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13971A - N-알킬 아미노산, 및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N-알킬 아미노산, 및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13971A
KR20240113971A KR1020247023000A KR20247023000A KR20240113971A KR 20240113971 A KR20240113971 A KR 20240113971A KR 1020247023000 A KR1020247023000 A KR 1020247023000A KR 20247023000 A KR20247023000 A KR 20247023000A KR 20240113971 A KR20240113971 A KR 2024011397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ster
amino acid
peptide
group
added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23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시오 고미야
쩡예 허우
Original Assignee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1139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13971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64Cyclic peptides containing only normal peptide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12Cyclic peptides, e.g. bacitracins; Polymyxins; Gramicidins S, C; Tyrocidins A, B or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61/00Other general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7/00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07C227/14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from compounds containing already amino and carboxyl groups or derivatives thereof
    • C07C227/18Preparation of 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from compounds containing already amino and carboxyl groups or derivatives thereof by reactions involving amino or carboxyl groups, e.g. hydrolysis of esters or amides, by formation of halides, salts or 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29/00Compounds containing amino and carboxyl groups bound to the same carbon skelet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1/00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 C07K1/02General methods for the preparation of peptides, i.e. processes for the organic chemical preparation of peptides or proteins of any length in solu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KPEPTIDES
    • C07K7/00Peptides having 5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C07K7/50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 C07K7/54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with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in the ring
    • C07K7/56Cyclic peptides containing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with at least one abnormal peptide link in the ring the cyclisation not occurring through 2,4-diamino-butanoic ac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5Design of synthesis routes, e.g. reducing the use of auxiliary or protect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Biophysic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 Peptides Or Proteins (AREA)
  • Low-Molecular Organic Synthesis Reactions Using Cataly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소의 존재하,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킬화 공정이, 1기압 이상의 압력하에서 행해지고, 또한 상기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에 상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N-알킬 아미노산, 및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N-알킬 아미노산, 및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년, 분자량이 500을 초과하는 화합물이, 종래의 저분자 화합물에서는 상호작용하는 것이 곤란한 타겟 단백의 표면에서의 상호작용, 즉 단백-단백 상호작용의 저해 등에 기여할 수 있는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이들 분자는, 경구약으로서 이용되어 온 저분자(분자량이 500 이하이다)나 항체 의약품과 같은 고분자(분자량이 100000을 초과한다)와 구별되며, 중분자 화합물(분자량이 500∼2000이다)이라고 불린다. 중분자 화합물은, 터프 타겟에 대한 창약을 실현할 수 있는, 새로운 모달리티로서 주목받고 있다. 중분자 화합물 중에서도, 펩타이드 의약품은, 이미 40종류 이상이 출시되어 있고, 예를 들면, 사이클로스포린은 면역 억제제로서 사용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펩타이드 의약품의 유효 성분인 펩타이드의 대부분은, 분자 내에 N-알킬 아미노산 등의 비천연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특히 비천연 아미노산으로서 N-알킬 아미노산을 갖는 펩타이드는, 의약품의 유효 성분으로서 필요한 대사 안정성이나 막 투과성이 향상되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 2).
의약품으로서 공급하기 위해서는, 효율적이고 대량 합성에 적합한 화학 합성법의 확립이 필수이다. 그 서열 중에 비천연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특히,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에 있어서는, 아미노기의 질소 원자 상의 알킬기의 입체 장애에 기인하는 축합 반응의 저반응성, 및 아미노산 잔기의 α위의 라세미화 등에 의해, 목적물의 수율이 저하되는 것이 과제였다(비특허문헌 2). 또한, 아미노기의 알킬화 반응에 의한, N-알킬 아미노산이나 N-알킬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에 있어서는, 알킬 알데하이드나 알킬 나이트릴을 알킬화제로서 이용하여, 수소 분위기하에서 아미노산이나 펩타이드 구조 중의 지방족 제1급 아미노기를 알킬화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3, 비특허문헌 3, 4). 또한, 알킬 나이트릴을 알킬화제로서 이용하여, 수소 분위기하에서 지방족 제1급 아미노기를 선택적 알킬화에 의해 제2급 아미노기로 변환하는 수법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5, 6). 펩타이드의 N-알킬화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2-나이트로벤젠설폰일기로 보호된 제1급 아민을 황산 다이알킬 등의 알킬화제로 N-알킬화하고, 그 후에 탈보호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7). 수소화 붕소 시약을 환원제로서 이용하여 펩타이드를 N-알킬화하는 합성법도 알려져 있다(비특허문헌 8).
국제공개 제2018/225864호 국제공개 제2020/122182호 국제공개 제2000/015656호
Future Med. Chem., 2009, 1, 1289-1310. J. Peptide Res., 2005, 65, 153-166. J. Med. Chem. 1992, 35, 4195-4204. J. Org. Chem. 1984, 49, 5269-5271. Org. Lett. 2004, 6, 4977-4980. Org. Biomol. Chem. 2012, 10, 293-304. Acc. Chem. Res. 2008, 41, 1331-1342. Chem. Sci. 2017, 8, 2717-2722.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의 N 말단의 아미노기를 효율적으로 N-알킬화하기 위해서는, 아미노산 및 펩타이드의 구조 중에 포함되는 지방족 제1급 아미노기를 높은 선택성으로 모노알킬화하여 제2급 아미노기로 변환 가능한 합성법이 필요하다. 또한,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에서는, N 말단의 아미노기의 탈보호, N 말단의 아미노기의 N-알킬화, 이어서 아미노산의 신장 반응과 복수 스텝을 필요로 한다. 그래서, 본 발명은, N-모노알킬 아미노산 또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효율적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종래의 N-알킬화법에서는, 기질의 제1급 아미노기가 모노알킬화된 제2급 아민뿐만 아니라, 다이알킬화된 제3급 아민이 많이 부생하여, 이들을 분리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우가 있다. 일반적으로, 기질이 되는 아미노기 및 도입하는 알킬기의 벌키성이 모두 작으면, 다이알킬화에 대한 모노알킬화의 선택성을 높이는 것은 곤란하다. 비특허문헌 3∼6 및 특허문헌 3에서는, 입체 장애가 큰 기질의 아미노기에 입체 장애가 큰 알킬기를 도입하는 방법을 언급하고 있지만, 고선택적인 모노알킬화는 언급하고 있지 않다. 실제로, 비특허문헌 5 및 6의 개시에 따라, 알킬 나이트릴을 알킬화제로서 이용하여, 수소 분위기하에서 지방족 제1급 아민을 선택적으로 제2급 아민으로 변환하는 방법을 펩타이드의 제조에 적용한 바, 아미노기의 입체 장애의 영향으로 반응성이 낮아, 목적물을 효율 좋게 얻는 것이 곤란했다.
한편, 액상법에 의한 펩타이드 제조에서는, 벤질옥시카보닐기(Cbz기라고도 한다.)로 N 말단의 아미노기가 보호된 아미노산이 범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보호된 아미노산을 이용하여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서열의 펩타이드쇄의 신장 반응을 행하는 경우에는, Cbz기의 제거 공정, N 말단의 아미노기의 알킬화 공정, 펩타이드쇄의 신장 반응 공정의 각각에서, 용매, 반응액의 액성 등의 반응 조건이 상이한 경우가 있다. 또, 각 공정에서의 후처리 조작, 및 목적물의 단리 조작을 포함하여, 복수의 작업 공정을 필요로 해서, 번잡하다. 비특허문헌 7에서 이용되고 있는 보호기와 다음 공정의 알킬화 반응은, N 말단의 아미노기로의 특정 보호기의 도입, 알킬화, 탈보호 공정의 3스텝을 필요로 하는 제법인 점에서, 실용적인 방법이라고는 말하기 어렵다. 비특허문헌 8에 기재된 수소화 붕소 시약을 환원제로서 이용하는 방법에서는, 입체 장애가 큰 벤즈알데하이드에 의한, N-치환 펩타이드의 제조가 예시되어 있는 것에 불과하다. 또한, 수소화 붕소 시약으로 예시되는 하이드라이드 시약은, 기질 화합물에 대해서 등량 이상의 시약이 필요하여, 과잉 시약을 포함하는 반응액의 후처리 공정의 조작이 번잡하다. 또한, 이들 방법을 펩타이드 합성에 적용하는 경우, 펩타이드의 N 말단의 보호기의 제거 반응 및 N 말단의 아미노기의 알킬화 반응이 상이하기 때문에, 각각 다른 공정으로서 행할 필요가 있어, 탈보호 반응과 N-알킬화 반응을 원 포트(one-pot)에서 행하는 것도 어렵다.
본 발명은, N-알킬 아미노산 및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자들은, 기질이나 도입하는 알킬기의 벌키성에 의존하지 않는 효율적인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의 N-알킬체의 제법의 확립을 목적으로 하여, 알킬화제, 환원제, 촉매, 및 첨가제를 중심으로 N-알킬 반응의 조건을 검토했다. 알킬화제로서 알킬 나이트릴 또는 알킬 알데하이드를 이용하고, 상압(1기압) 이상의 수소 분위기하, 전이 금속 촉매의 존재하, 첨가제로서 유기 염기를 가하여 알킬화를 검토한 바, 아미노산의 N-알킬화 반응에 더하여, 펩타이드의 N-알킬화 반응에도 적용 가능한 것을 발견했다. N 말단에 가수소 분해 조건에서 제거 가능한 보호기를 가지는,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를 본 발명의 조건에 적용한 바, 탈보호 반응과 N-알킬화 반응을 원 포트에서 행할 수 있는 것을 발견했다. 원 포트에서 반응을 행하는 경우는, 첨가제로서 산을 가하여 반응을 행하면, 효율 좋게 목적으로 하는 N-알킬체가 얻어지는 것을 발견했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은, 이하의 (1)∼(35)를 제공한다.
(1)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소의 존재하,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알킬화 공정이, 1기압 이상의 압력하에서 행해지고, 또한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에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
(1.1)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하이드라이드 환원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알킬화 공정이,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에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
(1.2)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가, C1-C6 1급 알킬화제인, (1) 또는 (1.1)에 기재된 방법.
(2) C1-C6 1급 알킬화제가, C1-C5 알킬 나이트릴 또는 C1-C5 알킬 알데하이드인, (1)∼(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2.1) 치환 메틸 할라이드가, 메톡시메틸 클로라이드(MOM-Cl), 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EOM-Cl), 2-메톡시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MEM-Cl), 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SEM-C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2)에 기재된 방법.
(2.2) 하이드라이드 환원제가, 트라이알킬실레인인, (1.1)∼(2.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2.3) 트라이알킬실레인이, 트라이에틸실레인인, (2.2)에 기재된 방법.
(3) 촉매가,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불균일계 수소화 촉매인, (1)∼(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4) 불균일계 수소화 촉매가, Pd, Rh 및 P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인, (3)에 기재된 방법.
(5) 불균일계 수소화 촉매가, Pd-C, Pd(OH)2-C, Rh-C, 및 애덤스 촉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촉매인, (3) 또는 (4)에 기재된 방법.
(6) 용매가, 에터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및 에스터계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포함하는, (1)∼(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7) 용매가, 에터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에스터계 용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8) 용매가, 테트라하이드로퓨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메틸 에터, 메틸 t-뷰틸 에터, 사이클로펜틸 메틸 에터, 다이아이소프로필 에터, 4-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란, 다이옥세인 및 다이에틸 에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터계 용매인,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9) 용매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뷰탄올 및 펜탄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알코올계 용매인,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10) 용매가,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프로필 및 아세트산 뷰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스터계 용매인, (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11) 알킬화 공정에 있어서의 반응 혼합물에, 추가의 수소를 접촉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12)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가, 가수소 분해 조건에서 제거 가능한 보호기와 결합하고 있는,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12.1) 상기 보호기를 제거하는 공정(보호기의 제거)을 포함하는, (12)에 기재된 방법.
(13) 보호기가, 아릴메틸옥시카보닐기인 (12) 또는 (12.1)에 기재된 방법.
(14) 보호기의 제거가, p-톨루엔설폰산, 메테인설폰산, 황산수소 나트륨, 트라이에틸아민 염산염 및 프로필포스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의 존재하에서 행해지는, (12) 또는 (13)에 기재된 방법.
(14.1) 상기 알킬화 공정에 있어서의 반응 혼합물이, 염기를 더 포함하는, (12)∼(1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14.2) 상기 보호기의 제거와 상기 알킬화 공정이, 원 포트에서 행해지는, (12)∼(14.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15)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가, 1급 아미노기이고,
알킬화 공정에 있어서의 반응 혼합물이, 염기를 더 포함하는, (1)∼(1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16) 염기가, 3급 아민인, (14.1) 또는 (15)에 기재된 방법.
(17) 3급 아민이, 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센-7, 1,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4.3.0]노넨-5, N-메틸모폴린, 1,4-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 트라이에틸아민,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피리딘 및 콜리딘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6)에 기재된 방법.
(18)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
(a) (1)∼(1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얻는 공정, 및
(b)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에 대해, 임의로 1개 혹은 복수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를 결합 형성 반응에 의해 신장시켜,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얻는 공정.
(18.1) 상기 공정(a) 및 (b)를 원하는 펩타이드를 얻을 때까지 복수회 반복하는, (18)에 기재된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
(18.2)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아미노산에 의해 구성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
(c) (18) 또는 (18.1)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얻는 공정, 및
(d) 상기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C 말단측의 기와 N 말단측의 기로 환화하여 상기 환상부를 형성하는 공정.
(18.3) 상기 공정(d)에 있어서의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가, 직쇄상의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인, (18.2)에 기재된 방법.
(18.4) 상기 직쇄상의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가, 하기 식:
Figure pct00001
으로 표시되는 직쇄상의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인, (18.3)에 기재된 방법.
(19) 환상부를 형성하는 공정이, 펩타이드 혹은 에스터의 C 말단의 카복실기와 N 말단의 아미노기의 결합 형성에 의해 행해지는, (18.2) 또는 (18.3)에 기재된 방법.
(20) 환상부가, 적어도 8개의 아미노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가, 8∼15개의 아미노산에 의해 구성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인, (18.2)∼(19)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20.1) (18)∼(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포함하는, N-알킬 아미노산 잔기를 5개 이상, 6개 이상 또는 7개 이상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
(20.2)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가, 하기 식(1):
Figure pct00002
로 표시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인, (18)∼(2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20.3)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이, 식(1)로 표시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용매화물인, (20.2)에 기재된 방법.
(20.4)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이, 식(1)로 표시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수화물인, (20.2)에 기재된 방법.
(20.5)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이, 식(1)로 표시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인, (20.2)에 기재된 방법.
(20.6)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의 단리 및/또는 정제에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지 않는, (18)∼(20.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20.7)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을 정석에 의해 단리 및/또는 정제하여,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의 결정을 얻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18)∼(20.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20.8)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의 결정이, 하기 식(1):
Figure pct00003
로 표시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비용매화물 결정, 또는 용매화물 결정인, (20.7)에 기재된 방법.
(20.9)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결정이 용매화물 결정인, (20.8)에 기재된 방법.
(20.10)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용매화물 결정이, 수화물 결정인, (20.9)에 기재된 방법.
(21)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N-모노알킬화 반응에 있어서,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가 다이알킬화된 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수소의 존재하,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알킬화 공정이, 1기압 이상의 압력하에서 행해지고, 또한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에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
(21.1)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N-모노알킬화 반응에 있어서,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가 다이알킬화된 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하이드라이드 환원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알킬화 공정이,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에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
(21.2)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가, C1-C6 1급 알킬화제인, (21) 또는 (21.1)에 기재된 방법.
(22)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펩타이드쇄를, 결합 형성 반응에 의해 신장하는 공정과,
신장된 펩타이드를 산성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다이알킬화된 화합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21)∼(2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23)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가, 식 C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1)∼(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식 중, R1은 아미노산의 측쇄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24)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가, 식 A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1)∼(11) 및 (15)∼(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Figure pct00005
[식 중, R1은 아미노산의 측쇄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25)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가, 식 B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1)∼(14) 및 (18)∼(2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Figure pct00006
[식 중, PG1은 아미노기의 보호기이며, R1은 아미노산의 측쇄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C1-C6 알킬기를 나타낸다.]
(26)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가, 식 F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1)∼(2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식 중, R3은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를 나타내고, R4는 펩타이드 잔기를 나타낸다.]
(27)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이하, 「출발 펩타이드」라고도 한다.) 혹은 그의 에스터가, 식 D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1)∼(11), (15)∼(22) 및 (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Figure pct00008
[식 중, R3은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를 나타내고, R4는 펩타이드 잔기를 나타낸다.]
(28)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가, 식 E로 표시되는 화합물인, (1)∼(14), (18)∼(22), (26) 및 (27)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Figure pct00009
[식 중, PG2는 아미노기의 보호기이며, R3은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를 나타내고, R4는 펩타이드 잔기를 나타낸다.]
(29) R2의 C1-C6 알킬기가, 가수소 분해 조건에서 제거되지 않는 기인, (21)∼(26)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30) R2의 C1-C6 알킬기가, t-뷰틸기, n-뷰틸기, 1-메틸프로필기, 2-메틸프로필기, n-프로필기, 아이소프로필메틸기 및 에틸기로부터 선택되는, (23)∼(25)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31) PG1 및 PG2가, 가수소 분해 조건에서 제거 가능한 보호기인, (25) 및 (28)∼(3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32) PG1 및 PG2가, 벤질옥시카보닐기, 벤질옥시메틸기, 및 벤질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보호기인, (25) 및 (28)∼(3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33) R1 및 R3이, 알킬화 공정의 조건에 따라 의도하지 않는 구조 변환을 받을 수 있는 기가 아닌, (23)∼(3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34) R1 및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C6 알킬기, 할로 C1-C6 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기, 카복시 C1-C6 알킬기, 아릴기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C6-C10 아릴 C1-C6 알킬기, 헤테로아릴기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5원∼10원 헤테로아릴 C1-C6 알킬기, 헤테로사이클릴기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5원∼10원 헤테로사이클릴 C1-C6 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콕시 C1-C6 알킬기, 할로 C1-C6 알콕시 C1-C6 알킬기, 보호된 아미노 C3-C6 알킬기, 보호된 하이드록시 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콕시 C1-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21)∼(31)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35) R1 및 R3이,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C1-C6 알킬기, 또는 아릴기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C6-C10 아릴 C1-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되는, (23)∼(3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
본 발명은, N-알킬 아미노산, 및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선택적인 N-알킬화 반응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따른 제조 방법은, 기존의 제조 방법과 비교하여, 정제 조작을 포함하는 반응 조작의 간략화, 원 포트 반응에 의한 공정의 단축화에 의해, 비용 삭감이 가능하여, 염가로 대량의 의약품으로서의 유효성 성분이나 그의 중간체의 공급이 가능해진다.
특히, N-알킬화 반응은, 1급 알킬기의 도입 반응에 적용 가능한 것도 발견했다. 나아가, 종래에는, N 말단의 보호기의 제거 반응과 그 후의 알킬화 반응의 2공정을 통해서 목적물을 얻고 있었던 바,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의하면, 원하는 N-모노알킬화체를 원 포트에서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 포트 반응에 있어서, 유기산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탈보호 공정에 있어서의 다이케토피페라진의 생성을 더 억제하여, 목적물을 보다 효율 좋게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1개 또는 복수의」란, 1개 또는 2개 이상의 수를 의미한다. 「1개 또는 복수의」가, 어떤 기의 치환기에 관련되는 문맥에서 이용되는 경우, 이 용어는, 1개부터 그 기가 허용하는 치환기의 최대수까지의 수를 의미한다. 「1개 또는 복수의」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10, 및/또는 그보다 큰 수를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를 나타내는 「∼」이란 그 양단의 값을 포함하며, 예를 들면, 「A∼B」는, A 이상이고, 또한 B 이하인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약」이라는 용어는, 수치와 조합하여 사용되는 경우, 그 수치의 +10% 및 -10%의 값 범위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및/또는」이라는 용어의 의의는, 「및」과 「또는」이 적절히 조합된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A, B 및/또는 C」에는, 이하의 7가지 배리에이션이 포함된다; (i) A, (ii) B, (iii) C, (iv) A 및 B, (v) A 및 C, (vi) B 및 C, (vii) A, B 및 C.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아미노산」에는, 천연 아미노산, 및 비천연 아미노산(아미노산 유도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이 포함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미노산」은 아미노산 잔기를 의미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천연 아미노산」이란, 글리신(Gly), 알라닌(Ala), 세린(Ser), 트레오닌(Thr), 발린(Val), 류신(Leu), 아이소류신(Ile), 페닐알라닌(Phe), 타이로신(Tyr), 트립토판(Trp), 히스티딘(His), 글루탐산(Glu), 아스파트산(Asp), 글루타민(Gln), 아스파라긴(Asn), 시스테인(Cys), 메싸이오닌(Met), 라이신(Lys), 아르기닌(Arg), 프롤린(Pro)을 가리킨다. 비천연 아미노산(아미노산 유도체)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β-아미노산, D형 아미노산, N 치환 아미노산, α,α-다이치환 아미노산, 측쇄가 천연 아미노산과 상이한 아미노산, 하이드록시카복실산 등이 예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아미노산으로서는, 임의의 입체 배치가 허용된다. 아미노산의 측쇄의 선택은 특별히 제한을 두지 않지만, 수소 원자 외에도 예를 들면 알킬기, 알켄일기, 알킨일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아르알킬기, 헤테로아르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스파이로 결합한 사이클로알킬기로부터 자유롭게 선택된다. 각각에는 치환기가 부여되어 있어도 되고, 그들 치환기도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할로젠 원자, O 원자, S 원자, N 원자, B 원자, Si 원자, 또는 P 원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치환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 자유롭게 선택되어도 된다. 즉,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알킬기, 알콕시기, 알콕시알킬기, 알켄일기, 알킨일기, 아릴기, 헤테로아릴기, 아르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등, 또는 옥소, 아미노카보닐, 할로젠 원자 등이 예시된다. 비한정적인 일 태양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아미노산은, 동일 분자 내에 카복실기와 아미노기를 갖는 화합물이어도 된다(이 경우여도, 프롤린, 하이드록시프롤린과 같은 이미노산도 아미노산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잔기」를 간단히 「아미노산」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아미노산의 측쇄」란, α-아미노산의 경우, 아미노기와 카복실기가 결합한 탄소(α-탄소)에 결합한 원자단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Ala의 메틸기는 아미노산의 측쇄이다. β-아미노산의 경우, α-탄소, 및/또는 β-탄소에 결합한 원자단이 아미노산의 측쇄가 되고, γ-아미노산의 경우, α-탄소, β-탄소, 및/또는 γ-탄소에 결합한 원자단이 아미노산의 측쇄가 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할로젠」으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로민 원자 또는 아이오딘 원자가 예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아미노산」에는, 각각에 대응하는 모든 동위체를 포함한다. 「아미노산」의 동위체는, 적어도 1개의 원자가, 원자 번호(양자수)가 동일하고, 질량수(양자와 중성자의 수의 합)가 상이한 원자로, 천연의 존재비와는 상이한 존재비로 치환된 것이다. 본 명세서의 「아미노산」에 포함되는 동위체의 예로서는, 수소 원자, 탄소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인 원자, 황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등이 있고, 각각, 2H, 3H, 13C, 14C, 15N, 17O, 18O, 32P, 35S, 18F, 36Cl 등이 포함된다. 모든 비율의 방사성 또는 비방사성의 동위 원소를 함유하는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은, 이와 같은 화합물을 구성하는 1개 이상의 원자에, 비천연 비율의 동위체 원자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합물 중의 임의의 원자를, 원자 번호(양자수)가 동일하고, 질량수(양자와 중성자의 수의 합)가 상이한 다른 동위체 원자로 치환하는 것에 의해, 천연 중의 동위체의 존재비와는 상이한 존재비의 동위체로 치환한 화합물, 즉 동위체 원자로 표지된 화합물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의 화합물에 포함되는 동위체 원소의 예로서는, 수소 원자, 탄소 원자, 질소 원자, 산소 원자, 인 원자, 황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등이 있고, 각각, 2H, 3H, 13C, 14C, 15N, 17O, 18O, 32P, 35S, 18F, 36Cl 등이 포함된다. 동위체 원자로 표지된 화합물은, 치료 또는 예방제, 연구 시약(예를 들면, 어세이 시약), 및 진단제(예를 들면, 인비보 화상 진단제)로서 유용하다. 모든 비율의 방사성 또는 비방사성의 동위체 원소를 함유하는 본 명세서의 화합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동위체 원자로 표지된 화합물은, 비표지 화합물의 제조 방법과 마찬가지의 수법으로, 대응하는 동위체 원자를 포함하는 시약이나 용매를 이용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N-보호 아미노산」이란, 아미노기가 보호된 천연 또는 비천연의 아미노산을 의미하고, 「N-보호 펩타이드」란, N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의 아미노기가 보호된 펩타이드를 의미한다. 해당 펩타이드는, 천연 아미노산 잔기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비천연 아미노산 잔기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천연 아미노산 잔기와 비천연 아미노산 잔기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펩타이드」는, 천연 아미노산 및/또는 비천연 아미노산이 2 이상 연결된 화합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아미노산 잔기 간의 결합은, 예를 들면 아마이드 결합만이어도 되고, 또는 일부가 아마이드 결합이고 또한 나머지가 에스터 결합, 에터 결합, 싸이오에터 결합, 설폭사이드 결합(-S(=O)-), 설폰 결합(-S(=O)2-), 다이설파이드 결합, 탄소-탄소 결합 또는 헤테로환 구축에 의한 결합 등의 아마이드 결합 이외의 결합이어도 된다. 아미노산 잔기의 결합에 관여하는 기는, 아미노산의 주쇄끼리의 기, 아미노산의 주쇄와 측쇄의 기, 아미노산의 측쇄끼리의 기가 예시되고, 이들 기가 상기 아미노산 잔기의 결합의 태양의 예시에 따라 결합한 것도 본 명세서의 「펩타이드」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들 아미노산이 연결된 쇄상의 「펩타이드」를 「펩타이드쇄」라고도 부른다. 「펩타이드」에 포함되는 아미노산의 잔기수는, 바람직하게는 5∼30잔기, 보다 바람직하게는 8∼15잔기, 더 바람직하게는 9∼13잔기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합성되는 펩타이드는, 1개의 펩타이드 중에 적어도 3개의 N 치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어도 5개 이상의 N 치환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N 치환 아미노산은, 펩타이드 중에 연속하여 존재하고 있어도, 불연속으로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펩타이드는, 직쇄상이어도 환상이어도 되고, 환상 펩타이드가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펩타이드의 주쇄」, 및 「환상 펩타이드의 주쇄」란, 상기 「아미노산의 주쇄」가 아마이드 결합으로 복수 연결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구조를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펩타이드를 포함한다)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일 수 있다. 화합물의 염에는, 예를 들면, 염산염; 브로민화 수소산염; 아이오딘화 수소산염; 인산염; 포스폰산염; 황산염; 메테인설폰산염, p-톨루엔설폰산염 등의 설폰산염; 아세트산염, 시트르산염, 말산염, 타타르산염, 석신산염, 살리실산염 등의 카복실산염; 또는, 나트륨염, 칼륨염 등의 알칼리 금속염; 마그네슘염, 칼슘염 등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 암모늄염, 알킬암모늄염, 다이알킬암모늄염, 트라이알킬암모늄염, 테트라알킬암모늄염 등의 암모늄염 등이 포함된다. 이들 염은, 예를 들면, 화합물과, 산 또는 염기를 접촉시키는 것에 의해 제조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용매화물이란, 화합물이 용매와 함께, 하나의 분자 집단을 형성한 것을 가리키고, 의약의 투여에 부수하여 섭취가 허용되는 용매에 의해 형성된 용매화물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그 예로서는, 수화물, 알코올화물(에탄올화물, 메탄올화물, 1-프로판올화물, 2-프로판올화물 등), 다이메틸설폭사이드 등의 단독의 용매와의 용매화물뿐만 아니라, 화합물 1분자에 대해서 복수개의 용매와 용매화물을 형성한 것, 또는 화합물 1분자에 대해서 복수 종류의 용매와 용매화물을 형성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용매가 물이면 수화물이라고 말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매화물로서는, 수화물이 바람직하고, 그와 같은 수화물로서 구체적으로는 1∼10수화물, 바람직하게는 1∼5수화물, 더 바람직하게는 1∼3수화물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매화물에는, 물, 알코올(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1-프로판올, 2-프로판올 등), 다이메틸폼아마이드 등의 단독의 용매와의 용매화물뿐만 아니라, 복수의 용매와의 용매화물도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프리체로서 얻어지는 경우, 당해 화합물은, 그의 수화물 혹은 용매화물의 상태로, 통상적 방법에 따라 변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프리체로서 얻어지는 경우, 당해 화합물은, 당해 화합물이 형성해도 되는 염 또는 그의 수화물 혹은 용매화물의 상태로, 통상적 방법에 따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 혹은 그의 염의 수화물, 에탄올화물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반수화물, 1수화물, 2수화물, 3수화물, 4수화물, 5수화물, 6수화물, 7수화물, 8수화물, 9수화물, 10수화물 혹은 1에탄올화물, 또는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나트륨염의 반수화물, 1수화물, 2수화물, 3수화물, 4수화물, 5수화물, 6수화물, 7수화물, 8수화물, 9수화물, 10수화물 혹은 1에탄올화물, 또는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염산염의 수화물 혹은 에탄올화물 등을 들 수 있지만, 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은, 결정형 또는 비결정형으로 제조되어도 되고, 결정형의 경우, 결정 다형을 취할 수 있다.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의 제조 방법으로서, 예를 들면, 식(1)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펩타이드 화합물에, 에탄올 등의 용매 및/또는 물을 가하고, 교반, 냉각, 농축, 및/또는 건조를 행하는 등, 통상적 방법에 의해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을 얻을 수 있다.
Figure pct00010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합물이, 당해 화합물의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로서 얻어지는 경우, 당해 화합물은, 그의 프리체로 통상적 방법에 따라 변환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의 제조에 있어서, 정의한 기가 실시 방법의 조건하에서 원하지 않는 화학적 변환을 받아 버리는 경우, 예를 들면, 작용기의 보호, 탈보호 등의 수단을 이용하는 것에 의해, 해당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여기에서 보호기의 선택 및 탈착 조작은, 예를 들면, 「Greene'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제5판, John Wiley & Sons 2014)」에 기재된 방법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반응 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이용하면 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치환기 도입 등의 반응 공정의 순서를 바꿀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는, 그 일 국면에 있어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소의 존재하,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해당 알킬화 공정이, 1기압 이상의 압력하에서 행해지고, 또한 해당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에 해당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제 1 실시형태는, 그 일 국면에 있어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하이드라이드 환원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해당 알킬화 공정이,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에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에 의해, N-모노알킬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 염 혹은 용매화물을 효율적으로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알킬화 공정은, 식 A로 표시되는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출발 아미노산 A라고도 한다.)를 선택적으로 N-모노알킬화하는 것에 의해, 식 C로 표시되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를 얻는 방법과, 식 B로 표시되는 N-보호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출발 아미노산 B라고도 한다.)의 탈보호 반응과 N-알킬화 반응을 원 포트에서 행하는 것에 의해, 식 C로 표시되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를 얻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개요를 나타낸다.
출발 아미노산 A 및 B는, 유리체의 형태로 사용해도 되고, 대응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의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상기의 화학식 중, R1은 아미노산의 측쇄를 나타내고, PG1은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나타내며, R2는 수소 원자 또는 카복실기의 보호기를 나타낸다. 카복실기의 보호기는, 예를 들면, C1-C6 알킬기이다. 편의상, 상기의 반응식에서는, 출발 아미노산 A 및 B를 α-아미노산의 형태로 예시하고 있지만, β-아미노산 또는 γ-아미노산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반응식에 있어서, 아미노산의 측쇄 R1은, 바람직하게는, 알킬화 공정의 조건에 따라 알킬화 반응 또는 환원 반응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는 구조 변환을 받을 수 있는 작용기를 갖지 않는다. R1이 알킬화 공정의 조건에 따라 의도하지 않는 구조 변환을 받을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경우에는, 해당 작용기에 미리 보호기를 도입하고 나서 알킬화 공정을 행함으로써, 목적물을 제조할 수 있다.
R1은, 예를 들면, 수소 원자, C1-C6 알킬기, 할로 C1-C6 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기, 카복시 C1-C6 알킬기, 아릴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C6-C10 아릴 C1-C6 알킬기, 헤테로아릴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5∼10원 헤테로아릴 C1-C6 알킬기, 헤테로사이클릴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5∼10원 헤테로사이클릴 C1-C6 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콕시 C1-C6 알킬기, 할로 C1-C6 알콕시 C1-C6 알킬기, 보호된 아미노 C3-C6 알킬기, 보호된 하이드록시 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콕시 C1-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킬」이란, 지방족 탄화수소로부터 임의의 수소 원자를 1개 제거하여 유도되는 1가의 기이며, 골격 중에 헤테로 원자(탄소 및 수소 원자 이외의 원자를 말한다.) 또는 불포화의 탄소-탄소 결합을 함유하지 않고, 수소 및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하이드로카빌 또는 탄화수소기 구조의 부분 집합을 갖는다. 알킬은 직쇄상의 것뿐만 아니라, 분지쇄상의 것도 포함한다. C1-C6 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뷰틸, s-뷰틸, t-뷰틸, 아이소뷰틸(2-메틸프로필), n-펜틸, s-펜틸(1-메틸뷰틸), t-펜틸(1,1-다이메틸프로필), 네오펜틸(2,2-다이메틸프로필), 아이소펜틸(3-메틸뷰틸), 3-펜틸(1-에틸프로필), 1,2-다이메틸프로필, 2-메틸뷰틸, n-헥실, 1,1,2-트라이메틸프로필, 1,2,2-트라이메틸프로필, 1,1-다이메틸뷰틸, 1,2-다이메틸뷰틸, 1,3-다이메틸뷰틸, 2,2-다이메틸뷰틸, 2,3-다이메틸뷰틸, 3,3-다이메틸뷰틸, 1-에틸뷰틸, 2-에틸뷰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의 측쇄(R1 또는 R3)가 C1-C6 알킬기인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알라닌(Ala), 아이소류신(Ile), 류신(Leu), 발린(Val), 2-아미노뷰탄산(Abu), 노르발린(Nva), 노르류신(Nle), tert-류신(Tle)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할로알킬」이란, 상기 정의의 「알킬」의 1개 또는 복수의 수소가 할로젠으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할로알킬로서, 할로 C1-C6 알킬이 바람직하고, 플루오로 C1-C6 알킬이 보다 바람직하다. 할로 C1-C6 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다이플루오로메틸, 트라이플루오로메틸, 2,2-다이플루오로에틸, 2,2,2-트라이플루오로에틸, 3,3-다이플루오로프로필, 4,4-다이플루오로뷰틸, 5,5-다이플루오로펜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의 측쇄(R1 또는 R3)가 할로 C1-C6 알킬기인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5-다이플루오로노르발린(Nva(5-F2)), 2-아미노-4-트라이플루오로뷰탄산(Abu(4-F3))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이클로알킬」이란, 포화 또는 부분적으로 포화된 환상의 1가의 지방족 탄화수소기를 의미하고, 단환, 바이사이클로환, 스파이로환을 포함한다. 사이클로알킬로서 바람직하게는 C3-C6 사이클로알킬을 들 수 있다. C3-C6 사이클로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뷰틸, 사이클로펜틸, 사이클로헥실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의 측쇄(R1 또는 R3)가 C3-C6 사이클로알킬기인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α-사이클로프로필글리신(Gly(cPr)), α-사이클로뷰틸글리신(Gly(cBu)), α-사이클로펜틸글리신(Gly(cPent)), α-사이클로헥실글리신(Chg)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사이클로알킬알킬」이란, 상기 정의의 「알킬」의 1개 또는 복수의 수소가 상기 정의의 「사이클로알킬」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필메틸, 사이클로뷰틸메틸, 사이클로펜틸메틸, 사이클로헥실메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카복시알킬」이란, 상기 정의의 「알킬」의 1개 또는 복수의 수소가 카복시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카복시 C1-C6 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릴」이란 1가의 방향족 탄화수소환, 및 방향족 탄화수소환기를 의미한다. 아릴로서 바람직하게는 C6-C10 아릴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페닐, 나프틸(예를 들어, 1-나프틸, 2-나프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릴알킬(아르알킬)」이란, 상기 정의의 「알킬」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상기 정의의 「아릴」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아릴 알킬로서, C6-C10 아릴 C1-C6 알킬이 바람직하다. C6-C10 아릴 C1-C6 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벤질, 페네틸, 3-페닐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의 측쇄(R1 또는 R3)가 아릴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C6-C10 아릴 C1-C6 알킬기인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페닐알라닌(Phe), 4-메틸페닐알라닌(Phe(4-Me)), 4-트라이플루오로메틸-3,5-다이플루오로호모페닐알라닌(Hph(4-CF3-35-F2))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헤테로아릴」이란, 탄소 원자에 더하여 1∼5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방향족성의 환상의 1가의 기, 및 방향족 헤테로환기를 의미한다. 환은 단환이어도, 다른 환과의 축합환이어도 되고, 부분적으로 포화되어 있어도 된다. 헤테로아릴의 환을 구성하는 원자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5∼10(5∼10원 헤테로아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5∼7(5∼7원 헤테로아릴)이다. 헤테로아릴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퓨릴, 싸이엔일, 피롤릴, 이미다졸릴, 피라졸릴, 싸이아졸릴, 아이소싸이아졸릴, 옥사졸릴, 아이속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싸이아다이아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피리딜, 피리미딜, 피리다진일, 피라진일, 트라이아진일, 벤조퓨란일, 벤조싸이엔일, 벤조싸이아다이아졸릴, 벤조싸이아졸릴, 벤즈옥사졸릴, 벤즈옥사다이아졸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트라이아졸릴, 인돌릴, 아이소인돌릴, 인다졸릴, 아자인돌릴, 퀴놀릴, 아이소퀴놀릴, 신놀린일, 퀴나졸린일, 퀴녹살린일, 벤조다이옥솔릴, 인돌리진일, 이미다조피리딜, 피라졸로피리딜, 이미다조피리딜, 트라이아졸로피리딜, 피롤로피라진일, 프로피리딜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헤테로아릴알킬」이란, 상기 정의의 「알킬」의 적어도 하나의 수소 원자가 상기 정의의 「헤테로아릴」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아릴알킬로서, 5∼10원 헤테로아릴 C1-C6 알킬이 바람직하고, 5∼10원 헤테로아릴 C1-C2 알킬이 보다 바람직하다. 5원∼10원 헤테로아릴 C1-C6 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3-싸이엔일메틸, 4-싸이아졸릴메틸, 2-피리딜메틸, 3-피리딜메틸, 4-피리딜메틸, 2-(2-피리딜)에틸, 2-(3-피리딜)에틸, 2-(4-피리딜)에틸, 2-(6-퀴놀릴)에틸, 2-(7-퀴놀릴)에틸, 2-(6-인돌릴)에틸, 2-(5-인돌릴)에틸, 2-(5-벤조퓨란일)에틸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산의 측쇄(R1 또는 R3)가 헤테로아릴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5∼10원 헤테로아릴 C1-C6 알킬기인 아미노산으로서는, 예를 들어, 2-아미노-4-(피리딘-2-일)-뷰탄산(Abu(4-Pyr)), 3-(6-트라이플루오로메틸피리딘-3-일)알라닌(Ala(3-Pyr-4-CF3))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헤테로사이클릴」이란, 탄소 원자에 더하여 1∼5개의 헤테로 원자를 함유하는, 비방향족의 환상의 1가의 기, 및 헤테로환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릴은, 포화 헤테로환이어도, 환 중에 이중 및 또는 삼중 결합을 갖고 있어도 되고, 환 중의 탄소 원자는 산화되어 카보닐을 형성해도 되며, 단환이어도 축합환이어도 된다. 축합환의 경우는, 벤젠환, 피리딘환, 피리미딘환 등의 방향환과 축합환을 형성해도 된다. 사이클로펜테인환, 사이클로헥세인환 등의 포화 지환식환, 테트라하이드로피란환, 다이옥세인환, 피롤리딘환 등의 포화 헤테로환과 축합환을 형성해도 된다.
헤테로사이클릴의 환을 구성하는 원자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4∼10(4∼10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4∼7(4∼7원 헤테로사이클릴)이다. 헤테로사이클릴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제티딘일, 옥소아제티딘일, 옥시란일, 옥세탄일, 아제티딘일, 다이하이드로퓨릴, 테트라하이드로퓨릴, 다이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피리딜, 테트라하이드로피리미딜, 모폴린일, 싸이오모폴린일, 피롤리딘일, 옥소피롤리딘일, 피페리딘일, 피페라진일, 피라졸리딘일, 이미다졸린일, 이미다졸리딘일, 옥사졸리딘일, 아이속사졸리딘일, 싸이아졸리딘일, 아이소싸이아졸리딘일, 1,2-싸이아지네인, 싸이아다이아졸리딘일, 옥사졸리돈, 벤조다이옥산일, 벤즈옥사졸릴, 다이옥솔란일, 다이옥산일, 테트라하이드로피롤로[1,2-c]이미다졸, 싸이에탄일, 3,6-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3.1.1]헵탄일, 2,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1]헵탄일, 3-옥사-8-아자비사이클로[3.2.1]옥탄일, 설탐, 2-옥사스파이로[3.3]헵틸, 6,7-다이하이드로-피롤로[1,2-a]이미다졸릴, 4,5,6,7-테트라하이드로피라졸로[1,5-a]피라진일, 아제판일, 다이옥세판일, 5,9-다이옥사스파이로[3.5]노난일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헤테로사이클릴알킬」이란, 상기 정의의 「알킬」의 1개 또는 복수의 수소가 상기 정의의 「헤테로사이클릴」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헤테로사이클릴알킬로서, 5∼10원 헤테로사이클릴 C1-C6 알킬이 바람직하고, 4∼7원 헤테로사이클릴 C1-C6 알킬이 보다 바람직하며, 4∼7원 헤테로사이클릴 C1-C2 알킬이 더 바람직하다. 5∼10원 헤테로사이클릴 C1-C6 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2-(테트라하이드로-2H-피란-4-일)에틸, 2-(아제티딘-3-일)에틸, 4-(옥솔란-2-일메틸)피페라진-1-일, 2-(1-피페리딜)에틸, 3-(1-피페리딜)프로필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사이클로알콕시」란, 상기 정의의 「사이클로알킬」이 결합한 옥시기를 의미한다. 사이클로알콕시로서, 바람직하게는 C3-C8 사이클로알콕시를 들 수 있다. 사이클로알콕시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폭시, 사이클로뷰톡시, 사이클로펜틸옥시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사이클로알콕시알킬」이란, 상기 정의의 「알킬」의 1개 또는 복수의 수소가 상기 정의의 「사이클로알콕시」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사이클로알콕시알킬로서, C3-C8 사이클로알콕시 C1-C6 알킬이 바람직하고, C3-C6 사이클로알콕시 C1-C6 알킬이 보다 바람직하며, C3-C6 사이클로알콕시 C1-C2 알킬이 보다 바람직하다. C3-C6 사이클로알콕시 C1-C6 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사이클로프로폭시메틸, 사이클로뷰톡시메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알콕시」란, 상기 정의의 「알킬」이 결합한 옥시기를 의미한다. 알콕시로서, 바람직하게는 C1-C6 알콕시를 들 수 있다. 알콕시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1-프로폭시, 2-프로폭시, n-뷰톡시, i-뷰톡시, s-뷰톡시, t-뷰톡시, 펜틸옥시, 3-메틸뷰톡시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알콕시알킬」이란, 상기 정의의 「알킬」의 1개 또는 복수의 수소가 상기 정의의 「알콕시」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알콕시알킬로서, C1-C6 알콕시 C1-C6 알킬이 바람직하고, C1-C6 알콕시 C1-C2 알킬이 보다 바람직하다. C1-C6 알콕시 C1-C6 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메톡시메틸, 에톡시메틸, 1-프로폭시메틸, 2-프로폭시메틸, n-뷰톡시메틸, i-뷰톡시메틸, s-뷰톡시메틸, t-뷰톡시메틸, 펜틸옥시메틸, 3-메틸뷰톡시메틸, 1-메톡시에틸, 2-메톡시에틸, 2-에톡시에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할로알콕시」란, 상기 정의의 「알콕시」의 1개 또는 복수의 수소가 할로젠으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할로알콕시로서, 할로 C1-C6 알콕시가 바람직하고, 플루오로 C1-C6 알콕시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할로알콕시알킬」이란, 상기 정의의 「알킬」의 1개 또는 복수의 수소가 상기 정의의 「할로알콕시」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할로알콕시알킬로서, 바람직하게는 할로 C1-C6 알콕시 C1-C6 알킬을 들 수 있다. 할로 C1-C6 알콕시 C1-C6 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다이플루오로메톡시메틸, 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메틸, 2, 2-다이플루오로에톡시메틸, 2,2,2-트라이플루오로에톡시메틸, 3,3-다이플루오로프로폭시메틸, 4,4-다이플루오로뷰톡시메틸, 5,5-다이플루오로펜톡시메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C6-C10 아릴 C1-C6 알킬의 아릴, 상기 5∼10원 헤테로아릴 C1-C6 알킬의 헤테로아릴, 및 상기 5∼10원 헤테로사이클릴 C1-C6 알킬의 헤테로사이클릴은, 치환기로 더 치환되어 있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이란, 어떤 기가 임의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되어 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이들 각각에 치환기가 부여되어 있어도 되고, 그들 치환기도 제한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할로젠 원자, 산소 원자, 황 원자, 질소 원자, 붕소 원자, 규소 원자, 또는 인 원자를 포함하는 임의의 치환기 중에서 독립적으로 1개 또는 2개 이상 자유롭게 선택되어도 된다.
그 치환기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 알콕시, 플루오로알킬, 플루오로알콕시, 옥소, 아미노카보닐, 알킬설폰일, 알킬설폰일아미노, 사이클로알킬, 아릴, 헤테로아릴, 헤테로사이클릴, 아릴알킬, 헤테로아릴알킬, 할로젠, 나이트로, 아미노, 모노알킬아미노, 다이알킬아미노, 사이아노, 카복실, 알콕시카보닐, 폼일 등이 예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아미노알킬」이란, 상기 정의의 「알킬」의 1개 또는 복수의 수소가 상기 정의의 「아미노」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아미노알킬로서, 아미노 C3-C6 알킬이 바람직하다. 아미노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4-아미노뷰틸, 메틸아미노메틸, 다이메틸아미노메틸, 메틸아미노에틸, 다이메틸아미노에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하이드록시알킬」이란, 상기 정의의 「알킬」의 1개 또는 복수의 수소가 수산기로 치환된 기를 의미한다. 하이드록시알킬로서, 바람직하게는 하이드록시 C1-C6 알킬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시 C1-C6 알킬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메틸, 1-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에틸, 2-하이드록시-2-메틸프로필, 5-하이드록시펜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할로젠 유래의 치환기」란, 플루오로(-F), 클로로(-Cl), 브로모(-Br), 아이오도(-I)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산소 원자 유래의 치환기」로서, 하이드록시(-OH), 옥시(-OR), 카보닐(-C(=O)-R), 카복실(-CO2H), 옥시카보닐(-C=O-OR), 카보닐옥시(-O-C=O-R), 싸이오카보닐(-C(=O)-SR), 카보닐싸이오(-S-C(=O)-R), 아미노카보닐(-C(=O)-NHR), 카보닐아미노(-NH-C(=O)-R), 옥시카보닐아미노(-NH-C(=O)-OR), 설폰일아미노(-NH-SO2-R), 아미노설폰일(-SO2-NHR), 설파모일아미노(-NH-SO2-NHR), 싸이오카복실(-C(=O)-SH), 카복실카보닐(-C(=O)-CO2H)이 예시된다.
옥시(-OR)의 예로서는, 알콕시, 사이클로알콕시, 알켄일옥시, 알킨일옥시, 아릴옥시, 헤테로아릴옥시, 아르알킬옥시 등을 들 수 있다.
카보닐(-C(=O)-R)의 예로서는, 폼일(-C(=O)-H), 알킬카보닐, 사이클로알킬카보닐, 알켄일카보닐, 알킨일카보닐, 아릴카보닐, 헤테로아릴카보닐, 아르알킬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옥시카보닐(-C(=O)-OR)의 예로서는, 알킬옥시카보닐, 사이클로알킬옥시카보닐, 알켄일옥시카보닐, 알킨일옥시카보닐, 아릴옥시카보닐, 헤테로아릴옥시카보닐, 아르알킬옥시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카보닐옥시(-O-C(=O)-R)의 예로서는, 알킬카보닐옥시, 사이클로알킬카보닐옥시, 알켄일카보닐옥시, 알킨일카보닐옥시, 아릴카보닐옥시, 헤테로아릴카보닐옥시, 아르알킬카보닐옥시 등을 들 수 있다.
싸이오카보닐(-C(=O)-SR)의 예로서는, 알킬싸이오카보닐, 사이클로알킬싸이오카보닐, 알켄일싸이오카보닐, 알킨일싸이오카보닐, 아릴싸이오카보닐, 헤테로아릴싸이오카보닐, 아르알킬싸이오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카보닐싸이오(-S-C(=O)-R)의 예로서는, 알킬카보닐싸이오, 사이클로알킬카보닐싸이오, 알켄일카보닐싸이오, 알킨일카보닐싸이오, 아릴카보닐싸이오, 헤테로아릴카보닐싸이오, 아르알킬카보닐싸이오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카보닐(-C(=O)-NHR)의 예로서는, 알킬아미노카보닐, 사이클로알킬아미노카보닐, 알켄일아미노카보닐, 알킨일아미노카보닐, 아릴아미노카보닐, 헤테로아릴아미노카보닐, 아르알킬아미노카보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더하여, -C(=O)-NHR 중의 N 원자와 결합한 H 원자가,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로 더 치환된 기를 들 수 있다.
카보닐아미노(-NH-C(=O)-R)의 예로서는, 알킬카보닐아미노, 사이클로알킬카보닐아미노, 알켄일카보닐아미노, 알킨일카보닐아미노, 아릴카보닐아미노, 헤테로아릴카보닐아미노, 아르알킬카보닐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더하여 -NH-C(=O)-R 중의 N 원자와 결합한 H 원자가,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로 더 치환된 기를 들 수 있다.
옥시카보닐아미노(-NH-C(=O)-OR)의 예로서는, 알콕시카보닐아미노, 사이클로알콕시카보닐아미노, 알켄일옥시카보닐아미노, 알킨일옥시카보닐아미노, 아릴옥시카보닐아미노, 헤테로아릴옥시카보닐아미노, 아르알킬옥시카보닐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더하여, -NH-C(=O)-OR 중의 N 원자와 결합한 H 원자가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로 더 치환된 기를 들 수 있다.
설폰일아미노(-NH-SO2-R)의 예로서는, 알킬설폰일아미노, 사이클로알킬설폰일아미노, 알켄일설폰일아미노, 알킨일설폰일아미노, 아릴설폰일아미노, 헤테로아릴설폰일아미노, 아르알킬설폰일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더하여, -NH-SO2-R 중의 N 원자와 결합한 H 원자가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로 더 치환된 기를 들 수 있다.
아미노설폰일(-SO2-NHR)의 예로서는, 알킬아미노설폰일, 사이클로알킬아미노설폰일, 알켄일아미노설폰일, 알킨일아미노설폰일, 아릴아미노설폰일, 헤테로아릴아미노설폰일, 아르알킬아미노설폰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에 더하여, -SO2-NHR 중의 N 원자와 결합한 H 원자가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로 더 치환된 기를 들 수 있다.
설파모일아미노(-NH-SO2-NHR)의 예로서는, 알킬설파모일아미노, 사이클로알킬설파모일아미노, 알켄일설파모일아미노, 알킨일설파모일아미노, 아릴설파모일아미노, 헤테로아릴설파모일아미노, 아르알킬설파모일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추가로, -NH-SO2-NHR 중의 N 원자와 결합한 2개의 H 원자는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및 아르알킬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또한 이들 2개의 치환기는 환을 형성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질소 원자 유래의 치환기」로서, 아자이드(-N3, 「아자이도기」라고도 한다), 사이아노(-CN), 1급 아미노(-NH2), 2급 아미노(-NH-R), 3급 아미노(-NR(R')), 아미디노(-C(=NH)-NH2), 치환 아미디노(-C(=NR)-NR'R''), 구아니디노(-NH-C(=NH)-NH2), 치환 구아니디노(-NR-C(=NR''')-NR'R''), 아미노카보닐아미노(-NR-CO-NR'R'')가 예시된다.
2급 아미노(-NH-R)의 예로서는, 알킬아미노, 사이클로알킬아미노, 알켄일아미노, 알킨일아미노, 아릴아미노, 헤테로아릴아미노, 아르알킬아미노 등을 들 수 있다.
3급 아미노(-NR(R'))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알킬(아르알킬)아미노 등,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등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임의의 2개의 치환기를 갖는 아미노기를 들 수 있고, 이들 임의의 2개의 치환기는 환을 형성해도 된다.
치환 아미디노(-C(=NR)-NR'R'')의 예로서는, N 원자 상의 3개의 치환기 R, R', 및 R''가,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기, 예를 들면 알킬(아르알킬)(아릴)아미디노 등을 들 수 있다.
치환 구아니디노(-NR-C(=NR''')-NR'R'')의 예로서는, R, R', R'', 및 R'''가,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기, 혹은 이들이 환을 형성한 기 등을 들 수 있다.
아미노카보닐아미노(-NR-C(=O)-NR'R'')의 예로서는, R, R', 및 R''가, 수소 원자,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된 기, 혹은 이들이 환을 형성한 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황 원자 유래의 치환기」로서, 싸이올(-SH), 싸이오(-S-R), 설핀일(-S(=O)-R), 설폰일(-S(=O)2-R), 설포(-SO3H), 펜타플루오로설판일(-SF5)이 예시된다.
싸이오(-S-R)의 예로서는, 알킬싸이오, 사이클로알킬싸이오, 알켄일싸이오, 알킨일싸이오, 아릴싸이오, 헤테로아릴싸이오, 아르알킬싸이오 등 중에서 선택된다.
설핀일(-S(=O)-R)의 예로서는, 알킬설핀일, 사이클로알킬설핀일, 알켄일설핀일, 알킨일설핀일, 아릴설핀일, 헤테로아릴설핀일, 아르알킬설핀일 등을 들 수 있다.
설폰일(-S(=O)2-R)의 예로서는, 알킬설폰일, 사이클로알킬설폰일, 알켄일설폰일, 알킨일설폰일, 아릴설폰일, 헤테로아릴설폰일, 아르알킬설폰일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붕소 원자 유래의 치환기」는, 보릴(-BR(R')), 다이옥시보릴(-B(OR)(OR')), 및 트라이플루오로보레이트염(-BF3 -) 등이 예시된다. 구체적으로는, 이들 2개의 치환기 R 및 R'가, 알킬, 사이클로알킬, 알켄일, 알킨일, 아릴, 헤테로아릴, 아르알킬 등 중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치환기인 「붕소 원자 유래의 치환기」이거나, 혹은 이들 2개의 치환기 R 및 R'가, R 및 R'가 각각 결합하고 있는 원자와 하나가 되어 환을 형성한 「붕소 원자 유래의 치환기」, 즉 환상 보릴기가 예시된다.
바람직한 「붕소 원자 유래의 치환기」는, 환상 보릴기가 예시된다.
환상 보릴기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피나콜레이토보릴기, 네오펜테인다이올레이토보릴기, 카테콜레이토보릴기, 9-보라바이사이클로[3.3.1]노난-9-일기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보호되어 있어도 되는」이란, 어떤 기가 임의의 보호기에 의해 보호되어 있어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아미노기의 보호기」에는, 카바메이트형의 보호기, 아마이드형의 보호기, 아릴설폰아마이드형의 보호기, 알킬아민형의 보호기, 이미드형의 보호기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9-플루오렌일메톡시카보닐(Fmoc)기, t-뷰톡시카보닐(Boc)기, 알릴옥시카보닐(Alloc)기, 벤질옥시카보닐(Cbz)기, 트라이에틸실릴옥시카보닐(Teoc)기, 트라이플루오로아세틸기, 펜타플루오로프로피온일기, 프탈로일기, 벤젠설폰일기, 토실기, 노실기, 다이나이트로노실기, t-뷰틸기, 트라이틸기, 큐밀기, 벤질리덴기, 4-메톡시벤질리덴기, 다이페닐메틸리덴기 등이 예시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하이드록시의 보호기」에는, 알킬 에터형의 보호기, 아르알킬 에터형의 보호기, 실릴 에터형, 탄산 에스터형의 보호기 등을 들 수 있다. 하이드록시의 보호기로서 구체적으로는, 메톡시메틸기, 벤질옥시메틸기,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기, t-뷰틸기, 알릴기, 2,2,2-트라이클로로에틸기, 벤질기, 4-메톡시벤질기, 트라이메틸실릴기, 트라이에틸실릴기, 트라이아이소프로필실릴기, t-뷰틸다이메틸실릴기, t-뷰틸다이페닐실릴기, 메톡시카보닐기, 9-플루오렌일메톡시카보닐(Fmoc)기, 2,2,2-트라이클로로에톡시카보닐기 등이 예시된다.
보호기의 선택 및 탈착 조작은, 당업자이면 적절히 행할 수 있다. 보호기의 선택 및 탈착 조작은, 예를 들면, 「Greene'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제5판, John Wiley & Sons 2014)」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반응 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채용하면 된다.
화합물의 구조 변환 반응은, 당업자이면 적절히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Reactions, Mechanisms, and Structure(제8판, John Wiley & Sons, Inc. 2019년)나 R. C. Laroch 저,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제3판, John Wiley & Sons, Inc. 2018년)에 기재된 방법을 참조하여, 반응 조건에 따라서 적절히 채용하면 된다.
C1-C6 1급 알킬화제는, 1∼6개의 탄소 원자를 갖고, 폼일기 또는 사이아노기가 C1-C5 알킬기에 결합한 알킬화제이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C1-C5 알데하이드 또는 C1-C5 알킬 나이트릴이 예시된다. C1-C5 알데하이드의 구체예는, 아세트알데하이드, 프로판알, 1-뷰탄알, 1-펜탄알, 3-메틸뷰탄알, 1-헥산알, 4-메틸펜탄알, 및 3,3-다이메틸뷰탄알이다. C1-C5 알킬 나이트릴의 구체예는, 아세토나이트릴, 프로피오나이트릴, n-뷰티로나이트릴, n-펜틸나이트릴(1-사이아노펜테인), 3-메틸뷰티로나이트릴, 발레로나이트릴(1-사이아노뷰테인), 아이소발레로나이트릴(1-사이아노-2-메틸프로페인)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치환 메틸 할라이드」란, 메틸 할라이드(할로젠화 메틸)의 탄소 상의 수소 중 1개가, 다른 원자 혹은 작용기로 치환된 메틸 할라이드를 의미한다. 치환 메틸 할라이드로서, 알콕시메틸 할라이드, 알콕시알콕시메틸 할라이드, 트라이알킬실릴알콕시메틸 할라이드가 예시된다. 바람직하게는, 치환 메틸 클로라이드가 예시된다. 치환 메틸 클로라이드의 구체예는, MOM-Cl(메톡시메틸 클로라이드), EOM-Cl(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 MEM-Cl(2-메톡시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 SEM-Cl(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을 들 수 있다.
C1-C6 1급 알킬화제 또는 치환 메틸 할라이드의 사용량은, 출발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 1몰에 대해서, 1.0∼20.0몰의 범위, 1.5∼15.0몰의 범위, 2.0∼10.0몰의 범위, 또는 2.5∼5.0몰의 범위여도 된다.
하이드라이드 환원제는, 기질에 대해서 하이드라이드(H-)를 공여하여, 카보닐기나 나이트릴기 등을 환원시키는 것이면 된다. 하이드라이드 환원제는, 규소를 포함하는 하이드라이드 환원제가 바람직하고, 트라이알킬실레인이 보다 바람직하며, 트라이에틸실레인이 가장 바람직하다.
하이드라이드 환원제의 사용량은, 출발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혹은 출발 펩타이드 또는 그의 에스터 1몰에 대해서, 1.0∼20.0몰의 범위, 1.0∼15.0몰의 범위, 1.0∼10.0몰의 범위, 또는 1.2∼5.0몰의 범위여도 된다.
촉매는, 1급 아미노기의 알킬화를 촉진하여, 반응 속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면 된다. 촉매는,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불균일계 수소화 촉매가 바람직하고, 적당한 담체에 담지된 전이 금속이 보다 바람직하다. 전이 금속은, 바람직하게는, Pd, Rh 및 P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담체에 담지된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의 구체예로서는, 팔라듐 탄소(Pd-C), 수산화 팔라듐 탄소(Pd(OH)2-C), 로듐 탄소(Rh-C), 및 애덤스 촉매를 들 수 있다. 촉매가 담체에 담지된 전이 금속을 포함하면, 취급하기 쉬워, 보다 간편한 조건에서 반응을 실시할 수 있다.
촉매의 사용량은, 출발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 혹은 출발 펩타이드 또는 그의 에스터 1몰에 대해서, 0.001∼0.5몰의 범위, 0.005∼0.4몰의 범위, 0.01∼0.4몰의 범위, 또는 0.03∼0.1몰의 범위여도 된다.
상기 공정은, 밀폐된 반응 용기 내에서 행해진다. 상기 공정에 있어서, 반응 용기 내의 기상은, 수소 가스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원하는 반응을 억제하지 않는 범위에서 불활성 가스가 섞여 있어도 된다. 반응 용기 내의 수소 가스의 압력(분압)은, 1기압 이상, 1기압 이상 10기압 이하의 범위, 1기압 이상 7기압 이하의 범위, 1기압 이상 6기압 이하의 범위, 또는 1기압 이상 5기압 이하의 범위여도 된다. 약 1기압의 압력하에서 반응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고무 또는 바이닐제의 풍선을 반응 용기에 장착하고, 풍선 내를 수소 가스로 치환하여 행하는 방법이 잘 알려져 있다. 본 공정에 있어서, 반응액을 격렬하게 교반시키면, 기상의 수소 가스와의 접촉 빈도가 증가하여, 반응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출발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촉매, 및 수소를 용매 중에서 접촉시킨 후의 혼합물에, 추가의 수소 가스를 접촉시켜도 된다. 반응 혼합물에 추가의 수소 가스를 접촉시키는 방법은, 반응 용기에 수소를 송기(送氣)하여 추가하는 방법, 반응 용기 내를 감압하에서 탈기 후에 반응 용기 내에 수소를 가하는 방법, 반응 용기 내를 감압하에서 탈기 후에 반응 용기 내를 질소로 치환하고 다시 감압하에서 탈기 후에 반응 용기 내를 수소로 치환하는 방법 등에 의해, 추가의 수소를 반응 용기 내에 가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추가의 수소 가스를 접촉시키는 횟수는, 반응의 진행 상태에 의존하고, 1회∼10회의 범위, 1회∼5회의 범위, 1회∼3회의 범위에서 행할 수 있다. 반응 개시부터, 추가의 수소 가스를 접촉시킬 때까지의 시간은, 10분∼5시간의 범위, 20분∼3시간의 범위, 10분∼2시간의 범위에서 행할 수 있다. 추가의 수소 가스를 접촉시키기 위해서, 반응 용기를 열었을 때에 반응을 효율 좋게 제어할 목적으로 추가의 시약을 가할 수도 있다. 추가하는 시약은,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촉매, 용매, 산, 염기 등이 예시된다.
수소 가스의 대체로서, 하이드라이드 환원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반응의 진행 상태에 따라, 하이드라이드 환원제를 추가하여 반응 용기에 가할 수 있다.
용매는, 에터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및 에스터계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포함한다. 용매는, 바람직하게는, 에터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에스터계 용매, 및 이들의 혼합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에터계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다이메톡시에테인(DME), 메틸 t-뷰틸 에터(MTBE), 사이클로펜틸 메틸 에터(CPME), 다이아이소프로필 에터(IPE), 4-메틸테트라하이드로피란, 다이옥세인, 다이에틸 에터,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알코올계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아이소프로판올, 1-뷰탄올, 2-뷰탄올, 1-펜탄올, 2-펜탄올, 3-펜탄올,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에스터계 용매로서는, 예를 들면, 아세트산 에틸, 아세트산 n-프로필, 아세트산 뷰틸, 및 이들의 조합을 들 수 있다. 본 공정에서는, 상기의 용매를 적절히 조합하고, 임의의 비율로 혼합하여 이용해도 된다.
용매의 사용량은, 출발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 1몰에 대해서, 1∼100mL의 범위, 3∼75mL의 범위, 5∼50mL의 범위, 또는 7∼25mL의 범위여도 된다.
알킬화 공정에서 출발 아미노산 A를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응액에 염기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액에 염기를 첨가하는 것에 의해, 다이알킬화체 및 부생성물의 비율이 저하되어, 모노알킬화 선택성이 더 향상될 수 있다. 출발 아미노산 B를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탈보호 반응 후의 N-알킬화 공정에서, 반응액에 염기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염기는, 유기 염기여도 무기 염기여도 된다. 염기는, 바람직하게는 3급 아민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센-7(DBU), 1,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4.3.0]노넨-5(DBN), N-메틸모폴린(NMM), 1,4-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DABCO), 트라이에틸아민(TEA),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DIPEA), 피리딘 및 콜리딘이다.
염기의 사용량은, 출발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 1몰에 대해서, 0.01∼20.0몰의 범위, 0.03∼15.0몰의 범위, 0.05∼10.0몰의 범위, 또는 0.7∼5.0몰의 범위여도 된다. 염기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이면, 모노알킬화 선택성의 향상 효과가 보다 현저해진다.
알킬화 공정에서 출발 아미노산 B를 원료로서 사용하는 경우, 반응액에 산을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액에 산을 첨가하는 것에 의해, 부생성물의 비율이 저하되어, 목적하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C)를 보다 효율 좋게 얻을 수 있다.
산은, 1급 아미노기에 결합한 보호기를 효율 좋게 제거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산으로서는, 예를 들면, p-톨루엔설폰산(TsOH), 메테인설폰산(MsOH), 황산수소 나트륨, 트라이에틸아민 염산염 및 프로필포스폰산을 들 수 있다. 산은, 수화물 또는 임의의 용액의 형태로 사용해도 된다.
산의 사용량은, 출발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 1몰에 대해서, 0.1∼10.0몰, 0.3∼7.0몰, 0.5∼5.0몰, 또는 0.7∼3.0몰이어도 된다.
반응 온도는, -40℃∼용매의 비점 부근의 범위에서 행할 수 있고, -20℃∼50℃의 범위 또는 0℃∼30℃의 범위에서 행할 수 있다.
반응 시간은, 5분∼72시간의 범위에서 행할 수 있고, 10분∼48시간의 범위 또는 10분∼24시간의 범위에서 행할 수 있다.
알킬화 공정 후, 당업자에게 주지인 방법으로, 얻어진 N-모노알킬 아미노산 또는 그의 에스터를 대응하는 염 또는 용매화물로 변환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는, 일 국면에 있어서, N-모노알킬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소의 존재하, 출발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해당 알킬화 공정이, 1기압 이상의 압력하에서 행해지고, 또한 해당 출발 아미노산 잔기의 아미노기에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다.
본 발명의 다른 제 2 실시형태는, 그 일 국면에 있어서,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하이드라이드 환원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해당 알킬화 공정이, 해당 출발 아미노산 잔기의 아미노기에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이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알킬화 공정은, 식 D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에스터(출발 펩타이드 D라고도 한다.)를 선택적으로 N-모노알킬화하는 것에 의해, 식 F로 표시되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에스터를 얻는 방법과, 식 E로 표시되는 N-보호 펩타이드 또는 그의 에스터(출발 펩타이드 E라고도 한다.)의 탈보호 반응과 N-알킬화 반응을 원 포트에서 행하는 것에 의해, 식 F로 표시되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에스터를 얻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하에,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의 개요를 나타낸다.
상기의 화학식 중, R3은 펩타이드의 N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를 나타내고, PG2는 아미노기의 보호기를 나타내며, R4는 N 말단 아미노산 잔기에 결합하고 있는 펩타이드쇄를 나타낸다. 편의상, 상기의 반응식에서는, 출발 펩타이드 D 및 E를 α-아미노산의 형태로 예시하고 있지만, β-아미노산 또는 γ-아미노산이어도 된다. 또한, 상기의 반응식에 있어서는, N 말단의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 R3 및 펩타이드쇄 R4는, 바람직하게는, 알킬화 공정의 조건에 따라 알킬화 반응 또는 환원 반응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는 구조 변환을 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지 않는다. R3 및/또는 R4가 알킬화 공정의 조건에 따라 의도하지 않는 구조 변환을 받을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경우에는, 해당 작용기에 미리 보호기를 도입하고 나서 알킬화 공정을 행함으로써, 목적물을 제조할 수 있다.
R3은, 예를 들면, 수소 원자, C1-C6 알킬기, 할로 C1-C6 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기, 카복시 C1-C6 알킬기, 아릴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C6-C10 아릴 C1-C6 알킬기, 헤테로아릴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5∼10원 헤테로아릴 C1-C6 알킬기, 헤테로사이클릴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5∼10원 헤테로사이클릴 C1-C6 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콕시 C1-C6 알킬기, 할로 C1-C6 알콕시 C1-C6 알킬기, 보호된 아미노 C3-C6 알킬기, 보호된 하이드록시 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콕시 C1-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R4는, N-알킬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는, 아미노산이 2잔기 이상인 펩타이드쇄여도 된다. R4에 포함되는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는, 알킬화 공정의 조건에 따라 알킬화 반응 또는 환원 반응 등에 의해, 의도하지 않는 구조 변환을 할 수 있는 작용기를 갖지 않는 측쇄를 가지는 아미노산이어도 된다. 또한, R4에 포함되는 아미노산 잔기의 측쇄는, 알킬화 공정의 조건에 따라 알킬화 반응 또는 환원 반응에 의해 의도하지 않는 구조 변환을 받을 수 있는 작용기를 갖는 경우에는, 해당 작용기에 미리 보호기가 도입된 측쇄를 가지는 아미노산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측쇄는, 예를 들면, 수소 원자, C1-C6 알킬기, 할로 C1-C6 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킬 C1-C6 알킬기, 카복시 C1-C6 알킬기, 아릴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C6-C10 아릴 C1-C6 알킬기, 헤테로아릴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5∼10원 헤테로아릴 C1-C6 알킬기, 헤테로사이클릴 상에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5∼10원 헤테로사이클릴 C1-C6 알킬기, C3-C6 사이클로알콕시 C1-C6 알킬기, 할로 C1-C6 알콕시 C1-C6 알킬기, 보호된 아미노 C3-C6 알킬기, 보호된 하이드록시 C1-C6 알킬기, 또는 C1-C6 알콕시 C1-C6 알킬기로부터 선택된다.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알킬화 공정의 반응 조건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기재된 반응 조건의 「출발 아미노산」을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본 명세서에 있어서, 「출발 펩타이드」라고도 한다.)로 바꾸어 읽어 참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형태는,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식 C 참조), 또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식 F 참조)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여, 임의로 1개 또는 복수의 아미노산을 결합 형성 반응(예를 들면, 펩타이드 결합 형성 반응)에 의해 신장시켜, 원하는 펩타이드 또는 그의 에스터를 얻는 공정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상기 제조 방법에 의해 얻어진 펩타이드(환화 전구 펩타이드, 즉 직쇄상의 펩타이드) 또는 그의 에스터의 C 말단측의 기와 N 말단측의 기로 환화하여 환상부를 형성하는 공정을 추가로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아미노산에 의해 구성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도 본 실시형태에 포함할 수 있다.
펩타이드의 주쇄를 신장시키는 공정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식 C 참조)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환상부를 형성하기 위해서 펩타이드의 주쇄의 신장이 필수이지만, 제 2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식 F 참조)를 출발 물질로서 사용하는 경우는, 반드시 그 펩타이드의 주쇄를 신장시킬 필요는 없다. 목적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화학 구조에 따라서, 당업자는 본 공정을 실시할지 여부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에 의하면, 적어도 4개의 아미노산에 의해 구성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방법은, 적어도 8개의 아미노산에 의해 구성되는 환상부를 갖고, 8∼15개의 아미노산에 의해 구성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에 보다 적합하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얻어지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는, N-알킬 아미노산 잔기를 5개 이상, 6개 이상 또는 7개 이상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펩타이드쇄의 결합 형성 반응에 의한 신장, 펩타이드 결합 형성 반응은, 예를 들면, Biopolym. Pept. Sci. 2000, 55, 227-250, 또는 W. M. Hussein 등 저, Peptide Synthesis Methods and Protocols (Humana Press, 2020년) 등을 참조하여, 당업자에게 주지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다.
환상부를 형성하는 공정에서는, 상기에서 얻어진 환화 전구 펩타이드 또는 제 2 실시형태에서 얻어지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 잔기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에 있어서의 펩타이드의 주쇄의 C 말단측의 기와 N 말단측의 기를 반응시켜, 환상부를 형성시키는 공정이다. C 말단측의 기와 N 말단측의 기는, 서로 유기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조합이면 된다.
바람직한 조합은, C 말단측의 기가 카복시기이고, N 말단측의 기가 아미노기인 조합이다. 이 경우, 환상부를 형성시키는 공정은, 축합 반응(펩타이드 결합 형성 반응)일 수 있다. 축합 반응의 조건은, 당업자에게 주지인 조건을 채용할 수 있고, 예를 들면, 축합제의 존재하, 용매 중에서 교반하는 것을 들 수 있다. 환화에 이용되는 카복실기나 아미노기 등의 위치는, 주쇄 상의 것이어도, 측쇄 상의 것이어도 되고, 환화 가능한 위치에 있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축합제로서는, 카복시기와 아미노기를 결합시켜, 펩타이드 결합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면 된다. 축합제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어, N,N'-다이사이클로헥실카보다이이미드(DCC), N-(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N'-에틸카보다이이미드(EDC) 등의 카보다이이미드계 축합제, 다이페닐인산 아자이드(DPPA) 등의 인산 아자이드계 축합제, BOP 시약, PyBOP 시약 등의 포스포늄계 축합제, TBTU, HBTU, TATU, HATU 등의 유로늄계 축합제, 4-(4,6-다이메톡시-1,3,5-트라이아진-2-일)-4-메틸모폴리늄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DMT-MM), T3P(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를 들 수 있다.
축합 반응에 있어서, 반응 혼합물에 추가로 첨가제를 가해도 된다. 첨가제로서는, 예를 들어, 1-하이드록시벤조트라이아졸(HOBt), 1-하이드록시-7-아자벤조트라이아졸(HOAt), 3-하이드록시-1,2,3-벤조트라이아진-4(3H)-온(HOOBt), 에틸(하이드록시이미노)사이아노아세테이트(Oxyma)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형태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식 C 참조) 또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식 F 참조)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수소의 존재하, 상기 출발 아미노산 A 혹은 B 또는 상기 출발 펩타이드 D 혹은 E,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알킬화 공정이, 1기압 이상의 압력하에서 행해지고, 또한 출발 아미노산 A 혹은 B의 아미노기에,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식 C 참조) 또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식 F 참조)를 생성시키는 것이며,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가 다이알킬화된 화합물의 생성의 억제 방법이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또는 제 2 실시형태에 기재한 정의를 참조할 수 있다. 상기 알킬화 공정에 의하면, 다이알킬화체의 생성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알킬화 공정에서 얻어진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식 C 참조) 또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식 F 참조)를 출발 물질로 하여, 추가로 결합 형성 반응을 행하여, 그 펩타이드의 주쇄를 신장시킨 후, 얻어진 펩타이드를 산성 수용액으로 처리하는 공정을 행하는 것에 의해, 생긴 다이알킬화된 화합물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도 있다.
어떤 태양에 있어서, 직쇄상의 펩타이드는,
Figure pct00013
로 표시되는 직쇄상의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이다.
어떤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는, 하기 식(1):
Figure pct00014
로 표시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이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는, 용매화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화물, DMSO-수화물, 아세톤-수화물, 또는 DMSO 용매화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수화물이 더 바람직하다. 국제공개 제2021/090855호에도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는, KRAS 저해제로서 유용하고, 여러 가지의 KRAS에 관련된 질병, 예를 들어 KRAS에 관련된 암에 사용될 수 있다.
어떤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의 단리 및/또는 정제에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은,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대신에, 예를 들면, 정석에 의해 결정화하는 것에 의해, 단리 및/또는 정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축합 반응 후의 반응 용액을 분액 조작에 제공하고, 필요에 따라서 유기층을 농축, 및/또는 여과한 후, 얻어진 잔사에 정석에 적합한 용매를 가하고, 임의로 종정을 가하고, 필요에 따라서 교반함으로써,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의 결정을 얻을 수 있다. 정석 시에 첨가되는 용매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가 결정을 형성할 수 있는 용매이면 특별히 제한은 없지만,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가 용해된 용액에 대해,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용해도를 저하시키는 조작을 행할 수 있는 용매가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빈용매의 첨가나 용액의 냉각에 의해,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용해도를 저하시켜 결정화가 가능한 경우는, 그와 같은 조작이 가능한 용매가 예시된다. 또한,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조결정을 현탁액 상태하, 임의의 시간 현탁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결정을 얻을 수 있는 경우는, 그와 같은 조작이 가능한 용매를, 결정화에 이용할 수 있다. 정석 시에 첨가되는 용매로서,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아세톤, 물, DMSO, 아세토나이트릴, 또는 에탄올, 및 이들의 혼합 용매 등을 들 수 있다. 이 정석은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에도 적용할 수 있다.
어떤 태양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해 제조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의 결정은,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비용매화물 결정, 용매화물 결정, 염의 결정, 또는 염의 용매화물 결정일 수 있다. 어떤 태양에 있어서, 비용매화물 결정(무용매화 결정)은, 용매화 결정, 또는 수화물 결정이 아닌 결정을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상기 식(1)로 표시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의 결정은 용매화물 결정인 것이 바람직하고, 수화물 결정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약어는, 유기 화학 분야에 있어서의 일반적인 의미로 이해되어야 하며, 이하에 예를 나타낸다.
Bn: 벤질
Boc: t-뷰톡시카보닐
Cbz: 벤질옥시카보닐
CPME: 사이클로펜틸 메틸 에터
DABCO: 1,4-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테인
DBN: 1,5-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4.3.0]노넨-5
DBU: 1,8-다이아자바이사이클로[5.4.0]운데센-7
DCHA: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
DIPEA: N,N-다이아이소프로필에틸아민
DKP: 다이케토피페라진
DMA: 다이메틸아세트아마이드
DMI: 1,3-다이메틸-2-이미다졸리딘온
DMSO: 다이메틸설폭사이드
EOM-Cl: 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
HATU: O-(7-아자벤조트라이아졸-1-일)-N,N,N',N'-테트라메틸유로늄 헥사플루오로인산염
1H-NMR 스펙트럼: 프로톤 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HPLC: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i-: 아이소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및 질량 스펙트럼
MEM-Cl: 2-메톡시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
MOM-Cl: 메톡시메틸 클로라이드
MTBE: 메틸 tert-뷰틸 에터
n-: 노말
NMM: N-메틸모폴린
PFP: 펜타플루오로페닐
s-: 세컨더리
SEM-Cl: 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
tBu: 터셔리 뷰틸
TEA: 트라이에틸아민
Teoc: 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카보닐
t-: 터셔리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MSCl: 클로로트라이메틸실레인
TsOH·H2O: 파라톨루엔설폰산 일수화물
Sar: 사르코신
1H-NMR 스펙트럼은 핵자기 공명 장치 JNM-ECZ500(니혼 전자사제)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내부 표준 물질로서 이용한 테트라메틸실레인의 케미컬 시프트를 0ppm으로 하며, 샘플 용매로부터의 중수소 로크 신호를 참조했다. 분석 대상 화합물의 시그널의 케미컬 시프트는 ppm으로 표기했다. 시그널의 분열의 약어는, s: 싱글릿, brs: 브로드 싱글릿, d: 더블릿, t: 트리플릿, q: 쿼텟, dd: 더블 더블릿, m: 멀티플릿으로 표기하고, 시그널의 분열 폭은 J값(Hz)으로 표기했다. 시그널의 적분치는 각 시그널의 면적 강도의 비를 기초로 산출했다.
HPLC 분석에는 Waters사제 H-Class 시스템을 사용하고, PDA 검출기를 이용하여, 화합물 4의 검출에서는 220nm의 파장에서, 그 밖의 화합물의 검출에서는 210nm의 파장에서 측정했다. 실시예에 이용한 각 기질의 반응성·선택성·순도는 이하의 표 1에 나타내는 분석법으로 평가했다. LCMS 분석에는, 화합물 3, 4, 11 및 12의 검출에는 SQD2를 이용하고, 그 밖의 화합물의 검출에서는 QDa 검출기를 이용했다.
결정의 융점은, 이하의 조건에서 실시한 열분석에 의해 측정했다.
(측정 조건 1)
측정 장치: TGA/DSC3+(Mettler Toledo제)
승온 속도: 10℃/분
분위기: 건조 질소
(원료 합성 1) H-Phe-OtBu의 조제
Figure pct00017
분액 깔때기 중에서 t-뷰틸 L-페닐알라니네이트 염산염(15.05g, 58.2mmol)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00mL)에 현탁시키고,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50mL)을 가하여 혼합했다. 고체는 서서히 용해되었다. 5% 식염수(약 10mL)를 혼합액 중에 가했다. 수층을 배출하고, 유기층을 재차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50mL)으로 세정했다. 수층을 배출하고, 얻어진 유기층에 무수 황산 나트륨을 가하여 건조했다. 황산 나트륨을 여과 분별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중량 변화가 없어질 때까지 농축하여 t-뷰틸 L-페닐알라니네이트(이하, 화합물 1이라고도 한다.)를 얻었다(12.43g, 수율 97%).
HPLC 순도: 100%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72분
1H-NMR(500MHz, DMSO-d6) δ: 1.32(9H, s), 1.66(2H, bs), 2.79(2H, m), 3.44(1H, t, J=6.9Hz), 7.19-7.21(3H, m), 7.25-7.28(2H, m)
질량 분석: m/z 166.17([M-tBu+H]+)
(실시예 1) H-Phe-OtBu의 모노메틸화 반응에 대한 염기의 첨가 효과의 평가
Figure pct00018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96mg, 0.023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화합물 1의 메탄올 용액(20mL/g 기질, 2.0mL, 0.452mmol)을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37% 폼알데하이드 수용액(33.4μL, 0.452mmol, 1.0eq.)을 가하고, 염기를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했다. 수소 치환으로부터 3시간 후와 6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을 확인했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82분(화합물 1), 2.93분(화합물 1-A), 3.05분(화합물 1-B)
질량 분석: m/z 236.31(화합물 1-A, [M+H]+), 250.30(화합물 1-B, [M+H]+)
(실시예 2) H-Phe-OtBu의 모노메틸화 반응
Figure pct00020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96mg, 0.023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화합물 1의 메탄올 용액(20mL/g 기질, 2.0mL, 0.452mmol)을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37% 폼알데하이드 수용액(67μL, 0.904mmol, 2.0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했다. 수소 치환으로부터 3시간과 11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을 확인했다. 또한, 질소로 치환하기 전에 DBU(6.7μL, 0.045mmol, 0.1eq.)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반응을 행했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44분(화합물 1), 2.54분(화합물 1-A), 2.66분(화합물 1-B)
질량 분석: m/z 236.31(화합물 1-A, [M+H]+), 250.32(화합물 1-B, [M+H]+)
(실시예 3) H-Phe-OtBu의 아세트알데하이드를 이용한 모노에틸화 반응
Figure pct00022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96mg, 0.023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화합물 1의 에탄올 용액(15mL/g 기질, 1.5mL, 0.452mmol)을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아세트알데하이드(51μL, 0.904mmol, 2.0eq.)를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했다. 수소 치환으로부터 3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또한, 질소로 치환하기 전에 DBU(6.7μL, 0.045mmol, 0.1eq.)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반응을 행했다. 결과를 표 4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43분(화합물 1), 2.63분(화합물 1-C), 2.85분(화합물 1-D)
질량 분석: m/z 250.31(화합물 1-C, [M+H]+), 278.33(화합물 1-D, [M+H]+)
(실시예 4) H-Phe-OtBu의 아세토나이트릴을 이용한 모노에틸화 반응
Figure pct00024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96mg, 0.023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화합물 1의 에탄올 용액(15mL/g 기질, 1.5mL, 0.452mmol)을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아세토나이트릴(236μL, 4.52mmol, 10.0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하고, 30℃에서 교반했다. 수소 치환으로부터 5시간 후와 11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을 확인했다. 또한, 질소로 치환하기 전에 DBU(6.7μL, 0.045mmol, 0.1eq.)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반응을 행했다. 결과를 표 5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61분(화합물 1), 2.83분(화합물 1-C), 3.06분(화합물 1-D)
질량 분석: m/z 250.09(화합물 1-C, [M+H]+), 278.06(화합물 1-D, [M+H]+)
(실시예 5) H-Phe-OtBu의 프로판알을 이용한 모노프로필화 반응
Figure pct00026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96mg, 0.023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화합물 1의 에탄올 용액(15mL/g 기질, 1.5mL, 0.452mmol)을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프로판알(65μL, 0.904mmol, 2.0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했다. 수소 치환으로부터 3시간 후와 6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또한, 질소로 치환하기 전에 DBU(6.7μL, 0.045mmol, 0.1eq.)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반응을 행했다. 결과를 표 6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42분(화합물 1), 2.82분(화합물 1-E), 3.27분(화합물 1-F)
질량 분석: m/z 264.36(화합물 1-E, [M+H]+), 306.38(화합물 1-F, [M+H]+)
(실시예 6) H-Phe-OtBu의 프로피오나이트릴을 이용한 모노프로필화 반응
Figure pct00028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96mg, 0.023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화합물 1의 에탄올 용액(15mL/g 기질, 1.5mL, 0.452mmol)을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프로피오나이트릴(322μL, 4.52mmol, 10.0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했다. 수소 치환으로부터 8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을 확인했다. 결과를 표 7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69분(화합물 1), 3.11분(화합물 1-E), 3.58분(화합물 1-F)
질량 분석: m/z 264.29(화합물 1-E, [M+H]+), 306.31(화합물 1-F, [M+H]+)
(실시예 7) H-Phe-OtBu의 뷰탄알을 이용한 모노뷰틸화 반응
Figure pct00030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96mg, 0.023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화합물 1의 에탄올 용액(15mL/g 기질, 1.5mL, 0.452mmol)을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뷰탄알(81μL, 0.904mmol, 2.0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했다. 수소 치환으로부터 3시간 후와 6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또한, 질소로 치환하기 전에 DBU(6.7μL, 0.045mmol, 0.1eq.)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반응을 행했다. 결과를 표 8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42분(화합물 1), 3.04분(화합물 1-G), 3.68분(화합물 1-H)
질량 분석: m/z 278.35(화합물 1-G, [M+H]+), 334.43(화합물 1-H, [M+H]+)
(실시예 8) H-Phe-OtBu의 뷰티로나이트릴을 이용한 모노뷰틸화 반응
Figure pct00032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96mg, 0.023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화합물 1의 에탄올 용액(15mL/g 기질, 1.5mL, 0.452mmol)을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뷰티로나이트릴(393μL, 4.52mmol, 10.0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했다. 수소 치환으로부터 5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을 확인했다. 결과를 표 9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67분(화합물 1), 3.32분(화합물 1-G), 3.99분(화합물 1-H)
질량 분석: m/z 278.30(화합물 1-G, [M+H]+), 334.39(화합물 1-H, [M+H]+)
(실시예 9) H-Val-MeAsp(OtBu)-NMe 2 의 프로판알을 이용한 모노프로필화 반응
Figure pct00034
교반자를 넣은 바이알에 5% 팔라듐 탄소(50% wet, 48mg, 0.011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화합물 2의 에탄올 용액(10mL/g 기질, 0.75mL, 0.228mmol)을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프로판알(82μL, 1.138mmol, 5.0eq.)을 가했다. 바이알을 내압 용기에 넣고, 바이알 중의 반응액을 교반하면서 내압 용기 중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했다. 수소 치환하고 나서 6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또한, 질소로 치환하기 전에 TEA(63.5μL, 0.455mmol, 2.0eq.)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반응을 행했다. 결과를 표 10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06분(화합물 2), 2.41분(화합물 2-E), 2.77분(화합물 2-F)
질량 분석: m/z 372.68(화합물 2-E, [M+H]+), 414.65(화합물 2-F, [M+H]+)
(실시예 10) H-Val-MeAsp(OtBu)-NMe 2 의 뷰탄알을 이용한 모노뷰틸화 반응
Figure pct00036
교반자를 넣은 바이알에 5% 팔라듐 탄소(50% wet, 48mg, 0.011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화합물 2의 에탄올 용액(10mL/g 기질, 0.75mL, 0.228mmol)을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뷰탄알(103μL, 1.138mmol, 5.0eq.)을 가했다. 그 후, 그 바이알을 내압 용기에 넣고, 내압 용기 내에서 교반하면서 내압 용기 중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했다. 수소 치환하고 나서 6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또한, 질소로 치환하기 전에 TEA(63.5μL, 0.455mmol, 2.0eq.)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반응을 행했다. 결과를 표 11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06분(화합물 2), 2.64분(화합물 2-G), 3.22분(화합물 2-H)
질량 분석: m/z 386.71(화합물 2-G, [M+H]+), 442.87(화합물-H, [M+H]+)
(실시예 11) Cbz-Phe-OtBu의 탈보호와 모노에틸화 반응의 동일 one-pot 실시
Figure pct00038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 또는 바이알에 5% 팔라듐 탄소(50% wet, 120mg, 0.028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p-톨루엔설폰산(107mg, 0.563mmol, 1.0eq.)을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화합물 P1의 THF 용액(10mL/g 기질, 2.0mL, 0.563mmol)과 아세토나이트릴(294μL, 5.63mmol, 10.0eq.)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하고, 30℃에서 교반했다. 수소압이 1기압인 경우, 수소를 충전한 풍선을 이용하여 수소를 공급했다. 수소압이 3.5기압 또는 5.5기압인 조건에서는, 반응액이 들어 있는 바이알을 내압 용기에 넣고, 내압 용기 내를 질소 치환 후, 수소 치환을 행했다. 수소 치환하고 나서 10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을 확인했다. 결과를 표 12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2.61분(화합물 1), 2.83분(화합물 1-C), 3.06분(화합물 1-D)
질량 분석: m/z 250.09(화합물 1-C, [M+H]+), 278.06(화합물 1-D, [M+H]+)
(원료 합성 2) Cbz-Asp(OtBu)-NMe 2 의 합성
Figure pct00040
질소 치환한 200mL 플라스크에 화합물 P4(3.55g, 10.4mmol) 및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2mL, 30eq.)을 가했다. 플라스크를 빙욕에서 냉각하면서, 얻어진 혼합물에, 다이메틸아민의 THF 용액(2.0M, 7.8mL, 15.6mmol, 1.5eq.) 및 DIPEA(6.2mL, 36.4mmol, 3.5eq.)를 순차적으로 가했다. 그 후,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6M, 16.3mL, 26.0mmol, 2.5eq.)을 혼합물에 적하했다. 적하 중의 내온은 15.0∼26.0℃였다. 적하 종료 후, 실온에서 1.5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플라스크를 빙욕에서 냉각하면서 5% 황산수소 나트륨 수용액(20mL)을 천천히 가했다. 15분 교반 후, 반응액 전량을 분액 깔때기로 이송하고, 정치 후, 수층을 제거했다. 5% 황산수소 나트륨 수용액(20mL)을 유기층에 가하고, 잘 흔든 후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탄산 칼륨 수용액(20mL)을 유기층에 가하고, 잘 흔든 후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탄산 칼륨 수용액(20mL)에 의한 분액 세정을 1회 더 반복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하에서 농축하여, 3.9g의 조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P5를 얻었다(3.48g, 수율 95%).
HPLC 순도: 100%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3.83분
질량 분석: m/z 295.21([M-tBu+H]+)
(실시예 12) Cbz-Asp(OtBu)-NMe 2 의 탈보호와 모노프로필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41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60mg, 0.014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화합물 P5의 에탄올 용액(15mL/g 기질, 1.5mL, 0.285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탈보호 반응을 행했다. 3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프로판알(41μL, 0.571mmol, 2.0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했다. 수소 치환으로부터 4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또한, 프로판알을 가하기 직전에 DBU(4.3μL, 0.029mmol, 0.1eq.)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반응을 행했다. 결과를 표 13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3.57분(화합물 P5), 1.69분(화합물 5), 2.04분(화합물 5-E), 2.49분(화합물 5-F)
질량 분석: m/z 295.23(화합물 P5, [M-tBu+H]+), 259.32(화합물 5-E, [M+H]+), 301.35(화합물 5-F, [M+H]+)
(원료 합성 3) Cbz-Phe(4-Me)-Sar-OtBu의 합성
Figure pct00043
2L 플라스크에 화합물 P6(30.36g, 96mmol)과 t-뷰틸 사르코시네이트 염산염(20.87g, 115mmol, 1.2eq.)을 가하고,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했다.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90mL, 30eq.)을 가하고, 외온 15℃까지 냉각하고, DIPEA(88mL, 517mmol, 5.4eq.)를 적하 깔때기로부터 적하했다.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6M, 132mL, 211mmol, 2.2eq.)을 적하 깔때기로부터 1시간 20분에 걸쳐 적하했다. 적하 중의 내온은 15.0∼17.4℃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80mL)을 적하 깔때기로부터 천천히 가했다. 적하 시의 내온은 30.3℃ 이하를 유지했다. 적하 종료 후, 외온을 23℃로 설정했다. 15분 이상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황산수소 나트륨 수용액(180mL)을 유기층에 가하고, 10분 이상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황산수소 나트륨 수용액(180mL)에 의한 분액 세정을 1회 더 반복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80mL)을 유기층에 가하고, 10분 이상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44.93g의 조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생성물의 일부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화합물 P7을 얻었다.
HPLC 순도: 100%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3.80분
질량 분석: m/z 385.34([M-tBu+H]+)
(실시예 13) Cbz-Phe(4-Me)-Sar-OtBu의 탈보호와 모노에틸화 반응의 one-pot 실시: TsOH의 첨가에 의한 DKP 형성의 억제 효과
Figure pct00044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48mg, 0.011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TsOH·H2O(43mg, 0.227mmol, 1.0eq.)를 가했다. 얻어진 혼합물에, 화합물 P7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0mL/g 기질, 1.0mL, 0.227mmol)과 아세토나이트릴(119μL, 2.27mmol, 10.0eq.)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하고, 25℃에서 교반했다. 수소 치환으로부터 6시간 후 또는 10.5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을 확인했다. 또한, 질소로 치환하기 전에 TsOH·H2O(43mg, 0.227mmol, 1.0eq.)를 첨가한 것 이외에는 마찬가지로 하여, 반응을 행했다. 결과를 표 14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1.66분(화합물 7-DKP), 2.23분(화합물 7), 2.32분(화합물 7-C), 2.46분(화합물 7-D)
질량 분석: m/z 233.26(화합물 7-DKP, [M+H]+), 307.26(화합물 7, [M+H]+), 335.34(화합물 7-C, [M+H]+), 363.38(화합물 7-D, [M+H]+)
(실시예 14) Cbz-Phe(4-Me)-Sar-OtBu의 탈보호와 모노에틸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46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 또는 내압 반응 용기에 5% 팔라듐 탄소(50% wet, 97mg, 0.023mmol, 5mol% 금속 Pd 기준)와 p-톨루엔설폰산(86mg, 0.454mmol, 1.0eq.)을 가했다. 화합물 P7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0mL/g 기질, 2.0mL, 0.454mmol)과 아세토나이트릴(237μL, 4.54mmol, 10.0eq.)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교반하면서 플라스크 내의 기상을 질소로 치환하고, 수소로 재치환하고, 30℃에서 반응을 행했다. 수소압이 1기압인 경우, 수소를 충전한 풍선을 이용하여 수소를 공급했다. 수소압이 5.5기압인 경우, 반응액이 들어 있는 바이알을 내압 용기에 넣고, 내압 용기 내를 질소 치환 후, 수소 치환을 행했다. 수소 치환으로부터 10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각 화합물의 비율을 확인했다. 결과를 표 15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2.23분(화합물 7), 2.32분(화합물 7-C), 2.46분(화합물 7-D)
질량 분석: m/z 307.26(화합물 7, [M+H]+), 335.34(화합물 7-C, [M+H]+), 363.38(화합물 7-D, [M+H]+)
(실시예 15) Cbz-Aze-EtPhe(4-Me)-Sar-OtBu의 합성
Figure pct00048
화합물 7-C(3.00g, 8.97mmol, 화합물 7-D를 1.6% 포함한다)를 200mL 플라스크 중에서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7.0mL, 30eq.)에 용해하고, 화합물 8(3.17g, 13.45mmol, 1.5eq.)을 가하고, 질소 치환했다. 외온 15℃까지 냉각하고, DIPEA(9.0mL, 53.8mmol, 6.0eq.)를 시린지로 가했다.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6M, 20mL, 31.4mmol, 3.5eq.)을 적하 깔때기로부터 17분에 걸쳐 적하했다. 적하 중의 내온은 15.0∼18.0℃였다. 적하 종료 후 5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27mL)을 적하 깔때기로부터 천천히 가했다. 적하 시의 내온은 28.0℃ 이하를 유지했다. 적하 종료 후, 외온을 25℃로 설정했다.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사이클로헥세인(15mL)과 5% 황산수소 나트륨 수용액(30mL)을 가하고, 10분 이상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황산수소 나트륨 수용액(30mL)에 의한 분액 세정을 1회 더 반복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30mL)을 가하고, 10분 이상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분액 세정에 의해 원료에 포함되어 있던 화합물 7-D가 완전히 제거되어 있는 것을 HPLC 분석으로 확인했다. 반응 전 및 분액 세정 후의 분석 결과를 표 16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2.47분(화합물 7-C), 2.61분(화합물 7-D), 3.84분(화합물 9)
질량 분석: m/z 407.36(화합물 9, [M-Sar+H]+)
(원료 합성 4) Cbz-Phe(4-Me)-Sar-OtBu의 50그램 스케일 합성
Figure pct00050
2L 플라스크에 화합물 P6(50.03g, 160mmol)과 t-뷰틸 사르코시네이트 염산염(34.50g, 191mmol, 1.2eq.)을 가하고, 질소 치환했다.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485mL, 30eq.)을 가하고, 외온 15℃까지 냉각하고, DIPEA(147mL, 862mmol, 5.4eq.)를 적하 깔때기로부터 적하했다.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6M, 219mL, 2.2eq.)을 적하 깔때기로부터 1시간 20분에 걸쳐 적하했다. 적하 중의 내온은 15.5∼18.5℃였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300mL)을 적하 깔때기로부터 천천히 가했다. 적하 시의 내온은 22.8℃ 이하를 유지했다. 적하 종료 후, 외온을 23℃로 설정했다. 15분 이상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황산수소 나트륨 수용액(300mL)을 가하고, 10분 이상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황산수소 나트륨 수용액(300mL)에 의한 분액 세정을 2회 더 반복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300mL)을 가하고, 10분 이상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염화 나트륨 수용액(300mL)을 가하고, 10분 이상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염화 나트륨 수용액(300mL)에 의한 분액 세정을 1회 더 반복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했다. 얻어진 화합물 P7의 용액(175.41g)에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29mL)을 가하여, 농도 0.189g/g의 용액을 조제했다.
HPLC 순도: 99.37%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3.78분
질량 분석: m/z 385.32([M-tBu+H]+)
(실시예 16) Cbz-Phe(4-Me)-Sar-OtBu의 탈보호와 모노에틸화 반응의 30그램 스케일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51
교반 날개 부착 1L 내압 반응 용기 내를 질소 치환하고, 5% 팔라듐 탄소(50% wet, 20.30g, 4.77mmol, 7mol% 금속 Pd 기준)와 TsOH·H2O(12.95g, 68.1mmol, 1.0eq.)를 가했다. 화합물 P7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농도 0.189g/g, 159.0g 용액, 30.0g 기질, 68.1mmol)을 가하고,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50mL)과 아세토나이트릴(35.6mL, 681mmol, 10.0eq.)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30℃에서 반응을 행했다. 반응 중의 용기 내압은 2-4atm을 유지하도록 수소를 공급했다. 반응 개시 후 1시간, 2시간, 3시간의 시점에서 150-300torr의 감압도로 1분간 탈기를 행했다. 반응 시간 5시간의 시점에서 5% 팔라듐 탄소(50% wet, 8.70g, 2.04mmol, 3mol% 금속 Pd 기준)를 추가했다. 반응 시간 11시간의 시점에서 질소 치환하고, 질소 분위기하에서 12시간 정치 보관했다. 보관 후, 수소 치환하여 반응을 재개하고, 재개 후 7시간 후에 질소 치환하여 반응을 종료했다. 팔라듐 탄소를 감압 흡인으로 여과 분별하고, 여과 분별한 팔라듐 탄소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90mL)으로 3회 세정했다. 여과액과 세정액을 혼합하고, 분액 깔때기를 이용하여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50mL)으로 2회 분액 세정했다. 세정 후의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목적물인 화합물 7-C를 얻었다. 수율은, 화합물 P6으로부터의 2공정을 통하여 93%였다. 반응 중 및 반응 후의 분석 결과를 표 17에 나타낸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2.23분(화합물 7), 2.32분(화합물 7-C), 2.46분(화합물 7-D)
질량 분석: m/z 307.26(화합물 7, [M+H]+), 335.34(화합물 7-C, [M+H]+), 363.38(화합물 7-D, [M+H]+)
(실시예 17) H-Phe-OtBu의 모노메틸화 반응에 있어서의 메틸화 시약의 평가
Figure pct00053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72mg, 0.017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H-Phe-OtBu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20mL/g 기질, 1.5mL, 0.339mmol)을 가했다. TEA(71μL, 0.508mmol, 1.5eq.)와 메틸화 시약(0.407mmol, 1.2eq.)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반응을 행했다.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모노메틸화체, 다이메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H-Phe-OtBu: 2.75 min, mono-Me: 2.84 min, di-Me: 2.98 min
질량 분석: H-Phe-OtBu: m/z 166.47([M-tBu+H]+), mono-Me: m/z 236.59([M+H]+), di-Me: m/z 250.61([M+H]+)
(실시예 18) H-Phe-OtBu의 SEM-Cl을 메틸화 시약으로서 이용한 모노메틸화 반응: 1그램 스케일
Figure pct00055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1.154g, 0.271mmol, 6 mol% on Pd metal basis)와 H-Phe-OtBu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0mL/g 기질, 10.0mL, 4.52mmol)을 가했다. TEA(0.945mL, 6.78mmol, 1.5eq.)와 DBU(68μL, 0.452mmol, 0.1eq.)를 순차적으로 가하고, 마지막으로 SEM-Cl(0.96mL, 5.42mmol, 1.2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30℃에서 반응을 행했다. 8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모노메틸화체, 다이메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H-Phe-OtBu: 2.82 min, mono-Me: 2.90 min, di-Me: 3.06 min
질량 분석: H-Phe-OtBu: m/z 166.42([M-tBu+H]+), mono-Me: m/z 236.53([M+H]+), di-Me: m/z 250.55([M+H]+)
(실시예 19) H-Phe-OtBu의 모노메틸화 반응: 폼알데하이드 수용액을 메틸화 시약으로서 이용한 비교 실험
Figure pct00057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H-Phe-OtBu(75mg, 0.339mmol)를 가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1.5mL)을 가했다. 5% 팔라듐 탄소(50% wet, 72mg, 0.017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37% 폼알데하이드 수용액(25.1μL, 0.339mmol, 1.0eq.)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25℃에서 반응을 행했다. 6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모노메틸화체, 다이메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H-Phe-OtBu: 2.75 min, mono-Me: 2.85 min, di-Me: 2.98 min
질량 분석: H-Phe-OtBu: m/z 166.47([M-tBu+H]+), mono-Me: m/z 236.59([M+H]+), di-Me: m/z 250.61([M+H]+)
(실시예 20) H-Phe-OtBu의 모노메틸화 반응에 있어서의 수소 가스 이외의 환원제의 평가
Figure pct00059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231mg, 0.054mmol, 6mol% on Pd metal basis)와 H-Phe-OtBu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0mL/g 기질, 2.0mL, 0.904mmol)을 가했다. TEA(189μL, 1.356mmol, 1.5eq.)를 가했다. SEM-Cl(192μL, 1.085mmol, 1.2eq.)과 환원제(1.356mmol, 1.5eq.)를 순차적으로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여 30℃에서 반응을 행했다. 5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모노메틸화체, 다이메틸화체의 비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H-Phe-OtBu: 2.80 min, mono-Me: 2.88 min, di-Me: 3.03 min
질량 분석: H-Phe-OtBu: m/z 166.36([M-tBu+H]+), mono-Me: m/z 236.53([M+H]+), di-Me: m/z 250.55([M+H]+)
(실시예 21) Cbz-Val-MeAsp(OtBu)-NMe2의 탈보호와 모노메틸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61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46mg, 0.004mmol, 2 mol% on Pd metal basis)와 Cbz-Val-MeAsp(OtBu)-NMe2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1.5mL, 0.216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25℃에서 탈Cbz 반응을 행했다. 1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5% 팔라듐 탄소(50% wet, 46mg, 0.011mmol, 5mol% on Pd metal basis), TEA(45μL, 0.324mmol, 1.5eq.), SEM-Cl(46μL, 0.259mmol, 1.2eq.)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30℃에서 메틸화 반응을 행했다. 8.5시간 후와 10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메틸화체, 다이메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NH2: 2.34 min, mono-Me: 2.39 min, di-Me: 2.48 min
질량 분석: NH2: m/z 330.75([M+H]+), mono-Me: m/z 344.94([M+H]+), di-Me: m/z 358.80([M+H]+)
(실시예 22) Cbz-Ala-EtPhe(4-Me)-Sar-OtBu의 탈보호와 모노메틸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63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21mg, 0.005mmol, 2mol% on Pd metal basis)와 Cbz-Ala-EtPhe(4-Me)-Sar-OtBu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250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25℃에서 탈Cbz 반응을 행했다. 1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5% 팔라듐 탄소(50% wet, 85mg, 0.020mmol, 8mol% on Pd metal basis), TEA(70μL, 0.500mmol, 2.0eq.), SEM-Cl(58μL, 0.325mmol, 1.3eq.)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30℃에서 메틸화 반응을 행했다. 8시간 후와 10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메틸화체, 다이메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mono-Me: 3.33 min, di-Me: 3.40 min
질량 분석: mono-Me: m/z 420.93([M+H]+), di-Me: m/z 434.89([M+H]+)
(실시예 23) Cbz-Ala-EtPhe(4-Me)-Sar-OtBu의 탈보호와 모노메틸화 반응의 one-pot 실시: 폼알데하이드 수용액을 메틸화 시약으로서 이용한 비교 실험
Figure pct00065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53mg, 0.013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Cbz-Ala-EtPhe(4-Me)-Sar-OtBu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250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25℃에서 탈Cbz 반응을 행했다. 1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37% 폼알데하이드 수용액(22.2μL, 0.300mmol, 1.2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25℃에서 메틸화 반응을 행했다. 7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메틸화체, 다이메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mono-Me: 3.34 min, di-Me: 3.41 min
질량 분석: mono-Me: m/z 420.93([M+H]+), di-Me: m/z 434.84([M+H]+)
(실시예 24)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탈보호와 모노메틸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67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12mg, 0.003mmol, 2mol% on Pd metal basis)와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138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25℃에서 탈Cbz 반응을 행했다. 1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5% 팔라듐 탄소(50% wet, 47mg, 0.011mmol, 8mol% on Pd metal basis), TEA(39μL, 0.276mmol, 2.0eq.), SEM-Cl(39μL, 0.276mmol, 1.5eq.)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35℃에서 메틸화 반응을 행했다. 8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메틸화체, 다이메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NH2: 4.22 min, mono-Me: 4.28 min, di-Me: 4.40 min
질량 분석: NH2: m/z 843.93([M+H]+), mono-Me: m/z 858.35([M+H]+), di-Me: m/z 872.20([M+H]+)
(실시예 25)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탈보호와 모노메틸화 반응의 one-pot 실시: 폼알데하이드 수용액을 메틸화 시약으로서 이용한 비교 실험
Figure pct00069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29mg, 0.007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138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25℃에서 탈Cbz 반응을 행했다. 1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37% 폼알데하이드 수용액(12.3μL, 0.166mmol, 1.2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25℃에서 메틸화 반응을 행했다. 7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메틸화체, 다이메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Cbz-NHR: 6.00 min, NH2: 4.21 min, mono-Me: 4.29 min, di-Me: 4.38 min
질량 분석: Cbz-NHR: m/z 1000.23([M+Na]+), NH2: m/z 844.16([M+H]+), mono-Me: m/z 858.35([M+H]+), di-Me: m/z 872.43([M+H]+)
(실시예 26) H-Phe-OtBu의 모노프로필화: 환원제로서 트라이에틸실레인을 이용한 예
Figure pct00071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H-Phe-OtBu(84mg, 0.380mmol)를 가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mL)을 가했다. 5% 팔라듐 탄소(50% wet, 82mg, 0.015mmol, 5mol% on Pd metal basis)를 가했다. n-프로판알(36μL, 0.494mmol, 1.3eq.)과 트라이에틸실레인(303μL, 1.899mmol, 5.0eq.)을 순차적으로 가하고,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여 25℃에서 반응을 행했다. 2.5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프로필화체, 다이프로필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H-Phe-OtBu: 2.70 min, mono-Pr: 3.12 min, di-Pr: 3.61 min
질량 분석: H-Phe-OtBu: m/z 166.47([M-tBu+H]+), mono-Pr: m/z 264.74([M+H]+), di-Pr: m/z 306.81([M+H]+)
(실시예 27) Cbz-Ala-EtPhe(4-Me)-Sar-OtBu의 탈보호와 모노프로필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73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53mg, 0.013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Cbz-Ala-EtPhe(4-Me)-Sar-OtBu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250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탈Cbz 반응을 행했다. 1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n-프로판알(27μL, 0.375mmol, 1.5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프로필화 반응을 행했다. 5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프로필화체, 다이프로필화체의 비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n-프로판알 첨가 직전의 DBU(3.7μL, 0.025mmol, 0.1eq.) 첨가 유무의 2가지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NH2: 3.30 min, mono-Pr: 3.59 min, di-Pr: 3.95 min
질량 분석: NH2: m/z 406.85([M+H]+), mono-Pr: m/z 449.03([M+H]+), di-Pr: m/z 490.92([M+H]+)
(실시예 28)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탈보호와 모노프로필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75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29mg, 0.014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138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탈Cbz 반응을 행했다. 1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n-프로판알(13μL, 0.180mmol, 1.3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프로필화 반응을 행했다. 7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프로필화체, 다이프로필화체의 비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n-프로판알 첨가 직전의 DBU(2.1μL, 0.014mmol, 0.1eq.) 첨가 유무의 2가지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mono-Pr: 4.47 min, di-Pr: 4.79 min
질량 분석: mono-Pr: m/z 886.34([M+H]+), di-Pr: m/z 928.41([M+H]+)
(실시예 29) Cbz-Val-MeAsp(OtBu)-NMe2의 탈보호와 모노뷰틸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77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124mg, 0.029mmol, 10mol% on Pd metal basis)와 Cbz-Val-MeAsp(OtBu)-NMe2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291mmol)을 가했다. 뷰티로나이트릴(253μL, 2.91mmol, 10.0eq.)을 가하고,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30℃에서 반응을 행했다. 8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뷰틸화체, 다이뷰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NH2: 2.28 min, mono-Bu: 2.86 min, di-Bu: 3.49 min
질량 분석: NH2: m/z 330.75([M+H]+), mono-Bu: m/z 386.90([M+H]+), di-Bu: m/z 442.99([M+H]+)
(실시예 30) Cbz-Ala-EtPhe(4-Me)-Sar-OtBu의 탈보호와 모노뷰틸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79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53mg, 0.013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Cbz-Ala-EtPhe(4-Me)-Sar-OtBu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250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탈Cbz 반응을 행했다. 1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n-뷰탄알(33μL, 0.375mmol, 1.5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뷰틸화 반응을 개시했다. 5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뷰틸화체, 다이뷰틸화체의 비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n-뷰탄알 첨가 직전의 DBU(3.7μL, 0.025mmol, 0.1eq.) 첨가 유무의 2가지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NH2: 3.30 min, mono-Bu: 3.80 min, di-Bu: 4.35 min
질량 분석: NH2: m/z 406.85([M+H]+), mono-Bu: m/z 463.11([M+H]+), di-Bu: m/z 519.03([M+H]+)
(실시예 31)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탈보호와 모노뷰틸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81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12mg, 0.003mmol, 2mol% on Pd metal basis)와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138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25℃에서 탈Cbz 반응을 행했다. 1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5% 팔라듐 탄소(50% wet, 47mg, 0.011mmol, 8mol% on Pd metal basis)와 뷰티로나이트릴(120μL, 1.382mmol, 10.0eq.)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30℃에서 뷰틸화 반응을 행했다. 10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뷰틸화체, 다이뷰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mono-Bu: 4.56 min
질량 분석: mono-Bu: m/z 900.31([M+H]+)
(실시예 32) Cbz-Val-MeAsp(OtBu)-NMe2의 탈보호와 모노헥실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83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62mg, 0.015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Cbz-Val-MeAsp(OtBu)-NMe2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291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탈Cbz 반응을 행했다. 1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n-헥산알(46μL, 0.379mmol, 1.3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헥실화 반응을 25℃에서 행했다. 6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헥실화체, 다이헥실화체의 비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n-헥산알 첨가 직전의 DBU(4.4μL, 0.029mmol, 0.1eq.) 첨가 유무의 2가지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NH2: 2.32 min, mono-Hex: 3.42 min, di-Hex: 4.47 min
질량 분석: NH2: m/z([M+H]+), mono-Hex: m/z 415.11([M+H]+), di-Hex: m/z 499.02([M+H]+)
(실시예 33) Cbz-Val-MeAsp(OtBu)-NMe2의 탈보호와 모노헥실화 반응의 one-pot 실시: 환원제로서 트라이에틸실레인을 이용한 예
Figure pct00085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62mg, 0.015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Cbz-Val-MeAsp(OtBu)-NMe2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291mmol)을 가했다. n-헥산알(46μL, 0.379mmol, 1.3eq.)과 트라이에틸실레인(233μL, 1.456mmol, 5.0eq.)을 순차적으로 가하고,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여 25℃에서 반응을 행했다. 7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헥실화체, 다이헥실화체의 비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mono-Hex: 3.44 min, di-Hex: 4.47 min
질량 분석: mono-Hex: m/z 415.00([M+H]+), di-Hex: m/z 499.02([M+H]+)
(실시예 34)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탈보호와 모노헥실화 반응의 one-pot 실시
Figure pct00087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5% 팔라듐 탄소(50% wet, 29mg, 0.014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5mL/g 기질, 2.0mL, 0.138mmol)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탈Cbz 반응을 행했다. 1시간 후에 감압 조건에서 탈기하고, n-헥산알(22μL, 0.180mmol, 1.3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헥실화 반응을 25℃에서 행했다. 6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헥실화체, 다이헥실화체의 비 및 불순물의 양을 확인했다. n-헥산알 첨가 직전의 DBU(2.1μL, 0.014mmol, 0.1eq.) 첨가 유무의 2가지 실험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mono-Hex: 4.87 min, di-Hex: 5.54 min
질량 분석: mono-Hex: m/z 928.41([M+H]+), di-Hex: m/z 1012.54([M+H]+)
(실시예 35) H-Phe(4-Me)-OH의 모노에틸화 반응
Figure pct00089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H-Phe(4-Me)-OH(100mg, 0.558mmol)를 가하고, 에탄올(2.0mL)을 가했다. 2M NaOH 수용액(0.265mL, 0.530mmol, 0.95eq.)을 가하고, 기질을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에 5% 팔라듐 탄소(50% wet, 119mg, 0.028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아세토나이트릴(0.291mL, 5.58mmol, 10.0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30℃에서 에틸화 반응을 행했다. 7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에틸화체, 다이에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mono-Et: 2.00 min, di-Et: 2.29 min
질량 분석: mono-Et: m/z 208.77([M+H]+), di-Et: m/z 236.76([M+H]+)
(실시예 36) H-Phe(4-Me)-OH의 모노프로필화 반응
Figure pct00091
교반자를 넣은 플라스크에 H-Phe(4-Me)-OH(100mg, 0.558mmol)를 가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mL)을 가했다. 2M NaOH 수용액(x eq., 표 37 참조)을 가하고, 기질을 용해하여 얻어진 용액에 5% 팔라듐 탄소(50% wet, 119mg, 0.028mmol, 5mol% on Pd metal basis)를 가했다. 염기성 첨가제(y eq., 표 37 참조) 및 n-프로판알(52μL, 0.725mmol, 1.3eq.)을 가했다.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25℃에서 프로필화 반응을 행했다. HPLC 분석에 의해 원료, NH2체, 모노에틸화체, 다이에틸화체의 비를 확인했다. NaOH의 당량 및 Et3N(78μL, 1.0eq., 0.558mmol) 또는 DBU(8.3μL, 0.056mmol, 0.1eq.)의 첨가의 효과를 평가했다.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H-Phe(4-Me)-OH: 1.88 min, mono-Pr: 2.23 min, di-Pr: 3.00 min
질량 분석: H-Phe(4-Me)-OH: m/z 180.50([M+H]+), mono-Pr: m/z 222.68([M+H]+), di-Pr: m/z 264.63([M+H]+)
(원료 합성 5) Cbz-Val-MeAsp(OtBu)-NMe2의 합성
Figure pct00093
실시예 49에 기재된 합성법에 의해 얻어진 H-MeAsp(OtBu)-NMe2의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4.26g의 오일을 얻었다.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43mL)을 가하여 용액으로 하고, Cbz-Val-OH(5.11g, 20.35mmol, 1.1eq.)를 가했다. 플라스크를 빙욕에서 냉각하고, DIPEA(12.9mL, 74.0mmol, 4.0eq.)를 가했다.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6M, 23mL, 37.0mmol, 2.0eq.)을 시린지로 10분에 걸쳐 적하했다. 적하 중의 내온은 8.0∼19.0℃를 유지했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34mL)을 적하하고 교반한 후에 분액 깔때기로 이송하고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황산수소 나트륨 수용액(34mL)을 가하고 잘 흔든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황산수소 나트륨 수용액(34mL)에 의한 분액 세정을 1회 더 반복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34mL)을 가하고, 잘 흔든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9.0g의 조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7.0g의 Cbz-Val-MeAsp(OtBu)-NMe2를 얻었다.
수율: 82%
HPLC 순도: 100%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4.45 min
질량 분석: m/z 486.76([M+Na]+)
(원료 합성 6) Cbz-Ala-EtPhe(4-Me)-Sar-OtBu의 합성
Figure pct00094
실시예 38에 기재된 합성법에 의해 얻어진 H-EtPhe(4-Me)-Sar-OtBu 염산염(6.0g, 16.18mmol)을 분액 깔때기 중에서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00mL)에 현탁시키고,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00mL)으로 세정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00mL)에 의한 분액 세정을 1회 더 반복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4.81g의 H-EtPhe(4-Me)-Sar-OtBu를 얻었다.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48mL)을 가하여 용액으로 하고, Cbz-Ala-OH(3.52g, 15.79mmol, 1.1eq.)를 가했다. DIPEA(10.0mL, 57.4mmol, 4.0eq.)를 가하고,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6M, 18mL, 28.7mmol, 2.0eq.)을 시린지로 10분에 걸쳐 적하했다. 적하 종료 후 3시간 실온에서 교반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40mL)을 적하하고 교반한 후에 분액 깔때기로 이송하고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5% 황산수소 나트륨 수용액(40mL)에 의한 분액 세정을 4회 실시한 후, 5% 탄산 나트륨 수용액(40mL)에 의한 분액 세정을 2회 실시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5.26g의 조생성물을 얻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3.14g의 Cbz-Ala-EtPhe(4-Me)-Sar-OtBu를 얻었다.
수율: 40%
HPLC 순도: 99.5%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5.50 min
질량 분석: m/z 562.86([M+Na]+)
(원료 합성 7)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
Figure pct00095
실시예 59에 기재된 합성법에 의해 얻어진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용액을 감압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6.1g의 오일을 얻었다. 얻어진 조생성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4.4g의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를 얻었다.
수율: 88%
HPLC 순도: 100%
측정 방법: HPLC Method A
유지 시간: 6.00 min
질량 분석: m/z 1000.23([M+Na]+)
(실시예 37) Cbz-Phe(4-Me)-Sar-OtBu의 합성
Figure pct00096
반응 용기에 Cbz-Phe(4-Me)-OH(17.22g, 55.0mmol), H-Sar-OtBu 염산염(11.06g, 59.7mmol),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41g)과 DIPEA(37.91g, 293mmol)를 25℃에서 가했다.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50.4wt%, 75.31g, 119mmol)을 1시간 30분에 걸쳐 적하했다. 적하 종료 후 2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02g)을 40분에 걸쳐 적하했다.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5% 황산수소 나트륨 일수화물 수용액(102g, 2회),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02g), 5% 염화 나트륨 수용액(102g, 2회)으로 분액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Cbz-Phe(4-Me)-Sar-OtBu를 포함하는 용액(38.80g)을 얻었다.
HPLC 순도: 99.87%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4.11 min
질량 분석: m/z 441([M+H]+)
(실시예 38) H-EtPhe(4-Me)-Sar-OtBu 염산염의 합성
Figure pct00097
반응 용기에 5% 팔라듐 탄소(55.31% wet, 2.60g, 0.546mmol, 1mol% on Pd metal basis), 실시예 37에서 얻어진 Cbz-Phe(4-Me)-Sar-OtBu의 용액(38.80g),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79g), 아세토나이트릴(22.29g, 543mmol, 10.0eq.), TsOH·H2O(10.85g, 57.0mmol, 1.0eq.)와 물(1.03g, 56.9mmol)을 가했다. 25℃에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수소 분위기하(0.20MPaG)에서 2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Cbz-Phe(4-Me)-Sar-OtBu가 소실된 것을 확인했다. 반응 용기를 질소 치환하고, 5% 팔라듐 탄소(55.31% wet, 15.50g, 3.26mmol, 6mol% on Pd metal basis)를 가했다. 반응 용기를 수소 치환한 후, 33℃로 승온했다. 수소 분위기하(0.20MPaG), 33℃에서 7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률이 99%인 것을 확인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케이크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68g으로 2회, 51g으로 1회)에 의해 계 3회 세정했다. 여과액과 세정액의 혼합 용액을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19g)으로 2회 분액 세정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했다.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7g)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34mL까지 농축한 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2g)을 가했다. 얻어진 용액에, 피리딘 염산염(6.27g, 54.3mmol, 1.0eq.)을 아세토나이트릴(19g)에 녹인 용액을 70분에 걸쳐 적하함으로써, H-EtPhe(4-Me)-Sar-OtBu 염산염의 결정을 석출시켰다. 아세토나이트릴(6.8g)을 가한 후, 상기와 마찬가지의 수법으로 실시한 다른 실험에 의해 취득한 H-EtPhe(4-Me)-Sar-OtBu 염산염의 결정(17.04mg)을 가했다. 30분 교반한 후, MTBE(73g)를 60분에 걸쳐 적하했다. 60분 교반한 후, MTBE(122g)를 60분에 걸쳐 적하했다. 14시간 교반한 후, 슬러리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68g)에 의해 세정한 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g)과 MTBE(34g)의 혼합 용액에 의해 세정했다. 얻어진 고체를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H-EtPhe(4-Me)-Sar-OtBu 염산염(16.62g)을 얻었다.
H-EtPhe(4-Me)-Sar-OtBu 염산염의 융점: 196℃
수율: 82%(Cbz-Phe(4-Me)-Sar-OtBu로부터 2공정에서의 수율)
HPLC 순도: 100%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2.51 min
질량 분석: m/z 335([M+H]+)
(실시예 39) Cbz-Aze-EtPhe(4-Me)-Sar-OtBu의 합성
Figure pct00098
반응 용기에 Cbz-Aze-OH(12.94g, 55.0mmol),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32g), 실시예 38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합성한 H-EtPhe(4-Me)-Sar-OtBu 염산염(17.01g, 45.9mmol), DIPEA(47.41g, 367mmol)를 실온에서 가했다.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50.4wt%, 87.00g, 137mmol)을 25℃에서 1시간 30분에 걸쳐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2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55g)을 가하고, 2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4% 황산 수용액(156g), 10% 황산수소 칼륨 수용액(155g),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55g)에 의해 분액 세정한 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43g)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는 조작을 3회 반복했다. 얻어진 잔사에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9g)을 가하여, Cbz-Aze-EtPhe(4-Me)-Sar-OtBu를 포함하는 용액(78.24g)을 얻었다.
HPLC 순도: 98.22%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4.14 min
질량 분석: m/z 552([M+H]+)
(실시예 40) H-Aze-EtPhe(4-Me)-Sar-OtBu의 합성
Figure pct00099
반응 용기에 10% 팔라듐 탄소(55.65% wet, 7.76g, 3.21mmol, 7mol% on Pd metal basis)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9g)을 가했다. 25℃에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수소 분위기하(0.40MPaG)에서 2시간 교반했다. 실시예 39에서 얻어진 Cbz-Aze-EtPhe(4-Me)-Sar-OtBu의 용액(78.24g),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9g)과 물(1.71g, 94.9mmol)을 가했다. 수소 분위기하(0.20MPaG)에서 3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케이크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61g)에 의해 2회 세정했다. 여과액과 세정액의 혼합 용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한 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g)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는 조작을 2회 반복했다. 얻어진 잔사에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4g)을 가하여, H-Aze-EtPhe(4-Me)-Sar-OtBu를 포함하는 용액(70.59g)을 얻었다.
HPLC 순도: 96.53%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2.67 min
질량 분석: m/z 418([M+H]+)
(실시예 41) Cbz-MeAla-Aze-EtPhe(4-Me)-Sar-OtBu의 합성
Figure pct00100
반응 용기에 실시예 40에서 얻어진 H-Aze-EtPhe(4-Me)-Sar-OtBu의 용액(70.59g), Cbz-MeAla-OH(13.13g, 55.0mmol),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68g), N-메틸모폴린(11.60g, 115mmol)을 25℃에서 가했다.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50.4wt%, 69.40g, 110mmol)을 25℃에서 1시간 30분에 걸쳐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5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77g)을 가한 후, 즉시 1-메틸이미다졸(3.77g, 45.9mmol)을 가하고, 2시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4% 황산 수용액(138g), 10% 황산수소 칼륨 수용액(138g),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38g)에 의해 분액 세정한 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51g)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는 조작을 3회 반복했다. 얻어진 잔사에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7g)을 가하여, Cbz-MeAla-Aze-EtPhe(4-Me)-Sar-OtBu를 포함하는 용액(83.89g)을 얻었다.
HPLC 순도: 97.28%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4.07 min
질량 분석: m/z 637([M+H]+)
(실시예 42) H-MeAla-Aze-EtPhe(4-Me)-Sar-OtBu의 합성
Figure pct00101
반응 용기에 10% 팔라듐 탄소(55.65% wet, 5.54g, 2.29mmol, 5mol% on Pd metal basis)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9g)을 가했다. 25℃에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수소 분위기하(0.40MPaG)에서 2시간 교반했다. 실시예 41에서 얻어진 Cbz-MeAla-Aze-EtPhe(4-Me)-Sar-OtBu의 용액(83.89g),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7g)과 물(2.10g, 117mmol)을 가했다. 수소 분위기하(0.20MPaG)에서 3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케이크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59g)에 의해 2회 세정했다. 여과액과 세정액의 혼합 용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한 후, 여과했다. 얻어진 여과액에 CPME(85g)를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68mL까지 농축하는 조작을 3회 반복했다. 얻어진 잔사에, 40℃에서 교반하면서 CPME(15g), MTBE(26g)와 n-헵테인(27g)을 가한 후, 실시예 66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취득한 H-MeAla-Aze-EtPhe(4-Me)-Sar-OtBu의 결정(16.66mg)을 가했다. 4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2시간에 걸쳐 20℃까지 냉각했다. 20℃에서 16시간 교반한 후, n-헵테인(241g)을 1시간에 걸쳐 첨가했다. 20℃에서 4시간 교반한 후, 2시간에 걸쳐 8℃까지 냉각했다. 8℃에서 16시간 교반한 후, 슬러리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n-헵테인(66g)에 의해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H-MeAla-Aze-EtPhe(4-Me)-Sar-OtBu의 결정(18.28g)을 얻었다.
H-MeAla-Aze-EtPhe(4-Me)-Sar-OtBu의 융점: 95℃
수율: 79%(H-EtPhe(4-Me)-Sar-OtBu로부터 4공정에서의 수율)
HPLC 순도: 99.76%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2.62 min
질량 분석: m/z 503([M+H]+)
(실시예 43) Cbz-Ile-MeAla-Aze-EtPhe(4-Me)-Sar-OtBu의 합성
Figure pct00102
반응 용기에 톨루엔(92g), 5% 황산수소 나트륨 일수화물 수용액(100g)과 Cbz-Ile-OH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염(21.43g, 47.7mmol)을 25℃에서 교반하면서 가했다. 5% 황산수소 나트륨 일수화물 수용액(220g)을 가하고,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5% 황산수소 나트륨 일수화물 수용액(320g)에 의해 3회 세정한 후, 5% 염화 나트륨 수용액(220g)에 의해 2회 세정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26mL까지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실시예 42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취득한 H-MeAla-Aze-EtPhe(4-Me)-Sar-OtBu(20.2g, 40.2mmol),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72g), 톨루엔(62g), 아세토나이트릴(22g)과 DIPEA(22.63g, 175mmol)를 25℃에서 교반하면서 가한 후, HATU(22.69g, 59.7mmol)를 22℃에서 교반하면서 가했다. 첨가 종료 후 2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에 의해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72g)과 1-메틸이미다졸(3.27g, 39.8mmol)을 가했다. 22℃에서 2시간 교반한 후, 25℃로 승온하고, 2.5% 암모니아 수용액(172g)을 가했다.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2.5% 암모니아 수용액(172g), 4% 황산 수용액(172g), 10% 황산수소 나트륨 일수화물 수용액(172g), 3% 인산수소 이칼륨 수용액(172g)에 의해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60mL까지 농축했다. 톨루엔(52g)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60mL까지 농축하는 조작을 2회 반복한 후, 얻어진 잔사를 여과했다. 여과액에 톨루엔(66g)을 가한 후, 22℃에서 교반하면서 n-헵테인(102g)을 10분에 걸쳐 첨가했다. 실시예 67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취득한 Cbz-Ile-MeAla-Aze-EtPhe(4-Me)-Sar-OtBu의 결정(285mg)을 가한 후, 4시간에 걸쳐 18℃까지 냉각하고, 추가로 4시간에 걸쳐 10℃까지 냉각했다. 10℃에서 18시간 교반한 후, n-헵테인(102g)을 3시간에 걸쳐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10℃에서 추가로 18시간 교반한 후에, 슬러리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n-헵테인(92g)에 의해 2회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Cbz-Ile-MeAla-Aze-EtPhe(4-Me)-Sar-OtBu의 결정(28.08g)을 얻었다.
Cbz-Ile-MeAla-Aze-EtPhe(4-Me)-Sar-OtBu의 융점: 70℃
수율: 93%
HPLC 순도: 99.84%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4.21 min
질량 분석: m/z 750([M+H]+)
(실시예 44) Teoc-MeLeu-OPFP의 합성
Figure pct00103
반응 용기에 Teoc-MeLeu-OH(19.34g, 66.8mmol), 1,3-다이메틸-2-이미다졸리딘온(132g)과 펜타플루오로페놀(15.36g, 83.4mmol)을 25℃에서 가했다. 교반하면서 0℃로 냉각한 후에, 1-(3-다이메틸아미노프로필)-3-에틸카보다이이미드 염산염(19.34g, 83.7mmol)을 가했다. 1시간에 걸쳐 25℃로 승온하고, 25℃에서 추가로 1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110g)과 0.5M 염산 수용액(126g)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0.5M 염산 수용액(126g)으로 세정한 후, 1,3-다이메틸-2-이미다졸리딘온(22g)을 가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5% 탄산 칼륨 수용액(126g, 2회), 10% 염화 나트륨 수용액(126g)에 의해 분액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44.4mL까지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19g)을 가하여, Teoc-MeLeu-OPFP를 포함하는 용액(67mL)을 얻었다.
HPLC 순도: 97.95%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5.58 min
질량 분석: m/z 428([M-CH2=CH2+H]+)
(실시예 45) Teoc-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의 합성
Figure pct00104
반응 용기에 실시예 43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얻어진 Cbz-Ile-MeAla-Aze-EtPhe(4-Me)-Sar-OtBu(25.00g, 33.3mmol), 실시예 44에서 얻어진 Teoc-MeLeu-OPFP를 포함하는 용액(67mL), 아세톤(70g), N-메틸모폴린(20.22g, 200mmol)과 10% 팔라듐 탄소(54.33% wet, 7.84g, 3.34mmol, 10mol% on Pd metal basis)를 순차적으로 가했다. 25℃에서 교반하면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했다. 수소 분위기하(0.18MPaG)에서 2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케이크를 아세톤(29g)에 의해 3회 세정했다. 여과액과 세정액의 혼합 용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120mL까지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25℃에서 교반하면서 톨루엔(87g), 5% 탄산 칼륨 수용액(110g)과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4.07g, 33.3mmol)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5시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4% 황산 수용액(110g), 10% 황산수소 칼륨 수용액(110g), 5% 탄산 칼륨 수용액(110g, 2회)에 의해 분액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Teoc-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를 포함하는 용액(47.5mL)을 얻었다.
HPLC 순도: 98.61%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5.28 min
질량 분석: m/z 888([M+H]+)
(실시예 46)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의 합성
Figure pct00105
반응 용기에, 실시예 45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얻어진 Teoc-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를 포함하는 톨루엔 용액(61.47w/w%, 4.88g, 3.38mmol)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8.9mL)을 가했다. 45℃로 승온하고, 테트라뷰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의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2M, 7.04mL, 8.45mmmol)을 20분에 걸쳐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1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25℃로 냉각하고,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9.0mL)을 가했다. 반응 혼합물을 5% 탄산 나트륨 수용액(9.13g, 3회), 5% 염화 나트륨 수용액(9.13g)에 의해 분액 세정한 후,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에탄올(12.5mL)을 가하고 농축하는 조작을 2회 반복하여,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를 포함하는 용액(6.9mL)을 얻었다.
HPLC 순도: 98.17%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3.04 min
질량 분석: m/z 743.4([M+H]+)
(실시예 47)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 L-타타르산염의 합성
Figure pct00106
반응 용기에, 실시예 46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얻은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를 포함하는 용액(38.46w/w%, 56.16g, 29.1mmol)과 에탄올(8.0mL)을 가했다. 22℃에서 L-타타르산(4.80g, 32.0mmol)을 가하고, MTBE(207mL)를 2분에 걸쳐 가했다. 실시예 68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취득한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 L-타타르산염의 결정(108.0mg)을 MTBE(1.62mL)에 현탁시킨 슬러리를 가한 후, MTBE(77g)를 1시간에 걸쳐 첨가했다. 18시간 교반한 후, n-헵테인(106g)을 1시간에 걸쳐 적하했다. 내온을 1시간에 걸쳐 10℃까지 냉각했다. 10℃에서 추가로 27시간 교반한 후, 슬러리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MTBE(130mL)에 의해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 L-타타르산염(26.13g, 함량 92.2w/w%)을 얻었다. 함량 및 수율은 표품을 이용한 HPLC 분석에 의해 산출했다.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 L-타타르산염의 융점: 94℃
수율: 88%(H-Ile-MeAla-Aze-EtPhe(4-Me)-Sar-OtBu로부터 3공정에서의 수율)
HPLC 순도: 99.38%
측정 방법: HPLC Method B
유지 시간: 3.01 min
질량 분석: m/z 743.6([M+H]+)
(실시예 48) Cbz-MeAsp(OtBu)-NMe2의 합성
Figure pct00107
반응 용기에 Cbz-MeAsp(OtBu)-OH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염(25.00g, 48.2mmol)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26g)을 25℃에서 가했다. 10% 황산수소 나트륨 일수화물 수용액(150g)에 의한 분액 세정을 2회 반복한 후, 5% 염화 나트륨 수용액(150g)에 의해 세정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95g)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는 조작을 2회 반복했다. 얻어진 잔사(47.91g)에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95g), 아세토나이트릴(75g), DIPEA(35.46g, 274mmol), 다이메틸아민 염산염(7.88g, 96.6mmol)을 25℃에서 가했다.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50.4wt%, 61.33g, 97.1mmol)을 1시간 30분에 걸쳐 적하했다. 적하 종료 후 1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2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50g)을 가했다.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2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150g), 13% 황산 수용액(150g), 10% 황산수소 나트륨 일수화물 수용액(150g),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50g)에 의해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했다.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25g)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는 조작을 2회 반복하여, Cbz-MeAsp(OtBu)-NMe2를 포함하는 용액(42.39g)을 얻었다.
HPLC 순도: 99.85%
측정 방법: HPLC Method C
유지 시간: 3.37 min
질량 분석: m/z 387([M+Na]+)
(실시예 49) H-MeAsp(OtBu)-NMe2의 합성
Figure pct00108
반응 용기에 10% 팔라듐 탄소(54.33% wet, 3.39g, 1.45mmol, 3mol% on Pd metal basis)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75g)을 가했다. 25℃에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수소 분위기하(0.40MPaG)에서 2시간 교반했다. 실시예 48에서 얻어진 Cbz-MeAsp(OtBu)-NMe2의 용액(42.39g)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2g)을 가했다. 수소 분위기하(0.20MPaG)에서 1시간 30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케이크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75g)에 의해 2회 세정했다. 여과액과 세정액의 혼합 용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H-MeAsp(OtBu)-NMe2를 포함하는 용액(30.76g)을 얻었다.
HPLC 순도: 98.64%
측정 방법: HPLC Method C
유지 시간: 1.44 min
질량 분석: m/z 231([M+H]+)
(실시예 50) Cbz-MeGcp-MeAsp(OtBu)-NMe2의 합성
Figure pct00109
반응 용기에 실시예 49에서 얻어진 H-MeAsp(OtBu)-NMe2의 용액(30.76g), Cbz-MeGcp-OH(16.96g, 58.2mmol),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40g), 아세토나이트릴(17g), DIPEA(27.74g, 215mmol)를 25℃에서 가했다. HATU(27.49g, 72.3mmol)를 10분에 걸쳐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3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톨루엔(30g), 5% 탄산 칼륨 수용액(23g), 1-메틸이미다졸(3.97g, 48.4mmol)을 가하고, 30분 교반했다. 2.5% 암모니아 수용액(88g),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5g)을 가했다.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2.5% 암모니아 수용액(113g), 10% 황산수소 나트륨 일수화물 수용액(113g, 2회), 5% 탄산 칼륨 수용액(113g)에 의해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했다.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42g)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Cbz-MeGcp-MeAsp(OtBu)-NMe2를 포함하는 용액(52.78g)을 얻었다.
HPLC 순도: 98.59%
측정 방법: HPLC Method C
유지 시간: 4.10 min
질량 분석: m/z 526([M+Na]+)
(실시예 51) H-MeGcp-MeAsp(OtBu)-NMe2의 합성
Figure pct00110
반응 용기에 10% 팔라듐 탄소(54.33% wet, 3.39g, 1.45mmol, 3mol% on Pd metal basis)와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75g)을 가했다. 25℃에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수소 분위기하(0.40MPaG)에서 2시간 교반했다. 실시예 50에서 얻어진 Cbz-MeGcp-MeAsp(OtBu)-NMe2의 용액(52.78g)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5g)을 가한 후, 30℃로 승온했다. 수소 분위기하(0.20MPaG)에서 2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케이크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75g)에 의해 2회 세정했다. 여과액과 세정액의 혼합 용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한 후, 아세토나이트릴(75g)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는 조작을 2회 반복하여, H-MeGcp-MeAsp(OtBu)-NMe2를 포함하는 용액(42.5mL)을 얻었다.
HPLC 순도: 96.86%
측정 방법: HPLC Method D
유지 시간: 2.96 min
질량 분석: m/z 370([M+H]+)
(실시예 52) H-MeGcp-MeAsp(OtBu)-NMe2 염산염의 합성
Figure pct00111
반응 용기에 실시예 51에서 얻어진 H-MeGcp-MeAsp(OtBu)-NMe2의 용액(42.5mL)과 아세토나이트릴(8.0g)을 가했다. 40℃에서 MTBE(65g)를 가한 후, 피리딘 염산염의 아세토나이트릴 용액(16.94w/w%, 4.50g)을 30분에 걸쳐 적하했다. 1시간 교반한 후, 피리딘 염산염의 아세토나이트릴 용액(16.94w/w%, 31.34g)을 3시간 30분에 걸쳐 적하하고, 아세토나이트릴(14g)을 가했다. 1시간 교반한 후, 6시간에 걸쳐 10℃까지 냉각했다. 10℃에서 추가로 11시간 교반한 후, 슬러리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MTBE(38g)에 의해 2회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H-MeGcp-MeAsp(OtBu)-NMe2 염산염(15.68g)을 얻었다.
H-MeGcp-MeAsp(OtBu)-NMe2 염산염의 융점: 227℃
수율: 80%(Cbz-MeAsp(OtBu)-OH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염으로부터 5공정에서의 수율)
HPLC 순도: 99.62%
측정 방법: HPLC Method D
유지 시간: 2.92 min
질량 분석: m/z 370([M+H]+)
(실시예 53) Cbz-cLeu-MeGcp-MeAsp(OtBu)-NMe2의 합성
Figure pct00112
반응 용기에, 실시예 52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합성한 H-MeGcp-MeAsp(OtBu)-NMe2 염산염(1.00g, 2.46mmol), 아세토나이트릴(10mL)을 가했다. 이어서, DIPEA(2.72mL, 15.6mmol), Cbz-cLeu-OH(1.74g, 6.61mmol)와 HATU(2.75g, 7.23mmol)를 교반하면서 순차적으로 가하고, 50℃로 승온했다. 50℃에서 6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1-메틸이미다졸(0.78mL, 9.78mmol)과 물(3.99mL)을 가했다. 5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25℃까지 냉각했다. 25℃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슬러리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아세토나이트릴/물의 혼합 용매(8:3(v/v), 5.33mL)로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Cbz-cLeu-MeGcp-MeAsp(OtBu)-NMe2(1.27g)를 얻었다.
Cbz-cLeu-MeGcp-MeAsp(OtBu)-NMe2의 융점: 202℃
수율: 84%
HPLC 순도: 99.86%
측정 방법: HPLC Method D
유지 시간: 6.70 min
질량 분석: m/z 637([M+Na]+)
(실시예 54) H-cLeu-MeGcp-MeAsp(OtBu)-NMe2의 합성
Figure pct00113
반응 용기에, 5% 팔라듐 탄소(50% wet, 0.85g, 0.20mmol, 3.5mol% on Pd metal basis)와 테트라하이드로퓨란(14.0mL)을 가했다. 25℃에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수소 분위기하(0.40MPaG)에서 2시간 교반했다. 실시예 53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합성한 Cbz-cLeu-MeGcp-MeAsp(OtBu)-NMe2(3.51g, 5.71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42mL)에 용해시킨 용액을 가했다. 수소 분위기하(0.20MPaG)에서 2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케이크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14mL)에 의해 2회 세정했다. 여과액과 세정액의 혼합 용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H-cLeu-MeGcp-MeAsp(OtBu)-NMe2를 포함하는 용액(7.37g)을 얻었다.
HPLC 순도: 99.98%
측정 방법: HPLC Method C
유지 시간: 2.42 min
질량 분석: m/z 503([M+Na]+)
(실시예 55) Cbz-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합성
Figure pct00114
반응 용기에, 실시예 54와 마찬가지의 방법으로 취득한 H-cLeu-MeGcp-MeAsp(OtBu)-NMe2(5.00g, 10.4mmol)를 포함하는 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9.63g), 아세토나이트릴(25mL)과 Cbz-Pro-OH(3.37g, 13.5mmol)를 실온에서 가했다. N-메틸모폴린(3.12g, 30.8mmol)과 HATU(5.93g, 15.6mmol)를 25℃에서 교반하면서 가했다. 첨가 종료 후 1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톨루엔(40mL)과 1-메틸이미다졸(0.90g, 10.9mmol)을 가한 후, 5% 탄산 칼륨 수용액(10mL)을 10℃에서 가했다. 25℃로 승온하고 30분 교반한 후, 10℃로 냉각하고 2.5% 암모니아 수용액(20mL)을 가했다. 25℃로 승온하고, 추가로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2.5% 암모니아 수용액(30mL), 3% 황산 수용액(30mL), 10% 황산수소 칼륨 수용액(30mL), 5% 탄산 나트륨 수용액(30mL, 2회)에 의해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25mL까지 농축했다. 톨루엔(25mL)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25mL까지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15mL)을 가하고 40∼60℃에서 교반하여, 균일한 용액을 조제했다. 25℃로 냉각한 후, 실시예 69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취득한 Cbz-Pro-cLeu-MeGcp-MeAsp(OtBu)-NMe2의 결정(49.9mg)을 n-헵테인(0.16mL)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0.04mL)의 혼합 용액에 현탁시킨 슬러리, 이어서 n-헵테인(0.32mL)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0.08mL)의 혼합 용액을 가했다. 25℃에서 13시간 교반한 후, n-헵테인(5mL)을 17분에 걸쳐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1시간 교반한 후에, n-헵테인(5mL)을 15분에 걸쳐 첨가했다. 추가로 1시간 교반한 후에, n-헵테인(25mL)을 16분에 걸쳐 첨가했다. 추가로 3시간 교반한 후에, 슬러리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n-헵테인(10mL)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2.5mL)의 혼합 용액에 의해 2회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Cbz-Pro-cLeu-MeGcp-MeAsp(OtBu)-NMe2의 결정(6.51g)을 얻었다.
Cbz-Pro-cLeu-MeGcp-MeAsp(OtBu)-NMe2의 융점: 178℃
수율: 88%
HPLC 순도: 100%
측정 방법: HPLC Method D
유지 시간: 6.54 min
질량 분석: m/z 734([M+Na]+)
(실시예 56) H-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합성
Figure pct00115
반응 용기에 10% 팔라듐 탄소(54.33% wet, 1.36g, 0.568mmol, 2.2mol% on Pd metal basis)와 테트라하이드로퓨란(27mL)을 가했다. 25℃에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수소 분위기하(0.40MPaG)에서 2시간 교반했다. 실시예 55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합성한 Cbz-Pro-cLeu-MeGcp-MeAsp(OtBu)-NMe2(18.03g, 25.3mmol)와 테트라하이드로퓨란(52mL)을 가했다. 수소 분위기하(0.18MPaG)에서 1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케이크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8mL)에 의해 3회 세정했다. 여과액과 세정액의 혼합 용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81mL까지 농축한 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68mL)을 가하고 81mL까지 농축하는 조작을 3회 반복했다. 얻어진 잔사에, 45℃에서 교반하면서 n-헵테인(37mL)을 가한 후, 실시예 70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취득한 H-Pro-cLeu-MeGcp-MeAsp(OtBu)-NMe2의 결정(40.60mg)을 n-헵테인(0.75mL)에 현탁시킨 슬러리와 n-헵테인(0.75mL)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45℃에서 2시간 교반한 후, n-헵테인(22g)을 15분에 걸쳐 첨가했다. 45℃에서 추가로 18시간 교반한 후, n-헵테인(109g)을 75분에 걸쳐 첨가했다. 45℃에서 추가로 2시간 교반한 후, 2시간에 걸쳐 22℃까지 냉각하고, 추가로 1시간에 걸쳐 10℃까지 냉각했다. 10℃에서 16시간 교반한 후, 슬러리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헵테인의 혼합 용매(1:9(v/w), 47g), 이어서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68mL)에 의해 순차적으로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H-Pro-cLeu-MeGcp-MeAsp(OtBu)-NMe2의 결정(12.96g)을 얻었다.
H-Pro-cLeu-MeGcp-MeAsp(OtBu)-NMe2의 융점: 147℃
수율: 95.8%
HPLC 순도: 100%
측정 방법: HPLC Method C
유지 시간: 2.73 min
질량 분석: m/z 578.5([M+H]+)
(실시예 57-1) Boc-Hph(3,5-F2-4-CF3)-OBn의 합성
Figure pct00116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브로민화 니켈(II) 3수화물(1.58g, 5.80mmol)을 1,3-다이메틸-2-이미다졸리딘온(160mL)에 현탁시킨 슬러리와 4,4'-다이-tert-뷰틸-2,2'-바이피리딘(1.56g, 5.80mmol)을 가했다. 국제공개 제2020/189540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한 Boc-Glu(NHPI)-OBn(40.0g, 83.0mmol)을 교반하면서 가한 후, 1,3-다이메틸-2-이미다졸리딘온(40mL), 5-브로모-1,3-다이플루오로-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젠(26.0g, 99mmol)과 N-메틸모폴린(22.8mL, 207mmol)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10℃로 냉각한 후, 활성 아연(16.26g, 249mmol)을 가했다. TMSCl(21.0mL, 166mmol)을 1시간에 걸쳐 적하하면서, 25℃로 승온했다. 첨가 종료 직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15% 염화 암모늄 수용액(416g)을 0℃에서 가한 후, 25℃로 승온하고 50분 교반했다. 톨루엔(200mL)을 가하고, 슬러리를 셀라이트를 이용하여 여과한 후, 케이크를 톨루엔(200mL)으로 세정했다. 얻어진 용액을 2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에틸렌다이아민 사아세트산이수소 이나트륨 이수화물(31.4g, 84.0mmol)을 0.1M 수산화 칼륨 수용액(600mL)에 용해시킨 용액을 교반하면서 가했다. 3시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10% 염화 나트륨 수용액(400mL)에 의해 분액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Boc-Hph(3,5-F2-4-CF3)-OBn을 포함하는 용액(90.81g)을 얻었다.
HPLC 순도: 78.47%
측정 방법: HPLC Method E
유지 시간: 7.40 min
질량 분석: m/z 374([M-Boc+2H]+)
(실시예 57-1∼57-3) Boc-Hph(3,5-F2-4-CF3)-OBn의 합성: 염기성 화합물의 첨가 효과의 평가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브로민화 니켈(II) 3수화물(0.07eq.)을 용매(4.0 v/w of Boc-Glu(NHPI)-OBn)에 현탁시킨 슬러리와 4,4'-다이-tert-뷰틸-2,2'-바이피리딘(0.07eq.)을 가했다. 국제공개 제2020/189540호에 기재된 방법으로 합성한 Boc-Glu(NHPI)-OBn(X g(표 38 참조), 1.0eq.)을 교반하면서 가한 후, 용매(1.0 v/w of Boc-Glu(NHPI)-OBn), 5-브로모-1,3-다이플루오로-2-(트라이플루오로메틸)-벤젠(1.2eq.) 및 실시예 57-1에 있어서만 NMM(2.5eq.)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10℃로 냉각한 후, 활성 아연(3.0eq.)을 가했다. TMSCl(Y eq.(표 38 참조))을 1시간에 걸쳐 적하하면서, 25℃로 승온했다. 첨가 종료 후 Z시간 후에 샘플링하여, 반응률을 확인했다. 반응률은 HPLC 분석에 의해 산출된 Boc-Glu(NHPI)-OBn의 면적치와 Boc-Hph(3,5-F2-4-CF3)-OBn의 면적치를 이용하여, 이하의 계산식에 의해 산출했다.
반응률(%)=Boc-Hph(3,5-F2-4-CF3)-OBn의 면적치/(Boc-Glu(NHPI)-OBn의 면적치+Boc-Hph(3,5-F2-4-CF3)-OBn의 면적치)×100
(실시예 58) Cbz-Hph(3,5-F2-4-CF3)-OH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염의 합성
Figure pct00118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실시예 57-1에서 얻어진 Boc-Hph(3,5-F2-4-CF3)-OBn의 용액(90.81g)과 톨루엔(135mL)을 가한 후, 0℃로 냉각했다. 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산(22.0mL, 249mmol)을 17분에 걸쳐 첨가한 후, 25℃로 승온했다. 첨가 종료 후 1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물(40mL)을 가하고 15분 교반한 후, 추가로 물(160mL)을 가했다. 추가로 1시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유기층을 제거함으로써, H-Hph(3,5-F2-4-CF3)-OH를 포함하는 용액을 얻었다. 얻어진 H-Hph(3,5-F2-4-CF3)-OH는, 정제하지 않고 다음의 공정에 이용했다.
상기와 같이 얻은 H-Hph(3,5-F2-4-CF3)-OH를 포함하는 용액에, 40% 인산 칼륨 수용액(60mL)을 교반하면서 가했다. 아세토나이트릴(100mL)과 40% 인산 칼륨 수용액(18mL)을 가한 후, N-카보벤족시옥시석신이미드(16.53g, 66.3mmol)를 가했다. 첨가 종료 후 2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n-헵테인(80mL)과 MTBE(80mL)로 이루어지는 혼합 용액을 가하고,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유기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수층에 MTBE(200mL), 0.2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80mL)과 20% 염화 나트륨 수용액(80mL)을 가하고, 13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0.2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80mL)과 20% 염화 나트륨 수용액(80mL)의 혼합 용액에 의해 2회 분액 세정한 후, 0.2M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80mL), 1M 염산 수용액(600mL)에 의해 추가로 분액 세정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MTBE(80mL)와 10% 염화 나트륨 수용액(214mL)을 가하고,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톨루엔(120mL)을 가하고 80mL까지 농축하여, Cbz-Hph(3,5-F2-4-CF3)-OH를 포함하는 용액(116.07g)을 얻었다. 얻어진 Cbz-Hph(3,5-F2-4-CF3)-OH는 정제하지 않고 다음의 공정에 이용했다.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상기와 같이 조제한 Cbz-Hph(3,5-F2-4-CF3)-OH의 톨루엔 용액(116.07g)과 톨루엔(188mL)을 가하고, 50℃로 승온했다.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22.4mL, 112mmol)과 MTBE(94mL)를 가한 후, Cbz-Hph(3,5-F2-4-CF3)-OH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염(117mg)을 가했다. 첨가 종료 후 3시간 교반한 후, n-헵테인(94mL)을 교반하면서 2시간에 걸쳐 가했다. 첨가 종료 후 추가로 1시간 교반한 후, n-헵테인(188mL)을 교반하면서 3시간에 걸쳐 가했다. 첨가 종료 후 추가로 1시간 교반한 후, 20℃로 냉각했다. 20℃에서 13시간 교반한 후, 슬러리를 여과했다. 케이크를 MTBE/n-헵테인의 혼합 용매(1:1(v/v), 94mL)로 세정한 후, 얻어진 습성 분말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Cbz-Hph(3,5-F2-4-CF3)-OH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염(31.7g)을 얻었다.
Cbz-Hph(3,5-F2-4-CF3)-OH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염의 융점: 154℃
수율: 64%(Boc-Glu(NHPI)-OBn으로부터 4공정에서의 수율)
HPLC 순도: 99.70%
측정 방법: HPLC Method F
유지 시간: 9.73 min
질량 분석: m/z 418([M+H]+)
(실시예 59)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의 합성
Figure pct00119
반응 용기에, 실시예 58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합성한 Cbz-Hph(3,5-F2-4-CF3)-OH 다이사이클로헥실아민염(42.0g, 70.2mmol)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69mL)을 가했다. 10% 황산수소 나트륨 일수화물 수용액(170mL)에 의한 분액 세정을 2회 반복한 후, 5% 염화 나트륨 수용액(170mL)에 의해 세정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를 여과한 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40mL)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Cbz-Hph(3,5-F2-4-CF3)-OH(29.3g, 70.2mmol)를 포함하는 용액(70.63g, 41.5w/w%)을 취득했다.
다른 반응 용기에, 상기와 같이 조제한 Cbz-Hph(3,5-F2-4-CF3)-OH 용액(41.5w/w%, 62.7g, 62.3mmol), 실시예 56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합성한 H-Pro-cLeu-MeGcp-MeAsp(OtBu)-NMe2(30.0g, 51.9mmol),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67mL)과 DIPEA(39.9mL, 228mmol)를 가했다.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의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1.6M, 78mL, 125mmol)을 10℃에서 교반하면서 가한 후, 25℃로 승온했다. 첨가 종료 후 1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5% 탄산 칼륨 수용액(180mL)과 1-메틸이미다졸(4.1mL, 51.9mmol)을 15℃에서 교반하면서 가한 후, 25℃로 승온했다. 5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4% 황산 수용액(180mL), 10% 황산수소 나트륨 일수화물 수용액(180mL)으로 순차적으로 분액 세정한 후, n-헵테인(108mL), MTBE(72mL)와 아세토나이트릴(69mL)을 가했다. 2.5% 탄산 칼륨 수용액(171mL)에 의해 분액 세정한 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60mL)과 아세토나이트릴(102mL)을 가하고, 2.5% 탄산 칼륨 수용액(171mL)으로 분액 세정했다. 얻어진 유기층에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60mL)과 아세토나이트릴(102mL)을 가하고, 2.5% 탄산 칼륨 수용액(171mL)으로 분액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210mL)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는 조작을 2회 반복하여,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를 포함하는 용액(84.49g, 60.0w/w%)을 얻었다.
HPLC 순도: 97.90%
측정 방법: HPLC Method C
유지 시간: 4.63 min
질량 분석: m/z 999([M+Na]+)
(실시예 60)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H)-NMe2 다이에틸아민염의 합성
Figure pct00120
반응 용기에, 실시예 59에서 합성한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tBu)-NMe2를 포함하는 용액(60.0w/w%, 42.25g, 26.0mmol),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108mL)과 1,1,1,3,3,3-헥사메틸다이실라제인(13.6mL, 65.0mmol)을 가한 후, 0℃로 냉각했다. 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산 트라이메틸실릴(4.7mL, 26.0mmol)을 첨가한 후, 20℃로 승온했다. 첨가 종료 후 3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28mL)을 가한 후 0℃로 냉각하고, 5% 인산수소 이칼륨 수용액(254mL)을 가하고, 25℃로 승온했다. 2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5% 인산이수소 나트륨 수용액(254mL)으로 세정한 후, 다이에틸아민(10.8mL, 104mmol)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144mL까지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120mL)과 다이에틸아민(2.69mL, 26.0mmol)을 가하고 144mL까지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는 조작을 3회 반복하여, 슬러리화시켰다. 추가로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120mL)과 다이에틸아민(2.69mL, 26.0mmol)을 가하고 108mL까지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한 후,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38.2mL)과 다이에틸아민(2.18mL, 21.1mmol)을 25℃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4.5시간 교반한 후, MTBE(192mL)를 80분에 걸쳐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2시간 교반한 후에, 슬러리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MTBE/다이에틸아민의 혼합 용액(1:5:0.06(v/v), 72mL)에 의해 2회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H)-NMe2 다이에틸아민염(23.23g, 함량 92.0w/w%)을 얻었다.
수율: 83%(H-Pro-cLeu-MeGcp-MeAsp(OtBu)-NMe2로부터 2공정)
HPLC 순도: 99.85%
측정 방법: HPLC Method C
유지 시간: 4.18 min
질량 분석: m/z 921([M+H]+)
(실시예 61) 화합물 11의 합성
Figure pct00121
반응 용기에, 실시예 60에서 얻어진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H)-NMe2 다이에틸아민염(92.0w/w%, 20.78g, 19.2mmol), 아세토나이트릴(177mL), 다이사이클로헥실메틸아민(8.2mL, 38.6mmol)과 DIPEA(10.1mL, 58.0mmol)를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42.5mL까지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아세토나이트릴(177mL)과 DIPEA(3.4mL, 19.5mmol)를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42.5mL까지 농축하는 조작을 3회 반복하여,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H)-NMe2(17.70g)를 포함하는 용액(46.76g, 37.9w/w%)을 얻었다.
다른 반응 용기에, 실시예 47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합성한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 L-타타르산염(93.8w/w%, 18.66g, 19.6mmol)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87mL)을 가했다. 25℃에서 교반하면서 5% 탄산 나트륨 수용액(87mL)을 가했다.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5% 탄산 나트륨 수용액(87mL), 5% 염화 나트륨 수용액(87mL)에 의해 분액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14.55g)를 포함하는 용액(29.71g, 49.0w/w%)을 얻었다.
다른 반응 용기에, 상기와 같이 조제한 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H)-NMe2를 포함하는 아세토나이트릴 용액(37.9w/w%, 39.0g, 16.0mmol), 상기와 같이 조제한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를 포함하는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용액(49.0w/w%, 26.7g, 17.6mmol),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18mL)과 아세토나이트릴(13.5mL)을 가했다. 10℃로 냉각한 후, DIPEA(5.5mL, 31.6mmol)와 HATU(9.14g, 24.1mmol)를 교반하면서 순차적으로 가하고, 25℃로 승온했다. 첨가 종료 후 3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44mL)을 가하고, 10℃로 냉각한 후, 10% 암모니아 수용액(100mL)을 가했다. 25℃로 승온하고, 3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10% 암모니아수(100mL), 10% 시트르산 수용액(100mL),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00mL), 20% 염화 나트륨 수용액(100mL)에 의해 분액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79mL까지 농축했다. 얻어진 잔사에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45mL)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1을 포함하는 용액(69.84g, 함량 37.8w/w%)을 얻었다.
HPLC 순도: 96.49%
측정 방법: HPLC Method G
유지 시간: 10.27 min
질량 분석: m/z 1668([M+Na]+)
(실시예 62) 화합물 12의 합성
반응 용기에, 실시예 61에 의해 얻어진 화합물 11을 포함하는 용액(37.8w/w%, 69.14g, 15.9mmol)과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47mL)을 가한 후, 0℃로 냉각했다. 1,1,1,3,3,3-헥사메틸다이실라제인(22.6mL, 108mmol)과 트라이플루오로메테인설폰산 트라이메틸실릴(12.0mL, 66.4mmol)을 첨가한 후, 24℃로 승온했다. 첨가 종료 후 3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0℃로 냉각하고, 5% 인산수소 이칼륨 수용액(120mL)을 가한 후에, 24℃로 승온했다. 5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5% 염화 암모늄 수용액(131mL, 4회), 5% 탄산 나트륨 수용액(131mL)으로 분액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여, 화합물 12를 포함하는 용액(54.99g, 함량 45.8w/w%)을 얻었다.
HPLC 순도: 95.41%
측정 방법: HPLC Method G
유지 시간: 9.22 min
질량 분석: m/z 1612([M+Na]+)
(실시예 63) 화합물 3의 합성
반응 용기에 10% 팔라듐 탄소(54.13% wet, 3.97g, 1.71mmol, 11mol% on Pd metal basis)와 테트라하이드로퓨란(84mL)을 가했다. 25℃에서 질소 치환하고, 수소 치환하여 수소 분위기하(0.35MPaG)에서 2시간 교반했다. 실시예 62에서 얻어진 화합물 12를 포함하는 용액(45.8w/w%, 53.95g, 15.5mmol)과 테트라하이드로퓨란(84mL)을 가했다. 수소 분위기하(0.20MPaG)에서 1시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한 후, 케이크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57mL)에 의해 2회 세정했다. 여과액과 세정액의 혼합 용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한 후, 아세토나이트릴(226mL)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90mL까지 농축하는 조작을 3회 반복했다. 얻어진 잔사를 여과한 후, 테트라하이드로퓨란(47mL)과 톨루엔(110mL)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했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224mL)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134mL까지 농축하여, 농축액(120.80g)을 얻었다.
얻어진 농축액의 일부(107.90g)에,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mL)을 첨가하여, 화합물 3을 포함하는 용액을 조제했다. 다른 반응 용기에 n-헵테인(240mL)을 가하고, 25℃에서 교반하면서 앞서 조제한 화합물 3을 포함하는 용액을 1시간에 걸쳐 적하했다.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mL)을 첨가하고, 25℃에서 1시간 교반한 후, 슬러리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n-헵테인(100mL)에 의해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3(19.07g, 함량 97.06w/w%)을 얻었다. 함량 및 수율은, 표품을 이용한 HPLC 분석에 의해 산출했다.
수율: 91.8%(Cbz-Hph(3,5-F2-4-CF3)-Pro-cLeu-MeGcp-MeAsp(OH)-NMe2 다이에틸아민염으로부터 3공정에서의 수율)
HPLC 순도: 97.56%
측정 방법: HPLC Method G
유지 시간: 6.57 min
질량 분석: m/z 1456([M+H]+)
(실시예 64) 화합물 4의 합성
반응 용기에 HATU(2.36g, 6.21mmol)와 아세토나이트릴(76mL)을 가했다. 다른 반응 용기에, 실시예 63과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합성한 화합물 3(9.50g, 6.53mmol), DIPEA(2.62mL, 15.0mmol)와 아세토나이트릴(152mL)을 가하여 용액을 조제하고, 그 반량을 앞서 조제한 HATU의 아세토나이트릴 용액에 25℃에서 교반하면서 6시간에 걸쳐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13시간 정치 보관한 후, HATU(2.36g, 6.21mmol)를 아세토나이트릴(11.8mL)에 용해시킨 용액, 아세토나이트릴(3.8mL)을 순차적으로 가했다. 앞서 조제한 화합물 3과 DIPEA를 포함하는 아세토나이트릴 용액의 나머지 반량을 6시간에 걸쳐 첨가했다. 첨가 종료 후 30분간 교반한 후에 샘플링하여, HPLC 분석으로 반응 완결을 확인했다. MTBE(124mL), 헵테인(9.5mL)과 2.5% 암모니아 수용액(95g)을 가했다. 10분 교반한 후에 정치하여, 수층을 제거했다. 얻어진 유기층을 4% 황산 수용액(133g), 5% 인산수소 이칼륨 수용액(95g), 0.5% 염화 나트륨 수용액(95g, 2회)에 의해 세정한 후, 제진 여과를 행하고, 얻어진 여과액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했다. 아세토나이트릴(66.5mL)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는 조작을 2회 반복한 후, 아세톤(66.5mL)을 가하고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하는 조작을 6회 반복했다. 얻어진 잔사에 아세톤(38mL)을 가하여, 화합물 4를 포함하는 용액(54.3g)을 취득했다.
HPLC 순도: 90.22%
측정 방법: HPLC Method H
유지 시간: 17.99 min
질량 분석: m/z 1439([M+H]+)
(실시예 65) 화합물 4의 수화물 결정(C형)의 합성
반응 용기에 실시예 64와 마찬가지의 수법에 의해 합성한 화합물 4(6.00g, 4.17mmol)를 포함하는 아세톤 용액(33.33g)과 아세톤(12.53g)을 가했다. 40℃로 승온하고, 교반하면서 물(19.2mL)을 10분에 걸쳐 첨가했다. 화합물 4의 수화물 결정(C형)(18mg)을 유리 바이알에 가하고, 아세톤/물의 혼합 용액(5:4(v/v), 0.24mL)으로 현탁시킨 후, 현탁액을 정석액에 가했다. 추가로 유리 바이알에 아세톤/물의 혼합 용액(5:4(v/v), 0.24mL)을 가하고, 얻어진 현탁액을 정석액에 가했다. 2시간 교반한 후, 물(4.8mL)을 10분에 걸쳐 첨가했다. 추가로 3시간 교반한 후에, 물(4.8mL)을 10분에 걸쳐 첨가했다. 추가로 1시간 교반한 후에, 1시간에 걸쳐 25℃까지 냉각했다. 25℃에서 1시간 교반한 후, 현탁액을 13시간 정치 보관했다. 25℃에서 추가로 2시간 교반한 후, 현탁액을 여과했다. 얻어진 습성 분말을 아세톤(16.8mL)과 물(13.2mL)의 혼합 용액에 의해 세정한 후, 메탄올(15mL)과 물(15mL)의 혼합 용액에 의해 세정했다. 추가로 얻어진 습성 분말을 메탄올(15mL)과 물(15mL)의 혼합 용액에 현탁시키고, 14시간 정치 보관한 후, 현탁액을 여과했다. 얻어진 습성 분말을 물(30mL)에 의해 현탁하고, 2시간 정치 보관한 후에 여과했다. 전술한 물에 의한 현탁 세정을 재차 실시한 후, 얻어진 습성 분말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화합물 4의 수화물 결정(C형)(4.97g)을 얻었다.
HPLC 순도: 99.74%
측정 방법: HPLC Method H
유지 시간: 17.91 min
질량 분석: m/z 1439([M+H]+)
(실시예 66) H-MeAla-Aze-EtPhe(4-Me)-Sar-OtBu의 결정화
어모퍼스 상태의 H-MeAla-Aze-EtPhe(4-Me)-Sar-OtBu(14.82g)와 CPME(21.7g)를 혼합하여, H-MeAla-Aze-EtPhe(4-Me)-Sar-OtBu의 CPME 용액(함량 40.6w/w%)을 조제했다. 조제한 용액을 5℃에서 1일 정치함으로써, H-MeAla-Aze-EtPhe(4-Me)-Sar-OtBu의 결정을 얻었다.
(실시예 67) Cbz-Ile-MeAla-Aze-EtPhe(4-Me)-Sar-OtBu의 결정화
어모퍼스 상태의 Cbz-Ile-MeAla-Aze-EtPhe(4-Me)-Sar-OtBu(10mg)와 톨루엔/헵테인의 혼합 용매(1:2(v/v), 0.1mL)를 바이알에 가한 후, 얻어진 용액을 실온에서 2일간 진탕함으로써, Cbz-Ile-MeAla-Aze-EtPhe(4-Me)-Sar-OtBu의 결정을 얻었다.
(실시예 68)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 L-타타르산염의 결정화
어모퍼스 상태의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600mg, 0.808mmol), L-타타르산(121mg, 0.808mmol)과 메탄올(6mL)을 유리 바이알에 가하여, 용액을 조제했다. 조제한 용액 중, 0.1mL를 다른 유리 바이알에 가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농축 건고함으로써 용매를 제거했다. 아세트산 n-뷰틸(0.02mL)과 유리 비즈를 바이알에 가하고, 25℃에서 7일간 진탕함으로써, H-MeLeu-Ile-MeAla-Aze-EtPhe(4-Me)-Sar-OtBu L-타타르산염의 결정을 얻었다.
(실시예 69) Cbz-Pro-cLeu-MeGcp-MeAsp(OtBu)-NMe2의 결정화
어모퍼스 상태의 Cbz-Pro-cLeu-MeGcp-MeAsp(OtBu)-NMe2(1.19g)에 CPME(5.94mL)를 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교반한 후, 슬러리를 여과했다. 얻어진 고체를 CPME(2.38mL)에 의해 2회 세정한 후, 감압 조건하에서 건조하여, Cbz-Pro-cLeu-MeGcp-MeAsp(OtBu)-NMe2의 결정을 얻었다.
(실시예 70) H-Pro-cLeu-MeGcp-MeAsp(OtBu)-NMe2의 결정화
어모퍼스 상태의 H-Pro-cLeu-MeGcp-MeAsp(OtBu)-NMe2(10mg)와 테트라하이드로퓨란(0.02mL)을 바이알에 가한 후, 실온에서 6일간 진탕했다. 얻어진 용액에 헵테인(0.04mL)을 가하고, 추가로 실온에서 6일간 진탕함으로써, H-Pro-cLeu-MeGcp-MeAsp(OtBu)-NMe2의 결정을 얻었다.
본 발명에 의해, N-모노알킬 아미노산, 및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의약품이나 중간체와 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26)

  1.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수소의 존재하,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킬화 공정이, 1기압 이상의 압력하에서 행해지고, 또한 상기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에 상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
  2.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으로서,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하이드라이드 환원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킬화 공정이, 상기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에 상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라이드 환원제가, 트라이알킬실레인인, 방법.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C1-C6 1급 알킬화제가, C1-C5 알킬 나이트릴 또는 C1-C5 알킬 알데하이드인, 방법.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치환 메틸 할라이드가, 메톡시메틸 클로라이드(MOM-Cl), 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EOM-Cl), 2-메톡시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MEM-Cl), 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 클로라이드(SEM-Cl)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인, 방법.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촉매가,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불균일계 수소화 촉매인,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불균일계 수소화 촉매가, Pd, Rh 및 Pt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전이 금속을 포함하는 촉매인, 방법.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에터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및 에스터계 용매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용매를 포함하는, 방법.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가, 에터계 용매, 알코올계 용매, 에스터계 용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방법.
  10.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
    (a)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얻는 공정, 및
    (b)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에 대해, 임의로 1개 혹은 복수의 아미노산 또는 펩타이드를 결합 형성 반응에 의해 신장시켜,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얻는 공정.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화 공정에 있어서의 반응 혼합물에, 추가의 수소를 접촉시키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가, 가수소 분해 조건에서 제거 가능한 보호기와 결합하고 있는, 방법.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가, 아릴메틸옥시카보닐기인, 방법.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의 제거가, p-톨루엔설폰산, 메테인설폰산, 황산수소 나트륨, 트라이에틸아민 염산염 및 프로필포스폰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첨가제의 존재하에서 행해지는, 방법.
  15. 제 12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알킬화 공정에 있어서의 반응 혼합물이, 염기를 더 포함하는, 방법.
  16. 제 12 항 내지 제 1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기의 제거와 상기 알킬화 공정이, 원 포트에서 행해지는, 방법.
  17.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가, 1급 아미노기이고,
    상기 알킬화 공정에 있어서의 반응 혼합물이, 염기를 더 포함하는, 방법.
  18. 제 15 항 또는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염기가, 3급 아민인, 방법.
  19. 이하의 공정을 포함하는, 적어도 4개의 아미노산에 의해 구성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제조 방법.
    제 1 항 내지 제 18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얻는 공정,
    임의로 1개 또는 복수의 아미노산을 결합 형성 반응에 의해 신장시켜 펩타이드쇄를 얻는 공정,
    상기 펩타이드쇄의 C 말단측의 기와 N 말단측의 기로 환화하여 상기 환상부를 형성하는 공정.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가, 적어도 8개의 아미노산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가, 8∼15개의 아미노산에 의해 구성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인, 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가, 하기 식:
    Figure pct00125

    으로 표시되는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인, 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염 또는 그들의 용매화물이,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용매화물인,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용매화물이, 환상부를 갖는 펩타이드의 수화물인, 방법.
  24.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N-모노알킬화 반응에 있어서, 상기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가 다이알킬화된 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수소의 존재하,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상기 알킬화 공정이, 1기압 이상의 압력하에서 행해지고, 또한 상기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에 상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
  25.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N-모노알킬화 반응에 있어서,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가 다이알킬화된 화합물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으로서,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출발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 하이드라이드 환원제 및 촉매를 용매 중에서 혼합하는 알킬화 공정을 포함하고,
    알킬화 공정이, 출발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의 아미노기에 C1-C6 1급 알킬화제 혹은 치환 메틸 할라이드에 대응하는 1급 알킬기가 결합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를 생성시키는, 방법.
  26. 제 24 항 또는 제 25 항에 있어서,
    N-모노알킬 아미노산 혹은 그의 에스터 또는 상기 N-모노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 혹은 그의 에스터의 펩타이드쇄를, 결합 형성 반응에 의해 신장하는 공정과,
    신장된 펩타이드를 산성 수용액으로 처리하여, 상기 다이알킬화된 화합물을 제거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방법.
KR1020247023000A 2021-12-28 2022-12-27 N-알킬 아미노산, 및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 Pending KR2024011397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214900 2021-12-28
JP2021214900 2021-12-28
JP2022168608 2022-10-20
JPJP-P-2022-168608 2022-10-20
PCT/JP2022/048135 WO2023127869A1 (ja) 2021-12-28 2022-12-27 N-アルキルアミノ酸、およびn-アルキルアミノ酸を含むペプチド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13971A true KR20240113971A (ko) 2024-07-23

Family

ID=86999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23000A Pending KR20240113971A (ko) 2021-12-28 2022-12-27 N-알킬 아미노산, 및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4414374A1 (ko)
JP (2) JP7430297B2 (ko)
KR (1) KR20240113971A (ko)
AR (1) AR128119A1 (ko)
AU (1) AU2022428318A1 (ko)
CA (1) CA3237911A1 (ko)
IL (1) IL312468A (ko)
MX (1) MX2024008002A (ko)
TW (1) TW202342495A (ko)
WO (1) WO2023127869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5656A1 (en) 1998-09-10 2000-03-23 Holland Sweetener Company V.O.F.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eotame
WO2018225864A1 (ja) 2017-06-09 2018-12-13 中外製薬株式会社 膜透過性の高い環状ペプチド化合物、及びこれを含むライブラリ
WO2020122182A1 (ja) 2018-12-12 2020-06-18 中外製薬株式会社 分子内水素結合可能な官能基を有するアミノ酸とそれらのアミノ酸を含むペプチド化合物、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39366A (ko) 2019-03-15 2021-11-22 추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미노산 유도체의 제조 방법
AR120394A1 (es) * 2019-11-07 2022-02-09 Chugai Pharmaceutical Co Ltd Compuesto de péptido cíclico que tiene acción inhibitoria de kra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5656A1 (en) 1998-09-10 2000-03-23 Holland Sweetener Company V.O.F.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neotame
WO2018225864A1 (ja) 2017-06-09 2018-12-13 中外製薬株式会社 膜透過性の高い環状ペプチド化合物、及びこれを含むライブラリ
WO2020122182A1 (ja) 2018-12-12 2020-06-18 中外製薬株式会社 分子内水素結合可能な官能基を有するアミノ酸とそれらのアミノ酸を含むペプチド化合物、およびそれらの製造方法

Non-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c. Chem. Res. 2008, 41, 1331-1342.
Chem. Sci. 2017, 8, 2717-2722.
Future Med. Chem., 2009, 1, 1289-1310.
J. Med. Chem. 1992, 35, 4195-4204.
J. Org. Chem. 1984, 49, 5269-5271.
J. Peptide Res., 2005, 65, 153-166.
Org. Biomol. Chem. 2012, 10, 293-304.
Org. Lett. 2004, 6, 4977-498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22428318A1 (en) 2024-05-16
JP7430297B2 (ja) 2024-02-09
CA3237911A1 (en) 2023-07-06
WO2023127869A1 (ja) 2023-07-06
MX2024008002A (es) 2024-07-12
IL312468A (en) 2024-06-01
EP4414374A1 (en) 2024-08-14
JP2024052694A (ja) 2024-04-11
TW202342495A (zh) 2023-11-01
AR128119A1 (es) 2024-03-27
JPWO2023127869A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88724B (zh) 具有Kras抑制作用的環狀胜肽化合物
EP4162954A1 (en) Camptothecin drug having high-stability hydrophilic connecting unit and conjugate thereof
TWI625333B (zh) 經2-取代之頭孢烯化合物
CN118772227A (zh) 用于合成含有n-取代氨基酸的肽的方法
CN107428801A (zh) 用于偶联和治疗的哈米特林(hemiasterlin)衍生物
US20220411462A1 (en) Methods for producing cyclic compounds comprising n-substituted amino acid residues
WO2022135610A1 (zh) 四并环化合物及其药物组合物和应用
CA3042576A1 (en) Cyclic peptides multimers targeting .alpha.4.beta.7 integrin
TW202406927A (zh) 相對於hras與nras具有選擇性之kras抑制作用的環狀化合物
KR20240113971A (ko) N-알킬 아미노산, 및 n-알킬 아미노산을 포함하는 펩타이드의 제조 방법
KR102569348B1 (ko) N-치환 아미노산 잔기를 포함하는 환상 화합물의 제조 방법
CN114667136A (zh) Trofinetide的组合物
TW202432170A (zh) 相對於hras及nras具有選擇性之kras抑制作用的環狀化合物
TW202434275A (zh) 含有相對於hras與nras具有選擇性kras抑制作用之環狀化合物的醫藥組成物
KR20230019120A (ko) 고난도 서열의 효율적 펩티드 축합법
CN118475590A (zh) N-烷基氨基酸以及包含n-烷基氨基酸的肽的制造方法
KR20230125807A (ko) 아미노산의 고상 합성용 수지에의 담지 방법
JP5625910B2 (ja) ペプチド化合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TW202417460A (zh) O-取代絲胺酸衍生物的製造方法
TW202506706A (zh) 環狀胜肽化合物的製造方法
CN118164994A (zh) 一类喜树碱衍生物及其抗体药物偶联物
KR101162100B1 (ko) 세포사멸 유도 활성을 갖는 신규 피라지논 유도체 및 이를 활성성분으로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CN110172062A (zh) 一种单氟代螺环化合物的合成方法及其中间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7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0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40710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129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