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96140A -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 capable of lining process - Google Patents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 capable of lining proces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96140A
KR20240096140A KR1020220178507A KR20220178507A KR20240096140A KR 20240096140 A KR20240096140 A KR 20240096140A KR 1020220178507 A KR1020220178507 A KR 1020220178507A KR 20220178507 A KR20220178507 A KR 20220178507A KR 20240096140 A KR20240096140 A KR 202400961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unit
block
clutch
traveling body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7850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효섭
Original Assignee
김효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효섭 filed Critical 김효섭
Priority to KR10202201785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96140A/en
Publication of KR202400961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96140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04Analysing solids
    • G01N29/048Marking the faulty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0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 B08B1/10Cleaning by methods involving the use of tool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leaning tool
    • B08B1/14Wipes; Absorbent members, e.g. swabs or sponges
    • B08B1/143Wi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8CLEANING
    • B08BCLEANING IN GENERAL; PREVENTION OF FOULING IN GENERAL
    • B08B15/00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 B08B15/04Preventing escape of dirt or fumes from the area where they are produced; Collecting or removing dirt or fumes from that area from a small area, e.g. a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18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using absorbing layers on the workpiece, e.g. for marking or protecting purpo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25Supports, positioning or alignment in moving situ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65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sensor relative to a stationary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02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the analysed material
    • G01N2291/028Material parameters
    • G01N2291/0289Internal structure, e.g. defects, grain size, tex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26Scanned objects
    • G01N2291/263Surfaces
    • G01N2291/2634Surfaces cylindrical from outsid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91/00Indexing codes associated with group G01N29/00
    • G01N2291/26Scanned objects
    • G01N2291/267Weld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ath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lasma & Fusion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배관의 표면상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벗하는 피벗유닛과, 상기 피벗유닛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과 축 결합되어 피벗하는 회전블록으로 구성된 틸팅유닛과, 상기 틸팅유닛의 회전블록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에 설치되며 탐촉자가 구비되어 상기 탐촉자가 배관의 용접부에 밀착되도록 높낮이가 조절되는 홀더유닛과, 상기 주행체에 설치되고 상기 탐촉자에 의해 불량이 탐지된 배관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그 표면을 식각하는 마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가공이 가능한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가 개시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comprising a traveling body movably mounted on the surface of the pipe, a pivot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to pivot, and a guide rail installed on the pivot unit; A tilting unit consisting of a moving block installed on the guide rail and moving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d a rotating block pivoting by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and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otating block of the tilting unit and the length of the rotating block A support unit that moves linearly in one direction, a holder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and equipped with a probe whose height is adjusted so that the probe is in close contact with a welded portion of the pipe, and a pipe installed on the traveling body and in which a defect is detected by the probe.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capable of lining processing is disclosed, which includes a marking unit that etches the surface by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surface.

Description

라이닝 가공이 가능한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 capable of lining process}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 capable of lining process}

본 발명은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노후된 관로의 갱생을 위해 라이닝 가공이 실시된 후 초음파 탐상 장비를 사용하여 관로 내부를 검사할 때 라이닝 불량이 발생한 부분을 식각하여 불량이 발생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부터 불량이 발생한 위치에 라이닝 가공을 할 수 있는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More specifically, when inspecting the inside of a pipe using ultrasonic flaw detection equipment after lining processing is performed to rehabilitate an old pipe, the area where lining defects occur is etched to prevent defects. It relates to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tha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efect and perform lining processing at the location where the defect occurred.

일반적으로, 수도물을 공급하는 중,대형 직경의 송수관 및 소형 직경의 상수도 배관, 오일과 같은 각종 유체를 이송하는 송유관, 가스관, 하수를 이송하는 하수관로(이하, 통칭하여 '관로'라 지칭한다)등은 설치 후 장시간 동안 사용하게 되면, 노후화되면서 관로 내벽면에 유체에 포함되어 있는 각종 이물질이 퇴적되거나 관로 내면이 산화되면서 녹 등이 생성되고, 이들이 고형화되어 스케일(Scale)층을 형성하게 된다.In general, large-diameter water pipes and small-diameter water supply pipes that supply tap water, oil pipes and gas pipes that transport various fluids such as oil, sewer pipes that transport sewage (hereinafter collectively referred to as 'pipes'), etc. If silver is used for a long time after installation, various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fluid are deposited on the inner wall of the pipe as it ages, or the inner surface of the pipe is oxidized, forming rust, etc., and these solidify to form a scale layer.

상기와 같이 유체 관로의 내면에 생성되는 스케일층은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점차적으로 두꺼워지면서 고형화되기 때문에 유체의 원활한 흐름을 방해하여 유체압을 떨어뜨리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scale layer crea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uid pipe gradually thickens and solidifies over time, which causes a problem in that it interferes with the smooth flow of fluid and reduces fluid pressure.

또한, 관로에 부착된 스케일층이 유체에 녹아들게 되어 유체를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며, 관로 네트워크의 기능 유지에 큰 지장을 초래함은 물론 에너지 소비를 증가시키는 중대한 결과를 가져오므로 관로를 주기적으로 청소를 해주어야만 한다.In addition, the scale layer attached to the pipe dissolves in the fluid, causing contamination of the fluid. It not only causes significant disruption in maintaining the function of the pipe network, but also has the serious result of increasing energy consumption, so the pipe must be cleaned periodically. You have to clean it.

따라서, 관로 내부의 부식 생성물과 관로 파손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노후관에 대한 개량공사(교체 또는 갱생)를 실시하게 된다. 관로개량공사에 적용되는 노후 관로 갱생공법에는 세관(크리닝) 및 라이닝이 대표적이다.Therefore, in order to solve problems such as corrosion products inside the pipe and damage to the pipe, improvement work (replacement or rehabilitation) is performed on the old pipe. Typical old pipe rehabilitation methods applied to pipe improvement construction include customs (cleaning) and lining.

이러한, 노후 관로를 갱생하는 공법에 대하여 도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This method of rehabilitating old pipes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ure 1.

도 1은 일반적인 노후 관로 갱생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관로의 내부를 검사하는 제1공정(S1)과, 노후관의 길이 60∼80m 정도를 1구간으로하여 단수 후 절단 개관하고, 스크레퍼, 와이어 브러쉬, 고압수 분사 크리너(Cleaner)등과 같은 세관장치를 동력 권양기(Winch)로 수차례 반복하여 끌어당겨 관내 부착 스케일을 제거하고 관 밖으로 배출시키는 제2공정(S2)과, 관 내부에 고인 물을 제거한 후에 브로어(Blower)로 공기를 이송하여 관 내부를 건조시키는 제3공정(S3)과, 관 내부의 표면이 건조되면 분사 헤드가 설치된 호스를 관체 안으로 삽입시킨 후 상기 분사 헤드를 관체 외부로 이동시키면서 에폭시 수지 도료 또는 폴리우레아 등을 분사시켜 라이닝을 수행하는 제4공정(S4) 및 에폭시 도료 또는 폴리우레아가 완전 경화하면 관 내부를 청소한 후에 관 절개 부분을 연결하여 통수하고 규정에 따라 토사를 메워 갱생공사를 완료하는 제5 공정(S5)으로 이루어진다.Figure 1 is a flow chart showing a general old pipe rehabilitation process. Explaining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 the first process (S1) is to inspect the inside of the pipe, and the old pipe is divided into one section of about 60 to 80 m in length, cut and opened after water is cut off, and a scraper, wire brush, and high-pressure water spray cleaner are used. ), etc., are pulled repeatedly several times with a power winch to remove scale attached to the pipe and discharged out of the pipe. The second process (S2) is to remove the water accumulated inside the pipe and then pull it with a blower. A third process (S3) of drying the inside of the pipe by transporting air, and when the surface of the inside of the pipe is dried, a hose equipped with a spray head is inserted into the pipe body, and then the spray head is moved to the outside of the pipe body while applying epoxy resin paint or polyurea The fourth process (S4), which performs lining by spraying, and when the epoxy paint or polyurea is completely cured, the inside of the pipe is cleaned, the pipe cut part is connected, water is passed through, and the rehabilitation work is completed by filling in the soil according to regulations. It consists of 5 processes (S5).

상기와 같은 갱생 공법 후에는 초음파 탐상 장비를 사용하여 관로 내부에 라이닝된 도료의 박리, 두께, 기공발생 등을 검사하고, 이를 토대로 문제가 발생한 부분에 대한 라이닝 가공을 다시 실시하게 된다.After the above-mentioned rehabilitation method, ultrasonic flaw detection equipment is used to inspect the peeling, thickness, and pores of the paint lining the inside of the pipe, and based on this, lining processing is performed again for the problem area.

그러나, 상기와 같이 초음파 탐상 장비를 사용하여 관로 내부를 검사한 후 문제가 발생한 부분에 대한 라이닝 가공을 다시하기 위해서는 검사자가 라이닝 가공에 문제가 발생한 부분의 위치를 관로의 끝단에서 불량이 발생한 부분까지의 거리를 기록지에 수기로 기록하거나 라이닝 표면에 마킹팬으로 표시를 하게 된다.However, after inspecting the inside of the pipe using ultrasonic flaw detection equipment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redo the lining processing for the part where the problem occurred, the inspector must measure the location of the part where the lining processing problem occurred from the end of the pipeline to the defective part. The distance is recorded by hand on a recording sheet or marked on the lining surface with a marking pen.

그러나, 상기와 같이 검사자가 기록지에 불량이 발생한 부분을 수기로 기록하게 되는 경우 불량이 발생한 부분의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힘든 문제가 있다.However, when the inspector manually records the defective part on the recording paper as described abov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difficult to accurately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efective part.

또한, 검사자가 불량이 발생한 부분을 마킹팬으로 표시하는 경우 불량이 발생한 부분을 다시 라이닝 가공할 때 마킹팬의 표시가 고압수에 의해 지워져 불량이 발생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In addition, when the inspector marks the defective part with a marking pan, there is a problem that the marking on the marking pan is erased by high-pressure water when relining the defective part, making it impossible to accurately determine the defective location.

KRKR AA 10-2004-002149610-2004-0021496 (2004.03.10)(2004.03.10)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노후된 관로의 갱생을 위해 라이닝 가공이 실시된 후 초음파 탐상 장비를 사용하여 관로 내부를 검사할 때 라이닝 불량이 발생한 부분을 식각하여 불량이 발생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부터 불량이 발생한 위치에 라이닝 가공을 할 수 있는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fter lining processing is performed to rehabilitate an old pipe, when inspecting the inside of the pipe using ultrasonic flaw detection equipment, the area where lining defects occur is etched to determine the location of the defec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that can accurately identify and perform lining processing at the location where the defect occurs.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으로는, 배관의 표면상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주행체와, 상기 주행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벗하는 피벗유닛과, 상기 피벗유닛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과 축 결합되어 피벗하는 회전블록으로 구성된 틸팅유닛과, 상기 틸팅유닛의 회전블록 전면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지지유닛 및 상기 지지유닛에 설치되며 탐촉자가 구비되어 상기 탐촉자가 배관의 용접부에 밀착되도록 높낮이가 조절되는 홀더유닛과, 상기 주행체에 설치되고 상기 탐촉자에 의해 불량이 탐지된 배관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그 표면을 식각하는 마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에 의해 달성된다.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traveling body that is movably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pipe, a pivot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to pivot, and a pivot unit installed in the pivot unit. A tilting unit consisting of a guide rail, a moving block installed on the guide rail and moving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d a rotating block pivoting by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and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rotating block of the tilting unit, A support unit that moves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ng block, a holder unit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and equipped with a probe whose height is adjusted so that the prob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lded part of the pipe, and a holder unit installed on the traveling body and detecting defects by the probe. This is achieved by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which includes a marking unit that irradiates a laser beam to the surface of the detected pipe to etch the surface.

여기서, 상기 마킹유닛은 상기 주행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을 배관의 표면에 조사하여 식각하는 레이저 조사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the marking unit preferably includes a laser irradiator installed inside the traveling body to irradiate a laser beam onto the surface of the pipe to etch it.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기의 전방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이 배관의 표면을 식각하기 전에 상기 배관의 표면을 닦아 습기를 제거하는 클리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leaner installed in front of the laser irradiator to remove moisture by wiping the surface of the pipe before the laser beam etches the surface of the pipe.

또한, 상기 레이저 조사기의 후방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에 의해 배관의 표면이 식각될 때 발생하는 흄을 빨아들여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llection unit installed behind the laser irradiator to suck and collect fume generated when the surface of the pipe is etched by the laser beam.

그리고, 상기 피벗유닛은 상기 주행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주행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측면에 클러치가 형성된 돌출 플레이트와,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클러치와 동심축으로 연결되어 피벗하며 상기 동심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클러치와 접촉하여 피벗 각도가 단속되는 클러치블록 및 상기 클러치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레일홈을 가압하여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단속하는 레일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ivot unit includes a base plate fixed to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a protruding plat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and protruding toward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and having a clutch formed on an inner side, and a clutch of the protruding plate. A clutch block is connected to a concentric axis and pivots, and as it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centric axis, it contacts the clutch and the pivot angle is interrupted, and a rail groove provided in the clutch block and formed in the guide rail is pressed to move the guide rail. It is desirable to include a rail fixing part that regulates.

또한, 상기 레일고정부는 상기 클러치블록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홈에 위치하는 고정편과, 상기 고정편과 인접하여 상기 클러치블록에 형성되는 가이드홈과,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이동을 하는 이동편 및 상기 클러치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한 이동편과 나사체결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편을 이동시키는 레일고정패스너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rail fixing part includes a fixing piece formed on the front of the clutch block and located in the rail groove of the guide rail, a guide groove formed on the clutch block adjacent to the fixing piece, and located in the guide groove.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movable piece that moves closer to or away from the fixed piece and a rail fixing fastener that penetrates the clutch block and is screwed to the movable piece located in the guide groove and moves the movable piece by a rotation operation.

그리고, 상기 피벗유닛은 선단이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기단이 상기 돌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클러치블록과 연결되는 가동핀 및 상기 가동핀의 선단에 피벗되게 체결되어 피벗하는 것에 따라 상기 클러치블록을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형성된 클러치에 밀착시키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pivot unit has a tip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otruding plate and a proximal end penetrating the protruding plate and being pivotally fastened to a movable pin connected to the clutch block and a distal end of the movable pin to pivot, thereby causing the clutch block to pivot.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fixing lever that comes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lutch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late.

또한, 상기 틸팅유닛은 상기 회전블록을 상기 이동블록 내에서 회전시켜 상기 지지유닛을 상기 배관의 표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발휘하는 토션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블록은 상기 토션스프링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을 단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tilting unit further includes a torsion spring that rotates the rotation block within the moving block to exert an elastic force to point the support unit in a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of the pipe, and the rotation block includes the torsion spring. It is desirable to include a stopper that regulates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그리고, 상기 지지유닛은 상기 틸팅유닛의 회전블록 전면에 형성된 돌출레일을 상하로 압박하는 절개부가 형성된 조립블록과, 상기 절개부와 대향하여 조립블록의 타단과 피벗 체결되는 회전몸체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몸체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암 및 상기 암의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홀더유닛을 고정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support unit forms an assembly block with a cutout that presses upward and downward on a protruding rail formed on the front of the rotation block of the tilting unit, and a rotating body that is pivotally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assembly block opposite the cutout, and the rotation body is formed.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arm extending on both sides around the body and a fastener provided at an end of the arm to secure the holder unit.

그리고, 상기 홀더유닛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탐촉자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의 내부에서 승강하며 상기 탐촉자가 구비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의 상면과 나사체결된 상태로 상기 수용체의 상면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조절노브 및 상기 수용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표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der unit includes a receptor with an open lower part and a space inside to accommodate the probe, an elevating member that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container and is equipped with the transducer, and a state screw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membe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 control knob that penetrates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or and is exposed to the outside, and a contact portion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ceptor an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ipe.

또한, 상기 홀더유닛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탐촉자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의 내부에서 승강하며 상기 탐촉자가 구비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와 수용체 사이에 개재되는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수용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표면과 접촉하는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der unit includes a receptor with an open lower part and a space formed therein to accommodate the probe, an elevating member that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receptor and is provided with the probe, and an elastic restoring force interposed between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receptor. It is preferable to include an elastic member that exerts this force and a contact portion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container an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ipe.

또한, 상기 홀더유닛은 하부가 개방되고 내부에 상기 탐촉자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된 수용체와, 상기 수용체의 내부에서 승강하며 상기 탐촉자가 구비되는 승강체와, 상기 승강체와 수용체 사이에 설치되어 로드가 실린더로부터 신축되는 액츄레이터와, 상기 수용체의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표면과 접촉하는 접촉부 및 상기 접촉부에 마련되어 상기 배관의 표면과 접촉부 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액츄레이터의 작동을 제어하는 센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holder unit includes a receptor with an open bottom and a space inside to accommodate the probe, an elevating member that moves up and down inside the receptor and is equipped with the probe, and a load installed between the elevating member and the receptor. An actuator that expands and contracts from the cylinder, a contact part provided in the lower part of the receptor and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ipe, and a sensor provided in the contact part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pipe and the bottom of the contact part and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It is desirable to include it.

그리고, 상기 승강체는 그 내부에 상기 탐촉자가 걸림되는 걸림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승강체와 탐촉자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lifting body has a locking protrusion formed therein on which the probe is caught, so that the lifting body and the probe are formed integrally.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배관의 표면과 마주하는 면에 롤러가 마련되어 상기 롤러가 배관의 표면을 따라 구름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act par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 roller on a surface facing the surface of the pipe, so that the roller rolls along the surface of the pipe.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배관의 표면을 향해 가압된 공기를 불어주거나 또는 배관 표면의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에어포트가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act part is preferably provided with an air port that blows pressurized air toward the surface of the pipe or sucks foreign substances from the surface of the pipe.

또한, 상기 접촉부는 상기 배관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는 브러쉬 및 상기 배관 표면의 이물질을 감지하여 상기 브러쉬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the contact unit preferably includes a brush that rotates whil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ipe and a detection unit that detects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pipe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rush.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에 의하면, 노후된 관로의 갱생을 위해 라이닝 가공이 실시된 후 초음파 탐상 장비를 사용하여 관로 내부를 검사할 때 라이닝 불량이 발생한 부분을 식각하여 불량이 발생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고, 이로부터 불량이 발생한 위치에 라이닝 가공을 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inside of the pipe is inspected using ultrasonic flaw detection equipment after lining processing has been performed to rehabilitate an old pipe, the area where lining defects occur is etched to accurately pinpoint the location of the defect. From this, lining processing can be performed at the location where the defect occurred.

또한, 본 발명은 주행체와 홀더유닛 사이에 피벗유닛, 틸팅유닛, 지지유닛이 마련되어 배관의 구경에 따라서 홀더유닛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배관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배관의 용접부에 대한 정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pivot unit, a tilting unit, and a support unit between the traveling body and the holder unit, so that the position of the holder unit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pipe, so that it is not limited by the size of the pipe and can be adjusted to the welded part of the pipe. Precise inspection can be performed.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의 표면과 탐촉자 간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배관의 용접부에 탐촉자를 밀착시켜 신뢰도가 우수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pipe and the probe, allowing inspection with excellent reliability by attaching the probe to the welded part of the pipe.

도 1은 일반적인 노후 관로 갱생공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은 선행기술에 따른 배관 용접부의 비파괴 초음파 검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를 각기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중 피벗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중 틸팅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중 홀더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중 홀더유닛의 다른 실시예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flow chart showing a general old pipe rehabilitation process.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non-destructive ultrasonic inspection device for pipe welds according to the prior art.
Figures 2 to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non-destructive testing device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different directions.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6 to 8 are diagrams showing a pivot unit amo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s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a tilting unit amo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s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lder unit in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3 to 16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other embodiments of the holder unit amo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s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국가물산업클러스터 " 물기술 사업화를 위한 미니클러스터형 프로젝트 사업" 으로 지원받는 과제의 연구결과물이다.This invention is a research result of a project supported by the National Water Industry Cluster's "Mini-cluster type project for water technology commercializa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principle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를 각기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Figures 2 to 4 are perspective views of the non-destructive testing device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seen from different directions, and Figure 5 is a side view showing the non-destructive testing device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는 배관의 표면상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주행체(100)와 상기 주행체(100)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벗하는 피벗유닛(200)과 상기 피벗유닛(200)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300)과 상기 가이드레일(30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며 피벗하는 틸팅유닛(400)과 상기 틸팅유닛(400)에 설치되는 지지유닛(500)과 상기 지지유닛(500)에 설치되며 탐촉자(700)가 구비되는 홀더유닛(600) 및 주행체(100)에 설치되고 상기 탐촉자(700)에 의해 불량이 탐지된 배관의 표면에 레이저를 조사하여 그 표면을 식각하는 마킹유닛(800)으로 구성된다.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traveling body 100 movably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pipe and a pivot unit 200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100 to pivot. ) and a guide rail 300 installed on the pivot unit 200, a tilting unit 400 that moves linearly and pivot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300, and a support unit installed on the tilting unit 400 ( 500) and the holder unit 600, which is installed on the support unit 500 and is equipped with a probe 700, and is installed on the traveling body 100 and applies a laser to the surface of the pipe in which defects are detected by the probe 700. It consists of a marking unit 800 that irradiates and etches the surface.

부연하자면, 주행체(100)는 배관의 표면상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데, 주행체(100)는 배관의 표면상에서 이동할 수 있도록 주행체(100)의 하부에 주행 바퀴(110)가 마련된다. 이때, 주행 바퀴(110)는 구동모터와 축으로 연결되어 구동모터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 구동될 수도 있다.To elaborate, the traveling body 100 is movably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pipe, and traveling wheels 110 are provid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traveling body 100 so that the traveling body 100 can move on the surface of the pipe. At this time, the traveling wheel 110 may be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through a shaft and driven by rotational force provided from the drive motor.

또한, 주행체(100)는 그 내부에 마킹유닛(800)이 설치되어 탐촉자(700)에 의해 불량이 탐지된 배관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배관의 표면, 즉 에폭시 도료에 의해 라이닝된 표면(P)을 식각하여 불량이 탐지된 부분을 표시하게 된다.In addition, the traveling body 100 has a marking unit 800 installed therein and radiates a laser beam to the surface of the pipe where defects are detected by the probe 700 to mark the surface of the pipe, that is, the surface lined with epoxy paint. (P) is etched to mark the part where the defect was detected.

이러한 마킹유닛(800)은 주행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R)을 배관의 표면에 조사하여 식각하는 레이저 조사기(810)를 포함할 수 있는데, 레이저 조사기(810)는 예를 들어, 주행체(100)의 내부에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레이저 조사기(810)에서 각각 조사되는 레이저 빔(R)을 하나로 결합시킨 상태에서 배관의 표면으로 조사하는 빔 결합기를 포함할 수 있다.This marking unit 800 may include a laser irradiator 810 that is installed inside the traveling body 100 and irradiates a laser beam (R) to the surface of the pipe to etch it. The laser irradiator 810 is, for example, For example,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beam combiners installed inside the traveling body 100 and irradiating the laser beams R, respectively irradiated from the laser irradiator 810, to the surface of the pipe while combining them into one.

이렇게, 빔 결합기에서 결합된 레이저 빔은 불량이 탐지된 배관의 라이닝된 표면(P) 주위를 식각하여 미세한 홈을 형성하게 된다. 또한, 레이저 조사기(810)는 레이저 빔(R)의 조사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스태핑 모터와 연계되어 주행체(100)의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다.In this way, the laser beam combined in the beam combiner etches around the lined surface (P) of the pipe where the defect is detected to form a fine groove. Additionally, the laser irradiator 810 may be installed inside the traveling body 100 in conjunction with a stepping motor to adjust the irradiation angle of the laser beam R.

이렇게, 레이저 조사기(810)가 스태핑 모터와 연계되면 스태핑 모터의 구동에 의해 레이저 빔의 조사방향을 조절할 수 있고 이로부터 배관의 라이닝된 표면(P)에 대한 식각형태를 다양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laser irradiator 810 is connected to the stepping motor, the irradiation direction of the laser beam can be adjusted by driving the stepping motor, and from this, the etching form on the lined surface (P) of the pipe can be varied.

또한, 마킹유닛(800)은 상기와 같이 레이저 조사기(810)에서 배관의 라이닝된 표면으로 레이저 빔이 조사되어 그 표면을 식각하기 전에 배관의 라이닝된 표면을 닦아 습기를 제거하는 클리너(8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marking unit 800 uses a cleaner 820 to remove moisture by wiping the lined surface of the pipe before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from the laser irradiator 810 to the lined surface of the pipe and the surface is etched. More may be included.

클리너(820)는 주행체(100)의 하부에 설치되어 배관의 라이닝된 표면을 따라 구름운동 하는 롤러(821)와, 상기 롤러(821)의 둘레를 감싸 배관의 라이딩된 표면에 존재하는 습기를 닦는 흡수재(822) 및 상기 롤러(821)를 지지하며 롤러(821)를 배관의 라이닝된 표면에 밀착시키는 쇼바와 같은 탄성력을 발휘하는 완충부재(823)로 구성될 수 있다.The cleaner 820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traveling body 100 and includes a roller 821 that rolls along the lined surface of the pipe and surrounds the roller 821 to remove moisture present on the ridden surface of the pipe. It may be composed of a wiping absorbent 822 and a buffer member 823 that supports the roller 821 and exerts an elastic force like a shock absorber to bring the roller 821 into close contact with the lined surface of the pipe.

이와 같이, 주행체(100)의 하부에 클리너(820)가 설치되면 레이저 조사기(810)에 의해 레이저 빔이 배관의 라이닝된 표면에 조사되기 전에 배관의 라이닝된 표면, 즉 에폭시 도료의 표면을 흡수재(822)가 닦아 습기 및 이물질을 제거하게 되어 레이저 조사기(810)에 의한 라이닝 표면(P)에 대한 식각을 더욱 용이하게 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cleaner 820 is installed at the lower part of the traveling body 100, the lined surface of the pipe, that is, the surface of the epoxy paint, is covered with an absorbent material before the laser beam is irradiated to the lined surface of the pipe by the laser irradiator 810. By wiping (822) to remove moisture and foreign substances, etching of the lining surface (P) by the laser irradiator (810) can be made easier.

또한, 마킹유닛(800)은 레이저 조사기(810)에 의해 배관의 라이딩된 표면을 식각할 때 발생하는 흄을 빨아들여 포집하는 포집부(8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marking unit 800 may further include a collection unit 830 that absorbs and collects fume generated when the ridden surface of the pipe is etched by the laser irradiator 810.

포집부(830)는 레이저 조사기(810)의 후방에 위치하도록 주행체(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부압을 발생시키는 진공펌프와 상기 진공펌프의 작동에 의해 발생하는 부압을 레이저 빔에 의해 식각되는 라이닝 표면으로 안내하는 노즐로 이루어져 레이저 빔에 의해 배관의 라이닝된 표면(P)이 식각할 때 발생하는 흄을 빨아들여 포집하게 된다.The collection unit 830 is installed inside the traveling body 100 to be located at the rear of the laser irradiator 810, and includes a vacuum pump that generates negative pressure and the negative pressur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vacuum pump being etched by the laser beam. It consists of a nozzle that guides to the lining surface and absorbs and collects the fume generated when the lined surface (P) of the pipe is etched by a laser beam.

한편, 주행체(100)의 전면에는 피벗유닛(200)이 설치되는데, 피벗유닛(20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 돌출 플레이트(220), 클러치블록(230), 레일고정부(260)로 구성된다. 이를 도 6 내지 도 8에 의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a pivot unit 20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100, and the pivot unit 200 consists of a base plate 210, a protruding plate 220, a clutch block 230, and a rail fixing part 260. It is composed. This will be explained based on FIGS. 6 to 8.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중 피벗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피벗유닛(200)은 베이스 플레이트(210)가 주행체(100)의 전면에 고정되며,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양측면에 돌출 플레이트(220)가 설치된다.Figures 6 to 8 are diagrams showing a pivot unit amo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s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pivot unit 200 has a base plate 210 fixed to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100, and protruding plates 220 ar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210.

이때, 돌출 플레이트(220)는 주행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측면에 클러치(221)가 형성되는데, 클러치(221)는 원판 상에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At this time, the protruding plate 220 protrudes forward of the traveling body 100 and a clutch 221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The clutch 221 has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teeth are formed on a disk.

이렇게, 베이스 플레이트(210)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주행체(100)의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 플레이트(220)에는 클러치블록(230)이 설치된다. 클러치블록(230)은 돌출 플레이트(220)에 형성된 클러치(221)와 동심축으로 연결되어 한 쌍의 돌출 플레이트 내에서 피벗할 수 있게 설치되며, 돌출 플레이트(220)에 형성된 클러치(221)와 마주하여 라이너(231)가 형성된다. 이때 라이너(231)는 돌출 플레이트(220)에 형성된 클러치(221)와 맞물리는 다수의 톱니가 형성된 형태를 갖는다.In this way, the clutch block 230 is installed on the protruding plate 220 that is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210 and protrudes toward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100. The clutch block 230 is concentrically connected to the clutch 221 formed on the protruding plate 220 and is installed to pivot within a pair of protruding plates, and faces the clutch 221 formed on the protruding plate 220. Thus, the liner 231 is formed. At this time, the liner 231 has a plurality of teeth that engage with the clutch 221 formed on the protruding plate 220.

또한, 클러치블록(2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심축으로부터 피벗하게 될 때 클러치블록(230)이 동심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하여 클러치블록(230)의 라이너(231)가 돌출 플레이트(220)의 클러치(221)와 맞물려 클러치블록(230)의 피벗 각도가 단속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when the clutch block 230 pivots from the concentric axis, the clutch block 230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centric axis so that the liner 231 of the clutch block 230 protrudes from the plate ( The pivot angle of the clutch block 230 is controlled by engaging the clutch 221 of 220).

이렇게, 클러치블록(230)의 라이너(231)를 돌출 플레이트(220)의 클러치(221)로 이동시키기 위해 피벗유닛(200)은 가동핀(240) 및 고정레버(250)가 마련된다. 가동핀(240)은 선단이 돌출 플레이트(220)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기단이 돌출 플레이트(220)를 관통하여 클러치블록(230)에 고정된다. In this way, the pivot unit 200 is provided with a movable pin 240 and a fixed lever 250 to move the liner 231 of the clutch block 230 to the clutch 221 of the protruding plate 220. The movable pin 240 has its tip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otruding plate 220, and its proximal end penetrates the protruding plate 220 and is fixed to the clutch block 230.

또한 가동핀(240)의 선단에 고정레버(250)가 피벗되게 체결되어 고정레버(250)가 가동핀(240)의 선단에서 피벗하는 것에 따라 클러치블록(230)을 돌출 플레이트(220)의 내측면에 형성된 클러치(221)에 밀착시키게 된다.In addition, the fixed lever 250 is pivotally fastened to the tip of the movable pin 240, so that the clutch block 230 is positioned within the protruding plate 220 as the fixed lever 250 pivots at the tip of the movable pin 240. It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lutch 221 formed on the side.

이러한, 고정레버(25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레버(250)가 돌출 플레이트(220)의 외측면과 접하는 부분이 상이한 곡율 반경을 형성하여 고정레버(250)가 가동핀(240)의 선단에서 피벗하는 것에 따라 가동핀(240)이 돌출 플레이트(220)의 외측으로 이동하여 클러치블록(230)의 라이너(231)를 돌출 플레이트(220)의 클러치로 이동시켜 맞물리게 하거나 이와는 반대로 이격시켜 클러치블록(230)의 피벗 각도를 단속하게 된다.As shown in FIG. 8, the fixing lever 250 forms different radii of curvature at the part where the fixing lever 250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late 220, so that the fixing lever 250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in 240. As the movable pin 240 moves to the outside of the protruding plate 220 as it pivots at the tip, the liner 231 of the clutch block 230 moves to the clutch of the protruding plate 220 to engage or, on the contrary, separates it. The pivot angle of the clutch block 230 is controlled.

그리고, 클러치블록(230)은 레일고정부(260)가 마련되어 가이드레일(300)에 형성된 레일홈(310)을 가압하여 가이드레일(300)의 이동을 단속하게 된다.In addition, the clutch block 230 is provided with a rail fixing part 260 to pressurize the rail groove 310 formed in the guide rail 300 to control the movement of the guide rail 300.

이러한 레일고정부(26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클러치블록(230)의 전면에 형성되어 가이드레일(300)의 레일홈(310)에 위치하는 고정편(261)과 상기 고정편(261)과 인접하여 클러치블록(23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62)과 상기 가이드홈(262)에 위치하여 고정편(261)으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이동을 하는 이동편(236) 및 클러치블록(230)을 관통하여 가이드홈(262)에 위치한 이동편(236)과 나사체결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이동편(236)을 이동시키는 레일고정패스너(264)로 구성된다.As shown in FIG. 7, this rail fixing part 260 is formed on the front of the clutch block 230 and includes a fixing piece 261 located in the rail groove 310 of the guide rail 300 and the fixing piece ( A guide groove 262 formed in the clutch block 230 adjacent to 261 and a moving piece 236 and clutch block 230 located in the guide groove 262 that move closer to or away from the fixed piece 261. ) It is composed of a rail fixing fastener 264 that is screwed to the movable piece 236 located in the guide groove 262 and moves the movable piece 236 by rotation.

이러한 레일고정부(260)의 구성에 따라 가이드레일(300)을 클러치블록(230)에 고정하기 위해 레일고정패스너(264)를 회전 조작하여 조이는 것에 의해 이동편(236)이 클러치블록(230)의 가이드홈(262)에서 레일고정패스너(264)를 향해 이동하게 되며, 이렇게 이동편(236)과 고정편(261)이 서로 멀어지는 것에 의해 이동편(236)과 고정편(261)이 가이드레일(300)의 레일홈(310)을 압박하여 가이드레일(300)을 클러치블록(230)에 고정하게 된다.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rail fixing part 260, the moving piece 236 is connected to the clutch block 230 by rotating and tightening the rail fixing fastener 264 to fix the guide rail 300 to the clutch block 230. It moves from the guide groove 262 toward the rail fixing fastener 264, and as the movable piece 236 and the fixed piece 261 move away from each other, the movable piece 236 and the fixed piece 261 move toward the guide rail. The guide rail 300 is fixed to the clutch block 230 by pressing the rail groove 310 of 300.

한편, 틸팅유닛(400)은 가이드레일(300)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30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이동블록(410)과 상기 이동블록(410)과 축 결합되어 피벗하는 회전블록(420)으로 구성된다. 이를 도 9 및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the tilting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guide rail 300 and includes a moving block 410 that moves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300, and a rotating block 420 that is axial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410 and pivots. ) is composed of. This will be explained based on FIGS. 9 and 10.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중 틸팅유닛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틸팅유닛(400)의 이동블록(410)은 피벗유닛(200)과 대향하여 가이드레일(300)의 전면에 설치되며 가이드레일(30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게 된다.Figures 9 and 10 are diagrams showing a tilting unit among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s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plain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moving block 410 of the tilting unit 400 is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guide rail 300 opposite the pivot unit 200 and moves in a straight lin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300. .

이때, 이동블록(410)은 가이드레일(300)과 마주하는 면에 돌출부(430)가 형성되어 레일홈(310)에 삽입되며 돌출부(430)와 인접하여 가동블록(미도시)이 이동블록(410)을 관통한 이동블록고정패스너(440)와 나사체결되어 이동블록고정패스너(440)의 회전 조작에 의해 돌출부(430)와 가동블록이 서로 멀어지는 것에 의해 돌출부(430)와 가동블록이 레일홈(310)을 압박하여 이동블록(410)을 가이드레일(300)에 고정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vable block 410 has a protrusion 430 formed on the surface facing the guide rail 300 and is inserted into the rail groove 310, and a movable block (not shown) adjacent to the protrusion 430 is a movable block ( 410) is screwed to the movable block fixing fastener 440, and by rotating the movable block fixing fastener 440, the protrusion 430 and the movable block move away from each other, causing the protrusion 430 and the movable block to form a rail groove. By pressing 310, the moving block 410 is fixed to the guide rail 300.

그리고, 이동블록(410)에는 회전블록(420)이 축 결합되어 피벗하게 되는데, 이때 회전블록(420)과 이동블록(410)에 토션스프링(450)이 개재되어 회전블록(420)을 배관의 표면과 반대되는 방향을 향하도록 탄성력을 제공하게 된다.In addition, the rotating block 420 is axial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410 and pivots. At this time, a torsion spring 450 is interposed between the rotating block 420 and the moving block 410 to maintain the rotating block 420 in the pipe. It provides an elastic force pointing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surface.

또한, 회전블록(420)은 토션스프링(450)에서 제공되는 탄성력을 단속하는 스토퍼(460)가 마련되는데, 스토퍼(460)는 선단이 회전블록(420)의 외부로 노출되고 기단이 이동블록(410)과 회전블록(420)을 연결하는 축에 걸림되는 록킹 구조로 이루어며, 스토퍼(460)의 선단과 기단 사이가 회전블록(420)에 피벗 체결된다.In addition, the rotation block 420 is provided with a stopper 460 that regulates the elastic force provided by the torsion spring 450. The stopper 460 has a tip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otation block 420 and a base end connected to a moving block ( It consists of a locking structure that is caught on a shaft connecting the rotation block 420 and the stopper 460, and is pivotally fastened to the rotation block 420 between the tip and the base end of the stopper 460.

또한, 스토퍼(460)의 선단은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이동블록(410)에 지지되는 코일스프링(470)이 마련되어 별다른 힘이 스토퍼(460)의 선단에 작용하지 않는 한 스토퍼(460)의 기단이 이동블록(410)과 회전블록(420)을 연결하는 축에 걸림된 상태를 갖게 된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3 and 5, the tip of the stopper 460 is provided with a coil spring 470 supported by the moving block 410 at its lower portion so that no particular force acts on the tip of the stopper 460. The base end of one stopper 460 is caught on the axis connecting the moving block 410 and the rotating block 420.

이러한 틸팅유닛(400)의 구조에 의해 스토퍼(460)의 선단을 가압하게 되면 스토퍼(460)의 기단이 록킹 해제되면서 토션스프링(450)에서 발휘되는 탄성력에 의해 회전블록(420)이 배관의 표면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피벗되면서 회전블록(420)의 전면에 구비되는 지지유닛(500) 및 홀더유닛(600)을 배관의 표면과 멀어지게 하여 검사 준비 상태에서 탐촉자(700)가 배관의 표면과 접촉하지 않도록 하여 탐촉자(700)가 마모 및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When the tip of the stopper 460 is pressed by the structure of the tilting unit 400, the base end of the stopper 460 is unlocked and the rotating block 420 is moved to the surface of the pipe by the elastic force exerted by the torsion spring 450. By pivoting in the opposite direction, the support unit 500 and holder unit 600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rotating block 420 are moved away from the surface of the pipe, so that the probe 700 contacts the surface of the pipe in the preparation state for inspection. By doing so, the probe 700 is prevented from being worn and damaged.

한편, 틸팅유닛(400)의 회전블록(420) 전면에는 회전블록(420)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지지유닛(500)이 마련된다. 지지유닛(500)은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팅유닛(400)의 회전블록(420) 전면에 형성된 돌출레일(421)을 상하로 압박하는 절개부(511)가 형성된 조립블록(510)과 절개부(511)와 대향하여 조립블록(510)의 타단과 피벗 체결되는 회전몸체(521)를 형성하고 상기 회전몸체(521)를 중심으로 양측으로 연장된 암(520) 및 상기 암(520)의 끝단에 마련되고 상기 홀더유닛(600)을 고정하는 체결구(530)로 구성된다.Meanwhile, a support unit 500 that moves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block 420 is provided on the front of the rotation block 420 of the tilting unit 400. As shown in FIGS. 2 to 4, the support unit 500 is an assembly block formed with a cutout 511 that presses upward and downward on the protruding rail 421 formed on the front of the rotation block 420 of the tilting unit 400. An arm 520 forming a rotating body 521 that is pivotally fastened to the other end of the assembly block 510 opposite the 510 and the cutout 511 and extending on both sides around the rotating body 521, and It is provided at the end of the arm 520 and consists of a fastener 530 that secures the holder unit 600.

이렇게, 회전블록(420)의 전면에 형성된 돌출레일(421)에 설치되는 조립블록(510)은 절개부(511)의 간극을 줄이는 것에 의해 조립블록(510)이 회전블록(420)에 고정된다. 이를 위해 조립블록(510)은 절개부(511)를 관통하는 나사산이 형성된 고정피스(540)가 마련되어 고정피스(540)를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절개부(511)가 회전블록(420)의 돌출레일(421)을 압박하여 조립블록(510)이 회전블록(420)에 고정된다.In this way, the assembly block 510 installed on the protruding rail 421 formed on the front of the rotation block 420 is fixed to the rotation block 420 by reducing the gap between the incisions 511. . For this purpose, the assembly block 510 is provided with a fixing piece 540 having a thread penetrating the cut part 511, and by rotating the fixing piece 540, the cut part 511 protrudes from the rotating block 420. The assembly block 510 is fixed to the rotating block 420 by pressing the rail 421.

한편, 지지유닛(500)은 배관의 용접부를 검사하는 탐촉자(700)를 구비하는 홀더유닛(600)이 설치된다. 이를 도 11 및 도 12에 의거하여 설명한다.Meanwhile, the support unit 500 is equipped with a holder unit 600 equipped with a probe 700 to inspect the welded portion of the pipe. This will be explained based on FIGS. 11 and 12.

도 11은 및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중 홀더유닛의 작동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홀더유닛(600)은 탐촉자(700)가 배관의 용접부에 밀착되도록 높낮이가 조절되는 것으로, 홀더유닛(600)은 지지유닛(500)의 암(520)에 체결구(530)에 의해 고정된다.Figures 11 and 12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the operation of the holder unit in 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explain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height of the holder unit 600 is adjusted so that the probe 70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lded part of the pipe, and the holder unit 600 is attached to the arm 520 of the support unit 500 with a fastener ( 530).

이러한 홀더유닛(600)은 수용체(610), 승강체(620), 상기 승강체(620)의 승강을 조절하는 조절노브(630) 및 접촉부(640)로 구성되는데, 수용체(610)는 하부가 개방된 중공관의 형태로 이루어진다.This holder unit 600 is composed of a receptor 610, an elevating body 620, a control knob 630 that controls the elevation of the elevating body 620, and a contact portion 640. The receptor 610 has a lower part. It is made in the form of an open hollow tube.

또한, 승강체(620)는 그 내부에 탐촉자(700)를 구비하며 수용체의 내부에 위치한 상태로 승강하여 탐촉자(700)의 높낮이를 조절하게 된다. 이때, 승강체(620)는 그 내부에 탐촉자(700)가 걸림되는 걸림돌기(621)가 형성되어 승강체(620)가 수용체(610)의 내부에서 승강하게 될 때 승강체(620)와 탐촉자(700)가 일체적으로 이동하게 된다.In addition, the elevating body 620 has a probe 700 therein, and is raised and lowered while located inside the receptor to adjust the height of the probe 700. At this time, the lifting body 620 has a locking protrusion 621 on which the probe 700 is caught, so that when the lifting body 620 is raised and lowered inside the receptor 610, the lifting body 620 and the probe (700) moves integrally.

그리고, 상기와 같이 수용체(610)의 내부에서 승강하도로 마련된 승강체(620)는 조절노브(630)에 의해 승강체(620)의 이동을 제어하게 되는데, 조절노브(630)는 승강체(620)의 상면과 나사체결된 상태로 수용체(610)의 상면을 관통하여 조절노브(630)의 상부가 수용체(610)의 외부로 노출된다.And, as described above, the elevating body 620 provided as an elevating passage inside the receptor 61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elevating body 620 by the control knob 630. The control knob 630 controls the movement of the elevating body 620 ( The upper part of the control knob 630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receptor 610 by penetrating the upper surface of the receptor 610 while screw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620).

이러한 조절노브(630)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회전 조작하는 것에 의해 승강체(620)의 상면이 조절노브(630)의 나사산에 안내되어 승강하게 되며, 수용체(610)의 내부에 위치한 승강체(620)는 그 외측면이 회전방지단면을 형성하여 조절노브(630)가 회전될 때 승강체(620)가 수용체(610)의 내부에서 회전되지 않고 수용체(610)의 내측면을 따라 승강하게 된다.This control knob 630 is rotated by the user as shown in FIG. 12,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elevating body 620 is guided to the screw thread of the control knob 630 and is raised and lowered, and is located inside the receptor 610. The located elevating body 620 has an outer surface that forms a rotation prevention cross-section, so that when the control knob 630 is rotated, the elevating body 620 does not rotate inside the receptor 610, but rather move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eceptor 610. It goes up and down accordingly.

그리고, 수용체(610)의 하부는 접촉부(640)가 마련되는데, 접촉부(640)는 배관의 표면과 접촉하여 탐촉자(700)가 안정적으로 배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할 수 있게 안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lower part of the receptor 610 is provided with a contact part 640, which contacts the surface of the pipe and guides the probe 700 to stably move along the surface of the pipe.

이러한 접촉부(640)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탐촉자(700)가 배관의 용접부를 검사할 때 매질의 역할을 하는 물과 같은 매개체를 공급하는 포트가 마련된다.As shown in FIGS. 11 and 12, the contact portion 640 is provided with a port for supplying a medium such as water that serves as a medium when the probe 700 inspects the welded portion of the pipe.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는 주행체(100)와 홀더유닛(600) 사이에 피벗유닛(200), 틸팅유닛(400), 지지유닛(500)이 마련되어 배관의 구경에 따라서 홀더유닛(600)의 위치를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배관의 크기에 제한을 받지 않고 배관의 용접부에 대한 정밀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The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pivot unit 200, a tilting unit 400, and a support unit 500 between the traveling body 100 and the holder unit 600 to Since the position of the holder unit 600 can be adjusted in various ways depending on the diameter, precise inspection of the welded portion of the pipe can be performed without being limited by the size of the pipe.

또한, 본 발명은 배관의 표면과 탐촉자(700) 간의 거리를 간편하게 조절할 수 있어 배관의 용접부에 탐촉자를 밀착시켜 신뢰도가 우수한 검사를 실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adjust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pipe and the probe 700, so that a highly reliable inspection can be performed by attaching the probe to the welded part of the pipe.

한편, 본 발명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수정 및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고, 그러한 수정 및 변형이 가해진 것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Meanwhil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can be implemented with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uch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should be considered to fall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

예를 들어, 본 발명은 홀더유닛(600)에 마련된 탐촉자(700)의 높이조절이 능동적으로 이루어져 배관의 용접부에 대한 검사를 편리하게 하거나 배관이 표면에 이물질을 탐촉자(700)가 검사하기 전에 제거하여 신뢰도가 우수한 검사 결과를 얻을 수 있다. 이를 도 13 내지 도 16에 의거하여 설명한다.For exampl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height of the probe 700 provided in the holder unit 600 is actively adjusted to conveniently inspect the welded part of the pipe or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pipe before the probe 700 inspects it. As a result, highly reliable test results can be obtained. This will be explained based on FIGS. 13 to 16.

도 13은 수용체(610)와 승강체(620) 사이에 탄성부재(650)가 마련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승강체(620)와 수용체(610) 사이에 탄성 복원력이 발휘되는 탄성부재(650)가 개재된다.Figure 13 shows that an elastic member 650 is provided between the receptor 610 and the elevating body 620, and an elastic member 650 that exerts an elastic restoring force is interposed between the elevating body 620 and the receptor 610. .

이와 같이, 수용체(610)와 승강체(620) 사이에 탄성부재(650)가 개재되면, 탐촉자(700)가 배관의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이동하는 중 배관의 표면 요철에 따라 탐촉자(700)가 탄성부재를 압축하여 탐촉자(700)의 변위를 능동적으로 조절하게 되고, 이에 따라 배관의 표면에 밀착되는 탐촉자(700)의 단부가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In this way, when the elastic member 650 is interposed between the receptor 610 and the lifting body 620, the probe 700 move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ipe, and the probe 700 moves according to the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pipe. By compressing the elastic member, the displacement of the probe 700 is actively controlled, thereby preventing the end of the probe 7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ipe, from being worn or damaged.

도 14는 수용체(610)와 승강체(620) 사이에 액츄레이터(660)가 마련되고, 접촉부(640)에 배관의 표면과 접촉부(640) 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670)가 마련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액츄레이터(660)는 승강체(620)와 수용체(610) 사이에 설치되어 로드가 실린더로부터 신축되는 구조를 갖는다.14 shows that an actuator 660 is provided between the receptor 610 and the lifting body 620, and a sensor 670 is provided at the contact portion 640 to measure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pipe and the bottom of the contact portion 640. This means that the actuator 660 is installed between the elevating body 620 and the receptor 610 and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rod expands and contracts from the cylinder.

또한, 접촉부(640)에 마련되는 센서(670)는 배관의 표면과 접촉부(640) 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고 액츄레이터(660)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In addition, the sensor 670 provided on the contact part 640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pipe and the bottom of the contact part 640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60.

이때, 배관의 표면과 접촉부 저면 사이의 거리를 측정하는 센서(670)는 레이저 센서, 비젼 센서 등이 될 수 있으며, 배관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었거나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센서(670)가 이를 감지하여 요철 또는 이물질의 높이 만큼 탐촉자(700)의 높이를 가변시키도록 액츄레이터(660)의 작동을 제어하여 배관의 표면에 밀착되는 탐촉자(700)의 단부가 마모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sensor 670 that measures the dist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pipe and the bottom of the contact part may be a laser sensor, a vision sensor, etc., and if irregularities ar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pipe or foreign substances are present, the sensor 670 detects this. Thus,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60 is controlled to vary the height of the probe 700 by the height of the unevenness or foreign matter, thereby preventing the end of the probe 700, which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ipe, from being worn or damaged.

도 15는 접촉부(640)에 에어포트(641)가 마련되는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접촉부(640)에 배관의 표면을 향해 가압된 공기를 불어주거나 또는 배관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빨아들이는 에어포트(641)가 마련된다.Figure 15 shows that an air port 641 is provided at the contact part 640. It is an air port that blows pressurized air toward the surface of the pipe or sucks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pipe. (641) is prepared.

이와 같이, 접촉부(640)에 에어포트(641)가 마련되면, 탐촉자(700)가 배관의 용접부를 검사하기 전에 배관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에어포트(641)를 통해 분사되는 공기에 의해 제거하거나 또는 에어포트(641)로 이물질을 빨아들여 제거할 수 있어 탐촉자(700)가 이물질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에 의한 검사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air port 641 is provided at the contact part 640,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pipe are removed by the air sprayed through the air port 641 before the probe 700 inspects the welded part of the pipe. Alternatively, foreign substances can be sucked in and removed through the air port 641, which not only prevents the transducer 700 from colliding with foreign substances and being damaged, but also prevents deterioration of inspection quality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도 16은 접촉부(640)에 브러쉬(642) 및 감지부(643)가 마련된 것을 나타내는 것으로, 접촉부(640)는 배관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회전하는 브러쉬(642) 및 배관 표면의 이물질을 감지하여 브러쉬(642)의 작동을 제어하는 감지부(643)가 마련된다.Figure 16 shows that a brush 642 and a detection unit 643 are provided in the contact part 640. The contact part 640 detects the brush 642 that rotates while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ipe and foreign substances on the surface of the pipe. Thus, a detection unit 643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brush 642 is provided.

이와 같이, 접촉부(640)에 브러쉬(642) 및 감지부(643)가 마련되면, 탐촉자(700)가 배관이 용접부를 검사하기 전에 배관의 표면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감지부(643)가 감지하고, 이에 따라 브러쉬(642)를 작동시켜 이물질을 브러쉬(642)가 제거하게 되어 탐촉자(700)가 이물질에 충돌하여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물질에 의한 검사 품질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In this way, when the brush 642 and the detection unit 643 are provided at the contact part 640, the detection unit 643 detects foreign substances present on the surface of the pipe before the probe 700 inspects the welded part of the pipe. , Accordingly, the brush 642 is operated to remove foreign substances, which not only prevents the transducer 700 from colliding with foreign substances and being damaged, but also prevents deterioration of inspection quality caused by foreign substances.

한편, 상기와 같이 홀더유닛(600)에 마련되는 접촉부(640)는 주행체(100)의 이동에 따라 홀더유닛(600)이 이동하게 될 때 홀더유닛(600)이 떨림없이 안정적으로 이동할 수 있게 롤러(645)가 마련된다.Meanwhile, the contact portion 640 provided on the holder unit 600 as described above allows the holder unit 600 to move stably without shaking when the holder unit 600 moves according to the movement of the traveling body 100. A roller 645 is provided.

이러한 롤러(645)는 배관의 표면과 마주하는 접촉부(640)의 저면에 설치되어 홀더유닛(600)이 배관의 표면을 따라 이동하게 될 때 롤러(645)가 배관의 표면과 접촉한 상태로 구름운동하여 홀더유닛(600)의 이동을 안정적으로 할 수 있고 이로부터 탐촉자(700)가 흔들림 없이 배관의 용접부를 정밀하게 검사할 수 있다.This roller 645 is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contact portion 640 facing the surface of the pipe, so that when the holder unit 600 moves along the surface of the pipe, the roller 645 rolls in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pipe. By moving, the movement of the holder unit 600 can be stabilized, and from this, the transducer 700 can precisely inspect the welded part of the pipe without shaking.

100 : 주행체 110 : 주행바퀴
200 : 피벗유닛 210 : 베이스 플레이트
220 : 돌출 플레이트 221 : 클러치
230 : 클러치블록 231 : 라이너
240 : 가동핀 250 : 고정레버
260 : 레일고정부 261 : 고정편
262 : 가이드홈 236 : 이동편
264 : 레일고정패스너 300 : 가이드레일
310 : 레일홈 400 : 틸팅유닛
410 : 이동블록 420 : 회전블록
430 : 돌출부 440 : 이동블록고정패스너
450 : 토션스프링 460 : 스토퍼
470 : 코일스프링 500 : 지지유닛
510 : 조립블록 511 : 절개부
520 : 암 521 : 회전몸체
530 : 체결구 540 : 고정피스
600 : 홀더유닛 610 : 수용체
620 : 승강체 621 : 걸림돌기
630 : 조절노브 640 : 접촉부
641 : 에어포트 642 : 브러쉬
643 : 감지부 650 : 탄성부재
660 : 액츄레이터 670 : 센서부
700 : 탐촉자
100: traveling body 110: traveling wheel
200: pivot unit 210: base plate
220: protruding plate 221: clutch
230: Clutch block 231: Liner
240: movable pin 250: fixed lever
260: Rail fixing part 261: Fixing piece
262: Guide Home 236: Moving
264: Rail fixing fastener 300: Guide rail
310: Rail groove 400: Tilting unit
410: moving block 420: rotating block
430: Protrusion 440: Moving block fixing fastener
450: torsion spring 460: stopper
470: Coil spring 500: Support unit
510: Assembly block 511: Cut section
520: Arm 521: Rotating body
530: Fastener 540: Fixing piece
600: Holder unit 610: Receptor
620: Elevating body 621: Locking protrusion
630: Control knob 640: Contact part
641: Airport 642: Brush
643: Sensing unit 650: Elastic member
660: Actuator 670: Sensor unit
700: probe

Claims (7)

배관의 표면상에 이동 가능하게 안착되는 주행체;
상기 주행체의 전면에 설치되어 피벗하는 피벗유닛;
상기 피벗유닛에 설치되는 가이드레일;
상기 가이드레일에 설치되어 가이드레일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이동블록과 상기 이동블록과 축 결합되어 피벗하는 회전블록으로 구성된 틸팅유닛;
상기 틸팅유닛의 회전블록 전방에 설치되어 상기 회전블록의 길이방향으로 직선이동하는 지지유닛;
상기 지지유닛에 설치되며 탐촉자가 구비되어 상기 탐촉자가 배관의 용접부에 밀착되도록 높낮이가 조절되는 홀더유닛; 및
상기 주행체에 설치되고 상기 탐촉자에 의해 불량이 탐지된 배관의 표면에 레이저 빔을 조사하여 그 표면을 식각하는 마킹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가공이 가능한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A traveling body movably seated on the surface of the pipe;
A pivot unit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and pivoting;
A guide rail installed on the pivot unit;
A tilting unit composed of a moving block installed on the guide rail and moving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uide rail, and a rotating block pivoting by being axial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a support unit installed in front of the rotation block of the tilting unit and moving linearly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otation block;
A holder unit installed in the support unit and equipped with a probe whose height is adjusted so that the probe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elded portion of the pipe; and
A marking unit installed on the traveling body and irradiating a laser beam to the surface of the pipe in which defects are detected by the probe to etch the surface.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capable of lining processing, comprising a.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킹유닛은
상기 주행체의 내부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을 배관의 표면에 조사하여 식각하는 레이저 조사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가공이 가능한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In claim 1,
The marking unit is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capable of lining processing, comprising a laser irradiator installed inside the traveling body to irradiate a laser beam to the surface of the pipe and etch it.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킹유닛은
상기 레이저 조사기의 전방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이 배관의 표면을 식각하기 전에 상기 배관의 표면을 닦아 습기를 제거하는 클리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가공이 가능한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In claim 2,
The marking unit is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capable of lining processing, comprising a cleaner installed in front of the laser irradiator to remove moisture by wiping the surface of the pipe before the laser beam etches the surface of the pip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마킹유닛은
상기 레이저 조사기의 후방에 설치되어 레이저 빔에 의해 배관의 표면이 식각될 때 발생하는 흄을 빨아들여 포집하는 포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가공이 가능한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In claim 2,
The marking unit is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capable of lining processing, comprising a collection unit installed behind the laser irradiator to suck and collect fume generated when the surface of the pipe is etched by a laser beam.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벗유닛은
상기 주행체의 전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플레이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의 양측면에 마련되고 상기 주행체의 전방으로 돌출되며 내측면에 클러치가 형성된 돌출 플레이트;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클러치와 동심축으로 연결되어 피벗하며 상기 동심축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에 따라 상기 클러치와 접촉하여 피벗 각도가 단속되는 클러치블록; 및
상기 클러치블록에 마련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에 형성된 레일홈을 가압하여 가이드레일의 이동을 단속하는 레일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가공이 가능한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In claim 1,
The pivot unit is
A base plate fixed to the front of the traveling body;
a protruding plat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ase plate, protruding forward of the traveling body, and having a clutch formed on an inner side;
a clutch block that is concentrically connected to the clutch of the protruding plate and pivots, and whose pivot angle is interrupted by contacting the clutch as it moves in the axial direction of the concentric shaft; and
A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pipes capable of lining processing, comprising a rail fixing unit provided on the clutch block and controlling the movement of the guide rail by pressing a rail groove formed on the guide rail.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레일고정부는
상기 클러치블록의 전면에 형성되어 상기 가이드레일의 레일홈에 위치하는 고정편;
상기 고정편과 인접하여 상기 클러치블록에 형성되는 가이드홈;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하여 상기 고정편으로부터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는 이동을 하는 이동편; 및
상기 클러치블록을 관통하여 상기 가이드홈에 위치한 이동편과 나사체결되어 회전 조작에 의해 상기 이동편을 이동시키는 레일고정패스너;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가공이 가능한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In claim 5,
The rail fixing part is
A fixing piece formed on the front of the clutch block and located in the rail groove of the guide rail;
a guide groove formed in the clutch block adjacent to the fixing piece;
A moving piece located in the guide groove and moving closer to or farther away from the fixed piece; and
A rail fixing fastener that penetrates the clutch block and is screwed to the movable piece located in the guide groove to move the movable piece by rotation.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피벗유닛은
선단이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외측으로 노출되며 기단이 상기 돌출 플레이트를 관통하여 상기 클러치블록과 연결되는 가동핀; 및
상기 가동핀의 선단에 피벗되게 체결되어 피벗하는 것에 따라 상기 클러치블록을 상기 돌출 플레이트의 내측면에 형성된 클러치에 밀착시키는 고정레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라이닝 가공이 가능한 상수도관용 비파괴 검사장치.

In claim 5,
The pivot unit is
a movable pin whose tip is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protruding plate and whose proximal end penetrates the protruding plate and is connected to the clutch block; and
A fixing lever pivotally fastened to the tip of the movable pin to bring the clutch block into close contact with the clutch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rotruding plate as it pivots.

KR1020220178507A 2022-12-19 2022-12-19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 capable of lining process Pending KR2024009614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507A KR20240096140A (en) 2022-12-19 2022-12-19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 capable of lining proc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78507A KR20240096140A (en) 2022-12-19 2022-12-19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 capable of lining proces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96140A true KR20240096140A (en) 2024-06-26

Family

ID=91689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78507A Pending KR20240096140A (en) 2022-12-19 2022-12-19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 capable of lining proces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96140A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875516A (en) * 2024-08-06 2024-11-01 铭镭激光智能装备(河源)有限公司 An intelligent laser tube cutting machine with adaptive adjustm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496A (en) 2002-09-04 2004-03-10 정송옥 Water works pipe rebirth epoxy resin lining before priming method of construction and composition of epoxy resin pai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1496A (en) 2002-09-04 2004-03-10 정송옥 Water works pipe rebirth epoxy resin lining before priming method of construction and composition of epoxy resin pain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8875516A (en) * 2024-08-06 2024-11-01 铭镭激光智能装备(河源)有限公司 An intelligent laser tube cutting machine with adaptive adjust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7454B1 (en) Automatic ultrasonic testing device
KR20240096140A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 capable of lining process
KR100485431B1 (en) Apparatus for acoustic flaw detection in a moving strip
JP6573937B2 (en) Rail flaw detector
CA116263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ipe inspection
JP2007285772A (en) Pipe inspection method, and pipe inspection device used therefor
JPH09264877A (en) Automated ultrasonic flaw detecting equipment
KR102334136B1 (en) Rail-type automatic ultrasonic testing device
KR102013918B1 (en) Moving test apparatus and liner plate test system
US5363702A (en) Device for inspecting the rim of a railway wheel
CN112557508A (en) Pipe end flaw detection system based on phased array
KR101783740B1 (en) Detection device for welding flaw inside of pipe having overlay welding using liquid penetrant test
KR20250008564A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
JP4677911B2 (en) Boiler heat transfer tube thickness inspection apparatus and method
JPH10288610A (en) Surface traveling flaw detecting device of large steel structure
CN211453481U (en) Stainless steel pipeline TOFD detection scanning track
KR101599541B1 (en) Apparatus for assisting nondestructive inspection
CN220381057U (en) Work piece ultrasonic wave nondestructive test frock
KR102477290B1 (en) Non-destructive inspection device for water supply pipe
JP3591000B2 (en) Nozzle ultrasonic flaw detector
KR200353038Y1 (en) Apparatus for inspecting a tube using supersonic wave
JP2812819B2 (en) Ultrasonic plate thickness measuring device
JP2000249783A (en) Position detection method of in-core pipe welding part and device thereof
JP3925470B2 (en) Rehabilitation tube inspection device and rehabilitation tube inspection system using the device
KR102164938B1 (en) Method for controlling containment liner plate test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liner plat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19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1219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213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