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173038A - Seat-back returning apparatus of passenger sensitive type - Google Patents
Seat-back returning apparatus of passenger sensitive type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173038A KR20240173038A KR1020230071824A KR20230071824A KR20240173038A KR 20240173038 A KR20240173038 A KR 20240173038A KR 1020230071824 A KR1020230071824 A KR 1020230071824A KR 20230071824 A KR20230071824 A KR 20230071824A KR 20240173038 A KR20240173038 A KR 20240173038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t
- push rod
- locking
- return device
- push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46
- 230000000452 restrain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9434 install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18—Transversally moving lo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209—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longitudinal displacement of the cushion, e.g. back-rest hinged on the bottom to the cushion and linked on the top to the vehicle fra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석의 탑승자 부재시 후석에서 전석의 시트백을 원래 위치로 세울 수 있도록 한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는, 시트쿠션프레임(11)과,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힌지연결되는 시트백프레임(12)을 포함하는 차량의 시트(1)에서 뒤로 젖혀진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을 세우는 시트백 리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을 세우는 가스쇽업소버(23)를 작동시키는 푸시레버(25); 상기 시트(1)의 후방에서 조작되고, 상기 푸시레버(25)를 작동시키는 푸시로드(26);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락킹유닛(40); 및 상기 시트(1)에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하중(P)이 작용하면, 상기 락킹유닛(40)이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하도록 상기 락킹유닛(40)을 작동시키는 착석연동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착석(着席)하여 상기 착석연동유닛(30)에 상기 하중(P)이 작용하면, 상기 락킹유닛(40)이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하며, 상기 시트(1)로부터 상기 탑승자가 이석(離席)하면 상기 락킹유닛(40)이 상기 푸시로드(26)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that enables the seatback of a front seat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from the rear seat when there is no occupant in the front seat.
The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at cushion frame (11) and a seatback frame (12) hingedly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11), a seatback return device for raising the seatback frame (12) that has been tilted back in a seat (1) of a vehicle, the seatback return device comprising: a push lever (25) that operates a gas shock absorber (23) that raises the seat cushion frame (11); a push rod (26) that is operated at the rear of the seat (1) and operates the push lever (25); a locking unit (40) that binds or releases the push rod (26); And when a load (P)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o the seat (1), the locking unit (40) operates the locking unit (40) to restrain the push rod (26); and when a passenger sits on the seat (1) and the load (P) is applied to the seating unit (30), the locking unit (40) restrains the push rod (26), and when the passenger leaves the seat (1), the locking unit (40)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push rod (26).
Description
본 발명은 전석의 탑승자 부재시 후석에서 전석의 시트백을 원래 위치로 세울 수 있도록 한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that enables the seatback of a front seat to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from the rear seat when there is no occupant in the front seat.
버스, 승합차 등과 같은 차량은 많은 수의 탑승자를 운송하기 위하여, 많은 수의 시트가 장착되어 있다.Vehicles such as buses and vans are equipped with a large number of seats to transport a large number of passengers.
각각의 시트는 탑승자의 착석시 편의성을 위하여,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이 뒤쪽으로 젖혀지도록 설치된다.Each seat is installed so that the seatback, which supports the passenger's back, can be tilted backwards for the passenger's convenience when sitting.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00)는 탑승자의 하체를 지지하는 시트쿠션이 설치되는 시트쿠션프레임(111)과, 상기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이 설치되는 시트백프레임(112)이 시트백힌지(113)를 통하여 서로 힌지연결된다. 상기 시트백힌지(113)는 상부가 상기 시트백프레임(112)에 체결되고, 중간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1)에 힌지축을 통하여 힌지연결되고, 상기 힌지축에 리클라이닝장치가 적용되어, 상기 시트백을 원하는 위치로 조정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1, the seat (100) is hinge-connected to each other via a seat back hinge (113) by a seat cushion frame (111) on which a seat cushion supporting the lower body of the passenger is installed, and a seat back frame (112) on which a seat back supporting the back of the passenger is installed. The seat back hinge (113) has an upper por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seat back frame (112), a middle portion that is hinge-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111) via a hinge axis, and a reclining device is applied to the hinge axis so that the seat back can be adjusted to a desired position.
상기 시트(100)의 측면에 상기 탑승자가 조작하는 작동레버(121)와, 상기 작동레버(121)와 함께 회전하는 푸시암(122)과, 상기 레버조작에 의해 신장되는 가스쇽업소버(123)가 설치된다. 상기 탑승자가 상기 작동레버(121)를 회전시키면, 상기 푸시암(122)의 상부가 상기 가스쇽업소버(123)의 체크밸브버튼(123b)을 눌러, 상기 가스쇽업소버(123)의 피스톤로드(123a)가 언락됨에 따라, 상기 가스쇽업소버(123)가 신장된다. 상기 가스쇽업소버(123)는 상기 피스톤로드(123a)의 단부에 체크밸브가 설치된 프리락(Free-Lock) 타입의 상용의 쇽업소버로서, 상기 체크밸브버튼(123b)이 눌러지면, 신장되도록 반력이 작용하고, 상기 체크밸브버튼(123b)이 눌러지지 않으면 그 상태에서 상기 피스톤로드(123a)가 고정된다. 상기 가스쇽업소버(123)의 상기 시트백힌지(113)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가스쇽업소버(123)가 신장되면, 상기 시트백프레임(112)이 앞으로 숙여지는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뒤로 젖혀진 상기 시트백을 원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다.On the side of the seat (100), an operating lever (121) operated by the passenger, a push arm (122) that rotates together with the operating lever (121), and a gas shock absorber (123) that extends by the lever operation are installed. When the passenger rotates the operating lever (121), the upper portion of the push arm (122) presses the check valve button (123b) of the gas shock absorber (123), and the piston rod (123a) of the gas shock absorber (123) is unlocked, thereby extending the gas shock absorber (123). The above gas shock absorber (123) is a commercial shock absorber of the free-lock type having a check valv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iston rod (123a). When the check valve button (123b) is pressed, a reaction force is applied to extend the piston rod (123a). When the check valve button (123b) is not pressed, the piston rod (123a) is fixed in that state. The gas shock absorber (123)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at back hinge (113). When the gas shock absorber (123) extends, the seat back frame (112) rotates in a direction in which it leans forward, thereby allowing the seat back, which has been tilted backward, to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한편, 상기 작동레버(121)는 해당 시트(100)에 착선한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상기 탑승자가 착석한 시트(100)에서 그 앞에 위치한 시트(100)의 시트백은 원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없었다. 앞에 위치한 시트(이하, '전석(前席)'이라고 함)에 착석하고 있던 탑승자가 상기 시트백을 젖힌 상태에서, 상기 시트백을 복원시키지 않고, 상기 전석을 떠나는 경우, 그 뒤에 위치한 시트(이하, '후석(後席)'이라고 함)에 착석하고 있는 탑승자는 상기 전석의 시트백을 세워지도록 복원시키려면, 상기 후석에서 일어나 상기 전석으로 이동하거나 팔을 멀리 뻗어 상기 전석의 작동레버(121)를 조작해야 하므로, 불편이 야기된다.Meanwhile, since the operating lever (121) is operated by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100), the seatback of the seat (100) located in front of the seat (100) on which the passenger is seated cannot be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If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located in fron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front seat") leaves the front seat without restoring the seatback while the seatback is folded down, the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located behind it (hereinafter referred to as the "rear seat") must get up from the rear seat and move to the front seat or extend his or her arm far to operate the operating lever (121) of the front seat in order to restore the seatback of the front seat to the upright position, which causes inconvenience.
상기 전석의 시트백이 뒤로 젖혀진 상태에서, 상기 전석의 탑승자가 상기 전석을 떠나면, 상기 후석의 탑승자는 상기 전석의 시트백으로 인하여 공간이 협소해질뿐만 아니라, 상기 후석의 탑승자가 하차 등을 위하여 상기 후석에서 일어나려고 할 때, 상기 전석의 시트백으로 인하여 불편하였다. 하지만, 후석에서는 전석의 시트백을 세워지도록 복원시키지 못하므로 상기와 같은 불편함을 감수해야 했다.When the seatback of the front seat is reclined and the passenger in the front seat leaves the front seat,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not only experiences a narrow space due to the seatback of the front seat, but also experiences inconvenience when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tries to get out of the rear seat to get off, etc., due to the seatback of the front seat. However, since the seatback of the front seat cannot be restored to the upright position in the rear seat,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had to endure the inconvenience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전석이 공석이 경우에 한하여 후석에서 상기 전석의 시트백을 원래 위치로 복원시킬 수 있고, 전석에 탑승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에는 작동되지 않도록 한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that can restore the seatback of a front seat to its original position from a rear seat only when the front seat is vacant, and does not operate when a passenger is in the front seat.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는, 시트쿠션프레임과,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힌지연결되는 시트백프레임을 포함하는 차량의 시트에서 뒤로 젖혀진 상기 시트백프레임을 세우는 시트백 리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을 세우는 가스쇽업소버를 작동시키는 푸시레버; 상기 시트의 후방에서 조작되고, 상기 푸시레버를 작동시키는 푸시로드;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락킹유닛; 및 상기 시트에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락킹유닛이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도록 상기 락킹유닛을 작동시키는 착석연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着席)하여 상기 착석연동유닛에 상기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락킹유닛이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며, 상기 시트로부터 상기 탑승자가 이석(離席)하면 상기 락킹유닛이 상기 푸시로드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which comprises a seat cushion frame and a seatback frame hingedly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for raising the seatback frame that has been tilted backwards in a seat of a vehicle, the seatback return device comprising: a push lever that operates a gas shock absorber that raises the seat cushion frame; a push rod that is operated at the rear of the seat and operates the push lever; a locking unit that binds or releases the push rod; and a seating linkage unit that operates the locking unit so that the locking unit binds the push rod when a load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o the seat. The lock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occupant sits on the seat and the load is applied to the seating linkage unit, the locking unit binds the push rod, and when the occupant leaves the seat, the locking unit releases the binding of the push rod.
상기 푸시레버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중간부분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푸시레버의 하단은 상기 푸시로드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푸시로드가 조작되면 상기 푸시레버의 상단이 상기 가스쇽업소버를 눌러 상기 가스쇽업소버를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push lever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middle part of the above push lever is hinge-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the lower part of the above push lever is hinge-connected to the above push rod, and when the above push rod is operated, the upper part of the above push lever presses the above gas shock absorber to operate the above gas shock absorber.
상기 착석연동유닛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하면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도록 상기 락킹유닛을 작동시키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락킹유닛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seating linkage un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lower plate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on the seat cushion frame and operates the locking unit to restrain the push rod when lowered; and a housing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fixed to the seat cushion frame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lower plate and in which the locking unit is installed.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탑승자가 이석하면,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turn spring is installed inside the housing to raise the lower plate when the passenger leaves the seat.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중간부분이 힌지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하강하면 타단이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는 락킹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locking unit is characterized by including a locking rod whose middle portion is hinge-connected to the housing, one end is hinge-connected to the lower plate, and the other end restrains the push rod when the lower plate is lowered.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킹로드의 중간 부분이 힌지연결되는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그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락킹로드의 일단에 힌지연결되는 컬럼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housing is characterized in that a bracket is formed in which the middle part of the locking rod is hinge-connected, and the lower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a column is formed that extends downward from its bottom surface and is hinge-connected to one end of the locking rod.
상기 락킹로드의 타단에는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는 락킹핀이 구비되고, 상기 푸시로드에 상기 락킹핀에 결합되는 락킹캐치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하강하면 상기 락킹핀이 상기 락킹캐치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상승하면, 상기 락킹핀이 상기 락킹캐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od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n that restrains the push rod, and the push rod is provided with a locking catch that is coupled to the locking pin, and when the lower plate is lowered, the locking pin is coupled to the locking catch, and when the lower plate is raised, the locking pin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catch.
상기 락킹로드는 상기 푸시로드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locking rod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push rod.
일측이 상기 푸시레버와 상기 가스쇽업소버 사이에 위치하는 조작부와, 상기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조작부의 타측에 접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암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by further including an operating portion located between the push lever and the gas shock absorber on one side, an operating lever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frame so as to be operated by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and a push arm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frame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other side of the operating portion.
상기 조작부는,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시 상기 푸시레버와 독립적으로 상기 푸시암이 상기 가스쇽업소버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푸시레버의 상단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operat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receive the upper end of the push lever so that the push arm operates the gas shock absorber independently of the push lever when the operating lever is operated.
상기 조작부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operating par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frame.
상기 조작부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above operating part is characterized by being slidably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frame.
상기 푸시로드의 후단에 상기 시트의 후방에서 상기 푸시로드가 전진하도록 조작하는 푸시버튼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push butto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push rod for operating the push rod to advance from the rear of the seat.
상기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로드의 후단 사이에 상기 푸시버튼을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푸시로드를 전진시키는 연동레버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It is characterized in that a linkage lever is installed between the above push button and the rear end of the above push rod, which advances the above push rod when the above push button is pulled rearward.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로드에 결합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상기 푸시로드 쪽으로 탄성지지하는 락킹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하강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푸시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상승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푸시로드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locking unit comprises a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a stopper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able and coupled to the push rod; and a locking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topper toward the push rod, and is characterized in that when the lower plate is lowered,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push rod, and when the lower plate is raised, the stopper is separated from the push rod.
상기 푸시로드에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하강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푸시로드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topp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above push rod, and when the lower plate is lowered,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so that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push rod.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에 따르면, 전석 탑승자의 부재시 후석에서도 전석의 시트백을 용이하게 복원시킬 수 있다.According to the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the seatback of the front seat can be easily restored even in the rear seat when the front seat occupant is absent.
이에 따라, 전석의 탑승자가 시트백을 눕힌 채로 전석을 떠나더라도 후석의 탑승자가 전석의 시트백을 세울 수 있어서, 후석의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Accordingly, even if the front seat passenger leaves the front seat with the seatback reclined, the rear seat passenger can raise the front seatback, thereby securing space in the rear seat.
특히, 전석의 시트백이 세워진 상태이므로, 후석의 탑승자가 후석에서 일어나려는 경우, 전석의 시트백에 걸리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다.In particular, since the front seatbacks are in the upright position, the discomfort of the rear seat passenger getting caught in the front seatback when trying to get up from the rear seat can be eliminated.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라 시트에서 시트쿠션과 시트백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종래기술에서 작동레버 조작시 가스쇽업소버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를 도시한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에서 푸시암과 푸시레버의 설치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6은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를 도시한 정면도.
도 8은 시트의 탑승자가 작동레버를 조작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에서 푸시암과 푸시레버의 설치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9는 후석의 탑승자가 조작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에서 푸시암과 푸시레버의 설치관계를 도시한 개략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에서 푸시로드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에서 조작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에서 락킹로드 대신 케이블이 적용된 예를 도시한 개략도.
도 13은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하지 않은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의 스토퍼가 락킹로드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 14는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의 스토퍼가 락킹로드와 체결된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nection relationship between a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in a seat according to conventional technology.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gas shock absorber when the operating lever is operated in the prior art.
FIG. 3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4 is a bottom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relationship between a push arm and a push lever in a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6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no occupant is seated on the seat.
FIG. 7 is a front view illustrating a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push arm and the push lever in the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ssenger in the seat operates the operating lever.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installation relationship of a push arm and a push lever in a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operated by a passenger in the rear seat.
FIG. 10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push rod in a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operating unit in a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2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n example in which a cable is applied instead of a locking rod in a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of the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rod when no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FIG. 14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stopper of the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connected to a locking rod while a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는, 시트쿠션프레임(11)과,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힌지연결되는 시트백프레임(12)을 포함하는 차량의 시트(1)에서 뒤로 젖혀진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을 세우는 시트백 리턴 장치에서,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을 세우는 가스쇽업소버(23)를 작동시키는 푸시레버(25); 상기 시트(1)의 후방에서 조작되고, 상기 푸시레버(25)를 작동시키는 푸시로드(26)와,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락킹유닛(40)와, 상기 시트(1)에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하중(P)이 작용하면, 상기 락킹유닛(40)이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하도록 상기 락킹유닛(40)을 작동시키는 착석연동유닛(30)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착석(着席)하여 상기 착석연동유닛(30)에 상기 하중(P)이 작용하면, 상기 락킹유닛(40)이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하며, 상기 시트(1)로부터 상기 탑승자가 이석(離席)하면 상기 락킹유닛(40)이 상기 푸시로드(26)의 구속을 해제한다.The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seat cushion frame (11) and a seatback frame (12) hingedly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11), a seatback return device for raising the seatback frame (12) that has been tilted backwards in a seat (1) of a vehicle, the seatback return device comprising: a push lever (25) for operating a gas shock absorber (23) for raising the seat cushion frame (11); The system comprises a push rod (26) that is operated at the rear of the seat (1) and operates the push lever (25), a locking unit (40) that binds or releases the push rod (26), and a seating linkage unit (30) that operates the locking unit (40) so that the locking unit (40) binds the push rod (26) when a load (P)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o the seat (1). When a passenger sits on the seat (1) and the load (P) is applied to the seating linkage unit (30), the locking unit (40) binds the push rod (26), and when the passenger leaves the seat (1), the locking unit (40) releases the binding of the push rod (26).
차량의 시트(1)는 탑승자의 하체는 지지하는 시트쿠션과 탑승자의 등을 지지하는 시트백을 포함한다. 상기 시트쿠션의 내부에 상기 시트쿠션을 지지하는 시트쿠션프레임(11)이 구비되고, 상기 시트백의 내부에 상기 시트백을 지지하는 시트백프레임(12)이 구비된다.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은 상기 차량의 플로워에 설치되고,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힌지연결되어,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은 상기 탑승자의 상기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힌지연결된다.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의 하부에 시트백힌지(13)가 설치되고, 힌지축(13a)이 상기 시트백힌지(13)의 중간과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을 힌지연결하도록 설치됨으로써,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A seat (1) of a vehicle includes a seat cushion that supports the lower body of a passenger and a seat back that supports the back of the passenger. A seat cushion frame (11) that supports the seat cushion is provided inside the seat cushion, and a seat back frame (12) that supports the seat back is provided inside the seat back. The seat cushion frame (11) is installed on the floor of the vehicle, and the seat back frame (12) is hinge-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11), so that the seat back of the passenger can be reclined. A seat back hinge (13)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seat back frame (12), and a hinge axis (13a) is installed to hinge-connect the middle of the seat back hinge (13) and the seat cushion frame (11), so that the seat back frame (12)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frame (11).
작동레버(21)는 상기 시트(1)의 측면에 상기 시트(1)에 착석한 탑승자가 조작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작동레버(21)는 상기 탑승자가 조작하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The operating lever (21) is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seat (1) so that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1) can operate it. That is, the operating lever (21) is installed so that it rotates when operated by the passenger.
푸시암(22)은 상기 작동레버(21)와 함께 회전하도록 설치된다.The push arm (22) is installed to rotate together with the operating lever (21).
가스쇽업소버(23)는 피스톤로드(23a)가 돌출되거나 수납되면서 신축(伸縮)된다. 상기 가스쇽업소버(23)는 피스톤로드(23a)의 전단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의 일측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가스쇽업소버(23)의 후단이 상기 시트백힌지(13)의 하단에 힌지연결된다. 상기 가스쇽업소버(23)가 압축된 상태로부터 신장되면, 상기 가스쇽업소버(23)의 후단이 상기 힌지축(13a)의 하단을 뒤로 밀어냄으로써,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이 세워지도록 한다.The gas shock absorber (23) is expanded and contracted as the piston rod (23a) is protruded or retracted. The gas shock absorber (23) is installed such that the front end of the piston rod (23a) is fixed to one side of the seat cushion frame (11), and the rear end of the gas shock absorber (23) is hinge-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seat back hinge (13). When the gas shock absorber (23) is expanded from a compressed state, the rear end of the gas shock absorber (23) pushes the lower end of the hinge shaft (13a) backward, thereby causing the seat back frame (12) to be erected.
상기 가스쇽업소버(23)는 상기 피스톤로드(23a)의 단부에 체크밸브가 설치되어, 상기 피스톤로드(23a)의 단부에 설치된 체크밸브버튼(23b)이 눌러지면 신장되도록 반력이 작동하고 상기 체크밸브버튼(23b)이 눌러지지 않으면 그 상태를 유지하는 프리락(Free-Lock) 타입의 상용의 쇽업소버이다. 이에 따라, 상기 체크밸브버튼(23b)이 눌러지면, 상기 가스쇽업소버(23)가 상기 시트백힌지(13)의 하단을 밀어내어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이 세워지도록 리턴시킨다.The above gas shock absorber (23) is a commercial shock absorber of the free-lock type, which has a check valve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iston rod (23a), and operates to extend when the check valve button (23b) installed at the end of the piston rod (23a) is pressed, and maintains that state when the check valve button (23b) is not pressed. Accordingly, when the check valve button (23b) is pressed, the gas shock absorber (23) pushes the lower end of the seat back hinge (13) to return the seat back frame (12) so that it is erected.
상기 가스쇽업소버(23)와 상기 푸시암(22) 사이에 후술되는 조작부(24)가 구비된다.An operating part (24) described later is provided between the above gas shock absorber (23) and the push arm (22).
상기 시트(1)의 탑승자가 상기 작동레버(21)를 조작하면, 상기 푸시암(22)이 회전하고, 상기 푸시암(22)이 상기 조작부(24)를 통하여 상기 가스쇽업소버(23)를 신장시켜,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이 세워지도록 한다.When the passenger of the above seat (1) operates the operating lever (21), the pushing arm (22) rotates, and the pushing arm (22) extends the gas shock absorber (23) through the operating part (24), thereby causing the seat back frame (12) to be erected.
상기 시트(1)에 착석한 탑승자뿐만 아니라, 본 발명의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에서도 상기 시트(1)의 후방에서도 상기 시트(1)의 시트백프레임(12)이 세워지도록 한다. Not only for the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1), but also in the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atback frame (12) of the seat (1) is raised at the rear of the seat (1).
이를 위하여, 상기 가스쇽업소버(23)를 작동시키는 푸시레버(25)와, 상기 푸시레버(25)가 작동되도록 상기 시트(1)의 후방에서 조작되는 푸시로드(26)와, 상기 푸시암(22)과 상기 푸시레버(25) 중 어느 하나가 조작되면 상기 가스쇽업소버(23)가 작동되도록 하는 조작부(24)를 포함한다.To this end, it includes a push lever (25) that operates the gas shock absorber (23), a push rod (26) that is operated at the rear of the seat (1) so that the push lever (25) is operated, and an operating unit (24) that operates the gas shock absorber (23) when either the push arm (22) or the push lever (25) is operated.
푸시로드(26)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고 그 후단이 상기 시트(1)의 후방으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시트(1)의 후방에서 상기 푸시로드(26)의 후단을 조작하도록 한다. 상기 푸시로드(26)는 상기 시트(1)의 후방에 위치한 다른 시트(1), 즉 후석(後席)에서 조작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후석에서 상기 푸시로드(26)의 후단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시트백을 원위치로 복원시킨다.The push rod (26) is installed so that it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and its rear end is exposed to the rear of the seat (1). The rear end of the push rod (26) is operated from the rear of the seat (1). The push rod (26) can be operated from another seat (1)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at (1), i.e., the rear seat. By operating the rear end of the push rod (26) from the rear seat, the seat back is restored to its original position.
상기 푸시로드(26)의 단부에는 상기 후석의 탑승자가 잡고 조작하는 푸시버튼(26a)이 형성된다. 상기 후석의 탑승자는 상기 푸시버튼(26a)을 조작함으로써, 상기 푸시로드(26)가 조작되도록 한다.A push button (26a) that is held and operated by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is formed at the end of the above push rod (26).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perates the push button (26a) to operate the push rod (26).
푸시레버(25)는 중간부분이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힌지연결된다. 상기 푸시레버(25)의 하단은 상기 푸시로드(26)의 전단에 힌지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푸시로드(26)에 의해 상기 푸시레버(25)는 회전한다.The middle portion of the push lever (25) is hinge-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11). The lower end of the push lever (25) is hinge-connected to the front end of the push rod (26), so that the push lever (25) rotates by the push rod (26).
조작부(24)는 일단이 상기 푸시레버(25)와 상기 가스쇽업소버(23) 사이에 위치하고, 타단은 상기 시트(1)에 착석한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는 작동레버(21)에 의해 회전하는 푸시암(22)에 연결되며, 상기 푸시암(22)과 상기 푸시레버(25) 중 어느 하나가 작동하면 상기 조작부(24)는 상기 가스쇽업소버(23)를 작동시킨다. The operating part (24) is positioned at one end between the push lever (25) and the gas shock absorber (23), and at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a push arm (22) that rotates by an operating lever (21) operated by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1), and when either the push arm (22) or the push lever (25) is operated, the operating part (24) operates the gas shock absorber (23).
예컨대, 상기 조작부(24)는 U자를 뒤집은 형태로 형성되어, 상부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조작부(24)의 일단의 외측면은 상기 가스쇽업소버(23)의 전단, 즉 상기 체크밸브버튼(23b)에 접한다. 또한, 상기 조작부(24)에서 일단의 내측면은 상기 푸시레버(25)의 상단에 접한다. 따라서, 상기 조작부(24)의 일단은 상기 가스쇽업소버(23)의 전단과 상기 푸시레버(25)의 상단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조작부(24)의 타단은 상기 푸시암(22)에 접하고 있다.For example, the operating part (24) may be formed in a U-shaped shape that is turned upside down, so that the upper part can be installed in a rotatably state on the seat cushion frame (11). The outer surface of one end of the operating part (24) is in contact with the front end of the gas shock absorber (23), that is, the check valve button (23b). In addition, the inner surface of one end of the operating part (24) is in contact with the upper end of the push lever (25). Therefore, one end of the operating part (24) is located between the front end of the gas shock absorber (23) and the upper end of the push lever (25). The other end of the operating part (24) is in contact with the push arm (22).
상기 조작부(24)의 상부는 힌지축(24a)을 통하여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The upper part of the above operating part (24)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frame (11) via a hinge axis (24a).
상기 조작부(24)에서 중간부분에 수용부(24b)가 형성된다. 상기 수용부(24b)에 상기 푸시레버(25)의 상단이 수용됨으로써, 상기 작동레버(21)의 조작시 상기 푸시레버(25)와 독립적으로 상기 푸시암(22)이 상기 가스쇽업소버(23)를 작동시키도록 한다.A receiving portion (24b) is formed in the middle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portion (24). The upper portion of the above-mentioned push lever (25) is received in the receiving portion (24b), so that when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lever (21) is operated, the above-mentioned push arm (22) operates the above-mentioned gas shock absorber (23) independently of the above-mentioned push lever (25).
상기 조작부(24)는 상기 푸시암(22) 또는 상기 푸시레버(25)가 조작되면, 회전하여 상기 가스쇽업소버(23)의 상기 체크밸브버튼(23b)을 누른다.When the push arm (22) or the push lever (25) is operated, the above operating part (24) rotates and presses the check valve button (23b) of the gas shock absorber (23).
상기 조작부(24)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될 수도 있다(도 11 참조). 상기 조작부(24)는 상기 푸시암(22) 또는 상기 푸시레버(25)의 회전시 슬라이딩되어 상기 가스쇽업소버(23)의 상기 체크밸브버튼(23b)을 누를 수 있다.The above-mentioned operating part (24) may be installed slidably on the seat cushion frame (11) (see Fig. 11). The above-mentioned operating part (24) may be slid when the above-mentioned pushing arm (22) or the above-mentioned pushing lever (25) is rotated to press the above-mentioned check valve button (23b) of the above-mentioned gas shock absorber (23).
한편,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없는 경우에 한하여, 상기 시트(1)의 후방에서 상기 시트백프레임(12)에 세워지도록 한다.Meanwhile, only when there is no passenger in the seat (1), it is installed on the seat back frame (12) at the rear of the seat (1).
이를 위하여, 상기 시트(1)에 탑승자의 착석 유무에 따라 작동하는 착석연동유닛(30)과,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탑승한 경우,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하는 락킹유닛(40)을 구비한다.To this end, a seating linkage unit (30) that operates depending on whether a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1) and a locking unit (40) that restrains the push rod (26) when a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1) are provided.
착석연동유닛(30)은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착석하여 하방으로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하중(P)이 작용하면, 상기 락킹유닛(40)이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하도록 한다. 상기 푸시로드(26)가 구속되면, 상기 시트(1)의 후방에서 상기 푸시버튼(26a)을 조작하더라도, 상기 푸시로드(26)를 작동하지 않게 된다.The seating linkage unit (30) causes the locking unit (40) to restrain the push rod (26) when a passenger sits on the seat (1) and a load (P)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downward. When the push rod (26) is restrained, even if the push button (26a) is operated from the rear of the seat (1), the push rod (26) will not be operated.
착석연동유닛(30)은 상기 시트(1)에 탑승자의 착석 유무에 따라, 후술되는 락킹유닛(40)의 작동유무를 결정하도록 한다.The seating linkage unit (30) determines whether the locking unit (40) described below operates depending on whether a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1).
상기 착석연동유닛(30)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이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탑승자의 착석으로 하중이 작용하면 하강하면서 상기 락킹유닛(40)을 작동시키는 하부플레이트(31)와, 상기 하부플레이트(31)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락킹유닛(40)이 설치되는 하우징(32)과, 상기 하부플레이트(31)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는 리턴스프링(33)을 포함한다.The above seating linkage unit (30) includes a lower plate (31) on which the seat cushion frame (11)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ise and fall, and which operates the locking unit (40) by lowering when a load is applied due to a passenger's sitting, a housing (32) that is fixedly installed to the seat cushion frame (11)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lower plate (31) and on which the locking unit (40) is installed, and a return spring (33)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plate (31) upward.
하부플레이트(31)는 상기 시트쿠션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탑승자가 탑승하면, 상기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부플레이트(31)를 하강한다.The lower plate (31)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up and down on the seat cushion. When a passenger gets on the seat (1), the lower plate (31) is lowered by the passenger's weight.
상기 하부플레이트(31)의 저면에 컬럼(31a)이 형성된다. 상기 컬럼(31a)의 상기 하부플레이트(31)의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컬럼(31a)의 하단에 후술되는 락킹유닛(40)이 연결되도록 한다.A column (31a) is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 The column (31a) extend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 so that a locking unit (40) described later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umn (31a).
하우징(32)은 상기 하부플레이트(31)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2)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 등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하우징(32)의 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내부에 상기 컬럼(31a)이 위치한다.The housing (32) is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at the lower portion of the lower plate (31). The housing (32) is installed in a state of being fixed to the seat cushion frame (11), etc. The housing (32)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column (31a) is positioned inside it.
상기 하우징(32)의 하단 일측에 상기 락킹유닛(40)을 설치하기 위한 브라켓(32a)이 형성된다.A bracket (32a) for installing the locking unit (40) is formed on the lower side of the housing (32).
리턴스프링(33)은 상기 하부플레이트(31)를 상방으로 탄성지지하여,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착석하지 않은 경우, 상기 하부플레이트(31)가 상승하도록 한다.The return spring (33) elastically supports the lower plate (31) upward, so that when no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1), the lower plate (31) rises.
락킹유닛(40)은 상기 착석연동유닛(30)과 상기 푸시로드(26)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착석연동유닛(30)의 상태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하거나 구속해제하도록 한다.The locking unit (40) is installed between the seating linkage unit (30) and the push rod (26) and binds or releases the push rod (26) depending on the state of the seating linkage unit (30).
상기 락킹유닛(40)은 상기 하우징(32)에 중간부분이 힌지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하부플레이트(31)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31)가 하강하면 상기 푸시로드(26)를 락킹하는 락킹로드(41)를 포함한다.The above locking unit (40) includes a locking rod (41) whose middle portion is hinge-connected to the housing (32), one end is hinge-connected to the lower plate (31), and which locks the push rod (26) when the lower plate (31) is lowered.
상기 락킹로드(41)는 일단은 상기 컬럼(31a)에 힌지연결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브라켓(32a)에 힌지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푸시로드(26)의 하방에 위치한다.The above locking rod (41) is hinge-connected at one end to the column (31a), hinge-connected at the middle end to the bracket (32a), and positioned at the bottom of the push rod (26).
상기 락킹로드(41)는 상기 푸시로드(26)와 대략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즉, 상기 푸시로드(26)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배치되는데 비하여, 상기 락킹로드(41)는 상기 차량의 폭방향으로 배치된다. 상기 락킹로드(41)와 상기 푸시로드(26)가 서로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락킹로드(41)가 상기 푸시로드(26)에 결합되면, 상기 푸시로드(26)의 작동이 제한된다.The above locking rod (41) is arranged in a direction approximately perpendicular to the push rod (26). That is, the push rod (26) is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whereas the locking rod (41) is arrang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vehicle. Since the locking rod (41) and the push rod (26) are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each other, when the locking rod (41) is coupled to the push rod (26), the operation of the push rod (26) is restricted.
상기 락킹로드(41)는 중간부분이 상기 브라켓(32a)에 힌지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락킹로드(41)의 일단과 타단은 서로 반대방향으로 움직인다. 즉, 상기 락킹로드(41)의 일단이 하강하면, 상기 락킹로드(41)의 타단은 상승한다.The locking rod (41) above has its middle portion hingedly connected to the bracket (32a), so th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od (41) move in opposite directions. That is, when one end of the locking rod (41) descends,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od (41) rises.
상기 락킹로드(41)의 타단은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착석하고 있을 때,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해야 하므로,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하는 락킹핀(42)이 형성된다. 상기 푸시로드(26)에는 상기 락킹핀(42)에 결합되는 락킹캐치(27)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락킹로드(41)의 타단이 상승하면 상기 락킹핀(42)이 상기 락킹캐치(27)에 걸려, 상기 푸시로드(26)를 구속한다.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od (41) is formed with a locking pin (42) that restrains the push rod (26) when a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1). The push rod (26) is formed with a locking catch (27) that is coupled to the locking pin (42), so that when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od (41) rises, the locking pin (42) catches the locking catch (27) and restrains the push rod (26).
상기 락킹로드(41)의 일측, 예컨대 상기 락킹로드(41)의 타단으로부터 정해진 길이만큼 이격된 부위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형성된 가이드(11a)에 의해 상기 락킹로드(41)의 승강이 가이드된다.One side of the locking rod (41), for example, a portion spaced apart by a set length from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od (41), is guided in the raising and lowering of the locking rod (41) by a guide (11a) formed in the seat cushion frame (11).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of the passenger-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the above configuration is described as follows.
도 6과 도 7에는 상기 시트(1)에 탑승자의 착석 유무에 따라 상기 착석연동유닛(30)과 상기 락킹유닛(40)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ures 6 and 7 illustrate the status of the seating linkage unit (30) and the locking unit (40) depending on whether a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1).
먼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착석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하부플레이트(31)에 하중이 가해지지 않으므로, 상기 착석연동유닛()에서 상기 하부플레이트(31)는 상승된 상태이고, 상기 락킹로드(41)의 일단도 상승된 상태이다. 이에 따라, 상기 락킹로드(41)의 타단은 하강되고, 상기 락킹핀(42)은 상기 락킹캐치(27)로부터 분리된다.First, as shown in Fig. 6, if a passenger is not seated on the seat (1), no load is applied to the lower plate (31), so the lower plate (31) in the seating linkage unit () is raised, and one end of the locking rod (41) is also raised. Accordingly,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od (41) is lowered, and the locking pin (42)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catch (27).
상기 락킹핀(42)과 상기 락킹캐치(27)로부터 분리된 상태이므로, 상기 푸시로드(26)는 후석의 탑승자에 의해 작동가능한 상태이다.Since the push rod (26)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pin (42) and the locking catch (27), it can be operated by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도 7은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착석한 상태로서, 상기 탑승자의 하중(P)에 의해 상기 하부플레이트(31)가 하강된다. 상기 하부플레이트(31)의 하강에 따라, 상기 락킹로드(41)의 일단도 하강하고, 상기 락킹로드(41)의 타단은 상승한 상태이다.Fig. 7 shows a state in which a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1), and the lower plate (31) is lowered by the passenger's load (P). As the lower plate (31) is lowered, one end of the locking rod (41) is also lowered, and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od (41) is raised.
상기 락킹로드(41)의 타단이 상승함에 따라, 상기 락킹핀(42)은 상기 락킹캐치(27)에 결합된다. 상기 락킹핀(42)과 상기 락킹캐치(27)의 결합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26)는 상기 차량의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구속된다.As the other end of the locking rod (41) rises, the locking pin (42) is engaged with the locking catch (27). As the locking pin (42) and the locking catch (27) are engaged, the push rod (26) is restricted from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이 상태에서는 후석의 탑승자가 상기 푸시버튼(26a)을 조작하더라도 상기 푸시로드(26)는 구속된 상태이므로, 후석에서 전석, 즉 상기 시트(1)의 시트백프레임(12)을 세우는 방향으로 조작할 수 없다.In this state, even if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perates the push button (26a), the push rod (26) is restrained, so it cannot be operated in the direction of raising the seat back frame (12) of the seat (1) from the rear seat to the front seat.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 상기 탑승자가 상기 작동레버(21)를 조작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이 세워지도록 한다.When a passenger is riding in the above seat (1), the passenger operates the operating lever (21) to raise the seat back frame (12).
상기 탑승자가 상기 작동레버(21)를 조작하면(도 8의 화살표 ① 참조), 상기 푸시암(22)이 함께 회전한다(도 8의 화살표 ② 참조). 상기 푸시암(22)이 회전하면서, 상기 조작부(24)를 누르면, 상기 조작부(24)가 회전하고(도 8의 화살표 ③ 참조), 상기 조작부(24)가 상기 가스쇽업소버(23)의 체크밸브버튼(23b)을 누른다(도 8의 화살표 ④ 참조).When the above passenger operates the operating lever (21) (see arrow ① in Fig. 8), the push arm (22) rotates together (see arrow ② in Fig. 8). When the push arm (22) rotates and the operating part (24) is pressed, the operating part (24) rotates (see arrow ③ in Fig. 8), and the operating part (24) presses the check valve button (23b) of the gas shock absorber (23) (see arrow ④ in Fig. 8).
상기 체크밸브버튼(23b)이 눌러지면, 상기 가스쇽업소버(23)가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신장되면서,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의 하단을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누르게 되어,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이 세워지도록 한다.When the above check valve button (23b) is pressed, the gas shock absorber (23) extends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thereby pressing the lower end of the seat back frame (12)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thereby causing the seat back frame (12) to be erected.
이때, 상기 푸시로드(26), 상기 푸시레버(25)는 작동하지 않으므로, 상기 푸시레버(25)의 상단은 상기 조작부(24)의 수용부(24b)의 내부에 위치한다. 특히, 상기 조작부(24)는 상기 푸시암(22)에 의해 조작되는 바, 상기 푸시레버(25)의 상단은 상기 조작부(24)의 내측면과 분리된 상태이다.At this time, since the push rod (26) and the push lever (25) do not operate, the upper end of the push lever (25) is located inside the receiving portion (24b) of the operating portion (24). In particular, since the operating portion (24) is operated by the push arm (22), the upper end of the push lever (25) is separated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operating portion (24).
만약,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탑승하고 있는 경우, 상기 탑승자의 하중에 의해 상기 하부플레이트(31)가 하강하여, 상기 착석연동유닛(30)과 상기 락킹유닛(40)에 의해 상기 푸시로드(26)가 구속된 상태이므로, 상기 시트(1)의 후석에서 상기 푸시버튼(26a)을 이용하여 상기 푸시로드(26)를 조작하려 해도,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은 세워지도록 작동하지 않는다.If a passenger is riding on the seat (1), the lower plate (31) is lowered by the passenger's weight, and the push rod (26) is restrained by the seating linkage unit (30) and the locking unit (40). Therefore, even if the push rod (26) is operated using the push button (26a) from the rear seat of the seat (1), the seat back frame (12) does not operate to be raised.
한편,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탑승하지 않은 경우, 상기 후석의 탑승자가 상기 푸시버튼(26a)을 조작하여, 상기 시트백프레임(12)에 세워지도록 한다.Meanwhile, if there is no passenger in the seat (1),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perates the push button (26a) to stand on the seat back frame (12).
상기 후석의 탑승자가 상기 푸시버튼(26a)을 조작하면, 상기 푸시로드(26)가 이동한다(도 9의 화살표 ① 참조). 상기 푸시로드(26)의 이동에 의해 상기 푸시레버(25)가 회전하면(도 9의 화살표 ② 참조), 상기 푸시레버(25)의 상단이 상기 조작부(24)를 회전시킨다(도 9의 화살표 ③ 참조). 이와 같이, 상기 조작부(24)가 회전하면, 상기 조작부(24)가 상기 가스쇽업소버(23)의 체크밸브버튼(23b)을 누른다(도 9의 화살표 ④ 참조).When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perates the push button (26a), the push rod (26) moves (see arrow ① in FIG. 9). When the push lever (25) rotates due to the movement of the push rod (26) (see arrow ② in FIG. 9), the upper end of the push lever (25) rotates the operating part (24) (see arrow ③ in FIG. 9). In this way, when the operating part (24) rotates, the operating part (24) presses the check valve button (23b) of the gas shock absorber (23) (see arrow ④ in FIG. 9).
상기 체크밸브버튼(23b)이 눌러지면, 상기 가스쇽업소버(23)가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의 하단을 상기 차량의 후방으로 눌러,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이 세워지도록 한다.When the above check valve button (23b) is pressed, the gas shock absorber (23) presses the lower part of the seat back frame (12) toward the rear of the vehicle, thereby causing the seat back frame (12) to be erected.
이와 같이, 전석에 탑승자가 탑승하고 있지 않으면, 후석의 탑승자가 상기 전석의 후방으로 노출된 상기 푸시버튼(26a)을 조작함으로써, 전석의 시트백을 세워, 후석 탑승자의 불편함을 해소하도록 한다.In this way, if there is no passenger in the front seat,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operates the push button (26a) exposed to the rear of the front seat to raise the seatback of the front seat, thereby relieving the discomfort of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도 10에는 상기 푸시로드(26)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푸시로드(26)의 후단에 상기 푸시버튼(26a)이 직접 설치되지 않고, 상기 푸시로드(26)의 후단이 연동레버(28)의 일단에 연결되도록한다. 상기 연동레버(28)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1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연동레버(28)의 타단에 상기 푸시버튼(26a)을 설치함으로써, 상기 푸시버튼(26a)을 당기면, 상기 푸시로드(26)가 전진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Fig. 10 illustrates another example of the push rod (26). The push button (26a) is not directly installed at the rear end of the push rod (26), but the rear end of the push rod (26)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linkage lever (28). The linkage lever (28)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frame (11), and by installing the push button (26a) at the other end of the linkage lever (28), the push rod (26) can be configured to move forward when the push button (26a) is pulled.
도 12 내지 도 14에는 락킹유닛(40)의 다른 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락킹유닛(40)에 상기 락킹로드(41) 대신 케이블(45)이 적용되도록 한다.Other examples of locking units (40) are shown in FIGS. 12 to 14. In this embodiment, a cable (45) is applied to the locking unit (40) instead of the locking rod (41).
상기 락킹유닛(40)은 상기 하부플레이트(31)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45)과, 상기 케이블(45)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로드(26)에 결합되는 스토퍼(46)와, 상기 스토퍼(46)를 상기 푸시로드(26) 쪽으로 탄성지지하는 락킹스프링(47)을 포함한다.The above locking unit (40) includes a cable (45)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31), a stopper (46)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cable (45) and coupled to the push rod (26), and a locking spring (47)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topper (46) toward the push rod (26).
케이블(45)은 일단이 상기 하부플레이트(31)에 형성된 상기 컬럼(31a)의 하단에 연결된다. 상기 케이블(45)이 상기 컬럼(31a)의 하단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케이블(45)의 일단은 상기 하부플레이트(31)의 승강에 연동한다.One end of the cable (45)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umn (31a) formed on the lower plate (31). Since the cable (45)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column (31a), one end of the cable (45) is linked to the elevation of the lower plate (31).
스토퍼(46)는 상기 케이블(45)의 타단에 연결된다. 상기 스토퍼(46)가 상기 케이블(45)의 타단에 연결되어 있어서, 상기 케이블(45)의 일단이 당겨지거나 풀어지면, 상기 스토퍼(46)도 상기 케이블(45)에 따라 이동한다. 상기 스토퍼(46)는 상기 시트(1)에 탑승자의 착석유무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26)에 결합되어, 상기 푸시로드(26)의 작동을 제한한다. 상기 스토퍼(46)는 상기 푸시로드(26)에 결합되어야 하므로, 상기 푸시로드(26)에는 상기 스토퍼(46)가 결합되는 관통공(26b)이 형성된다.The stopper (4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45). Since the stopper (46) is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cable (45), when one end of the cable (45) is pulled or released, the stopper (46) also moves along with the cable (45). The stopper (46) is coupled to the push rod (26) depending on whether or not an occupant is seated on the seat (1), and restricts the operation of the push rod (26). Since the stopper (46) must be coupled to the push rod (26), a through hole (26b) to which the stopper (46) is coupled is formed in the push rod (26).
락킹스프링(47)은 상기 스토퍼(46)를 상기 푸시로드(26) 쪽으로 탄성 지지한다. The locking spring (47) elastically supports the stopper (46) toward the push rod (26).
상기 하우징(32)에는 상기 케이블(45)의 장력을 유지하도록 풀리(32b)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32)에 형성된 상기 브라켓(32a)에 상기 풀리(32b)를 설치하고, 상기 케이블(45)이 상기 풀리(32b)를 지나도록 함으로써, 상기 케이블(45)이 적정한 장력을 유지토록 한다.The housing (32) is provided with a pulley (32b) to maintain the tension of the cable (45). The pulley (32b) is installed in the bracket (32a) formed in the housing (32), and the cable (45) passes through the pulley (32b), thereby allowing the cable (45) to maintain an appropriate tension.
도 13과 도 14는 도 12의 A부분의 확대도로서, 도 13은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착석하고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스토퍼(46)와 상기 푸시로드(26)의 상태가 도시되어 있고, 도 14는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착석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Figures 13 and 14 are enlarged views of part A of Figure 12. Figure 13 shows the state of the stopper (46) and the push rod (26) when no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1), and Figure 14 shows the state when a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1).
상기 탑승자가 상기 시트(1)에 착석하고 있지 않으면, 상기 하부플레이트(31)는 상승되고, 상기 케이블(45)은 상기 하부플레이트(31) 쪽으로 이동하게 되어, 상기 스토퍼(46)는 상기 관통공(26b)으로부터 분리된다(도 13 참조). 이에 따라, 상기 푸시로드(26)는 작동이 제한되지 않으므로, 상기 시트(1)의 후방에 위치한 후석의 탑승자가 상기 푸시버튼(26a)을 조작하여, 상기 시트(1)의 시트백프레임(12)을 세울 수 있다.If the passenger is not seated on the seat (1), the lower plate (31) is raised, the cable (45) moves toward the lower plate (31), and the stopper (46) is separated from the through hole (26b) (see FIG. 13). Accordingly, since the operation of the push rod (26) is not restricted, the passenger in the rear seat located at the rear of the seat (1) can operate the push button (26a) to raise the seatback frame (12) of the seat (1).
한편, 상기 시트(1)에 탑승자가 착석한 상태라면, 상기 하부플레이트(31)는 하강하고, 상기 락킹스프링(47)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스토퍼(46)가 상기 푸시로드(26)의 관통공(26b)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46)와 상기 푸시로드(26)가 결합된다(도 14 참조). 상기 푸시로드(26)는 상기 스토퍼(46)에 의해 이동이 제한되어 있으므로, 상기 시트(1)의 후방에서 상기 푸시버튼(26a)을 조작하더라도, 상기 시트백프레임(12)은 세워지도록 작동하지 않는다.Meanwhile, if a passenger is seated on the seat (1), the lower plate (31) is lowered, and the stopper (46)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26b) of the push rod (26) by the elastic force of the locking spring (47), so that the stopper (46) and the push rod (26) are coupled (see FIG. 14). Since the movement of the push rod (26) is restricted by the stopper (46), even if the push button (26a) is operated from the rear of the seat (1), the seat back frame (12) does not operate to be erected.
1 : 시트 11 : 시트쿠션프레임
11a : 가이드 12 : 시트백프레임
13 : 시트백힌지 13a : 힌지축
21 : 작동레버 22 : 푸시암
23 : 가스쇽업소버 23a : 피스톤로드
23b : 체크밸브버튼 24 : 조작부
24a : 회전축 24b : 수용부
25 : 푸시레버 26 : 푸시로드
26a : 푸시버튼 26b : 관통공
27 : 락킹캐치 28 : 연동레버
30 : 착석연동유닛 31 : 하부플레이트
31a : 컬럼 32 : 하우징
32s : 브라켓 32b : 풀리
33 : 리턴스프링 40 : 락킹유닛
41 : 락킹로드 42 : 락킹핀
45 : 케이블 46 : 스토퍼
47 : 락킹스프링 100 : 시트
111 : 시트프레임 112 : 시트백프레임
113 : 시트백힌지 121 : 작동레버
122 : 푸시암 123 : 가스쇽업소버
123a : 피스톤로드 123b : 체크밸브버튼
123b : 체크밸브버튼1: Seat 11: Seat cushion frame
11a : Guide 12 : Seat back frame
13: Seatback hinge 13a: Hinge shaft
21: Operating lever 22: Push arm
23: Gas shock absorber 23a: Piston rod
23b: Check valve button 24: Control unit
24a: Rotating axis 24b: Receiving part
25 : Push lever 26 : Push rod
26a : Push button 26b : Through hole
27: Locking catch 28: Linkage lever
30: Seat linkage unit 31: Lower plate
31a : Column 32 : Housing
32s : Bracket 32b : Pulley
33: Return spring 40: Locking unit
41: Locking rod 42: Locking pin
45 : Cable 46 : Stopper
47 : Locking spring 100 : Seat
111: Seat frame 112: Seat back frame
113: Seatback hinge 121: Operating lever
122: Push arm 123: Gas shock absorber
123a: Piston rod 123b: Check valve button
123b : Check valve button
Claims (16)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을 세우는 가스쇽업소버를 작동시키는 푸시레버;
상기 시트의 후방에서 조작되고, 상기 푸시레버를 작동시키는 푸시로드;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거나 해제하는 락킹유닛; 및
상기 시트에 미리 정해진 크기 이상의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락킹유닛이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도록 상기 락킹유닛을 작동시키는 착석연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하여 상기 착석연동유닛에 상기 하중이 작용하면, 상기 락킹유닛이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며,
상기 시트로부터 상기 탑승자가 이석(離席)하면 상기 락킹유닛이 상기 푸시로드의 구속을 해제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a seat back return device for raising the seat back frame that has been tilted backwards in a vehicle seat, the seat back return device includes a seat cushion frame and a seat back frame hingedly connected to the seat cushion frame.
A push lever that operates a gas shock absorber that erects the above seat cushion frame;
A push rod operated at the rear of the above sheet and operating the above push lever;
A locking unit for binding or releasing the above push rod; and
A seating linkage unit is included that operates the locking unit to restrain the push rod when a load greater than a predetermined size is applied to the seat;
When a passenger sits on the above seat and the load is applied to the seating linkage unit, the locking unit restrains the push rod.
When the passenger leaves the seat, the locking unit releases the restraint of the push rod.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푸시레버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중간부분이 힌지연결되고,
상기 푸시레버의 하단은 상기 푸시로드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푸시로드가 조작되면 상기 푸시레버의 상단이 상기 가스쇽업소버를 눌러 상기 가스쇽업소버를 작동시키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push lever is hinged at the middle to the seat cushion frame,
The lower end of the above push lever is hingedly connected to the above push rod,
When the above push rod is operated, the upper part of the above push lever presses the above gas shock absorber to operate the above gas shock absorber.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착석연동유닛은,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승강가능하게 설치되고, 하강하면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도록 상기 락킹유닛을 작동시키는 하부플레이트; 및
상기 하부플레이트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기 락킹유닛이 설치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The above seating linkage unit is,
A lower plate that is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be lifted on the above seat cushion frame and operates the locking unit to restrain the push rod when lowered; and
A housing including a locking unit installed therein and fixedly installed to the seat cushion frame so as to be positioned below the lower plate;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상기 탑승자가 이석하면, 상기 하부플레이트를 상승시키는 리턴스프링이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When the passenger sits inside the housing, a return spring is installed to raise the lower plate.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하우징에 중간부분이 힌지연결되고, 일단이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힌지연결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하강하면 타단이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는 락킹로드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locking unit,
A locking rod having a middle portion hingedly connected to the housing, one end hingedly connected to the lower plate, and the other end restraining the push rod when the lower plate is lowered.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하우징에 상기 락킹로드의 중간 부분이 힌지연결되는 브라켓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는 그 저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상기 락킹로드의 일단에 힌지연결되는 컬럼이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paragraph 5,
A bracket is formed in the housing to which the middle part of the locking rod is hingedly connected,
The above lower plate extends downward from its bottom surface to form a column hinged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above locking rod.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락킹로드의 타단에는 상기 푸시로드를 구속하는 락킹핀이 구비되고,
상기 푸시로드에 상기 락킹핀에 결합되는 락킹캐치가 구비되며,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하강하면 상기 락킹핀이 상기 락킹캐치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상승하면, 상기 락킹핀이 상기 락킹캐치로부터 분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paragraph 5,
The other end of the above locking rod is provided with a locking pin that restrains the above push rod,
The above push rod is provided with a locking catch that is coupled to the above locking pin,
When the above lower plate is lowered, the above locking pin is engaged with the above locking catch,
When the lower plate is raised, the locking pin is separated from the locking catch.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락킹로드는 상기 푸시로드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paragraph 5,
The above locking rod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above push rod.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일측이 상기 푸시레버와 상기 가스쇽업소버 사이에 위치하는 조작부와,
상기 시트에 착석한 탑승자에 의해 조작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작동레버와,
상기 조작부의 타측에 접하도록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푸시암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One side is an operating part located between the above push lever and the above gas shock absorber,
An operating lever in which the seat cushion frame is rotatably installed so as to be operated by a passenger seated on the seat,
It further includes a push arm tha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frame so as to contact the other side of the above operating unit.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조작부는,
상기 작동레버의 조작시 상기 푸시레버와 독립적으로 상기 푸시암이 상기 가스쇽업소버를 작동시키도록 상기 푸시레버의 상단이 수용되는 수용부가 형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Article 9,
The above operating part,
When the operating lever is operated, a receiving portion is formed to receive the upper end of the push lever so that the push arm operates the gas shock absorber independently of the push lever.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조작부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Article 9,
The above operating part is rotatably installed on the seat cushion frame.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조작부는 상기 시트쿠션프레임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Article 9,
The above operating part is installed so as to be slidable on the seat cushion frame.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푸시로드의 후단에 상기 시트의 후방에서 상기 푸시로드가 전진하도록 조작하는 푸시버튼이 구비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the first paragraph,
A push button is provided at the rear end of the above push rod to operate the push rod to advance from the rear of the above seat.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푸시버튼과 상기 푸시로드의 후단 사이에 상기 푸시버튼을 후방으로 당기면 상기 푸시로드를 전진시키는 연동레버가 설치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Article 13,
A linkage lever is installed between the above push button and the rear end of the above push rod to advance the above push rod when the above push button is pulled rearward.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락킹유닛은,
상기 하부플레이트에 일단이 연결되는 케이블;
상기 케이블의 타단에 설치되고, 상기 푸시로드에 결합되는 스토퍼; 및
상기 스토퍼를 상기 푸시로드 쪽으로 탄성지지하는 락킹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하강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푸시로드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상승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푸시로드로부터 분리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the third paragraph,
The above locking unit,
A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above lower plate;
A stopper installed at the other end of the above cable and coupled to the above push rod; and
Includes a locking spring that elastically supports the stopper toward the push rod,
When the above lower plate is lowered, the above stopper is coupled to the above push rod,
When the above lower plate rises, the above stopper is separated from the above push rod.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상기 푸시로드에 상기 스토퍼가 삽입되는 관통공이 형성되고, 상기 하부플레이트가 하강하면, 상기 스토퍼가 상기 관통공에 삽입되어 상기 스토퍼가 상기 푸시로드에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탑승자 감응형 시트백 리턴 장치.In Article 15,
A through hole into which the stopper is inserted is formed in the above push rod, and when the lower plate is lowered, the stopper is inserted into the through hole and the stopper is coupled to the push rod.
An occupant-sensitive seatback return device featuring: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1824A KR20240173038A (en) | 2023-06-02 | 2023-06-02 | Seat-back returning apparatus of passenger sensitive type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30071824A KR20240173038A (en) | 2023-06-02 | 2023-06-02 | Seat-back returning apparatus of passenger sensitive type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173038A true KR20240173038A (en) | 2024-12-10 |
Family
ID=938498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0071824A Pending KR20240173038A (en) | 2023-06-02 | 2023-06-02 | Seat-back returning apparatus of passenger sensitive type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173038A (en)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0747A (en) | 2005-12-09 | 2007-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ar seat return device for minivan vehicles |
-
2023
- 2023-06-02 KR KR1020230071824A patent/KR20240173038A/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70060747A (en) | 2005-12-09 | 2007-06-13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Rear seat return device for minivan vehicles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746389A (en) | Folding seats for automotive vehicles | |
US7255399B2 (en) | Thin profile folding vehicle seat | |
EP1558460B1 (en) | Seat cushion presenter device for folding seat | |
EP1387779B1 (en) | Vehicle seat | |
KR101407198B1 (en) | A folded flat seat assembly having rearward folding motion | |
EP2066525B1 (en) | Stand up seat assembly with retractable rear leg | |
US5700055A (en) | Seat back automatic height adjustor and recliner mechanism | |
GB2425945A (en) | Fold and tumble vehicle seat with release pulley system | |
US7201437B2 (en) | Vehicle seat assembly with biased headrest | |
US20060145524A1 (en) | Motor vehicle seat | |
WO2007006122A1 (en) | Bench seat with movable bolsters | |
US7552972B2 (en) | Power assist fold and tumble vehicle seat | |
CN109177832B (en) | Folding seat | |
KR101263153B1 (en) | The folding device which is the work of the seat for a car | |
KR20230064716A (en) | Device for adjusting seat of vehicle | |
KR100461102B1 (en) | A reclining device for a rear seat in automobile | |
EP2855196B1 (en) | Fold and kneel seat wtih rearward folding motion | |
JP2005041274A (en) | Sheet device | |
EP1470023A1 (en) | Vehicle seat having a head restraint independent from its backrest | |
US3498670A (en) | Wehicle seats | |
KR20240173038A (en) | Seat-back returning apparatus of passenger sensitive type | |
US11752905B2 (en) | Device for providing fatigue-reducing position of vehicle seat | |
KR100559597B1 (en) | Seatback angle adjustment structure for automobile fold and dive seat | |
KR20110023201A (en) | Automatic change of headrest height of car seat | |
KR100197259B1 (en) | Auxiliary seat folding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602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