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13561A - 인산철의 제조방법 및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산철의 제조방법 및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13561A KR20240113561A KR1020247021407A KR20247021407A KR20240113561A KR 20240113561 A KR20240113561 A KR 20240113561A KR 1020247021407 A KR1020247021407 A KR 1020247021407A KR 20247021407 A KR20247021407 A KR 20247021407A KR 20240113561 A KR20240113561 A KR 202401135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filtrate
- filtration residue
- iron phosphate
- reaction
- sulfuric acid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8
- 229910000398 iron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WBJZTOZJJYAKHQ-UHFFFAOYSA-K iron(3+) phosphate Chemical compound [Fe+3].[O-]P([O-])([O-])=O WBJZTOZJJYAKHQ-UHFFFAOYSA-K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3
- GELKBWJHTRAYNV-UHFFFAOYSA-K lithium iro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Li+].[Fe+2].[O-]P([O-])([O-])=O GELKBWJHTRAYNV-UHFFFAOYSA-K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QAOWNCQODCNURD-UHFFFAOYSA-N Sulfuric acid Chemical compound OS(O)(=O)=O QAOWNCQODCNURD-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4
- XEEYBQQBJWHFJM-UHFFFAOYSA-N Iron Chemical compound [Fe] XEEYBQQBJWHFJM-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4
- 239000000706 filtrate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1
- 238000001914 filtr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7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8
- NBIIXXVUZAFLBC-UHFFFAOYSA-N Phosphoric acid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2
- 239000002893 slag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61
- 238000002386 leach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7
- 238000001354 calcination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1
- 229910000147 alumin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1
- 235000019799 monosodium phosphate Nutritio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29910000403 monosodium phosph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AJPJDKMHJJGVTQ-UHFFFAOYSA-M sodium di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OP(O)([O-])=O AJPJDKMHJJGVTQ-UHFFFAOYSA-M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8000003756 stirr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7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5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0
- 238000002156 mix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8
- 239000002002 slurry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5
- 239000006172 buffer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
- LSNNMFCWUKXFEE-UHFFFAOYSA-N Sulfurous acid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9
- BNIILDVGGAEEIG-UHFFFAOYSA-L disodium hydrogen phosphate Chemical compound [Na+].[Na+].OP([O-])([O-])=O BNIILDVGGAEEIG-UHFFFAOYSA-L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
- 239000000872 buffer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3
- HEMHJVSKTPXQMS-UHFFFAOYSA-M Sod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OH-].[Na+] HEMHJVSKTPXQMS-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39
- GEHJYWRUCIMESM-UHFFFAOYSA-L sodium sulfite Chemical compound [Na+].[Na+].[O-]S([O-])=O GEHJYWRUCIMESM-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2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7
- PCHJSUWPFVWCPO-UHFFFAOYSA-N gold Chemical compound [Au] PCHJSUWPFVWCPO-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2
- 235000010265 sodium sulphi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1
- CWYNVVGOOAEACU-UHFFFAOYSA-N Fe2+ Chemical compound [Fe+2] CWYNVVGOOAEACU-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PMZURENOXWZQFD-UHFFFAOYSA-L Sodium Sulfate Chemical compound [Na+].[Na+].[O-]S([O-])(=O)=O PMZURENOXWZQFD-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3078 cryst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29910052938 sodium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5000011152 sodium sulphate Nutrition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9000012452 mother liquor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FAPWRFPIFSIZLT-UHFFFAOYSA-M Sodium chloride Chemical compound [Na+].[Cl-] FAPWRFPIFSIZLT-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9000002245 particl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38000012216 screen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8
- 229910000361 cobalt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40044175 cobalt sulfate Drugs 0.000 claims description 7
- KTVIXTQDYHMGHF-UHFFFAOYSA-L cobalt(2+) sulfate Chemical compound [Co+2].[O-]S([O-])(=O)=O KTVIXTQDYHMGHF-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7
- 238000001816 cool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00365 copper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7
- ARUVKPQLZAKDPS-UHFFFAOYSA-L copper(II) sulfate Chemical compound [Cu+2].[O-][S+2]([O-])([O-])[O-] ARUVKPQLZAKDPS-UHFFFAOYSA-L 0.000 claims description 7
- 229910052979 sodium sulf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6
- GRVFOGOEDUUMBP-UHFFFAOYSA-N sodium sulfid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Na+].[Na+].[S-2] GRVFOGOEDUUMBP-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9000006228 supernatant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29910001448 ferrous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9000007789 gas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29910021607 Silver chlorid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description 4
- QZPSXPBJTPJTSZ-UHFFFAOYSA-N aqua regia Chemical compound Cl.O[N+]([O-])=O QZPSXPBJTPJTSZ-UHFFFAOYSA-N 0.000 claims description 4
- HKZLPVFGJNLROG-UHFFFAOYSA-M silver monochloride Chemical compound [Cl-].[Ag+] HKZLPVFGJNLROG-UHFFFAOYSA-M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9000011780 sodium chloride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4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188 flot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29910052742 iron Inorganic materials 0.000 abstract description 39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abstract description 11
- 239000000243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7
- 239000011259 mixed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230000000052 compara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9
- 239000012141 concentr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9
- 229910052802 copp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49 copp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29910052737 gol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8
- 239000010931 gol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0047 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239000004332 silv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8
- RYGMFSIKBFXOCR-UHFFFAOYSA-N Copper Chemical compound [Cu] RYGMFSIKBFXOC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229910017052 cobal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7
- 239000010941 cobal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7
- GUTLYIVDDKVIGB-UHFFFAOYSA-N cobalt atom Chemical compound [Co] GUTLYIVDDKVIGB-UHFFFAOYSA-N 0.000 description 7
- OKTJSMMVPCPJKN-UHFFFAOYSA-N Carbon Chemical compound [C] OKTJSMMVPCPJKN-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WHXSMMKQMYFTQS-UHFFFAOYSA-N Lithium Chemical compound [Li] WHXSMMKQMYFTQ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99 carb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019 dop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44 lith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9000002994 raw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29910052709 silve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9461 vacuum packag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NBIIXXVUZAFLBC-UHFFFAOYSA-M dihydrogenphosphate Chemical compound OP(O)([O-])=O NBIIXXVUZAFLBC-UHFFFAOYSA-M 0.000 description 5
- IJGRMHOSHXDMSA-UHFFFAOYSA-N nitrogen Substances N#N IJGRMHOSHXDMSA-UHFFFAOYSA-N 0.000 description 5
- 230000035484 reaction time Effects 0.000 description 5
- NINIDFKCEFEMDL-UHFFFAOYSA-N Sulfur Chemical compound [S] NINIDFKCEFEMDL-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4
- UQSXHKLRYXJYBZ-UHFFFAOYSA-N iron oxide Inorganic materials [Fe]=O UQSXHKLRYXJYB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4
- BHZRJJOHZFYXTO-UHFFFAOYSA-L potassium sulfite Chemical compound [K+].[K+].[O-]S([O-])=O BHZRJJOHZFYXT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4
- 235000019252 potassium sulphi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245 sinter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9000011593 sulfu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29910052717 sulfur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2912 waste gas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WMFOQBRAJBCJND-UHFFFAOYSA-M Lithium hydroxide Chemical compound [Li+].[OH-] WMFOQBRAJBCJND-UHFFFAOYSA-M 0.000 description 3
- BQCADISMDOOEFD-UHFFFAOYSA-N Silver Chemical compound [Ag] BQCADISMDOOEFD-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GWEVSGVZZGPLCZ-UHFFFAOYSA-N Titan oxide Chemical compound O=[Ti]=O GWEVSGVZZGPLCZ-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21 absorp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119 centrifug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KRKNYBCHXYNGOX-UHFFFAOYSA-N citr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C(O)(C(O)=O)CC(O)=O KRKNYBCHXYNGO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RYTYSMSQNNBZDP-UHFFFAOYSA-N cobalt copper Chemical compound [Co].[Cu] RYTYSMSQNNBZD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39 hyd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1257 hydroge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1 hydrogen ion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3
- 239000012535 impurit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0203 mixtur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29910052757 nitroge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3
- 235000011007 phospho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904 solv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9628 steelma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3
- CIWBSHSKHKDKBQ-JLAZNSOCSA-N Ascorbic acid Chemical compound OC[C@H](O)[C@H]1OC(=O)C(O)=C1O CIWBSHSKHKDKBQ-JLAZNSOCSA-N 0.000 description 2
- OYPRJOBELJOOCE-UHFFFAOYSA-N Calcium Chemical compound [Ca] OYPRJOBELJOOCE-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QZGKKKJIJFFOK-GASJEMHNSA-N Glucose Natural products OC[C@H]1OC(O)[C@H](O)[C@@H](O)[C@@H]1O WQZGKKKJIJFFOK-GASJEMHNSA-N 0.000 description 2
- FYYHWMGAXLPEAU-UHFFFAOYSA-N Magnesium Chemical compound [Mg] FYYHWMGAXLPEA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VYPSYNLAJGMNEJ-UHFFFAOYSA-N Silicium dioxide Chemical compound O=[Si]=O VYPSYNLAJGMNEJ-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RAHZWNYVWXNFOC-UHFFFAOYSA-N Sulphur dioxide Chemical compound O=S=O RAHZWNYVWXNFOC-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253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378 acidificat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82 alumin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XAGFODPZIPBFFR-UHFFFAOYSA-N aluminium Chemical compound [Al] XAGFODPZIPBFF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WPYMKLBDIGXBTP-UHFFFAOYSA-N benzoic acid Chemical compound OC(=O)C1=CC=CC=C1 WPYMKLBDIGXBT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449 brick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575 calc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91 calc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826 distrib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90 ferrous sulpha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5000003891 ferrous sulphat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103 gluc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BAUYGSIQEAFULO-UHFFFAOYSA-L iron(2+) sulfate (anhydrous) Chemical compound [Fe+2].[O-]S([O-])(=O)=O BAUYGSIQEAFULO-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359 iron(II)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133 lea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XGZVUEUWXADBQD-UHFFFAOYSA-L lithium carbonate Chemical group [Li+].[Li+].[O-]C([O-])=O XGZVUEUWXADBQD-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808 lithium carbon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77 magnesium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49 magnesium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51 met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2184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150000002739 metal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2
- NDLPOXTZKUMGOV-UHFFFAOYSA-N oxo(oxoferriooxy)iron hydrate Chemical compound O.O=[Fe]O[Fe]=O NDLPOXTZKUMGOV-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98 poli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8213 purified wat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NIFIFKQPDTWWGU-UHFFFAOYSA-N pyrite Chemical compound [Fe+2].[S-][S-] NIFIFKQPDTWWG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683 pyri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028 pyri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829 re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29910000367 silver sulfat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1694 spray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LSNNMFCWUKXFEE-UHFFFAOYSA-L sulfite Chemical compound [O-]S([O-])=O LSNNMFCWUKXFEE-UHFFFAOYSA-L 0.000 description 2
- 235000010215 titanium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2
- 229910052725 zinc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1701 zin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5711 Benzo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VTLYFUHAOXGGBS-UHFFFAOYSA-N Fe3+ Chemical compound [Fe+3] VTLYFUHAOXGGBS-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PMVSDNDAUGGCCE-TYYBGVCCSA-L Ferrous fumarate Chemical compound [Fe+2].[O-]C(=O)\C=C\C([O-])=O PMVSDNDAUGGCCE-TYYBGVCCSA-L 0.000 description 1
- 229910004298 SiO 2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472 Starch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CZMRCDWAGMRECN-UGDNZRGBSA-N Sucrose Chemical compound O[C@H]1[C@H](O)[C@@H](CO)O[C@@]1(CO)O[C@@H]1[C@H](O)[C@@H](O)[C@H](O)[C@@H](CO)O1 CZMRCDWAGMRECN-UGDNZRGBSA-N 0.000 description 1
- 229930006000 Sucrose Natural products 0.000 description 1
- HCHKCACWOHOZIP-UHFFFAOYSA-N Zinc Chemical compound [Zn] HCHKCACWOHOZI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QSNQXZYQEIKDPU-UHFFFAOYSA-N [Li].[Fe] Chemical compound [Li].[Fe] QSNQXZYQEIKDPU-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543 active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458 analytic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323 ascorb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9000011668 ascorbic ac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60005070 ascorbic acid Drug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286 benefi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0233 benzo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WQZGKKKJIJFFOK-VFUOTHLCSA-N beta-D-glucose Chemical compound OC[C@H]1O[C@@H](O)[C@H](O)[C@@H](O)[C@@H]1O WQZGKKKJIJFFOK-VFUOTHLC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53 buffer soluti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6227 byproduc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BRPQOXSCLDDYGP-UHFFFAOYSA-N calcium oxide Chemical compound [O-2].[Ca+2] BRPQOXSCLDDYG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292 calc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ODINCKMPIJJUCX-UHFFFAOYSA-N calc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Ca]=O ODINCKMPIJJUCX-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153 chemical reaction re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894 chemical wast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660 chlorin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5165 citric acid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85 combus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56 comp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90 dissolu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447 ferric i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7667 float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25000002791 glucosyl group Chemical group C1([C@H](O)[C@@H](O)[C@H](O)[C@H](O1)CO)*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0227 gr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54 hydrometallur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505 iron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608 iron mineral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3980 iron 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VBMVTYDPPZVILR-UHFFFAOYSA-N iron(2+);oxygen(2-) Chemical class [O-2].[Fe+2] VBMVTYDPPZVI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45 lead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81 magnes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95 magnesium 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CPLXHLVBOLITMK-UHFFFAOYSA-N magnesium oxide Inorganic materials [Mg]=O CPLXHLVBOLITMK-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AXZKOIWUVFPNLO-UHFFFAOYSA-N magnesium;oxygen(2-) Chemical compound [O-2].[Mg+2] AXZKOIWUVFPNLO-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150000002697 manganese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QJGQUHMNIGDVPM-UHFFFAOYSA-N nitrogen group Chemical group [N] QJGQUHMNIGDVPM-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TWNQGVIAIRXVLR-UHFFFAOYSA-N oxo(oxoalumanyloxy)alumane Chemical compound O=[Al]O[Al]=O TWNQGVIAIRXVLR-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161 passiv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88 pelle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970 precious met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084 recover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064 recyc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523 sampl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70 samp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377 silicon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2239 silicon dioxid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63 spheroniz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921 spra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8107 starch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5000019698 starch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865 steel metallurgy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5720 sucro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09 titan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408 titanium dioxid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150000003682 vanadium compounds Chemical clas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26—Phosphates
- C01B25/37—Phosphates of heavy metals
- C01B25/375—Phosphates of heavy metals of ir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6—Oxyacids of phosphorus; Salts thereof
- C01B25/26—Phosphates
- C01B25/45—Phosphates containing plural metal, or metal and ammonium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5/00—Sulfates or sulfites of sodium, potassium or alkali metals in general
- C01D5/14—Preparation of sulfi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3/00—Compounds of copper
- C01G3/10—Sulf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00—Compounds of silver
- C01G5/02—Halid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51/00—Compounds of cobalt
- C01G51/10—Sulfat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9/00—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 B22F9/16—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 B22F9/18—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 B22F9/24—Making metallic powder or suspensions thereof using chemical processes with reduction of metal compounds starting from liquid metal compounds, e.g. solu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01—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 C01P2004/03—Particle morphology depicted by an image obtained by SEM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51—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 C01P2004/52—Particles with a specific particle size distribution highly monodisperse size distribution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1—Micrometer sized, i.e. from 1-100 micro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4/00—Particle morphology
- C01P2004/60—Particles characterised by their size
- C01P2004/62—Submicrometer sized, i.e. from 0.1-1 micrometer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12—Surface area
-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80—Compositional purity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25—Oxygenated metallic salts or polyanionic structures, e.g. borates, phosphates, silicates, olivine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산철의 제조방법 및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황산 슬래그와 아황산염을 물에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계를 얻는 단계; 제1 혼합계에 인산과 완충제를 첨가하여 침출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침출반응으로 얻은 슬러리에 대해 제1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1 여과액과 제1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제1 여과액에 공기를 투입하여 제1 교반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제1 교반반응으로 얻은 슬러리에 대해 제2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2 여과액과 제2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제2 여과잔사를 하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침출반응의 압력은 0.25~0.5MPa이고, 시간은 1~2시간이며; 상기 침출반응의 반응계의 pH는 1.5~3이고; 상기 완충제는 인산이수소나트륨 및/또는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포함한다. 상기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황산 슬래그 내의 철을 이용할 수 있어 인산철의 제조 비용을 절감하며, 방법이 간단하고 조작이 용이하다.
Description
본 출원은 2022년 3월 30일에 출원한, 출원번호가 202210328818.0이고, 명칭이 "인산철의 제조방법 및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인 중국 특허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며, 여기서 모든 내용은 참고용으로 원용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배터리 기술분야에 속하며, 특히 인산철의 제조방법 및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산 슬래그는 제철 등의 원료로서 이미 100년 이상 사용되어 왔으며, 매년 배출되는 황산 슬래그의 양은 300만톤 이상에 달하고, 여기서 합리적으로 활용되는 황산 슬래그는 100여만톤에 불과하며, 나머지는 환경으로 배출되고 있다. 축적되면 농경지를 침범하고 토지를 오염시키며, 강으로 배출되면 수역을 오염시킨다.
현재 황산 슬래그를 종합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대부분의 황산 슬래그는 "철정광 선별 후 잔재로 벽돌을 제조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제철 원료로서 철품위가 25%이상인 황산 슬래그는 철정광 선별에 있어 일정한 경제적 가치가 있으며, 선별 공정은 일반적인 철광석 선별 공정과 차이가 크지 않고, 슬래그 내 철광물과의 자화율 비교에 따라 각각 중력 선별 또는 자기 선별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경제성 분석은 다음과 같다. 황산 슬래그의 연간 선정량이 2만톤이라고 할 때, 철품위 30의 슬래그에서 철품위 60의 정광(품위가 60 이상인 철정광은 제철에 직접 사용 가능)을 선별한다고 가정하면, 수율 40%로 계산하여 연간 철정광 8,000톤을 생산할 수 있으며, 철품위 60의 정광(황 함량≤0.5)은 판매가격이 1톤당 110위안이고, 생산원가가 1톤당 70위안으로, 톤당 이윤은 40위안, 연간 이윤은 32만위안이다. 하나의 철 선별 작업장의 건설에 필요한 총 투자액은 약 50만위안이며, 2년 미만의 생산으로 투자금을 완전히 회수할 수 있다. 철정광을 선별하고 나면 12,000톤의 잔재가 남게 되는데, 이는 벽돌 제조에 활용될 수 있고, 황산 슬래그 자체는 결착 능력이 없으나 SiO2 및 AI2O3 등의 활성물질을 함유하고 있다.
황산 슬래그는 소결광(燒結鑛)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로 황산 슬래그 내의 철 함유 성분을 이용하여 소결 원료의 생산 비용을 절감한다. 그러나 구형화 특성이 좋지 않고 수분 흡수율이 높아 소결 생산성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황 함량이 상대적으로 높고 Cu, Pb, Zn과 같은 유해 원소를 함유하고 있어 소결광 품질에 영향을 미친다. 소결 재료 내 황산 슬래그의 배합량은 일반적으로 10% 이하이다. 황산 슬래그를 처리하여 미세도를 높이고 철 함량을 높이며 황 함량을 낮추어 펠릿 광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종래 기술은 고온 염소화 공정을 이용하여 슬래그에 함유된 금속을 염소화시킨 후, 습식야금법을 이용하여 금, 은 등 귀금속을 침출하고 슬래그에서 유해 금속을 제거한다.
리튬인산철의 발전에 따라 저가의 철 공급원이 주목받고 있으며, 타이타늄화이트 분말 부산물인 황산제1철 결정은 가격이 계속 상승하여 현재 가격이 톤당 350위안으로 올랐으며, 운송비가 톤당 70~90위안 정도이고, 또한 리튬철 생산능력이 확대됨에 따라 황산제1철 결정의 가격이 점점 높아져 구매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가격이 저렴하고 구하기 쉬운 새로운 철 공급원을 개발하는 것이 시급하다. 황산 슬래그는 매년 수백만톤에 달하는 많은 양이 발생하고 있으며, 그 재활용 효율이 낮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이 제안된다.
이를 감안하여, 본 발명은 황산 슬래그의 부가가치를 대폭 높이고 황산 슬래그의 자원이용률을 향상시키도록,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며 황산 슬래그로부터 코발트, 구리, 금, 은 및 황산나트륨 등을 회수할 수 있는 인산철의 제조방법 및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황산 슬래그와 아황산염을 물에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계를 얻는 단계; 상기 제1 혼합계에 인산과 완충제를 첨가하여 침출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침출반응으로 얻은 슬러리에 대해 제1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1 여과액과 제1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1 여과액에 공기를 투입하여 제1 교반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교반반응으로 얻은 슬러리에 대해 제2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2 여과액과 제2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2 여과잔사를 하소하여 인산철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침출반응의 압력은 0.25~0.5MPa이고; 침출반응의 시간은 1~2시간이며;
상기 침출반응의 반응계의 pH는 1.5~3이고;
상기 완충제는 인산이수소나트륨 및/또는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산 슬래그의 입경은 80 내지 120 메쉬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산 슬래그 내의 철 원소와 상기 아황산염, 상기 인산, 상기 완충제의 몰비는 1:(0.35~0.4):(0.25~0.3):(1.7~1.75)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산과 상기 완충제는 15~30분 이내에 상기 제1 혼합계로 첨가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여과액에 대한 시간당 공기 투입량 대 상기 제1 여과액의 제1철 이온의 비율은 (8~12)m3:(28~32)mol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출반응의 온도는 130~17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출반응은 교반 조건에서 수행된다.
상기 제1 여과액에 공기를 투입하기 전에, 교반 조건에서 상기 제1 여과액을 40~60℃로 가열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교반반응은 구체적으로,
상층액의 철 원소 함량이 0.5g/L 이하가 될 때까지 공기가 투입된 상기 제1 여과액을 교반하고, 상기 제1 여과액을 90~95℃로 가열한 후 30~60분 동안 계속 교반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여과잔사를 하소하기 전에, 세척 및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의 세척수 온도는 40~5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은 세척액의 pH가 4.5를 초과할 때까지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를 거친 상기 제2 여과잔사의 수분함량은 0.5% 미만이다. 상기 제2 여과잔사를 650~680℃의 온도로 하소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여과잔사를 60~90분 동안 하소한다.
상술한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상기 침출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침출반응에 의해 생성된 가스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도입하여 아황산나트륨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상술한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 여과액에 대해 냉각 및 제3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황산나트륨 결정과 모액을 얻는 단계; 상기 모액에 황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제3 여과액과 제3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3 여과액의 pH를 9~10으로 조정하고 제4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4 여과액과 제4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3 여과잔사를 하소하고, 하소된 상기 제3 여과잔사를 황산으로 용해하여 제2 혼합계를 얻는 단계; 상기 제2 혼합계를 추출 및 농축 결정화하여 조(粗) 황산구리와 조(粗) 황산코발트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여과액은 냉각된 후의 온도가 5~1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여과잔사를 500~700℃의 온도로 하소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여과잔사를 2~4시간 동안 하소한다.
상술한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부유선별 및 농축을 거친 상기 제1 여과잔사에 왕수를 첨가하여 제3 혼합계를 얻는 단계; 상기 제3 혼합계에 대해 제5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5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기 제5 여과액에 염화나트륨을 첨가한 후 제6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염화은과 제6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기 제6 여과액에 철분말을 첨가하여 조(粗) 금분말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기술적 방안에 따른 인산철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은, 방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종래 기술과 비교하면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유익한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고압 환원 침출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산에 용해되기 어려운 사산화삼철 및 산화제이철을 용해시키고, 또한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환원된 철염을 침출시켜 인산이수소제일철(Fe(H2PO4)2) 용액을 얻으며, 또한 상대적으로 높은 pH에서 일부 알루미늄, 칼슘, 마그네슘 등이 용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철의 침출율(leaching rate)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고, 침출된 철을 인산철의 제조에 사용한다.
(2)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또한 황산 슬래그로부터 코발트, 구리, 금, 은 및 황산나트륨 등을 회수할 수 있어, 황산 슬래그의 부가가치를 대폭 높이고 황산 슬래그의 자원이용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3)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은, 방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기술적 방안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예 또는 종래 기술의 설명에 사용된 도면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한다. 이하 설명에서의 도면은 단지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이며, 당업자는 창의적인 작업없이 이러한 도면을 기반으로 다른 도면을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산철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산철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산철의 입도분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산철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인산철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산철의 입도분포 결과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 및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을 보다 명확하고 전면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전부 실시예가 아닌 일부 실시예에 지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고,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실시예에 기초하여 창조적인 노력 없이 획득한 다른 모든 실시예는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속할 것이다. 이하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조건을 언급하지 않은 경우, 통상적인 조건이나 제조사가 권장하는 조건에 따른다. 사용된 시약이나 기기는 제조사가 명시되지 않은 경우 모두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통상적인 제품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황산 슬래그와 아황산염을 물에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계를 얻는 단계; 상기 제1 혼합계에 인산과 완충제를 첨가하여 침출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침출반응으로 얻은 슬러리에 대해 제1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1 여과액과 제1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1 여과액에 공기를 투입하여 제1 교반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교반반응으로 얻은 슬러리에 대해 제2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2 여과액과 제2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2 여과잔사를 하소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여기서, 상기 침출반응의 압력은 0.25~0.5MPa이고;
상기 침출반응의 반응계의 pH는 1.5~3이며;
상기 완충제는 인산이수소나트륨 및/또는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포함한다.
일부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침출반응의 압력은 예를 들어 0.25MPa, 0.3MPa, 0.35MPa, 0.4MPa, 0.45MPa 또는 0.5MPa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침출반응의 반응계의 pH는 예를 들어 1.5, 2, 2.5 또는 3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황산 슬래그는 황철석으로 황산을 제조하는 공정에서 발생하는 찌꺼기를 말하며, 황철석의 건조 슬래그 또는 연소 슬래그라고도 한다. 일종의 화학 폐기물이다. 슬래그에는 철이 포함되어 있으므로 철강 야금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황산 슬래그에서, 철 산화물(Fe2O3, Fe3O4, FeO)의 함량은 약 20~50%, 이산화규소의 함량은 약 15~65%, 산화알루미늄의 함량은 약 10%, 산화칼슘의 함량은 약 5%, 산화마그네슘의 함량은 5% 이하, 황의 함량은 약 1~2%이며, 일반적으로 구리, 코발트, 납, 아연, 금 및 은도 포함되어 있다. 여기서 사산화삼철은 황산에 의한 부동태화 효과로 치밀한 사산화삼철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고압 환원 침출을 교묘하게 이용하여 산에 용해되기 어려운 사산화삼철 및 산화제이철을 용해시키고, 또한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의 혼합용액을 사용하여 환원된 철염을 침출시켜 인산이수소제일철(Fe(H2PO4)2) 용액을 얻으며, 또한 침출반응의 반응계 pH를 1.5~3으로 제어하여 일부 알루미늄, 칼슘, 마그네슘 등이 용해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철의 침출율(leaching rate)을 향상시킨다.
인산은 수소 이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인산이수소나트륨과 인산수소이나트륨은 완충용액으로 작용하여, 인산의 수소 이온이 소모된 후에 수소 이온을 보충하는 동시에 용액의 pH가 너무 낮아 다른 불순물이 침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본 발명의 침출반응은 특정 침출조건에서 진행되므로 침출율이 크게 향상되며, 또한 아황산염을 첨가하여 산성 환경에서 환원성을 나타낼 수 있어 제2철 이온을 제1철로 환원시키므로, 침출율을 더욱 향상시키고 최종적으로 인산이수소제일철 용액을 얻는다. 동시에, 약산성 환경 및 다량의 인산이수소염이 존재하는 환경에서 인산이수소제1철 용액이 생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아황산염은 아황산나트륨 및/또는 아황산칼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산 슬래그의 입경은 80 내지 120 메쉬이다.
일부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황산 슬래그의 입경은 예를 들어 80 메쉬, 90 메쉬, 100 메쉬, 110 메쉬 또는 120 메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산 슬래그 내의 철 원소와 상기 아황산염, 상기 인산 및 상기 완충제의 몰비는 1:(0.35~0.4):(0.25~0.3):(1.7~1.75)이다.
일부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황산 슬래그 내의 철 원소와 상기 아황산염, 상기 인산 및 상기 완충제의 몰비는 예를 들어 1:0.35:0.25:1.7, 1:0.37:0.28:1.173 또는 1:0.4:0.3:1.75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산과 상기 완충제는 15 내지 30분(예를 들어, 15분, 20분, 25분 또는 30분) 이내에 상기 제1 혼합계로 첨가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여과액에 대한 시간당 공기 투입량 대 상기 제1 여과액의 제1철 이온의 비율은 (8~12)m3:(28~32)mol이다.
일부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제1 여과액에 대한 시간당 공기 투입량 대 상기 제1 여과액의 제1철 이온의 비율은 예를 들어 8:28, 10:30 또는 12:32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출반응의 온도는 130~170℃이다.
일부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침출반응의 온도는 예를 들어 130℃, 140℃, 150℃, 160℃ 또는 17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출반응의 시간은 1~2h이다.
일부 구체적인 구현예에서, 상기 침출반응의 시간은 예를 들어 1h, 1.2h, 1.4h, 1.6h, 1.8h 또는 2h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출반응은 교반 조건에서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여과액에 공기를 투입하기 전에, 교반 조건에서 상기 제1 여과액을 40~60℃(예를 들어, 40℃, 45℃, 50℃, 55℃ 또는 60℃)로 가열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교반반응은 구체적으로,
상층액의 철 원소 함량이 0.5g/L 이하가 될 때까지 공기가 투입된 상기 제1 여과액을 교반하고, 상기 제1 여과액을 90~95℃(예: 90℃, 91℃, 92℃, 93℃, 94℃ 또는 95℃)로 가열한 후 30~60분(예: 30분, 35분, 40분, 45분, 50분, 55분 또는 60분) 동안 계속 교반하는 것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여과잔사를 하소하기 전에, 세척 및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의 온도는 40~50℃(예를 들면, 40℃, 42℃, 44℃, 46℃, 48℃ 또는 50℃)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은 세척액의 pH가 4.5를 초과할 때(예를 들면 4.5, 4.8, 5, 5.5, 6 또는 6.5)까지 수행한다.
바람직하게는, 건조를 거친 상기 제2 여과잔사의 수분함량은 0.5% 미만(예를 들어, 0.1%, 0.2%, 0.3%, 0.4% 또는 0.5%)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여과잔사를 650~680℃(예를 들면, 650℃, 655℃, 660℃, 665℃, 670℃, 675℃ 또는 680℃)의 온도로 하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여과잔사를 60~90분(예를 들어, 60분, 65분, 70분, 75분, 80분, 85분 또는 90분) 동안 하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여과잔사를 하소시킨 후, 냉각, 분쇄, 스크리닝, 철 제거 및 진공 포장을 거쳐 무수 인산철을 얻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상기 침출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침출반응에 의해 생성된 가스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도입하여 아황산나트륨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이를 회수하여 사용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상기 제2 여과액에 대해 냉각 및 제3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황산나트륨 결정과 모액을 얻는 단계; 상기 모액에 황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제3 여과액과 제3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3 여과액의 pH를 9~10으로 조정하고 제4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4 여과액과 제4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3 여과잔사를 하소하고, 하소된 상기 제3 여과잔사를 황산으로 용해하여 제2 혼합계를 얻는 단계; 상기 제2 혼합계를 추출 및 농축 결정화하여 조(粗) 황산구리와 조(粗) 황산코발트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냉각 후의 상기 제2 여과액의 온도는 5~10℃(예를 들면, 5℃, 7℃, 8℃, 9℃ 또는 10℃)이다.
제2 여과액에 아황산염을 혼합한 후 인산이수소나트륨을 더 혼합하여 황산 슬래그로 침출시켜 복귀시킨다. 3회 재활용한 제2 여과액은 보메도(Baume degree) 45~50으로 농축한 후, 제2 여과액의 온도를 5~10℃로 냉각하고, 원심 건조시키면 황산나트륨 결정이 얻어진다.
제4 여과액에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을 첨가한 후 다시 황산 슬래그로 침출시켜 복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여과잔사를 500~700℃(예를 들면, 530℃, 560℃, 590℃, 620℃, 650℃, 680℃ 또는 700℃)의 온도로 하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여과잔사를 2~4h(예를 들어, 2h, 2.5h, 3h, 3.5h 또는 4h) 동안 하소한다.
제3 여과잔사를 하소하여 발생한 폐가스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흡수하여 황산 슬래그로 침출시켜 복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부유선별 및 농축을 거친 상기 제1 여과잔사에 왕수를 첨가하여 제3 혼합계를 얻는 단계; 상기 제3 혼합계에 대해 제5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5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기 제5 여과액에 염화나트륨을 첨가한 후 제6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염화은과 제6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기 제6 여과액에 철분말을 첨가하여 조(粗) 금분말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황산 슬래그에 함유된 철을 이용하여 인산철을 제조함과 동시에, 황산 슬래그에 함유된 구리, 코발트를 조 황산구리와 조 황산코발트로 농축시키며, 황산 슬래그에 함유된 은과 금을 농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은, 상술한 인산철의 제조방법을 포함한다.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무수 인산철을 리튬 공급원, 탄소 공급원 및 도펀트에 첨가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슬러리화한 후, 나노화 연마를 수행한 후, 분무건조하고, 얻어진 분무건조물을 불활성 분위기에서 하소하며, 얻어진 하소물에 대해 분쇄, 스크리닝, 철 제거 및 진공 포장을 수행하여 리튬인산철을 얻는다.
상기 무수 인산철, 리튬 공급원, 탄소 공급원 및 도펀트의 질량비는 1:(0.2~0.25):(0.1~0.2):(0.0005~0.005)이고, 상기 리튬 공급원은 탄산리튬 또는 수산화리튬이며, 상기 탄소 공급원은 포도당, 수크로오스, 가용성 전분, PEG, 시트르산, 아스코르브산 및 벤조산 중 적어도 하나이다. 상기 도펀트는 티타늄 화합물, 바나듐 화합물, 마그네슘 화합물 및 망간 화합물 중 적어도 하나이다.
나노화 연마는 슬러리 입경이 100~600nm가 될 때까지 수행하고, 불활성 분위기는 질소이며, 하소 온도는 600~900℃, 하소 시간은 5~40h이다.
상기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은, 방법이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인산철의 제조방법,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실시예 1에서 제공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황산 슬래그를 볼밀(ball mill)로 연마하고 100메쉬 체에 통과시키며, 황산 슬래그를 샘플링한 검측 데이터는 표 1에 나타내었다.
(2) 오토클레이브에 황산 슬래그를 넣고 아황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교반하고;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의 혼합용액을 오토클레이브에 첨가하면서 온도를 150℃로 승온하여, 오토클레이브 내의 압력이 0.42 Mpa이 되도록 하고,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의 혼합용액을 첨가하는 시간은 20분이며, 이와 같은 온도 및 압력에서 1.5시간 동안 교반반응시키고; 반응이 완료된 슬러리를 여과하여 제1 여과액과 제1 여과잔사를 얻고; 제1 여과잔사를 샘플링하여 표 2와 같은 검측 데이터를 얻었다.
철의 침출율은 95%를 초과하며, 금, 은 등의 원소가 농축되어 있다.
(3) 제1 여과액을 교반 상태에서 50℃로 승온시킨 후, 공기를 투입하고, 이 조건에서 상층액의 철 원소 함량이 0.35g/L가 될 때까지 교반반응시키고, 95℃로 승온시키며; 이 온도에서 40분 동안 교반반응하고 여과하여 제2 여과액과 제2 여과잔사를 얻고; 제2 여과잔사를 세척한 후 건조 및 하소하며, 하소는 회전식가마(rotary kiln) 하소를 채택하고 하소 온도가 670℃, 하소 시간이 80분이며, 하소물에 대해 냉각, 분쇄, 스크리닝, 철 제거 및 진공 포장을 수행하여 무수 인산철을 얻는다. 무수 인산철의 검측 데이터는 표 3에 나타내었으며, 인산철을 주사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내었고, 인산철의 입도 분포는 도 3에 나타내었다.
(4) 제2 여과액을 인산이수소나트륨과 혼합하여 황산 슬래그로 다시 침출시켜 복귀시키고; 3회 재활용한 제2 여과액은 보메도(Baume degree) 48로 농축한 후, 용액의 온도를 8℃로 냉각하고, 원심 건조시켜 황산나트륨 결정을 얻고, 결정화된 후의 모액에 황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고 여과하여 제3 여과액과 제3 여과잔사를 얻으며; 제3 여과액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 9.5로 조정하고 여과하여 제4 여과액과 제4 여과잔사를 얻으며, 제4 여과액은 다시 새로운 인산 및 인산이수소나트륨 용액과 조합하여 사용하고; 얻어진 황산나트륨 결정의 순도는 98.5% 이상이다.
황산 슬래그 내의 철 원소와 아황산나트륨, 인산, 인산이수소나트륨의 몰비는 1:0.37: 0.3:1.7이고, 아황산나트륨 용액의 농도는 2.5mol/L이며,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 혼합용액의 몰 농도의 합은 2mol/L이다.
(5) 제3 여과잔사를 회전식가마에서 하소하며, 하소 온도는 600℃, 하소 시간은 3시간이고, 하소로 발생한 폐가스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흡수하여 황산 슬래그로 침출시켜 복귀시키며; 제3 여과잔사를 하소한 후, 황산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P2O4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코발트와 구리를 추출 분리하며; 얻어진 코발트-구리 용액을 농축 결정화하여, 순도 95.6%의 조(粗) 황산구리와 순도 91.5%의 조(粗) 황산코발트를 얻는다.
(6) 제1 여과잔사를 부유선별한 후 금 및 은을 더욱 농축시키고, 왕수를 첨가하여 용해시킨 후, 여과하여 얻은 여과액에 염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은을 침전시킴으로써 염화은을 얻고, 남은 여과액에 철분말을 첨가하여 금을 치환함으로써 조(粗) 금분말을 얻는다.
(7) 오토클레이브 내의 가스를 2mol/L의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도입하고, 동시에 오토클레이브에 질소를 도입함으로써 이산화황 가스가 전부 배출되어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흡수되도록 하고, 최종적으로 흡수액의 수산화나트륨 농도가 0.2 mol/L 미만이 되도록 하며, 얻어진 흡수액은 아황산나트륨으로 다시 사용하고; 시간당 투입되는 공기의 유량(m3)과 용액 내의 제1철 이온의 총 몰수(mol) 사이의 비율은 20이다.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다.
상기 무수 인산철을 리튬 공급원, 탄소 공급원 및 도펀트에 첨가한 후, 정제수를 첨가하여 슬러리화한 후, 나노화 연마를 수행한 후, 분무건조하고, 얻어진 분무건조물을 불활성 분위기에서 하소하며, 얻어진 하소물에 대해 분쇄, 스크리닝, 철 제거 및 진공 포장을 수행하여 리튬인산철을 얻는다.
무수 인산철, 리튬 공급원, 탄소 공급원 및 도펀트의 질량비는 1:0.23:0.13:0.0015이고, 상기 리튬 공급원은 탄산리튬이며, 상기 탄소 공급원은 포도당이다. 상기 도펀트는 이산화티타늄이다.
나노화 연마는 슬러리 입경이 320nm가 될 때까지 수행하고, 불활성 분위기는 질소이며, 하소 온도는 780℃, 하소 시간은 12h이다.
최종의 리튬인산철의 검측 데이터는 다음과 같다.
분말 비저항은 4-프로브법(four probe method)을 사용하며, 압력은 10Mpa이다.
다짐밀도(compaction density)에 사용되는 압력은 3T이다.
[실시예 2]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실시예 1과 동일하다.
(2) 오토클레이브에 황산 슬래그를 넣고 아황산칼륨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교반하고;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의 혼합용액을 오토클레이브에 첨가하면서 온도를 130℃로 승온하여, 오토클레이브 내의 압력이 0.5 Mpa가 되도록 하고,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의 혼합용액을 첨가하는 시간은 15분이며, 이와 같은 온도 및 압력에서 2시간 동안 교반반응시키고; 반응이 완료된 슬러리를 여과하여 제1 여과액과 제1 여과잔사를 얻는다.
(3) 제1 여과액을 교반 상태에서 40℃로 승온시킨 후, 공기를 투입하고, 이 조건에서 상층액의 철 원소 함량이 0.1g/L가 될 때까지 교반반응시키고, 95℃로 승온시키며; 이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반응하고 여과하여 제2 여과액과 제2 여과잔사를 얻고; 제2 여과잔사를 세척한 후 건조 및 하소하며, 하소는 회전식가마(rotary kiln) 하소를 채택하고 하소 온도가 680℃, 하소 시간이 60분이며, 하소물에 대해 냉각, 분쇄, 스크리닝, 철 제거 및 진공 포장을 수행하여 무수 인산철을 얻는다.
(4) 제2 여과액을 인산이수소나트륨과 혼합하여 황산 슬래그로 다시 침출시켜 복귀시키고; 3회 재활용한 제2 여과액은 보메도(Baume degree) 48로 농축한 후, 용액의 온도를 8℃로 냉각하고, 원심 건조시켜 황산나트륨 결정을 얻고, 결정화된 후의 모액에 황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고 여과하여 제3 여과액과 제3 여과잔사를 얻으며; 제3 여과액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 9로 조정하고 여과하여 제4 여과액과 제4 여과잔사를 얻으며, 제4 여과액은 다시 새로운 인산 및 인산이수소나트륨 용액과 조합하여 사용한다.
황산 슬래그 내의 철 원소와 아황산칼륨, 인산, 인산이수소나트륨의 몰비는 1:0.35: 0.25:1.7이고, 아황산칼륨 용액의 농도는 2.5mol/L이며,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 혼합용액의 몰 농도의 합은 2mol/L이다.
(5) 제3 여과잔사를 회전식가마에서 하소하며, 하소 온도는 500℃, 하소 시간은 4시간이고, 하소로 발생한 폐가스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흡수하여 황산 슬래그로 침출시켜 복귀시키며; 제3 여과잔사를 하소한 후, 황산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P204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코발트와 구리를 추출 분리하며; 얻어진 코발트-구리 용액을 농축 결정화하여 조(粗) 황산구리와 조(粗) 황산코발트를 얻는다.
(6)~(7) 실시예 1과 동일하다.
[실시예 3]
본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1) 실시예 1과 동일하다.
(2) 오토클레이브에 황산 슬래그를 넣고 아황산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혼합교반하고; 고압펌프를 이용하여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의 혼합용액을 오토클레이브에 첨가하면서 온도를 170℃로 승온하여, 오토클레이브 내의 압력이 0.25 Mpa가 되도록 하고,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의 혼합용액을 첨가하는 시간은 30분이며, 이와 같은 온도 및 압력에서 1시간 동안 교반반응시키고; 반응이 완료된 슬러리를 여과하여 제1 여과액과 제1 여과잔사를 얻는다.
(3) 제1 여과액을 교반 상태에서 60℃로 승온시킨 후, 공기를 투입하고, 이 조건에서 상층액의 철 원소 함량이 0.5g/L가 될 때까지 교반반응시키고, 90℃로 승온시키며; 이 온도에서 60분 동안 교반반응하고 여과하여 제2 여과액과 제2 여과잔사를 얻고; 제2 여과잔사를 세척한 후 건조 및 하소하며, 하소는 회전식가마(rotary kiln) 하소를 채택하고 하소 온도가 650℃, 하소 시간이 90분이며, 하소물에 대해 냉각, 분쇄, 스크리닝, 철 제거 및 진공 포장을 수행하여 무수 인산철을 얻는다.
(4) 제2 여과액을 인산이수소나트륨과 혼합하여 황산 슬래그로 다시 침출시켜 복귀시키고; 3회 재활용한 제2 여과액은 보메도(Baume degree) 48로 농축한 후, 용액의 온도를 8℃로 냉각하고, 원심 건조시켜 황산나트륨 결정을 얻고, 결정화된 후의 모액에 황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고 여과하여 제3 여과액과 제3 여과잔사를 얻으며; 제3 여과액에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첨가하여 pH 10으로 조정하고 여과하여 제4 여과액과 제4 여과잔사를 얻으며, 제4 여과액은 다시 새로운 인산 및 인산이수소나트륨 용액과 조합하여 사용한다.
황산 슬래그 내의 철 원소와 아황산나트륨, 인산, 인산이수소나트륨의 몰비는 1:0.4: 0.3:1.75이고, 아황산나트륨 용액의 농도는 2.5mol/L이며, 인산과 인산이수소나트륨 혼합용액의 몰 농도의 합은 2mol/L이다.
(5) 제3 여과잔사를 회전식가마에서 하소하며, 하소 온도는 700℃, 하소 시간은 2시간이고, 하소로 발생한 폐가스는 수산화나트륨 용액으로 흡수하여 황산 슬래그로 침출시켜 복귀시키며; 제3 여과잔사를 하소한 후, 황산을 첨가하여 용해시키고, P204 추출 용매를 사용하여 코발트와 구리를 추출 분리하며; 얻어진 코발트-구리 용액을 농축 결정화하여 조(粗) 황산구리와 조(粗) 황산코발트를 얻는다.
(6)~(7) 실시예 1과 동일하다.
[비교예 1]
본 비교예에서 제공한 인산철의 제조방법에서, 실시예 1과 비교되는 차이점은 단지 침출반응의 압력이 0.1MPa이고 철의 침출율이 83%이다.
[비교예 2]
본 비교예에서 제공한 인산철의 제조방법에서, 실시예 1과 비교되는 차이점은 단지 침출반응의 반응계의 pH가 1이고, 얻어진 제1 여과잔사의 상세 정보를 표 4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3]
본 비교예에서 제공한 인산철의 제조방법에서, 실시예 1과 비교되는 차이점은 단지 침출반응의 시간이 0.5h이고, 철의 침출율이 81%이다.
실시예 1, 비교예 1 및 비교예 3을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철의 침출 효과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침출반응의 압력과 시간이 일정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실시예 1과 비교예 2를 통해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낮은 pH에서 다른 불순물의 침출율이 크게 높아지므로 철 용액에는 많은 불순물이 도입되어 철의 침출 효과에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철의 침출 순도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pH가 일정 범위 내에 있어야 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해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이상의 각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수단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하며,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기술적 수단을 수정하거나 기술적 특징의 일부 또는 전부를 동등하게 대체할 수 있는데,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에 의한 기술적 수단은 본질적으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기술적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므로,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이러한 수정 또는 대체는 모두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포함된다는 것은 자명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을 행할 수 있으며, 이들은 모두 본 발명의 보호 범위에 속한다.
Claims (10)
- 황산 슬래그와 아황산염을 물에 균일하게 혼합하여 제1 혼합계를 얻는 단계; 상기 제1 혼합계에 인산과 완충제를 첨가하여 침출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침출반응으로 얻은 슬러리에 대해 제1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1 여과액과 제1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1 여과액에 공기를 투입하여 제1 교반반응을 수행하는 단계; 상기 제1 교반반응으로 얻은 슬러리에 대해 제2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2 여과액과 제2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2 여과잔사를 하소하여 인산철을 얻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침출반응의 압력은 0.25~0.5MPa이고; 상기 침출반응의 시간은 1~2시간이며;
상기 침출반응의 반응계의 pH는 1.5~3이고;
상기 완충제는 인산이수소나트륨 및/또는 인산수소이나트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황산 슬래그의 입경은 80~120 메쉬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황산 슬래그 내의 철 원소와 상기 아황산염, 상기 인산, 상기 완충제의 몰비는 1:(0.35~0.4):(0.25~0.3):(1.7~1.75)이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인산과 상기 완충제는 15~30분 이내에 상기 제1 혼합계로 첨가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여과액에 대한 시간당 공기 투입량 대 상기 제1 여과액의 제1철 이온의 비율은 (8~12)m3:(28~32)mo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반응의 온도는 130~17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침출반응은 교반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여과액에 공기를 투입하기 전에, 교반 조건에서 상기 제1 여과액을 40~60℃로 가열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교반반응은,
상층액의 철 원소 함량이 0.5g/L 이하가 될 때까지 공기가 투입된 상기 제1 여과액을 교반하고, 상기 제1 여과액을 90~95℃로 가열한 후 30~60분 동안 계속 교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잔사를 하소하기 전에, 세척 및 건조 단계를 더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의 세척수 온도는 40~5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세척은 세척액의 pH가 4.5를 초과할 때까지 수행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건조를 거친 상기 제2 여과잔사의 수분함량은 0.5% 미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잔사를 650~680℃의 온도로 하소하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여과잔사를 60~90분 동안 하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침출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침출반응에 의해 생성된 가스를 수산화나트륨 용액에 도입하여 아황산나트륨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여과액에 대해 냉각 및 제3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황산나트륨 결정과 모액을 얻는 단계; 상기 모액에 황화나트륨을 첨가하여 제3 여과액과 제3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3 여과액의 pH를 9~10으로 조정하고 제4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4 여과액과 제4 여과잔사를 얻는 단계; 상기 제3 여과잔사를 하소하고, 하소된 상기 제3 여과잔사를 황산으로 용해하여 제2 혼합계를 얻는 단계; 상기 제2 혼합계를 추출 및 농축 결정화하여 조(粗) 황산구리와 조(粗) 황산코발트를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2 여과액은 냉각된 후의 온도가 5~10℃이고;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여과잔사를 500~700℃의 온도로 하소하며;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3 여과잔사를 2~4시간 동안 하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 - 제1항에 있어서,
부유선별 및 농축을 거친 상기 제1 여과잔사에 왕수를 첨가하여 제3 혼합계를 얻는 단계; 상기 제3 혼합계에 대해 제5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제5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기 제5 여과액에 염화나트륨을 첨가한 후 제6 고액분리를 수행하여 염화은과 제6 여과액을 얻는 단계; 상기 제6 여과액에 철분말을 첨가하여 조(粗) 금분말을 얻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산철의 제조방법. -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인산철의 제조방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CN202210328818.0 | 2022-03-30 | ||
CN202210328818.0A CN114604837B (zh) | 2022-03-30 | 2022-03-30 | 一种磷酸铁的制备方法、磷酸铁锂的制备方法 |
PCT/CN2022/135562 WO2023185056A1 (zh) | 2022-03-30 | 2022-11-30 | 一种磷酸铁的制备方法、磷酸铁锂的制备方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13561A true KR20240113561A (ko) | 2024-07-22 |
Family
ID=81867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47021407A Pending KR20240113561A (ko) | 2022-03-30 | 2022-11-30 | 인산철의 제조방법 및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6)
Country | Link |
---|---|
US (1) | US20250051165A1 (ko) |
EP (1) | EP4434937A1 (ko) |
JP (1) | JP7708406B2 (ko) |
KR (1) | KR20240113561A (ko) |
CN (1) | CN114604837B (ko) |
WO (1) | WO202318505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4604837B (zh) * | 2022-03-30 | 2022-10-21 | 湖北宇浩高科新材料有限公司 | 一种磷酸铁的制备方法、磷酸铁锂的制备方法 |
CN114906830B (zh) * | 2022-07-19 | 2022-10-14 | 昆明川金诺化工股份有限公司 | 一种由硫铁矿烧渣可控制备电池级磷酸铁的方法 |
CN118754077A (zh) * | 2024-06-12 | 2024-10-11 | 苏州四面体新能源科技有限公司 | 一种锂离子电池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19750523B (zh) * | 2025-03-05 | 2025-07-15 | 中南大学 | 一种磷酸铁锂提锂渣制备电池级磷酸铁的方法 |
Family Cites Families (1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DE4316240C2 (de) * | 1992-05-26 | 2001-05-17 | Volkswagen Ag | Verfahren zum NE-Metallrecycling in Phosphatierbädern |
CN102730659A (zh) * | 2011-04-08 | 2012-10-17 | 江苏绿陵化工集团有限公司 | 一种利用硫铁矿烧渣制备电池级磷酸铁的方法 |
CN102491302B (zh) * | 2011-12-15 | 2013-11-06 | 湖北万润新能源科技发展有限公司 | 电池级无水磷酸铁及其制备方法 |
SE537780C2 (sv) * | 2013-05-02 | 2015-10-13 | Easymining Sweden Ab | Produktion av fosfatföreningar från material innehållande fosfor och åtminstone ett av järn och aluminium |
CN103746115B (zh) * | 2013-12-13 | 2016-03-02 | 灵宝金源矿业股份有限公司 | 一种利用硫铁矿烧渣制备电池级磷酸铁锂的方法 |
FI127664B (en) * | 2017-10-20 | 2018-11-30 | Crisolteq Ltd | Process for recovering components from pickling acid residue |
CN108101014A (zh) * | 2018-01-31 | 2018-06-01 | 贵州仁聚业科技股份有限公司 | 用黄磷副产磷铁渣制备磷酸铁的方法 |
CN108609595B (zh) * | 2018-05-10 | 2020-08-21 | 湖南雅城新材料有限公司 | 磷酸铁及其制备方法和应用 |
CN108706561B (zh) * | 2018-08-14 | 2021-04-06 | 武汉轻工大学 | 一种利用硫铁矿烧渣制备高纯磷酸铁的方法 |
CN109368610B (zh) * | 2018-10-09 | 2020-10-27 | 湖南雅城新材料有限公司 | 一种利用硫铁矿烧渣制备高铁磷比磷酸铁的方法 |
CN110117720B (zh) * | 2019-05-17 | 2020-05-22 | 中南大学 | 一种硫酸渣磷酸化焙烧-浸出-萃取综合提取有价金属的方法 |
CN110002421B (zh) * | 2019-05-17 | 2020-06-09 | 中南大学 | 一种利用硫酸渣制备电池级磷酸铁的方法 |
CN111593205A (zh) * | 2020-07-17 | 2020-08-28 | 武汉工程大学 | 一种从含钴硫酸渣中回收钴的方法 |
CN111908440B (zh) * | 2020-07-31 | 2022-10-18 | 南京工业大学 | 一种氟虫腈废盐与钛白粉副产物硫酸亚铁的资源化集成利用方法 |
CN114604837B (zh) * | 2022-03-30 | 2022-10-21 | 湖北宇浩高科新材料有限公司 | 一种磷酸铁的制备方法、磷酸铁锂的制备方法 |
-
2022
- 2022-03-30 CN CN202210328818.0A patent/CN114604837B/zh active Active
- 2022-11-30 KR KR1020247021407A patent/KR20240113561A/ko active Pending
- 2022-11-30 WO PCT/CN2022/135562 patent/WO2023185056A1/zh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11-30 JP JP2024537853A patent/JP7708406B2/ja active Active
- 2022-11-30 EP EP22934874.3A patent/EP4434937A1/en active Pending
- 2022-11-30 US US18/723,916 patent/US20250051165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EP4434937A1 (en) | 2024-09-25 |
JP2024544789A (ja) | 2024-12-04 |
JP7708406B2 (ja) | 2025-07-15 |
US20250051165A1 (en) | 2025-02-13 |
WO2023185056A1 (zh) | 2023-10-05 |
CN114604837A (zh) | 2022-06-10 |
CN114604837B (zh) | 2022-10-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40113561A (ko) | 인산철의 제조방법 및 리튬인산철의 제조방법 | |
WO2022036775A1 (zh) | 一种从红土镍矿中回收多种有价金属及酸碱双介质再生循环的方法 | |
CN106191477B (zh) | 从海底钴锰多金属氧化矿中分离回收稀土的方法 | |
CN108751259B (zh) | 一种含钨废料生产偏钨酸铵的方法及其装置 | |
CN114132909A (zh) | 一种从退役磷酸锰铁锂电池废料中回收纯金属盐的方法 | |
CN101698904A (zh) | 有色金属硫化矿物的浸出方法及其浸出滤渣中的硫磺回收方法 | |
CN113265532B (zh) | 一种镍铁合金湿法浸出镍氨溶液的方法和应用 | |
CN102312090A (zh) | 从含钪矿物中加压浸出提取钪的方法 | |
CN110205493B (zh) | 钴渣与镍钼矿混合浸出提取钴、镍的方法 | |
CN108265178A (zh) | 一种钴镍冶金废水渣的处理方法 | |
CN101760652B (zh) | 选冶联合流程处理难选复杂型钼矿的工艺方法 | |
CN116516151A (zh) | 一种简单高效回收硬质合金碳化钨废料的方法 | |
CN110643808B (zh) | 一种从低品位钨铁矿中提取钨的方法 | |
CN111411224B (zh) | 一种从低品位含锰矿石中综合回收结合银铜的选矿方法 | |
CN111485101B (zh) | 一种从含铁矿中回收铁的方法 | |
CN1458291A (zh) | 电子废料的贵金属再生回收方法 | |
CN117926027A (zh) | 一种红土镍矿石的综合利用方法 | |
CN115109931B (zh) | 一种从钨钼废渣中回收多种金属的方法 | |
CN117758080A (zh) | 一种钛白废酸和碱沉废渣协同提钪的方法 | |
CN108203764B (zh) | 一种微波煅烧锌湿法冶炼净化钴镍渣生产钴精矿的方法 | |
CN114262797B (zh) | 一种从赤泥钠化焙烧渣中有效分离回收铁和铝的方法 | |
CN216514040U (zh) | 电镀污泥或其他多金属混合物回收铜、镍、锌、铬、铁的系统 | |
CN104263926A (zh) | 含钪超基性岩的提钪工艺 | |
CN110117721B (zh) | 一种硫酸渣磷酸浸出-萃取提取有价金属的方法 | |
CN113088709A (zh) | 同步分离烧结机头灰中钾、铅、铁的方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240626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