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061A -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5061A KR20240035061A KR1020220114049A KR20220114049A KR20240035061A KR 20240035061 A KR20240035061 A KR 20240035061A KR 1020220114049 A KR1020220114049 A KR 1020220114049A KR 20220114049 A KR20220114049 A KR 20220114049A KR 20240035061 A KR20240035061 A KR 20240035061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spection
- guide rail
- ray
- pallet
- inspection object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08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the radiation being X-ray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6—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measuring the absorption
- G01N23/1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defects or foreign matter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10—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 G01N2223/101—Different kinds of radiation or particles electromagnetic radiation
- G01N2223/1016—X-ra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30—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 G01N2223/33—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 G01N2223/3307—Accessories, mechanical or electrical features scanning, i.e. relative motion for measurement of successive object-parts source and detector fixed; object move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50—Detectors
- G01N2223/501—Detectors array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52—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impurities, foreign matter, trace amou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Toxic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장치는 검사 대상(S)의 이송을 위한 유도 레일(12); 유도 레일(12)의 경로에 형성되는 검사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 및 다수 개의 디텍터(14a 내지 14d)로 이루어진 엑스레이 검사 모듈; 및 검사 대상(S)을 고정시켜 유도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팔레트(17)를 포함하고, 팔레트(17)는 유도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검사 대상(S)을 검사 지점에 위치시키고, 검사가 완료된 검사 대상(S)은 유도 레일(12)을 따라 이동되어 배출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엑스레이에 의한 검사 방법은 광학 수단 또는 이와 유사한 다른 검사 수단과 달리 밀폐된 내부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진다. 그러나 엑스레이 검사는 차폐가 된 검사실 내부에서 이루어지면서 정확한 엑스레이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는 설비에서 이루어져야 한다는 단점을 가진다. 이와 같은 단점에도 불구하고 부품, 소재 또는 제품에 대한 비파괴 검사가 가능하면서 정밀 검사가 가능하고, 이로 인하여 불량률의 감소가 요구되는 다양한 검사에서 엑스레이 검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예를 들어 스마트폰 또는 카메라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에서 사용되는 휴대용 배터리 또는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를 비롯하여 다양한 종류의 배터리의 검사에 엑스레이 검사 방법이 적용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기술이 이 분야에 공지되어 있다. 특허등록번호 10-1133048은 배터리 검사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또한 특허공개번호 10-2017-0016179는 원통 형상의 배터리 검사용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 대하여 개시한다. 검사 대상은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검사 장치의 형상 또는 구조에 따른 그에 적합한 검사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이와 함께 검사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필요가 있다. 그러나 선행기술은 이와 같은 검사 구조를 가진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 대하여 개시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선행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아래와 같은 목적을 가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 지점이 검사되어야 하는 검사 대상의 검사를 위하여 적어도 두 개의 검사 지점이 동시에 검사될 수 있도록 하는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검사 대상의 이송을 위한 유도 레일; 유도 레일의 경로에 형성되는 검사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엑스레이 튜브 및 다수 개의 디텍터로 이루어진 엑스레이 검사 모듈; 및 검사 대상을 고정시켜 유도 레일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팔레트를 포함하고, 팔레트는 유도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검사 대상을 검사 지점에 위치시키고, 검사가 완료된 검사 대상은 유도 레일을 따라 이동되어 배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엑스레이 튜브 및 디덱터는 각각 네 개가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레일은 검사 위치를 기준으로 유입 유도 레일과 배출 유도 레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레일의 경로에 설치되는 유도 블록 및 유도 블록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검사 대상은 파우치 형상의 배터리가 되고, 배터리의 네 개의 모서리가 검사 지점이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유도 레일의 끝 부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검사를 위한 이물질 탐지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팔레트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 폴 및 고정 폴의 위쪽 부분에 배치되는 회전 고정 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적절한 실시 형태에 따르면, 이물질 탐지 모듈은 엑스레이 튜브 및 디텍터가 된다.
본 발명에 따른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서로 다른 다수 지점의 검사가 필요한 검사 대상에 적용되어 다수 개의 검사 지점에 동시에 검사가 되도록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네 개의 모서리의 검사가 필요한 파우치 형상의 배터리 검사에 적용되어 네 개의 모서리가 동시에 검사가 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다점 검사가 필요한 다양한 검사 대상에 적용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서 검사 대상이 검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서 이물질이 검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서 검사 대상에 팔레트에 고정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서 검사 대상이 검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서 이물질이 검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서 검사 대상에 팔레트에 고정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아래에서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지만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명확한 이해를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아래의 설명에서 서로 다른 도면에서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는 유사한 기능을 가지므로 발명의 이해를 위하여 필요하지 않는다면 반복하여 설명이 되지 않으며 공지의 구성요소는 간략하게 설명이 되거나 생략이 되지만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제외되는 것으로 이해되지 않아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검사 대상(S)의 이송을 위한 유도 레일(12); 유도 레일(12)의 경로에 형성되는 검사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 및 다수 개의 디텍터(14a 내지 14d)로 이루어진 엑스레이 검사 모듈; 및 검사 대상(S)을 고정시켜 유도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팔레트(17)를 포함하고, 팔레트(17)는 유도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검사 대상(S)을 검사 지점에 위치시키고, 검사가 완료된 검사 대상(S)은 유도 레일(12)을 따라 이동되어 배출된다.
유도 레일(12)이 베이스 판(11)에 유도 판(11a)이 배치될 수 있고, 유도 판(11a)의 위쪽 면에 유도 레일(12)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베이스 판(11)은 프레임(F)의 위쪽에 고정될 수 있다. 프레임(F)은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이 될 수 있고, 프레임(F)의 위쪽 면에 고정되는 베이스 판(11)은 전체적으로 평면 형상이 될 수 있다. 베이스 판(11)은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고, 베이스 판(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직사각 판 형상의 유도 판(11a)이 배치될 수 있다. 유도 판(11a)은 검사 대상(S)의 이동 경로를 따라 연장될 수 있고, 검사 대상(S)의 이동을 위한 한 쌍의 유도 레일(12)이 유도 판(11a)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 레일(12)은 유도 판(11a)을 따라 연장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검사 대상(S)은 유도 레일(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사 장치의 구조에 의하여 검사 장치가 인-라인 방식으로 검사 대상(S)의 공정 설비와 연결될 수 있고, 검사 대상(S)의 제조 과정에서 엑스레이 검사가 진행될 수 있다. 유도 레일(12)의 경로 상에 검사 위치가 설정될 수 있고, 검사 위치에 검사 모듈이 배치될 수 있다. 검사 모듈은 다수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 및 다수 개의 디텍터(14a 내지 14d)가 배치될 수 있다.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 및 디텍터(14a 내지 14d)는 유도 경로의 양쪽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레일(12)의 양쪽에 각각 두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 및 두 개의 디텍터(14a 내지 14d)가 배치되어 전체적으로 네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 및 네 개의 디텍터(14a 내지 14d)가 배치될 수 있다.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의 개수는 검사 대상(S)의 형상 또는 구조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하나의 검사 대상에서 필요한 검사 지점의 개수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 대상(S)이 파우치 형상의 배터리가 되는 경우 네 개의 모서리 부분이 검사 지점이 될 수 있고, 두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13b) 또는 네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가 배치될 수 있다.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 및 디텍터(14a 내지 14d)의 위치는 검사 대상(S)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검사 대상(S)은 팔레트(17)에 의하여 유도 레일(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팔레트(17)는 유도 레일(12)을 따라 이동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팔레트(17)는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 또는 직육면체 형상이 되면서 아래쪽 부분은 유도 레일(12)을 따라 선형 이동이 가능하면서 위쪽 부분이 검사 대상(S)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팔레트(17)가 유도 레일(12)에 위치하면 검사 대상(S)이 팔레트(17)의 위쪽에 형성된 고정 평면에 위치할 수 있다. 팔레트(17)가 유도 레일(12)을 따라 이동되면서 이와 함께 검사 대상(S)이 검사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검사 위치는 네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의 배치 위치를 기준으로 중간 부분이 될 수 있고, 네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는 유도 경로(12)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검사 대상(S)의 검사 지점에 기초하여 각각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의 방향 및 초점 위치가 설정될 수 있다. 검사 위치에서 팔레트(17)가 위쪽으로 이동되고, 이에 따라 검사 대상(S)의 검사 지점이 각각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가 초점에 위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검사 대상(S)이 파우치 형상의 배터리가 되는 경우 네 개의 모서리 부분이 검사 지점이 될 수 있고, 네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내지 13d) 및 네 개의 디텍터(14a 내지 14d)에 의하여 네 개의 모서리에 대한 엑스레이 영상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획득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검사 대상(S)이 유도 레일(12)이 형성된 이동 평면으로부터 분리되어 검사 이미지가 획득되어 검사와 관련된 간섭이 방지되면서 검사 지점이 유도 레일(12)의 위쪽에 위치하여 명확한 엑스레이 이미지가 획득되도록 한다. 이와 같이 다수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 및 디텍터(14a 내지 14d)에 의하여 엑스레이 검사 이미지가 획득되면, 팔레트(17)가 아래쪽으로 이동되면서 검사 대상(S)이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후 팔레트(17)가 유도 레일(12)을 따라 이동되어 검사가 완료된 검사 대상(S)을 배출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 예에 따르면,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유도 레일(12)의 끝 부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검사를 위한 이물질 탐지 모듈을 더 포함한다. 검사가 완료된 검사 대상(S)은 유도 레일(12)의 끝 부분에서 배출될 수 있다. 검사 대상(S)이 배출되기 전 검사 대상(S)의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이 이물질 탐지 모듈에 의하여 검사될 수 있다. 이물질 탐지 모듈은 예를 들어 카메라와 같은 비전 검사 수단이 될 수 있지만 내부 또는 외부에 존재하는 이물질의 검사를 위하여 이물질 탐지 모듈의 탐지 엑스레이 튜브(15a, 15b) 및 탐지 디텍터(16a, 16b)가 될 수 있다. 탐지 엑스레이 튜브(15a, 15b)는 베이스 판(11)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고, 탐지 디텍터(16a, 16b)에 탐지 엑스레이 튜브(15a, 15b)와 마주보는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아래에서 다시 설명된다.
도 2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서 검사 대상이 검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 내지 4를 참조하면, 유도 레일(12)은 검사 위치를 기준으로 유입 유도 레일(12a)과 배출 유도 레일(12b)로 이루어진다. 또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는 유도 레일(12)의 경로에 설치되는 유도 블록(21) 및 유도 블록(2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22)을 더 포함한다.
프레임(F)은 제조 설비에 인-라인(in-line)으로 연결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유도 레일에 팔레트(17)가 위치할 수 있다. 유도 레일은 검사 영역의 앞쪽에 위치하는 유입 유도 레일(12a)과 검사 영역의 뒤쪽에 위치하는 배출 유도 레일(12b)로 이루어질 수 있다. 유입 유도 레일(12a)과 배출 유도 레일(12b)은 유도 블록(21)에 의하여 연결될 수 있고, 유도 블록(21)의 위쪽 공간이 검사 영역이 될 수 있다. 유입 유도 레일(12a)과 배출 유도 레일(12b)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조를 가질 수 있고, 유도 블록(21)의 위쪽 면은 유입 유도 레일(12a) 및 배출 유도 레일(12b)의 위쪽 면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검사 대상이 적재된 팔레트(17)가 유입 유도 레일(12a)을 따라 이동되어 유도 블록(21)의 위쪽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유도 블록(21)은 작동 실린더와 같은 구동 유닛(22)에 의하여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유도 블록(21)의 위쪽 방향으로 이동되는 높이는 미리 결정될 수 있고, 위쪽 방향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엑스레이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검사 대상(S)이 파우치 형상의 배터리가 되는 경우 네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 및 네 개의 디텍터에 의하여 네 개의 모서리에 대한 엑스레이 이미지가 획득될 수 있다. 엑스레이 이미지가 획득된 이후 구동 유닛(22)의 작동에 의하여 유도 블록(21)이 아래쪽으로 이동될 수 있고, 도4에 도시된 것처럼 팔레트(17)는 배출 유도 레일(12b)을 따라 이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팔레트(17)는 배출 유도 레일(12b)을 따라 이동될 수 있고, 배출 유도 블록(12b)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이물질 검사가 될 수 있다. 이물질 검사를 위하여 배출 유도 레일(12b)에 탐지 엑스레이 튜브(15a, 15b) 및 탐지 디텍터(16a, 16b)가 설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검사 대상(S)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이 검사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서 이물질이 검사되는 과정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팔레트(17)는 검사 대상(S)을 위쪽 부분에 고정될 수 있고, 검사 대상(S)은 사각 판 형상이 될 수 있다. 팔레트(17)가 유도 레일(12)의 정해진 위치에 도달하면 탐지 엑스레이 튜브(15a, 15b) 및 탐지 디텍터(16a, 16b)에 의하여 이물질이 탐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탐지 엑스레이 튜브(15a, 15b)가 유도 레일(12)의 폭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유도 레일(12)의 아래쪽에 배치될 수 있다. 유도 레일(12)의 아래쪽으로부터 위쪽 방향으로 검사 대상(S)을 투과하도록 엑스레이가 방출될 수 있다. 그리고 유도 레일(12)의 위쪽에 탐지 엑스레이 튜브(15a, 15b)와 마주보도록 탐지 디텍터(16a, 16b)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물질 탐지 모듈에 의하여 검사 대상(S)에 존재할 수 있는 이물질이 탐지될 수 있다. 제시된 실시 예에서 두 개의 탐지 엑스레이 튜브(15a, 15b)가 제시되어 있지만 검사 대상(S)의 형상 또는 구조에 따라 엑스레이 튜브(15a, 15b) 및 디텍터(16a, 16b)는 적절한 개수로 설치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도 6 및 7은 본 발명에 따른 엑스레이 검사 장치에서 검사 대상에 팔레트에 고정되는 구조의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7을 참조하면, 팔레트(17)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 폴(172a, 172b) 및 고정 폴(172a, 172b)의 위쪽 부분에 배치되는 회전 고정 탭(174a, 174b, 174c, 174d)을 포함한다. 팔레트(17)는 검사 대상의 형상 또는 구조에 따라 적절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검사 대상(S)이 파우치 형상의 배터리가 되는 경우 팔레트(17)는 전체적으로 박스 형상이 되면서 위쪽 부분에 검사 대상(S)이 고정될 수 있는 구조가 될 수 있다. 팔레트(17)는 전체적으로 사각 판 형상이 되는 이동 기판(171); 및 이동 기판(171)에 형성된 다수 개의 고정 폴(172a, 172b)을 포함한다. 이동 기판(171)의 아래쪽에 유도 레일을 따라 이동되도록 하는 이동 유도 수단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 폴(172a, 172b)은 이동 기판(171)의 위쪽 면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고정 폴(172a, 172b)의 위쪽 부분에 받침 플레이트(175)에 의하여 받쳐지는 고정 플레이트(173)가 배치되어 검사 대상(S)이 위치될 수 있다. 또한 고정 폴(172a, 172b)의 위쪽 끝 부분에 회전 고정 탭(174a, 174b)이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고정 탭(174a, 174b)은 전체적으로 T 형상이 되면서 한쪽 끝이 고정 폴(172a, 172b)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회전 고정 탭(174a, 174b)은 기체 압력에 의하여 작동될 수 있고, 회전 고정 탭(174a, 174b)은 T 형상의 다리 끝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의 좌측에 도시된 것처럼, 주입구(176)를 통하여 기체가 주입되지 않은 상태에서 회전 고정 탭(174a, 174b)은 검사 대상(S)으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이에 비하여 기체가 주입구(176)를 통하여 주입되면 도 6의 우측에 도시된 것처럼, 회전 고정 탭(174a, 174b)이 회전되어 검사 대상(S)의 위쪽에서 아래쪽으로 압력을 가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검사 대상(S)이 팔레트(17)에 고정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검사 대상(S)은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고, 크기가 큰 대형 검사 대상(S1)의 경우 네 개의 고정 폴(172a 내지 172d)이 이동 기판(171)의 위쪽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각각의 고정 폴(172a 내지 172d)에 회전 고정 탭(174a 내지 174d)이 결합될 수 있다. 고정 폴(172a 내지 172d) 또는 회전 고정 탭(174a 내지 174d)은 다양한 개수로 형성될 수 있고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은 제한되지 않는다.
위에서 본 발명은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이 되었지만 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제시된 실시 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발명을 만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변형 및 수정 발명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으며 다만 아래에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11: 베이스 판
12: 유도 레일
13a 내지 13d: 엑스레이 튜브 14a 내지 14d: 디텍터
15a, 15b: 엑스레이 튜브 16a, 16b: 디텍터
17: 팔레트 21: 유도 블록
22: 구동 유닛 S: 검사 대상
13a 내지 13d: 엑스레이 튜브 14a 내지 14d: 디텍터
15a, 15b: 엑스레이 튜브 16a, 16b: 디텍터
17: 팔레트 21: 유도 블록
22: 구동 유닛 S: 검사 대상
Claims (8)
- 검사 대상(S)의 이송을 위한 유도 레일(12);
유도 레일(12)의 경로에 형성되는 검사 위치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 및 다수 개의 디텍터(14a 내지 14d)로 이루어진 엑스레이 검사 모듈; 및
검사 대상(S)을 고정시켜 유도 레일(12)을 따라 이동 가능한 팔레트(17)를 포함하고,
팔레트(17)는 유도 레일을 따라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하로 이동되어 검사 대상(S)을 검사 지점에 위치시키고, 검사가 완료된 검사 대상(S)은 유도 레일(12)을 따라 이동되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엑스레이 튜브(13a 내지 13d) 및 디덱터(14a 내지 14d)는 각각 네 개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도 레일(12)은 검사 위치를 기준으로 유입 유도 레일(12a)과 배출 유도 레일(12b)로 이루어지는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도 레일(12)의 경로에 설치되는 유도 블록(21) 및 유도 블록(21)을 상하로 이동시키는 구동 유닛(22)을 더 포함하는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검사 대상(S)은 파우치 형상의 배터리가 되고, 배터리의 네 개의 모서리가 검사 지점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유도 레일(12)의 끝 부분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이물질 검사를 위한 이물질 탐지 모듈을 더 포함하는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팔레트(17)는 적어도 한 쌍의 고정 폴(172a, 172b) 및 고정 폴(172a, 172b)의 위쪽 부분에 배치되는 회전 고정 탭(174a, 174b, 174c, 174d)을 포함하는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청구항 1에 있어서, 이물질 탐지 모듈은 엑스레이 튜브(15a, 15b) 및 디텍터(16a, 16b)가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4049A KR102816738B1 (ko) | 2022-09-08 | 2022-09-08 |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14049A KR102816738B1 (ko) | 2022-09-08 | 2022-09-08 |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5061A true KR20240035061A (ko) | 2024-03-15 |
KR102816738B1 KR102816738B1 (ko) | 2025-06-05 |
Family
ID=902728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14049A Active KR102816738B1 (ko) | 2022-09-08 | 2022-09-08 |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2816738B1 (ko) |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3048B1 (ko) | 2011-04-08 | 2012-04-04 |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 배터리 검사장치 |
KR20160065645A (ko) * | 2014-12-01 | 2016-06-09 | (주)자비스 | 엑스레이 검사 트레이 모듈 및 이에 의한 경사 방향 검사가 가능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
KR20170016179A (ko) | 2015-08-03 | 2017-02-13 | (주)자비스 | 배터리 검사용 엑스레이 검사 장치 및 그에 의한 배터리 검사 방법 |
KR20190013014A (ko) * | 2017-07-31 | 2019-02-11 | (주)자비스 | 내부 결함 및 접합 부위의 검사가 가능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
KR20190053389A (ko) * | 2017-11-10 | 2019-05-20 | (주)자비스 | 가변 클램프 구조의 그립 장치 |
KR20210009271A (ko) * | 2019-07-16 | 2021-01-26 | 주식회사 쎄크 | 엑스-레이 검사 장치 |
-
2022
- 2022-09-08 KR KR1020220114049A patent/KR102816738B1/ko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133048B1 (ko) | 2011-04-08 | 2012-04-04 | 주식회사 이노메트리 | 배터리 검사장치 |
KR20160065645A (ko) * | 2014-12-01 | 2016-06-09 | (주)자비스 | 엑스레이 검사 트레이 모듈 및 이에 의한 경사 방향 검사가 가능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
KR20170016179A (ko) | 2015-08-03 | 2017-02-13 | (주)자비스 | 배터리 검사용 엑스레이 검사 장치 및 그에 의한 배터리 검사 방법 |
KR20190013014A (ko) * | 2017-07-31 | 2019-02-11 | (주)자비스 | 내부 결함 및 접합 부위의 검사가 가능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
KR20190053389A (ko) * | 2017-11-10 | 2019-05-20 | (주)자비스 | 가변 클램프 구조의 그립 장치 |
KR20210009271A (ko) * | 2019-07-16 | 2021-01-26 | 주식회사 쎄크 | 엑스-레이 검사 장치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2816738B1 (ko) | 2025-06-0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7380560B2 (ja) | 電池の検査装置および電池の検査方法 | |
KR101707220B1 (ko) | 배터리 검사용 엑스레이 검사 장치 및 그에 의한 배터리 검사 방법 | |
KR102257982B1 (ko) | 배터리 검사 방법 | |
US20110013015A1 (en) | Vision inspection system and inspection method using the same | |
KR101098321B1 (ko) | 통합 비주얼 이미징 및 전자 감지 검사 시스템 | |
KR101800088B1 (ko) | 카메라 모듈의 검사장치 | |
CN211061152U (zh) | 一种集成视场、调制传递函数和对中测量的镜头检测设备 | |
KR20160065645A (ko) | 엑스레이 검사 트레이 모듈 및 이에 의한 경사 방향 검사가 가능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 |
KR102708674B1 (ko) | 전자부품 적재상태 점검장치 | |
KR102257984B1 (ko) | 다층 물품 검사용 엑스레이 검사 장치 및 그에 의한 검사 방법 | |
KR101957667B1 (ko) | 선형 축 이동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
KR102673566B1 (ko) | 검사 방향 정렬 방식의 엑스레이 검사 방법 | |
KR20210111189A (ko) | 복수 경로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
KR20240035061A (ko) |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
KR20080043768A (ko) | 마이크로칼럼을 이용한 미세 패턴 및 형상 검사장치 | |
US9568303B2 (en) | Device and method for inspecting a sealing member | |
CN206696560U (zh) | 一种基于aoi的液晶面板检测设备 | |
CN112649448B (zh) | 非破坏检查装置 | |
CN205991938U (zh) | 一种高效全方位影像测量仪 | |
WO2024071479A1 (ko) | 다점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
KR101351000B1 (ko) | 복수 개의 검사 모드를 가지는 인라인 카메라 검사 장치 | |
KR102649699B1 (ko) | 메탈 마스크 검사기 | |
KR20190009130A (ko) | 튜브 구조 부품의 검사를 위한 엑스레이 검사 장치 및 그에 의한 검사 방법 | |
KR102559024B1 (ko) | 복수 방향 검사 구조의 엑스레이 검사 장치 | |
KR20220149024A (ko) | 배터리 셀 정렬 상태의 검사 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9 | Patent application |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8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4052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50407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