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60595A - 가공 안정제, 유기 재료 조성물, 및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 - Google Patents

가공 안정제, 유기 재료 조성물, 및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60595A
KR20240160595A KR1020247031694A KR20247031694A KR20240160595A KR 20240160595 A KR20240160595 A KR 20240160595A KR 1020247031694 A KR1020247031694 A KR 1020247031694A KR 20247031694 A KR20247031694 A KR 20247031694A KR 20240160595 A KR20240160595 A KR 202401605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carbon atoms
compound
hydrogen atom
alkyl group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316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후미아키 마츠오카
준지 모리모토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1605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60595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4Esters of phosphorous acids, e.g. of H3PO3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547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 C07F9/6564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 C07F9/6571Heterocyclic compounds, e.g. containing phosphorus as a ring hetero atom having phosphorus atoms, with or without nitrogen, oxy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atoms, as ring hetero atoms having phosphorus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F9/6574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65744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condensed with carbocyclic or heter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FACYCLIC, CARBOCYCLIC OR 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THER THAN CARBON, HYDROGEN, HALOGEN, OXYGEN, NITROGEN, SULFUR, SELENIUM OR TELLURIUM
    • C07F9/00Compounds containing elements of Groups 5 or 15 of the Periodic Table
    • C07F9/02Phosphorus compounds
    • C07F9/06Phosphorus compounds without P—C bonds
    • C07F9/08Esters of oxyacids of phosphorus
    • C07F9/141Esters of phosphorous acids
    • C07F9/145Esters of phosphorous acids with hydroxyary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16Nitrogen-containing compounds
    • C08K5/17Amines; Quaternary ammonium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7Cyclic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9Esters containing heterocyclic rings not representing cyclic esters of phosphoric or phosphorous aci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5/00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 C09K15/04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C09K15/32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of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 C09K15/322Anti-oxidant compositions; Compositions inhibiting chemical change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of boron, silicon, phosphorus, selenium, tellurium or a metal containing only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08Organic ingredients according to more than one of the "one dot" groups of C08K5/01 - C08K5/59
    • C08K5/005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zon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Anti-Oxidant Or Stabilizer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식 (I) :
Figure pct00023

[식 (I) 중, R1, R2,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A 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7- 기 (R7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 는 산소측의 결합손인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Y 및 Z 는,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일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과, 식 (II) :
Figure pct00024

[식 (II)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와,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A) 를 포함하고,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은 0.005 ∼ 4 질량부이고,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은 0.01 ∼ 15 질량부인, 가공 안정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공 안정제, 유기 재료 조성물, 및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
본 발명은, 특정한 페놀계 화합물 및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공 안정제, 특정한 페놀계 화합물 및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을 포함하는 유기 재료 조성물, 그리고, 특정한 페놀계 화합물 및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을 사용하는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열경화성 수지, 천연 또는 합성 고무, 광유, 윤활유, 접착제, 도료 등의 유기 재료는, 제조시, 가공시 나아가서는 사용시에, 열이나 산소 등의 작용에 의해 열화되어, 분자 절단이나 분자 가교와 같은 현상에서 기인하는 유기 재료의 강도 물성의 저하, 흐름성의 변화, 착색, 표면 물성의 저하 등을 수반하여, 상품 가치가 현저하게 저해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열 또는 산소에 의한 열화를 방지할 목적으로, 각종 페놀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가 개발되어, 이들을 유기 재료에 첨가함으로써, 유기 재료를 안정화할 수 있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및 2).
일본 특허공개 제3876479호 국제 공개 제2015/136717호
상기의 다양한 유기 재료의 가공 안정제가 알려져 있지만, 유기 재료는 여러 가지 환경에서 사용되며, 예를 들어 자동차의 배기 가스 등의 화석 연료의 연소 가스에 노출되는 경우도 있다. 그 경우, 그 연소 가스에 포함되는 질소산화물 등의 산화성 가스에 의해, 유기 재료의 변색이 촉진되는 경우가 있다. 따라서, 가공 안정화 효과를 가지면서, NOx 가스 등의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이 발생하기 어려운 가공 안정제에 대한 요구가 또한 존재한다.
특허문헌 1 에는, 특정한 식 (I) 에 해당하는 화학식-1 ∼ 화학식-12 의 아인산에스테르 화합물 (실시예 1 ∼ 10) 이, 특정한 식 (I) 에 해당하지 않는 P-1 및 P-3 의 아인산에스테르 화합물 (비교예 1 및 2) 과 비교하여, NOx 가스에 의한 착색이 작은 것은 나타내고 있지만, NOx 가스에 의한 착색의 저감 효과가 충분하지 않은 경우가 있어, 착색 저감의 추가적인 향상이 또한 요구되고 있다.
또, 특허문헌 2 에는, 특정한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과 특정한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가공 안정제가 기재되어 있기는 하지만, NOx 가스에 의한 착색에 대해서는 어떠한 주목도 되어 있지 않고, NOx 가스에 의한 착색을 충분히 저감시킬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유기 재료를 가공할 때의 열안정성 향상에 유효함과 함께,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 특히 NOx 가스에 의한 변색이 발생하기 어려운, 가공 안정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양한 화합물에 대해 상세하게 검토를 거듭하여, 특정한 페놀계 화합물 (I) 및 (II) 와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A) 의 혼합물이 수지의 안정성 향상에 유효함과 함께, NOx 가스 등의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도 발생하기 어려운 것을 알아내어,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바람직한 양태를 포함한다.
〔1〕식 (I) :
[화학식 1]
Figure pct00001
[식 (I) 중,
R1, R2,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A 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7- 기 (R7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 는 산소측의 결합손인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Y 및 Z 는,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일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과, 식 (II) :
[화학식 2]
Figure pct00002
[식 (II)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와,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A) 를 포함하고,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은 0.005 ∼ 4 질량부이고,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은 0.01 ∼ 15 질량부인, 가공 안정제.
〔2〕아민 화합물 (A) 는 알칸올아민인,〔1〕에 기재된 가공 안정제.
〔3〕알칸올아민은, 식 (III) :
[화학식 3]
Figure pct00003
[식 (III) 중, Y1, Y2 및 Y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단, Y1 ∼ Y3 중 적어도 1 개는,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식 (IV) :
[화학식 4]
Figure pct00004
[식 (IV) 중, Y4, Y5, Y6 및 Y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단, Y4 ∼ Y7 중 적어도 1 개는,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B 는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2〕에 기재된 가공 안정제.
〔4〕알칸올아민은 식 (III) 으로 나타내는,〔3〕에 기재된 가공 안정제.
〔5〕식 (III) 중의 Y1, Y2 및 Y3 그리고 식 (IV) 중의 Y4, Y5, Y6 및 Y7 은, 각각 독립적으로, -CH2-CH(OH)-R6 [식 중, R6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을 나타내는,〔3〕또는〔4〕에 기재된 가공 안정제.
〔6〕식 (I) :
[화학식 5]
Figure pct00005
[식 (I) 중,
R1, R2,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A 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7- 기 (R7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 는 산소측의 결합손인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Y 및 Z 는,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일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과, 식 (II) :
[화학식 6]
Figure pct00006
[식 (II)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와,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A) 와, 유기 재료를 포함하고,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은 0.005 ∼ 4 질량부이고,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은 0.01 ∼ 15 질량부인, 유기 재료 조성물.
〔7〕화합물 (I),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로서,〔1〕 ∼ 〔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공 안정제를 포함하는,〔6〕에 기재된 유기 재료 조성물.
〔8〕유기 재료가 열가소성 수지인〔6〕또는〔7〕에 기재된 유기 재료 조성물.
〔9〕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8〕에 기재된 유기 재료 조성물.
〔10〕유기 재료에, 식 (I) :
[화학식 7]
Figure pct00007
[식 (I) 중,
R1, R2,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A 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7- 기 (R7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 는 산소측의 결합손인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Y 및 Z 는,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일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과, 식 (II) :
[화학식 8]
Figure pct00008
[식 (II)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와,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A) 를,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이 0.005 ∼ 4 질량부이고,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이 0.01 ∼ 15 질량부가 되는 양으로 첨가하거나, 또는,
유기 재료에,〔1〕 ∼ 〔5〕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가공 안정제를 첨가하는,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
〔11〕유기 재료가 열가소성 수지인〔10〕에 기재된 안정화 방법.
〔12〕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11〕에 기재된 안정화 방법.
본 발명에 의하면, 유기 재료를 가공할 때의 열안정성 향상에 유효함과 함께,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 특히 NOx 가스에 의한 변색이 발생하기 어려운, 가공 안정제를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유기 재료 조성물은 높은 열안정성을 가짐과 함께,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 특히 NOx 가스에 의한 변색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서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경을 할 수 있다. 또, 특정한 특징에 대해 복수의 상한값 및 하한값이 기재되어 있는 경우, 이들의 상한값 및 하한값 중 임의의 상한값과 하한값을 조합하여 바람직한 수치 범위로 할 수 있다.
〔가공 안정제〕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는, 식 (I) :
[화학식 9]
Figure pct00009
[식 (I) 중,
R1, R2,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A 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7- 기 (R7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 는 산소측의 결합손인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Y 및 Z 는,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일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과, 식 (II) :
[화학식 10]
Figure pct00010
[식 (II)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와,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A) 를 포함하고,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은 0.005 ∼ 4 질량부이고,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은 0.01 ∼ 15 질량부인, 가공 안정제이다.
화합물 (I) 에 더하여, 추가로 화합물 (II) 와 아민 화합물 (A) 를 특정한 양으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는, 유기 재료를 가공할 때의 열안정성 향상에 유효함과 함께,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이 발생하기 어렵다. 그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화합물 (I) 과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특정한 양으로 병용함으로써, 특히 산화성 가스에 의해 화합물 (I) 및 화합물 (II) 가 착색 물질로 변화되는 것이 억제되고 있다고 생각된다. 페놀계 화합물이, 산화성 가스에 의해 변색될 때, 페놀계 화합물이 퀴논체로 변화되고 있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이와 같은 퀴논체로의 변화를 화합물 (I) 에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특정한 양으로 병용함으로써 방지할 수 있는 것은 놀랄 만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메커니즘에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합물 I)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는, 상기의 식 (I) 로 나타내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 (I) 을 포함한다.
식 (I) 중의 R1, R2,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t-펜틸기, 2-메틸-부틸기, 3-메틸부틸기, 2-에틸-프로필기, n-헥실기, n-헵틸기, 이소헵틸기, n-옥틸기, 이소옥틸기, 및 2-에틸-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로는,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시클로헵틸기 및 시클로옥틸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로는, 1-메틸시클로펜틸기, 1-메틸시클로헥실기 및 1-메틸-4-i-프로필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로는, 벤질기, α-메틸벤질기 및 α,α-디메틸벤질기 등을 들 수 있다.
R1, R2 및 R4 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이다.
R1 및 R4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t-부틸기, t-펜틸기 및 t-옥틸기 등의 t-알킬기, 시클로헥실기 또는, 1-메틸시클로헥실기이다.
R2 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및 t-펜틸기 등의 탄소수 1 ∼ 5 의 알킬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t-부틸기, 또는 t-펜틸기이다.
R5 는,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및 t-펜틸기 등의 탄소수 1 ∼ 5 의 알킬기이다.
식 (I) 중의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R3 은,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5 의 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다.
식 (I) 중의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R6 으로 나타내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및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X 는, 바람직하게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i-부틸기, 및 t-부틸기 등의 탄소수 1 ∼ 4 의 알킬기가 치환된 메틸렌기, 또는 단결합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단결합이다.
식 (I) 중의 A 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7- 기 (R7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 는 산소측의 결합손인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펜타메틸렌기, 헥사메틸렌기, 옥타메틸렌기 및 2,2-디메틸-1,3-프로필렌기 등을 들 수 있다. A 는,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기이다. *-C(=O)-R7- 기에 있어서의 * 는, 카르보닐기가 포스파이트기의 산소 원자와 결합하고 있는 것을 나타낸다. R7 은, 바람직하게는 단결합 또는 에틸렌기이다.
식 (I) 중의 Y 및 Z 는,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일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여기서,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로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로는, 벤질옥시기, α-메틸벤질옥시기, 및 α,α-디메틸벤질옥시기 등을 들 수 있다. Y 및 Z 는, 바람직하게는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다른 일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Y 가 하이드록실기, Z 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이다.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는, 상기의 식 (I) 로 나타내는 1 종류의 화합물 (I) 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식 (I) 로 나타내는 2 종 이상의 화합물 (I) 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화합물 (I) 로는, 구체적으로는, 2,4,8,10-테트라-t-부틸-6-〔3-(3-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 6-[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폭시]-2,4,8,10-테트라-t-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 6-[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폭시]-4,8-디-t-부틸-2,10-디메틸-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6-[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4,8-디-t-부틸-2,10-디메틸-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I) 은, 바람직하게는 2,4,8,10-테트라-t-부틸-6-〔3-(3-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이다.
화합물 (I) 로서 시판품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시판품으로는, 스미라이저 (등록상표) GP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를 들 수 있다.
(화합물 II)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는, 상기의 식 (II) 로 나타내는 적어도 1 종의 화합물 (II) 를 포함한다.
식 (II) 중의, R1 및 R2 에 대해서는, 식 (I) 중의 R1 및 R2 에 관한 기재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 식 (II) 중의 R3 에 대해서는, 식 (I) 중의 R3 에 관한 기재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또, 식 (II) 중의 X 에 대해서는, 식 (I) 중의 X 에 관한 기재가 동일하게 적용된다.
화합물 (II) 로는, 6-옥소-2,4,8,10-테트라-t-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 6-옥소-4,8-디-t-부틸-2,10-디메틸-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페핀, 6-옥소-2,4,8,10-테트라-t-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포신, 6-옥소-4,8-디-t-부틸-2,10-디메틸-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6-옥소-4,8-디-t-부틸-2,10-디메틸-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페핀, 6-옥소-4,8-디-t-부틸-2,10-디메틸-12H-디벤조[d,g][1,3,2]디옥사포스포신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II) 는, 바람직하게는 6-옥소-2,4,8,10-테트라-t-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이다.
화합물 (II) 는, 예를 들어, 미국 특허 제5475042호 (실시예 1, 2) 의 기재에 준해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에 있어서,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은 0.005 ∼ 4 질량부이다. 화합물 (II) 의 함유량이 0.005 질량부 미만이면, 유기 재료를 가공할 때의 열안정성을 충분히 높이지 못하고, 또한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또, 화합물 (II) 의 함유량이 4 질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도,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은, 유기 재료를 가공할 때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쉬운 관점, 및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의 방지 효과를 높이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부 이상이다. 또, 그 함유량은, 유기 재료를 가공할 때의 열안정성을 향상시키기 쉬운 관점, 및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방지하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이다.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에 있어서의,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산출해도 되고, 가공 안정제 또는 유기 재료 조성물을 조제할 때의 주입비로부터 산출해도 된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를 사용하여 화합물 (II) 의 함유량을 측정하는 경우, 하기 측정 조건에 있어서 측정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정 조건>
칼럼 : Sumipax ODS A-212 (6 ㎜φ × 150 ㎜, 충전제의 직경 : 5 ㎛)
칼럼 온도 : 40 ℃
이동상 : (A 액) 0.1 질량% 아세트산암모늄/물
(B 액) 0.1 질량% 아세트산암모늄/메탄올
이동상 구배 : 0 → 20 min (A 액 : 20 → 0 질량% (1 질량%/min), B 액 : 80 → 100 질량% (1 질량%/min)), 20 → 45 min (A 액 : 0 질량%, B 액 : 100 질량%)
유속 : 1.0 mL/min
검출 방법 : UV (280 ㎚)
시료 농도 : 5 mg/mL
주입량 : 10 ㎕
(아민 화합물 (A))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는,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적어도 1 종의 아민 화합물을 포함한다.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을,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 (A) 라고도 칭한다. 아민 화합물 (A) 로서,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1 종류의 아민 화합물을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의 아민 화합물을 사용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 (A) 는, 적어도 1 개의 질소 원자와,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적어도 1 개의 직사슬형 또는 분지형 알킬기를 갖는 화합물이고, 모노아민 화합물이어도, 디아민 화합물이어도, 트리아민 화합물이어도, 테트라아민 화합물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모노아민 화합물 또는 디아민 화합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모노아민 화합물이다. 아민 화합물 (A) 는, 바람직하게는, (A1) 암모니아가 갖는 3 개의 수소 원자 중 1 개 또는 2 개의 수소 원자가 하이드록시알킬기로 치환되고, 나머지 수소 원자가 치환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지방족기, 방향족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된 화합물, (A2) 암모니아가 갖는 3 개의 수소 원자의 모두가 하이드록시알킬기로 치환된 화합물, (A3) 2 개의 질소 원자가 알킬렌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 로 연결되고, 그 질소 원자에 결합하는 4 개의 수소 원자 중 1 개, 2 개, 또는 3 개의 수소 원자가 하이드록시알킬기로 치환되고, 나머지 수소 원자가 치환되어 있지 않거나, 또는, 지방족기, 방향족기 등의 치환기로 치환된 화합물, (A4) 2 개의 질소 원자가 알킬렌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 로 연결되고, 그 질소 원자에 결합하는 4 개의 수소 원자의 모두가 하이드록시알킬기로 치환된 화합물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아민 화합물 (A) 는 알칸올아민이다. 알칸올아민은, 분자 내에 수산기를 갖는 포화 지방족 아민이다. 또, 아민 화합물 (A) 는, 제 1 급 아민 화합물이어도 되고, 제 2 급 아민이어도 되고, 제 3 급 아민이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제 3 급 아민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 (A) 는, 바람직하게는 알칸올아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식 (III) :
[화학식 11]
Figure pct00011
[식 (III) 중, Y1, Y2 및 Y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단, Y1 ∼ Y3 중 적어도 1 개는,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식 (IV) :
[화학식 12]
Figure pct00012
[식 (IV) 중, Y4, Y5, Y6 및 Y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단, Y4 ∼ Y7 중 적어도 1 개는,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B 는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낸다. 식 (III) 또는 식 (IV) 로 나타내는 알칸올아민은, 화합물 (I) 및 화합물 (II) 와 상호 작용하기 쉽기 때문에, 예를 들어, 화합물 (I) 이 산화성 가스에 의해 퀴논체로 변화하는 것을 방지하기 쉽고,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방지하기 쉽다고 생각된다.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sec-부틸기, t-부틸기, n-펜틸기, t-펜틸기, 2-메틸-부틸기, 3-메틸부틸기, 2-에틸-프로필기, n-헥실기, n-헵틸기, 이소헵틸기, n-옥틸기, 이소옥틸기, 및 2-에틸-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알킬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 ∼ 6, 보다 바람직하게는 1 ∼ 4 이다.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로는, 상기에 예시한 알킬기에 있어서, 적어도 1 개의 수소 원자가 수산기로 치환된 기를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이드록시메틸기, 하이드록시에틸기, 하이드록시프로필기, 하이드록시부틸기 등을 들 수 있다.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에 있어서의 수산기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 ∼ 3 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 개, 더욱 바람직하게는 1 개이다.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로는, 예를 들어 메틸렌기, 에틸렌기, n-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n-부틸렌기, 이소부틸렌기를 들 수 있다.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는,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 ∼ 4 의 직사슬형의 알킬렌기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메틸렌기 또는 에틸렌기이고,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기이다. 알킬렌기의 탄소수는, 바람직하게는 1 ∼ 3,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또는 2,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다.
식 (III) 으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모노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트리에탄올아민, 모노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트리부탄올아민, 트리펜탄올아민, 메틸에탄올아민, 메틸이소프로판올아민, 메틸디에탄올아민, 메틸디이소프로판올아민, 디에탄올이소프로판올아민, 디이소프로판올에탄올아민, 트리스(2-하이드록시부틸)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식 (IV) 로 나타내는 화합물로는, 구체적으로는, 테트라하이드록시에틸에틸렌디아민, N,N,N',N'-테트라키스(2-하이드록시프로필)에틸렌디아민 등을 들 수 있다.
식 (III) 중의 Y1, Y2 및 Y3 그리고 식 (IV) 중의 Y4, Y5, Y6 및 Y7 은, 바람직하게는, 각각 독립적으로, -CH2-CH(OH)-R6 [식 중, R6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에 있어서,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은 0.01 ∼ 15 질량부이다.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이 0.01 질량부 미만이면,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또, 화합물 (II) 의 함유량이 15 질량부를 초과하는 경우도,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충분히 방지할 수 없다.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은,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방지하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이다. 또, 그 함유량은 동일한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질량부 이하이다.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의 방지 효과를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4 질량% 이하, 3 질량% 이하, 2 질량% 이하 등이어도 된다.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에 있어서의,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은,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등의 분석 장치를 사용하여 산출해도 되고, 가공 안정제 또는 유기 재료 조성물을 조제할 때의 주입비로부터 산출해도 된다.
화합물 (I) 과, 특정한 양의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를, 열가소성 수지 등의 유기 재료에 첨가함으로써, 그 유기 재료의 열 열화 및 산화 열화 등을 저감시켜, 유기 재료를 안정화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점도 저하를 방지하거나 착색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서는,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에 의하면,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가공 안정제는, 상기의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만을 상기의 비율로 함유하는 재료여도 되고, 화합물 (I),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에 더하여, 후술하는 유기 재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는 다른 첨가제 중 적어도 1 종을 추가로 함유하는 재료여도 된다. 또,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는, 화합물 (I),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에 더하여, 적어도 1 종의 유기 재료를 함유하는 재료여도 된다. 이와 같은 재료는, 예를 들어 마스터 배치라고도 칭해진다.
〔유기 재료 조성물 및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
유기 재료에,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또는,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특정한 비율로 첨가함으로써, 유기 재료의 열 열화 및 산화 열화 등을 저감시켜, 유기 재료를 안정화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점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음과 함께, 착색도 방지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그 때문에,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는, 유기 재료용 안정제로서 적당하다.
본 발명은, 상기의 가공 안정제를 첨가하는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 그리고,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특정한 비율로 첨가하는,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도 제공한다. 또한 유기 재료와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 또는,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특정한 비율로 갖는, 안정화된 유기 재료 조성물도 제공한다.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에 의해 안정화하는 것이 가능한 유기 재료로는, 예를 들어 다음의 유기 재료를 들 수 있지만, 이들의 유기 재료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 재료는, 1 종류의 유기 재료여도 되고, 2 종 이상의 유기 재료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1) 폴리에틸렌, 예를 들어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직사슬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2) 폴리프로필렌,
(3) 메틸펜텐 폴리머,
(4) EEA (에틸렌/아크릴산에틸 공중합) 수지,
(5)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 수지,
(6) 폴리스티렌류, 예를 들어 폴리스티렌, 폴리(p-메틸스티렌), 폴리(α-메틸스티렌),
(7) AS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8) AB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 수지,
(9) AAS (특수 아크릴 고무/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 공중합) 수지,
(10) ACS (아크릴로니트릴/염소화 폴리에틸렌/스티렌 공중합) 수지,
(11) 염소화 폴리에틸렌, 폴리클로로프렌, 염소화 고무,
(12) 폴리염화비닐, 폴리염화비닐리덴,
(13) 메타크릴 수지,
(14)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 수지,
(15) 불소 수지,
(16) 폴리아세탈,
(17) 그래프트화 폴리페닐렌에테르 수지 및 폴리페닐렌술파이드 수지,
(18) 폴리우레탄,
(19) 폴리아미드,
(20) 폴리에스테르 수지,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21) 폴리카보네이트,
(22) 폴리아크릴레이트,
(23) 폴리술폰,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 폴리에테르술폰,
(24) 방향족 폴리에스테르 수지 등의 열가소성 수지,
(25) 에폭시 수지,
(26) 디알릴프탈레이트 프레폴리머,
(27) 실리콘 수지,
(28)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29) 아크릴 변성 벤조구아나민 수지,
(30) 벤조구아나민/멜라민 수지,
(31) 우레아 수지 등의 열경화성 수지,
(32) 폴리부타디엔,
(33) 1,2-폴리부타디엔,
(34) 폴리이소프렌,
(35) 스티렌/부타디엔 공중합체,
(36) 부타디엔/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37)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38) 실리콘 고무,
(39) 에피클로로히드린 고무,
(40) 아크릴 고무,
(41) 천연 고무,
(42) 염소 고무계 도료,
(43) 폴리에스테르 수지 도료,
(44) 우레탄 수지 도료,
(45) 에폭시 수지 도료,
(46) 아크릴 수지 도료,
(47) 비닐 수지 도료,
(48) 아미노알키드 수지 도료,
(49) 알키드 수지 도료,
(50) 니트로셀룰로오스 수지 도료,
(51) 유성 도료,
(52) 왁스,
(53) 윤활유 등.
그 중에서도, 열가소성 수지, 특히 폴리에틸렌, 예를 들어 HD-PE, LD-PE, LLDPE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아미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 등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폴리올레핀으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라디칼 중합에 의해 얻어진 것이어도 되고, 주기표 IVb, Vb, VIb 또는 VIII 족의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를 사용하는 중합에 의해 제조된 것이어도 된다. 이러한 금속을 함유하는 촉매로는, 1 개 이상의 배위자, 예를 들어 π 혹은 σ 결합에 의해 배위되는 산화물, 할로겐 화합물, 알코올레이트, 에스테르, 아릴 등을 갖는 금속 착물을 들 수 있다. 이들의 착물은, 금속 착물 그대로여도 되고, 염화마그네슘, 염화티탄, 알루미나, 산화규소 등의 기재에 담지되어 있어도 된다. 폴리올레핀으로는, 예를 들어 지글러·나타 촉매, TNZ 촉매, 메탈로센 촉매, 필립스 촉매 등을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엔지니어링 플라스틱도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폴리머 사슬에 아미드 결합을 갖는 것으로서, 가열 용융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된다. 폴리아미드 수지는 어느 방법으로 제조된 것이어도 되고, 예를 들어 디아민류와 디카르복실산류의 축합 반응, 아미노카르복실산류의 축합 반응, 락탐류의 개환 중합 등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 수지의 예로는, 나일론 66, 나일론 69, 나일론 610, 나일론 612, 폴리-비스-(p-아미노시클로헥실)메탄도데카미드, 나일론 46, 나일론 6, 나일론 12, 나일론 66 과 나일론 6 의 공중합체인 나일론 66/6 이나, 나일론 6/12 등의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폴리머 사슬에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것으로서, 가열 용융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디카르복실산류와 디하이드록시 화합물의 중축합 등에 의해 얻어지는 폴리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 수지는, 호모폴리에스테르, 코폴리에스테르 중 어느 것이어도 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폴리머 사슬에 카보네이트 결합을 갖는 것으로서, 가열 용융시킬 수 있는 것이면 되고, 예를 들어 용제, 산 수용체, 분자량 조정제의 존재하, 방향족 하이드록시 화합물 또는 이것과 소량의 폴리하이드록시 화합물에, 포스겐, 디페닐카보네이트와 같은 카보네이트 전구체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직사슬형이어도 되고 분기형이어도 되고, 또, 공중합체여도 된다.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유기 재료에 첨가함으로써, 유기 재료를 안정화할 수 있음과 함께, 유기 재료의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경우, 유기 재료에 화합물 (I),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이 0.005 ∼ 4 질량부가 되고,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이 0.01 ∼ 15 질량부가 되는 양으로 첨가한다.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은, 사용시의 계량성의 관점, 및 화합물 (I) 과 화합물 (II) 를 병용하는 것에 의한 유기 재료 조성물의 상승적인 안정화 작용을 높이기 쉬운 관점, 및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의 방지 효과를 높이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부 이상이고, 유기 재료 조성물을 효율적으로 안정화시키는 관점 및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방지하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질량부 이하이다.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은,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방지하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질량부 이상이고,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방지하기 쉬운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2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 질량부 이하이다.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의 방지 효과를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는, 예를 들어 4 질량% 이하, 3 질량% 이하, 2 질량% 이하 등이어도 된다.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의, 유기 재료에 대한 첨가는,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를 첨가함으로써 실시해도 된다. 어느 경우라도, 유기 재료 중에 특정한 양적 비율로 화합물 (I) 과 화합물 (II) 가 포함되게 된다.
유기 재료에, 가공 안정제, 또는,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첨가하고, 그 유기 재료를 안정화하는 경우, 화합물 (I),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의 합계 중량은, 유기 재료의 안정화의 관점에서, 유기 재료 100 질량부에 대하여, 바람직하게는 0.005 질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1 질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 질량부 이상이다. 또, 화합물 (I),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의 합계 중량은, 유기 재료를 효율적으로 안정화하고, 또한 경제적인 관점에서, 유기 재료 100 질량부에 대하여, 통상 5 질량부 이하, 바람직하게는 3 질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질량부 이하이다.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유기 재료에 첨가할 때, 유기 재료에 필요에 따라 추가로 다른 첨가제, 예를 들어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노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과산화물 스캐빈저, 폴리아미드 안정제, 하이드록시아민, 활제, 가소제, 난연제, 조핵제, 금속 불활성화제, 대전 방지제, 안료, 충전제, 안티 블로킹제, 계면 활성제, 가공 보조제, 발포제, 유화제, 광택제, 스테아르산칼슘,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의 중화제, 나아가서는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포페난트렌-10-옥사이드 등의 착색 개량제나, 미국 특허 4,325,853호, 4,338,244호, 5,175,312호, 5,216,053호, 5,252,643호, 4,316,611호 명세서, DE-A-4, 316,622호, 4,316,876호 명세서, EP-A-589,839, EP-A-591,102호 명세서 등에 기재된 벤조푸란류, 인돌린류 등의 보조 안정제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이들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유기 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합물 (I) 및 (II) 그리고 아민 화합물 (A) 와 함께 유기 재료에 첨가할 수도 있고, 본 발명의 유기 재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합물 (I) 및 (II) 그리고 아민 화합물 (A) 와는 다른 단계에서 유기 재료에 첨가할 수도 있다. 첨가제로서, 1 종류의 첨가제를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의 첨가제를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 이하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1) 알킬화 모노페놀의 예
2,6-디-t-부틸-4-메틸페놀, 2,4,6-트리-t-부틸페놀, 2,6-디-t-부틸페놀, 2-t-부틸-4,6-디메틸페놀, 2,6-디-t-부틸-4-에틸페놀, 2,6-디-t-부틸-4-n-부틸페놀, 2,6-디-t-부틸-4-이소부틸페놀, 2,6-디시클로펜틸-4-메틸페놀, 2-(α-메틸시클로헥실)-4,6-디메틸페놀, 2,6-디옥다데실-4-메틸페놀, 2,4,6-트리시클로헥실페놀, 2,6-디-t-부틸-4-메톡시메틸페놀, 2,6-디-노닐-4-메틸페놀, 2,4-디메틸-6-(1'-메틸운데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헵타데실-1'-일)페놀, 2,4-디메틸-6-(1'-메틸트리데실-1'-일)페놀 및 그들의 혼합물 등.
(2) 알킬티오메틸페놀의 예
2,4-디옥틸티오메틸-6-t-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에틸페놀, 2,6-디도데실티오메틸-4-노닐페놀 및 그들의 혼합물 등.
(3) 하이드로퀴논 및 알킬화 하이드로퀴논의 예
2,6-디-t-부틸-4-메톡시페놀, 2,5-디-t-부틸하이드로퀴논, 2,5-디-t-아밀하이드로퀴논, 2,6-디페닐-4-옥타데실옥시페놀, 2,6-디-t-부틸하이드로퀴논, 2,5-디-t-부틸-4-하이드록시아니솔, 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스테아레이트, 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아디페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등.
(4) 토코페롤의 예
α-토코페롤, β-토코페롤, γ-토코페롤, δ-토코페롤 및 그들의 혼합물 등.
(5) 하이드록실화 티오디페닐에테르의 예
2,2'-티오비스(6-t-부틸페놀), 2,2'-티오비스(4-메틸-6-t-부틸페놀), 2,2'-티오비스(4-옥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2-메틸-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6-디-t-아밀페놀), 4,4'-(2,6-디메틸-4-하이드록시페닐)디술파이드 등.
(6) 알킬리덴비스페놀 및 그 유도체의 예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이소부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6-(α-메틸벤질)-4-노닐페놀], 2,2'-메틸렌비스[4,6-(α,α-디메틸벤질)-4-노닐페놀], 4,4'-메틸렌비스(6-t-부틸-2-메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5-t-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부탄, 2,6-비스(3-t-부틸-5-메틸-2-하이드록시벤질)-4-메틸페놀, 1,1,3-트리스(5-t-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비스(5-t-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3-n-도데실메르캅토부탄, 에틸렌글리콜 비스[3,3-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디시클로펜타디엔, 비스[2-(3'-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벤질)-6-t-부틸-4-메틸페닐]테레프탈레이트, 1,1-비스(3,5-디메틸-2-하이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5-t-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4-n-도데실메르캅토부탄, 1,1,5,5-테트라(5-t-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펜탄, 2-t-부틸-6-(3'-t-부틸-5'-메틸-2'-하이드록시벤질)-4-메틸페닐 아크릴레이트, 2,4-디-t-펜틸-6-[1-(2-하이드록시-3,5-디-t-펜틸페닐)에틸]페닐 아크릴레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등.
(7) O-, N- 및 S-벤질 유도체의 예
3,5,3',5'-테트라-t-부틸-4,4'-디하이드록시디벤질에테르, 옥타데실-4-하이드록시-3,5-디메틸벤질메르캅토아세테이트, 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아민, 비스(4-t-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디티오테레프탈레이트, 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술파이드, 이소옥틸-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메르캅토아세테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등.
(8) 하이드록시벤질화 말로네이트 유도체의 예
디옥타데실-2,2-비스(3,5-디-t-부틸-2-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디옥타데실-2-(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벤질)말로네이트, 디도데실메르캅토에틸-2,2-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닐]-2,2-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말로네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등.
(9) 방향족 하이드록시벤질 유도체의 예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1,4-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2,3,5,6-테트라메틸벤젠, 2,4,6-트리스(3,5-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페놀 및 그들의 혼합물 등.
(10) 트리아진 유도체의 예
2,4-비스(n-옥틸티오)-6-(4-하이드록시-3,5-디-t-부틸아닐리노)-1,3,5-트리아진, 2-n-옥틸티오-4,6-비스(4-하이드록시-3,5-디-t-부틸아닐리노)-1,3,5-트리아진, 2-n-옥틸티오-4,6-비스(4-하이드록시-3,5-디-t-부틸페녹시)-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t-부틸-4-페녹시)-1,3,5-트리아진, 트리스(4-t-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에틸)-1,3,5-트리아진, 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필)-1,3,5-트리아진, 트리스(3,5-디시클로헥실-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2-(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신나모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등.
(11) 벤질포스포네이트 유도체의 예
디메틸-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에틸-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옥타데실-5-t-부틸-4-하이드록시-3-메틸벤질포스포네이트,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폰산모노에스테르의 칼슘염 및 그들의 혼합물 등.
(12) 아실아미노페놀 유도체의 예
4-하이드록시라우릴산아닐리드, 4-하이드록시스테아르산아닐리드, 옥틸-N-(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카르바네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등.
(13) β-(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이하의 1 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예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티오에틸렌글리콜, 스피로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및 그들의 혼합물 등.
(14) β-(5-t-부틸-4-하이드록시-3-메틸페닐)프로피온산과 이하의 1 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예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티오에틸렌글리콜, 스피로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및 그들의 혼합물 등.
(15) β-(3,5-디시클로헥실-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과 이하의 1 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예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티오에틸렌글리콜, 스피로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및 그들의 혼합물 등.
(16) 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아세트산과 이하의 1 가 또는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의 예
메탄올, 에탄올, 옥탄올, 옥타데칸올, 에틸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티오에틸렌글리콜, 스피로글리콜, 트리에틸렌글리콜, 펜타에리트리톨, 트리스(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N,N'-비스(하이드록시에틸)옥사미드, 3-티아운데칸올, 3-티아펜타데칸올, 트리메틸헥산디올, 트리메틸올프로판, 4-하이드록시메틸-1-포스파-2,6,7-트리옥사비시클로[2,2,2]옥탄 및 그들의 혼합물 등.
(17) β-(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의 아미드의 예
N,N'-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N,N'-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 N,N'-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트리메틸렌디아민 및 그들의 혼합물 등.
황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디라우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트리데실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미리스틸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디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라우릴 스테아릴 3,3'-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 네오펜탄테트라일테트라키스 (3-라우릴티오프로피오네이트) 등.
인계 산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 이하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트리라우릴포스파이트, 트리옥타데실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디이소데실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6-트리-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트리스테아릴소르비톨트리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디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 2-에틸헥실 포스파이트,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닐) 플루오로 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 에틸 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 메틸 포스파이트, 2-(2,4,6-트리-t-부틸페닐)-5-에틸-5-부틸-1,3,2-옥사포스포리난,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t-부틸-1,1'-비페닐-2,2'-디일) 포스파이트, 6-[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폭시]-2,4,8,10-테트라-t-부틸디벤즈[d,f][1,3,2]디옥사포스페핀 및 그들의 혼합물 등.
노화 방지제로는, 예를 들어, 2,2,4-트리메틸-1,2-디하이드로퀴놀린의 중합물 등의 퀴놀린계 노화 방지제 ; 2,6-디-t-부틸-4-메틸페놀, 스티렌화페놀 등의 모노페놀계 노화 방지제 ;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등의 비스, 트리스, 폴리페놀계 노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류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퀴놀린계 노화 방지제가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로서, 이하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1) 살리실레이트 유도체의 예
페닐 살리실레이트, 4-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2,4-디-t-부틸페닐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4-t-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비스(4-t-부틸벤조일)레조르시놀, 벤조일레조르시놀, 헥사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옥타데실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2-메틸-4,6-디-t-부틸페닐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등.
(2) 2-하이드록시벤조페논 유도체의 예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비스(5-벤조일-4-하이드록시-2-메톡시페닐)메탄,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및 그들의 혼합물 등.
(3) 2-(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의 예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s-부틸-2'-하이드록시-5'-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3'-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하이드록시페닐)-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부틸-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부틸-3'-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하이드록시-5-(2-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하이드록시-5'-[2-(2-에틸헥실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3,4,5,6-테트라하이드로프탈이미드메틸)-5-메틸페닐] 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하이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도데실-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및 2-[3'-t-부틸-2'-하이드록시-5'-(2-이소옥틸옥시카르보닐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의 혼합물, 2,2'-메틸렌비스[6-(2H-벤조트리아졸-2-일)-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t-부틸-6-(2H-벤조트리아졸-2-일)페놀], 폴리(3 ∼ 11)(에틸렌글리콜) 과 2-[3'-t-부틸-2'-하이드록시-5'-(2-메톡시카르보닐에틸)페닐] 벤조트리아졸의 축합물, 폴리(3 ∼ 11)(에틸렌글리콜) 과 메틸 3-[3-(2H-벤조트리아졸-2-일)-5-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의 축합물, 2-에틸헥실 3-[3-t-부틸-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옥틸 3-[3-t-부틸-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메틸 3-[3-t-부틸-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3-[3-t-부틸-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 및 그들의 혼합물 등.
광 안정제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광 안정제로서, 이하의 화합물을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 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해도 된다.
(1)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제의 예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N-옥톡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N-벤질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N-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2-(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2-부틸말로네이트, 비스(1-아크로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2,2-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2-부틸말로네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데칸디오에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메타크릴레이트, 4-[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1-[2-(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2-메틸-2-(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프로피온아미드,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놀 및 1-트리데칸올의 혼합 에스테르화물,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 및 1-트리데칸올의 혼합 에스테르화물,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놀 및 3,9-비스(2-하이드록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의 혼합 에스테르화물,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 및 3,9-비스(2-하이드록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의 혼합 에스테르화물, 디메틸숙시네이트와 1-(2-하이드록시에틸)-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중축합물, 폴리[(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이미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N,N'-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헥사메틸렌디아민과 1,2-디브로모에탄의 중축합물, N,N',4,7-테트라키스[4,6-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1,3,5-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 N,N',4-트리스[4,6-비스(N-부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1,3,5-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 N,N',4,7-테트라키스[4,6-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1,3,5-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 N,N',4-트리스[4,6-비스(N-부틸-N-(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아미노)-1,3,5-트리아진-2-일]-4,7-디아자데칸-1,10-디아민 및 그들의 혼합물 등.
(2) 아크릴레이트계 광 안정제의 예
에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이소옥틸 α-시아노-β,β-디페닐아크릴레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부틸α-시아노-β-메틸-p-메톡시신나메이트, 메틸 α-카르보메톡시-p-메톡시신나메이트 및 N-(β-카르보메톡시-β-시아노비닐)-2-메틸인돌린 및 그들의 혼합물 등.
(3) 니켈계 광 안정제의 예
2,2'-티오비스-[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의 니켈 착물, 니켈디부틸 디티오카르바메이트, 모노알킬에스테르의 니켈염, 케톡심의 니켈 착물 및 그들의 혼합물 등.
(4) 옥사미드계 광 안정제의 예
4,4'-디옥틸옥시옥사닐리드, 2,2'-디에톡시옥사닐리드, 2,2'-디옥틸옥시-5,5'-디-t-부틸아닐리드, 2,2'-디도데실옥시-5,5'-디-t-부틸아닐리드, 2-에톡시-2'-에틸옥사닐리드, N,N'-비스(3-디메틸아미노프로필)옥사미드, 2-에톡시-5-t-부틸-2'-에톡시아닐리드, 2-에톡시-5,4'-디-t-부틸-2'-에틸옥사닐리드 및 그들의 혼합물 등.
(5) 2-(2-하이드록시페닐)-1,3,5-트리아진계 광 안정제의 예
2,4,6-트리스(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4-디하이드록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4-비스(2-하이드록시-4-프로필옥시페닐)-6-(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4,6-비스(4-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도데실옥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부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2-[2-하이드록시-4-(2-하이드록시-3-옥틸옥시프로폭시)페닐]-4,6-비스(2,4-디메틸페닐)-1,3,5-트리아진 및 그들의 혼합물 등.
금속 불활성화제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N,N'-디페닐옥사미드, N-살리실랄-N'-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살리실로일)히드라진, N,N'-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3-살리실로일아미노-1,2,4-트리아졸, 비스(벤질리덴)옥살릴디히드라지드, 옥사닐리드, 이소프탈로일디히드라지드, 세바코일비스페닐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옥살릴디히드라지드, N,N'-비스(살리실로일)티오프로피오닐디히드라지드 및 그들의 혼합물 등.
과산화물 스캐빈저로는, 예를 들어 β-티오디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 메르캅토벤조이미다졸, 2-메르캅토벤조이미다졸의 아연염, 디부틸디티오카르밤산의 아연염, 디옥타데실디술파이드,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키스(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아미드 안정제로는, 예를 들어 요오드화물 또는 인 화합물의 구리 또는 2 가의 망간염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시아민으로는, 예를 들어 N,N-디벤질하이드록시아민, N,N-디에틸하이드록시아민, N,N-디옥틸하이드록시아민, N,N-디라우릴하이드록시아민, N,N-디테트라데실하이드록시아민, N,N-디헥사데실하이드록시아민, N,N-디옥타데실하이드록시아민, N-헥사데실-N-옥타데실하이드록시아민, N-헵타데실-N-옥타데실하이드록시아민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중화제로는, 예를 들어 스테아르산칼슘, 스테아르산아연, 스테아르산마그네슘, 하이드로탈사이트 (염기성 마그네슘·알루미늄·하이드록시·카보네이트·하이드레이드), 멜라민, 아민, 폴리아미드, 폴리우레탄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활제로는, 예를 들어 파라핀, 왁스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 탄소수 8 ∼ 22 의 고급 지방산, 탄소수 8 ∼ 22 의 고급 지방산 금속 (Al, Ca, mg, Zn) 염, 탄소수 8 ∼ 22 의 지방족 알코올, 폴리글리콜, 탄소수 4 ∼ 22 의 고급 지방산과 탄소수 4 ∼ 18 의 지방족 1 가 알코올의 에스테르, 탄소수 8 ∼ 22 의 고급 지방족 아마이드, 실리콘유, 로진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조핵제로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나트륨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포스페이트, [인산-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디하이드로옥시알루미늄, 비스[인산-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하이드로옥시알루미늄, 트리스[인산-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알루미늄, 나트륨 비스(4-t-부틸페닐)포스페이트, 벤조산나트륨 등의 벤조산 금속염, p-t-부틸벤조산알루미늄, 1,3:2,4-비스(O-벤질리덴)소르비톨, 1,3:2,4-비스(O-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2,4-비스(O-에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O-3,4-디메틸벤질리덴-2,4-O-벤질리덴소르비톨, 1,3-O-벤질리덴-2,4-O-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2,4-비스(O-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O-p-클로로벤질리덴-2,4-O-3,4-디메틸벤질리덴소르비톨, 1,3-O-3,4-디메틸벤질리덴-2,4-O-p-클로로벤질리덴소르비톨, 1,3:2,4-비스(O-p-클로로벤질리덴)소르비톨 및 그들의 혼합물 등.
충전제로는, 예를 들어 탄산칼슘, 규산염, 유리 섬유, 아스베스토, 탤크, 카올린, 마이카, 황산바륨, 카본 블랙, 카본 파이버, 제올라이트 및 그들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제 중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것은,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힌더드아민계 광 안정제, 과산화물 스캐빈저 및 중화제이다.
특히 바람직한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2,6-디-t-부틸-4-메틸페놀, 2,4,6-트리-t-부틸페놀, 2,4-디옥틸티오메틸-6-메틸페놀, 2,2'-티오비스(6-t-부틸페놀), 4,4'-티오비스(3-메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α-메틸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메틸-6-시클로헥실페놀),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놀),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놀), 4,4'-메틸렌비스(6-t-부틸-2-메틸페놀), 4,4'-메틸렌비스(2,6-디-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비스(4-하이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1,1-비스(5-t-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부탄, 1,1,3-트리스(5-t-부틸-4-하이드록시-2-메틸페닐)부탄, 에틸렌글리콜 비스[3,3-비스-3'-t-부틸-4'-하이드록시페닐)부티레이트], 2-t-부틸-6-(3'-t-부틸-5'-메틸-2'-하이드록시벤질)-4-메틸페닐 아크릴레이트, 2,4-디-t-펜틸-6-[1-(2-하이드록시-3,5-디-t-펜틸페닐)에틸]페닐 아크릴레이트,
2,4,6-트리스(3,5-디-t-부틸-4-페녹시)-1,3,5-트리아진, 트리스(4-t-부틸-3-하이드록시-2,6-디메틸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2-(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신나모일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디에틸-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디-n-옥타데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포네이트,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포스폰산모노에스테르의 칼슘염, n-옥타데실 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네오펜탄테트라일테트라키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 티오디에틸렌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벤젠, 3,6-디옥사옥타메틸렌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 헥사메틸렌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신나메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비스(5-t-부틸-4-하이드록시-3-메틸신나메이트), N,N'-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히드라진, N,N'-비스[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헥사메틸렌디아민 등.
또 특히 바람직한 인계 산화 방지제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디스테아릴 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비스(2,6-디-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트리톨 디포스파이트, 테트라키스(2,4-디-t-부틸페닐)-4,4'-디페닐렌디포스포나이트,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페닐) 2-에틸헥실 포스파이트, 2,2'-에틸리덴비스(4,6-디-t-부틸페닐) 플루오로 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 에틸포스파이트, 2-(2,4,6-트리-t-부틸페닐)-5-에틸-5-부틸-1,3,2-옥사포스포리난, 2,2',2''-니트릴로[트리에틸-트리스(3,3',5,5'-테트라-t-부틸-1,1'-비페닐-2,2'-디일)포스파이트, 6-[3-(3-t-부틸-4-하이드록시-5-메틸페닐)프로폭시]-2,4,8,10-테트라-t-부틸디벤즈[d,f][1,3,2]디옥사포스페핀 등.
특히 바람직한 자외선 흡수제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페닐 살리실레이트, 4-t-부틸페닐 살리실레이트, 2,4-디-t-부틸페닐 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4-t-옥틸페닐 살리실레이트, 2,4-디하이드록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2-하이드록시-4-옥톡시벤조페논, 2,2'-디하이드록시-4-메톡시벤조페논, 비스(5-벤조일-4-하이드록시-2-메톡시페닐)메탄, 2,2',4,4'-테트라하이드록시벤조페논, 2-(2-하이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5'-t-부틸-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5'-t-옥틸페닐)벤조트리아졸, 2-(3-t-부틸-2-하이드록시-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2-(3'-s-부틸-2'-하이드록시-5'-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4'-옥틸옥시페닐)벤조트리아졸, 2-(3',5'-디-t-아밀-2'-하이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하이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등.
특히 바람직한 광 안정제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N-옥톡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N-벤질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N-시클로헥실옥시-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2-(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2-부틸말로네이트, 비스(1-아크로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2,2-비스(3,5-디-t-부틸-4-하이드록시벤질)-2-부틸말로네이트, 비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숙시네이트,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메타크릴레이트, 4-[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1-[2-(3-(3,5-디-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닐옥시)에틸]-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 2-메틸-2-(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아미노-N-(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프로피온아미드, 테트라키스(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테트라키스(1,2,6,6-펜타메틸-4-피페리딜)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레이트,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놀 및 1-트리데칸올의 혼합 에스테르화물,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 및 1-트리데칸올의 혼합 에스테르화물,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놀 및 3,9-비스(2-하이드록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의 혼합 에스테르화물, 1,2,3,4-부탄테트라카르복실산과 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디놀 및 3,9-비스(2-하이드록시-1,1-디메틸에틸)-2,4,8,10-테트라옥사스피로[5·5]운데칸의 혼합 에스테르화물, 디메틸숙시네이트와 1-(2-하이드록시에틸)-4-하이드록시-2,2,6,6-테트라메틸피페리딘의 중축합물, 폴리[(6-모르폴리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폴리[(6-(1,1,3,3-테트라메틸부틸)-1,3,5-트리아진-2,4-디일)((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헥사메틸렌((2,2,6,6-테트라메틸-4-피페리딜)이미노)] 등.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 또는, 특정한 비율의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와,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그 밖의 첨가제를, 균질한 혼합물을 얻기 위한 공지된 모든 방법 및 장치를 사용하여, 유기 재료에 첨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를 첨가하는 경우를 예로 설명하면, 유기 재료가 고체 폴리머인 경우는,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 및/또는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그 밖의 첨가제를, 그 고체 폴리머에 직접 드라이블렌드할 수도 있고, 혹은,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 및/또는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그 밖의 첨가제를 마스터 배치의 형태로, 고체 폴리머에 첨가할 수도 있다. 유기 재료가 액상 폴리머인 경우는, 상기 첨가 방법에 더하여, 중합 도중 혹은 중합 직후의 폴리머 용액에,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 및/또는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그 밖의 첨가제를, 용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로 배합할 수도 있다. 한편, 유기 재료가 고체 폴리머 이외의 액체 (예를 들어 오일 등) 인 경우는, 상기 첨가 방법에 더하여,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 및/또는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그 밖의 첨가제를 유기 재료에 직접 첨가하여 용해시킬 수도 있고, 혹은,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 및/또는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그 밖의 첨가제를 액상 매체에 용해 또는 현탁시킨 상태로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는, 폴리올레핀 등의 열가소성 수지를 비롯한 각종 유기 재료의 안정제로서 우수한 성능을 갖는다. 본 발명의 가공 안정제를 첨가한 유기 재료, 및 특정한 비율의 식 (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식 (II)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첨가한 유기 재료는, 제조시, 가공시, 나아가서는 사용시의 열 열화 및 산화 열화 등에 대해 안정적이고, 고품질의 제품이 된다. 또한 유기 재료의 산화성 가스에 의한 변색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전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 특별한 기재가 없는 한,「부」는「질량부」를 의미한다.
<성분>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분을 이하에 기재한다.
(열가소성 수지)
·저밀도 폴리에틸렌 수지 (LLDPE) (MI 값 : 1 g/10 분,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가공 안정제)
·화합물 I :
2,4,8,10-테트라-t-부틸-6-〔3-(3-메틸-4-하이드록시-5-t-부틸페닐)프로폭시〕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 (스미라이저 (등록상표) GP, 스미토모 화학 주식회사 제조)
·화합물 II :
6-옥소-2,4,8,10-테트라-t-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
·아민 화합물 A :
트리이소프로판올아민 (도쿄 화성 공업 제조)
(화합물 II 의 제조)
2,2'-비스(4,6-디-t-부틸페놀) 60 g 과, n-펜탄 770 mL 를 혼합하고, 거기에 삼염화인 23 g 을 적하하였다. 빙욕에서 냉각시키면서, 추가로 트리에틸아민 49 g 을 적하하고, 실온에서 6 시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에 물 2.6 g 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얻어진 혼합물에 물과 아세트산에틸을 첨가하여, 아세트산에틸층을 분액하고, 얻어진 아세트산에틸층을 포화 식염수로 세정하였다. 세정된 아세트산에틸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 후, 아세트산에틸을 증류 제거하여, 고형물을 얻었다. 얻어진 고형물과 디에틸에테르를 혼합하고, 그 후, 얻어진 혼합물을 여과하여 백색 고형물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개체를, 헥산/아세트산에틸을 혼합 용매에 용해하고, 여과하여, 여과액으로부터 헥산 및 아세트산에틸을 증류 제거하여, 화합물 II 를 얻었다. 수율은 61.8 % 였다.
얻어진 화합물 II 가 6-옥소-2,4,8,10-테트라-t-부틸-디벤조〔d,f〕〔1,3,2〕디옥사포스페핀인 것을, 매스 스펙트로메트리 및 1H-NMR 에 의해 확인하였다.
(실시예 1)
LLDPE 100 부, 스테아르산칼슘 0.05 부 (닛토 화성 공업사 제조), 화합물 I 0.2 부, 화합물 II 0.00006 부, 그리고 아민 화합물 A 0.002 부를 드라이블렌드하고, 얻어진 혼합물을, 실린더 직경 32 ㎜ 의 2 축 압출기 (BTN-32, PLABOR 사) 를 사용하여, 질소 분위기하, 온도 190 ℃ 및 스크루 회전수 80 rpm 의 조건으로 혼련하여, 펠릿을 얻었다.
(실시예 2 ∼ 7, 비교예 1 ∼ 5)
표 1 에 기재된 첨가 중량부의 화합물 I,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를 드라이블렌드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하여 펠릿을 얻었다.
얻어진 실시예 1 ∼ 7 및 비교예 1 ∼ 5 의 펠릿을 사용하여, 가공 안정성 및 내 NOx 성을 평가하였다.
(가공 안정성)
얻어진 펠릿을, 실린더 직경 30 ㎜ 의 단축 압출기 (VS30-28 형 압출기, 타나베 플라스틱스사 제조) 를 사용하여, 공기 분위기하, 온도 280 ℃ 및 스크루 회전수 50 rpm 의 조건으로 혼련하여 펠릿을 얻는 작업을 5 회 반복하고, 얻어진 펠릿의 멜트 플로 레이트 (MFR) 를 측정하였다.
MFR 은 멜트 인덱서 (형식 L246-3537, 주식회사 테크노·세븐사 제조) 를 사용하여, 온도 190 ℃ 및 하중 21.18 N 의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LLDPE 는, 열에 의한 가공에 의해 가교가 진행되고, 그 MFR 이 저하된다. 그 때문에, LLDPE 는, 단축 압출기에서의 반복 압출 후의 펠릿의 MFR 이 클수록, 그 가공 안정성은 양호하다. 얻어진 MFR 에 기초하여, 하기 기준으로 가공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가공 안정성의 평가 기준
○ : 0.6 이상
× : 0.6 미만
(내 NOx 성)
얻어진 펠릿을, 프레스기 (칸사이 롤사 제조「PEW-5040」) 를 온도 190 ℃ 의 조건으로 사용하여, 두께 1 ㎜ 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를 레버식 시료 재단기 (덤벨사 제조「SDL-200」) 로 세로 4 ㎝·가로 4 ㎝ 로 절단하여 시험편을 얻었다.
얻어진 시험편을 산화질소 가스 시험 장치 내 (스가 시험기사 제조「GF-5」) 에 매달고, JIS L 0855 (1998) 에 따라서 발생시킨 NOx 가스를 가스 뷰렛에 포집하고, 포집한 NOx 가스 10 mL 를 가스 시린지로 산화질소 가스 시험 장치 내에 주입하였다. 시험편에 주입한 NOx 가스를 실온하에서 7 일간 폭로한 후, 시험편을 취출하여, 색차계 (코니카 미놀타 재팬사 제조「CM-3500d」) 를 사용하여 옐로 인덱스 (YI) 를 측정하였다. YI 가 작을수록, 변색이 억제되어 있고, 내 NOx 성이 우수한 것을 의미한다. 얻어진 YI 에 기초하여, 하기 기준으로 내 NOx 성을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 에 나타낸다.
내 NOx 성의 평가 기준
○ : 5.9 미만
× : 5.9 이상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Claims (12)

  1. 식 (I) :
    Figure pct00015

    [식 (I) 중,
    R1, R2,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A 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7- 기 (R7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 는 산소측의 결합손인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Y 및 Z 는,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일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과, 식 (II) :
    Figure pct00016

    [식 (II)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와,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A) 를 포함하고,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은 0.005 ∼ 4 질량부이고,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은 0.01 ∼ 15 질량부인, 가공 안정제.
  2. 제 1 항에 있어서,
    아민 화합물 (A) 는 알칸올아민인, 가공 안정제.
  3. 제 2 항에 있어서,
    알칸올아민은, 식 (III) :
    Figure pct00017

    [식 (III) 중, Y1, Y2 및 Y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단, Y1 ∼ Y3 중 적어도 1 개는,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또는 식 (IV) :
    Figure pct00018

    [식 (IV) 중, Y4, Y5, Y6 및 Y7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단, Y4 ∼ Y7 중 적어도 1 개는, 적어도 1 개의 수산기를 갖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B 는 탄소수 1 ∼ 4 의 알킬렌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가공 안정제.
  4. 제 3 항에 있어서,
    알칸올아민은 식 (III) 으로 나타내는, 가공 안정제.
  5. 제 3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식 (III) 중의 Y1, Y2 및 Y3 그리고 식 (IV) 중의 Y4, Y5, Y6 및 Y7 은, 각각 독립적으로, -CH2-CH(OH)-R6 [식 중, R6 은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3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을 나타내는, 가공 안정제.
  6. 식 (I) :
    Figure pct00019

    [식 (I) 중,
    R1, R2,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A 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7- 기 (R7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 는 산소측의 결합손인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Y 및 Z 는,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일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과, 식 (II) :
    Figure pct00020

    [식 (II)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와,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A) 와, 유기 재료를 포함하고,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은 0.005 ∼ 4 질량부이고,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은 0.01 ∼ 15 질량부인, 유기 재료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화합물 (I), 화합물 (II) 및 아민 화합물 (A) 로서,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공 안정제를 포함하는, 유기 재료 조성물.
  8. 제 6 항 또는 제 7 항에 있어서,
    유기 재료가 열가소성 수지인 유기 재료 조성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유기 재료 조성물.
  10. 유기 재료에, 식 (I) :
    Figure pct00021

    [식 (I) 중,
    R1, R2, R4 및 R5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A 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 또는 *-C(=O)-R7- 기 (R7 은 단결합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 는 산소측의 결합손인 것을 나타낸다) 를 나타내고,
    Y 및 Z 는, 어느 일방이 하이드록실기, 탄소수 1 ∼ 8 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옥시기를 나타내고, 다른 일방이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 과, 식 (II) :
    Figure pct00022

    [식 (II) 중,
    R1 및 R2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 탄소수 6 ∼ 12 의 알킬시클로알킬기, 탄소수 7 ∼ 12 의 아르알킬기 또는 페닐기를 나타내고,
    R3 은,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 8 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X 는, 단결합, 황 원자 또는 -CH(-R6)- 기 (R6 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 8 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5 ∼ 8 의 시클로알킬기를 나타낸다) 를 나타낸다]
    로 나타내는 화합물 (II) 와, 하이드록시알킬기를 갖는 아민 화합물 (A) 를, 화합물 (I) 100 질량부에 대한, 화합물 (II) 의 함유량이 0.005 ∼ 4 질량부이고, 아민 화합물 (A) 의 함유량이 0.01 ∼ 15 질량부가 되는 양으로 첨가하거나, 또는,
    유기 재료에,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가공 안정제를 첨가하는,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유기 재료가 열가소성 수지인 안정화 방법.
  12. 제 11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올레핀 또는 엔지니어링 플라스틱인, 안정화 방법.
KR1020247031694A 2022-03-03 2023-02-15 가공 안정제, 유기 재료 조성물, 및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 Pending KR2024016059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032691A JP2023128376A (ja) 2022-03-03 2022-03-03 加工安定剤、有機材料組成物、及び有機材料の安定化方法。
JPJP-P-2022-032691 2022-03-03
PCT/JP2023/005115 WO2023166978A1 (ja) 2022-03-03 2023-02-15 加工安定剤、有機材料組成物、及び有機材料の安定化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60595A true KR20240160595A (ko) 2024-11-11

Family

ID=878834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31694A Pending KR20240160595A (ko) 2022-03-03 2023-02-15 가공 안정제, 유기 재료 조성물, 및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50171476A1 (ko)
EP (1) EP4488337A1 (ko)
JP (1) JP2023128376A (ko)
KR (1) KR20240160595A (ko)
CN (1) CN118843659A (ko)
WO (1) WO2023166978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6717A1 (ja) 2014-03-12 2015-09-17 住友化学株式会社 加工安定剤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44272B (en) 1979-02-05 1983-03-16 Sandoz Ltd Stabilising polymers
US4316611A (en) 1980-06-20 1982-02-23 Stokes W Fred Competition game machine
US4325853A (en) 1980-07-31 1982-04-20 Gulf Oil Corporatio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rosin esters
US5175312A (en) 1989-08-31 1992-12-29 Ciba-Geigy Corporation 3-phenylbenzofuran-2-ones
US5216053A (en) 1989-10-30 1993-06-01 The Dow Chemical Company Chlorinated polyethlene mastic adhesive compositions, and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se compositions
US5252643A (en) 1991-07-01 1993-10-12 Ciba-Geigy Corporation Thiomethylated benzofuran-2-ones
GB2267490B (en) 1992-05-22 1995-08-09 Ciba Geigy Ag 3-(Carboxymethoxyphenyl)benzofuran-2-one stabilisers
TW260686B (ko) 1992-05-22 1995-10-21 Ciba Geigy
MX9305489A (es) 1992-09-23 1994-03-31 Ciba Geigy Ag 3-(dihidrobenzofuran-5-il)benzofuran-2-onas, estabilizadores.
TW255902B (ko) 1992-09-23 1995-09-01 Ciba Geigy
US5475042A (en) 1995-03-21 1995-12-12 Ciba-Geigy Corporation Cyclic pyrophosphites and compositions stabilized therewith
JP3876479B2 (ja) 1996-08-05 2007-01-31 住友化学株式会社 亜リン酸エステル類、その製造法及びその用途
JP5919795B2 (ja) * 2011-12-15 2016-05-18 日本ポリエチレン株式会社 帯電防止フィルム用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及びそれよりなるフィルム
JP6444070B2 (ja) * 2014-06-18 2018-12-26 興人フィルム&ケミカルズ株式会社 冷間成形用二軸延伸ポリアミドフィルム及びそれを用いた包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36717A1 (ja) 2014-03-12 2015-09-17 住友化学株式会社 加工安定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8843659A (zh) 2024-10-25
US20250171476A1 (en) 2025-05-29
WO2023166978A1 (ja) 2023-09-07
EP4488337A1 (en) 2025-01-08
JP2023128376A (ja) 2023-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76479B2 (ja) 亜リン酸エステル類、その製造法及びその用途
EP0823435B1 (en) Phosphites,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d their use
JP4193223B2 (ja) 安定剤組成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KR20100020423A (ko) 페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열가소성 중합체 조성물
EP3330343A1 (en) Phosphite ester composition
JP7670567B2 (ja) フェノール化合物、有機材料用安定剤、樹脂組成物、及び有機材料の安定化方法
EP3348541B1 (en) Stabilizer for organic materials
US8815990B2 (en) Stabilizer composition
KR20240160595A (ko) 가공 안정제, 유기 재료 조성물, 및 유기 재료의 안정화 방법
JP4123664B2 (ja) 3−フェニルベンゾフラノン類を有効成分とする熱可塑性ポリマー用安定剤
WO2024075651A1 (ja) 安定剤、有機材料組成物、及び有機材料の安定化方法
EP3260461B1 (en) Phosphite compou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nd uses thereof
JP5593595B2 (ja) 熱可塑性ポリマー組成物
JP2010159396A (ja) 回転成形体用ポリオレフィン組成物
WO2024150714A1 (ja) 加工安定剤、樹脂組成物、および有機材料の安定化方法
EP3257858B1 (en) Phosphorous acid compound, method for producing said compound, and use of said compound
WO2023166983A1 (ja) 亜リン酸エステル組成物
JP3876481B2 (ja) 亜リン酸エステル類、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3887881B2 (ja) 5配位リン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EP4317166A1 (en) Phosphorous ester compound, method for producing same, and use application for same
JP3879182B2 (ja) 有機リン化合物、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JP2023166639A (ja) 新規フェノール化合物及び該化合物を含む樹脂組成物
JPH10120691A (ja) 亜リン酸エステル類、その製法及びその用途
JP2002194141A (ja) ブタジエン重合体成形品の製造法
JPH10152494A (ja) 亜リン酸エステル類、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923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