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02982A -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체질 치료를 위한 중약제제 - Google Patents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체질 치료를 위한 중약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2982A
KR20240102982A KR1020247016946A KR20247016946A KR20240102982A KR 20240102982 A KR20240102982 A KR 20240102982A KR 1020247016946 A KR1020247016946 A KR 1020247016946A KR 20247016946 A KR20247016946 A KR 20247016946A KR 20240102982 A KR20240102982 A KR 202401029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inese herbal
white
herbal medicine
itching
medicine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169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야쿤 우
Original Assignee
야쿤 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쿤 우 filed Critical 야쿤 우
Publication of KR20240102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2982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8Antiallerg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1Pteridophyta or Filicophyta (ferns)
    • A61K36/12Filicopsida or Pteridopsid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19Acanthaceae (Acanthus family)
    • A61K36/195Strobil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2Angeli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3Apiaceae or Umbelliferae (Carrot family), e.g. dill, chervil, coriander or cumin
    • A61K36/236Ligusticum (licorice-r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2Artemisia, e.g. wormwood or sagebrus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4Atractylo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7Chrysanthemum, e.g. dais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28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chamomile, feverfew, yarrow or echinacea
    • A61K36/288Taraxacum (dandel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1Brassicaceae or Cruciferae (Mustard family), e.g. broccoli, cabbage or kohlrabi
    • A61K36/315Isatis, e.g. Dyer's wo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35Caprifoliaceae (Honeysuckle family)
    • A61K36/355Lonicera (honeysuck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0Cornaceae (Dogwood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2Cucurbitaceae (Cucumber family)
    • A61K36/428Trichosant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2Cassia, e.g. golden shower 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48Fabaceae or Leguminosae (Pea or Legume family); Caesalpiniaceae; Mimosaceae; Papilionaceae
    • A61K36/484Glycyrrhiza (licor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1Gentianaceae (Gentian family)
    • A61K36/515Gentia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2Agastache, e.g. giant hysso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4Mentha (mi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5Perilla (beefsteak pla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7Salvia (sag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8Schizonepet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3Lamiaceae or Labiatae (Mint family), e.g. thyme, rosemary or lavender
    • A61K36/539Scutellaria (skullcap)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4Lauraceae (Laurel family), e.g. cinnamon or sassafra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57Magnoliaceae (Magnolia family)
    • A61K36/575Magnol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1Myrtaceae (Myrtle family), e.g. teatree or eucalyptu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3Oleaceae (Olive family), e.g. jasmine, lilac or ash tree
    • A61K36/634Forsyth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65Paeoniaceae (Peony family), e.g. Chinese peon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4Polygonum, e.g. knotwee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0Polygonaceae (Buckwheat family), e.g. spineflower or dock
    • A61K36/708Rheum (rhubar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1Ranunculaceae (Buttercup family), e.g. larkspur, hepatica, hydrastis, columbine or goldenseal
    • A61K36/718Coptis (goldthre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75Rutaceae (Rue family)
    • A61K36/756Phellodendron, e.g. corktre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0Scrophulariaceae (Figwor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5Verbenaceae (Verbena family)
    • A61K36/855Clerodendrum, e.g. glorybow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185Magnoliopsida (dicotyledons)
    • A61K36/86Violaceae (Violet fami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896Liliaceae (Lily family), e.g. daylily, plantain lily, Hyacinth or narcissus
    • A61K36/8964Anemarrh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4Stemonaceae (Stemona family), e.g. croo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8Magnoliophyta (angiosperms)
    • A61K36/88Liliopsida (monocotyledons)
    • A61K36/906Zingiberaceae (Ginger family)
    • A61K36/9068Zingiber, e.g. garden ging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4Antipruri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ulmonology (AREA)
  • Immun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 체질을 치료하는 중약조성물을 제공하되, 이 조성물은 중약제제 I, 중약제제 II 또는 이들의 혼합 조정 제제이며, 중약제제 I의 성분은 황금, 황련, 연교, 자소엽, 후박, 백술, 백지, 백작, 결명자, 황백, 백부, 청호, 지모, 천화분, 감초, 박하, 면마관중, 단삼, 자화지정, 대청엽의 추출물이고, 중약제제 II의 성분은 감초, 박하, 천궁, 용담초, 향유, 포공영, 대황, 천리광, 생강, 금은화, 가자, 사간, 백두옹, 모란피, 신이, 산수유, 곽향, 호황련, 백선피, 형개 및 국화이다.

Description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체질 치료를 위한 중약제제
피부병/(알레르기)변태반응, 중의학(中醫學)/중약학(中藥學), 미생물학 등을 포함한 의학 기술분야에 속한다.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 체질 질환의 근본원인은 전 세계 의학계에서 아직 결론이 나지 못한 상황이다. 이 질병의 서양의학 치료는 알레르기 반응의 발생과정에 개입하는 데 중점을 두고, 히스타민제, 면역조절제(예를 들어 오말리주맙) 및 호르몬 약물(예를 들어 덱사메타손, 히드로코르티손)이 많이 사용되며, 그 중 항히스타민제가 가장 널리 사용되며, 이 치료법은 급성 두드러기 및 급성 습진의 피부 증상을 조절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지만 알레르기(변태반응)체질, 만성 두드러기, 만성 습진 환자의 경우에는 증상을 제어할 뿐 완치할 수 없고, 급성 두드러기 및 급성 습진이 완치된 환자는 알레르기의 근본원인을 근절할 수 없고 급성 두드러기 및 급성 습진이 만성 두드러기, 만성 습진 및 알레르기 체질로 전환될 위험이 있다. 중의학적 치료는 두드러기와 습진의 증상 및 근본원인을 모두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완치된 급성 두드러기(급성 습진)는 만성 두드러기(만성 습진)로 전환될 가능성이 거의 없으며, 특히 만성 두드러기, 만성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체질의 치료에 있어서 중의학은 효과가 뛰어나고 증상을 제어할 수 있는 약물의 내성 주기가 길고 만성 두드러기, 만성 습진 및 알레르기(변태반응)를 치료할 수 있는 잠재력을 구비하지만, 불행히도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 치료에 있어서, 중약의 보급률 및 사용도는 항히스타민제에 비해 훨씬 낮다. 또한 중의학에서는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 등을 '중독성 발진', '풍사', '습창'으로 이해하고 있어 병인에 대한 이해가 모호한 바 이런 이해를 바탕으로 하는 치료는 완치의 목적을 달성하기 어렵다.
2010년부터 2015년 9월까지 본인은 가족성 전염성 만성 자발성 중증 두드러기(알레르기 체질)의 지속적인 치료과정에서 피부병혈독환 - 동인당, 옥평풍캡슐, 보습 및 가려움 완화 캡슐, 바이쉬엔시아타러(BaiXuanXiaTaRe, )정, BaZhen과립, 로라타딘정, 데슬로라타딘 분산정, 데슬로라타딘 구연산염정, 세티리진, 레보세티리진염산염, 시메티딘정, 클로르페니라민, 케토티펜, 프레드니손정, 비타민B 복합정제 등의 내복용약을 사용함과 동시에 플루시놀론아세토나이드 연고, 트리암시놀론아세토나이드 및 에코나졸 크림, 덱사메타손 연고, 파오놀 연고, 칼라민 로션 등의 외용약을 발진 부위에 바르고, 상기 내복용약은 모두 병용요법을 사용한 바, 그 중 피부병혈독환+데슬로라타딘구연산염정(또는 데슬로라타딘분산정)+레보세티리진염산염정의 병용요법 및 바이쉬엔시아타러정+데슬로라타딘구연산염정(또는 데슬로라타딘분산정)+레보세티리진염산염정의 병용요법이 가장 효과가 좋았다. 이 치료과정을 통해 중증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알레르기체질) 증상이 어느 정도 완화되었지만 완치되지 않았고 증상 제어 효과는 점점 더 나빠졌다.
지난 5년 동안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알레르기 체질)의 지속적인 치료 과정에서 저자는 중약제(中藥製)인 피부병혈독환-동인당 및 바이쉬엔시아타러정제가 피부 가려움증, 눈 충혈 눈 가려움증, 음낭 가려움증, 입창, 이도내 가려움증, 만성 소화기 계통 및 만성 신경계 질환 등의 합병증을 제어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함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2015년 9월부터 중방생약제제로 치료하기 시작했고 2015년 11월 이후에는 중약과립제제를 사용하였다. 2018년 11월 현재까지 사용된 중방생약(과립제)의 종류는 옥수수수염, 지골피, 백모근, 지모, 토복령, (밀기울) 볶은 백술, 황기, 백부(Radix Stemonae), 황벽(Cortex Phellodendri), 고삼, 방풍, 형개, 연잎, 백선피, 금은화(Flos Lonicerae), 자초, 뽕잎, (밀기울) 볶은 율무씨, 택사, 두구, 국화(Flos Dendranthema morifolium), 지부자, 질경이, (소금) 질경이, 단삼(Radix Salviae Miltiorrhizae), 서장경, 모란피, 계지, 당삼, 치자, 적작, 매미껍질, 홍경천, 볶은 곡아, 볶은 계내금, 천우슬, (생)석고, 벌집, 목통, 창술, 생지황, 당귀, 감초, 볶은 우엉 등 40여 종류이고 각 중방생약제제는 12가지에서 19가지로 부동한 품종으로 구성된다. 중방생약제제는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증상을 다시 제어하고 알레르기 체질을 점차적으로 개선할 수 있다. 2016년 4월부터 5월까지 중방생약인 두드러기환약을 복용하는 동시에 몸의 면역력을 조절하기 위해 liertai(주사용 티모펜틴)를 한 달에 한 번씩 주사해 보았는 데, 중약과립제제의 복용에 비해 약효가 뛰어나지 않고, 두드러기환약을 복용한 후 위장에 큰 불편함을 주어 치료는 2개월 후 중단하였다.
2018년 12월 이후, 새로운 중방(中方)(과립제) 품종을 사용하기 시작했고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원래 품종은 효과가 떨어지거나 지속적인 가려움증, 항알레르기, 눈 충혈 눈 가려움증, 음낭 가려움증, 구창, 이도 가려움증, 만성 소화기 및 만성 신경계 질환과 같은 합병증에는 거의 효과가 없었다. 2022년 3월까지 새로 사용된 중방(과립제) 종류는 볶은 쓴 아몬드, 말린 생강, 강황, 진피, 볶은 누에, (꿀)마황, 부평, 천궁, 황금(Radix Scutellariae), 자화지정(Herba Violae), 조각자, 백지(Radix Angelicae), 인동등, 독활, 연교(Fructus Forsythiae), 백작(Radix Paeoniae Alba), 용담초, (생강)후박((ginger-processed)Cortex Magnoliae Officinalis), 후박꽃, 향유(Herba Moslae), 황련(Rhizoma Coptidis), 호황련(Rhizoma Picrorhizae), 천화분(Radix Trichosanthis), 볶은 결명자((stir-fried) Semen Cassiae), 포공영(Herba Taraxaci), (볶음)질려, 대청엽(Folium Isatidis), (볶은)백개자, 길경, (식초)오미자, 오매, 시호, 은시호, (제)하수오, 통초, 인진, (소금)두충, 강활, 가자(Fructus Chebulae), 어성초, 청호(Herba Artemisiae Annuae), 박하(Herba Menthae), 자소엽(Folium Perillae), 면마관중(Rhizoma Dryopteris Crassirhizomae), 사간(Rhizoma Belamcandae), 들국화, 신이(Flos Magnoliae), 복령, 계혈등, 석결명, 사세, 정향, 산수유(Fructus Corni), 생강(Rhizoma Zingiberis Recens), 곽향(Herba Agastachis), (익힌)대황, 천리광(Herba Senecionis scandentis), 백두옹(Radix Pulsatillae) 등 50여 종이며, 동시에 계속 사용한 이전의 일부 종류의 중방과립으로는 감초(Radix Glycyrrhizae), (소금)지모((salt-processed)Rhizoma Anemarrhenae), 모란피(Cortex Moutan), (밀기울)볶은 백술, 황기, 고삼, 형개(Herba Schizonepetae), 방풍, 계지, 백선피(Cortex Dictamni), 뽕잎, 단삼, 적작, 백부, 황백, 금은화, (볶은) 우엉씨, 국화, 지피씨 등이다.
중국의 많은 중의학 전문가들이 사용했거나 추천한 처방, 고전처방, 중약품류 등을 참고하여 약 100여 종에 가까운 중방생약을 선별하고 여러번 반복 시험하여 3~4종(달인약 90g~110g에 해당)의 제제으로부터 18~21종(달인약 180g~210g에 해당)의 제제 마지막에는 26종(달인약 260g에 해당)의 제제에 이르렀고 이를 바탕으로 상당한 치료효과가 있는 30여 종의 중방생약을 얻었고 그 중, 치료효과가 좋고 부작용이 적은 18~20종(한약 180g~200g에 해당)의 중방생약제제를 구성했다. 2022년 3월 현재까지 가족성 전염성 중증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알레르기 체질)가 완치되었다.
저자는 가족성 전염, 한랭형, 만성자발성 두드러기에 대한 10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를 바탕으로, 치료수단과 결과를 통해 알레르기(변태반응) 체질, 두드러기, 습진의 근본적인 원인은 세균, 진균, 바이러스 등의 미생물이 체내에 침입하여 숙주 내에서 적응, 생존, 대량 번식하며, 숙주와 경쟁하여 영양분을 흡수하고, 숙주의 조직, 기관 및 신경원을 파괴하는 동시에 신진대사로 인해 숙주의 체내로 배출되는 독성물질이 숙주의 조직, 기관 및 신경원에 진일보 해를 끼침으로써 이것이 지속되어 숙주 체내에 알레르기 반응, 심한 가려움증 및 다양한 동반 질환을 유발함을 발견하였다.
감염 기생 미생물이 한 두 종류 단기간 내에 증식한 경우, 숙주는 돌발성, 급성 두드러기(또는 급성 습진)로 나타난다. 여러 종류의 감염 기생 미생물이 서로 다른 시기에 숙주 체내에 침입하여 적응, 생존하고 점차적으로 대량 증식할 경우 이때 숙주는 알레르기(변태반응)체질, 만성 두드러기, 만성 습진 등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알레르기, 두드러기, 습진을 치료하는 근본적인 방법은 미생물에 저항하고, 미생물의 성장 및 번식을 억제하며, 병원체를 사멸하고, 숙주의 체액을 정화하는 것이다. 기생성 병원성 미생물의 종류를 식별하기는 어렵지만, 중약(中藥)에는 다양한 항균제가 많이 사용되고 다양한 유형의 미생물을 억제, 저항, 심지어 사멸하는 다양한 효과가 있으므로 중약 항균약제제를 사용하여 질병을 표적 치료할 수 있다. 전통 중의학에서 알레르기체질, 만성 두드러기, 만성 습진의 치료에 사용되는 풍을 없애고 습을 제거하고 열을 내리고 해독하는 요법은 항균 및 항염증 효과가 있으므로 치료효과가 뛰어나다. 그러나 중의학에서는 알레르기에 대한 이해가 '풍사', '중독성 발진', '습창'으로 국한되어 있고,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미생물의 수가 매우 많고 돌연변이성이 강한데 대한 근본적인 이해가 부족하므로 치료 중 약물 내성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며 본질적으로 올바른 치료 개념이 없어 실제로 효과적인 치료수단을 유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알레르기 체질, 만성 두드러기, 만성 습진 등을 근치하기 어렵다.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를 유발하는 종양, 중증 간 및 신장 질환, 갑상선 질환 등의 요인을 제거한다. 증후군 진단은 두드러기(유형과 상관없음), 알레르기체질, 습진이다.
장기간의 소화기 계통 및 신경계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예를 들어 장기간의 설사, 만성 인두염, 구창궤양, 만성(궤양성) 위장염, 항문 가려움증, 음부 가려움증, 수면질 저하, 신경쇠약, 정신 흥분, 신체 허약 등의 증상은 감초 10g, 박하 6g, 단삼 10g, 볶은 백술 10g, 가자 10g, 황금 10g, 황련 6g, 연교 10g, 자소엽 10g, 향유 10g, 백부 10g, 백작 12g, 면마관중 10g, 염지모 12g, 백선피 10g, 백지 10g, 포공영 10g, 정향 10g, 산수유 10g, 자화지정 15g의 중약제제를 사용할 수 있다. 이 제제를 복용하면 가려움증과 신체의 알레르기 반응을 제어할 수 있고 설사를 완화시키고 전신 알레르기나 가려움증으로 인한 정신적 흥분을 완화시키며 또한 밤에 질 높은 수면을 취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 제제는 기본적으로 1년 동안 지속적으로 사용한 후에도 약물 내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장기간의 호흡기 질환, 신경계 질환을 앓고 있는 사람, 예를 들어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기관지염/천식, 수면질 저하, 신경쇠약, 정신 흥분, 신체허약 등 증상은 항균, 항알레르기, 진정, 면역체계 조절로부터 시작하여 약물을 선택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감초 10g, 박하 12g, 단삼 10g, 용담 6g, 청호 15g, 황금 10g, 황련 6g, 연교 10g, 자소엽 10g, 강후박 12g, 천화분 15g, 천리광 15g, 황백 12g, 금은화 10g, 대청엽 15g, 익힌 대황 6g, 호황련 3g, 생강 10g, 곽향10g을 사용할 수 있는 바, 이 제제를 복용하면 가려움증 및 알레르기 반응을 억제할 수 있고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기관지염/천식을 억제하며, 전신 알레르기나 가려움증으로 인한 정신흥분을 완화시키며 동시에 밤에 질 높은 수면을 취하는 데 도움이 된다.
호흡기, 소화기 및 신경계 질환이 있는 사람, 예를 들어 만성 결막염, 만성 인두염, 구창 궤양, 만성(궤양성) 위장염, 항문 가려움, 음부 가려움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기관지염/천식, 수면질 저하, 신경쇠약, 정신흥분, 신체허약, 무기력 등 증상은 황금3-9g, 황련1.5-8g, 연교6-15g, (생강)후박3-10g, 자화지정10-30g, 볶은 백술3-15g, 백지3-10g, 백작5-12g(15-30g), 지모6-12g, 천화분9-15g, 감초10g, 볶은 결명자6-30g, 백부3-10g, 자소엽5-10g, 황백3-9g, 청호6-15g(20-40g), 대청엽10-15g, 면마관중5-15g, 단삼5-15g, 박하3-6g, 천리광15-30g, 백두옹15-30g, 향유3-9g, 포공영10-30g(60g), 금은화10-20g, 사간5-10g, 모란피6-9g, 신이3-10g, 대황(Rhizoma et Radix Rhei)3-12g, 생강3-10g, 가자3-6g, 백선피6-15g, 산수유5-10g, 국화10-15g, 천궁3-10g, 용담3-6g, 형개3-10g, 호황련6-12g, 곽향6-10g 등에서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급성 두드러기, 돌발성 중증 알레르기, 예를 들어 과민성 쇼크, 후두부종, 알레르기로 인한 고혈압, 저혈압, 실신 등 증상은 먼저 알레르기 증상을 억제한 다음, 2세대 항히스타민제와 중약제제, 또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 2세대 항히스타민제 + 중약제제의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결합, 또는 에피네프린 + 2세대 항히스타민제 + 중약제제의 체계적이고 단계적인 결합 등 중약제제를 이용하여 알레르기 유발물질을 근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방식에 있어서,
중약제제 Ⅰ은 황금, 황련, 연교, 자소엽, 후박, 백술(Rhizoma Atractylodis Macrocephalae), 백지, 백작, 결명자, 황백, 백부, 청호, 지모, 천화분, 감초, 박하, 면마관중, 단삼, 자화지정, 대청엽 등 20가지 중방생약의 과학적 추출물을 포함한다. 각 성분의 함량은 황금 9-10g, 황련 6-8g, 연교10-12g, 자소엽 10g, 강후박 10-12g, 볶은 백술 10g, 백지 10-12g, 백작 10-12g, 볶은 결명자 10-15g, 황백 9-12g, 백부 10g, 청호 10-12g, 염지모 10-12g, 천화분 10-12g, 감초 9g-10g, 박하 6-12g, 면마관중 10-12g, 단삼 8-10g, 자화지정 10-15g, 대청엽 10-15g이다. 이 20가지 성분의 과학적 추출물로 중약제제 Ⅰ을 구성하고, 환제, 산제 또는 캡슐제 등의 내복용약을 제조함과 아울러, 20가지 성분의 추출물로 약액, 연고, 또는 파스 등의 외부에 바르거나 붙이는 외용약을 제조하며, 피부 가려움이 심한 부위에는 내복용약과 결합하여 외부에 바르거나 붙이는 등 외용약을 사용할 수 있다.
이 제제를 내용 및 외용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두드러기, 다양한 유형의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 증상 및 원인불명의 여러가지 피부의 극심한 가려움증을 빠르게 제어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약물 투여로 상기 증상을 완전히 치료할 수 있다. 이 제제는 초기에 내부 복용하고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 피부 가려움증 등이 심해지면 내복용 항히스타민제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증상과 근본원인을 동시에 치료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중약제제 II는 과학적으로 추출된 감초, 박하, 대황, 향유, 포공영, 천리광, 백두옹, 신이, 사간, 천궁, 금은화, 가자, 형개, 생강, 모란피, 백선피, 국화, 용담초, 호황련, 곽향, 산수유 등 21종 중방생약의 유효성분을 포함하고, 상기 21종의 성분의 함량은 감초9-10g, 박하6-12g, 천리광15-20g, 백두옹15-20g, 향유9-10g, 포공영10-15g, 금은화10-15g, 사간9-10g, 모란피9-10g, 신이9-10g, 익힌 대황5-6g, 생강9-10g, 가자6-10g, 백선피10-12g, 산수유9-10g, 정향10g, 국화10-12g, 천궁6-10g, 용담5-6g, 형개9-10g, 호황련3g, 곽향9-10g이며, 각 성분의 유효성분을 과학적으로 추출하여 중약제제 II를 구성하고 내복용 환제나 캡슐로 제조함과 아울러 각 성분의 과학적인 추출물로 중약제제 II를 구성하여 외부용 약액 또는 연고로 제조하고 내복용 약물과 결합하여 피부 가려움증이 극심한 부위에 외용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제제를 내복 및 외용으로 결합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유형의 두드러기, 다양한 유형의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 증상 및 원인불명의 여러가지 피부의 극심한 가려움증을 빠르게 제어할 수 있으며, 지속적인 약물 투여로 이러한 증상을 완전히 치료할 수 있다. 이 제제는 초기에 내부 복용하고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 피부 가려움증 등이 심해지면 내복용 항히스타민제를 결합하여 사용함으로써 증상과 근본원인을 동시에 치료하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환자 1: 가족성 전염성(유전성)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남성, 39세.
환자의 할아버지는 두드러기가 심하고 온몸에 심한 가려움증이 있으며 다리에 두드러기가 생기면 불을 쬐여 가려움증을 완화시켰다. 환자는 어릴 때부터 심한 음낭 가려움증, 피부 가려움증을 겪었고 7~10세 때 다리가 안으로 휘어지고, 어깨 겨드랑 안쪽에 매년 홍진이 크게 생기고 가려움이 심하며, 후에 다리가 휘어지고 겨드랑에 발진이 생기던 증상은 재발하지 않으나 전신에 수시로 부동한 부위에 붉은 반점이 생기며 특히 등, 허리, 허벅지 안쪽, 음낭에 발작이 빈번하고 심하며 나이가 들수록 붉은 반점과 심한 가려움증이 심해지고 몸에는 궤양성 직장염, 대장염 등 만성 장염이 생기기 시작했고 설사와 감기가 계속 반복되고 치료가 어려웠다. 동시에 심각한 수면 질 문제, 내분비 장애, 뇌신경 쇠약, 정신흥분과 정신위측 및 증상의 교대 발생, 만성 결막염, 만성 인두염, 이도 가려움증, 알레르기 비염 등 일련의 문제를 동반하고 있다.
2010년부터 2015년 9월까지 내복용으로 피부병혈독환 - 동인당, 옥평풍캡슐, 보습 및 가려움 완화 캡슐, 바이쉬엔시아타러(BaiXuanXiaTaRe, ), 바전(Bazhen, ) 과립, 로라타딘정, 데슬로라타딘 분산정, 데슬로라타딘 구연산염정, 세티리진, 레보세티리진염산염, 시메티딘정, 클로르페니라민, 케토티펜, 프레드니손정, 비타민B 복합정제 등을 사용함과 동시에 플루시놀론아세토나이드 연고, 트리암시놀론아세토나이드 및 에코나졸 크림, 덱사메타손 연고, 파오놀 연고, 칼라민 로션 등의 외용약을 발진 부위에 바르고, 상기 내복용약은 모두 병용요법을 사용하였다. 예를 들어, 데슬로라타딘구연산염정+레보세티리진정+보습 및 항가려움증 ?c술을 결합하여 사용하고,데슬로라타딘구연산염정+피부병혈독환을 결합하여 사용하였다. 이 치료법으로 5~6년 동안 치료하였고 초기에는 제어 효과가 비교적 좋아 중증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알레르기 체질) 증상이 어느 정도 감소되었지만 피부 가려움증 및 기타 동반성 증상은 시종 완전히 제어하지 못했고 만성 두드러기는 치료하지 못하고 증상 제어 효과도 갈수록 떨어졌다. 이 치료 과정에서 중방생약인 피부병혈독환-동인당과 BaiXuanXiaTaRe가 두드러기 증상을 제어하고 알레르기 체질을 개선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2015년 11월부터 2022년 5월까지 중약과립제제를 사용하여 본인의 중증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를 치료했다. 중국의 많은 중의학 전문가들이 사용했거나 추천한 처방, 고전처방, 중약 등을 참고하여 약 100여 종에 가까운 중방생약을 선별하고 여러번 반복 시험하여 3~4종(달인약 90g~110g에 해당)의 제제로부터 18~21종(달인약 180g~210g에 해당)의 제제 마지막에는 26종(달인약 260g에 해당)의 제제에 이르렀고 이를 바탕으로 상당한 치료효과가 있는 30여 종의 중방생약을 취하여 치료효과가 좋고 부작용이 적은 중약제제 I 및 중약제제 II를 배합해 냈다. 2021년 1월부터 중약제제 I 및 중약제제 II(또는 두 제제의 일부 성분을 교차 사용)를 사용하고 1년 이상의 지속적인 치료로 환자의 전신의 붉은 반점, 붉은 발진이 모두 가라앉았고, 2022년 2월 환자의 완쾌 전의 다리 굽힘부 내부에 갑자기 심한 홍진과 가려움증(완치 전 반응, 20년 이상 나타나지 않은 증상)이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 전신 가려움증은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피부 증상이 사라짐에 따라 환자의 동반성 만성 장염: 궤양성 직장염, 대장염, 치질, 수면 질 문제, 내분비 장애, 항상 존재하던 정신위축, 정신흥분 및 교대 발생, 전신근육, 관절의 습관성 통증, 아건강성 반복감기, 만성인두염, 만성결막염, 알레르기성 비염, 이도 가려움증 등 일련의 문제와 알레르기 체질 관련 질병이 모두 사라졌거나 사라지고 있으며 알레르기 체질 문제는 거의 사라지고 있다.
전형적인 피부 발진의 치유 과정은 명세서 첨부도면 환자 1에 나타낸다.
환자 2: 가족성 전염성(유전성)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여성, 54세.
환자 1의 고모는 어릴 때부터 온몸에 심한 가려움증을 앓았고 50년 이상되며 두드러기 증상은 일년 내내 지속되고, 가려울 때 긁힌 부위에 짙은 붉은색 긁힌 자국이 나타나고 심한 가려움증은 완화하기 어려웠다. 가려움증이 끝나면 피부가 정상으로 돌아오고 가을과 겨울에 증상이 악화된다. 가족성 전염성 중증 자발성 한랭 두드러기로 진단되었다.
2014년 2월부터 중약인 피부병혈독환-동인당을 복용하기 시작했고 가끔 알레르기 증상을 제어하기 위해 레보세티리진 염산염 정제와 데슬로라타딘 분산정제를 함께 복용하였고 치료 과정은 반년 이상 지속되었고 치료효과가 상당하고 피부 가려움증 증상이 크게 개선되었지만 근절되지는 않았다. 2021년 2월, 두드러기 재발 후 환자 1에게 일반적으로 사용하던 두 가지 중약제제: 중약제제 I 및 중약제제 II(과립제조정제제)를 복용하되, 제제 I은 황금, 연교, 면마관중을 제거하고, 제제 II는 천리광, 백두옹, 신이, 사간, 정향, 곽향, 산수유, 용담을 제거하고 황금, 연교, 계지, 고삼 및 볶은 우엉을 첨가하였다. 두 제제를 각각 5포씩 짓고, 매일 한포씩 따뜻한 물 300ml에 완전히 용해시켜 아침, 저녁 절반씩 복용한다. 각 제제는 복용 시 두드러기 증상을 제어할 수 있다. 10포를 복용한 후 재발성 두드러기 증상이 완전히 사라졌다. 복용 중단 5일 후 재검사 결과 두드러기 증상은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 복용 중단 열흘 후, 갑자기 날씨가 추워지고 많은 눈이 내렸다. 재검사 결과 밤에 잠 잘 때에도 가려움증이 사라지는 등 환자의 두드러기 증상은 더 이상 나타나지 않았다. 복용 중단 20일 후 재검사 결과 환자의 두드러기 증상은 다시 나타나지 않았다. 환자의 두드러기가 기본적으로 치유된 것으로 판단되었다.
환자 3: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남성, 47세.
2021년 7, 8월부터 뚜렷한 원인없이 심각한 두드러기가 생기고 전신에 붉은 반점이 생기고 손바닥에 발진이 생기고 일부 붉은 반점은 크게 나타나 심한 가려움증을 동반하고, 만성 소화관 질환, 복부 팽만감 및 막힘을 동반하고, 간헐적인 심한 통증, 설사를 동반한 복통, 음낭 가려움증, 항문 가려움증 및 통증, 내ㆍ외 치질 증상, 입 주변 농포, 밤에 심한 피부 가려움증, 수면의 질 저하, 식욕부진 등이 나타났다. 2021년 10월부터 뻥뿌시 제3인민병원에서 진료를 받기 시작했고, '급성두드러기'로 진단을 받았다. 메틸프레드니솔론 숙신산 나트륨 항염증제(40mg/대) 80-120mg을 정맥주사하고, 데스로라타딘과 에바스틴 항알레르기제를 복용하고 모사프리드구연산염정과 라베프라졸나트륨장용정을 위보호용으로 복용하였다. 병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아 2021년 10월 10일 입원 치료를 받았다. 입원기간 메틸프레드니솔론숙신산나트륨 (40mg/스틱) 40mg(항염제)을 1일 1회, 비타민C(1g/스틱) 3g을 1일 1회, 글루콘산칼슘(10ml:1g), 시메티딘주사액(2ml:0.2g/스틱) 200mg 1일 1회 정맥점적 주사함과 동시에 데슬로라타딘 구연산염정, 에바스틴정, 케토티펜푸마르산염정을 내복하여 알레르기를 방지하고, 모사프리드구연산염정, 라베프라졸나트륨장용코팅정을 복용하여 위를 보호하고, 피부 발진은 외용약으로 파오놀 연고, 트리암시놀론 아세토나이드 및 에코나졸 크림을 사용하였다. 10월 28일 퇴원시, 온몸의 심한 가려움증이 완화되고, 입원 당시에 비해 몸통과 팔다리의 붉은 반점이 병원에 입원할 때보다 현저히 감소되었지만 온몸의 가려움증은 여전히 뚜렷하고, 수면질량 및 식욕은 여전히 매우 낮고, 메틸프레드니솔론숙신산나트륨, 비타민 C 등 항염증제를 매일 정맥점적 주사해야 했고 동시에 데슬로라타딘구연산염정 및 에바스틴정을 복용하여 알레르기를 방지하고, 모사프리드구연산염정 또는 라베프라졸나트륨장용코팅정을 복용하여 위를 보호해야만 위와 항문의 간헐적인 심한 통증을 완화할 수 있었다.
2022년 1월 19일부터 항염제로 메틸프레드니솔론숙신산나트륨(40mg/스틱) 40mg을 1일 1회 및 비타민C(1g/스틱) 3g을 1일 1회 정맥점적 주사하고, 항히스타민제와 위장 보호제를 복용한 기초상에서 중약제제를 하루에 한첩씩 복용하기 시작했다. 항히스타민제로 데슬로라타딘 구연산염 정제, 에바스틴 정제, 올로파타딘 염산염 정제 및 라니티딘 염산염 캡슐을 사용하고, 위 보호약으로 모사프리드구연산염정, 라베프라졸나트륨장용정, 오메프라졸마그네슘장용정 등을 사용하고, 중약제제 I, 중약제제 II, 및 중약제제 I과 중약제제 II의 혼합 조정제제를 순차적으로 사용하였다. 2022년 1월 29일 정맥 주사를 중단하고, 항염증제로 호르몬인 프레드니손 정제와 덱사메타손 정제를 첨가했다. 2월 15일부터 호르몬 복용을 중단하고, 종합 항균제로 한약 처방, 항히스타민제로 올로파타딘 염산염 정제, 위장 보호용으로 오메프라졸 마그네슘 장용코팅정제만 복용하였다. 2월 26일부터 위장보호제 복용을 중단하고 올로파타딘염산염정을 감량하여(아침 1정, 저녁 1정을 하루 1정으로 감량) 복용하고 중약제제 I만 일상적으로 복용했다. 3월 1일, 온몸의 피부가 아무런 흔적도 없이 건강한 상태로 돌아왔고 위가 팽창하고 막히는 느낌이 사라지고 통증이 완전히 사라지고 회복되었다. 중약제제 I을 계속하여 복용하고, 전신의 우발적인 경미한 가려움증과 동반성 항문 가려움증을 제어하기 위해 항히스타민제 올로파타딘 염산염 정제(1정/일)를 보조 복용함과 동시에 치료 결과를 공고히 하였다. 환자의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를 서약 치료를 바탕으로 중약제제 I(또는 제제 II 또는 그 조정제제)을 추가 복용한 후부터, 환자의 위 부종 및 막힘, 위 및 항문 통증, 항문 가려움증, 몸 붉은 반점, 손바닥 발진, 몸 가려움증 등 증상이 매일 크게 감소했고 밤잠 수면 질량이 단계적으로 향상되었고, 그 동안 증상이 재발하기는 했지만 전반적으로 완치를 향해 나아갔고 서약 단독 사용보다 증상 제어 효과가 훨씬 좋았다.
전형적인 피부 발진 치유 과정은 명세서 첨부도면 환자 3에 나타낸다.
환자 4: 가족성 전염성(유전성)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여성, 60세.
환자는 어머니가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즉 팔 알레르기, 피부 혈관성 수종 및 심한 가려움증으로 앓았다고 진술했다. 환자는 어릴 때부터 피부 알레르기가 있었고, 등, 허리, 복부, 목, 사지 등 전신에 피부 혈관성 수종, 홍반, 발진 및 심한 가려움증을 나타냈고, 수종수포는 크기가 다양하고 일부는 뭉쳐 퍼지고 피부색, 밝은 붉은색, 옅은 붉은색을 띠며, 붉은 반점과 발진은 진한 붉은색을 띠며, 대부분은 피부로부터 두드러지고, 일부는 뭉쳐 퍼지고, 혈관성 수종이 대부분이고 대부분의 발진은 피부로부터 두드러졌다. 합병증으로는 만성 결막염, 이도, 항문, 음부 가려움증이 있고, 안구 및 눈꺼풀 안쪽이 경상적으로 피가 지고, 일년 내내 눈 가려움증이 있다. 레보세티리진염산염, 클로르페니라민말레산염 등 항히스타민제를 장기간 복용하였으나 약효가 좋지 않고 재발 후에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았다. 중약인 Jinchan zhiyang 캡슐을 사용했고 중약탕제(다른 제제)로 치료한 적도 있지만 몸 전체의 심한 가려움증을 효과적으로 제어할 수 없었다.
2022년 4월 8일부터 중약제제 Ⅰ및 중약제제 Ⅱ의 혼합 조정제제인 청호10g, 황백6g, 황금10g, 연교10g, 자소엽10g, 황련6g, 염지모10g, 감초9g, 백부9g, 자화지정15g, 박하6g, 포공영10g, 백지12g, 강후박12g, 대청엽5g, 향유10g, 단삼5g, 생강9g 등 총 7포 18가지를 복용하였다. 약 복용 후 피부혈관수종이 현저히 감소하고 가려움증도 동시에 완화되고 홍반 및 발진도 크게 감소하고 수면의 질도 개선되었다. 환자는 중약(中藥)과립 처방을 계속해서 복용할 것을 요청했고, 환자에게 중약제제 I과 중약제제 II를 혼합한 19~21가지를 증후군 처방하였다. 약은 2022년 7월 말까지 사용하고, 전신에 자주 발생하던 심한 피부 혈관수종, 심한 피부 가려움증, 음부 가려움증, 눈 충혈 및 눈 가려움증 등 만성 두드러기 증상 및 합병증이 크게 완화되기 시작했고 8월에는 환자의 전신 발진과 가려움증 증상이 매우 경미하였다. 8월 30일부터 9월까지, 기후변화, 날씨변화로 인해 환자의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가 다시 심해졌지만 심해진 피부 혈관수종과 가려움증은 발병부터 진정까지 20분 미만으로 짧은 시간 나타나고 증상은 심각할 정도로 심하지 않았고 심한 피부혈관수종이나 심한 가려움증은 더욱 없었다. 10월에 들어 환자의 전신에 혈관성수종이 없어졌고 가끔 발생하는 가려움증은 오래 지속되지 않았고 이도 가려움증, 만성 결막염, 음부 가려움증, 항문 가려움증 등 일련의 만성 두드러기의 합병증은 점차 약해지고 사라졌다. 환자는 중약과립 제제 I, 제제 II, 및 제제 I과 제제 II의 혼합 조정제제를 계속 복용하여 알레르기 체질의 병원체를 근절하도록 하고 이전 치료효과를 공고히 하였다.
전형적인 피부 발진의 치유 과정은 명세서의 첨부도면의 환자 4에 나타낸다.
환자 5: 후천성 만성 자발성 습진, 여성, 35세
2021년 8월 27일, 환자는 양쪽 다리에 심한 습진으로 인해 뻥뿌시중의원 중의과를 찾았다. 매년 입하가 시작되면 환자는 두 다리에 만성습진이 발작하여 다리는 구진이 가득하고 구진 주변 발진이 붉어지고, 붉은 발진은 모양이 불규칙하고, 특히 밤에 심하게 가렵고, 수면의 질이 매우 나쁘다. 가을에는 습진이 저절로 사라졌다. 9년 전 임신하고 출산한 이후부터 이런 증상이 나타났다. 환자는 만성 습진 발작을 치료하기 위해 중약탕제를 복용한 적이 있는데 가려움증은 효과적으로 제어했지만 사용된 제제는 소화 기관에 심각한 부담을 주고 심한 설사를 유발하며 나중에는 가려움증 제어 효과가 점차 떨어졌다. 중의과 증후군 처방은 볶은 삽주8g, 황백10g, 강죽여10g, 강후박8g, 의이인10g, 볶은 곡아15g, 볶은 맥아15g, 밀기울과 함께 볶은 지각8g, 지부자10g, 수분초10g, 등골나물8g, 옥수수수염8g 총 12가지 중방생약 7포를 1일 1포, 아침 반, 저녁 반을 달여 복용한다. 환자는 이 처방을 복용한 후에도 다리의 습진이 여전히 심하게 가려워 밤에 잠을 잘 수 없었고 약 3포를 복용한 후 중단했다.
8월 31일부터 환자 1이 사용한 중약제제 I의 조정제제(과립제) 단삼, 대청엽, 백지를 제거하고 중약제제 Ⅱ의 성분인 천궁6g, 금은화10g, 포공영10g을 첨가한 것을 복용하고 외용했다. 1일 1포, 아침 반, 저녁 반을 따뜻한 물 300ml와 함께 복용했다. 중약제제 Ⅰ(조정제제)을 복용한 후 양쪽 다리 습진의 극심한 가려움증은 빠르게 완화되었으나 중약제제 I(조정제제) 약액을 양쪽 다리 발진에 외용했을 때 단시간에 발진 가려움이 더욱 심해졌다. (분석: 발진에 중약액을 외용했을 경우 발진 병원체를 자극할 수 있고 억제 및 사멸되지 않은 병원체의 활동을 증가시켜 발진의 가려움이 단기간에 더욱 심해진다.) 약을 4포 복용한 후 환자의 양쪽 다리의 습진 증상이 현저히 감소되고 극심한 가려움이 경미해졌고 양쪽 다리에 발진 및 가려움증이 있을 때 긁힌 피부에 딱지가 생겼다. 이후 환자는 중약제제 Ⅰ을 복용할 때 설사 증상이 나타났고 설사 증상이 심하지 않으므로 환자에게 약을 계속 복용하도록 권유하였다. 이 중약제제를 복용하면 환자 몸의 해독효과가 강화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설사는 습진의 신속한 치유에 도움이 된다. 따라서 환자의 투약정황에는 변화가 없고 두 달 이상 꾸준히 약을 복용했고 2022년 여름에는 더 이상 다리나 전신 다른 부위에 습진 및 발진이 생기지 않았다. 9년 이상 지속된 중증 만성 자발성 습진이 완치되었다.
전형적인 피부 발진의 치유 과정은 명세서 첨부도면 환자 5에 나타낸다.
환자 6: 가족성 전염성(유전성) 만성 자발성 습진, 남성, 12세.
환자의 아버지는 심한 손 습진을 앓고 있었고 피부가 갈라지고 벗겨지고 홍진, 극심한 가려움증이 있었고 후에는 손 습진 증상이 완화되더니 전신 가려움증이 생겼고 특히 등, 허벅지 안쪽 근육, 음낭에 가려움이 극심했다. 환자는 태어날 때부터 만성 자발성 습진을 앓았고 손 습진의 탈피가 심하고 갈라지고 피가나고 홍진이 극심하고 여름에 가려움이 심했고 이마에 두드러기 모양의 구진이 나타났고 하반기 내내 지속되었다. 2022년 10월 5일부터 중약제제 I과 중약제제 II의 혼합조정제제(중약과립제제)를 시험 복용하였고 조정제제는 황련6.3g, 황금10g, 연교10g, 자소엽10g, 천화분10g, 사간10g, 감초9g, 백부9g, 금은화10g, 박하12g, 백작10g, 포공영10g, 밀기울과 볶은 백술3g, 염지모10g, 자화지정10g, 천궁6g, 형개10g, 국화10g, (술)산수유10g 등 총 7첩 19가지 종류이다. 1일 1포, 아침 반, 저녁 반을 따뜻한 물 100ml와 함께 복용하고, 복용 시 손의 습진 부위에 소량의 중약액을 발랐다. 10월 9일 중약과립제제 3포를 복용, 외용한 후, 반년 동안 지속된 이마 두드러기 모양 구진이 눈에 띄게 가라앉기 시작했고 심한 손 습진이 탈피를 멈추고 발진이 가라앉고 손 습진과 이마 두드러기 구진은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는 속도로 증상을 빠르게 개선하였다. 10월 14일, 중약제제 7포를 복용, 외용한 후, 손 습진의 탈피, 홍진 증상이 모두 사라졌고 손 피부가 완전히 건강한 상태로 돌아왔다. 치료효과를 공고히 하고 병원체를 완전히 근절하기 위해 환자는 계속해서 중약과립제제를 복용했다.
전형적인 피부 발진의 치유 과정은 명세서 첨부도면 환자 6에 나타낸다.
환자 7: 후천성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중증 피부 긁힘증), 손 습진, 남성, 40세
2020년 5월 16일, 환자는 1년 이상 두드러기를 앓았고, 원인없이 발작했다고 진술했다. 발작 시 허벅지 안쪽 근육의 가려움이 극심하고, 샤워를 할 때 마찰부위에 붉은 반점이 생기고 가려움이 극심해져 허벅지 안쪽 피부를 문지르기 두려웠고 샤워 후 가려움이 더욱 심해지고 붉은 반점을 동반하고 긁은 후 표피에 궤양이 생기고 붉은색이 나타난다. 환자에게 중약제제 I과 중약제제 II 성분의 교차 조정제제 과립을 복용시켰다. 중약제제 I(성분 조정)은 총 5포, 1일 1포, 300ml정도 따뜻한 물에 충분히 용해시켜 아침 반, 저녁 반 또는 아침, 점심, 저녁으로 3회 나누어 복용함과 동시에 피부 가려움이 극심한 부위에 제제 수용액을 발랐다. 1포 복용 후, 허벅지 안쪽 근육의 가려움증이 더욱 심해진 것 같았으나 전신신경이 이완되고 진정되며 졸음이 오고 그날 밤 수면 질이 매우 좋았다. 2포 복용 후 허벅지 안쪽 근육의 가려움증 증상이 크게 호전되었고, 목욕 후 습관성 가려움증도 사라졌다. 5포 복용 후 증상은 사라졌고, 목욕 후에도 허벅지 안쪽 근육이 더 이상 가렵지 않았다. 이어서 중약제제 II(성분 조정)를 총 3포, 1일 1포를 따뜻한 물 300ml 정도에 완전히 용해시켜 아침, 저녁 반반씩 복용하거나, 아침, 점심, 저녁 3회 나누어 복용하였다. 중약제제 I을 복용한 후 중약제제 II를 복용하고 환자는 하루 종일 졸리고 약물의 진정 효과가 매우 강하고 이는 신체의 신경계가 완전히 이완되었음을 나타낸다. 샤워 시 피부를 문질러도 가려움증이 더 이상 발생하지 않았다.
2020년 9월 11일 환자는 다시 병원을 찾았고 작업 시에는 반드시 비닐장갑을 착용해야 하기에 장기간에 걸쳐 양손 손가락에 쌀알 크기의 여드름이 생겨 가려움이 극심했고 여드름을 찌르면 수액이 흘렀고 열 손가락이 부어오르고 통증이 있으며 부분적으로 갈라지고, 피부가 건조하고 벗겨졌다. 증상으로 보아 손 습진으로 판단되었다. 습진과 두드러기는 병인이 유사하기에 양자의 발병 근원은 체내 미생물 병원체에 의한 감염이다. 따라서 중약제제 I(과립제)을 총 10포 처방하고, 1일 1포를 300ml정도 따뜻한 물에 충분히 용해시켜 아침 저녁 반반씩 복용하고, 피부 가려움이 심한 경우 외용으로도 사용하였다. 3포 복용 후, 손가락의 붓기가 완화되고 피부 갈라짐 및 가려움증이 감소되었다. 4~5포 복용 후 가벼운 설사가 발생함과 동시에 양손 열 손가락의 붓기와 통증이 사라지고 가려움증도 사라지고 피부 갈라짐도 천천히 치유되고 피부 건조도 완화되었으나 탈피는 여전했다. 7~8포 약을 복용한 후 약간의 위 불편감, 위가 쓰리고 입이 쓰며, 손은 피부 건조 및 탈피 외 다른 증상은 사라졌다.
전형적인 피부 발진의 치유 과정은 명세서 첨부도면 환자 7에 나타낸다.
환자 8: 급성 두드러기, 남성, 37세.
2020년 8월, 환자의 진술에 의하면 전날 논에 살충제를 뿌리고 집에 돌아온 후 오른쪽 허리에 다양한 크기의 여드름이 나타나기 시작했고 퍼지며 그 주변은 선홍색 알레르기 피부로 가려움이 극심해 참을 수 없을 정도였다. (환자는 알레르기 체질로 밤에 잘 때 등이 자주 가렵다고 진술했다.)
중약제제 I 및 중약제제 II의 일부 성분인 천화분10g, 백지12g, 포공영10g, 황금10g, 백작10g, 황백10g, 계지6g, 연교10g, 염지모10g, 감초9g, 볶은 결명자10g, 백술10g 등 총 12가지를 선택하여 제제(중약과립제) 4포를 처방하고 복용과 함께 발진 부위에 바르도록 하였다. 1일 2회, 1일 1포를 따뜻한 물 200ml에 완전히 용해시켜 아침, 저녁 반반씩 복용하고 발진 부위에는 하루 3~4회 바르도록 하였다. 약을 1포 복용한 후 동시에 소량의 남은 약을 발진 부위에 바른 후, 극심하던 가려움증 증상은 사라졌고, 알레르기성 여드름과 수종 주변의 선홍색 피부가 가벼운 가려움증으로 바뀌었고 이 제제를 내외용 결합하여 복용한 후 증상은 점차 완화되었다. 약 4포 복용 후 발진과 수종이 사라지고 가려움증도 완전히 사라졌다. 알레르기가 있는 선홍색 피부는 녹두 크기의 구진으로 변하고, 환자는 약이 너무 써서 복용을 중단하였고, 알레르기 증상은 점차 사라졌다.
환자 9: 후천성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남성, 19세.
환자는 일년 내내 등, 허벅지 안쪽, 음낭, 항문에 가려움이 심했고 이유 없이 발작하고, 신체의 다른 부위에도 광범위하게 고정된 위치가 없이 발작하고, 날씨 변화기 전과 기후 변화 과정에 특히 가려움이 극심했고 밤에 가려움증이 엄중하고, 이런 과정이 여러 해 지속되었다. 환자의 부모 및 기타 직계 가족 중에는 알레르기 질환이 있는 사람이 없다.
2020년 4월 12일부터 중약제제 3(중약과립제) (중약제제 I의 성분 중 일부를 선택) 강후박12g, 백지12g, 백술10g, 황금10g, 백작10g, 황기10g, 황련6g, 계지6g, 연교10g, 염지모10g, 감초9g, 볶은 결명자10g 등 총15포 12가지를 1일 1포를 200ml의 따뜻한 물에 완전히 용해시켜 아침, 저녁으로 절반씩 복용하였다.
그런 다음 중약제제 4 (중약과립제) (중약제제 I 및 제제 II의 성분 일부를 선택)인 포공영10g, 백술10g, 황금10g, 백작10g, 황기10g, 계지6g, 연교10g, 염지모10g, 감초9g, 천화분10g, 대황6g, 백지6g 총 20포 12가지를 제제 3과 동일한 방법으로 복용하였다. 복용 후 설사(제제에는 해독용 대황 6g이 함유되어 있음)가 나타났다.
환자는 이전에 만성 두드러기 증상을 치료하기 위해 피부병혈독환-동인당을 복용한 적이 있는 바, 제제 3, 제제4 및 피부병혈독환-동인당과 비교할 경우 세가지 약의 약효가 비슷하고 약을 복용한 후 가려움증 증상이 완화되었다.
2021년 2월 중약제제 Ⅰ및 중약제제 Ⅱ 과립제를 복용하였다.
환자는 중약제제 I 및 중약제제 Ⅱ는 제제 3, 제제 4 및 피부병혈독환보다 약효가 더욱 효과적이고 가려움 완화 효과가 더욱 좋지만 에바스틴만큼 가려움증 제어효과는 좋지 않다고 진술했다. 에바스틴 복용 후, 알레르기 증상이 즉시 제어되고 가려움증도 완전히 사라졌지만 두드러기는 별다른 호전없이 금새 저절로 재발해 예전과 똑같은 증상이 나타났다. 환자는 6개월 이상 에바스틴 복용을 지속했고 치료 중 알레르기 및 가려움증 증상이 나타나면 에바스틴을 복용하고 증상이 사라지면 에바스틴 복용을 중단했다. 6개월 이상의 치료 후에도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발작 횟수는 줄어들지 않았고, 풍진, 가려움증도 완화되지 않았다.
환자 10: 소화기 계통 질환을 동반한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남성, 31세.
2021년 1월 14일, 환자는 응급의사이고 수년간 두드러기로 고통받고 있으며 뚜렷한 원인없이 발작하고 두드러기가 재발하면 팔과 어깨에 풍진이 오고 등과 허벅지 안쪽에 선홍색의 풍진이 나타나며 알레르기성 풍진과 발진은 신체의 다른 부위에 널리 퍼지고 고정 위치가 없으며 가려움은 참기 어려울 정도이고 일년 내내 반복된다고 진술했다. 일년 내내 설사 증상이 있고 위장관 통증을 동반하며, 특히 매일 새벽에 불편함이 두드러지고 불편하다(만성두드러기 환자에게 흔한 소화기 질환의 합병증이기도 하다). 중약제제를 사용하기 전, 다양한 외부 연고를 사용했지만 가려움을 완화할 수 없었다. 만성 두드러기 증상을 제어하기 위해 세 가지 중약제제를 시도해 볼 것을 권장했다.
중약인 두드러기환 1회 1봉지씩 아침, 저녁 각각 1회 복용했다. 환자는 약을 복용한 후 위가 쓰리고, 복통, 설사가 나타났고 밤에는 가려움을 제어할 수 없을 정도로 극심했고 이틀 후 복용을 중단했다.
중약제제 I(성분 조정과립제)은 볶은 백술, 면마관중, 황금, 연교를 제거하고 금은화를 추가하였고 총 5포, 1일 1포를 따뜻한 물 약 300ml에 완전히 용해시켜 아침, 저녁 반반씩 복용하였다. 이 제제를 절반 복용한 후, 피부 가려움이 심한 부위에 발랐다. 곧 몸 전체의 신경계가 이완되고 피부가 편안하고 이완되는 느낌을 받았고 피부 신경 말단이 이완되고 예민해지며 온몸의 가려움이 완전히 억제되고, 밤에 잘 때에도 가려움이 심했던 부위가 가렵지 않고, 편안함을 느끼며, 수면 질도 크게 향상되었다. 이 제제를 추가로 복용한 후 설사가 완화되었고 새벽의 위장 불편감도 사라졌다.
중약제제 II(제제 I의 성분과 교차 조정된 과립제)는 정향, 산수유, 금은화, 생강, 대황, 천리광을 제거하고 황금, 연교, 볶은 백술을 추가하였고 총 5포, 1일 1포를 따뜻한 물 300ml정도에 완전히 용해시켜 아침, 저녁 반반씩 복용하였다. 이 제제는 가려움증을 완전히 완화시킬 수는 없지만 체내 감염원을 피부로 유도하며, 처음 3포 복용 시에는 팔, 어깨, 허벅지 안쪽 피부의 가려움증이 심해지고, 동시에 심한 혈관성수종이 생기고, 팔과 어깨의 여러 곳에 한데 뭉친 커다란 물집이 나타났고 중약제제 II 약액을 함께 외용하여 가려움을 경감했다. 복용 후 피부 알레르기 증상이 악화되었지만 긍정적인 치료작용을 느꼈고 전신 신경계가 가벼워지고 긴장증이 사라졌다.
환자 11: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여성, 60세.
환자는 수년간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를 앓았고, 온몸에 붉은 반점이 퍼져 있고 상지, 머리, 목, 무릎 관절에 다양한 밀도와 크기의 혈관성수종 물집이 생기고 피부색이고 특히 밤에 극심한 가려움으로 수면 질이 좋지 않다. 2년 넘게 치료를 받은 후, 항히스타민제인 클로르페니라민 말레에이트 정제와 호르몬인 덱사메타손 정제를 복용해 왔고 호르몬을 복용한 후에는 가려움증이 가라앉고 약을 중단하면 증상이 재발하며 얼굴, 눈, 팔다리가 붓는 현상이 나타나며 장기간 치료해도 낫지 않았다. 치료를 위해 중약제제 탕제를 사용해 보았지만 가려움 제어 효과는 좋지 않았다.
2022년 3월 친구의 추천으로 환자 1을 상담했다. 환자가 청각장애인이기 때문에 환자 친구의 진술에 의하면 환자는 가려움증 증상이 심하지 않고, 당시 환자의 발진 증상도 심하지 않기에 중약제제(중약과립제)를 권유하였다. 감초9g, 박하12g, 밀기울과 볶은 백술10g, 향유10g, 포공영10g, 사간10g, 금은화10g, 인동등15g, 계지12g, 볶은 우엉10g, 모란피10g, 백선피10g, 뽕잎10g, 국화10g, 신이10g, 황기10g, 밀마황6g, 형개10g, 고삼6g 등 19가지 약재 총 5포를 1일 1포, 따뜻한 물 300ml와 함께 복용하고 피부 가려움증이 극심한 곳에 외용하고, 아침, 저녁 반반씩 복용하거나 또는 아침, 점심, 저녁 3회에 나누어 복용하였다. 이 제제를 복용한 뒤 환자의 피부 발진이 갑자기 악화됐고 혈관성수종을 동반한 붉은 반점과 발진이 생기고 가려움증이 악화되며 전신에 증상이 나타나며, 중약 외용액을 바르면 피부 가려움증이 약간 완화되긴 했지만 피부 가려움은 여전히 심했고, 4~5포 복용한 후에는 오한을 느꼈다. (분석: 환자는 수년간 만성 두드러기를 앓았고 실제는 상태가 매우 심각하여 이 제제로는 환자의 증상을 완전히 제어할 수 없으며, 일정한 치료효과는 오히려 환자 체내의 병원체를 체표면 피부로 몰아내 발진, 가려움증 등 증상이 악화된 증상이며, 발진은 피부혈관성수종이 동반되어 환자에게 오한 증상을 나타나게 하였다.) 이 제제를 다 복용한 후 중단하였다.
그런 다음 환자에게 중약제제 I 과립제를 처방하여 복용함과 아울러 피부 가려움이 극심한 부위에 바르고, 가려움증이 전신에 나타나면 항히스타민제와 호르몬제인 덱사메타손정제를 함께 복용하도록 하였다. 중약제제 Ⅰ을 복용한 후, 발진 증상은 여전히 심했지만 극심한 가려움증은 완화됐고 밤에 잠이 잘 오고, 약을 복용한 후 몸이 따뜻해졌다. 이 제제를 7포 복용한 후, 전신 붉은 반점, 발진 및 동반된 피부혈관성수종이 모두 가라앉았고 몸 전체의 가려움증이 뚜렷하지 않고 밤 수면 질이 크게 향상되었다. 그 후에도 환자는 계속해서 중약제제 Ⅰ, 중약제제 Ⅱ 및 두 제제의 혼합조정제제를 복용하였다. 그 사이 환자의 발진은 재발되었고 가려움증은 지속되었다. 발진이 발작할 때면 넓은 면적의 붉은 반점이 생기고 간혹 원형이나 타원형의 작은 면적의 발진이 피부에서 두드러져 나타났고 가끔 산발적인 구진이 나타나기도 하며, 증상이 엄중하거나 심각한 경우도 있었다. 피부에 발진 및 붉은 반점이 심할 경우, 환자는 덱사메타손 정제 호르몬 항염증제를 복용하여 피부 증상을 완화시켰지만 다음날 피부 증상이 다시 나타났다. 이전에 중약제제 I 및 중약제제 II를 복용한 적이 없이 호르몬제와 항히스타민제만 복용한 경우, 환자의 피부 발진과 붉은 반점은 제어가 가능하나 눈 충혈, 얼굴 부종, 사지 부종 등의 전신 부종 증상이 동반되었다. 중약제제 I 및 중약제제 II를 복용하고, 덱사메타손정제와 항히스타민제를 엄중하고 극심한 피부 증상 및 가려움증 제어 보조약물로 사용한 후, 환자의 전신 부종, 눈 부종 등의 증상은 거의 사라졌고 전신의 가려움증의 정도가 크게 완화되고, 밤 수면 질도 크게 향상되었다. 환자의 발진, 붉은 반점 등의 피부 증상은 중약제제 I, 중약제제 II로 치료하기 시작한 후, 점차적으로 악화되는 추세(이러한 상황은 체내의 습기, 열 및 독소가 배출되는 징후이며 만성 두드러기를 중약치료할 때 나타나는 일반적인 특징과 일치함)를 보였고, 7월~8월이 되어서 환자의 발진과 붉은 반점이 가장 심각한 상태에 이르렀고 피부 증상은 항상 심각한 정도에서 극심한 정도 사이를 맴돌았지만 환자의 전신의 극심한 가려움증은 시종 점차 완화되는 추세였다. 9월 20일부터 환자의 발진과 붉은 반점이 눈에 띄게 줄어들기 시작했고, 9월말 환자의 피부 증상 재발은 중등 이하 수준을 맴돌았다. 10월 10일 이후 환자의 발진, 붉은 반점 등의 피부 증상은 매우 경미해졌고 가려움증의 정도도 질적으로 변화하였다.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를 완전히 치료하기 위해 환자는 중약제제 I, 중약제제 II 및 두 제제의 혼합조정제제를 지속적으로 복용하였다.
전형적인 피부 발진의 치유 과정은 명세서 첨부도면 환자 11에 나타낸다.
환자 12: 알레르기성 결막염을 동반한 알레르기성 비염, 남성, 12세.
환자는 거의 매일 아침 일어나면 재채기하고 눈이 가려워 만성 결막염으로 나타났다. 증후군 진단은 알레르기 체질 성질의 비염과 결막염이다. 2022년 8월 8일부터 중약제제 I과 중약제제 II를 혼합조정한 18가지 중약과립제제를 복용하기 시작했다. 이 제제를 8포 복용한 후, 아침에 재채기하는 횟수가 약간 감소하고 코막힘이 생기기 시작했고, 눈의 만성 결막염 증상은 여전히 남아 있었고, 눈이 불쾌하고, 약물 복용 후 배뇨 횟수가 증가했고 설사나 위 불편감은 없었다. 15포를 복용한 후 아침에 재채기하는 횟수가 약간 감소하고 코막힘 후 가끔 가벼운 콧물이 나는 증상이 나타났다. 약 35포를 복용한 후, 직감적으로 느낄 수 있는 증상은 밤에 잘 때 코막힘이 더 이상 심각하지 않았다. 이어서 중약제제 Ⅰ과 중약제제 Ⅱ를 혼합 조정한 19가지 중약과립제제 총 10포를 처방했다. 2022년 8월 8일부터 중약제제 I과 중약제제 II를 혼합 조정한 20가지 중약과립제제를 복용하기 시작했다. 중약과립제제 50포를 복용한 후, 아침에 재채기하지 않는 날이 2~3일에서 4~5일로 늘어났고 알레르기성 비염도 눈에 띄게 호전되었으며 코막힘과 콧물 증상도 크게 감소했고 눈의 만성 결막염으로 인한 가려움증도 경미해졌다. 이전의 치료효과를 공고히 하고 알레르기 체질로 인한 비염과 결막염을 치유하기 위하여 환자는 중약제제 I과 중약제제 II를 혼합 조정한 중약과립제제 20가지를 계속 꾸준히 복용하였다.
본 발명은 각종 급성 및 만성 두드러기, 급성 및 만성 습진, 알레르기 체질/변태반응 체질을 치료하며, 그 밖에 알레르기성 결막염, 만성인두염, 알레르기성 비염/부비동염, 알레르기성 기관지염/천식, 구강 정창종독, 설태가 많고 두꺼우며, 심한 구취, 만성(궤양성) 위장염, 대장염, 직장염, 동반성 관절통 및 근육통, 허약 및 무기력, 동반성 이도 가려움증, 음부 가려움증, 음낭 가려움증, 항문 통증 및 가려움증, 눈 충혈 및 눈 가려움증 등, 합병증 수면질 저하, 생물학적 시계/내분비 장애, 뇌신경쇠약, 합병증 정신위축, 정신흥분 및 증상의 번갈아 나타나는 현상,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옴 진드기, 헬리코박터 파일로리,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이질균, 각종 백선균 등 미생물 감염 등도 치료할 수 있다.

Claims (4)

  1. 성분으로서, 황금, 황련, 연교, 자소엽, 후박, 백술, 백지, 백작, 결명자, 황백, 백부, 청호, 지모, 천화분, 감초, 박하, 면마관중, 단삼, 자화지정, 대청엽의 20가지 중방생약의 과학적 추출물을 포함하고, 20가지 중방생약의 함량은 황금 9-10g, 황련 6-8g, 연교10-12g, 자소엽 10g, 강후박 10-12g, 볶은 백술 10g, 백지 10-12g, 백작 10-12g, 볶은 결명자 10-15g, 황백 9-12g, 백부 10g, 청호 10-12g, 염지모 10-12g, 천화분 10-12g, 감초 9g-10g, 박하 6-12g, 면마관중 10-12g, 단삼 8-10g, 자화지정 10-15g, 대청엽 10-15g이며, 20가지 중방생약 성분의 과학적 추출물로 중약제제 Ⅰ을 구성하고, 환제, 산제 또는 캡슐제 등의 내복용약을 제조함과 아울러, 20가지 성분의 추출물로 약액, 연고, 또는 파스 등의 외부에 바르거나 붙이는 외용약을 제조하며, 내복용약과 결합하여 피부 가려움이 극심한 부위에 바르거나 붙이는 등 외용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약제제 Ⅰ.
  2. 성분으로서, 감초, 박하, 천궁, 용담초, 향유, 포공영, 대황, 천리광, 생강, 금은화, 가자, 사간, 백두옹, 모란피, 신이, 산수유, 곽향, 호황련, 백선피, 형개 및 국화의 21 가지 중방생약의 과학적 추출물을 포함하고, 21가지 중방생약의 함량은 감초 9-10g, 박하 6-12g, 천궁 6-10g, 용담초 5-6g, 천리광 15-20g, 백두옹 15-20g, 향유 9-10g, 포공영 10-15g, 금은화 10-15g, 사간 9-10g, 모란피 9-10g, 신이 9-10g, 익힌 대황 5-6g, 생강 9-10g, 가자 6-10g, 백선피 10-12g, 산수유 9-10g, 국화 10-12g, 형개 9-10g, 호황련 3g, 곽향 9-10g이며, 21가지 성분의 과학적 추출물로 중약제제 II를 구성하고, 환제, 산제 또는 캡슐제 등의 내복용약을 제조함과 아울러, 21가지 성분의 추출물로 약액, 연고, 또는 파스 등의 외부에 바르거나 붙이는 외용약을 제조하며, 내복용약과 결합하여 피부 가려움이 극심한 부위에 바르거나 붙이는 등 외용약으로 사용할 수 있는 중약제제 II.
  3. 중약제제 I 및 중약제제 II의 총 39가지 성분 중 일부를 무작위로 선택하여 16~21가지 중약제제를 구성하고, 각 성분의 함량은 제1 항 및 제2 항의 해당 성분의 함량을 취하고, 각 성분의 유효성분을 과학적으로 추출하고, 추출한 유효성분을 중약제제로 구성하고 추가 처리된 내복용약 또는 외용약.
  4. 제1항, 제2항 및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방생약 또는 일부 성분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환제, 산제, 과립제, 정제, 캡슐제 등 내복용약을 제조하거나, 또는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주사액을 제조하거나, 또는 상기 중방생약 또는 일부 성분의 유효성분을 추출하여 연고, 약액, 파스 등 외용약을 제조하거나, 또는 약물목욕제품을 제조할 수 있으며, 각종 급성 및 만성 두드러기, 급성 및 만성 습진, 알레르기체질/변태반응체질을 치료함과 아울러 알레르기성 결막염, 만성(궤양성) 위장염, 만성 알레르기성 인두염, 치질성 항문 가려움증, 알레르기성 비염, 알레르기성 기관지염, 바이러스성 인플루엔자, 구강정종, 알레르기 체질에 따른 관절통 및 근육통, 두드러기로 인한 이도 가려움증, 음부 (극심한) 가려움증, 눈 충혈 및 눈 가려움증 등도 치료하는 내복용약 또는 외용약.
KR1020247016946A 2022-04-06 2022-10-27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체질 치료를 위한 중약제제 Pending KR2024010298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210353546.X 2022-04-06
CN202210353546.XA CN114699493A (zh) 2022-04-06 2022-04-06 治疗荨麻疹、湿疹、过敏/变态反应体质的中药组方
PCT/CN2022/127828 WO2023193423A1 (zh) 2022-04-06 2022-10-27 治疗荨麻疹、湿疹、过敏/变态反应体质的中药组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2982A true KR20240102982A (ko) 2024-07-03

Family

ID=82173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6946A Pending KR20240102982A (ko) 2022-04-06 2022-10-27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체질 치료를 위한 중약제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40325480A1 (ko)
EP (1) EP4467151A1 (ko)
JP (1) JP2025500651A (ko)
KR (1) KR20240102982A (ko)
CN (1) CN114699493A (ko)
WO (1) WO20231934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699493A (zh) * 2022-04-06 2022-07-05 吴亚坤 治疗荨麻疹、湿疹、过敏/变态反应体质的中药组方
CN115804825A (zh) * 2022-12-30 2023-03-17 吴亚坤 治疗新冠肺炎、流感病毒的抗微生物中药组方
CN118078763B (zh) * 2024-04-24 2024-08-13 江西中医药大学附属医院 一种扶正祛湿抗毒颗粒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70320A (zh) * 2021-01-23 2021-06-01 吴亚坤 荨麻疹、过敏体质、不明原因剧烈瘙痒抗微生物疗法
CN113769047A (zh) * 2021-09-14 2021-12-10 吴亚坤 湿疹、过敏/变态反应综合抗微生物疗法
CN114699493A (zh) * 2022-04-06 2022-07-05 吴亚坤 治疗荨麻疹、湿疹、过敏/变态反应体质的中药组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193423A1 (zh) 2023-10-12
CN114699493A (zh) 2022-07-05
EP4467151A1 (en) 2024-11-27
US20240325480A1 (en) 2024-10-03
JP2025500651A (ja) 2025-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102982A (ko) 두드러기, 습진, 알레르기/변태반응체질 치료를 위한 중약제제
CN103520572A (zh) 一种用于治疗特应性皮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735721B (zh) 一种治疗急性传染性结膜炎的中药
CN102008610B (zh) 一种治疗骨质增生的中药组合物
CN103007063A (zh) 一种治疗面瘫的药物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3495103B (zh) 消食健脾的药物
CN102579975A (zh) 一种治疗银屑病的中药混合物
CN101983712A (zh) 冠心病的新型治疗药物
CN105169111A (zh) 一种用于治疗慢性荨麻疹的中药组合物及其应用
CN104922595A (zh) 一种用于带状疱疹的中药制剂及其制备方法
CN103989837A (zh) 一种预防和治疗痔疮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5560430A (zh) 治疗慢性痢疾的活血止痢制剂
CN119386123A (zh) 一种用于治疗过敏性鼻炎的口服组合物
CN104189195B (zh) 治疗神经性皮肤瘙痒的中药药浴及制备方法
CN104257860A (zh) 一种治疗神经性皮炎的药物
CN105477336A (zh) 抗化疗副反应的健脾和胃制剂膏剂
CN104258194A (zh) 一种用于治疗鼻炎的中药组合物及其制备方法
CN101601816A (zh) 一种治疗哮喘的中药药物
CN103191339A (zh) 一种治疗小儿贲门失弛缓症药物的制备方法
CN106237046A (zh) 一种用于治疗剥脱性角质松解症的中药胶囊
CN107773700A (zh) 一种用于治疗脾虚湿毒解脲支原体感染的中药胶囊
CN106215156A (zh) 一种用于治疗消化性溃疡的中药胶囊
CN106138476A (zh) 一种用于治疗痤疮的中药胶囊
CN106236952A (zh) 一种用于治疗痤疮的中药汤剂
CN107789549A (zh) 一种用于治疗湿热下注型解脲支原体感染的中药胶囊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5 International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40521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40613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