2023-07-14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 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 Pending KR2025001131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543A KR20250011316A (ko) 2023-07-14 2023-07-14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 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91543A KR20250011316A (ko) 2023-07-14 2023-07-14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 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11316A true KR20250011316A (ko) 2025-01-21

Family

ID=94390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91543A Pending KR20250011316A (ko) 2023-07-14 2023-07-14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 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11316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02B1 (ko) 1999-08-02 2005-05-03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백용 원단 및 에어백
KR101441736B1 (ko) 2010-10-21 2014-09-2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87702B1 (ko) 1999-08-02 2005-05-03 아사히 가세이 가부시키가이샤 에어백용 원단 및 에어백
KR101441736B1 (ko) 2010-10-21 2014-09-24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53844B2 (en) External airbag system for pedestrian protection
US8955634B2 (en) Pedestrian protection airbag
CN1043746C (zh) 装有可充气气囊防护装置的车辆
US8636301B1 (en) Top tether for curtain airbag
US8424905B2 (en) Interior trim assembly for a motor vehicle and motor vehicle
AU200230960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olded curtain air-bag
US7597342B2 (en) Energy absorbing feature for inflatable curtain airbag
WO2014149906A1 (en) Fold over design for small overlap
CN214874691U (zh) 用于车辆的天窗的气囊
JP2010149857A (ja) サイドエアバッグ用案内プレート
EP1072479B1 (en) Airbag cushion exhibiting low fabric usage and simultaneously high available inflation airspace volume
EP1072480A2 (en) Airbag cushion exhibiting low seam and fabric and simultaneously high available inflation volume
EP1957699B1 (en) Inflatable two-layer fabrics by gas
CN118288934A (zh) 具有被动气体调制的前部安装的紧凑型乘客气囊模块
US20070063492A1 (en) Airbag for inflating outside a vehicle
KR20250011316A (ko) 차량용 에어백 설치시 기준이 되는 라인이 부착된 에어백
CN100493961C (zh) 车辆用乘客保护装置
CN112236337A (zh) 远侧安全气囊
EP2452856B1 (en) An inflatable airbag
GB2564968A (en) External airbag system for pedestrian protection
US7255367B2 (en) Air bag
KR101644376B1 (ko) 후석승객보호용 정면에어백장치
CN112660062A (zh) 车辆的帘式安全气囊系统
EP3966076A1 (en) Vehicle seat arrangement
KR102459643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4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1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