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867A -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8867A KR20240048867A KR1020220128685A KR20220128685A KR20240048867A KR 20240048867 A KR20240048867 A KR 20240048867A KR 1020220128685 A KR1020220128685 A KR 1020220128685A KR 20220128685 A KR20220128685 A KR 20220128685A KR 20240048867 A KR20240048867 A KR 2024004886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learning
- information
- language
- word
- control uni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40—Processing or translation of natural language
- G06F40/58—Use of machine translation, e.g. for multi-lingual retrieval, for server-side translation for client devices or for real-time translatio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9—Time management, e.g. calendars, reminders, meetings or time accounting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20—Image preprocessing
- G06V10/24—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 G06V10/247—Aligning, centring, orientation detection or correction of the image by affine transforms, e.g. correction due to perspective effects; Quadrilaterals, e.g. trapezoid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50—Context or environment of the image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20/00—Scenes; Scene-specific elements
- G06V20/60—Type of objects
- G06V20/62—Text, e.g. of license plates, overlay texts or captions on TV image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9—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0—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41—Analysis of document content
- G06V30/413—Classification of content, e.g. text, photographs or tables
-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 특정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에 대한 어학 학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저장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가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학습에 함께 이용되도록,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에 포함된 문장 또는 단어에 대한 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전자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PC, 자동화 기기 등)의 보급이 대중화되었으며, 이에 따라 일상생활의 많은 부분에서 전자기기에 대한 의존도가 점차적으로 높아지고 있다.
특히, 전자기기를 통해 학습자에게 언어 학습을 위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서비스들이 개발 및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서비스의 일환으로, 사용자가 입력한 텍스트에 대한 번역 정보를 제공하고, 제공된 번역 정보를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가 제공되고 있다. 나아가, 최근에는 전자기기를 통하여 학습자가 주도적으로 학습을 진행하고, 학습 상황을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가 제공되고 있으며, 그 활용도가 매우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최근 이러한 서비스는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텍스트에 대한 번역 정보 및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사용자가 학습을 원하는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소요되는 시간과 노력을 절감하고자 하는 니즈가 존재한다.
이러한 니즈를 해결하고자,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인식하여,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번역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이 도입되고 있다. 특히,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317482호는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문장에 대한 번역 및 해당 문장과 관련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어학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번역 정보를 제공하는 데에 집중되어 있다. 이에,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와 연계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문장 및 단어에 대한 학습 정보를 저장하고, 저장된 학습 정보를 학습자의 측면에서 보다 효율적으로 직관적으로 관리하고, 학습에 활용할 수 있는 서비스에 대한 고려가 더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보다 편리한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에게 보다 직관적으로 효율적으로 외국어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은,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와 연계하여,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정보를 보다 직관적이고 유기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위에서 살펴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 특정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에 대한 어학 학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저장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가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학습에 함께 이용되도록,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라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학습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어학 학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저장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가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학습에 함께 이용되도록,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 특정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어학 학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저장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가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학습에 함께 이용되도록,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텍스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사용자가 촬영한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번역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번역 정보를 검색하기 위하여 별도의 텍스트를 입력하여 검색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학습 대상 이미지와 학습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정보를 연계하여 함께 저장함으로써, 학습 대상 및 학습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은, 학습 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GUI(graphic user interface)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별도의 학습을 위한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학습 대상 이미지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학습 대상 이미지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9a 및 도 9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학습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라 인식된 텍스트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라 학습 수준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정보를 학습 대상 이미지와 함께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학습을 위한 학습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정보를 이용한 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문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 중 하나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단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 중 하나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문장 중 일부를 문구로써 학습 정보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하여, 예문, 유의어, 반의어 및 활용형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된 단어들에 대한 학습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번역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결과 중 적어도 일부를 학습 정보로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라 학습 대상 이미지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4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학습 대상 이미지를 특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데이터베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를 포함하는 화면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9a 및 도 9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학습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라 인식된 텍스트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라 학습 수준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정보를 학습 대상 이미지와 함께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학습을 위한 학습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정보를 이용한 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문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 중 하나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단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 중 하나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문장 중 일부를 문구로써 학습 정보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하여, 예문, 유의어, 반의어 및 활용형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된 단어들에 대한 학습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번역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결과 중 적어도 일부를 학습 정보로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한 텍스트에 포함된 문장 또는 단어를 이용하는 학습을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이 때, 어학 서비스는, 사용자가 외국어 텍스트에 대한 번역을 포함하는 의미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를 의미하여, 이 외에도 외국어 텍스트를 활용하는 암기 학습 및 청각 학습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학습을 진행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서비스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한 학습 대상 이미지(또는,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에 기반하여, 학습 서버(300)로부터 학습 대상 이미지에서 인식된 텍스트와 관련된 학습 정보(또는 어학 학습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학습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학습 서버(300)는, 번역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버로, 특정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된 텍스트 정보(예: 단어 ID)를 수신하고, 수신한 텍스트 정보와 관련된 의미 정보를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제공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서버(300)는, 사전 서비스와 연계되어 특정 언어로 된 텍스트에 대한 번역 또는 의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200)은 학습자의 단말기에 해당하고,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학습자 단말기에서 구현되는 어학 서비스 제공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서버(300)는, “어학 서버”, “사전 서버”, “번역 서버”, “번역기 서버”, “어학 서비스 서버” 등으로 혼용되어 명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학습 서버(300)는, 특정 언어로 된 텍스트와 관련하여 i) 문장에 대한 번역 정보, ii)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 iii) 단어를 활용하는 문장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단어를 활용하는 문장 정보는 단어를 포함하는 임의의 문장 및 해당 문장에 대한 번역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는, i) 단어의 뜻, ii) 단어에 대한 유의어 및 반의어, 및 iii) 단어의 활용형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학습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는, 학습 서버(300)의 관리자에 의해 입력된 정보일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학습 서버(300)에 저장된 정보는, 학습 서버(300)가 지정된 데이터베이스(예: 외부 저장소(100a))로부터 일정한 주기로 불러오는 정보일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서버(300)는, 번역 서비스와 연계된 어학 학습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특정 언어로 된 텍스트에 대한 번역과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어, 번역을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나아가,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웹서비스 형태로, 사용자 단말(200)에 어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 단말(200)상에서의 사용자의 요청에 의하여 사용자 단말(200) 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또는 사용자 단말(200) 출고 당시, 사용자 단말(200)에 설치되어 존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을 구현하는 애플리케이션은,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외부 데이터(data) 저장소(또는 외부 서버(server))로부터 다운로드(download)되어, 사용자 단말(200) 상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00) 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는 경우, 특정 언어로 된 텍스트에 대한 번역 및/또는 의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일련의 과정이 진행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웹서비스 형태로, 사용자 단말(200)에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 또한 가능하다.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화면(또는 페이지)는 어학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 및 어학 학습을 위한 GUI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화면은 애플리케이션의 실행화면이 될 수 있고,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웹서비스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 상기 페이지는 웹페이지로 이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정보들은 “화면” 또는 “페이지”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언급되는 사용자 단말(200)은,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이 동작 가능한 전자 기기이면 되며, 그 종류에 특별한 제한을 두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notebook computer), 휴대용 컴퓨터(laptop computer),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데스크톱 컴퓨터(desk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 (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 (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통신부(110), 저장부(120) 및 제어부(1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위의 구성요소들은, 소프트웨어적인 구성요소로서, 사용자 단말(200)의 하드웨어적인 구성요소와 연동하여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통신 모듈(예를 들어, 이동통신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위치정보 모듈, 방송 수신 모듈 등)의 구성을 이용하여, 본 발명과 관련된 정보(또는 데이터)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기기(또는 외부 서버,100a)와 송수신 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메모리 및 외부 저장소(또는 외부 서버,100a)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어학 서비스와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시스템과 관련된 정보, 또는 명령들을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저장부(120)에 “저장된다”고 함은, 물리적으로는, 사용자 단말(200)의 메모리 또는 외부 저장소(또는 외부 서버, 100a)에 정보가 저장됨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 단말(200)의 메모리와 외부 저장소(또는 외부 서버, 100a)를 구분하지 않고, 모두 저장부(120)로 표현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CPU(Central Processing Unit)를 이용하여,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위에서 살펴본 구성요소들은 제어부(130)의 제어 하에 동작할 수 있으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물리적인 구성요소들에 대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특정 언어로 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정보가 출력되도록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220)를 통해, 영상 또는 사진(또는 이미지, image)에 대한 촬영이 수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입력부(미도시)를 통해 사용자로부터 정보를 입력 받을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디스플레이(210), 카메라(220) 및 입력부(미도시)의 그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이 없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특정 언어로 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학습 정보를 이용한 학습 기능에 대한 활성화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의 학습 기능에 대한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에 학습을 진행하기 위한 GUI를 표시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학습 정보를 확인하고, 학습 정보를 이용하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제어부(130)가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학습 서버(300)와 통신함으로써,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학습 정보 및 학습 정보를 이용하여 학습을 수행할 수 있는 GUI를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가 획득한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고, 학습 정보를 이용하는 학습을 위한 GUI를 표시하는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 및 도 2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획득한 학습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와 관련된 학습 정보를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하고, 학습 정보를 학습 대상 이미지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S201).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카메라(220)를 통해 촬영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를 학습 대상 이미지로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S201).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학습 대상 이미지로써 획득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어부(130)는 카메라(220) 또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또는 이미지) 파일을 학습 대상 이미지로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 카메라 또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 파일(또는 이미지)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을 학습 대상 이미지로 특정할 수 있다. 이는, 사용자 단말(20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근거할 수 있다. 또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카메라 또는 다양한 방식을 통해 획득된 이미지의 전체를 학습 대상 이미지로 특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30)가 이미지(또는 이미지 파일)를 획득하고, 획득한 이미지로부터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322)를 획득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322)를 획득하기 위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20)를 활성화함으로써, 학습 대상 이미지(322)를 획득할 수 있다.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200)에 표시된다. 이 때, 서비스 페이지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20)를 활성화할 수 있는 제1 아이콘(311)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페이지는 번역을 위해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는 번역 인터페이스(371) 및 학습 관리 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관리 아이콘(38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서비스 페이지에 포함된 제1 아이콘(31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2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도 3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활성화된 카메라(220)를 이미지를 촬영함으로써 원문 이미지(321)를 획득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2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카메라(220)를 통해 촬영되는 이미지를 프리뷰 이미지로써,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20)가 활성화된 상태에서, 제2 아이콘(312)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원문 이미지(321)를 획득할 수 있다.
이 때, 원문 이미지(321)는 적어도 하나의 언어로 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이미지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문 이미지(321)는 영어, 일어, 또는 중국어와 같이 다양한 언어 중 적어도 하나의 언어로 된 텍스트를 포함하는 이미지로 이해될 수 있으나, 원문 이미지(321)를 구성하는 텍스트의 언어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20)를 통해 획득한 원문 이미지(321)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20)를 통해 원문 이미지(321)를 촬영(또는, 획득)한 것에 응답하여, 원문 이미지(321)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사용자 단말(200)에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20)를 통해 원문 이미지(321)를 촬영한 것에 응답하여, 원문 이미지(321)와 중첩되고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크기 조절이 가능한 사각형 형태의 인터페이스(340)를 표시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촬영된 원문 이미지(321)와 함께 표시된 인터페이스(340)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원문 이미지(321)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 특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원문 이미지(321)와 함께 표시된 선택 아이콘(331)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원문 이미지(321)와 중첩되도록 표시된 사각형의 인터페이스(340) 내부 영역에 해당하는 원문 이미지(321)의 일부 영역을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 특정할 수 있다.
다만, 학습 대상 이미지(322) 특정을 위한 인터페이스(340)의 형상 또는 아이콘의 종류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원문 이미지(321)의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 특정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 및 종류의 인터페이스 또는 아이콘이면 족한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촬영한 원문 이미지(321)의 적어도 일부를 학습 대상 이미지로 특정함으로써, 사용자가 학습 대상을 별도로 입력하여 검색하는 번거로움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도 3에서 살펴본 학습 대상 이미지를 특정하는 과정은, 필수적은 것인 과정이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원문 이미지(321)가 곧 학습 대상 이미지가 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예를 들어, 카메라를 통하여 영상이 촬영되면, 촬영된 영상이 학습 대상 이미지로서 획득될 수 있다.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도 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로부터 학습 대상 이미지(422)를 특정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4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파일 아이콘(413)에 대한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파일 아이콘(413)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파일 목록(420)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파일 목록(420)은 pdf 형식의 파일 및 jpg 형식의 파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갤러리 아이콘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이미지 파일의 파일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문서 선택 버튼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pdf 형식의 파일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파일 목록(420)의 표시 방식 또는 파일 형식이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의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파일 목록(420) 중 하나의 파일에 해당하는 정보(또는 시각적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된 파일 목록(420) 중 하나의 파일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파일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선택된 파일에 해당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학습 대상 이미지(422)로 특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선택된 파일에 포함된 내용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340)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된 인터페이스(340)를 통한 입력에 응답하여, 파일에 해당하는 정보 중 적어도 일부 영역을 학습 대상 이미지(422)로 특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선택 아이콘(33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파일에 해당하는 정보 중첩되도록 표시된 사각형의 인터페이스(340) 내부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의 일부 영역을 학습 대상 이미지(422)로 특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파일에 해당하는 정보 중 일부를 학습 대상 이미지로 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도 학습 대상 이미지를 특정하는 과정은, 필수적은 것인 과정이 아니며, 본 발명에서는 파일에 해당하는 내용이 곧 학습 대상 이미지가 될 수 있음을 물론이다.
한편, 제어부(130)는 위에서 살펴본 방식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획득한 학습 대상 이미지를 학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학습 대상 이미지를 학습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학습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와 관련된 학습 정보를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S203).
한편,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 자체를 학습 서버(300)로 전송하는 것이 아니라, 학습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 원문을 학습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학습 서버(300)로 텍스트 원문을 전송함으로써, 학습 서버(300)로부터 텍스트에 대한 번역 결과로써 텍스트 번역본을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30)는 획득한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텍스트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와 관련된 학습 정보를 통신부(110)를 통해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130)가 학습 대상 이미지 또는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를 학습 서버(300)로 전송하고, 학습 서버(300)로부터 학습 정보를 수신하는 방법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학습 대상 이미지(512b) 또는 학습 대상 이미지(512b)로부터 인식된 텍스트 원문(512c)을 학습 서버(300)에 전송함으로써, 텍스트 원문(512c)에 대한 텍스트 번역본(512d)을 요청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학습 서버(300)로부터 텍스트 원문(512c)에 대한 텍스트 번역본(512d)을 수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텍스트 원문”은 학습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텍스트 자체를 의미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제어하여 단어 원문 정보(513a) 및/또는 단어 ID(513b)와 관련된 학습 정보를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512b)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 각각과 대응되는 단어 원문 정보(513a) 또는 단어 ID(513b)를 학습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전송된 단어 ID(513b)와 대응되는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단어 ID(513b)를 통해 학습 서버(300)로부터 단어의 의미 정보를 수신함으로써, 단어의 의미 정보에 대한 최신성(latest)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단어 ID(513b)를 통해 학습 서버(300)로부터 단어의 의미 정보를 수신하고, 단어의 의미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지 않음으로써, 저장부(120)의 추가적인 저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학습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S205).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텍스트 번역본을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S205).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학습 정보로써,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단,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의 도 8a, 도 8b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학습 정보를 학습 대상 이미지와 연계시켜 저장할 수 있다(S207).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정보에 대한 저장 요청에 근거하여, 학습 정보를 학습 대상 이미지와 함께 연계시켜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획득한 학습 대상 이미지(512b)를,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학습 정보와 함께 저장부(120)에 저장할 수 있다(S207). 이 때, 저장부(120)는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 내부의 데이터베이스, 외부 서버 및 학습 서버(300) 중 적어도 하나의 저장 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512b), 학습 대상 이미지(512b)로부터 인식된 텍스트 원문(512c) 및 텍스트 원문(512c)에 대해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텍스트 번역본(512d)을 포함하는 학습 정보를 사용자의 학습 노트(512a)로서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512b), 텍스트 원문(512c) 및 텍스트 번역본(512d)을 학습 페이지의 형태(또는, 단위)로, 사용자 정보(511)(또는 사용자 계정 정보(511a))와 연계하여, 사용자의 학습 노트(512a)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 정보(511)는 어학 학습 서비스(510)를 이용하는 사용자의 사용자 계정 정보(511a)(예: 사용자 ID, PW) 및 사용자가 어학 학습 서비스(510)를 사용함에 따른 학습 진도율(511b)(또는, 학습 진행율)을 포함할 수 있다. 단, 사용자 정보(511)는 상술한 예시 외에도, 사용자를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또는 사용자 계정 정보(511a)와 연동된 다양한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저장부(120)에 사용자 정보(511)(또는 사용자 계정 정보(511a))와 연계하여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노트(512a) 각각은, 학습 대상 이미지(512b), 텍스트 원문(512c) 및 텍스트 번역본(512d)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학습 대상 이미지(512b), 텍스트 원문(512c) 및 텍스트 번역본(512d)과 함께 학습 페이지의 형태로, 사용자 정보(511)(또는 사용자 계정 정보(511a))와 연계하여 학습 노트(512a)로서 저장할 수 있다. 이 때,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는, 단어에 대한 번역 뿐 아니라, 단어의 유의어, 반의어 및 활용형, 단어를 포함하는 예문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도 5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저장부(120)는 어학 학습 서비스(510)와 관련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20)는 어학 학습 서비스(510)와 관련하여, i) 서비스 제공의 대상인 사용자와 관련된 사용자 정보(511), ii) 어학 학습 서비스(510)를 통한 학습을 통해 기 저장된 학습 관련 정보(512), 및 iii) 텍스트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단어 정보(513)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학습 노트 저장과 관련된 요청(예: 저장 요청)이 수신되면, 학습 정보를 학습 대상 이미지(312b)와 함께 저장할 수 있다(S207). 이때, 학습 대상 이미지(312b) 및 학습 정보는 서로 연계되어 저장될 수 있으며, 연계되어 저장된 형태를 본 발명에서는 “학습 페이지”라고 표현할 수 있다. 나아가, 학습 노트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를 포함한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학습 정보를 학습 대상 이미지(312b)와 함께 저장함으로써, 학습 페이지의 형태로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단,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의 도 6a 및 도 6b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를 포함하는 화면(ex: GUI(Graphic User Interface)을 도시한다.
도 6a 및 도 6b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학습 노트(65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611, 612)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학습 노트(650)는, 학습 대상 이미지(621, 622)를 포함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611, 612, 613)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정보(511a)에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노트가 매칭되어 존재할 수 있다. 사용자 계정 정보(511a)와 연계되어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노트 각각은, 학습 정보 및 학습 대상 이미지(621, 622)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611, 612, 613)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a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학습 페이지(611)는 제1 학습 대상 이미지(621)(예: 도 3의 학습 대상 이미지(322)) 및 제1 학습 페이지(611)에 저장된 학습 정보에 대한 제1 학습 진행률을 나타내는 제1 그래픽 객체(631)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비록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1 학습 페이지(611)에는 상기 제1 학습 대상 이미지(621)와 연계되어 저장된 학습 정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학습 대상 이미지 단위로, 학습 정보가 저장되어, 사용자의 학습 정보로서 관리될 수 있으며, 학습 대상 이미지(621, 622)는 위에서 살펴본 학습 페이지(611, 612)에 제공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계정에는 서로 다른 복수의 학습 노트가 연계되어 존재할 수 있다. 학습 노트는, 사용자의 요청에 근거하여 복수 개 생성되는 것이 가능하며, 학습 노트 마다 서로 다른 주제, 용도 등을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위에서 살펴본 것과 같이, 각각의 학습 노트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학습 노트(예: 학습 노트(650))는 각각의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제1 학습 페이지(611), 제2 학습 페이지(612) 및 제3 학습 페이지(613)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 정보는 학습 대상 이미지(621, 622)와 함께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611, 612)로 저장되어,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611, 612)를 포함하는 학습 노트(650) 단위로 사용자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의 학습 페이지(611, 612, 613)를 포함하는 화면에 대한 입력(예: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복수의 학습 페이지(611, 612, 613)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학습 노트(650)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페이지(611, 612, 613)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하여 사용자의 학습이 진행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노트(650)에 포함된 복수의 학습 페이지(611, 612, 613) 중 하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학습 페이지(예: 제1 학습 페이지(611))에 대한 학습을 위한 학습 정보를 표시(도 9a 및 도 9b 참조)함으로써, 사용자가 선택된 학습 페이지에 대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학습 노트(650)에 포함되는 학습 페이지(611, 612) 단위로 학습 정보에 대한 학습을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학습 페이지(611, 612) 단위로 제공된 학습에 대하여, 각 학습 페이지(611, 612)에 대해 진행된 학습에 대한 학습 진행률을 독립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학습 페이지에 대한 학습이 독립적으로 진행됨에 따라, 각 학습 페이지는 서로 다른 학습 진행률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래픽 객체(631)는 제1 학습 페이지(612)에 포함된 학습 정보에 대한 학습이 진행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나고, 제2 그래픽 객체(632)는 제2 학습 페이지(612)에 포함된 학습 정보에 대한 학습이 69% 진행된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여기에서, 학습 진행률은 다양한 기준에 따라, 학습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현황을 나타내는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학습 진행률 및 제2 학습 진행률은 각각 학습 대상 이미지(621, 622)로부터 인식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의 의미 정보에 대한 암기율 또는 성취율로 이해될 수 있다. 다만, 제1 학습 진행률 및 제2 학습 진행률은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학습 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다양한 종류의 정보로 이해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학습 페이지(611, 612)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대상 이미지(621, 622)와 함께 저장된 학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학습 아이콘(63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621, 622)와 함께 저장된 학습 정보 중 적어도 하나의 단어 및 사용자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포함된 학습 대상 이미지(621, 622)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621, 622)와 함께 저장된 학습 정보 중 적어도 일부(720)를 표시할 수 있다. 단,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또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학습 페이지(611, 612, 613)의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페이지(611, 612, 613)와 함께 표시된 아이콘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복수의 학습 페이지(611, 612, 613)들에 대한 목록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학습 대상 이미지(322)에 포함된 텍스트와 관련된 학습 정보를 학습 대상 이미지와 연계하여 학습 노트에 학습 페이지의 형태로 저장함으로써, 학습 대상 및 학습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라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에 포함된 텍스트(710)를 인식하고, 인식된 텍스트(710)에 대한 학습 정보 중 적어도 일부(720)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에 대한 광학 인식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322)에 포함된 텍스트(710)의 적어도 일부를 인식할 수 있다. 이 때, 광학 인식은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220)와 같은 촬영 수단에 의해 촬영된 이미지에서 텍스트 정보를 추출할 수 있는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과 같은 광학 문자 인식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인식은 사용자 단말(200)에 저장된 파일에 포함되는 이미지 파일에 대한 OCR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에 포함된 텍스트(710)가 인식되는 것에 응답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학습 서버(300)로부터 텍스트(710)와 관련된 학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에 포함된 텍스트(710)가 인식되는 것에 응답하여, 통신부(110)를 통해 텍스트(710)와 관련된 정보를 학습 서버(300)로 전송함으로써, 학습 서버(300)로부터 텍스트(710)와 관련된 학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322)를 학습 서버(300)로 전송하고, 학습 서버(300)의 광학 인식을 통해 인식된 텍스트(710)를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통신부(110)를 통해, 학습 서버(300)로부터 광학 인식의 결과로써 인식된 텍스트(710)와 함께 텍스트(710)와 관련된 학습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학습 정보 중 적어도 일부(720)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에 포함된 텍스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의 의미 정보 중 적어도 일부(720)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학습 정보 중 적어도 일부(72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의 제목 또는 첫 문장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되는 학습 정보의 종류, 내용 및 양(quantity)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다양하게 이해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아래의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에 대한 설명과 함께 후술한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따라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9a 및 도 9b는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8a, 도 8b, 도 9a 및 도 9b를 함께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와 관련된 학습 정보(811, 812)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811)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812)를 표시할 수 있다. 단,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a 및 도 8b와 도 7을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와 함께 표시된 학습 정보(811, 812) 중 적어도 일부(720)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텍스트(710)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811)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812)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811)과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812)를 별도의 그래픽 객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그래픽 객체는 탭으로 명명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1 탭(810a)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텍스트(710)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81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도 8b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제2 탭(810b)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 및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812)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된 학습 정보(811, 812)에 대한 입력(예: 드래그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학습 정보(811, 812)의 내용 또는 양을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a 및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예: 도 1의 디스플레이(210))의 일 가장자리로부터 제1 높이(H1)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학습 정보(811, 812)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130)는 제1 높이(H1)를 갖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사용자의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도 9a 및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높이(H1)보다 높은 제2 높이(H2)를 갖는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다 많은 양의 학습 정보(811, 812)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811, 812)를 학습 대상 이미지(322)와 연계시켜 함께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정보(811, 812)와 함께 표시된 저장 아이콘(83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811, 812)를 학습 대상 이미지(322)와 연계시켜 함께 학습 페이지(예: 도 6a의 제1 학습 페이지(611))의 형태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도 8a 및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811)과 함께, 청취 아이콘(850) 및 편집 아이콘(840)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청취 아이콘(85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된 아이콘과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의 발음을,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편집 아이콘(84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텍스트(710) 편집을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단,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도 11a에 대한 설명에서 후술한다.
도 10a 및 도 10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학습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0a 및 도 10b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단어(100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1001) 및 단어(1001)에 대한 의미 정보(1002)를 학습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단어(100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1001)에 대한 의미 정보(1002)를 표시하고, 단어(1001) 및 단어(1001)에 대한 의미 정보(1002)를 학습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0b을 참조하면, 제2 탭(810b)에 대한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1020)는, 기 입력된 학습 수준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제1 단어(1021)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장 중 일부에 대한 입력에 따라 선택된 제2 단어(1022)(예: 도 10a의 단어(1001))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단어(100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된 단어(1001)를 제2 단어(1022)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0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단어(100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단어(1001)에 대한 의미 정보(1002)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811)을 표시하는 도중,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단어(1001)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단어(1001)를 강조 표시하고, 단어(1001)에 대한 의미 정보(1002)를 학습 서버(300)로부터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단어(1001) 및 단어(1001)의 의미 정보(1002)에 대한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선택된 단어(1001)를 제2 단어(1022)로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단어(1001)에 대한 의미 정보(1002)와 함께 표시된 아이콘(1003)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1001) 및 단어(1001)에 대한 의미 정보(1002)를 제2 단어(1022)로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선택한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표시하고 저장함으로써, 선택된 단어가 사용자의 학습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a는 본 발명에 따라 인식된 텍스트를 편집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1b는 본 발명에 따라 학습 수준을 선택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8a, 도 9a 및 도 11a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를 편집하기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1110)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811)과 함께 표시된 편집 아이콘(84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텍스트(710) 편집을 위한 편집 인터페이스(1110)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가상 키보드(1102)를 포함함으로써, 텍스트(710)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인터페이스(1110)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8a 및 도 11a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811)과 함께 표시된 편집 아이콘(84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 키보드(1102)를 포함하는 편집 인터페이스(1110)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미도시)에 따르면,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가 일본어 또는 중국어인 경우, 편집 아이콘(84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가상 입력 패드를 포함하는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가상 입력 패드에 대한 필기 입력을 통해 텍스트(710)를 편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원문 이미지(421)로부터 광학 인식을 통해 획득한 텍스트(710)에 대하여, 광학 인식 과정에서 발생한 오류를 사용자가 수정할 수 있는 편집 인터페이스(111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b 및 도 11b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학습 수준을 설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입력된 학습 수준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으로부터 제1 단어(1021)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0b 및 도 1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1020) 중 제1 단어(1021)와 함께 표시된 아이콘(1040)에 대한 입력에 근거하여, 복수의 학습 수준(1041, 1042)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복수의 학습 수준(1041, 1042) 중 하나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수준을 설정(또는,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학습 수준(104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수준을 초급 수준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 때, 초급 수준은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 교과 과정에 포함된 단어를 포함하는 학습 수준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복수의 학습 수준(1041, 1042)은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의 언어 종류(예: 일본어, 중국어)에 근거하여, 각 언어의 공인 어학 시험(예: JLPT(Japanese-language proficiency test), TOEIC(test of English for international))의 등급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설정된 학습 수준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으로부터 제1 단어(1021)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학습 수준이 초급 수준으로 설정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문장으로부터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 교과 과정에 포함되는 단어를 제1 단어(1021)로 추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1020)와 함께 표시된 아이콘(104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점수 입력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1020)와 함께 표시된 아이콘(104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공인 어학 시험의 종류 및 공인 어학 시험을 통해 획득한 점수를 입력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입력된 점수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으로부터 제1 단어(1021)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학습 수준으로 TOEIC 시험의 800점이 입력된 경우, 적어도 하나의 문장으로부터 TOEIC 시험과 관련하여 기 설정된 점수 별 학습 수준에 따른 단어를 제1 단어(1021)로 추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1020)와 함께 표시된 아이콘(104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설문 또는 질문 문항이 포함된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1020)와 함께 표시된 아이콘(104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어학과 관련된 설문 또는 질문에 대한 응답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입력된 응답에 근거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으로부터 제1 단어(1021)를 추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입력된 응답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학습 수준을 판단하고, 기 설정된 기준에 근거하여, 판단된 학습 수준에 따른 단어를 제1 단어(1021)로 추출할 수 있다.
단, 위에서 살핀 학습 수준에 대한 기재는 예시적인 것이며, 다양한 기준에 따라 분류되는 학습 수준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의 학습 수준에 적합한 단어(예: 제1 단어(1021))를 추출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미처 파악하지 못한 단어에 대한 학습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정보를 학습 대상 이미지와 함께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6a, 도 8a 및 도 12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811, 812)를 특정 학습 노트(예: 도 6a의 학습 노트(650))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정보(811, 812)와 함께 표시된 저장 아이콘(83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811, 812)를 특정 학습 노트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노트 목록(1201)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정보(811, 812)와 함께 표시된 저장 아이콘(83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학습 노트 목록(1201)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노트 목록(120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811, 812)를 선택된 학습 노트(예: 도 6a의 학습 노트(650))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학습 노트 목록(120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811, 812)를 학습 대상 이미지(예: 도 6a의 제1 학습 대상 이미지(621))와 함께 학습 페이지(예: 도 6a의 제1 학습 페이지(611))의 형태로, 선택된 학습 노트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아이콘(122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노트를 추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아이콘(122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특정 언어에 대한 학습 노트를 추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에 포함된 아이콘(122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중국어를 비롯한 다양한 언어 또는 다양한 주제에 대한 학습 노트를 추가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미도시)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학습 정보(811, 812)와 함께 표시된 저장 아이콘(83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811, 812)를 기 설정된 학습 노트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저장 아이콘(83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학습 노트 목록(1201)을 포함하는 인터페이스에 대한 별도의 표시 없이, 학습 정보(811, 812)를 기 설정된 학습 노트와 연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저장 아이콘(83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복수의 학습 노트들의 생성 시점에 근거하여, 가장 최근에 생성된 학습 노트와 연계하여 학습 정보(811, 812)를 저장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저장 아이콘(83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기 설정된 학습 노트(예: “기본 노트”)와 연계하여 학습 정보(811, 812)를 저장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학습 정보(811, 812)와 학습 대상 이미지를 복수의 학습 노트들 중 적어도 하나의 학습 노트(1201)와 연계하여 저장함으로써, 학습의 대상과 학습 대상과 관련된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입력에 따라, 학습을 위한 학습 정보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다.
도 13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621, 622)를 포함하는 학습 페이지(611, 612)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학습 정보(811, 812)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6a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학습 페이지(611, 612)를 표시할 수 있다(S1301). 이 때, 학습 페이지(611, 612)는 학습 대상 이미지(621. 621)를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학습 요청에 근거하여, 학습 정보(811, 812)를 표시할 수 있다(S1303).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페이지(61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사용자가 학습 정보(811, 812)를 이용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학습 정보(811, 812)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학습 정보를 이용한 학습을 진행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학습 요청에 근거하여, 단어(1421) 및 단어(1421)에 대한 의미 정보(1422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요청에 근거하여, 사용자가 단어(1421)의 의미 정보(1422b)에 대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단어(1421) 및 단어(1421)에 대한 의미 정보(1422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a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제1 학습 페이지(611)와 함께 표시된 학습 아이콘(63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1421), 및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표시되는 단어(1421)에 대한 의미 정보(1422b)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드(1410)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30)는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카드(1410)를 통해 단어(1421)의 의미 정보(1422b)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카드(1401)는 단어(1421)의 의미 정보(1422b)를 확인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1422a)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인터페이스(1422a)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1421)에 대한 의미 정보(1422b)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제1 카드(1401)에 대한 입력 또는 제2 아이콘(1432)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1421)에 대한 의미 정보(1422b)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단어(1421)의 의미 정보(1422b)에 대한 사용자의 암기 여부를 나타내는 입력을 수신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카드(1401)에 대한 입력(예: 드래그 입력)에 근거하여, 제1 카드(1401)에 포함된 단어(1421)를 분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카드(1401)에 대한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근거하여, 제1 카드(1401)에 포함된 단어(1421)를 제1 상태 또는 제1 상태와 구분되는 제2 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카드(1401)에 대해 좌측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1421)를 제1 상태(예: 암기 완료 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카드(1401)에 대해 우측을 향하는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1421)를 제1 상태와 구분되는 제2 상태(예: 미 암기 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카드(1401)에 대한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근거하여, 드래그 입력이 향하는 방향으로 제1 카드(1401)를 이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제1 카드(1401)에 대한 드래그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카드(1401)를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되는 영역 밖으로 이동시키고, 제2 카드(1402)를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제1 아이콘(1431) 또는 제2 아이콘(1432)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제1 카드(1401)를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되는 영역 밖으로 이동시키고, 제2 카드(1402)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아이콘(1431)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카드(1401)를 좌측 방향을 통해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되는 영역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 아이콘(1432)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제1 카드(1401)를 우측 방향을 통해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표시되는 영역 밖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카드(1401)를 통해 단어(1421)를 표시하는 도중, 제1 아이콘(1431)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단어(1421)를 제1 상태(예: 암기 완료 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카드(1401)를 통해 단어(1421)를 표시하는 도중, 제2 아이콘(1432)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단어(1421)를 제2 상태(예: 미 암기 상태)로 분류할 수 있다.
이 때, 제1 아이콘(1431) 및 제2 아이콘(1432)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각각 대응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텍스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1431)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암기 완료'와 같은 텍스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또한, 제2 아이콘(1432)은 사용자의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미암기'와 같은 텍스트를 포함하는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다만, 제1 아이콘(1431) 및 제2 아이콘(1432)의 형태는 상술한 예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의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1421)에 대한 분류 결과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를 갖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사용자가 별도의 학습 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학습 정보(811, 812)를 이용한 암기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학습 정보(811, 812)를 표시(또는, 제공)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문장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 중 하나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6a 및 도 16b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단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 중 하나를 표시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5a, 도 15b, 도 16a, 및 도 16b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에 대한 번역(1552) 중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단어(1561) 및 적어도 하나의 단어(1561)에 대한 의미 정보(1562)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에 대한 번역(1552)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1 탭(1501a)에 대한 입력에 따라 표시된 제1 아이콘(1510) 중 일부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에 대한 번역(1552)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탭(1501a)에 대한 입력에 따라 표시된 제1 아이콘(1510) 중 제1-1 아이콘(151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1 아이콘(1510) 중 제1-2 아이콘(1512)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에 대한 번역(1552)을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제1 아이콘(1510) 중 제1-3 아이콘(1513)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에 대한 번역(1552)을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미도시)에 따르면,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가 일본어인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한 입력에 근거하여, 인식된 텍스트(7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하여 후리가나를 병기하여 표시하거나, 생략하여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미도시)에 따르면,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가 중국어인 경우,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한 입력에 근거하여, 인식된 텍스트(71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 또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하여 병음을 병기하여 표시하거나, 생략하여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및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에 대한 번역(1552) 중 하나를 생략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에 대한 의미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어(1561) 및 적어도 하나의 단어(1561)에 대한 의미 정보(1562) 중 하나만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2 탭(1501b)에 대한 입력에 따라 표시된 제2 아이콘(1520) 중 일부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어(1561) 및 적어도 하나의 단어(1561)에 대한 의미 정보(1562) 중 하나만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2 아이콘(1520) 중 제2-1 아이콘(152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어(1561)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 아이콘(1520) 중 제2-2 아이콘(1522)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단어(1561)에 대한 의미 정보(1562)를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의 단어(1561) 및 적어도 하나의 단어(1561)에 대한 의미 정보(1562) 중 하나를 생략하여 표시함으로써,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단어(1561)에 대한 학습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7은 본 발명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문장 중 일부를 문구로써 학습 정보에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기 위한 개념도다.
도 17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에서 인식된 텍스트(710)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중 일부(1730)를 학습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중 선택된 적어도 일부(1730)를, 학습 정보에 포함된 문구(1731)로써 저장할 수 있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중 일 영역에 대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입력이 수신된 일 영역에 포함되는 일부(1730)를 강조 표시(highlighting) 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중 강조 표시된 일부(1730)를 문구(1731)로 저장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중 일 영역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이 수신된 영역에 포함되는 일부(1730)를 문구(1731)로 저장하기 위한 그래픽 객체(1770)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그래픽 객체(1770) 중 일부(예: '형광펜')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중 일부(1730)를 문구(1731)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그래픽 객체(1770) 중 다른 일부(예: '복사')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중 일부(1730)를 클립보드(clipboard)에 복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저장된 문구(1731) 및 문구(1731)에 대한 번역 정보(1732)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3 탭(1501c)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저장된 문구(1731) 및 문구(1731)에 대한 번역 정보(1732)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3 탭(1501c)에 대한 입력에 따라 표시된 아이콘 중 일부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문구(1731) 및 문구(1731)에 대한 번역 정보(1732) 중 하나만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와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 중 일부 문구를 별도로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8a 및 도 18b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하여, 예문, 유의어, 반의어 및 활용형을 제공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8a 및 도 18b를 함께 참고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단어(1810)에 대한 유의어, 반의어, 활용형(conjugation)을 포함하는 추가 정보(1812b) 및 단어(1810)를 포함하는 제1 문장(1812c)을 표시할 수 있다.
도 18a를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에 포함된 단어(181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1810)에 대한 제1 의미 정보(1821a)와 함께, 단어(1810)의 유의어, 반의어 및 활용형을 포함하는 추가 정보(1812b) 및 단어(1810)를 포함하는 제1 문장(1812c)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1551)에 포함된 단어(181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입력된 단어(1810)를 강조 표시하고, 강조 표시된 단어(1810)에 대한 제1 의미 정보(1821a)와 함께, 단어(1810)의 유의어, 반의어 및 활용형을 포함하는 추가 정보(1812b) 및 단어(1810)를 포함하는 제1 문장(1812c) 중 적어도 일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8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저장 요청에 응답하여, 단어(1810), 단어(1810)에 대한 제1 의미 정보(1812a), 추가 정보(1812b) 및 단어(1810)를 포함하는 제1 문장(1812c)을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단어(1810)에 대한 의미 정보(1812a)와 함께 표시된 아이콘(1003)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1810), 단어(1810)에 대한 제1 의미 정보(1812a), 추가 정보(1812b) 및 단어(1810)를 포함하는 제1 문장(1812c)을 학습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도 18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저장된 단어(1810), 단어(1810)에 대한 제1 의미 정보(1812a), 추가 정보(1812b) 및 단어(1810)를 포함하는 제1 문장(1812c)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제2 탭(1501b)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저장된 단어(1810), 단어(1810)에 대한 제1 의미 정보(1812a), 추가 정보(1812b) 및 단어(1810)를 포함하는 제1 문장(1812c)을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단어(1810)가 제1 의미 정보(1812a)에 따라 활용되는 제1 문장(1812c)과 함께, 단어(1810)가 제2 의미 정보(1813a)로 활용되는 제2 문장(1813b)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학습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단어(1810)에 대하여, 의미 정보(1812a, 1813a) 뿐 아니라 활용형, 유의어 및 반의어를 포함하는 추가 정보(1812b) 및 단어(1810)를 활용한 예문(예: 제1 문장(1812c), 제2 문장(1813b))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관리 화면에 대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된 단어들에 대한 학습을 위한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19를 함께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복수의 학습 노트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1930)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표시된 관리 아이콘(381)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복수의 학습 노트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1930)을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복수의 학습 노트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1930)을 통해 각 학습 노트에 대한 노트 학습 진행률을 나타내는 아이콘(1931a, 1932a, 1933a)을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학습 대상 이미지(322)로부터 인식된 텍스트(710)의 언어의 종류에 대응되는 복수의 학습 노트들을 나타내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1930)을 통해 각 학습 노트에 대한 노트 학습 진행률을 나타내는 아이콘(1931a, 1932a, 1933a)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제1 학습 노트와 대응되는 제1 그래픽 객체(1931)는 제1 학습 노트에 포함된 단어들에 대한 제1 노트 학습 진행률을 나타내는 제1 아이콘(1931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2 학습 노트와 대응되는 제2 그래픽 객체(1932)는 제2 학습 노트에 포함된 단어들에 대한 제2 노트 학습 진행률을 나타내는 제2 아이콘(1932a)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제3 학습 노트와 대응되는 제3 그래픽 객체(1933)는 제3 학습 노트에 포함된 단어들에 대한 제3 노트 학습 진행률을 나타내는 제3 아이콘(1933a)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아이콘(1931a)은 제1 학습 노트에 포함된 단어들에 대한 제1 노트 학습 진행률이 56%인 상태를 나타나고, 제2 아이콘(1932a)은 제2 학습 노트에 포함된 단어들에 대한 노트 학습 진행률이 18%인 상태를 나타내며, 제3 아이콘(1933a)은 제3 학습 노트에 포함된 단어들에 대한 노트 학습 진행률이 12%인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 때, 노트 학습 진행률은 각 학습 노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들에 저장된 단어들 중 학습에 따라, 제1 상태로 분류된 단어들의 비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그래픽 객체(1931)를 통해 표시된 제1 노트 학습 진행률은 도 6a 및 도 6b의 제1 학습 진행률과 제2 학습 진행률의 합과 대응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복수의 학습 노트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아이콘들(1930), 복수의 학습 노트들에 저장된 단어들에 대한 학습 현황(1940)을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학습 현황(1940)은 사용자가 학습을 진행한 순서에 따라 정렬된 복수의 학습 노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각 학습 노트들은 학습 진행률 및 해당 학습 노트에서 학습을 진행한 단어를 포함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아이콘(192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각각 복수의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 그룹들에 대한 목록(1950)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아이콘(192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모든 학습 노트에 포함된 단어들을 포함하는 제1 목록(1950a), 지정된 기간 동안 저장된 단어들을 포함하는 제2 목록(1950b), 특정 언어로 된 단어들을 포함하는 제3 목록(1950c), 제2 상태로 분류된 단어들을 포함하는 제4 목록(1950d), 학습 결과에 따라 분류된 단어들을 포함하는 제5 목록(1950e), 및 외부 데이터베이스로부터 획득한 단어들을 포함하는 제6 목록(1950f) 중 적어도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목록(1950) 중 일부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각 목록(1950a, 1950b, 1950c, 1950d, 1950e, 1950f)에 포함된 단어들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목록(1950) 중 일부에 대한 입력과, 목록(1950)과 함께 표시된 학습 아이콘(197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선택된 목록(예: 제1 목록(1950a))에 포함된 단어들에 대한 암기 학습을 지원하는 학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학습 정보는 도 14에서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표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1931, 1932, 1933) 각각에 대한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그래픽 객체(예: 제1 그래픽 객체(1931))와 대응되는 학습 노트(예: 도 6a의 학습 노트(650))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예: 도 6a의 제1 학습 페이지(611), 제2 학습 페이지(612))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표시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에 대한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에 포함된 학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학습 정보는 도 14에서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표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학습 노트들에 저장된 단어들에 대하여, 학습 노트 별로 학습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별도의 목록에 따른 단어들에 대한 학습 인터페이스도 제공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번역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결과 중 적어도 일부를 학습 정보로 저장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어부(130)는 텍스트 입력(2011)을 수신하고, 텍스트 입력(2011)에 대한 번역 결과(2012)를 제공하는 번역 인터페이스(2010)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구성과 동일하거나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은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30)는 텍스트 입력(2011)에 응답하여, 텍스트 입력(2011)에 대한 번역 결과(2012)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미도시)에 따르면, 제어부(130)는 번역 인터페이스(2010)에 대한 이미지 입력에 응답하여, 이미지 입력에 대한 번역 결과를 제공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번역 인터페이스(2010)를 통해 제공된 번역 결과(2012) 중 적어도 일부를 학습 정보(811, 812)로 저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번역 인터페이스(2010)를 통해 제공된 번역 결과(2012)에 포함되는,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2013)를 학습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30)는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2013)와 함께 표시된 아이콘(203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2013) 중 적어도 일부를 학습 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2013)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2013) 중 적어도 일부를 저장함에 따라 표시된 그래픽 객체(204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2013)를 포함하는 학습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나아가, 제어부(130)는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2013)와 함께 표시된 학습 아이콘(2060)에 대한 입력에 응답하여, 단어에 대한 학습을 위한 학습 정보(예: 도 8b의 의미 정보(812))를 표시할 수 있다. 이 때, 학습 정보는 도 14에서 도시된 실시 예와 동일하게 표시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100)은 번역 인터페이스(2010)의 결과로 제공된 번역 결과(2012)에 포함된 문장 또는 단어에 대해서도 학습 정보(811, 812)에 저장함으로써, 대상 문장과 단어를 획득한 경로와 무관하게 학습 대상 및 학습 정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힐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나아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저장소를 포함하며 전자기기가 통신을 통하여 접근할 수 있는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일 수 있다. 이 경우, 컴퓨터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통하여, 서버 또는 클라우드 저장소로부터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을 다운로드 받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에서는 위에서 설명한 컴퓨터는 프로세서, 즉 CPU(Central Processing Unit, 중앙처리장치)가 탑재된 전자기기로서, 그 종류에 대하여 특별한 한정을 두지 않는다.
한편,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에 대한 어학 학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저장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가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학습에 함께 이용되도록,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 정보는,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에 포함되는 문장에 대한 번역 및 상기 문장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학습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학습 페이지에 대한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어학 학습 정보가 학습에 이용되도록,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는,
상기 어학 학습 정보가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함께 상기 학습 페이지로써 관리되도록,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 페이지를 포함하는 학습 노트에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페이지는, 상기 학습 페이지에 대한 학습 진행률을 나타내는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학습 진행률은, 상기 학습 페이지에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이용한 학습의 진행 상태를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복수의 학습 노트들과 대응되는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을 표시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 중 하나에 대한 선택에 응답하여, 선택된 그래픽 객체에 대응되는 학습 노트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에 대한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의 학습 페이지에 포함된 어학 학습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그래픽 객체들은, 상기 복수의 학습 노트들에 대한 노트 학습 진행률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노트 학습 진행률은, 상기 복수의 학습 노트들 각각에 포함된 학습 페이지에 저장된 어학 학습 정보를 이용한 학습의 진행 상태를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페이지에 대한 학습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단어 및 상기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포함하는 카드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카드에 대한 드래그 입력의 방향에 근거하여, 상기 카드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사용자의 학습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학습 상태에 대한 판단에 근거하여, 상기 단어를 제1 상태 또는 상기 제1 상태와 구분되는 제2 상태로 분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상기 단어는, 기 입력된 학습 수준에 근거하여 상기 문장으로부터 추출된 추천 학습 단어, 및 상기 문장에 포함된 단어들 중 일부에 대한 사용자의 입력을 통해 선택된 선택 학습 단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에 포함된 단어들 중 상기 사용자의 입력에 의해 선택된 특정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단어를 상기 선택 학습 단어로써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 정보는 상기 문장에 포함되는 문구(phrase)와 관련된 문구 학습 정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문장 중 특정 부분에 대해 기 설정된 방식의 사용자 입력이 인가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특정 부분에 해당하는 문구를 다른 부분과 구분되도록 강조하여 표시(highlighting)하는 단계, 및
상기 특정 부분에 해당하는 문구를 상기 문구 학습 정보로써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상기 텍스트에 대한 편집 요청에 응답하여, 가상 키보드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텍스트를 편집할 수 있는 편집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단계, 및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 특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텍스트 입력을 수신하고, 상기 텍스트 입력에 대한 번역 결과를 제공하는 번역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단계, 및
상기 번역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공된 상기 번역 결과에 포함되는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연계하여 저장된 상기 어학 학습 정보로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방법. -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과 연동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부를 통해, 서버로부터 학습 정보를 수신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한 사용자 입력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고,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어학 학습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고,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저장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가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학습에 함께 이용되도록,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학습 정보는, 상기 텍스트에 대응되는 문장에 대한 번역 및 문장에 포함된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포함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저장된 파일을 로드(load)하고,
상기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의 영역을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 특정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를 포함하는 학습 페이지를 표시하고,
상기 학습 페이지에 대한 학습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어학 학습 정보가 학습에 이용되도록,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함께 저장된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표시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은 상기 단어와 대응되는 단어 ID를 포함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상기 단어 ID를 상기 서버로 전송함으로써, 전송된 상기 단어 ID와 대응되는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어학 서비스 제공 시스템. - 전자기기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스에 의하여 실행되며,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프로그램은,
사용자 단말을 통해, 학습 대상 이미지를 획득하기 위한 입력을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를 활성화하는 단계;
상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이미지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 특정하는 단계;
서버로부터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로부터 인식된 텍스트에 대한 어학 학습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에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저장 요청에 근거하여,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가 상기 어학 학습 정보에 대한 학습에 함께 이용되도록, 상기 어학 학습 정보를 상기 학습 대상 이미지와 연계시켜 저장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학습 정보는, 상기 텍스트에 대응되는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대한 번역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문장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단어에 대한 의미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컴퓨터로 판독될 수 있는 기록매체에 저장된 프로그램.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8685A KR20240048867A (ko) | 2022-10-07 | 2022-10-07 |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US18/478,674 US20240119851A1 (en) | 2022-10-07 | 2023-09-29 |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language learning service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8685A KR20240048867A (ko) | 2022-10-07 | 2022-10-07 |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8867A true KR20240048867A (ko) | 2024-04-16 |
Family
ID=90574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8685A Pending KR20240048867A (ko) | 2022-10-07 | 2022-10-07 |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240119851A1 (ko) |
KR (1) | KR20240048867A (ko) |
Family Cites Families (7)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TWI291143B (en) * | 2006-08-04 | 2007-12-11 | Kuo-Ping Yang | Method of learning the second language through picture guiding |
US8625899B2 (en) * | 2008-07-10 | 2014-01-07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Method for recognizing and translating characters in camera-based image |
DE102010046439A1 (de) * | 2010-09-24 | 2012-03-29 | Belingoo Media Group S. A. | System und Verfahren für relevanzbasiertes Kategorisieren und zeitnahes Lernen von Vokabeln |
US9519641B2 (en) * | 2012-09-18 | 2016-12-13 | Abbyy Development Llc | Photography recognition translation |
WO2014092456A1 (ko) * | 2012-12-14 | 2014-06-19 | 주식회사 테라클 | 학습 컨텐츠 제공 방법 및 장치 |
JP6403417B2 (ja) * | 2014-04-23 | 2018-10-10 | 株式会社キーエンス | 携帯型光学式読取装置、該携帯型光学式読取装置を用いる光学式読取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
KR20220169883A (ko) * | 2021-06-21 | 2022-12-28 | (주)뤼이드 | 외국어 학습자의 어휘 실력 예측과 향상을 위한 딥러닝 기반의 단어 추천 방법 |
-
2022
- 2022-10-07 KR KR1020220128685A patent/KR20240048867A/ko active Pending
-
2023
- 2023-09-29 US US18/478,674 patent/US20240119851A1/en active Pendi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40119851A1 (en) | 2024-04-1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053098B2 (en) | Insertion of translation in displayed text consisting of grammatical variations pertaining to gender, number and tense | |
US8744855B1 (en) | Determining reading levels of electronic books | |
US11126794B2 (en) | Targeted rewrites | |
US20150199091A1 (en) | Enhanced E-Book and Enhanced E-Book Reader | |
US20130021346A1 (en) | Knowledge Acquisition Mulitplex Facilitates Concept Capture and Promotes Time on Task | |
US20180046331A1 (en) | Immersive electronic reading | |
US20150032440A1 (en) | Method for Providing Translations to an E-Reader and System Thereof | |
US20160155349A1 (en) | Cloud-based vocabulary learning system and method | |
Howze et al. | Measuring international students' understanding of concepts related to the use of library-based technology | |
Hutchins | Multiple uses of machine translation and computerised translation tools | |
EP4002204A1 (en) | Digital ink processing system, method, and program | |
US9384191B2 (en) | Written language learning using an enhanced input method editor (IME) | |
Fernando et al. | Image recognition tools for blind and visually impaired users: An emphasis on the design considerations | |
KR20120131480A (ko) | 단어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 |
KR20240048867A (ko) | 어학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 및 시스템 | |
KR20200000300A (ko) | 이북을 이용한 요약노트 작성 및 암기학습 시스템과 그 방법 | |
KR20180137369A (ko) | 이북 및 워드 문서의 요약노트 작성 방법과 이를 이용한 암기학습 시스템 및 방법 | |
Khuwaileh et al. | IT terminology, translation, and semiotic levels: Cultural, lexicographic, and linguistic problems | |
US11704090B2 (en) | Audio interactive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interacting with audio interactive display system | |
KR20240018197A (ko) | 워드 프로세서의 문서에 대한 질의응답 시스템 및 방법 | |
US20220138418A1 (en) | Rich and interactive mechanism for providing word information | |
KR102744172B1 (ko) | 콘텐츠 무단 복사 무력화 방법 및 장치 | |
US12189843B2 (en) | Describing content entities for visually impaired users of augmented reality applications | |
Shameera et al. | Toward an extensive mobile friendly Nakhtim Al-Quran application | |
Mihaylova et al. | Finding Good Answers in Online Forums: Community Question Answering for Bulgaria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1007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1216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