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100498A -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smfm2016-gk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육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smfm2016-gk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육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100498A
KR20240100498A KR1020220180677A KR20220180677A KR20240100498A KR 20240100498 A KR20240100498 A KR 20240100498A KR 1020220180677 A KR1020220180677 A KR 1020220180677A KR 20220180677 A KR20220180677 A KR 20220180677A KR 20240100498 A KR20240100498 A KR 202401004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in
smfm2016
pediococcus pentosaceus
meat
presen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80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요한
황정은
윤새나
김학연
이솔희
정창환
김선겸
조한결
Original Assignee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국립공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80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100498A/ko
Publication of KR20240100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100498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0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3/40Meat products; Meat meal;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containing additives
    • A23L13/45Addition of, or treatment with, microorganisms
    • A23L13/46Addition of, or fermentation with fungi, e.g. yeasts; Enrichment with dried biomass other than starter cultur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7/00Spices; Flavouring agents or condiments; Artificial sweetening agents; Table salts; Dietetic salt substitut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400/00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 A23V2400/41Pediococcus
    • A23V2400/427Pentosaceu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Vir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yc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at, Egg Or Seafood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풍미 증진 기능을 갖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발효용 스타터 조성물 및 풍미 증진용 조성물; 및 상기 균주를 사용한 발효육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SMFM2016-GK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육의 제조 방법 {Novel 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strain and method for producing fermented mea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SMFM2016-GK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육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은 보통 젖산균이라고도 칭하는 최종 대사산물로 젖산을 상당량 생산하는 세균을 일컫는다. 유산균은 인간이 오래 전부터 이용하고 있는 미생물의 일종으로 우리나라에서는 김치 등에, 서양에서는 유가공 발효에 많이 이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유산균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어 발효육 제조, 건강 및 기능성 식품, 정장제, 의약품 및 생균제품 등에 널리 이용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산업용 균주이며 여기에 속하는 세균들로는 스트렙토코커스 속(Streptococcus sp.), 페디오코커스 속(Pediococcus sp.), 루코노스톡 속(Leuconostoc sp.), 락토바실러스 속(Lactobacillus sp.), 스포로락토바실러스 속(Sporolactobacillus sp.) 및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등이 있다. 또한 우리나라 고유의 채소류 발효식품인 김치에는 락토바실러스 속, 페디오코커스 속, 루코노스톡 속 및 바이셀라 속 등과 같은 유산균류가 주종을 이루고 있다.
상기 유산균들은 그람 양성균으로써 혐기성이거나 편혐기성인 성질을 지니고 있으며, 동물의 장내 소화관벽에 밀집, 정착하여 동물이 섭취한 영양분 및 섬유소 등을 분해시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며, 젖산 및 항생물질을 생산하여 장내 유해균의 발육을 억제함으로써 장내 건강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유산균은 생균 자체를 이용하기 때문에 경구 섭취 시 pH가 3 이하로 내려가는 산성 환경과 위장과 소장에서 분비되는 소화효소 및 담즙산에 의해 생육이 저해되어 대장에 도달하는 생균수가 감소할 뿐만 아니라 장내 정착률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다.
또한, 유산균을 이용한 식품 발효 과정에서 생성되는 독성 물질인 바이오제닉 아민은 사람이나 동물의 신경과 혈관을 자극하여 식중독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위생적이고 안전한 발효 식품 제조를 위해 바이오제닉 아민 저감화 스타터에 대한 사용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이에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 억제를 통한 저감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 고유의 채소 발효식품인 김치로부터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능이 없고, 저온생장능 및 내산성이 우수한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를 분리, 동정하고, 분리된 유산균을 스타터 균주로 활용하면 맛과 향이 우수한 발효육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986-0000550호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이와 연관된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예시적 목적은 저온 생장 내성능을 가지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포함하는 발효용 스타터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포함하는 풍미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균주를 포함하는 스타터 조성물을 육류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육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한편, 본 출원에서 개시된 각각의 설명 및 실시형태는 각각의 다른 설명 및 실시 형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즉, 본 출원에서 개시된 다양한 요소들의 모든 조합이 본 출원의 범주에 속한다. 또한, 하기 기술된 구체적인 서술에 의하여 본 출원의 범주가 제한된다고 볼 수 없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일 양태로서, 본 발명은 저온 생장 내성능을 가지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는 락토바실루스과 (Lactobacillaceae) 페디오코쿠스속(Pediococcus)의 젖산균으로, 본 발명의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는 김치에서 분리 및 동정한 균주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는 수탁번호 KACC 81233BP로 기탁된 것이다.
본 발명의 용어 "저온 생장 내성능"은 저온 생장능이 개선된 성능을 의미하며, 상기 "저온 생장능"은 25℃ 이하의 온도에서의 생장능을 의미한다. 이 경우 저온 생장능과 관련된 하한 온도는 5℃, 바람직하게 10℃, 보다 바람직하게 15℃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는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능이 없는 균주이다.
상기 바이오제닉 아민은 미생물, 식물, 동물의 대사과정 중 아미노산 탈탄산 작용으로 생성되는 질소화합물로 과잉 섭취할 경우 피부 염증, 알레르기 작용을 일으키고 심하면 식중독, 심계항진 등을 유발할 수 있다. 히스타민, 티라민, 푸트레신 및 카다베린이 해당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는 산성에 대한 내성이 있는 균주이다.
상기 산성에 대한 내성이 있는 균주는 내산능이 개선된 균주를 의미하며, "내산능"은 pH 5, 바람직하게 pH 3.5의 조건에서 생존률이 높은 균주를 의미하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포함하는 발효용 스타터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는 전술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스타터"는 발효물을 제조하는 경우에 사용하는 미생물 배양액을 의미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미생물 중에서 스타터로 사용되고 있는 것은 박테리아, 곰팡이, 효모 등이 있으며, 이것을 단독 혹은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스타터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 데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 균주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스타터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 및 데바리오마이세스 한세니 균주가 1:2 내지 2:1의 부피비로 조합된 것일 수 있고, 구체적으로 1:1의 비율로 조합된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상기 스타터는 페니실리움날지오벤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타터는 소, 돼지, 말, 양, 염소, 토끼 등과 같은 육상 동물뿐만 아니라, 닭 등과 같은 조류에서 유래하는 다양한 육류를 발효시키고, 풍미(맛과 향)를 증진시키기 위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서 발효를 위한 용도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용액, 분말 또는 과립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포함하는 풍미 증진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을 통해서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한 용도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용액, 분말 또는 과립 등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조성물은 풍미를 증진시키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첨가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양태로서, 본 발명은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균주를 포함하는 스타터 조성물을 육류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육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 스타터는 전술한 바와 같다.
상기 방법에서, 상기 균주를 포함하는 스타터를 발효 대상이 되는 육류에 코팅 또는 도포하여 육류를 발효시킬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균주 또는 이의 배양액을 포함하는 용액 제형의 조성물에 육류를 침지시키거나, 용액, 분말, 과립 등의 제형을 갖는 조성물을 코팅 또는 도포(예를 들면, 분무, 미스팅, 분말 살포, 과립 살포 등)하는 방법으로 육류에 처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에서, 발효 대상이 되는 부위, 중량, 발효 장소 등에 따라 균주의 농도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서, 발효시키는 단계는 균주가 발효 기간 동안 풍미를 증대시킴으로써 향상된 기호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발효육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발효는 발효육 제조를 위해 통상적으로 활용되는 다양한 발효방법으로 조성물이 처리된 육류를 발효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목적은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균주를 포함하는 스타터 조성물을 육류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육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육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발효육은 그 종류에 특별히 제한이 없으나, 소고기, 돼지고기, 닭고기 등 가공되기 전의 일반 육류 뿐만 아니라, 햄류, 소시지류, 베이컨류와 같은 식육가공품, 포장육 등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육류 발효에 사용하는 경우, 발효육 내 풍미가 증진된 것을 확인하였다. 즉, 풍미 증진 기능이 확인된 상기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는 육류의 발효를 위해 활용될 수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분리균주의 내산능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는 분리균주의 저온생장능(15℃)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은 분리균주의 저온생장능(25℃)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는 Model-system 내 균주 생장능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는 Model-system 내 젖산 생성량 확인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 SMFM2016-GK1 균주의 분리 및 동정
본 발명의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분리하기 위해 25g의 김치에 50mL의 BPW(buffered peptone water)를 첨가한 뒤 60초간 균질화하였다. 균질화된 용액을 10진 희석한 뒤 희석액을 MRS agar(de Man, Rogosa and Sharpe agar)에 접종 및 도말하여 37℃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젖산균의 성상을 나타내는 집락을 분리한 뒤 16s rRNA sequencing 분석을 통해 미생물 동정을 수행하였으며, 동정 결과 신규 균주인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를 선별하였다.
선별된 균주를 2022년 11월 1일에 국립농업과학원 농업유전자원센터에 기탁하여 기탁번호 KACC 81233BP를 부여 받았다. 상기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는 서열번호 1의 16S rRNA 서열을 갖는다.
실험예 1: 분리 균주의 내산능 확인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방법으로 분리된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포함한 10종의 젖산균에 대한 내산능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젖산균 단일 집락을 MRS broth(de Man, Rogosa and Sharpe broth)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뒤 새로운 MRS broth에 0.1 mL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1,912×g, 15분, 4℃에서 원심분리하여 10 mL의 PBS로 세척한 뒤 2차 원심분리 후 10 mL의 PBS로 현탁하였다. 준비된 균액을 MRS agar에 평판도말하여 37℃에서 48시간 배양한 후 집락을 계수하였으며, NaCl을 첨가하지 않은 MRS agar의 균수에 대비하여 4%(w/v) NaCl을 첨가한 MRS agar에서의 생균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10 종의 후보균주 중 pH 3.5에서 유의적으로 낮은 생존률을 나타낸 2개의 균주(49 및 67)를 제외한 8개의 균주에 대하여 저온 생장능 실험을 진행하였다.
실험예 2: 분리 균주의 저온생장능 확인
상기 실험예 1에서 선정한 8개의 균주에 대한 저온생장능을 비교하였다.
구체적으로, 젖산균 단일 집락을 MRS broth에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한 뒤 새로운 MRS broth에 0.1 mL 접종하여 37℃에서 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1,912×g, 15분, 4℃에서 원심분리하여 10 mL의 PBS로 세척한 뒤 2차 원심분리 후 10 mL의 PBS로 현탁하였다. 3 내지 4 Log CFU/mL로 희석된 균액을 MRS broth에 접종한 후, 15℃ 및 25℃에서 48시간 배양하였다. 배양액을 TSA(tryptic soy agar)에 평판도말한 뒤 37℃에서 24시간 배양하여 집락을 계수하였으며, 배양 온도별 생장률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2 및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효소시지 숙성 온도인 15℃(도 2) 및 25℃(도 3)에서 유의적으로 높은 생장능을 나타낸 2개의 균주(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및 9)를 선정하였다.
실험예 3: Model-system 내 균주의 발효특성 확인
상기 실험예 2에서 선정한 2개의 균주에 대한 발효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발효육류와 유사한 조성의 배지[Model-system: beef extract(12g/L), glucose(10g/L), NaCl(20g/L), dipotassium hydrophosphate(2g/L), MgSO4·7H2O(O.15g/L), nitrite(0.15g/L)] 및 pH 5.8의 조건에서 젖산균의 생장 및 젖산 생성량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4 및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두 젖산균 균주(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및 9)는 배양 1일차에 최대 생장 균수에 도달하고 3일차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냈다. 또한 배양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젖산 생성량도 함께 증가하여 최종 7일차에 2.4%의 값을 나타내었다.
실험예 4: 분리 균주의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능 확인
상기 실험예 2에서 선정한 2개의 균주에 대한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능을 확인하기 위해 바이오제닉아민 4종(티라민,히스타민,카다베린,푸트레신)의 생성량을 HPLC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가 바이오제닉 아민 4종에서 모두 검출한계 미만(<1ppm)을 나타내어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능이 없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항목 젖산균 균주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9
히스타민 <1 <1
티라민 <1 10.608±0.957
푸트레신 <1 <1
카다베린 <1 <1
실험예 5: 발효소시지의 풍미증진 효과 확인
실험예 5-1: 발효소시지의 제조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을 접종하여 발효소시지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발효소시지 제조를 위해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포함하는 스타터를 원료육 대비 0.06% 첨가하여 발효소시지를 제조하고 4주간 숙성하였다. 대조군은 발효육류 제조용으로 판매되고 있는 젖산균 및 곰팡이 스타터(Lactobacillus powder (21 mixed lactic acid bacteria, Biotopia, Chuncheon, Korea) 및 Starterkulturen Edelschimmel (Almi, Austria))를 사용하여 제조하였다.
실험예 5-2: 발효소시지의 풍미특성 변화 확인
발효 4주차 발효소시지에 대한 전자혀 분석 결과를 분석하여 풍미특성의 변화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표 2와 같이 스타터를 접종한 발효소시지는 대조구에 비하여 짠맛,감칠맛이 높게 나타났으며 신맛은 낮게 나타났다. 국내 소비자들은 발효소시지의 짠맛은 선호하나 신맛을 선호하지 않는다는 선행연구의 결과에 따라,본 발명의 혼합스타터는 국내 소비자가 선호하는 맛의 발효소시지 제작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표 2_AHS: sensor for sourness. PKS: sensor for sweetness, CTS: sensor for saltness, NMS: sensor for umami, CPS: sensor for standard, ANS: sensor for bitterness, SCS: sensor for standard)
샘플 센서
AHS PKS CTS NMS CPS ANS SCS
스타터 5.5 5.2 6.5 7.4 5.4 6.4 6.4
대조구 6.5 6.8 5.5 4.6 6.6 5.6 5.6
이상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 미생물은행(KACC) KACC81233BP 20221101
서열목록 전자파일 첨부

Claims (9)

  1. 저온 생장 내성능을 가지는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수탁번호 KACC 81233BP로 기탁된 것인, 균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바이오제닉 아민 생성능이 없는 것인, 균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산성에 대한 내성이 있는 것인, 균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균주는 풍미 증진 기능을 갖는 것인, 균주.
  6.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포함하는 발효용 스타터 조성물.
  7.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SMFM2016-GK1 균주를 포함하는 풍미 증진용 조성물.
  8. 제6항에 따른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Pediococcus pentosaceus) 균주를 포함하는 스타터 조성물을 육류에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발효육의 제조방법.
  9. 제8항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발효육.
KR1020220180677A 2022-12-21 2022-12-21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smfm2016-gk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육의 제조 방법 Pending KR2024010049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677A KR20240100498A (ko) 2022-12-21 2022-12-21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smfm2016-gk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육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80677A KR20240100498A (ko) 2022-12-21 2022-12-21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smfm2016-gk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육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100498A true KR20240100498A (ko) 2024-07-02

Family

ID=9193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80677A Pending KR20240100498A (ko) 2022-12-21 2022-12-21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smfm2016-gk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육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10049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550A (ko) 1984-06-08 1986-01-29 제이. 이. 테리스 차동 압력 감지기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60000550A (ko) 1984-06-08 1986-01-29 제이. 이. 테리스 차동 압력 감지기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07744B1 (ko) 항균성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파라카제인 ml-7 균주 및 이의 용도
WO2023159960A1 (zh) 一株益生植物乳杆菌及其在低盐发酵肉食品制备中的应用
KR101834231B1 (ko) 신선유지를 위한 항균 및 항진균 활성을 갖는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륨 dsr kf15 및 이의 용도
KR101591879B1 (ko) 가축들의 장내 미생물 변화와 생산성에 영향을 주는 신바이오틱스 가축사료 첨가제
CN104106785A (zh) 复合乳酸菌发酵辣椒泡菜的制备方法
KR20190054811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kacc 92189 균주, 이를 포함하는 육가공 제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66989B1 (ko) 김치로부터 분리된 콜레스테롤 저하능을 갖는 유산균 및 그의 용도
CN102965316B (zh) 含类细菌素与乳酸片球菌的饲料添加剂,预混料及配合料
KR20190070676A (ko) 항균 활성을 나타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균주 및 이의 용도
KR20170049292A (ko)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kcc―26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N109266568A (zh) 一种具有高产细菌素的益生功能鼠李糖乳杆菌及其应用
JP2016502402A (ja) サワードウ由来の微生物Lactobacillussanfranciscensis
CN109588622A (zh) 一株植物乳杆菌及其在降低湿腌马鲛鱼生物胺含量中的应用
KR102155849B1 (ko) 유해 미생물에 대한 항균 활성과 유산 생성능을 갖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srcm102369 균주 및 이의 용도
EP1716258B1 (en) Method for reducing the content of pathogenic organisms present in food materials
Miranda-Yuquilema et al. Obtaining, characterization and evaluation of two candidate preparations for probiotics developed with agroindustrial waste
JP2015159749A (ja) 石川県の伝統水産発酵食品に由来する乳酸菌を含有するヨーグルト
CN107691849B (zh) 一种微生物发酵制备的饲料
CN103355620A (zh) 乳酸菌发酵芹菜泡菜的制备方法
KR20100076540A (ko) 식물성 배지, 식물성 부형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식물성유산균 발효 분말의 제조방법
KR20240100498A (ko) 페디오코쿠스 펜토사세우스 smfm2016-gk1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발효육의 제조 방법
Adisa et al. Microbiological and probiotic assessment of yeast isolated from wholegrain millet sourdoughs
CN117903972A (zh) 一种菌酶协同制剂及其在禽用含果渣微贮饲料中的应用
Anggraeni et al. Viability of Lactobacillus plantarum and Lactobacillus pentosus isolated from solid waste of soy milk as candidate probiotic for poultry
CN109717413A (zh) 一种湿腌马鲛鱼的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2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1221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