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9935A - 전기 전도성 접촉핀 - Google Patents
전기 전도성 접촉핀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9935A KR20240169935A KR1020230067768A KR20230067768A KR20240169935A KR 20240169935 A KR20240169935 A KR 20240169935A KR 1020230067768 A KR1020230067768 A KR 1020230067768A KR 20230067768 A KR20230067768 A KR 20230067768A KR 20240169935 A KR20240169935 A KR 2024016993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in
- contact
- electrically conductive
- fastening
- thickness direc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3892 sprea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0000007480 spread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3825 press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8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3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0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07689 insp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6
- 229910045601 alloy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956 allo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6880 cross-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5
- PXHVJJICTQNCMI-UHFFFAOYSA-N Nickel Chemical compound [Ni] PXHVJJICTQNCM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4065 semicondu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KDLHZDBZIXYQEI-UHFFFAOYSA-N Palladium Chemical compound [Pd] KDLHZDBZIXYQE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BASFCYQUMIYNBI-UHFFFAOYSA-N platinum Chemical compound [Pt] BASFCYQUMIYNB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QXZUUHYBWMWJHK-UHFFFAOYSA-N [Co].[Ni] Chemical compound [Co].[Ni] QXZUUHYBWMWJH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407 anodic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35 com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906 compre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4132 cross lin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20 cutt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2 mangane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9 nicke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WHULOQIROXLJO-UHFFFAOYSA-N Manganese Chemical compound [Mn] PWHULOQIROXLJ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OAICVXFJPJFONN-UHFFFAOYSA-N Phosphorus Chemical compound [P] OAICVXFJPJFON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611 electr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713 electro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1 iri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GKOZUEZYRPOHIO-UHFFFAOYSA-N iridium atom Chemical compound [Ir] GKOZUEZYRPOHI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30 lamin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8 manganes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ZAUUZASCMSWKGX-UHFFFAOYSA-N manganese nickel Chemical compound [Mn].[Ni] ZAUUZASCMSWKG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69 metal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MOWMLACGTDMJRV-UHFFFAOYSA-N nickel tungsten Chemical compound [Ni].[W] MOWMLACGTDMJR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63 palla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OFNHPGDEEMZPFG-UHFFFAOYSA-N phosphanylidynenickel Chemical compound [P].[Ni] OFNHPGDEEMZPF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8 phosphorus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574 phosphoru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47 pl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97 platin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3 rhod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48 rhod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MHOVAHRLVXNVSD-UHFFFAOYSA-N rhodium atom Chemical compound [Rh] MHOVAHRLVXNVS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679 sold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WFKWXMTUELFFGS-UHFFFAOYSA-N tungsten Chemical compound [W] WFKWXMTUELFFG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21 tungst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37 tungst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33—Geometry aspect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16—Elastic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6711—Probe needles; Cantilever beams; "Bump" contacts; Replaceable probe pins
- G01R1/06755—Material aspects
- G01R1/06761—Material aspects related to layer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1/00—Details of instruments or arrangements of the types included in groups G01R5/00 - G01R13/00 and G01R31/00
- G01R1/02—General constructional details
- G01R1/06—Measuring leads; Measuring probes
- G01R1/067—Measuring probes
- G01R1/073—Multiple prob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취급이 간편한 전기 전도성 접촉핀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기 전도성 접촉핀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소자의 전기적 특성 시험은 다수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을 구비한 검사장치에 검사 대상물(반도체 웨이퍼 또는 반도체 패키지)을 접근시켜 전기 전도성 접촉핀을 검사 대상물상의 대응하는 외부 단자(솔더볼 또는 범프 등)에 접촉시킴으로써 수행된다. 검사장치의 일례로는 프로브 카드 또는 테스트 소켓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 전도성 접촉핀에는, 2개의 핀을 조립하여 구비되는 결합형 전기 전도성 접촉핀이 제안된 바 있다.
한국등록번호 제10-1865367호에 개시된 전기 전도성 접촉핀은, 판형의 제1핀, 제2핀 및 별도로 구비된 스프링을 조립하여 구비된다. 이 경우, 조립된 제1, 2핀 사이에 스프링이 끼움 결합되는 구조가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전기 전도성 접촉핀을 가압하면 스프링이 압축하고 가압 해제하면 신장된다.
그런데, 제1, 2핀 및 스프링을 각각 별도로 구비하여 조립하는 구조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은, 스프링의 분실 우려가 있고, 제1, 2핀 및 스프링 각각의 부재가 작은 크기로 구비되어 조립이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스프링을 별도로 제작하지 않고, 제1, 2핀 중 적어도 하나의 핀에 일체형의 스프링을 구비하고, 나머지 하나의 핀과 조립하는 구조가 제안된다.(한국등록번호 제10-2152230호)
그런데, 이와 같은 구조에서, 제1, 2핀은 조립된 상태로 상대 이동 가능하다. 이에 따라 취급이 불편하고, 상대 이동하며 분리되어 가이드 플레이트에 삽입이 어려울 수 있다.
또한, 1개의 제1핀과 1개의 제2핀이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접속 단자에 의한 편심 가압력에 대한 대응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위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개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은 체결 상태의 분리 문제없이 취급이 간편한 결합형 전기 전도성 접촉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검사 대상물에 대한 검사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은, 제1접속 바디부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제1접속부, 두께 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제2접속 바디부를 관통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는 제2접속부 및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제1핀부; 및 상기 제1핀부에 교차 결합되고, 접촉 바디부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에 안착되는 제1접촉 체결부, 상기 접촉 바디부의 두께 방향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스토퍼부의 두께 방향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길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되는 제2접촉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2핀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는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 체결부가 상기 홈의 바닥면에 접촉하면서 안착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접촉 체결부가 체결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관통홀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 체결부의 하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이루는 상부벽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체결부와 상기 제2접촉 체결부가 체결된다.
또한, 상기 제1접촉 체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촉 바디부의 중앙부 하면으로부터 길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고 두께 방향으로 대향되는 한 쌍의 다리로 구성되는 그립부를 더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다리는, 상기 접촉 바디부의 중앙부 하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접속 바디부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 상기 비접촉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두께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내측경사부; 상기 내측경사부의 하부를 두께 방향 외측으로 굽어지도록 하여 두께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외측경사부; 및 상기 내측경사부와 상기 외측경사부 사이에 굽어진 부위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한, 한 쌍의 상기 다리는, 두께 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갖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비접촉부에서 상기 내측경사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이격 거리가 작아지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내측경사부에서 상기 외측경사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이격 거리가 커지고, 상기 접촉부간의 상기 이격 거리가 가장 작다.
상기 접촉부간의 이격 거리고 형성되는 상기 접촉부간의 두께 방향 치수는, 상기 제1접속 바디부의 두께 방향 치수보다 작다.
또한, 상기 제2핀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핀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1접촉 체결부는, 각각의 상기 다리가 두께 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 변형하며 길이 방향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다리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1접촉 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에 안착된다.
또한, 상기 제1접촉 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접속 바디부의 두께 방향 전방면 및 후방면에 상기 접촉부가 마찰하면서 접촉되고, 마찰 접촉된 상기 접촉부에 의해 상기 제1핀부의 상부와 상기 제2핀부의 상부가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제2접촉 체결부는, 상기 탄성부에 대응되고 길이 방향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제1핀부에 가까워지는 사선 형태의 빔부; 및 두께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빔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돌출부;를 포함하고, 관통홀 형태의 상기 제2체결부에 상기 제2접속 바디부의 두께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접촉 체결부의 걸림돌출부와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접촉 체결부의 걸림돌출부가 삽입된다.
또한, 상기 제2핀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핀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2접촉 체결부는, 두께 방향 전, 후방으로 대향하는 상기 빔부가 두께 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 변형하고 상기 길이 방향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체결부에 상기 걸림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걸림돌출부의 길이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2체결부의 상부내벽면에 접촉되면서 걸리는 형태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핀부의 하부와 상기 제2핀부의 하부가 고정 결합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은, 제1체결부를 구비하는 제1접속부, 제2체결부를 구비하는 제2접속부 및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제1핀부; 상기 제1핀부에 교차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되는 제1접촉 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되는 제2접촉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2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핀부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체결부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1체결부에 각각의 상기 제2핀부의 상부 중앙부에 구비된 제2돌출접속부가 수용되어 상기 제1체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핀부에 구비된 제1돌출접속부와 상기 제2돌출접속부가 교번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돌출접속부의 대각선 방향에 상기 제2핀부의 상부 외곽부에 구비된 제2돌출접속부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제1, 2핀부의 교차 결합 구조에서 제1체결부와 제1접촉 체결부를 대응시켜 상부를 고정 결합하고, 제2체결부와 제2접촉 체결부를 대응시켜 하부를 고정 결합하여 교차 결합 구조의 분리 문제없이 취급이 간편한 결합형 전기 전도성 접촉핀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핀부에 복수개의 제2핀을 교차 결합하여 편심 가압력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한 전기 전도성 접촉핀을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a)는 제1핀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
도 5(a)는 제2핀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
도 6은 제1, 2핀부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1의 평면도.
도 9(a) 내지 도 10(b)는 가이드 플레이트에 삽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을 도시한 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제1핀부의 정면도이고, 도 1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제2핀부의 정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제1핀부의 정면도이고, 도 12c는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제2핀부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정면도.
도 4(a)는 제1핀부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
도 5(a)는 제2핀부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
도 6은 제1, 2핀부의 분해 단면도.
도 7은 도 1의 측단면도.
도 8은 도 1의 평면도.
도 9(a) 내지 도 10(b)는 가이드 플레이트에 삽입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을 도시한 도.
도 11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제1핀부의 정면도이고, 도 11c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제2핀부의 정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3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제1핀부의 정면도이고, 도 12c는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제2핀부의 정면도.
이하의 내용은 단지 발명의 원리를 예시한다. 그러므로 당업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발명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 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와 같이 특별히 열거된 실시 예들 및 상태들에 제한적이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 도인 단면도 및/또는 사시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이러한 도면들에 도시된 막 및 영역들의 두께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등의 용어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은, 검사 장치에 구비되어 검사 대상물과 전기적, 물리적으로 접촉하여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는데 사용된다. 검사 장치는 반도체 제조 공정에 사용되는 검사 장치일 수 있으며, 그 일례로 프로브 카드일 수 있고, 테스트 소켓일 수 있다.
전기 전도성 접촉핀은, 프로브 카드에 구비되는 프로브 핀일 수 있고, 테스트 소켓에 구비되는 소켓 핀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일례로서 소켓핀을 예시하여 설명하지만, 전기 전도성 접촉핀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를 인가하는 검사 대상물의 불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한 핀이라면 모두 포함된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폭 방향은 표기된 ±x방향이고,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길이 방향은 도면에 표기된 ±y방향이고, 전기 전도성 접촉핀의 두께 방향은 도면에 표기된 ±z방향이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고정'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 이외에 외력이 없으면 현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체결'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 이외에 두개의 부재가 고정되도록 연결 또는 접속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제1실시 예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 이하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이라 함)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두께 방향(±z방향)에서 바라본 도 1의 정면도이고, 도 4(a)는 제1핀부(10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정면도이고, 도 5(a)는 제2핀부(20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정면도이고, 도 6은 제1, 2핀부(100, 200)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평면도이고, 도 9(a) 내지 도 10(b)는 가이드 플레이트(500)에 삽입된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을 도시한 도이다.
도 1 내지 4(b)를 참조하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접속 바디부(111)의 상부에 길이 방향(±y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체결부(CS1)가 형성되는 제1접속부(110), 두께 방향(±z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제2접속 바디부(121)를 관통하는 제2체결부(CS2)가 형성되는 제2접속부(120), 길이 방향(±y방향)으로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20)를 연결하는 탄성부(130) 및 제1접속부(110)와 제2접속부(120)의 폭 방향(±x방향)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40)를 포함하는 제1핀부(100)와, 제1핀부(100)에 교차 결합되고 접촉 바디부(21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제1체결부(CS1)에 안착되는 제1접촉 체결부(TC1), 접촉 바디부(210)의 두께 방향(±z방향)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스토퍼부(213) 및 스토퍼부(213)의 두께 방향(±z방향)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제2체결부(CS2)에 체결되는 제2접촉 체결부(TC2)를 포함하는 제2핀부(200)를 포함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핀부(100)의 상부에서 제2핀부(200)를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하여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를 결합시킨 구조로 구비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핀부(100) 또는 제2핀부(200) 중 어느 하나는 정면을 바라보는 0°의 상태에서 중심축을 기준으로 90°회전한 상태로 구비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 제1핀부(100)는 z축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x-y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0°이고, 제2핀부(200)는 x축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y-z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0°이다. 제1핀부(100)는 x-y평면상에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고, 제2핀부(200)는 y-z평면상에서 판상의 형태로 구비되어 결합된다. 본 발명의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제2핀부(200)가 x축을 바라보는 상태에서 y축을 기준으로 90°회전한 상태로 구비되어 제1핀부(100)에 교차 결합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1개의 제1핀부(100)와 1개의 제2핀부(200)를 교차 결합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핀부(200)와 1개의 제1핀부(100)를 구비하여 교차 결합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하에서,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일 예로서, 1개의 제1핀부(100)와 3개의 제2핀부(200)가 교차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핀부(100)의 제1체결부(CS1)와 제2핀부(200)의 제1접촉 체결부(TC1)를 대응시켜 제1, 2핀부(100, 200)를 상부에서 체결하고, 제1핀부(100)의 제2체결부(CS2)와 제2핀부(200)의 제2접촉 체결부(TC2)를 대응시켜 제1, 2핀부(100, 200)를 하부에서 체결한다. 이에 따라 제1체결부(CS1) 및 제2체결부(CS2)는 제2핀부(200)의 구비 개수와 동일한 개수로 구비된다.
이하, 도 1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제1핀부(100) 및 제2핀부(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핀부(100)는 제1접속부(110), 제2접속부(120), 탄성부(130) 및 지지부(140)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제1접속부(110), 제2접속부(120), 탄성부(130) 및 지지부(140)는 도금 공정을 이용하여 한꺼번에 제작된다. 제1핀부(100)는, 바람직하게는, 내부 공간을 구비하는 양극산화막 몰드를 이용하여 전기 도금으로 내부 공간에 금속 물질을 충진하여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접속부(110), 제2접속부(120), 탄성부(130) 및 지지부(140)는 서로 연결되는 일체형으로 제작된다.
또한, 제2핀부(200)도 제1핀부(100)와 동일한 방법으로 양극산화막 몰드를 이용하여 제작되어 제1접촉 체결부(TC1), 스토퍼부(213) 및 제2접촉 체결부(TC2)를 포함하는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제1, 2핀부(100, 200)는 복수개의 금속층이 적층되어 구비된다. 복수개의 금속층은 제1금속층과 제2금속층을 포함한다. 도면에서는 복수개의 금속층의 표시가 생략된다.
제1금속층은 제2금속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 또는 내마모성이 높은 금속으로서 바람직하게는, 로듐(Rd), 백금 (Pt), 이리듐(Ir), 팔라듐(Pd), 니켈(Ni), 망간(Mn), 텅스텐(W), 인(Ph) 이나 이들의 합금, 또는 팔라듐-코발트(PdCo) 합금, 팔라듐-니켈(PdNi) 합금 또는 니켈-인(NiPh) 합금, 니켈-망간(NiMn), 니켈-코발트(NiCo) 또는 니켈-텅스텐(NiW) 합금 중에서 선택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금속층은 제1금속층에 비해 상대적으로 전기 전도도가 높은 금속으로서 바람직하게는, 구리(Cu), 은(Ag), 금(Au) 또는 이들의 합금 중에서 선택된 금속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금속층은 제1핀부(100) 및 제2핀부(200)의 두께 방향 전방면 및 후방면에 구비되고, 제2금속층은 제1금속층 사이에 구비된다. 예를 들어, 제1핀부(100) 및 제2핀부(200) 각각은, 두께 방향(±z방향)을 기준으로 제1금속층, 제2금속층, 제1금속층 순으로 교대로 적층되어 구비되며, 적층되는 층수는 3층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a)는 제1핀부(100)의 사시도이고, 도 4(b)는 두께 방향(±z방향)에서 바라본 도 4(a)의 정면도이다.
제1핀부(100)는,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 구비되는 제1접속부(110)와, 제1접속부(110)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접속부(120)와, 길이 방향(±y방향)으로 제1, 2접속부(110, 120) 사이에 구비되어 제1, 2접속부(110, 120)를 연결하는 탄성부(130)와, 폭 방향(±x방향)으로 제1, 2접속부(110, 120)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40)를 포함한다.
제1접속부(110)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치수를 갖고 폭 방향(±x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y방향) 치수가 폭 방향(±x방향) 치수보다 작은 제1접속 바디부(111)와, 제1접속 바디부(111)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CS1)와, 제1체결부(CS1)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1돌출접속부(PJ1)를 포함한다.
제1접속 바디부(111)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제1접속 바디부(111)를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는 바디관통부(111a)를 포함한다. 바디관통부(111a)는 관통홀의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바디관통부(111a)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폭 방향(±x방향) 전체 치수 내에서 폭 방향(±x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두고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4개의 바디관통부(111a)가 구비된다.
인접하는 2개의 바디관통부(111a)간의 이격 거리에는 홀비형성부(111b)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3개의 홀비형성부(111b)가 구비된다. 제1접속 바디부(111)에는 폭 방향(±x방향)을 기준으로 바디관통부(111a), 홀비형성부(111b)가 교번적으로 위치한다. 바디관통부(111a)의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는 제1체결부(CS1)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1돌출접속부(PJ1)가 대응되고, 홀비형성부(111b)의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는 인접하는 제1돌출접속부(PJ1) 사이에 구비되는 제1체결부(CS1)가 구비된다.
제1체결부(CS1)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홀비형성부(111b)의 상부에 구비되되 길이 방향(±y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된다. 제1체결부(CS1)는 바람직하게는,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1체결부(CS1)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상면에 의해 바닥면(FL)을 구비하고, 제1체결부(CS1)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1돌출접속부(PJ1)의 폭 방향(±x방향) 일면에 의해 벽면을 구비한다.
제1체결부(CS1)는, 1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1체결부(CS1)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제1체결부(CS1)가 3개 구비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일 예로서, 1개의 제1핀부(100)와 3개의 제2핀부(200)가 교차 결합하는 구조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1체결부(CS1)는 3개로 구비된다.
제1돌출접속부(PJ1)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상부에 길이 방향(±y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제1체결부(CS1)를 사이에 두고 구비된다. 제1돌출접속부(PJ1)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형태를 갖는다. 제1돌출접속부(PJ1)의 상부의 폭 방향(±x방향) 외측면은 제1돌출접속부(PJ1)의 상부의 폭 방향(±x방향) 치수를 작게 형성하도록 폭 방향(±x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면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체결부(CS1)의 벽면은 길이 방향(±y방향) 상부가 폭 방향(±x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면으로 형성된다.
제1돌출접속부(PJ1)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제1체결부(CS1)는 폭 방향(±x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두고 구비되어 제1체결부(CS1)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제1돌출접속부(PJ1)에 의해 오목한 홈의 형태로 구비된다. 일 예로서, 3개의 제1체결부(CS1)를 구비함에 따라 4개의 제1돌출접속부(PJ1)가 구비된다.
제1핀부(100)가 상부에 복수개의 제1돌출접속부(PJ1)를 구비하는 구조에 있어서,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접속 단자(301)와의 접촉시 멀티-컨택을 구현하기에 유리할 수 있다.
제1돌출접속부(PJ1)의 길이 방향(±y방향) 상단부는 자유단으로 구비되고, 상면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제1돌출접속부(PJ1)의 상면은 접속 단자(301)와 접촉된다.
제1접속부(110)는 탄성부(130)의 상부에서 연결되어 제1돌출접속부(PJ1)에 접촉되는 접속 단자(301)의 접촉 압력에 의해 탄력적으로 길이 방향(±y방향)으로 수직 이동 가능하다. 검사 대상물(300)을 검사할 경우, 검사 대상물(300)의 접속 단자(301)는 제1접속부(110)의 상면인 제1돌출접속부(PJ1)의 상면에 접촉된다. 접속 단자(301)에 의한 접촉 가압력이 탄성부(130)를 압축 변형시키고, 제1접속부(110)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하향 이동한다.
탄성부(130)는 실질 폭(t)을 갖는 판상 플레이트가 S자 모양으로 반복적으로 절곡된 형태를 가지며, 판상 플레이트의 실질 폭(t)은 전체적으로 일정하다.
탄성부(130)는 복수개의 직선부(132)와 복수개의 만곡부(131)가 교대로 접촉되어 형성된다. 직선부(132)는 좌, 우로 인접하는 만곡부(131)를 연결한다. 만곡부(131)는 상, 하로 인접하는 직선부(132)를 연결한다. 만곡부(131)는 원호 형상으로 구비된다.
탄성부(130)의 폭 방향(±x방향) 중앙부위에는 직선부(132)가 배치되고, 탄성부(130)의 폭 방향(±x방향)의 외측 부위에는 만곡부(131)가 배치된다. 직선부(132)는 폭 방향(±x방향)으로 평행하게 구비되어 접촉압에 따른 만곡부(131)의 변형이 보다 쉽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직선부(132)는 폭 방향(±x방향)으로 지지부(140)의 내측에 구비되어 폭 방향(±x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되는 형태이다. 직선부(132) 중 적어도 하나는 제1접속부(110)와 탄성부(130)를 연결하고, 다른 하나는 제2접속부(120)와 탄성부(130)를 연결한다.
도면에서는 길이 방향(±y방향) 최상부에 구비되는 직선부(132)가 폭 방향(±x방향) 일측을 통해 제1접속 바디부(111)와 연결되어 탄성부(130)와 제1접속부(110)를 연결한다.
길이 방향(±y방향) 최하부에 구비되는 직선부(132)는 폭 방향(±x방향) 타측을 통해 지지부(140)에 연결된다. 지지부(140)는 제2접속 바디부(121)의 폭 방향(±x방향) 양단부에서 폭 방향(±x방향)으로 길이를 갖고 연속적으로 연결되어 구비된 연결돌출부(CP)를 통해 제2접속부(120)와 일체로 연결된다. 지지부(140)는 제2접속부(120)의 양단부의 연결돌출부(CP)의 일측에서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따라서, 탄성부(130)는 길이 방향(±y방향) 최하부의 직선부(132)의 폭 방향(±x방향) 타측을 통해 지지부(140)에 연결되고, 제1접속부(110), 탄성부(130), 지지부(140) 및 제2접속부(120)가 일체로 연결된다.
탄성부(130)는 직선부(132) 및 만곡부(131)를 따라 직선부(132) 및 만곡부(131)에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슬릿부(SL)를 포함한다.
슬릿부(SL)는 직선부(132) 및 만곡부(131)의 두께 방향(±z방향) 일면과 타면을 관통하며 직선부(132) 및 만곡부(131)의 일체 연결 형태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탄성부(130)는 슬릿부(SL)를 통해 전체적인 탄성 변형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2접속부(120)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두께를 갖고 폭 방향(±x방향)으로 긴 길을 갖고 길이 방향(±y방향) 치수가 폭 방향(±x방향) 치수보다 작은 제2접속 바디부(121)와, 제2접속 바디부(121)를 두께 방향(±z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체결부(CS2)를 포함한다.
제2접속 바디부(121)는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돌출 부위와 인접하는 돌출 부위 사이에 구비되는 오목 부위를 포함한다.
제2체결부(CS2)는 제2접속 바디부(121)의 돌출 부위를 두께 방향(±z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관통하여 관통홀의 형태로 형성된다. 제2체결부(CS2)는 일 예로서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관통홀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접속 바디부(121)의 돌출 부위는, 바람직하게는, 제2체결부(CS2)의 면적보다 큰 면적을 갖고 사각 단면 형상을 갖는 형태로 제2체결부(CS2)의 일부를 감싸면서 구비될 수 있다. 제2체결부(CS2)는 복수개의 돌출 부위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3개의 제2체결부(CS2)가 구비된다.
제2접속부(120)는 제2접속 바디부(121)의 하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돌출되는 하부돌출접속부(LP)를 포함한다.
하부돌출접속부(LP)는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갈수록 폭 방향(±x방향) 치수가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하면이 평평한 형태로 구비된다. 하부돌출접속부(LP)의 하면은 회로 기판(400)의 패드(401)에 접촉된다.
하부돌출접속부(LP)는 제2체결부(CS2)와 대응되어 제2체결부(CS2)의 하부에 구비된다. 하부돌출접속부(LP)는 폭 방향(±x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두고 복수개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3개의 하부돌출접속부(LP)가 구비된다. 제2접속부(120)는 복수개의 하부돌출접속부(LP)를 통해 회로 기판(400)의 패드(401)와 멀티-컨택이 이루어진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2접속 바디부(121)의 폭 방향(±x방향) 최외곽면으로부터 폭 방향(±x방향)으로 길이 연장되는 연결돌출부(CP)를 구비한다. 연결돌출부(CP)는 제2접속 바디부(121)의 폭 방향(±x방향) 양단부에 각각 구비되어 제1, 2접속부(110, 120)의 외측에 구비되는 지지부(140)와 제2접속부(120)를 연결하는 기능을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접속 바디부(121)의 폭 방향(±x방향) 일측(도 4(a), 도 4(b)의 좌측)에 구비되는 연결돌출부(CP)는 제2접속부(120)의 폭 방향(±x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141)의 하부 내측에 연결되고, 제2접속 바디부(121)의 폭 방향(±x방향) 타측(도 4(a), 도 4(b)의 우측)에 구비되는 연결돌출부(CP)는 제2접속부(120)의 폭 방향(±x방향) 타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142)의 하부 내측에 연결된다.
지지부(140)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제1접속부(110) 및 제2접속부(120)의 외측에 구비된다. 지지부(140)는, 폭 방향(±x방향) 일측에 구비되는 제1지지부(141) 및 제1지지부(141)와 폭 방향(±x방향)으로 대향되어 타측에 구비되는 제2지지부(142)를 포함한다.
지지부(140)는 연결돌출부(CP)에 연결되어 길이 방향(±y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수직연장부(VE)를 포함하고, 수직연장부(VE)의 상부에 제1걸림부(SH1)를 구비하고, 하부에 제2걸림부(SH2)를 구비함으로써, 길이 방향(±y방향) 상부 및 하부에 제1, 2걸림부(SH1, SH2)를 구비한다. 지지부(140)가 제1, 2지지부(141, 142)로 구비됨에 따라 제1, 2걸림부(SH1, SH2) 각각은 제1, 2지지부(141, 142) 각각의 길이 방향(±y방향) 상부 및 하부에 구비된다.
제1걸림부(SH1)는 지지부(140)의 상부에 구비되어 탄성부(130)가 압축 변형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1체결부(CS1)와 폭 방향(±x방향)으로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제1걸림부(SH1)는 폭 방향(±x방향) 외측으로 수직연장부(VE)보다 돌출되는 돌출턱과, 돌출턱(JW)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갈수록 폭 방향(±x방향) 치수가 작아지도록 내측으로 경사지는 사선부(DG)로 구성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걸림부(SH1)의 사선부(DG)의 구성을 통해 가이드 플레이트(500)에 구비된 가이드 구멍(501)에 삽입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돌출턱(JW)의 구성을 통해 가이드 구멍(501)에 설치된 이후에 가이드 구멍(501)의 하부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된다.
제2걸림부(SH2)는 수직연장부(VE)의 하부에 구비되되 수직연장부(VE)보다 폭 방향(±x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형태로 구비된다. 제2걸림부(SH2)는 폭 방향(±x방향)으로 제2체결부(CS2)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된다. 제2걸림부(SH2)는 가이드 구멍(501)에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이 삽입된 상태에서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이 길이 방향(±y방향) 상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 2핀부(100, 200)가 조립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드 구멍(501)에 삽입될 때 제1걸림부(SH1)를 포함하는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의 상단부를 폭 방향(±x방향) 내측으로 압축하여 제1접속부(110)측을 가이드 구멍(501)에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상단부를 폭 방향(±x방향)으로 압축하여 그 폭 치수가 가이드 구멍(501)의 내부 폭 치수보다 작도록 한 다음, 가이드 구멍(501)의 하측 개구를 통해 가이드 구멍(501)에 삽입된다.
그런 다음,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길이 방향(±y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가이드 구멍(501) 내부로 강제로 밀어 넣어진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폭 방향(±x방향)으로 압축되어 가이드 구멍(501)의 상부로 이동한다. 이 때,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걸림부(SH1)의 사선부(DG)를 통해 가이드 구멍(50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여 보다 쉽게 길이 방향(±y방향) 하부에서 상부로 이동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걸림부(SH1)가 가이드 구멍(501)의 상측 개구를 통과하면 제2걸림부(SH2)가 가이드 구멍(501)의 하면에 지지될 때까지 길이 방향(±y방향) 상향으로 밀어 올려진다.
도 5(a)는 제2핀부(200)의 사시도이고, 도 5(b)는 폭 방향(±x방향)에서 바라본 제2핀부(200)의 정면도이고, 도 7은 도 1의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을 폭 방향(±x방향)에서 바라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b), 7을 참조하면, 제2핀부(200)는 접촉 바디부(210)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제1체결부(CS1)에 안착되는 제1접촉 체결부(TC1), 접촉 바디부(210)의 두께 방향(±z방향)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스토퍼부(213) 및 스토퍼부(213)의 두께 방향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제2체결부(CS2)에 체결되는 제2접촉 체결부(TC2)를 포함하고, 제1핀부(100)에 교차 결합된다.
제2핀부(200)의 접촉 바디부(210)는 제2핀부(200)의 상부에 구비된다. 접촉 바디부(210)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치수를 갖고 폭 방향(±x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y방향) 치수가 폭 방향(±x방향) 치수보다 크게 구비된다.
제2핀부(200)는 접촉 바디부(210)의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연장되어 접촉 바디부(210)의 상면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돌출접속부(PJ2)를 구비한다.
제2돌출접속부(PJ2)는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갈수록 두께 방향(±z방향) 치수가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2돌출접속부(PJ2)는 두께 방향(±z방향) 양측의 외측면이 경사진면으로 형성된다. 제2돌출접속부(PJ2)의 상면은 평평한 면으로 형성된다. 제2돌출접속부(PJ2)는 접속 단자(301)와 접촉된다.
제2돌출접속부(PJ2)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두고 복수개 구비된다. 이에 따라 인접하는 제2돌출접속부(PJ2) 간의 이격 거리에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오목한 부위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3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된다.
제2핀부(200)는 길이 방향(±y방향) 수직 중심선을 기준으로 중앙부에 1개의 제2돌출접속부(PJ2)를 구비하고, 중앙부의 제2돌출접속부(PJ2)와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두께 방향(±z방향)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제2돌출접속부(PJ2)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제2핀부(200)의 상부의 중앙부에 1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되고, 외곽부에 2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2핀부(200)의 상부에 복수개의 제2돌출접속부(PJ2)를 구비함에 따라 접속 단자(301)와의 접촉시 멀티-컨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제2핀부(200)는 접촉 바디부(210)의 중앙부의 하면을 통해 제1접촉 체결부(TC1)를 구비한다. 제1접촉 체결부(TC1)는 제2핀부(200)의 상부 중앙부의 제2돌출접속부(PJ2)와 길이 방향(±y방향)으로 대응되는 하부에 구비된다.
제1접촉 체결부(TC1)는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의 교차 결합시 제1핀부(100)의 제1체결부(CS1)에 접촉되는 부위이다. 제1체결부(CS1)는 오목한 홈 형태로 구비되고, 제1접촉 체결부(TC1)는 제1체결부(CS1)의 바닥면(FL)에 접촉하면서 안착된다.
제2핀부(200)는 접촉 바디부(210)의 중앙부의 하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두께 방향(±z방향)으로 대향되는 한 쌍의 다리(212)로 구성되는 그립부(211)를 포함한다.
그립부(211)는, 한 쌍의 다리(212)가 두께 방향(±z방향)으로 제1접촉 체결부(TC1)를 사이에 두고 두께 방향(±z방향)으로 대향되는 형태로 접촉 바디부(210)의 중앙부의 하부에 구비된다.
한 쌍의 다리(212)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상부에서부터 비접촉부(212a), 비접촉부(212a)의 하부에 구비되는 내측경사부(212b), 내측경사부(212b)의 하부에 구비되는 외측경사부(212d) 및 내측경사부(212b)와 외측경사부(212d) 사이에 구비되는 접촉부(212c)를 포함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한 쌍의 다리(212)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대향되어 이격 거리를 갖고, 이격 거리의 크기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비접촉부(212a)에서 내측경사부(212b)측으로 갈수록 작아지고, 내측경사부(212b)에서 외측경사부(212d)측으로 갈수록 커진다.
구체적으로, 한 쌍의 다리(212)는 접촉 바디부(210)의 중앙부 하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부위를 통해 비접촉부(212a)를 구비한다. 한 쌍의 다리(212)의 비접촉부(212a)간의 이격 거리로 인한 비접촉부(212a)간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보다 크다.
제1, 2핀부(100, 200)간의 교차 결합 구조에서, 제1접속 바디부(111)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한 쌍의 다리(212) 사이에 구비된다. 한 쌍의 다리(212)는 비접촉부(212a)간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를 제1접속 바디부(111)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보다 크게 구비한다. 따라서, 제1, 2핀부(100, 200)의 조립 결합 상태에서, 비접촉부(212a)는 접촉 바디부(210)에 접촉되지 않는다.
내측경사부(212b)는 비접촉부(212a)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 방향(±z방향) 내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따라서 한 쌍의 다리(212)는 내측경사부(212b)간의 이격 거리로 인한 내측경사부(212b)간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가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작아진다. 내측경사부(212b)간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는, 특정 범위를 갖고, 내측경사부(212b)간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 범위 중 최소 치수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내측경사부(212b)는 제1, 2핀부(100, 200)의 조립 결합 구조에서 제1접속 바디부(111)에 접촉되지 않는다.
외측경사부(212d)는 내측경사부(212b)의 길이 방향(±y방향) 하부를 두께 방향(±z방향) 외측으로 굽어지도록 함으로써 두께 방향(±z방향) 외측으로 경사지게 구비된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다리(212)는 외측경사부(212d)간의 이격 거리로 인한 외측경사부(212d)간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가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커진다. 외측경사부(212d)간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는, 특정 범위를 갖고, 외측경사부(212d)간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 범위 중 최소 치수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보다 크다. 따라서, 외측경사부(212d)는 제1, 2핀부(100, 200)의 조립 결합 구조에서 제1접속 바디부(111)에 접촉되지 않는다.
접촉부(212c)는 내측경사부(212b)와 외측경사부(212d) 사이에 굽어진 부위에 의해 형성된다. 내측경사부(212b)는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접촉 바디부(210)에 가까워지면서 경사진다. 외측경사부(212d)는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두께 방향(±z방향)으로 접촉 바디부(210)에 가까워지는 내측경사부(212b)의 하부를 두께 방향(±z방향) 외측으로 굽어지도록 하여 구비된다. 따라서, 외측경사부(212d)는 상부에서 하부로 갈수록 접촉 바디부(210)로부터 두께 방향(±z방향)으로 멀어진다. 이에 따라 한 쌍의 다리(212)는 접촉부(212c)간의 이격 거리의 크기가 가장 작게 구비된다. 다시 말해, 한 쌍의 다리(212)는 접촉부(212c)간의 이격 거리로 형성되는 접촉부(212c)간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가 가장 작게 구비된다.
접촉부(212c)간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보다 작게 구비된다. 제1, 2핀부(100, 200)의 교차 결합 구조에서, 한 쌍의 다리(212)의 접촉부(212c)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홀비형성부(111b)의 전방 및 후방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이 때, 접촉부(212c)간의 두께 방향(±z방향) 치수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두께 방향(±z방향)치수보다 작게 구비되어 접촉부(212c)가 홀비형성부(111b)의 면적 중 적어도 일부(구체적으로, 길이 방향(±y방향) 하부)에 접촉된 상태로 구비된다. 접촉부(212c)는 홀비형성부(111b)의 두께 방향(±z방향) 전, 후방에 접촉되어 제1접속 바디부(111)에 대한 그립력을 제공하는 기능을 한다.
제2핀부(200)는 접촉 바디부(210)의 두께 방향(±z방향)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스토퍼부(213)를 구비한다. 스토퍼부(213)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두께 방향(±z방향)으로 길이 방향(±y방향) 치수보다 작은 치수를 갖고 구비된다. 스토퍼부(213)는 접촉 바디부(210)의 두께 방향(±z방향) 일측 및 타측에 각각 구비되어 2개로 구비된다.
스토퍼부(213)는 폭 방향(±x방향) 일면에서 타면으로 스토퍼부(213)를 관통하는 홀 형태의 분할부(213a)를 포함한다. 분할부(213a)는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부(213a)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복수개의 홀로 구비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3개의 분할부(213a)가 구비된다. 길이 방향(±y방향)으로 가장 하부에 구비된 분할부(213a)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스토퍼부(213)의 하단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스토퍼부(213)의 하부가 2개의 빔의 형태로 분할되는 형태로 형성되도록 한다.
이와는 달리, 분할부(213a)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연속적으로 형성되는 하나의 홀 형태로 구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분할부(213a)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상부에서부터 스토퍼부(213)의 하단부까지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스토퍼부(213)의 하단부를 2개의 빔의 형태로 분할할 수 있다.
각각의 스토퍼부(213)는 분할부(213a)에 의해 그 하단부가 2분할된다. 이에 따라 제2핀부(200)는 하단부가 4개의 빔의 형태로 구비된다. 스토퍼부(213)의 하면은 패드(401)에 접촉되는 부위이다. 제2핀부(200)는 분할부(213a)를 통해 각각의 스토퍼부(213)의 하단부를 2분할된 빔의 형태로 구비하여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과 패드(401)와의 접촉에 있어서 멀티-컨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스토퍼부(213)의 하단부는,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에 접속 단자(301)에 의한 가압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제1핀부(100)의 하부돌출접속부(LP)보다 길이 방향(±y방향)으로 높게 위치한다. 따라서, 스토퍼부(213)의 하단부는 패드(401)에 접촉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한다.
한편,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에 접속 단자(301)에 의한 가압력이 발생한 상태에서, 탄성부(130)의 압축 변형에 의해 제1핀부(100)와 함께 제2핀부(200)도 길이 방향(±y방향)으로 하향 이동한다. 이로 인해 스토퍼부(213)도 하향 이동한다. 스토퍼부(213)는 제2핀부(200)의 하향 이동에 의해 패드(401)에 접촉되면 제2핀부(200)는 더 이상 하향 이동하지 않는다. 이로 인해 탄성부(130)의 압축 변형이 정지되면서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이 과도하게 압축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2핀부(200)의 스토퍼부(213)에 의해 하강 위치가 제한되어 오버 드라이브에 따른 과도한 압축에 의한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제2접촉 체결부(TC2)는 스토퍼부(213)의 두께 방향(±z방향) 내측에 구비된다. 제2핀부(200)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대향되는 2개의 제2접촉 체결부(TC2)를 구비한다.
제2접촉 체결부(TC2)는 스토퍼부(213)의 두께 방향(±z방향)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길이 방향(±y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도록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빔부(BM)와, 빔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돌출부(SP)를 포함한다.
빔부(BM)는 제1, 2핀부(100, 200)의 교차 결합 구조에서 탄성부(130)에 대응되게 위치하고, 길이 방향(±y방향)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제1핀부(100)의 탄성부(130)측에 가까워지도록 경사지는 사선 형태로 구비된다. 제2핀부(200)는 빔부(BM)를 사선 형태로 구비하여 제1, 2핀부(100, 200)와의 조립에 있어서, 제2접촉 체결부(TC2)에 탄성력을 부여한다.
빔부(BM)는 두께 방향(±z방향) 일면에서 타면으로 빔부(BM)를 관통하는 빔부슬릿(BS)을 구비할 수 있다. 빔부슬릿(BS)은 길이 방향(±y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하나의 관통홀 형태로 구비된다. 빔부(BM)는 빔부슬릿(BS)을 구비함으로써 보다 쉽게 탄성 변형 가능하다.
걸림돌출부(SP)는 제2접촉 체결부(TC2)의 하단부를 구성하며 빔부(BM)의 하단부에서 두께 방향(±z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형태로 구비된다. 걸림돌출부(SP)는 제1, 2핀부(100, 200)의 교차 결합 구조에서, 제2체결부(CS2)에 대응되게 구비된다. 따라서, 걸림돌출부(SP)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스토퍼부(213)의 하단부보다 높게 위치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에 접속 단자(301)에 의한 가압력이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걸림돌출부(SP)는 길이 방향(±y방향) 상면이 제2체결부(CS2)의 관통홀을 이루는 상부벽면에 접촉하면서 제2체결부(CS2)의 내측에 위치한다. 제2체결부(CS2)의 내측에서 두께 방향(±z방향)으로 대향되는 걸림돌출부(SP)가 그 상면이 제2체결부(CS2)의 상부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에 접속 단자(301)에 의한 가압력이 발생한 상태에서, 걸림돌출부(SP)는 탄성부(130)의 압축 변형에 따른 제2핀부(200)의 하향 이동에 의해 제2체결부(CS2)의 내측 범위 내에서 변위한다.
도 1 내지 3, 6, 7을 참조하여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의 조립 결합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판상으로 구비되는 제1, 2핀부(100, 200)가 각각의 판상이 교차하면서 결합된다.
제2핀부(200)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제1핀부(100)에 교차 형태로 체결된다.
제2핀부(200)는 각각의 다리(212)가 두께 방향(±z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 변형하며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고, 제1접촉 체결부(TC1)가 제1체결부(CS1)에 안착된다. 제1접촉 체결부(TC1)가 제1체결부(CS1)에 안착되는 것에 의해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서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가 체결된다.
제1접촉 체결부(TC1)가 제1체결부(CS1)에 안착된 상태에서 한 쌍의 다리(212)는 탄성력에 의해 두께 방향(±z방향)으로 다리(212) 사이에 위치하는 제1접속 바디부(111)에 접촉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다리(212)의 접촉부(212c)가 제1접속 바디부(111)의 홀비형성부(111b)에 접촉된다. 한 쌍의 다리(212)가 두께 방향(±z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탄성 변형하며 하향 이동할 때, 접촉부(212c)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제1체결부(CS1)와 홀비형성부(111b) 사이에 구비되는 상부여유부에 최초로 마찰 접촉되면서 하향 이동한다. 접촉부(212c)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면 및 후방면에서 상부여유부에 최초로 마찰 접촉하면서 하향 이동하고, 제1접촉 체결부(TC1)가 제1체결부(CS1)에 안착되면 홀비형성부(111b)에 접촉된 상태로 위치한다. 접촉부(212c)는 두께 방향(±z방향) 내측 방향으로 발생하는 그립력에 의해 제1접속 바디부(111)에 접촉된다.
제1핀부(100) 및 제2핀부(200)간의 조립 결합 구조에 있어서, 제2핀부(200)의 제1접촉 체결부(TC1)가 제1핀부(100)의 제1체결부(CS1)에 안착되면, 제2핀부(200)의 접촉부(212c)가 제1핀부(100)의 제1접속 바디부(111)에 대해 그립력을 발생시킨다. 이로 인해 다리(212) 사이에서 제1접속 바디부(111)가 고정되고,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의 상부가 고정 결합된다.
도 2, 6, 8을 참조하면, 각각의 제2핀부(200)의 제1접촉 체결부(TC1)는 제1핀부(100)의 각각의 제1체결부(CS1)에 대응되어 안착된 상태로 체결된다. 각각의 제2핀부(200)의 한 쌍의 다리(212)는 각각의 제1체결부(CS1)의 하부에 구비된 홀비형성부(111b)의 두께 방향(±z방향) 전, 후방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1접속 바디부(111)에 대한 그립력을 제공한다. 이를 통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의 상부에서 1개의 제1핀부(100)와 3개의 제2핀부(200)간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의 상부에서 제1체결부(CS1) 및 제1접촉 체결부(TC1)를 통해 제1, 2핀부(100, 200)의 상부가 체결되고, 하부에서 제2체결부(CS2) 및 제2접촉 체결부(TC2)를 통해 제1, 2핀부(100, 200)의 하부가 체결된다.
구체적으로, 외부의 가압력에 의해 제1핀부(100)에 대해 제2핀부(200)가 길이 방향(±y방향) 하향 이동하면, 두께 방향(±z방향) 전방 및 후방으로 대향하는 제2접촉 체결부(TC2)의 빔부(BM)가 두께 방향(±z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 변형한다. 제2접촉 체결부(TC2)는 제1체결부(CS1)에 제1접촉 체결부(TC1)가 안착되는 위치에서 제2체결부(CS2)에 걸림돌출부(SP)가 대응되어 삽입된다. 걸림돌출부(SP)는 길이 방향(±y방향) 상면이 제2체결부(CS2)의 길이 방향(±y방향) 상부내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제2체결부(CS2)에 삽입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통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2핀부(200)가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이탈하지 않도록 하부에서 걸림 형태로 고정 결합되는 구조를 갖는다.
각각의 제2체결부(CS2)에는 각각의 제2핀부(200)의 걸림돌출부(SP)가 삽입된 상태로 구비되고,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의 하부에서 1개의 제1핀부(100)와 3개의 제2핀부(200)간의 고정 결합이 이루어진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상부에서 제1체결부(CS1)에 제1접촉 체결부(TC1)를 체결함으로써 한 쌍의 다리(212)에 의해 제1, 2핀부(100, 200)의 고정 결합 구조가 형성되고, 하부에서 제2체결부(CS2)에 제2접촉 체결부(TC2)를 체결함으로써 걸림돌출부(SP)에 의해 걸림 형태가 형성되어 제1, 2핀부(100, 200)의 고정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 2핀부(100, 200)간의 조립 결합 상태에서 제1, 2핀부(100, 200)간이 상대 이동하지 않고 완전히 고정된다. 이로 인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가이드 플레이트(500)에 삽입시 결합 상태가 해제되는 문제없이 취급이 간편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1개의 제1핀부(100)와 3개의 제2핀부(200)간의 교차 결합 구조에 의해 멀티-컨택이 가능한 구조를 구비한다.
구체적으로, 도 1, 8을 참조하면, 각각의 제1체결부(CS1)의 바닥면에 제1접촉 체결부(TC1)가 안착됨에 따라 폭 방향(±x방향)으로 제1체결부(CS1)를 사이에 두고 제1돌출접속부(PJ1)와 제2돌출접속부(PJ2)가 교번적으로 위치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폭 방향(±x방향)으로 제1돌출접속부(PJ1), 제2돌출접속부(PJ2), 제1돌출접속부(PJ1), 제2돌출접속부(PJ2), 제1돌출접속부(PJ1), 제2돌출접속부(PJ2), 제1돌출접속부(PJ1)의 순서로 접속 단자(301)와 접촉되는 돌출접속부(제1, 2돌출접속부(PJ1, PJ2) 포함)들을 구비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폭 방향(±x방향) 최외곽부에 제1돌출접속부(PJ1)가 구비되고, 최외곽부에 구비된 제1돌출접속부(PJ1)의 폭 방향(±x방향) 내측으로 제2돌출접속부(PJ2), 제1돌출접속부(PJ1), 제2돌출접속부(PJ2), 제1돌출접속부(PJ1), 제2돌출접속부(PJ2)가 순서대로 배치된다.
제1돌출접속부(PJ1)의 대각선 방향에는 제2핀부(200)의 상부 외곽부에 구비된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된다. 제2핀부(200)의 상부 외곽부에 구비된 제2돌출접속부(PJ2)는, 제1체결부(CS1)에 수용된 중앙부의 제2돌출접속부(PJ2)를 사이에 두고 두께 방향(±z방향) 전방 및 후방에 각각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도 8을 참조하면, 제1돌출접속부(PJ1)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의 대각선 방향에는 제2핀부(200)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에 구비된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되고, 제1돌출접속부(PJ1)의 두께 방향(±z방향) 후방의 대각선 방향에는 제2핀부(200)의 두께 방향(±z방향) 후방에 구비된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된다.
1개의 제1핀부(100)와 3개의 제2핀부(200)를 교차 결합하는 구조에 의해, 폭 방향(±x방향) 최외곽부에 구비된 제1돌출접속부(PJ1)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의 대각선 방향 및 후방의 대각선 방향에는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된다.
또한,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최외곽부의 제1돌출접속부(PJ1)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각각의 제2돌출접속부(PJ2)를 기준으로 폭 방향(±x방향)으로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3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상부에서, 제1핀부(100)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에 복수개(3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되고, 두께 방향(±z방향) 후방에 복수개(3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체결부(CS1)에 제2핀부(200)의 상부 중앙부 제2돌출접속부(PJ2)를 수용하여 폭 방향(±x방향)으로 제1돌출접속부(PJ1), 제2돌출접속부(PJ2)가 교번적으로 배치되고, 제1핀부(100)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 및 후방에 복수개(3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배치되는 구조를 통해 멀티-컨택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핀부(100)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 및 후방에 구비된 제2돌출접속부(PJ2)를 구비하므로, 검사 장치를 이용한 검사 대상물(300)의 검사 시, 접속 단자(301)에 의한 편심 가압력에도 효과적으로 대응이 가능하다.
도 9(a) 내지 도 10(b)는 검사 장치를 이용하여 검사 대상물(300)을 검사하는 것을 도시한 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9(a)는 검사 대상물(300)이 길이 방향(±y방향)으로 하강하기 전 상태로서, 접속 단자(301)가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에 접촉되기 전 상태를 도시한 도이고, 도 9(b) 및 도 10(a)는 검사 대상물(300)이 하강하여 접속 단자(301)가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에 접촉된 상태이고, 도 10(b)는 접속 단자(301)에 의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이 가압되어 탄성부(130)가 압축 변형하여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이 하강한 상태를 도시한 도이다. 접속 단자(301)는 접촉 위치를 안내받아 하강하여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의 상부에 접촉된다. 이에 따라 접속 단자(301)는 제1돌출접속부(PJ1) 및 제2돌출접속부(PJ2)와 접촉된다.
도 9(b) 및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단자(301)가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의 중앙부에 접촉될 경우, 접속 단자(301)에 의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에 편심되지 않은 가압력이 가해진다.
도 10(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접속 단자(301)에 의해 중앙부에 가해지는 가압력에 의해 탄성부(130)가 압축 변형되고, 탄성부(130)의 압축 변형에 의해 제1돌출접속부(PJ1)가 길이 방향(±y방향)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위하고, 제2체결부(CS2)의 내측에서 걸림돌출부(SP)가 길이 방향(±y방향) 하방향으로 이동하여 변위한다.
접속 단자(301)의 가압력에 의해 동시에 길이 방향(±y방향) 하방향으로 제1핀부(100)의 제1접속부(110) 및 제2핀부(200)가 이동하고, 스토퍼부(213)의 하단부가 패드(401)에 접촉된다. 이를 통해 제1핀부(100)의 제1접속부(110) 및 제2핀부(200)의 하향 이동이 제한되면서 탄성부(130)의 압축 변형이 제한된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스토퍼부(213)에 의해 하강 위치가 제한되면서 과도한 압축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도 9(b) 및 도 10(a)에 도시된 것과 달리, 접속 단자(301)가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의 중앙부를 벗어난 위치로 하강하여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의 상부 일측을 가압하면서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에 편심 가압력이 가해질 수 있다.
도 1 내지 3, 8을 참조하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1개의 제1핀부(100)와 복수개(3개)의 제2핀부(200)가 교차 결합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제1핀부(100)의 두께 방향(±z방향) 전, 후방 각각에 복수개(3개)의 제2돌출접속부(PJ2)를 구비한다.
이로 인해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의 중앙부를 벗어나 제1핀부(100)의 두께 방향(±z방향) 일측 또는 타측을 포함하는 외곽측에 접속 단자(301)가 접촉되어 편심 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제2핀부(200) 및 제1핀부(100)로 이어지는 전류 패스가 형성되면서 검사 대상물(300)을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1개의 제1핀부(100)와 1개의 제2핀부(200)를 교차 결합하는 구조에서,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가 교차하는 부위의 교차 중심점을 벗어난 대각선 방향에 편심 가압력이 가해질 경우, 접속 단자(301)에 접촉되는 부위가 없어서 전류 패스가 형성되지 않게 된다. 다시 말해, 1:1 교차 결합 구조로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를 교차 결합할 경우, 편심 가압력에 대한 대응이 어렵다.
하지만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바람직하게는, 1개의 제1핀부(100)와 적어도 2개 이상의 제2핀부(200)를 교차 결합하되,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1개의 제1핀부(100)와 3개의 제2핀부(200)를 교차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이에 따라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교차 중심점을 벗어난 대각선 방향에 편심 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제2돌출접속부(PJ2)에 접속 단자(301)가 접촉하며 제2핀부(200) 및 제1핀부(100)로 이어지는 전류 패스가 형성된다. 따라서,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편심 가압력이 가해지더라도 검사 대상물(300)에 대한 검사 수행을 그대로 수행할 수 있다.
제1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은, 1:3교차 결합 구조로 제1핀부와 제2핀부(200)를 교차 결합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편심 가압력에 대해서도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므로, 검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가 1:1로 교차 결합될 경우에는 제1핀부(100)의 탄성부(130)에 균일한 압축력을 인가하기 어렵고 이에 따라 탄성부(130)의 내구성을 저하시킬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접속 단자(301)가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을 기준으로 편심되어 하강하면, 접속 단자(301)은 제1핀부(100) 또는 제2핀부(200)에만 접촉될 수 있다. 제1핀부(100)에 편심되어 접촉하면 제1핀부(100)의 탄성부(130) 역시 편심 가압력을 받게 되며, 제2핀부(200)에만 편심되어 접촉하면 제1핀부(100)의 탄성부(130)는 뒤틀림 가압력을 받게 된다. 이로 인해 제1핀부(100)의 탄성부(130)의 내구성이 쉽게 저하될 수 있다.
반면에,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가 1:n(n은 2이상의 자연수)으로 교차 결합되는 구성에 따라, 편심 가압력에 가해지더라도, 제1핀부(100)의 탄성부(130)에 균일한 압축력을 인가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해, 접속 단자(301)가 전기 전도성 접촉핀(EP1)을 기준으로 편심되어 하강하더라도, 접속 단자(301)는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에 동시에 접촉 가능하다. 그 결과 가압력이 분산됨에 따라 제1핀부(100)의 탄성부(130)가 균일한 가압력에 의해 탄성 변형되므로 그 내구성이 쉽게 저하되지 않는다.
제2실시 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 예의 설명에서, 제1실시 예와 비교하여 특징적인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으며, 제1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되도록이면 생략한다.
이하,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여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a는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의 사시도이고, 도 11b는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을 구성하는 제1핀부(100')의 정면도이고, 도 11c는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을 구성하는 제2핀부(200')의 정면도이다. 도 11b에 도시된 제1핀부(100')는 z축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x-y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0°이고, 도 11c에 도시된 제2핀부(200')는 x축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y-z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0°이다.
도 11a, 도 11c를 참조하면,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제1체결부(CS1')를 포함하는 제1접속부(110'), 제2체결부(CS2')를 포함하는 제2접속부(120') 및 제1, 2접속부(110', 120')를 연결하는 탄성부(130')를 포함하는 제1핀부(100')와, 제1핀부(100')와 교차 결합되고, 제1체결부(CS1')에 대응되는 제1접촉 체결부(TC1') 및 제2체결부(CS2')에 대응되는 제2접촉 체결부(TC2')를 포함하는 제2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1개의 제1핀부(100')를 구비하고 3개의 제2핀부(200')를 구비하여 1개의 제1핀부(100')와 3개의 제2핀부(200')를 교차 결합하는 구조를 갖는다.
도 11a 및 11b를 참조하면 제1핀부(100')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돌출접속부(PJ1')를 구비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4개의 제1돌출접속부(PJ1')가 구비된다.
인접하는 2개의 제1돌출접속부(PJ1') 사이에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오목한 홈 형태의 제1체결부(CS1')가 구비된다. 제1체결부(CS1')는 1개의 제1핀부(100')에 3개의 제2핀부(200')를 교차 결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따라서, 제2핀부(200')를 복수개 구비함에 따라 제1체결부(CS1')는 복수개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3개의 제1체결부(CS1')가 구비된다.
제1접속 바디부(111')에는 두께 방향(±z방향)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하는 바디관통부(111a')가 구비된다. 바디관통부(111a')는 제1체결부(CS1')와 대응되는 위치의 길이 방향(±y방향) 하부에 구비된다. 바디관통부(111a')는 제1체결부(CS1')와 대응되는 개수로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3개의 바디관통부(111a')가 폭 방향(±x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두고 구비된다. 각각의 바디관통부(111a')는 각각의 제1체결부(CS1')와 대응되는 위치의 길이 방향(±y방향) 하부에 구비된다.
제1접속 바디부(111')는 바디관통부(111a')와 폭 방향(±x방향)으로 교번적으로 위치하는 홀비형성부(111b')를 구비한다. 홀비형성부(111b')는 제1돌출접속부(PJ1')와 대응되는 위치의 길이 방향 하부에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홀비형성부(111b')가 구비되고,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4개의 홀비형성부(111b')가 구비된다.
제2접속부(120')는 제1접속부(110')의 길이 방향(±y방향) 하부에 구비된다.
제2접속부(120')는 폭 방향(±x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구비되는 제2접속 바디부(121')와, 제2접속 바디부(121')의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돌출된 돌출체결부(121a)와, 제2체결부(CS2') 및 하부돌출접속부(LP')를 포함한다.
돌출체결부(121a)는 제2접속 바디부(121')의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돌출되고 복수개 구비된다. 돌출체결부(121a)는 일정한 면적을 갖고 폭 방향(±x방향)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3개의 돌출체결부(121a)가 구비된다. 인접하는 2개의 돌출체결부(121a) 사이에는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오목 부위(121c)가 구비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2개의 오목 부위(121c)가 구비된다.
제2체결부(CS2')는 돌출체결부(121a)를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절개하는 형태에 의해 구비된다. 돌출체결부(121a)는 제2체결부(CS2')에 의해 중앙부가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절개된 구조이다. 제2체결부(CS2')의 폭 방향(±x방향) 일측 및 타측에는 돌출기둥부(121b)가 구비된다. 각각의 돌출체결부(121a)는 제2체결부(CS2')의 중앙부를 절개하는 제2체결부(CS2')를 사이에 두고 폭 방향(±x방향)으로 이격되는 2개의 돌출기둥부(121b)를 포함한다.
하부돌출접속부(LP')는 제2접속 바디부(121')의 하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돌출되어 구비된다. 하부돌출접속부(LP')는 돌출체결부(121a)와 대응되는 위치의 길이 방향(±y방향) 하부에 구비된다. 하부돌출접속부(LP')는 복수개 구비되고,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3개의 하부돌출접속부(LP')가 구비된다.
제2접속 바디부(121')의 폭 방향(±x방향) 양측에는 지지부(140')와 제2접속 바디부(121')를 연결하는 연결돌출부(CP')가 구비된다.
도 11a 내지 도 11c를 참조하면, 제2핀부(200')는 접촉 바디부(210'), 접촉 바디부(210')의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돌출접속부(PJ2'), 접촉 바디부(210')의 중앙부 하면에 구비되는 제1접촉 체결부(TC1'), 접촉 바디부(210')의 두께 방향(±z방향)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스토퍼부(213'), 스토퍼부(213')의 두께 방향(±z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그립부(211') 및 그립부(211')의 두께 방향(±z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제2접촉 체결부(TC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핀부(200')는 제1핀부(100')와의 교차 결합시 정면을 바라본 상태의 0°에서 중심점을 기준으로 90°회전한 상태로 구비된다. 도 11c에서는 정면을 바라본 상태의 0°에서 제2핀부(200')가 도시된다.
접촉 바디부(210')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고 구비된다.
제2돌출접속부(PJ2')는 접촉 바디부(210')의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제2돌출접속부(PJ2')는 복수개 구비되고,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3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된다.
제1접촉 체결부(TC1')는 접촉 바디부(210')의 중앙부의 하면에 의해 구비된다. 따라서, 제1접촉 체결부(TC1')는 면 형태로 구비된다. 제1접촉 체결부(TC1')는 제2핀부(200')를 정면의 상태로부터 90°회전시킨 상태에서 제1핀부(100')에 대해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서 하부로 가압하는 것에 의해 제1핀부(100')의 제1체결부(CS1')에 접촉되면서 안착된다. 이를 통해 제1체결부(CS1')와 제1접촉 체결부(TC1')가 체결된다.
스토퍼부(213')는 접촉 바디부(210')의 두께 방향(±z방향) 전, 후방 각각에서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그립부(211')는 스토퍼부(213')의 두께 방향(±z방향) 내측에 구비된다. 제2핀부(200')는 두께 방향(±z방향)을 기준으로 스토퍼부(213')와 그립부(211') 사이에 연결빔부(CM)를 구비한다. 연결빔부(CM)는 접촉 바디부(210')의 제1접촉 체결부(TC1')에서 긴 길이를 갖고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그립부(211')는 연결빔부(CM)의 두께 방향(±z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그립탄성부(GS)와, 길이 방향(±y방향)으로 그립탄성부(GS)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걸림돌출부(UJ)를 포함한다.
제2핀부(200')는 연결빔부(CM)의 하단부에 두께 방향(±z방향) 내측으로 굴곡지면서 돌출되는 연결굴곡부(CB)를 통해 연결빔부(CM)와 그립탄성부(GS)가 연속적으로 연결되는 형태를 갖는다. 연결굴곡부(CB)의 두께 방향(±z방향) 일단부는 연결빔부(CM)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그립탄성부(GS)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그립탄성부(GS)는 연결굴곡부(CB)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긴 길이를 갖고 연장된다. 그립탄성부(GS)는 제1, 2핀부(200')간의 조립 시, 두께 방향(±z방향) 내·외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제1, 2핀부(200')간의 교차 결합이 완료되면 그립탄성부(GS)는 복원력에 의해 두께 방향(±z방향) 내측으로 탄성 변형한다.
상부걸림돌출부(UJ)는 그립탄성부(GS)의 길이 방향(±y방향) 상단부에 구비된다. 상부걸림돌출부(UJ)는 두께 방향(±z방향) 내측으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상부걸림돌출부(UJ)는 제1체결부(CS1')에 제1접촉 체결부(TC1')가 안착되는 중간 과정에서 길이 방향(±y방향)으로 제1체결부(CS1')와 바디관통부(111a') 사이에 구비된 접촉 바디부(210')의 상부여유부에 마찰 접촉된다. 제1접촉 체결부(TC1')가 제1체결부(CS1')에 완전히 안착되어 제1체결부(CS1') 및 제1접촉 체결부(TC1')간의 체결이 완료되면, 상부걸림돌출부(UJ)는 바디관통부(111a')의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부걸림돌출부(UJ)는 길이 방향(±y방향) 상면이 바디관통부(111a')의 상부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삽입되어 바디관통부(111a')에 대응되게 위치한다.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상부걸림돌출부(UJ)의 상면이 바디관통부(111a')의 상부벽면에 접촉되면서 삽입되는 형태에 의해 상부에서 걸림 결합 구조를 갖는다. 다시 말해,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상부걸림돌출부(UJ) 및 바디관통부(111a')간의 체결을 통해 제1, 2핀부(200')의 상부에서 걸림 형태로 제1, 2핀부(20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제2핀부(200')가 제1핀부(100')에 대해 길이 방향(±y방향) 상부 및 하부로 분리되어 이탈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제2접촉 체결부(TC2')는 그립탄성부(GS)의 길이 방향(±y방향) 하부에서 두께 방향(±z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부위를 통해 구비된다. 따라서, 제2접촉 체결부(TC2')는 볼록한 돌출 형태로 구비된다.
제2핀부(200')의 그립탄성부(GS)가 두께 방향(±z방향) 탄성 변형하면서 제1핀부(100')에 대해 제2핀부(200')가 교차 결합되고, 제1체결부(CS1')에 제1접촉 체결부(TC1')가 안착되어 체결된다. 이를 통해 바디관통부(111a')와 상부걸림돌출부(UJ)간의 체결도 완료된다. 이 때, 제2접촉 체결부(TC2')는, 돌출기둥부(121b)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면 및 후방면에 각각 접촉된다. 이를 통해 제2접촉 체결부(TC2')와 제2체결부(CS2')간이 체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체결부(CS2')는 돌출체결부(121a)를 절개하는 부위에 의해 형성되되 제2접촉 체결부(TC2')의 폭 방향(±x방향) 치수보다 작은 폭 방향(±x방향) 치수를 갖고 돌출기둥부(121b) 사이에 구비된다. 따라서, 제2접촉 체결부(TC2')와 제2체결부(CS2')간의 체결은, 제2접촉 체결부(TC2')가 돌출기둥부(121b) 사이에 구비된 절개 부위에 두께 방향(±z방향)으로 대응되게 위치하여 폭 방향(±x방향)으로 절개 부위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2개의 돌출기둥부(121b)에 접촉되는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접촉 체결부(TC2')가 돌출기둥부(121b)의 두께 방향(±z방향) 표면에 접촉되어 제2체결부(CS2')와 체결되면, 그립탄성부(GS)의 탄성력에 의해 제2접촉 체결부(TC2')에도 두께 방향(±z방향) 내측으로 복원되는 탄성력이 부여된다. 이에 따라 제2접촉 체결부(TC2')는 제2체결부(CS2')에 체결된 상태에서 두께 방향(±z방향) 내측으로 돌출기둥부(121b)를 밀어내는 힘을 발생시키면서 제2접속부(120')에 대한 그립력을 갖는다. 이로 인해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간의 하부 고정 결합 구조가 형성된다.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탄성력을 갖는 그립탄성부(GS)의 하부에 제2접촉 체결부(TC2')를 구비하여 제2접촉 체결부(TC2')가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한다. 이를 통해 제2체결부(CS2')와 제2접촉 체결부(TC2')간의 체결 상태에서, 제2접촉 체결부(TC2')가 탄성력에 의해 발생된 그립력으로 제2접속부(120')와 고정 결합된다.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제2체결부(CS2')와 제2접촉 체결부(TC2')간의 체결을 통해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의 하부에서 제1, 2핀부(200')간을 고정 결합하여 하부 고정 결합 구조를 갖는다.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제1핀부(100')와 제2핀부(200')의 교차 결합 구조에서 상부 및 하부가 고정 결합되어 제1, 2핀부(200')의 교차 결합 상태가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가이드 플레이트(500)에 삽입에 있어서 취급이 간편하다.
탄성부(130')가 압축 변형되기 전 상태에서,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스토퍼부(213')의 하단부와 연결굴곡부(CB)의 하단부가 길이 방향(±y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가압력에 의해 탄성부(130')가 압축 변형되면, 제2핀부(200')도 길이 방향(±y방향)으로 하향 이동하고, 제2접촉 체결부(TC2')가 돌출기둥부(121b)에 접촉 마찰하면서 하향 이동한다. 이를 통해 패드(401)에 스토퍼부(213')의 하단부와 연결굴곡부(CB)의 하단부가 접촉된다.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길이 방향(±y방향)으로 연결굴곡부(CB), 제2접속부(120'), 그립탄성부(GS), 제1접속부(110') 및 접촉 바디부(210')로 이어지는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1개의 제1핀부(100')와 3개의 제2핀부(200')를 교차 결합하는 구조를 통해 폭 방향(±x방향)으로 제1체결부(CS1')를 사이에 두고 제1돌출접속부(PJ1')와 제2돌출접속부(PJ2')가 교번적으로 위치하는 구조가 반복된다. 이로 인해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접속 단자(301)와의 멀티-컨택을 구현한다.
또한,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폭 방향(±x방향) 최외곽부에 구비된 제1돌출접속부(PJ1')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의 대각선 방향 및 후방의 대각선 방향에 제2돌출접속부(PJ2')를 구비한다.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최외곽부의 제1돌출접속부(PJ1')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 및 후방에 위치하는 각각의 제2돌출접속부(PJ2')를 기준으로 폭 방향(±x방향)으로 일정한 이격 거리를 두고 3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를 통해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상부에서, 제1핀부(100')의 두께 방향(±z방향) 전방에 복수개(3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되고, 두께 방향(±z방향) 후방에 복수개(3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제2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2)은 편심 가압력에 대해 효과적인 대응이 가능하다.
제3실시 예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3)에 대해 설명한다. 제3실시 예의 설명에서, 제1, 2실시 예와 비교하여 특징적인 구성요소들을 중심으로 설명하겠으며, 제1, 2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에 대한 설명은 되도록이면 생략한다.
이하,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여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3)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a는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3)의 사시도이고, 도 12b는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3)을 구성하는 제1핀부(100”)의 정면도이고, 도 12c는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3)을 구성하는 제2핀부(200”)의 정면도이다. 도 12b에서는 z축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x-y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0°인 제1핀부(100”)가 도시되고, 도 12c에서는 x축 정면을 바라보는 상태(y-z평면상에 위치하는 상태)가 0°인 제2핀부(200”)가 도시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3)은, 제1체결부(CS1”)를 포함하는 제1접속부(110”), 제2체결부(CS2”)를 포함하는 제2접속부(120”) 및 제1, 2접속부(110”, 12”)를 연결하는 탄성부(130”)를 포함하는 제1핀부(100”)와, 제1핀부(100”)와 교차 결합되고, 제1체결부(CS1”)에 대응되는 제1접촉 체결부(TC1”) 및 제2체결부(CS2”)에 대응되는 제2접촉 체결부(TC2”)를 포함하는 제2핀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제1핀부(100”)는 제1접속 바디부(111”)의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1돌출접속부(PJ1”)를 구비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2개의 제1돌출접속부(PJ1”)가 구비된다. 제1돌출접속부(PJ1”)는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갈수록 폭이 작아지는 형태로 구비되고, 상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구비된다.
제1체결부(CS1”)는 인접하는 2개의 제1돌출접속부(PJ1”) 사이에 길이 방향(±y방향)으로 오목한 홈의 형태로 구비된다. 제1체결부(CS1”)는 제1핀부(100”)에 제2핀부(200”)를 교차 결합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한다.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1개의 제1체결부(CS1”)가 구비된다.
제1접속 바디부(111”)에는 두께 방향(±z방향) 일면에서 타면으로 관통하는 1개의 바디관통부(111a”)가 구비된다.
제2접속부(120”)는 폭 방향(±x방향)으로 길이를 갖는 제2접속 바디부(121”)와, 제2접속 바디부(1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는 돌출체결부(121a')와, 제2체결부(CS2”)를 포함한다.
제2체결부(CS2”)는 돌출체결부(121a')를 절개하는 형태로 구비된다. 폭 방향(±x방향)으로 제2체결부(CS2”)를 사이에 두고 2개의 돌출기둥부(121b')가 구비된다.
도 12a 및 도 12c를 참조하면, 제2핀부(200”)는 접촉 바디부(210”), 접촉 바디부(210”)의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돌출되는 복수개의 제2돌출접속부(PJ2”), 접촉 바디부(210”)의 중앙부 하면에 구비되는 제1접촉 체결부(TC1”), 접촉 바디부(210”)의 두께 방향(±z방향)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스토퍼부(213”), 스토퍼부(213”)의 두께 방향(±z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그립부(211”) 및 그립부(211”)의 두께 방향(±z방향) 내측에 구비되는 제2접촉 체결부(TC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1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핀부(200”)는 제1핀부(100”)와의 교차 결합시 정면을 바라본 상태의 0°에서 중심점을 기준으로 90°회전한 상태로 구비된다. 도 12c에서는 정면을 바라본 상태의 0°에서 제2핀부(200”)가 도시된다.
제2돌출접속부(PJ2”)는 접촉 바디부(210”)의 상면으로부터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된다. 제2돌출접속부(PJ2”)는 길이 방향(±y방향) 상부로 갈수록 두께 방향(±z방향) 치수가 작아지도록 구비되어 길이 방향(±y방향) 상단부가 뾰족한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제2돌출접속부(PJ2”)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두고 복수개 구비되고, 도면에서는 일 예로서 2개의 제2돌출접속부(PJ2”)가 구비된다.
제1접촉 체결부(TC1”)는 접촉 바디부(210”)의 중앙부 하면에 의해 구비된다. 제1접촉 체결부(TC1”)는 면 형태로 구비되어 제1체결부(CS1”)에 접촉 안착되는 형태로 제1체결부(CS1”)와 체결된다.
스토퍼부(213”)는 접촉 바디부(210”)의 두께 방향(±z방향) 전, 후방 각각에서 길이 방향(±y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구비된다.
그립부(211”)는 스토퍼부(213”)의 두께 방향(±z방향) 내측에 구비되고, 길이 방향(±y방향)으로 긴 길이를 갖는 그립탄성부(GS') 및 그립탄성부(GS')의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걸림돌출부(UJ')를 포함한다. 그립부(211”)는 두께 방향(±z방향)으로 스토퍼부(213”)와 그립탄성부(GS') 사이에 구비된 중간돌출부(MJ)를 통해 연결된다. 중간돌출부(MJ)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중간부에 구비되어 그립탄성부(GS')의 길이 방향(±y방향) 중간부와 스토퍼부(213”)의 길이 방향(±y방향) 중간부간을 연결한다.
도 12a, 12c를 참조하면, 제2핀부(200”)는 x축을 중심점으로 하여 정면의 0° 상태에서 90°회전한 상태로 제1핀부(100”)에 대해 길이 방향(±y방향)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된다. 이를 통해 제1접촉 체결부(TC1”)가 제1체결부(CS1”)에 안착되고, 상부걸림돌출부(UJ')가 바디관통부(111a”)에 대응되게 위치하여 바디관통부(111a”)로 삽입된다. 상부걸림돌출부(UJ')는 길이 방향(±y방향) 상면이 바디관통부(111a”)의 상부벽면에 접촉된 상태로 바디관통부(111a”)의 내측에 위치하며 걸림 구조를 형성한다.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3)은 상부걸림돌출부(UJ') 및 바디관통부(111a”)간의 체결을 통해 제1, 2핀부(100”, 200”)의 상부에서 걸림 형태로 제1, 2핀부(100”, 200”)를 고정 결합할 수 있다.
제2접촉 체결부(TC2”)는 그립탄성부(GS')의 길이 방향(±y방향) 하부에서 두께 방향(±z방향) 내측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부위를 통해 구비된다. 제2접촉 체결부(TC2”)는 길이 방향(±y방향)으로 상부걸림돌출부(UJ')와 대향되게 구비된다.
제2접촉 체결부(TC2”)는 제1체결부(CS1”) 및 제1접촉 체결부(TC1”)간의 체결에 의해 제2체결부(CS2”)에 두께 방향(±z방향)으로 대응되게 위치하며 폭 방향(±x방향)으로 제2체결부(CS2”)를 사이에 두고 구비되는 돌출기둥부(121b')의 표면에 접촉된다. 이를 통해 제2체결부(CS2”)와 제2접촉 체결부(TC2”)간이 체결된다. 제2접촉 체결부(TC2”)는 탄성력에 의해 돌출기둥부(121b')에 대한 그립력이 발생하고, 이를 통해 제3실시 예에 전기 전도성 접촉핀(EP3)은 하부에서 제1, 2핀부(100”, 200”)를 고정 결합한다.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3)은, 제1, 2핀부(100”, 200”)의 교차 결합 구조에서 상부 및 하부가 고정 결합되어 제1, 2핀부(100”, 200”)간이 상대 이동하여 분리되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탄성부(130”)가 압축 변형되기 전 상태에서,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3)은 스토퍼부(213”)의 하단부와 그립탄성부(GS')의 하단부가 길이 방향(±y방향)으로 동일한 높이에 위치한다. 가압력에 의해 탄성부(130”)가 압축 변형되면, 제2핀부(200”)도 길이 방향(±y방향)으로 하향 이동하고, 그립탄성부(GS')의 하단부의 제2접촉 체결부(TC2”)가 돌출기둥부(121b')의 표면을 접촉 마찰하면서 하향 이동한다. 이를 통해 패드(401)에 스토퍼부(213”)의 하단부와 그립탄성부(GS')의 하단부가 접촉된다. 제3실시 예의 전기 전도성 접촉핀(EP3)은, 길이 방향(±y방향)으로 제2접속부(120”), 그립탄성부(GS'), 제1접속부(110”), 접촉 바디부(210”)로 이어지는 전류 패스를 형성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제1핀부
110: 제1접속부 120: 제2접속부
130: 탄성부 140: 지지부
200: 제2핀부
210: 접속 바디부 211: 그립부
213: 스토퍼부
CS1: 체1체결부 CS2: 제2체결부
TC1: 제1접촉 체결부 TC2: 제2접촉 체결부
PJ1: 제1돌출접속부 PJ2: 제2돌출접속부
EP1, EP2, EP3: 전기 전도성 접촉핀
110: 제1접속부 120: 제2접속부
130: 탄성부 140: 지지부
200: 제2핀부
210: 접속 바디부 211: 그립부
213: 스토퍼부
CS1: 체1체결부 CS2: 제2체결부
TC1: 제1접촉 체결부 TC2: 제2접촉 체결부
PJ1: 제1돌출접속부 PJ2: 제2돌출접속부
EP1, EP2, EP3: 전기 전도성 접촉핀
Claims (12)
- 제1접속 바디부의 상부에 길이 방향으로 오목하게 형성되는 제1체결부가 형성되는 제1접속부, 두께 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제2접속 바디부를 관통하는 제2체결부가 형성되는 제2접속부 및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제1핀부; 및
상기 제1핀부에 교차 결합되고, 접촉 바디부의 중앙부에 구비되어 상기 제1체결부에 안착되는 제1접촉 체결부, 상기 접촉 바디부의 두께 방향 양단부에서 길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는 스토퍼부 및 상기 스토퍼부의 두께 방향 내측면으로부터 돌출되어 길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되는 제2접촉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2핀부;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오목한 홈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1접촉 체결부가 상기 홈의 바닥면에 접촉하면서 안착되어 상기 제1체결부와 상기 제1접촉 체결부가 체결되고,
상기 제2체결부는 관통홀의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제2접촉 체결부의 하단부가 상기 관통홀을 이루는 상부벽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관통홀의 내측에 위치하여 상기 제2체결부와 상기 제2접촉 체결부가 체결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 체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접촉 바디부의 중앙부 하면으로부터 길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고 두께 방향으로 대향되는 한 쌍의 다리로 구성되는 그립부를 더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
- 제3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다리는,
상기 접촉 바디부의 중앙부 하면으로부터 연속적으로 길이 방향 하부로 연장되고 상기 제1접속 바디부와 접촉하지 않는 비접촉부;
상기 비접촉부의 하단부에 연결되고 두께 방향 내측으로 경사지는 내측경사부;
상기 내측경사부의 하부를 두께 방향 외측으로 굽어지도록 하여 두께 방향 외측으로 경사지는 외측경사부; 및
상기 내측경사부와 상기 외측경사부 사이에 굽어진 부위에 의해 형성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
- 제4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다리는, 두께 방향으로 이격 거리를 갖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비접촉부에서 상기 내측경사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이격 거리가 작아지고,
길이 방향으로 상기 내측경사부에서 상기 외측경사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이격 거리가 커지고,
상기 접촉부간의 상기 이격 거리가 가장 작은, 전기 전도성 접촉핀.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부간의 이격 거리로 형성되는 상기 접촉부간의 두께 방향 치수는,
상기 제1접속 바디부의 두께 방향 치수보다 작은, 전기 전도성 접촉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핀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핀부에 체결되고,
각각의 상기 다리가 두께 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 변형하며 길이방향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다리 사이에 구비되는 상기 제1접촉 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에 안착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촉 체결부가 상기 제1체결부에 안착되어 상기 제1접속 바디부의 두께 방향 전방면 및 후방면에 상기 접촉부가 마찰하면서 접촉되고, 마찰 접촉된 상기 접촉부에 의해 상기 제1핀부의 상부와 상기 제2핀부의 상부가 고정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
- 제1항에 있어서,
제2접촉 체결부는,
상기 탄성부에 대응되고 길이 방향 상부측에서 하부측으로 갈수록 상기 제1핀부에 가까워지는 사선 형태의 빔부; 및
두께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빔부의 하단부에 구비되는 걸림돌출부;를 포함하고,
관통홀 형태의 상기 제2체결부에 상기 제2접속 바디부의 두께 방향 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접촉 체결부의 걸림돌출부와 후방에 위치하는 상기 제2접촉 체결부의 걸림돌출부가 삽입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핀부는 길이 방향으로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가압되어 상기 제1핀부에 체결되고,
상기 제2접촉 체결부는,
두께 방향 전, 후방으로 대향하는 상기 빔부가 두께 방향 외측으로 벌어지면서 탄성 변형하고 상기 길이 방향 상부에서 하부 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2체결부에 상기 걸림돌출부가 삽입되고,
상기 걸림돌출부의 길이 방향의 상면이 상기 제2체결부의 상부내벽면에 접촉되면서 걸리는 형태가 형성되어 상기 제1핀부의 하부와 상기 제2핀부의 하부가 고정 결합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
- 제1체결부를 구비하는 제1접속부, 제2체결부를 구비하는 제2접속부 및 길이 방향으로 상기 제1접속부와 상기 제2접속부를 연결하는 탄성부를 포함하는 제1핀부;
상기 제1핀부에 교차 결합되고, 상기 제1체결부에 체결되는 제1접촉 체결부와 상기 제2체결부에 체결되는 제2접촉 체결부를 포함하는 제2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핀부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
-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체결부는, 적어도 2개 이상 구비되고,
각각의 상기 제1체결부에 각각의 상기 제2핀부의 상부 중앙부에 구비된 제2돌출접속부가 수용되어 상기 제1체결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핀부에 구비된 제1돌출접속부와 상기 제2돌출접속부가 교번적으로 위치하고,
상기 제1돌출접속부의 대각선 방향에 상기 제2핀부의 상부 외곽부에 구비된 제2돌출접속부가 구비되는, 전기 전도성 접촉핀.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7768A KR20240169935A (ko) | 2023-05-25 | 2023-05-25 | 전기 전도성 접촉핀 |
PCT/KR2024/006087 WO2024242369A1 (ko) | 2023-05-25 | 2024-05-07 | 전기 전도성 접촉핀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67768A KR20240169935A (ko) | 2023-05-25 | 2023-05-25 | 전기 전도성 접촉핀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9935A true KR20240169935A (ko) | 2024-12-03 |
Family
ID=935896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67768A Pending KR20240169935A (ko) | 2023-05-25 | 2023-05-25 | 전기 전도성 접촉핀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69935A (ko) |
WO (1) | WO2024242369A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865367B1 (ko) | 2017-12-05 | 2018-06-07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레일 타입 pion 핀 |
KR102152230B1 (ko) | 2016-09-21 | 2020-09-04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프로브 핀 및 검사 유닛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73400B1 (ko) * | 2008-10-13 | 2011-10-13 | 리노공업주식회사 | 검사용 탐침 장치 |
JP2015108608A (ja) * | 2013-09-13 | 2015-06-11 | 大熊 克則 | プローブピンおよびicソケット |
KR20220136012A (ko) * | 2021-03-31 | 2022-10-07 | (주)포인트엔지니어링 | 전기 전도성 접촉핀 |
KR102619576B1 (ko) * | 2021-04-21 | 2023-12-29 | 리노공업주식회사 | 프로브 콘텍트 |
JP2023007843A (ja) * | 2021-07-02 | 2023-01-19 | 山一電機株式会社 | コンタクトプローブ及びその組立方法 |
-
2023
- 2023-05-25 KR KR1020230067768A patent/KR20240169935A/ko active Pending
-
2024
- 2024-05-07 WO PCT/KR2024/006087 patent/WO2024242369A1/ko unknow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152230B1 (ko) | 2016-09-21 | 2020-09-04 | 오므론 가부시키가이샤 | 프로브 핀 및 검사 유닛 |
KR101865367B1 (ko) | 2017-12-05 | 2018-06-07 | 주식회사 오킨스전자 | 레일 타입 pion 핀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242369A1 (ko) | 2024-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6471524B1 (en) | IC socket | |
KR101012712B1 (ko) | 컴플라이언트 전기적 상호접속체 및 전기적 접촉 프로브 | |
CN102549848B (zh) | 触头以及电连接装置 | |
US20080064236A1 (en) | Electrical contact | |
KR101307365B1 (ko) | 접촉자 및 전기적 접속장치 | |
KR101769355B1 (ko) | 수직형 프로브핀 및 이를 구비한 프로브핀 조립체 | |
US7811096B2 (en) | IC socket suitable for BGA/LGA hybrid package | |
KR101236312B1 (ko) | 반도체 검사용 프로브 | |
CN117741190A (zh) | 测试座 | |
KR20180131312A (ko) | 수직형 프로브핀 및 이를 구비한 프로브핀 조립체 | |
KR101865375B1 (ko) | 트위스트 타입 pion 핀 및 그 조립 방법 | |
KR20240169935A (ko) | 전기 전도성 접촉핀 | |
US20070281507A1 (en) | IC contact for LGA socket | |
TWI835347B (zh) | 連接器 | |
US20190348786A1 (en) | Electrical contact and socket for electric component | |
KR102683627B1 (ko) | 롱 스트로크를 가진 포고핀 | |
JP2009266827A (ja) | 両面接続型コネクタ | |
JP7444659B2 (ja) | コンタクトピン及びソケット | |
TWI797109B (zh) | 接觸探針及具備該接觸探針的檢查套筒 | |
CN112969923A (zh) | 接触针及插座 | |
KR102587652B1 (ko) | 탐침장치 | |
KR20240021462A (ko) | 전기 전도성 접촉핀 및 이를 구비하는 검사 장치 | |
KR20250021056A (ko) | 검사 소켓 | |
WO2019159349A1 (ja) | コンタクトプローブおよびそれを備えた検査ソケット | |
KR20240008695A (ko) | 전기 전도성 접촉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525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