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46183A - 피부 통증 및 종창에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항염증 조성물 및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 통증 및 종창에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항염증 조성물 및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46183A KR20240146183A KR1020230040519A KR20230040519A KR20240146183A KR 20240146183 A KR20240146183 A KR 20240146183A KR 1020230040519 A KR1020230040519 A KR 1020230040519A KR 20230040519 A KR20230040519 A KR 20230040519A KR 20240146183 A KR20240146183 A KR 2024014618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der
- ojeokgol
- swelling
- inflammatory
- effectiv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4
- 230000003110 anti-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4
- 230000008961 swelling Effect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9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5
- 230000002500 effect on skin Effects 0.000 title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4
- 239000004480 active ingredi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8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Chemical compound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7
- DNIAPMSPPWPWGF-UHFFFAOYSA-N Propylene glycol Chemical compound CC(O)CO DNIAPMSPPWPWGF-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2674 ointm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LFQSCWFLJHTTHZ-UHFFFAOYSA-N Ethanol Chemical compound CCO LFQSCWFLJHTTH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PEDCQBHIVMGVHV-UHFFFAOYSA-N Glycerine Chemical compound OCC(O)CO PEDCQBHIVMGVH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5000019441 ethano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4
- NOOLISFMXDJSKH-UTLUCORTSA-N (+)-Neomenthol Chemical compound CC(C)[C@@H]1CC[C@@H](C)C[C@@H]1O NOOLISFMXDJSKH-UTLUCORT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DSSYKIVIOFKYAU-XCBNKYQSSA-N (R)-camphor Chemical compound C1C[C@@]2(C)C(=O)C[C@@H]1C2(C)C DSSYKIVIOFKYAU-XCBNKYQS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41000723346 Cinnamomum camphora Speci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NOOLISFMXDJSKH-UHFFFAOYSA-N DL-menthol Natural products CC(C)C1CCC(C)CC1O NOOLISFMXDJSKH-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60000846 camphor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30008380 camphor Natural produ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40041616 menthol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5000019271 petrolatum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3
- PUPZLCDOIYMWBV-UHFFFAOYSA-N (+/-)-1,3-Butanediol Chemical compound CC(O)CCO PUPZLCDOIYMWBV-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2
- 125000004432 carbon atom Chemical group C*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5000011187 glycerol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9000012188 paraffin wax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41000723347 Cinnamomum Species 0.000 claims 1
- 240000007594 Oryza sativa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claims 1
- 241001410993 Trifolium andersonii Species 0.000 claims 1
- 235000017803 cinnamon Nutrition 0.000 claims 1
- 235000020230 cinnamon extract Nutrition 0.000 claims 1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claims 1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claims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2
- 229940124641 pain reliever Drug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2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9
- MWUXSHHQAYIFBG-UHFFFAOYSA-N Nitric oxide Chemical compound O=[N] MWUXSHHQAYIFBG-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0
- 210000000988 bone and bone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150000003839 salt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2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2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VEXZGXHMUGYJMC-UHFFFAOYSA-N Hydrochloric acid Chemical compound Cl VEXZGXHMUGYJM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41000238371 Sepi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8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8
- 210000004027 cell Anatomy 0.000 description 7
- VTYYLEPIZMXCLO-UHFFFAOYSA-L Calcium carbonate Chemical compound [Ca+2].[O-]C([O-])=O VTYYLEPIZMXC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6
- 241000238413 Octopus Speci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7864 aqueous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158 endotox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6008 lipopolysaccha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6
- 206010061218 Inflammation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12153 distill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259 measure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5
- IAZDPXIOMUYVGZ-UHFFFAOYSA-N Dimethylsulphoxide Chemical compound CS(C)=O IAZDPXIOMUYVG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9000006185 dispers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054 inflamma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10000002540 macrophage Anatomy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41000238366 Cephalopod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835 absorb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135 cyto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3013 cyto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1100000263 cytotoxicity test Toxicity 0.000 description 3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1519 tissue Anatomy 0.000 description 3
- ORLGLBZRQYOWNA-UHFFFAOYSA-N 4-methylpyridin-2-amine Chemical compound CC1=CC=NC(N)=C1 ORLGLBZRQYOWN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102000008186 Collagen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8010035532 Collagen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965 ELISA Methods 0.000 description 2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002 MTT assa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134 MTT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2
- 102100029438 Nitric oxide synthase, inducible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2
- 101710089543 Nitric oxide synthase, inducible Proteins 0.000 description 2
- 208000024777 Pr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41000207961 Sesamum Speci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434 Sesamum indicum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08000018756 Variant Creutzfeldt-Jakob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50011175 aminopicoline Drug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1185 bone marrow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08000005881 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019 calc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1506 calc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389 calc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1010 calcium phosphates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833 cell vi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436 collage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247 de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1000010099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08000037265 diseases, disorders, signs and symptoms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0544 human prion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65 increa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08000015181 infectious disease Diseas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757 inflamm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764 inhibitory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683 possible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1100000419 toxicity Toxicity 0.000 description 2
- 230000001988 toxic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QORWJWZARLRLPR-UHFFFAOYSA-H tricalcium bis(phosphate) Chemical compound [Ca+2].[Ca+2].[Ca+2].[O-]P([O-])([O-])=O.[O-]P([O-])([O-])=O QORWJWZARLRLPR-UHFFFAOYSA-H 0.000 description 2
- 201000001320 Atherosclero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3690 Bos tauru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6679 Mentha X verticillat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2899 Mentha suaveolens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5000001636 Mentha x rotundifolia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41001465754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7852 Mollusc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28980 Neoplasm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8389 Nerve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38374 Sepia officinal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6010040047 Seps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82887 Su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251539 Vertebrata <Metazo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1298 alcoho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3423 ankl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29940069428 ant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9 antacid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458 anti-aci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556 assa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149 assay ki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123 defe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665 defense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73 effect on pai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2950 fibroblast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05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23597 hemostasi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35 hydrothermal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76 improv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709 inflammatory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12 inhibito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500 inorganic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707 miner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772 mu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764 nerv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963 pathophysiological condi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1395 porrid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60 resear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06010039073 rheumatoid arthritis Diseas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8327 secre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1488 sodium phos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0162 sod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8 stim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786 synthesis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99 tap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20679 tap water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451 tissue dama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1100000827 tissue damage Toxicity 0.000 description 1
- 230000017423 tissue regen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RYFMWSXOAZQYPI-UHFFFAOYSA-K trisodium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Na+].[O-]P([O-])([O-])=O RYFMWSXOAZQYPI-UHFFFAOYSA-K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99 waste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materials or reaction products thereof with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35/56—Materials from animals other than mammals
- A61K35/618—Molluscs, e.g. fresh-water molluscs, oysters, clams, squids, octopus, cuttlefish, snails or slug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heumatology (AREA)
- Marine Sciences & Fisheries (AREA)
- Zo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적골 분말을 이용하여 소염 효과를 바탕으로 통증 및 붓기에 효과를 갖는 통증완화제에 대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오적골 세척하는 제1과정: 세척된 오적골을 건조 후 분쇄하는 제2과정; 상기 분쇄된 오적골 분말을 고온에서 굽는 제3과정; 상기 오적골 분말을 이용하여 조성물로 제조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항염증 효능을 통해 통증 및 붓기 완화의 개선 효과를 갖는 오적골 분말, 그리고 이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오적골 분말을 이용하여 소염 효과를 바탕으로 통증 및 붓기에 효과를 갖는 통증완화제에 대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해양에서 서식하는 생물자원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며, 식량 문제 뿐만 아니라 고부가가치 소재로의 다양한 분양에서 적용 및 활용에 그 중요성이 부가되어 지고 있다.(Kim et al, 2013a; Lee et al, 2013)
하지만 합성을 진행하는 화학물질과 달리 생산되어지는 비용이 높아 보다 많은 분야에서 활용되어지지 못하고 해양쓰레기로 버려지고 있어 환경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문제가 발생되어지고 있다.
수생환경(Aquatic environment)에서 살아가는 생물들도 척주동물(Vertebrate)와 무척주동물(Invertebrate)로 이루어져 있으며, 육상생물과 비교하면 수인성 감염 등에 대해 안전성이 높고 생체적합성(Bio compatibility)을 가지고 있어 수산생물들은 최근 의공학 계열에서 소재로써 가치가 높아지고 있고, 콜라겐의 경우 주로 소나 돼지 등의 육상생물에서 유래되어 피부 및 뼈 등에서 얻어지게 되어 광우병(Bovine spongiform encephalopathy), 전염성 해면상 뇌병증(Transmissible spongiform encephalopathy), 구제역(Foot-and-moyth disease)과 같은 안전성 문제로 인해 육상동물에서 유래한 콜라겐의 사용을 기피하고 있는 추세이다.(Zhang et al., 2007)
해양생물 중 갑오징어는 연체동물에 속하며 뼈는 오적골로 불리며, 경조직으로 탄산칼슘으로 이루어져 있고, 갑오징어가 물에 부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갑오징어뼈의 구성성분은 아라고나이트(Aragonite)로 90% 이상이 탄산칼슘이며, 이외 인산칼슘, 인산나트륨, 마그네슘, 철분 및 소량의 미네랑 솔트를 함유하고 있다. 갑오징어뼈는 다공성 구조로 조직공학에서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갑오징어 뼈를 수열처리를 통해 인산칼슘 세포담체를 제작할 수 있고, 조직재생에 생물학적으로 상호연결성을 가지는 골조직으로 활용할 수 있다.(Cadman et al., 2010) 또한 다공성 구조로 액상성분을 흡수하여 유지 및 상처의 진물 흡수 등의 수렴 작용을 진행하여 주며, 지혈과 소독 및 제산제로의 효과를 가지며(한국공개특허 특2008-0094983) 오징어뼈를 이용하여 통증 및 붓기완화 효과에 대해서 교시된 바가 없으며, 이에 본 발명자는 오징어뼈 분말을 이용하여 통증완화제로 사용 가능성을 확인함으로 본 발명을 진행하였다.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사항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소염 작용을 통해 통증 및 붓기를 완화하는 조성물로 활용할 수 있는 새로운 천연물 유래의 원료를 개발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여 부단히 연구하던 중 그 결과로써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소염 효과를 통하여 통증 및 붓기를 완화할 수 있는 소염 효과를 갖는 오적골 분말을 이용한 그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소염 효과를 통해 통증 및 붓기를 완화하는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및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 및 목적으로 국한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 및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가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소염 효과를 통해 통증 및 붓기를 완화하는 조성물 및 제조방법으로 오적골 분말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소염 효과를 갖는 오적골 분말 제조방법은 오적골 세척하는 제1과정: 세척된 오적골을 건조 후 분쇄하는 제2과정; 상기 분쇄된 오적골 분말을 고온에서 굽는 제3과정; 상기 오적골 분말을 이용하여 조성물로 제조하는 제4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항염증 효능을 높이기 위해 오적골 추출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정제수, 에틸알코올, 탄소수 1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효능을 통해 통증 및 붓기 완화의 개선 효과를 갖는 오적골 분말을 이용한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항염증 효능을 통해 통증 및 붓기 완화 효과를 갖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항염증 효능을 통해 통증 및 붓기 완화 효과를 갖는 오적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로 100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항염증 효능을 갖는 통증 및 붓기 완화 효과를 갖는 오적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오일류 10-20중량%, 오적골 분말 0.01-30중량%, 오적골 추출물 0.1-10중량%, 장뇌 0.1-20중량%, 멘톨 0.1-10중량%, 파라핀 및 페트롤리움 젤리 20-50중량%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항염증 효능을 갖는 통증 및 붓기 완화 효과를 갖는 오적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조성물은, 연고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항염증 효능을 갖는 통증 및 붓기 완화에 효과를 가지는 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을 포함하는 것으로 피부 통증 및 붓기 완화 개선에 우수한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연고 제형의 조성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오적골 분말이라는 원료로 개발함으로써 한층 더 다양한 제품군을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해당 산업분야에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과 비교예를 통해 세포독성 실험결과를 정리한 그래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과 비교예를 통해 산화질소(NO) 저해율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정리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을 도포하였을 때 시간 경과에 따른 붓기 개선에 대한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과 비교예를 통해 산화질소(NO) 저해율 실험결과를 비교하여 정리한 그래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을 도포하였을 때 시간 경과에 따른 붓기 개선에 대한 사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효능을 갖는 통증 및 붓기 완화 효과를 갖지는 오적골 분말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그 제조방법과 조성물에 대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는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하기의 설명에서 구체적인 특정 사항들이 나타나고 있는데,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한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개념과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용 또는 인식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선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오적골은 학명이 'Sepia officinalis'인 갑오징어 또는 참오징어 속의 뼈로 '해표초', '오적어골' 등으로 불리는 것을 지칭하는 것이다.
<실시예 1: 오적골 분말 제조>
갑오징어에서 분리된 오적골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1차 정제수로 세척 작업을 진행한 후 오적골의 약 1 내지 50배의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함침하여 24시간 동안 보관하여 이물질과 염분을 제거한다.
이어,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함침된 오적골을 수용액과 분리한 후 정제수로 세척 및 잔존하는 이물질과 염분을 제거하여 준다.
이물질과 염분이 제거된 오적골을 건조 진행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분쇄 진행하여 400 - 1000메시(mesh)의 분말로 분쇄를 진행한다. 분쇄된 분말을 100℃ 내지 250℃ 온도에서 구운 후 황갈색으로 변한 것을 사용하며, 보관은 수분이 없어진 분말을 진공 포장하여 냉동에 보관 진행한다.
<실시예 2: 오적골 추출물 제조>
갑오징어에서 분리된 오적골에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1차 정제수로 세척 작업을 진행한 후 오적골의 약 1 내지 50배의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함침하여 24시간 동안 보관하여 이물질과 염분을 제거한다.
이어, 염산 또는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함침된 오적골을 수용액과 분리한 후 정제수로 세척 및 잔존하는 이물질과 염분을 제거하여 준다.
이물질과 염분이 제거된 오적골을 건조 진행하여 수분을 제거한 후 분쇄 진행하여 400 - 1000메시(mesh)의 분말로 분쇄를 진행하여 오적골 분말 100 g에 정제수 1000ml 혼합하여 20℃ 내지 50℃에서 12시간 동안 추출을 진행한다.
<실시예 3: 연고제형 제조>
표1과 같이 전체 연고제형 조성물을 10 g을 기준으로 각 중량비로 혼합하여 제조를 진행하였다.
분류 | 오적골 분말(가열) | 오적골 분말(미 가열) | 오적골 추출물 |
민트오일 | 장뇌 | 멘톨 | 페트롤리움 젤리 | 총계 |
실시예 | 10.0(250℃) | - | 1.0 | 15.0 | 15.0 | 5.0 | 100.0 까지 적량 |
100.0 |
비교예1 | - | 10.0 | 1.0 | 15.0 | 15.0 | 5.0 | ||
비교예2 | - | - | 1.0 | 15.0 | 15.0 | 5.0 | ||
비교예3 | 10.0 | - | - | 15.0 | 15.0 | 5.0 | ||
비교예4 | - | - | - | 15.0 | 15.0 | 5.0 | ||
비교예5 | 10.0 | - | 0.5 | 15.0 | 15.0 | 5.0 | ||
비교예6 | 5.0 | - | 1.0 | 15.0 | 15.0 | 5.0 | ||
비교예7 | 10.0(50℃) | - | 1.0 | 15.0 | 15.0 | 5.0 | ||
비교예8 | 10.0(100℃) | - | 1.0 | 15.0 | 15.0 | 5.0 | ||
비교예9 | 10.0(150℃) | - | 1.0 | 15.0 | 15.0 | 5.0 | ||
비교예10 | 10.0(200℃) | - | 1.0 | 15.0 | 15.0 | 5.0 | ||
비교예11 | 10.0(300℃) | - | 1.0 | 15.0 | 15.0 | 5.0 |
<실험예 1: 오적골 분말 염분 농도 확인>
제조된 오적골 분말의 염분농도 확인을 통하여 연고 제형으로 적용 가능 여부를 확인하고자 실험을 진행하였다. 오적골에 세척된 분말과 미세척한 분말을 비교하였고, 100 ml 증류수 각 1 g의 오적골 분말을 혼합하여 교반하여 염분농도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류 | 염분농도(%) |
증류수 | 0.0 |
0.1% 염화나트륨 수용액 | 3.37±0.23 |
1.0% 염화나트륨 수용액 | 32.56±0.41 |
오적골 분말 분산액(세척) | 0.08±0.002 |
오적골 분말 분산액(미세척) | 192.82±1.65 |
표 2와 같이 오적골 세척된 분말과 미세척된 분말에 염분농도를 확인하였고, 0.1% 염화나트륨 수용액은 약 3%로 확인되었고, 1.0% 염화나트륨 수용액은 약 32%로 확인되었으며, 세척을 진행한 오적골 분말은 증류수에 염분농도와 같이 0에 가까운 약 0.08%로 확인되었고, 미세척된 오적골 분말은 염분농도가 높게 측정되었다.
<실험예 2: 오적골 분말 이물질 함량 확인>
제조된 오적골 분말의 이물질 함량을 확인하기 위해서 100 ml 증류수 각 1 g의 오적골 분말을 혼합하여 교반하여 전기전도도 측정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분류 | 전기전도도(mS/cm) |
증류수 | 6.31±0.12 |
수돗물 | 78.93±0.48 |
오적골 분말 분산액(세척) | 325.62±12.31 |
오적골 분말 분산액(미세척) | 1206.76±23.82 |
표 3와 같이 오적골 세척된 분말과 미세척된 분말에 전기전도도 측정을 통해 이물질 함량을 확인하였고, 미세척된 오적골 분말 대비 세척 진행한 오적골 분말의 전기전도도가 낮아 이물질 함량이 감소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세포독성 실험(MTT assay)>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에 통증 완화 및 붓기 개선 실험에 앞서, 먼저 세포독성실험을 실시하였다.
세포독성실험의 목적은 앞으로 진행할 실험(항염증, 붓기 개선)에 적용 전 시료의 독성 여부를 확인하는데 있다.
실험방법은 먼저, 사람섬유아세포(Human Dermal Fibroblasts, HDF)를 96well-plate에 1x104cell/well이 되게 200 ul 분주하고, 37℃,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시료에 대한 각각의 최종농도를 설정하여 세포에 처리하였으며, 대조군은 시료와 동량의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를 첨가하여 동일한 조건으로 배양하였다. 이때, 각 시료당 농도별로 3개의 웰(Well)을 사용하였다.
이어, 3개의 웰에 MTT Assay Kit 10 ul를 첨가하여 2시간 배양한 후 ELISA 판독기(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reader)로 5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세포독성 측정은 시료의 첨가군과 무첨가군의 흡광도 감소율로 나타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실시예와 비교예 1~11의 세포독성 실험결과를 정리한 그래프로서, 대조군 대비 80% 미만으로 감소 진행 시 잠재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였다. 실시예와 비교예 1~11에서 80% 미만으로 측정되어 잠재적인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어진 샘플은 없었으나 미가열을 진행하여 적용된 오적골 분말에서 가장 낮은 독성인 89.6%로 확인되었고, 결과는 아래 표 4와 같이 정리 진행하였다.
분류 | 실시예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비교예5 |
Cell viability(%) | 123.7 | 89.6 | 124.1 | 128.5 | 131.6 | 127.8 |
분류 | 비교예6 | 비교예7 | 비교예8 | 비교예9 | 비교예10 | 비교예11 |
Cell viability(%) | 126.3 | 108.2 | 115.2 | 119.4 | 119.2 | 121.6 |
<실험예 4: 항염증 실험(NO assay)>
통증의 원인이 되는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 중 하나로서 많은 병리 생리학적인 조건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염증이 진행되는 동안 대식세포의 활성화가 과도하게 일어나게 되면 염증매개물질의 분비를 통해 염증반응을 유도함으로써, 류마티스 관절염, 죽상 동맥경화증(Atherosclerosis), 패혈증과 같은 질환을 일으키기도 한다. 지질다당류(Lipopolysaccharide, LPS)는 대식세포의 감염초기에 반응하고 숙주방어에 중추적인 역할을 하나, 과도한 LPS자극은 대식세포에서 산화질소(Nitric Oxide, NO)와 같은 염증매개물질을 분비시킨다.
NO는 대식세포가 활성화되면 유도형 NO생성효소(inducible NO synthase, iNOS)로부터 생산되며 박테리아를 죽이거나 종양을 제거하는 역할도 하지만, 과도한 생성은 염증을 유발시켜 조직의 손상, 유전자 변이 및 신경손상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험예 2는 NO assay kit을 이용하여 시료가 항염증 효능을 가지고 있는지 평가하고자 하였다.
실험방법은 먼저, Raw264.7 세포를 96 well plate에 분주하고 이 때 세포 수는 6×104 cells/well를 기준으로 하여 적정한 흡광도 값을 얻을 수 있도록 세포수를 조절하였다. 24시간 후에 LPS 1 μg/mL와 2-amino-4-methylpyridine 20 μM 및 실시예와 비교예 1~11을 처리 후 24시간 후 상층액 80 mL를 새로운 plate에 옮긴 후 그리스시약(Griess reagent) 40 mg/mL를 동량 추가한 후 차광한 상태로 실온에서 10분 동안 보관하였다. NO 생성변화는 microplate reader로 540 nm에서 측정하였다.
Raw264.7 세포에 LPS를 처리하여 염증을 유도한 후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의 항염 효과를 확인하였다. LPS를 처리한 군의 NO 생성능을 100%로 기준을 잡았으며, NO 억제제로 알려진 2-amino-4-methylpyridine를 처리한 결과 NO 생성이 76%정도 억제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이 산화질소(NO) 저해율 실험결과를 정리한 그래프로서,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인 실시예와 비교예 11이 Control 대비 약 23% 이상의 항염 효과를 가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고, 하기 표 5에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의 항염증 활성도 수치를 정리하였다.
분류 | 실시예 | 비교예1 | 비교예2 | 비교예3 | 비교예4 | 비교예5 |
NO Production(%) | 53.1 | 62.8 | 70.9 | 58.9 | 73.2 | 57.3 |
분류 | 비교예6 | 비교예7 | 비교예8 | 비교예9 | 비교예10 | 비교예11 |
NO Production(%) | 60.7 | 60.6 | 59.3 | 58.5 | 56.4 | 52.9 |
<실험예 5: 붓기 개선 확인>
붓기 개선에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Antera 3D를 통해 피부 볼륨 변화를 측정하였으며, 실험 대상자 기준 측정 부위를 세안제를 이용하여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하여 항온 및 항습 조건에서 안정을 취한 후 발목 부위를 측정하였고, 5일 동안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을 도포 후 동일하게 측정을 진행하였고, 초기 진행하였던 10일이 경과 후 동일하게 같은 부위를 측정을 진행하였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을 도포하였을 때 시간 경과에 따른 측정된 실험결과에 대한 자료이며, 붉은색 부분이 시간이 갈수록 줄어들며, 초록색과 노란색 부분이 늘어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피부가 높을수록 붉은색, 초록색, 노란색으로 표시되는 것으로 비교하였을 때 붓기 감소에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적골 분말이 적용된 조성물이 통증 및 붓기 개선에 효과를 가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첨부된 도면에 의해 참조되는 바람직한 실시 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서 정해져야 한다.
Claims (8)
- 오적골 분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증 및 붓기 개선에 효과를 갖는 항염 조성물.
- 오적골을 세척하는 제1과정:
상기 세척된 오적골을 건조 후 분쇄하는 제2과정;
상기 분쇄된 오적골 분말을 고온에서 굽는 제3과정; 및
상기 오적골 분말을 이용하여 조성물로 제조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통증 및 붓기 개선에 효과를 갖는 항염 조성물의 제조방법.
- 제 2항의 제조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오적골 분말을 포함하는 통증 및 붓기 개선에 효과를 갖는 항염 조성물.
- 오적골 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오적골 분말을 용매와 혼합하여 추출기에서 추출을 진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용매는 정제수, 에틸알코올, 탄소수 1내지 4의 저급 알코올, 프로필렌글라이콜, 글리세린 및 부틸렌글라이콜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인,
항염 효능에 의해 통증 및 붓기 개선에 효과를 갖는 오적골 추출물 제조방법.
- 제 4항의 항염 효과를 갖는,
오적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통증 및 붓기 개선에 효과를 갖는 항염 조성물.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오적골 분말은, 상기 항염 조성물 100중량%에 대하여 0.01-30중량%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적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통증 및 붓기 개선에 효과를 갖는 항염 조성물.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항염 조성물은, 오일류 10-20중량%, 오적골 분말 0.01-30중량%, 오적골 추출물 0.1-10중량%, 장뇌 0.1-20중량%, 멘톨 0.1-10중량%, 파라핀 및 페트롤리움 젤리 20-50중량%를 포함하는,
오적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통증 및 붓기 개선에 효과를 갖는 항염 조성물.
-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연고 제형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적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통증 및 붓기 개선에 효과를 갖는 항염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0519A KR20240146183A (ko) | 2023-03-28 | 2023-03-28 | 피부 통증 및 종창에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항염증 조성물 및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40519A KR20240146183A (ko) | 2023-03-28 | 2023-03-28 | 피부 통증 및 종창에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항염증 조성물 및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46183A true KR20240146183A (ko) | 2024-10-08 |
Family
ID=9311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40519A Pending KR20240146183A (ko) | 2023-03-28 | 2023-03-28 | 피부 통증 및 종창에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항염증 조성물 및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46183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9157A (ko) | 2004-07-29 | 2007-04-11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키 암호화 키 방식을 사용하여 암호화된 네트워크 콘텐츠를제공 및 복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 |
KR20130010014A (ko) | 2010-04-19 | 2013-01-24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보이스 업데이트들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140116983A (ko) | 2013-03-25 | 2014-10-07 | 임헌풍 | 에너지원을 이용한 가속기 자가발전장치 |
-
2023
- 2023-03-28 KR KR1020230040519A patent/KR20240146183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39157A (ko) | 2004-07-29 | 2007-04-11 |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 키 암호화 키 방식을 사용하여 암호화된 네트워크 콘텐츠를제공 및 복호화하는 장치 및 방법 |
KR20130010014A (ko) | 2010-04-19 | 2013-01-24 |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 보이스 업데이트들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
KR20140116983A (ko) | 2013-03-25 | 2014-10-07 | 임헌풍 | 에너지원을 이용한 가속기 자가발전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9260039B (zh) | 一种保湿修复组合物及其制备方法 | |
KR101867308B1 (ko) | 수국 발효물을 함유하는 피부자극완화 및 피부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
Sipahi et al. | A comprehensive study to evaluate the wound healing potential of okra (Abelmoschus esculentus) fruit | |
KR101056475B1 (ko) | 산초유를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 개선용 화장품 조성물 | |
Ontong et al. | Transferosomes stabilized hydrogel incorporated rhodomyrtone-rich extract from Rhodomyrtus tomentosa leaf fortified with phosphatidylcholine for the management of skin and soft-tissue infections | |
KR20200053815A (ko) |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CN107320407A (zh) | 一种驱蚊止痒防晒霜及其制备方法 | |
KR101817941B1 (ko) | 산딸기 잎 추출물을 함유한 항아토피 효능을 갖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 |
Benkiran et al. | Wound-healing potentiation in mice treated with phenolic extracts of Moringa oleifera leaves planted at different climatic areas | |
KR20160119967A (ko) | 에키네시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 |
KR20240146183A (ko) | 피부 통증 및 종창에 개선 효과를 가지는 항염증 조성물 및 제조방법 | |
KR101824179B1 (ko) | 더위지기 효모 발효물을 포함하는 보습 및 항염증 화장료 조성물 | |
JP2018521063A (ja) | 蜜蜂花粉組成物 | |
KR102039706B1 (ko) | 피부 흡수율을 높인 화장료 조성물 | |
CN105963188B (zh) | 一种含有绞股蓝皂苷的舒敏保湿水及其制备方法 | |
KR101793098B1 (ko) | 피부의 열을 조절해주는 천연 식물 혼합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피부 열노화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 |
CN114886807B (zh) | 一种具有全方位皮肤屏障修复功能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 |
KR20100043438A (ko) | 천연 피부 외용제 및 그 제조방법 | |
KR102503480B1 (ko) | 반려동물용 허브팩 분말 및 입욕제 | |
JP2007314462A (ja) | 外用剤 | |
KR102151044B1 (ko) |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 |
KR20060106554A (ko) |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 |
Dangi et al. | Wound healing efficacy of green synthesized silver nanoparticles from tectona grandis wood flour extract in Wistar rats | |
TW201817439A (zh) | 杭荊芥萃取物及其用於製備抑制皮屑芽孢菌組成物之用途 | |
KR102512471B1 (ko) | 참마, 오크라, 연근 및 알로에베라잎에서의 고분자 다당체 추출방법과 이를 함유한 피부보습 및 피부염증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30328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