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24954A - 슬라이딩 또는 틸팅 렌즈 이동이 가능한 콘택트 렌즈 패키지 및 취급 방법 - Google Patents
슬라이딩 또는 틸팅 렌즈 이동이 가능한 콘택트 렌즈 패키지 및 취급 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24954A KR20240124954A KR1020247023254A KR20247023254A KR20240124954A KR 20240124954 A KR20240124954 A KR 20240124954A KR 1020247023254 A KR1020247023254 A KR 1020247023254A KR 20247023254 A KR20247023254 A KR 20247023254A KR 20240124954 A KR20240124954 A KR 2024012495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ntact lens
- base
- base cavity
- package
- channel portion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7
- 238000004806 packaging method and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9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6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304 joi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3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8
- 239000000017 hydroge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9
- 229920001296 polysiloxa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4033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229920003023 plastic Polymers 0.000 description 7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2546 transfer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29920000089 Cyclic olefin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5
- QVGXLLKOCUKJST-UHFFFAOYSA-N atomic oxygen Chemical compound [O] QVGXLLKOCUKJST-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760 oxy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1301 oxy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8000000576 coat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888 f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888 barrier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1248 coa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3461 desig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20000642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13 Cyclic olefin copoly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WOBHKFSMXKNTIM-UHFFFAOYSA-N Hydroxyethyl methacrylate Chemical compound CC(=C)C(=O)OCCO WOBHKFSMXKNTI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HNWPMSKXPGLAX-UHFFFAOYSA-N N-Vinyl-2-pyrrolidone Chemical compound C=CN1CCCC1=O WHNWPMSKXPGLA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616 Polymaco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743 Polypropyle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795 chemical substances by applica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814 drug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2347 inj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924 injec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746 injection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178 monom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5699 permeability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80 wett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46 3D prin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1000894006 Bacteri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102100026735 Coagulation factor VIII Human gen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71 Cross lin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219 Ethylene 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01000911390 Homo sapiens Coagulation factor VIII Protein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372 Poly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328 Polyvinylidene chlorid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750 UV prote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978 adapt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654 addit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53 adhesiv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070 adhes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11 adver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901 benefi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5572 biosynthetic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97 blink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75 buffered salin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366 buffer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56 contamin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087 cornea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537 cosme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6037 cross link 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40079593 drug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613 environment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UFRKOOWSQGXVKV-UHFFFAOYSA-N ethene;ethenol Chemical compound C=C.OC=C UFRKOOWSQGXVK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715 ethylene vinyl alcoho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744 eyelid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10000000887 face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472 formu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376 functional foo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313 glar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292 glu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6541 health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72 improvem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348 incorpo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615 ingredi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77 initi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993 inte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01 laminate fil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75 l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14 lubric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43 material 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91 molded plast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44 monito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22 packaging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56 p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44000052769 pathogen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04 phys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38 polyhydroxyethylmethacrylat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098 polyolefin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1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1155 polypropylene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5606 polypropylene copoly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51 polyvinyl alcohol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033 polyvinylidene chlor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552 review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079 rubber tap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NLAIHECABDOZBR-UHFFFAOYSA-M sodium 2,2-bis(2-methylprop-2-enoyloxymethyl)butyl 2-methylprop-2-enoate 2-hydroxyethyl 2-methylprop-2-enoate 2-methylprop-2-enoate Chemical compound [Na+].CC(=C)C([O-])=O.CC(=C)C(=O)OCCO.CCC(COC(=O)C(C)=C)(COC(=O)C(C)=C)COC(=O)C(C)=C NLAIHECABDOZBR-UHFFFAOYSA-M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54 steril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659 sterilization and disinf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225 therapeu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856 thermo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90 viscoelastic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29663 wound hea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28—Articles or materials wholly enclosed in composite wrappers, i.e. wrappers formed by associating or interconnecting two or more sheets or blanks
- B65D75/30—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 B65D75/32—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 B65D75/325—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 B65D75/326—Articles or materials enclosed between two opposed sheets or blanks having their margins united, e.g. by pressure-sensitive adhesive, crimping, heat-sealing, or welding one or both sheets or blanks being recessed to accommodate contents one sheet being recessed, and the other being a flat not- rigid sheet, e.g. puncturable or peelable foil and forming one compartment
-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11/005—Contact lens ca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55/00—Preserving, protecting or purifying packages or package contents in association with packaging
- B65B55/22—Immersing contents in protective liquid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B—MACHINES, APPARATUS OR DEVICES FOR, OR METHODS OF, PACKAGING ARTICLES OR MATERIALS; UNPACKING
- B65B7/00—Closing containers or receptacles after filling
- B65B7/16—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 B65B7/28—Closing semi-rigid or rigid containers or receptacles not deformed by, or not taking-up shape of, contents, e.g. boxes or cartons by applying separate preformed closures, e.g. lids, cov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2585/5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articles of special shap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2585/545—Contact len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 Eyeglasses (AREA)
- Packaging Frangible Article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선된 콘택트 렌즈 패키지, 사용 및 제조/조립 방법에 관한 것이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결된 뚜껑을 포함한다. 베이스는 콘택트 렌즈와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와,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140)를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뚜껑은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베이스 캐비티를 덮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는 메인 부분(236)과,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채널 부분(238)을 포함하는 보울에 의해 형성된다.
Description
종래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에서, 콘택트 렌즈는 전형적으로 오목면측 상향 배향(concave-side-up orientation)으로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캐비티(또는 "보울(bowl)")를 가지는 성형된 플라스틱 베이스에 안착된다. 그 결과, 패키지로부터 눈으로 콘택트 렌즈를 옮기는 사용자 경험은 사용자가 일반적으로 눈에 배치하기 위해 손가락에서 정확한 배향으로 두도록 손가락으로 콘택트 렌즈를 보울로부터 "건져올리고", 그런 다음 렌즈를 뒤집는 것을 수반한다. 이 과정은 렌즈를 여러 번 터치하는 것을 요구하며, 이는 오염 물질 또는 병원균을 손으로부터 렌즈로, 궁극적으로는 눈으로 옮길 수 있다. 이러한 취급 경험은 비위생적일 뿐만 아니라, 렌즈를 지나치게 번거롭게 하고 지저분하게 하며 기계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주며, 이는 과도하게 조작될 때 렌즈가 찢어지거나 떼어지거나 왜곡될 수 있다. 일부 패키지가 렌즈를 뒤집을 필요성을 제거하기 위해 볼록면측 상향 배향으로 렌즈를 제공하도록 디자인되었지만, 이것들은 종종 렌즈를 패키징 용액으로부터 "건져올리는 것"을 여전히 요구하거나, 그렇지 않으면 렌즈를 눈으로의 옮김을 달성하기 위해 렌즈의 조작 또는 렌즈의 다수의 터치를 필요로 한다.
안구 건강에 대한 높은 인식 및 보다 편리한 경험에 대한 소비자 요구를 고려하여, 덜 지저분하고 보다 위생적인 콘택트 렌즈 취급 과정을 가능하게 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한 양태에서, 콘택트 렌즈의 착용자에게 "단일 터치" 패키지, 즉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이 이상적일 것이며, 이에 의해 콘택트 렌즈의 착용자는 그의 손가락 중 하나의 단일 터치로 렌즈 보관 패키지로부터 렌즈를 꺼낼 수 있고, 그런 다음 이러한 단일 터치로 정확하게 렌즈를 눈에 위치시킬 수 있다. 이러한 디자인에서, 렌즈를 눈에 배치하기 전에 한 손가락으로부터 다른 손가락으로 렌즈를 옮겨 조작할 필요가 없다. 이러한 단일 터치 패키지를 제공하는 것은 렌즈 준비 및 삽입 과정을 간소화할 뿐만 아니라; 또한 눈으로의 배향 및 삽입을 위해 렌즈가 준비됨에 따라서 렌즈를 착용자의 다른 손가락에 떨어뜨리거나 또는 손가락에 있는 추가 박테리아에 노출될 가능성을 줄이고, 눈과 접촉하도록 의도된 렌즈의 측면을 터치할 가능성을 줄인다.
단일 터치 렌즈 패키지의 디자인은 몇 가지 뚜렷한 과제에 직면한다. 이상적으로 착용자는 패키지로부터 제거 동안 렌즈가 손가락에 잘 붙도록 렌즈를 일관되게 위치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단일 터치 패키지는 이상적으로 현재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에 비해 상품 비용의 과도한 증가를 초래하지 않아야 하는데, 이는 착용자 커뮤니티에 대한 비용 증가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이다. 패키지는 패키재로부터 제거될 때 렌즈를 잡는 데 어렵게 하지 않아야 한다. 추가적으로, 패키지의 구성이 렌즈를 패키징하는 데 필요한 용액의 체적을 유지하거나 또는 심지어 줄이는 것이면, 이러한 것은 렌즈 패키지의 생태학적 영향을 줄일 것이다. 마찬가지로, 패키지의 전부 또는 일부가 재활용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고 및/또는 전체적으로 또는 부분적으로 재활용 가능하면 유익할 것이다.
또한, 다양한 규제 기관에 의해 이미 승인되고 이상적으로 용액 화학적 성질 또는 렌즈 조성에서의 변화를 요구하지 않는 재료로 패키지가 구성되면 유리할 것이다. 또한, 최적으로, 패키지의 기능은 바람직하게 임의의 전자 또는 기타 전기 구성요소가 패키지 또는 렌즈의 성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면 이러한 구성요소를 통합하지 않는다.
따라서, 편리한 렌즈 제거 경험을 제공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에 대한 필요성이 여전히 있다.
전술한 목적 및 관련된 목적의 일부 또는 전부가 본 명세서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양태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에서 달성될 수 있다는 것이 이제 밝혀졌다. 특정 실시예에 따르면, 콘택트 렌즈 패키지는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를 가지는 베이스, 및 베이스에 연결되고,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베이스 캐비티를 덮는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의해 베이스로부터 콘택트 렌즈의 사용자 제거를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가진다. 특정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보울(bowl)을 포함할 수 있고, 채널 부분은,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사용자가 베이스를 기울일 때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고, 이에 의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단일 터치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가진다. 본 개시내용은 콘택트 렌즈 패키지, 콘택트 렌즈를 패키징하는 방법,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방법의 다양한 실시예를 제공한다.
한 양태에서, 콘택트 렌즈 패키지가 제공된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결된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뚜껑은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베이스 캐비티를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콘택트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완전히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렌즈 결합 표면은 오목 부분과 볼록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질 수 있고,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리브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뚜껑은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뚜껑은 가요성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콘택트 렌즈 패키지가 제공된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결된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고,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은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베이스 캐비티를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콘택트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완전히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까지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렌즈 결합 표면은 오목 부분과 볼록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질 수 있고,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각각의 리브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뚜껑은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뚜껑은 가요성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콘택트 렌즈를 패키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베이스 캐비티, 및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방법은 또한 베이스 캐비티 내에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배치하는 단계, 및 뚜껑이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베이스 캐비티를 덮도록 베이스에 뚜껑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콘택트 렌즈는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질 수 있고,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와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베이스를 잡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하여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된다. 방법은 또한 뚜껑이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도록 베이스로부터 패키지의 뚜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는 단계, 및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따라서, 개구를 통한 결합을 통해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콘택트 렌즈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콘택트 렌즈는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따라서 콘택트 렌즈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는 렌즈 결합 표면을 따라서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콘택트 렌즈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질 수 있고,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콘택트 렌즈 패키지가 제공된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결된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보울을 포함할 수 있다. 보울은 메인 부분과,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은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베이스 캐비티를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콘택트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채널 부분은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은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또한 채널 부분의 제2 단부와 베이스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 경사로(ramp)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깊이는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최대 깊이는 메인 부분의 최대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폭은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최대 폭은 메인 부분의 최대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은,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뚜껑은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뚜껑은 가요성일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콘택트 렌즈 패키지가 제공된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는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결된 뚜껑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는 콘택트 렌즈와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보울을 포함할 수 있다. 보울은 메인 부분과,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채널 부분은,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은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베이스 캐비티를 덮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콘택트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채널 부분은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은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은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또한 채널 부분의 제2 단부와 베이스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 경사로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깊이는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최대 깊이는 메인 부분의 최대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폭은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최대 폭은 메인 부분의 최대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뚜껑은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뚜껑은 가요성일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콘택트 렌즈를 패키징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베이스 캐비티 및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보울을 포함하는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울은 메인 부분, 및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베이스 캐비티 내에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배치하는 단계, 및 뚜껑이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베이스 캐비티를 덮도록 베이스에 뚜껑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콘택트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은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깊이는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폭은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은,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태에서,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방법은 패키지의 베이스를 잡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며, 베이스는 콘택트 렌즈와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와,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보울을 포함하며, 보울은 메인 부분과, 메인 부분으로부터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한다. 방법은 또한 뚜껑이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도록 베이스로부터 패키지의 뚜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콘택트 렌즈가 채널 부분을 따라서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베이스를 기울이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베이스 캐비티는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콘택트 렌즈를 수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은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질 수 있고,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깊이는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의 폭은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채널 부분은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할 수 있고, 베이스를 기울이는 단계는 콘택트 렌즈가 렌즈 결합 표면을 따라서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슬라이딩하게 할 수 있다.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양태와 개선점은 첨부된 도면 및 첨부된 청구범위와 함께 취해질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검토하면 당업자에게 자명해질 것이다.
도 1a는 미개방 상태에 있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도시하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개방 상태의 도 1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c 내지 도 1e는 도 1a의 선 1C-1C를 따라서 취한, 도 1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베이스와 콘택트 렌즈의 측단면도이다. 도 1c는 베이스의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된 콘택트 렌즈를 도시한다. 도 1d는 베이스의 돌출부 위로 올라가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슬라이딩하는 콘택트 렌즈를 도시한다. 도 1e는 돌출부 위로 올라가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슬라이딩한 후의 콘택트 렌즈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베이스의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된 콘택트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베이스를 잡고, 베이스로부터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뚜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b는 사용자가 베이스의 개구를 통해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c는 베이스 캐비티로부터 콘택트 렌즈의 제거 후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위치된 콘택트 렌즈를 도시한다.
도 3a는 미개방 상태에 있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개방 상태에 있는 도 3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베이스, 뚜껑, 및 콘택트 렌즈의 분해 측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베이스의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된 콘택트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베이스를 잡고, 베이스로부터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뚜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b는 콘택트 렌즈가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위로 슬라이딩하도록 베이스를 기울이는 사용자를 도시한다. 도 4c는 베이스 캐비티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제거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에 위치된 콘택트 렌즈를 도시한다.
도 1a는 미개방 상태에 있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도시하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b는 개방 상태의 도 1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1c 내지 도 1e는 도 1a의 선 1C-1C를 따라서 취한, 도 1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베이스와 콘택트 렌즈의 측단면도이다. 도 1c는 베이스의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된 콘택트 렌즈를 도시한다. 도 1d는 베이스의 돌출부 위로 올라가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슬라이딩하는 콘택트 렌즈를 도시한다. 도 1e는 돌출부 위로 올라가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슬라이딩한 후의 콘택트 렌즈를 도시한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도 1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는 베이스의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된 콘택트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베이스를 잡고, 베이스로부터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뚜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b는 사용자가 베이스의 개구를 통해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2c는 베이스 캐비티로부터 콘택트 렌즈의 제거 후에 사용자의 손가락에 위치된 콘택트 렌즈를 도시한다.
도 3a는 미개방 상태에 있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도시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3b는 개방 상태에 있는 도 3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평면 사시도이다.
도 3c는 도 3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베이스, 뚜껑, 및 콘택트 렌즈의 분해 측면 사시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도 3a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a는 베이스의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된 콘택트 렌즈를 노출시키기 위해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베이스를 잡고, 베이스로부터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뚜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을 도시한다. 도 4b는 콘택트 렌즈가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사용자의 손가락 위로 슬라이딩하도록 베이스를 기울이는 사용자를 도시한다. 도 4c는 베이스 캐비티로부터 콘택트 렌즈를 제거한 후 사용자의 손가락에 위치된 콘택트 렌즈를 도시한다.
이제 도면 부호가 특정 요소를 나타내는 첨부 도면에 도시된 대표적인 실시예를 자세히 참조할 것이다. 다음의 상세한 설명은 수많은 실시예를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반대로,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의 사상 및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대안, 수정 및 등가물을 포괄하도록 의도된다.
"한 실시예", "실시예", "일부 실시예", "예시적인 실시예" 등에 대한 언급은 설명된 실시예가 특정 특징, 구조, 양태 또는 특성을 포함할 수 있지만, 모든 실시예가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반드시 포함하는 것은 아닐 수 있음을 나타낸다. 또한, 이러한 문구는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특정 특징, 구조, 양태 또는 특성이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될 때, 명시적으로 기술되든 아니든 다른 실시예와 관련하여 그러한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을 구현하는 것은 당업자의 지식 내에 있는 것으로 제출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다음 용어는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의 이점은 렌즈가 뒤집히거나 손가락으로부터 낙하하거나 또는 추가 조작 없이 패키지로부터 착용자의 손가락으로, 그런 다음 손가락으로부터 착용자의 눈으로 일관된 단일 터치 렌즈 옮김을 용이하게 한다는 것이다. 렌즈는 또한 바람직하게 접히거나 뒤집힘이 없이 손가락에 "안착"되고, 그런 다음 손가락에 배치될 때 눈으로 옮겨진다. 특정 실시예의 패키지는 일정 범위의 손가락 크기, 및 두드림 압력에 걸쳐 원하는 단일 터치 옮김을 제공할 수 있다. 온도, 손가락이 습한지 건조한지 등과 같은 환경적 조건이 또한 옮김율에 영향을 줄 수 있고,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을수록 렌즈 옮김이 향상된다.
렌즈(들) 또는 콘택트 렌즈(들)는 눈에 상주하는 안과용 디바이스를 의미한다. 이것들은 일반적으로 반구형 형상을 가지며, 광학 보정, 미용 강화, UV 차단 및 가시광선 또는 눈부심 감소, 상처 치유를 포함하는 치료 효과, 약물 또는 기능식품(neutraceutical)의 전달, 진단 평가 또는 모니터링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제공할 수 있다. 렌즈라는 용어는 일반적으로 수화된 상태에서의 패키지로 소비자에게 제공되고 각막에 순응하게 할 수 있는 상대적으로 낮은 모듈러스를 가지는 소프트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패키지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한 콘택트 렌즈는 기존 및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를 포함한 모든 수화된 콘택트 렌즈를 포함한다.
하이드로겔은 평형 상태에서 물을 함유하고 수화된 상태에서 적어도 약 25%, 또는 적어도 35%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 수화된 가교 고분자계이다. 하이드로겔은 일반적으로 산소 투과성 및 생체 적합성이어서, 콘택트 렌즈를 생산하기 위한 탁월한 재료이다.
종래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실리콘 함유 성분을 함유하지 않으며, 일반적으로 실리콘 하이드로겔보다 높은 수분 함량, 낮은 산소 투과성, 모듈러스 및 형상 기억을 가진다. 종래의 하이드로겔은 2-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HEMA"), N-비닐 피롤리돈("NVP") 또는 폴리비닐 알코올과 같은 친수성 단량체를 주로 함유하는 단량체 혼합물로부터 제조된다. 미국 특허 4,495,313, 4,889,664 및 5,039,459는 종래의 하이드로겔의 형성을 개시한다. 종래의 하이드로겔은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일 수 있으며, 폴리마콘(polymacon), 에타필콘(etafilcon), 넬필콘(nelfilcon), 오큐필콘 레네필콘((ocufilcon lenefilcon))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종래의 하이드로겔 물질의 산소 투과성은 일반적으로 20-30 barrer 미만이다.
실리콘 하이드로겔 제제는 발라필콘 삼필콘(balafilcon samfilcon), 로트라필콘(lotrafilcon) A 및 B, 델필콘(delfilcon), 갈리필콘(galyfilcon), 세노필콘(senofilcon) A, B 및 C, 나라필콘(narafilcon), 콤필콘(comfilcon), 포르모필콘(formofilcon), 리오필콘(riofilcon), 판필콘(fanfilcon), 스텐필콘(stenfilcon), 소모필콘(somofilcon), 칼리필콘(kalifilcon) 등을 포함한다. "실리콘 하이드로겔"은 적어도 하나의 친수성 성분과 적어도 하나의 실리콘 함유 성분으로 만들어진 고분자 네트워크를 의미한다. 실리콘 하이드로겔은 60-200, 60-150 또는 80-130 psi의 범위에 있는 모듈러스와, 20-60% 범위에 있는 수분 함량을 가질 수 있다. 실리콘 하이드로겔의 예는 그 모든 변형을 포함하여, 아쿠아필콘(acquafilcon), 아스모필콘(asmofilcon), 발라필콘, 콤필콘, 델레필콘(delefilcon), 엔필콘(enfilcon), 판필콘, 포르모필콘, 갈리필콘, 로트라필콘(lotrafilcon), 나라필콘, 리오필콘, 삼필콘, 세노필콘, 소모필콘, 및 스텐필콘, 베로필콘(verofilcon)뿐만 아니라, 미국 특허 4,659,782, 4,659,783, 5,244,981, 5,314,960, 5,331,067, 5,371,147, 5,998,498, 6,087,415, 5,760,100, 5,776,999, 5,789,461, 5,849,811, 5,965,631, 6,367,929, 6,822,016, 6,867,245, 6,943,203, 7,247,692, 7,249,848, 7,553,880, 7,666,921, 7,786,185, 7,956,131, 8,022,158, 8,273,802, 8,399,538, 8,470,906, 8,450,387, 8,487,058, 8,507,577, 8,637,621, 8,703,891, 8,937,110, 8,937,111, 8,940,812, 9,056,878, 9,057,821, 9,125,808, 9,140,825, 9156,934, 9,170,349, 9,244,196, 9,244,197, 9,260,544, 9,297,928, 9,297,929뿐만 아니라 WO 03/22321, WO 2008/061992, 및 US 2010/0048847에서 준비된 바와 같은 실리콘 하이드로겔을 포함한다. 이들 특허는 그 전체 내용이 참고로 여기에 포함된다. 실리콘 하이드로겔은 종래의 콘택트 렌즈보다 높은 형상 기억을 가질 수 있다.
하이드로겔 렌즈는 점탄성 물질이다. 콘택트 렌즈는 렌즈가 패키지 또는 패키지 내의 어떠한 기포와도 상호 작용하면 광학적 왜곡을 형성할 수 있다. 광학적 왜곡의 정도와 왜곡을 완화시키는 데 필요한 시간 길이는 화학적 성질에 따라 달라지며, 정도는 덜하지만 렌즈의 기하학적 구조에 따라 달라진다. 에타필콘 A 또는 폴리마콘과 같은 폴리히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기반 렌즈와 같은 종래의 렌즈 재료는 실리콘 하이드로겔에 비해 저손실 모듈러스 및 탄젠트 델타(tan delta)를 가지며, 패키징과의 접촉 결과로서 심각한 광학적 왜곡이 점점 덜 발생할 수 있다. 실리콘(일반적으로 벌크 탄성 반응을 증가시킴), PVP(일반적으로 점성 반응을 증가시킴)와 같은 습윤제 또는 종래의 하이드로겔 물질의 코팅(렌즈 경계면에서 탄성 반응을 낮출 수 있음)의 통합은 렌즈 점탄성 특성을 변경할 수 있다. 짧거나 딱딱한 가교제 및/또는 경화제를 가지는 종래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 및 실리콘 하이드로겔 콘택트 렌즈는 짧은 형상 기억을 가지며, 보관 동안 변형에 덜 민감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높거나 더 높은 형상 기억 하이드로겔은 55℃에서 5주간의 가속 노화 후에 기포 또는 패키지와의 접촉으로부터 약 0.18 이상의 광학적 왜곡을 보인다. 손실 계수 및 탄젠트 델타를 포함하는 점탄성 특성은 동적 기계 분석을 사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는 임의의 기하학적 구조 또는 도수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반구형 형상을 가지며, 사용 중일 때 눈에 닿는 오목 전방측과 눈에서 멀어지는 쪽을 향하고 깜박이는 동안 눈꺼풀과 접촉되는 볼록 후방측을 가진다.
렌즈의 중심 또는 정점은 렌즈 광학 구역의 중심이다. 광학 구역은 광학 보정을 제공하며, 약 7 ㎜ 내지 약 10 ㎜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렌즈 주변부 또는 렌즈 가장자리는 전방측과 후방측이 만나는 가장자리이다.
실시예는 챔버로서 또한 상호 교환적으로 지칭되는 밀봉 가능한 캐비티에 의해 둘러싸인 렌즈 지지체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티는 임의의 편리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패키지 베이스와 적어도 뚜껑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각각은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기 뚜껑", "뚜껑", "상기 베이스" 및 "베이스"라는 문구는 단수 및 복수를 모두 포함한다. 뚜껑과 패키지 베이스는 서로 밀봉되어, 사용 전 배송 및 보관 동안 콘택트 렌즈, 지지체 및 패키징 용액을 멸균 상태로 유지하는 캐비티를 형성한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는 콘택트 렌즈 및 용액과 호환될 뿐만 아니라 고열 처리 가능하고 생물학적으로 불활성인 재료로 만들어진다.
"필름" 또는 "다층 필름"은 패키지를 밀봉하는 데 사용되는 필름이며, 종종 리드스톡(lidstock)으로서 지칭된다. 종래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에서 사용되는 다층 필름은 본 발명의 패키지에서 베이스, 뚜껑의 구성요소, 또는 둘 모두로서 사용될 수 있다. 다층 필름은 필름을 패키지의 나머지 부분에 밀봉하는 호일 층 또는 코팅, 밀봉 층을 포함하는 배리어 층을 포함하는 복수의 층을 포함하고, 또한 박리 개시 층, 라미네이션 층, 및 강성, 내열성, 인쇄성, 천공 저항성, 물 또는 산소 등에 대한 장벽 저항성 등과 같은 기타 패키지 특성을 향상시키는 층으로부터 선택된 추가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다층 필름은 증기 멸균 가능한(고열 처리 가능한) 밀봉을 형성한다. 다층 필름은 강성과 온도 저항성을 높이기 위해 PET, BON 또는 OPP 필름 층을 포함할 수 있으며, 산소 또는 수증기에 대한 차단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EVOH 또는 PVDC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미개방 상태" 또는 "미개방"은 폐쇄되어 콘택트 렌즈를 용액에 수용한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은 "개방 상태" 또는 "개방된"은 멸균 밀봉이 파손된 후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문맥에 따라, 개방 상태는 사용자에 의한 옮김을 위해 렌즈가 패키징 용액으로부터 들어올려지도록 사용자가 패키지를 조작했을 때 패키지의 상태까지 확장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은 "착용자" 또는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사람을 지칭한다. 사용자는 일반적으로 패키징을 개방하고 그 안에 들어있는 콘택트 렌즈를 본인의 눈에 옮기는 사람을 말한다. 그러나, 일부 상황에서, 사용자는 안과 의사("ECP") 또는 착용자를 시연하거나 보조하는 다른 개인과 같이 착용자를 대신하여 렌즈 패키지를 취급하는 사람일 수 있다.
패키징 용액은 선택된 렌즈 재료 및 패키징과 호환되는, 생리학적으로 호환되는 모든 용액이다. 패키징 용액은 완충 식염수 용액과 같은 생리학적 pH를 가지는 완충 용액이 포함된다. 패키징 용액은 완충제, pH 및 장성 조절제, 윤활제, 습윤제, 기능 식품, 의약품, 패키징 코팅 성분 등을 포함하는 공지된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패키지 베이스는 패키지의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패키지는 플라스틱을 포함하는, 의료 디바이스를 패키징하는 데 적합한 임의의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패키지 베이스는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의료 디바이스를 패키징하는 데 적합한 모든 재료로 만들어질 수 있다. 패키지 베이스는, 성형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될 수 있고 렌즈의 화학적 및 물리적 특성, 패킹 용액 및 이에 포함될 수 있는 첨가제, 및 콘택트 렌즈 제조의 멸균 요구 사항과 호환 가능한 중합체, 고무 또는 플라스틱 중에서 선택되어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폴리프로필렌을 포함하는 폴리올레핀, 및 COP(환형 올레핀 중합체) 및 COC(환형 올레핀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올레핀 공중합체,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패키징 뚜껑은 일반적으로 패키지의 상부 부분에 상주하며, 베이스와 함께 밀봉되어 렌즈 지지체, 렌즈, 및 패키징 용액 중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는 캐비티를 형성한다. 뚜껑은 호일 또는 플라스틱의 성형 시트, 라미네이트 필름,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하여 의료 디바이스를 패키징하는 데 적합한 어떠한 재료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하나의 구조를 위한 플라스틱, 다른 구조를 위한 호일 또는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패키지, 또는 뚜껑 및 베이스를 위한 외부층으로서 호일 또는 적층 필름을 포함하는 패키지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으며 적합한 조합의 예이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사출 성형 공정 및 사출 성형에 통상적으로 적용되는 재료의 사용에 대한 이러한 언급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대안적인 성형 공정, 열 성형, 3D 프린팅 등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 다른 제조 수단이 첨부된 청구범위의 범위 내에서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마찬가지로, 열 밀봉구 및 열 밀봉에 대한 언급은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의 예시이다. 접착제, 아교, 열 접합, 열, 초음파 또는 레이저 용접과 같은 열 용접, 또는 기계적 트랩 등의 사용을 포함하여 패키징 구성요소를 고정하는 다른 수단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본 발명의 특정 양태는 패키지 외부에서 적용되는 중력 또는 기계적 압력과 같은 기타 힘으로 인해 보관 또는 운송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기포 또는 렌즈 패키지의 내부와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콘택트 렌즈에 대한 심각한 광학적 손상을 줄이거나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심각한 광학적 손상은 약 0.08 ㎛ 이상의 근 평균 제곱(RMS) 값을 의미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 1a 내지 도 1e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예시적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는 베이스(110), 뚜껑(160), 콘택트 렌즈(170), 및 패키징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는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개방 상태,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방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콘택트 렌즈(170)와 패키징 용액은 베이스(110)와 뚜껑(160)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콘택트 렌즈(170)는 베이스(110)와 뚜껑(160) 내에서 보호되고,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가 콘택트 렌즈(170)의 제거를 위해 개방될 때까지 패키징 용액에 노출될 수 있다.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170)로의 접근을 허용하기 위해 베이스(110)로부터 뚜껑(1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를 개방할 수 있다. 뚜껑(160)의 이러한 제거는 사용자가 콘택트 렌즈(170)를 결합하여 베이스(110)의 베이스 캐비티(122) 밖으로 슬라이딩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아래에 설명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베이스 캐비티(12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베이스(110)의 내부 표면(142)을 따라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돌출부(140)는 베이스 캐비티(122) 밖으로의 콘택트 렌즈(170)의 슬라이딩을 안내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돌출부(140)는 베이스(110)로부터 콘택트 렌즈(17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여,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특정의 기존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단점을 피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콘택트 렌즈(170)는 오목면측 상향 배향으로 패키지(100)에 배치되지만, 패키지는 렌즈가 볼록면측 상향 배향으로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바람직하게 구성되어서), 렌즈는 제거될 때 단일 터치로 옮겨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따르면, 베이스(110)는 서로 반대로 배치된 제1 단부(112)(특정 실시예에서는 "후방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 및 제2 단부(114)(특정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서로 반대로 배치되고 각각 제1 단부(112)로부터 제2 단부(114)까지 연장되는, 제1 측면(116)(특정 실시예에서 "상단 측면"으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 및 제2 측면(118)(특정 실시예에서 "바닥 측면"으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110)는 서로 반대로 배치되고 각각이 제1 단부(112)로부터 제2 단부(114)까지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향 측면(120)을 또한 가질 수 있다. 베이스(110)는 콘택트 렌즈(170)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122)를 한정할 수 있다. 베이스 캐비티(122)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콘택트 렌즈(170)의 제거를 허용하는 개구(124)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캐비티(122)는 베이스 캐비티(122)에 의해 한정된 길이 방향 축을 따라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제1 단부(126)(특정 실시예에서 "후방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 및 제2 단부(128)(특정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를 가지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따르면, 베이스(110)는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상이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플랫폼(130), 지지체(132), 및 보울(134)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130)은 지지체(132) 및 보울(134)을 위한, 그리고 베이스(110)로의 뚜껑(160)의 연결을 위한 베이스 구조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130)은 평면형 부재로 형성될 수 있을지라도,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지지체(132)는 플랫폼(13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지지 표면에 배치될 때 베이스(110)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132)는 플랫폼(130)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탭으로서 형성될 수 있을지라도,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보울(134)은 플랫폼(13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콘택트 렌즈(170)의 적어도 일부 및 패키징 용액을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의 보울(134)이 사용될 수 있다. 보울(134)은 베이스 캐비티(122)의 적어도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캐비티(122)는 보울(134)에 의해 완전히 한정될 수 있다. 베이스(100) 및 그 각각의 부분의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이 상이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고,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예일뿐이라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중합체, 고무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임의의 다양한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지만, 바람직하게 사출 성형된 폴리프로필렌으로 형성된다. 베이스(110)는 바람직하게 실질적으로 강성이며, 이는 선택된 재료가 콘택트 렌즈 패키지에 대한 일반적인 사용 및 보관 조건 하에서 변형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베이스 캐비티(12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베이스(110)의 내부 표면(142)을 따라서 연장되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돌출부(140)는 완전히 베이스 캐비티(122) 내에 배치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내부 표면(142)은 보울(134)의 내부 표면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는, 서로 이격되고 베이스 캐비티의 제2 단부(128)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돌출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임의의 수의 돌출부(140)가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140)는 베이스 캐비티(122)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140)는 베이스 캐비티(122)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베이스 캐비티(122)의 제2 단부(128)로 베이스 캐비티(122)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돌출부(140)는 리브로서 형성될 수 있을지라도, 다른 실시예에서, 다른 형태의 돌출부(140)가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돌출부(140)는 베이스(110)의 내부 표면(142)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질 수 있고, 높이는 돌출부(140)의 길이를 따라서 변할 수 있다. 각각의 돌출부(140)는 도 1c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170)를 결합하고 베이스 캐비티(122) 밖으로 콘택트 렌즈(170)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144)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140)의 렌즈 결합 표면(144)은 돌출부(140)를 따르는 콘택트 렌즈(170)의 이러한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윤곽화될 수 있으며, 여기서 윤곽은 콘택트 렌즈(170)가 패키지(100) 밖으로 부드럽게 슬라이딩되는 것을 허용하기 위해 제2 단부(128)까지 위로 항하도록 패키지가 상향 배향될 때 콘택트 렌즈(170)가 중력 하에서 자연스럽게 놓이는 캐비티(122)의 영역으로부터 시작하여 위로 향해 테이퍼진다. 렌즈 결합 표면(들)은 바람직하게 사용 및 보관 동안 언제든지 콘택트 렌즈의 표면의 20 ㎟의 총 면적 미만에서 콘택트 렌즈와 표면 접촉을 이루도록 집합적으로 구성된다. 렌즈의 표면과 접촉하는 면적을 줄이는 것은 렌즈가 베이스로부터 더욱 용이하게 분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표면 장력으로 인해 베이스 위로 렌즈가 접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결합 표면(144)은 오목 부분(146) 및 볼록 부분(148)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결합 표면(144)의 다양한 다른 형태가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170)는 콘택트 렌즈(170)의 볼록 표면이 베이스(110)의 내부 표면(142)을 향하고, 그러므로 콘택트 렌즈(170)가 베이스 캐비티(122) 밖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서 각각의 돌출부(140)의 렌즈 결합 표면(144)과 결합되도록 베이스 캐비티(12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돌출부(140)의 다양한 구성 및 형상은 베이스 캐비티(122)로부터 콘택트 렌즈(170)를 용이하게 제거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60)은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110)의 각각의 표면 위로 연장되어 베이스 캐비티(122) 내의 콘택트 렌즈(170) 및 패키징 용액을 밀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110)와 뚜껑(160)은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를 개방하고 콘택트 렌즈(170)를 제거하기를 원할 때까지 콘택트 렌즈(170)와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기 위한 밀봉된 캐비티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뚜껑(160)은 베이스 캐비티(122) 및 플랫폼(130)의 각각의 부분 위로 연장되어 이것들을 덮을 수 있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뚜껑(160)의 각각의 부분은 베이스 캐비티(122)의 개구(124)를 둘러싸는 플랫폼(130)의 부분과 같은 베이스(110)의 각각의 인접한 부분에 밀봉되어서, 콘택트 렌즈(170) 및 패키징 용액은 베이스(110)와 뚜껑(160)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뚜껑(160)과 베이스(110) 사이의 밀봉은 콘택트 렌즈(170)의 제거를 위해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가 미개방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손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160)은 임의의 적절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실시예에서, 뚜껑(160)은 가요성일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를 개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는 사용자가 패키지(100)를 개방하기를 원할 때까지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개방 상태로 제공되고 보관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가 미개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0)를 잡고, 베이스(110)로부터 뚜껑(1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뚜껑(160)의 단부 영역을 잡고, 뚜껑(160)을 베이스(110)로부터 멀어지게 당길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뚜껑(160)과 베이스(110) 사이의 밀봉의 적어도 일부가 파손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는 뚜껑(160)이 베이스(110)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동안 수평 배향으로 홀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60)은 베이스(110)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서, 베이스 캐비티(12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측면(116)을 따라서 뚜껑(160)에 의해 더 이상 덮이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뚜껑(160)은 베이스(110)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베이스(110)로부터 뚜껑(1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170)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캐비티(122) 내에 상주하는 동안 베이스 캐비티(122)의 개구(124)를 통해 사용자의 손가락 중 하나(또는 원하는 경우 다른 어플리케이터 또는 위생 필름)로 콘택트 렌즈(170)를 결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패키지(100)가 수평 배향으로 홀딩되는 동안,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170)를 결합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170)의 볼록 표면이 내부 표면(142)을 향하는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170)의 오목 표면 또는 원주 가장자리를 결합할 수 있다. 그런 다음, 사용자는 도 1c 내지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구(124)를 통한 결합을 통해 돌출부(140)를 따라서 베이스 캐비티(122) 밖으로 콘택트 렌즈(17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돌출부(140)의 렌즈 결합 표면(144)을 따라서 콘택트 렌즈(170)를 슬라이딩시킬 수 있으며, 이는 콘택트 렌즈(170)를 제2 단부(128)를 향해 베이스 캐비티(122) 밖으로 안내하는 동시에, 베이스 캐비티(122)로부터 패키징 용액의 제거를 또한 용이하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콘택트 렌즈(170)는 베이스(110)로부터 편리하게 제거되고, 그런 다음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손가락에 위치되어, 사용자의 눈에 위치하기 위해 준비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가 볼록면측 상향 배향으로 패키지 내에 위치되는 대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콘택트 렌즈를 패키지로부터서 손가락으로, 그리고 궁극적으로 눈으로 옮기는 것은 단지 단일 터치만을 편리하게 요구한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또 다른 예시적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를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는 베이스(210), 뚜껑(260), 콘택트 렌즈(270) 및 패키징 용액을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미개방 상태,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개방 상태를 가질 수 있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콘택트 렌즈(270)와 패키징 용액은 베이스(210)와 뚜껑(260)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콘택트 렌즈(270)가 베이스(210)와 뚜껑(260) 내에서 보호될 수 있고,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가 콘택트 렌즈(270) 제거를 위해 개방될 때까지 패키징 용액(210) 및 뚜껑(260)에 노출된다.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베이스(210)로부터 뚜껑(2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것에 의해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를 개방하여 콘택트 렌즈(270)에 대한 접근을 가능하게 한다. 뚜껑(260)의 이러한 제거는 베이스(210)를 수평 배향으로부터 기울이는 것에 의해 사용자가 베이스(210)의 베이스 캐비티(222)로부터 콘택트 렌즈(270)를 제거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베이스(210)는 베이스 캐비티(222) 밖으로 콘택트 렌즈(27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채널 부분(238)을 가지는 보울(234)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210)는 베이스 캐비티(222)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으로의 콘택트 렌즈(270)의 슬라이딩을 안내하는 경사로(250)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도 3b 및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270)는 콘택트 렌즈(270)의 볼록측이 베이스(210)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베이스(210) 내에 수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콘택트 렌즈(270)가 베이스 캐비티(222) 밖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은 사용자의 눈에 콘택트 렌즈(270)의 후속적 배치를 위해 콘택트 렌즈(270)의 볼록측을 결합할 수 있어, 단일 터치 사용자 경험을 가능하게 하고, 위에서 논의된 바와 같이 특정 기존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의 단점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따르면, 베이스(210)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제1 단부(212)(특정 실시예에서 "후방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 및 제2 단부(214)(특정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각각이 제1 단부(212)로부터 제2 단부(214)로 연장되는, 제1 측면(216)(특정 실시예에서 "상단 측면"으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 및 제2 측면(218)(특정 실시예에서 "바닥 측면"으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210)는 또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각각이 제1 단부(212)로부터 제2 단부(214)로 연장되는 한 쌍의 측방향 측면(220)을 가질 수 있다. 베이스(210)는 콘택트 렌즈(270)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222)를 한정할 수 있다. 베이스 캐비티(222)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콘택트 렌즈(270)의 제거를 허용하는 개구(224)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캐비티(222)는 베이스 캐비티(222)에 의해 한정된 길이 방향 축을 따라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제1 단부(226)(특정 실시예에서 "후방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 및 제2 단부(228)(특정 실시예에서 "전방 단부"로서 또한 지칭될 수 있음)를 구비한는 세장형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도시된 예에 따르면, 베이스(210)는 상이한 기능을 제공하는 다수의 상이한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는 플랫폼(230), 지지체(232), 및 보울(234)을 포함할 수 있다. 플랫폼(230)은 지지체(232) 및 보울(234)을 위한 베이스 구조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랫폼(230)은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을지라도 평면형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지지체(232)는 플랫폼(23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지지 표면에 배치될 때 베이스(210)를 안정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체(232)는 플랫폼(230)을 가로질러 연장되는 탭으로서 형성될 수 있을지라도, 다른 구성이 사용될 수 있다. 보울(234)은 플랫폼(230)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될 수 있고, 콘택트 렌즈(270)의 적어도 일부 및 패키징 용액을 그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234)은 베이스 캐비티(222)의 적어도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보울(234)은 메인 부분(236), 및 베이스(210)의 제2 단부(214)를 향해 메인 부분(236)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채널 부분(238)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보울(234)은 일반적으로 눈물 방울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메인 부분(236)은 부분적인 구형 형상을 가지며, 채널 부분(238)은 메인 부분(236)으로부터 멀어지게 테이퍼지는 윤곽 형상을 가진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부분(238)은 베이스 캐비티(222)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메인 부분(236)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될 수 있다. 채널 부분(238)은 메인 부분(236)에 인접한 제1 단부(242), 및 제1 단부(242)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244)를 가질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부분(238)의 제2 단부(244)는 베이스(210)의 제2 단부(214)로부터 이격될 수 있고 베이스 캐비티(222)의 제2 단부(228)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부분(238)의 깊이는 제1 단부(242)로부터 제2 단부(244)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부분(238)의 최대 깊이는 메인 부분(236)의 최대 깊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부분(238)의 폭은 제1 단부(242)로부터 제2 단부(244)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부분(238)의 최대 폭은 메인 부분(236)의 최대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부분(238)은, 콘택트 렌즈(270)와 결합되고 베이스 캐비티(222) 밖으로 콘택트 렌즈(270)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240)을 포함할 수 있다. 렌즈 결합 표면(240)은 채널 부분(238)을 따라서 콘택트 렌즈(270)의 이러한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윤곽화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렌즈 결합 표면(240)이 오목 형상을 가질 수 있을지라도, 렌즈 결합 표면(240)의 다양한 다른 형태가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렌즈 결합 표면(240)의 오목 형상은 렌즈의 형상을 지지하고, 렌즈가 액체로부터 점차적으로 멀어지게 움직이는 동안 접히거나 뒤집히는 것을 방지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270)는, 콘택트 렌즈(270)의 볼록 표면이 보울의 내부 표면을 향하고, 콘택트 렌즈(270)가 베이스 캐비티(222) 밖으로 슬라이딩됨에 따라서 채널 부분(238)의 렌즈 결합 표면(240)과 결합되도록, 베이스 캐비티(222) 내에 수용될 수 있다. 보울(234) 및 그 채널 부분(238)의 다양한 구성 및 형상은 베이스 캐비티(222)로부터 콘택트 렌즈(270)의 제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210)는 또한 단부 벽(246) 및 한 쌍의 측벽(248)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벽(246)은 플랫폼(230)으로부터 베이스(210)의 제1 단부(212)를 따라서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측벽(248)은 플랫폼(230)으로부터 베이스(210)의 각각의 측면(220)을 따라서 위쪽으로 연장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벽(246) 및 측벽(248)은 각각 베이스 캐비티(222)의 일부를 한정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도시된 실시에에 따르면, 베이스 캐비티(222)는 플랫폼(230), 보울(234), 단부 벽(246), 및 측벽(248)에 의해 집합적으로 한정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는 또한 채널 부분(238)의 제2 단부(244)와 베이스(210)의 제2 단부(214) 사이에 배치된 경사로(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로(250)는 지지체(232)의 상단 측면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고, 베이스(210)의 제2 단부(214)를 향해 아래쪽으로 경사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경사로(250)는 베이스 캐비티(220)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 위로 콘택트 렌즈(270)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베이스(210) 및 그 각각의 부분의 다양한 형상 및 구성은 다양한 실시예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도시된 실시예는 단지 하나의 예일 뿐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210)는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베이스(210)는 실질적으로 강성일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60)은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베이스(210)의 각각의 표면 위로 연장되어 베이스 캐비티(222) 내의 콘택트 렌즈(270) 및 패키징 용액을 밀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베이스(210)와 뚜껑(260)은 사용자가 사용을 위해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를 개방하고 콘택트 렌즈(270)를 제거하기를 원할 때까지 콘택트 렌즈(270)와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기 위한 밀봉된 캐비티를 함께 형성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뚜껑(260)은 베이스 캐비티(222) 및 베이스(210)의 각각의 부분 위로 연장되어 이것들을 덮을 수 있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뚜껑(260)의 각각의 부분은, 콘택트 렌즈(270) 및 패키징 용액이 베이스(210)와 뚜껑(260)에 의해 형성된 캐비티 내에 수용되도록, 베이스 캐비티(222)의 개구(224)를 둘러싸는 베이스(210)의 각각의 인접한 부분, 예를 들어 지지체(232), 단부 벽(246) 및 측벽(248)의 부분에 밀봉될 수 있다. 뚜껑(260)과 베이스(210) 사이의 밀봉은 콘택트 렌즈(270)의 제거를 위해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가 미개방 상태로부터 개방 상태로 전환될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파손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뚜껑(260)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로 형성될 수 있다. 특정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60)은 가요성일 수 있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를 개방하는 예시적인 방법을 도시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는 사용자가 패키지(200)를 개방하기를 원할 때까지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개방 상태에서 제공되고 보관될 수 있다.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가 미개방 상태에 있는 것으로, 사용자는 베이스(210)를 잡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10)로부터 뚜껑(2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뚜껑(260)의 단부 영역을 잡고, 뚜껑(260)을 베이스(210)로부터 멀어지게 당길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뚜껑(260)과 베이스(210) 사이의 밀봉의 적어도 일부가 파손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콘택트 렌즈 패키지(200)는 뚜껑(260)이 베이스(210)로부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되는 동안 수평 배향으로 홀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260)은 베이스(210)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서, 베이스 캐비티(222)의 적어도 일부는 제1 측면(216)을 따라서 뚜껑(260)에 의해 더 이상 덮이지 않는다. 일부 실시예에서, 뚜껑(260)은 베이스(210)로부터 완전히 제거될 수 있다.
베이스(210)로부터 뚜껑(260)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한 후,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270)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채널 부분(238)를 따라서 베이스 캐비티(222) 밖으로 슬라이딩하도록 베이스(210)를 수평 배향으로부터 수직 배향을 향해 기울일 수 있다. 특히, 콘택트 렌즈(270)는 콘택트 렌즈(270)를 제2 단부(228)를 향해, 그리고 베이스 캐비티(222) 밖으로 안내하는 채널 부분(238)의 렌즈 결합 표면(240)을 따라서 슬라이딩할 수 있다. 패키지(200)의 기울임 작용은 콘택트 렌즈(270)가 제2 단부(228)를 향해 슬라이딩하는 것을 허용하는 동시에 패키징 용액(도시되지 않음)이 캐비티(222) 밖으로 배수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270)가 베이스 캐비티(222)로부터 사용자의 손가락 위로 슬라이딩하도록 베이스 캐비티(222)의 제2 단부(228)에 인접하게 사용자의 손가락을 배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콘택트 렌즈(270)가 베이스 캐비티(222)로부터 경사로(250)를 따라서 사용자의 손가락 위로 슬라이딩하도록 사용자의 손가락을 베이스(210)의 제2 단부(214)에 인접하게 배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단일 터치로, 콘택트 렌즈(270)는 편리하게 베이스(210)에서 제거될 수 있고, 원하는 오목면측 상향 배향으로 사용자의 손가락에 잡혀 사용자의 눈에 위치할 준비가 된다.
설명의 목적을 위해, 전술한 설명은 설명된 실시예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특정 명명법을 사용했다. 그러나, 기술된 실시예를 실시하기 위해 많은 특정 세부사항이 요구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실시예의 전술한 설명은 예시 및 설명의 목적을 위해서만 제공된다. 이것들은 철저하게 구현되거나 개시된 정확한 형태로 실시예를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하지 않는다. 상기 교시에 비추어 많은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당업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요약 및 요약서 섹션은 발명자들에 의해 고려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의 전부는 아니지만 하나 이상을 설명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과 첨부된 청구범위를 어떤 방식으로든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
특정 실시예에 대한 전술한 설명은 다른 사람들이 해당 기술 분야의 지식을 적용하는 것에 의해 본 발명의 일반적인 개념으로부터 일탈 없이, 과도한 실험없이 이러한 특정 실시예를 다양한 응용 분야에 대해 쉽게 수정 및/또는 적용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반적인 특성을 완전히 드러낼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적응 및 수정은 본 명세서에 제시된 교시 및 지침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예의 등가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있도록 의도된다. 본 명세서의 어법 또는 용어는 설명을 위한 것이지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니어서, 본 명세서의 용어 또는 어법은 교시 및 안내에 비추어 당업자에 의해 해석되어야 한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패키지는 공지된 재료 및 공정을 사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패키징 재료는 신규의 것, 재활용품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패키지 캐비티 내의 부피는 선택한 디자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실시예의 양태는 다음의 조항에 따라서 추가로 설명된다:
1. 콘택트 렌즈 패키지로서,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2.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3.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4.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완전히 배치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5.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6.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7. 조항 6에 있어서, 상기 렌즈 결합 표면은 오목 부분과 볼록 부분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8. 조항 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지며, 상기 높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9. 조항 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10. 조항 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11.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리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12.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13. 조항 1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리브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14.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15. 조항 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상기 뚜껑은 가요성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
16. 콘택트 렌즈 패키지로서,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17. 조항 1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18. 조항 16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19. 조항 18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완전히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20. 조항 1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21. 조항 1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22. 조항 16에 있어서, 상기 렌즈 결합 표면은 오목 부분과 볼록 부분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23. 조항 22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지며, 상기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24. 조항 23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25. 조항 2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26. 조항 2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리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27. 조항 25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28. 조항 2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리브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29. 조항 28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30. 조항 28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며, 상기 뚜껑은 가요성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
31. 콘택트 렌즈를 패키징하는 방법으로서,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뚜껑이 상기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상기 뚜껑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2. 조항 31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방법.
33. 조항 3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방법.
34. 조항 31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방법.
35. 조항 34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지며, 상기 높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하는, 방법.
36.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방법으로서,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하여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를 포함하는 패키지의 상기 베이스를 잡는 단계;
상기 뚜껑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패키지의 뚜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따라서, 상기 개구를 통한 결합을 통해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7. 조항 36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방법.
38. 조항 3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따라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는 상기 렌즈 결합 표면을 따라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39. 조항 36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방법.
40. 조항 39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지며, 상기 높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하는, 방법.
41. 콘택트 렌즈 패키지로서,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메인 부분과,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보울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결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42. 조항 4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43. 조항 41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44. 조항 41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45. 조항 44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46. 조항 4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 경사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47. 조항 44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깊이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48. 조항 47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최대 깊이는 상기 메인 부분의 최대 깊이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패키지.
49. 조항 44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폭은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50. 조항 49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최대 폭은 상기 메인 부분의 최대 폭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패키지.
51. 조항 50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52. 조항 51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53. 조항 52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상기 뚜껑은 가요성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
54. 콘택트 렌즈 패키지로서,
콘택트 렌즈와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보울로서, 메인 부분과,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상기 채널 부분이 포함하는, 상기 보울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55. 조항 5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56. 조항 54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57. 조항 54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58. 조항 54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59. 조항 58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60. 조항 59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 경사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61. 조항 57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깊이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62. 조항 61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최대 깊이는 상기 메인 부분의 최대 깊이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패키지.
63. 조항 62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폭은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64. 조항 63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최대 폭은 상기 메인 부분의 최대 폭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패키지.
65. 조항 64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66. 조항 65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상기 뚜껑은 가요성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
67. 콘택트 렌즈를 패키징하는 방법으로서,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보울을 포함하고, 상기 보울은 메인 부분, 및 상기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상기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배치하는 단계; 및
뚜껑이 상기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상기 뚜껑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68. 조항 67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방법.
69. 조항 67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방법.
70. 조항 69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깊이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방법.
71. 조항 69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폭은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방법.
72. 조항 71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방법.
73.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방법으로서,
패키지의 베이스를 잡는 단계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콘택트 렌즈와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보울로서, 메인 부분과,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보울을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를 잡는 단계;
뚜껑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패키지의 상기 뚜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트 렌즈가 상기 채널 부분을 따라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베이스를 기울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74. 조항 73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방법.
75. 조항 73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방법.
76. 조항 75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깊이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방법.
77. 조항 75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폭은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방법.
78. 조항 77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를 기울이는 단계는 상기 콘택트 렌즈가 상기 렌즈 결합 표면을 따라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슬라이딩하게 하는, 방법.
본 명세서에 설명된 모든 특징이 모든 패키지에 통합될 필요는 없으며,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교시를 사용하여 특징을 결합하여 다양하고 개선된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제공할 수 있다. 요약하면, 본 발명의 콘택트 렌즈 패키지는 원하는 개선된 및/또는 단일 터치 패키징을 제공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 설명된 바와 같이 다양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는 몇 가지 신규한 기능을 통합한다. 본 발명의 폭과 범위는 위에 설명된 예시적인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의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다음의 청구범위와 그 등가물에 따라서만 한정되어야 한다.
Claims (78)
- 콘택트 렌즈 패키지로서,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완전히 배치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결합 표면은 오목 부분과 볼록 부분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지며, 상기 높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리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리브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상기 뚜껑은 가요성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콘택트 렌즈 패키지로서,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로서,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되고, 상기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는 뚜껑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완전히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중간 영역으로부터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까지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결합 표면은 오목 부분과 볼록 부분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지며, 상기 높이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리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리브를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리브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며, 상기 뚜껑은 가요성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콘택트 렌즈를 패키징하는 방법으로서,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베이스로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상기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배치하는 단계; 및
상기 뚜껑이 상기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뚜껑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방법.
-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방법.
-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지며, 상기 높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하는, 방법.
-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방법으로서,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단부를 향하여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따라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를 포함하는, 상기 패키지의 베이스를 잡는 단계;
상기 뚜껑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패키지의 뚜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따라서, 상기 개구를 통한 결합을 통해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 렌즈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배치되는, 방법.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를 따라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는 상기 렌즈 결합 표면을 따라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를 슬라이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서로 이격된 한 쌍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방법.
-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는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에 상대적인 높이를 가지며, 상기 높이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돌출부의 길이를 따라서 변하는, 방법.
- 콘택트 렌즈 패키지로서,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고, 메인 부분과,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보울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와 베이스에 연결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 경사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깊이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4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최대 깊이는 상기 메인 부분의 최대 깊이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폭은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4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최대 폭은 상기 메인 부분의 최대 폭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50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5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상기 뚜껑은 가요성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콘택트 렌즈 패키지로서,
콘택트 렌즈와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보울로서, 메인 부분과,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상기 채널 부분이 포함하는, 상기 보울을 포함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에 연결된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미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을 한정하는 세장형 형상을 가지며,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길이 방향 축의 방향으로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54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58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59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와 상기 베이스의 단부 사이에 배치된 경사로를 추가로 포함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5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깊이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6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최대 깊이는 상기 메인 부분의 최대 깊이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62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폭은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6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최대 폭은 상기 메인 부분의 최대 폭보다 작은,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64항에 있어서,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개구를 통해 사용자가 상기 콘택트 렌즈에 접근 가능하도록, 상기 뚜껑은 상기 패키지가 개방 상태에 있을 때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제65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실질적으로 강성이고, 상기 뚜껑은 가요성인, 콘택트 렌즈 패키지.
- 콘택트 렌즈를 패키징하는 방법으로서,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보울을 포함하고, 상기 보울은 메인 부분, 및 상기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멀어지게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캐비티 내에 상기 콘택트 렌즈 및 패키징 용액을 배치하는 단계; 및
뚜껑이 상기 베이스 캐비티 위로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도록 상기 베이스에 상기 뚜껑을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방법.
- 제6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방법.
-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깊이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방법.
- 제69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폭은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방법.
- 제71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콘택트 렌즈를 결합하고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상기 콘택트 렌즈의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도록 구성된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는, 방법.
- 콘택트 렌즈 패키지를 개방하는 방법으로서,
패키지의 베이스를 잡는 단계로서, 상기 베이스는,
상기 콘택트 렌즈와 패키징 용액을 수용하는 베이스 캐비티, 및
상기 베이스 캐비티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보울로서, 메인 부분과, 상기 메인 부분으로부터 상기 베이스의 단부를 향해 연장되는 채널 부분을 포함하는 상기 보울을 포함하는, 상기 베이스를 잡는 단계;
뚜껑이 상기 베이스 캐비티를 덮지 않도록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기 패키지의 상기 뚜껑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콘택트 렌즈가 상기 채널 부분을 따라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베이스를 기울이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는 상기 콘택트 렌즈의 볼록 표면이 상기 베이스의 내부 표면을 향하도록 상기 콘택트 렌즈를 수용하는, 방법.
- 제73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상기 메인 부분에 인접한 제1 단부와, 상기 제1 단부 반대편에 배치된 제2 단부를 가지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단부로부터 이격되는, 방법.
-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깊이는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방법.
- 제75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의 폭은 상기 채널 부분의 제1 단부로부터 상기 채널 부분의 제2 단부를 향하는 방향으로 감소하는, 방법.
- 제77항에 있어서, 상기 채널 부분은 렌즈 결합 표면을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를 기울이는 단계는 상기 콘택트 렌즈가 상기 렌즈 결합 표면을 따라서 상기 베이스 캐비티 밖으로 슬라이딩하게 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2163288861P | 2021-12-13 | 2021-12-13 | |
US63/288,861 | 2021-12-13 | ||
PCT/IB2022/062129 WO2023111838A1 (en) | 2021-12-13 | 2022-12-13 | Contact lens packages with sliding or tilting lens transfer and methods of handling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24954A true KR20240124954A (ko) | 2024-08-19 |
Family
ID=845473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23254A Pending KR20240124954A (ko) | 2021-12-13 | 2022-12-13 | 슬라이딩 또는 틸팅 렌즈 이동이 가능한 콘택트 렌즈 패키지 및 취급 방법 |
Country Status (7)
Country | Link |
---|---|
US (1) | US20250049184A1 (ko) |
EP (1) | EP4448408A1 (ko) |
JP (1) | JP2024544384A (ko) |
KR (1) | KR20240124954A (ko) |
CN (1) | CN118715167A (ko) |
TW (1) | TW202340053A (ko) |
WO (1) | WO2023111838A1 (ko) |
Family Cites Families (4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495313A (en) | 1981-04-30 | 1985-01-22 | Mia Lens Production A/S | Preparation of hydrogel for soft contact lens with water displaceable boric acid ester |
ZA855083B (en) | 1984-07-05 | 1987-03-25 | Du Pont | Acrylic star polymers |
US4889664A (en) | 1988-11-25 | 1989-12-26 | Vistakon, Inc. | Method of forming shaped hydrogel articles including contact lenses |
US5039459A (en) | 1988-11-25 | 1991-08-13 |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 Method of forming shaped hydrogel articles including contact lenses |
US5314960A (en) | 1990-04-10 | 1994-05-24 | Permeable Technologies, Inc. | Silicone-containing polymers, oxygen permeable hydrophilic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making these lenses and treating patients with visual impairment |
US5244981A (en) | 1990-04-10 | 1993-09-14 | Permeable Technologies, Inc. | Silicone-containing contact lens polymers, oxygen permeable contact lenses and methods for making these lenses and treating patients with visual impairment |
US5371147A (en) | 1990-10-11 | 1994-12-06 | Permeable Technologies, Inc. | Silicone-containing acrylic star polymers, block copolymers and macromonomers |
TW295570B (ko) * | 1994-05-04 | 1997-01-11 | Ciba Geigy Ag | |
US5760100B1 (en) | 1994-09-06 | 2000-11-14 | Ciba Vision Corp | Extended wear ophthalmic lens |
US7468398B2 (en) | 1994-09-06 | 2008-12-23 | Ciba Vision Corporation | Extended wear ophthalmic lens |
TW585882B (en) | 1995-04-04 | 2004-05-01 | Novartis Ag | A method of using a contact lens as an extended wear lens and a method of screening an ophthalmic lens for utility as an extended-wear lens |
US5704468A (en) * | 1995-09-29 | 1998-01-06 |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 Packaging arrangement for contact lenses |
US6367929B1 (en) | 1998-03-02 | 2002-04-09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Hydrogel with internal wetting agent |
US7052131B2 (en) | 2001-09-10 | 2006-05-30 | J&J Vision Care, Inc. | Biomedical devices containing internal wetting agents |
US6943203B2 (en) | 1998-03-02 | 2005-09-13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Soft contact lenses |
US5998498A (en) | 1998-03-02 | 1999-12-07 | Johnson & Johnson Vision Products, Inc. | Soft contact lenses |
US6849671B2 (en) | 1998-03-02 | 2005-02-01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Contact lenses |
US6822016B2 (en) | 2001-09-10 | 2004-11-23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Biomedical devices containing internal wetting agents |
US6087415A (en) | 1998-06-11 | 2000-07-11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Biomedical devices with hydrophilic coatings |
WO2001044861A1 (fr) | 1999-12-16 | 2001-06-21 | Asahikasei Aime Co., Ltd. | Lentille de contact souple pouvant etre portee longtemps |
JP4749614B2 (ja) * | 2001-07-17 | 2011-08-17 | 株式会社メニコン | 眼用レンズ容器 |
US7786185B2 (en) | 2004-03-05 | 2010-08-31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Wettable hydrogels comprising acyclic polyamides |
US7473738B2 (en) | 2004-09-30 | 2009-01-06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Lactam polymer derivatives |
US7247692B2 (en) | 2004-09-30 | 2007-07-24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Biomedical devices containing amphiphilic block copolymers |
US7249848B2 (en) | 2004-09-30 | 2007-07-31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Wettable hydrogels comprising reactive, hydrophilic, polymeric internal wetting agents |
US9297928B2 (en) | 2004-11-22 | 2016-03-29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Ophthalmic compositions comprising polyether substituted polymers |
US7838698B2 (en) | 2006-09-29 | 2010-11-23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Hydrolysis-resistant silicone compounds |
US8507577B2 (en) | 2006-10-31 | 2013-08-13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Process for forming clear, wettable silicone hydrogel articles |
GB0623299D0 (en) | 2006-11-22 | 2007-01-03 | Sauflon Cl Ltd | Contact lens |
US8470906B2 (en) | 2008-09-30 | 2013-06-25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Ionic silicone hydrogels having improved hydrolytic stability |
GB0917806D0 (en) | 2009-10-12 | 2009-11-25 | Sauflon Cl Ltd | Fluorinated silicone hydrogels |
MY161370A (en) | 2011-02-28 | 2017-04-14 | Coopervision Int Holding Co Lp | Wettable silicon hydrogel contact lenses |
US9170349B2 (en) | 2011-05-04 | 2015-10-27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Medical devices having homogeneous charge density and methods for making same |
US9125808B2 (en) | 2011-12-23 | 2015-09-08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Ionic silicone hydrogels |
US9140825B2 (en) | 2011-12-23 | 2015-09-22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Ionic silicone hydrogels |
US8937110B2 (en) | 2011-12-23 | 2015-01-20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Silicone hydrogels having a structure formed via controlled reaction kinetics |
US8937111B2 (en) | 2011-12-23 | 2015-01-20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Silicone hydrogels comprising desirable water content and oxygen permeability |
US9156934B2 (en) | 2011-12-23 | 2015-10-13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Silicone hydrogels comprising n-vinyl amides and hydroxyalkyl (meth)acrylates or (meth)acrylamides |
US8940812B2 (en) | 2012-01-17 | 2015-01-27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Silicone polymers comprising sulfonic acid groups |
US9244196B2 (en) | 2012-05-25 | 2016-01-26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Polymers and nanogel materials and methods for making and using the same |
US9297929B2 (en) | 2012-05-25 | 2016-03-29 | Johnson & Johnson Vision Care, Inc. | Contact lenses comprising water soluble N-(2 hydroxyalkyl) (meth)acrylamide polymers or copolymers |
FR3006458A1 (fr) * | 2013-06-04 | 2014-12-05 | Jerome Rebuffel | Etui a lentilles corneennes |
US12053069B2 (en) * | 2019-01-22 | 2024-08-06 | Coopervision International Limited | Contact lens blister package with double layer foil component |
-
2022
- 2022-12-13 CN CN202280091615.2A patent/CN118715167A/zh active Pending
- 2022-12-13 KR KR1020247023254A patent/KR20240124954A/ko active Pending
- 2022-12-13 EP EP22826844.7A patent/EP4448408A1/en active Pending
- 2022-12-13 JP JP2024535265A patent/JP2024544384A/ja active Pending
- 2022-12-13 TW TW111147819A patent/TW202340053A/zh unknown
- 2022-12-13 US US18/719,005 patent/US20250049184A1/en active Pending
- 2022-12-13 WO PCT/IB2022/062129 patent/WO202311183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2024544384A (ja) | 2024-11-29 |
US20250049184A1 (en) | 2025-02-13 |
TW202340053A (zh) | 2023-10-16 |
CN118715167A (zh) | 2024-09-27 |
WO2023111838A1 (en) | 2023-06-22 |
EP4448408A1 (en) | 2024-10-23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20230276917A1 (en) | Contact lens packages and methods of opening | |
US20230083028A1 (en) | Contact lens packages and methods of handling and manufacture | |
CN115697131A (zh) | 单触接触镜片包装件 | |
KR20250076453A (ko) | 배수 포트를 갖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및 콘택트 렌즈 패키지 내의 콘택트 렌즈에 접근하는 방법 | |
KR20250091255A (ko) | 흡수 부재를 갖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 |
US20250058950A1 (en) | Contact lens packages having a pivot mechanism and methods of handling | |
KR20240124954A (ko) | 슬라이딩 또는 틸팅 렌즈 이동이 가능한 콘택트 렌즈 패키지 및 취급 방법 | |
KR20240121274A (ko) | 슬롯형 콘택트 렌즈 패키지 및 취급 방법 | |
US20250009094A1 (en) | Contact lens packages having lens lifting arms and methods of handling | |
JP2025519874A (ja) | コンタクトレンズパッケージ及びそこで使用するためのレンズ支持体 | |
KR20240124955A (ko) | 비틀림 또는 골무 레버를 가지는 콘택트 렌즈 패키지 및 취급 방법 | |
KR20240124978A (ko) | 가압 또는 진공 밀봉형 콘택트 렌즈 패키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71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