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68935A -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 - Google Patents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68935A
KR20240168935A KR1020247028033A KR20247028033A KR20240168935A KR 20240168935 A KR20240168935 A KR 20240168935A KR 1020247028033 A KR1020247028033 A KR 1020247028033A KR 20247028033 A KR20247028033 A KR 20247028033A KR 20240168935 A KR20240168935 A KR 2024016893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ing
platform
eye
surgical
fixat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28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제임스 와이. 촌
조엘 식첼라
로버트 제프리 헹
그레이스 추앙 리아오
애쉬시 신하
Original Assignee
알콘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콘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알콘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2401689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8935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30Devices for illuminating a surgical field, the devices having an interrelation with other surgical devices or with a surgical proced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 in contact-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0736Instruments for removal of intra-ocular material or intra-ocular injection, e.g. cataract instru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8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mainly rigid support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esthes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Patholog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고정 위치 수술 장치로부터 튜빙의 서비스 루프를 고정하도록 플랫폼이 구성된다. 플랫폼을 통해 서비스 루프의 테이핑 및 재테이핑을 피할 수 있다. 또한, 플랫폼은 수술 장치에 안정성을 제공하여 장치의 의도치 않은 위치 또는 배향의 변경을 방지한다. 이는 안과 수술 동안 주입 포트에서, 그리고 설치된 장치의 배향이 장치 성능에 도움을 주는 다른 유사한 장치에서 특히 유용하다.

Description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
수년간에 걸쳐, 안과 수술 분야에서 많은 비약적인 발전이 이루어져 왔다. 일부 안과 수술에서는, 유리체 절제술이 시술의 적어도 일부에 포함되기도 한다. 유리체 절제술은 환자의 안구에서 유리체액의 일부 또는 전체를 제거하는 것이다. 일부 경우에, 수술이 혼탁한 유리체액을 제거하는 것으로 제한된 경우, 유리체 절제술이 시술의 대부분을 구성할 수 있다. 그러나, 유리체 절제술은 백내장 수술, 망막 복구 수술, 황반 주름 또는 기타 여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술을 동반할 수 있다.
유리체액 자체는 투명한 겔로서 안구에 미리 배치된 캐뉼라를 통해 삽입되는 세장형 탐침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탐침은 유리체액을 제거하기 위한 중앙 채널을 포함한다. 또한, 캐뉼라는 평면부(pars plana)와 같이 안구 전방에 오프셋된 위치에 전략적으로 위치하는 구조적 지지 도관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탐침은 환자의 수정체 또는 각막 손상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안구에 안내 가능하게 삽입될 수 있다.
유감스럽게도, 유리체액을 제거하려면 유리체 절제 탐침의 채널을 통해 단순히 진공을 인가하는 것보다 더 많은 주의가 필요하다. 예를 들어, 유리체액을 제거하고자 하는 경우, 안구 내의 압력이 유지되도록 보장하기 위한 조치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주입 포트의 사용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안구에서 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중재술에서와 마찬가지로, 압력 균형이 유지되도록 안구로의 체액 유입을 수용하기 위해 미리 배치되는 다른 캐뉼라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안구 내부의 압력이 약 30 mm/Hg(밀리미터 수은(millimeters of mercury))일 수 있는 경우, 주입 포트를 사용하여 안구 내부의 압력을 예를 들어 약 15 mm/Hg 내지 약 60 mm/Hg로 유지할 수 있다.
안구의 전반적인 건강을 유지하는 것과는 별개로, 일반적으로 안구의 압력을 유지하는 것이 안과 시술에서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체 절제술에 더하여, 가위나 겸자와 같은 다른 기구를 사용하여 안구 내의 특정 구조적 특징부와 상호 작용하거나 이를 제거할 수 있다. 그러나, 압력이 너무 낮아지면, 이러한 구조적 특징부의 절단, 박리, 또는 다른 직접적인 상호 작용을 하지 못할 수 있다. 보다 더 우려되는 상황은 안구 내의 압력 강하가 너무 빨리 발생하는 상황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과의가 마이크로미터까지는 아니더라도 밀리미터 수준의 정확도를 필요로 하는 정밀도로 안구 특징부에 중재술을 실시할 수 있다는 사실을 가정해보자. 안구 압력의 임의의 급격한 변화는 특징부 위치의 상응하는 변화로 이어질 수 있다.
주입 포트 장치로 압력을 유지한다는 것은, 포트에 연결되는 튜브형 라인을 사용하여 주입 유체 또는 일부 경우에 공기를 공급하는 것을 의미한다. 여하튼, 이는, 환자 위쪽 부위의 외측부 드레이프(exterior drape) 또는 수술 시트를 관통하는 연장되는 튜브형 라인을 통해 고정 포트 장치가 미리 배치된 캐뉼라에 고정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라인은, 주입 포트 상으로 당겨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시트에 간단히 테이핑하여 그 위치를 고정한다. 고정되지 않은 라인을 관리하는 것에 더하여, 이는 또한 주입 포트의 배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는, 포트가 직각으로부터 너무 많이 기울어져 그로 인해 포트가 안구 내부에 위치하는 맥락막 조직과 상호작용하여 결국 주입 기능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물론, 주입 포트 라인을 테이핑 및 재테이핑하는 것은 외과의에게 있어 시간 소모적이고 번거로운 작업일 수 있다. 이는, 예를 들어 다른 위치에 미리 배치된 다른 캐뉼라에 대해 주입 포트를 재배치할 필요가 수차례 발생할 수 있는 안과 수술의 경우에 특히 그러하다. 그러나, 안구 내부에 대해 주입 포트를 적절하게 배향하여 막힘이 없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여전히 느슨한 라인을 필요에 따라 배향하고 테이핑 및 재테이핑이 이루어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고정된 위치로 유지되어야 하는 안과 수술에 활용되는 다른 수술 도구의 경우에도 유사한 상황이 또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명 기구의 경우에 이러한 경우가 많다. 즉, 대부분의 경우, 조명 기구는, 미리 배치된 다른 캐뉼라를 통해 배치되고 제자리에 고정된 걸이식 조명 기구일 수 있다. 특정 부위를 수술하는 동안 조명 기구의 배향이 중요할 수 있다. 즉, 안구 내부의 최적의 조명을 위해 위치를 잡은 후, 광의 배향을 이동하면 안구 내부의 가시성이 방해를 받을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조명 기구로부터 연장되는 전력 라인이 또한 제 위치에 테이핑되어 안구 수술 동안 조명 기구의 배향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물론, 주입 포트와 마찬가지로, 동일한 수술 동안 다양한 조명 위치가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조명 기구 라인을 테이핑 및 재테이핑하는 것이 다시 필요할 수 있다.
조명 기구, 주입 포트, 또는 기타 여러 고정 위치 장치에 관계 없이, 안과 수술의 경우, 외과의가 일상적으로 외부 라인 또는 튜빙을 테이핑 및 재테이핑해야 하는 필요성을 간단히 피할 수는 없다. 외과의는 일반적으로 이러한 라인 및/또는 튜빙을 단순히 그대로 방치해 둘 수는 없다. 따라서, 현재, 외과의는 대부분의 안과 수술 전반에 걸쳐 느슨한 여러 라인을 테이핑 및 재테이핑해야 하는 번거로운 작업을 할 수 밖에 없다.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을 활용하는, 안과 수술용 수술 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안구 위치에 미리 배치된 제1의 캐뉼라를 통해 외과 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핸드헬드형 기구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형태에서, 시스템은 또한 안구의 다른 위치에 미리 배치된 제2의 캐뉼라의 고정된 위치로부터 환자의 안구 내로 도달하기 위한 고정 기구를 포함한다.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을 사용하여 고정 기구에 커플링된 튜빙을 고정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예를 들어 수술하는 동안 환자의 안구에 대해 고정 기구가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배향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의 일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을 활용하여 드레이프 수술을 하는 동안의 환자의 안구의 상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플랫폼의 도움을 받아 고정 배향의 다수의 기구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술을 하는 동안의 안구의 측면 단면도이다.
도 4a는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의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사시도이다.
도 4b는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측면도이다.
도 4c는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의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형태의 다른 측면도이다.
도 5는 안과 수술 동안 기구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을 사용하는 일 실시형태를 요약한 흐름도이다.
이하의 설명에서, 본 개시 내용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여러 상세 내용이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당업자라면 설명된 실시형태가 이러한 구체적인 상세 내용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구체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 의해 여전히 고려되는 다양한 변형 또는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특정 유형의 유리체 절제 탐침 외과 시술을 참조하여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특히, 유리체 출혈(vitreous hemorrhage)을 해결하기 위해 유리체액을 제거하는 시술이 예시되어 있다. 이는, 또한, 시술하는 동안 안구 내 허용 가능한 압력 범위를 유지하기 위해 주입 포트가 고정된 위치에서 유지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원에 구체적으로 설명된 도구 및 기법은 다양한 다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은 유리체 절제 탐침의 실시형태가, 망막 박리, 황반 주름, 황반 구멍, 유리체 부유물, 당뇨병성 망막증 또는 다양한 기타 안구 질환을 해결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여하튼, 수반되는 기구 및 임의의 관련된 라인 또는 튜빙의 유지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을 시술에서 사용하는 한, 상당한 이점이 실현될 수 있다.
이제 도 1을 참조하면,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100)의 일 실시형태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100)은 안과 수술(안구(250) 참조)을 지원하기 위해 활용되는 고정 위치 기구(210)로부터 연장되는 튜빙(215)을 고정하도록 구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플랫폼(100)은, 기구(210)의 튜빙(215)을 유지하기 위한 위치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오리피스(165, 175)를 수반하는 다수의 슬롯(160, 170)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형태에서, 플랫폼(100)의 본체(150)는 튜빙(215)을 안전한 방식으로 유지하기 위한 크기의 오리피스(165, 175)를 갖는 다이 컷 폼(die cut foam)일 수 있다. 튜빙(215)에 가해지는 힘의 정도는, 튜빙(215)의 임의의 내부 유체 유동을 현저하게 방해하거나 제한하는 수준에 도달하지 않으면서 유지를 하는 정도면 충분할 수 있다.
예로서, 일 실시형태에서, 도 2의 튜빙(215)은 직경이 약 0.050 인치 내지 약 0.095 인치의 범위일 수 있고, 대응하는 오리피스(165)의 직경(D)은 약간 더 작은, 대략 5 내지 10% 더 작을 수 있다. 또한, 본체(150)는 약 1 인치 미만의 프로파일을 갖는 1 내지 2 인치 길이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은 실시형태에서, 플랫폼(100)이 다이 컷 폼인 경우, 결과적으로 튜빙(215)에 약간 일치하게 압착되어 고정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임의의 측정 가능한 형태의 제한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튜빙(215)의 움직임을 억제하기에 충분할 수 있다.
계속하여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플랫폼(100)은 제안된 바와 같이 튜빙(215)을 단단히 파지할 수 있다. 그러나, 플랫폼(100) 자체의 해당 고정 특성이 튜빙의 움직임을 더욱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플랫폼(100)의 본체(15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 측에 접착제(125)가 커플링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플랫폼(100)은, 예를 들어, 보다 격리된 수술 환경에서 안구(250)를 고정하기 위해, 이러한 외과 시술을 위해 일반적으로 제공되는 수술용 드레이프 또는 시트(201)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플랫폼(100)에 의해 튜빙(215)을 고정함으로써, 시트에서의 플랫폼(100)의 고정된 특성이 튜빙의 움직임을 억제하거나 환자에 대해 튜빙을 고정시키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에서 더 구체적으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이는, 수술하는 동안 안구(250)에 해당 기구(210)가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는 배향을 보장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용어 "튜빙"은, 도 2의 것과 같은 튜빙(215)이 중공형 또는 유체 통과형 내부 채널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는 점에 유의하여야 한다. 예를 들어, "튜빙"은 전력을 기구에 전달하는 데 사용되는 중합체 자켓 또는 다른 케이싱 구조물과 같은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고정 기구는, 본원에 설명되는 바와 같이(도 3 참조) 플랫폼(100)으로 고정함으로써 유용할 수 있는 자체 튜빙 또는 전력 라인 형태의 라인(315)을 갖는 걸이식 조명 기구(300)일 수 있다.
이제 도 2를 구체적으로 참조하면, 도 1의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100)을 활용하여 드레이프 수술을 하는 동안의 환자의 안구(250)의 상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다른 최소 침습 시술과 마찬가지로, 수술이 이루어지는 위생적으로 격리된 영역을 외과의에게 제공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환자의 수술 부위를 덮는 재료의 드레이프 또는 시트(201)가 종종 발견된다. 이러한 경우, 안구(250)가 보여진다. 안구(250)는 중앙에 위치한 각막(290) 및 공막(280)을 포함한다. 각막(290)의 예민한 특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오프셋 위치에서 공막(280)을 통해 중재술이 이루어지게 된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미리 배치된 3개의 개별 캐뉼라(220, 240, 280)가 공막 위치에 도시되어 있다. 회복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캐뉼라(220, 240, 280)는 이러한 최소 크기를 갖고 덜 예민한 공막(280)에 배치된다.
본원의 실시형태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러한 시나리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개별 캐뉼라를 배치하는 것은 안과 수술에서 매우 일반적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의 위치(280)가 제공되고, 이를 통해 수술 도구가 제공되어 안구(250) 내부에서 조작을 할 수 있고, 두 개의 다른 도구(하나는 조명용(240) 및 다른 하나는 주입 포트용(220))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또한 도 3 참조). 물론, 추가적인 위치가 포함될 수 있고 일부 경우에 그보다 더 적을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캐뉼라 위치(220, 240, 280)가 주입 포트(210)와 같은 고정 위치 기구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한,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100)을 사용할 수 있는 상당한 이점이 실현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는 수술 부위를 둘러싸는 시트(201)에 부착된 플랫폼(100)을 도시한다. 고정된 플랫폼(100) 및 본체(150)는 다시 주입 포트(210)와 같은 고정 위치 기구로부터 연장되는 튜빙(215)의 움직임을 고정/억제하는 데 활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튜빙(215)은 플랫폼(100)과 해당 캐뉼라(220) 사이에 서비스 루프(service loop)를 형성하도록 성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요성 튜빙(215)은 고정된 캐뉼라(220)와 플랫폼(100) 위치 사이에서 장력이 없는 상태로 놓여진다. 따라서, 튜빙(215)이 고정 포트(210) 상으로 임의의 강제적인 움직임을 가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예를 들어 안구(250)에 대해 실질적으로 직각인 배향으로 적절히 설치된 포트(210)는, 포트 배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튜빙의 중량에 의한 임의의 당김으로부터 보호된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이는 외과의가 튜빙(215)을 테이핑 및 재테이핑할 필요 없이 그리고 각 테이핑 및 재테이핑으로 적절한 서비스 루프를 형성할 필요 없이 달성된다.
안과 수술의 경우 테이핑 및 재테이핑 단계를 생략함으로써 외과의에게 특히 유용할 수 있다. 이는 안과 시술에서 기구의 호환성이 매우 일반적이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시나리오에 따라, 시술하는 동안 주입 포트(210)를 도시된 위치로부터 미리 배치된 캐뉼라(240)로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플랫폼(100)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면서, 더 이상 튜빙(215)의 테이핑을 제거하고 재테이핑할 필요성이 없어졌다. 대신에, 외과의는 튜빙(215)을 플랫폼(100)으로부터 분리하고, 포트(210)를 인접한 캐뉼라(240)에 재배치한 다음, 새로운 위치에 따라 새로운 경로 및 모양의 서비스 루프를 갖는 튜빙(215)을 플랫폼(100)에 다시 재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테이핑 및 재테이핑하는 공정보다 튜빙(215)을 고정시키는 것이 더 정확할 뿐만 아니라, 배치 변경 시에도 외과의의 효율성이 또한 향상된다.
이제 도 3을 참조하면, 도 1의 플랫폼(100)의 도움을 받아 고정 배향의 다수의 기구(210, 300)를 사용하여, 도 2에 도시된 것과 같은 수술을 하는 동안의 안구(250)의 측면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양 기구(210, 300)의 경우, 고정 배향은 안구(250)을 통과하는 수직 축으로부터 약 45˚(예를 들어, 약 45˚ 내지 135˚) 중심을 벗어난다. 또한, 고정 특성은, 양 기구(210, 300)에 대해 손이 자유로운 상태로 외과 시술을 진행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주입 포트(210) 또는 조명 기구(300)가 적절히 설치되고 배향된 경우, 정기적으로 중재술의 위치를 바꾸거나 깊이를 변경할 필요가 없을 수 있다. 따라서, 관련 튜빙(215, 315)이 포함되어 있는 한, 이러한 기구(215, 315)에 대한 어떠한 실질적인 추가 우려나 주의 없이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이는, 이제 미리 배치된 다른 캐뉼라(예를 들어, 도 2의 280)를 통해 유리체 절제 탐침과 같은 수동 중재술 도구에 주로 집중할 수 있는 외과의에게 상당히 유용하다.
계속하여 도 3 및 유리체 절제 시술의 예를 참조하면, 안구(250)의 내부(310)는, 통상적인 걸이식 조명 샹들리에 또는 다른 적합한 고정 위치 장치일 수 있는, 조명 기구(300)에 의해 조명된다. 따라서, 다른 캐뉼라(예를 들어, 도 2의 280)를 통한 유리체 절제술이, 예를 들어 망막(360) 또는 다른 더 예민한 특징부를 피하면서, 예시된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의 플랫폼(100)으로 관련 라인(315)을 안정적으로 유지함으로써, 조명의 신뢰성이 촉진될 수 있다.
안정적으로 고정된 조명에 더하여, 안구(250) 내의 압력이 또한 주입 포트(210)에 의해 더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즉, 플랫폼(100)을 사용하여 튜빙(215)을 안정적으로 유지하는 고유의 방식으로 인해, 또한 포트(210) 배향의 안정성이 보다 용이하게 보장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이는 포트(210)가 의도하지 않게 직각으로부터 너무 많이 기울어져 안구 내부(310)를 정의하는 맥락막(285) 표면에 의해 가려질 가능성을 줄여준다. 따라서, 안구 내부(310)의 충분한 압력이 예를 들어 약 15 내지 60 mm/Hg에서 유지될 수 있다. 이는 안구 건강에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외과의가 유리체 절제술이나 또는 시술의 다른 보다 직접적인 수동 작업을 수행하는 데에도 도움을 줄 수 있다. 충분한 압력은 가시화를 돕고, 외과의에게 안구의 특징을 보다 뚜렷한 방식으로 보여주며, 박리, 절단 또는 기타 조작적인 상호작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급격한 압력 변화를 방지하여 안구(250) 특징부의 갑작스러운 위치 변경으로 인해 수동으로 수술을 수행함으로써 안구(250)가 의도치 않게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고정 라인(315) 또는 튜빙(215)을 유지하는 것의 이점에 더하여, 플랫폼(100)은 안정적으로 고정된 재사용 가능한 장치를 제공한다. 따라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시술에서 기구 교체가 필요한 경우, 예를 들어 하나의 캐뉼라(240)에 위치하는 조명 기구(300)를 다른 캐뉼라(220)에 위치하는 주입 포트(210)와 바꿀 경우, 이는 부정확한 테이핑 및 재테이핑 없이 효율적으로 달성될 수 있다. 대신에, 외과의는, 필요한 경우, 라인(315) 및 튜빙(215)을 플랫폼(100)으로부터 간단히 제거하고, 기구(300, 210)의 새로운 위치에 피팅되는 새로운 서비스 루핑(service looping)으로 해당 위치에 재배치할 수 있다.
이제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401, 402, 403)의 대안적인 실시형태가 도시되어 있다. 도 4a의 실시형태에서, 본체(450)는 강성의 사출 몰딩된 플라스틱일 수 있다. 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착제 층(425)이 다시 제공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오리피스(460, 470, 480) 내의 유지는 폼 압축에 의한 것이 아닐 수 있다. 대신에, 도시된 오리피스(460, 470, 480)는, 서로 다른 튜빙 크기의 스냅 피팅으로 이어지는 돌출된 구조물(490)에 의해 또한 부분적으로 정의되는 슬롯으로서의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도 4b를 참조하면, 플랫폼(402)은 다시 본체(451) 및 접착제 층(426)을 포함한다. 이러한 실시형태에서, 본체(451)는 또한 곡선화된 외부 표면(405)으로 구성되어 외과의의 관점에서 보이는 표면의 양을 확장한다. 따라서, 튜빙을 오리피스(465 또는 467)로 지향시키기 위해 제공된 슬롯(461 또는 471)에 도달하는 것은 보다 인체 공학적으로 접근 가능한 방식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시 한번 말하지만, 도시된 실시형태에서, 오리피스(465, 467) 및 슬롯(461, 471)은 유지되는 튜빙의 크기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라인을 따라, 본체(451)는, 위에서 구체적으로 설명된 바와 같은 예상 튜빙 크기보다 약간 더 작은 크기의 오리피스(465, 467) 및 슬롯(461, 471)을 갖는 다이 컷 폼일 수 있다.
도 4c의 플랫폼(403)의 실시형태의 경우, 또 다른 다이 컷 폼 본체(452)가 하부의 접착제 층(427)과 함께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슬롯(462, 472)은, 아래의 오리피스(465, 467)에 도달하는 튜빙이 관통할 수 있는 닫힘 슬릿(463, 473)의 인체 공학적 배치를 위해 오목할 수 있다. 물론, 슬릿(463, 473)은, 튜빙이 오리피스(465, 467)를 관통할 때 분리될 수 있는, 접촉하는 두 개의 폼 측면을 포함한다. 그러나,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오리피스(465, 467)는, 튜빙을 통과하는 어떠한 유동도 실질적으로 제한하지 않는 압축 가능한 방식으로 플랫폼(403)에 의해 유지될 튜빙의 직경보다 5 내지 10% 더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 다른 실시형태에서, 본체(452)는, 오리피스 없이, 슬릿(463, 473)에서 종단되는 슬롯(462, 472)을 가질 수 있고, 이는 직접적으로 튜빙 유지를 달성하는 역할을 한다.
이제 도 5를 참조하면, 안과 수술 동안 기구의 고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을 사용하는 일 실시형태를 요약한 흐름도가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515에 언급된 바와 같이, 플랫폼은 안구에 인접한 수술용 시트에 고정된다. 이어서 고정 위치 기구가 안구 표면에서 캐뉼라를 통해 설치된다(530 참조). 560에 표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기구로부터의 튜빙의 서비스 루프가 플랫폼에 고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545에 표시된 바와 같이, 또 다른 기구가 또 다른 캐뉼라를 통해 안구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수동 또는 다른 이동식 중재술 장치이거나, 575에 표시된 바와 같이, 튜빙의 또 다른 서비스 루프가 플랫폼에 고정되는 또 다른 설치용 장치일 수 있다. 여하튼, 590에 표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 플랫폼에서 기구 튜빙을 제거하고 재고정함으로써, 테이핑하지 않는 방식으로 기구 위치를 효율적으로 바꿀 수 있다.
전술한 실시형태에는 고정 위치 수술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서비스 루프를 테이핑 및 재테이핑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고유의 장치 및 기법이 포함된다. 이는, 전술한 이유로 안과 수술 동안 주입 포트가 활용되는 경우에 특히 유용하다. 그러나, 이는 조명 기구와 같은 다른 고정 위치 수술 장치 또는 안과 수술 이외의 용도로 활용되는 장치에도 유용하다.
전술한 설명은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본원에 개시는 되어 있지만 상세히는 기술되어 있지 않은 실시형태의 또 다른 특징 및/또는 다른 실시형태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이들 실시형태가 속하는 기술 및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들 실시형태의 원리 및 범위로부터 의미적으로 벗어나지 않으면서 설명된 구조와 작동 방법에 대한 다른 대체 및 수정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전술한 설명은 첨부 도면에 설명되고 도시된 정확한 구조에만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오히려 가장 넓고 포괄적인 범위를 가져야 하는 다음의 청구범위와 일치하고 이를 지지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5)

  1. 수술을 용이하게 하는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으로서,
    수술 장치로부터 연장되는 튜빙을 환자의 고정된 수술 위치에서 수용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슬롯을 갖는 본체; 및
    상기 플랫폼을 상기 수술 위치에 인접한 수술 시트에 고정하기 위한, 상기 본체에 커플링되는 접착 메커니즘
    을 포함하는, 플랫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은 수용을 위한 오리피스에 대한 채널인, 플랫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리피스의 직경은 상기 튜빙의 외경보다 작은, 플랫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튜빙을 상기 오리피스에서 압축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다이 컷 폼으로 이루어지는, 플랫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다이 컷 폼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슬롯은 상기 튜빙을 상기 오리피스에서 압축 가능하게 유지하기 위한 슬릿에 대한 안내부인, 플랫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튜빙의 스냅 피팅 유지를 위한 강성의 몰딩된 구성을 갖는, 플랫폼.
  7. 안과 수술용 수술 시스템으로서,
    안구의 위치에 미리 배치된 제1의 캐뉼라를 통해 환자의 안구에서 시술을 수행하기 위한 핸드헬드형 기구;
    상기 안구의 다른 위치에 미리 배치된 제2의 캐뉼라에서 고정된 위치로부터 상기 환자의 안구 내로 도달하기 위한 고정 기구; 및
    상기 환자의 안구에 대한 상기 고정 기구의 고정 배향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기 고정 기구에 커플링된 튜빙의 움직임을 억제하기 위한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
    을 포함하는, 수술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튜빙은 유체 라인 및 전력 라인 중 하나인, 수술 시스템.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배향은 상기 환자의 안구에 대해 약 45° 내지 135°인, 수술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배향은 상기 환자의 안구에 대해 실질적으로 수직인, 수술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기구는 주입 포트 및 조명 기구 중 하나인, 수술 시스템.
  12. 안과 수술을 수행하는 방법으로서,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을 안구에 인접한 수술 시트에 고정하는 단계;
    고정 위치 기구를 상기 안구의 표면에 위치하는 캐뉼라를 통해 설치하는 단계; 및
    상기 기구로부터의 튜빙의 서비스 루프를 상기 플랫폼에 고정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또 다른 기구를 또 다른 위치에서 상기 안구의 표면에 위치하는 다른 캐뉼라를 통해 배치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또 다른 기구로부터의 튜빙의 또 다른 서비스 루프를 상기 플랫폼에 고정하는 단계; 및
    상기 또 다른 기구로 수동 시술을 수행하는 단계
    중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기구 위치를 상기 캐뉼라 사이에서 바꾸는 단계; 및
    상기 플랫폼에 상기 튜빙의 서비스 루프를 재고정하는 단계
    를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
KR1020247028033A 2022-03-31 2023-03-27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 Pending KR2024016893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263362229P 2022-03-31 2022-03-31
US63/362,229 2022-03-31
PCT/IB2023/053016 WO2023187609A1 (en) 2022-03-31 2023-03-27 Slotted tubing security platfor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8935A true KR20240168935A (ko) 2024-12-02

Family

ID=86053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28033A Pending KR20240168935A (ko) 2022-03-31 2023-03-27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30310810A1 (ko)
EP (1) EP4499196A1 (ko)
KR (1) KR20240168935A (ko)
CN (1) CN118748946A (ko)
AU (1) AU2023244661A1 (ko)
WO (1) WO20231876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281965A (ja) * 1986-05-29 1987-12-07 テルモ株式会社 カテ−テルおよびカテ−テル用固定部材
US6290676B1 (en) * 1989-07-24 2001-09-18 Venetec International, Inc. Catheter anchoring system
US5226892A (en) * 1991-08-23 1993-07-13 Boswell Thomas A Surgical tubing clamp
JP2013507186A (ja) * 2009-10-06 2013-03-04 ヴェネテック・インターナショナ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スナップクランプを有する安定化デバイス
US10485955B2 (en) * 2009-11-18 2019-11-26 Bioderm, Inc. Securement device for polymer tubing and polymer coated cables
WO2012145683A1 (en) * 2011-04-21 2012-10-26 Venetec International, Inc. Anchor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748946A (zh) 2024-10-08
AU2023244661A1 (en) 2024-08-08
US20230310810A1 (en) 2023-10-05
EP4499196A1 (en) 2025-02-05
WO2023187609A1 (en) 2023-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71254A (en) Eye fixation device
ES2536085T3 (es) Lente de contacto quirúrgica oftalmoscópica
US20190167087A1 (en) Illuminated ophthalmic infusion line and associated devices, systems, and methods
US9615892B2 (en) Surgical drapes with patches to provide ports
EP3310309B1 (en) Contact lens mounting speculum for vitreoretinal surgery
US7141048B1 (en) Vitreoretinal instrument
BRPI0720948A2 (pt) Sistema de cânula de trocarte, e, método para prender um instrumento microcirúrgico dentro de uma cânula de trocarte.
CN111031945B (zh) 具有眼内压激活的密封件的进入插管
US20210128195A1 (en) Force fit eye cannula with augmented surface
KR20240168935A (ko) 슬롯식 튜빙 고정 플랫폼
US20120316490A1 (en) Surgical system for dampening vibrations between a cannula and a surgical instrument
JP2005501666A (ja) 網膜血管にカニューレを挿入する装置および方法
JP2025510522A (ja) スロット付きチューブセキュリティプラットフォーム
CN111345938B (zh) 一种玻切套管
EP3043694B1 (en) Illuminated lens apparatus
Chandra et al. Hybrid clear corneal micro-incision surgical technique for stage 5 retinopathy of prematurity
ES2777881A1 (es) Sonda de vitrectomia
KR102448534B1 (ko) 고정 슬리브를 갖는 일루미네이터
CN113017983B (zh) 一种套管组件及用于后极部玻璃体切割手术的套管针系统
JP2025064218A (ja) 眼科手術用器具の支持デバイス
CN215080770U (zh) 一种眼科手术镊
CN219480574U (zh) 眼科术中结膜囊引流装置
US20240341804A1 (en) Multiple cannula trocar assembly
KR101865568B1 (ko) 안과용 보조기구
Kovacs et al. Secondary Scleral Fixation of 3-Piece Intraocular Lens Using 27-Gauge Vitrectomy Troca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8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