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28886A -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28886A
KR20240128886A KR1020247023719A KR20247023719A KR20240128886A KR 20240128886 A KR20240128886 A KR 20240128886A KR 1020247023719 A KR1020247023719 A KR 1020247023719A KR 20247023719 A KR20247023719 A KR 20247023719A KR 20240128886 A KR20240128886 A KR 202401288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water
cosmetic composition
mass
compon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237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야코 키타무라
마이 오자와
Original Assignee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filed Critical 엘브이엠에이취 러쉐르쉐
Publication of KR202401288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28886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2Oil-in-water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8Micro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5Alcohols containing more than one hydroxy gro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7Esters of 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4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8/442Ami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e.g. aminocarboxylic acids containing sulfur; Salts; Esters or N-acylated derivatives thereof substituted by amido group(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55Phosphorus compounds
    • A61K8/553Phospholipids, e.g. lecith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3Steroid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8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mides or imides, e.g. (meth) acrylamide;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1Emulsions characterized by droplet sizes below 1 micr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A) 수소화 레시틴, (B) 피토스테롤(phytosterol), (C) 아실기에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 (D) 적어도 (D1) 식물유를 포함하는 오일제(oil agent), 및 (E) 수성 매질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oil-in-water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본 발명은 수중유형(oil-in-water) 유화 화장료 조성물(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에 관한 것이다.
수중유형 에멀젼은 함유된 오일에 의해 영양 효과(nourishing effect)와 보호 효과를 제공하는 화장료의 한 형태이다. 점도가 높은 수중유형 에멀젼이 화장용 크림 및 에센스와 같은 스킨 케어(skin care) 제품에 사용되고 있다.
스킨 케어 제품의 일례가 100 MPa 이상의 고압 조건 하에서 유화될 수 있는 젤라틴성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로서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7-105766호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공보에는 얻어지는 유화 조성물의 시간 경과에 따른 투명성 및 겔 안정성의 관점에서 유화가 바람직하게는 고압 조건 하에서 수행된다고 명시되어 있다.
최근 화장료의 안전성과 환경 보존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천연 유래 성분의 함량이 높은 화장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7-105766호의 에멀젼에 사용되는 탄화수소 오일 및 실리콘 오일과 같은 오일제(oil agent)는 천연 유래 오일제로 전환되어 같은 공보에 기술된 고압 조건에서 유화를 거쳐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을 형성할 수 있지만, 여기에 기술된 제형 및 방법을 사용하여 에멀젼을 제조하는 경우에도 이러한 제품의 주요 중요한 특성인 유화 안정성이 불충분한 것으로 밝혀졌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에서는 도포 시 질감(texture) 또한 중요한데, 일본 공개 특허 공보 제2017-105766호의 오일제를 천연 유래 오일제로 대체한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은 안정성이 낮을 뿐만 아니라 도포 시 가벼운 질감을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천연 유래 성분의 함량이 높으면서도 도포 시 가벼운 질감과 에멀젼 안정성(에멀젼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는 안정성)을 부여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 여전히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발명은 (A) 수소화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B) 피토스테롤(phytosterol), (C) 아실기에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 (D) 적어도 (D1) 식물유(vegetable oil)를 포함하는 오일제, 및 (E) 수성 매질(aqueous medium)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의 함량이 높음에도 불구하고 도포 시에 가벼운 질감과 에멀젼 안정성을 부여한다.
본원에서는 "(A) 수소화 레시틴"을 "성분 (A)"로 칭하기도 하고, 다른 성분들도 유사한 방식으로 칭해질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다량의 오일에도 가벼운 질감을 부여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얻을 목적으로, 고압 유화제를 사용하여 수소화 레시틴 및 서팩틴 나트륨(sodium surfactin)을 함유하는 수중유형 나노에멀젼(nanoemulsion)(O/W 나노에멀젼)을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서는 크림화(creaming) 및 합체(coalescence)가 확인되어 유화 안정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하였다. 따라서, 에멀젼 안정성을 개선하기 위한 대체물을 조사하고 그 결과 응집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계면에서 계면활성제의 3차원 형태를 변형할 필요가 있음을 발견하였으며, 이를 통해 서팩틴 나트륨보다 덜 벌키한(bulky) 아미노산 기반 계면활성제(위에 언급된 성분 (C))를 사용하는 것이 유용하다는 것을 추가로 발견하였다.
아미노산 기반 계면활성제를 사용하여 유화 안정성이 개선되었으나, 천연 유래 성분 함량을 높이기 위해 식물유를 오일제로 사용한 경우 합체 현상이 관찰되었다. 이는 식물유가 IOB(무기-유기 균형) 값이 높아 계면활성제의 친유성 기에 대한 친화력이 높으므로 형태 붕괴로 이어지기 때문이다. 이 문제를 좀 더 면밀히 조사한 결과, 수소화 레시틴, 피토스테롤 및 아미노산 기반 계면활성제를 조합한 새로운 유화 시스템이 식물유를 오일제로 사용하는 경우에도 도포하는 동안 질감을 현저히 가볍게 하는 동시에 유화 안정성을 크게 높일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러한 성능은 유화 시스템 내 구성 성분들의 시너지 효과에 의한 것으로, 유화 시스템의 구성 성분 중 어느 하나라도 없으면 이러한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없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성분 (A) 및 성분 (B)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에서 복합체(complex)를 형성한다. 성분 (A)와 성분 (B)의 복합체를 사용함으로써, 성분 (A)나 성분 (B)를 단독으로 사용할 때보다 수성 용매에서의 용해도와 분산성이 더 우수하고, 식물유의 높은 IOB 값으로 인한 형태 붕괴를 억제함음으로써 에멀젼의 안정성을 더 높일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중 성분 (C)는 스테아로일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중 성분 (D)는 (D2) 비식물성 극성 오일(non-vegetable polar oil)을 추가로 포함하고, 성분 (D1)에 대한 성분 (D2)의 질량비(R1) (R1 = D2/D1)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의 범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중 성분 (D1)은 불포화 탄화수소 기반 식물유, 특히 불포화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예컨대 메도우폼(meadowfoam) 종자유, 대두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크시메니아유(ximenia oil), 프라칵시유(pracaxi oil), 팜유, 아마인유, 해바라기유, 아르간유, 미강유(rice bran oil), 아보카도유, 마카다미아유, 도핵유(peach kernel oil), 행인유(apricot kernel oil), 유채씨유, 스위트아몬드유(sweet almond oil), 카놀라유, 고수유(coriander oil), 면실유, 참기름, 옥수수 배아유, 밀 배아유, 시계초유(passionflower oil), 포도씨유, 홍화유, 달맞이꽃유, 호두유, 블랙커런트핍유(blackcurrant pip oil), 머스크 장미유, 동백유(camellina oil), 라즈베리 종자유, 크랜베리유, 피마자유, 메도우폼유, 안나토유(annatto oil), 안디로바유(andiroba oil), 브라질넛유, 부리티유(buriti oil), 몽공고유(mongongo oil), 마룰라유(marula oil), 커피 오일, 잉카인치유(inca inchi oil), 호호바유, 시어 버터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중 성분 (D2)는 주변 온도에서 액체이고, 탄소 원자수 18 내지 20의 분지형 및/또는 불포화 탄소쇄를 갖는 지방 알코올, 글리세롤 및 C14-C22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와 같은 디알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성 증점제(hydrophilic thickener)를 추가로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친수성 증점제를 조합하여 화장용 크림을 형성하더라도 도포 시 가벼운 질감이 얻어지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하다. 특히, 수용성 중합체가 증점제로 언급될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중 친수성 증점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crosspolymer),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나트륨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2-아크릴아미도 2-메틸프로판 설폰산(AMPS) 공중합체, 아크릴산/C10-C30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중 성분 (A) 및 성분 (B)의 총 함량은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질량%의 범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성분 (C)의 총 함량은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질량%의 범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중 성분 (D)의 총 함량은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5 내지 60 질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질량%의 범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종의 폴리올을 추가로 함유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나노에멀젼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평균 입자 크기는 예를 들어 동적 광산란 방법(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으로 측정하여 50 내지 500 nm이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언급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케라틴 물질(keratinic material), 특히 피부 상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을 케어(care) 및/또는 메이크업(make-up)하기 위한 화장 공정(cosmetic process)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또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이 장기간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고, 도포된 케라틴 물질에 보습 효과와 함께 가벼운 질감 및 풍부감(richness)을 제공하는 상기 화장 공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천연 유래 성분의 함량이 증가되었음에도 도포 시 가벼운 질감을 부여하고 유화 안정성이 우수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도포 후 보습 효과와 함께 풍부감을 부여한다.
이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가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후술하는 구현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A) 수소화 레시틴, (B) 피토스테롤, (C) 아실기에 12 내지 22게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 (D) 적어도 (D1) 식물유를 포함하는 오일제, 및 (E) 수성 매질을 포함한다.
성분 (A)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 (A)로서 수소화 레시틴을 포함한다. 수소화 레시틴은 (수소화에 의해) 레시틴에 첨가된 수소를 갖는다. 레시틴은 소수성 기와 친수성 기를 갖고 있는데, 소수성 기는 2개의 아실기(지방산 잔기)이고, 친수성 기는 인산 에스테르염의 음이온기와 4급 암모늄염의 양이온기이다. 난황 유래 레시틴 중의 지방산 잔기는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리놀렌산 및 아라키드산을 포함하는 지방산 잔기라고 하며, 대두 유래의 것은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올레산, 리놀레산 및 리놀렌산을 포함하는 지방산 잔기라고 한다. 이러한 레시틴을 수소화하여 얻어지는 수소화 레시틴은 소수성 기는 포화되지만 친수성 기는 유지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소수성 지방산 잔기는 난황 레시틴의 경우 팔미트산, 스테아르산, 아라키드산 및 베헨산 잔기이고, 대두 레시틴의 경우 팔미트산 및 스테아르산 잔기로 간주된다.
본 발명의 맥락에서, 수소화 레시틴은 난황, 대두, 옥수수 또는 유채로부터 추출된 천연 레시틴의 수소화 산물, 또는 합성 레시틴의 수소화 산물일 수 있다. 고함량의 천연 유래 성분을 얻을 수 있는 관점에서, 수소화 레시틴은 바람직하게는 천연 레시틴의 수소화물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성분 (A)는 상술된 바와 같은 단일 성분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성분 (A)는 앞서 언급된 성분 중 2 이상의 혼합물이다. 혼합물인 경우, 이는 서로 다른 공급원으로부터의 성분들의 혼합물일 수 있거나, 공급원이 동일하지만 수소화 정도가 다른 성분들의 혼합물일 수 있거나, 공급원이 다르고 수소화 정도가 다른 성분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수소화된 레시틴의 수소화 정도는 본질적으로 100%(완전 수소화된 레시틴)이다.
성분(들) (A)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질량%의 범위이다.
성분 (B)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 (B)로서 피토스테롤을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단일 종류의 피토스테롤이 사용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는, 2 이상의 성분 (B)의 조합이 사용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피토스테롤(들)은 β-시토스테롤, 캄페스테롤, 스티그마스테롤, 브라시카스테롤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성분 (B)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005 내지 5 질량%,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2.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내지 1 질량%의 범위이다.
성분 (B) 대 성분 (A)의 질량비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0.5,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3,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0.2의 범위이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르면,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복합체를 형성하는 성분 (A) 및 성분 (B)를 갖는다.
"복합체"는 성분 (A)와 성분 (B)가 물리적 또는 화학적 상호작용에 의해 공존하는 형태이다. 이러한 형태에는 성분 (A)의 친수성 기와 성분 (B)의 친수성 기, 및 성분 (A)의 친유성 기와 성분 (B)의 친유성 기가 동일한 방향으로 규칙적으로 배열된 형태가 포함된다. 바람직한 형태는 생물학적 막과 유사한 구조이다. 즉, 이중층 구조를 갖는 복합체로서, 여기서 이중층의 각 층은 친수성 기와 소수성 기가 같은 방향으로 배열된 수소화 레시틴 사이에 피토스테롤이 내입되어 있고, 수소화 레시틴의 소수성 기가 서로 마주보도록 층이 배열된다. 이러한 형태의 복합체는, 예를 들어 성분 (A)와 성분 (B)를 유기 용매에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유기 용매를 제거하여 성분 (A)와 성분 (B)를 동시에 침전시킴으로써 얻을 수 있다.
유리하게는, 성분 (A) 단독 또는 성분 (B) 단독에 비해 성분 (A)와 성분 (B)의 복합체는 수성 용매에서 분산성이 더 우수하고 에멀젼 안정성이 더 우수한 경향이 있다.
성분 (A)와 성분 (B)의 복합체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질량%의 범위이다.
성분 (C)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 (C)로서 아실기에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성분 (C)는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단일 성분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성분 (C)는 상기 언급된 성분들 중 2 이상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성분 (C)의 아실기에서 탄소 원자 수는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20개, 바람직하게는 14 내지 18개, 바람직하게는 16 내지 18개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18개이다.
성분(C)의 예로는 라우로일글루탐산, 미리스토일글루탐산, 팔미토일글루탐산, 스테아로일글루탐산 및 이들의 염,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성분 (C)는 스테아로일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이다.
스테아로일글루탐산의 염에는 나트륨염, 칼륨염, 칼슘염, 알루미늄염 및 마그네슘염이 포함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성분 (C)는 아실글루탐산의 나트륨염을 포함하고, 바람직하게는 소듐 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를 포함한다.
성분 (C)의 총 질량에 기초한 스테아로일글루탐산 및 이의 염의 함량은 50 내지 100 질량%,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10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100 질량%의 범위이다.
성분 (C)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질량%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질량%의 범위이다. 스테아로일글루탐산 및 이의 염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질량%의 범위이다.
성분 (D)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 (D)로서 식물유(성분 (D1))를 포함한다.
식물유는 식물 출발 물질로부터 얻은 오일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성분 (D1)은 불포화 탄화수소 기반 식물유, 특히 불포화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예컨대 메도우폼 종자유, 대두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크시메니아유, 프라칵시유, 팜유, 아마인유, 해바라기유, 아르간유, 미강유, 아보카도유, 마카다미아유, 도핵유, 행인유, 유채씨유, 스위트아몬드유, 카놀라유, 고수유, 면실유, 참기름, 옥수수 배아유, 밀 배아유, 시계초유, 포도씨유, 홍화유, 달맞이꽃유, 호두유, 블랙커런트핍유, 머스크 장미유, 동백유, 라즈베리 종자유, 크랜베리유, 피마자유, 메도우폼유, 안나토유, 안디로바유, 브라질넛유, 부리티유, 몽공고유, 마룰라유, 커피 오일, 잉카인치유, 호호바유, 시어 버터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성분 (D)는 적어도 메도우폼 종자유를 포함한다.
성분 (D1)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1 내지 60 질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질량%의 범위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 (D)로서 비식물유를 포함하지 않는다. 일부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 (D)로서 비식물유를 포함한다. 비식물유는 식물유 이외의 오일로서 동물성 기름 및 광물성 기름을 포함한다. 비식물유는 극성 비식물유(성분 (D2))일 수도 있고 비극성 비식물유일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가벼운 질감을 얻는 관점에서 극성 비식물유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비식물유는 지방족 카복실산의 모노에스테르, 지방족 알코올의 모노에스테르, 디알킬 카보네이트 및 포화 또는 불포화 지방족 알코올, 탄화수소 오일 또는 실리콘 오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비식물유로는 에틸-2-헥실 벤조에이트, 옥틸-2-도데실 벤조에이트, 이소스테아릴 벤조에이트, 펜타에리트리틸 테트라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이소스테아레이트, 트리데실 시트레이트, 트리데실 트리멜리테이트,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디(에틸-2-헥실)-카보네이트, 이소스테아릴 락테이트, 옥틸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옥틸도데실 하이드록시스테아레이트, 세틸 락테이트, 미리스틸 락테이트, 알칸, 폴리올레핀, 수소화 폴리올레핀, 스쿠알란, 페닐트리메티콘, 페닐디메티콘, 페닐트리메틸실록시디페닐실록산, 디페닐디메티콘, 디페닐메틸디페닐트리실록산, 2-페닐에틸 트리메틸실록시실리케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비식물유는 실리콘 오일이 아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성분 (D2)는 주변 온도에서 액체이고 탄소 원자수 18 내지 20의 분지형 및/또는 불포화 탄소쇄를 갖는 지방 알코올, 글리세롤과 C14-C22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 및,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와 같은 디알킬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 (D)로서 향유(perfume oil)를 추가로 포함한다. 향유는 성분 (D1)의 자격을 갖춘 것일 수도 있고, 성분 (D2)의 자격을 갖춘 것일 수도 있다.
성분 (D2)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5 질량%의 범위이다.
성분 (D)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1 내지 60 질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질량%의 범위이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이 성분 (D)로서 성분 (D1) 및 성분 (D2)를 포함하는 경우, 성분 (D1)에 대한 성분 (D2)의 질량비(R1) (R1 = D2/D1)는 0.01 내지 1,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의 범위이다.
성분 (E)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 (E)로서 수성 매질을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수성 매질은 전적으로 물로 구성된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수성 매질은 물과 수용성 용매(예를 들어, 수용성 저분자 모노알코올)로 구성된다.
성분 (E)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40 내지 90 질량%, 50 내지 80 질량%, 바람직하게는 55 내지 70 질량의 범위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한다. 폴리올의 예로는 1,3-프로판디올,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과 같은 글리콜; 글리세린, 디글리세린, 폴리글리세린과 같은 글리세롤; 소르비톨과 같은 당 알코올; 및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종의 폴리올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폴리올은 1000 이하의 분자량을 갖는 저분자 폴리올이다. 폴리올의 분자량은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0, 바람직하게는 70 내지 500, 보다 바람직하게는 80 내지 300의 범위이다.
폴리올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1 내지 40 질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30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5 질량%의 범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친수성 증점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친수성 증점제는 수용성 중합체, (메트)아크릴계 중합체 또는 다당류일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친수성 증점제를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적절한 점도를 유지하면서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메트)아크릴 중합체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나트륨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다당류는 잔탄검(xanthan gum), 웰란검(welan gum), 겔란검(gellan gum), 디우탄검(diutan gum)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친수성 증점제의 총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1 질량%의 범위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또한 바람직하게는 안정화제, 보습제, pH 조절제, 향료, 보존제, 활성 성분, 항산화제, 항-UV제, 피부 미백제, 안료, 착색제, 피부 컨디셔닝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화장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첨가제를 포함한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유화 입자를 포함하며, 성분 (A) 내지 (D) 중 적어도 하나는 유화 입자를 형성한다.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나노에멀젼이다. 상기 나노에멀젼의 평균 입자 크기는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동적 광 산란에 의해 측정한 경우 50 내지 500 nm,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nm,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100 nm 범위이다. 에멀젼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는 동적 광산란에 기초하여 입도 측정 장치(예컨대 DelsaMax CORE: Beckman Coulter, Inc. 제품)를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성분 (A) 내지 (E)를 친수성 증점제 및 안정화제와 함께 60 내지 85℃에서 가열하면서 교반하여 혼합한 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유화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크림, 액체 또는 화장수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다량의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한다. 특히, 천연 유래 성분의 함량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ISO16128에 따라 측정되어 90% 이상, 바람직하게는 91% 이상, 바람직하게는 92% 이상, 바람직하게는 93% 이상, 바람직하게는 94%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95% 이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술된 바와 같은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케라틴 물질, 특히 피부 상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을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하기 위한 화장 공정에 관한 것이다. 케라틴 물질의 케어 및/또는 메이크업을 위한 상기 화장 공정에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장기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고, 이것이 도포되는 케라틴 물질에 보습 효과와 함께 가벼운 질감 및 풍부감을 제공한다.
이제 본 발명은 비제한적인 다음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해 추가로 설명될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및 비교예 1 내지 5
표 1에 나타낸 상 1 내지 3을 75℃로 가열하고, 교반기로 1000 rpm에서 교반하여 상 1을 용해시켰다. 상 1에 상 2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교반기로 1000 rpm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상 1과 상 2의 혼합물을 얻었다. 상 1과 상 2의 혼합물에 상 3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기로 1000 rpm에서 10분간 교반하여 상 1 내지 3의 혼합물을 얻었다. 상 1 내지 3의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Starburst Mini(Sugino Machine Limited)를 사용하여 200 MPa에서 3회 분산시켰다. 이로써 O/W 나노에멀젼이 얻어졌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상 1 내지 3으로부터 O/W 나노에멀전을 얻었다. O/W 에멀젼에 교반기로 1000 rpm에서 교반하여 분산시킨 상 4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교반기로 1000 rpm에서 10분간 교반하였다. 이로써 O/W 에멀젼을 포함하는 크림이 얻어졌다.
다음은 표에 나열된 물질에 대한 세부 사항이다.
· 수소화 레시틴과 피토스테롤의 복합체: Phytocompo PP, Nippon Seika Co., Ltd.
· 수소화 레시틴: EMULMETIK 100, Lucas Meyer Cosmetics, IFF Inc.
· 소듐 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AMISOFT HS-11, Ajinomoto Healthy Supply Co., Inc.
· 서팩틴 나트륨: KANEKA SURFACTIN, Kaneka Corp.
· 메도우폼 종자유: FFANCOR MEADOWFOAM SEED OIL, Elementis Co.
·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CETIOL CC, BASF Co.
· 수소화 폴리데센: SILKFLO 364, Vantage Personal Care Co.
· 보존제: 클로르페네신 및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 CARBOPOL ULTREZ 21, Lubrizol Co.
· 소듐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일 디메틸 타우레이트 공중합체: SIMULGEL NS, Seppic Co.
평가
에멀젼 직경 측정
입자 크기 측정 장치(DelsaMax CORE, Beckman Coulter, Inc. 제품)를 사용하여 동적 광산란 방법에 의해 유화된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를 측정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질감 평가
각 샘플을 화장료 전문가로 구성된 평가단이 피부에 도포한 후 다음과 같은 평가 척도에 따라 평가를 진행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A: 질감이 매우 가벼움
B: 사실상 질감이 가볍지 않음
C: 질감이 전혀 가볍지 않음
에멀젼 안정성
각 샘플을 투명한 유리 용기에 채우고 밀봉하였다. 이어서, 유리 용기를 50℃ 항온조에 넣고 1개월 동안 방치하였다. 유화 안정성을 하기 평가 척도로 육안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A: 변화 없음
B: 약간의 크림화 및/또는 합체
C: 크림화 및/또는 합체
각 기준(질감 및 안정성)에 대해 'A' 표기를 갖는 조성물이 본 발명에 따라 허용된다.
수소화 레시틴, 피토스테롤, 소듐 스테아로일글루타메이트 및 식물유인 천연 유래 성분을 다량 함유하는, 실시예 1 및 실시예 2에서 얻은 본 발명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은 도포 시 가벼운 질감을 부여하는 동시에 에멀젼은 50℃에서 1개월이 경과한 후에도 상 분리 없이 우수한 안정성을 나타내었다.
그러나, 성분 A(비교예 1), 성분 A 및 B(비교예 2) 또는 성분 C(비교예 3 및 4)를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1 내지 4의 경우에는, 50℃에서 1개월이 경과한 후 상들 사이에 분리가 관찰되었다. 더욱이, 식물유(성분 D)를 비식물유로 대체한 비교예 5의 경우, 에멀젼은 탁월한 안정성을 나타냈지만 도포 시에 허용할 수 없는 질감을 나타내었다.

Claims (16)

  1. (A) 수소화 레시틴(hydrogenated lecithin),
    (B) 피토스테롤(phytosterol),
    (C) 아실기에 12 내지 22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아실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
    (D) 적어도 (D1) 식물유(vegetable oil)를 포함하는 오일제(oil agent), 및
    (E) 수성 매질(aqueous medium)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oil-in-water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2. 제1항에 있어서, 성분 (A)와 성분 (B)는 복합체(complex)를 형성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성분 (C)는 스테아로일글루탐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는 (D2) 비식물성 극성 오일(non-vegetable polar oil)을 더 포함하고, 성분 (D1)에 대한 성분 (D2)의 질량비(R1) (R1 = D2/D1)는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의 범위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1)은 불포화 탄화수소 기반 식물유(plant oil), 특히 불포화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예컨대 메도우폼(meadowfoam) 종자유, 대두유, 피마자유, 올리브유, 크시메니아유(ximenia oil), 프라칵시유(pracaxi oil), 팜유, 아마인유, 해바라기유, 아르간유, 미강유(rice bran oil), 아보카도유, 마카다미아유, 도핵유(peach kernel oil), 행인유(apricot kernel oil), 유채씨유, 스위트아몬드유(sweet almond oil), 카놀라유, 고수유(coriander oil), 면실유, 참기름, 옥수수 배아유, 밀 배아유, 시계초유(passionflower oil), 포도씨유, 홍화유, 달맞이꽃유, 호두유, 블랙커런트핍유(blackcurrant pip oil), 머스크 장미유, 동백유(camellina oil), 라즈베리 종자유, 크랜베리유, 피마자유, 메도우폼유, 안나토유(annatto oil), 안디로바유(andiroba oil), 브라질넛유, 부리티유(buriti oil), 몽공고유(mongongo oil), 마룰라유(marula oil), 커피 오일, 잉카인치유(inca inchi oil), 호호바유, 시어 버터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성분 (D2)는 주변 온도에서 액체이고 탄소 원자수 18 내지 20의 분지형 및/또는 불포화 탄소쇄를 갖는 지방 알코올, 글리세롤 및 C14-C22 지방산의 트리글리세리드, 디알킬카보네이트, 예컨대 디카프릴릴 카보네이트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친수성 증점제(hydrophilic thickener)를 더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친수성 증점제는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아크릴레이트/C10-30 알킬 아크릴레이트 교차 중합체(crosspolymer), 하이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아크릴로일디메틸타우린 나트륨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 바람직하게는 2-아크릴아미도 2-메틸프로판 설폰산(AMPS) 공중합체, 아크릴산/C10-C30 알킬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A)와 성분 (B)의 총 함량은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10 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5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2.5 질량%의 범위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C)의 총 함량은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5 질량%,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2 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내지 1 질량%의 범위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성분 (D)의 총 함량은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의 총 질량을 기준으로 5 내지 60 질량%, 바람직하게는 5 내지 50 질량%의 범위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부틸렌 글리콜, 펜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폴리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종의 폴리올을 더 포함하는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나노에멀젼(nanoemulsion)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동적 광산란 방법(dynamic light scattering method)으로 측정된 평균 입자 크기가 50 내지 500 nm 범위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을 케라틴 물질(keratinic material), 특히 피부 상에 도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케라틴 물질의 케어(care) 및/또는 메이크업(make-up)을 위한 화장 공정(cosmetic process).
  16. 제15항에 있어서,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이 장기간 유화 안정성을 나타내고, 상기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이 도포된 케라틴 물질에 보습 효과(moisturizing effect)와 함께 가벼운 질감(light texture) 및 풍부감(richness)을 제공하는 화장 공정.
KR1020247023719A 2021-12-23 2021-12-23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Pending KR202401288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IB2021/000905 WO2023118914A1 (en) 2021-12-23 2021-12-23 Oil-in-water emulsified cosmetic composi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28886A true KR20240128886A (ko) 2024-08-27

Family

ID=800507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23719A Pending KR20240128886A (ko) 2021-12-23 2021-12-23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50049655A1 (ko)
EP (1) EP4452184A1 (ko)
JP (1) JP2025501591A (ko)
KR (1) KR20240128886A (ko)
CN (1) CN118632677A (ko)
WO (1) WO202311891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5059871A1 (en) * 2023-09-19 2025-03-27 L'oreal Compositions for skin care
WO2025059866A1 (en) * 2023-09-19 2025-03-27 L'oreal Process for skin care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63385A (ko) 2015-11-30 2017-06-08 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겔상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 피부 외용제 및 수중유형 유화 조성물의 제조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50049655A1 (en) 2025-02-13
EP4452184A1 (en) 2024-10-30
JP2025501591A (ja) 2025-01-22
WO2023118914A1 (en) 2023-06-29
CN118632677A (zh) 2024-09-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60878T3 (es) Proceso de producción de una preparación de microemulsión de aceite en agua de aplicación externa
JP7058943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1154693B1 (ko) 크림상 o/w형 유화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
TWI632918B (zh) 水中油型乳化皮膚化妝料及其製造方法
JP6281744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TW200932283A (en) Skin external preparation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KR101490713B1 (ko) 제형 안정성 및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저점도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6057461B2 (ja) αゲル構造体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または皮膚外用剤
JP6339376B2 (ja) 化粧料
KR20240128886A (ko) 수중유형 유화 화장료 조성물
JP6792353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
JP5833810B2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4817435B2 (ja) 皮膚外用剤
BR112017023693B1 (pt) Composição cosmética ou dermatológica na forma de uma nanoemulsão de óleo-em-água, uso cosmético da composição e uso da composição
JP7682661B2 (ja) 水中油型乳化組成物
KR102381622B1 (ko) 쌀겨왁스의 안정화 방법 및 고 함량의 쌀겨왁스를 안정화한 나노에멀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JP2014196282A (ja) W/o/w型乳化組成物
JP5382974B2 (ja) 化粧料用組成物及び化粧料
JP2016166187A (ja) 水中油型乳化化粧料
JP2010270067A (ja) 乳化組成物
KR102556501B1 (ko) 천연 고분자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JP5641665B2 (ja) 皮膚外用剤及びその製造方法
JP5602084B2 (ja) 保湿剤およびそれを含有する化粧料
CN114073648A (zh) 包含天然聚合物的化妆料组合物
JP7470237B1 (ja) クレンジングウォータ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5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121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