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00851A -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00851A KR20240100851A KR1020220182916A KR20220182916A KR20240100851A KR 20240100851 A KR20240100851 A KR 20240100851A KR 1020220182916 A KR1020220182916 A KR 1020220182916A KR 20220182916 A KR20220182916 A KR 20220182916A KR 20240100851 A KR20240100851 A KR 2024010085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oating layer
- interior film
- meth
- acrylate
- layer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halide (co)polymers, e.g. PVC, PVDC, PVF, PVDF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6—Interconnection of layers permitting easy separation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1/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1/08—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14—Polyurethanes ha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4—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45—Vinyl resins, e.g. polyvinyl chloride [PVC]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6—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which influences the bonding during the lamination process, e.g. release layers or pressure equalising layers
- B32B2037/268—Release layers
-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7/02—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J2327/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haloge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containing chlorine atoms
- C08J2327/06—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vinyl chlorid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구비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이 30% 이상이며,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가 6 이하이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건축물의 내장재나 가구용 필름 제조시에 무광 특성(또는 저광 특성)의 데코 시트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소광제(예: 실리카 등)를 포함하는 코팅 처리제를 기재 상에 도포한 후 경화하는 방식의 처리를 통해 무광 특성의 데코 시트를 제조하는 기술이 사용되고 있다.
코팅 처리제를 통해 형성된 데코 시트의 표면에는 표면 경도가 우수한 것과 같이 높은 내구성이 요구된다. 또한, 상기 데코 시트는 가구 등에 적용될 때를 고려하여 유연한 특성도 가져야 한다. 그러나, 표면 경도가 우수할 경우에는 유연성이 낮아지는 것이 일반적이다. 또한, 시트에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인장 전 시트의 물리적 특성이 변화하기도 한다.
한편, 데코 시트의 무광 특성 구현과 관련하여, 일반적인 소광제는 다공질로서 겉보기 비중이 낮기 때문에 코팅 표층에 위치하게 되면서 이물(예: 미세먼지, 습기, 기름때 등)의 표면 흡착을 증가시키는 것과 같이 데코 시트의 내오염성을 열화시키기도 한다.
또한, 최근에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 가전제품, 전자제품, 자동차 내/외장재, 가구, 도어 및 광고재 등에 다양한 문양 또는 입체적 형상과 같은 장식적 미를 부여하는 인테리어 수단으로서 인테리어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데코 시트는 공장에서 열압 프레스 기계를 사용하여 가구, 도어 등의 피착물 표면에 부착하여 사용되는 마감재인 반면에,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배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피착물 표면에 부착할 수 있어 작업성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한편, 상기 인테리어 필름이 부착되는 피착물은 입체적 형상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측면, 곡면 등의 외부 표면에도 시공이 요구되기 때문에,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우수한 유연성과 신축성이 요구된다.
따라서, 당 기술분야에서는 내오염성 및 무광 특성이 우수하고, 실제 용도에서 가공을 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전술한 특성이 유지될 수 있는 인테리어 필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오염성 및 무광 특성이 우수하고, 실제 용도에서 가공을 위한 인장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전술한 특성이 유지될 수 있는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는,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구비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이 30% 이상이며,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가 6 이하인 것인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상태는,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이 30% 이상이며,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가 6 이하인 것인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내오염성 및 무광 특성이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이 30% 이상이므로, 상기 인테리어 필름을 제품의 곡면, 측면 등에 부착할 때 늘림 시공이 가능하도록 코팅층의 신장률이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부착 시공시 겹침 시공이 가능하도록 겹침 접착력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3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 4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비교예 1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비교예 2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비교예 3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비교예 4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나타낸 도이다.
도 9은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인테리어 필름은 심미성을 부여하고자 하거나 장식을 하고자 하는 부분에 부착시킬 수 있는 필름이나 시트를 의미한다.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적용 용도는 건축물의 내부 또는 외부, 가전제품, 전자제품, 자동차 내/외장재, 가구, 도어 및 광고재 등의 마감재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데코 시트는 기계를 사용하여 공장에서 압착가공할 때 사용되는 마감재인 반면에,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배면에 점착제가 도포되어 있어서 수작업으로 작업할 수 있고, 작업성이 용이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데코 시트는 신율이 약 3% 내지 4% 이므로, 상기 데코 시트를 제품의 곡면, 측면 등에 부착하는 경우에는 신율이 부족하여 데코 시트의 표면에 크랙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종래의 데코 시트는 제품의 곡면, 측면 등이 아닌 평면에만 적용되는 기술적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내오염성 및 무광 특성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신율 특성이 우수한 코팅층을 포함하는 인테리어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구비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이 30% 이상이며,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가 6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인테리어 필름에 기계적 물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재층은 코팅층을 지지하여 필름 형태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상기 코팅층을 보호하여 내후성과 내구성을 강화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데코 시트는 기재층으로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를 포함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PVC)을 포함함으로써, 인테리어 필름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0.01mm 내지 0.3mm 일 수 있고, 0.05mm 내지 0.2mm 일 수 있으며, 0.08mm 내지 0.15mm 일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형태 유지, 내후성 및 내구성 강화에 유리할 수 있다. 상기 기재층의 두께가 0.01mm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내후성과 내구성이 저하되어 필름 형태로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기재층의 두께가 0.3m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테리어 필름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적용 용도가 제한될 수 있고, 핸들링(handling)이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은 30% 이상일 수 있고, 35% 이상일 수 있으며, 40%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의 상한값은 제한되지 않으나, 100% 이하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은 상기 코팅층을 상온에서 200 mm/min의 속도로 인장하였을 때, 코팅층 표면이 손상되지 않는 최대 신장율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이 30% 이상인 특성을 만족함으로써, 상기 인테리어 필름을 제품의 곡면, 측면 등에 부착할 때 크랙 등의 불량 없이 늘림 시공이 가능한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가 6 이하일 수 있고, 1 내지 5 일 수 있으며, 1.5 내지 4 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인테리어 필름에 요구되는 무광 특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표면은 주름이 형성된 표면을 가지고,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조도(Rz)는 3㎛ 내지 10㎛ 일 수 있고, 3.5㎛ 내지 9㎛ 일 수 있으며, 4㎛ 내지 8㎛ 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조도(Rz)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인테리어 필름에 요구되는 무광 특성을 확보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코팅층 표면이 부드러운 촉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조도(Rz)는 ISO 4281에 따라 측정될 수 있고, 10점 평균 거칠기(ten point average roughness)로도 호칭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조도는 코팅층의 표면의 단면 곡선으로 기준 길이(L)을 취하여 그 부분의 평균선에 평행으로 단면 곡선을 횡으로 자르지 않는 직선으로 굴곡 구조의 높은쪽부터 5번째까지의 봉우리(릿지)와 깊은쪽에서 5번째까지의 계곡(밸리)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그 편차를 나타낸 것으로, 요철 정도를 표현하는 수치이다. 이 때, 상기 기준 길이(L)은 수 mm 수준, 예를 들어 약 0.1mm 내지 1mm 범위, 구체적으로는 약 0.8mm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으로 상기 코팅층이 30% 이상 신장된 경우에도, 전술한 코팅층의 표면의 조도(Rz) 및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 범위를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주름이 형성된 표면은 상기 코팅층의 기재층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이다. 상기 주름이 형성된 표면에 의하여, 전술한 코팅층의 표면의 조도(Rz), 광택도 등을 만족할 수 있다.
상기 주름이 형성된 표면이란 상기 코팅층이 적어도 그 일면에 주름을 포함하고, 상기 주름에 의해 코팅층이 3차원의 표면 요철을 갖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면은 크고 작은 릿지(ridge), 밸리(valley) 및 이들로부터 형성되어 소정 형상으로 시인될 수 있는 주름(wrinkle)을 포함하는 요철을 갖는다. 상기 릿지, 밸리 및 주름 각각은 규칙 또는 불규칙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주름이 형성된 표면은 미세 폴딩 구조를 갖는 표면으로도 호칭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법선 방향에서 주름이 형성된 코팅층의 표면을 관찰하였을 때, 릿지, 밸리, 주름 및 이들로부터 형성된 요철은, 예를 들어 후술하는 경화 과정을 거치면서 상기 표면의 전 영역에 걸쳐 관찰된다.
상기 주름은 방향성을 갖는 라인 형상(line shape)(예: 직선, 곡선)을 포함하는 형태로 관찰될 수 있다. 예컨대, 직선 및 곡선 형상이 반복되면서 형성된 표면의 주름은 산맥 형상과 같은 굴곡을 코팅층의 표면에 부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라인 형상을 갖는 주름에 의해 형성된 표면 요철 구조는, 코팅층 형성을 위한 조성물 내에 입자를 사용하는 방식이나 에멀전 분산을 이용하는 방식에 따라 형성된 소위 포인트-와이즈(point-wise) 요철 형상과는 분명히 구별된다.
상기 코팅층의 표면은 소정 크기 및 형상으로 시인될 수 있는 주름을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주름은 수백 nm 수준에서 수 내지 십수 ㎛ 범위의 폭을 갖고, 수 내지 수백 ㎛ 범위의 길이로 연장하는 선(직선 또는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주름의 폭과 주름이 연장하는 길이는 첨부된 도면에서와 같이 주름이 형성된 표면을 촬영한 이미지(예: SEM)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직선 또는 곡선 형태로 연장한 주름의 말단은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며 코팅층에 혼입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상기 크기 및 형상을 갖는 어느 한 주름의 말단은 다른 주름의 시작점이나 다른 주름과의 연결부가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주름의 연장 방향에 대한 수직 방향에서 주름 부근의 단면 곡선을 관찰할 경우, 주름의 폭은 주름의 높이를 형성하는 지점 또는 부분(예: 릿지)을 기점으로 양 방향으로 높이가 점점 낮아지는 경사를 이루며 코팅층에 혼입될 수 있다. 한편, 릿지와 그에 인접하는 밸리가 주름 또는 그 일부를 형성하는 경우, 밸리를 포함하여 시인되는 형상의 영역은 주름의 폭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표면은 한 점을 중심부로 하고 상기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뻗어나가는 방사형의 굴곡 구조인 덴드라이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소정 구성의 조성물에 대한 경화 처리를 통해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은 광경화성 무용제형 조성물일 수 있다. 즉, 상기 조성물에는 유기 용제나 수성 용제 등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무용제형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제에 대한 건조 공정이 생략될 수 있어 공정 효율이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무용제형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용제 건조 공정 중 용제가 휘발하면서 발생하는 기포 등에 의한 표면 특성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일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코팅층의 강도를 확보하고, 우레탄 결합 특유의 탄성을 통해 코팅층의 유연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게 기능할 수 있다.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공지된 방법에 따라 이소시아네이트, 알코올 및 아크릴레이트와 같은 화합물을 중합하여 후술하는 관능성 및/또는 분자량을 만족하도록 제조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3개 이상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갖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에, 분자 내에 하이드록실기를 갖고 3개 이상의 아크릴기를 포함하는 아크릴레이트를 금속 촉매 및 라디칼 중합 방지제 하에서 이소시아네이트(NCO)가 소멸할 때까지 반응시킨 다음, 5 중량% 내지 30 중량%의 자외선 경화형 단량체를 첨가하는 방식으로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시판품 중에서 후술하는 관능성 및/또는 분자량을 만족하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선택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 g/mol 내지 50,000 g/mol 일 수 있고, 3,000 g/mol 내지 45,000 g/mol 일 수 있으며, 5,000 g/mol 내지 30,000 g/mol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의 중량 평균 분자량을 만족하는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사용하는 경우에, 상기 코팅층의 신율 향상과 고경도의 동시 확보가 가능하다.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은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 g/mol 내지 30,000 g/mol인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0,000 g/mol 미만인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1,000 g/mol 내지 25,000 g/mol 일 수 있고, 15,000 g/mol 내지 20,000 g/mol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은 1,000 g/mol 내지 9,000 g/mol 일 수 있고, 2,000 g/mol 내지 5,000 g/mol 일 수 있다.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높은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경화 밀도가 하락할 수 있고, 경화조직이 치밀하지 못하여 내오염성이 낮아질 수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상대적으로 낮은 중량 평균 분자량을 갖는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으로 분자량이 낮은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본 발명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코팅층의 최대 신율을 확보하기 어렵다.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광중합 가능한 관능기를 1 이상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단관능성 올리고머이거나 2 이상의 관능기를 갖는 다관능성 올리고머일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올리고머의 관능기 개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신율과 표면 경도 등을 고려할 때, 2개 내지 15개일 수 있고, 2개 내지 10개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은 관능기의 개수가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은 관능기의 개수가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다관능성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은 관능기의 개수가 3개 이상인 다관능성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 올리고머를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는 각각 독립적으로 관능기의 개수가 2개 또는 3개 이상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및 제2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관능기의 개수는 각각 독립적으로 6개 내지 10개일 수 있고, 6개 내지 9개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은,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 이외에, 단량체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 총중량을 기준으로, 상기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의 함량은 20 중량% 내지 70 중량%일 수 있고, 30 중량%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단량체 성분으로는 단관능성 또는 다관능성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단량체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일 수 있고, 히드록시기, 질소 함유 관능기, 알킬렌옥사이드기 등과 같은 극성 관능기를 갖는 (메타)아크릴계 단량체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량체로는 2-히드록시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 (메타)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실 (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타)아크릴로니트릴, N-메틸아크릴아미드, (메타)아크릴아미드, 알킬 (메타)아크릴아미드, 디알킬 (메타)아크릴아미드, 히드록시 알킬 (메타)아크릴아미드, N-부톡시 메틸 (메타)아크릴아미드, N-비닐 피롤리돈, N-비닐 카프로락탐, 2-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3-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 (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알콕시 알킬렌 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디알킬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알콕시 폴리에틸렌글리콜 (메타)아크릴산 에스테르 등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량체 성분은 다관능성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단량체 성분은 반응성 관능기의 개수가 2개 이상인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로는 사이클로헥산 디메탄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산디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사이클로데칸 디메탄올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2 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린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스리톨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에톡시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레이티드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세릴프로필레이티드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스(2-하이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3 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펜타에리스리톨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4 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디펜타에리스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 히드록시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5 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 디펜타에리스리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5 관능성 (메타)아크릴레이트 단량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은 개시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후술하는 경화 과정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개시제라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공지된 시판품도 사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개시제, 분산제, 소포제, 웨팅제 및 소포제 중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첨가제의 함량은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함량이 적절히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개시제, 분산제, 소포제, 웨팅제 및 소포제는 본 발명에 속한 기술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이라도 여기에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7㎛일 수 있고, 1㎛ 내지 6㎛일 수 있으며, 1㎛ 내지 5㎛일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두께가 1㎛ 미만인 경우에는 코팅층이 주름이 형성된 표면을 가지기 어려울 수 있고, 7㎛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전체 두께가 두꺼워져 사용 용도가 제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코팅층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의 기재층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이형층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기재층/코팅층의 순차적인 구조, 점착제층/기재층/코팅층의 순차적인 구조, 이형층/점착제층/기재층/코팅층의 순차적인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인테리어 필름을 적용하고자 하는 부분에 상기 인테리어 필름이 접착되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점착제층은 인테리어 필름에 우수한 계면 부착성 및 내습성을 부여하여, 상기 인테리어 필름이 외부 환경에 장시간 노출되어도 우수한 내구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은 당 기술분야에 알려진 재료를 이용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아크릴계 점착제, 비닐계 점착제, 폴리우레탄계 점착제, 폴리에스테르계 점착제 등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는 20㎛ 내지 60㎛ 일 수 있고, 25㎛ 내지 55㎛ 일 수 있으며, 30㎛ 내지 50㎛ 일 수 있다. 상기 점착제층의 두께가 20㎛ 미만인 경우에는 접착력이 저하될 수 있고, 60㎛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부착된 인테리어 필름이 밀려서 그 형태가 일그러질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부착 시공시 겹침 시공이 가능하도록 겹침 접착력이 우수하다.
상기 이형층은 인테리어 필름이 구체적인 대상에 적용되기 전에 박리 및 제거되는 층으로서, 인테리어 필름의 제품 상태에서 점착제층을 보호하여,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유통을 원활히 하고,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 이후 시공 전까지 형상 및 물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은 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형제, 이형필름, 이형시트 등을 광범위하게 포함할 수 있으며,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기 이형층은 에폭시계, 에폭시-멜라민계, 아미노 알키드계, 아크릴계, 멜라민계, 실리콘계, 불소계, 셀룰로오스계, 요소 수지계, 폴리올레핀계, 파라핀계 이형제 등을 1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두께는 0.1㎛ 내지 5㎛ 일 수 있고, 0.5㎛ 내지 4㎛ 일 수 있으며, 1㎛ 내지 3㎛ 일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두께범위를 만족하는 경우에,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하고 상부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우수한 가공성을 확보할 수 있다. 상기 이형층의 두께가 0.1㎛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 박리시 찢어질 수 있고, 이형층의 상부에 점착제층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이형층이 손상되거나 점착제층 형성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상기 이형층의 두께가 5㎛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상기 점착제층으로부터의 박리가 용이하지 않을 수 있고, 인테리어 필름의 두께가 두꺼워져 유통 과정에서 운송 등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을 하기 도 1 내지 도 3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하기 도 1과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기재층(10); 및 상기 기재층(10) 상에 구비된 코팅층(20)을 포함하고,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20)의 최대 신율이 30% 이상이며, 상기 코팅층(20)의 표면의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가 6 이하이다. 또한, 하기 도 2와 같이,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상기 기재층(10)의 코팅층(20)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3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기 도 3과 같이, 상기 인테리어 필름은 상기 점착제층(30)의 기재층(10)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이형층(40)을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은,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이 30% 이상이며,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가 6 이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 및 코팅층에 대한 내용은 전술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재층 상에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조성물에 소정 파장의 광(L1)을 불활성 기체 조건 하에서 조사하여, 상기 도포된 조성물의 표면에 주름을 형성하는 제1 광조사 단계; 및 공기(air) 조건 하에서 상기 광(L1) 보다 장파장의 광(L2)을 조사하여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인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2 광조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광(L2)은 200nm 내지 400nm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다.
상기 기재층 상에 조성물을 도포하는 방식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이어 바(Mayer bar), 디-바(D-bar), 고무롤(rubber roll), 그라비어 롤(gravure roll), 에어나이프(air knife), 슬롯다이(slot die) 등의 공지된 방식을 이용하여 기재층 상에 대한 조성물의 도포가 이루어질 수 있다.
각 단계에서 광을 조사하는 장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 1 광조사 단계에서 30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고, 제2 광조사 단계에서 40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광을 조사하는 경우에, 공지된 수은 또는 메탈 할라이드 램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조사 단계는 기재층 상에 도포된 조성물에 광을 조사하고, 조사된 광에 의해 발생된 엑시머(excimer)가 도포된 조성물(또는 광조사에 의해 경화된 조성물)의 표면을 수축시켜 주름을 형성하기 위한 단계이다. 주름이 형성된 표면은, 상기 표면에 입사되는 빛의 난반사를 증가시켜 무광 특성이 부여될 수 있도록 한다.
주름이 형성된 표면은 전술한 바와 같은 표면 조도 및 광택 특성을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소광제가 사용되지 않을 수 있고, 소광제가 사용되더라도 소량의 소광제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조사 단계에서는 고에너지를 갖는 30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광, 예를 들어 200nm 이하의 파장을 갖는 광이 조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장이 130nm 이상, 140nm 이상, 150nm 이상, 160nm 이상 또는 170nm 이상인 광이 제1 광조사 단계에서 조사될 수 있다. 상기 제1 광조사 단계에서 조사되는 광의 파장의 상한은, 예를 들어 200nm 이하, 190nm 이하 또는 180n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조사 단계는 불활성 분위기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분위기를 조성하는데 사용되는 기체는, 예를 들어, He, Ne, Ar 및/또는 N2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조사 단계가 수행되는 불활성 분위기는 산소(O2)의 농도가 약 4,000ppm 이하인 분위기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불활성 분위기 중 산소의 농도 상한은 3,000ppm 이하, 2,500ppm 이하, 2,000ppm 이하, 1,500ppm 이하 또는 1,000ppm 이하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900ppm 이하, 800 ppm이하, 700ppm 이하, 600ppm 이하, 500ppm 이하, 400ppm 이하 또는 300ppm 이하일 수 있다. 또한, 그 하한은 예를 들어 50ppm 이상, 100ppm 이상, 200ppm 이상, 300ppm 이상, 400ppm 이상, 500ppm 이상, 600ppm 이상, 700ppm 이상, 800ppm 이상, 900ppm 이상 또는 1,000pp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불활성 분위기는 질소 가스(N2) 내 산소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만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불활성 분위기 조건에서 제1 광조사가 수행되는 경우, 상기 설명된 주름과 표면 특성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예를 들어, 산소의 농도가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불활성 분위기에서 제1 광조사가 수행되는 경우에는, 전술한 바와 같은 주름이 형성되기 어렵고, 전술한 바와 같은 표면 특성을 제공할 수 없게 된다.
상기 제1 광조사 단계 수행시, 조성물과 광원의 거리, 즉 기재층 상에 도포된 조성물 표면으로부터 광원까지의 거리는 5mm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의 하한은 10mm 이상, 15mm 이상, 20mm 이상, 25mm 이상, 30mm 이상, 35mm 이상, 40mm 이상, 45mm 이상 또는 50mm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90mm 이하, 85mm 이하, 80mm 이하, 75mm 이하, 70mm 이하, 65mm 이하, 60mm 이하, 55mm 이하 또는 50m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조사 단계에서, 상기 범위로 조성물과 광원의 거리를 조절하는 경우 적정한 광량이 적정 세기로 조성물에 도달할 수 있고, 그 결과 전술한 형태 및 크기의 주름이 형성된 표면을 형성하고, 상기 전술한 표면 특성(예: 표면 조도, 광택도)를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제1 광조사 단계에서 조사되는 광의 조사량은 1 mJ/㎠ 또는 5 mJ/㎠ 이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광조사 단계에서의 광 조사량의 하한은 10 mJ/㎠ 이상, 15 mJ/㎠ 이상, 20 mJ/㎠ 이상, 25 mJ/㎠ 이상 또는 30 mJ/㎠ 이상일 수 있고, 그 상한은 100 mJ/㎠ 이하, 90 mJ/㎠ 이하, 80 mJ/㎠ 이하, 70 mJ/㎠ 이하, 60 mJ/㎠ 이하, 50 mJ/㎠ 이하, 40 mJ/㎠ 이하, 30 mJ/㎠ 이하 또는 25 mJ/㎠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1 광조사 단계에서, 상기 범위로 광 조사량을 조절하는 경우, 전술한 주름이 형성된 표면을 형성하고, 전술한 표면 특성(예: 표면 조도, 광택도)을 확보하는데 유리하다.
상기 제2 광조사 단계는, 기재층 상에 코팅되어 상기 제1 광조사 단계를 거쳐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조성물에, 제1 광조사 단계와 상이한 파장의 광 에너지를 가하여 조성물을 경화시키고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이다.
상기 제2 광조사 단계에서는 200nm 내지 400nm 범위 내 파장의 광이 조사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광조사 단계는 210nm 이상, 220nm 이상, 230nm 이상, 240nm 이상, 250nm 이상, 260nm 이상, 270nm 이상, 280nm 이상, 290nm 이상 또는 300nm 이상의 파장을 조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2 광조사 단계에서 조사되는 광 파장의 상한은 350nm 이하, 340nm 이하, 330nm 이하, 320nm 이하, 310nm 이하 또는 300nm 이하일 수 있다. 제1 광조사 단계에 의해 일정 수준까지만 경화가 이루어지면서 그 표면에 주름이 형성된 조성물은, 상대적으로 장파장이 조사되는 제2 광조사 단계를 거치면서 두께 방향으로 경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광조사 단계는 전술한 파장 범위에서, 상기 제1 광조사 단계보다 높은 파장의 광을 조사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 제2 광조사 단계는 공기(air) 분위기에서 수행된다. 공기(air) 분위기를 통해 조성물의 경화율을 향상시킬 수 있고, 조사 과정 중에 산소 분자(O2)의 오존(O3) 전환이 일어나면서 코팅층의 표면이 세정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제2 광조사 단계 수행시, 조성물과 광원의 거리, 즉 기재층 상에 도포된 조성물 표면으로부터 광원까지의 거리는 50mm 이하, 40mm 이하, 30mm 이하 또는 20mm 이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거리의 상한은 19mm 이하, 18mm 이하, 17mm 이하, 16mm 이하, 15mm 이하, 14mm 이하, 13mm 이하, 12mm 이하, 11mm 이하 또는 10mm 이하일 수 있고, 그 하한은 0.5mm 이상, 1mm 이상, 2mm 이상, 3mm 이상, 4mm 이상 또는 5mm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광조사 단계 수행시 조성물과 광원의 거리는, 상기 제1 광조사 단계시의 그것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2 광조사 단계에서, 상기 범위로 조성물과 광원의 거리를 조절하는 경우, 전체 코팅층의 경화도를 높이는데 유리하다.
상기 제2 광조사 단계에서 조사되는 광의 조사량은 제1 광조사 단계에서 조사되는 광의 조사량 보다 클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광조사 단계에서 조사되는 광의 조사량은 150 mJ/㎠ 이상, 구체적으로는 160 mJ/㎠ 이상, 170 mJ/㎠ 이상, 180 mJ/㎠ 이상, 190 mJ/㎠ 이상, 200 mJ/㎠ 이상, 210 mJ/㎠ 이상, 220 mJ/㎠ 이상, 230 mJ/㎠ 이상, 240 mJ/㎠ 이상, 250 mJ/㎠ 이상 또는 300 mJ/㎠ 이상일 수 있다. 또한, 그 상한은 500 mJ/㎠ 이하 또는 400mJ/㎠ 이하, 구체적으로는 350 mJ/㎠ 이하, 340 mJ/㎠ 이하, 320 mJ/㎠ 이하, 310 mJ/㎠ 이하 또는 300 mJ/㎠ 이하일 수 있다. 상기 제2 광조사시에, 광 조사량을 상기 범위로 조절하는 경우, 전체 코팅층의 경화도를 높이는데 유리하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광조사 단계와 제2 광조사 단계가 수행되는 경우에, 코팅층의 표면은 상대적으로 조밀한 경화밀도를 가질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실시예 1 ~ 3 및 비교예 1 ~ 3>
하기 표 1에 기재된 구성성분을 혼합하여 코팅층용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PVC 기재(가로 약 18cm, 세로 약 30cm, 두께 약 170㎛) 상에 상기 코팅층용 조성물을 경화 후 두께가 1㎛ 내지 5㎛가 되도록 Mayor bar를 이용하여 도포하였다. 그 후, 자외선 경화장치를 이용하여 20 m/min의 속도로 기재를 이동시키면서 하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2단계의 자외선 조사를 수행하여 기재 상에 코팅층이 구비된 인테리어 필름을 제조하였다.
[표 1]
THFA: tetrahydrofurfuryl acrylate
HDDA: 1,6-hexanediol diacrylate
TCDDA: tricyclodecane dimethanol diacrylate
PU330: aliphatic trifunctional acrylate
PU6140: aliphatic hexafunctional acrylate
PU2100: aliphatic difunctional acrylate
PU5000: aliphatic hexafunctional acrylate
SIU2400: silicone urethane acrylate
첨가제 1: EXP 8018-1 (Evonik社, wax-treated precipitated silica)
개시제 1: Omnirad184
[표 2]
<비교예 4>
기존 제품(한화 L&C, 보닥 수퍼매트)을 비교예 4로서 준비하였다.
<실험예 1>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인테리어 필름을 특성을 평가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표 3]
상기 표 3의 특성 평가방법은 아래와 같다.
<촉감>
상기 촉감은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코팅층의 표면을 맨손으로 만져서 부드러움과 거친 정도를 표현하였다(O: 부드러움, △: 다소 거침, X: 매우 거침).
<최대 신율(%)>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폭 10mm, 길이 100mm의 인테리어 필름을 상온 조건에서 200 mm/min의 속도로 신장시키고,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코팅층의 인장파괴가 일어나지 않는 최대 신장율을 최대 신율로 평가하였다. 예컨대, 100mm 인테리어 필름이 10mm 인장된 지점에서 코팅층에 크랙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면, 최대 신율을 10%로 평가하였다.
<연필 경도>
상기 연필 경도는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코팅층의 표면을 연필 경도 시험용 연필로 200g의 하중에서 45°의 각도로 긁었을 때, 상기 표면에 흠집이 나지 않는 연필의 굳기의 최대값으로 평가하였다.
<광택도>
상기 광택도는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를 측정하였고, ASTM D2457에 따라 글로스 미터(gloss meter)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조도(㎛)>
상기 조도는 10점 평균 거칠기로서 ISO 4281에 따라 측정하였다. 상기 인테리어 필름의 코팅층의 표면의 단면 곡선으로 기준 길이(L, 0.8mm)을 취하여 그 부분의 평균선에 평행으로 단면 곡선을 횡으로 자르지 않는 직선으로 굴곡 구조의 높은쪽부터 5번째까지의 봉우리(릿지)와 깊은쪽에서 5번째까지의 계곡(밸리) 사이의 간격을 측정하여 그 편차를 나타내었다.
<30% 신장 후 광택도>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폭 10mm, 길이 100mm의 인테리어 필름을 상온 조건에서 200 mm/min의 속도로 30% 신장시키고, 상기 광택도를 측정하였다.
<30% 신장 후 조도(㎛)>
만능시험기를 이용하여 폭 10mm, 길이 100mm의 인테리어 필름을 상온 조건에서 200 mm/min의 속도로 30% 신장시키고, 상기 조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하기 도 4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상태를 하기 도 9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30%까지 신장시켜도 코팅층이 인장파괴되지 않았다. 또한, 코팅층이 신장되면서 주름형상이 펴지고 높낮이 차이가 감소하게 되어, 광택도가 증가하고 조도가 감소하였다.
상기 비교예 1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하기 도 5에 나타내었고, 상기 비교예 2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하기 도 6에 나타내었으며, 상기 비교예 3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하기 도 7에 나타내었고, 상기 비교예 4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표면을 하기 도 8에 나타내었다. 또한, 상기 비교예 1 내지 3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의 30% 신장 처리한 후의 상태를 하기 도 10에 개략적으로 나타내었다. 상기 비교예 1 내지 4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코팅층의 신장율이 부족하여 30% 신장 조건에서 코팅층에 균열이 발생하였고, 그에 따라 광택도가 감소하고 조도가 증가하였다.
상기 결과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내오염성 및 무광 특성이 우수하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상태에 따른 인테리어 필름은,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이 30% 이상이므로, 상기 인테리어 필름을 제품의 곡면, 측면 등에 부착할 때 늘림 시공이 가능하도록 코팅층의 신장률이 우수하다.
10: 기재층
20: 코팅층
30: 점착제층
40: 이형층
20: 코팅층
30: 점착제층
40: 이형층
Claims (13)
- 기재층; 및 상기 기재층 상에 구비된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이 30% 이상이며,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가 6 이하인 것인 인테리어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이 40% 이상인 것인 인테리어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표면은 주름이 형성된 표면을 가지고,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조도(Rz)는 3㎛ 내지 10㎛인 것인 인테리어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은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의 경화물인 것인 인테리어 필름.
-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관능기의 개수가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의 두께는 1㎛ 내지 7㎛인 것인 인테리어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필름.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의 코팅층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점착제층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필름.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점착제층의 기재층이 구비된 면의 반대면에 이형층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필름.
- 기재층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기재층 상에,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온 및 200 mm/min의 신장 조건에서, 상기 코팅층의 최대 신율이 30% 이상이며,
상기 코팅층의 표면의 글로스(gloss) 60° 조건의 광택도가 6 이하인 것인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관능기의 개수가 서로 상이한 2종 이상의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기재층은 폴리염화비닐을 포함하는 것인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기재층 상에 우레탄 (메타)아크릴레이트계 올리고머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도포된 조성물에 소정 파장의 광(L1)을 불활성 기체 조건 하에서 조사하여, 상기 도포된 조성물의 표면에 주름을 형성하는 제1 광조사 단계; 및
공기(air) 조건 하에서 상기 광(L1) 보다 장파장의 광(L2)을 조사하여 상기 조성물의 경화물인 코팅층을 형성하는 제2 광조사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광(L2)은 200nm 내지 400nm 범위 내의 파장을 갖는 것인 인테리어 필름의 제조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2916A KR20240100851A (ko) | 2022-12-23 | 2022-12-23 |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82916A KR20240100851A (ko) | 2022-12-23 | 2022-12-23 |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00851A true KR20240100851A (ko) | 2024-07-02 |
Family
ID=919335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82916A Pending KR20240100851A (ko) | 2022-12-23 | 2022-12-23 |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00851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9092A (ko) | 2013-07-15 | 2015-01-26 | (주)엘지하우시스 | 성형성이 우수한 고광택 인테리어용 장식필름 |
-
2022
- 2022-12-23 KR KR1020220182916A patent/KR20240100851A/ko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09092A (ko) | 2013-07-15 | 2015-01-26 | (주)엘지하우시스 | 성형성이 우수한 고광택 인테리어용 장식필름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2331112B1 (ko) | 촉감이 우수한 저광택의 데코 시트 | |
JP6044544B2 (ja) | 積層体の製造方法 | |
JP5356612B2 (ja) | 保護フィルム付き微細凹凸構造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 |
TWI540047B (zh) | A base film for transfer printing laminate, a transfer molding laminate, and a method for producing a base film | |
US10829410B2 (en) | Antifog laminate, articl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nti-fog method | |
CN102529257A (zh) | 转印印刷用层叠体 | |
KR102269523B1 (ko) | 내스크래치성 및 논슬립성이 우수한 바닥재 | |
JP4365215B2 (ja) | 熱成形性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 |
TW201420344A (zh) | 聚乙烯醇系膜及其製造方法、以及使用聚乙烯醇系膜之熱轉印用積層體及使用其之熱轉印方法 | |
CN114502669B (zh) | 具有皱褶表面的层压膜 | |
CN106458774A (zh) | 混凝土表面覆盖层形成用层叠薄膜、混凝土制建筑材料和其制造方法 | |
JP5958201B2 (ja) | 透明賦形フィルムの製造方法 | |
KR20240100851A (ko) | 인테리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 |
JP7346881B2 (ja) | 積層体および樹脂フィルム | |
KR20240073765A (ko) | 데코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1953604B1 (ko) | 데코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 |
KR102770821B1 (ko) | 주름진 표면을 갖는 적층 필름 | |
KR102269522B1 (ko) | 표면에 방사형 굴곡 구조를 갖는 저광택의 비발포식 바닥재 | |
JP2011189554A (ja) | 樹脂積層体の連続製造方法 | |
KR20220136668A (ko) | 주름진 표면을 갖는 3d 데코용 적층 필름 | |
JP4818682B2 (ja) | 樹脂積層体の製造方法 | |
KR20210039644A (ko) | 주름진 표면을 갖는 적층 필름 | |
KR20240034727A (ko) | 주름진 표면을 갖는 적층 필름 | |
JP2023148015A (ja) | 複合シートのプレス圧力制御方法及び複合シート | |
JP2023148016A (ja) | 複合シートのプレス圧力制御方法及び複合シート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3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40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