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9555A - 염과 폴리알킬실스퀴옥세인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염과 폴리알킬실스퀴옥세인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9555A KR20240169555A KR1020240067661A KR20240067661A KR20240169555A KR 20240169555 A KR20240169555 A KR 20240169555A KR 1020240067661 A KR1020240067661 A KR 1020240067661A KR 20240067661 A KR20240067661 A KR 20240067661A KR 20240169555 A KR20240169555 A KR 2024016955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oil
- cosmetic composition
- water
- present
- phas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61K8/49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with more than one nitrogen as the only hetero atom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 A61K2800/33—Free of surfactant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2—Stabiliz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연속상인 수상부에 염을 포함하고, 불연속상인 유상부에 폴리알킬실세스퀴옥세인을 포함하고,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성분이 수상부 내에 일정한 입자 크기를 가지고 균일하고 안정하게 분산되어 화장료 조성물 제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며, 외관 차별화 및 피부 발림성이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폴리알킬실세스퀴옥세인를 포함하는 유상부; 및 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Oil in water, O/W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으로 수성 성분 및 유성 성분의 혼합으로 만들어진다. 이러한 수성 및 유성 성분은 서로 잘 섞이지 않는 특성을 가져, 화장료 조성물 제조시 수성 및 유성 성분이 한 제제 내에서 잘 혼합할 수 있도록 유화 기술이 적용되고 있으며, 특히 유화제를 이용한 기술이 많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유화제의 종류 및 양이 적절하지 않을 경우 유화 능력이 떨어져 유상 및 수상이 분리되는 문제가 생길 수 있으며, 유화제에 따라 끈적이는 사용감이 부여되거나 자극이 발생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유상을 오일 캡슐형태로 제조하여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수상에 균일하게 분산시키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오일 캡슐의 막에 포함되는 셀룰로오스, 폴리사카라이드 검, 카라기난 등으로 인해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에 도포했을 때 이물감이 느껴지는 문제가 있다.
이런 오일 캡슐의 이물감을 해결하고자 피부 위에서 잘 녹는 왁스 또는 엘라스토머를 사용하여 오일 드랍 형태로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는 기술이 개발되었으나, 제형이 무거운 사용감을 나타내고, 제조 과정 중에 고온 처리 단계가 포함되어 있어 제조 공정이 복잡한 문제가 있다.
이에,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고 유상부를 수상 내에 안정하게 분산시킬 수 있으면서 사용감도 좋은 화장료 조성물을 위한 기술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화장료 조성물에 유효성분으로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수상부 내에 유상부를 균일하게 분산시키면서, 안정적인 제형을 유지하고 사용감이 우수한 수중유형 (Oil in water, O/W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알킬실세스퀴옥세인 (Polyalkylsilsesquioxane)을 포함하고, 평균 입경이 0.01 내지 5 mm인 오일드롭의 형태인 유상부; 및 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알킬실세스퀴옥세인 (Polyalkylsilsesquioxane)을 포함하고, 평균 입경이 0.01 내지 5 mm인 오일드롭의 형태인 유상부; 및 염을 포함하는 수상부;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 상 용어 “수중유형 (O/W)”은 연속상(외상)인 수상에 유상(불연속상)이 미세한 입자로 분산되는 분산상의 형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연속상과 불연속상 간의 극성차이에 의한 정전기적 반발력을 이용하여 유상부의 모양을 유지하며 수상부 내에서 합일되지 않고 분산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러한 원리는 도 2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마찰 계수 측정기 (friction coefficient tester, FPT-F1, Labthink)를 사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마찰계수 (N, force)를 측정하였을 때, 지방알코올의 왁스나 오일겔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끈적임 지수 및 마찰계수가 개선된 것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상부가 입자 형태로 분산된 상태는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된 유상부가 수상부 내에서 구형의 입자를 이루고 균일하게 분산되어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 상 용어 “오일드롭”은 수학적으로 완전한 구의 형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투영상이 원 또는 타원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형상을 나타내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상 용어 “분산”은 내상이 외상에 고르게 퍼져 있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유상부가 오일드롭의 형태를 띄고 일정한 크기를 가지고 수상부 내에서 단위면적당 일정한 비율로 고르게 분포되어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오일 드롭을 형성하였다. 또한, 제조 직후, 제조 후 30일 동안 상온 보관, 제조 후 30일 동안 50 ℃ 항온조에서 보관, 제조 후 형광 빛에 2주간 노출하여 보관 및 냉동과 해동을 5회 반복하여 보관하는 등 보관 조건을 다양하게 하여 보관했을 때, 상기 모든 조건에서 안정적인 제형을 유지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유화제의 함량이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실질적으로 미포함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미포함이란 1.0 중량% 미만, 0.1% 이하, 0.01% 이하, 0.001% 이하로 포함되거나 아예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알킬실세스퀴옥세인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Polymethylsilsesquioxane),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 (Polypropylsilsesquioxane), 및 폴리카프릴릴실세스퀴옥세인 (polycaprylylsilsesqui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은 헤페스 (HEPES, 2-[4-(2-hydroxyethyl)piperazin-1-yl]ethanesulfonic acid), 유레아 (UREA), 시트릭산 (Citric acid), 염화나트륨 (NaCl), 다이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트라이소듐이디티에이 (Trisodium EDTA) 및 소듐시트레이트 (Sodium Cit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군에서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헤페스 (HEPES, 2-[4-(2-hydroxyethyl)piperazin-1-yl]ethanesulfonic acid), 유레아 (UREA), 시트릭산 (Citric acid), 소듐시트레이트 (Sodium Citrate) 중에서 1종 또는 2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 상 용어 “염”은 수상부에서 이온화하여 +/-로 이온성을 나타낼 수 있는 원료들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은 수상의 극성도를 높이고, 유상과의 반발력을 높이기 위해 포함된다. 또한, “염”은 pH 조절을 위해 사용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알킬실세스퀴옥세인은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0.01 내지 1 중량%, 0.01 내지 0.8 중량%, 0.01 내지 0.6 중량%, 0.01 내지 0.4 중량%, 0.01 내지 0.2 중량%, 0.01 내지 0.1 중량%, 0.02 내지 1 중량%, 0.02 내지 0.8 중량%, 0.02 내지 0.6 중량%, 0.02 내지 0.4 중량%, 0.02 내지 0.2 중량%, 0.05 내지 1 중량%, 0.05 내지 0.8 중량%, 0.05 내지 0.6 중량%, 0.05 내지 0.4 중량%, 0.05 내지 0.2 중량%, 0.05 내지 0.1 중량%, 0.08 내지 1 중량%, 0.08 내지 0.8 중량%, 0.08 내지 0.6 중량%, 0.08 내지 0.4 중량%, 0.08 내지 0.2 중량%, 0.08 내지 0.1 중량%, 0.1 내지 1 중량%, 0.1 내지 0.8 중량%, 0.1 내지 0.6 중량%, 0.1 내지 0.4 중량%, 0.1 내지 0.2 중량%,예를 들어, 0.1 중량% 포함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염은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0.1 내지 20 중량%, 0.1 내지 15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3 중량%, 0. 1 내지 2 중량%, 0.1 내지 1 중량%, 0.1 내지 0.5 중량%, 예를 들어, 0.1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의 수상과 유상은 투명할 수도 있고 불투명할 수도 있다. 유상이 수상에 분산된 모습을 부각시키기 위해서는 수상이 투명한 것이 바람직하며, 이 때 수상은 가시 광역에서 투과율이 80 내지 99 %, 80 내지 95 %, 85 내지 99 %, 85 내지 95 %, 90 내지 99 %, 90 내지 95 %, 예를 들어, 95 %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있어서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종래 기술과는 다른 해결 수단으로 안정한 조성물을 달성하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는 다르게 왁스나 오일 겔화제의 사용이 필수적이지 않고, 그 결과 왁스나 오일 겔화제를 화장료 조성물에 첨가하지 않음으로써 끈적임 또는 마찰계수를 개선시킬 수 있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 및 오일 겔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왁스 및 오일 겔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함량이 총 화장료 조성물 대비 실질적으로 미포함일 수 있고, 실질적으로 미포함이란 1.0 중량% 미만, 0.1% 이하, 0.01% 이하, 0.001% 이하로 포함되거나 아예 포함하지 않을 수 있는 것 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나 오일 겔화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미포함하면서 화장료 조성물의 끈적임이나 마찰계수를 개선시킬 수 있으며, 안정된 제형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오일, 수용성 점증제, 폴리올, 피부유연화제, 산도 조절제 및 용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수상의 점도를 높이면 오일드랍이 더욱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오일은 유상부에 포함될 수 있으며, 에스테르계 오일, 탄화수소계 오일, 실리콘계 오일, 식물성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에스테르계 오일은 지방산과 지방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인 것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스테르계 오일은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Isopropyl Myristate),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Isopropyl Palmitate), 세틸옥타노에이트 (Cetyl Octaonate), 세틸 2-에틸 헥사노에이트 (Cetyl 2-Ethyl Hecanoate), 2-옥틸 도데실 미리스테이트 (2-Octyl Dodecyl Myristate) 및 디-이소스테아릴 말레이트 (Di-isostearyl Mal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탄화수소계 오일은 유동 파라핀, 바세린, 이소파라핀류 등의 석유계 오일;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데센 (Hydrogenated Polydecene), 합성 스쿠알란, 폴리부텐 등의 합성계 오일; 및 식물성의 스쿠알란, 수소 첨가한 스쿠알란 등의 식물계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계 오일은 실록산 결합 (Siloxane bond, Si-O-Si)을 갖는 오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실리콘계 오일은 디메치콘 (Dimethicone), 디메치콘올 (Dimethiconol), 페닐트리메치콘 (Phenyl Trimethicone), 디실록산 (Disiloxane), 시클로메치콘 (Cyclomethicone), 시클로펜타실록산 (Cyclopentasilonxane) 및 시클로헥사실록산 (Cyclohexasil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식물성 오일은 자연계에 존재하는 식물로부터 얻은 오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식물성 오일은 메도우폼씨 오일, 올리브 오일, 로즈힙열매 오일, 아보카도 오일, 동백 오일, 사과씨 오일, 포도씨 오일, 해바라기씨 오일, 마카다미아씨 오일, 피마자유, 호호바씨오일 및 카프릴릭/카프릭트리글리세리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수용성 점증제는 수상의 점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성분이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 점증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알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 암모늄아크릴로일디메칠타우레이트/브이피 코폴리머,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폴리아크릴레이트 크로스폴리머-6 및 잔탄검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폴리올은 물에 용해되기 쉬운 성질을 가지는 성분이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폴리올은 폴리글리세린-3 및 프로판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피부 유연화제는 피부를 부드럽게 하고 유연성 증대와 제품의 사용감을 좋게 하는 성분이라면 그 종류를 한정하지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피부 유연화제는 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 (Isononyl Isononanoate), 이소프로필팔미테이트 (Isopropyl palmitate), 디카프릴릴카보네이트 (Dicaprylyl Carbonate), 하이드로제네이티드폴리이소부텐 (Hydrogenated Polyisobutene), 글리세릴로지네이트 (Glyceryl Rosinate)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 (Sodium Polyacryl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산도 조절제는 트로메타민 및 소듐시트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용제는 화장료 조성물의 각각의 구성성분을 용해시키기 위한 물질이다. 바람직하게는 용제는 정제수, 프로판다이올, 벤질알코올, 에탄올, 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1-2-헥산다이올, 부톡시에탄올, 부틸아세테이트, n-부틸알코올, 옥타메칠사이클로테트라실록산, 에칠아세테이트 및 올레일 알코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전술한 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하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화장료에 통상적으로 배합되는 오일 성분, 보습제, 고분자 원료, 당류, 산화방지제, 완충제, 각종 추출액, 방부제, 색소 또는 향료 등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 이상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기재된 모든 성분은, 바람직하게는, 한국, 중국, 미국, 유럽, 일본 등의 관련 법규, 규범(예를 들어, 화장품 안전 기준 등에 관한 규정(한국), 화장품 안전 기술 규범(중국)) 등에서 규정한 최대 사용치를 초과하지 않는다. 즉, 바람직하게, 본 개시에 따른 유효성분 전달 강화용 조성물은 각국의 관련 법규, 규범에서 허용되는 함량 한도로 본 개시에 따른 성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연속상인 수상부에 염을 포함하고, 불연속상인 유상부에 폴리알킬실세스퀴옥세인을 포함하고, 별도의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는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부 성분이 수상부 내에 일정한 입자 크기를 가지고 균일하고 안정하게 분산되어 화장료 조성물 제형을 유지할 수 있으며, 경시 안정성이 우수하며, 외관 차별화 및 피부 발림성이 우수한 사용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직후 오일드랍 형상을 보여주는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정전기적 반발을 모식한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험예에 따른 수상부 및 유상부의 정전기적 반발을 모식한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원료들은 통상적인 원료 공급 업체로부터 구매하여 사용하였다.
제조예 1.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 제조
1-1.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을 갖는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단위는 중량%로 나타내었다.
순번 | 분류 | 성분명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1 | 유상부 | 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Isononyl Isononanoate) | 4 | 4 | 4 | 4 |
2 | 유상부 | Meadowfoam seed oil | 2 | 2 | 2 | 2 |
3 | 유상부 | 폴리알킬실세스퀘옥세인(polyalkylsilsesquioxane) | 0.1 | 0.08 | 0.1 | 1 |
4 | 수상부 | 카보머 | 0.2 | 0.2 | 0.2 | 0.2 |
5 | 수상부 | 트로메타민 | 0.16 | 0.16 | 0.16 | 0.16 |
6 | 수상부 | 프로판다이올 | 5 | 5 | 5 | 5 |
7 | 수상부 | 폴리글리세린-3 | 2 | 2 | 2 | 2 |
8 | 수상부 | UREA | 0.1 | 0.5 | 0.5 | 0.5 |
9 | 수상부 | HEPES | 0.1 | 0.5 | 0.5 | 0.5 |
10 | 수상부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구체적으로, 상기 표 1의 점증제를 제외한 수상부 원료를 아지믹서 (Agi mixer) 1,500 rpm 이하의 낮은 교반속도로 15분간 고르게 분산시켰다. 그 다음, 점증제를 미리 첨가한 수상부 원료와 함께 3,000 rpm으로 30분간 분산시켰다. 마지막으로 유상부 원료를 서서히 투입하여 완전히 교반 한 다음, 액체에 혼입된 거품을 제거하여 실시예 1 내지 4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1-2.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 제조
상기 실시예의 제조 방법과 동일하게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각각의 비교예 1 내지 4는 하기 표 2의 조성을 가지며, 단위는 중량%로 나타내었다.
순번 | 분류 | 성분명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1 | 유상부 | 아이소노닐아이소노나노에이트 (Isononyl Isononanoate) |
4 | 4 | 4 | 4 |
2 | 유상부 | Meadowfoam seed oil | 2 | 2 | 2 | 2 |
3 | 유상부 | 폴리알킬실세스퀘옥세인(polyalkylsilsesquioxane) | - | 0.05 | - | 0.1 |
4 | 수상부 | 카보머 | 0.2 | 0.2 | 0.2 | 0.2 |
5 | 수상부 | 트로메타민 | 0.16 | 0.16 | 0.16 | 0.16 |
6 | 수상부 | 프로판다이올 | 5 | 5 | 5 | 5 |
7 | 수상부 | 폴리글리세린-3 | 2 | 2 | 2 | 2 |
8 | 수상부 | UREA | - | - | 0.5 | - |
9 | 수상부 | HEPES | - | - | 0.5 | - |
10 | 수상부 | 정제수 | To 100 | To 100 | To 100 | To 100 |
실험예 1. 제조 직후 제형상 특징 평가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제조 직후 오일드롭이 제대로 잘 형성되었는지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내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는 균일한 크기를 가지는 오일 드롭을 형성하였다. 반면, 비교예 1 내지 3은 오일드롭 자체가 형성되지 않았으며, 비교예 4는 오일드롭은 형성하였으나, 오일드롭이 곧바로 수상에 제대로 분산되지 못하고 조성물 상층에 뜨는 현상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2. 제형 안정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 직후, 제조 후 30일 동안 상온 보관, 제조 후 30일 동안 50 ℃ 항온조에서 보관, 제조 후 형광빛에 2주간 노출하여 보관 및 냉동과 해동을 5회 반복하여 보관하는 조건으로 오일드롭이 제대로 잘 형성되었는지 및 유지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안정성 | 실시예1 | 실시예2 | 실시예3 | 실시예4 |
제조 직후 | 안정 | 안정 | 안정 | 안정 |
상온 | 안정 | 안정 | 안정 | 안정 |
50 ℃ 항온조 | 안정 | 안정 | 안정 | 안정 |
형광빛 2주 노출 | 안정 | 안정 | 안정 | 안정 |
냉동 및 해동 5회 | 안정 | 안정 | 안정 | 안정 |
상기 표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 내지 4는 제조 직후, 제조 후 30일 동안 상온 보관, 제조 후 30일 동안 50 ℃ 항온조에서 보관, 제조 후 형광빛에 2주간 노출하여 보관 및 냉동과 해동을 5회 반복하여 보관하는 조건에서 모두 균일하고 안정한 오일드롭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3. 끈적임 지수 및 마찰계수 평가
실시예 1과 대조군의 끈적임 지수 및 마찰계수를 평가하였다.
평가에 사용한 대조군은 유상부에 지방알코올 및 오일 겔화제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로, 지방알코올을 가온하여 녹인 후 수상내에서 균일하게 분산 후, 왁스경화 원리와 오일 겔화제를 이용한 왁스드롭 화장료 조성물이다. 대조군의 조성은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순번 | 분류 | 성분명 | 대조군 |
1 | 유상부 | 트리에칠헥사노인 | 1.7 |
2 | 유상부 | 세테아릴알코올 | 0.3 |
3 | 유상부 | 베헤닐알코올 | 0.4 |
4 | 유상부 | 폴리아마이드-8 | 0.6 |
5 | 수상부 | 카보머 | 0.45 |
6 | 수상부 | 트로메타민 | 0.16 |
7 | 수상부 | 펜틸렌글라이콜 | 12.5 |
8 | 수상부 | 정제수 | To 100 |
실시예 1 및 대조군의 비교는 인조가죽에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만능물성분석기 (Texture Analyser, TA XT plus, Stab le micro Systems, UK)를 이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을 눌렀다 떼었다 하면서 시간에 따른 수직 힘을 측정하였고, 끈적임과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알려진 AUC (Area Under Curve)를 계산하여 끈적임 정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인조가죽에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한 후, 마찰 계수 측정기 (friction coefficient tester, FPT-F1, Labthink)를 사용하여 화장료 조성물의 마찰계수 (N, force)를 측정하여 그 결과를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항목 | 대조군 | 실시예1 |
끈적임지수 (AUC) | 2.2 | 0.1 |
마찰계수 (N) | 1.335 | 0.867 |
상기 표 5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실시예 1은 지방알코올의 왁스나 오일 겔화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대조군보다 끈적임 지수 및 마찰계수가 개선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7)
- 폴리알킬실세스퀴옥세인 (Polyalkylsilsesquioxane)을 포함하고, 평균 입경이 0.01 내지 5 mm인 오일드롭 (Oil drop)의 형태인 유상부; 및
염을 포함하는 수상부;
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제를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유화제의 함량이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인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실세스퀴옥세인은 폴리메틸실세스퀴옥세인 (Polymethylsilsesquioxane), 폴리프로필실세스퀴옥세인 (Polypropylsilsesquioxane), 및 폴리카프릴릴실세스퀴옥세인 (polycaprylylsilsesquioxa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추가로 포함하는 수중유형(O/W)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헤페스 (HEPES, 2-[4-(2-hydroxyethyl)piperazin-1-yl]ethanesulfonic acid), 유레아 (UREA), 시트릭산 (Citric acid), 염화나트륨 (NaCl), 다이소듐이디티에이 (Disodium EDTA), 트라이소듐이디티에이 (Trisodium EDTA) 및 소듐시트레이트 (Sodium Citrat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알킬실세스퀴옥세인은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0.01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인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염은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0.1 내지 20 중량% 포함되는 것인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은 왁스 및 오일 겔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지 않거나, 상기 왁스 및 오일 겔화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함량이 총 화장료 조성물 중량 대비 1.0 중량% 미만인 수중유형 (O/W)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30067034 | 2023-05-24 | ||
KR1020230067034 | 2023-05-24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9555A true KR20240169555A (ko) | 2024-12-03 |
Family
ID=93589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67661A Pending KR20240169555A (ko) | 2023-05-24 | 2024-05-24 | 염과 폴리알킬실스퀴옥세인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69555A (ko) |
WO (1) | WO202424250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10596100B2 (en) * | 2012-12-19 | 2020-03-24 | L'oreal | Cosmetic compositions containing an alkoxysilane and a silsesquioxane resin |
DE102016207569A1 (de) * | 2016-05-03 | 2017-11-09 | Henkel Ag & Co. Kgaa | Feststoffstabilisierte Farbcremes und Kit zur Färbung von Haaren |
KR20220114470A (ko) * | 2021-02-08 | 2022-08-17 | (주)아모레퍼시픽 | 균일하게 분포된 기포를 포함하는 에멀젼 조성물 |
KR102488137B1 (ko) * | 2021-03-25 | 2023-01-16 | 주식회사 코스메카코리아 | 화장료 조성물 분산 장치 및 분산 방법, 이를 이용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
-
2024
- 2024-05-24 WO PCT/KR2024/007069 patent/WO2024242501A1/ko unknown
- 2024-05-24 KR KR1020240067661A patent/KR20240169555A/ko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242501A1 (ko) | 2024-11-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038334B2 (ja) | 可変的な透明度を有する水中油型のオルガノゲル化粧料組成物 | |
KR20120022822A (ko) | 피부 외용제 | |
CN111568782B (zh) | 一种具有改善皮肤屏障的纳米乳液组合物及其应用 | |
KR20120042396A (ko) | 폴리글리세릴 에스테르를 단독 유화제로 사용한 나노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KR101158281B1 (ko) | 수분 순간 방출형 고함수 유중수형 파운데이션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
CN111065372A (zh) | 化妆品基剂及使用其的皮肤化妆品 | |
KR101507090B1 (ko) | 보습력이 우수한 젤 타입의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 |
CN108697625A (zh) | 水性化妆品组合物 | |
KR20170065947A (ko) | 오일-볼 화장료 조성물 | |
JP2024059710A (ja) | 超吸収性ポリマーを含む組成物 | |
JP7017971B2 (ja) | 水中油型乳化化粧料 | |
CA2196982A1 (en) | Anti-acne cosmetic compositions | |
KR101070819B1 (ko) | 폴리 이온 복합체를 이용한 실리콘 중수 및 수중 실리콘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 |
KR102080458B1 (ko) | 백탁도가 감소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1981068B1 (ko) | 액정 유화 조성물을 함유하는 폼형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210050957A (ko) | 티타늄디옥사이드가 이중 분산된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
KR102574547B1 (ko) | 무기분체를 안정적으로 내포하는 워터 드롭 매크로 에멀젼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2004175736A (ja) | クレンジング用組成物 | |
KR20200109175A (ko) | 고형 자외선 차단용 화장료 조성물 | |
CN106102705A (zh) | 不含乳化剂的乳化化妆品组合物 | |
KR102202394B1 (ko) | 알긴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자외선 차단 화장료 조성물 | |
KR101221231B1 (ko) | 투명한 수중유형의 화장료 조성물 | |
KR20240169555A (ko) | 염과 폴리알킬실스퀴옥세인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 |
KR102625672B1 (ko) | 틴트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JPH11263721A (ja) | 水中油型ゴマージュ化粧料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4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405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