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71365B1 - Safey fence with an Angle adjustable Horizontal pole - Google Patents
Safey fence with an Angle adjustable Horizontal pol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571365B1 KR101571365B1 KR1020150057082A KR20150057082A KR101571365B1 KR 101571365 B1 KR101571365 B1 KR 101571365B1 KR 1020150057082 A KR1020150057082 A KR 1020150057082A KR 20150057082 A KR20150057082 A KR 20150057082A KR 101571365 B1 KR101571365 B1 KR 10157136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roove
- fastening member
- support
- finishing
- main bod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Expired - Fee Related
Links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876 top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831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96 beau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28 du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850 spacer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220 stainless ste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5 stainless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59 ste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5/00—Safety arrangements for slowing, redirecting or stopping errant vehicles, e.g. guard posts or bollards; Arrangements for reducing damage to roadside structures due to vehicular impact
- E01F15/02—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 E01F15/04—Continuous barriers extending along roads or between traffic lanes essentially made of longitudinal beams or rigid strips supported above ground at spaced points
- E01F15/0407—Metal rails
- E01F15/0438—Spacers between rails and posts, e.g. energy-absorb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efuge Islands, Traffic Blockers, Or Guard F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호 이격되어 지면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주;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부재; 양단부가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가로봉;을 포함하여 경사지형이나 곡면도로 상에 현장적용성이 우수하며, 또한 체결부재와 가로봉 간에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견고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는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f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fence having a plurality of posts spaced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a ground surface, A fastening member provided in plurality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gro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dvantageous in that it is excellent in field application on an inclined terrain or a curved road including both ends of the cross bar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and simplifies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cross bar, And the angle of the transverse bar is adjusted.
Description
본 발명은 안전펜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됨과 아울러 그 체결구조가 용이하여 지형에 따른 현장적용성이 뛰어나며 시공성이 우수한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afety fence, and more particularly, to a safety fence in which the angle of a cross bar is adjusted and its fastening structure is easy, and the angle of the cross bar having excellent workability and excellent workability is adjusted according to the topography.
일반적으로 도로변에 설치되는 안전펜스(safety fence)는 가드레일(guard rail)이라고도 하는데, 차도의 경계를 분명히 하면서 차량이 인도로 돌진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인도를 통행하는 통행자 또는 애완동물들이 도로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여 쌍방 간에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가도로나 항만 도로 등에 설치되어 차량이 이탈이 되어 추락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다.Generally, the safety fenc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road is called a guard rail. It is used to prevent the vehicle from rushing into the vehicle while clarifying the boundaries of the roadway.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that may occur between both sides, and also to prevent the vehicle from falling out due to being installed on an overpass or a port road.
또한, 무단횡단 방지, 어린이 보호구역, 교량난간, 보도난간, 울타리 등에 설치하여 사고의 위험요소를 예방하여 사람이나 기타 다른 목적을 위해 사용되고 있다. 특히, 도로의 양측으로 인도가 설치되는데, 이는 자동차 도로를 주행하던 차량이 불의의 사고나 운전 미숙 등으로 인하여 인도를 침범하거나 무단횡단으로 인해 발생하는 사고의 우려가 다분한데, 이러한 사고로부터 보행자를 보호하기 위해 알루미늄, 스틸, 스테인리스스틸 등과 같은 재질을 사용하여 펜스를 제작하게 된다.It is also used for people or other purposes by preventing the risk of accidents by installing on anti-crossing, children's protection area, bridge railing, sidewalk railing, fence. In particular, India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oad. This is because of the concern that accidents caused by unauthorized accidents or unauthorized driving by a vehicle driving on a motorway cause intrusion into India or unauthorized crossing, To protect it, the fence is made using materials such as aluminum, steel, stainless steel, and the like.
또, 사고가 빈번하게 일어나는 도로경계구역이나 높은 축대, 다리, 인도, 인도가 설치되지 않는 도로 등과 같은 장소에 설치되어 도로를 통행하는 보행인을 보호하기 위하여 설치가 이루어지고, 그외 주택이나 건물의 경계용, 인도변 시설물, 아파트 베란다의 난간 및 계단의 난간 등 목적이나 장소에 따라 다양하게 설치된다.In addition, it is installed to protect pedestrians passing through the road, such as a road boundary area where accidents occur frequently, roads where high stairs, bridges, sidewalks, and India are not installed. In addition, It can be installed variously according to purpose and place such as dragon, Indian parapet, parapet railings and stair railing.
이러한 안전펜스와 관련하여 종래에는 다양한 기술들이 제시된 바 있으며, 그 일례로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1-0031555호에서는 펜스용 고정구를 갖는 가드펜스에 대한 기술이 제시되나, 상기 기술은 지주의 삽입관체에 고정구가 인서트 성형되되, 고정구가 삽입관체에 관통되는 부싱과 부싱에 나사 결합된 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이는 구조가 복잡하여 시공기간이 오래 걸리며 또한, 펜스의 각도 조절이 불가능하여 경사지, 곡면도로 등 지형 변화에 따른 현장적용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A variety of techniques have been proposed in connection with such a safety fence. For example,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1-0031555 discloses a guard fence having a fixture for a fence, The fixture is inserted into the insert tube, and the fixture includes a bushing penetrating through the insertion tube and a bolt threadedly coupled to the bushing. This structure is complicated in structure and takes a long construction period. Further, And it is difficult to apply to the field due to change of terrain such as slope, curved road, etc.
이에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안전펜스의 시공시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됨과 아울러 그 체결구조를 단순화하여 현장적용성 및 시공성이 우수한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를 제공하고자 함이다.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order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afety fence which is capable of adjusting the angle of a cross bar during construction of a safety fence and simplifying the fastening structure thereof, To provide a safety fence.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는 상호 이격되어 지면에 고정되며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이 형성되는 복수의 지주; 복수로 마련되며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체결부재; 양단부가 상기 체결부재에 결합되는 가로봉;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afety fence comprising: a plurality of support posts spaced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a ground surface and having coupling grooves formed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thereof; A fastening member provided in plurality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a transverse bar to which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이때, 상기 결합홈은 상기 지주의 내측에서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원형의 끼움홈; 일측이 상기 끼움홈과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에 노출되되, 상기 끼움홈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안내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The coupling groove includes a circular fitting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in the inside of the support, And a guide groov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tting groove and the other side exposed to the outside, the guide groove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tting groove.
또한, 상기 체결부재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양단부가 상기 가로봉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T'자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연장구; 상기 연장구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되, 상기 연장구의 직경보다 지름이 큰 구 형상의 삽입볼;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lso, the fastening member may include a body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nd having both ends coupled to the transverse bar;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in a 'T' shape and fitted in the guide groove; And a spherical insertion ball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so as to be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and having a larger diameter than the diameter of the extension.
한편.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체결부재 간 상호 이격되도록 간격유지구가 더 구성되되,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끼움홈 삽입되며 상기 삽입볼과 동일 직경을 갖는 원형의 이격몸체; 상기 이격몸체의 상하 양단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볼이 밀착되는 오목홈; 상기 이격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을 마감하는 마감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Meanwhile. Wherein the engaging grooves are further formed with spacing grooves so that the engaging grooves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wherein the spacing grooves include a circular spacing body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insertion ball; A recessed groove formed on the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parating body to closely contact the insertion ball; And a finis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parating body to finish the guide groove.
일례로써, 상기 마감돌기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연장구를 지지하는 지지돌기가 더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For example, at both ends of the finishing projection, there is further provided a supporting protrusion protruding outwardly to support the extending tool.
다른 예로써, 상기 마감돌기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지지클립이 더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As another example, each of the end protrusions may have a support clip protruding outwardly to surround the main body.
아울러, 상기 본체는 그 길이방향을 향해 직선형, 곡선형, 절곡형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이 특징이다.
In addition, the main body is formed of on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nd a bent line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는 일정간격 이격되어 지면에 고정되는 복수의 지주에 체결부재를 통하여 가로봉이 각도 조절되도록 결합되어 경사지형이나 곡면도로 상에 현장적용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ngle of the horizontal bar can be adjusted by combining the horizontal bar with a plurality of struts spac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fixed to the ground through the fastening member so as to adjust the angle, This is an excellent advantage.
또한 체결부재와 가로봉 간에 결합구조를 단순화하여 견고하면서도 시공이 용이하여 시공성이 향상되는 장점이 있다.
Further, the joining structure between the fastening member and the transverse bar is simplified, and the joining structure is robust and easy to construct, which improves the workabilit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가 적용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지주 및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체결부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 safety fence having an angle of a cross ba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pplied.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lan view showing a strut and a fastening member which are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stening membe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 fastening membe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terms and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are to be construed in accordance with the princi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on the basis that the inventor can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a term in order to best explain his invention It should be constru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가 적용된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지주 및 체결부재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체결부재의 일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체결부재의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safety fen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 1; FIG. 3 is a perspective view of a supporting member and a fastening member, FIG. 4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the line AA in Fig. 1, Fig. 5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of a fastening member which is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fastening member Is the drawing
본 발명에 따른 가로봉(300)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는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주(100), 체결부재(200) 및 가로봉(30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safety fence in which the angle of the
상기 지주(100)는 복수로 마련되는 것으로 상호 이격 배치되어 지면에 견고히 고정되어야 하는 데, 이렇게 지면에 지주(100)를 견고히 고정하는 수단 및 방법으로는 종래의 다양한 기술이 적용가능한 바 그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The
이때, 상기 지주(100)는 수직방향으로 길이가 긴 형상으로 그 단면의 형상은 원형 또는 다각형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나 본 실시 예에서와 같이 단면 형상이 타원 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또한 상기 지주(1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홈(110)이 형성되어 이하의 체결부재(200) 및 가로봉(300)이 지주(100)에 체결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아울러, 상기 지주(100) 상에 결합홈(110)이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또는 한 쌍이 마련되도록 하여 경우에 따라 상기 가로봉(300)이 일 중 또는 이 중 구조로 구성시킬 수 있다.In addition, one or a pair of
그리고 상기 지주(100)의 상단에는 커버(120)를 마련하여 지주(100)와 체결부재(200)간 결합이 이뤄진 후 지주(100)의 상단을 마감할 수 있는데, 이러한 커버(120)와 지주(100)간의 결합수단으로는 다양한 종래 기술이 적용가능하나 도 2에서와 같이 커버(120)와 지주(100)간 결합수단으로 볼트(도면부호 미도시)가 적용될 수도 있다.A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결합홈(110)에 끼움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그 개수를 복수로 마련하여 상기 지주(100)의 결합홈(110) 상에서 여러 개가 상하 이격 되도록 배치시킨다.The
이때 상기 체결부재(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마련할 수 있으나 그 밖에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At this time, the
상기 가로봉(300)은 그 양단부가 상기 지주(100)에 체결되는 체결부재(200)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의 지주(100)를 놓고 본다면 상기 가로봉(300)이 그 한 쌍의 지주(100) 간을 연결함으로써 안전펜스로서의 실질적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The
또한 상기 가로봉(300)과 체결부재(200)간 그 결합수단으로 종래의 다양한 방식 및 구조가 적용가능하나 도면에서와 같이 상기 가로봉(300)의 끝단 내주연에 체결부재(200)가 삽입되는 방식으로 적용할 수도 있다. In addition, various conventional methods and structures can be applied as the coupling means between the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상기 지주(100)에 형성되는 결합홈(11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결합홈(110)은 끼움홈(112) 및 안내홈(114)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끼움홈(112)은 상기 지주(100)의 내측에 형성되는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길이가 긴 지주(100)에 있어서 그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것으로 원형의 내주연을 갖도록 구성된다.The
상기 안내홈(114)은 상기 끼움홈(112)을 안내하여 지주(100)의 일 측면에 개방되도록 구성되는데, 즉 상기 안내홈(114)의 일측이 상기 끼움홈(112)과 연결되고 타측은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된다.The
이때 상기 안내홈(114)의 폭은 상기 끼움홈(112)의 직경보다 작게 하여 상기 체결부재(200)가 회전가능한 상태로 결합홈(110)에 결합 될 수 있는데 이러한 작용이 가능한 구체적인 구조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At this time, the width of the
이하, 다시 도 3을 참조하여 체결부재(2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referring again to Fig. 3, the fastening
본 발명에 따른 체결부재(200)는 본체(210), 연장구(230) 및 삽입볼(22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fastening
상기 본체(210)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그 양단부가 상기 가로봉(300)에 결합되는 것으로 한 쌍의 가로봉(300)을 중간에서 서로 견고히 연결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데, 상기 본체(210)와 가로봉(300)은 그 결합구조로 다양한 체결수단(212)이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본 실시 예에서는 본체(210)의 양단부 외경이 가로봉(300)의 양단부 내경에 대응하도록 구성하여 본체(210)의 단부가 가로봉(300)에 삽입되는 예를 나타낸다.The
상기 연장구(2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210)의 중앙부에서 'T'자 형으로 돌출하여 연장되는 것으로 상기 안내홈(114)에 끼워지도록 구성된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상기 삽입볼(220)은 상기 연장구(230)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112)에 삽입되는데, 이때 상기 삽입볼(220)은 상기 연장구(230)의 직경보다 큰 지름을 갖는 구 형상으로써 상기 끼움홈(112)에 삽입되도록 구성된다.The
다시 말해, 상기 연장구(230)의 직경은 상기 안내홈(114)에 대응되고 상기 삽입볼(220)의 직경은 상기 끼움홈(112)에 대응하도록 구성하여 상호 간 끼움 결합시 그 유격을 작게 하여, 지주(100)와 체결부재(200)간 보다 견고한 결합구조를 갖도록 구성시킴이 바람직하다.In other words, the diameter of the
한편, 도 3은 지주(100)와 체결부재(200)의 결합구조를 평면도로 도시한 것으로, 그 결합구조를 살펴보면,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기 연장구(230)와 삽입볼(220)이 상기 지주(100)의 상단을 통해 결합홈(110)에 삽입되고 이후 슬라이드 방식으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게 된다.3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between the
이때, 복수로 마련되는 상기 체결부재(200) 간 사이에 간격유지구(400)를 더 구성하여 체결부재(200)간 간격을 유지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At this time, the
이하, 도 2 및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구(40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상기 간격유지구(400)는 상기 결합홈(110)에 삽입되는 것으로 복수로 마련되는 상기 체결부재(200) 간 사이에 배치시켜 상기 체결부재(200) 간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간격유지구(400)는 특히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00)의 간격에 맞게 일정간격을 유지할 수도 있고 또한 상기 커버(120)에 인접위치에서와 같이 간격유지구(400)의 높이를 비교적 낮게 구성시킬 수도 있게 된다.The
이러한 본 발명에 따른 간격유지구(400)는 이격몸체(410), 오목홈(412) 및 마감돌기(420)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The
상기 이격몸체(410)는 상기 끼움홈(112)에 삽입되는 것으로 그 단면 형상을 원형으로 구성하되 상기 삽입볼(220)과 동일 직경을 갖도록 하여 상기 끼움홈(112) 상에서 상하 유동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다.The separating
또한 상기 오목홈(412)은 상기 이격몸체(410)의 상하 양단에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삽입볼(220)이 밀착되도록 삽입볼(220)의 외주연에 대응하도록 그 내주연을 형성시켜 삽입볼(220)이 오목홈(412) 상에 안착되도록 구성한다.The recessed
따라서 상기 체결부재(200)는 도 4에서와 같이 일 간격유지구(400)와 타 간격유지구(400) 사이에 삽입볼(220)이 안착되어 개재되는 구조로 구성시킴으로써 상기 체결부재(200)는 그 세부 구성인 삽입볼(220)이 오목홈(412)에 견고히 안착된 상태로 도 1에서와 같이 회동구조를 갖게 되는 것이다.4, the
상기 마감돌기(420)는 상기 이격몸체(410)의 일측이 돌출하여 형성되는 구조로써 상기 안내홈(114)을 마감하여 상기 결합홈(110)에 의해 일부 개방된 상기 지주(100)의 외면을 마감함으로써 시각적인 미려함을 제공함과 아울러 기능적으로 지주(100) 내측으로 빗물, 먼지 등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여 내구성이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The finishing
이하,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마감돌기(420)의 추가 실시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a further embodiment of the finishing
먼저 도 5a에서는 상기 마감돌기(420)에 지지돌기(430)가 구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마감돌기(420)의 양단부에 그 외측으로 돌출되는 지지돌기(430)를 구성하여 상기 연장구(230)에 밀착되도록 구성시킬 수 있다.5A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upporting
이는 상기 실시 예에서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00)는 그 세부 구성인 삽입볼(220)이 오목홈(412) 상에 안착되는 구조로써 가로봉(300)과 체결되는 체결부재(200)의 하중을 견디도록 구성되는 바, 그 보강구조로써 상기 삽입볼(220)과 일체로 구성되는 연장구(230)가 상기 지지돌기(430)에 지지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As in the above embodiment, the
상기 지지돌기(4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체결부재(200)가 지주(100)에 체결된 상태에서 상기 연장구(230)를 지지하도록 구성되는데,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지돌기(430)의 내주연이 상기 연장구(230)의 외주연을 감싸는 구조로 구성하여 하중에 대한 보강뿐 아니라 체결부재(200)와 지주(100)간 이탈이 방지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The
본 실시 예에서는 상기 지지돌기(430)가 마감돌기(420)의 상하 양단부에 마련되는 예를 제시하였으나 경우에 따라 체결부재(200) 및 가로봉(300)의 하중을 지지할 목적으로 지지돌기(430)가 마감돌기(420)의 상단부에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The support protrusions 430 may be provided on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finishing
도 5b는 상기 마감돌기(420)에 지지클립(440)이 구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상기 지지클립(440)은 상기 마감돌기(420)의 상하단부에서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체결부재(200)의 세부구성인 본체(210)를 감싸는 클립 구조로 구성된다.5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supporting
이때, 일 간격유지구(400)와 타 간격유지구(400)에 각각 구성되는 지지클립(440)이 하나의 본체(210)를 감싸도록 구성하여 상기 가로봉(300)과 결합된 체결부재(200)의 하중을 보강함과 아울러 체결부재(200)가 지주(10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In this case, the
한편,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지지클립(440)은 상호 클립체결구(442)를 통해 상호 결합되도록 하여 보다 견고함을 부여할 수 있게 된다.Meanwhile, as shown in the drawing, the pair of support clips 440 can be mutually coupled through the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구성인 체결부재(200)의 다양한 실시 예들을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various embodiments of the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체결부재(200)의 세부구성인 상기 본체(210)가 안전펜스의 시공현장의 지형에 따라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예를 나타낸 것으로, 시공현장이 경사구간일 경우, 도 6의 (a),(b),(c)와 같이 상기 본체(210)의 형상을 곡선형(210-1) 또는 절곡형(210-2,210-3)으로 마련함으로써 그 양단부에 각각 가로봉(300)이 결합되어 경사구간에 적절이 대응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the figure, the
또한 도 6(d) 내지 도 6(e)에서와 같이 본체(210)가 곡선형(210-4) 및 절곡형(210-5)으로 구성됨에 있어 꺽이는 방향이 수평 상에서 이뤄지도록 하여 안전펜스가 설치되는 지형이 곡선구간일 경우 적절히 대응될 수 있게 구성시킬 수도 있다.6 (d) to 6 (e), when the
이때, 상기 본체(210)가 곡선형 또는 절곡형으로 마련함에 있어 꺽이는 각도를 다양하게 마련하여 다양한 지형에 적절히 적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본체(210)로부터 연장되는 삽입홀이 향하는 방향이 다양한 각도로 구성될 수 있어 경사구간이면서 곡선구간인 복합적인 구간에도 그에 용이하게 대응시킬 수 있게 된다.At this time, the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도 6의 (a),(b),(c)에서와 같이 본체(210)가 꺽이는 형상이 상측으로 볼록한 것을 예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본체(210)가 꺽이는 형상이 하측으로 볼록할 수도 있음은 자명한 바이며 이는 도 6(d) 내지 도 6(e)에서 나타낸 실시 예에서도 동일하게 적용되는 바이다.
6A, 6B, and 6C, the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xemplary embodiments, Of the right.
100 : 지주 200 : 체결부재
300 : 가로봉 400 : 간격유지구100: column 200: fastening member
300: barb 400: spacing holder
Claims (7)
상기 결합홈은 상기 지주의 내측에서 지주의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원형의 끼움홈; 일측이 상기 끼움홈과 연결되고 타측이 외부에 노출되되, 상기 끼움홈의 직경보다 작은 폭을 갖는 안내홈;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체결부재는 관 형상으로 마련되어 양단부가 상기 가로봉에 결합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T'자형으로 연장되며 상기 안내홈에 끼워지는 연장구; 상기 연장구의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되, 상기 연장구의 직경보다 지름이 큰 구 형상의 삽입볼;을 포함하되,
상기 결합홈에는 상기 체결부재 간 상호 이격되도록 간격유지구가 더 구성되고, 상기 간격유지구는 상기 끼움홈에 삽입되며 상기 삽입볼과 동일 직경을 갖는 원형의 이격몸체; 상기 이격몸체의 상하 양단에 형성되며 오목한 형상으로 그 내주연에 상기 삽입볼이 안착되는 오목홈; 상기 이격몸체의 일측에 돌출되어 상기 안내홈을 마감하며 상기 연장구를 지지하는 마감돌기;를 포함하며,
상기 마감돌기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형성되며 상기 마감돌기와 함께 상기 연장구를 지지하는 구조로 지지돌기가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
A plurality of strut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nd fixed to the ground and having coupling groov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A fastening member provided in plurality and inserted and fixed in the coupling groove; And a transverse bar to which both ends are coupled to the fastening member,
Wherein the engaging groove has a circular fitting groov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in the inside of the strut; And a guide groove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fitting groove and the other side exposed to the outside, the guide groove having a width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fitting groove,
Wherein the fastening member is provided in a tubular shape and has both ends coupled to the bar; An extension extending from the main body in a 'T' shape and fitted in the guide groove; And a spherical insertion ball formed at an end of the extension and inserted into the insertion groove, the insertion ball having a diameter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extension,
Wherein the engaging groove further comprises a spacing holder for separating the engaging members from each other, the spacing holder includes a circular separating body inserted into the fitting groove and having the same diameter as the insertion ball; A concave groove formed on both upper and lower ends of the separated body and having a concave shape in which the insertion ball is seated on its inner periphery; And a finishing protrusion protruding from one side of the separating body to finish the guide groove and support the extending portion,
Wherein the supporting protrusions are formed on both ends of the finishing protrusions so as to protrude outwardly and support the protrusions together with the finishing protrusions.
상기 마감돌기의 양단부에는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본체를 감싸도록 구성되는 지지클립이 더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support clip protruding outward from both ends of the finishing projection to surround the main body.
상기 본체는 그 길이방향을 향해 직선형, 곡선형, 절곡형 중 하나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로봉의 각도가 조절되는 안전펜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main body is made of one of a straight line, a curved line, and a bent line toward the longitudinal direc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7082A KR101571365B1 (en) | 2015-04-23 | 2015-04-23 | Safey fence with an Angle adjustable Horizontal pol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57082A KR101571365B1 (en) | 2015-04-23 | 2015-04-23 | Safey fence with an Angle adjustable Horizontal pol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571365B1 true KR101571365B1 (en) | 2015-12-04 |
Family
ID=548676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57082A Expired - Fee Related KR101571365B1 (en) | 2015-04-23 | 2015-04-23 | Safey fence with an Angle adjustable Horizontal pol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571365B1 (en)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82238A (en) * | 2021-01-26 | 2021-06-18 | 温州职业技术学院 | Install guardrail fast with shimmer illumination function |
CN113174882A (en) * | 2021-04-30 | 2021-07-27 | 茅台学院 | Scenic spot safe people flow guiding device in tourist industry and using method thereof |
KR20240177906A (en) | 2023-06-21 | 2024-12-30 | 이지코리아산업 주식회사 | Fence |
KR20250024146A (en) | 2023-08-11 | 2025-02-18 | 이정미 | Boundary fence with enhanced durability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30832A (en) * | 2000-07-19 | 2002-01-31 | Sankyo Alum Ind Co Ltd | Fence |
KR101423317B1 (en) * | 2014-02-13 | 2014-07-24 |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 Angle-adjustable handrail |
-
2015
- 2015-04-23 KR KR1020150057082A patent/KR101571365B1/en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002030832A (en) * | 2000-07-19 | 2002-01-31 | Sankyo Alum Ind Co Ltd | Fence |
KR101423317B1 (en) * | 2014-02-13 | 2014-07-24 | 주식회사 국제기계금속 | Angle-adjustable handrail |
Cited B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982238A (en) * | 2021-01-26 | 2021-06-18 | 温州职业技术学院 | Install guardrail fast with shimmer illumination function |
CN113174882A (en) * | 2021-04-30 | 2021-07-27 | 茅台学院 | Scenic spot safe people flow guiding device in tourist industry and using method thereof |
KR20240177906A (en) | 2023-06-21 | 2024-12-30 | 이지코리아산업 주식회사 | Fence |
KR20250024146A (en) | 2023-08-11 | 2025-02-18 | 이정미 | Boundary fence with enhanced durability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647608B1 (en) | Easy rotation sliding cover-type balustrde | |
KR101349948B1 (en) | A footbridge construction | |
KR102347678B1 (en) | Bracket Of Design Type Fence For Easy angle adjustment | |
KR101271450B1 (en) | Safety fence for easy control angle | |
KR101571365B1 (en) | Safey fence with an Angle adjustable Horizontal pole | |
KR101928486B1 (en) | Fence | |
KR20140001418A (en) | A bridge extension structure | |
KR200468253Y1 (en) | Footbridges, bridges and slopes of the expandable | |
KR101018637B1 (en) | Temporary people installed on roads, embankments, or bridges that have built banks | |
KR20100123343A (en) | Guard fence | |
KR101440604B1 (en) | Pedestrian protection fence for sidewalk roadway | |
KR101137072B1 (en) | guard fence | |
KR101630189B1 (en) | Flexible fence | |
KR100907303B1 (en) | Derailer Structure for Guard Rail Struts | |
KR200421527Y1 (en) | Frame connection structure of fence | |
KR102347686B1 (en) | Design Type Fence With Bracket For Easy angle adjustment | |
KR200361536Y1 (en) | Guide fence type construction | |
KR101178814B1 (en) | A guardrail or a fence that can adjust an angle in the slope-ground | |
KR101475807B1 (en) | Fence post of height adjustment | |
KR101489965B1 (en) | Safety fences with easy maintenance | |
KR101486762B1 (en) | Safety fences with mobile combining structure | |
KR101757260B1 (en) | Fence for preventing jaywalking and, method for constructing this same | |
KR200438637Y1 (en) | Perimeter fence for sidewalk and driveway separation | |
KR200443251Y1 (en) | Pedestrian protection fence | |
KR102365828B1 (en) | Design Type Fen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3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5050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150423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5061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N231 |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 ||
PN2301 | Change of applicant |
Patent event date: 20150910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51104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5111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5111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81002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19090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0090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915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927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
|
PC1903 | Unpaid annual fee |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408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