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08565A -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08565A
KR20250008565A KR1020230087317A KR20230087317A KR20250008565A KR 20250008565 A KR20250008565 A KR 20250008565A KR 1020230087317 A KR1020230087317 A KR 1020230087317A KR 20230087317 A KR20230087317 A KR 20230087317A KR 20250008565 A KR20250008565 A KR 202500085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unit
exit road
reverse
expresswa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87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지원
Original Assignee
(주)빅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빅트론 filed Critical (주)빅트론
Priority to KR10202300873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50008565A/ko
Publication of KR20250008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08565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0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 F21S4/20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 F21S4/28Lighting devices or systems using a string or strip of light sources with light sources held by or within elongate supports rigid, e.g. LED bar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03B21/2033LED or laser light sour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G05B23/0205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by means of a monitoring system capable of detecting and responding to fault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7/00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 G08B7/06Sign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Personal calling system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groups G08B3/00 - G08B6/00 using electric transmission, e.g. involving audible and visible signalling through the use of sound and light sour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6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direction of travel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19/00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9F19/12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 G09F19/18Advertising or display mea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ing special optical effects involving the use of optical projection means, e.g. projection of images on clou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7/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 sources in general, i.e. where the type of light source is not relevant
    • H05B47/10Controlling the light source
    • H05B47/105Controlling the light source in response to determined parame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201/08Detecting or categorising vehic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역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스스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중지하도록 안내하고, 경고 알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운전자가 역방향으로 계속 진입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고속화 도로로 역방향 진입해 고속화 도로를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 차량 감지부(300), 태양광 발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A reverse driving prevention device for join road of highway}
본 발명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역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스스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중지하도록 안내하고, 경고 알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운전자가 역방향으로 계속 진입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도로에 다양한 종류와 목적을 가진 많은 차량이 운행되고 있는 관계로, 효율적인 차량 운행을 위해 도로는 일반 도로와 고속화 도로로 크게 구분하여 이용되고 있으며, 도로는 설치 지역에 따라 제한 속도나 진입 방향성이 정해져 있다.
일반적으로, 도로 중, 고속화 도로에는 고속화 도로에서 차량이 나갈 수 있도록 진출 도로가 분기 설치되어 있으며,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는 고속화 도로에서 나가는 방향인 정방향인 일 방향으로만 주행하도록 지정되는데, 만일,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지정된 주행 방향과 반대인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해 고속화 도로로 해당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고속화 도로를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어,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로의 역방향 진입을 방지해야 한다.
이를 위해,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는 역방향 진입을 방지하도록 하는 시설물들이 설치되어 있는데, 기존의 역방향 진입 방지 시설물은 진입 금지를 알리는 표지판이 정도가 대부분이어서, 진입 금지를 알리는 표지판을 인지하지 못한 운전자가 진출 도로를 통해 고속화 도로로 역방향 진입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을 방지하는 효과적인 시설물 설치가 필요한 상황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도록,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역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스스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중지하도록 안내하고, 경고 알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운전자가 역방향으로 계속 진입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기술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음은 이와 관련한 종래의 선행기술들이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117776호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2.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9-0005071호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223465호 역주행 사고방지장치
본 발명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역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스스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중지하도록 안내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경고 알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운전자가 역방향으로 계속 진입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본 발명인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 제공 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 제공 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 감지 시,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에 제공하는 차량 감지부(300)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와 차량 감지부(300)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태양광 발전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역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스스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중지하도록 안내하고, 경고 알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운전자가 역방향으로 계속 진입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고속화 도로로 역방향 진입해 고속화 도로를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기능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역방향 진입 차단부 세부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역방향 진입 차량에 대한 차단 동작 예시도 1
도 5는 본 발명의 역방향 진입 차량에 대한 차단 동작 예시도 2
도 6은 본 발명의 역방향 진입 차량에 대한 차단 동작 예시도 3
도 7은 본 발명의 역방향 진입 차량에 대한 차단 동작 예시도 4
도 8은 본 발명의 고장 진단부 세부 구성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인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이하 본 발명)는 본 발명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역방향으로 진입하는 차량이 감지되면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여 운전자가 스스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중지하도록 안내하고, 경고 알람에도 불구하고 차량의 운전자가 역방향으로 계속 진입하는 경우 해당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할 수 있어,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고속화 도로로 역방향 진입해 고속화 도로를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하는 발명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 차량 감지부(300), 태양광 발전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인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는, 도 1,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 제공 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 제공 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 감지 시,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에 제공하는 차량 감지부(300)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와 차량 감지부(300)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태양광 발전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진출 도로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속화 도로에서 정상 방향으로 주행하는 차량이 고속화 도로에서 이면 도로로 진출할 수 있도록,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도로를 의미한다.
상기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 제공 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구성이다.
즉, 역방향 진입 차량이란 진출 도로를 통해 고속화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하려는 차량을 의미하며, 후술하는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의 경고 알람에도 불구하고 역방향 진입 차량의 운전자가 역방향으로 계속 진입하는 경우,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는 해당 차량이 고속화 도로에 진입할 수 없도록 해당 차량을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상시 진출 도로 면에 접한 상태로 있다가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과속 방지턱(110)과,
과속 방지턱(110)의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진출 도로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과,
일 측은 과속 방지턱(110)과 용접 결합하고 타 측은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과 기어 결합하여, 과속 방지턱(110)을 승/하강시키도록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모터(130)와,
과속 방지턱(110)의 안정적 승/하강을 위해, 일 측은 과속 방지턱(110)과 용접 결합하고 타 측은 다른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과 기어 결합하는 풀리 기어(140)와,
차량 감지부(300)가 제1 감지 신호 제공 시,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도록 모터(130)의 회전을 제어하고, 차량 감지부(300)가 제2 감지 신호 제공 시, 과속 방지턱(110)이 하강하도록 모터(1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과속 방지턱(110)은 평상시 진출 도로 면에 접한 상태로 있다가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구성이다.
상기 과속 방지턱(110)은 평상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출 도로 면에 접한 상태로 있게 되며, 고속화 도로에서 진출 도로로 정상적으로 진출한 차량이 속도를 낮추도록 하는 과속 방지턱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을 따라 일정 높이로 상승하여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고속화 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일종의 바리케이트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은 과속 방지턱(110)의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진출 도로 양측에 설치되는 구성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은 모터(130)의 정 회전, 역회전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하는 과속 방지턱(110)의 승/하강을 안내한다.
이를 위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는 랙 기어가 형성되고,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형성된 랙 기어에 과속 방지턱(110)에 용접 결합 된 모터(130)의 축에 연결된 피니언 기어가 기어 결합하고, 다른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형성된 랙 기어에 과속 방지턱(110)에 용접 결합 된 풀리 기어(140)가 기어 결합하여, 모터(130)의 정 회전, 역회전에 따라 과속 방지턱(110)이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을 따라 안내되어 수직 방향으로 상승 또는 하강한다.
상기 모터(130)는 일 측은 과속 방지턱(110)과 용접 결합하고 타 측은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과 기어 결합하여, 과속 방지턱(110)을 승/하강시키도록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구성으로, 모터(130)의 축에 형성된 피니언 기어가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형성된 랙 기어와 기어 결합한다.
따라서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상기 모터(130)가 정 회전하면 과속 방지턱(110)이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을 따라 상승하게 되고, 모터(130)가 역회전하면 과속 방지턱(110)이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을 따라 하강하게 된다.
상기 풀리 기어(140)는 과속 방지턱(110)의 안정적 승/하강을 위해, 일 측은 과속 방지턱(110)과 용접 결합하고 타 측은 다른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모터가 기어 결합하는 안내 기둥 반대 측 안내 기둥)과 기어 결합하는 구성으로, 과속 방지턱(110)의 승/하강 시, 풀리 기어(140)는 자유 회전하여, 일 측은 모터(130)를 통해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기어 결합하고 타 측은 풀리 기어(140)를 통해 다른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기어 결합하는 과속 방지턱(110)이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을 따라 안정적으로 승/하강하도록 지지한다.
상기 제어부(150)는 제1 감지 신호 제공 시,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도록 모터(130)의 회전을 제어하고, 차량 감지부(300)가 제2 감지 신호 제공 시, 과속 방지턱(110)이 하강하도록 모터(130)의 회전을 제어하는 구성이다.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차량 감지부(300)는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50)는 모터(130)가 정 회전하도록 제어하여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을 따라 과속 방지턱(110)이 일정 높이로 상승하도록 한다.
또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후진하여 진출 도로에서 벗어나게 되면, 차량 감지부(300)는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50)는 모터(130)가 역회전하도록 제어하여 상승한 과속 방지턱(110)이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을 따라 하강하여 초기 위치인 진출 도로 지면에 위치하도록 한다.
한편, 차량은 크기에 따라 소형차, 중형차, 대형차로 크게 구분할 수 있고 차종에 따라 운전석의 높이 차이가 있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종에 따라 해당 차량에 탑승한 운전자가 일정 높이로 상승한 과속 방지턱(110)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가 일정 높이로 상승한 과속 방지턱(110)에 대한 인지율을 높일 수 있도록,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 높이를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종에 따라 조절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어부(150)는 차량 감지부(300)가 제1 감지 신호와 함께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종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공된 차종 정보에 따라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 높이가 다르게 조절되도록 모터(130)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를 예로 들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종이 소형차인 경우,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 높이를 A(예: 1m)가 되도록 모터(130) 회전을 제어하고,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종이 중형차인 경우,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 높이를 B(예: 1.5m)가 되도록 모터(130) 회전을 제어하고,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종이 대형차인 경우,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 높이를 C(예: 2m)가 되도록 모터(130) 회전을 제어하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가 일정 높이로 상승한 과속 방지턱(110)에 대한 인지율을 높일 수 있게 되어, 차종에 따라 다른 높이로 상승한 과속 방지턱(110)은 효과적인 진입 차단 효과를 제공한다.
한편, 과속 방지턱(110)이 일정 높이로 상승해도 야간이나 날씨로 인해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가 일정 높이로 상승한 과속 방지턱(110)을 인지하지 못할 수 있다.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가 일정 높이로 상승한 과속 방지턱(110)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진입 금지 도로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는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점등하는 진입 금지 문자가 새겨진 바(bar)형 제1 LED(161)와 과속 방지턱(110) 측면 둘레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점멸 점등하는 바(bar)형 제2 LED(16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제1 감지 신호 제공 시, 제1 LED(161)는 점등, 제2 LED(162)는 점멸 점등시키고, 차량 감지부(300)가 제2 감지 신호 제공 시, 제1 LED(161)와 제2 LED(162)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차량 감지부(300)는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50)는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설치된 진입 금지 문자가 새겨진 바(bar)형 제1 LED(161)는 점등, 과속 방지턱(110) 측면 둘레에 설치된 바(bar)형 제2 LED(162)는 점멸 점등시켜,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가 일정 높이로 상승한 과속 방지턱(110)을 쉽게 인지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진입 금지 도로라는 것을 인지할 수 있도록 하고,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후진하여 진출 도로에서 벗어나게 되면, 차량 감지부(300)는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50)는 제1 LED(161)와 제2 LED(162)를 소등시킨다.
한편, 과속 방지턱(110)이 일정 높이로 상승해도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역방향 진입 경각심을 효과적으로 줄 수 없을 수 있다.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역방향 진입 경각심을 효과적으로 줄 수 있도록,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는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진출 도로에 대한 역방향 주행의 위험성을 알리는 레이저 영상을 공중 또는 지면에 영사하는 레이저 영사부(17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차량 감지부(300)가 제1 감지 신호 제공 시, 레이저 영사부(170)가 레이저 영상을 영사하도록 제어하고, 차량 감지부(300)가 제2 감지 신호 제공 시, 레이저 영사부(170)가 레이저 영상의 영사를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레이저 영사부(170)를 통해 영사되는 레이저 영상은 고속화 도로를 고속으로 달리고 있는 정상 차량에 역방향 진입 차량이 충돌하는 모습의 레이저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차량 감지부(300)는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50)는 레이저 영사부(170)가 고속화 도로를 고속으로 달리고 있는 정상 차량에 역방향 진입 차량이 충돌하는 모습의 레이저 영상을 공중 또는 지면에 영사하도록 제어하여,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역방향 진입 경각심을 효과적으로 주고,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후진하여 진출 도로에서 벗어나게 되면, 차량 감지부(300)는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50)는 레이저 영사부(170)가 레이저 영상의 영사를 중지하도록 제어한다.
한편, 고장 및 기타 원인으로 인해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으며,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을 통한,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 대한 역방향 진입 경각심 제공과 진입 차단 효과가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고장 및 기타 원인으로 인해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지 못하는 경우,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역방향 진입 경각심과 진입 차단 효과를 줄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기(1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150)는 차량 감지부(300)가 제1 감지 신호 제공 시,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을 확인하고(후술하는 승/하강 감지 센서를 이용),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차단기(180)가 차단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차량 감지부(300)가 제2 감지 신호 제공 시, 차단기(180)가 차단 동작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하게 되면, 차량 감지부(300)는 제1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50)는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을 확인하고,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차단기(180)가 차단 동작하도록 제어하여,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역방향 진입 경각심과 진입 차단 효과를 주고,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후진하여 진출 도로에서 벗어나게 되면, 차량 감지부(300)는 제2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에 제공하게 되는데, 이때, 제어부(150)는 차단기(180)가 차단 동작을 해제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 제공 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막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는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의 경고 알람을 통해 해당 도로가 진입 불가 도로라는 것을 인지하게 되고, 진입 불가 도로라는 것을 인지한 해당 차량의 운전자는 스스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중지하고 후진 등을 통해 해당 도로에서 벗어난다.
구체적으로, 상기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출 도로의 역방향 초입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부(300)가 제1 감지 신호 제공 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진입 불가 음성 메시지(예: “일방통행 도로이니 진입불가입니다.”)를 제공하는 스피커(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피커(210)에서 출력되는 진입 불가 음성 메시지를 통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막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는 해당 도로가 진입 불가 도로라는 것을 인지하게 되고, 진입 불가 도로라는 것을 인지한 해당 차량의 운전자는 스스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중지하고 후진 등을 통해 해당 도로에서 벗어난다.
상기 차량 감지부(300)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 감지 시,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에 제공하는 구성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량 감지부(300)는, 도 2,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출 도로의 역방향 초입에 설치되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한 것을 감지한 경우, 제1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로 제공하고, 제1 감지 신호 제공 후,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후진하여 진출 도로에서 정방향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2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로 제공하는 진입 감지 센서(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진입 감지 센서(310)는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한 것과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후진하여 진출 도로에서 정방향으로 빠져나간 것을 감지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 상기 진입 감지 센서(310)는 진출 도로의 역방향 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감지하여 제1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로 제공하고, 제1 감지 신호 제공 후, 진출 도로의 정방향 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후진하여 진출 도로에서 정방향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감지하여 제2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진출 도로에 설치된 진입 감지 센서(310)에 역방향으로 진입 차량이 지나가게 되면, 진입 감지 센서(310)에 진출 도로의 역방향 측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역방향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 진입 감지 센서(310)는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감지하여 제1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로 제공한다.
제1 감지 신호 제공 후, 진출 도로에 설치된 진입 감지 센서(310)에 정 방향으로 진입 차량이 지나가게 되면(해당 차량이 후진하면), 진입 감지 센서(310)에 진출 도로의 정 방향 측으로 압력이 가해지고, 정 방향 측으로 가해지는 압력을 감지한 진입 감지 센서(310)는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후진하여 진출 도로에서 정방향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감지하여 제2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로 제공한다.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는 진입 감지 센서(310)가 제공하는 제1, 2 감지 신호에 따라 과속 방지턱(110)의 승/하강 제어, 바(bar)형 제1, 2 LED(161, 162)의 점등 제어, 레이저 영사부(170)의 레이저 영상 영사 제어를 하게 되고, 진입 경고부(200)의 스피커(210)는 진입 감지 센서(310)가 제공하는 제1 감지 신호에 따가 진입 불가 음성 메시지 출력 제어를 한다.
한편, 상기 차량 감지부(300)는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종을 파악하고, 파악한 차종 정보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로 추가 제공하는 차종 감지 센서(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종 감지 센서(320)는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량 무게를 이용해 차종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차종 감지 센서(320)는 상기 진입 감지 센서(310) 주변에 설치되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종을 파악한 후 파악한 차종 정보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의 제어부(150)로 추가 제공한다.
이때, 상기 차종 감지 센서(320)는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량 무게를 이용해 차종을 파악하는데, 일정 무게 이하는 소형차, 일정 무게 범위 내는 중형차, 일정 무게 범위를 초과하면 대형차로 차종을 파악한다.
따라서 상기 차종 감지 센서(320)가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의 제어부(150)로 파악한 차량의 차종 정보를 제공하고, 제어부(150)는 차종 정보에 따라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 높이가 다르게 되도록 모터(130)의 회전을 제어한다.
상기 태양광 발전부(400)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와 차량 감지부(300)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구성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와 차량 감지부(300)에 필요한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태양광 발전부(400)를 진출 도로 주변에 설치한다.
상용 전원을 이용하는 경우,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상용 전원 정전이 발생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와 차량 감지부(300)의 동작이 중지되는 경우가 발생하기 때문에, 자체적으로 동작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태양광 발전부(400)를 설치하여 돌발적인 상용 전원 정전 상황에 대비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차량 감지부(300)에 고장이 발생하는 경우,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에 대한 효과적인 진입 차단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이로 인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고속화 도로로 진입하게 되면, 고속화 도로를 정상적으로 운행하는 차량과 충돌하는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고장이 발생한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차량 감지부(300)에 대한 신속한 보수가 필요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차량 감지부(3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으로 판단된 경우, 고장 이벤트 정보를 원격지의 시설물 관리 기관으로 제공하는 고장 진단부(5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고장 진단부(50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 감지부(300) 측으로 향하는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움직임 감지 신호를 고장 제어부(550)로 제공하도록, 차량 감지부(300) 전단에 설치되는 차량 감지 센서(510)와,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이 감지되면 상승 감지 신호를 고장 제어부(550)로 제공하도록,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설치되는 승/하강 감지 센서(520)와,
모터(130)의 회전이 감지되면 회전 감지 신호를 고장 제어부(550)로 제공하도록, 모터(130)에 설치되는 회전 감지 센서(530)와,
차량 감지부(300)가 전송한 감지 신호가 제어부(150)에 수신된 것이 감지되면 수신 감지 신호를 고장 제어부(550)로 제공하도록, 제어부(150)에 설치되는 신호 감지 센서(540)와,
차량 감지 센서(510)와 승/하강 감지 센서(520)와 회전 감지 센서(530)와 신호 감지 센서(540)가 제공하는 감지 신호들을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고장 조건이 충족되면 고장 발생 대상 정보가 포함된 고장 이벤트 정보를 원격지의 시설물 관리 기관으로 제공하는 고장 제어부(5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장 제어부(550)는 차량 감지 센서(510)와 승/하강 감지 센서(520)와 회전 감지 센서(530)와 신호 감지 센서(540)가 제공하는 감지 신호들을 이용해, 차량 감지부(300) 측으로 향하는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제어부(150)가 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조건, 제어부(150)가 감지 신호를 수신한 후, 모터(130)가 회전하지 않은 조건, 모터(130)가 회전한 후,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지 않은 조건 중, 적어도 하나가 충족되면 고장 발생 대상 정보가 포함된 고장 이벤트 정보를 생성하여 원격지의 시설물 관리 기관으로 제공하여, 고장이 발생한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 또는 차량 감지부(300)에 대한 신속한 보수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차량 감지 센서(510)가 제공하는 움직임 감지 신호에 의해 차량 감지부(300) 측으로 향하는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승/하강 감지 센서(520)와 회전 감지 센서(530)와 신호 감지 센서(540)가 제공하는 감지 신호들을 이용해, 고장 발생 대상을 파악한다.
구체적으로, 차량 감지부(300) 측으로 향하는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신호 감지 센서(540)가 수신 신호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게 되면(제어부(150)가 차량 감지부(300)가 전송한 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조건에 해당함), 차량 감지부(300)가 고장이어서 제어부(150)로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못하는 상황이거나 차량 감지부(300)는 정상이지만 제어부(150)가 고장이어서 차량 감지부(300)가 전송한 감지 신호를 제어부(150)가 수신하지 못하는 상황이어서, 고장 발생 대상이 차량 감지부(300) 또는 제어부(150)로 파악하여, 고장이 발생한 대상이 차량 감지부(300) 또는 제어부(150)라는 고장 이벤트 정보를 원격지의 시설물 관리 기관으로 제공한다.
또한, 차량 감지부(300) 측으로 향하는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수신 감지 신호는 수신되었으나 회전 감지 센서(530)가 회전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게 되면(제어부(150)가 감지 신호를 수신한 후, 모터(130)가 회전하지 않은 조건에 해당함), 고장 발생대상이 모터(130)로 파악하여, 고장이 발생한 대상이 모터(130)라는 고장 이벤트 정보를 원격지의 시설물 관리 기관으로 제공한다.
또한, 차량 감지부(300) 측으로 향하는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수신 감지 신호와 회전 감지 신호는 수신되었으나 승/하강 감지 센서(520)가 상승 감지 신호를 제공하지 않게 되면(모터(130)가 회전한 후,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지 않은 조건에 해당함), 고장 발생대상이 승/하강 안내 기둥(120)으로 파악하여(승/하강 안내 기둥(120)이 파손되었거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이물질이 끼여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지 못하는 것으로 파악), 고장이 발생한 대상이 승/하강 안내 기둥(120)이라는 고장 이벤트 정보를 원격지의 시설물 관리 기관으로 제공한다.
시설물 관리 기관의 관리자는 고장 제어부(550)가 제공하는 고장 발생대상 정보가 포함된 고장 이벤트 정보를 이용해, 고장 발생 대상을 파악하고, 해당 고장 발생 대상에 대한 점검 및 보수 조치를 진행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권리 범위는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고, 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주 내에서 변형한 것까지 포함함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100 : 역방향 진입 차단부
200 : 역방향 진입 경고부
300 : 차량 감지부
400 : 태양광 발전부
500 : 고장 진단부

Claims (12)

  1.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에 있어서.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 제공 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물리적으로 차단하는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부(300)의 감지 신호 제공 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경고 알람을 제공하는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에 설치되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을 감지하고,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 감지 시,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에 제공하는 차량 감지부(300)와: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 주변에 설치되어,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와 차량 감지부(300)에 동작 전원을 제공하는 태양광 발전부(4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는,
    평상시 진출 도로 면에 접한 상태로 있다가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을 따라 수직 방향으로 승/하강하는 과속 방지턱(110)과,
    과속 방지턱(110)의 승/하강을 안내하도록, 진출 도로 양측에 설치되는 한 쌍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과,
    일 측은 과속 방지턱(110)과 용접 결합하고 타 측은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과 기어 결합하여, 과속 방지턱(110)을 승/하강시키도록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정/역 회전하는 모터(130)와,
    과속 방지턱(110)의 안정적 승/하강을 위해, 일 측은 과속 방지턱(110)과 용접 결합하고 타 측은 다른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과 기어 결합하는 풀리 기어(140)와,
    차량 감지부(300)가 제1 감지 신호 제공 시,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도록 모터(130)의 회전을 제어하고, 차량 감지부(300)가 제2 감지 신호 제공 시, 과속 방지턱(110)이 하강하도록 모터(130)의 회전을 제어하는 제어부(15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150)는,
    차량 감지부(300)가 제1 감지 신호와 함께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종 정보를 제공하는 경우, 제공된 차종 정보에 따라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 높이가 다르도록 모터(130)의 회전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는,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점등하는 진입 금지 문자가 새겨진 바(bar)형 제1 LED(161)와 과속 방지턱(110) 측면 둘레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점멸 점등하는 바(bar)형 제2 LED(16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차량 감지부(300)가 제1 감지 신호 제공 시, 제1 LED(161)는 점등, 제2 LED(162)는 점멸 점등시키고, 차량 감지부(300)가 제2 감지 신호 제공 시, 제1 LED(161)와 제2 LED(162)를 소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는,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설치되어,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진출 도로에 대한 역방향 주행의 위험성을 알리는 레이저 영상을 공중 또는 지면에 영사하는 레이저 영사부(17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차량 감지부(300)가 제1 감지 신호 제공 시, 레이저 영사부(170)가 레이저 영상을 영사하도록 제어하고, 차량 감지부(300)가 제2 감지 신호 제공 시, 레이저 영사부(170)가 레이저 영상의 영사를 중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영상은,
    고속화 도로를 고속으로 달리고 있는 정상 차량에 역방향 진입 차량이 충돌하는 모습의 레이저 영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7.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는,
    제어부(150)의 제어에 따라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역방향 진입을 차단하는 차단기(18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150)는,
    차량 감지부(300)가 제1 감지 신호 제공 시,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을 확인하고,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된 경우, 차단기(180)가 차단 동작하도록 제어하고, 차량 감지부(300)가 제2 감지 신호 제공 시, 차단기(180)가 차단 동작을 해제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는,
    진출 도로의 역방향 초입에 설치되어, 차량 감지부(300)가 제1 감지 신호 제공 시,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운전자에게 진입 불가 음성 메시지를 제공하는 스피커(2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300)는,
    진출 도로의 역방향 초입에 설치되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한 것을 감지한 경우, 제1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역방향 진입 경고부(200)로 제공하고, 제1 감지 신호 제공 후,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후진하여 진출 도로에서 정방향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감지되는 경우, 제2 감지 신호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로 제공하는 진입 감지 센서(3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입 감지 센서(310)는,
    진출 도로의 역방향 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차량이 진입한 것으로 감지하고,
    제1 감지 신호 제공 후, 진출 도로의 정방향 측으로 압력이 가해지면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이 후진하여 진출 도로에서 정방향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차량 감지부(300)는,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종을 파악하고, 파악한 차종 정보를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로 추가 제공하는 차종 감지 센서(3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차종 감지 센서(320)는 진출 도로에 역방향으로 진입한 차량의 차량 무게를 이용해 차종을 파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역방향 진입 차단부(100)와 차량 감지부(300)의 고장 여부를 판단하고, 고장으로 판단된 경우, 고장 이벤트 정보를 원격지의 시설물 관리 기관으로 제공하는 고장 진단부(500)를 더 포함하되,
    상기 고장 진단부(500)는,
    차량 감지부(300) 측으로 향하는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되면 움직임 감지 신호를 고장 제어부(550)로 제공하도록, 차량 감지부(300) 전단에 설치되는 차량 감지 센서(510)와,
    과속 방지턱(110)의 상승이 감지되면 상승 감지 신호를 고장 제어부(550)로 제공하도록, 어느 하나의 승/하강 안내 기둥(120)에 설치되는 승/하강 감지 센서(520)와,
    모터(130)의 회전이 감지되면 회전 감지 신호를 고장 제어부(550)로 제공하도록, 모터(130)에 설치되는 회전 감지 센서(530)와,
    차량 감지부(300)가 전송한 감지 신호가 제어부(150)에 수신된 것이 감지되면 수신 감지 신호를 고장 제어부(550)로 제공하도록, 제어부(150)에 설치되는 신호 감지 센서(540)와,
    차량 감지 센서(510)와 승/하강 감지 센서(520)와 회전 감지 센서(530)와 신호 감지 센서(540)가 제공하는 감지 신호들을 이용해, 적어도 하나의 고장 조건이 충족되면 고장 발생 대상 정보가 포함된 고장 이벤트 정보를 원격지의 시설물 관리 기관으로 제공하는 고장 제어부(550)를 포함하고,
    상기 고장 조건은,
    차량 감지부(300) 측으로 향하는 차량의 움직임이 감지된 후, 제어부(150)가 감지 신호를 수신하지 않은 조건, 제어부(150)가 감지 신호를 수신한 후, 모터(130)가 회전하지 않은 조건, 모터(130)가 회전한 후, 과속 방지턱(110)이 상승하지 않은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KR1020230087317A 2023-07-05 2023-07-05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Pending KR2025000856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317A KR20250008565A (ko) 2023-07-05 2023-07-05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87317A KR20250008565A (ko) 2023-07-05 2023-07-05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08565A true KR20250008565A (ko) 2025-01-15

Family

ID=94237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87317A Pending KR20250008565A (ko) 2023-07-05 2023-07-05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5000856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776A (ko)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KR20190005071A (ko) 2017-07-05 2019-01-1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102223465B1 (ko) 2020-07-06 2021-03-05 (주) 엠파워 역주행 사고방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17776A (ko) 2017-04-20 2018-10-30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KR20190005071A (ko) 2017-07-05 2019-01-15 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102223465B1 (ko) 2020-07-06 2021-03-05 (주) 엠파워 역주행 사고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48784B1 (ko)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CA1159538A (en) Electrically controlled safety mechanism for highway exit ramp
KR101507451B1 (ko)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US5825412A (en) Video detection apparatus for monitoring a railroad crossing
KR20110104985A (ko) 차량 통행 제어 장치
KR101889957B1 (ko) 비상 상황 알림 및 경고장치
US10407853B1 (en) Wrong-way vehicle prevention system
CN211765577U (zh) 一种煤矿斜井运输系统
KR100722868B1 (ko) 보행자 안전장치
CN110341767A (zh) 一种自动控制铁路道口
CN111311922A (zh) 一种超重车辆拦阻系统及方法
KR102492493B1 (ko) 침수도로 및 침수발생 지역의 차량진입 차단 장치
EP1849679B1 (en) Safety system for railroad level-crossing
KR20250008565A (ko)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CN114399913B (zh) 一种基于灾祸信息的智能禁行系统
KR102602535B1 (ko) 공영주차장 안전관리 시스템
KR102498585B1 (ko) 철도차량의 안전사고를 예방하는 철도신호 시스템
KR101928947B1 (ko) 역주행 방지 시스템
KR102292887B1 (ko) 횡단보도의 차단막 복구장치
JP2003044984A (ja) 逆走警報装置
Reddy Enhanced safety measures for accident prevention in mountainous regions
KR102799298B1 (ko) 철도건널목의 안전통행을 위한 안전기능 탑재 신호제어장치
CN113183989B (zh) 一种站台系统
KR102200593B1 (ko) 도로의 역주행 방지장치
CN223086042U (zh) 一种铁路平交路口智能报警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7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307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2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