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84915A - 잡기 보조용 글러브 - Google Patents

잡기 보조용 글러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84915A
KR20240084915A KR1020220169755A KR20220169755A KR20240084915A KR 20240084915 A KR20240084915 A KR 20240084915A KR 1020220169755 A KR1020220169755 A KR 1020220169755A KR 20220169755 A KR20220169755 A KR 20220169755A KR 20240084915 A KR20240084915 A KR 202400849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rizontal
glove
ring
user
vertica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697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아
김지민
김온유
배재혁
최묘정
황현기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filed Critical 대한민국(국립재활원장)
Priority to KR10202201697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84915A/ko
Publication of KR202400849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84915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74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upper limbs
    • A61H1/0285Hand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37Retaining means for fastening an article to the glove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034Retaining means
    • A41D19/0041Retaining means for connecting the glove to the garment or the arm of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9/00Gloves
    • A41D19/01Gloves with undivided covering for all four fingers, i.e. mitte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35Hand or arm, e.g. handle
    • A61H2201/1638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6Arms
    • A61H2205/065Ha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lo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잡기 보조용 글러브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일측의 바닥부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주머니가 구성되고, 다른 일측은 사용자의 손등 및 손목을 덮도록 형성된 글러브본체; 상기 글러브본체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어, 글러브본체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하는 손목띠; 및 상기 글러브본체의 일측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네 개의 손가락이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띠;를 포함하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잡기 보조용 글러브{Grip assist glove}
본 발명은 잡기 보조용 글러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손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마비되어 물건을 잡는 동작에 어려움이 많은 사람들의 잡기동작을 도와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손의 잡기동작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잡기보조패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잡은 물건이 미끄러지거나 놓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잡기 보조용 글러브에 관한 것이다.
최근 고령화 및 노령화 사회에 접어들면서 노인성질환이 증가하는 추세이며, 또한 교통사고 등으로 신경계가 손상되는 환자가 증가하고 있다.
이로 인해, 뇌졸중과 더불어 외상성 뇌손상, 뇌성마비 등과 같은 뇌병변을 입거나, 척수 손상에 의한 신경계 손상을 입는 등 다양한 질병으로 인하여 신체적 행동능력이 저하되는 환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이에, 이러한 환자들의 재활을 돕거나 움직임을 보조해주는 기구나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예를 들어, 거동이 불편한노인이나 SCI, 뇌졸중, 파킨슨병, 루게릭, 다발성 경화증, 뇌성마비 등의 환자들의 경우, 손이나 손가락의 움직임이 불편하여, 컵을 들고 물을 마시는 등과 같이 일상에서 필요한 동작들을 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착용하는 형태의 보조로봇 등을 이용하여 손이나 손가락의 움직임을 보조해주는 방법이 있기는 하지만, 이러한 장비들은 매우 고가의 장비들이고 일정수준의 전문성이 요구되며, 사용할 수 있는 경우도 매우 특별한 경우에 제한적으로 사용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노인이나 환자들은 이러한 장비를 이용하는데 제약이 많을 수 밖에 없다.
또한, 장갑 형태의 착용형 로봇은 외골격(Exoskeleton) 구조를 이용하여 각 손가락의 각 관절마다 그 관절을 움직이는 구동부(Actuator)를 구비하고, 그 관절의 움직이는 변위 또는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를 구비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이 손가락의 움직이는 부분에 구동부 또는 센서가 설치되면 착용형 로봇의 부피가 매우 커지고 무게도 무거워지므로, 사용자가 착용하거나 사용하는데 많은 불편함이 있으며, 복잡한 구조로 인해 제작 비용도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42968호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손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마비되어 물건을 잡는 동작에 어려움이 많은 사람들의 잡기동작을 도와줄 수 있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손의 잡기동작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잡기보조패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잡은 물건이 미끄러지거나 놓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한 잡기 보조용 글러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누구나 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방법 또한 매우 쉬울 뿐만 아니라, 한손으로도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글러브는, 일측의 바닥부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주머니가 구성되고, 다른 일측은 사용자의 손등 및 손목을 덮도록 형성된 글러브본체; 상기 글러브본체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어, 글러브본체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하는 손목띠; 및 상기 글러브본체의 일측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네 개의 손가락이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띠;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손가락주머니는, 외측면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표면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가락주머니는, 잡기보조패드가 탈부착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잡기보조패드는, 미끄럼방지용 패드 및 메모리폼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러브본체는, 다른 일측에서 사용자의 손목부분을 일측회전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글러브본체는, 일측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손목에서 손등을 거쳐 손가락까지 덮도록 형성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다른 일측에서 일측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손목띠는, 상기 글러브본체 중 다른 일측의 등부에서 수평부를 따라 일측수평방향으로 부착된 수평고정부; 상기 수평고정부의 일측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연장부는, 상기 수평고정부의 다른 일측수평방향 종단부에 걸려진 후, 수평고정부의 일측수평방향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고정부의 다른 일측수평방향 종단부에는 'L'고리가 구성되고, 상기 수평연장부의 일측수평방향 종단부에는 'D'고리가 구성되며, 상기 수평연장부는, 상기 'D'고리가 'L'고리를 관통하도록 한 후, 'L'고리가 당겨지도록 수평고정부의 일측수평방향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띠는, 상기 글러브본체 중 다른 일측의 등부에서 수직부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부착된 수직고정부; 상기 수직고정부의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장부는, 상기 손목띠가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된 상태에서, 글러브본체의 수평부에 걸려진 후, 수직고정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평부에는 'L'고리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연장부의 일측방향 종단부에는 'D'고리가 구성되며, 상기 수직연장부는, 상기 'D'고리가 'L'고리를 관통하도록 한 후, 'L'고리가 당겨지도록 수직고정부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수단에 의해, 본 발명은 손의 기능이 약화되거나 마비되어 물건을 잡는 동작에 어려움이 많은 사람들의 잡기동작을 도와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손의 잡기동작을 고정하여 지지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잡기보조패드를 사용하여 사용자가 잡은 물건이 미끄러지거나 놓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하여 누구나 쉽게 구매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사용방법 또한 매우 쉬울 뿐만 아니라, 한손으로도 쉽게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문적인 지식이 없더라도 쉽게 사용이 가능하므로, 전자기기를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노인들도 쉽게 사용할 수 있으며,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다양한 기능성 잡기보조패드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다양한 형태와 제질의 제품들을 잡고 사용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보조기구 분야, 특히 손 착용형 보조기구 및 장치 분야는 물론, 재활용 기구 및 장치 분야 등을 포함하여, 유사 내지 연관된 분야에서 신뢰성 및 경쟁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잡기 보조용 글러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잡기보조패드를 구성한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4는 도 1을 착용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사용상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잡기 보조용 글러브에 대한 예는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잡기 보조용 글러브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배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잡기보조패드를 구성한 것을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잡기 보조용 글러브(A)는 글러브본체(100), 손목띠(200) 및 고정띠(300)를 포함한다.
글러브본체(100)는 사용자의 손등부분을 덮도록 형성된 것으로, 손목부터 시작하여 손등, 그리고 손가락부분까지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글러브본체(100)의 일측(도 1에서 상부)에는 사용자의 손바닥 방향인 바닥부(도 1에서 보이는 면)에 손가락주머니(130)가 구성되며, 이러한 손가락주머니(130)는 착용시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검지(집게)손가락부터 새끼손가락까지의 네 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부분이다.
그리고, 글러브본체(100)의 다른 일측(도 1에서 하부)은 수평방향(도 1에서 오른쪽방향)으로 확장되어, 사용자의 손목부분을 일측회전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손목부분을 일측회전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하면, 사용자가 한 손을 잡기 보조용 글러브(A)에 끼운상태에서, 다른 한 손으로 해당 잡기 보조용 글러브(A)의 손목부분을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손목띠(200)는 글러브본체(100)의 다른 일측(도 1에서 하부)에 구성되는 것으로, 글러브본체(100)의 다른 일측에서 수평방향(도 1에서 우측방향)으로 형성되며, 착용시 사용자의 손목부분을 감싸고 있는 글러브본체(100)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고정띠(300)는 글러브본체(100)의 일측에 구성되는 것으로, 착용시 손가락주머니(130)가 접히도록 하여 사용자의 네 개의 손가락이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여 지지하게 된다.
도 1에서, 손가락주머니(130)는 외측면(도 1에서 보이는 면)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표면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손가락주머니(130)를 표면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구성하게 되면, 착용시 사용자가 잡은 물건이 미끄러져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무거운 물건을 놓쳐서 다리나 발 등이 다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손으로 잡아서 사용하는 물건들은 그 크기나 형상, 재질, 무게 등이 다양하기 때문에, 각 물건에 맞도록 미끄럼방지방법을 적용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에, 본 발명의 손가락주머니(130)는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다양한 물건에 최적화된 잡기보조패드(400)의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벨크로테이프를 이용하여 잡기보조패드(400)를 손가락주머니(130)의 외측면에 붙이거나 제거할 수 있다.
그리고, 잡기보조패드(400)는 도 5의 (a)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적 얇거나 가벼운 물건(수저)를 안정적으로 잡기 위하여 메모리폼으로 형성된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잡기보조패드(400)는 도 5의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굵거나 무거운 물건을 안정적으로 잡기 위하여, 미끄럼방지용 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잡기 보조용 글러브(A)의 각 구성과 결합관계, 그리고 착용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글러브본체(100)는 도 1 및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일측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손목에서 손등을 거쳐 손가락까지 덮도록 형성된 수직부(110)와, 수직부(110)의 다른 일측에서 일측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2는 도 1의 배면이므로,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그 방향이 반대방향임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도 2를 기준으로 상부방향이 일측방향, 하부방향이 다른 일측방향이고, 왼쪽방향이 일측수평방향, 오른쪽방향이 다른 일측수평방향이며, 도 1을 기준으로는 왼쪽방향이 다른 일측수평방향, 오른쪽방향이 일측수평방향이다.
도 2에서, 손목띠(200)는 글러브본체(100) 중 다른 일측의 등부(도 2에서 보이는 면)에서 수평부(120)를 따라 일측수평방향으로 부착된 수평고정부(210)와, 수평고정부(210)의 일측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연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수평연장부(220)는 착용시, 수평고정부(210)의 다른 일측수평방향 종단부에 걸려진 후, 방향이 180°로 전환되면서 수평고정부(210)의 일측수평방향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고정부(210)의 다른 일측수평방향 종단부에는 'L'고리(211)가 구성될 수 있고, 수평연장부(220)의 일측수평방향 종단부에는 'D'고리(221)가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잡기 보조용 글러브(A)를 착용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도 4의 상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먼저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편 상태에서 검지부터 새끼손가락까지 네 개의 손가락을 손가락주머니(130)에 넣는다.
그리고, 글러브본체(100)의 수평부(120)가 손목을 감싸도록 한 후, 수평연장부(220)의 'D'고리(221)를 'L'고리(211)에 관통시켜 수평연장부(220)가 'L'고리(211)를 통과하도록 한다.
이후, 사용자는 'L'고리(211)를 통과 수평연장부(220)를, 'L'고리(211)에 걸려지도록 하여 그 방향을 180°로 전환한 후, 수평연장부(220)를 당겨 'L'고리(211)가 당겨지도록 한 상태에서, 수평연장부(220)를 수평고정부(210)의 일측수평방향에 부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는 도 4의 중앙에 나타난 바와 같이, 손가락주머니(130)의 외측면에 원하는 기능의 패드를 부착할 수 있다.
도 2에서, 고정띠(300)는 글러브본체(100) 중 다른 일측의 등부에서 수직부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부착된 수직고정부(310)와, 수직고정부(310)의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연장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수직연장부(320)는 손목띠(200)가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된 상태에서, 글러브본체(100)의 수평부(120)에 걸려진 후, 수직고정부(310)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평부(120)에는 'L'고리(121)가 구성될 수 있고, 수직연장부(320)의 일측방향 종단부에는 'D'고리(321)가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앞서 설명한 잡기 보조용 글러브(A)를 착용하는 과정을 계속 살펴보면, 도 4의 하부에 나타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수직연장부(320)의 'D'고리(321)가, 수평부(120)의 'L'고리(121)를 관통하도록 하여 수직연장부(320)를 수평부(120)의 'L'고리(121)에 통과시킨 후, 수직연장부(320)를 반대방향으로 당겨서 수평부(120)의 'L'고리(121)가 당겨지도록 하여, 수직연장부(320)를 수직고정부(310)에 부착하여 고정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을 살펴보면, 본 발명의 잡기 보조용 글러브(A)는, 사용자가 한 손 만으로 쉽게 착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최적화된 구조와 결합방식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한 잡기 보조용 글러브에 대하여 설명하였다.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A : 잡기 보조용 글러브
100 : 글러브본체 110 : 수직부
120 : 수평부 130 : 소가락주머니
200 : 손목띠 210 : 수평고정부
220 : 수평연장부
300 : 고정띠 310 : 수직고정부
320 : 수직연장부
400 : 잡기보조패드

Claims (10)

  1. 일측의 바닥부에는 사용자의 엄지손가락을 제외한 네 개의 손가락이 삽입되는 손가락주머니가 구성되고, 다른 일측은 사용자의 손등 및 손목을 덮도록 형성된 글러브본체;
    상기 글러브본체의 다른 일측에 구성되어, 글러브본체를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하는 손목띠; 및
    상기 글러브본체의 일측에 구성되어, 사용자의 네 개의 손가락이 구부린 상태를 유지하도록 고정하는 고정띠;를 포함하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주머니는,
    외측면이 미끄러짐을 방지하도록 표면마찰력이 높은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손가락주머니는,
    잡기보조패드가 탈부착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잡기보조패드는,
    미끄럼방지용 패드 및 메모리폼 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러브본체는,
    다른 일측에서 사용자의 손목부분을 일측회전방향으로 감싸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글러브본체는,
    일측방향을 따라 사용자의 손목에서 손등을 거쳐 손가락까지 덮도록 형성된 수직부; 및
    상기 수직부의 다른 일측에서 일측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손목띠는,
    상기 글러브본체 중 다른 일측의 등부에서 수평부를 따라 일측수평방향으로 부착된 수평고정부;
    상기 수평고정부의 일측수평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평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평연장부는,
    상기 수평고정부의 다른 일측수평방향 종단부에 걸려진 후, 수평고정부의 일측수평방향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고정부의 다른 일측수평방향 종단부에는 'L'고리가 구성되고,
    상기 수평연장부의 일측수평방향 종단부에는 'D'고리가 구성되며,
    상기 수평연장부는,
    상기 'D'고리가 'L'고리를 관통하도록 한 후, 'L'고리가 당겨지도록 수평고정부의 일측수평방향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띠는,
    상기 글러브본체 중 다른 일측의 등부에서 수직부를 따라 일측방향으로 부착된 수직고정부;
    상기 수직고정부의 일측방향으로 연장형성된 수직연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수직연장부는,
    상기 손목띠가 사용자의 손목에 고정된 상태에서, 글러브본체의 수평부에 걸려진 후, 수직고정부에 탈부착가능하도록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부에는 'L'고리가 구성되고,
    상기 수직연장부의 일측방향 종단부에는 'D'고리가 구성되며,
    상기 수직연장부는,
    상기 'D'고리가 'L'고리를 관통하도록 한 후, 'L'고리가 당겨지도록 수직고정부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잡기 보조용 글러브.
KR1020220169755A 2022-12-07 2022-12-07 잡기 보조용 글러브 Pending KR202400849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755A KR20240084915A (ko) 2022-12-07 2022-12-07 잡기 보조용 글러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69755A KR20240084915A (ko) 2022-12-07 2022-12-07 잡기 보조용 글러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84915A true KR20240084915A (ko) 2024-06-14

Family

ID=914820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69755A Pending KR20240084915A (ko) 2022-12-07 2022-12-07 잡기 보조용 글러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849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968B1 (ko) 2017-09-25 2019-11-11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2968B1 (ko) 2017-09-25 2019-11-11 주식회사 네오펙트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2968B1 (ko) 손가락 움직임 보조장치
US8870725B2 (en) Grip band
US20230320885A1 (en) Self-Donning Powered Orthotic Device
WO2001080802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ssisting a child to walk
KR101516758B1 (ko) 상지 근력 보조 장치
KR102207991B1 (ko) 시트형 근력 보조 슈트
KR20180057418A (ko) 착용형 손 로봇
KR20190044335A (ko) 자동 손동작 보조기구
US6966470B1 (en) Carrying bag assembly
US6325237B1 (en) Device for assisting a baby and those with disabilities in holding a bottle
US20130112577A1 (en) Gripping aid
KR20190067972A (ko) 팔 근력 보조장치
KR20240084915A (ko) 잡기 보조용 글러브
CN108057208A (zh) 一种手部肌力锻炼装置
JP2010201105A (ja) 体躯装着型補助器具
CN108568062B (zh) 手部动态辅具
JP3172364U (ja)
CN204617276U (zh) 一种拐杖
JP2009046791A (ja) 必要な力を軽減するための介護用手袋
KR20130140982A (ko) 자석을 이용한 도구 그립 보조 장갑
JP2010070364A (ja) 腰への荷重軽減装置
CN207941130U (zh) 一种手部肌力锻炼装置
JP2009062649A (ja) 手保護具及び指保護具
JP3152073U (ja) 片手が不自由な人のための着替え用補助具
JP3137833U (ja) 把持補助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2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27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