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77906A - Fence - Google Patents
Fenc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77906A KR20240177906A KR1020230079399A KR20230079399A KR20240177906A KR 20240177906 A KR20240177906 A KR 20240177906A KR 1020230079399 A KR1020230079399 A KR 1020230079399A KR 20230079399 A KR20230079399 A KR 20230079399A KR 20240177906 A KR20240177906 A KR 2024017790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ence
- crossbar
- support
- paragraph
- mentione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1154 acute effect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4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06010039203 Road traffic accident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266 cas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E04H17/1447—Details of connections between rails and posts
- E04H17/1448—Adjustable, angled or hinged connec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1413—Post-and-rail fences, e.g. without vertical cross-members
-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 E04H17/20—Post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enc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펜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은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직립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결합홈이 마련되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지주와 인접하는 지주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연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한 가로대는 복수 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경사지 또는 코너부에 있어서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각도조절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가로대를 인접하는 가로대와 예각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자 형상 또는 ‘+’ 형상과 같은 다양한 평면을 가지는 펜스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comprising: a base fixedly installed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posts fixed to the base and installed upright, the outer surface of which has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crossbar interposed between the posts and adjacent posts, the plurality of posts being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s; and a spherical connecting projec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crossbar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posts to be rotatably coupled; wherein a plurality of the crossbars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absorb external shock. Accordingly, not only can the installation angle be freely adjusted during construction on a slope or a corner, but angle adjustment can also be easily made after construction, and the crossbar can be installed at an acute angle with an adjacent crossbar, and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form a fence having various planes, such as a ‘T’ shape or a ‘+’ shape.
Description
본 발명은 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주와 난간대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경사로 및 코너에 장착을 용이하게 하는 펜스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fence that improves the joint structure between a base and a railing to facilitate installation on a ramp and corner.
펜스는 주로 교각이나 고가도로 또는 커브길 등의 도로변에 설치되어 운전 부주의나 교통사고로 인해 차량이 도로 외부로 벗어나는 것을 방지하여, 대형사고와 인명피해를 미연에 방지하거나 또는 최소화하도록 함과 아울러 보행자의 무단횡단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 것이다.Fences are mainly installed on the roadside, such as bridge piers, overpasses, or curved roads, to prevent vehicles from leaving the roadway due to careless driving or traffic accidents, thereby preventing or minimizing major accidents and casualties, and to prevent pedestrians from crossing without permission.
공개특허공보 제10-2011-0031555호(2011년 03월 29일 공개, 이하 특허문헌 1이라 칭함)를 참조하면, 종래의 펜스(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로에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된 다수의 수직한 지주(10)와, 이 지주(10) 사이를 연결하는 펜스(20)로 이루어지고, 이와 같이 결합된 지주(10)와 펜스(20)는 도로를 따라 연속해서 설치된다.Referring to Patent Publication No. 10-2011-0031555 (published on March 29, 2011,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1), a conventional fence (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vertical supports (10)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on a road as illustrated in FIG. 1, and a fence (20) connecting the supports (10). The supports (10) and fence (20) connected in this manner are installed continuously along the road.
상기 지주(10)는 알루미늄 재질의 봉으로서 주물 성형되고, 도로변 즉 차도와 인접한 인도의 가장자리 측에 그 하단부가 매설되어 설치되며, 이와 같이 설치되는 다수의 지주(10)는 인도를 따라 일정간격으로 연속해서 설치된다. 또한, 이와 같이 설치된 지주(10)는 차도에 대향하는 면에 차량에서 조사된 빛을 반사하는 반사지(미도시) 등이 설치되어, 야간운전 시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support (10) is formed by casting an aluminum rod, and its lower part is buried and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that is, the edge of the sidewalk adjacent to the roadway. A plurality of supporters (10) installed in this manner are installed continuously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sidewalk. In addition, the supporters (10) installed in this manner are provided with reflectors (not shown) that reflect light irradiated from a vehicle on the surface facing the roadway, so that safety accidents can be prevented in advance when driving at night.
상기 펜스(20)는 스틸 재질의 봉으로서, 양 지주(10) 사이를 연결하여 차도와 인도를 구분하도록 설치된다. 이러한 펜스(2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활처럼 휜 봉으로 형성된 것을 그 일례로 들어 설명한다. 이와 같이 양 지주(10) 사이에 설치된 다수의 펜스(20)에는 소정의 광고판 등을 부착하여 설치할 수도 있다.The above fence (20) is a steel bar, and is installed to connect the two supports (10) to separate the roadway and the sidewalk. This fence (2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but in this embodiment, a bar formed as a curved bow is described as an example. A predetermined advertisement board, etc. can be attached to a plurality of fences (20) installed between the two supports (10) in this way.
한편, 이와 같은 지주(10)와 펜스(20)의 결합은, 펜스(20)의 양단부가 지주(1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즉, 상기 지주(10)는 다른 지주(10)와 대향되는 그 양측에 돌출된 삽입관체(11)가 형성되고, 상기 삽입관체(11)의 하부측에는 펜스(20)와의 결합을 위한 스틸재의 돌출부(12)가 돌출되게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펜스(20)는 활처럼 벤딩된 봉형상으로서 그 양단부가 양 지주(10)의 삽입관체(11)에 삽입되어 용접 고정된다. 이때, 알루미늄 재질의 지주(10)와 스틸 재질의 펜스(20)는 이형재질이기 때문에 용접이 어려우므로, 지주(10)에 설치된 스틸 재질의 돌출부(12)와 펜스(20)를 용접하여 고정한다.Meanwhile, in the combination of the support (10) and the fence (20), both ends of the fence (20) are inserted and fixed into the support (10). That is, the support (10) is formed with protruding insertion tubes (11) on both sides facing the other support (10), and a steel protrusion (12) for connection with the fence (20) is installed protruding on the lower side of the insertion tube (11). In addition, the fence (20) is in the shape of a bar bent like a bow, and both ends ar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tubes (11) of both supporters (10) and fixed by welding. At this time, since the support (10) made of aluminum and the fence (20) made of steel are heterogeneous materials, welding is difficult, and therefore the steel protrusion (12) installed on the support (10) and the fence (20) are fixed by welding.
이와 같은 특허문헌 1의 펜스를 경사지 또는 코너부에 장착되는 경우에는 경사에 맞추어 상기 지주와 펜스의 결합각도를 조절하며 설치하여야 하는데, 종래와 같은 용접결합의 경우에는 이 결합각도를 맞추어 시공하기가 어렵고 또한 용접 후 각도를 보정하는 작업은 더욱 더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When the fence of Patent Document 1 is installed on a slope or corner, the angle of joining between the support and the fence must be adjusted to match the slope and installed. However,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welding joint,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while adjusting the joining angle, and the work of correcting the angle after welding is even more difficult.
또한, 특허문헌 1의 펜스의 돌출부는 양측에 180도 간격으로 두 개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코너부에서의 각도조정이 한정적이어서 두 개의 펜스가 90도 이하의 예각으로 결합되어야 되는 경우에는 부적합하고, 두 개의 펜스가 겹쳐서 ‘T’자 형상 또는 ‘+’자 형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경우에도 시공이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since the protrusions of the fence of Patent Document 1 are formed in two at 180-degree intervals on both sides, the angle adjustment at the corners is limited, so it is not suitable when the two fences must be joined at an acute angle of less than 90 degrees, and there is also a problem in that construction is impossible when the two fences must be installed by overlapping in a ‘T’ shape or a ‘+’ shape.
한편, 등록특허 제10-1571365호(2015년 12월 04일 공고, 이하 특허문헌 2라 칭함)는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이격되어 지면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주(30),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부재(40), 양단부가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가로봉(50)을 포함하여 경사지형이나 곡면도로 상에 현장적용성이 우수하며, 또한 체결부재와 가로봉 간에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견고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Meanwhile, registered patent No. 10-1571365 (announced on December 4, 2015, hereinafter referred to as patent document 2) relates to a safety fenc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afety fence having a plurality of supports (30) tha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the ground and have joining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plurality of fastening members (40) that are provided and inserted into and fixed in the joining grooves, and a horizontal bar (50) that has both ends joined to the fastening members, which has excellent on-site applicability on sloped terrain or curved roads, and further, a safety fence in which the angle of the horizontal bar is adjustable, which simplifies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fastening members and the horizontal bar, so that it is sturdy while being easy to construct, thereby improving constructability.
특허문헌 2는 가로봉(50)의 기울기가 조절된다는 효과가 있으나, 수평적으로 각도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체결부재(40)의 형상을 해당각도에 맞추어 별도의 구성으로서 준비해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Patent document 2 has the effect of adjusting the inclination of the horizontal bar (50), but has the problem that in order to adjust the angle horizontally, the shape of the fastening member (40) must be prepared as a separate configuration to match the angle.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펜스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펜스의 가로대와 지주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경사지 또는 코너부에 설치하기 용이한 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conventional fence described above,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nce that is easy to install on a slope or corner by improving the joint structure between the crossbar and the support of the fence.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펜스의 가로대와 지주와의 결합구조를 개선하여 인접하는 가로대와 다양한 각도로 결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펜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fence that can be formed into various shapes by improving the joint structure between the crossbar and the support of the fence so that it can be joined to an adjacent crossbar at various angles.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지면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직립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결합홈이 마련되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지주와 인접하는 지주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연결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한 가로대는 복수 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가 가능하다.In order to achieve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a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ase fixedly installed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posts fixed to the base and installed upright, the posts having a plurality of coupling grooves form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n an outer surface; a crossbar interposed between the posts and adjacent posts and arranged in a plurality of piece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posts; and a spherical connecting projec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crossbar and inserted into the coupling groove of the posts to be rotatably coupled; wherein a plurality of the crossbars are rotatably coupled to each other to absorb external shock.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에 있어서,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형성된 4개의 결합홈;을 포함할 수 있다.In a fe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ur joining groov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upport member may be inclu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 중 일부 결합홈의 입구측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홈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fe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nishing cover mounted on the entrance side of some of the plurality of joining groove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joining grooves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은 입구가 내부 공간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a fe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joining groove may have an entrance formed narrower than the internal space to prevent the connecting projection from coming off.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에 있어서, 상하로 인접하는 가로대들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돌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돌기의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fe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spacing member may be further included that is interposed between connecting projections formed at one end of vertically adjacent crossbars to maintain a spacing between the connecting projections.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에 있어서, 상기 연결돌기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연결돌기의 상하면을 지지하는 ‘ㄴ’자 형상의 한 쌍의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돌기를 지지하는 고정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fe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ence may further include a pair of ‘L’ shaped support brackets positioned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to support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and a fixing bolt formed by penetrating the supporting bracket and having one end supporting the connecting protrusion.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에 있어서, 상기 지주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결합홈의 일단을 커버하는 상부캡;을 더 포함할 수 있다.In a fe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 upper cap coupled to an upper end of the support and covering one end of a joining groove of the support may be further included.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 중 3개의 결합홈에 가로대의 연결돌기가 각각 결합되어 ‘T’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In a fe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rojections of the crossbar may b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ree of the connecting grooves to form a ‘T’ shap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에 있어서, 4개의 상기 결합홈에 가로대의 연결돌기가 각각 결합되어 ‘+’자 형상을 이룰 수 있다.In a fe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rojections of the crossbar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the four connecting grooves to form a ‘+’ shape.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에 있어서, 상기 가로대는, 일단이 어느 한 지주에 설치된 제1가로대; 상기 제1가로대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가로대연결수단; 및 일단이 상기 가로대연결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어느 한 지주와 이웃하는 지주에 타단이 설치된 제2가로대;를 포함할 수 있다.In a fe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bar may include: a first crossbar having one end installed on a support; a crossbar connecting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rossbar; and a second crossbar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crossbar connecting means and the other end installed on a support adjacent to the one support.
본 발명에 따른 펜스에 의하면, 경사지 또는 코너부에 있어서 설치각도를 자유롭게 조절하여 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공 후 각도조절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According to th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can the installation angle be freely adjusted when constructing on a slope or corner, but it also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easily adjust the angle after construction.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펜스에 의하면, 가로대를 인접하는 가로대와 예각으로 설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T’자 형상 또는 ‘+’ 형상과 같은 다양한 평면을 가지는 펜스를 형성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In addition, th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not only install the crossbars at an acute angle to adjacent crossbars, but also form a fence having various planes, such as a ‘T’ shape or a ‘+’ shape.
도 1과 도 2는 종래 펜스의 지주와 펜스의 결합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정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다.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주 및 연결돌기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돌기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의 ‘B’부의 내부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가로대의 결합구조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가로대의 결합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가로대의 결합구조의 평면도이다.Figures 1 and 2 are perspective views showing the joint structure of a conventional fence support and fence.
Figure 3 is a front view of a fenc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and a connecting projection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protrusion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B' of Figure 3.
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joint structure of a support and a cross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plan view of a joint structure of a support and a cross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plan view of a joint structure of a support and a cross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Hereinafter, som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emplary drawings.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addition,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specific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configuration or function hinders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components of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b), etc.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intend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s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sequence of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When it is described that a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 componen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another component may also be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etween each component.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Below, a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정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A'의 단면도이며, 도 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변형예에 따른 지주 및 연결돌기의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연결돌기의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3의 ‘B’부의 내부 단면도이다.FIG. 3 is a front view of a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4a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3, FIG. 4b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upport and a connecting projection according to a modified example of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nnecting proje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internal cross-sectional view of portion 'B' of FIG. 3.
도 3 내지 도 6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100)는, 지주(110), 가로대(120) 및 연결돌기(130)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3 to 6, a fence (10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110), a crossbar (120), and a connecting projection (130).
상기 지주(11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단이 지면에 일부 매립되어 직립하여 설치되며, 원통 형상의 외주면에는 상하 길이방향으로 4개의 결합홈(111)이 장홈 형태로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support (11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is installed upright with the lower end partially buried in the ground, and four connecting grooves (111) are formed in the shape of long gro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on the outer surface of the cylindrical shape.
상기 결합홈(111)은 내측에 후술할 연결돌기(130)가 삽입되는 일정한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홈(111)의 입구(111a)는 내부 공간의 폭보다 좁게 형성된다.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111) has a certain internal space formed on the inside into which a connecting projection (130) to be described later is inserted, and the entrance (111a) of 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111) is formed narrower than the width of the internal space.
한편, 4개의 결합홈(111) 중 결합돌기(130)가 삽입되지 아니하는 결합홈의 입구 측에는 상기 입구를 마감하는 마감커버(140)가 형성된다.Meanwhile, a closing cover (140) is formed on the entrance side of the connecting groove (111) into which the connecting projection (130) is not inserted to close the entrance.
상기 마감커버(140)는 양단에 탄성력을 가지는 절곡부가 형성되어, 결합홈(111)의 입구(111a)에 용이하게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The above-mentioned closing cover (140) has elastic bending portions formed at both ends, so that it can be easily and removably attached to the entrance (111a) of the joining groove (111).
그리고 상기 가로대(120)는 봉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어느 한 지주(110)와 그와 인접한 지주(110) 사이에 수평설치된다. 어느 한 가로대(120)는 어느 한 지주(100)와 인접하는 지주(100) 사이에 마련되되, 지주(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미리 정해진 간격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도면에는 상기 가로대(120)는 지주와 지주사이에 3개씩 설치되며, 상기 가로대(120)는 수직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는 것으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And the above crossbar (120) is formed in a rod shape and is installed horizontally between one of the supporters (110) and an adjacent supporter (110). One of the crossbars (120) is installed between one of the supporters (100) and an adjacent supporter (100), and a plurality of them can be arranged parallel to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length direction of the supporter (100). In the drawing, the crossbars (120) are installed three at a time between the supporters, and the crossbars (120) are installed vertical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ut this is not limited thereto.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가로대(120)는 복수 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에 대하여 충격을 흡수가 가능하다. 예컨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 가로대(120)는 제1가로대(미도시)와 가로대연결수단(미도시) 및 제2가로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로대는 일단이 어느 한 지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가로대연결수단은 상기 제1가로대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가로대는 일단이 상기 가로대연결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어느 한 지주와 이웃하는 지주에 타단이 설치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plurality of crossbars (120) are rotatably connected to each other to absorb shock from an external impact. For example, in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bar (120) may include a first crossbar (not shown), a crossbar connecting means (not shown), and a second crossbar (not shown). One end of the first crossbar may be installed on one support. The crossbar connecting means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rossbar. One end of the second crossbar may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crossbar connecting means, and the other end may be installed on a support adjacent to the one support.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연결돌기(130)는 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로대(120)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110)의 결합홈(111)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상기 지주(110)와 상하좌우로 회전가능하게 결합된다.Referring to FIG. 5, the connecting projection (130) is formed in a spherical shape and is formed at one end of the crossbar (120), and is inserted into the internal space of the joining groove (111) of the support (110) to be rotatably connected to the support (110) in the up,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s.
이에 따라 펜스가 경사로 또는 코너부에 설치되어야하는 경우에도 본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경사로를 따라서 가로대(120)가 용이하게 변형 설치될 수 있는 것이다.Accordingly, even when the fence must be installed on a ramp or corner, the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can be easily deformed and installed along the ramp with the crossbar (120).
한편, 도 6을 참조하면, 상하로 이격된 복수 개의 가로대(120) 일단에 형성된 연결돌기(130)들 사이에는 간격유지대가 구비된다.Meanwhile, referring to Fig. 6, a spacer is provided between connecting projections (130) formed at one end of a plurality of horizontal bars (120)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vertically.
상기 간격유지대(150)는 원통 형상의 봉형태로 이루어지며 상기 결합홈(111)에 삽입된다. 상기 간격유지대(150)는 연결돌기(130)의 상하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돌기(130)를 지지하여 위치를 고정하여 줌으로써 상하 연결돌기들 사이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시켜준다.The above spacing member (150) is formed in a cylindrical rod shape and is inserted into the above joining groove (111). The spacing member (150) is interposed above and below the connecting projection (130) to support the connecting projection (130) and fix its position, thereby maintaining a constant spacing between the upper and lower connecting projections.
한편, 상기 지주 상단에는 원판 형상의 상부캡(160)이 결합된다. 상기 상부캡(160)은 상기 연결돌기 및 간격유지대가 상측으로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후, 상기 결합홈의 상측을 밀폐하여 상기 결합홈으로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Meanwhile, a disc-shaped upper cap (160) is attached to the upper end of the support. The upper cap (160) seals the upper side of the joining groove after the connecting projection and the spacer are inserted into the joining groove upward, thereby preventing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joining groove.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펜스(100)의 설치방법에 관해 설명한다.Referring to the attached drawings below, a method for installing a fence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경사로에 펜스(100)를 설치하는 경우, 우선 복수 개의 지주(110)를 중력방향으로 직립하여 설치한다. 그 후 간격유지대(150) 및 가로대(120)의 양단에 형성된 연결돌기(130)를 상기 지주에 형성된 결합홈(111)에 순차적으로 삽입하여 결합한 후 상부캡(160)으로 상측을 마감한다.When installing a fence (100) on a ramp, first, multiple supports (110) are installed upright in the direction of gravity. Then, connecting projections (130) formed on both ends of the spacer (150) and the crossbar (120) are sequentially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s (111) formed on the supports and combined, and then the upper side is finished with an upper cap (160).
이 경우, 상기 연결돌기(130)는 상기 지주(110)의 결합홈(111)과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므로, 도 3에서와 같이 가로대(120)가 θ도 경사지게 설치될 수 있어, 경사로에서도 펜스를 시공하는 것이 용이하다.In this case, since the connecting projection (130)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connecting groove (111) of the support (110), the crossbar (120) can be installed at an angle of θ as shown in Fig. 3, making it easy to construct a fence even on a slope.
또한, 코너부에 펜스를 설치하는 경우, 도 4a에서와 같이, 상기 연결돌기는 수평으로도 회전가능하도록 지주와 결합되므로, 코너진 부분에도 펜스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a fence at a corner, as shown in Fig. 4a, the connecting projection is connected to the support so that it can rotate horizontally, so that the fence can be easily installed even at a corner.
더욱이, 도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펜스의 지주는 사방에 각각 결합홈이 형성되어 있어, 가로대와 인접하는 가로대를 90도 또는 그보다 작은 예각을 이루며 배치할 수 있다.Furthermore, referring to FIG. 4b, the posts of the fence of the present embodiment have joining grooves formed on each of the four sides, so that the crossbars and adjacent crossbars can be arranged to form an acute angle of 90 degrees or less.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가로대의 결합구조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가로대의 결합구조의 평면도이다.FIG.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joint structure of a support and a cross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8 is a plan view of a joint structure of a support and a crossbar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는, 지주(210), 가로대(220), 연결돌기(230), 지지브라켓(250) 및 상부캡(260)으로 이루어진다.Referring to FIGS. 7 and 8, a f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osed of a support (210), a crossbar (220), a connecting projection (230), a support bracket (250), and an upper cap (260).
상기 지주(210), 가로대(220), 연결돌기(230) 및 상부캡(260)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지주(110), 가로대(120), 연결돌기(130) 및 상부캡(160)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above-described support member (210), cross member (220), connecting projection (230) and upper cap (260) have the same configuration as the support member (110), cross member (120), connecting projection (130) and upper cap (160) of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a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지지브라켓은,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연결돌기의 상하측에 각각 형성되고, 측면은 상기 지주에 고정된다.The above support bracket is formed in an ‘L’ shape and is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and the side is fixed to the support.
상기 연결돌기 상측의 지지브라켓(250)은, 하측면으로 상기 연결돌기(230)의 상측면을 지지하고, 상기 연결돌기 하측의 지지브라켓(250)은, 상측면으로 상기 연결돌기(230)의 하측면을 지지하여 상기 연결돌기(230)의 위치를 고정시킨다.The support bracket (250) on the upper side of the above connecting protrusion supports the upper side of the above connecting protrusion (230) with its lower side, and the support bracket (250) on the lower side of the above connecting protrusion supports the lower side of the above connecting protrusion (230) with its upper side to fix the position of the above connecting protrusion (230).
한편, 상기 지지브라켓(250)에는 상기 연결돌기(230)를 지지하는 고정볼트(251)가 장착된다. 상기 고정볼트(251)는 상기 지지브라켓(250)을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고정볼트(251)는 일단이 상기 연결돌기에 맞닿도록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가 의도치않게 회전되는 것을 방지한다.Meanwhile, a fixing bolt (251) that supports the connecting projection (230) is mounted on the support bracket (250). The fixing bolt (251) is formed to penetrate the support bracket (250). The fixing bolt (251) is formed so that one end comes into contact with the connecting projection, thereby preventing the connecting projection from unintentionally rotating.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지주는, 외주에 형성된 4개의 결합홈(211) 중 3개의 결합홈에 가로대의 연결돌기가 각각 결합되고, 나머지 결합홈에는 마감커버(240)가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T’ 자 형상의 펜스를 구현할 수 있다.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fence, the support of the fence may have the connecting projections of the crossbar connected to three of the four connecting grooves (21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and a finishing cover (240) may be connected to the remaining connecting grooves. Accordingly, a ‘T’ shaped fence may be implemented.
그리고 도 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지주와 가로대의 결합구조의 평면도이다. 도 9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펜스의 지주는, 외주에 형성된 4개의 결합홈(311) 중 4개의 결합홈에 가로대(320)의 연결돌기(330)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자 형상의 펜스를 구현할 수 있다.And Fig. 9 is a plan view of a joint structure of a support and a crossbeam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 9, in the support of the fenc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necting projections (330) of the crossbeam (320) can be joined to four of the four joining grooves (311) formed on the outer periphery, respectively. Accordingly, a fence in the shape of the letter ‘+’ can be implemented.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펜스를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정신이 있다고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example for implementing a fen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and anyone with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lement the same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ed in the claims below, and it will be said tha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exists to the extent that it can be implemented.
100 : 펜스
110 : 지주
120 : 가로대
130 : 연결돌기
140 : 마감커버
150 : 간격유지대
160 : 상부캡100 : Fence 110 : Landlord
120 : Crossbar 130 : Connecting lug
140 : Closing cover 150 : Spacer
160 : Top cap
Claims (10)
상기 베이스에 고정되며 직립하여 설치되며, 외주면에 길이방향으로 복수 개의 결합홈이 마련되는 복수 개의 지주;
상기 지주와 인접하는 지주 사이에 개재되며 상기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상호 이격되어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로대; 및
상기 가로대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지주의 결합홈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형상의 연결돌기;
를 포함하고,
상기 어느 한 가로대는 복수 개가 회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외부의 충격을 흡수 가능한 펜스.
A base that is fixed to the ground;
A plurality of supports fixed to the above base and installed upright, each having a plurality of connecting grooves formed longitudinally on its outer surface;
A crossbar interposed between the above-mentioned pillar and an adjacent pillar, and arranged in a plurality of parallel and spaced apart manners along the length of the above-mentioned pillar; and
A spherical connecting projection formed at one end of the above crossbar and inserted into the connecting groove of the above support to be rotatably connected;
Including,
A fence in which one of the above crossbars is rotatably connected to absorb external shock.
상기 지주의 외주면에 형성된 4개의 결합홈;
을 포함하는 펜스.
In the first paragraph,
Four connecting grooves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above-mentioned pillar;
A fence containing:
상기 복수 개의 결합홈 중 일부 결합홈의 입구측에 장착되어 상기 결합홈 내부로 이물질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커버;
를 더 포함하는 펜스.
In paragraph 1 or 2,
A finishing cover mounted on the entrance side of some of the plurality of joining grooves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side of the joining grooves;
A fence that includes more.
상기 결합홈은 입구가 내부 공간보다 좁게 형성되어 상기 연결돌기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펜스.
In the second paragraph,
The above-mentioned joining groove is a fence formed with an entrance narrower than the internal space to prevent the above-mentioned connecting projection from coming off.
상하로 인접하는 가로대들의 일단에 형성된 연결돌기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연결돌기의 상호간의 간격을 유지시키는 간격유지대;
를 더 포함하는 펜스.
In the second paragraph,
A spacer that is interposed between connecting projections formed at one end of vertically adjacent crossbars to maintain the gap between the connecting projections;
A fence that includes more.
상기 연결돌기의 상하측에 각각 위치하여 상기 연결돌기의 상하면을 지지하는 ‘ㄴ’자 형상의 한 쌍의 지지브라켓; 및
상기 지지브라켓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연결돌기를 지지하는 고정볼트;
를 더 포함하는 펜스.
In the second paragraph,
A pair of 'L' shaped support brackets positioned respectively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to support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connecting protrusion; and
A fixing bolt formed by penetrating the above support bracket and having one end supporting the above connecting projection;
A fence that includes more.
상기 지주 상단에 결합되어 상기 지주의 결합홈의 일단을 커버하는 상부캡;
을 더 포함하는 펜스.
In the second paragraph,
An upper cap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above-mentioned support and covering one end of the coupling groove of the above-mentioned support;
A fence that includes more.
상기 결합홈 중 3개의 결합홈에 가로대의 연결돌기가 각각 결합되어 ‘T’자 형상을 이루는 펜스.
In the second paragraph,
A fence that forms a 'T' shape by having a crossbar's connecting projections connected to three of the above connecting grooves.
4개의 상기 결합홈에 가로대의 연결돌기가 각각 결합되어 ‘+’자 형상을 이루는 펜스.
In the second paragraph,
A fence in which the connecting projections of the crossbar are each connected to the four above-mentioned connecting grooves to form a '+' shape.
상기 가로대는,
일단이 어느 한 지주에 설치된 제1가로대;
상기 제1가로대의 타단과 회동가능하게 연결된 가로대연결수단; 및
일단이 상기 가로대연결수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어느 한 지주와 이웃하는 지주에 타단이 설치된 제2가로대;
를 포함하는 펜스.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crossbar is,
First, the first crossbar installed on a certain pillar;
A crossbar connecting means rotatably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crossbar; and
A second crossbar having one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crossbar connecting means and the other end installed on a support adjacent to one of the supporters;
A fence contain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9399A KR20240177906A (en) | 2023-06-21 | 2023-06-21 | Fenc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9399A KR20240177906A (en) | 2023-06-21 | 2023-06-21 | Fenc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77906A true KR20240177906A (en) | 2024-12-30 |
Family
ID=940378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9399A Pending KR20240177906A (en) | 2023-06-21 | 2023-06-21 | Fenc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77906A (en)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1555A (en) | 2009-09-21 | 2011-03-29 | 우성안전 주식회사 | Guard fence with fixture for fence |
KR101571365B1 (en) | 2015-04-23 | 2015-12-04 | 우성안전 주식회사 | Safey fence with an Angle adjustable Horizontal pole |
-
2023
- 2023-06-21 KR KR1020230079399A patent/KR20240177906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10031555A (en) | 2009-09-21 | 2011-03-29 | 우성안전 주식회사 | Guard fence with fixture for fence |
KR101571365B1 (en) | 2015-04-23 | 2015-12-04 | 우성안전 주식회사 | Safey fence with an Angle adjustable Horizontal pole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751893A (en) | Anti-glare screen | |
KR20140001418A (en) | A bridge extension structure | |
KR200432594Y1 (en) | Construction of bridge construction | |
KR102024717B1 (en) | Safety fence and pole for the same | |
KR101440604B1 (en) | Pedestrian protection fence for sidewalk roadway | |
KR20100123343A (en) | Guard fence | |
KR101630189B1 (en) | Flexible fence | |
KR200421527Y1 (en) | Frame connection structure of fence | |
KR101571365B1 (en) | Safey fence with an Angle adjustable Horizontal pole | |
KR101457633B1 (en) | Guardrail having tilt ability cope with slope way and height adjusting | |
KR20240177906A (en) | Fence | |
KR102035821B1 (en) | Guard rail for preventing jaywalking and construction method for the same | |
KR20080005462U (en) | Fence | |
US20050254891A1 (en) | Road barrier | |
KR102162962B1 (en) | Fence | |
KR102306896B1 (en) | A Fence Easy to Adjusting Angle | |
KR102057300B1 (en) | Improved assembly type safety guardrail | |
KR20130006465U (en) | A divisional strip | |
KR20140026026A (en) | Guard fence | |
KR100872038B1 (en) | Potted central divider | |
KR200391860Y1 (en) | Shielding plate fixation bracket | |
KR200343184Y1 (en) | Structure for assemble of a road guidance signpost | |
KR102758071B1 (en) | Shear reinforcement support and railings and fences installed using them | |
EP2894257B1 (en) | Protection system for avoiding obstacles in roadside trenches | |
KR102767867B1 (en) | Protective fence and its construction method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