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15559A - 낚시용 전동 릴 - Google Patents

낚시용 전동 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5559A
KR20240015559A KR1020230041353A KR20230041353A KR20240015559A KR 20240015559 A KR20240015559 A KR 20240015559A KR 1020230041353 A KR1020230041353 A KR 1020230041353A KR 20230041353 A KR20230041353 A KR 20230041353A KR 20240015559 A KR20240015559 A KR 202400155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engaging
container
fishing
reel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41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이슈 모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노
Publication of KR20240015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5559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92Frame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89/00Reels
    • A01K89/015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 A01K89/017Reels with a rotary drum, i.e. with a rotating spool motor-drive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Abstract

[과제] 저비용 또한 간단한 구조로 조립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모터 홀더의 조립 정도(精度)를 향상할 수 있다.
[해결 수단] 낚싯줄이 권회(卷回)되는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8)를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이고, 계합 오목부(65) 및 모터(8)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통(7)을 가지는 릴 본체와, 계합 오목부(65)와 계합하는 계합 볼록편(101)을 가지고, 모터 수용통(7)에 대하여 모터(8)를 취부하는 모터 홀더(9)를 구비하고, 계합 오목부(65)는 계합 볼록편(101)과의 계합을 보지(保持)하는 보지부를 가지는 구성의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낚시용 전동 릴{ELECTRICAL FISHING REEL}
본 발명은, 낚시용 전동 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낚시용 전동 릴에서는, 낚싯줄이 권회(卷回)되는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고정하는 모터 홀더를 볼트에 의하여 프레임 본체에 고정하는 구성의 것이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참조).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2008-200025호
특허 문헌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볼트의 비용이 증대하는 데다가, 모터 홀더에 볼트 고정 부분을 설치하는 것으로부터 모터 홀더 자체의 사이즈, 나아가서는 릴 본체의 사이즈가 대형화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그 때문에, 볼트나 나사에 의한 구조를 사용하지 않는 간단한 구조이고, 또한 모터축에 대하여 모터 홀더를 동축(同軸)에 정도(精度) 좋게 조합하는 것이 요구되고 있었다.
또한, 볼트를 사용하는 것 없이 모터 홀더를 고정하는 방법으로서, 프레임 본체 등으로 모터 홀더를 모터 수용통에 대하여 모터축 방향으로 꽉 누르는 것으로 고정하는 방법도 있다. 그렇지만, 이 경우에는, 수리 등으로 프레임 본체 등을 뺐을 때, 모터 홀더가 모터 수용통으로부터 빠져 버리는 일이 있고, 또한, 조립 시에도, 모터 홀더를 모터 수용통에 대하여 누르면서 조립할 필요가 있고, 작업성이 나쁘고, 조립 정도에 불균일이 생긴다고 하는 문제가 있고, 그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사정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저비용 또한 간단한 구조로 조립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모터 홀더의 조립 정도를 향상할 수 있는 낚시용 전동 릴을 제공하는 것이다.
(1)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전동 릴의 태양(態樣) 1은, 낚싯줄이 권회되는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제1 계합부(係合部)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수용통을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하는 제2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통에 대하여 상기 모터를 취부(取付)하는 모터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계합부 및 상기 제2 계합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은, 서로의 계합을 보지(保持)하는 보지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전동 릴의 태양 1에 의하면, 모터 홀더를 수용통에 장착할 때에, 릴 본체의 수용통의 제1 계합부와 모터 홀더의 제2 계합부를 계합시키는 것으로,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에 설치되는 보지부에 의하여 서로의 계합이 보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제2 계합부는 모터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모터 홀더가 수용통으로부터 빠져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1 계합부와 제2 계합부와의 계합에 의하여 모터 홀더가 수용통에 장착되는 구조이고,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장착 부분에 있어서의 나사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고, 저비용이고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모터 홀더를 모터 수용통(릴 본체)에 대하여 정도 좋게 조립할 수 있다. 게다가, 볼트가 불필요하고, 또한 프레임 본체를 사용하여 모터 홀더를 릴 본체에 누르면서 조립하는 것과 같은 어려운 작업도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2) 본 발명의 태양 2는, 태양 1의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 및 상기 제2 계합부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수용통의 경(徑)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계합부 및 상기 제2 계합부 중 어느 타방(他方)은, 상기 수용통의 축 방향으로 상기 볼록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보지부는, 상기 모터가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감아올릴 때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제1 둘레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1 오목부로부터 연설(延設)되고, 상기 볼록부가 계합 가능한 제2 오목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모터 홀더를 수용통에 장착할 때에,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 중 어느 일방의 볼록부를, 제1 계합부 및 제2 계합부 중 어느 타방의 제1 오목부에 수용하고, 나아가 볼록부를 제1 둘레 방향으로 이동하여 제1 오목부로부터 제1 둘레 방향으로 연설(延設)되는 제2 오목부에 계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볼록부는 모터축선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모터 홀더가 수용통으로부터 빠져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제2 오목부가 모터의 감아올릴 때에 모터 홀더에 작용하는 토크(torque) 방향이 되는 제1 둘레 방향으로 제1 오목부로부터 연설(延設)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감아올릴 때에 볼록부가 제2 오목부에 대하여 제1 둘레 방향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힘이 작용하고, 즉 볼록부가 제2 오목부로부터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모터 홀더의 수용통(릴 본체)에 대한 조립의 느슨해짐을 억제할 수 있다.
(3) 본 발명의 태양 3은, 태양 2의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 둘레 방향을 향하는 것에 따라, 상기 수용통의 축 방향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2 오목부가 제1 둘레 방향을 향하는 것에 따라 축소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가 제2 오목부에 대하여 쐐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 둘레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고, 볼록부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4) 본 발명의 태양 4는, 태양 2 또는 태양 3의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상기 모터가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감아올릴 때의 회전 방향과 같은 제2 둘레방향으로의 상기 볼록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도 무방하다.
이 경우에는, 제2 오목부에 계합한 볼록부가 제2 오목부에 설치되는 규제부에 의하여 제2 둘레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볼록부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5) 본 발명의 태양 5는, 태양 2 내지 태양 4 중 어느 하나의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1 둘레 방향을 향하는 것에 따라, 상기 수용통의 축 방향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볼록부가 제1 둘레 방향을 향하는 것에 따라 축소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가 제2 오목부에 대하여 쐐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 둘레 방향과 반대의 방향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고, 볼록부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6) 본 발명의 태양 6은, 태양 2 내지 태양 5 중 어느 하나의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는, 상기 수용통을 막는 덮개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모터 홀더를 수용통에 장착할 때에, 모터 홀더의 덮개부에 형성되는 제2 계합부를 수용통에 형성되는 제1 계합부에 계합하는 것으로, 덮개부를 구비한 모터 홀더를 용이하게 수용통에 장착할 수 있다.
(7) 본 발명의 태양 7은, 태양 2 내지 태양 6 중 어느 하나의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성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는, 제1 계합부와 제2 계합부와의 계합 개소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할 수 있고, 이것들 복수의 계합 개소에서 모터로부터 모터 홀더에 전하여지는 레이디얼 하중을 받아들일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당의 계합 개소에 있어서의 하중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전동 릴에 의하면, 저비용 또한 간단한 구조로 조립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모터 홀더의 조립 정도를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도면이고, 전동 릴(낚시용 전동 릴)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하는 전동 릴을 다른 시점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하는 전동 릴을 또 다른 시점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하는 전동 릴을 좌측으로부터 본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하는 전동 릴로부터 제1 사이드 커버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하는 모터 홀더 주변을, 전(前) 커버를 떼어낸 상태에 있어서 전방(前方) 측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하는 화살표 A-A선을 따른 모터 수용통, 모터 및 모터 홀더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모터 및 모터 홀더를 떼어낸 후의 모터 수용통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모터 홀더를 떼어낸 후의 모터 및 모터 수용통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4에 도시하는 제1 사이드 커버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6에 도시하는 모터 홀더의 덮개체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하는 덮개체를 다른 시점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전동 릴의 실시 형태에 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덧붙여, 각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부재를 시인(視認) 가능한 크기로 하기 위하여 필요에 따라 각 구성 부재의 축척을 적의(適宜) 변경하고 있는 경우가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낚시용 전동 릴로서, 양 베어링 릴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전체 구성)
도 1 ~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동 릴(본 발명에 관련되는 낚시용 전동 릴)(1)은, 도시하지 않는 낚싯대에 장착 가능한 릴 본체(2)와, 릴 본체(2)에 대하여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취부된 핸들(3)과, 릴 본체(2)에 대하여 핸들축선(O1)과 평행한 스풀축선(O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되고, 또한 도시하지 않는 낚싯줄이 감기는 스풀(4)과, 클러치 조작 레버(5)를 가지는 클러치 기구(6)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의 전동 릴(1)은, 도 5 ~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에 설치된 모터 수용통(7)(수용통) 내에 배치되고, 스풀(4)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8)와, 모터 수용통(7)을 막도록 릴 본체(2)에 조합되고, 릴 본체(2)에 대하여 모터(8)를 고정하는 모터 홀더(9)를 구비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축선(O1) 및 스풀축선(O2)은 서로 평행으로 배치되고, 이것들의 축선을 따른 방향을 좌우 방향(L1)으로서 정의한다. 나아가 좌우 방향(L1)에 직교하고, 또한 스풀(4)에 감긴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따른 방향을 전후 방향(L2)으로서 정의한다.
나아가, 전후 방향(L2)에 있어서 스풀(4)로부터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을 전방, 그 반대 방향을 후방(後方)으로서 정의하는 것과 함께, 전동 릴(1)을 후방 측(낚시꾼 측)으로부터 본 시점에서 좌우를 정의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1은 전동 릴(1)을 비스듬히 위쪽, 왼쪽 후방으로부터 본 사시도이다.
(릴 본체)
도 1 ~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본체(2)는, 본체 프레임(10)과, 본체 프레임(10)의 좌우 양측을 덮는 사이드 커버(20)와, 본체 프레임(10)의 전부(前部) 측을 덮는 전 커버(30)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 프레임(10)은, 예를 들어 합성 수지 혹은 금속제(예를 들어 알루미늄 다이캐스트제)의 성형 부품으로 되어 있다. 본체 프레임(10)은, 스풀(4)을 사이에 두고 좌우 방향(L1)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된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과,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끼리를 좌우 방향(L1)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1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측벽(11)은, 스풀(4)에 대하여 좌측(LH)에 배치된 좌측벽으로 되어 있다. 이것에 대하여 제2 측벽(12)은, 스풀(4)에 대하여 우측(RH)에 배치된 우측벽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핸들(3)은, 제2 측벽(12)보다도 더 우측(RH)에 배치되고, 제2 측벽(12)을 이용하여 본체 프레임(10)에 취부되어 있다.
따라서, 본 실시 형태의 전동 릴(1)은, 우측 핸들 타입의 릴로 되어 있다. 덧붙여, 제2 측벽(12)은, 후술하는 커넥터부(23) 등이 설치되는 관계상, 제1 측벽(11)보다도 하방(下方)을 향하여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13)는,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끼리를 좌우 방향(L1)으로 연결하는 판상(板狀)으로 형성되고, 제1 측벽(11)의 하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은, 연결 부재(13)를 통하여 강고하게 연결되어 있다.
덧붙여, 연결 부재(13)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1)의 중앙 부분에는, 전동 릴(1)을 낚싯대에 장착하기 위한 장착 다리편(14)이 전후 방향(L2)을 따라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체 프레임(10)에 있어서,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과의 사이에는, 모터(8)를 내부에 수용하는 모터 수용통(7), 스풀(4) 및 클러치 조작 레버(5) 등이 적어도 배치되어 있다.
스풀(4)은, 핸들축선(O1)보다도 후방 측에 위치하도록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모터 수용통(7)은, 핸들축선(O1)보다도 전방 측에 위치하도록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전동 릴(1)은, 모터(8)가 스풀(4)보다도 전방 측에 배치된, 이른바 스풀 아웃 모터 타입으로 되어 있다.
덧붙여, 모터 수용통(7)은, 제1 측벽(11)에 개구부(開口部)(62)가 형성되도록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사이드 커버(20)는, 모터 수용통(7)의 개구부가 형성된 제1 측벽(11)을 좌측(LH)으로부터 덮도록 본체 프레임(10)에 조합된 제1 사이드 커버(21)와, 제2 측벽(12)을 우측(RH)으로부터 덮도록 본체 프레임(10)에 조합된 제2 사이드 커버(22)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사이드 커버(21)는, 좌측(LH)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형성되고, 제1 측벽(11)에 대하여 예를 들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사이드 커버(21)와 제1 측벽(11)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제1 사이드 커버(21)에 관하여는, 후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사이드 커버(22)는, 우측(RH)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형성되고, 제2 측벽(12)에 대하여 예를 들어 나사 고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2 사이드 커버(22)와 제2 측벽(12)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수용 공간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사이드 커버(22) 중, 전방 하부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릴 코드, 혹은 휴대용 배터리를 접속하기 위한 커넥터부(23)가 도시하지 않는 접속단을 하향으로 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각 도면에서는, 보호 캡(24)에 의하여 접속단이 보호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전 커버(30)는, 본체 프레임(10)의 전부을 전방으로부터 덮도록 본체 프레임(10)에 조합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전 커버(30)는, 모터 수용통(7)을 전방으로부터 덮도록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의 전부에 조합되는 것과 함께,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에 대하여 예를 들어 나사 고정되어 있다. 덧붙여, 전 커버(30)는, 후술하는 레벨 와인드(55)의 이동 영역을 막지 않도록 취부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체 프레임(10)의 상부에는, 카운터 케이스(40)가 설치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40)는,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과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제1 측벽(11)의 상부 및 제2 측벽(12)의 상부에 예를 들어 나사 고정 등에 의하여 고정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40)는, 좌우 방향(L1)보다도 전후 방향(L2)으로 긴 박형(薄型)의 케이스 본체(41)와, 케이스 본체(41)에 설치된 표시부(42)와, 케이스 본체(41) 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모터 제어부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표시부(42)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성되고, 케이스 본체(41)의 상면(上面)에 유리 커버 등에 의하여 보호된 상태로 노출하고 있다. 모터 제어부는, 예를 들어 CPU 등이 탑재된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고, 모터(8)의 제어를 행하는 것과 함께, 표시부(42)에 각종의 정보를 표시시키는 표시 제어 등을 행하고 있다.
모터 제어부에는, 예를 들어 케이스 본체(41)의 상면에 설치된 복수(도시의 예에서는 3개)의 조작 버튼(43)으로부터의 제어 신호, 케이스 본체(41)의 상면에 설치된 조작 스위치(44)로부터의 제어 신호, 나아가서는 도시하지 않는 스풀 센서(예를 들어 스풀(4)의 회전 속도나 회전 방향 등을 검출하는 센서)로부터의 제어 신호 등이 입력된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 제어부는, 각종의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예를 들어 채비의 투입 시간, 채비의 수심, 모터(8)의 감아올림 속도 혹은 감아올림 토크 등의 각종 정보를 표시부(42)에 표시시키는 것이나, 조작 스위치(44)의 조작에 따라 모터(8)의 회전을 제어하여, 감아올림 속도 혹은 감아올림 가속도 등을 임의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그 때문에 낚시꾼은, 핸들 조작에 의한 손으로 감는 조작, 및 조작 스위치(44)를 이용한 자동으로 감는 조작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핸들)
핸들(3)은, 본체 프레임(10) 및 제1 사이드 커버(21)보다도 우측(RH)에 배치되어 있다. 핸들(3)은, 핸들축선(O1)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핸들축부(50)와, 핸들축부(5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암(arm)(51)과, 핸들 암(51)의 단부(端部)에 핸들축선(O1)과 평행한 축선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 핸들 노브(knob)(52)를 구비하고 있다.
핸들 암(51)과 제1 사이드 커버(21)와의 사이에는, 핸들축선(O1)과 동축에 배치된 드래그(53)(스타 드래그)가 설치되어 있다. 이 드래그(53)는, 낚싯줄을 감을 때, 스풀(4)에 대하여 임의의 드래그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스풀(4)의 회전 제동을 행하고, 낚싯줄의 절단 억제에 기여하는 작용을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핸들(3)로부터의 회전 토크는, 클러치 기구(6)가 클러치 온(on)된 상태에 있어서, 도시하지 않는 회전 전달 기구를 통하여 스풀(4)에 직접 전달된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핸들 암(51)의 일단부(一端部)에 핸들 노브(52)가 장착된, 이른바 싱글 핸들 타입을 예로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핸들 암(51)의 양 단부에 핸들 노브(52)를 장착하고, 또한 핸들 암(51)의 중앙부를 핸들축부(50)에 회전 불가능하게 장착한, 이른바 더블 핸들 타입의 전동 릴(1)로 하여도 상관없다.
(스풀)
스풀(4)은, 프레임 본체에 있어서의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제1 측벽(11) 및 제2 측벽(12)의 각각에 도시하지 않는 베어링을 통하여 스풀축선(O2) 둘레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스풀(4)은, 스풀축선(O2) 둘레로 회전하는 도시하지 않는 스풀 회전축부와, 스풀 회전축부와 동축에 배치되는 것과 함께, 스풀 회전축부와 연동하여 회전하는 줄 감기 몸통부(4a)를 구비하고 있다.
(클러치 기구)
클러치 기구(6)는, 클러치 조작 레버(5)의 조작에 의하여, 핸들(3)로부터의 회전 토크를 도시하지 않는 회전 전달 기구를 통하여 스풀(4)에 전달 가능한 클러치 온 상태와, 전달 불가능한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클러치 온 상태에 있어서, 핸들(3)을 회전 조작하는 것으로, 핸들(3)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는 회전 토크를 스풀(4)에 전달할 수 있고, 스풀(4)을 스풀축선(O2) 둘레로 회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손으로 감는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클러치 기구(6)가 클러치 오프 상태인 경우에는, 핸들(3)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는 회전 토크가 스풀(4)에 전달되지 않고, 당해 스풀(4)은 자유 회전 가능한 상태(스풀 프리(free)한 상태)가 된다.
클러치 조작 레버(5)는, 클러치 기구(6)를 클러치 온 상태와 클러치 오프 상태로 전환 조작하기 위한 전환 레버이다. 클러치 조작 레버(5)는, 스풀(4)보다도 후방에 있어서,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는 것과 함께, 스풀축선(O2) 둘레로 요동(搖動)하도록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회전 전달 기구는, 핸들(3)의 회전을 증속한 상태로 회전 토크를 스풀(4)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나아가 회전 전달 기구는, 클러치 기구(6)가 클러치 온 상태에 있는 경우, 핸들(3)의 회전 조작에 수반하는 회전 토크를 스풀(4)에 전달할 뿐만이 아니라, 레벨 와인드(55)를 가지는 레벨 와인드 기구(도시하지 않음)에도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덧붙여, 레벨 와인드(55)는, 모터 수용통(7)과 카운터 케이스(40)와의 사이에 배치되고,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과의 사이에서 스풀(4)의 회전에 수반하여 좌우 방향(L1)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도 3 참조). 이것에 의하여, 낚싯줄을 스풀(4)에 치우침 없이 균등하게 감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나아가 회전 전달 기구는, 클러치 기구(6)가 클러치 온 상태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 모터(8)가 구동하였을 때에, 당해 모터(8)의 구동에 수반하는 회전 토크를 스풀(4)에 전달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자동으로 감는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덧붙여, 회전 전달 기구는, 모터(8)의 회전을 감속한 상태로 회전 토크를 스풀(4)에 전달한다.
(모터 수용통)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수용통(7)은, 핸들축선(O1)보다도 전방 측에 있어서 제1 측벽(11)과 제2 측벽(12)과의 사이에 배치되고, 좌우 방향(L1)으로 연장되는 모터축선(O3)과 동축에 배치된 정상(頂上)이 있는 통상(筒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모터 수용통(7)은, 도 5 ~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축선(O3)을 중심으로 한 원통상(圓筒狀)으로 형성된 수용통 본체(60)와, 수용통 본체(60)의 우측(RH)의 개구부(62)를 폐색(閉塞)하는 저벽(底壁)(61)을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 수용통(7)은, 제1 측벽(11)에 개구부(62)를 가지고, 좌측(LH)으로 개구하고 있다.
덧붙여, 도시의 예에서는, 수용통 본체(60)와 저벽(61)을 일체적으로 형성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수용통 본체(60)와 저벽(61)을 별체(別體)로 형성하고, 나사 결합, 나합(螺合) 혹은 감합(嵌合) 등에 의하여 수용통 본체(60)와 저벽(61)을 일체로 조합하여도 상관없다.
덧붙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축선(O3) 방향으로부터 보아, 모터축선(O3)에 교차하는 방향을 경방향이라고 하고, 모터축선(O3) 둘레을 주회(周回)하는 방향을 둘레 방향이라고 한다.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통 본체(60)는, 레벨 와인드(55)의 하방에 배치되도록, 제1 측벽(11)의 전부와 제2 측벽(12)의 전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모터 수용통(7)은, 전방을 향하여 노출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다만, 모터 수용통(7)은, 부분적으로 전 커버(30)에 의하여 전방 측으로부터 보호되어 있다.
도 5 ~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수용통 본체(60) 중 개구부(62) 측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다른 부분보다도 직경이 큰 확경통(擴徑筒)(63)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모터 수용통(7)은, 확경통(63)을 통하여 제1 측벽(11)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저벽(61)의 중앙 부분에는, 우측(RH)을 향하여 돌출한 원통상의 보스부(64)가 형성되어 있다.
도 7 ~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확경통(63)의 내주면(內周面)은, 제1 내주부(631)와, 제1 내주부(631)보다 개구부(62) 측(LH)의 제2 내주부(632)가 형성되어 있다. 제2 내주부(632)는, 내경(內徑)이 제1 내주부(631)의 내경보다도 크고, 또한 제1 내주부(631)보다도 두께가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즉, 제1 내주부(631)와 제2 내주부(632)의 내면은, 개구부(62)를 향하여 대경(大徑)이 되는 단차상(段差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내주부(631)에는, 모터 홀더(9)의 덮개체(100)를 장착하기 위한 계합 오목부(65)(제1 계합부)가 성형되어 있다. 계합 오목부(65)는, 수용통 본체(60)의 개구부(62) 측(LH)으로부터 우측(RH)을 향하여 노치(notch)한 형상으로, 둘레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복수(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성형되어 있다. 즉, 계합 오목부(65)는, 제1 계합 오목부(65A), 제2 계합 오목부(65B), 제3 계합 오목부(65C) 및 제4 계합 오목부(65D)로 구성된다(도 8 참조). 계합 오목부(65)는, 제1 내주부(631)의 개구부(62) 측(LH)의 단부(631a)로부터 우측(RH)으로 연장되어 성형되고, 덮개체(100)의 계합 볼록편(101)을 수용하는 안내 홈부(651)(제1 오목부)와, 안내 홈부(651)로부터 연설(連設)되어 계합 볼록편(101)과의 서로의 계합을 보지하는 보지부(652)(제2 오목부)를 가진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내 홈부(651)는, 좌우 방향(L1)(모터 수용통(7)의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모터 수용통(7)의 축 방향은, 모터축선(O3)과 동축이다. 보지부(652)는, 안내 홈부(651)로부터, 모터(8)가 스풀(4)에 낚싯줄을 감아올릴 때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제1 둘레 방향(E1)을 향하여 연설(延設)되고, 후술하는 계합 볼록편(101)이 계합 가능하다.
제1 계합 오목부(65A), 제2 계합 오목부(65B), 제3 계합 오목부(65C) 및 제4 계합 오목부(65D)에는, 덮개체(100)의 감합통(嵌合筒)(102)에 형성된 4개의 계합 볼록편(101A, 101B, 101C, 101D)이 각각 제1 둘레 방향(E1)으로 계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안내 홈부(651)의 둘레 방향의 홈 폭 D1은, 계합 볼록편(101)에 있어서의 모터 수용통(7)의 둘레 방향의 길이 치수 D3(도 12 참조)과 거의 일치하고 있다. 보지부(652)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1)의 길이 D2(폭 치수)는, 계합 볼록편(10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L1)의 두께 치수 D4(도 12 참조)와 거의 일치하고 있다.
덧붙여, 보지부(652)는, 제1 둘레 방향(E1)을 향하는 것에 따라, 좌우 방향(L1)의 길이 D2가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또한, 보지부(652)에는, 모터(8)가 스풀(4)에 낚싯줄을 감아올릴 때의 회전 방향과 같은 제2 둘레 방향(E2)으로의 계합 볼록편(101)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규제부로서는, 예를 들어, 보지부(652)의 안내 홈부(651) 측의 단부(652a)에 탄성 변형 가능한 멈춤쇠상(狀)의 돌기로 되고, 보지부(652) 내에 계합하고 있는 계합 볼록편(101)의 제2 둘레 방향(E2)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측벽(11)은, 본체 프레임(10)의 좌측벽으로서 기능하고, 통상(通常) 시, 제1 사이드 커버(21)에 덮여 있다. 제1 측벽(11)은, 상하 방향보다도 전후 방향(L2)으로 길게 형성되고,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전부 측에는 모터 수용통(7)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 프레임(10)에 있어서의 전부 측 하방의 윤곽은 모터 수용통(7)과 동심원상(同心圓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11)의 후부 측은, 후방을 향하여 불룩해지는 측면으로부터 볼 때 반원형상(半圓形狀)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측벽(11)의 상방(上方)에는, 먼저 서술한 바와 같이 카운터 케이스(40)가 배치되어 있다. 카운터 케이스(40)는, 제1 측벽(11)에 대하여는, 고정 나사(70)에 의하여 제1 측벽(11)의 상부 측에 나사 고정되어 있다.
제1 측벽(11) 중, 모터 수용통(7)보다도 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전동 릴(1)을 구성하는 각종의 구성 부품(예를 들어 베어링, 톱니바퀴, 받이 부재 등)이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제1 연결벽의 외주(外周) 가장자리부에는, 좌측(LH)을 향하여 돌출하는 가장자리부(71)가 외주 가장자리부를 따라 연장되도록 연속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제1 측벽(11)에는, 제1 사이드 커버(21)를 취부하기 위한 연결 나사(72), 나사 구멍(73) 및 받이 통부(74)가 형성되어 있다.
나사 구멍(73)은, 제1 측벽(11)의 하부 측에 있어서 전후 방향(L2)의 중앙 부분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받이 통부(74)는, 내부가 공동(空洞)이고 또한 좌측(LH)을 향하여 개구한 통 부재이고, 제1 측벽(11) 중 나사 구멍(73)보다도 전방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모터)
도 7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8)는, 모터축선(O3) 둘레로 회전하는 모터 출력축(80), 및 모터 출력축(80)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 본체(81)를 구비하고, 모터 수용통(7) 내에 수용되어 있다.
모터 출력축(80)은, 모터 본체(81)를 모터축선(O3) 방향으로 관통하도록, 모터축선(O3)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이 때, 모터 출력축(80)은, 제1 측벽(11)보다도 좌측(LH)으로 돌출하고, 또한 보스부(64)보다도 우측(RH)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덧붙여, 각 도면에서는 모터 출력축(80)의 도시를 간략화하여 도시하고 있다.
모터 출력축(80)은, 예를 들어 보스부(64)의 내측에 장착된 베어링(83)을 포함하는 복수의 베어링 등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축지(軸支)되어 있다. 덧붙여, 보스부(64)의 내측에는, 베어링(83)보다도 우측(RH)에 인접하는 부분에 환상(環狀)의 모터용 방수 실(seal)(84)이 장착되어 있다.
모터 출력축(80)의 좌단부(左端部)에는, 제1 측벽(11)보다도 외측(좌측(LH))에 있어서, 예를 들어 세레이션(톱니 형상의 홈부)(85)이 형성되어 있다. 세레이션(85)에는, 후술하는 모터 홀더(9)에 장착된 원웨이 클러치(86)가 결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 출력축(80)은, 낚싯줄이 방출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역전)이 규제되어 있다. 그 때문에, 모터(8)는, 낚싯줄의 감기를 행하는 일 방향으로의 회전만이 허용되어 있다. 덧붙여, 원웨이 클러치(86)의 장착 위치는, 모터 홀더(9)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적의(適宜) 변경하여도 상관없다.
모터 본체(81)는, 좌측(LH)으로 개구한 바닥이 있는 통상의 케이스 본체(81a), 및 케이스 본체(81a)의 좌측 개구부를 막는 엔드 캡(81b)을 구비하고 있다. 엔드 캡(81b)에는, 모터 본체(81)와 카운터 케이스(40) 내에 배치된 모터 제어부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87)이 예를 들어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삽통(揷通)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2개의 접속 케이블(87)이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배치(구체적으로는 모터축선(O3)을 사이에 두고 경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모터 본체(81)는, 예를 들어 코일을 가지고, 모터 출력축(80)에 고정된 회전자와, 영구 자석을 가지고, 회전자를 경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둘러싸도록 케이스 본체(81a) 내에 배치된 고정자와, 정류자와 브러시를 주로 구비하고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모터(8)는, 접속 케이블(87)을 통하여 모터 제어부에 전기(電氣)적으로 접속되고(도 5 참조), 모터 제어부에 의하여 구동이 제어되어 있다.
(제1 사이드 커버)
도 1 ~ 도 4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사이드 커버(21)는, 제1 측벽(11)의 형상에 대응하여 상하 방향보다도 전후 방향(L2)으로 길게 형성되고, 제1 측벽(11)을 좌측(LH)으로부터 덮는 커버 부재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제1 사이드 커버(21)는, 제1 측벽(11)뿐만이 아니라, 모터 수용통(7)을 막도록 취부된 모터 홀더(9), 전 커버(30), 및 카운터 케이스(40)의 일부를 좌측(LH)으로부터 덮도록 본체 프레임(10)에 조합된다.
제1 사이드 커버(21)는, 좌측(LH)을 향하여 불룩해지도록 형성된 커버 본체(90)와, 커버 본체(90)의 외주 가장자리부로부터, 외주 가장자리부의 전체 둘레에 걸쳐 우측(제1 측벽(11) 측)을 향하여 절곡(折曲)된 둘레 가장자리부(91)를 구비하고 있다.
제1 사이드 커버(21)의 둘레 가장자리부(91)는, 제1 측벽(11)에 있어서의 가장자리부(71), 전 커버(30)에 있어서의 측 가장자리부, 및 카운터 케이스(40)의 측면에 대하여 간극(間隙) 없이 접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제1 사이드 커버(21)의 내부에 물이나 먼지 등이 비집고 들어가기 어려운 구조로 되어 있다. 또한, 제1 사이드 커버(21)의 전부 측 하방의 둘레 가장자리부(91)는, 본체 프레임(10)에 맞추어 모터 수용통(7)과 동심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나아가 커버 본체(90)에는, 제1 측벽(11) 측을 향하여 나사 받이 통부(92), 및 연결 핀(93)이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과 함께, 연결 나사(94)를 삽통하는 삽통 구멍(95)이 형성되어 있다. 나사 받이 통부(92)는, 연결 나사(72)를 나착(螺着)시킨다. 연결 핀(93)은, 제1 측벽(11)에 형성된 받이 통부(74)의 내부에 비집고 들어가기 가능하게 되어 있다.
(모터 홀더)
도 5 ~ 도 7,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모터 홀더(9)는, 모터 수용통(7)을 막도록 릴 본체(2)에 있어서의 제1 측벽(11)에 조합되고, 릴 본체(2)에 대하여 모터(8)를 고정하는 역할을 다하고 있다.
모터 홀더(9)는, 모터 수용통(7)의 개구부(62)를 막는 정상이 있는 통상의 덮개체(100)(덮개부)를 구비하고 있다.
(덮개체)
덮개체(100)는, 모터 수용통(7)에 있어서의 확경통(63)의 내측에 감합되는 감합통(102)과, 감합통(102)의 좌측 개구부를 폐색하는 폐색벽(103)을 구비하고, 모터축선(O3)과 동축에 배치되어 있다. 나아가 폐색벽(103)의 중앙 부분에는, 좌측(LH)을 향하여 돌출한 정상이 있는 통상의 수납 통부(104)가 모터축선(O3)과 동축에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체(100)는, 폐색벽(103)의 중앙 부분이 좌측(LH)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불룩해진 정상이 있는 통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감합통(102)의 외주면(外周面)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 경방향의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는 환상 홈(10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환상 홈(105) 내에는, 확경통(63)의 제1 내주부(631)에 대하여 빈틈없이 접촉하는 O링(106)이 취부되어 있다(도 7 참조). 이것에 의하여, O링(106)을 이용하여, 감합통(102)과 확경통(63)과의 사이를 적절히 실할 수 있고, 모터 수용통(7) 내에 제1 측벽(11) 측으로부터 물 혹은 먼지 등이 비집고 들어가는 것을 억제하고 있다. 환상 홈(105)은, 감합통(102)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예를 들어 확경통(63)의 내주면에 형성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이 경우여도, O링(106)을 이용하여, 감합통(102)과 확경통(63)과의 사이를 적절히 실하는 것이 가능하다.
덧붙여, 감합통(102)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약간 확경한 대경통(大徑筒)(107)으로 되어 있다. 폐색벽(103)의 외주 가장자리부는, 이 대경통(107)에 대하여 연설(連設)되어 있다. 대경통(107)은, 확경통(63)의 제2 내주부(632)의 경방향 내측에 위치한다.
폐색벽(103)에는, 모터(8)와 모터 제어부를 접속하는 접속 케이블(87)(도 5 참조)을 삽통시키기 위한 관통 구멍(108)이, 당해 폐색벽(103)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시의 예에서는, 관통 구멍(108)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4개 형성되고, 그 중 2개의 관통 구멍(108)에는, 엔드 캡(81b)을 삽통하는 2개의 접속 케이블(87)이 각각 삽통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8)와 모터 제어부와의 사이에서 접속 케이블(87)을 배선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나머지 2개의 관통 구멍(108)에는, 엔드 캡(81b)에 형성된 나사 구멍(91a)(도 9 참조)에 나착하는 모터 고정 나사(109)가 취부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모터 홀더(9)에 모터 본체(81)가 고정되고, 모터 수용통(7) 내에 모터 본체(81)가 수용된다. 덧붙여, 도 9는, 도 6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굳이 모터 홀더(9)를 떼어낸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수납 통부(104)의 내측에는, 먼저 서술한 원웨이 클러치(86)가 장착되어 있는 것과 함께, 모터 출력축(80)의 좌단부가 수납되어 있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덮개체(100)에 있어서의 감합통(102)의 외주면(102a)에는, 경방향의 외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복수의 계합 볼록편(101)(제2 계합부, 볼록부)을 가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볼록편(101)은, 둘레 방향으로 등간격을 두고 4개 형성되어 있다. 즉, 계합 볼록편(101)은, 제1 계합 볼록편(101A), 제2 계합 볼록편(101B), 제3 계합 볼록편(101C) 및 제4 계합 볼록편(101D)로 구성된다. 제1 계합 볼록편(101A), 제2 계합 볼록편(101B), 제3 계합 볼록편(101C) 및 제4 계합 볼록편(101D)은, 모터 수용통(7)의 확경통(63)에 형성된 계합 오목부(65)에 대하여 각각 제1 둘레 방향(E1)에 계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하여, 확경통(63) 내에 감합통(102)를 적절히 끼워넣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덧붙여, 계합 볼록편(101)은, 제1 둘레 방향(E1)을 향하는 것에 따라, 좌우 방향(L1)의 길이 D3(폭 치수)이 점차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모터 홀더(9)의 덮개체(100)는, 계합 볼록편(101)을 모터 수용통(7)의 계합 오목부(65)에 계합시키는 것으로, 모터축선(O3) 방향(좌우 방향(L1))으로의 이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계합 오목부(65)의 안내 홈부(651)로부터 계합 볼록편(101)을 삽입시켜, 덮개체(100)를 우측(RH)으로 밀어 넣고 계합 볼록편(101)을 안내 홈부(651)로 안내시켜 이동한다. 그리고, 계합 볼록편(101)이 안내 홈부(651)의 우측 선단(先端)에 이르렀을 때에, 그 위치로부터 덮개체(100)를 제1 둘레 방향(E1)으로 회전시킨다. 제1 둘레 방향(E1)으로 회전 이동하는 계합 볼록편(101)은, 보지부(652)에서 이동이 규제되어 계합 위치가 된다. 이것에 의하여, 덮개체(100)는, 계합 볼록편(101)이 보지부(652)에서 모터축선(O3)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된 상태가 되어, 모터 수용통(7)에 장착되어 조립된다.
다음으로, 이와 같이 구성되는 전동 릴(1)의 작용에 관하여,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동 릴(1)에서는, 모터 홀더(9)를 모터 수용통(7)에 장착할 때에, 릴 본체(2)의 모터 수용통(7)의 계합 오목부(65)와 모터 홀더(9)의 계합 볼록편(101)을 계합시키는 것으로, 계합 오목부(65)에 설치되는 보지부(652)에 의하여 서로의 계합이 보지된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볼록편(101)은 모터축선(O3)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모터 홀더(9)가 모터 수용통(7)으로부터 빠져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오목부(65)와 계합 볼록편(101)과의 계합에 의하여 모터 홀더(9)가 모터 수용통(7)에 장착되는 구조이고, 볼트를 사용하는 경우와 같이 장착 부분에 있어서의 나사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고, 저비용이고 간단한 구조에 의하여 모터 홀더(9)를 모터 수용통(7)(릴 본체(2))에 대하여 정도 좋게 조립할 수 있다. 게다가, 볼트가 불필요하고, 또한 프레임 본체를 사용하여 모터 홀더(9)를 릴 본체(2)에 누르면서 조립하는 것과 같은 어려운 작업도 불필요하게 되기 때문에,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오목부(65)의 보지부(652)는, 모터(8)가 스풀(4)에 낚싯줄을 감아올릴 때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제1 둘레 방향(E1)을 향하여 안내 홈부(651)로부터 연설(延設)되고, 덮개체(100)의 계합 볼록편(101)이 계합 가능하다. 그 때문에, 모터 홀더(9)를 모터 수용통(7)에 장착할 때에, 계합 볼록편(101)을, 계합 오목부(65)의 안내 홈부(651)에 수용하고, 나아가 계합 볼록편(101)을 제1 둘레 방향(E1)으로 이동하여 안내 홈부(651)로부터 제1 둘레 방향으로 연설(延設)되는 보지부(652)에 계합시킬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계합 볼록편(101)은 모터축선(O3) 방향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모터 홀더(9)가 모터 수용통(7)으로부터 빠져나가 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지부(652)가 모터(8)의 감아올릴 때에 모터 홀더(9)에 작용하는 토크 방향이 되는 제1 둘레 방향(E1)에 안내 홈부(651)로부터 연설(延設)하고 있다. 그 때문에, 감아올릴 때에 계합 볼록편(101)이 보지부(652)에 대하여 제1 둘레 방향(E1)으로 비집고 들어가도록 힘이 작용하고, 즉 계합 볼록편(101)이 보지부(652)로부터 빠져나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방지되고, 모터 홀더(9)의 모터 수용통(7)(릴 본체(2))에 대한 조립의 느슨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지부(652)가 제1 둘레 방향(E1)을 향하는 것에 따라, 모터 수용통(7)의 축 방향(좌우 방향(L1))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보지부(652)가 제1 둘레 방향(E1)을 향하는 것에 따라 축소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볼록부가 보지부(652)에 대하여 쐐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 둘레 방향(E1)과 반대의 방향(제2 둘레 방향(E2))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고, 계합 볼록편(101)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지부(652)가, 모터(8)가 스풀(4)에 낚싯줄을 감아올릴 때의 회전 방향과 같은 제2 둘레 방향(E2)으로의 계합 볼록편(101)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도시 생략)를 가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보지부(652)에 계합한 계합 볼록편(101)이 보지부(652)에 설치되는 규제부에 의하여 제2 둘레 방향(E2)으로의 이동이 규제되기 때문에, 계합 볼록편(101)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볼록편(101)이 제1 둘레 방향(E1)을 향하는 것에 따라, 모터 수용통(7)의 축 방향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에는, 계합 볼록편(101)이 제1 둘레 방향(E1)을 향하는 것에 따라 축소하는 테이퍼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 볼록편(101)이 보지부(652)에 대하여 쐐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고, 제1 둘레 방향(E1)과 반대의 방향(제2 둘레 방향(E2))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지고, 계합 볼록편(101)의 빠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홀더(9)가 모터 수용통(7)을 막는 덮개체(100)를 가진다. 이 경우에는, 모터 홀더(9)를 모터 수용통(7)에 장착할 때에, 모터 홀더(9)의 덮개체(100)에 형성되는 계합 볼록편(101)을 모터 수용통(7)에 형성되는 계합 오목부(65)에 계합하는 것으로, 덮개체(100)를 구비한 모터 홀더(9)를 용이하게 모터 수용통(7)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오목부(65)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성형되어 있다. 그 때문에, 계합 오목부(65)와 계합 볼록편(101)과의 계합 개소를 둘레 방향으로 복수 설치할 수 있고, 이것들 복수의 계합 개소에서 모터(8)로부터 모터 홀더(9)에 전하여지는 레이디얼 하중을 받아들일 수 있다. 그 때문에, 1개당의 계합 개소에 있어서의 하중 부담을 저감할 수 있다.
상술과 같이 구성된 본 실시 형태에 의한 전동 릴(1)에서는, 저비용 또한 간단한 구조로 조립 작업을 효율 좋게 행할 수 있고, 게다가 모터 홀더(9)의 조립 정도를 향상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설명하였지만, 이것들의 실시 형태는 예로서 제시한 것이고,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고 있지 않다. 실시 형태는, 그 외에 다양한 형태로 실시되는 것이 가능하고, 발명의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의 생략, 치환, 변경을 행할 수 있다. 실시 형태나 그 변형예에는, 예를 들어 당업자가 용이하게 상정(想定)할 수 있는 것, 실질적으로 동일한 것, 균등한 범위의 것 등이 포함된다.
예를 들어,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부인 모터 수용통(7)의 계합 오목부(65)에 보지부(652)(제2 오목부)가 설치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덮개체(100)의 계합 볼록편(101)을 대신하여 계합 오목부로 하여도 무방하다. 즉, 덮개체(100) 측에 보지부(제2 오목부)를 가지는 계합 오목부를 설치하고, 이 계합 오목부에 계합 가능한 계합 볼록편(볼록부)을 모터 수용통(7)에 설치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보지부(652)(제2 오목부)를 가지는 계합 오목부(65)로 하고 있지만, 보지부(652)를 설치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 보지부(652)를 생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상기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 홀더(9)가 모터 수용통(7)을 막는 덮개체(100)를 가지는 구성이지만, 덮개체(100)를 가지지 않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요(要)는, 제2 계합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볼록편(101))가 모터 홀더(9)에 설치되어 있으면 되는 것이다.
나아가, 본 실시 형태에서는, 모터(8)를 수용하는 모터 수용통(7)이 릴 본체(2)와 별체로 설치되어 있지만, 모터 수용통(7)이 릴 본체(2)와 일체가 된 구성이어도 무방하다. 요는, 모터(8)를 수용하는 부분을 가지는 릴 본체(2)에 제1 계합부(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오목부(65))가 설치되어 있으면 되는 것이다.
나아가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계합부인 계합 오목부(65)가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4개 성형된 구성으로 하고 있지만, 이 경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어 계합 오목부(65)가 1개여도 상관없고, 2개나 3개, 혹은 5개 이상 성형하여도 상관없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계합 볼록편(101)의 수량이 계합 오목부(65)와 동수로 설치되어 있지만, 동수인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계합 볼록편(101)이 계합 오목부(65)보다도 적은 수량으로 설치되어 있어도 무방하다.
O3: 모터축선
1: 전동 릴(낚시용 전동 릴)
2: 릴 본체
4: 스풀
7: 모터 수용통
8: 모터
9: 모터 홀더
10: 본체 프레임
11: 제1 측벽
63: 확경통
65: 계합 오목부(제1 계합부)
100: 덮개체(덮개부)
101: 계합 볼록편(제2 계합부, 볼록부)
631: 제1 내주부
632: 제2 내주부
651: 안내 홈부(제1 오목부)
652: 보지부(제2 오목부)
652a: 단부
E1: 제1 둘레 방향
E2: 제2 둘레 방향
L1: 좌우 방향
L2: 전후 방향

Claims (7)

  1. 낚싯줄이 권회(卷回)되는 스풀을 회전 구동하는 모터를 구비한 낚시용 전동 릴에 있어서,
    제1 계합부(係合部) 및 상기 모터를 수용하는 수용통을 가지는 릴 본체와,
    상기 제1 계합부와 계합하는 제2 계합부를 가지고, 상기 수용통에 대하여 상기 모터를 취부(取付)하는 모터 홀더를 구비하고,
    상기 제1 계합부 및 상기 제2 계합부 중 적어도 어느 일방(一方)은, 서로의 계합을 보지(保持)하는 보지부를 가지는,
    낚시용 전동 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 및 상기 제2 계합부 중 어느 일방은, 상기 수용통의 경(徑)방향으로 돌출하는 볼록부를 가지고,
    상기 제1 계합부 및 상기 제2 계합부 중 어느 타방(他方)은, 상기 수용통의 축 방향으로 상기 볼록부를 수용하는 제1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보지부는,
    상기 모터가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감아올릴 때의 회전 방향과 반대의 제1 둘레 방향을 향하여 상기 제1 오목부로부터 연설(延設)되고, 상기 볼록부가 계합 가능한 제2 오목부를 가지는, 낚시용 전동 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오목부는, 상기 제1 둘레 방향을 향하는 것에 따라, 상기 수용통의 축 방향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는, 낚시용 전동 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지부는, 상기 모터가 상기 스풀에 낚싯줄을 감아올릴 때의 회전 방향과 같은 제2 둘레 방향으로의 상기 볼록부의 이동을 규제하는 규제부를 가지는, 낚시용 전동 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볼록부는, 상기 제1 둘레 방향을 향하는 것에 따라, 상기 수용통의 축 방향의 길이가 점차 작아지는, 낚시용 전동 릴.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 홀더는, 상기 수용통을 막는 덮개부를 가지는, 낚시용 전동 릴.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계합부는, 둘레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성형되어 있는, 낚시용 전동 릴.
KR1020230041353A 2022-07-27 2023-03-29 낚시용 전동 릴 Pending KR2024001555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2119351A JP2024017003A (ja) 2022-07-27 2022-07-27 魚釣用電動リール
JPJP-P-2022-119351 2022-07-2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5559A true KR20240015559A (ko) 2024-02-05

Family

ID=89636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41353A Pending KR20240015559A (ko) 2022-07-27 2023-03-29 낚시용 전동 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4017003A (ko)
KR (1) KR20240015559A (ko)
CN (1) CN117461604A (ko)
TW (1) TW20241261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0025A (ja) 2007-01-24 2008-09-04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200025A (ja) 2007-01-24 2008-09-04 Daiwa Seiko Inc 魚釣用電動リー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4017003A (ja) 2024-02-08
TW202412616A (zh) 2024-04-01
CN117461604A (zh)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934358B2 (ja) 両軸受リールのリール本体
JP5826621B2 (ja) 電動リール及び電動リールのスタンド部材取付構造
JP5777867B2 (ja) 釣り用リール
JP2012060961A (ja) 電動リール
KR20240015559A (ko) 낚시용 전동 릴
JP7456875B2 (ja) 魚釣用電動リール
CN110710503B (zh) 钓鱼用电动渔线轮
KR102816682B1 (ko) 낚시용 전동 릴
JP7355522B2 (ja) 両軸受リール
KR101071671B1 (ko) 스피닝 릴의 릴 본체 및 그 커버 부재
JP7267081B2 (ja) 電動リールの減速装置、電動リールの減速装置の製造方法、及び魚釣用電動リール
JP5748438B2 (ja) 電動リール
JP2005024978A (ja) ケーブル引出部の構造、ケーブル引出部形成装置、巻回部材、取付枠及びプレート
KR20200007638A (ko) 낚시용 전동 릴의 감속 장치, 및 낚시용 전동 릴
KR102654888B1 (ko) 양 베어링 릴
TWI871776B (zh) 釣魚用捲線器
TW202517145A (zh) 釣魚用電動捲線器
KR20250054698A (ko) 낚시용 전동 릴
KR20240081347A (ko) 낚시용 릴
JPS5917172Y2 (ja) 両軸受型魚釣用リ−ル
KR20230166879A (ko) 전동 릴
TW202517142A (zh) 釣魚用電動捲線器
JP2025068238A (ja) 魚釣用電動リール
JP2007097424A (ja) 魚釣用スピニングリール
KR200174207Y1 (ko) 구동 샤프트 고정판을 갖는 낚시용 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3032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