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33395A - 습식 숙성 장치 - Google Patents

습식 숙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395A
KR20240033395A KR1020220112003A KR20220112003A KR20240033395A KR 20240033395 A KR20240033395 A KR 20240033395A KR 1020220112003 A KR1020220112003 A KR 1020220112003A KR 20220112003 A KR20220112003 A KR 20220112003A KR 20240033395 A KR20240033395 A KR 20240033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ipening
water tank
control unit
ripening chamber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명수
Original Assignee
한명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명수 filed Critical 한명수
Priority to KR1020220112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395A/ko
Publication of KR20240033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395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ATION OF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4/00Preservation of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 A23B4/066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 A23B4/068Freezing; Subsequent thawing; Cooling the materials not being transported through or in the apparatus with or without shaping, e.g. in the form of powder, granules or flakes with packages or with shaping in the form of blocks or por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17/00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 F25D17/04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 F25D17/06Arrangements for circulating cooling fluids; Arrangements for circulating gas, e.g. air, within refrigerated spaces for circulating air, e.g. by convection by forced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06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for mounting refrigerating machinery compon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6Walls
    • F25D23/065Details
    • F25D23/067Suppor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12Arrangements of compartments additional to cooling compartments; Combinations of refrigerators with other equipment, e.g. sto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습식 숙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냉동사이클이 구비되고 도어에 의해 밀폐되며 숙성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숙성고는 내벽 면에 적어도 한 개의 전원 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숙성고의 양측 내벽 면에는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다수의 가이드 레일이 배열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진공 포장된 육류를 침지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며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가 구비된 적어도 한 개의 수조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수조에는 타이머를 포함한 제2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습식 숙성 장치{wet aging apparatus}
본 발명은 습식 숙성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동사이클을 기반으로 육류를 숙성시키기 위한 습식 숙성장치의 내부 구조와 기능을 효율적으로 개선하여 진공포장된 육류를 습식에 의해 효과적으로 숙성시키는 습식 숙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국민들의 소득수준이 높아짐에 따라 건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차별화된 맛과 영양을 겸비한 기능성 식품의 인기가 날로 높아지고 있다.
그 중에서도 지방의 보고라고 할 수 있는 육류에는 귀중한 에너지원인 단백질과 비타민 B1, 철분 등의 영양소가 함유되어 있다.
도살 직후의 육류는 사후경직에 의해 육질이 질기거나 향과 맛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으며, 장기간 보관된 냉동육의 경우에는 보관 중 발생할 수 있는 산폐에 의한 변질에 대한 문제점 그리고 냉동된 육류를 해동하여 섭취할 때 맛이 떨어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도축할 때 일어난 근육의 경직을 풀어 주는 과정을 거친 숙성육이 인기를 끌고 있다.
숙성은 방식에 따라, 건식 숙성(dry aging)과 습식 숙성(wet aging)으로 크게 구분하는데, 건식 숙성은 자연적으로 육류에 함유된 수분을 증발시키며 방치하는 것을 말하고, 습식 숙성은 비닐 팩이나 밀봉된 플라스틱 통에 넣어 수분이 보존된 상태로 방치하는 것을 말한다.
육류의 숙성은 영상, 즉 0℃~5℃에서 미생물의 증식을 억제하면서 진행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 0450516호에는 고기 숙성실의 온도를 1.1℃~1.7℃의 범위, 그리고 습도를 50%~75 %의 범위로 유지하면서 건조 숙성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국내 특허등록 제1372321호는 숙성 온도의 범위가 일부 영하인 것을 개시하고 있으며, 숙성하고자 하는 육류의 종류에 따라 숙성시키기 위한 온도에 편차를 두고 있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다.
그런데, 실용신안등록 제0450516호는 영상 온도에서 숙성을 진행하므로 미생물 등의 활동이나 번식을 막기에 부족함이 있고, 특허등록 제1372321호는 영하 온도에서 숙성을 진행하고 있어 실용신안등록 제0450516호보다 미생물의 활동이나 번식을 좀더 차단할 수 있지만, 특허등록 제1372321호는 숙성 온도의 하한값을 숙성 대상물의 동결점으로 설정하고 있어서 미생물의 활동이나 번식을 차단하는데 한계가 있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496839호에는 "고기 숙성고"가 게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810679호에는 "초저온 숙성고 및 초저온 숙성 방법"이 제안되고 있으며,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21-0068910호에는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가 제안되고 있다.
상기한 특허 등록번호 10-1496839호에 게시된 "고기 숙성고", 도어를 열고 닫을 때 숙성실에서 발생되는 냉기의 온도편차를 줄여 냉기의 손실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여 전력소비를 최소화 하기 위한 것이다.
또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810679호에 게시된 "초저온 숙성고 및 초저온 숙성 방법"은, 고기를 그 동결점 이하에서도 숙성시킬 수 있게 하고, 그로 말미암아 미생물의 활동이나 번식을 극소화함으로써, 식품 안전에 기여하고자 한다는 것이다.
또한,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10-2021-0068910호에 게시된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는, 제상 중에는 두 개의 증발기가 번갈아 작동하여 제상 작업과 동시에 연속운전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대적으로 숙성고 내 온도 상승을 억제하면서도 숙성 사이클을 지속시킨다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숙성장치들은 공통적으로 냉동사이클을 기반으로 육류를 숙성시키기 위한 방법이 기술적으로 발전했지만, 냉동사이클에 의해 형성되는 냉기에 의해 육류를 숙성시키기 위한 숙성고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고 그에 따라 많은 부품 들이 소요된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많은 부품들이 소요되므로 부품가격이 상승함에 따라 제품가격이 편승하여 상승할 수밖에 없고, 조립공정이 번거로워 생산성이 저하된다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기술구성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배경기술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널리 알려진 종래기술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KR 10-1496839 B1 KR 10-1810679 B1 KR 10-2021-0068910 A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 발명의 목적은, 냉동사이클을 기반으로 육류를 숙성시키기 위한 숙성고의 내부 구조를 단순하게 개선하여 부품 수를 줄이고 그에 따라 원재료의 상승을 줄일 수 있는 습식 숙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육류를 숙성시키기 위한 숙성고의 내부 부품수를 줄이고 그에 따라 조립공정을 단순화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습식 숙성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는, 냉동사이클이 구비되고 도어에 의해 밀폐되며 숙성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숙성고는 내벽 면에 적어도 한 개의 전원 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숙성고의 양측 내벽 면에는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다수의 가이드 레일이 배열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진공 포장된 육류를 침지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며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가 구비된 적어도 한 개의 수조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수조에는 타이머를 포함한 제2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습식 숙성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는, 냉동사이클이 구비되고 도어에 의해 밀폐되며 숙성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숙성고는 내벽 면에 적어도 한 개의 전원 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숙성고의 양측 내벽 면에는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다수의 가이드 레일이 배열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진공 포장된 육류를 침지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며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가 구비된 적어도 한 개의 수조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수조에는 타이머를 포함한 제2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숙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2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숙성고는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냉동사이클의 증발기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는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상기 숙성고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팬 모터가 더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는, 냉동사이클이 구비되고 도어에 의해 밀폐되며 숙성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숙성고의 상측에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가 배치되며 물이 담겨지는 물 냉각조가 배치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숙성고의 양측 내벽 면에는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다수의 가이드 레일이 배열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진공 포장된 육류를 침지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는 복수 개의 수조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냉각조와 복수 개의 상기 수조는 입수관과 출수관이 연결되되 하측에 배치된 상기 수조의 출수관과 상기 물 냉각조의 사이에는 수조의 물을 물 냉각조로 회수하는 회수 펌프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숙성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3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1 변형 예는, 상기 숙성고는 내벽 면에 적어도 한 개의 전원 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수조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의 적소에는 타이머를 포함한 제2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가 더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3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2 변형 예는, 상기 숙성고의 내부 상측에는 숙성고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모터가 더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 제3 실시 예의 목적을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제3 변형 예는, 상기 물 냉각조와 복수 개의 상기 수조 그리고 상기 입수관과 출수관의 적소에는 물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다수의 콕크가 더 구비된 것이 효과적이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냉동사이클을 기반으로 육류를 숙성시키기 위한 습식 숙성장치의 내부 구조를 기능적으로 개선하여 진공포장된 육류를 습식에 의해 효율적으로 숙성시키는 효과가 있다.
둘째, 육류를 숙성시키기 위한 습식 숙성장치의 내부 부품수를 줄이고 그에 따라 원재료의 가격을 낮춤은 물론 조립공정이 단순화되므로 생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숙성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숙성장치의 제2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숙성장치의 제3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
부연하면,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숙성장치의 제1 실시 예를 보인 측단면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습식 숙성장치가 적용된 제1 실시 예의 숙성고(10)는 압축, 응축, 팽창, 증발로 이루어지는 냉동사이클이 내부에 구비되고 도어(20)에 의해 밀폐된다.
상기 도어(20)는 숙성고(10)의 내부 용량에 따라 단일의 도어 또는 복수 개의 도어를 채택할 수 있다.
상기 숙성고(10)의 적소 또는 상기 도어(20)에는 숙성고(10)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30)가 구비되는데, 상기와 같은 구성 및 그 외관은 숙성고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육류 냉장고의 구성과 대동소이하다.
물론, 상기한 제1 실시 예에서의 숙성고(10)는 내부 벽면에 별도의 도면 표현을 생략한 다수의 냉기 유입구가 구비된 직접냉각식 구조를 예시한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제1 실시 예의 특징 중 하나는, 상기 숙성고(10)는 내벽 면에 적어도 한 개의 전원 공급부(11)가 구비된다는 점과, 상기 숙성고(10)의 양측 내벽 면에는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다수의 가이드 레일(12)이 배열된다는 점이다.
또 상기 제1 실시 예의 다른 특징 중 하나는, 상기 가이드 레일(12)에는 진공 포장된 육류를 침지한 상태에서 워터 에이징을 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는 적어도 한 개의 수조(40)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며, 상기 수조(40)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11)와 전기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41)가 구비된다는 점이다.
이해를 돕기 위하여 도면 표현상 상기 전원 공급부(11)와 전원 접속부(41)가 상기 숙성고(10)의 후면에 설치된 것을 도시하였지만, 이에 한정하지 않고 상기 가이드 레일(12)을 판재 형상의 선반으로 제조한 후 선반의 바닥 면에 전원 공급부를 배치하고, 상기 수조의 저면에 전원 접속부를 구비하여 접촉시 전원이 통전되고 이탈시 전원이 차단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원 공급부(11)와 상기 전원 접속부(41)는 상기 숙성고(10) 내부의 습한 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기밀을 유지하며 접속되어야 하고, 미 사용시에는 상기 전원 공급부(11)와 상기 전원 접속부(41)는 도면 표현을 생략한 별도의 커버에 의해 밀폐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각각의 상기 수조(40)에는 타이머를 포함한 제2 제어부(42)가 독립적으로 구비되며 수조(40)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제어부(42)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며 수조(40)의 진공 포장육이 침지된 수조(40) 내부의 물을 순환시키며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도록 하는 펌프(43)가 구비된다.
즉, 상기 수조(40)에 장착된 상기 제2 제어부(42)는 단독으로 동작되며 상기 수조(40)의 내부에 장착된 펌프(43)를 구동시키며 수조(40)에 저수된 물을 순환시킬 수 있지만, 상기 도어(20) 또는 상기 숙성고(10)의 적소에 구비된 상기 제1 제어부(30)와 전기 접속되어 제1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수조(40)의 내부에 장착된 펌프(43)를 구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제어부(30) 또는 상기 제2 제어부(42)의 동작에 의해 각각의 상기 수조(40)에 장착된 펌프(43)를 구동시키며 수조(40)에 저수된 물을 순환시키고, 수조(40)에 침지된 진공 포장육을 워터 에이징에 의해 숙성시키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1 제어부(30)의 제어에 의해 숙성고(10)의 내부로 공급되는 냉기는 숙성고(10)의 내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상기 수조(40)에 저수된 물의 온도는 상기 숙성고(10)의 내부 온도에 의해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며 수조(40)에 침지된 진공 포장육을 워터 에이징에 의해 숙성하는 것이다.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2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한 제1 실시 예의 구성과 상기 제2 실시 예의 구성 중 숙성고(10)의 내벽 면에 구비된 적어도 한 개의 전원 공급부(11), 상기 숙성고(10)의 양측 내벽 면에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배열된 다수의 가이드 레일(12), 상기 가이드 레일(12)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조(40), 상기 수조(40)에 구비되는 전원 접속부(41), 상기 수조(40)에 구비되는 타이머를 포함한 제2 제어부(42) 그리고 상기 수조(4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2 제어부(30)(42)의 선택적인 제어에 의해 수조(40)에 저수된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43)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하고, 제1 실시 예와 구성상 차이가 있는 부분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한 제1 실시 예와 제2 실시 예의 차이점은, 상기한 제1 실시 예는 직접 냉각방식 구조인 반면, 상기 제2 실시 예는, 간접 냉각방식 구조에 의해 숙성고(10)의 내부 온도를 유지한다는 점이다.
즉, 상기 제2 실시 예는, 상기 숙성고(10)의 내부를 향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냉동사이클의 증발기(50)가 배치되고, 상기 증발기(50)의 전방에는 증발기(50)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상기 숙성고(10)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팬 모터(60)가 설치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저온상태의 상기 증발기(50)의 냉기를 상기 팬 모터(60)가 구동하며 숙성고의 내부로 강제 순환시키며 상기 수조(40)에 저수된 물을 냉각하며 수조에 침지된 진공 포장육을 워터 에이징 한다는 점이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제3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제3 실시 예에 있어서도, 상기 숙성고(10)의 내벽 면에 구비된 적어도 한 개의 전원 공급부(11), 상기 숙성고(10)의 양측 내벽 면에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배열된 다수의 가이드 레일(12), 상기 가이드 레일(12)에 활주 가능하게 장착되는 수조(40), 상기 수조(40)에 구비되는 전원 접속부(41), 상기 수조(40)에 구비되는 타이머를 포함한 제2 제어부(42) 그리고 상기 수조(40)의 내부에 구비되며 상기 제1,2 제어부(30)(42)의 선택적인 제어에 의해 수조(40)에 저수된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43)의 구성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숙성고(10)의 내부 상측에 숙성고(10)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모터(60)가 구비되는데 이 역시 상기 제2 실시 예의 구성과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도 생략하고 제1,2 실시 예와 차별화 된 제3 실시 예의 구성 부분에 대해서만 한정하여 설명한다.
즉, 상기한 제3 실시 예는, 상기 숙성고(10)의 상측에 물 냉각조(70)를 구비하고, 상기 물 냉각조(70)와 복수 개의 상기 수조(40)는 입수관(71)과 출수관(72)이 연결되며, 하측에 배치된 상기 수조(40)의 출수관(72)과 상기 물 냉각조(70)의 사이에는 수조(40)의 물을 물 냉각조(70)로 회수하는 회수 펌프(80)가 구비된다는 점이다.
상기 물 냉각조(70)에는 증발기(50)가 배치되며 증발기(50)는 물 냉각조(70)에 저수된 냉각수에 수몰된 상태이다.
따라서, 상기 물 냉각조(70)에 저수된 냉각수는 상기 증발기(50)의 잠열과 열 교환되며 설정된 온도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한 물 냉각조(70)에 저수된 냉각수는 입수관(71)을 통하여 상기 숙성고(10)의 내부 상측에 배치된 수조(40)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상측에 배치된 수조(40)에 침지된 진공 포장육을 숙성하게 되고, 상측에 배치된 수조(40)에서 오버플로워 되는 냉각수는 입수관(71)을 통하여 배수되며 하측에 배치된 수조(40)로 입수되며 하측에 위치한 수조(40)에 침지된 진공 포장육을 숙성하게 된다.
그리고 하측에 배치된 수조(40)에서 오버플로워 되는 냉각수는 출수관(72)으로 배수되며 상기와 같은 일련의 동작은, 상기 회수 펌프(80)의 펌핑력에 의해 지속적으로 순환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제2 실시 예의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서는, 상기 물 냉각조(70)와 복수 개의 상기 수조(40) 그리고 상기 입수관(71)과 출수관(72)의 적소에는 냉각수를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다수의 콕크(C)가 구비되어야 한다.
다수의 상기 콕크(C) 중 예를 들어 상기 수조(40)와 상기 입수관(71) 또는 상기 출수관(72)의 사이에 설치되는 콕크(C)는 상기 수조(40)를 분리하거나 필요에 따라 전방으로 이동시킬 경우 상기 수조(40)로 물이 공급되는 것을 차단하는 기능을 한다.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해당 분야에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들이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 숙성고 20 ; 도어
11 ; 전원 공급부 12 ; 가이드 레일
30 ; 제1 제어부 40 ; 수조
41 ; 전원 접속부 42 ; 제2 제어부
43 ; 펌프 50 ; 증발기
60 ; 팬 모터 70 ; 물 냉각조
71 ; 입수관 72 ; 출수관
80 ; 회수 펌프 "C" ; 콕크

Claims (7)

  1. 냉동사이클이 구비되고 도어에 의해 밀폐되며 숙성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숙성고는 내벽 면에 적어도 한 개의 전원 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숙성고의 양측 내벽 면에는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다수의 가이드 레일이 배열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진공 포장된 육류를 침지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며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가 구비된 적어도 한 개의 수조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며;
    각각의 상기 수조에는 타이머를 포함한 제2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숙성장치.
  2. 냉동사이클이 구비되고 도어에 의해 밀폐되며 숙성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숙성고는 내벽 면에 적어도 한 개의 전원 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숙성고의 양측 내벽 면에는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다수의 가이드 레일이 배열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진공 포장된 육류를 침지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며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가 구비된 적어도 한 개의 수조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수조에는 타이머를 포함한 제2 제어부가 더 구비되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숙성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고는 내부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노출되도록 냉동사이클의 증발기가 구비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증발기의 전방에는 증발기에서 발생하는 냉기를 상기 숙성고의 내부로 순환시키는 팬 모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숙성장치.
  4. 냉동사이클이 구비되고 도어에 의해 밀폐되며 숙성고의 운전을 제어하는 제1 제어부가 구비된 것을 포함하되;
    상기 숙성고의 상측에는 냉동사이클의 증발기가 배치되며 물이 담겨지는 물 냉각조가 배치된 것을 포함하고;
    상기 숙성고의 양측 내벽 면에는 설정된 높이를 유지하며 다수의 가이드 레일이 배열된 것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레일에는 진공 포장된 육류를 침지하기 위한 물이 담겨지는 복수 개의 수조가 활주 가능하게 장착된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물 냉각조와 복수 개의 상기 수조는 입수관과 출수관이 연결되되 하측에 배치된 상기 수조의 출수관과 상기 물 냉각조의 사이에는 수조의 물을 물 냉각조로 회수하는 회수 펌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숙성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고는 내벽 면에 적어도 한 개의 전원 공급부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수조는 상기 전원 공급부와 전기 접속되는 전원 접속부가 구비되고,
    상기 수조의 적소에는 타이머를 포함한 제2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기 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제2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선택적으로 또는 지속적으로 동작하며 수조의 물을 순환시키는 펌프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숙성장치.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숙성고의 내부 상측에는 숙성고의 내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팬 모터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습식 숙성장치.
  7.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물 냉각조와 복수 개의 상기 수조 그리고 상기 입수관과 출수관의 적소에는 물을 통과시키거나 차단하는 다수의 콕크가 더 구비된 것을 포함하는 습식 숙성장치.

KR1020220112003A 2022-09-05 2022-09-05 습식 숙성 장치 Pending KR202400333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003A KR20240033395A (ko) 2022-09-05 2022-09-05 습식 숙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003A KR20240033395A (ko) 2022-09-05 2022-09-05 습식 숙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395A true KR20240033395A (ko) 2024-03-12

Family

ID=90300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003A Pending KR20240033395A (ko) 2022-09-05 2022-09-05 습식 숙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395A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39B1 (ko) 2013-09-06 2015-03-04 조장노 고기 숙성고
KR101810679B1 (ko) 2016-01-26 2017-12-19 이승우 초저온 숙성고 및 초저온 숙성 방법
KR20210068910A (ko) 2019-12-02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96839B1 (ko) 2013-09-06 2015-03-04 조장노 고기 숙성고
KR101810679B1 (ko) 2016-01-26 2017-12-19 이승우 초저온 숙성고 및 초저온 숙성 방법
KR20210068910A (ko) 2019-12-02 2021-06-10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상 시스템 및 이를 적용한 건식 숙성고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647047B2 (ja) 過冷却制御冷蔵庫
EP1936302B1 (en) Device for controlling the refrigeration and humidity inside a drawer movable within a refrigerator
CN101803792A (zh) 温控循环腌制系统及应用
CN105433192A (zh) 一种生食海水鱼类气调解冻装置及解冻方法
US2560057A (en) Meat aging unit
KR20240033395A (ko) 습식 숙성 장치
CN106561787A (zh) 不冻结渔品的辅助保鲜装置
JP2011007487A (ja) 過冷却制御冷蔵庫
JP4840469B2 (ja) 過冷却制御冷蔵庫
WO2002101306A1 (fr) Refrigerateur
CN208891637U (zh) 一种生鲜食品冰寒超长保鲜灭菌装置
JP2012021655A (ja) 冷蔵庫
CN212289457U (zh) 湿度控制装置、冷藏装置和冷藏车
CN110906621B (zh) 一种制冷设备瞬冻控制方法及制冷设备
CN209910243U (zh) 一种冰烤地瓜用速冻装置
CN216384724U (zh) 一种高效喷雾制冷冰柜
CN101191687A (zh) 泡菜冰箱及其控制方法
ATE263345T1 (de) Kühlung eines kühlschrankes
JPS5917193Y2 (ja) 急速低温適湿解凍庫
Ndukwu et al. Fundamentals of chilling/cooling processes
CN110986455B (zh) 一种制冷设备瞬冻控制方法及制冷设备
JP5753743B2 (ja) 冷蔵庫
JP2002364981A (ja) 冷蔵庫
CN1661308A (zh) 一种利用炼钢厂的尾气冷冻、冷藏和干燥食品的方法
Kairbayeva et al. MODERN METHODS OF COOLING MEAT RAW MATERIAL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905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3021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220905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25031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