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481A - 차량용 프레임 구조 - Google Patents
차량용 프레임 구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0481A KR20240040481A KR1020220119493A KR20220119493A KR20240040481A KR 20240040481 A KR20240040481 A KR 20240040481A KR 1020220119493 A KR1020220119493 A KR 1020220119493A KR 20220119493 A KR20220119493 A KR 20220119493A KR 20240040481 A KR20240040481 A KR 2024004048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einforcing member
- opening
- inner panel
- frame structure
- vehicle frame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Pending
Links
- 230000003014 reinforc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28
- 239000000725 suspension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6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0000000149 penetra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2787 reinforcemen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6096 absorb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7 sol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4/00—Connections between vehicle body and vehicle frame
- B62D24/04—Vehicle body mounted on resilient suspension for movement relative to the vehicle fram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63/00—Motor vehicles or traile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63/02—Motor vehicles
- B62D63/025—Modular vehicl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8—Front or rear portions
- B62D25/088—Details of structures as upper supports for springs or dam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이드멤버의 미들파트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멤버의 리어파트 내측을 이루는 내측패널; 상기 사이드멤버의 미들파트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패널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패널과 폐단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사이드멤버의 리어파트 외측을 이루는 외측패널;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의 하측에,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이 형성하는 폐단면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리어서스펜션암의 전방 단부가 삽입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내측패널과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1보강부재;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및 제1보강부재와 폐단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이 형성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보강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차량의 프레임 구조에 관한 기술이다.
PBV(Purpose Built Vehicle)는 시장 요구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탑승 및 탑재 공간을 형성하는 라이프 모듈(Life Module)과, 실질적인 차량의 주행에 관련된 드라이브 모듈(Drive Module)로 이루어져, 일정한 드라이브 모듈에 다양한 요구에 따른 라이프 모듈을 결합함으로써, 다양한 차종을 용이하게 생산할 수 있어서, 다품종 소량 생산의 시장 흐름에 매우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다.
종래 차량의 후륜 서스펜션은 차량 프레임의 사이드멤버 외측에 별도의 브라켓을 사용하여 서스펜션의 전방측이 지지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나, 고전압배터리(이하 단순히 "배터리"로 칭하기로 함)를 차량의 하측에 탑재하는 PBV나 전기차 등의 경우, 배터리의 탑재성 향상을 위해 프레임의 양쪽 사이드멤버 사이의 폭이 넓어져서, 후륜 서스펜션의 전방측을 종래와 같이 사이드멤버의 외측에 지지하는 것이 곤란한 실정이다.
상기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본 발명은 배터리를 차량의 하측에 탑재하는 PBV나 전기차 등에 적용되는 프레임에서, 후륜 서스펜션의 전방측이 차량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프레임에 컴팩트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 탑재성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해서도 우수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 차량용 프레임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프레임 구조는,
사이드멤버의 미들파트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멤버의 리어파트 내측을 이루는 내측패널;
상기 사이드멤버의 미들파트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패널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패널과 폐단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사이드멤버의 리어파트 외측을 이루는 외측패널;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의 하측에,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이 형성하는 폐단면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리어서스펜션암의 전방 단부가 삽입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내측패널과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1보강부재;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및 제1보강부재와 폐단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이 형성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보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리어파트가 상기 미들파트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구부러지는 킥업부 하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내측패널과 수직한 방향으로 긴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외측패널 및 내측패널과 수평한 방향으로 긴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내측패널 사이에는, 상기 리어서스펜션암의 단부를 지지하는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파이프너트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파이프너트는 상기 내측패널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제1보강부재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제2보강부재보다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의 상측과 하측은 상기 내측패널을 향해 절곡된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외측패널과 제1보강부재에 결합되면서 상기 개구부의 전방측을 막는 전방부;
상기 외측패널과 제1보강부재에 결합되면서 상기 개구부의 후방측을 막는 후방부;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중간부;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재의 전방부, 중간부, 및 후방부는 각각 평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가 각각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재의 양측에는 하측을 향해 절곡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일측 플랜지는 상기 제1보강부재에 면접촉하고, 타측 플랜지는 상기 외측패널에 면접촉하며;
상기 전방부의 전방 단부는 전방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후방부의 후방 단부는 후방측으로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재의 전방부 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3보강부재가 상기 제1보강부재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차량용 프레임 구조는,
사이드멤버의 후방 킥업부 하측에 구비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 내에 상하 방향의 격벽을 형성하는 제1보강부재;
상기 개구부 내에 횡방향의 격벽을 형성하는 제2보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는 리어서스펜션의 전방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공간을 상기 개구부 내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사이드멤버는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패널과,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패널이 서로 결합되어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이 형성하는 상기 폐단면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내측패널과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외측패널, 내측패널 및 제1보강부재와 폐단면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재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측을 막는 전방부, 상기 개구부의 후방측을 막는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재의 전방부와, 중간부 및 후방부는 각각 평판 형상이 차례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측이 상기 외측패널과 제1보강부재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내측패널 사이에는 상기 내측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제1보강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파이프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너트에는 상기 외측패널로부터 상기 리어서스펜션을 관통하는 체결볼트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제2보강부재의 전방측에는 상기 제1보강부재와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3보강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배터리를 차량의 하측에 탑재하는 PBV나 전기차 등에 적용되는 프레임에서, 후륜 서스펜션의 전방측이 차량 외부로 돌출되지 않고 프레임에 컴팩트하고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량의 배터리 탑재성을 우수하게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차량의 후방 충돌에 대해서도 우수한 강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용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Ⅱ방향에서 관측한 입체도,
도 3은 도 2 상태에서 외측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 상태에서 제1보강부재, 제2보강부재 및 제3보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사이드멤버 리어파트를 Ⅴ방향에서 관측한 도면,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Ⅶ방향 관측도,
도 8은 도 7에서 리어서스펜션암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외측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를 상측에서 관측한 도면,
도 11은 도 10을 좌측에서 관측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우측 방향에서 관측한 것으로서, 제1보강부재를 중심으로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을 양쪽으로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를 다른 각도에서 관측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만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를 다른 각도에서 관측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Ⅱ방향에서 관측한 입체도,
도 3은 도 2 상태에서 외측패널이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 상태에서 제1보강부재, 제2보강부재 및 제3보강부재가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2의 사이드멤버 리어파트를 Ⅴ방향에서 관측한 도면,
도 6은 도 5의 Ⅵ-Ⅵ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Ⅶ방향 관측도,
도 8은 도 7에서 리어서스펜션암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9는 도 8에서 외측패널을 분리한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0은 도 9를 상측에서 관측한 도면,
도 11은 도 10을 좌측에서 관측한 도면,
도 12는 도 11의 우측 방향에서 관측한 것으로서, 제1보강부재를 중심으로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을 양쪽으로 이격시킨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도 12를 다른 각도에서 관측한 도면,
도 14는 도 13에서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만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
도 15는 도 14를 다른 각도에서 관측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차량용 프레임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프레임(1)은 차량의 길이방향을 따라 프론트파트(FP)와 미들파트(MP) 및 리어파트(RP)로 구분될 수 있고, 상기 미들파트(MP)의 내측에는 배터리(3)가 탑재된 것을 예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 차량용 프레임 구조는, 사이드멤버(5)의 미들파트(MP)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멤버(5)의 리어파트(RP) 내측을 이루는 내측패널(7); 상기 사이드멤버(5)의 미들파트(MP)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패널(7)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패널(7)과 폐단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사이드멤버(5)의 리어파트(RP) 외측을 이루는 외측패널(9); 상기 내측패널(7)과 외측패널(9)의 하측에, 상기 내측패널(7)과 외측패널이 형성하는 폐단면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리어서스펜션암(17)의 전방 단부가 삽입되는 개구부(11); 상기 개구부(11) 내에서, 상기 내측패널(7)과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1보강부재(13); 상기 개구부(11) 내에서, 상기 내측패널(7)과 외측패널(9) 및 제1보강부재(13)와 폐단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내측패널(7)과 외측패널(9)이 형성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보강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사이드멤버(5)의 미들파트(MP) 후방에 연결되는 리어파트(RP)에 상기 개구부(11)를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1)에 상기 제1보강부재(13)와 제2보강부재(15)를 구비한 상태에서, 상기 리어서스펜션암(17)의 전방을 고정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개구부(11)는 상기 사이드멤버(5)의 리어파트(RP)가 상기 미들파트(MP)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구부러지는 킥업부(Ku) 하측에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서스펜션암(17)은 차량의 하측으로 심하게 기울어지지 않고, 차량의 전후방향을 따라 대체로 수평한 상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도 2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이드멤버(5)의 리어파트(RP)와의 사이에 쇽업소버(19)와 스프링(21)을 설치하여, 적절한 구조의 리어서스펜션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개구부(11)는 상기 리어서스펜션암(17)을 고정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지만, 상기 내측패널(7)과 외측패널(9)이 형성하는 폐단면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는 구조이어서 구조적 강성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차량의 후방 충돌 사고 등의 경우에, 사이드멤버(5)가 이 개구부(11) 근처에서 크게 변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상기 제1보강부재(13)와 제2보강부재(15)가 상기 개구부(11) 근처의 강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은 차량의 후방 충돌 등의 경우에도 견고한 강성으로 사이드멤버(5)의 변형을 억제하고, 우수한 후방 충돌 대응 성능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면서, 동시에 상기 리어서스펜션암(17)을 설치할 최적의 공간을 제공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보강부재(13)는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측패널(7)과 수직한 방향으로 긴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참고로, 상기 폐단면의 모양은 도 5와 같은 방향으로 상기 사이드멤버(5)를 절단한 상태에서 관측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보강부재(15)는 상기 외측패널(9) 및 내측패널(7)과 수평한 방향으로 긴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다.
즉, 상기 제1보강부재(13)가 상기 내측패널(7)과 함께 폐단면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기 제2보강부재(15)가 다시 폐단면을 형성하여, 도 5와 같은 사이드멤버(5)의 단면이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개구부(11)의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제1보강부재(13)와 상기 내측패널(7) 사이에는, 상기 리어서스펜션암(17)의 단부를 지지하는 체결볼트(23)가 체결되는 파이프너트(25)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파이프너트(25)는 상기 내측패널(7)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제1보강부재(13)의 측면에 결합된 구성이다.
물론, 상기 파이프너트(25)는 상기 내측패널(7) 및 제1보강부재(13)에 용접 등에 의해 일체화 된다.
따라서, 상기 파이프너트(25)는 상기 제1보강부재(13)와 내측패널(7)이 형성하는 폐단면을 관통하는 기둥 역할을 하여, 상기 사이드멤버(5)의 개구부(11)가 더욱 견고한 강성을 확보하도록 하는 역할도 하게 된다.
또한, 상기 파이프너트(25)의 단부가 상기 제1보강부재(13)와 외측패널(9) 사이의 공간으로 돌출되지 않은 상태를 확보할 수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13)와 외측패널(9) 사이로 상기 리어서스펜션암(17)을 조립할 때, 간섭이 방지되어, 보다 용이한 조립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보강부재(13)는 상기 제2보강부재(15)보다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13)의 상측과 하측은 상기 내측패널(7)을 향해 절곡된 플랜지(f)가 구비된다.
상기 제1보강부재(13)의 상측과 하측에 구비된 플랜지(f)는 상기 내측패널(7)과 면접촉하면서, 폐단면을 견고하게 형성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보강부재(15)는, 상기 외측패널(9)과 제1보강부재(13)에 결합되면서 상기 개구부(11)의 전방측을 막는 전방부(27); 상기 외측패널(9)과 제1보강부재(13)에 결합되면서 상기 개구부(11)의 후방측을 막는 후방부(29); 및 상기 전방부(27)와 후방부(29)를 연결하는 중간부(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2보강부재(15)의 전방부(27), 중간부(31), 및 후방부(29)는 각각 평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간부(31)를 기준으로 상기 전방부(27)와 후방부(29)가 각각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제2보강부재(15)의 양측에는 하측을 향해 절곡된 플랜지(f)가 구비되어, 일측 플랜지(f)는 상기 제1보강부재(13)에 면접촉하고, 타측 플랜지(f)는 상기 외측패널(9)에 면접촉하며 결합되어, 상기 외측패널(9)과 내측패널(7) 및 제1보강부재(13)와 함께 도 5의 상측에 도시된 바와 같은 폐단면을 형성한다.
또한, 상기 제2보강부재(15)의 상기 전방부(27)의 전방 단부는 전방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후방부(29)의 후방 단부는 후방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외측패널(9)의 내측으로 결합됨으로써, 궁극적으로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상기 내측패널(7)과 외측패널(9)이 형성하는 폐단면 속으로 외부의 이물질이 침투하지 못하도록 막는 역할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개구부(11)를 통해 상기 내측패널(7)과 외측패널(9)의 내측으로 수분 등이 침투하는 것이 방지되어, 궁극적으로 상기 사이드멤버(5)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제2보강부재(15)의 전방부(27) 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3보강부재(33)가 상기 제1보강부재(13)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다.
상기 제3보강부재(33)는 후방 충돌 사고 등의 경우에, 상기 사이드멤버(5)를 타고 전달되는 충격이 상기 개구부(11)를 거쳐 전방쪽으로 전달될 때 이를 지지하는 역할을 하여, 궁극적으로 상기 사이드멤버(5)의 강성을 향상시키고, 차량의 후방 충돌 대응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도 있을 것이다.
즉, 본 발명 차량용 프레임 구조의 실시예는, 사이드멤버(5)의 후방 킥업부(Ku) 하측에 구비된 개구부(11); 상기 개구부(11) 내에 상하 방향의 격벽을 형성하는 제1보강부재(13); 상기 개구부(11) 내에 횡방향의 격벽을 형성하는 제2보강부재(15)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13)와 제2보강부재(15)는 리어서스펜션암(17)의 전방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공간을 상기 개구부(11) 내에 형성하는 것이다.
상기 사이드멤버(5)는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패널(7)과,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패널(9)이 서로 결합되어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11)는 상기 내측패널(7)과 외측패널(9)이 형성하는 상기 폐단면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13)는 상기 개구부(11) 내에서 상기 내측패널(7)과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보강부재(15)는 상기 개구부(11) 내에서 상기 외측패널(9), 내측패널(7) 및 제1보강부재(13)와 폐단면을 형성하는 구성이다.
상기 제1보강부재(13)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11)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부재(15)는 상기 개구부(11)의 전방측을 막는 전방부(27), 상기 개구부(11)의 후방측을 막는 후방부(29) 및, 상기 전방부(27)와 후방부(29)를 연결하는 중간부(31)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2보강부재(15)의 전방부(27)와, 중간부(31) 및 후방부(29)는 각각 평판 형상이 차례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측이 상기 외측패널(9)과 제1보강부재(13)에 결합된다.
상기 제1보강부재(13)와 상기 내측패널(7) 사이에는 상기 내측패널(7)을 관통하여 상기 제1보강부재(13)의 측면에 결합되는 파이프너트(25)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너트(25)에는 상기 외측패널(9)로부터 상기 리어서스펜션암(17)을 관통하는 체결볼트(23)가 체결되는 구성이다.
상기 제2보강부재(15)의 전방측에는 상기 제1보강부재(13)와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3보강부재(33)가 구비된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프레임
3; 배터리
5; 사이드멤버
7; 내측패널
9; 외측패널
11; 개구부
13; 제1보강부재
15; 제2보강부재
17; 리어서스펜션암
19; 쇽업소버
21; 스프링
23; 체결볼트
25; 파이프너트
27; 전방부
29; 후방부
31; 중간부
33; 제3보강부재
FP; 프론트파트
MP; 미들파트
RP; 리어파트
Ku; 킥업부
f; 플랜지
3; 배터리
5; 사이드멤버
7; 내측패널
9; 외측패널
11; 개구부
13; 제1보강부재
15; 제2보강부재
17; 리어서스펜션암
19; 쇽업소버
21; 스프링
23; 체결볼트
25; 파이프너트
27; 전방부
29; 후방부
31; 중간부
33; 제3보강부재
FP; 프론트파트
MP; 미들파트
RP; 리어파트
Ku; 킥업부
f; 플랜지
Claims (17)
- 사이드멤버의 미들파트 후방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멤버의 리어파트 내측을 이루는 내측패널;
상기 사이드멤버의 미들파트 후방에 연결되고, 상기 내측패널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내측패널과 폐단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사이드멤버의 리어파트 외측을 이루는 외측패널;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의 하측에,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이 형성하는 폐단면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되어, 리어서스펜션암의 전방 단부가 삽입되는 개구부;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내측패널과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구비되는 제1보강부재;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 및 제1보강부재와 폐단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이 형성하는 공간을 외부와 차단시키도록 구비되는 제2보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사이드멤버의 리어파트가 상기 미들파트와 연결된 부분으로부터 상측으로 구부러지는 킥업부 하측에 형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내측패널과 수직한 방향으로 긴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외측패널 및 내측패널과 수평한 방향으로 긴 폐단면을 형성하도록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내측패널 사이에는, 상기 리어서스펜션암의 단부를 지지하는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파이프너트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파이프너트는 상기 내측패널을 관통하여, 단부가 상기 제1보강부재의 측면에 결합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제2보강부재보다 차량의 전후방향으로 더 길게 형성된 평판 형상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의 상측과 하측은 상기 내측패널을 향해 절곡된 플랜지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외측패널과 제1보강부재에 결합되면서 상기 개구부의 전방측을 막는 전방부;
상기 외측패널과 제1보강부재에 결합되면서 상기 개구부의 후방측을 막는 후방부;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중간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재의 전방부, 중간부, 및 후방부는 각각 평판 형상을 가지며, 상기 중간부를 기준으로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가 각각 하측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재의 양측에는 하측을 향해 절곡된 플랜지가 구비되어, 일측 플랜지는 상기 제1보강부재에 면접촉하고, 타측 플랜지는 상기 외측패널에 면접촉하며;
상기 전방부의 전방 단부는 전방측으로 절곡되고, 상기 후방부의 후방 단부는 후방측으로 절곡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재의 전방부 전방에는 전후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3보강부재가 상기 제1보강부재와 이격된 상태로 설치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사이드멤버의 후방 킥업부 하측에 구비된 개구부;
상기 개구부 내에 상하 방향의 격벽을 형성하는 제1보강부재;
상기 개구부 내에 횡방향의 격벽을 형성하는 제2보강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1보강부재와 제2보강부재는 리어서스펜션암의 전방 단부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공간을 상기 개구부 내에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멤버는 차량 내측에 위치하는 내측패널과, 차량 외측에 위치하는 외측패널이 서로 결합되어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내측패널과 외측패널이 형성하는 상기 폐단면을 부분적으로 개방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제1보강부재는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내측패널과 폐단면을 형성하고;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개구부 내에서 상기 외측패널, 내측패널 및 제1보강부재와 폐단면을 형성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는 차량 전후 방향으로 상기 개구부보다 더 길게 형성되고;
상기 제2보강부재는 상기 개구부의 전방측을 막는 전방부, 상기 개구부의 후방측을 막는 후방부 및, 상기 전방부와 후방부를 연결하는 중간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재의 전방부와, 중간부 및 후방부는 각각 평판 형상이 차례로 절곡되어 형성되며, 양측이 상기 외측패널과 제1보강부재에 결합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1보강부재와 상기 내측패널 사이에는 상기 내측패널을 관통하여 상기 제1보강부재의 측면에 결합되는 파이프너트가 구비되고;
상기 파이프너트에는 상기 외측패널로부터 상기 리어서스펜션암을 관통하는 체결볼트가 체결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보강부재의 전방측에는 상기 제1보강부재와 횡방향으로 이격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제3보강부재가 구비된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프레임 구조.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9493A KR20240040481A (ko) | 2022-09-21 | 2022-09-21 | 차량용 프레임 구조 |
US18/100,968 US11884330B1 (en) | 2022-09-21 | 2023-01-24 | Vehicle frame structure |
DE102023101746.2A DE102023101746A1 (de) | 2022-09-21 | 2023-01-25 | Fahrzeugrahmenstruktur |
CN202310118402.0A CN117734824A (zh) | 2022-09-21 | 2023-02-15 | 车辆框架结构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9493A KR20240040481A (ko) | 2022-09-21 | 2022-09-21 | 차량용 프레임 구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0481A true KR20240040481A (ko) | 2024-03-28 |
Family
ID=896660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9493A Pending KR20240040481A (ko) | 2022-09-21 | 2022-09-21 | 차량용 프레임 구조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11884330B1 (ko) |
KR (1) | KR20240040481A (ko) |
CN (1) | CN117734824A (ko) |
DE (1) | DE102023101746A1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40072827A (ko) * | 2022-11-17 | 2024-05-24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차량의 리어 사이드 멤버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0883A (ko) | 2020-04-22 | 2021-11-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조립형 차량 |
Family Cites Families (1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7237829B2 (en) * | 2005-03-09 | 2007-07-03 | Nissan Technical Center North America, Inc. | Unitized vehicle rear body structure |
KR20080052063A (ko) * | 2006-12-07 | 2008-06-11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전륜 우물정자형 서브프레임 |
JP5157691B2 (ja) | 2008-07-08 | 2013-03-06 | 日産自動車株式会社 | 車体後部構造 |
JP2014201072A (ja) | 2013-03-31 | 2014-10-27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リヤサスペンションブラケット構造 |
JP6001609B2 (ja) | 2014-08-28 | 2016-10-05 |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 車体前部構造 |
JP6637361B2 (ja) | 2016-03-31 | 2020-01-29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ブラケットの補強構造 |
US11046365B2 (en) * | 2019-02-18 | 2021-06-29 | Honda Motor Co., Ltd. | Subframe disengagement apparatus |
JP7210109B2 (ja) | 2019-02-28 | 2023-01-23 |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 車両構造 |
DE102019211103A1 (de) * | 2019-07-25 | 2021-01-28 |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 Karosseriestruktur für ein elektrisch betriebenes Fahrzeug |
EP3808635B1 (en) * | 2019-10-17 | 2023-11-29 | Stellantis Europe S.p.A. | Motor vehicle provided with a release system for uncoupling a cross member in the engine compartment in case of a front crash |
JP7517144B2 (ja) | 2020-12-28 | 2024-07-17 | スズキ株式会社 | 車両下部構造 |
KR20230111947A (ko) | 2022-01-19 | 2023-07-26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Pbv용 프레임 구조 |
-
2022
- 2022-09-21 KR KR1020220119493A patent/KR20240040481A/ko active Pending
-
2023
- 2023-01-24 US US18/100,968 patent/US11884330B1/en active Active
- 2023-01-25 DE DE102023101746.2A patent/DE102023101746A1/de active Pending
- 2023-02-15 CN CN202310118402.0A patent/CN117734824A/zh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10130883A (ko) | 2020-04-22 | 2021-11-02 | 현대자동차주식회사 | 조립형 차량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N117734824A (zh) | 2024-03-22 |
US11884330B1 (en) | 2024-01-30 |
DE102023101746A1 (de) | 2024-03-2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161549B2 (en) | Vehicle body rear structure | |
US11097679B2 (en) | Vehicle body rear structure | |
JP6063063B2 (ja) | 車両用サブフレーム | |
CN105339242B (zh) | 车辆用的副车架 | |
US20130181485A1 (en) | Rear-wheel drive, plug-in hybrid electric vehicle modular subframe assembly and method | |
CN112789214B (zh) | 车体结构 | |
EP1437291B1 (en) | Front structure of vehicle | |
CN111746648B (zh) | 车辆用副车架 | |
JPH0476826B2 (ko) | ||
US20210402862A1 (en) | Electric motor vehicle | |
KR20240040481A (ko) | 차량용 프레임 구조 | |
CN112455542A (zh) | 车辆用副车架 | |
KR20110058181A (ko) | 차량 엔진룸 대쉬 패널의 보강구조 | |
JP7083035B2 (ja) | サブフレーム構造 | |
JP2758628B2 (ja) | ミッドシップ車両 | |
KR20240105892A (ko) | 모노코크 차량의 전방 충돌에 대한 배터리 보호 구조 | |
KR20240047121A (ko) | 차량용 프레임 구조 | |
JPH058643A (ja) | 自動車の燃料タンク支持装置 | |
CN213413484U (zh) | 汽车天窗的支撑框架和车辆 | |
JP3307857B2 (ja) | 自動車の車体前端部構造 | |
CN105799782A (zh) | 一种汽车悬置的安装结构 | |
US20240166270A1 (en) | Underbody for vehicle | |
CN218877390U (zh) | 车架组件及车辆 | |
CN222372973U (zh) | 一种车辆 | |
CN210122047U (zh) | 电池包安装结构和车辆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21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