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50002147A - 포드 홀더를 갖춘 음료 포드 시스템 - Google Patents

포드 홀더를 갖춘 음료 포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50002147A
KR20250002147A KR1020247030320A KR20247030320A KR20250002147A KR 20250002147 A KR20250002147 A KR 20250002147A KR 1020247030320 A KR1020247030320 A KR 1020247030320A KR 20247030320 A KR20247030320 A KR 20247030320A KR 20250002147 A KR20250002147 A KR 202500021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d
holder
downstream
extraction device
extrac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303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알렉스 아이젠바르트
미하엘 췰리히
실비아 콰트로네
아라미아 아스마르
프레데릭 프라니에르
Original Assignee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filed Critical 소시에떼 데 프로듀이 네슬레 소시에떼아노님
Publication of KR202500021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5000214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28Perforat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6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 A47J31/0657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 A47J31/0668Filters or strainers for coffee or tea makers ; Holders therefor for brewing coffee under pressure, e.g. for espresso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cartridg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2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 A47J31/3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 A47J31/36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 A47J31/3604Coffee-making apparatus in which hot water i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der pressure, i.e. in which the coffee grounds are extracted under pressure with hot water under liquid pressure with mechanical pressure-producing means with a mechanism arranged to move the brewing chamber between loading, infusing and ejecting stations
    • A47J31/3623Cartridges being employed
    • A47J31/3633Means to perform transfer from a loading position to an infusing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47J31/446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67Filter holding means; Attachment of filters to beverage-making apparatus by means of linear guides, e.g. drawer-type eng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추출 액체를 포드 내로 공급함으로써 음료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포드는 저부 벽을 가진 포드 본체 및 상부 리드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디바이스는, -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 및 - 제거가능한 포드 홀더 - 상기 홀더는 포드를 수용하여 보유하기 위한 포드 수용 구멍을 포함함 -, 및 - 디바이스 내에 포드 홀더를 도입하고 상기 홀더를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상부 삽입 섹션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부 삽입 섹션은 디바이스의 상부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홀더를 도입하도록 구성되고, 포드 수용 구멍과 상부 삽입 섹션은 제거가능한 포드 홀더가 디바이스 내측에 위치될 때 포드의 리드를 수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포드 홀더를 갖춘 음료 포드 시스템
본 발명은 음료 성분을 포함하는 1인용 용기 및 용기가 삽입되고 추출될 수 있고 용기가 그것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추출 챔버를 갖는 기계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의한 음료 제조의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음료의 자동 제조를 위한 1인용 용기는 상이한 유형의 시스템에 따라 추출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용기를 포함한다. 이들 시스템에서, 시스템 내측에 사용자에 의해 도입되는 용기는 추출 프로세스를 수행하기 위해 챔버 내에 에워싸이고, 이어서 챔버로부터 제거된다. 챔버는, 용기의 도입 동안 떨어져 이동되고 이어서 서로를 향해 이동되어 음료 추출을 위해 용기 둘레에 추출 챔버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2개의 부분을 포함한다.
용기는 상이한 방식에 따라 이들 시스템 내에 도입될 수 있다.
하나의 제1 유형의 시스템에서, EP 1859714 또는 EP1646305에서와 같이, 사용자는 용기를 기계의 2개의 부분들 사이로 직접 안내하는 시스템의 수용 영역 내측에 용기를 도입한다. 그러한 유형의 시스템에서, 챔버의 2개의 부분은 일반적으로 수평 방향을 따라 서로를 향해 이동가능하고, 용기는 2개의 부분 내측에 도입되고 이어서 직교하는 수직 방향을 따라 챔버로부터 제거되어 이들 작업에서 용기의 중력 낙하의 이점을 취할 수 있다.
따라서, 그러한 유형의 시스템은 용기의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챔버 내측에 용기 캐처(catcher) 및 용기 이젝터(ejector)를 제공할 것을 필요로 하며, 이는 제조를 더욱 복잡하게 한다.
또한, 이러한 시스템은 챔버의 2개의 부분 아래에서 배출된 용기를 수집하기 위한 쓰레기통을 필요로 하고, 이는 시스템에 대한 소정 높이를 의미하고; 이러한 높이 및 이러한 쓰레기통은 또한 시스템의 제조 비용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적어도 전술한 기존의 단점을 해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태양에서, 추출 액체를 포드(pod) 내로 공급함으로써 음료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디바이스로서, 상기 포드는,
- 포드 본체 - 상기 포드 본체는 챔버를 한정하는 측벽 및 저부 벽을 포함함 -, 및
- 포드 본체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상부 리드(lid)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디바이스는,
- 포드를 삽입하고 제거하기 위한 개방 위치와 추출 동안 포드를 에워싸는 추출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수평 종축(XX')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바람직하게는 병진가능한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pod enclosing parts),
- 제거가능한 포드 홀더(pod holder) - 상기 홀더는 포드를 수용하여 보유하기 위한 포드 수용 구멍을 포함함 -, 및
- 디바이스 내에 포드 홀더를 도입하고 상기 홀더를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상부 삽입 섹션을 포함하고,
상부 삽입 섹션은 디바이스의 상부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홀더를 도입하도록 구성되고,
포드 수용 구멍과 상부 삽입 섹션은 제거가능한 포드 홀더가 디바이스 내측에 위치될 때 포드의 리드를 수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추출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포드 홀더는 추출 작업 동안 추출 챔버 내측에서 포드를 보유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결과적으로, 포드를 수용하고 포드를 배출하기 위해 추가적이고 복잡한 포드 캐처들 및 이젝터들을 챔버에 제공할 필요가 없다. 챔버의 개념은 단순하게 유지될 수 있고, 비용이 덜 든다.
포드 홀더는 추출 디바이스 내측에 도입되고 그것으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되어, 제조 및 사용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수동으로 조작될 수 있는 포드 홀더는 쓰레기통 및 제조 후에 포드를 쓰레기통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없는 음료 기계의 개념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한 기계는 더 작고 비용이 덜 든다.
포드 홀더는 제거가능하며, 이는 추출 디바이스로부터 탈착가능함을 의미한다.
포드 홀더는 상부 삽입 섹션 밖으로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이어서, 그것은 추출 디바이스 내에 다시 배치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포드 홀더가 추출 디바이스 외측에 있을 때 홀더 내측에 포드를 쉽게 도입할 수 있고; 사용자는 추출 후에 홀더 내에 위치된 포드 홀더를 쓰레기통으로 쉽게 옮기고 이어서 새로운 포드가 있거나 없는 상태에서 포드 홀더를 다시 추출 디바이스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드 홀더는, 특히 포드의 구조에 따라 하류 또는 상류 부분들을 고려하여, 포드를 홀더 내측에 그리고 이어서 추출 디바이스 내측에 정확히 배향하기 위한 배향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배향 수단은 포드의 구조에 따라 하류 또는 상류 부분 중 어느 하나를 향하도록 포드의 리드를 배향하게 구성된다.
그러한 배향 수단은 사용자가 포드 및 포드 홀더를 단 하나의 방식으로 위치시키게 하는 추출 디바이스의 삽입 경로 및 홀더의 특정 설계를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류 및 하류 인클로징 부분들의 상대적인 이동은 선형이다. 그것은 바람직하게는 병진이다. 바람직하게는, 포드 홀더의 도입 및 제거도 선형이고, 바람직하게는 인클로징 부분들의 선형 이동에 수직이다.
결과적으로, 추출 디바이스의 치수가 작게 유지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상류 부분은 포드의 저부 벽을 개방하기 위한 상류 천공 장치 및 액체 주입기를 갖고, 하류 부분은 포드의 리드를 개방하기 위한 하류 천공 장치를 포함한다.
특정한 일 실시예에서, 상류 부분은 케이지(cage)를 한정하고, 하류 부분은 종축(XX')을 횡단하는 플레이트(plate)를 한정하고, 이러한 플레이트는 포드의 리드를 개방하기 위한 하류 평면 천공 장치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홀더와 그의 구멍은, 일단 포드가 구멍 내에 위치되면, 포드의 리드의 적어도 일부와 저부의 적어도 일부가 포드 홀더에 의해 덮이거나 에워싸이지 않고 음료 제조 동안 하류 및 상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에 의해 천공되기 위해 접근가능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리드 및 포드 본체 저부의 전체 표면들은 홀더에 의해 덮이지 않는다.
그에 따라, 이러한 부분들은 추출 디바이스의 천공 요소들에 의해 완전히 접근가능하게 유지된다.
바람직하게는, 하류 및 상류 부분들 각각은 포드 홀더를 삽입하고 제거하기 위한 각각의 개방 위치와 추출 동안 포드 홀더를 에워싸는 추출 챔버를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하다.
포드로의 그리고 포드로부터 멀어지는 상류 및 인클로징 부분들 각각의 이동들이 바람직한데, 이는 흔히, 음료 추출 후에, 포드 본체의 리드 또는 저부의 일부가 상기 부분들로부터 상승하는 천공 요소들과 맞물려 유지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인클로징 부분들의 이동들은 포드로부터의 분리 및 포드 홀더의 안전한 제거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 삽입 섹션은 포드 홀더를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 사이의 추출 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로를 포함하고,
추출 디바이스는 상기 경로 내측의 중간 임시 위치에서 포드 홀더를 정지시키기 위한 홀더 스토퍼(stopper)를 포함한다.
이러한 중간 임시 위치는 홀더가 상류 및 하류 인클로징 부분들에 의해 형성된 브루잉 챔버(brewing chamber)로 자동으로 추가로 변위되기 전에 사용자가 디바이스에 포드 홀더를 로딩할 수 있게 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중간 위치는 브루잉 챔버인 추출 디바이스의 코어 부분 내의 임의의 수동의 잘못된 또는 부정확한 도입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 디바이스는 포드 홀더가 중간 임시 위치에 있을 때 포드 홀더 내에 보유된 포드를 인식하거나 식별하도록 구성된 인식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홀더의 이러한 중간 위치는 예를 들어 코드 판독기에 의한 인식 단계를 가능하게 하여,
- 음료 제조와 관련된 정보(승인된 포드, 최적 레시피)를 추출 디바이스의 프로세스 제어 유닛에 제공하거나,
- 결함이 식별되는 경우(홀더로부터 제거되지 않은 이미 추출된 포드) 제조를 중단하고, 디스플레이를 통해 사용자에게 경고한다. 사용자는 즉시 홀더를 즉시 제거하고 홀더 내의 포드를 확인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추출 디바이스는 포드 홀더를 중간 위치로부터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 사이의 추출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작동 수단은 바람직하게는 핸들과 같이 수동으로 작동된다. 결과적으로, 포드 홀더는 포드를 포드 홀더에 의해 중간 위치로 로딩할 때 직접적으로, 그리고 포드 홀더를 추출 영역으로 이동시키는 핸들에 의해 간접적으로 수동으로 작동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수단은 상기 작동 수단이 작동될 때 상기 스토퍼가 포드 홀더를 중간 위치로부터 추출 영역으로 구동하게 구성되도록 홀더 스토퍼에 운동학적으로 연결된다.
결과적으로, 액추에이터가 수동으로 작동되더라도, 홀더는 추출 영역으로 자동으로 이동되고, 이는 2개의 인클로징 부분들 내측의 정확한 위치설정을 보장한다. 이는 2개의 인클로징 부분들이 둘 모두 서로를 향해 이동가능할 때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포드 홀더와 홀더 스토퍼는 홀더 스토퍼가 포드 홀더의 표면과 맞물릴 수 있도록 설계된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수단은 핸들을 포함하고, 이러한 핸들은 하류 및 상류 부분들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부 삽입 섹션의 경로를 폐쇄한다.
결과적으로, 핸들의 이동은 동시에 홀더를 추출 디바이스 내측으로 구동하고 삽입 섹션의 경로를 폐쇄하여 추출 작업이 발생하는 동안 사용자가 홀더를 당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작동 수단은 또한 상류 및 하류 부분들 각각을 상기 부분들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특히, 작동 수단은 상류 및 하류 부분들의 이동과 포드 홀더의 이동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 포드 홀더는 이러한 부분들이 포드를 에워싸기 전에 2개의 인클로징 부분들 사이의 추출 영역 내에 위치되고,
- 2개의 인클로징 부분들은 포드 홀더가 추출 영역으로부터 제거되기 전에 포드로부터 멀어지게 이동된다.
바람직하게는, 포드 홀더가 추출 영역 내에 있고 상류 및 하류 인클로징 부분들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포드 홀더의 수용 구멍의 가장자리(surround)는 상류 및 하류 인클로징 부분들 사이에 핀칭된다(pinched).
바람직하게는, 포드 홀더는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이러한 플레이트는 포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전방 면 및 후방 면을 포함한다. 또한, 포드 홀더는, 포드 홀더의 수용 구멍의 가장자리의 전방 면 및 후방 면 전부를 덮는 시일(seal)을 포함한다.
그에 따라, 홀더는 음료 제조 동안 추출 챔버의 기밀(tightness)에 관여한다.
일 실시예에서, 포드 홀더의 플레이트의 전방 면을 덮는 시일의 부분은 하류 방향으로 상승하는 리지(ridge)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하류 인클로징 부분은 종축(XX')을 횡단하는 플레이트를 한정하고, 이러한 플레이트는,
- 포드의 리드를 개방하기 위한 하류 평면 천공 장치, 및
- 주변 영역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하류 인클로징 부분의 이러한 주변 영역은 시일의 리지의 형상과 정합하는 홈을 포함할 수 있고,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리지는 이러한 홈 내측에 위치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포드의 본체가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주름들을 나타낼 때 그리고 이러한 주름들의 형상들이 음료 제조 동안 유체에 대한 채널들을 제공할 때 추출 챔버의 기밀을 개선하는 데 특히 유용하다. 리지와 홈은 그러한 채널들을 폐쇄한다.
본 발명의 제2 태양에서, 전술된 것과 같은 추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가 제공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음료 기계는 상류 인클로징 부분에 연결된 액체 공급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러한 액체 공급 시스템은,
- 액체 탱크와 같은 액체 공급부,
- 액체 공급부로부터 추출 디바이스로 액체를 구동하기 위한 펌핑 수단,
- 액체가 포드 내측에 도입되기 전에 액체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가열 및/또는 냉각 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액체는 보통 물이다.
보통, 이러한 음료 기계는 적어도 추출 디바이스로의 액체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 유닛을 포함한다. 제어 유닛은 존재할 경우 인식 디바이스의 인식 동작을 제어하거나 사용자에게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태양에서, 전술된 것과 같은 추출 디바이스 및 포드를 포함하거나 전술된 것과 같은 음료 제조 기계 및 포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이러한 포드는,
- 포드 본체 - 상기 포드 본체는 챔버를 한정하는 측벽 및 저부 벽을 포함함 -, 및
- 포드 본체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상부 리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제4 태양에서, 전술된 것과 같은 디바이스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 포드 홀더를 제거하는 단계,
- 포드를 포드 홀더 내에 도입하는 단계,
- 포드 홀더를 추출 디바이스 내에서 아래로 임시 위치까지 도입하는 단계,
- 포드 홀더를 중간 위치로부터 추출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수단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제5 태양에서, 제거가능한 포드 홀더가 제공되며, 상기 홀더는 전술된 것과 같은 추출 디바이스 내에 포드를 수용하여 보유하기 위한 포드 수용 구멍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추출 디바이스는,
- 포드 홀더를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 사이의 추출 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로, 및
- 홀더 스토퍼를 포함하고,
포드 홀더는 이러한 홀더 스토퍼와 맞물리도록 설계된다.
본 출원에서,
- 용어 "포드"는 캡슐, 카트리지, 분할 또는 개별 패키지와 같은 음료 또는 다른 식용 제품을 제조하는 데 적합한 임의의 종류의 1회분 용기를, 이러한 용기의 형상, 이러한 용기가 제조되는 재료 또는 그로부터 음료를 추출하는 데 필요한 천공 수단의 유형에 대한 제한 없이 광범위하게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 용어 "종방향으로"는 2개의 인클로징 부분들의 서로를 향한 배향 및 종축(XX')을 따른 그들의 이동을 지칭한다.
- 용어 "수직으로", "상향으로" 및 "하향으로"는 추출 디바이스 내의 포드의, 2개의 인클로징 부분들 사이의 그의 도입으로부터 그러한 부분들로부터의 그의 제거의 이동을 지칭한다. 용어 "상부" 및 "하부"도 이러한 수직 축을 지칭한다.
-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상류 인클로징 부분으로부터 하류 인클로징 부분으로의 추출 디바이스를 통한 액체의 경로를 지칭한다.
일반적으로, 이들 용어는 추출 디바이스의 특징부들의 상대적인 위치설정을 기술하는 데 사용된다. 이들 용어는 도 2a, 도 2e, 및 도 4a 내지 도 4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료의 생성을 위해 음료 기계 내에 위치될 때 상기 디바이스가 그의 정상 배향에 있는 것을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전술한 태양들은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특징들은 구체적으로 예시되고 기술된 것 이외의 조합을 제공하기 위해 전술한 태양들 중 하나 이상과 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 및 유리한 특징은 청구범위, 상세한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가 이제 예로서, 하기 도면을 참조하여 추가로 기술된다.
- 도 1a 내지 도 1c는 본 발명의 추출 디바이스에 사용되는 포드의 상이한 사시도.
- 도 2a 및 도 2d는 포드 홀더가 그로부터 제거된,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디바이스의 각각 측면도 및 평면도.
- 도 2b 및 도 2c는 도 2a의 상기 추출 디바이스의 일부 분리된 부분의 사시도.
- 도 2e는 포드 홀더가 내측에 에워싸인 도 2a의 추출 디바이스의 측면도이고, 도 2f는 도 2e의 상기 추출 디바이스의 일부 분리된 부분의 측면도.
- 도 3a 및 도 3b는 포드를 보유한 홀더의 사시도.
- 도 3c는 임의의 포드가 없는 홀더의 사시도.
- 도 3d는 포드를 보유한 홀더의 저면도.
- 도 4a 내지 도 4e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출 디바이스 내측으로의 포드 홀더의 도입의 단계를 예시한 단면도.
- 도 4f 내지 도 4h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출 디바이스로부터의 포드 홀더의 제거의 단계를 예시한 단면도.
- 도 5는 도 4e의 일부의 확대도.
- 도 6은 추출 디바이스의 유체 시스템을 예시한 도면.
도 1a(사시도) 및 도 1b(분해도)는 본 발명의 추출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는 포드(3)를 예시한다.
포드(3)는 저부 벽(313)으로부터 상부를 향해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하나의 측벽(311)을 가진 포드 본체(31)를 포함한다. 측벽(311)은 상부 개구(312)를 향해 연장된다. 상부 개구(312)에서, 본체는 측벽(311)으로부터 개구(312)의 원주를 따라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는 원주방향 환형 플랜지(314)를 포함한다.
플랜지는 상부를 향한 상부 표면(3142) 및 하부 표면(3141)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본체의 임의의 횡단면은 저부로부터 상부까지 원형이고, 플랜지도 원형이다.
본체는 음료 성분을 함유하기 위한 챔버의 범위를 정한다.
이러한 음료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로스팅 및 분쇄 커피와 같이 추출될 수 있는 성분이다.
덜 바람직한 방식에서, 음료 성분은 찻잎 또는 수용성 분말 성분, 예컨대 인스턴트 커피 분말, 분유, 크림 분말, 인스턴트 차 분말, 코코아 분말, 수프 분말, 과일 분말 또는 상기 분말들의 혼합물 또는 심지어 가용성 액체 성분 또는 음료 농축물, 예컨대 시럽 또는 우유 농축물일 수 있다. 분말은 응집되거나 소결될 수 있다.
캡슐은, 원주방향 플랜지의 상부 표면(3142)의 적어도 일부에 고정되거나 밀봉되거나 부착되고 그에 따라 상부 개구(312)를 덮어 폐쇄하는 리드(32)를 포함한다.
저부 벽(313)은 천공되도록 조정되어, 액체가 천공된 개구를 통해 포드 내에 주입될 수 있게 된다.
리드(32)는 액체의 주입 동안 포드 내측의 액체 압력 증가의 영향 하에서 천공 장치와의 상대적인 맞물림에 의해 개방되도록 조정된다.
포드 형상은 저부 벽으로부터 리드까지 연장되는 중심 축(ZZ')에 대해 대칭이고, 포드 형상은 리드 및 플랜지의 평면에 대해 비대칭이다.
도 1c는 본 발명의 추출 디바이스에 사용될 수 있고 포드 본체(31')의 (축(ZZ')을 따른) 깊이 크기만이 도 1a의 포드(3)와 상이한 다른 포드(3')를 예시한다. 큰 포드(3)의 포드 본체(31)는 작은 포드(3')의 포드 본체(31')보다 큰 부피를 가진 성분 챔버를 한정하며, 측벽(311)은 측벽(311')보다 높다. 작은 포드와 큰 포드의 리드(32, 32')의 직경은 동일하다.
이러한 크기의 차이는 상이한 음료, 바람직하게는 리스트레토(ristretto), 에스프레소(espresso), 룽고(lungo)(롱 컵(long cup)), 아메리카노(americano) 등과 같은 상이한 커피 음료의 제조를 가능하게 한다.
중간 크기와 같은, 예시된 것 이외의 다른 크기가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포드(3)는 본질적으로 생분해성 또는 퇴비화가능한 재료, 바람직하게는 추출된 커피 케이크가 가정에서 쉽게 퇴비화될 수 있기 때문에 가정 퇴비화가능한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드의 재료는 종이 층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이 층은 성형가능한데, 즉 종이 시트에 전술된 포드의 본체의 형태인 3차원 형상이 부여될 수 있다. 여과지로 제조된 통상적인 포드와 대조적으로, 이러한 종이는 두껍고, 포드의 제조의 형상화 단계 동안 제공된 3차원 형상을 유지한다.
바람직하게는, 포드의 종이 층은 적어도 20 g/m2, 바람직하게는 최대 150 g/m2의 평량(grammage)을 가질 수 있다. 본체의 종이는 그것이 제조 동안 신장되고 변형될 필요가 있기 때문에 리드의 종이보다 높은 평량을 나타낼 수 있다.
본체의 종이의 평량은 80 내지 150 g/m2에 포함될 수 있다.
리드는 20 내지 120 g/m2에 포함되는 평량을 나타낼 수 있다.
둘 모두의 종이는 약 100 g/m2의 평량을 나타낼 수 있다.
포드의 재료는 종이 층, 및 공기 장벽, 신장가능한 또는 변형가능한 특성과 같은 추가 특성을 제공하기 위한 일부 다른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추가 특성은, 예를 들어 WO 2020/114995에 기술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플라스틱 층으로 제공될 수 있다. 본체 및 리드의 일부 추가 층은 상이할 수 있다.
실제로, 종이를 음료를 위한 용기로서 형상화하고 음료 성분을 보호하기 위한 장벽을 생성하기 위해, 종이는 충분히 두꺼워야 한다. 또한, 대기, 특히 로스팅 및 분쇄 커피가 특히 민감한 산소에 대한 장벽을 생성하기 위해, 종이 층은 바람직하게는 퇴비화가능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코팅된다. 상이한 층을 부착하고 박리를 방지하기 위해 흔히 밀봉재 층이 필요하다. 예를 들어, 그러한 다층 종이 재료는 WO 2020/114995 또는 출원 PCT/EP21/067316에 기술된 재료일 수 있다.
그러한 포드 재료의 경우, 본체의 다층 종이 재료의 두께는 약 200 μm일 수 있고, 리드의 다층 종이 재료의 두께는 약 140 μm일 수 있으며, 이는 플랜지의 두께가 보통 200 μm 초과, 심지어 300 μm 초과임을 의미한다.
그러한 특정 포드의 제조는 일반적으로 하기 단계를 포함한다:
- 원형 형상의 변형가능한 종이 재료의 제1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1 시트의 직경은 생성될 포드의 (작은 또는 큰) 크기에 맞춰 조정됨 -,
- 그로부터의 플랜지를 가진 포드 본체를 형상화하기 위해 상기 제1 시트를 변형하는 단계 - 이러한 작업은 보통 포드 본체의 형상을 제공하는 전용 리세스, 다이 또는 주형 내에서 제1 시트를 형상화함으로써 달성됨 -.
- 형상화된 본체에 1회분의 음료 성분, 바람직하게는 로스팅 및 분쇄 커피를 충전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1회분의 로스팅 및 분쇄 커피를 형상화된 포드 내측에 압밀하는 단계,
- 원형 형상의 재료의 제2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 상기 제2 시트의 직경은, 생성될 포드의 (작은 또는 큰) 크기에 관계없이, 포드의 리드의 직경에 대응함 -,
- 이러한 제2 시트를 충전된 형상화된 본체의 플랜지 상에 밀봉하는 단계.
불균질한 재료(시트 내의 식물 섬유의 무작위 위치)인 종이 재료의 특성으로 인해, 그리고 종이 재료의 두께로 인해, 재료의 제1 시트의 형상화는 추출 디바이스 내에서의 음료의 제조에 영향을 미치는 특정 특징부를 가진 포드를 생성한다.
주형 내에서의 종이 재료의 형상화는 플랜지의 저부 면(3142)과 측벽(311)의 주변부 전체를 따른 주름의 생성으로 이어진다. 더 큰 포드(도 1a) 내에서, 주름이 훨씬 더 중요하고 더 깊은데, 이는 제1 시트의 원래 직경이 포드의 최종 직경보다 상당히 더 크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약 200 μm의 두께 및 70 mm의 직경을 제공하고, 약 53 mm의 리드 직경 및 약 48 mm의 포드 본체 직경(플랜지의 플랜지 아래의 직경)을 제공하는 최종 포드를 생성하는 데 사용되는 제1 시트 디스크의 경우, 형성된 본체 내의 주름의 깊이는 (간섭계로 측정된) 25 내지 200 μm로 달라질 수 있다. 이들 주름은 음료 제조 동안 추출 챔버의 기밀에 영향을 미친다. 더 중요한 주름의 깊이는 거의 200 μm에 이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 디바이스는, 대안적인 용기가 챔버를 한정하는 본체 및 챔버를 폐쇄하기 위한 리드를 포함하는 한, 전술된 것에 대한 그러한 대안적인 용기를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통, 2개의 인클로징 부분은 용기와 정합하는 내부 형상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용기는 알루미늄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절두-원추형 캡슐일 수 있다.
도 2a는 종축(XX')을 따라 상대적으로 병진가능한 상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2)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1)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추출 디바이스(10)의 측면도이다. 보통, 이러한 축(XX')은 본질적으로 수평이다. 도 2a에서, 이들 2개의 부분은 추출을 위한 포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개방 위치에 있다. 이들 2개의 인클로징 부분은 섀시(9)에 의해 지지되고, 상호연관된 니 레버(knee lever)의 시스템(81)에 의해 이들 인클로징 부분에 연결된 핸들(8)을 작동시킴으로써 상기 개방 위치로부터 폐쇄 위치로 이동가능하게 된다.
디바이스는 포드(3)를 보유하는 포드 홀더(6)를 포함한다. 이러한 홀더는 추출 디바이스로부터 완전히 제거가능하며, 그것이 인클로징 부분들 사이의 도입 작업을 위해 준비되거나, 상기 작업의 종료 시에 추출 디바이스로부터의 추출된 포드의 제거 동안 섀시 외측에 있는 상태로 도 2a에서 예시되어 있다. 포드는 2개의 인클로징 부분(1, 2) 위에 위치된 삽입 섹션(4)을 통해 도입된다.
도 2b 및 도 2c는 도 2a에 예시된 위치에서의 2개의 포드 인클로징 부분(1, 2) 및 포드 홀더(6)의 사시도 및 분리도이다.
하류 부분(1)은 종축(XX')에 수직인(즉, 횡단하는) 플레이트를 포함한다. 이러한 플레이트는 추출 액체가 포드 내측에 도입되어 리드를 팽창시킬 때 포드의 리드(32)를 개방하기 위한 중심 하류 평면 천공 장치(12)를 포함한다. 보통, 이러한 중심 하류 평면 천공 장치(12)는 포드의 리드와 같이 원형이다.
개방은 포드 본체 챔버 내의 주입된 액체의 압력의 상승의 영향 하에서 리드와의 스파이크의 상대적인 맞물림에 의해 발생한다. 이러한 하류 평면 천공 장치는 리드로 향한 그의 표면 상에, 선택적으로 그들의 단부에서 끝이 잘린, 원추 또는 피라미드의 형상을 제공할 수 있는, 스파이크와 같은 개방 요소(121)를 포함하는 강성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플레이트는 개방된 리드로부터 분배된 음료를, 음료를 수집하여 음료 컵으로 분배하는 튜브 또는 노즐과 같은 음료 출구(14)로 배출하기 위한 횡단 구멍을 포함한다.
플레이트는 그러한 천공 장치(12)를 둘러싸는 주변 영역(13)을 포함한다.
상류 부분(2)은 포드 본체를 에워싸기 위한 케이지(21) 또는 공동을 한정한다. 이러한 케이지는 조절가능한 내부 부피를 제공한다. 케이지의 종축(XX')을 횡단하는 이동가능한 단부 벽(22)이 이러한 조절을 가능하게 한다. 이러한 단부 벽(22)은 포드 본체의 저부 벽(313)을 개방하기 위한 천공 요소(222) 및 포드의 저부 벽에서 개방된 구멍을 통해 포드 내로 액체를 공급하기 위한 액체 출구 개구(223)를 가진다. 이들 천공 요소는 블레이드 형태의 천공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블레이드는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이 폐쇄 위치로 이동될 때 포드 본체의 저부의 벽을 천공하도록 설계되고 위치될 수 있다. 액체 출구 개구(223)는 케이지의 단부 벽의 전방 면에서 샤워(shower)를 형성할 수 있고, 공급된 액체는 사전-천공된 개구를 통해 포드 내에 도입될 수 있다.
상이한 크기의 포드(2)가 도입되고 추출될 수 있기 때문에, 케이지의 단부 벽(22)은 케이지 내부 부피를 포드에 맞게 조정하도록 이동가능하게 될 수 있다.
상류 부분(2)은 축(XX')을 따른 그의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캐리어(24)에 의해 지지된다.
도 2d의 추출 디바이스의 평면도는 섀시(9) 내에 제공된 포드 홀더를 위한 삽입 섹션(4)을 도시한다. 이러한 삽입 섹션(4)은 홀더 내에 보유된 포드의 리드(32)가 하류 인클로징 부분(1)의 전방에 위치되게 하는 포드 홀더(6)의 도입을 가능하게 하도록 설계된다.
도 2e 및 도 2f는 도 2a 내지 도 2c의 추출 디바이스를 예시하며, 여기서 포드 홀더(6)는 상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2)과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1) 사이에 위치되고, 이들 2개의 부분은 핸들(8)에 의한 상호연관된 레버의 작동에 의해 서로를 향해 이동되었다. 이러한 위치에서, 포드 홀더(6)는 2개의 인클로징 부분들(1, 2) 사이에 확고하게 핀칭된다.
도 3a는 포드(3)를 보유하는 포드 홀더(6)의 사시도이며, 포드의 리드(32)가 그 상에 위치되는 포드 홀더의 전방 면(641)을 도시한다. 도 3b는 포드의 저부(313)가 그 상에서 드러나는 포드 홀더의 후방 면(642)을 도시한다. 도 3c는 임의의 포드가 없는 홀더의 사시도이다.
그의 전방 면(641)에서, 포드 홀더(6)는 포드의 본체(31)가 그것을 통해 수용될 수 있는 구멍(61)을 제공한다. 홀더와 그의 구멍은, 일단 포드(3)가 구멍(61) 내에 위치되면, 포드의 리드(32)의 적어도 일부와 저부(313)의 적어도 일부가 포드 홀더에 의해 덮이거나 에워싸이지 않고 음료 제조 동안 하류 및 상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에 의해 천공되기 위해 접근가능하게 유지되도록 설계된다. 추출 디바이스의 위에서 예시된 특정 실시예에서, 하류 및 상류 인클로징 부분의 천공 요소(12, 222)는 리드(32) 및 포드 저부(313)의 넓은 표면을 천공하도록 구성되며; 따라서, 홀더는 포드 본체의 저부를 덮는 임의의 쉘(shell)을 포함하지 않는다: 저부는 천공을 위해 덮이지 않고 접근가능하게 유지된다.
추출 디바이스의 다른 유형의 천공 요소를 이용하면, 천공은 리드 및/또는 저부의 더 제한된 영역에 제공될 수 있고, 홀더는 그러한 천공가능한 영역을 제외하고 포드를 에워싸기 위한 일부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홀더는 구멍의 내부 가장자리에서 일부 유지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된 짧은 가요성 설부(tongue)(612)와 같은 이들 유지 요소는 포드 홀더가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고 삽입 섹션 내측에 수직으로 도입될 때 마찰에 의해 포드를 홀더 내측에 유지할 수 있다.
핸들(63)이, 특히 삽입 섹션 내의 포드 홀더의 도입 동안 포드 핸들이 상향으로 위치된 상태로, 즉 리드(32)가 하류 부분(1)의 전방에 있고 포드 저부(313)가 상류 부분(2)의 전방에 있는 상태로 사용자가 홀더를 배향하게 함으로써, 사용자에 의한 취급을 용이하게 한다.
도 3d에 예시된 바와 같이, 포드 홀더의 저부(643)의 형상은 비대칭이다. 이러한 비대칭 형상은 삽입 섹션(4)의 형상과 동일하여, 사용자는 도 2d와 관련하여 위에서 언급된 바와 같이 상류 및 인클로징 부분들 사이에 포드를 정확하게 위치시키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e는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추출 디바이스(10) 내측으로의 포드 홀더(6)의 도입의 단계를 예시한다.
도 4a에서,
- 핸들(8)은 개방 위치에 있고, 여기서,
. 그것은 삽입 섹션(4)을 덮지 않고,
. 그것은 2개의 인클로징 부분(1, 2)을 서로로부터 멀어지게 위치시키고,
- 포드 홀더(6)에는 포드(3)가 로딩되었고, 삽입 섹션(4) 위에 위치된다: 그것은 화살표(A)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경로(41) 내측으로 수직으로 활주된다.
도 4b에서,
- 포드 홀더(6)는 사용자에 의해 경로(41) 내에 도입되었고, 포드 홀더가 그 상에 맞닿는 스토퍼(42)에 의해 경로(41) 내측의 중간 임시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러한 스토퍼(42)의 하류 단부(42a)는 포드 홀더의 저부(643)와 상호작용하고 사용자에 의해 작동되는 그의 하향 활주 이동을 중단하기 위해 핸들(8)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경로(41) 내측에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중간 위치는 포드가 인클로징 부분들(1, 2) 사이에 추가로 도입되기 전에 경로(41)의 그러한 부분 내에 위치된 인식 디바이스(7)에 의한 포드의 식별 또는 인식 동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디바이스는 인식되거나 식별된 포드로부터 음료의 추가 제조를 위한 입력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 동시에, 스토퍼의 하류 단부(42a)는 홀더의 저부(643)를 통해 설계된 슬롯(644) 내에 맞물리게 된다. 이러한 맞물림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2개의 인클로징 부분들(1, 2) 사이의 그의 최종 하향 위치로의 포드 홀더(6)의 자동 구동을 가능하게 할 것이다.
도 4c에서,
- 사용자는 화살표(B)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핸들(8)을 그의 폐쇄 위치로 이동시키기 시작한다.
- 상류 인클로징 부분(2)의 캐리어(24)와 핸들(8) 사이의 상호연관된 니 레버의 시스템(81)으로 인해, 이러한 상류 부분은 화살표(C)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하류 부분(1)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시작한다. 이러한 바람직한 예시된 실시예에서,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2)도 상호연관된 니 레버의 시스템(81)에 의해 상류 부분의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
- 홀더 스토퍼의 상류 단부(42b)는 이러한 이동가능한 캐리어(24)에 연결된다: 그것은 캐리어의 슬롯(241) 내에 맞물린다. 따라서, 스토퍼가 포드 홀더(6) 및 홀더의 슬롯(644) 내에 맞물리기 때문에, 캐리어(24) 자체의 이동은 스토퍼(42)의 이동을 동시에 유도한다. 포드 홀더(6) 및 캐리어(24) 내의 슬롯(644, 241)은 각각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으로의 상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2)의 이동, 즉 추출 챔버의 폐쇄가 이들 2개의 부분이 추출 챔버를 형성하기 전에 이들 2개의 인클로징 부분들(1, 2) 사이에서의 포드 홀더의 하향 이동을 유도하도록 설계된다.
도 4d에서,
- 핸들(8)은 계속 폐쇄되고 상류 인클로징 부분(1)의 캐리어(24)는 추출 챔버를 폐쇄하기 위해 하류 부분(1)으로 계속 이동한다.
- 그러나, 포드 홀더(6)는 캐리어 내의 스토퍼의 상류 단부(42b)가 따르는 슬롯(241)의 설계로 인해 아래로 활주하는 것을 중단한다. 핸들(8)의 폐쇄의 이러한 단계에서, 포드 홀더(6)는 2개의 인클로징 부분들(1, 2) 사이에서 그리고 종축(XX')을 따라 잘 정렬된다.
도 4e에서,
- 핸들(8)은 그의 폐쇄 위치에 도달하였고 삽입 섹션의 경로(41)를 덮는다.
- 하류 및 상류 인클로징 부분(1, 2)과 홀더(6)는 포드(3)를 에워싸는 추출 챔버(5)(점선)를 형성한다. 포드의 저부(313)는 천공 요소(222)에 의해 천공되고, 음료의 제조는 상류 인클로징 부분의 액체 출구(223)를 통해 액체를 도입함으로써 시작할 수 있다.
도 4f 내지 도 4h는 도 4e의 추출 작업 후에 추출 디바이스로부터의 포드 홀더의 제거의 단계를 예시한다.
이들 단계는 사용자가 추출 디바이스를 개방하기 위해 핸들(8)을 당기는 동안 발생하고, 도 4c 내지 도 4e에 기술된 것과 정확히 반대되는 이동이 발생한다.
도 4f에서, 사용자는 화살표(D)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핸들을 상향으로 당기기 시작하였고, 이때 상류 인클로징 부분(2)의 캐리어(24)가 화살표(E)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포드 홀더(6)로부터 멀어지게 이동한 효과가 얻어진다. 2개의 인클로징 부분(1, 2)은 포드 홀더를 자유롭게 한다.
도 4g에서, 사용자는 핸들(8)을 계속 당기고, 포드 홀더의 스토퍼의 하류 단부(42a)는 화살표(F)에 의해 예시된 바와 같이 포드 홀더를 상향으로 밀고 있다.
도 4h에서, 스토퍼(42)는 포드 홀더의 저부에서 슬롯(644) 내에 맞물리지 않고, 이제 다시 중간 위치에 있는 포드 홀더(6)는 추출된 포드를 버리기 위해 사용자에 의해 삽입 경로 밖으로 당겨질 수 있다.
도 5는 추출 챔버가 형성될 때 상류 및 하류 인클로징 부분(1, 2)과의 포드 홀더(6)의 상호작용의 확대도이다. 바람직하게는, 포드 홀더는, 포드 홀더의 수용 구멍의 가장자리(611)의 전방 면 전부 및 후방 면 전부를 덮고 상류 및 하류 인클로징 부분(1, 2)의 각각의 가장자리와 협력하여 음료 제조 동안 기밀을 제공할 수 있는 시일(62)을 포함하며, 특히 케이지의 에지(211)는 구멍의 가장자리의 후방 면에서 시일과 맞물릴 수 있고 하류 인클로징 부분의 주변 영역(13)은 구멍의 가장자리의 전방 면에서 시일과 맞물릴 수 있다.
또한, 포드 홀더(6)는 포드의 환형 플랜지(314)가 구멍의 가장자리의 전방 면과 하류 인클로징 부분의 주변 영역(13)의 가장자리 사이에 핀칭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구멍의 가장자리의 전방 면에서 시일은, 시일의 주변부를 따라 연장되고 하류 방향으로 상승하는 리지(621)를 포함한다.
따라서, 인클로징 부분(1, 2)의 폐쇄 위치에서, 포드의 플랜지(314)는 시일(62)과 하류 부분의 가장자리 사이에서 가압될 수 있고 리지에 의해 강하게 핀칭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플랜지에서, 포드의 플랜지 둘레의 잠재적인 주름의 존재에 의해 생성되는 액체에 대한 경로가 폐쇄되고, 기밀이 달성된다. 이러한 실시예는 전술된 것과 같은 종이로 제조된 포드가 사용될 때 특히 유용하다.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서, 하류 부분의 주변 영역(13)은 이러한 리지(621)가 기밀을 더욱 증가시키도록 맞물릴 수 있는 홈(1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상류 인클로징 부분(2)에 액체를 공급하도록 구성된, 추출 디바이스의 유체 시스템(101)을 예시한다. 이러한 시스템(101)은 유체, 일반적으로 물의 탱크(1011), 탱크로부터 그러한 유체를 펌핑하기 위한 펌프(1012), 및 유체가 상류 부분(2)으로 분배되기 전에 히터(1013) 및/또는 쿨러와 같은, 유체의 온도를 조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음료 기계의 프로세스 제어 유닛(102)이 일단 음료가 주문되면 펌프 및 히터를 제어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유닛(102)은 존재할 경우 인식 디바이스 또는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른 제어가능한 디바이스를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록 본 발명이 위에서 예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기술되었지만, 청구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이들 예시된 실시예에 의해 임의의 방식으로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청구범위에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변형 및 수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특정 특징에 대해 알려진 등가물이 존재하는 경우, 그러한 등가물은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언급된 것처럼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함하다", "포함하는" 및 유사한 단어는 배타적이거나 총망라한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다시 말해서, 그들은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부호의 설명
Figure pct00001

Claims (19)

  1. 추출 액체를 포드(pod) 내로 공급함으로써 음료 성분을 추출하기 위한 추출 디바이스(10)로서,
    상기 포드(3)는,
    - 포드 본체(31) - 상기 포드 본체는 챔버를 한정하는 측벽(311) 및 저부 벽(313)을 포함함 -, 및
    - 포드 본체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상부 리드(lid)(32)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추출 디바이스는,
    - 포드(3)를 삽입하고 제거하기 위한 개방 위치와 추출 동안 포드를 에워싸는 추출 챔버(5)를 형성하기 위한 폐쇄 위치 사이에서 수평 종축(XX')을 따라 상대적으로 이동가능한, 바람직하게는 병진가능한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pod enclosing parts)(1, 2), 및
    - 제거가능한 포드 홀더(pod holder)(6) - 상기 홀더는 포드를 수용하여 보유하기 위한 포드 수용 구멍(61)을 포함함 -, 및
    - 디바이스 내에 포드 홀더(6)를 도입하고 상기 홀더를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1, 2) 사이에 위치시키도록 구성된 상부 삽입 섹션(4)을 포함하고, 그리고
    상부 삽입 섹션(4)은 디바이스의 상부로부터 수직 방향을 따라 홀더(6)를 도입하도록 구성되고,
    포드 수용 구멍(61)과 상부 삽입 섹션(4)은 제거가능한 포드 홀더(6)가 디바이스 내측에 도입될 때 포드의 리드(32)를 수직으로 위치시키도록 구성되는, 추출 디바이스(10).
  2. 제1항에 있어서, 상류 인클로징 부분(2)은 포드의 저부 벽(313)을 개방하기 위한 상류 천공 장치(222) 및 액체 주입기(223)를 갖고, 하류 인클로징 부분(1)은 포드의 리드(32)를 개방하기 위한 하류 천공 장치(12)를 포함하는, 추출 디바이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홀더(6)와 포드 수용 구멍(61)은, 일단 포드가 구멍 내에 위치되면, 포드의 리드(32)의 적어도 일부와 포드의 저부(313)의 적어도 일부가 포드 홀더에 의해 덮이지 않고 추출 동안 하류 및 상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1, 2)에 의해 천공되기 위해 접근가능하도록 설계되는, 추출 디바이스.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류 및 상류 부분들(1, 2) 각각은 포드 홀더(6)를 삽입하고 제거하기 위한 각각의 개방 위치와 추출 동안 포드 홀더(6)를 에워싸는 추출 챔버(5)를 형성하기 위한 각각의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가능한, 추출 디바이스.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부 삽입 섹션(4)은 포드 홀더를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1, 2) 사이의 추출 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로(41)를 포함하고,
    상기 추출 디바이스는 상기 경로(41) 내측의 중간 임시 위치에서 포드 홀더(6)를 정지시키기 위한 홀더 스토퍼(stopper)(42)를 포함하는, 추출 디바이스.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 디바이스는 포드 홀더가 중간 임시 위치에 있을 때 포드 홀더(6) 내에 보유된 포드(3)를 인식하거나 식별하도록 구성된 인식 디바이스(7)를 포함하는, 추출 디바이스.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추출 디바이스는 포드 홀더(6)를 중간 위치로부터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1, 2) 사이의 추출 영역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작동 수단(8)을 포함하는, 추출 디바이스.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 수단(8)은 상기 작동 수단(8)이 작동될 때 상기 스토퍼(42)가 포드 홀더(61)를 중간 위치로부터 추출 영역으로 구동하게 구성되도록 홀더 스토퍼(42)에 운동학적으로 연결되는, 추출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포드 홀더(61)와 홀더 스토퍼(42)는 홀더 스토퍼가 포드 홀더의 표면과 맞물릴 수 있도록 설계되는, 추출 디바이스.
  10. 제7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수단(8)은 핸들을 포함하고, 상기 핸들은 하류 및 상류 부분들(1, 2)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상부 삽입 섹션의 경로(41)를 폐쇄하는, 추출 디바이스.
  11. 제7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작동 수단(8)은 상류 및 하류 부분들(1, 2) 각각을 상기 부분들의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 사이에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추출 디바이스.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포드 홀더(6)가 추출 영역 내에 있고 상류 및 하류 인클로징 부분들(1, 2)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포드 홀더의 수용 구멍의 가장자리(surround)(611)는 상류 및 하류 인클로징 부분들 사이에 핀칭되는(pinched), 추출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포드 홀더(6)는 플레이트(plate)를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포드를 수용하기 위한 구멍(61)을 포함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전방 면 및 후방 면을 포함하고,
    포드 홀더(61)는 시일(seal)(62)을 포함하고, 상기 시일은 포드 홀더의 수용 구멍의 가장자리(611)의 전방 면 및 후방 면 전부를 덮는, 추출 디바이스.
  14. 제13항에 있어서, 포드 홀더의 플레이트의 전방 면을 덮는 시일의 부분은 리지(ridge)(621)를 포함하고, 상기 리지는 하류 방향으로 상승하고,
    하류 인클로징 부분(1)은 종축(XX')을 횡단하는 플레이트를 한정하고, 상기 플레이트는,
    . 포드의 리드(32)를 개방하기 위한 하류 평면 천공 장치(12), 및
    . 주변 영역(13)을 포함하고,
    하류 인클로징 부분의 상기 주변 영역(13)은 시일의 리지(621)의 형상과 정합하는 홈(131)을 포함하고,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1, 2)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리지는 상기 홈(137) 내측에 위치되는, 추출 디바이스.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 기계.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 디바이스 및 포드, 또는 제15항에 따른 음료 제조 기계 및 포드를 포함하는 시스템으로서,
    상기 포드(3)는,
    - 포드 본체(31) - 상기 포드 본체는 챔버를 한정하는 측벽(311) 및 저부 벽(313)을 포함함 -, 및
    - 포드 본체의 상부 개구를 폐쇄하는 상부 리드(32)를 포함하는, 시스템.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 디바이스 또는 제15항에 따른 음료 기계 또는 제16항에 따른 시스템으로 음료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추출 디바이스는 작동 수단(8)을 포함하고, 상기 방법은,
    - 추출 디바이스로부터 포드 홀더(6)를 제거하는 단계,
    - 포드(3)를 포드 홀더 내에 도입하는 단계,
    - 포드 홀더를 추출 디바이스 내에서 아래로 임시 위치까지 도입하는 단계,
    - 포드 홀더를 중간 위치로부터 추출 영역으로 이동시키도록 작동 수단(8)을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8.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추출 디바이스에서의 또는 제15항에 따른 음료 기계에서의 포드 홀더(6)의 용도로서,
    상기 홀더는 포드를 수용하여 보유하기 위한 포드 수용 구멍(61)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는 완전히 제거가능한, 용도.
  19. 제18항에 있어서,
    - 추출 디바이스는,
    . 포드 홀더를 상류 및 하류 포드 인클로징 부분들(1, 2) 사이의 추출 영역으로 안내하기 위한 경로(41), 및
    . 홀더 스토퍼(42)를 포함하고,
    그리고
    - 포드 홀더는 상기 홀더 스토퍼와 맞물리도록 설계되는, 용도.
KR1020247030320A 2022-04-08 2023-04-06 포드 홀더를 갖춘 음료 포드 시스템 Pending KR2025000214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2167449 2022-04-08
EP22167449.2 2022-04-08
PCT/EP2023/059105 WO2023194519A1 (en) 2022-04-08 2023-04-06 Beverage pod system with pod hold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50002147A true KR20250002147A (ko) 2025-01-07

Family

ID=81307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30320A Pending KR20250002147A (ko) 2022-04-08 2023-04-06 포드 홀더를 갖춘 음료 포드 시스템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EP (1) EP4504012A1 (ko)
JP (1) JP2025511300A (ko)
KR (1) KR20250002147A (ko)
CN (1) CN118890993A (ko)
AU (1) AU2023251196A1 (ko)
CL (1) CL2024002958A1 (ko)
MX (1) MX2024012184A (ko)
WO (1) WO2023194519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495702A1 (fr) 2003-07-10 2005-01-12 Nestec S.A. Dispositif pour l'extraction d'une capsule
ES2322091T5 (es) 2006-05-24 2015-09-11 Nestec S.A. Dispositivo de infusión y sistema de infusión de cápsulas con un soporte de cápsula para facilitar la introducción y extracción de las cápsulas
ITTO20130568A1 (it) * 2013-07-08 2015-01-09 Lavazza Luigi Spa Macchina e sistema per la preparazione di prodotti liquidi tramite capsule
WO2017209634A1 (pt) * 2016-05-30 2017-12-07 Weadd, Lda Dispositivo de extração com ejeção de cápsula e máquina de preparação de bebidas apresentando o referido dispositivo de extração
IT201700084351A1 (it) * 2017-07-24 2019-01-24 Caffitaly System Spa Apparecchiatura per la preparazione di bevande utilizzando capsule contenenti una sostanza alimentare
MX2021006181A (es) 2018-12-04 2021-09-08 Nestle Sa Una capsula de bebid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2024012184A (es) 2024-11-08
JP2025511300A (ja) 2025-04-15
CL2024002958A1 (es) 2024-12-13
CN118890993A (zh) 2024-11-01
WO2023194519A1 (en) 2023-10-12
AU2023251196A1 (en) 2024-09-05
EP4504012A1 (en) 2025-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95557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eparing a beverage and system comprising the apparatus and an exchangeable capsule
KR20230040340A (ko) 음료 제조 시스템
EP4408242B1 (en) Beverage pod system with pod catcher
KR20250002147A (ko) 포드 홀더를 갖춘 음료 포드 시스템
EP3490908B1 (en) Capsule and beverage production system
KR20250002150A (ko) 포드 인식을 갖춘 음료 포드 시스템
KR20250086603A (ko) 음료 포드 시스템
KR20240123318A (ko) 개선된 시일을 갖는 음료 포드 시스템
KR20250003511A (ko) 음료 포드 시스템
KR20240124283A (ko) 포드 이젝터를 갖는 음료 포드 시스템
KR20250099687A (ko) 음료 제조 기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