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759A -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처리방법 - Google Patents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처리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7759A KR20240037759A KR1020220116663A KR20220116663A KR20240037759A KR 20240037759 A KR20240037759 A KR 20240037759A KR 1020220116663 A KR1020220116663 A KR 1020220116663A KR 20220116663 A KR20220116663 A KR 20220116663A KR 20240037759 A KR20240037759 A KR 2024003775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ain body
- activated sludge
- sewage treatment
- control unit
- tank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06—Regulation methods for biological treatment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5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addition or application of a germicide or by oligodynamic treatment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15—Combinations of activated sludge treatment with precipitation, flocculation, coagulation and separation of phosphates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05—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1221—Particular type of activated sludge processes comprising treatment of the recirculated sludge
-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3/0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3/02—Aerobic processes
- C02F3/12—Activated sludge processes
- C02F3/26—Activated sludge processes using pure oxygen or oxygen-rich ga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10—Biological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oxic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Activated Sludge Processes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의 유입부, 본체부, 수위조절부 및 슬러지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의 본체부가 도시된 측면도 및 정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의 유입부 및 수위조절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의 슬러지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의 수위조절부가 도시된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의 이물질제거부가 도시된 도면이다.
3 : 중심 기둥축 4 : 유입관 토출부
5 : 고정원뿔형 슬라이딩플레이트 6 : 부유체
7 : 채취유로 주름관 8 : FLANGE 접합부
9 : 롤러부 10 : 자동수위조절 감속모터
11 : MLSS METER 12 : 슬러지 배출관
13 : 반송 이송관 14 : 토출 유출부 T자형
15 : 슬러지 펌프 16 : 본체 지지대
17 : WALK WAY 18 : SLUDGE TANK
19 : 축 날개 20 : 전동 밸브
Claims (7)
- 하수로부터 협잡물, 침점물 또는 토사를 제거하는 스크린 및 침사지;
상기 스크린 및 침사지를 통과한 하수를 담수하여 일정 시간 동안 체류시켜 침전물을 침전시키면서 상등수와 분리시키는 제1침전조;
상기 제1침전조로부터 배출되는 상등수를 미생물이 생식하는 공간에 설정 시간 동안 담수하고, 산소를 공급하여 미생물과의 탄소반응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질소 및 인을 소비시키는 폭기조;
상기 폭기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설정 시간 동안 담수하여 활성슬러지와 상등부를 분리시키는 침전조;
상기 침전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로부터 질소 또는 인을 제거하는 여과필터 및 총인 처리시설; 및
상기 여과필터 및 총인 처리시설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에 소독약 및 자외선을 제공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살균부를 포함하고,
상기 폭기조에는, 생물반응공정이 70~80% 진행된 활성슬러지를 제1침전조로 반송시키는 농도조절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농도조절부는,
일측에 활성슬러지가 공급되는 유입부가 연결되고, 활성슬러지가 담수되는 담수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워크웨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중심 기둥축;
상기 중심 기둥축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본체부에 담수되는 활성슬러지를 교반시키는 축 날개;
상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출부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슬러지 펌프;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 수위를 조절하도록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위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는, 내벽에 고정 원뿔형 슬라이딩 플레이트가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는, 본체부 직경의 1/3 길이로 이루어지며, 상기 슬라이딩 플레이트의 높이는 본체부의 하단부에서 1/5 지점 및 3/5 지점에 45°하향 경사지게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중심구동축으로부터 돌출되는 축 날개는 본체부의 하부에서 2/5 지점 및 4/5 지점에 배치되고, 2/5,4/5 높이에 각각 4 set를 설치하며, 각각의 축 날개는 20cm 너비에 45°하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축 날개의 길이는 본체부 직경의 1/3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는, 유량의 유속에 의해 수위조절부가 기울어지거나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수위조절부의 상단에는 롤러부로부터 연장되는 와이어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위조절부의 하단에는 주름관 단부가 설치되어 상기 수위조절부가 상승 또는 하강할 때에 상기 주름관이 팽창 또는 압축되면서 상기 수위조절부의 높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 (a) 하수를 스크린 및 침사지에 통과시켜 협잡물과 침전물 또는 토사를 제거하는 단계;
(b) 상기 스크린 및 침사지를 통과하여 공급된 하수를 제1침전조에 담수하여 체류시간동안 침전시켜 상등수와 침전물을 분리하는 단계;
(c) 상기 제1침전조에서 배출되는 상등수를 미생물이 생식하는 생물반응조(폭기조)에 담수하고 체류시간 동안 산소를 공급하여 미생물과의 탄소반응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질소 및 인을 소비시키는 단계;
(c) 상기 폭기조에서 처리된 처리수를 침전조에 담수하여 체류시간동안 활성슬러지와 상등수를 분리시키는 단계;
(d) 상기 침전조에서 공급되는 처리수를 상기 필터 여과 및 총인 처리시설을 거쳐 질소 또는 인을 제거하는 단계; 및
(e) 상기 필터 여과 및 총인 처리시설에서 배출되는 처리수에 포함된 균을 제거하기 위해 소독약과 자외선을 공급하여 미생물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c)단계는,
일측에 활성슬러지가 공급되는 유입부가 연결되고, 활성슬러지가 담수되는 담수공간을 제공하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상면을 커버하는 워크웨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본체부의 중앙부에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는 중심 기둥축;
상기 중심 기둥축으로부터 경사지게 돌출되고, 상기 본체부에 담수되는 활성슬러지를 교반시키는 축 날개;
상기 본체부의 하단으로부터 연장되어 배출부에 설치되어 슬러지를 배출시키는 슬러지 펌프; 및
상기 본체부의 내부 수위를 조절하도록 본체의 상부에 설치되는 수위조절부를 포함하는 농도조절부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를 이용하는 하수처리방법.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6663A KR102730235B1 (ko) | 2022-09-15 | 2022-09-15 |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처리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6663A KR102730235B1 (ko) | 2022-09-15 | 2022-09-15 |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처리방법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7759A true KR20240037759A (ko) | 2024-03-22 |
KR102730235B1 KR102730235B1 (ko) | 2024-11-14 |
Family
ID=90481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6663A Active KR102730235B1 (ko) | 2022-09-15 | 2022-09-15 |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처리방법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730235B1 (ko)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9099B1 (ko) * | 2006-08-08 | 2006-11-24 | (주) 영동엔지니어링 | 단계주입 상향류 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내 질소, 인고도처리장치 |
KR102009674B1 (ko) * | 2018-10-25 | 2019-10-21 | 주식회사 누리 | 친환경 생활하수 처리시스템 |
-
2022
- 2022-09-15 KR KR1020220116663A patent/KR102730235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49099B1 (ko) * | 2006-08-08 | 2006-11-24 | (주) 영동엔지니어링 | 단계주입 상향류 반응조를 이용한 하폐수 내 질소, 인고도처리장치 |
KR102009674B1 (ko) * | 2018-10-25 | 2019-10-21 | 주식회사 누리 | 친환경 생활하수 처리시스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730235B1 (ko) | 2024-11-1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202898159U (zh) | 一种污水处理装置 | |
CN102775025B (zh) | 高效低能耗城镇生活污水处理系统 | |
WO2012033817A2 (en) | Modular wastewater treatment system management | |
CN101544423A (zh) | 污泥减量的a/o脱氮污水处理工艺及装置 | |
JP4059790B2 (ja) | 膜分離活性汚泥処理装置及び膜分離活性汚泥処理方法 | |
CN108503019A (zh) | 一种膜生物反应器及污水处理方法 | |
CN201834830U (zh) | 一体化污水处理装置 | |
CN107055932A (zh) | 一种船用生活污水处理系统 | |
CN209797712U (zh) | 一种中高浓度综合污水脱氮除磷处理系统 | |
BG109181A (bg) | Метод и устройство за дълбоко биологично пречистване на отпадни води | |
JP2007532297A (ja) | 浸漬膜のスループット及び動作寿命を改善する方法および装置 | |
KR20240037759A (ko) | 활성슬러지 농도 조절기능을 구비하는 하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하수처리방법 | |
CN206494810U (zh) | 一种船用生活污水处理装置 | |
CN208577593U (zh) | 一种组合mbr生活污水处理装置 | |
CN209322672U (zh) | 一种适用于蔬菜种植基地污水净化处理的污水处理站 | |
CN208933075U (zh) | 一种垃圾渗滤液处理装置 | |
CN208345996U (zh) | 一种污水处理装置 | |
WO2007049495A1 (ja) | 廃水処理装置及び廃水処理方法 | |
CN218290683U (zh) | 双标准一体化污水处理撬装设备 | |
CN221701334U (zh) | 一种污水处理用连续循环流一体化生化塔 | |
CN111320274A (zh) | 一种一体式污水处理装置 | |
KR100249465B1 (ko) | 오수, 분뇨 합병정화조의 싸이폰식 여과휠타조 | |
CN205295082U (zh) | 一种同级排入处理系统 | |
KR102779189B1 (ko) | 생물반응조의 활성슬러지 반송을 이용한 하수 처리 장치 | |
KR101617804B1 (ko) | 소형 유류 제거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유류 제거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5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220927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15 Patent event code: PA03021R01I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060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Final Notice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31108 Patent event code: PE09021S02D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0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41105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41111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24111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