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o: up one dir, main page]

KR20240011439A -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두 원격 단말 간의 릴레이 단말을 통한 중계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두 원격 단말 간의 릴레이 단말을 통한 중계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11439A
KR20240011439A KR1020220088886A KR20220088886A KR20240011439A KR 20240011439 A KR20240011439 A KR 20240011439A KR 1020220088886 A KR1020220088886 A KR 1020220088886A KR 20220088886 A KR20220088886 A KR 20220088886A KR 20240011439 A KR20240011439 A KR 202400114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lay
sidelink
terminal
discovery message
transmission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Pending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888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현정
아닐 아지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88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11439A/ko
Priority to CN202380055117.7A priority patent/CN119631432A/zh
Priority to PCT/KR2023/010362 priority patent/WO2024019505A1/ko
Publication of KR202400114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11439A/ko
Pending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0Communication routing or communication path finding
    • H04W40/24Connectivity information management, e.g. connectivity discovery or connectivity updat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4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 H04W72/542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quality criteria using measured or perceived qu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4Terminal devices adapted for relaying to or from another terminal or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 또는 6G 통신 시스템에 관련된 것이다. 본 개시는,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식별하는 단계; 전송할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에 대응하는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목적지 식별자와 대응하는 논리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상기 식별된 자원을 상기 논리채널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수행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두 원격 단말 간의 릴레이 단말을 통한 중계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COMMUNICATION BETWEEN TWO REMOTE STATIONS THROUGH RELAY ST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본 개시(disclosure)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릴레이(relay) 단말과의 사이드링크(sidelink) 기반으로 두 단말들의 연결을 설정하는 단말과 릴레이 단말의 동작과 중계 정보를 설정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5G 이동통신 기술은 빠른 전송 속도와 새로운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넓은 주파수 대역을 정의하고 있으며, 3.5 기가헤르츠(3.5GHz) 등 6GHz 이하 주파수('Sub 6GHz') 대역은 물론 28GHz와 39GHz 등 밀리미터파(㎜Wave)로 불리는 초고주파 대역('Above 6GHz')에서도 구현이 가능하다. 또한, 5G 통신 이후(Beyond 5G)의 시스템이라 불리어지는 6G 이동통신 기술의 경우, 5G 이동통신 기술 대비 50배 빨라진 전송 속도와 10분의 1로 줄어든 초저(Ultra Low) 지연시간을 달성하기 위해 테라헤르츠(Terahertz) 대역(예를 들어, 95GHz에서 3 테라헤르츠(3THz) 대역과 같은)에서의 구현이 고려되고 있다.
5G 이동통신 기술의 초기에는, 초광대역 서비스(enhanced Mobile BroadBand, eMBB), 고신뢰/초저지연 통신(Ultra-Reliable Low-Latency Communications, URLLC), 대규모 기계식 통신 (massive Machine-Type Communications, mMTC)에 대한 서비스 지원과 성능 요구사항 만족을 목표로, 초고주파 대역에서의 전파의 경로손실 완화 및 전파의 전달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빔포밍(Beamforming) 및 거대 배열 다중 입출력(Massive MIMO), 초고주파수 자원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다양한 뉴머롤로지 지원(복수 개의 서브캐리어 간격 운용 등)와 슬롯 포맷에 대한 동적 운영, 다중 빔 전송 및 광대역을 지원하기 위한 초기 접속 기술, BWP(Band-Width Part)의 정의 및 운영, 대용량 데이터 전송을 위한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부호와 제어 정보의 신뢰성 높은 전송을 위한 폴라 코드(Polar Code)와 같은 새로운 채널 코딩 방법, L2 선-처리(L2 pre-processing), 특정 서비스에 특화된 전용 네트워크를 제공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Network Slicing) 등에 대한 표준화가 진행되었다.
현재, 5G 이동통신 기술이 지원하고자 했던 서비스들을 고려하여 초기의 5G 이동통신 기술 개선(improvement) 및 성능 향상(enhancement)을 위한 논의가 진행 중에 있으며, 차량이 전송하는 자신의 위치 및 상태 정보에 기반하여 자율주행 차량의 주행 판단을 돕고 사용자의 편의를 증대하기 위한 V2X(Vehicle-to-Everything), 비면허 대역에서 각종 규제 상 요구사항들에 부합하는 시스템 동작을 목적으로 하는 NR-U(New Radio Unlicensed), NR 단말 저전력 소모 기술(UE Power Saving), 지상 망과의 통신이 불가능한 지역에서 커버리지 확보를 위한 단말-위성 직접 통신인 비 지상 네트워크(Non-Terrestrial Network, NTN), 위치 측위(Positioning) 등의 기술에 대한 물리계층 표준화가 진행 중이다.
뿐만 아니라, 타 산업과의 연계 및 융합을 통한 새로운 서비스 지원을 위한 지능형 공장 (Industrial Internet of Things, IIoT), 무선 백홀 링크와 액세스 링크를 통합 지원하여 네트워크 서비스 지역 확장을 위한 노드를 제공하는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조건부 핸드오버(Conditional Handover) 및 DAPS(Dual Active Protocol Stack) 핸드오버를 포함하는 이동성 향상 기술(Mobility Enhancement), 랜덤액세스 절차를 간소화하는 2 단계 랜덤액세스(2-step RACH for NR) 등의 기술에 대한 무선 인터페이스 아키텍쳐/프로토콜 분야의 표준화 역시 진행 중에 있으며, 네트워크 기능 가상화(Network Functions Virtualization, NFV) 및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ftware-Defined Networking, SDN) 기술의 접목을 위한 5G 베이스라인 아키텍쳐(예를 들어, Service based Architecture, Service based Interface), 단말의 위치에 기반하여 서비스를 제공받는 모바일 엣지 컴퓨팅(Mobile Edge Computing, MEC) 등에 대한 시스템 아키텍쳐/서비스 분야의 표준화도 진행 중이다.
이와 같은 5G 이동통신 시스템이 상용화되면, 폭발적인 증가 추세에 있는 커넥티드 기기들이 통신 네트워크에 연결될 것이며, 이에 따라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기능 및 성능 강화와 커넥티드 기기들의 통합 운용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를 위해, 증강현실(Augmented Reality, AR), 가상현실(Virtual Reality, VR), 혼합 현실(Mixed Reality, MR) 등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확장 현실(eXtended Reality, XR),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 및 머신러닝(Machine Learning, ML)을 활용한 5G 성능 개선 및 복잡도 감소, AI 서비스 지원, 메타버스 서비스 지원, 드론 통신 등에 대한 새로운 연구가 진행될 예정이다.
또한, 이러한 5G 이동통신 시스템의 발전은 6G 이동통신 기술의 테라헤르츠 대역에서의 커버리지 보장을 위한 신규 파형(Waveform), 전차원 다중입출력(Full Dimensional MIMO, FD-MIMO), 어레이 안테나(Array Antenna), 대규모 안테나(Large Scale Antenna)와 같은 다중 안테나 전송 기술, 테라헤르츠 대역 신호의 커버리지를 개선하기 위해 메타물질(Metamaterial) 기반 렌즈 및 안테나, OAM(Orbital Angular Momentum)을 이용한 고차원 공간 다중화 기술, RIS(Reconfigurable Intelligent Surface) 기술 뿐만 아니라, 6G 이동통신 기술의 주파수 효율 향상 및 시스템 네트워크 개선을 위한 전이중화(Full Duplex) 기술, 위성(Satellite), AI(Artificial Intelligence)를 설계 단계에서부터 활용하고 종단간(End-to-End) AI 지원 기능을 내재화하여 시스템 최적화를 실현하는 AI 기반 통신 기술, 단말 연산 능력의 한계를 넘어서는 복잡도의 서비스를 초고성능 통신과 컴퓨팅 자원을 활용하여 실현하는 차세대 분산 컴퓨팅 기술 등의 개발에 기반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5G 통신 시스템을 이용한 단말 간 직접 통신 (sidelink communication)이 연구되고 있으며, 단말 간 직접 통신은 예를 들어 차량 통신(vehicle-to-everything, 이하 'V2X'), 안전망 (public safety network)에 적용되어, 사용자에게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서비스 커버리지 확장, 데이터 전송의 신뢰도 증대, 및 단말의 전력 소모 감소를 지원할 수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활용하는 방안이 요구되고 있다.
개시된 실시예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개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식별하는 단계; 전송할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에 대응하는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목적지 식별자와 대응하는 논리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자원을 상기 논리채널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서비스를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간-주파수 자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중계 전송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메시지에 대한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 자원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 자원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 자원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와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 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개시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개시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개시의 이점 및 특징, 및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개시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개시는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재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 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때, 본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부'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실시예에서 '~부'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접속 노드(node)를 식별하기 위한 용어, 망 객체(network entity, 네트워크 엔티티)들을 지칭하는 용어, 메시지들을 지칭하는 용어, 망 객체들 간 인터페이스를 지칭하는 용어, 다양한 식별 정보들을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가 후술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에 있어서, 이동통신 규격 표준화 단체인 3GPP가 명세하고 있는 5G 이동통신 규격 상의 무선 접속망 New RAN (NR)과 코어 망인 패킷 코어 (5G system, 혹은 5G core network, 혹은 NG Core: next generation core)를 주된 대상으로 하지만, 본 개시의 주요한 요지는 유사한 기술적 배경을 가지는 여타의 통신 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 나지 아니 하는 범위에서 약간의 변형으로 적용 가능하며, 이는 본 개시의 기술 분야에서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 가능 할 것이다.
5G 시스템에서는, 네트워크 자동화 지원을 위해서, 5G 네트워크 망에서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여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기능인 네트워크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함수 (network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function, NWDAF)가 정의될 수 있다. NWDAF는 5G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수집/저장/분석하여 결과를 불특정 네트워크 기능 (network function, NF)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분석 결과는 각 NF에서 독립적으로 이용할 수 있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long term evolution) 규격(5G, NR, LTE 또는 이와 유사한 시스템의 규격)에서 정의하고 있는 용어 및 명칭들이 일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개시의 용어 및 명칭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규격에 따르는 시스템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사용되는 신호를 지칭하는 용어,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 제어 정보를 지칭하는 용어, 네트워크 객체(network entity)들을 지칭하는 용어, 장치의 구성 요소를 지칭하는 용어 등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예시된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대상을 지칭하는 다른 용어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기지국은 단말의 자원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서, gNode B, eNode B, Node B, BS (base station), 무선 접속 유닛, 기지국 제어기, 또는 네트워크 상의 노드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단말은 UE (user equipment), MS (mobile station), 셀룰러폰,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통신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멀티미디어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일례에 불과하며, 기지국과 단말이 이러한 예시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 뿐만 아니라 다양한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특히 본 개시는 3GPP NR(5세대 이동통신 표준)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또는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eN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gNB와 혼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즉 eNB로 설명한 기지국은 gNB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단말이라는 용어는 핸드폰, NB-IoT 기기들, 센서들 뿐 아니라 또 다른 무선 통신 기기들을 나타낼 수 있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초기의 음성 위주의 서비스를 제공하던 것에서 벗어나 예를 들어, 3GPP의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또는 E-UTRA(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LTE-Advanced(LTE-A), LTE-Pro, 3GPP2의 HRPD(High Rate Packet Data), UMB(Ultra Mobile Broadband), 및 IEEE의 802.16e 등의 통신 표준과 같이 고속, 고품질의 패킷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 발전하고 있다.
광대역 무선 통신 시스템의 대표적인 예로, LTE 시스템에서는 하향링크(DL; DownLink)에서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채용하고 있고, 상향링크(UL; UpLink)에서는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 방식을 채용하고 있다. 상향링크는 단말(UE; User Equipment 또는 MS; Mobile Station)이 기지국(eNode B 또는 BS; Base Station)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하고, 하향링크는 기지국이 단말로 데이터 또는 제어신호를 전송하는 무선링크를 뜻한다. 상기와 같은 다중 접속 방식은, 각 사용자 별로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실어 보낼 시간-주파수 자원을 서로 겹치지 않도록, 즉 직교성(Orthogonality)이 성립하도록, 할당 및 운용함으로써 각 사용자의 데이터 또는 제어정보를 구분한다.
LTE 이후의 향후 통신 시스템으로서, 즉, 5G 통신시스템은 사용자 및 서비스 제공자 등의 다양한 요구 사항을 자유롭게 반영할 수 있어야 하기 때문에 다양한 요구사항을 동시에 만족하는 서비스가 지원되어야 한다. 5G 통신시스템을 위해 고려되는 서비스로는 향상된 모바일 광대역 통신(eMBB; Enhanced Mobile BroadBand), 대규모 기계형 통신(mMTC; massive Machine Type Communication), 초신뢰 저지연 통신(URLLC; Ultra Reliability Low Latency Communication) 등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eMBB는 기존의 LTE, LTE-A 또는 LTE-Pro가 지원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보다 더욱 향상된 데이터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통신시스템에서 eMBB는 하나의 기지국 관점에서 하향링크에서는 20Gbps의 최대 전송 속도(peak data rate), 상향링크에서는 10Gbps의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5G 통신시스템은 최대 전송 속도를 제공하는 동시에, 증가된 단말의 실제 체감 전송 속도(User perceived data rate)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5G 통신 시스템에서는 더욱 향상된 다중 안테나(MIMO; Multi Input Multi Output) 전송 기술을 포함하여 다양한 송수신 기술의 향상을 요구될 수 있다. 또한 현재의 LTE가 사용하는 2GHz 대역에서 최대 20MHz 전송대역폭을 사용하여 신호를 전송하는 반면에 5G 통신시스템은 3~6GHz 또는 6GHz 이상의 주파수 대역에서 20MHz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을 사용함으로써 5G 통신시스템에서 요구하는 데이터 전송 속도를 만족시킬 수 있다.
동시에, 5G 통신시스템에서 사물 인터넷(IoT; Internet of Thing)와 같은 응용 서비스를 지원하기 위해 mMTC가 고려되고 있다. mMTC는 효율적으로 사물 인터넷을 제공하기 위해 셀 내에서 대규모 단말의 접속 지원, 단말의 커버리지 향상, 향상된 배터리 시간, 단말의 비용 감소 등이 요구될 수 있다. 사물 인터넷은 여러 가지 센서 및 다양한 기기에 부착되어 통신 기능을 제공하므로 셀 내에서 많은 수의 단말(예를 들어, 1,000,000 단말/km2)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서비스의 특성상 건물의 지하와 같이 셀이 커버하지 못하는 음영지역에 위치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5G 통신시스템에서 제공하는 다른 서비스 대비 더욱 넓은 커버리지가 요구될 수 있다. mMTC를 지원하는 단말은 저가의 단말로 구성되어야 하며, 단말의 배터리를 자주 교환하기 힘들기 때문에 10~15년과 같이 매우 긴 배터리 생명시간(battery life time)이 요구될 수 있다.
마지막으로, URLLC의 경우, 특정한 목적(mission-critical)으로 사용되는 셀룰러 기반 무선 통신 서비스로서, 로봇(Robot) 또는 기계 장치(Machinery)에 대한 원격 제어(remote control), 산업 자동화(industrial automation), 무인 비행장치(Unmanned Aerial Vehicle), 원격 건강 제어(Remote health care), 비상 상황 알림(emergency alert) 등에 사용되는 서비스 등에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URLLC가 제공하는 통신은 매우 낮은 저지연(초저지연) 및 매우 높은 신뢰도(초신뢰도)를 제공해야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는 0.5 밀리초보다 작은 무선 접속 지연시간(Air interface latency)를 만족해야 하며, 동시에 10-5 이하의 패킷 오류율(Packet Error Rate)의 요구사항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URLLC을 지원하는 서비스를 위해 5G 시스템은 다른 서비스보다 작은 전송 시간 구간(TTI; Transmit Time Interval)를 제공해야 하며, 동시에 통신 링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주파수 대역에서 넓은 리소스를 할당해야 하는 설계사항이 요구될 수 있다.
전술한 5G 통신 시스템에서 고려되는 세가지 서비스들, 즉 eMBB, URLLC, mMTC는 하나의 시스템에서 다중화되어 전송될 수 있다. 이 때, 각각의 서비스들이 갖는 상이한 요구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서비스 간에 서로 다른 송수신 기법 및 송수신 파라미터를 사용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mMTC, URLLC, eMBB는 서로 다른 서비스 유형의 일 예일 뿐, 본 개시의 적용 대상이 되는 서비스 유형이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하에서 LTE, LTE-A, LTE Pro 또는 5G(또는 NR, 차세대 이동 통신) 시스템을 일례로서 본 개시의 실시예를 설명하지만, 유사한 기술적 배경 또는 채널형태를 갖는 여타의 통신시스템에도 본 개시의 실시예가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실시 예는 숙련된 기술적 지식을 가진 자의 판단으로써 본 개시의 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에서 일부 변형을 통해 다른 통신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설명에서, 물리 채널(physical channel)과 신호(signal)는 데이터 혹은 제어 신호와 혼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는 데이터가 전송되는 물리 채널을 지칭하는 용어이지만, PDSCH는 데이터를 지칭하기 위해서도 사용될 수 있다. 즉, 본 개시에서, '물리 채널을 송신한다'는 표현은 '물리 채널을 통해 데이터 또는 신호를 송신한다'는 표현과 동등하게 해석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에서, 상위 시그널링은 기지국에서 물리 계층의 하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단말로, 또는 단말에서 물리 계층의 상향링크 데이터 채널을 이용하여 기지국으로 전달되는 신호 전달 방법을 뜻한다. 상위 시그널링은 RRC(radio resource control) 시그널링 또는 MAC(media access control) 제어 요소(control element, CE)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특정 조건의 만족(satisfied) 또는, 충족(fulfilled)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초과 또는 미만의 표현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일 예를 표현하기 위한 기재일 뿐 이상 또는 이하의 기재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이상'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이하'로 기재된 조건은 '미만', '이상 및 미만'으로 기재된 조건은 '초과 및 이하'로 대체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일부 통신 규격(예: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서 사용되는 용어들을 이용하여 일 실시 예들을 설명하지만, 이는 설명을 위한 예시일 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은, 다른 통신 시스템에서도, 용이하게 변형되어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다른 단말과의 연결 설정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단말과 다른 단말 간 데이터/시그널링을 중계하는 데 필요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다른 단말 간 연결을 지원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는 릴레이 탐색 메시지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개시는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다른 단말과의 직접 통신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해야 하는지 판단하고,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다른 단말과의 직접 통신 연결 설정 메시지들을 송수신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획득해야 하는지 판단하고 직접 통신 연결 설정 메시지들을 송수신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다른 단말과의 연결을 설정해야 하는 경우 사이드링크 릴레이로부터 탐색 메시지를 획득하거나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메시지를 전송해야 하는지 판단하고, 사이드링크 릴레이로부터 탐색 메시지를 획득하거나 또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메시지를 전송하는 경우에서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의 전송 또는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의 수신을 처리하는 방안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은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다른 단말과의 데이터/시그널링을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서비스 커버리지를 확장할 수 있고 데이터 송수신의 신뢰도를 높이며 단말의 배터리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개시는 LTE(long term evolution)와 같은 4G(4th generation) 통신 시스템 이후 보다 높은 데이터 전송률을 지원하기 위한 5G(5th generation) 또는 pre-5G 통신 시스템을 IoT 기술과 융합하는 통신 기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개시는 5G 통신 기술 및 IoT 관련 기술을 기반으로 지능형 서비스 (예를 들어, 스마트 홈, 스마트 빌딩, 스마트 시티, 스마트 카 혹은 커넥티드 카, 헬스 케어, 디지털 교육, 소매업, 보안 및 안전 관련 서비스 등)에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들에 따라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다른 단말과의 연결 설정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다른 단말과의 연결 설정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는 시그널링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가 단말과 다른 단말 간 데이터/시그널링을 중계할 수 있는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a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기지국(110), 단말(130, 140), 기지국과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120)를 예시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U2N (UE to network) 릴레이(relay)일 수 있다. 또한 도 1a는 하나의 기지국만을 도시하나, 기지국(110)과 동일 또는 유사한 다른 기지국이 더 포함될 수 있고, 더 많은 릴레이를 포함할 수도 있다. 즉, 도 1a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예시이며, 도 1a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지국(110)은 단말들(130, 140)과 릴레이(120)에게 무선 접속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일 수 있다. 기지국(110)은 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에 기초하여 일정한 지리적 영역으로 정의되는 커버리지(coverage)를 가진다. 기지국(110)은 기지국(base station) 외에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이노드비(eNodeB, eNB)', '5G 노드(5th generation node)', '지노드비(next generation nodeB, gNB)', '무선 포인트(wireless point)', '송수신 포인트(transmission/reception point, TRP)'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릴레이(120)은 사용자 또는 네트워크 인프라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기지국(110)에서 릴레이(120)을 향하는 링크는 하향링크(downlink, DL), 릴레이(120)에서 기지국(110)을 향하는 링크는 상향링크(uplink, UL)라 지칭될 수 있다. 기지국(110)과 릴레이(120)은 Uu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향링크(uplink, UL)는 릴레이(120)가 기지국(110)으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링크를 의미하고, 하향링크(downlink, DL)는 기지국(110)이 릴레이(120)로 데이터 또는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무선 링크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릴레이(120)은 단말(130) 및 단말(14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릴레이(120)과 단말(130) 간 링크 및 릴레이(120)과 단말(140) 간 링크는 사이드링크(sidelink)라 지칭되며, 사이드링크는 PC5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30, 14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기지국(11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릴레이(120)과 무선 채널을 통해 네트워크와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는 단말(130) 및 단말(140) 각각은 릴레이(120)와의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130) 및 단말(14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130) 및 단말(14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않을 수도 있다. 단말(130) 및 단말(14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b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무선 채널을 이용하는 노드(node)들의 일부로서, 단말들(150, 170) 및 단말과 단말 간 데이터 송수신을 중계할 수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relay)(160)가 포함된 무선 통신 시스템을 도시한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60)는 U2U (UE to UE) 릴레이일 수 있다. 물론 무선 통신 시스템은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즉, 도 1b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은 예시이며, 도 1b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릴레이(160)은 단말(150) 및 단말(170)과 무선 채널을 통해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릴레이(160)과 단말(150) 간 링크 및 릴레이(160)과 단말(170) 간 링크는 사이드링크(sidelink)라 지칭되며, 사이드링크는 PC5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150) 및 단말(170) 각각은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는 장치로서, 무선 채널을 통해 직접 통신을 수행할 수 있거나 릴레이(160)과 무선 채널을 통해 상대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단말(150)과 단말(170) 간 링크, 단말(150)과 릴레이(160) 간 링크 및 단말(170)과 릴레이(160) 간 링크는 사이드링크라 지칭되며, 사이드링크는 PC5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도 있다.
또한 단말(150) 및 단말(170) 중 적어도 하나는 사용자의 관여 없이 운영될 수 있다. 즉, 단말(150) 및 단말(170) 중 적어도 하나는 기계 타입 통신(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을 수행하는 장치로서, 사용자에 의해 휴대되지 아니할 수도 있다. 단말(150) 및 단말(170) 각각은 단말(terminal) 외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이동국(mobile station)', '가입자국(subscriber station)', '원격 단말(remote terminal)', '무선 단말(wireless terminal)', 또는 '사용자 장치(user device)' 또는 이와 동등한 기술적 의미를 가지는 다른 용어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는 Uu 인터페이스로 지칭될 수 있으며, 사이드링크는 PC5로 지칭될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b에서 도시한 기지국(110), 릴레이(120, 160), 단말들(130, 140, 150, 170)은 밀리미터 파(mmWave) 대역(예: 28GHz, 30GHz, 38GHz, 60GHz)에서 무선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채널 이득의 향상을 위해, 기지국(110), 릴레이(120, 160), 단말들(130, 140, 150, 170)은 빔포밍(beamforming)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은 송신 빔포밍 및 수신 빔포밍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기지국(110), 릴레이(120, 160), 단말들(130, 140, 150, 170)은 송신 신호 또는 수신 신호에 방향성(directivity)을 부여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기지국(110), 릴레이(120, 160), 단말들(130, 140, 150, 170)은 빔 탐색(beam search) 또는 빔 관리(beam management) 절차를 통해 서빙(serving) 빔들(112, 113, 121, 131, 141, 151, 161, 171)을 선택할 수 있다. 서빙 빔들(112, 113, 121, 131, 141, 151, 161, 171)이 선택된 후, 통신은 서빙 빔들(112, 113, 121, 131, 141, 151, 161, 171)을 송신한 자원과 QCL(quasi co-located) 관계에 있는 자원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의 광범위한(large-scale) 특성들이 제2 안테나 포트 상의 심볼을 전달한 채널로부터 추정될(inferred) 수 있다면, 제1 안테나 포트 및 제2 안테나 포트는 QCL 관계에 있다고 평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범위한 특성들은 지연 스프레드(delay spread), 도플러 스프레드(doppler spread), 도플러 쉬프트(doppler shift), 평균 이득(average gain), 평균 지연(average delay), 공간적 수신 파라미터(spatial receiver parameter)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단말들(130, 140, 150, 170)은 차량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차량 통신의 경우, LTE 시스템에서는 장치간 통신(device-to-device, D2D) 구조를 기초로 V2X(vehicle to everything)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3GPP 릴리즈 14과 릴리즈 15에서 완료되었으며, 5G NR 기초로 V2X 기술에 대한 표준화 작업이 3GPP 릴리스 16에서 완료되었다.
NR V2X에서는 단말과 단말 간 유니캐스트(unicast) 통신, 그룹캐스트(groupcast)(또는 멀티캐스트(multicast)) 통신 및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통신을 지원한다. 또한 NR V2X는 차량의 도로 주행에 필요한 기본적인 안전 정보 송수신을 목적으로 하는 LTE V2X와 달리 그룹 주행(platooning), 진보된 주행(advanced driving), 확장 센서(extended sensor), 원격 주행(remote driving)등과 같이 보다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V2X 서비스는 기본 안전(basic safety) 서비스와 advanced 서비스로 구분할 수 있다.
기본 안전 서비스는 차량 알림(CAM(cooperative awareness messages) 또는 BSM (basic safety message)) 서비스부터 좌회전 알림 서비스, 앞차 추돌 경고 서비스, 이머전시(emergency) 차량 접근 알림 서비스, 전방 장애물 경고 서비스, 교차로 신호 정보 서비스 등의 세부 서비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브로드캐스트 내지 유니캐스트 내지 그룹캐스트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V2X정보가 송수신될 수 있다.
진보된(advanced) 서비스는 기본 안전 서비스보다 QoS(quality of service) 요구사항도 강화되었을 뿐 아니라 특정 차량 그룹 내에서 V2X 정보를 송수신하거나 두 대의 차량 간 V2X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브로드캐스트 외에 유니캐스트 및 그룹캐스트 전송방식을 사용하여 V2X 정보를 송수신할 수 있는 방안을 요구한다. 진보된 서비스는 군집주행 서비스, 자율주행서비스, 원격주행서비스, 확장된(extended) 센서 기반 V2X 서비스 등의 세부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NR V2X는 네트워크 인프라스트럭처(infrastructure)가 없는 지역에서 단말과 단말 간의 직접 통신 서비스를 지원하여 공공 안전망 (public safety)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사이드링크(sidelink, SL)는 단말과 단말 사이의 신호에 대한 송수신 경로 또는 단말과 릴레이 사이의 신호에 대한 송수신 경로를 칭하며, 이는 PC5 인터페이스와 혼용될 수 있다.
이하 기지국(base station)은 단말 및 릴레이의 자원 할당을 수행하는 주체로, V2X 통신과 일반 셀룰러 통신을 모두 지원하는 기지국이거나, V2X 통신만을 지원하는 기지국일 수 있다. 즉 기지국은 NR 기지국(예: gNB), LTE 기지국(예: eNB), 또는 RSU(road site 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단말(terminal)은 일반적인 사용자 장치(user equipment), 이동국(mobile station) 뿐만 아니라 차량 간 통신 (vehicular-to-vehicular, V2V)을 지원하는 차량, 차량과 보행자 간 통신(vehicular-to-pedestrian, V2P)을 지원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핸드셋(일례로 스마트폰), 차량과 네트워크 간 통신 (vehicular-to-network, V2N)을 지원하는 차량 또는 차량과 교통 인프라(infrastructure) 간 통신 (vehicular-to-infrastructure, V2I)을 지원하는 차량 및 단말 기능을 장착한 RSU(road side unit), 기지국 기능을 장착한 RSU, 또는 기지국 기능의 일부 및 단말 기능의 일부를 장착한 RSU 등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에서, 단말은 차량 간 통신(vehicular-to-vehicular, V2V)을 지원하는 차량, 차량과 보행자 간 통신(vehicular-to-pedestrian, V2P)을 지원하는 차량 또는 보행자의 핸드셋(예: 스마트폰), 차량과 네트워크 간 통신(vehicular-to-network, V2N)을 지원하는 차량 또는 차량과 인프라스트럭쳐(infrastructure) 간 통신(vehicular-to-infrastructure, V2I)을 지원하는 차량을 의미할 수 있다. 단말은 공공안전망의 기기 간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단말은, 단말 기능을 장착한 RSU(road side unit), 기지국 기능을 장착한 RSU, 또는 기지국 기능의 일부 및 단말 기능의 일부를 장착한 RSU를 의미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릴레이는, V2X 통신을 지원하는 차량 또는 공공안전망의 기기 간 통신을 지원하는 사용자 기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 릴레이는, 단말 기능을 장착한 장치, 또는 기지국 기능을 장착한 장치, 또는 단말 기능의 일부 및 기지국 기능의 일부를 장착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구성은 기지국(11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2를 참고하면, 기지국(110)은 무선통신부(210), 백홀통신부(220), 저장부(230), 제어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기지국(110)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기지국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통신부(210), 백홀통신부(220), 저장부(230), 및 제어부(24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부(2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무선통신부(21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무선통신부(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2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radio frequency)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 한다. 이를 위해, 무선통신부(2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mixer), 오실레이터(oscillator), DAC(digital to analog convertor), ADC(analog to digital converto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통신부(210)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무선통신부(210)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antenna elements)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antenna array)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무선통신부(210)는 디지털 유닛(digital unit) 및 아날로그 유닛(analog unit)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아날로그 유닛은 동작 전력, 동작 주파수 등에 따라 복수의 서브 유닛(sub-unit)들로 구성될 수 있다. 디지털 유닛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예: DSP(digital signal processor))로 구현될 수 있다.
무선통신부(2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한다. 이에 따라, 무선통신부(2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transmitter)', '수신부(receiver)' 또는 '송수신부(transceiver)'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무선통신부(2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백홀통신부(220)는 네트워크 내 다른 노드들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백홀통신부(220)는 기지국(110)에서 다른 노드, 예를 들어, 다른 접속 노드, 다른 기지국, 상위 노드, 코어망 등으로 송신되는 비트열을 물리적 신호로 변환하고, 다른 노드로부터 수신되는 물리적 신호를 비트열로 변환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기지국(110)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3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230)는 제어부(24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다.
제어부(240)는 기지국(110)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240)는 무선통신부(210)를 통해 또는 백홀통신부(22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40)는 저장부(23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240)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protocol stack)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구현 예에 따라, 프로토콜 스택은 무선통신부(210)에 포함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24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240)는 기지국(110)이 후술하는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을 포함하는 단말은 도 1a에서의 사이드링크 릴레이(120)에 대응될 수도 있고, 도 1a 및 도 1b에서의 단말(130, 140, 150, 170)에 대응될 수도 있다.
도 3에 도시된 구성은 사이드 링크 릴레이(120) 및 단말(130, 140, 150, 170)의 구성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이하 사용되는 '...부', '...기'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3을 참고하면, 사이드 링크 릴레이(120) 및 단말은 각각 통신부(310), 저장부(320), 제어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단말의 구성 요소가 전술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단말은 전술한 구성 요소들 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하거나 더 적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통신부(310), 저장부(320), 및 제어부(330)가 하나의 칩(chip)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무선 채널을 통해 신호를 송수신하기 위한 기능들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시스템의 물리 계층 규격에 따라 기저대역 신호 및 비트열 간 변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데이터 송신 시, 통신부(310)는 송신 비트열을 부호화 및 변조함으로써 복소 심볼들을 생성한다. 또한, 데이터 수신 시, 통신부(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복조 및 복호화를 통해 수신 비트열을 복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기저대역 신호를 RF 대역 신호로 상향 변환한 후 안테나를 통해 송신하고,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 대역 신호를 기저대역 신호로 하향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310)는 송신 필터, 수신 필터, 증폭기, 믹서, 오실레이터, DAC, AD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복수의 송수신 경로(path)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310)는 복수의 안테나 요소들로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웨어의 측면에서, 통신부(310)는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예: RFIC(radio frequency integrated circuit))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디지털 회로 및 아날로그 회로는 하나의 패키지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는 복수의 RF 체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통신부(310)는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부(31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통신부(310)의 전부 또는 일부는 '송신부', '수신부' 또는 '송수신부'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이하 설명에서 무선 채널을 통해 수행되는 송신 및 수신은 통신부(310)에 의해 상술한 바와 같은 처리가 수행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저장부(320)는 단말의 동작을 위한 기본 프로그램, 응용 프로그램, 설정 정보 등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320)는 휘발성 메모리,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320)는 제어부(330)의 요청에 따라 저장된 데이터를 제공한다.
제어부(330)는 단말의 전반적인 동작들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제어부(330)는 통신부(310)를 통해 신호를 송신 및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330)는 저장부(320)에 데이터를 기록하고, 읽는다. 그리고, 제어부(330)는 통신 규격에서 요구하는 프로토콜 스택의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어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또는 마이크로(micro) 프로세서를 포함하거나, 또는, 프로세서의 일부일 수 있다. 또한, 통신부(310)의 일부 및 제어부(330)는 CP(communication processor)라 지칭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들에 따라, 제어부(330)는 단말이 후술하는 일 실시 예들에 따른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통신부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무선통신부(210) 또는 도 3의 통신부(3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예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4는 도 2의 무선통신부(210) 또는 도 3의 통신부(310)의 일부로서, 빔포밍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요소들을 도시한다.
도 4를 참고하면, 무선통신부(210) 또는 통신부(310)는 부호화 및 변조부(402), 디지털 빔포밍부(404),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아날로그 빔포밍부(408)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402)는 채널 인코딩을 수행할 수 있다. 채널 인코딩을 위해, LDPC(low density parity check) 코드, 컨볼루션(convolution) 코드, 폴라(polar) 코드 중 적어도 하나가 사용될 수 있다. 부호화 및 변조부(402)는 성상도 맵핑(constellation mapping)을 수행함으로써 변조 심볼들을 생성한다.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디지털 신호(예: 변조 심볼들)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변조 심볼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한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며, '프리코딩 행렬(precoding matrix)', '프리코더(precoder)'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로 디지털 빔포밍된 변조 심볼들을 출력할 수 있다. 이때,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전송 기법에 따라, 변조 심볼들은 다중화되거나,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로 동일한 변조 심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된 디지털 신호들을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각각은 IFFT(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연산부, CP(cyclic prefix) 삽입부, DAC(digital to analog converter), 상향 변환부를 포함할 수 있다. CP 삽입부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방식을 위한 것으로, 다른 물리 계층 방식(예: FBMC(filter bank multi-carrier))이 적용되는 경우 제외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은 디지털 빔포밍을 통해 생성된 복수의 스트림(stream)들에 대하여 독립된 신호처리 프로세스를 제공할 수 있다. 단, 구현 방식에 따라,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의 구성요소들 중 일부는 공용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날로그 빔포밍부(408)는 아날로그 신호에 대한 빔포밍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지털 빔포밍부(404)는 아날로그 신호들에 빔포밍 가중치들을 곱할 수 있다. 여기서, 빔포밍 가중치들은 신호의 크기 및 위상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및 안테나들 간 연결 구조에 따라, 아날로그 빔포밍부(408)는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 각각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이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복수의 송신 경로들(406-1 내지 406-N)은 적응적으로 하나의 안테나 어레이와 연결되거나, 둘 이상의 안테나 어레이들과 연결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시간-주파수 자원의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무선 자원 영역에서 가로 축은 시간 영역을, 세로 축은 주파수 영역을 나타낸다. 시간 영역에서의 최소 전송 단위는 OFDM 심볼(OFDM symbol) 또는 DFT-S-OFDM 심볼(DFT-S-OFDM symbol)로서, Nsymb 개의 OFDM 심볼들 또는 DFT-S-OFDM 심볼들(530)이 하나의 슬롯(505)에 포함될 수 있다. 슬롯과 달리 NR 시스템에서 서브프레임의 길이는 1.0ms으로 정의될 수 있으며, 라디오 프레임(radio frame)(500)의 길이는 10ms로 정의될 수 있다. 주파수 영역에서의 최소 전송 단위는 서브캐리어(subcarrier)로서, 전체 시스템 전송 대역(transmission bandwidth)의 대역폭은 총 NBW 개의 서브캐리어들(525)을 포함할 수 있다. Nsymb, NBW 등의 구체적인 수치는 시스템에 따라 가변적으로 적용될 수 있다.
시간-주파수 자원 영역의 기본 단위는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 (510)로서 이는 OFDM 심볼 인덱스 또는 DFT-S-OFDM 심볼 인덱스 및 서브캐리어 인덱스로 나타날 수 있다.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515)) 은 주파수 영역에서 NRB 개의 연속된 서브캐리어들(520)로 정의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데이터의 최소 전송 단위는 RB 단위이며, NR 시스템에서 일반적으로 Nsymb = 14, NRB = 12 이다.
도 5와 같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구조는 Uu 인터페이스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5와 같은 시간-주파수 자원 구조는 사이드링크에도 유사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Remote UE, source UE로도 표기)과 다른 단말(Remote UE, destination UE로도 표기) 간의 직접 연결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단말과 다른 단말 간의 PC5 유니캐스트 연결 설정 절차를 처리하는 단말, 사이드링크 릴레이 (Relay 또는 Relay UE로도 표기)및 다른 단말의 동작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과 다른 단말 간의 데이터 및 시그널링(signaling)을 중계하기 위한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중계 기능 설정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단말과 다른 단말 간의 직접 연결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지원하기 위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기 위한 송수신하는 탐색 메시지 처리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릴레이(sidelink relay)는 특정 서비스, 특정 단말, 특정 사이드링크 플로우(sidelink flow), 특정 사이드링크 베어러(sidelink bearer), 특정 유니캐스트 링크(unicast link), 특정 소스 식별자(source identifier), 특정 목적지 식별자(target identifier)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에서 사용되도록 인증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설치되는 시점에 인증된 단말과의 직접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릴레이 디스커버리 메시지(discovery message)를 전송하는 중 인증된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중계 용도의 직접 연결 설정 요청을 획득하고 인증된 단말과 사이드링크 직접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인증된 단말로부터 릴레이 디스커버리 요청 메시지(discovery solicitation message)를 획득하고 인증된 단말에게 디스커버리 메시지(discovery message)를 전송하여 인증된 단말로부터 사이드링크 중계 용도의 직접 연결 설정 요청을 획득하고 인증된 단말과 사이드링크 직접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인증된 단말로부터 PC5 direct link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인증된 단말과 사이드링크 직접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와 단말이 릴레이 연결을 위해 사용하는 PC5 직접 연결 설정 요청(PC5 direct link establishment request)의 방법은 일반적인 PC5 direct link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 내에 “릴레이를 통한 연결 지시” 포함하거나, 별도로 정의된 “릴레이용도 PC5 direct link 설정 메시지”를 정의하거나, 릴레이용도 사이드링크 베어러(Sidelink radio bearer, SLRB로 표기할 수 있음)에서 전송되는 일반적인 PC5 direct link establishment request 메시지를 사용하도록 설정하는 방법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6은 단말과 단말 간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UE1(600)과 UE2(650)은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직접 연결을 설정하고 직접 연결을 통해 데이터 및 시그널링을 송수신할 수 있는 단말이다. UE1(600)은 UE2(650)과의 직접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601단계에서 Direct commun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UE2(650)가 601단계의 Direct commun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게 되면, UE1(600)과의 직접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사이드링크 인증, 암호화 키 설정 등의 PC5 security 설정 절차를 602단계에서 UE1(600)과 수행할 수 있다.
UE1(600)과 UE2(650) 간 직접 연결 설정을 위한 사이드링크 인증, 암호화 키 설정 등의 처리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UE2(650)은 UE1(600)에게 Direct communication accept 메시지를 603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UE1(600)과 UE2(650)는 직접 연결 설정을 위한 이후의 절차를 수행할 수 있으며 UE1(600)과 UE2(650)의 RRC계층에서는 606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단말 능력 정보를 교환하는 시그널링이 교환될 수 있다. 606단계에서 UE1(600)과 UE2(650)의 RRC계층에서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사이드링크 무선 베어러(sidelink radio bearer, SLRB)에 대한 설정 정보를 교환하는 시그널링이 교환될 수 있다.
601단계 내지 606단계에서 UE1(600)과 UE2(650) 간 송수신하는 시그널링과 대응되는 사이드링크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는 SL-SRB0, SL-SRB1, SL-SRB2, SL-SRB3에 해당되며, SL-SRB0, SL-SRB1, SL-SRB2, SL-SRB3에 대한 설정 정보는 specified configuration으로 UE1(600)과 UE2(650)에 저장될 수 있다.
UE1(600)과 UE2(650)이 606단계에서 데이터에 대응되는 사이드링크 데이터 무선 베어러 (SL-DRB)에 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은 [표 1]과 같이 3가지 예시를 들 수 있다.
(1) UE1(600) 또는 UE2(650)가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고 있는 RRC_CONNECTED 상태에 있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dedicated RRC 메시지를 통해 SL-DRB에 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604단계) UE1(600) 또는 UE2(650)은 전송 데이터의 QoS 플로우에 대한 PQI (ProSe QoS indicator), QoS 프로파일 등의 정보를 기지국에게 제공할 수 있고 기지국은 전송 데이터의 QoS 플로우에 대한 PQI, QoS 프로파일 등을 참조하여 SLRB 설정 정보를 UE1(600) 또는 UE2(650)에게 제공할 수 있다.
(2) UE1(600) 또는 UE2(650)가 기지국과의 RRC 연결을 설정하고 있지 않은 RRC_IDLE 상태 또는 RRC_INACTIVE 상태에 있는 경우, 기지국으로부터 SIB 메시지를 통해 SL-DRB에 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604단계) 기지국이 구성하여 전송하는 SIB 메시지는 PQI 또는 QoS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SLRB 설정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UE1(600) 또는 UE2(650)은 전송 데이터의 QoS 플로우에 대한 PQI (ProSe QoS indicator), QoS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SLRB 설정 정보를 SIB 메시지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3) UE1(600) 또는 UE2(650)이 out of coverage 상태에 있는 경우, 미리 설정되어 있는(pre-configuration) SL-DRB에 대한 설정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Pre-configuration 정보는 PQI (ProSe QoS indicator), QoS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SLRB 설정 정보로 구성될 수 있고 UE1(600) 또는 UE2(650)은 전송 데이터의 QoS 플로우에 대한 PQI, QoS 프로파일에 대응되는 SLRB 설정 정보를 pre-configuration 정보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UE1(600) 또는 UE2(650)가 송신 단말인 경우, UE1(600) 또는 UE2(650)은 [표 1]의 3가지 방안 중 하나에 의해 전송할 데이터에 해당되는 QoS 플로우에 대한 사이드링크 데이터 무선 베어러에 대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고 QoS 플로우에 대한 SLRB 설정정보를 수신 단말에 해당되는 UE2(650) 또는 UE1(600)에게 606단계에서 RRC계층 시그널링으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이 수신할 때 적용하기 위한, 데이터의 QoS 플로우에 대한 SLRB 설정정보(RX only SLRB 설정 정보에 한함)는 수신 단말이 알아서 결정할 수 있다. UE1(600)과 UE2(650)은 606단계에서 설정된 데이터에 대한 SLRB 설정 정보를 적용하여 607단계에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단말이 3계층 사이드링크 릴레이(layer 3 U2N sidelink relay)를 통해 기지국과의 연결을 수행하는 경우에서, 단말과 사이드링크 릴레이 간에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이 설정될 때 사용되는 SL-SRB0, SL-SRB1, SL-SRB2, SL-SRB3에 대해서는 specified SLRB configuration이 적용될 수 있다.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다른 단말과의 연결을 수행하는 경우에서 단말과 사이드링크 릴레이 간의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을 설정하는 경우에서 단말과 사이드링크 릴레이 간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L-SRB0, SL-SRB1, SL-SRB2, SL-SRB3)에 대해 specified SLRB configuration이 적용될 수 있다.
도 7은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기지국과 연결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단말(700)은 기지국(770)과의 RRC 연결 설정 절차를 직접 연결을 통해 처리할 수 없으므로 사이드링크 릴레이(760)과의 사이드링크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RRC 연결 설정에 필요한 RRC 시그널링을 송수신할 수 있다. 도 7의 실시 예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760)은 2계층 사이드링크 릴레이(Lyaer-2 U2N sidelink relay)에 해당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단말(700)과 사이드링크 릴레이(760)은 단계 701에서 사이드링크 직접 연결을 설정하고 기지국(770)과의 RRC 연결 설정에 필요한 RRC 시그널링을 송수신할 사이드링크 무선 베어러(PC5 SLRB라고 표기)를 설정할 수 있다.
단말(700)은 702단계에서 RRCSetupRequest 메시지를 전송할 때 PC5 SLRB 설정을 적용할 수 있는데 이때 specified SLRB 설정이 적용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760)은 단말(700)로부터 RRCSetupRequest 메시지에 해당되는 specified SLRB 설정을 통해 RRCSetup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고 기지국(770)에게 단말(70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760)를 통해 RRC 연결 설정을 시도하고 있음을 알릴 수 있다.
기지국(77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760)가 단말(700)의 RRCSetupRequest 메시지 및 그 이후의 RRC 메시지들 (RRCSetup, RRCSetupComplete, SecurityModeCommand, SecurityModeComplete, RRCReconfiguration, RRCReconfigurationComplete)을 중계 전송하기 위한 Uu radio bearer와 SLRB 설정을 dedicated RRC 메시지로서 사이드링크 릴레이(760)에게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770)은 단말(70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760)을 통해 기지국(770)에게 전송할 수 있는 단말(700)의 RRCSetupComplete 메시지 및 그 이후의 RRC 메시지들(SecurityModeComplete, RRCReconfigurationComplete)에 대한 SLRB 설정을 dedicated RRC 메시지로서 단말(700)에게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770)은 단말(700)이 자신의 데이터를 사이드링크 릴레이(760)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SLRB 설정을 구성하여 단말(700)에게 dedicated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릴레이(760)에게 단말(700)의 데이터를 중계 전송하기 위한 SLRB 설정과 Uu radio bearer 설정을 구성하여 dedicated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기지국(770)은 단말(700)이 수신할 자신의 데이터를 사이드링크 릴레이(760)을 통해 전송하기 위한 SLRB 설정을 구성하여 사이드링크 릴레이(760)와 단말(700)에게 dedicated RRC 메시지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8을 참조하여 단말과 다른 단말 간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직접 연결을 설정하고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경우, 단말과 사이드링크 릴레이 간의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 사이드링크 릴레이와 다른 단말 간의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단말과 다른 단말 간의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 설정 절차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시그널링 및 데이터를 중계 전송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절차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UE1(800)은 UE2(870)과의 직접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지 판단할 수 있고 UE2(870)와의 직접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을 탐색하기로 결정할 수 있다.
UE1(800)은 801단계에서 Relay discovery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801단계에서 UE1(800)은 UE2(870)과의 직접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기 위한 relay discovery solicit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사이드링크 릴레이로부터 relay discovery message를 수신하는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801단계에서 UE1(800)은 UE2(870)와의 직접 연결을 지원할 수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로부터 relay discovery message를 모니터링하는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은 802단계에서 UE1(800)이 직접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UE2(870)를 탐색하기 위한 relay discovery message를 전송하는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또는 802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은 UE1(800)이 직접 연결을 수행하고자 하는 UE2(870)가 전송하는 relay discovery solicitation message를 모니터링하고 UE2(870)에게 relay discovery message를 전송하는 절차를 사용할 수 있다.
UE1(80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을 통해 UE2(870)과의 직접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사이드링크 릴레이(860)과의 유니캐스트 연결 절차를 803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다. UE2(87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을 통해 UE1(800)과의 직접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고 판단하면 사이드링크 릴레이(860)과의 유니캐스트 연결 절차를 804단계에서 수행할 수 있다.
UE1(800)과 사이드링크 릴레이(860) 간의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 및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와 UE2(870) 간의 사이드링크 유니캐스트 연결은 도 6의 601단계 내지 606단계를 수행하여 설정될 수 있다. 단, 606단계에서 데이터 송수신을 위한 SLRB 설정 즉, SL-DRB에 대한 설정은 생략될 수 있다. 803단계 내지 804단계에서 유니캐스트 연결 설정 절차에서 송수신하는 사이드링크 시그널링을 위한 SLRB (SL-SRB0, SL-SRB1, SL-SRB2, SL-SRB3)는 specified SLRB 설정이 적용될 수 있다.
UE1(800)과 UE2(87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860)과의 유니캐스트 연결과 별도로 종단 간 유니캐스트 연결을 설정할 수 있다. 종단 간 유니캐스트 연결은 UE1(800)가 Direct commun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의 중계 전송을 통해 UE2(870)에게 전송하는 절차로부터 시작될 수 있다(807단계, 808단계).
UE1(800)과 UE2(87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의 중계전송을 통해 사이드링크 인증 및 암호화 키 설정을 처리하는 PC5 security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809단계).
사이드링크 security 절차가 정상적으로 수행되었다고 판단되면 UE2(870)은 Direct communication accept 메시지를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의 중계 전송을 통해 UE1(800)에게 전송하는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810단계, 811단계). 도 8에는 생략되었으나 UE1(800)과 UE2(870)의 사이드링크 UE capability 정보 교환이 필요한 경우 UE1(800)과 UE2(870)의 사이드링크 UE capability 메시지가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의 중계 전송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는 생략되었으나 UE1(800)과 UE2(870)간 RRC reconfiguration 메시지가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의 중계 전송을 통해 송수신될 수 있다.
UE1(800)과 UE2(870)은 자신의 데이터를 상대방 단말에게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의 중계 전송을 통해 전송하고 상대방 단말의 데이터를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의 중계 전송을 통해 수신할 수 있다(812단계). 종단 간 유니캐스트 연결은 UE2(870)이 먼저 Direct commun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의 중계 전송을 통해 UE1(800)에게 전송하는 절차로부터 시작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UE1(800), UE2(870), 사이드링크 릴레이(860)는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의 중계 전송을 통해 두 단말들 간에 송수신하는 종단간 유니캐스트 연결 설정 메시지, 두 단말들의 데이터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있다. 사이드링크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807단계의 Direct communication request 메시지를 UE1(80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에게 전송하고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이 UE1(800)으로부터 Direct communication 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적용되는 SLRB 설정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링크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는 810단계의 Direct communication accept 메시지를 UE2(870)이 사이드링크 릴레이(869)에게 전송하고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이 UE2(870)으로부터 Direct communication accept 메시지를 수신하는 데 적용되는 SLRB 설정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또한, 사이드링크 무선 베어러 설정 정보는 812단계에서 UE1(800)이 자신의 데이터를 UE2(870)에게 전송할 때 UE1(800)과 사이드링크 릴레이(860) 간에 UE1(800)이 자신의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적용되는 SLRB 설정 정보에 해당될 수 있다.
UE1(800)과 사이드링크 릴레이(860)은 805단계에서 중계 용도의 SLRB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UE2(870)과 사이드링크 릴레이(860)는 806단계에서 중계 용도의 SLRB 설정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도 8에 명시된 805단계 내지 806단계가 수행되는 시점은 일 실시 예일 수 있다. 즉, 중계 용도의 SLRB 설정을 획득하는 방안, U2U 릴레이 타입 (layer 3 relay, layer 2 relay) 등에 따라 도 8에 도시된 것보다 이후의 단계(예를 들어, 811단계 이후)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Layer2 U2U 릴레이 타입에 따른 중계 용도의 SLRB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은 다음 [표 2]와 같다.
(옵션1)
-Specified sidelink RLC bearer configuration for Remote UE's SL-SRB0
-For other SL-SRBs (e.g., SL-SRB1, SL-SRB2 or SL-SRB3) for Remote UE, dedicated sidelink RLC bearer configuration via PC5 RRC between Relay UE and Remote UE
-For SL-DRBs for Remote UE, dedicated sidelink RLC bearer configuration via PC5 RRC between Relay UE and Remote UE
(옵션2)
-Specified sidelink RLC bearer configuration for Remote UE's SL-SRB0/SL-SRB1/SL-SRB2/SL-SRB3 (the specified RLC bearer configuration can be configured based on RLC mode for the associated SL-SRB. So one or more specified RLC bearer configurations can be defined.)
-For SL-DRBs for Remote UE, dedicated sidelink RLC bearer configuration via PC5 RRC between Relay UE and Remote UE
(옵션3)
-For SL-SRBs and SL-DRBs for Remote UE, dedicated sidelink RLC bearer configuration via PC5 RRC between Relay UE and Remote UE

옵션1, 옵션2, 옵션3에서 dedicated sidelink RLC bearer configuration의 경우, 릴레이 단말 또는 송신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dedicated RRC 메시지, 기지국이 전송하는 SIB 메시지 또는 preconfiguration 구성정보를 통해 SLRB 설정을 획득할 수 있다. 릴레이 단말은 dedicated sidelink RLC rearer configuration을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dedicated sidelink RLC rearer configuration을 수신 단말 및/또는 릴레이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SL-SRB0, SL-SRB1, SL-SRB2, SL-SRB3에 대해 specified configuration이 적용되지 않는 SL-SRBx에 대한 SLRB 설정 정보는 기지국에게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를 전송해서 획득할 수 있거나 기지국의 SIB 메시지로부터 획득할 수 있거나 preconfiguration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SL-SRBx에 대한 SLRB 설정 정보임을 지시하기 위한 SL-SRB indicator 또는 SL-SRB에 해당되는 QoS information이 정의될 수 있다.
SL-DRB의 경우, 해당되는 PQI 및/또는 QoS profile 정보를 기반으로 SLRB configuration이 구성될 수 있다.
[표 3]은 dedicated SLRB configuration으로 중계 전송용도의 SLRB 구성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SL-U2U_L2_UE-Config ::= SEQUENCE {
sl-SRAP-Config-Remote SL-SRAP-Config OPTIONAL, --Need M
...
}
SL-SRAP-Config ::= SEQUENCE {
sl-LocalIdentity INTEGER (0..255) OPTIONAL, -- Need M
sl-MappingToAddModList SEQUENCE (SIZE (1..maxLC-ID)) OF SL-MappingToAddMod OPTIONAL, -- Need N
sl-MappingToReleaseList SEQUENCE (SIZE (1..maxLC-ID)) OF SL-RemoteUE-RB-Identity OPTIONAL, -- Need N
...
}
SL-MappingToAddMod ::= SEQUENCE {
sl-RemoteUE-RB-Identity SL-RemoteUE-RB-Identity,
sl-Egress-RLC-Channel-PC5 SL-RLC-ChannelID OPTIONAL, -- for relay UE (RelayUE to DST UE) if needed
sl-Egress-RLC-Channel-PC5 SL-RLC-ChannelID OPTIONAL, -- SRC UE to Relay UE
...
}
SL-RemoteUE-RB-Identity ::= CHOICE {
srb-Identity INTEGER (0..3), // for example SL-SRB0, SL-SRB1, SL-SRB2, SL-SRB3 (SL-SRBx which is configured in dedicated signaling)
drb-Identity DRB-Identity,
...
} 
RRCReconfigurationSidelink-IEs ::= SEQUENCE {
sl-RLC-ChannelToReleaseListPC5 SEQUENCE (SIZE (1..maxSL-LCID)) OF SL-RLC-ChannelID OPTIONAL, -- Need N
sl-RLC-ChannelToAddModListPC5 SEQUENCE (SIZE (1..maxSL-LCID)) OF SL-RLC-ChannelConfig-PC5 OPTIONAL, -- Need N
nonCriticalExtension SEQUENCE {} OPTIONAL
}
SL-RLC-ChannelConfig-PC5 ::= SEQUENCE {
sl-RLC-ChannelID-PC5 SL-RLC-ChannelID,
sl-RLC-ConfigPC5 SL-RLC-ConfigPC5 OPTIONAL, -- Need M
sl-MAC-LogicalChannelConfigPC5 SL-LogicalChannelConfigPC5 OPTIONAL, -- Need M
...
}
[표 4]는 specified configuration으로 중계 전송용도의 SLRB 구성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옵션1) UM (unacknowledged) RLC 모드를 적용할 SL-SRBx에 대한 SLRB 구성정보, AM (acknowledged) RLC 모드를 적용할 SL-SRBx에 대한 SLRB 구성정보를 specified하고 어떤 SL-SRBx가 어떤 RLC 모드를 사용할지 specified 할 수 있다.
-A specified PC5 Relay RLC channel for Remote UE’s SL-SRB with UM RLC
-A specified PC5 Relay RLC channel for Remote UE’s SL-SRB with AM RLC

(옵션2) specified configuration을 적용할 모든 SL-SRBx에 대해 AM RLC mode를 적용하도록 SLRB configuration 구성
-A specified PC5 Relay RLC channel (e.g., AM RLC) for Remote UE’s SL-SRBs

(옵션3) specified configuration을 적용할 모든 SL-SRBx에 대해 UM RLC mode를 적용하도록 SLRB configuration 구성
-A specified PC5 Relay RLC channel (e.g., UM RLC) for Remote UE’s SL-SRBs
Layer3 U2U 릴레이 타입에 따른 중계 용도의 SLRB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방안은 다음 [표 5]과 같다.
(옵션1)
-Specified sidelink bearer configuration for Remote UE's SL-SRB0
-For other SL-SRBs for Remote UE, dedicated sidelink bearer configuration via PC5 RRC between Relay UE and Remote UE
-For SL-DRBs for Remote UE, dedicated sidelink bearer configuration via PC5 RRC between Relay UE and Remote UE
(옵션2)
-Specified sidelink bearer configuration for Remote UE's SL-SRB0/SL-SRB1/SL-SRB2/SL-SRB3 (the specified sidelink bearer configuration can be configured based on RLC mode for the associated SL-SRB. So one or more specified sidelink bearer configuration can be defined.)
-For SL-DRBs for Remote UE, dedicated sidelink RLC bearer configuration via PC5 RRC between Relay UE and Remote UE

(옵션3)
-For SL-SRBs and SL-DRBs for Remote UE, dedicated sidelink bearer configuration via PC5 RRC between Relay UE and Remote UE

옵션1, 옵션2, 옵션3에서 dedicated sidelink RLC bearer configuration의 경우, 릴레이 단말 또는 송신 단말은 기지국이 전송하는 dedicated RRC 메시지, 기지국이 전송하는 SIB 메시지 또는 preconfiguration 구성정보를 통해 SLRB 설정을 획득할 수 있다. 릴레이 단말은 dedicated sidelink RLC rearer configuration을 송신 단말 및/또는 수신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dedicated sidelink RLC rearer configuration을 수신 단말 및/또는 릴레이 단말에게 전달할 수 있다.
SL-SRB0, SL-SRB1, SL-SRB2, SL-SRB3에 대해 specified configuration이 아닌 경우, SL-SRBx에 대한 SLRB 설정 정보는 기지국에게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를 전송해서 획득할 수 있거나 기지국의 SIB 메시지로부터 획득할 수 있거나 preconfiguration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으며 SL-SRBx에 대한 SLRB 설정 정보임을 지시하기 위한 SL-SRB indicator 또는 SL-SRB에 해당되는 QoS information이 정의될 수 있다.
SL-DRB의 경우, 해당되는 PQI 및/또는 QoS profile 정보를 기반으로 SLRB configuration이 구성될 수 있다.
[표 6]은 dedicated SLRB configuration으로 중계 전송용도의 SLRB 구성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SL-U2U_L3_UE-Config ::= SEQUENCE {
slrb-ConfigToAddModList SEQUENCE (SIZE (1..maxNrofSLRB)) OF SL-MappingToAddMod OPTIONAL, -- Need N
slrb-ConfigToReleaseList SEQUENCE (SIZE (1..maxNrofSLRB)) OF SL-RemoteUE-RB-Identity OPTIONAL, -- Need N (or slrb-ConfigToReleaseList SEQUENCE (SIZE (1..maxNrofSLRB)) OF SLRB-PC5-ConfigIndex )
...
}
SL-MappingToAddMod ::= SEQUENCE {
sl-RemoteUE-RB-Identity SL-RemoteUE-RB-Identity,
( additionally can configure to be used in slrb-ConfigToReleaseList: slrb-PC5-ConfigIndex SLRB-PC5-ConfigIndex)
sl-SDAP-ConfigPC5 SL-SDAP-ConfigPC5 OPTIONAL, -- Need M
sl-PDCP-ConfigPC5 SL-PDCP-ConfigPC5 OPTIONAL, -- Need M
sl-RLC-ConfigPC5 SL-RLC-ConfigPC5 OPTIONAL, -- Need M
sl-MAC-LogicalChannelConfigPC5 SL-LogicalChannelConfigPC5 OPTIONAL, -- Need M
...
}
SL-RemoteUE-RB-Identity ::= CHOICE {
srb-Identity INTEGER (0..3), // for example SL-SRB0, SL-SRB1, SL-SRB2, SL-SRB3 (SL-SRBx which is configured in dedicated signaling)
drb-Identity DRB-Identity,
...
} 
[표 7]는 specified configuration으로 중계 전송용도의 SLRB 구성 정보를 설정하는 경우의 예시이다.
(옵션1) UM (unacknowledged) RLC 모드를 적용할 SL-SRBx에 대한 SLRB 구성정보, AM (acknowledged) RLC 모드를 적용할 SL-SRBx에 대한 SLRB 구성정보를 specified하고 어떤 SL-SRBx가 어떤 RLC 모드를 사용할지 specified 할 수 있다.
-A specified PC5 Relay SL-SRB for Remote UE’s SL-SRB with UM RLC
-A specified PC5 Relay SL-SRB for Remote UE’s SL-SRB with AM RLC
(옵션2) specified configuration을 적용할 모든 SL-SRBx에 대해 AM RLC mode를 적용하도록 SLRB configuration 구성
-A specified PC5 Relay SL-SRB configuration with AM RLC mode for Remote UE’s any SL-SRBs
(옵션3) specified configuration을 적용할 모든 SL-SRBx에 대해 UM RLC mode를 적용하도록 SLRB configuration 구성
-A specified PC5 Relay SL-SRB configuration for Um RLC mode for Remote UE’s any SL-SRBs
다음으로 도 9를 참조하여, 도 8의 801단계 내지 802단계에서 전송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기 위한 탐색 메시지에 대한 처리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U2U relay (layer 3 U2U relay, layer 2 U2U relay)에서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는 도 9의 900 내지 904의 계층으로 구성된 프로토콜 스택을 가질 수 있다.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는 904의 discovery 계층에서 구성될 수 있다.
U2U relay에서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에 대해 PDCP data PDU format은 905와 같이 구성될 수 있다. U2U relay에서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가 전송되는 논리채널 (logical channel) 식별자는 U2N relay discovery 메시지 또는 D2D direct discovery 메시지가 전송되는 논리채널 식별자와 동일하게 0으로 설정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예시에 제한되지 않으며, U2U relay에서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가 전송되는 논리채널 식별자는 U2N relay discovery 메시지 또는 D2D direct discovery 메시지가 전송되는 논리채널 식별자와 다른 값으로 설정될 수 있다.
905에서 U2U relay에서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의 SDU type을 구성하는 방안 및 U2U relay에서 사용되는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의 논리채널 식별자 방안은 다음 [표 8]과 같다.
(옵션1)
-U2N relay discovery 또는 D2D discovery와 달리 U2U relay discovery를 구분하기 위해 U2U relay discovery에 해당되는 PDCP SDU type을 specify할 수 있다.
-U2N relay discovery 또는 D2D direct discovery와 다른 논리채널 식별자를 U2U relay discovery 용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옵션2)
-U2N relay discovery 또는 D2D direct discovery와 달리 U2U relay discovery를 구분하기 위해 U2U relay discovery에 해당되는 PDCP SDU type을 specify할 수 있다.
-U2N relay discovery 또는 D2D direct discovery와 같은 논리채널 식별자 0을 U2U relay discovery 용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옵션3)
-U2N relay discovery 또는 D2D discovery처럼 U2U relay discovery에 대한 PDCP data PDU의 PDCP SDU type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U2N relay discovery 또는 D2D direct discovery와 다른 논리채널 식별자를 U2U relay discovery 용도로 설정할 수 있다.

(옵션4)
-U2N relay discovery 또는 D2D discovery처럼 U2U relay discovery에 대한 PDCP data PDU의 PDCP SDU type은 사용되지 않을 수 있다.
-U2N relay discovery 또는 D2D direct discovery와 같은 논리채널 식별자 0을 U2U relay discovery 용도로 설정할 수 있다.

U2N relay discovery message와 D2D direct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사이드링크 SLRB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는 SL-SRB4로 specified되어 있다.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사이드링크 SLRB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는 동일한 SL-SRB4로 specified될 수 있다. 또한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사이드링크 SLRB(시그널링 무선 베어러)는 다른 SL-SRB로 specified될 수 있다.
U2U relay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source UE, destination UE)과 사이드링크 릴레이에 적용되는 전송 자원 할당 모드는 기지국이 전송 자원을 스케줄링해 주는 mode 1, 송신단말이 전송 자원을 직접 선택하는 mode 2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단말(source UE, destination UE)과 사이드링크 릴레이는 기지국의 설정에 따라 전송 자원 풀에 대한 CBR (congestion busy ratio)을 측정하고 보고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CBR 측정 및 보고가 설정되는 전송 자원 풀은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용 자원 풀(U2U discovery 전용자원 풀 포함)이거나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자원 풀에 해당될 수 있다.
U2U relay를 사용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송신 단말이 직접 전송 자원을 선택하는 mode 2에서 전송 자원 풀, 전송자원을 선택하는 방안을 다음으로 도 10a 내지 도 10c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0a 내지 도 10c는 U2U relay discovery 메시지에 대한 전송 자원 풀 설정 및 전송자원을 선택하는 방안의 실시 예이다.
도 10a는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 즉, U2U relay discovery 메시지 및 U2N relay discovery 메시지 및 D2D direct discovery message 전송을 위해 별도의 전송 자원풀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 용도의 별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지 않으면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용도의 전송 자원풀이 설정될 수 있어서 어떤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이든 관계 없이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을 위해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b는 U2U relay discovery 메시지 전송을 위해 별도의 전송 자원 풀을 설정할 수 있는 경우에 해당될 수 있다. U2U relay discovery 메시지 전송을 위해 별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지 않으면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어서 U2U relay discovery 메시지 전송을 위해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c는 U2U relay discovery 메시지 전송을 위해 별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지 않고 U2N relay discovery 메시지 또는 D2D direct discovery 메시지 전송을 위해 별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으면 U2U relay discovery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해 다른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을 위해 설정되어 있는 자원 풀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0a 내지 도 10c에서 전송자원 풀에 대해 power saving option이 설정되어 있다면 (partial sensing, full sensing, continuous partial sensing, non-continuous partial sensing, randome selection 등), 단말이 U2U relay discovery message 전송을 위한 전송 자원 풀을 선택하거나 전송 자원을 선택할 때 해당되는 전송 자원 풀에 대해 설정되어 있는 power saving option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0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 자원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a를 참조하면, 단말은 1000단계에서 전송할 U2U relay discovery message가 발생하여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송 자원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00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001단계의 판단에 따라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1002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에서 전송 자원을 선택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1001단계의 판단에 따라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1003단계에서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풀에서 전송 자원을 선택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 자원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b를 참조하면, 단말은 1050단계에서 전송할 U2U relay discovery message가 발생하여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송 자원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051단계에서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1051단계의 판단에 따라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1052단계에서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에서 전송 자원을 선택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1051단계의 판단에 따라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1053단계에서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풀에서 전송 자원을 선택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도 10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 자원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0c를 참조하면, 단말은 1080단계에서 전송할 U2U relay discovery message가 발생하여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송 자원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081단계에서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1081단계의 판단에 따라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1082단계에서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에서 전송 자원을 선택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1081단계의 판단에 따라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1083단계에서 다른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용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083단계의 판단에 따라 다른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용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다고 판단되면, 1084단계에서 단말은 다른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에서 전송 자원을 선택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1083단계의 판단에 따라 다른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의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고 판단되면 단말은 1085단계에서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풀에서 전송 자원을 선택하기로 판단할 수 있다.
송신 단말은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이 획득된 경우, 동일한 목적지 식별자(destination layer-2 ID)에 해당되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논리채널을 동일한 MAC PDU로 구성하여 획득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U2N relay 탐색과 U2U relay 탐색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경우, 다른 목적지 식별자 값이 U2N relay 탐색 메시지와 U2U relay 탐색 메시지에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단말이 U2N relay 탐색과 U2U relay 탐색을 모두 지원할 수 있는 경우, 동일한 목적지 식별자 값이 U2N relay 탐색 메시지와 U2U relay 탐색 메시지에 설정될 수 있다.
송신 단말이 U2U relay 탐색 메시지 전송과 U2N relay 탐색 메시지 전송을 모두 지원할 수 있고 동일한 목적지 식별자가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서 사용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 송신단말에게 전송할 U2N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U relay discovery message가 같이 발생하였다면 (완전히 동일한 시점은 아니지만 MAC PDU를 구성하는 동안 상기 두 메시지기 단말의 MAC 버퍼에 있는 경우) 송신 단말은 목적지 식별자가 동일하므로 U2N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동일한 MAC PDU에 포함될 수 있도록 MAC PDU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U2U relay discovery message 전송 용도의 전용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설정된 목적지 식별자가 동일하더라도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는 자원이 다르므로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포함하는 MAC PDU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포함하는 MAC PDU가 별도로 구성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 용도의 전용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택된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 전송 용도의 자원을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 전송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설정된 목적지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하나의 MAC PDU에 포함되도록 MAC PDU를 구성할 수 있다.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용도의 자원을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 전송에 사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선택된 전송 자원을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 전송에 사용할 수 있으므로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설정된 목적지 식별자가 동일한 경우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하나의 MAC PDU에 포함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논리채널 식별자는 [표 8]의 예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논리채널 식별자와 동일한 값으로 설정되거나 다른 값을 갖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1a 내지 도 11e를 참조하여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는 전송 자원 풀의 설정,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설정된 목적지 식별자가 동일한지 여부 등의 정보를 기반으로 U2U relay discovery message 전송을 위한 MAC PDU를 구성하는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등의 절차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a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 용도로 전용 자원 풀이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즉, 도 11a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는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용 자원 풀이 설정된 경우를 도시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단말은 1101단계에서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를 전송할 수 있는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용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고 U2U relay discovery message 전송 용도의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자원 풀에서 자원이 획득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102단계에서 신규 전송할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예를 들면, U2U relay discovery message)가 버퍼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103단계에서 U2U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예를 들면, U2U relay discovery message)의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다음 [표 9]의 절차에 따라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The MAC entity shall for each SCI corresponding to a new transmission:
1> if sl-BWP-U2UDiscPoolConfig or sl-BWP-U2UDiscPoolConfigCommon or sl-BWP-DiscPoolConfig or sl-BWP-DiscPoolConfigCommon is configured:
2> if the new transmission is associated with a sidelink grant in sl-U2UDiscTxPoolSelected or sl-U2UDiscTxPoolScheduling configured in sl-BWP-U2UDiscPoolConfig or sl-BWP-U2UDiscPoolConfigCommon:
3> select a Destination associated with U2U sidelink discovery, having at least one of the logical channel with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logical channels that satisfy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4>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4> SBj > 0, in case there is any logical channel having SBj > 0; and
4>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4>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단말은 1103단계에서 선택된 목적지 식별자에 해당되는 논리채널을 1104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다음 [표 10]의 절차를 따라 논리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1> select the logical channels satisfying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among the logical channels belonging to the selected Destination:
2>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2>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2>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and
3> if PSFCH is configured for the sidelink grant associated to the SCI: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enabled, if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enabled for the 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or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if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for the 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3> else: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1105단계에서 단말은 1101단계에서 획득된 전송 자원을 1104단계에서 선택된 논리채널에 할당하는 동작을 다음 [표 11]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The MAC entity shall for each SCI corresponding to a new transmission:
1> allocate resources to the logical channels as follows:
2> logical channels selected in 1104 for the SL grant with SBj > 0 are allocated resources in a decreasing priority order. If the sPBR of a logical channel is set to infinity, the MAC entity shall allocate resources for all the data that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on the logical channel before meeting the sPBR of the lower priority logical channel(s);
2> decrement SBj by the total size of MAC SDUs served to logical channel j above;
2> if any resources remain, all the logical channels selected in 1104 are served in a strict decreasing priority order (regardless of the value of SBj) until either the data for that logical channel or the SL grant is exhausted, whichever comes first. Logical channels configured with equal priority should be served equally.
NOTE: The value of SBj can be negative.
도 11a의 실시 예에서 U2N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D2D direct discovery message 또는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메시지에 대해서 송신 단말이 수행할 수 있는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절차에서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하는 동작은 다음 [표 12]과 같다. 선택된 목적지 식별자에 대해 논리채널 식별자를 선택하는 동작은 1104단계의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U2N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D2D direct discovery message)
2> else if the new transmission is associated with a sidelink grant in sl-DiscTxPoolSelected or sl-DiscTxPoolScheduling configured in sl-BWP-DiscPoolConfig or sl-BWP-DiscPoolConfigCommon:
3> select a Destination associated with U2N sidelink discovery (or D2D direct discovery), having at least one of the logical channel with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logical channels that satisfy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4>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4> SBj > 0, in case there is any logical channel having SBj > 0; and
4>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4>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메시지 전송)
2> else:
3> select a Destination associated with one of unicast, groupcast and broadcast (excluding the Destination(s) associated with U2U sidelink discovery and U2N sidelink discovery and D2D direct discovery), having at least one of the MAC CE and the logical channel with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logical channels that satisfy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MAC CE(s), if any,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4>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4> SBj > 0, in case there is any logical channel having SBj > 0; and
4>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4>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and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if PSFCH is not configured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도 11b 내지 도 11c는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 전송 용도로 전용 자원 풀이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 전송 용도의 전용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으면 전송 단말은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 전송 용도의 자원 풀에서 할당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전송할 수 있다.
단말이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모두 지원할 수 있고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동일한 목적지 식별자가 할당되는 경우, U2U relay discovery message 전송을 위해 할당된 전송 자원에서 단말은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모두 포함하는 MAC PDU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고 U2N relay discovery message전송을 위해 할당된 전송 자원에서 단말은 U2N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모두 포함하는 MAC PDU를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b를 참조하면, 단말은 111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송 용도의 자원 풀에서 자원이 획득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112단계에서 신규 전송할 U2U relay discovery message가 버퍼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113단계에서 U2U relay discovery message의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다음 [표 13]의 절차를 따라서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1> if sl-BWP-DiscPoolConfig or sl-BWP-DiscPoolConfigCommon is configured:
2> if the new transmission is associated with a sidelink grant in sl-DiscTxPoolSelected or sl-DiscTxPoolScheduling configured in sl-BWP-DiscPoolConfig or sl-BWP-DiscPoolConfigCommon:
3> select a Destination associated with either U2U sidelink discovery or U2N sidelink discovery , having at least one of the logical channel with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logical channels that satisfy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4>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4> SBj > 0, in case there is any logical channel having SBj > 0; and
4>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4>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단말은 1113단계에서 선택된 목적지 식별자에 해당되는 논리채널을 1114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다음 [표 14]의 절차를 따라서 논리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1> select the logical channels satisfying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among the logical channels belonging to the selected Destination:
2>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2>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2>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and
3> if PSFCH is configured for the sidelink grant associated to the SCI: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enabled, if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enabled for the 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or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if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for the 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3> else: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1115단계에서 단말은 1111단계에서 획득된 전송 자원을 1114단계에서 선택된 논리채널에 할당하는 동작을 다음 [표 15]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The MAC entity shall for each SCI corresponding to a new transmission:
1> allocate resources to the logical channels as follows:
2> logical channels selected in 1114 for the SL grant with SBj > 0 are allocated resources in a decreasing priority order. If the sPBR of a logical channel is set to infinity, the MAC entity shall allocate resources for all the data that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on the logical channel before meeting the sPBR of the lower priority logical channel(s);
2> decrement SBj by the total size of MAC SDUs served to logical channel j above;
2> if any resources remain, all the logical channels selected in 1114 are served in a strict decreasing priority order (regardless of the value of SBj) until either the data for that logical channel or the SL grant is exhausted, whichever comes first. Logical channels configured with equal priority should be served equally.
NOTE: The value of SBj can be negative.
단말은 획득된 전송 자원에 여유가 있다고 판단되고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동일한 목적지 식별자를 갖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가 단말의 MAC 버퍼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해당되는 논리채널을 상기 획득된 전송 자원에 할당할 수 있고 동일한 MAC PDU로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c를 참조하면, 단말은 1121단계에서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음을 판단할 수 있고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송 용도의 자원 풀에서 자원이 획득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122단계에서 신규 전송할 U2N relay discovery message가 버퍼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123단계에서 U2N relay discovery message의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다음 [표 16]의 절차를 따라서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1> if sl-BWP-DiscPoolConfig or sl-BWP-DiscPoolConfigCommon is configured:
2> if the new transmission is associated with a sidelink grant in sl-DiscTxPoolSelected or sl-DiscTxPoolScheduling configured in sl-BWP-DiscPoolConfig or sl-BWP-DiscPoolConfigCommon:
3> select a Destination associated with either U2U sidelink discovery or U2N sidelink discovery , having at least one of the logical channel with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logical channels that satisfy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4>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4> SBj > 0, in case there is any logical channel having SBj > 0; and
4>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4>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단말은 1123단계에서 선택된 목적지 식별자에 해당되는 논리채널을 1124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다음 [표 17]의 절차를 따라서 논리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1> select the logical channels satisfying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among the logical channels belonging to the selected Destination:
2>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2>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2>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and
3> if PSFCH is configured for the sidelink grant associated to the SCI: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enabled, if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enabled for the 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or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if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for the 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3> else: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1125단계에서 단말은 1121단계에서 획득된 전송 자원을 1124단계에서 선택된 논리채널에 할당하는 동작을 다음 [표 18]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The MAC entity shall for each SCI corresponding to a new transmission:
1> allocate resources to the logical channels as follows:
2> logical channels selected in 1124 for the SL grant with SBj > 0 are allocated resources in a decreasing priority order. If the sPBR of a logical channel is set to infinity, the MAC entity shall allocate resources for all the data that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on the logical channel before meeting the sPBR of the lower priority logical channel(s);
2> decrement SBj by the total size of MAC SDUs served to logical channel j above;
2> if any resources remain, all the logical channels selected in 1124 are served in a strict decreasing priority order (regardless of the value of SBj) until either the data for that logical channel or the SL grant is exhausted, whichever comes first. Logical channels configured with equal priority should be served equally.
NOTE: The value of SBj can be negative.
단말은 획득된 전송 자원에 여유가 있다고 판단되고 U2N relay discovery message와 동일한 목적지 식별자를 갖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가 단말의 MAC 버퍼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해당되는 논리채널을 상기 획득된 전송 자원에 할당할 수 있고 U2N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동일한 MAC PDU로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1b 내지 도 11c의 실시 예에서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메시지에 대해서 송신단말이 수행할 수 있는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절차에서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하는 동작은 다음 [표 19]과 같다. 선택된 목적지 식별자에 대해 논리채널 식별자를 선택하는 동작은 1114단계 또는 1124단계의 절차와 동일할 수 있다.
2> else:
3> select a Destination associated with one of unicast, groupcast and broadcast (excluding the Destination(s) associated with sidelink discovery), having at least one of the MAC CE and the logical channel with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logical channels that satisfy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MAC CE(s), if any,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4>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4> SBj > 0, in case there is any logical channel having SBj > 0; and
4>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4>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and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if PSFCH is not configured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도 11d 내지 도 11e는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 전송 용도로 전용 자원 풀이 설정되지 않고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된 경우를 가정한다. 전송단말은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풀에서 할당된 전송 자원을 이용하여 해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도 11d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1d를 참조하면, 단말은 1131단계에서 U2U relay discovery 전송 용도의 전용 자원 풀이나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고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풀에서 자원이 획득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132단계에서 신규 전송할 U2N relay discovery message가 버퍼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133단계에서 U2N relay discovery message의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다음 [표 20]을 따라서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2> select a Destination associated to one of unicast, groupcast and broadcast, that is in the SL active time for the SL transmission occasion if SL DRX is applied for the destination, and having at least one of the MAC CE and the logical channel with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logical channels that satisfy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MAC CE(s), if any,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3>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3> SBj > 0, in case there is any logical channel having SBj > 0; and
3>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3>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and
3>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if PSFCH is not configured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단말은 1133단계에서 선택된 목적지 식별자에 해당되는 논리채널을 1134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다음 [표 21]을 따라서 논리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1> select the logical channels satisfying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among the logical channels belonging to the selected Destination:
2>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2>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2>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and
3> if PSFCH is configured for the sidelink grant associated to the SCI: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enabled, if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enabled for the 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or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if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for the 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3> else: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1135단계에서 단말은 1131단계에서 획득된 전송 자원을 1134단계에서 선택된 논리채널에 할당하는 동작을 다음 [표 22]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The MAC entity shall for each SCI corresponding to a new transmission:
1> allocate resources to the logical channels as follows:
2> logical channels selected in 1134 for the SL grant with SBj > 0 are allocated resources in a decreasing priority order. If the sPBR of a logical channel is set to infinity, the MAC entity shall allocate resources for all the data that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on the logical channel before meeting the sPBR of the lower priority logical channel(s);
2> decrement SBj by the total size of MAC SDUs served to logical channel j above;
2> if any resources remain, all the logical channels selected in 1134 are served in a strict decreasing priority order (regardless of the value of SBj) until either the data for that logical channel or the SL grant is exhausted, whichever comes first. Logical channels configured with equal priority should be served equally.
NOTE: The value of SBj can be negative.
단말은 획득된 전송 자원에 여유가 있다고 판단되고 U2N relay discovery message와 동일한 목적지 식별자를 갖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가 단말의 MAC 버퍼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해당되는 논리채널을 획득된 전송 자원에 할당할 수 있고 U2N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동일한 MAC PDU로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도 11e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 전송을 처리하는 동작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상기 도 11e를 참조하면, 단말은 1141단계에서 U2U relay discovery 전송 용도의 전용 자원 풀이나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전송 자원 풀이 설정되어 있지 않음을 판단할 수 있고 일반적인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풀에서 자원이 획득되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142단계에서 신규 전송할 U2U relay discovery message가 버퍼에 있음을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1143단계에서 U2U relay discovery message의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다음 [표 23]을 따라서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할 수 있다.
2> select a Destination associated to one of unicast, groupcast and broadcast, that is in the SL active time for the SL transmission occasion if SL DRX is applied for the destination, and having at least one of the MAC CE and the logical channel with the highest priority, among the logical channels that satisfy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MAC CE(s), if any,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3>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3> SBj > 0, in case there is any logical channel having SBj > 0; and
3>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3>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and
3>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if PSFCH is not configured for the SL grant associated to the SCI.
단말은 1143단계에서 선택된 목적지 식별자에 해당되는 논리채널을 1144단계에서 선택할 수 있다. 이때 단말은 다음 [표 24]를 따라서 논리채널을 선택할 수 있다.
1> select the logical channels satisfying all the following conditions among the logical channels belonging to the selected Destination:
2> SL data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and
2> sl-configuredGrantType1Allowed, if configured, is set to true in case the SL grant is a Configured Grant Type 1; and.
2> sl-AllowedCG-List, if configured, includes the configured grant index associated to the SL grant; and
3> if PSFCH is configured for the sidelink grant associated to the SCI: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enabled, if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enabled for the 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or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if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for the highest priority logical channel satisfying the above conditions.
3> else:
4>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disabled.
1145단계에서 단말은 1141단계에서 획득된 전송 자원을 1144단계에서 선택된 논리채널에 할당하는 동작을 다음 [표 25]과 같이 수행할 수 있다.
The MAC entity shall for each SCI corresponding to a new transmission:
1> allocate resources to the logical channels as follows:
2> logical channels selected in 1144 for the SL grant with SBj > 0 are allocated resources in a decreasing priority order. If the sPBR of a logical channel is set to infinity, the MAC entity shall allocate resources for all the data that is available for transmission on the logical channel before meeting the sPBR of the lower priority logical channel(s);
2> decrement SBj by the total size of MAC SDUs served to logical channel j above;
2> if any resources remain, all the logical channels selected in 1144 are served in a strict decreasing priority order (regardless of the value of SBj) until either the data for that logical channel or the SL grant is exhausted, whichever comes first. Logical channels configured with equal priority should be served equally.
NOTE: The value of SBj can be negative.
단말은 획득된 전송 자원에 여유가 있다고 판단되고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동일한 목적지 식별자를 갖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가 단말의 MAC 버퍼에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해당되는 논리채널을 획득된 전송 자원에 할당할 수 있고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동일한 MAC PDU로 구성하여 전송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2U relay discovery message 전송 용도로 전용 자원 풀(예, sl-BWP-U2UDiscPoolConfig 또는 sl-BWP-U2UDiscPoolConfigCommon)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 전송 단말이 U2U relay discovery message 전송을 위해 자원 풀을 선택하는 동작은 다음 [표 26]과 같다.
1> if the MAC entity has selected to create a selected sidelink grant corresponding to transmissions of multiple MAC PDUs or transmission of a single MAC PDU, and SL data is available in a logical channel or an SL-CSI reporting is triggered etc.:
2> if the MAC entity has not selected a pool of resources allowed for the logical channel:
3> if SL data is available in the logical channel for U2U sidelink relay discovery:
4> if sl-BWP-U2UDiscPoolConfig or sl-BWP-U2UDiscPoolConfigCommon is configured:
5> select the sl-U2UDiscTxPoolSelected configured in sl-BWP-U2UDiscPoolConfig or sl-BWP-U2UDiscPoolConfigCommon for the transmission of sidelink discovery message;
4> else:
5> select any pool of resources among the configured pools of resources;
3> else if SL data is available in the logical channel for other sidelink discovery (i.e., non-relay discovery or U2N sidelink relay discovery):
4> if sl-BWP-DiscPoolConfig or sl-BWP-DiscPoolConfigCommon is configured:
5> select the sl-DiscTxPoolSelected configured in sl-BWP-DiscPoolConfig or sl-BWP-DiscPoolConfigCommon for the transmission of sidelink discovery message;
4> else:
5> select any pool of resources among the configured pools of resources;
3> else if sl-HARQ-FeedbackEnabled is set to enabled for the logical channel:
4> select any pool of resources configured with PSFCH resources among the pools of resources except the pool(s) in sl-BWP-DiscPoolConfig or sl-BWP-DiscPoolConfigCommon, if configured.
3> else:
4> select any pool of resources among the pools of resources except the pool(s) in sl-BWP-DiscPoolConfig or sl-BWP-DiscPoolConfigCommon or sl-BWP-U2UDiscPoolConfig or sl-BWP-U2UDiscPoolConfigCommon, if configured.
2> perform the TX resource (re-)selection check on the selected pool of resources;
일 실시 예로서 단말이 U2N relay 탐색 메시지와 U2U relay 탐색 메시지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경우, U2N relay 탐색 메시지와 U2U relay 탐색 메시지에 대한 구분을 단말의 discovery 계층에서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 예로서 단말이 U2N relay 탐색 메시지와 U2U relay 탐색 메시지를 모두 지원할 수 있는 경우, U2U relay 탐색 메시지와 U2N relay 탐색 메시지에 대한 구분을 단말의 discovery 계층 및 단말의 RRC계층 및/또는 PDCP 계층 및/또는 RLC 계층 및/또는 MAC 계층에서 처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U2N relay 탐색 메시지 또는 U2U relay 탐색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말은 discovery 계층에서 U2N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구성하고 하위 계층 (PDCP 계층)으로 구성된 U2N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전달할 수 있다. 단말의 discovery 계층은 U2N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때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임을 지시하는 지시자를 하위 계층에 해당되는 PDCP 계층 및 RRC 계층에게 전달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임을 지시하는 지시자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 및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을 포함하지 않고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동일한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 지시자로서 적용될 수 있거나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과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이 가능한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 지시자로서 적용될 수 있다.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이 포함되는 경우, 단말의 하위 계층(RRC, PDCP, RLC 또는 MAC)은 각 탐색 메시지에 대해 정의된 설정을 처리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는 단말의 모든 하위 계층에게 전달되더라도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과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 정보가 단말의 모든 하위 계층에게 전달되지 않을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는 정보 및/또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 식별과 U2N relay discovery message 식별 정보가 하위 계층으로 전달되었을 때 예를 들어, 도 9의 실시 예에 따라 RRC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적용될 사이드링크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의 설정을 처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실시예에 따라 PDCP Data PDU를 구성할 때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해당되는 사이드링크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의 처리 및 SDU type 정보의 처리가 정의된 설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9의 실시 예에 따라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해당되는 논리채널 식별자에 대한 처리가 정의된 설정에 따라 수행될 수 있다. 단말의 상위 계층은 하위 계층으로 U2N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전달하면서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과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구분없이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과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이 별도로 있는 경우 단말의 PDCP 계층은 U2N relay discovery message 용도로 설정된 PDCP Data PDU 처리를 할 수 있고 U2U relay discovery message 용도로 설정된 PDCP Data PDU 처리를 할 수 있다(도 9 참조). 단말의 PDCP 계층에서 처리된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는 RLC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고 RLC 계층에서 처리된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는 MAC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단말의 MAC 계층은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해당되는 목적지 식별자, 논리채널 식별자 등의 처리를 할 수 있고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해당되는 목적지 식별자, 논리채널 식별자 둥의 처리를 하고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별도 구분이 없는 경우 단말의 PDCP 계층은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해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로 설정된 PDCP Data PDU 처리를 할 수 있다. 단말의 PDCP 계층에서 처리된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는 RLC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고 RLC 계층에서 처리된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는 MAC 계층으로 전달될 수 있다. 단말의 MAC 계층은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해당되는 목적지 식별자, 논리채널 식별자 등의 처리를 할 수 있고 처리된 MAC PDU를 하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RLC 계층과 MAC 계층은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해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용도로 설정된 각각 RLC PDU 처리, MAC PDU 처리를 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이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포함하는 MAC PDU를 정상적으로 수신하였을 때, 수신 단말은 해당 MAC SDU를 자신의 상위 계층으로 전달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의 MAC 계층이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임을 식별할 수 있거나 U2U relay discovery message임을 식별할 수 있거나 U2N relay discovery message임을 식별할 수 있는 경우 단말은 상위 계층으로 메시지를 전달하면서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에 대한 식별 또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단말의 PDCP 계층은 U2U relay discovery message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포함하는 PDCP SDU를 상위 계층(discovery layer)에게 전달하면서 사이드링크 탐색 메시지에 대한 식별 또는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 또는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목적지 식별자와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목적지 식별자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신단말의 MAC 계층은 목적지 식별자를 기반으로 U2N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구분할 수 있다. U2N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논리채널 식별자와 U2U relay discovery message에 대한 논리채널 식별자를 구분하여 사용하는 경우 수신단말의 MAC 계층은 논리채널 식별자를 기반으로 U2N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U relay discovery message를 구분할 수 있다.
수신 단말의 하위 계층(MAC, RLC, PDCP, RRC 계층)에서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구분하여 상위 계층으로 식별 정보를 전달하지 않는 경우에도 수신단말의 discovery 계층에서 U2U relay discovery message와 U2N relay discovery message를 구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수신단말의 MAC 엔터티는 U2U relay discovery 메시지를 처리하기 위해 다음 [표 27]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1> if the data which the MAC entity attempted to decode was successfully decoded for this TB; or
1> if the data for this TB was successfully decoded before:
2> if this is the first successful decoding of the data for this TB:
3> if this TB is associated to unicast, the DST field of the decoded MAC PDU subheader is equal to the 8 MSB of any of the Source Layer-2 ID(s) of the UE for which the 16 LSB are equal to the Destination ID in the corresponding SCI, and the SRC field of the decoded MAC PDU subheader is equal to the 16 MSB of any of the Destination Layer-2 ID(s) of the UE for which the 8 LSB are equal to the Source ID in the corresponding SCI; or
3> if this TB is associated to groupcast or broadcast and the DST field of the decoded MAC PDU subheader is equal to the 8 MSB of any of the Destination Layer-2 ID(s) of the UE for which the 16 LSB are equal to the Destination ID in the corresponding SCI:
4> deliver the decoded MAC PDU to the disassembly and demultiplexing entity;
2> consider the Sidelink process as unoccupied.
1> else:
2> instruct the physical layer to replace the data in the soft buffer for this TB with the data which the MAC entity attempted to decode.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기지국은 U2U relay에 대한 지원 정보를 SIB 메시지에 설정할 수 있다. 기지국이 지원할 수 있는 U2U relay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의 실시 예는 다음 [표 28]와 같다. 기지국은 U2U relay discovery 설정 정보, layer 2 U2U relay (discovery, relay communication) 지원, layer 3 U2U relay discovery 지원 등을 알리는 정보를 SIB 메시지에 설정할 수 있다.
SIB12-IEs ::= SEQUENCE {
sl-U2UDiscConfigCommon SL-DiscConfigCommon OPTIONAL, -- Need R
sl-L2U2U-Relay ENUMERATED {enabled} OPTIONAL, -- Need R
sl-L3U2U-RelayDiscovery ENUMERATED {enabled} OPTIONAL, -- Need R
}
SL-U2UDiscConfigCommon ::= SEQUENCE {
sl-U2URemoteUE-ConfigCommon SL-U2URemoteUE-Config
}
SL-U2URemoteUE-Config::= SEQUENCE {
sl-ReselectionConfig SL-ReselectionConfig OPTIONAL -- Need R
} 
SL-ReselectionConfig::= SEQUENCE {
sl-RSRP-Thresh SL-RSRP-Range OPTIONAL, -- Need R
sl-FilterCoefficientRSRP FilterCoefficient OPTIONAL, -- Need R
sl-HystMin Hysteresis OPTIONAL -- Cond SL-RSRP-Thresh
}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U2U relay를 지원하는 원격단말이 U2U 릴레이 단말을 선택/재선택하는 동작은 다음 [표 29]의 예시와 같다. U2U relay를 지원하는 원격단말이 U2U 릴레이 단말을 선택/재선택하는 동작은 단말이 다른 단말과의 직접 연결을 중계해 줄 수 있는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선택하거나 재선택하는 경우에서 적용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재선택하는 경우 원격단말은 현재 연결중인 사이드링크 릴레이와의 사이드링크 신호 퀄리티 (SD-RSRP 또는 SL-RSRP) 및 상위계층(discovery 계층 또는 ProSe 계층)에 설정된 사이드링크 릴레이 선택 기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 선택/재선택에 대한 사이드링크 신호 퀄리티에 대한 설정 정보는 원격단말이 연결되어 있는 기지국으로부터 획득하거나 (RRC dedicated 메시지 또는 SIB 메시지) 또는 preconfiguration 설정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Selection and reselection of NR sidelink U2U Relay UE
A UE capable of NR sidelink U2U Remote UE operation that is configured by upper layers to search for a NR sidelink U2U Relay UE shall:
1> if the UE does not have a selected NR sidelink U2U Relay UE; or
1> if the UE has a selected NR sidelink U2U Relay UE, and SL-RSRP of the currently selected NR sidelink U2U Relay UE is available and is below sl-RSRP-Thresh; or
1> if the UE has a selected NR sidelink U2U Relay UE, and SL-RSRP of the currently selected NR sidelink U2U Relay UE is not available, and SD-RSRP of the currently selected U2U Relay UE is below sl-RSRP-Thresh; or
NOTE 1: U2U Remote UE uses SL-RSRP measurements for relay reselection trigger evaluation when there is data transmission from U2U Relay UE to U2U Remote UE, and it is left to UE implementation whether to use SL-RSRP or SD-RSRP for relay reselection trigger evaluation in case of no data transmission from U2U Relay UE to U2U Remote UE. If SD-RSRP is used, the discovery procedure will be performed between the U2U Remote UE and the selected U2U Relay UE.
1> if the UE has a selected NR sidelink U2U Relay UE, and upper layers indicate not to use the currently selected NR sidelink U2U Relay UE; or
1> if the UE has a selected NR sidelink U2U Relay UE, and upper layers request the release of the PC5-RRC connection or when AS layer releases the the PC5-RRC connection with the currently selected U2U Relay UE; or
1> if the UE has a selected NR sidelink U2U Relay UE, and sidelink radio link failure is detected on the PC5-RRC connection with the current U2U Relay UE:
2> perform NR sidelink discovery procedure in order to search for candidate NR sidelink U2U Relay UEs;
3> when evaluating the one or more detected NR sidelink U2U Relay UEs, apply layer 3 filtering across measurements that concern the same U2U Relay UE ID and using the sl-FilterCoefficientRSRP in SystemInformationBlockType12 (if in RRC_IDLE/INACTIVE), the sl-FilterCoefficientRSRP in sl-ConfigDedicatedNR (if in RRC_CONNECTED) or the preconfigured sl-FilterCoefficientRSRP (out of coverage), before using the SD-RSRP measurement results;
3> consider a candidate NR sidelink U2U Relay UE for which SD-RSRP exceeds sl-RSRP-Thresh by sl-HystMin has met the AS criteria;
3> consider one of the available suitable NR sidelink U2U relay UE(s) can be selected;
NOTE 2: A candidate NR sidelink U2U Relay UE which meets all AS layer criteria and higher layer criteria can be regarded as suitable NR sidelink U2U Relay UE by the NR sidelink U2U Remote UE. If multiple suitable NR sidelink U2U Relay UEs are available, it is up to Remote UE implementation to choose one NR sidelink U2U Relay UE. The details of the interaction with upper layers are up to UE implementation.
2> if the UE did not detect any candidate NR sidelink U2U Relay UE for which SD-RSRP exceeds sl-RSRP-Thresh by sl-HystMin:
3> consider no NR sidelink U2U Relay UE to be selected.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사이드링크 릴레이와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이드링크 릴레이(1200)은 기지국(1230)이 전송하는 SIB 메시지의 설정([표 28] 예시)에 따라 U2U relay discovery, U2U relay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지원한다고 판단되고 기지국(1230)에게 U2U relay discovery 또는 U2U relay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에 대한 사이드링크 릴레이 설정 정보,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정보 등을 요청하기 위해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를 1201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200)은 기지국(1230)으로부터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1202단계에서 획득할 수 있으며,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로부터 사이드링크 릴레이(1200)이 U2U relay discovery 또는 U2U relay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에 대한 사이드링크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200)은 기지국(1230)에게 수신된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1203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단말과 다른 단말이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설정 정보를 처리하는 단말과 기지국 간 신호 흐름을 도시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원격단말(Remote UE)(1300)은 기지국(1330)이 전송하는 SIB 메시지의 설정([표 28] 예시)에 따라 U2U relay discovery, U2U relay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지원한다고 판단되고 기지국(1330)에게 U2U relay discovery 또는 U2U relay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에 대한 사이드링크 릴레이 설정 정보,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 정보 등을 요청하기 위해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를 1301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원격단말(1300)은 사이드링크 릴레이의 중계전송을 이용하여 직접 연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소스 단말 또는 목적지 단말에 해당될 수 있다.
원격단말(1300)은 기지국(1330)으로부터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를 1302단계에서 획득할 수 있으며, RRCReconfiguration 메시지로부터 원격단말(1300)이 U2U relay discovery 또는 U2U relay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에 대한 사이드링크 릴레이 동작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설정 정보를 획득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원격단말(1300)은 기지국(1330)에게 수신된 RRCReconfiguration 메시지에 대한 응답으로서 RRCReconfigurationComplete 메시지를 1303단계에서 전송할 수 있다.
사이드링크 릴레이(1200)가 기지국(1230)에게 전송하거나 또는 원격단말(1300)가 기지국(1330)에게 전송하는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는 다음 [표 30]의 목적 중 적어도 하나 또는 조합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U2U sidelink relay discovery TX interest, U2U sidelink relay discovery RX interest, U2U sidelink relay communication TX interest, U2U sidelink relay communication RX interest, U2U relay info, QoS report for SL-SRBx for U2U relay configuration
다음으로 [표 30]의 목적에 따라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원격 단말이 기지국에게 전송하기 위해 구성하는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의 일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원격 단말이 L2 U2U relay communication 또는 L3 U2U relay communication을 수행할 때 L2 U2U relay communication 또는 L3 U2U relay communication을 지원할 수 있는 기지국에게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요청하는 데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원격 단말은 L2 U2U relay communication과 L3 U2U relay communication에 대한 요청을 별도로 구분하지 않고 U2U relay communication에 대한 요청임을 알릴 수 있다. 이때 L2 U2U relay communication요청시에 포함하는 세부 파라미터와 L3 U2U relay communication 요청시에 포함하는 세부 파라미터는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SL-TxResourceReqListCommRelay-r18 ::=`SEQUENCE (SIZE (1..maxNrofSL-Dest-r16)) OF Sl-TxResourceReqCommRelayInfo-r18
SL-TxResourceReqCommRelayInfo-r18 ::= SEQUENCE {
sl-TxResourceReqU2U-Relay-r18 SL-TxResourceReq-r16
}
SL-TxResourceReq-r16 ::= SEQUENCE {
sl-DestinationIdentity-r16 SL-DestinationIdentity-r16,
sl-CastType-r16 ENUMERATED {broadcast, groupcast, unicast, spare1},
sl-RLC-ModeIndicationList-r16 SEQUENCE (SIZE (1.. maxNrofSLRB-r16)) OF SL-RLC-ModeIndication-r16 OPTIONAL,
sl-QoS-InfoList-r16 SEQUENCE (SIZE (1..maxNrofSL-QFIsPerDest-r16)) OF SL-QoS-Info-r16 OPTIONAL,
sl-TypeTxSyncList-r16 SEQUENCE (SIZE (1..maxNrofFreqSL-r16)) OF SL-TypeTxSync-r16 OPTIONAL,
sl-TxInterestedFreqList-r16 SL-TxInterestedFreqList-r16 OPTIONAL,
sl-CapabilityInformationSidelink-r16 OCTET STRING OPTIONAL
}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원격 단말이 L2 U2U relay communication 또는 L3 U2U relay communication을 수행할 때 L2 U2U relay communication 또는 L3 U2U relay communication을 지원할 수 있는 기지국에게 사이드링크 전송 자원을 요청하는 데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가 사용될 수 있다. 이때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원격 단말은 L2 U2U relay communication에 대한 요청과 L3 U2U relay communication에 대한 요청을 별도로 구분하여 알릴 수 있다. 이 실시 예에서 L2 U2U relay communication에 대한 요청은 원격단말에 대한 local ID 식별자를 기지국에게 할당해 줄 것을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SL-TxResourceReqListCommRelay-r18 ::=`SEQUENCE (SIZE (1..maxNrofSL-Dest-r16)) OF Sl-TxResourceReqCommRelayInfo-r18
SL-TxResourceReqCommRelayInfo-r18 ::= CHOICE {
sl-TxResourceReqL3U2U-Relay-r18 SL-TxResourceReq-r16,
sl-TxResourceReqL2U2U-Relay-r18 SL-TxResourceReqL2U2U-Relay-r18
}
SL-TxResourceReq-r16 ::= SEQUENCE {
sl-DestinationIdentity-r16 SL-DestinationIdentity-r16,
sl-CastType-r16 ENUMERATED {broadcast, groupcast, unicast, spare1},
sl-RLC-ModeIndicationList-r16 SEQUENCE (SIZE (1.. maxNrofSLRB-r16)) OF SL-RLC-ModeIndication-r16 OPTIONAL,
sl-QoS-InfoList-r16 SEQUENCE (SIZE (1..maxNrofSL-QFIsPerDest-r16)) OF SL-QoS-Info-r16 OPTIONAL,
sl-TypeTxSyncList-r16 SEQUENCE (SIZE (1..maxNrofFreqSL-r16)) OF SL-TypeTxSync-r16 OPTIONAL,
sl-TxInterestedFreqList-r16 SL-TxInterestedFreqList-r16 OPTIONAL,
sl-CapabilityInformationSidelink-r16 OCTET STRING OPTIONAL
}
SL-TxResourceReqL2U2U-Relay-r18 ::= SEQUENCE {
sl-DestinationIdentity-r16 SL-DestinationIdentity-r16,
sl-RLC-ModeIndicationList-r16 SEQUENCE (SIZE (1.. maxNrofSLRB-r16)) OF SL-RLC-ModeIndication-r16 OPTIONAL,
sl-QoS-InfoList-r16 SEQUENCE (SIZE (1..maxNrofSL-QFIsPerDest-r16)) OF SL-QoS-Info-r16 OPTIONAL,
sl-TypeTxSyncList-r16 SEQUENCE (SIZE (1..maxNrofFreqSL-r16)) OF SL-TypeTxSync-r16 OPTIONAL,
sl-TxInterestedFreqList-r16 SL-TxInterestedFreqList-r16 OPTIONAL,
sl-LocalID-Request-r18 ENUMERATED {true} OPTIONAL,
sl-CapabilityInformationSidelink-r16 OCTET STRING OPTIONAL
}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원격 단말은 원격단말과 다른 원격단말의 종단 간 전송될 수 있는 사이드링크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SL-SRBx)에 대한 설정을 기지국에게 요청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원격 단말은 SL-SRBx에 대한 설정을 요청하는 지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option1) add an indication for requesting SLRB for U2U relaying channel for SL-SRBx in SidelinkUEInformationNR
(option2-1) use SL QoS Info (flow identity only) for requesting SLRB for relaying channel for SL-SRBx in SidelinkUEInformationNR.
(option2-2) use specified SL QoS Info (e.g., SL-SRB specific PQI/QoS profile ID) for requesting SLRB for relaying channel for SL-SRBx in SidelinkUEInformationNR.
In SidelinkUEInformationNR, this information can be included in L2 U2U relay TX Resource Request format, L3 U2U relay TX Resource Request format (i.e., this usage can be for L2 U2U relay or L3 U2U relay or both)

SL-TxResourceReqU2U-Relay ::= SEQUENCE {
sl-DestinationIdentityU2U SL-DestinationIdentity,
sl-TxInterestedFreqListU2U SL-TxInterestedFreqList,
sl-SRB-Request ENUMERATED {true}, //option 1
sl-QoS-InfoList SEQUENCE (SIZE (1..maxNrofSL-QFIsPerDest)) OF SL-QoS-Info // SL-SRB is indicated with QoS flow identity wo QoS profile (option 2-1) or SL-SRB is indicated with specified QoS profile (option2-2)
}
SL-QoS-Info ::= SEQUENCE {
sl-QoS-FlowIdentity SL-QoS-FlowIdentity,
sl-QoS-Profile SL-QoS-Profile OPTIONAL
}
SL-QoS-Profile ::= SEQUENCE {
sl-PQI SL-PQI OPTIONAL, -- Need R
sl-GFBR INTEGER (0..4000000000) OPTIONAL, -- Need R
sl-MFBR INTEGER (0..4000000000) OPTIONAL, -- Need R
sl-Range INTEGER (1..1000) OPTIONAL, -- Need R
...
} 
SL-PQI ::= CHOICE {
sl-StandardizedPQI INTEGER (0..255),
sl-Non-StandardizedPQI SEQUENCE {
sl-ResourceType ENUMERATED {gbr, non-GBR, delayCriticalGBR, spare1} OPTIONAL, -- Need R
sl-PriorityLevel INTEGER (1..8) OPTIONAL, -- Need R
sl-PacketDelayBudget INTEGER (0..1023) OPTIONAL, -- Need R
sl-PacketErrorRate INTEGER (0..9) OPTIONAL, -- Need R
sl-AveragingWindow INTEGER (0..4095) OPTIONAL, -- Need R
sl-MaxDataBurstVolume INTEGER (0..4095) OPTIONAL, -- Need R
...
}
}
SidelinkUEInformationNR 메시지는 사이드링크 릴레이 또는 원격단말이 요청하는 U2U relay type (layer 2 U2U relay, layer 3 U2U relay)에 대한 정보를 explicit하게 포함할 수도 있다. Explicit하게 포함되는 지시 정보는 다음을 구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 U2U relay discovery (sl-TxResourceReqListU2UDisc)
: U2U L2 relay discovery
: U2U L3 relay discovery
- U2U relay communication
: U2U L2 relay communication
: U2U L3 relay communication

SidelinkUEInformationNR-v1700-IEs ::= SEQUENCE {
sl-TxResourceReqList-v1700 SL-TxResourceReqList-v1700 OPTIONAL,
sl-RxDRX-ReportList-v1700 SL-RxDRX-ReportList-v1700 OPTIONAL,
sl-RxInterestedGC-BC-DestList-r17 SL-RxInterestedGC-BC-DestList-r17 OPTIONAL,
sl-RxInterestedFreqListDisc-r17 SL-InterestedFreqList-r16 OPTIONAL,
sl-TxResourceReqListDisc-r17 SL-TxResourceReqListDisc-r17 OPTIONAL,
sl-TxResourceReqListU2UDisc SL-TxResourceReqListU2UDisc OPTIONAL,
sl-TxResourceReqListCommRelay-r17 SL-TxResourceReqListCommRelay-r17 OPTIONAL,
ue-Type-r17 ENUMERATED {relayUE, remoteUE} OPTIONAL,
sl-U2U-UE-Type ENUMERATED {relayUE, remoteUE} OPTIONAL,
sl-SourceIdentityRemoteUE-r17 SL-SourceIdentity-r17 OPTIONAL,
nonCriticalExtension SEQUENCE {} OPTIONAL
}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다른 단말과의 직접 연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릴레이(sidelink relay)를 탐색하는 데 사용되는 릴레이 탐색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는 데 사용하는 릴레이 탐색 메시지를 송신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를 구성 및 전송을 처리하는 단계;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는 데 사용하는 릴레이 탐색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수신처리하는 단계;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통해 다른 단말과의 직접 연결 설정 절차를 수행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획득 및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방법은 단말과 다른 단말 간 직접 연결 통신을 수행하기 위해 사이드링크 릴레이(sidelink relay)를 탐색하는 데 사용되는 릴레이 탐색 메시지를 처리하는 단계;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는 데 사용하는 릴레이 탐색 메시지를 송신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를 구성 및 전송을 처리하는 단계; 사이드링크 릴레이를 탐색하는 데 사용하는 릴레이 탐색 메시지를 모니터링하는 조건을 만족하는지 여부에 따라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를 모니터링하여 수신처리하는 단계; 단말과 다른 단말 간의 직접 연결 설정 절차를 중계 전송하기 위한 설정 정보를 획득 및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의 형태로 구현될(implemented)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하는 경우,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가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device) 내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된다(configured for execution).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전자 장치로 하여금 본 개시의 청구항 또는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을 실행하게 하는 명령어(instructions)를 포함한다.
이러한 프로그램(소프트웨어 모듈, 소프트웨어)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random access memory), 플래시(flash) 메모리를 포함하는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 롬(ROM: read only memory), 전기적 삭제가능 프로그램가능 롬(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자기 디스크 저장 장치(magnetic disc storage device), 컴팩트 디스크 롬(CD-ROM: compact disc-ROM),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VDs: digital versatile discs) 또는 다른 형태의 광학 저장 장치, 마그네틱 카세트(magnetic cassette)에 저장될 수 있다. 또는, 이들의 일부 또는 전부의 조합으로 구성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 메모리는 복수 개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프로그램은 인터넷(internet), 인트라넷(intranet), LAN(local area network), WLAN(wide LAN), 또는 SAN(storage area network)과 같은 통신 네트워크,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성된 통신 네트워크를 통하여 접근(access)할 수 있는 부착 가능한(attachable) 저장 장치(storage device)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저장 장치는 외부 포트를 통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네트워크상의 별도의 저장장치가 본 개시의 실시 예를 수행하는 장치에 접속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개시의 구체적인 실시 예들에서, 개시에 포함되는 구성 요소는 제시된 구체적인 실시 예에 따라 단수 또는 복수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단수 또는 복수의 표현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시한 상황에 적합하게 선택된 것으로서, 본 개시가 단수 또는 복수의 구성 요소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단수로 구성되거나, 단수로 표현된 구성 요소라 하더라도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개시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개시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

  1.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이 수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자원을 식별하는 단계;
    전송할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식별하는 단계;
    상기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에 대응하는 목적지 식별자를 선택하는 단계;
    상기 선택된 목적지 식별자와 대응하는 논리 채널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식별된 자원을 상기 논리채널에 할당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KR1020220088886A 2022-07-19 2022-07-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두 원격 단말 간의 릴레이 단말을 통한 중계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ending KR2024001143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86A KR20240011439A (ko) 2022-07-19 2022-07-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두 원격 단말 간의 릴레이 단말을 통한 중계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N202380055117.7A CN119631432A (zh) 2022-07-19 2023-07-19 用于管理无线通信系统中的两个远程终端之间的通过中继终端的中继通信的方法和设备
PCT/KR2023/010362 WO2024019505A1 (ko) 2022-07-19 2023-07-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두 원격 단말 간의 릴레이 단말을 통한 중계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88886A KR20240011439A (ko) 2022-07-19 2022-07-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두 원격 단말 간의 릴레이 단말을 통한 중계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11439A true KR20240011439A (ko) 2024-01-26

Family

ID=896182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88886A Pending KR20240011439A (ko) 2022-07-19 2022-07-19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두 원격 단말 간의 릴레이 단말을 통한 중계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20240011439A (ko)
CN (1) CN119631432A (ko)
WO (1) WO202401950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67959A2 (en) * 2019-10-03 2021-04-08 Ofinno, Llc Sidelink configuration of wireless devices
ES2916801T3 (es) * 2019-11-26 2022-07-06 Asustek Comp Inc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el establecimiento de portadores de radio de señalización (SRB) de enlace lateral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ES2932964T3 (es) * 2020-01-07 2023-01-30 Asustek Comp Inc Procedimiento y aparato para solicitar recursos de transmisión de enlace lateral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a
US11700654B2 (en) * 2020-01-31 2023-07-11 Qualcomm Incorporated User equipment to network relay
CN113891292B (zh) * 2020-07-01 2024-01-12 华硕电脑股份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中建立用于ue间中继通信的侧链路无线电承载的方法和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19505A1 (ko) 2024-01-25
CN119631432A (zh) 2025-03-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75360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ulti-connection using different wireless connection technologie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2004371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2023019980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ing path switch operation of remote ue on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EP4436246A1 (en) Method and device for supporting qos configuration control for sidelin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30002387A (ko) 이볼브드 패킷 데이터 게이트웨이 Wi-Fi 액세스를 고려한 슬라이싱을 처리하기 위한 방법
KR20240144173A (ko) 사이드링크 캐리어 집성에서 전송을 위한 후보 캐리어의 (재)선택 방법 및 장치
US12219630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out-of-order delivery for PDCP layer in wireless D2D communication system
KR20220105110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단말을 통한 원격 단말의 연결 설정 방법 및 장치
CN116724601A (zh) 在无线通信系统中通过中继终端管理远程终端连接模式移动性的方法及装置
KR2022010557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중계 단말을 통한 원격 단말의 연결 모드 이동성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4001143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두 원격 단말 간의 릴레이 단말을 통한 중계 통신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2013373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 메시지의 전송 자원 할당을 지원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39918A (ko) 단말 간 무선 직접 통신 시스템에서 pdcp 계층의 비순차적 전송을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10091021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능력 정보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EP4498717A1 (en) Device and method for supporting sidelink relay discovery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20240013505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연결모드 원격단말의 릴레이 변경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23015132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단말 간 협력 정보의 관리 방법 및 장치
WO2023060499A1 (en) Connection establishment and dual connectivity communications over a wireless local area network
KR20230144836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기반 릴레이 통신에서 불연속 수신모드 동작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30148729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릴레이 탐색을 지원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240044204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그룹 캐스트를 이용한 위치 측정 방법 및 장치
KR2024016392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드론 통신 지원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153058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측정 오브젝트를 설정하고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240149672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 릴레이를 통해 설정된 종단간 연결을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20240043453A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해 디스커버리를 수행하는 방법 및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20719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250310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