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67587A - Gv1001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Gv1001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67587A KR20240167587A KR1020240064462A KR20240064462A KR20240167587A KR 20240167587 A KR20240167587 A KR 20240167587A KR 1020240064462 A KR1020240064462 A KR 1020240064462A KR 20240064462 A KR20240064462 A KR 20240064462A KR 20240167587 A KR20240167587 A KR 202401675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cular degeneration
- degeneration
- preventing
- retinal pigment
- pharmaceutical composi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08000002780 macular degeneration Diseas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description 6
- 239000008194 pharmaceutical composit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5
- 108090000765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Protein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2
- 125000003275 alpha amino acid group Chemical group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206010064930 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Diseases 0.000 claims description 49
- 210000000844 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claims description 36
- 230000007850 degener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5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3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9
- 201000007737 Retinal degeneration Disease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4258 retinal degeneration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06010067484 Adverse reaction Diseases 0.000 abstract 1
- 230000006838 adverse reac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11282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3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8
- 238000010172 mouse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17
- 241000872931 Myoporum sandwicense Species 0.000 description 16
- 230000036542 oxidative str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5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02203 pre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4
- 238000011156 evalu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642 reactive oxygen metabol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7774 longterm Effects 0.000 description 12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3583 retinal pigment epithelium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10000001578 tight junction Anatomy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9
- 230000007705 epithelial mesenchymal trans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9
- KPKZJLCSROULON-QKGLWVMZSA-N Phalloidin Chemical compound N1C(=O)[C@@H]([C@@H](O)C)NC(=O)[C@H](C)NC(=O)[C@H](C[C@@](C)(O)CO)NC(=O)[C@H](C2)NC(=O)[C@H](C)NC(=O)[C@@H]3C[C@H](O)CN3C(=O)[C@@H]1CSC1=C2C2=CC=CC=C2N1 KPKZJLCSROULON-QKGLWVMZSA-N 0.000 description 8
- 150000001413 amino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8
- 210000002919 epithelial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8
- XZWYZXLIPXDOLR-UHFFFAOYSA-N metformin Chemical compound CN(C)C(=N)NC(N)=N XZWYZXLIPXDO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29960003105 metformin Drugs 0.000 description 8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7
- 208000008069 Geographic Atrophy Diseases 0.000 description 6
- OKKJLVBELUTLKV-UHFFFAOYSA-N Methanol Chemical compound OC OKKJLVBELUTL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NQRYJNQNLNOLGT-UHFFFAOYSA-N Piperidine Chemical compound C1CCNCC1 NQRYJNQNLNOLG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102000000591 Tight Junction Protein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6
- 108010002321 Tight Junction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6
- 210000005081 epithelial layer Anatomy 0.000 description 6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6
- 239000013641 posi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0790 retinal pigm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360 tes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795 ve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6
- MHAJPDPJQMAIIY-UHFFFAOYSA-N Hydrogen peroxide Chemical compound OO MHAJPDPJQMAII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08000000208 Wet Macular Degene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10000003161 choroid Anatomy 0.000 description 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1347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20005989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125000003088 (fluoren-9-ylmethoxy)carbonyl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4
- SJRJJKPEHAURKC-UHFFFAOYSA-N N-Methylmorpholine Chemical compound CN1CCOCC1 SJRJJKPEHAURK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108010009711 Phalloidine Proteins 0.000 description 4
- DTQVDTLACAAQTR-UHFFFAOYSA-N Trifluoroacet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F)(F)F DTQVDTLACAAQT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771 cell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0170 cell membran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3642 negative contr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2207 ret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40124597 therapeutic agent Drugs 0.000 description 4
- 102000000905 Cadher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50007957 Cadherin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RTZKZFJDLAIYFH-UHFFFAOYSA-N Diethyl ether Chemical compound CCOCC RTZKZFJDLAIYF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278 EU approved seasonin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73929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102000005789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3
- 108010019530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s Protein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76 cleavage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3399 edible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194 food season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5000015203 fruit ju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2149 nood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647 peptide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2265 preven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7017 sc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54 subcutane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7929 subcutaneous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DHBXNPKRAUYBTH-UHFFFAOYSA-N 1,1-ethanedithiol Chemical compound CC(S)S DHBXNPKRAUYBTH-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740 C57BL/6 mous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41000699670 Mus sp. Species 0.000 description 2
- 102000013127 Vimenti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65472 Vimen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34 alcoholic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443 algin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0615 algin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71 animal model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4204 blood vessel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5000008429 brea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775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9508 confectionery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5 dairy produc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085 dilu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39 emul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96 flavor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55 food flavoring ag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402 health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NPZTUJOABDZTLV-UHFFFAOYSA-N hydroxybenzotriazole Substances O=C1C=CC=C2NNN=C12 NPZTUJOABDZTL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253 intravenous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HQKMJHAJHXVSDF-UHFFFAOYSA-L magnesium stearate Chemical compound [Mg+2].CCCCCCCCCCCCCCCCCC([O-])=O.CCCCCCCCCCCCCCCCCC([O-])=O HQKMJHAJHXVSDF-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72 meat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5000015097 nutrien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 pH regulator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546 pharmaceutical excip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144 pharmacolog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766 physiolog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6187 pil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449 preven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102000004196 processed proteins & 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21067 refined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580 sausag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90 solid ph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26 tab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ZGYICYBLPGRURT-UHFFFAOYSA-N tri(propan-2-yl)silicon Chemical compound CC(C)[Si](C(C)C)C(C)C ZGYICYBLPGRUR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10000003462 ve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10000005048 vimentin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82 vitam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43 vitam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40088594 vitamin Drugs 0.000 description 2
- 229930003231 vitamin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2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ZPGDWQNBZYOZTI-SFHVURJKSA-N (2s)-1-(9h-fluoren-9-ylmethoxycarbonyl)pyrrolidi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H]1CCCN1C(=O)OCC1C2=CC=CC=C2C2=CC=CC=C21 ZPGDWQNBZYOZTI-SFHVURJKSA-N 0.000 description 1
- REITVGIIZHFVGU-IBGZPJME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3-[(2-methylpropan-2-yl)oxy]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C(=O)N[C@@H](COC(C)(C)C)C(O)=O)C3=CC=CC=C3C2=C1 REITVGIIZHFVGU-IBGZPJMESA-N 0.000 description 1
- ADOHASQZJSJZBT-SANMLTNE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3-[1-[(2-methylpropan-2-yl)oxycarbonyl]indol-3-yl]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2=CC=CC=C2N(C(=O)OC(C)(C)C)C=C1C[C@@H](C(O)=O)NC(=O)OCC1C2=CC=CC=C2C2=CC=CC=C21 ADOHASQZJSJZBT-SANMLTNESA-N 0.000 description 1
- JAUKCFULLJFBFN-VWLOTQAD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3-[4-[(2-methylpropan-2-yl)oxy]phenyl]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OC(C)(C)C)=CC=C1C[C@@H](C(O)=O)NC(=O)OCC1C2=CC=CC=C2C2=CC=CC=C21 JAUKCFULLJFBFN-VWLOTQADSA-N 0.000 description 1
- SJVFAHZPLIXNDH-QFIPXVFZ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3-phenyl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H](C(=O)O)NC(=O)OCC1C2=CC=CC=C2C2=CC=CC=C21)C1=CC=CC=C1 SJVFAHZPLIXNDH-QFIPXVFZSA-N 0.000 description 1
- CBPJQFCAFFNICX-IBGZPJME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4-methyl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C(=O)N[C@@H](CC(C)C)C(O)=O)C3=CC=CC=C3C2=C1 CBPJQFCAFFNICX-IBGZPJMESA-N 0.000 description 1
- BUBGAUHBELNDEW-SFHVURJK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4-methylsulfanyl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C(=O)N[C@@H](CCSC)C(O)=O)C3=CC=CC=C3C2=C1 BUBGAUHBELNDEW-SFHVURJKSA-N 0.000 description 1
- KJYAFJQCGPUXJY-UMSFTDKQ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4-oxo-4-(tritylamino)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H](C(=O)O)NC(=O)OCC1C2=CC=CC=C2C2=CC=CC=C21)C(=O)NC(C=1C=CC=CC=1)(C=1C=CC=CC=1)C1=CC=CC=C1 KJYAFJQCGPUXJY-UMSFTDKQSA-N 0.000 description 1
- OTKXCALUHMPIGM-FQEVSTJZ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5-[(2-methylpropan-2-yl)oxy]-5-oxo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C(=O)N[C@@H](CCC(=O)OC(C)(C)C)C(O)=O)C3=CC=CC=C3C2=C1 OTKXCALUHMPIGM-FQEVSTJZSA-N 0.000 description 1
- WDGICUODAOGOMO-DHUJRADR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5-oxo-5-(tritylamino)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C@@H](C(=O)O)NC(=O)OCC1C2=CC=CC=C2C2=CC=CC=C21)CC(=O)NC(C=1C=CC=CC=1)(C=1C=CC=CC=1)C1=CC=CC=C1 WDGICUODAOGOMO-DHUJRADRSA-N 0.000 description 1
- UMRUUWFGLGNQLI-QFIPXVFZ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6-[(2-methylpropan-2-yl)oxycarbonylamino]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C(=O)N[C@@H](CCCCNC(=O)OC(C)(C)C)C(O)=O)C3=CC=CC=C3C2=C1 UMRUUWFGLGNQLI-QFIPXVFZSA-N 0.000 description 1
- VCFCFPNRQDANPN-IBGZPJME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hex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C(=O)N[C@@H](CCCC)C(O)=O)C3=CC=CC=C3C2=C1 VCFCFPNRQDANPN-IBGZPJMESA-N 0.000 description 1
- QWXZOFZKSQXPDC-NSHDSACASA-N (2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prop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C(=O)N[C@@H](C)C(O)=O)C3=CC=CC=C3C2=C1 QWXZOFZKSQXPDC-NSHDSACASA-N 0.000 description 1
- HNICLNKVURBTKV-NDEPHWFRSA-N (2s)-5-[[amino-[(2,2,4,6,7-pentamethyl-3h-1-benzofuran-5-yl)sulfonylamino]methylidene]amino]-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2=CC=CC=C2C2=CC=CC=C2C1COC(=O)N[C@H](C(O)=O)CCCN=C(N)NS(=O)(=O)C1=C(C)C(C)=C2OC(C)(C)CC2=C1C HNICLNKVURBTKV-NDEPHWFRSA-N 0.000 description 1
- LZOLWEQBVPVDPR-VLIAUNLRSA-N (2s,3r)-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3-[(2-methylpropan-2-yl)oxy]bu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C(=O)N[C@@H]([C@H](OC(C)(C)C)C)C(O)=O)C3=CC=CC=C3C2=C1 LZOLWEQBVPVDPR-VLIAUNLRSA-N 0.000 description 1
- QXVFEIPAZSXRGM-DJJJIMSYSA-N (2s,3s)-2-(9h-fluoren-9-ylmethoxycarbonylamino)-3-methylpentanoic acid Chemical compound C1=CC=C2C(COC(=O)N[C@@H]([C@@H](C)CC)C(O)=O)C3=CC=CC=C3C2=C1 QXVFEIPAZSXRGM-DJJJIMSYSA-N 0.000 description 1
- XDFNWJDGWJVGGN-UHFFFAOYSA-N 2-(2,7-dichloro-3,6-dihydroxy-9h-xanthen-9-yl)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C1C2=CC(Cl)=C(O)C=C2OC2=CC(O)=C(Cl)C=C21 XDFNWJDGWJVGG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FHVDTGUDJYJELY-UHFFFAOYSA-N 6-{[2-carboxy-4,5-dihydroxy-6-(phosphanyloxy)oxan-3-yl]oxy}-4,5-dihydroxy-3-phosphanyloxane-2-carboxylic acid Chemical compound O1C(C(O)=O)C(P)C(O)C(O)C1OC1C(C(O)=O)OC(OP)C(O)C1O FHVDTGUDJYJELY-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468 Actinopterygii Specie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XLOQQCSPSA-N Alpha-Lact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O)[C@@H](CO)O[C@H]1O[C@@H]1[C@@H](CO)O[C@H](O)[C@H](O)[C@H]1O GUBGYTABKSRVRQ-XLOQQCSPSA-N 0.000 description 1
- 102000013455 Amyloid beta-Peptid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10090849 Amyloid beta-Peptid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01000004569 Blindnes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PTHCMJGKKRQCBF-UHFFFAOYSA-N Cellulose, microcrystalline Chemical compound OC1C(O)C(OC)OC(CO)C1OC1C(O)C(O)C(OC)C(CO)O1 PTHCMJGKKRQCBF-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95 Cytoki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27 Cytoki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FSIIMWSLSA-N D-Glucitol Natural products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FSIIMWSL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KVTDHHQDSA-N D-Mann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KVTDHHQDSA-N 0.000 description 1
- FBPFZTCFMRRESA-JGWLITMVSA-N D-gluc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H](O)CO FBPFZTCFMRRESA-JGWLITMV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5 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53 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2495 Dietary Plant Protein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86 Erythr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UHFFFAOYSA-N Erythr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 UNXHWFMMPAWVPI-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602 FDA-approved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40000008620 Fagopyrum esculentum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9419 Fagopyrum esculent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8010010803 Gelatin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69 Glycine max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4000068988 Glycine max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84 Gum arabic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GUBGYTABKSRVRQ-QKKXKWKRSA-N Lactose Natural products OC[C@H]1O[C@@H](O[C@H]2[C@H](O)[C@@H](O)C(O)O[C@@H]2CO)[C@H](O)[C@@H](O)[C@H]1O GUBGYTABKSRVRQ-QKKXKWKRSA-N 0.000 description 1
- 206010025421 Macul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5719 Macul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913 Maltodextr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774 Maltodextr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41000124008 Mammal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29930195725 Mannitol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68 Microcrystalline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080 Myopic macular degene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9113 Neovascularis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230 Pectic acid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108010017842 Telomerase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44000269722 Thea sinens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TVXBFESIOXBWNM-UHFFFAOYSA-N Xylitol Natural products OCCC(O)C(O)C(O)CCO TVXBFESIOXBWN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89 acacia g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05 acacia g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2 add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08010081667 aflibercept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2056 algin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783 algi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126 algin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4781 algi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CWERGRDVMFNCDR-UHFFFAOYSA-N alpha-mercaptoacetic acid Natural products OC(=O)CS CWERGRDVMFNCD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78 beef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0 bleed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21 but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8 calcium silic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918 calcium silic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41 calcium silic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OYACROKNLOSFPA-UHFFFAOYSA-N calcium;dioxido(oxo)silane Chemical compound [Ca+2].[O-][Si]([O-])=O OYACROKNLOSFP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74 canned frui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720 carbohydrat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633 carbohydr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171 carbonated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10307 cell trans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13 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13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0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678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51 chee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219 chocol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84 colloidal syste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124301 concurrent medicatio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96 convention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510 cooky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11 deprotec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1 develop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25 dextrin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21 dext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872 dietary supplement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651 drinking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188 drinking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37 drug carri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11325 dry age related macular degener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57 edible vegetable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92 electroly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414 erythr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UNXHWFMMPAWVPI-ZXZARUISSA-N erythr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O UNXHWFMMPAWVPI-ZXZARUIS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09714 erythr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142 ex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47 exhibi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8000030533 eye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51306 eylea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925 fa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197 fa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88 fis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99 fluorescence microscop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3 food additiv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778 food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1 frozen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159 gelat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273 gelat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22 gelat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52 gelatine dessert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7 granular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02 growth fac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128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43 ice cream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361 intraarteri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834 intracellular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8 intramuscular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55 intramuscular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7 intramuscular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2 intraperitone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8 intraperitoneal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3 intrathec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990 intraven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1 lact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95 liquid chromatography mass spectromet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144972 livestock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359 magnesium stear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5 malt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9 malt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QHSOMBJVWLPSR-WUJBLJFYSA-N malt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C@H](O)CO)O[C@H]1O[C@H](CO)[C@@H](O)[C@H](O)[C@H]1O VQHSOMBJVWLPSR-WUJBLJFYSA-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436 malt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29940035034 maltodextrin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94 mann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5 mann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1855 mann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0 margari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64 margar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UHFFFAOYSA-N meso ribitol Natural products OCC(O)C(O)C(O)CO HEBKCHPVOIAQT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503 metabol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609 methyl cellulos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923 methyl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981 methyl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LXCFILQKKLGQFO-UHFFFAOYSA-N methylparaben Chemical compound COC(=O)C1=CC=C(O)C=C1 LXCFILQKKLGQF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813 microcrystalline cellulos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8 microcrystalline cellul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40016286 microcrystalline cellulos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480 mineral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6 mineral oi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56 molecular mechanism Effects 0.000 description 1
- NALMPLUMOWIVJC-UHFFFAOYSA-N n,n,4-trimethylbenzeneamine oxide Chemical compound CC1=CC=C([N+](C)(C)[O-])C=C1 NALMPLUMOWIVJ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7524 organic aci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5000005985 organic acid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11 parenteral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310 pathophysiolog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LCLHHZYHLXDRQG-ZNKJPWOQSA-N pectic acid Chemical compound O[C@@H]1[C@@H](O)[C@@H](O)O[C@H](C(O)=O)[C@@H]1OC1[C@H](O)[C@@H](O)[C@@H](OC2[C@@H]([C@@H](O)[C@@H](O)[C@H](O2)C(O)=O)O)[C@@H](C(O)=O)O1 LCLHHZYHLXDRQG-ZNKJPWOQ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0 pizz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318 polygalacturon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855 polyvinylpyrrolidon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267 polyvinylpyrrolido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36 polyvinylpyrrolido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953 preparative HPLC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755 preservative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37 promo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QELSKZZBTMNZEB-UHFFFAOYSA-N propylparaben Chemical compound CCCOC(=O)C1=CC=C(O)C=C1 QELSKZZBTMNZE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3415 propylparaben Drug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6239 protecting group Chemical group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8102 protei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02000004169 proteins and genes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108090000623 proteins and genes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746 pur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1525 retin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067 sauc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45 sensiti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1888 snack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97 sodium iod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281 sodium iod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2753 sodium iodate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01 soft capsu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56 sorb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00 sorb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920 sorb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4347 soup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555 soy sau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381 stab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86 stain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29940032147 starch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8 start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920 subcutaneous administ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467 substitu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29 suppositor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4891 sympto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188 syrup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357 syrup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54 tal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623 tal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22 talc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616 te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62 thicken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9 top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20 toxicity test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11 vegetabl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722 vitamin derivative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447 xylitol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11 xylit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HEBKCHPVOIAQTA-SCDXWVJYSA-N xylitol Chemical compound OC[C@H](O)[C@@H](O)[C@H](O)CO HEBKCHPVOIAQTA-SCDXWVJYSA-N 0.000 description 1
- 229960002675 xylitol Drug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7—Amino acids, peptides or proteins
- A23L33/18—Peptides; Protein hydrolysate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0—Peptides having 12 to 20 amino acid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senses
- A61P27/02—Ophthalmic agent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yc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함으로써 망막 변성 감소 효과를 나타내고 생체에 안전하여 이상반응을 포함하는 부작용이 적은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GV1001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노년성 황반변성(age-related macular degeneration, AMD)은 상이 맺히는 망막의 중심부인 황반의 기능이 손상되어 시야의 중심부터 점점 시력이 저하되면서 실명에 이르게 되는 안질환이다. 노년성 황반변성은 드루젠(drusen) 및 아밀로이드 베타(amyloid beta, Aβ)와 같은 세포대사 노폐물들이 쌓여 나타나는 건성 황반변성(dry AMD)과 신생혈관이 생성되어 출혈 혹은 체액 누수에 의해 시력을 잃게 되는 습성 황반변성(wet AMD)으로 나눌 수 있다.
건성 황반변성은 산화스트레스(oxidative stress)와 같은 스트레스 상황에 지속적으로 노출됨에 따라 망막세포(retinal cell) 사멸 및 망막세포 변성(degeneration)이 초래되어 나타난다. 망막세포의 사멸과 변성은 치밀한 구조의 망막층이 헐거워지게 만들고, 분비된 사이토카인(cytokine)과 성장인자(growth factor)에 의한 신생혈관생성(neovascularization)은 습성 황반변성으로 전환되게 하므로 건성 황반변성 단계에서의 치료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습성 황반변성의 경우, 혈관내피세포 성장인자(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VEGF)에 의한 신생혈관 생성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현재 Eylea®와 같은 VEGF를 표적으로 하는 약물을 치료제로 이용하고 있다.
상용화된 치료제가 많은 습성 황반변성과 달리, 건성 황반변성은 현재까지 FDA가 승인한 약물이 1개에 불과하다. 따라서 노년성 황반변성의 초기 진행단계를 조절할 수 있는 건성 황반변성 치료제 개발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활성산소종(reactive oxygen species, ROS)을 저감하고, 망막색소상피세포(retinal pigment epithelial cell, RPE cell)의 변성을 감소시킴으로써 노년성 황반변성을 치료하고자 예의 연구한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년성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노년성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2. 위 1에 있어서, 황반변성은 노년성 황반변성인 약학 조성물.
3. 위 1에 있어서, 약학 조성물은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변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황반변성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4. 위 1 내지 3 중 어느 하나의 약학 조성물; 및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이 기재된 지시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
5. 위 4에 있어서,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약학 조성물을 황반변성이 발병했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6.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7. 위 6에 있어서, 황반변성은 노년성 황반변성인 건강기능식품.
8. 위 6에 있어서, 건강기능식품은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변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황반변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본 발명의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은 노년성 황반변성 망막색소상피세포 모델에서 세포의 변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망막 변성의 억제 및/또는 치료 효과를 나타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황반변성의 치료, 개선 또는 예방에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및 건강기능식품은 다수의 임상실험에서 독성 실험을 완료하고 부작용에 대한 안전성을 확인한 바 있는 GV100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함으로써 황반변성을 예방, 개선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 키트 및 건강기능식품은 향후 황반변성으로 고통받는 환자 및 그 가족들에게 경제적 또는 인수학적인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본 발명은 GV1001의 황반변성에 대한 약리효과의 기전을 규명함으로써 황반변성의 발병에 대한 병태생리의 이해를 돕고 향후 새로운 치료제 개발에 원동력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도 1은 GV1001 단기 투여 효과 평가 시험에 이용한 GV1001 pre-treatment 동물 실험군에 대한 GV1001 투여 시기 및 실험 일정을 나타낸다.
도 2는 GV1001 단기 투여 효과 평가 시험에 이용한 GV1001 post-treatment 동물 실험군에 대한 GV1001 투여 시기 및 실험 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GV1001 단기 투여 효과 평가 시험에 이용한 양성 대조군 약물 투여 시기 및 실험 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GV1001 장기 투여 효과 평가 시험에 이용한 GV1001 pre-treatment 동물 실험군에 대한 GV1001 투여 시기 및 실험 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GV1001 장기 투여 효과 평가 시험에 이용한 GV1001 post-treatment 동물 실험군에 대한 GV1001 투여 시기 및 실험 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GV1001의 활성산소종 저감 효능 확인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GV1001의 상피-중간엽 전이 저감 효능 확인 결과를 나타낸다.
도 8 및 9는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GV1001의 단기 투여에 의한 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 및 11은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GV1001의 장기 투여에 의한 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는 GV1001 단기 투여 효과 평가 시험에 이용한 GV1001 post-treatment 동물 실험군에 대한 GV1001 투여 시기 및 실험 일정을 나타낸다.
도 3은 GV1001 단기 투여 효과 평가 시험에 이용한 양성 대조군 약물 투여 시기 및 실험 일정을 나타낸다.
도 4는 GV1001 장기 투여 효과 평가 시험에 이용한 GV1001 pre-treatment 동물 실험군에 대한 GV1001 투여 시기 및 실험 일정을 나타낸다.
도 5는 GV1001 장기 투여 효과 평가 시험에 이용한 GV1001 post-treatment 동물 실험군에 대한 GV1001 투여 시기 및 실험 일정을 나타낸다.
도 6은 GV1001의 활성산소종 저감 효능 확인 결과를 나타낸다.
도 7은 GV1001의 상피-중간엽 전이 저감 효능 확인 결과를 나타낸다.
도 8 및 9는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GV1001의 단기 투여에 의한 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0 및 11은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GV1001의 장기 투여에 의한 효능을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는 이의 기능적 동등물을 포함한다. "기능적 동등물"이란 아미노산의 부가, 치환 또는 결실의 결과,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과 적어도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또는 95% 이상의 서열 상동성을 갖는 것으로,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와 실질적으로 동질의 생리활성을 나타내는 펩티드를 의미한다. "실질적으로 동질의 생리활성"이란 황반변성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에 관여하는 활성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황반변성"은 노년성 황반변성, 연령관련 황반변성, 노인 황반변성, 근시성 황반변성 및 황반이영양증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노년성 황반변성"은 건성 황반변성 및 습성 황반변성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황반변성은 노년성 황반변성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황반변성은 건성 황반변성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예방"은 황반변성을 억제 또는 지연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치료"는 황반변성이 발병한 것으로 의심되거나, 발병한 개체의 증상을 호전시키거나 이롭게 변경시키는 모든 행위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활성산소종을 저감함으로써 황반변성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변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황반변성을 예방하거나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개체"는 황반변성이 발병하였거나 발병할 수 있는 가축 및 마우스 등의 모든 동물을 의미하며, 예컨대 인간을 포함한 포유동물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단독으로 포함하거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이 포함할 수 있는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는 락토오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즈, 덱스트린, 말토덱스트린,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즈,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또는 광물유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이 기재된 지시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서,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황반변성이 발병했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투여"란 적절한 방법으로 개체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구강, 정맥내, 근육내, 동맥내, 골수내, 경막내, 심장내, 경피, 피하, 복강내, 비강내, 장관, 국소, 설하 또는 직장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을 비경구 투여하는 경우, 피부 외용 또는 복강내주사, 직장내주사, 피하주사, 정맥주사, 근육내 주사 또는 흉부내 주사 주입방식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고형 제제, 예컨대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또는 캡슐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경구 투여를 위한 액상 제제, 예컨대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 예컨대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또는 좌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의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을 황반변성이 발병했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황반변성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의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황반변성의 중증도, 약학 조성물의 활성도, 개체 또는 환자의 약학 조성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 기간 및 병용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으며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고,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으며, 이는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인체에 유용한 기능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양한 형태로 제조 및/또는 가공된 식품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당업계에 알려진 여러 가지 식품 또는 의약품 등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이 포함될 수 있는 식품의 종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 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에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 영양 보조제(nutritional supplement), 건강식품(health food) 및 식품 첨가제(food additives) 등의 모든 형태를 포함하며, 이들 유형의 식품은 당업계에 공지된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건강식품으로는 액상의 드링크의 형태로 제조하여 음용하도록 하거나, 과립화, 캡슐화, 구형정제화(환 등) 및 분말화하여 섭취할 수 있으며, 파우더, 캅셀, 연질캅셀, 정제, 껌, 점착 타입 액제 조성물의 형태로 제조하여 섭취할 수도 있다. 또한, 기능성 식품으로는 음료(알콜성 음료 포함), 과실 및 그의 가공식품(예를 들어, 과일통조림, 병조림, 잼, 마아말레이드 등), 어류, 육류 및 그 가공식품(예를 들어, 햄, 소시지 콘비이프 등), 빵류 및 면류(예를 들어, 우동, 메밀국수, 라면, 스파게티, 마카로니 등), 과즙, 각종 드링크, 쿠키, 엿, 유제품(예를 들어, 버터, 치이즈 등), 식용식물유지, 마아가린, 식물성 단백질, 레토르트 식품, 냉동식품, 전약, 각종 조미료(예를 들어, 된장, 간장, 소스 등) 등이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에 벗어나는 범주가 아니라면, 식품 제조 시에 통상적으로 첨가되는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 기타 영양소, 조미제 및 향미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및 그의 염, 알긴산 및 그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콜, 탄산 음료에 사용되는 탄산화제 등을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강기능식품은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및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망막색소상피세포 및 노년성 황반변성 마우스 모델을 이용해 GV1001이 망막색소상피층 손상 감소 효과를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GV1001의 황반변성 관련 약리효과에 대한 분자적 기전을 규명하기 위한 기초연구를 진행하였다.
1. 실험 방법
1.1 GV1001의 합성
인간 텔로머라제로부터 선별된 하기의 서열번호 1(GV1001)을 가지는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갖는 16개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펩티드를 합성하였다.
<화학식 1>
서열번호 1의 펩티드 GV1001은 종래에 알려진 고상 펩티드 합성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펩티드들은 ASP48S(Peptron, Inc., 대한민국 대전)를 이용하여 Fmoc 고상 합성법(solid phase peptide synthesis, SPPS)을 통해 C-말단부터 아미노산 하나씩 커플링함으로써 합성하였다. 다음과 같이, 펩티드들의 C-말단의 첫번째 아미노산이 수지에 부착된 것을 사용하였다. 예컨대 다음과 같다:
NH2-Lys(Boc)-2-chloro-Trityl Resin
NH2-Ala-2-chloro-Trityl Resin
NH2-Arg(Pbf)-2-chloro-Trityl Resin
펩티드 합성에 사용한 모든 아미노산 원료는 N-말단이 Fmoc으로 보호(protection)되고, 잔기는 모두 산에서 제거되는 Trt, Boc, t-Bu (t-butylester), Pbf (2,2,4,6,7-pentamethyl dihydro-benzofuran-5-sulfonyl) 등으로 보호된 것을 사용하였다. 예컨대 다음과 같다:
Fmoc-Ala-OH, Fmoc-Arg(Pbf)-OH, Fmoc-Glu(OtBu)-OH, Fmoc-Pro-OH, Fmoc-Leu-OH, Fmoc-Ile-OH, Fmoc-Phe-OH, Fmoc-Ser(tBu)-OH, Fmoc-Thr(tBu)-OH, Fmoc-Lys(Boc)-OH, Fmoc-Gln(Trt)-OH, Fmoc-Trp(Boc)-OH, Fmoc-Met-OH, Fmoc-Asn(Trt)-OH, Fmoc-Tyr(tBu)-OH, Fmoc-Ahx-OH, Trt-Mercaptoacetic acid.
커플링 시약(Coupling reagent)으로는 HBTU[2-(1H-Benzotriazole-1-yl)-1,1,3,3-tetamethylaminium hexafluorophosphate] / HOBt [N-Hydroxxybenzotriazole] / NMM [4-Methylmorpholine]를 사용하였다. Fmoc 제거는 20 %의 DMF 중 피페리딘(piperidine in DMF)을 이용하였다. 합성된 펩티드를 수지에서 분리하고 잔기의 보호기를 제거하는데 절단 칵테일(Cleavage Cocktail) [TFA (trifluoroacetic acid) /TIS (triisopropylsilane) / EDT (ethanedithiol) / H2O=92.5/2.5/2.5/2.5]를 사용하였다.
아미노산 보호기가 결합된 출발 아미노산이 고상 지지체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이용하여 여기에 해당 아미노산들을 각각 반응시키고 용매로 세척한 후 탈보호하는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각 펩티드를 합성하였다. 합성된 펩티드를 수지로부터 끊어낸 후 HPLC로 정제하고, 합성 여부를 MS로 확인하고 동결 건조하였다.
GV1001의 구체적인 합성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1) 커플링
NH2-Lys(Boc)-2-chloro-Trityl Resin에 보호된 아미노산(8당량)과 커플링 시약 HBTU(8당량)/HOBt(8당량)/NMM(16당량)을 DMF에 녹여서 첨가한 후, 상온에서 2시간 동안 반응하고 DMF, MeOH, DMF순으로 세척하였다.
2) Fmoc 탈보호
20 %의 DMF 중의 피페리딘(piperidine in DMF)을 가하고 상온에서 5분 간 2회 반응하고 DMF, MeOH, DMF순으로 세척하였다.
3) 1과 2의 반응을 반복적으로 하여 펩티드 기본 골격을 만들었다.
4) 절단(Cleavage): 합성이 완료된 펩티드 수지에 절단 칵테일(Cleavage Cocktail)을 가하여 펩티드를 수지에서 분리하였다.
5) 얻어진 혼합물에 Cooling diethyl ether를 가한 후, 원심 분리하여 얻어진 펩티드를 침전시켰다.
6) Prep-HPLC로 정제 후, LC/MS로 분자량을 확인하고 동결하여 분말로 제조하였다.
1.2 GV1001에 의한 망막색소상피세포 변성 감소 검증
1) 노년성 황반변성 세포 모델 확립
망막색소상피세포주 ARPE-19에 과산화수소(hydrogen peroxide, H2O2)를 처리하여 활성산소종을 생성하였다.
노년성 황반변성에 나타나는 변성된 망막색소상피세포를 모델 세포주로 설정하고 망막색소상피세포의 상피성 소실(epithelial loss)을 유도하였다.
2) 약물 용량 및 용법
GV1001의 세포 변성 감소 효능 검증 실험군을 하기 표 1과 같이 설정하였다.
그룹 | 약물 | |
음성 대조군 | 생리식염수 | |
H2O2(50 μM) 처리군 | 생리식염수 | |
GV1001 pre-treatment |
0.01 μM | |
0.1 μM | ||
1.0 μM | ||
10 μM | ||
GV1001 post-treatment |
0.01 μM | |
0.1 μM | ||
1.0 μM | ||
10 μM | ||
메트포르민(1 mM) |
* GV1001 pre-treatment는 GV1001을 2시간 먼저 처리한 후 H2O2를 24시간 동안 처리하였다.
* GV1001 post-treatment는 H2O2 처리 24시간 후에 GV1001을 2시간 처리하였다.
* GV1001의 양성 대조군 약물로는 H2O2를 처리한 망막색소상피세포에서 산화스트레스 개선 효과가 확인된 바 있는 메트포르민(metformin, Met) 1 mM을 사용하였다.
* 모든 약물은 0.9%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3) GV1001에 의한 망막색소상피세포 변성 감소 검증
H2O2 처리 망막색소상피세포주 모델(ARPE-19)을 대상으로 GV1001의 세포 변성 감소 효능을 검증한 연구 내용 및 방법은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연구 내용 | 연구 방법 |
GV1001에 의한 세포의 상피성 유지 확인 | 상피세포 마커(epithelial cell marker)인 Cadherin 1(CDH-1)과 간엽세포 마커(mesenchymal cell marker)인 vimentin의 변화를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e)으로 관찰함으로써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변성 진행과정인 상피-중간엽 전이(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EMT) 진행을 확인함 |
GV1001에 의한 산화스트레스 조절 관찰 | 활성산소종 염색 시료(dye)인 2',7'-Dichlorofluorescin Diacetate(DCF-DA)를 이용하여 GV1001에 의한 세포 내 활성산소종 레벨 변화를 형광 현미경(fluorescence microscope)으로 확인함 |
1.3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GV1001 단기 투여에 의한 효능 평가
1) 노년성 황반변성 동물 모델 확립
요오드산나트륨(sodium iodate, NaIO3)를 주입한 마우스는 대표적인 노년성 황반변성 모델로 사용된다. C57BL/6 마우스에 NaIO3을 주입하여 망막색소상피세포 특이적으로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함으로써 손상을 가해 노년성 황반변성 마우스 모델을 확립하였다.
2) 약물 용량 및 용법
GV1001 단기 투여에 의한 망막색소상피 변성 감소 효능 검증 동물 실험군을 하기 표 3과 같이 설정하였다.
그룹 | 약물 | 개체 수 | |
음성 대조군 | 생리식염수 | 3 | |
NaIO3 처리군 | 생리식염수 | 3 | |
GV1001 pre-treatment |
0.01 mg/kg | 3 | |
0.1 mg/kg | 3 | ||
0.5 mg/kg | 3 | ||
1 mg/kg | 3 | ||
GV1001 post-treatment | 0.01 mg/kg | 3 | |
0.1 mg/kg | 3 | ||
0.5 mg/kg | 3 | ||
1 mg/kg | 3 | ||
메트포르민(4 mg/mL) | 3 |
* NaIO3는 20 mg/kg를 꼬리 정맥 주사(intravenous injection, IV injection)로 1회 주입하였다.
* GV1001는 0.01, 0.1, 0.5 또는 1.0 mg/kg를 피하 주사(subcutaneous injection, SC injection)로 주 3회 투여하였다.
* GV1001 pre-treatment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V1001를 NaIO3 투여 4일 전부터 2주 동안 주 3회씩 피하 주사하였다.
* GV1001 post-treatment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GV1001를 NaIO3 투여 10일 후부터 1주 동안 3회 피하 주사하였다.
* GV1001의 양성 대조군 약물로는 산화스트레스로 인한 망막색소상피층 변성에 대한 개선 효과가 확인된 메트포르민 4.0 mg/mL을 사용하였으며,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일정으로 NaIO3 투여 전 7일 동안 먹는 물에 희석하여 일반 물과 교체하면서 급여하였다.
* 메트포르민을 제외한 약물은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3) GV1001에 의한 망막색소상피층 손상 감소 효능 확인
NaIO3 투여에 의한 망막색소상피층의 밀착연접(tight junction) 붕괴가 GV1001에 의해 저해되는지를 확인하기 위해 망막색소상피층/맥락막(RPE/choroid)을 플랫 마운팅(flat mounting)하고 상피세포 사이의 접합 부위를 팔로이딘(phalloidin) 시료로 염색하여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1.4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GV1001 장기 투여에 의한 효능 평가
1) 노년성 황반변성 동물 모델 확립
C57BL/6 마우스에 NaIO3을 주입하여 망막색소상피세포 특이적으로 산화스트레스를 유도함으로써 손상을 가해 노년성 황반변성 마우스 모델을 확립하였다.
2) 약물 용량 및 용법
단기 투여에 의한 효력 평가 시험을 통해 결정한 GV1001 용량을 장기 투여에 의한 효능 평가에 사용하였다.
GV1001 장기 투여(3개월)에 의한 망막색소상피 변성 감소 효능 검증 동물 실험군을 하기 표 4와 같이 설정하였다.
그룹 | 약물 | 개체 수 | |
음성 대조군 | 생리식염수 | 3 | |
NaIO3 처리군 | 생리식염수 | 3 | |
GV1001 pre-treatment |
0.1 mg/kg | 3 | |
1.0 mg/kg | 3 | ||
그룹 | 약물 | 개체 수 | |
음성 대조군 | 생리식염수 | 15 | |
NaIO3 처리군 | 생리식염수 | 15 | |
GV1001 post-treatment |
0.1 mg/kg | 15 | |
1.0 mg/kg | 15 |
* NaIO3는 20 mg/kg를 꼬리 정맥 주사로 1회 주입하였다.
* GV1001는 0.1 또는 1.0 mg/kg을 생리식염수에 희석하여 사용하였으며, 피하 주사로 주 3회 투여하였다.
* GV1001 pre-treatment에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GV1001를 NaIO3 투여 10주 전부터 12주 동안 주 3회씩 피하 주사하였다.
* GV1001 post-treatment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GV1001를 NaIO3 투여 2주 후부터 10주 동안 주 3회씩 피하 주사하였다.
3) GV1001에 의한 망막색소상피층 손상 감소 효능 확인
망막색소상피층의 밀착연접 붕괴가 GV1001에 의해 저해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망막색소상피층/맥락막을 플랫 마운팅하여 상피세포 사이의 접합 부위를 팔로이딘 염색 시료로 염색하고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밀착연접 붕괴 정도를 확인하였다.
2. 실험 결과
2.1 GV1001에 의한 망막색소상피세포 변성 감소 검증
1) GV1001에 의한 활성산소종 저감
활성산소종 염색 시료인 DCF-DA를 이용하여 GV1001에 의한 망막색소상피세포(ARPE-19) 내 활성산소종 레벨 변화를 형광 현미경으로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6과 같다. H2O2로 산화스트레스가 유도되어 DCF-DA 형광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양성 대조군인 메트포르민 처리에 의해 감소하였다.
산화스트레스 조건 하에서 GV1001을 pre-treatment 시에는 0.01 μM 농도에서, post-treatment 시에는 0.1 μM 및 10 μM 농도에서 DCF-DA 형광 발현이 감소하였다.
망막색소상피세포에 산화스트레스가 가해졌을 때 관찰되는 활성산소종의 증가는 GV1001에 의해 억제 또는 저감될 수 있다. 이를 통해 GV1001이 망막색소상피세포가 산화스트레스에 대항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 GV1001에 의한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변성 감소
공초점 현미경을 이용하여 상피세포 마커인 cadherin 1과 간엽세포 마커인 vimentin의 변화를 관찰함으로써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변성을 나타내는 상피-중간엽 전이 정도를 확인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7에 나타냈다.
H2O2로 산화스트레스가 유도되어 상피세포 마커의 발현이 감소하고 간엽세포 마커의 발현이 증가하여 상피-중간엽 전이가 진행됨을 확인하였다. 양성 대조군인 메트포르민 처리 시, 상피-중간엽 전이가 저감되었다.
GV1001을 pre-treatment 시에는 0.01 μM 농도에서, post-treatment 시에는 10 μM 농도에서 상피-중간엽 전이가 저감되었다.
망막색소상피세포에 산화스트레스가 가해졌을 때 관찰되는 상피-중간엽 전이는 GV1001에 의해 진행이 억제되거나 감소될 수 있다. 이를 통해 GV1001이 망막색소상피세포가 상피성을 유지 또는 회복할 수 있게 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2.2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GV1001 단기 투여에 의한 효능 평가
망막색소상피세포층의 밀착연접 붕괴가 GV1001에 의해 저해되는지 망막색소상피층/맥락막을 플랫 마운팅하여 상피세포 사이의 접합 부위를 팔로이딘 염색하여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으며, 그 결과를 도 8 및 9에 나타냈다.
NaIO3 처리군에서 망막색소상피세포층의 밀착연접 구조가 상당히 망가져 있어 상피성의 소실을 알 수 있으며, 황반변성 마우스 모델이 잘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GV1001 양성 대조군인 메트포르민 처리 시, 밀착 연접 구조가 유지되었다.
GV1001을 pre-treatment 시에는 0.1 mg/kg에서, post-treatment 시에는 0.5 및 1.0 mg/kg에서 망막색소상피세포층의 밀착연접 구조가 유지되었다. 이를 통해 노년성 황반변성 마우스 모델에서 GV1001이 망막세포의 상피성을 유지 또는 회복하게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2.3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GV1001 장기 투여에 의한 효능 평가
망막색소상피층의 밀착연접 붕괴가 GV1001의 장기 투여에 의해 저감되는지 확인하기 위해 망막색소상피층/맥락막을 플랫 마운팅하고 상피세포 사이의 접합 부위를 팔로이딘 염색하여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를 도 10 및 11에 나타냈다.
NaIO3 처리군에서 망막색소상피세포층의 밀착연접 구조가 상당히 망가져 있어 상피성의 소실을 알 수 있으며, 황반변성 마우스 모델이 잘 확립되었음을 알 수 있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GV1001 pre-treatment의 경우, GV1001을 0.1 mg/kg 또는 1.0 mg/kg로 장기 투여 시 망막색소상피층의 밀착연접 구조가 잘 유지되어 상피층 변성에 의한 세포막 붕괴가 일어나지 않고 폐쇄 연접세포막당 1개의 핵이 관찰되었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GV1001 post-treatment의 경우, GV1001을 0.1 mg/kg 또는 1.0 mg/kg로 장기 투여 시 망막색소상피층의 밀착연접 구조가 잘 유지되어 상피층 변성에 의한 세포막 붕괴가 일어나지 않고 폐쇄 연접세포막당 1개의 핵이 관찰되었다.
3. 결론
3.1 GV1001에 의한 망막색소상피세포 변성 감소 검증
(1) GV1001에 의한 활성산소종 저감
망막색소상피세포에 산화스트레스가 가해졌을 때 관찰되는 활성산소종의 증가는 GV1001에 의해 억제 또는 저감될 수 있다. 이는 GV1001이 망막색소상피세포가 산화스트레스에 대항할 수 있게 함을 의미한다.
(2) GV1001에 의한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변성 감소
망막색소상피세포에 산화스트레스가 가해졌을 때 관찰되는 상피-중간엽 전이는 GV1001에 의해 진행이 억제되거나 저감될 수 있다. 이는 GV1001이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변성을 감소시키고 상피성을 유지 또는 회복하게 함을 의미한다.
3.2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GV1001 단기 투여에 의한 효능 평가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 GV1001을 단기 투여로 pre-treatment 또는 post-treatment한 결과, 망막색소상피층의 변성이 감소되고 상피성이 유지 또는 회복되었다. 이를 통해 GV1001의 노년성 황반변성에 대한 우수한 예방 및/또는 치료 효능을 확인하였다.
3.3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서 GV1001 장기 투여에 의한 효능 평가
노년성 황반변성 유도 마우스 모델에 GV1001을 장기 투여로 pre-treatment 또는 post-treatment한 결과, 망막색소상피층의 변성이 감소되고 상피성이 유지 또는 회복되었다. 이를 통해 GV1001의 노년성 황반변성에 대한 우수한 예방 및/또는 치료 효능을 확인하였다.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8)
-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황반변성은 노년성 황반변성인 약학 조성물.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변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황반변성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 것인 약학 조성물.
-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의 약학 조성물; 및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이 기재된 지시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치료 방법은 상기 약학 조성물을 황반변성이 발병했거나 발병할 위험이 있는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인 키트.
- 서열번호 1의 아미노산 서열을 갖는 펩티드를 포함하는 황반변성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황반변성은 노년성 황반변성인 건강기능식품.
-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망막색소상피세포의 변성을 감소시킴으로써 황반변성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것인 건강기능식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230063624 | 2023-05-17 | ||
KR1020230063624 | 2023-05-17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67587A true KR20240167587A (ko) | 2024-11-27 |
Family
ID=93519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0064462A Pending KR20240167587A (ko) | 2023-05-17 | 2024-05-17 | Gv1001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67587A (ko) |
WO (1) | WO2024237768A1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6442A (ko) | 2006-12-06 | 2009-09-10 | 탁티칼 떼라페우틱스 인크. | 황반변성에서의 카복시아미도트리아졸(cai)오로테이트의 용도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634210B (zh) * | 2013-05-03 | 2018-09-01 | 傑姆維克斯&凱爾有限公司 | 抑制熱休克蛋白質表現之胜肽及包含其之組成物 |
EP3072519B1 (en) * | 2013-11-22 | 2020-08-19 | Gemvax & Kael Co., Ltd. | Peptide having angiogenesis inhibitory activity and composition containing same |
KR102413243B1 (ko) * | 2014-12-23 | 2022-06-27 | 주식회사 젬백스앤카엘 | 안질환 치료 펩티드 및 이를 포함하는 안질환 치료용 조성물 |
KR20220150222A (ko) * | 2021-05-03 | 2022-11-10 | (주)셀레메디 | 신규 단백질 |
-
2024
- 2024-05-17 WO PCT/KR2024/095811 patent/WO2024237768A1/ko unknown
- 2024-05-17 KR KR1020240064462A patent/KR20240167587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96442A (ko) | 2006-12-06 | 2009-09-10 | 탁티칼 떼라페우틱스 인크. | 황반변성에서의 카복시아미도트리아졸(cai)오로테이트의 용도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237768A1 (ko) | 2024-11-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2185450A1 (en) | Eating suppressant peptides | |
AU2014324900A1 (en) | Compositions and formulations for prevention and reduction of tumorigenesis, cancer cell proliferation and invasion, and methods of production and use thereof in cancer treatment | |
KR102265501B1 (ko) | 다중구리 산화효소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구리대사 관련 신경계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AU2006295785B2 (en) | Agent for promoting glucagon-like peptide 1 secretion, food or drink for promoting glucagon-like peptide 1 secretion, agent for inhibiting postprandial increase in blood sugar level and food or drink for inhibiting postprandial increase in blood sugar level | |
CN103987724A (zh) | Dpp-4抑制剂 | |
KR20240167587A (ko) | Gv1001를 포함하는 황반변성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JP6369951B2 (ja) | ジペプチジルペプチダーゼ−iv阻害剤 | |
US10391110B2 (en) |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vascular leak syndrome | |
KR101731252B1 (ko) | 항-당뇨 활성을 갖는 펩티드 및 그것의 용도 | |
EP1824501B1 (en) | Protein hydrolysate with antidiabetic effect | |
CN108686200B (zh) | 用于治疗代谢系统疾病的多肽及其组合物 | |
EP3533450B1 (en) |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ischemia-reperfusion injury containing a bile acid | |
KR20240137476A (ko) | Gv1001를 포함하는 당뇨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US20220118039A1 (en) | Compositon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porosis | |
CN109937048A (zh) | 用2-单酰甘油分解酶的肝脂肪变性或非酒精性脂肪肝的治疗方法 | |
KR20250105160A (ko) | Gv1001를 포함하는 우울증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 |
KR20170121062A (ko) | 바위털갯지렁이로부터 분리된 세린 프로테아제를 포함하는 항혈전용 조성물 | |
CN115052612A (zh) | 含有水解乳清蛋白作为活性成分的用于减轻、预防或治疗肌肉减少症的组合物 | |
KR20230090588A (ko) | 오징어 유래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
KR102772405B1 (ko) | 근육 손실 저해 및 근육량 증진 활성을 갖는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
KR20240174991A (ko) | Gv1001를 포함하는 치주질환 및 치주질환에 의한 장애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
KR20230090589A (ko) | 성게 유래 펩타이드 및 이의 용도 | |
KR100836711B1 (ko) | 아라자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간기능 보호용 약학적조성물 | |
TW202346314A (zh) | 具有抗肥胖與抗糖尿病活性的胜肽、包含其之醫藥組成物及包含其之機能性食品組成物 | |
KR101780584B1 (ko) | 바소히빈-1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발기부전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17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