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180117776A -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117776A
KR20180117776A KR1020170050727A KR20170050727A KR20180117776A KR 20180117776 A KR20180117776 A KR 20180117776A KR 1020170050727 A KR1020170050727 A KR 1020170050727A KR 20170050727 A KR20170050727 A KR 20170050727A KR 20180117776 A KR20180117776 A KR 20180117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ghway
vehicle
road
reverse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Ceased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0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호
마병종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솔오시스
Priority to KR1020170050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80117776A/ko
Publication of KR20180117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7776A/ko
Ceas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01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 G08G1/056Detecting movement of traffic to be counted or controlled with provision for distinguishing direction of trave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6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by swinging into open position about a vertical or horizontal axis parallel to the road direction, i.e. swinging gat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GTRAFFIC CONTROL SYSTEMS
    • G08G1/00Traffic control systems for road vehicles
    • G08G1/16Anti-collision systems
    • G08G1/167Driving aids for lane monitoring, lane changing, e.g. blind spot dete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Signs Or Road Markings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속도로 진출로에 진입하는 역주행 차량에 대해 두 번에 걸쳐 역주행 상태임을 알 수 있게 차단하고, 특히 2차에서는 고속도로 노면이 위로 튀어나와 역주행 차량이 고속도로 진출로를 지나지 못하게 하므로, 고속도로 진출로로 들어가는 역주행 차량을 미리 방지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속도로 진출로로 역주행 차량이 진입함에 따라 시각과 청각 그리고 물리적으로 역주행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역주행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역주행 상태임을 깨닫고서 역주행을 하지 않게 하거나 고속도로 진출로로 고속도로에 진입할 수 없게 하여 안전운행할 수 있게 한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SYSTEM FOR PREVENTING WRONG WAY VEHICLE ON ENTRY RAMP}
본 발명은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고속도로 진출로로 역주행하여 진입하는 차량에 대해 차량 차단기로 1차 차단하고, 2차로 차량이 고속도로 진출로를 통해 고속도로로 진입하지 못하도록 물리적으로 진입을 차단할 수 있게 하여 안전 운행을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는 중앙선을 기준으로 양쪽으로 나눠서 차량이 다른 주행 방향으로 주행하게 구성하거나, 한쪽으로만 차량이 주행할 수 있게 구성하여 교통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구성하기도 한다.
한편, 이처럼 도로는 차량의 주행 방향을 정해놓고 정해진 방향으로만 주행하게 하여 주행 안전성을 확보한다. 하지만, 도로에서는 가끔 이러한 주행 방향과 반대로 역주행하는 차량이 있고, 이러한 역주행 차량 때문에 인명사고나 대형 교통사고로 이어진다. 이에, 도로에는, 아래의 특허문헌 1 내지 특허문헌 3과 같이, 역주행을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어 있다.
(특허문헌 1) 한국등록특허 제1158243호
야간 등에 횡단 보도와 횡단 보도 신호등의 제어신호를 보행자 및 운전자가 인식할 수 있도록 LED로서 정보를 전달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횡단 보도나 상기 횡단 보도와 인접한 도로에 설치되고,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되며, 차량의 진입 방향과 마주보는 부분에 제 1 개방홀이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공간부에 설치되며, 상기 제 1 개방홀을 통해 외부로 빛을 발광하는 LED 모듈, 및 상기 횡단 보도에 설치된 신호등과 연동하여 상기 LED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LED를 이용한 도로 표지병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가시거리가 좁은 주간이나 야간에도 횡단 보도에 설치된 신호등의 동작에 대한 정보를 원활하게 제공받을 수 있다.
(특허문헌 2) 한국등록특허 제1416457호
역주행 차량 및 보행자 위험상황 인지가 적용된 도로방범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제 1 차량을 연속적으로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제 1 영상에 포함된 상기 제 1 차량의 이동방향 정보, 번호판 정보 및 위치변화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제 1 차량이 역주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차량이 역주행하는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제 1 차량의 차량번호 정보를 추출하는 제어부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차량번호 정보를 기 설정된 외부 기관으로 전송하는 유무선통신부를 포함할 수 있다.
(특허문헌 3) 한국공개실용 제20-2015-0002081호
노면표시가 도로노면 상에 도면과 같은 형태로 운전자에게 인식되어 차선의 시인성이 향상될 수 있는 노면표시를 제공한다. 또한 운전자의 입장에서 운전자의 시선을 점선으로 유도하여 운전자의 주의를 환기시켜 안전운전에 도움을 줄 수 있는 역주행방지 노면표시를 제공한다.
한편, 대도시나 산업도시 그리고 정치 경제상 중요한 지역을 연결하는 도로 중 하나인 고속도로는 나들목을 통해 차량이 진출입할 수 있게 하고, 양쪽 주행 방향을 완전히 분리하여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처럼 고속도로는 자동차 전용 도로의 하나로서 주행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으나,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1) 출입로를 통해 차량이 고속도로 안으로 진입하는 역주행 차량이 있는 경우 큰 사고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2)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려고 상술한 역주행 방지 기술을 적용하더라도 이를 무시하고 고속도로 진출로를 통해 고속도로로 진입할 우려가 있다.
(3) 즉, 기존 역주행 방지 기술은 역주행하는 차량의 운전자에게 역주행 상태임을 알려줄 수 있으나, 물리적으로 역주행하는 차량을 세울 수 없으므로 역주행 차량이 계속해서 진행하더라도 이를 막을 방법이 없다.
(4) 따라서, 역주행 차량의 운전자가 역주행 상태를 알지 못하거나 알더라도 강제로 역주행이 계속될 경우 이를 막지 못해 큰 사고로 이어질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158243호 (등록일 : 2012.06.13) 한국등록특허 제1416457호 (등록일 : 2014.07.01) 한국공개실용 제20-2015-0002081호 (공개일 : 2015.06.0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고려한 것으로, 고속도로 진출로에 진입하는 역주행 차량에 대해 두 번에 걸쳐 역주행 상태임을 알 수 있게 차단하고, 특히 2차에서는 고속도로 노면이 위로 튀어나와 역주행 차량이 고속도로 진출로를 통과하지 못하게 구성하므로, 고속도로 진출로로 들어가는 역주행 차량을 미리 방지하여 안전운행을 도모할 수 있게 한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고속도로 진출로로 역주행 차량이 진입함에 따라 시각과 청각 그리고 물리적으로 역주행을 방지할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역주행 차량의 운전자가 쉽게 역주행 상태임을 깨닫고서 역주행을 하지 않게 하거나 고속도로 진출로로 고속도로에 진입할 수 없게 하여 안전운행할 수 있게 한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를 제공하는 데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는, 고속도로 진출로(O)에 설치하여 역주행 차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10); 고속도로 진출로(O)의 측면에 설치하여 상기 검출 수단(10)의 신호로 차단 바가 상기 고속도로 진출로(O)의 노면 위로 움직이면서 역주행 차량(V)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량 차단기(20); 상기 고속도로 진출로(O)의 노면에 설치하여 역주행 차량이 지나가지 못하도록 고속도로 진출로(O) 위로 돌출할 수 있게 설치한 차단 수단(30); 및 상기 검출 수단(10)의 검출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 차단기(20)를 제어하여 1차로 역주행 차량을 정지하게 하고, 정지하지 않으면 차단 수단(30)이 고속도로 진출로(O) 위로 돌출하게 하여 2차로 역주행 차량을 정지하게 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차단 수단(30)은, 고속도로 진출로(O)에 폭 방향으로 설치하여 회전할 수 있는 차단 블록(31); 및 상기 차단 블록(31)의 한쪽에 설치하여 차단 블록(31)을 회전시켜 고속도로 진출로(O) 밖으로 돌출하게 하는 액추에이터(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차단 블록(31)은, 고속도로 진출로(O) 위로 돌출하는 면에 야간에도 눈으로 볼 수 있는 경고 문구(31a)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고속도로 진출로(O)의 측면에 설치하여 상기 차량 차단기(20)와 차단 수단(30)과 함께 동작하는 신호음 발생기(50)를 추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두 번에 걸쳐 역주행 차량 운전자에게 고속도로 진출로로 들어가는 것을 알려주므로, 운전자가 쉽게 역주행 상태임을 알 수 있게 하여 안전주행을 할 수 있게 한다.
(2) 특히, 차량 차단기를 통한 1차 차단에도 역주행 차량이 멈추거나 돌아가지 않으면, 2차로 차단 수단을 통해 역주행 차량이 차단 블록을 넘지 못하게 하여 역주행 차량이 고속도로 진출로 안으로 역주행할 수 없게 하여 안전 주행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3) 또한, 이 같은 2번에 걸친 차단과 더불어 소리와 시각적으로도 역주행 중임을 알 수 있게 구성하므로, 역주행 차량 운전자가 고속도로 진출로로 들어올 때 역주행 상태임을 쉽게 알 수 있어 안전운행을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를 적용한 고속도로 진출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차량 차단기로 역주행 차량을 1차로 막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에서 차단 수단을 통해 역주행 차량이 넘지 못하도록 2차로 막는 상태를 보여주는 사시도(a)와, 차단 수단의 구성을 보여주는 단면도(b)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최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따라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례가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검출 수단(10), 차량 차단기(20), 차단 수단(30), 그리고 제어기(40)를 포함한다.
특히, 상기 제어기(40)는 고속도로 진출로(O)로 들어온 역주행 차량(V)을 검출 수단(10)으로 감지하면, 1차로 차량 차단기(20)로 더는 역주행하지 못하게 차단하고, 역주행 차량(V)이 계속해서 역주행하면 2차로 차단 수단(30)을 통해 고속도로 진출로(O) 안으로 진입을 물리적으로 막을 수 있게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차단 수단(30)은 이처럼 역주행 차량(V)이 있을 때 경고 문구(31a)를 함께 보여줄 수 있게 구성하므로, 물리적으로 역주행 차량(V)을 멈추게 하기 전에 역주행 차량의 운전자가 시각적으로도 쉽게 역주행 상태인 것을 알 수 있게 하여 안전 주행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구성에 관해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도면부호 "O"는 고속도로로 진입한 차량이 고속도로에서 벗어날 때 이용하는 고속도로 진출로를 나타낸다.
검출 수단(1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고속도로 진출로(O)의 측면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검출 수단(10)은 고속도로 진출로(O)로 나가는 차량의 간섭을 받지 않는 위치에 장착한다. 도면에서는 후술할 제어기(40)에 장착한 예를 보여준다.
특히, 상기 검출 수단(10)은,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고속도로 진출로(O)에서 역주행하는 역주행 차량(V), 즉 [도 3]에서 화살표로 표시한 바와 같이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고속도로에서 정상적으로 나가는 차량이 아닌 그 반대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고속도로로 진입하는 차량을 검출하게 한다.
이러한 검출 수단(10)으로는, 초음파나 적외선 또는 마이크로파 등을 이용한 동작 감지 센서나 움직임 센서, 이미지를 촬영하여 소프트웨어로 처리하는 비전 센서 등 역주행 차량(V)의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는 센서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이용할 수 있으며, 역주행 방향으로 역주행 차량(V)이 있을 때 이를 감지한 감지 신호를 후술할 제어기(40)로 송출하게 된다.
차량 차단기(2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고속도로 진출로(O)의 측면에 설치한 차단 바가 때에 따라 움직일 수 있게 장착한다. 이렇나 차량 차단기(20)는 주차장 입구나 철도 건널목 등 통상 도로 등을 지나는 차량을 일시 멈추게 하는 데 사용하는 통상의 기술로 제작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차단 바는 상하로 회전하게 하거나 좌우로 회전하게 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량 차단기(20)는, [도 1]과 같이 고속도로 진출로(O)에 차량이 정상적으로 주행할 때는 차단 바가 위로 젖혀지게 하여 주행 흐름을 방해하지 않게 하고, [도 3]과 같이 고속도로 진출로(O)에 역주행 차량이 있으면 제어기(40)의 제어로 동작하는 차단 바가 아래로 내려와서 역주행 차량(V)의 고속도로 진입을 막을 수 있게 한다.
차단 수단(30)은, [도 1]·[도 2] 및 [도 4]와 같이, 고속도로 진출로(O) 면에서 위로 돌출하게 하여 역주행 차량(V)이 더는 고속도로 진출로(O)로 진입하지 못하게 물리적으로 막기 위한 수단이다.
이러한 차단 수단(30)은, [도 1] 및 [도 4]와 같이, 차단 블록(31)과 이 차단 블록(31)을 회전시켜 주는 액추에이터(32)를 포함한다. 차단 블록(31)은 평시에는 고속도로 진출로(O)와 하나의 평면을 이루며, 폭 방향으로 위로 회전하여 한쪽이 고속도로 진출로(O) 면보다 위로 돌출할 수 있게 구성한다.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32)는, [도 4]와 같이, 고속도로 진출로(O) 면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상기 차단 블록(31)의 회전 중심이 되는 축을 강제로 회전시킬 수 있게 구성한다. 이때의 액추에이터(32)는 후술할 제어기(40)의 제어로 동작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차단 블록(31)은, [도 4]와 같이, 역주행 차량(V)의 역주행을 방지하려고 회전시킬 때 외부에 노출되는 면에 경고 문구(31a)를 추가로 구성하여 운전자가 쉽게 역주행 상태임을 알 수 있도록 경고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경고 문구(31a)는 야광 조성물 등을 이용하여 야간에도 눈으로 쉽게 식별할 수 있게 구성하여 안전 운행할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제어기(40)는, [도 1] 내지 [도 4]와 같이, 상술한 검출 수단(10)의 검출 신호를 바탕으로 차례로 차량 차단기(20)와 차단 수단(30)을 동작하게 하여 2번에 걸쳐 역주행 차량(V)이 고속도로 진출로(O) 안으로 역주행할 수 없게 제어한다.
즉, 상기 제어기(40)는 검출 수단(10)에서 입력받은 검출 신호에 따라 역주행 차량(V)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면, [도 3]과 같이 우선 1차로 차량 차단기(20)를 동작시켜 차단 바가 아래로 내려오게 하여 역주행 차량(V)이 차량 차단기(20) 앞에서 멈출 수 있게 제어한다. 이처럼 차량 차단기(20)를 동작하더라도 역주행 차량(V)이 계속 고속도로 진출로(O)로 진입하면, 제어기(40)는 [도 4]와 같이 액추에이터(32)를 동작하여 차단 블록(31)이 고속도로 진출로(O)에서 위로 돌출하게 제어한다. 이에, 역주행 차량(V)의 운전자가 경고 문구(31a)를 볼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역주행 차량(V)이 고속도로 진출로(O)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하게 한다.
[도 1] 및 [도 4]에서, 미설명 부호 "40'"는 차단 수단(30)을 구성하는 액추에이터(32)를 제어하는 제어수단의 예를 보여주고 있으나, 이러한 차단 수단(30)은 하나의 제어기(40)를 통해 제어가 이루어질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역주행 차량 운전자가 차량 차단기를 통해 자율적으로 역주행 상태임을 알 게 하여 더는 역주행하지 못하게 하고, 이를 무시하거나 역주행 상태를 알지 못하는 역주행 차량에 대해서는 2차로 차단 수단을 통해 물리적으로 역주행 차량이 고속도로 진출로로 진입하는 것을 막을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2]에 따른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상술한 [실시예 1]의 구성에서 신호음 발생기(50)를 추가하여 구성한 것이다. 이에, 여기서는 [실시예 1]과 같은 구성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추가 구성에 관해서만 설명한다.
[실시예 2]는, [도 1] 및 [도 5]와 같이, 고속도로 진출로(O)의 측면에 신호음 발생기(50)를 추가하여 구성한 것이다. 도면에서, 신호음 발생기(50)는 상술한 검출 수단(10)과 함께 제어기(40) 위에 구성한 예를 보여준다.
이러한 신호음 발생기(50)는 제어기(40)의 제어를 받아 상술한 차량 차단기(20)나 차단 수단(30)이 동작할 때 함께 경고음을 낼 수 있게 구성함으로써, 역주행 차량(V)의 운전자에게 시각적 효과뿐만 아니라 청각적 효과를 통해 역주행 상태임을 알릴 수 있어 역주행 방지 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10 : 검출 수단
20 : 차량 차단기
30 : 차단 수단
31 : 차단 블록
31a : 경고 문구
32 : 액추에이터
40 : 제어기
50 : 신호음 발생기

Claims (4)

  1. 고속도로 진출로(O)에 설치하여 역주행 차량을 검출하는 검출 수단(10);
    고속도로 진출로(O)의 측면에 설치하여 상기 검출 수단(10)의 신호로 차단 바가 상기 고속도로 진출로(O)의 노면 위로 움직이면서 역주행 차량(V)의 진입을 차단하는 차량 차단기(20);
    상기 고속도로 진출로(O)의 노면에 설치하여 역주행 차량이 지나가지 못하도록 고속도로 진출로(O) 위로 돌출할 수 있게 설치한 차단 수단(30); 및
    상기 검출 수단(10)의 검출 신호를 바탕으로 차량 차단기(20)를 제어하여 1차로 역주행 차량을 정지하게 하고, 정지하지 않으면 차단 수단(30)이 고속도로 진출로(O) 위로 돌출하게 하여 2차로 역주행 차량을 정지하게 하는 제어기(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2. 제1 항에서,
    상기 차단 수단(30)은,
    고속도로 진출로(O)에 폭 방향으로 설치하여 회전할 수 있는 차단 블록(31); 및
    상기 차단 블록(31)의 한쪽에 설치하여 차단 블록(31)을 회전시켜 고속도로 진출로(O) 밖으로 돌출하게 하는 액추에이터(3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3. 제2 항에서,
    상기 차단 블록(31)은,
    고속도로 진출로(O) 위로 돌출하는 면에 야간에도 눈으로 볼 수 있는 경고 문구(31a)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4. 제1 항 내지 제3 항 중 어느 한 항에서,
    고속도로 진출로(O)의 측면에 설치하여 상기 차량 차단기(20)와 차단 수단(30)과 함께 동작하는 신호음 발생기(50)를 추가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KR1020170050727A 2017-04-20 2017-04-20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Ceased KR20180117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727A KR20180117776A (ko) 2017-04-20 2017-04-20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0727A KR20180117776A (ko) 2017-04-20 2017-04-20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7776A true KR20180117776A (ko) 2018-10-30

Family

ID=641010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0727A Ceased KR20180117776A (ko) 2017-04-20 2017-04-20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80117776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335293A (zh) * 2021-06-22 2021-09-03 吉林大学 一种线控底盘的高速公路路面探测系统
WO2021225184A1 (ko) * 2020-05-03 2021-11-11 Park Woowoong 도로 차선(실선.점선)의 역주행 방지를위한 노면 표시
KR102415018B1 (ko) 2021-12-06 2022-06-30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역주행 방지장치
KR102591105B1 (ko) 2023-04-25 2023-10-19 주식회사 한국엔텍 일방통행용 도로의 역방향 주행 방지장치
KR20250008565A (ko) 2023-07-05 2025-01-15 (주)빅트론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225184A1 (ko) * 2020-05-03 2021-11-11 Park Woowoong 도로 차선(실선.점선)의 역주행 방지를위한 노면 표시
CN113335293A (zh) * 2021-06-22 2021-09-03 吉林大学 一种线控底盘的高速公路路面探测系统
CN113335293B (zh) * 2021-06-22 2022-09-02 吉林大学 一种线控底盘的高速公路路面探测系统
KR102415018B1 (ko) 2021-12-06 2022-06-30 주식회사 에이엘테크 역주행 방지장치
KR102591105B1 (ko) 2023-04-25 2023-10-19 주식회사 한국엔텍 일방통행용 도로의 역방향 주행 방지장치
KR20250008565A (ko) 2023-07-05 2025-01-15 (주)빅트론 고속화 도로에서 분기된 진출 도로의 역방향 진입 방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80117776A (ko) 고속도로 진출로 역주행 방지장치
CN102054365B (zh) 交叉路口驾驶辅助装置
CN104221066B (zh) 驾驶辅助装置
KR101507451B1 (ko) 역주행 차량 방지 시스템
KR101031995B1 (ko) 어린이보호구역내 명시적 안전교통 지도시스템
KR102020340B1 (ko) 라이다를 이용한 교차로 운행 및 보행 안전 모니터링 시스템
US11884322B2 (en) Drive assist apparatus
KR101125095B1 (ko) 무인 교통 알림장치
KR20180078493A (ko) 우회전 진입경고신호를 표시하는 보행자 신호등
KR102290649B1 (ko) 횡단보도 진입 안내용 차량 보조신호등
EP2136344A1 (en) Improved safety device for vehicle access areas
KR20160134016A (ko) 시야 사각지대 위험 감지 및 알림 시스템
KR101466463B1 (ko) 일체형 통행 위반 경고 시스템
KR101876295B1 (ko) 보행자 충돌 경고 장치
KR100923586B1 (ko) 어린이보호구역 내 신호등 판별 방법 및 시스템 그리고 정보 표시 방법
KR102731429B1 (ko) 우회전 차량 경고 시스템
JP2016020125A (ja) 自動運転機構
KR102452046B1 (ko) 어린이 보호구역 영상 감지 및 위험 신호 알림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005071A (ko) 차량의 역주행 방지 장치
KR20140004529U (ko) 예고없는 차선변경시 방향지시등 자동작동 시스템
KR20130014704A (ko) 스쿨존 횡단보도의 보행자 보호용 차단장치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293290B1 (ko) 보행자와 운전자의 안전을 위한 도로시설물 제어시스템
KR102591105B1 (ko) 일방통행용 도로의 역방향 주행 방지장치
KR100987202B1 (ko) 횡단보도 보행자 안내장치
KR200218350Y1 (ko) 소통원활화를 기한 교차로통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70420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10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E0601 Decision on rejection of patent

Patent event date: 20190415

Comment text: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E06012S01D

Patent event date: 20181016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code: PE06011S01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