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54307A -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은폐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은폐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54307A
KR20240154307A KR1020230050728A KR20230050728A KR20240154307A KR 20240154307 A KR20240154307 A KR 20240154307A KR 1020230050728 A KR1020230050728 A KR 1020230050728A KR 20230050728 A KR20230050728 A KR 20230050728A KR 20240154307 A KR20240154307 A KR 20240154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cralfate
cosmetic composition
acrylate
wrinkles
ski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507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명덕
문선영
김기선
주영아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0507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54307A/ko
Publication of KR20240154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54307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7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single or double bond to nitrogen or by a heterocyclic ring containing nitrogen; Compositions or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g. vinylimidazol, vinylcaprolactame, allylamines (Polyquaternium 6)
    • A61K8/8182Copolymers of vinyl-pyrrolidon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물을 흡수하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사용하여 수크랄페이트가 제형에 안정적으로 분산되고, 피부 표면에 구형 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의 결점 또는 주름을 즉각적으로 은폐하거나 피부결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Description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은폐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smetic composition for concealing or improving wrinkles comprising sucralfate and acrylate-based polymers}
본 발명은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주름을 개선하기 위한 화장품은 크게 주름을 발생시키는 인자에 직접 작용하여 주름의 생성을 감소시키거나 이미 생성된 주름을 완화시키는 기능성 화장품과, 분체를 이용하여 주름 부위를 메우거나 구형 막을 형성하여 즉각적, 일시적으로 주름의 은폐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품으로 나눌 수 있다.
최근 자연스러운 화장을 위해 피부의 굴곡을 개선하여 매끈한 피부로 보이도록 하는 욕구가 증가함에 따라, 기초 화장품만으로도 자연스러운 피부 색상을 나타내면서 피부결을 매끄럽게 보이도록 하는 화장품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피부에 바르는 즉시 주름 등 피부의 결점을 보완하는 제품들이 출시되고 있다.
한편 수크랄페이트(Sucralfate)는 불수용성의 염기성 알루미늄 수크로스 설페이트로, 위궤양, 위식도 역류 질환(GERD), 위염 등을 치료하고 스트레스성 궤양을 예방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로 알려져 있으며, 최근에는 화상 연고로도 개발되었다. 또한, 수크랄페이트는 혈류를 개선시켜주고 피부 조직에 있는 손상된 점막을 치유해주는 효과를 가지고 있는 분체로서 다양한 분야에 활용도가 높다고 여겨진다. 다만 수크랄페이트는 pH에 따라 반응이 일어나 단단한 고체를 형성하는 성질 때문에 제형 확보에 어려움이 있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배경 하에, 본 발명의 발명자는 수크랄페이트를 실리콘 오일에 안정적으로 분산시키고 pH에 영향을 주지 않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혼합함으로써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것과 동시에, 피부 표면에 구형 막을 형성하여 즉각적인 주름 은폐 또는 결점 보완 효과를 나타내는 화장료 조성물을 완성하였다.
일 양상은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용어 "수크랄페이트(Sucralfate; Aluminum sucrose octasulfate)"는 불수용성의 염기성 알루미늄 수크로스 설페이트로, 아래 화학식 1로 표현될 수 있다. 수크랄페이트의 염은 세포 재생을 증가시킬 수 있고, 민감성 피부 또는 피부조직에 있는 손상된 점막을 진정시키거나 회복시킬 수 있다.
[화학식 1]
상기 수크랄페이트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3 중량%, 0.01 내지 2 중량%, 0.01 내지 1 중량%, 0.05 내지 5 중량%, 0.05 내지 3 중량%, 0.05 내지 2 중량%, 0.05 내지 1 중량%,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3 중량%, 0.1 내지 2 중량%, 0.1 내지 1 중량%, 0.5 내지 5 중량%, 0.5 내지 3 중량%, 0.5 내지 2 중량%, 0.5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는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Sodium Acrylates Crosspolymer-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Ammonium Acryloyldimethyltaurate/VP Copolymer), 부틸아크릴레이트/하이드록시프로필디메치콘아크릴레이트코폴리
머(Butyl Acrylate/Hydroxypropyl Dimethicone Acrylate Copolymer), 아크릴레이트/C12-22알킬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C12-22 Alkyl Methacrylate Copolymer), 암모늄아크릴레이트코폴리머(Ammonium Acrylates Copolymer), 스티렌/아크릴레이트/암모늄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Styrene/Acryla
tes/Ammonium Methacrylate Copolymer), 메타크릴로일에틸베타인/아크릴레이트코
폴리머(Methacryloyl Ethyl Betaine/Acrylates Copolymer), 아크릴레이트/스테아
릴아크릴레이트/디메치콘메타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Stearyl Acrylate/Di
methicone Methacrylate Copolymer) 또는 아크릴레이트/폴리트리메틸실록시메타
크릴레이트코폴리머(Acrylates/Polytrimethylsiloxymethacrylate Copolymer)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MMA) 및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는 pH에 영향을 주지 않아 수크랄페이트가 결정화 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됨으로써 제형의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는 아크릴산(acrylic acid),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또는 하나 이상의 디글리시딜 에테르(Diglycidyl ether)와 연결된 에스터 코폴리머의 나트륨염을 의미하고, 상기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는 메틸메타크레이트의 중합체이며, 이는 각각 흡수제 또는 피막/필름형성제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는 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와 비닐파일롤리돈 단일체의 중합체를 의미한다.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는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해 0.1 내지 4 중량%, 0.1 내지 2 중량%, 0.1 내지 1 중량%, 0.3 내지 4 중량%, 0.3 내지 2 중량%, 0.3 내지 1 중량%,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2 중량%, 0.5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주름 개선"은 피부의 탄력성이 상실되어 느슨해지거나 피부가 접히는 상태를 해소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름 개선은 주름 또는 피부의 굴곡을 은폐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있어서, 수크랄페이트는 실리콘계 오일에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일 실험예에서는 상기 불수용성의 수크랄페이트를 실리콘계 오일에 먼저 분산시킨 후 수상부에 첨가하고,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혼합하여 안정화시킨 실시예에서 제형의 안정성이 더 우수하고, 주름의 은폐 효과도 2배 이상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 실리콘계 오일은 다이메티콘(Dimethicone), 페닐트라이메티콘(Phenyl Trimethicone), 메틸트라이메티콘(Methyl Tr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Cyclopentasiloxane),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Cyclohexasiloxane), 카프릴릴메티콘(Caprylyl Methicone), 피이지-11메틸에터다이메티콘(PEG-11 Methyl Ether Dimethicone), 세틸다이메티콘(Cetyl Dimethicone) 및 피이지-12다이메티콘(PEG-12 Dimethicon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취 또는 스프레이일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기능성 첨가물 및 일반적인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항산화제,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향료 등과 같은 통상적인 보조성분 및 담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는 글리세린, 부틸렌글리콜, 폴리옥시에칠렌 경화피마자유, 토코페릴 아세테이트, 시트릭산, 스쿠알란, 소듐 시트레이트, 알란토인 등의 보조성분이 추가로 더 포함될 수 있고, 용제로는 헥산디올, 정제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능성 첨가물로는 수용성 비타민, 유용성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고분자 다당, 스핑고 지질 및 해초 엑기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에 포함되는 배합 성분으로서는 유지 성분, 보습제, 에몰리엔트제, 계면 활성제, 유기 및 무기 안료, 유기 분체,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식물 추출물, pH 조정제, 알콜, 색소, 향료, 혈행 촉진제, 냉감제, 제한(制汗)제, 정제수 등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물을 흡수하는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사용하여 수크랄페이트가 제형에 안정적으로 분산되고, 피부 표면에 구형 막을 형성함으로써 피부의 결점 또는 주름을 즉각적으로 은폐하거나 피부결을 개선하는 효과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2는 수크랄페이트를 실리콘 오일에 먼저 분산시킨 후 수상부(A)에 첨가하고 각각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로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를 이용하여 안정화시킨 실시예에서 수크랄페이트의 분산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먼저 수크랄페이트를 수상부(A)에 함께 첨가하고 이를 카보머를 이용하여 안정화시킨 비교예에서 수크랄페이트의 분산 정도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4 및 5는 실시예 1 또는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피부의 주름 은폐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피부의 주름 은폐 효과를 확인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실험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험예는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실리콘 오일에 분산시킨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실시예 화장료 조성물 제조
아래의 표 1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과 같이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1의 수상부(A)를 75℃로 가온, Homogenizer를 사용하여 3분 간 교반하며 온도를 유지하였으며, 수크랄페이트를 실리콘 오일(메틸트라이메티콘)에 분산시킨 후 75℃로 가온하여 수상부(A)에 첨가하였고, 여기에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실시예 1) 또는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실시예 2)를 천천히 투입하고 Homogenizer를 사용하여 3분 간 교반, 이후 30도로 냉각하며 점도를 형성하여 안정화시켰다. 이후 기타 스킨 컨디셔닝제 및 방부제를 투입하고 Homogenizer를 사용하여 3분 간 교반하였다.
Phase INCI 실시예1 실시예2
A 정제수 to 100 to 100
잔탄검 0.2 0.2
프로판디올 2 2
B 메틸트라이메티콘 3 3
알루미늄수크로오스옥타설페이트(수크랄페이트) 1 1
세테아릴올리베이트 0.5 0.5
C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 1 -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 1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 - 0.5
D 기타 스킨 컨디셔닝제,
방부제
적량 적량
그 결과, 도 1 및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크랄페이트를 실리콘 오일에 먼저 분산시킨 후 수상부(A)에 첨가하고,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혼합하여 안정화시킨 실시예 1 및 2의 경우 수크랄페이트가 결정화 되지 않고 고르게 분산된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수크랄페이트를 단독으로 사용한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 제조
아래의 표 2에 기재된 조성 및 함량과 같이 수크랄페이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 또는 2와 달리, 먼저 표 2의 수상부(A)를 75℃로 가온, Homogenizer를 사용하여 3분간 교반하며 온도를 유지하였으며, 여기에 카보머를 첨가하고 Homogenizer를 사용하여 3분간 교반하며 온도를 유지하였다. 이후 수크랄페이트를 실리콘 오일(메틸트라이메티콘)에 분산시킨 후 75℃로 가온하여 첨가하고, Homogenizer를 사용하여 3분 간 교반, 이후 30도로 냉각하였다. 마지막으로 기타 스킨 컨디셔닝제 및 방부제를 투입하고 Homogenizer를 사용하여 3분 간 교반하였다.
Phase INCI 비교예1
A 정제수 to 100
잔탄검 0.2
프로판디올 2
B 카보머 0.3
C 메틸트라이메티콘 3
알루미늄수크로오스옥타설페이트(수크랄페이트) 1
세테아릴올리베이트 0.5
D 기타 중화제 적량
E 기타 스킨 컨디셔닝제,
방부제
적량
그 결과,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 없이 수크랄페이트를 수상부(A)에 단독으로 첨가한 비교예의 경우 수크랄페이트가 완전히 분산되지 않고 일부 단단한 결정이 형성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실시예 1, 2 및 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의 주름 은폐 효과
상기 실험예 1 및 2에서 제조한 실시예/비교예 화장료 조성물에 대해 주름 은폐 효과 테스트를 진행하였다. 구체적으로, 패널 성인 1명(34세)을 대상으로 손목주름을 비누로 세척 후 10분 간 항온항습실에서 대기한 뒤 피부의 주름(전)을 촬영하고, 상기 실시예 1, 실시예 2 및 비교예의 화장료 조성물을 고르게 펴 바른 뒤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 부위의 주름(후)을 촬영하였다. 결과 분석법은 측정부위의 동일 면적을 지정한 뒤, Indentation을 분석(0.5mm 이하의 굵기를 가진 주름을 선별하여 분석)하여 주름의 은폐 정도를 수치화하였다(Antera 3D (miravex, UK)). 여기서 Indentation(A.U)은 피부 표면보다 하강한 부위의 면적 및 깊이 등을 측정하여 포괄적으로 나타낸 값으로, Indentation 값이 작을수록 주름이 개선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 결과, 실시예 1의 경우 1회 사용 후 Indentation(A.U) 값이 4.044에서 3.726으로 약 7.8% 감소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으며(도 4), 실시예 2 의 경우 1회 사용 후 Indentation 값이 3.944에서 3.667로 약 7.0% 감소한 것을 확인하였다(도 5). 반면 비교예의 경우 Indentation 값이 4.061에서 3.936으로 약 3% 감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는 바(도 6), 실리콘 오일에 분산시킨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비교예 대비 주름 은폐에 있어 약 2배 이상의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험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4)

  1.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는 소듐아크릴레이트크로스폴리머-2(Sodium Acrylates Crosspolymer-2),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Poly(methyl methacrylate); PMMA) 및 암모늄아크릴로일다이메틸타우레이트/브이피코폴리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름 개선은 주름의 은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크랄페이트는 실리콘계 오일에 분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230050728A 2023-04-18 2023-04-18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은폐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ending KR20240154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728A KR20240154307A (ko) 2023-04-18 2023-04-18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은폐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050728A KR20240154307A (ko) 2023-04-18 2023-04-18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은폐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54307A true KR20240154307A (ko) 2024-10-25

Family

ID=932883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50728A Pending KR20240154307A (ko) 2023-04-18 2023-04-18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은폐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5430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228511B2 (ja) 増粘剤として2種のコポリマーの組合せを含み、所望により両親媒性レオロジー補正剤を含んでいてもよい油性化粧組成物
US5908618A (en) Topical composition containing at least one protein
US5879684A (en) Skin tightening formulation and method for treating skin
JP4982101B2 (ja) 剥離型パック化粧料
EP2174639B1 (en) Body cosmetics for wetted skin
JP2000119131A (ja) 親水性の増粘化合物と増粘コポリマ―を含有するエマルション及び該エマルション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の使用
US6540987B2 (en) Polyesters based on hydroxy fatty acids and lower hydroxy alkyl acids and uses thereof
JP3659395B2 (ja) 親水性の増粘化合物と多糖類アルキルエーテルを含有するエマルション及び該エマルションを含有する組成物及びその用途
FR2561915A1 (fr) Produit hydratant
JP3513872B2 (ja) 皮膚外用剤
CN115252458A (zh) 含蓝铜肽的稳定保湿组合物
US9439917B1 (en) Anti-blepharitis compositions and their use
KR101605324B1 (ko) 각질 제거 및 수분량 증가를 통한 건조 및 가려움 완화 효과를 가지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WO2015052426A1 (fr) Utilisation en cosmetique de polymeres obtenus par polymerisation en emulsion inverse basse concentration avec un faible taux de monomeres neutralises
JPS59110612A (ja) 毛髪処理剤
JP2003095844A (ja) 化粧料
KR20240154307A (ko) 수크랄페이트 및 아크릴레이트계 폴리머를 포함하는, 주름 은폐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04339078A (ja) 外用剤組成物
EP0679388B1 (fr) Composition cosmetique et/ou dermatologique notamment pour dépigmenter la peau, ses utilisations
JP5063206B2 (ja) ゲル状整髪料
JP2009084243A (ja) 角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角層ヒアルロン酸産生促進剤を含む皮膚外用剤、化粧料、医薬部外品
JP2003238381A (ja) 化粧料組成物
JPH09124437A (ja) 乳化組成物及び皮膚外用剤
KR101280089B1 (ko) 피부 각질 제거용 화장료 조성물
JP2000327553A (ja) 皮膚外用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418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41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