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76510A - Child anchor apparaus for vehicle - Google Patents

Child anchor apparaus for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6510A
KR20240076510A KR1020220157342A KR20220157342A KR20240076510A KR 20240076510 A KR20240076510 A KR 20240076510A KR 1020220157342 A KR1020220157342 A KR 1020220157342A KR 20220157342 A KR20220157342 A KR 20220157342A KR 20240076510 A KR20240076510 A KR 202400765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seat
child
link
bracket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5734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상휘
남가배
김길주
홍성학
성용재
박동철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주식회사다스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57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76510A/en
Publication of KR20240076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6510A/en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2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for children
    • B60N2/28Seats readily mountable on, and dismountable from, existing seats or other parts of the vehicle
    • B60N2/2887Fixation to a transversal anchorage bar, e.g. isofi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량 시트를 풀 플랫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리클라이너(33)를 작동시킬 때에 리클라이너(33)의 작동과 연동해서 차일드 앵커(20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시트내에 숨김상태로 변경되며, 이를 통해 풀 플랫 상태의 시트에서 휴식을 취하는 승객과 차일드 앵커(20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어서 휴식을 취하는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When the recliner 33 is operated to change the vehicle seat to a full flat state, the child anchor 200 moves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33. It is changed to a hidden state within the seat, and through this, it is possible to prevent contact between the passenger resting on the seat in a fully flat state and the child anchor 200, thereby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resting.

Figure P1020220157342
Figure P1020220157342

Description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CHILD ANCHOR APPARAUS FOR VEHICLE}Child anchor device for vehicle {CHILD ANCHOR APPARA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 시트에 구비된 리클라이너의 작동과 연동해서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to a technology related to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configured to be height-adjustable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a recliner provided on a vehicle seat.

차일드 시트(child seat)는 차량의 시트에 추가로 설치되는 어린이용 시트로서, 일부 국가에서는 차일드 시트의 사용을 법규로서 규정하고 있다.A child seat is a child seat that is installed additionally to a vehicle seat, and in some countries, the use of child seats is regulated by law.

보통 차일드 시트는 차량의 리어시트에 설치되며, 이를 위해 리어시트에는 차일드 시트를 고정할 수 있는 차일드 앵커가 구비되고, 차일드 앵커에 차일드 시트의 래치부를 체결함으로써 차량 시트에 차일드 시트를 고정하게 된다.Usually, a child seat is installed on the rear seat of a vehicle. For this purpose, the rear seat is equipped with a child anchor that can fix the child seat, and the child seat is fixed to the vehicle seat by fastening the latch portion of the child seat to the child anchor.

한편, 레저용 차량(RV, SUV, MPV 등)의 리어시트는 승객의 편안한 휴식을 위해 시트백을 후방으로 완전히 젖혀서 시트쿠션과 편평한 풀 플랫 상태로 변경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리어시트를 침대로 활용할 수도 있다.Meanwhile, the rear seat of a leisure vehicle (RV, SUV, MPV, etc.) can be changed to a fully flat state with a seat cushion by fully tilting the seat back to the rear for comfortable rest for passengers. This allows the rear seat to be used as a bed. there is.

이와 같이 리어시트를 풀 플랫 상태로 변경한 경우에도 종래의 차일드 앵커는 시트의 위쪽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어서 휴식을 취하는 승객과의 접촉으로 승객이 불편함을 느끼는 단점이 있고, 심한 경우에는 차일드 앵커로 인해 부상을 당하는 문제도 발생하게 있다.In this way, even when the rear seat is changed to a fully flat state, the conventional child anchor remains protruding upward from the seat, which has the disadvantage of causing discomfort to the passenger due to contact with the resting passenger. In severe cases, There are also problems of injury due to child anchors.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The matters described as background technology above are only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understanding of the background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hould not be taken as recognition that they correspond to prior art alread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KR 10-2007-0031491AKR 10-2007-0031491A

본 발명은, 차량 시트에 구비된 리클라이너의 작동과 연동해서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로서, 차량 시트를 풀 플랫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리클라이너를 작동시킬 때에 리클라이너의 작동과 연동해서 차일드 앵커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시트내에 숨김상태로 변경되며, 이를 통해 풀 플랫 상태의 리어시트에서 휴식을 취하는 승객과의 접촉을 방지함으로서 승객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configured to adjust the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a recliner provided on a vehicle seat. When the recliner is operated to change the vehicle seat to a full flat state, the recliner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the child anchor moves downward and changes to a hidden state within the seat, thereby improving passenger convenience by preventing contact with passengers resting on the rear seat in a fully flat state. It has a purpose.

상기한 바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는, 리클라이너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일드 앵커가 결합된 앵커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과 앵커브라켓을 연결하고, 앵커브라켓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며, 앵커브라켓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링크모듈; 및 상기 링크모듈과 차량 시트에 구비된 리클라이너를 연결해서 리클라이너의 작동시 링크모듈을 작동시키는 작동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including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recliner frame; An anchor bracket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in the fixing bracket and coupled with a child anchor; a link module that connects the fixing bracket and the anchor bracket,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anchor bracket,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anchor bracket; And an operating cable that connects the link module and the recliner provided on the vehicle seat to operate the link module when the recliner is operated.

상기 리클라이너프레임은 시트의 좌우에 위치한 리클라이너를 연결하는 프레임으로 리클라이너의 작동에 의한 시트백의 회전에 상관없이 위치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recliner frame is a frame that connects the recliner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its position is fixed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seat back due to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상기 고정브라켓과 앵커브라켓 및 링크모듈의 조립체는 2개로 구성되어서 리클라이너프레임의 좌우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조립체는 1개의 작동케이블로 연결되어서 시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 리클라이너 중 어느 한 개만 작동하더라도 작동케이블에 의해 2개의 조립체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ssembly of the fixing bracket, anchor bracket, and link module consists of two pieces and is spaced apar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liner frame; The two assemblies are connected by one operating cable, so that even if only one of the recliners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eat is operated, the two assemblies are operated simultaneously by the operating cable.

상기 링크모듈은 고정브라켓을 관통해서 앵커브라켓과 결합되고, 앵커브라켓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k module is coupled to the anchor bracket through the fixing bracke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bolts that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anchor bracket.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고정볼트가 관통하고, 앵커브라켓의 상하방향 이동시 고정볼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fixing bracket has a fixing bolt passing through it, and a guide hole that guides the movement of the fixing bolt when the anchor bracke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상기 링크모듈은 고정브라켓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제1링크핀; 상기 제1링크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1링크; 상기 고정볼트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제2링크의 타단 및 작동케이블의 단부를 동시에 관통해서 푸시너트와 결합된 제2링크핀; 및 상기 제1링크핀에 끼워져서 일단은 제1링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핀에 연결된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ink module includes a first link pin penetrating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a first link whose e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link pin; a second link whose e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bolt; a second link pin that penetrates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the end of the operating cable at the same time and is coupled to a push nut; and a torsion spring inserted into the first link pin so that one end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pin.

상기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백의 후방 회전을 위해 리클라이너가 일방향으로 회전 작동할 때에 작동케이블이 당겨지고; 상기 작동케이블에 의해 제2링크핀이 하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1링크는 제1링크핀을 중심으로 제2링크는 고정볼트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링크핀의 하측방향 당김시 고정볼트가 가이드홀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함에 의해 앵커브라켓 및 차일드 앵커는 고정브라켓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perating cable is pulled when the recliner rotates in one direction to rotate the seatback constituting the seat backward; As the second link pin is pulled downward by the operating cable, the first link rotates in opposite directions around the first link pin and the second link rotates around the fixing bolt; When the second link pin is pulled downward, the fixing bolt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 hole, so that the anchor bracket and the child anchor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상기 앵커브라켓 및 차일드 앵커는 작동케이블의 당김력이 해제될 때까지 고정브라켓의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계속 유지되고, 차일드 앵커는 시트속에 숨겨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nchor bracket and child anchor remain moved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until the pulling force of the operating cable is released, and the child anchor is hidden in the sheet.

상기 제2링크핀이 하측으로 당겨질 때에 토션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시트백이 후방 회전된 상태에서 전방 회전을 위해 리클라이너가 타방향으로 회전 작동할 때에 작동케이블의 당김력이 해제되며; 상기 작동케이블의 당김력이 해제될 때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링크모듈이 복귀하고 동시에 앵커브라켓 및 차일드 앵커는 고정브라켓의 상측으로 이동해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second link pin is pulled downward, the torsion spring is compressed; When the recliner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for forward rotation while the seatback is rotated backward, the pulling force of the operating cable is released; When the pulling force of the operating cable is released, the link module return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anchor bracket and child anchor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and return.

상기 앵커브라켓 및 차일드 앵커가 고정브라켓의 상측으로 이동해서 복귀하면 차일드 앵커는 시트밖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anchor bracket and the child anchor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and return, the child anchor is exposed outside the seat.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는, 시트에 차일드 앵커가 구비되고; 상기 차일드 앵커와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작동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차일드 앵커는 시트백의 후방 회전을 위한 리클라이너의 작동시 연동해서 하강 이동하고; 상기 시트가 풀 플랫 상태로 변경되면 차일드 앵커는 시트속에 숨겨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hild anchor provided on a seat; The child anchor and the seat recliner are connected through an operating cable; The child anchor moves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for rearward rotation of the seatback; When the sheet is changed to a full flat state, the child anchor is hidden in the sheet.

후방으로 회전된 시트백을 전방으로 회전시켜서 세워주기 위해 리클라이너를 작동할 때에 하강 상태의 차일드 앵커는 스프링력으로 상승 이동하고; 상승 이동한 차일드 앵커는 시트밖으로 노출되어서 차일드 시트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n the recliner is operated to rotate the rearward-rotated seatback forward and upright, the child anchor in the lowered state moves upward by spring force; The child anchor, which moves upward, is exposed outside the seat to enable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앵커 장치는, 시트에 구비된 차일드 앵커는 차량 시트에 구비된 리클라이너의 작동과 연동해서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특히 차량 시트를 풀 플랫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리클라이너를 작동시킬 때에 리클라이너의 작동과 연동해서 차일드 앵커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시트내에 숨김상태로 변경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풀 플랫 상태의 시트에서 휴식을 취하는 승객과 차일드 앵커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휴식을 취하는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the child anch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ld anchor provided on the seat can be adjusted in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provided on the vehicle seat, and in particular, the recliner is used to change the vehicle seat to a full flat state. When operating, the child anchor moves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and changes to a hidden state within the seat. This prevents contact between the child anchor and the passenger resting on the fully flat seat. This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taking a break.

도 1 내지 도 2는 본 발명에 따라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에서 차일드 앵커가 시트밖으로 노출된 상태의 도면,
도 3 내지 도 4는 풀 플랫 상태의 시트에서 차일드 앵커가 시트속에 숨겨진 상태의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앵커 장치의 분해도,
도 6은 도 2의 상태일 때 차일드 앵커 장치의 도면,
도 7은 도 4의 상태일 때 차일드 앵커 장치의 도면이다.
1 and 2 are diagrams showing the child anchor exposed outside the seat with the seatback uprigh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of the child anchor hidden in the sheet in a fully flat state;
5 is an exploded view of the child anchor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view of the child anchor device in the state of Figure 2;
Figure 7 is a diagram of the child anchor device in the state of Figure 4.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The suffixes “module” and “part” for components used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are given or used interchangeably only for the ease of preparing the specification, and do not have distinct meanings or roles in themselves.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describing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technologies ma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addition, the attached drawings are only for easy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technical idea disclosed in this specification is not limited by the attached drawings, and all chang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equivalents or substitutes.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또한, 모터 제어기(MCU: Motor Control Unit),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Hybrid Control Unit) 등의 명칭에 포함된 유닛(Unit)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은 차량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의 명명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일 뿐, 보편적 기능 유닛(Generic function unit)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In addition, the unit or control unit included in names such as motor control unit (MCU) and hybrid control unit (HCU) is a control device that controls specific vehicle functions. It is only a term widely used in naming, and does not mean a generic function unit.

제어기(Controller)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A controller is a communication device that communicates with other controllers or sensors to control the function it is in charge of, a memory that stores the operating system, logic commands, input/output information, etc., and a device that performs the judgments, calculations, and decisions necessary to control the function it is in charge of. It may include more than one processor.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Hereinafter,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10)는 리클라이너프레임(20)에 고정된 고정브라켓(100); 상기 고정브라켓(100)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일드 앵커(200)가 결합된 앵커브라켓(300); 상기 고정브라켓(100)과 앵커브라켓(300)을 연결하고, 앵커브라켓(300)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며, 앵커브라켓(300)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링크모듈(400); 및 상기 링크모듈(400)과 차량 시트(30)에 구비된 리클라이너(33)를 연결해서 리클라이너(33)의 작동시 링크모듈(400)을 작동시키는 작동케이블(5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7, the vehicle child anchor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xing bracket 100 fixed to the recliner frame 20; An anchor bracket (300)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in the fixing bracket (100) and coupled with a child anchor (200); A link module 400 that connects the fixing bracket 100 and the anchor bracket 300,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anchor bracket 300,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anchor bracket 300; and an operating cable 500 that connects the link module 400 and the recliner 33 provided on the vehicle seat 30 to operate the link module 400 when the recliner 33 is operated.

보통 차량의 리어시트(30)는 시트쿠션(31) 및 시트백(32)을 포함하고, 시트쿠션(31)의 후단과 시트백(32)의 하단이 연결되는 부위에는 차일드 시트의 설치를 위한 차일드 앵커(200)가 구비된다.Typically, the rear seat 30 of a vehicle includes a seat cushion 31 and a seat back 32, and a child anchor for installing a child seat is provided at the area where the rear end of the seat cushion 31 and the bottom of the seat back 32 are connected. (200) is provided.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앵커(200)는 고정브라켓(100)과 앵커브라켓(300) 및 링크모듈(400)을 이용해서 설치된 구성으로, 시트백(32)이 세워진 정상상태에서는 시트밖으로 노출되어서 차일드 시트의 설치를 용이하게 하고, 시트백(32)이 후방으로 풀 회전되어서 시트쿠션(31)과 편평한 상태를 이루는 풀 플랫 상태에서는 차일드 앵커(200)가 시트속으로 숨겨진 상태가 되도록 해서 사용자의 편의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다.The child anch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using a fixing bracket 100, an anchor bracket 300, and a link module 400. In the normal state in which the seat back 32 is erected, it is exposed outside the seat, thereby protecting the child seat. It facilitates installation and improves user convenience by ensuring that the child anchor (200) is hidden in the seat when the seatback (32) is fully rotated rearward and is flat with the seat cushion (31). make it possible

시트백(32)은 시트에 구비된 리클라이너(33)의 작동에 의해 전후로 회전해서 각도조절이 가능하며,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앵커(200)는 리클라이너(33)의 작동에 연동해서 상하로 이동하는 구성을 갖는다.The seatback 32 can be rotated back and forth to adjust its angle by operating the recliner 33 provided on the seat, and the child anchor 2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oves up and down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33. It has a configuration that

시트백(32)은 리클라이너(33)의 작동에 의해 전후로 회전할 수 있고, 리클라이너(33)는 시트의 좌우측에 각각 1개씩 구비되며, 고정브라켓(100)이 설치되는 리클라이너프레임(20)은 시트의 좌우에 위치한 리클라이너(33)를 연결하는 원봉형상의 프레임이 된다.The seat back (32) can rotate back and forth by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33), one recliner (33) is provided on each side of the seat, and a recliner frame (20) on which a fixing bracket (100) is installed. It becomes a circular rod-shaped frame that connects the recliners 33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리클라이너프레임(20)은 리클라이너(33)의 작동에 의한 시트백(32)의 회전에 상관없이 항상 위치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한다.The recliner frame 20 always maintains a fixed position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seat back 32 due to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33.

본 발명에 따라 고정브라켓(100)과 앵커브라켓(300) 및 링크모듈(400)의 조립체는 2개로 구성되어서 리클라이너프레임(20)의 좌우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2개의 조립체는 1개의 작동케이블(500)로 연결되며, 1개의 작동케이블(500)은 시트 좌우에 위치한 리클라이너(33)와 연결된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assembly of the fixing bracket 100, the anchor bracket 300, and the link module 400 is composed of two pieces and is provided spaced apar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liner frame 20, and the two assemblies are connected to one operating cable. It is connected to (500), and one operating cable (500) is connected to the recliner (33)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따라서, 사용자가 시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 리클라이너(33) 중 어느 한 개만 작동하더라도 작동케이블(500)이 작동하여 2개의 조립체(고정브라켓과 앵커브라켓 및 링크모듈의 조립체)를 동시에 작동시키게 된다.Therefore, even if the user operates only one of the recliners 33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eat, the operating cable 500 operates to operate two assemblies (assembly of the fixing bracket, anchor bracket, and link module) simultaneously. do.

링크모듈(400)은 고정브라켓(100)을 관통해서 앵커브라켓(300)과 결합되고 앵커브라켓(300)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고정볼트(410)를 포함한다.The link module 400 penetrates the fixing bracket 100 and is coupled to the anchor bracket 300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bolts 410 that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anchor bracket 300.

앵커브라켓(300)은 고정브라켓(100)속에 위치한 상태에서 외력 작용시 하측방향 이동 및 외력 제거시 스프링력에 의해 상측방향 이동이 가능해야 하는 바, 이를 위해 고정브라켓(100)에는 고정볼트(410)의 이동을 위한 가이드홀(110)이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다.The anchor bracket 300 must be able to move downward when an external force is applied and move upward by spring force when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while located in the fixing bracket 100. To this end, the fixing bracket 100 is equipped with a fixing bolt (410). ) The guide hole 110 for movement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가이드홀(110)과 고정볼트(410)는 각각 3개씩 구성된 것이 일예로서 도시되어 있으며, 가이드홀(110)과 고정볼트(410)는 각각 1개씩 매칭되도록 구성된다.As an example, the guide hole 110 and the fixing bolt 410 are shown as three pieces each, and the guide hole 110 and the fixing bolt 410 are configured to be matched with one piece each.

본 발명에 따른 링크모듈(400)은 고정브라켓(100)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제1링크핀(420); 상기 제1링크핀(42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1링크(430); 상기 고정볼트(410)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2링크(440); 상기 제1링크(430)의 타단과 제2링크(440)의 타단 및 작동케이블(500)의 단부를 동시에 관통해서 푸시너트(450)와 결합된 제2링크핀(460); 및 상기 제1링크핀(420)에 끼워져서 일단은 제1링크(430)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핀(460)에 연결된 토션스프링(470);을 더 포함한다.The link module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link pin 420 penetrating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100; A first link (430) whose e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link pin (420); A second link 440 whose e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bolt 410; a second link pin 460 that passes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43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440, and the end of the operating cable 500 at the same time and is coupled to the push nut 450; And it further includes a torsion spring 470 that is inserted into the first link pin 420 and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first link 43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second link pin 460.

제1링크(430)와 제2링크(440)는 일자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제1링크(430)의 일단은 고정브라켓(100)의 일측면을 관통한 제1링크핀(420)에 의해 관통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first link 430 and the second link 440 are formed to extend in a straight line, and one end of the first link 430 is connected by the first link pin 420 that penetrates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100. It penetrates and is rotatably installed.

제1링크(430)의 측부에 제2링크(440)가 위치하고, 제2링크(440)의 일단은 고정볼트(410)에 의해 관통되며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second link 440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first link 430, and one end of the second link 440 is penetrated by a fixing bolt 410 and is rotatably installed.

제1링크(430)의 타단과 제2링크(440)의 타단 및 작동케이블(500)의 타단은 서로 중첩되어서 이들의 중첩부를 제2링크핀(460)이 관통하고, 제2링크핀(460)의 끝에 푸시너트(450)가 결합되어서 제1링크(430)의 타단과 제2링크(440)의 타단 및 작동케이블(500)의 타단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43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440,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cable 500 overlap each other, so that the second link pin 460 penetrates the overlapping part, and the second link pin 460 )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push nut 450 to prevent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430,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440, and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cable 500 from being separated.

작동케이블(500)의 일단은 리클라이너(33)와 연결된다.One end of the operating cable 500 is connected to the recliner 33.

제1링크(430)를 관통한 제1링크핀(420)의 단부에 토션스프링(470)의 원형부가 끼워지고, 토션스프링(470)의 일단은 제1링크(430)에 걸려져 고정되고 타단은 푸시너트(450)를 관통한 제2링크핀(460)의 단부에 걸려져서 고정된다.The circular part of the torsion spring 470 is inserted into the end of the first link pin 420 that penetrates the first link 430, one end of the torsion spring 470 is fixed to the first link 430,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first link 430. is fixed by being caught on the end of the second link pin 460 that penetrates the push nut 450.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차일드 앵커 장치(10)의 작동에 대해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child anchor device 1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 내지 도 2 및 도 6은 시트백(32)이 정상적으로 세워진 상태이고, 이때 차일드 앵커(200)는 정상적으로 시트밖으로 노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이때에는 사용자가 차일드 앵커(200)를 이용해서 차일드 시트를 차량의 시트에 정상적으로 설치해서 사용할 수 있다.1 to 2 and 6 show the seatback 32 being erected normally, and at this time, the child anchor 200 is normally maintained exposed outside the seat, and at this time, the user uses the child anchor 200 to secure the child seat. It can be installed and used normally on the vehicle seat.

도 3 내지 도 4 및 도 7은 사용자의 리클라이너(33) 작동으로 시트백(32)이 후방으로 풀 회전됨에 따라 시트쿠션(31)과 시트백(32)이 편평한 상태를 이루는 시트의 풀 플랫 상태이다.3 to 4 and 7 show the fully flat state of the seat in which the seat cushion 31 and the seat back 32 are in a flat state as the seat back 32 is fully rotated rearward by the user's operation of the recliner 33. .

도 6의 초기상태에서 사용자가 시트백(32)의 후방 회전을 위해 리클라이너(33)를 작동시켜서 도 7과 같이 리클라이너(33)가 시계방향(일방향)으로 회전하면(화살표 R1) 작동케이블(500)이 당겨지고(화살표 M1), 작동케이블(500)의 당김에 의해 제2링크핀(460)이 하측으로 당겨진다.In the initial state of FIG. 6, when the user operates the recliner 33 to rotate the seat back 32 backward and the recliner 33 rotates clockwise (one direction) as shown in FIG. 7 (arrow R1), the operating cable ( 500) is pulled (arrow M1), and the second link pin 460 is pulled downward by pulling the operating cable 500.

제2링크핀(460)이 하측으로 당겨지면 이때 제1링크(430)는 제1링크핀(420)을 중심으로 그리고 제2링크(440)는 고정볼트(410)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When the second link pin 460 is pulled downward, the first link 430 moves in opposite directions around the first link pin 420 and the second link 440 moves in opposite directions around the fixing bolt 410. It rotates.

또한, 제2링크핀(460)의 하측방향 당김시 고정볼트(410)가 가이드홀(110)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함에 의해 앵커브라켓(300) 및 차일드 앵커(200)는 고정브라켓(100)의 하측으로 이동한다.(화살표 M2)In addition, when the second link pin 460 is pulled downward, the fixing bolt 410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 hole 110, so that the anchor bracket 300 and the child anchor 200 are attached to the fixing bracket 100. Moves downward. (Arrow M2)

제2링크핀(460)이 하측으로 당겨질 때에 토션스프링(470)은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게 된다.When the second link pin 460 is pulled downward, the torsion spring 470 is compressed and accumulates elastic force.

앵커브라켓(300)과 차일드 앵커(200)는 작동케이블(500)의 당김력이 해제될 때까지 고정브라켓(100)의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고, 이때에 차일드 앵커(200)는 시트속에 숨겨진 상태가 된다.The anchor bracket 300 and the child anchor 200 continue to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100 until the pulling force of the operating cable 500 is released, and at this time, the child anchor 200 It becomes hidden inside the sheet.

시트가 풀 플랫 상태로 변경된 상황에서 차일드 앵커(200)가 시트속에 숨겨진 상태가 되면, 시트 위쪽으로 차일드 앵커(200)가 돌출된 상황을 없앨 수 있게 되며, 이를 통해 풀 플랫 상태의 리어시트에서 휴식을 취하는 승객과 차일드 앵커(20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휴식을 취하는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When the seat is changed to a fully flat state and the child anchor 200 is hidden in the seat, the situation where the child anchor 200 protrudes above the seat can be eliminated, allowing you to rest on the rear seat in a fully flat state. By preventing contact between the passenger taking a break and the child anchor 200, the convenience of the passenger taking a break can be improved.

도 7과 같은 시트 풀 플랫 상태에서 시트백(32)을 전방으로 회전시켜서 다시 세워주면 시트백(32)은 도 6과 같은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seat back 32 is rotated forward and erected again in the seat full flat state as shown in FIG. 7, the seat back 32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 6.

시트백(32)의 복귀를 위해 사용자가 리클라이너(33)를 작동시켜서 리클라이너(33)가 반 시계방향(타방향)으로 회전 작동하면 작동케이블(500)은 당김력이 해제되며, 작동케이블(500)의 당김력이 해제되면 토션스프링(470)의 탄성력으로 링크모듈(400)이 전술한 반대로 작동해서 복귀하고 동시에 앵커브라켓(300) 및 차일드 앵커(200)는 고정브라켓(100)의 상측으로 이동해서 도 6과 같은 초기위치로 복귀하게 된다.When the user operates the recliner (33) to return the seatback (32) and the recliner (33) rotates counterclockwise (the other direction), the pulling force on the operating cable (500) is released, and the operating cable ( When the pulling force of 500 is released, the link module 400 oper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as described above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470 and returns, and at the same time, the anchor bracket 300 and the child anchor 200 are moved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100. It moves and returns to the initial position as shown in Figure 6.

앵커브라켓(300) 및 차일드 앵커(200)가 고정브라켓(100)의 상측으로 이동해서 복귀하면 차일드 앵커(200)는 시트밖으로 노출된 상태가 된다.When the anchor bracket 300 and the child anchor 200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100 and return, the child anchor 200 is exposed outside the seat.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는, 시트에 구비된 차일드 앵커(200)는 차량 시트에 구비된 리클라이너(33)의 작동과 연동해서 상하방향으로 높이조절이 가능하고, 특히 차량 시트를 풀 플랫 상태로 변경시키기 위해 리클라이너(33)를 작동시킬 때에 리클라이너(33)의 작동과 연동해서 차일드 앵커(200)가 하방으로 이동하여 시트내에 숨김상태로 변경되는 구성으로, 이를 통해 풀 플랫 상태의 시트에서 휴식을 취하는 승객과 차일드 앵커(200)의 접촉을 방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휴식을 취하는 승객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hild anchor 200 provided on the seat can be adjusted in height in the vertical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33 provided on the vehicle seat, and in particular, the vehicle When the recliner 33 is operated to change the seat to a full flat state, the child anchor 200 moves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33 and changes to a hidden state within the seat. There is an advantage in improving the convenience of passengers taking a break by preventing contact between the child anchor 200 and a passenger taking a break on a fully flat seat.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relation to specific embodiments, it is known in the art that various improvements and change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technical spirit of the invention as provided by the following claims. This will be self-evident to those with ordinary knowledge.

10 - 차일드 앵커 장치 20 - 리클라이너프레임
30 - 리어시트 31 - 시트쿠션
32 - 시트백 33 - 리클라이너
100 - 고정브라켓 110 - 가이드홀
200 - 차일드 앵커 300 - 앵커브라켓
400 - 링크모듈 410 - 고정볼트
420 - 제1링크핀 430 - 제1링크
440 - 제2링크 450 - 푸시너트
460 - 제2링크핀 470 - 토션스프링
500 - 작동케이블
10 - Child anchor device 20 - Recliner frame
30 - Rear seat 31 - Seat cushion
32 - Seatback 33 - Recliner
100 - Fixing bracket 110 - Guide hole
200 - Child anchor 300 - Anchor bracket
400 - Link module 410 - Fixing bolt
420 - 1st link pin 430 - 1st link
440 - 2nd link 450 - Push nut
460 - 2nd link pin 470 - Torsion spring
500 - operating cable

Claims (12)

리클라이너프레임에 고정된 고정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내에서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차일드 앵커가 결합된 앵커브라켓;
상기 고정브라켓과 앵커브라켓을 연결하고, 앵커브라켓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며, 앵커브라켓의 위치를 고정시켜 주는 링크모듈; 및
상기 링크모듈과 차량 시트에 구비된 리클라이너를 연결해서 리클라이너의 작동시 링크모듈을 작동시키는 작동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A fixing bracket fixed to the recliner frame;
An anchor bracket installed to be movable up and down within the fixing bracket and coupled with a child anchor;
a link module that connects the fixing bracket and the anchor bracket, guides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anchor bracket, and fixes the position of the anchor bracket; and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comprising: an operating cable that connects the link module and a recliner provided on a vehicle seat to operate the link module when the recliner is operat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리클라이너프레임은 시트의 좌우에 위치한 리클라이너를 연결하는 프레임으로 리클라이너의 작동에 의한 시트백의 회전에 상관없이 위치가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In claim 1,
The recliner frame is a frame that connects the recliners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seat, and is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position is fixed regardless of the rotation of the seat back due to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과 앵커브라켓 및 링크모듈의 조립체는 2개로 구성되어서 리클라이너프레임의 좌우로 이격되게 구비되고;
상기 2개의 조립체는 1개의 작동케이블로 연결되어서 시트의 좌측 또는 우측에 구비된 리클라이너 중 어느 한 개만 작동하더라도 작동케이블에 의해 2개의 조립체가 동시에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In claim 1,
The assembly of the fixing bracket, anchor bracket, and link module consists of two pieces and is spaced apart on the left and right sides of the recliner frame;
The two assemblies are connected by one operating cable, so that even if only one of the recliners provided on the left or right side of the seat is operated, the two assemblies are operated simultaneously by the operating cable.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링크모듈은 고정브라켓을 관통해서 앵커브라켓과 결합되고, 앵커브라켓의 상하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다수개의 고정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In claim 1,
The link module penetrates the fixing bracket and is coupled to the anchor bracket, and includes a plurality of fixing bolts that guide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anchor bracket.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에는 고정볼트가 관통하고, 앵커브라켓의 상하방향 이동시 고정볼트의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홀이 상하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In claim 4,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a fixing bolt penetrates the fixing bracket and a guide hole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to guide the movement of the fixing bolt when the anchor bracket moves in the vertical direction.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링크모듈은 고정브라켓의 일측면을 관통하는 제1링크핀;
상기 제1링크핀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1링크;
상기 고정볼트에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끼워진 제2링크;
상기 제1링크의 타단과 제2링크의 타단 및 작동케이블의 단부를 동시에 관통해서 푸시너트와 결합된 제2링크핀; 및
상기 제1링크핀에 끼워져서 일단은 제1링크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2링크핀에 연결된 토션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In claim 4,
The link module includes a first link pin penetrating one side of the fixing bracket;
a first link whose e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rst link pin;
a second link whose end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fixing bolt;
a second link pin that penetrates the other end of the first link, the other end of the second link, and the end of the operating cable at the same time and is coupled to a push nut; and
A torsion spring inserted into the first link pin,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first link,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a second link pin.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백의 후방 회전을 위해 리클라이너가 일방향으로 회전 작동할 때에 작동케이블이 당겨지고;
상기 작동케이블에 의해 제2링크핀이 하측으로 당겨짐에 따라 제1링크는 제1링크핀을 중심으로 제2링크는 고정볼트를 중심으로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제2링크핀의 하측방향 당김시 고정볼트가 가이드홀을 따라 하측으로 이동함에 의해 앵커브라켓 및 차일드 앵커는 고정브라켓의 하측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In claim 6,
The operating cable is pulled when the recliner rotates in one direction to rotate the seatback constituting the seat backward;
As the second link pin is pulled downward by the operating cable, the first link rotates in opposite directions around the first link pin and the second link rotates around the fixing bolt;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second link pin is pulled downward, the fixing bolt moves downward along the guide hole, causing the anchor bracket and child anchor to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앵커브라켓 및 차일드 앵커는 작동케이블의 당김력이 해제될 때까지 고정브라켓의 하측으로 이동한 상태가 계속 유지되고, 차일드 앵커는 시트속에 숨겨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In claim 7,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the anchor bracket and the child anchor continue to move to the low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until the pulling force of the operating cable is released, and the child anchor is hidden in the seat.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링크핀이 하측으로 당겨질 때에 토션스프링은 압축되고;
상기 시트백이 후방 회전된 상태에서 전방 회전을 위해 리클라이너가 타방향으로 회전 작동할 때에 작동케이블의 당김력이 해제되며;
상기 작동케이블의 당김력이 해제될 때 토션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링크모듈이 복귀하고 동시에 앵커브라켓 및 차일드 앵커는 고정브라켓의 상측으로 이동해서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In claim 7,
When the second link pin is pulled downward, the torsion spring is compressed;
When the recliner rotates in the other direction for forward rotation while the seatback is rotated backward, the pulling force of the operating cable is released;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pulling force of the operating cable is released, the link module returns due to the elastic force of the torsion spring, and at the same time, the anchor bracket and child anchor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and return.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앵커브라켓 및 차일드 앵커가 고정브라켓의 상측으로 이동해서 복귀하면 차일드 앵커는 시트밖으로 노출된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In claim 9,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when the anchor bracket and the child anchor move to the upper side of the fixing bracket and return, the child anchor is exposed outside the seat.
시트에 차일드 앵커가 구비되고;
상기 차일드 앵커와 시트의 리클라이너는 작동케이블을 통해 연결되며;
상기 차일드 앵커는 시트백의 후방 회전을 위한 리클라이너의 작동시 연동해서 하강 이동하고;
상기 시트가 풀 플랫 상태로 변경되면 차일드 앵커는 시트속에 숨겨진 상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The seat is provided with a child anchor;
The child anchor and the seat recliner are connected through an operating cable;
The child anchor moves downward in conjun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recliner for rearward rotation of the seatback;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wherein when the seat is changed to a full flat state, the child anchor is hidden in the seat.
청구항 11에 있어서,
후방으로 회전된 시트백을 전방으로 회전시켜서 세워주기 위해 리클라이너를 작동할 때에 하강 상태의 차일드 앵커는 스프링력으로 상승 이동하고;
상승 이동한 차일드 앵커는 시트밖으로 노출되어서 차일드 시트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차일드 앵커 장치.
In claim 11,
When the recliner is operated to rotate the rearward-rotated seatback forward and upright, the child anchor in the lowered state moves upward by spring force;
A child anchor devic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child anchor that moves upward is exposed outside the seat to enable installation of the child seat.
KR1020220157342A 2022-11-22 2022-11-22 Child anchor apparaus for vehicle Pending KR20240076510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342A KR20240076510A (en) 2022-11-22 2022-11-22 Child anchor apparaus for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57342A KR20240076510A (en) 2022-11-22 2022-11-22 Child anchor apparaus for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6510A true KR20240076510A (en) 2024-05-30

Family

ID=91275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57342A Pending KR20240076510A (en) 2022-11-22 2022-11-22 Child anchor apparaus for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76510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491A (en) 2005-09-14 2007-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hild Anchor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31491A (en) 2005-09-14 2007-03-2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Child Anchor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67719B2 (en) Easy entry seat system with single position memory and hold open feature
US8066326B2 (en) Fold flat seat assembly with rearward folding motion
US6817645B2 (e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US6883868B2 (en) Tip-up automotive seat provided with interlocking means
US20090001795A1 (en) Fold Flat Seat Assembly
US8336961B2 (en) Stand up seat assembly with retractable rear leg
CN111645574B (en) Seat unlocking mechanism and vehicle seat with both easy entry and one-touch reclining functions
US7478882B2 (en) Motor vehicle seat
KR20200143585A (en) Walkin apparatus of seat for vehicle
US20170282754A1 (en) Vehicle seat assembly and method of storage
US20050006920A1 (en) Seat apparatus
US8276983B2 (en) Manual retracting head restraint
US6769737B2 (en) Apparatus for locking a recliner of a front seat in an automobile
KR20240076510A (en) Child anchor apparaus for vehicle
CN100532153C (en) car seat
KR102509694B1 (en) Auxiliary chair for camper
JP7111781B2 (en) vehicle seat
JPH05301560A (en) Through-guide structure for seat belt
KR20240077930A (en) Child anchor apparaus for vehicle
JP4517883B2 (en) Vehicle seat
CN213262035U (en) Electric automobile seat with manual unblock function
KR20240173038A (en) Seat-back returning apparatus of passenger sensitive type
KR20240027458A (en) Rear seat for vehicle
JP2009262796A (en) Vehicular seat
KR20240088073A (en) Seatback angle adjustment device for automobi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122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